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교통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교통계획

1.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단계에서 사용되는 모형으로 각 교통지구별 유출.입 교통량의 제약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프라타모형(Fratar 모형)의 계산과정을 단순화시킨 것은?

  1. 성장인자모형
  2. 중력모형
  3. 디트로이트모형
  4. 엔트로피모형
(정답률: 85%)
  • 디트로이트모형은 통행분포 단계에서 사용되는 모형으로, 각 교통지구별 유출.입 교통량의 제약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프라타모형의 계산과정을 단순화시킨 것입니다. 이 모형은 유출지와 입구지 간 거리, 교통수요, 교통수요의 분포 등을 고려하여 교통량을 예측합니다. 이 모형은 간단하면서도 실제 도시의 교통 현상을 잘 반영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대중 교통 수단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에너지 절약
  2. 교통혼잡의 감소
  3. 선택적 교통수단
  4. 주차 수요 유발
(정답률: 100%)
  • 주차 수요 유발은 대중 교통 수단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대중 교통 수단을 이용하면 주차 공간을 찾을 필요가 없어서 오히려 주차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통행희망노선도(Traffic Desire Lines)는 다음 중 어느 조사결과에 의하여 작성될 수 있는가?

  1. 회전 교통량 조사
  2. 가로구간별 교통량 조사
  3. O - D 조사
  4. 승하차 인원수 조사
(정답률: 91%)
  • 통행희망노선도는 출발지와 도착지 간의 이동 희망량을 나타내는 지도이다. 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출발지와 도착지 간의 이동 희망량을 조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적합한 조사 방법은 O - D 조사이다. O - D 조사는 출발지(Origin)와 도착지(Destination) 간의 이동 희망량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통행희망노선도를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O - D 조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로구간의 속도를 허용오차 2km/h, 신뢰도는 95%의 수준으로 조사하기 위한 표본 수를 결정하고자 한다. 유사한 도로(모집단)의 속도 표준편차가 10km/h일 때, 최소한 몇 대 이상의 차량속도를 조사해야 하는가?

  1. 48대
  2. 64대
  3. 76대
  4. 97대
(정답률: 73%)
  • 신뢰도가 95%이므로, 신뢰수준에 해당하는 Z값은 1.96이다. 허용오차가 2km/h이므로, 표본크기 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Z^2 * σ^2) / E^2

    여기서, Z는 1.96, σ는 10km/h, E는 2km/h이다. 따라서,

    n = (1.96^2 * 10^2) / 2^2 = 96.04

    따라서, 최소한 97대 이상의 차량속도를 조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교통수요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사회경제지표의 예측 모형 중 상한치(K)를 결정한 후 예측하는 기법은?

  1. 지수곡선법
  2. 최소제곱법
  3. 대수곡선법
  4. 로지스틱곡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로지스틱곡선법은 종속변수가 이항분포를 따르는 경우에 사용되며, 상한치(K)를 결정한 후 예측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교통수요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사회경제지표의 경우, 상한치(K)가 존재하는 경우에 로지스틱곡선법이 적합한 예측 모형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통행발생량(Trip Generation)을 추정하기 위하여 각 변수를 이용하여 여러 회귀식을 만든 경우 적정 회귀식을 선택하는 방법이 가장 옳은 것은?

  1.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독립변수의 숫자가 많은 것을 선택한다.
  2.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 R2)
  3. 가능한 상수항의 값이 작은 회귀식을 선택한다.
  4.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의 부호가 적정한 회귀식을 선택한다.
(정답률: 79%)
  •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의 부호가 적정한 회귀식을 선택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이 부호가 올바르게 선택되지 않으면 회귀식이 잘못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두 변수가 있을 때, 이들 간의 관계를 음의 상관관계로 모델링하면 예측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의 부호를 고려하여 적절한 회귀식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교통시설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하는데 고려되는 지표가 아닌 것은?

  1. 내부수익률(IRR)
  2. 편익비용비(B/C)
  3. 순현재가치(NPV)
  4. 잠재가격(SP)
(정답률: 알수없음)
  • 잠재가격(SP)은 경제성 평가 지표가 아닙니다. 잠재가격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로, 교통시설사업의 경제성 평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내부수익률(IRR), 편익비용비(B/C), 순현재가치(NPV)는 모두 교통시설사업의 경제성 평가에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교통계획과정에서 승객이나 화물이동의 흐름을 분석하고 추정하기 위한 단위지역인 교통 존(traffic zone)의 설정기준이 옳은 것은?

  1. 가급적 다양한 토지이용이 포함되도록 한다.
  2. 자료수집의 용이성을 위하여 행정구역과 가급적 일치시킨다.
  3. 주요 간선도로는 될 수 있는 한 존 경계선과 일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소규모 도시의 주거지역은 대개 10,000명 정도가 포함되도록 설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료수집의 용이성을 위하여 행정구역과 가급적 일치시킨다."이다.

    교통 존은 교통계획과정에서 승객이나 화물이동의 흐름을 분석하고 추정하기 위한 단위지역으로, 교통량, 교통수단 이용률, 교통사고 발생률 등을 분석하기 위해 설정된다. 이 때, 자료수집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교통 존의 경계선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행정구역과 가급적 일치시키는 것이 좋다. 이는 행정구역이 이미 구분되어 있고, 행정구역 단위로 자료를 수집하기 쉽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하철과 버스에 대한 효용함수 및 통행특성자료가 아래와 같을 때, 로짓모형을 이용한 교통수단별 선택확률이 모두 옳은 것은? (단, 효용함수 V = -0.06(0.5X1 + 0.002X2) 이다.)

  1. 버스 : 57.9%, 지하철 : 42.1%
  2. 버스 : 42.1%, 지하철 : 57.9%
  3. 버스 : 47.9%, 지하철 : 52.1%
  4. 버스 : 52.1%, 지하철 : 47.9%
(정답률: 82%)
  • 로짓모형에서 선택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버스 선택) = exp(V버스) / [exp(V버스) + exp(V지하철)]
    P(지하철 선택) = exp(V지하철) / [exp(V버스) + exp(V지하철)]

    여기서 V버스와 V지하철은 각각 버스와 지하철에 대한 효용함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효용함수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P(버스 선택) = exp(-0.06(0.5X1 + 0.002X2)) / [exp(-0.06(0.5X1 + 0.002X2)) + exp(0)]
    P(지하철 선택) = exp(0) / [exp(-0.06(0.5X1 + 0.002X2)) + exp(0)]

    여기서 X1은 시간, X2는 거리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따라서 시간이 길고 거리가 먼 경우에는 버스를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시간이 짧고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지하철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주어진 통행특성자료에서는 시간이 길고 거리가 먼 경우가 많으므로 버스를 선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버스 : 57.9%, 지하철 : 42.1%"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느 쇼핑센터의 주차발생량이 4.65(대/1000m2), 주차이용효율(e)은 80.5%이며 건물의 연면적이 22,350m2일 때 4년 후의 주차수요는? (단, 주차 발생량은 연평균 5%씩 등비급수로 증가한다.)

  1. 약 127대
  2. 약 137대
  3. 약 147대
  4. 약 157대
(정답률: 43%)
  • 먼저, 현재 주차발생량은 4.65(대/1000m2)이고, 건물의 연면적이 22,350m2이므로 현재 주차수요는 4.65 x 22.35 = 약 104대입니다.

    그리고 연평균 5%씩 등비급수로 증가한다고 했으므로, 4년 후의 주차발생량은 4.65 x (1.05)4 = 약 5.86(대/1000m2)입니다.

    주차이용효율(e)은 80.5%이므로, 실제 주차수요는 104 x 0.805 = 약 84대입니다.

    따라서, 4년 후의 주차수요는 5.86 x 22.35 x 84 = 약 27,000대입니다.

    정답은 "약 157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4단계 교통수요 추정 모형에 비하여 개별행태모형이 갖는 특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보다 중·장기적인 교통계획의 수립에 유용하다.
  2. 존별 집계자료에 근거하여 개발된 모형이다.
  3. 비용이 많이 들고 결과 도출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4. 교통존에 한정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지역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100%)
  • 개별행태모형은 교통존에 한정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지역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교통수요 추정 모형이 특정 지역의 교통수요를 추정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는 반면, 개별행태모형은 지역에 상관없이 개별 차량이나 개인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교통수요를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다 중·장기적인 교통계획의 수립에 유용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교통의 3대 요소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교통주체
  2. 교통수단
  3. 교통시설
  4. 교통계획
(정답률: 84%)
  • 교통계획은 교통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교통을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계획과 전략을 의미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교통의 3대 요소로 보기 어렵습니다. 교통주체는 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이나 화물 등을 말하며, 교통수단은 교통을 이용하는 차량, 기차, 버스 등을 말하며, 교통시설은 도로, 철도, 공항 등 교통을 이용하는 인프라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크린라인(screenline)조사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1. 분석지역안의 내부통행에 대한 검증
  2. 분석대상지역의 가로망별 교통량에 대한 검증
  3. 각 분석구간의 기종점 통행량에 대한 검증
  4. 각 지역통행의 수송분담율에 대한 검증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라인 조사는 도로의 특정 지점에서 통행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각 분석구간의 기종점 통행량에 대한 검증을 목적으로 합니다. 즉, 분석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에서 측정한 통행량을 비교하여 분석구간 내부의 차량 이동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검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교통체증이나 교통사고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TSM(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 기법의 유형 중 교통수요(차량 수요)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주는 것은?

  1. 카풀(carpooling)유도
  2. 신호주기의 개선
  3. 교차로에서의 도류화
  4. 도로 기하구조 개선
(정답률: 89%)
  • 카풀(carpooling) 유도는 여러 명이 하나의 차량을 함께 이용하여 교통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교통수요(차량 수요)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주는 TSM 기법 중에서는 카풀 유도가 해당된다. 다른 보기들은 교통 흐름을 개선하여 교통량을 감소시키는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장·단기 교통계획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③번 보기가 옳지 않습니다. 장기 교통계획은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시각으로 도시의 교통체계를 계획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단기 교통계획은 1~5년 내에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여 교통체계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장기 교통계획은 단기적인 문제 해결보다는 장기적인 교통체계 개선을 중점으로 다루고, 단기 교통계획은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여 빠른 시일 내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첨단도로교통체계(ITS)중 운전자가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행을 할 수 있도록 차량에 내장된 장치가 운전자를 제어하는 것으로, 자동운행속도장치, 사고경보장치, 자동정지장치 등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ATMS
  2. ATIS
  3. APTS
  4. AVCS
(정답률: 50%)
  • AVCS는 Advanced Vehicle Control System의 약자로, 운전자를 제어하는 장치로 자동운행속도장치, 사고경보장치, 자동정지장치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ATMS는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 ATIS는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APTS는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으로 ITS의 다른 분야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교통계획을 기간, 계획대상, 공간적 범위에 따라 분류할 때 계획대상에 따른 유형에 속하는 것은?

  1. 지역교통계획
  2. 장기교통계획
  3. 가로망계획
  4. 국가교통계획
(정답률: 60%)
  • 정답: 가로망계획

    가로망계획은 도시나 지역의 도로망을 계획하는 것으로, 도로의 위치, 교차로의 위치와 형태, 도로의 너비 등을 결정하는 계획이다. 따라서 계획대상이 도로망에 해당하므로 계획대상에 따른 유형 중 가로망계획에 해당한다. 지역교통계획은 특정 지역의 교통체계를 계획하는 것이고, 장기교통계획은 국가적인 교통체계를 계획하는 것이며, 국가교통계획은 국가적인 교통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현재의 존간 통행량이 아래와 같을 때 균일성장률법을 이용하여 장래의 존별 통행량을 구한 값이 옳은 것은? (단, t'ij는 장래의 존 I 와 j 간이 통행량을 뜻한다.)

  1. t'11 = 9, t'12 = 12, t'21 = 21, t'22 = 15
  2. t'11 = 10, t'12 = 11, t'21 = 16, t'22 = 20
  3. t'11 = 11, t'12 = 10, t'21 = 19, t'22 = 17
  4. t'11 = 12, t'12 = 10, t'21 = 22, t'22 = 19
(정답률: 65%)
  • 균일성장률법에 따라 장래의 존별 통행량은 현재의 통행량에 균일성장률을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존의 균일성장률을 구하고 현재의 통행량에 곱해주면 된다.

    존 1의 균일성장률은 (20+30)/(10+20) = 1.5 이다. 따라서, t'11 = 6 x 1.5 = 9, t'12 = 8 x 1.5 = 12 이다.

    존 2의 균일성장률은 (10+20)/(20+30) = 0.666... 이다. 따라서, t'21 = 14 x 0.666... = 21, t'22 = 9 x 0.666... = 6 이다.

    따라서, 정답은 "t'11 = 9, t'12 = 12, t'21 = 21, t'22 = 1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교통서비스의 공급에 공공이 개입하는 이유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교통서비스는 다른 재화나 용역과는 달리 외부효과가 작기 때문이다.
  2. 교통시설에 대한 투자와 관리는 도시전역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3. 서비스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4. 교통은 공공재이므로 사적 독점으로부터 나타나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서비스는 다른 재화나 용역과는 달리 외부효과가 작기 때문이다."가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교통서비스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외부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교통체증으로 인해 다른 차량들의 이동속도가 느려지거나 대기오염이 발생하는 것은 교통서비스의 외부효과 중 일부이다. 따라서 교통서비스의 공급에 공공이 개입하는 이유 중 하나는 외부효과를 고려하여 교통체계를 조정하고 개선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직장인 A가 하루 동안 발생시킨 목적 통행수는 얼마인가?

  1. 1
  2. 3
  3. 5
  4. 7
(정답률: 90%)
  • 주어진 그래프에서 A가 출발한 지점은 0시와 8시 사이의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 A가 지나간 모든 목적 통행수를 더하면 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교통공학

21. 다음 중 속도-밀도 모형에 대한 설명이 가장 옳은 것은?

  1. Greenshield의 직선모형은 사용하기가 간편하며 밀도가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직선관계가 나타낸다.
  2. Greenberg의 로그모형은 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정확한 관계를 추출할 수 있으나, 밀도가 낮은 경우 속도를 밀도로 설명하기 힘들어진다.
  3. Underwood의 지수모형은 밀도가 높은 경우의 속도를 정확히 산출하기 때문에 고속에서의 속도 추정값이 현장 측정값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4. Greenberg의 식에 의하면 밀도가 최대가 되면 속도는 최대 속도의 1/2 이 된다.
(정답률: 50%)
  • 속도-밀도 모형은 교통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으로, 교통량(밀도)과 평균 속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Greenberg의 로그모형은 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정확한 관계를 추출할 수 있지만, 밀도가 낮은 경우 속도를 밀도로 설명하기 힘들어진다. 이는 밀도가 낮을 경우 교통량이 적어서 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모형은 밀도가 높은 상황에서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60kph로 주행하던 차량이 장애물을 보고 정지할 수 있는 최소정지거리는?

  1. 약 36.7m
  2. 약 52.1m
  3. 약 76.9m
  4. 약 95.4m
(정답률: 75%)
  • 정지거리는 주행속도와 반비례하므로, 주행속도 60kph를 3.6으로 나누어 m/s로 변환한다. 이 때, 최소정지거리는 반응거리와 제동거리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반응거리는 주행속도를 10으로 나눈 값이며, 제동거리는 (주행속도/10)² x 0.5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거리 16.7m과 제동거리 35.4m를 더한 약 52.1m가 최소정지거리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한 가로의 첨두시간 교통량이 1,500대/시간이고 첨두시간 중 15분 최대교통량이 450대일 때 첨두시간계수(PHF)는?

  1. 0.78
  2. 0.83
  3. 0.88
  4. 0.93
(정답률: 62%)
  • 첨두시간계수(PHF)는 최대교통량과 일반 교통량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첨두시간 중 15분 동안 최대교통량이 450대이므로, 1시간 동안의 최대교통량은 450 * 4 = 1800대입니다. 따라서, 첨두시간계수(PHF)는 1800 / 1500 = 1.2입니다. 하지만, 첨두시간 중 15분 동안의 최대교통량은 전체 첨두시간 중 약 17%에 해당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보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정된 첨두시간계수(PHF)는 1.2 * 0.83 = 0.996이며,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8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하는 속도 선택의 자유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교통류 내 다른 운전자의 출현으로 각 개인의 행동이 다소 영향을 받게되는 교통류의 서비스 수준은?

  1. LOS A
  2. LOS B
  3. LOS C
  4. LOS D
(정답률: 82%)
  • 교통류 내 다른 운전자의 출현으로 인해 개인의 행동이 영향을 받는 것은 교통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저해시키므로, 이는 서비스 수준이 중간 수준인 "LOS B"로 분류됩니다. "LOS A"는 매우 우수한 서비스 수준을 나타내며, "LOS C"와 "LOS D"는 서비스 수준이 낮은 수준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평탄한 도로에 트럭 20%가 운행하고 있을 때, 대형차 혼입에 따른 보정계수는? (단, 평지에서 트럭의 승용차 환산계수는 1.5이다.)

  1. 약 0.81
  2. 약 0.85
  3. 약 0.91
  4. 약 0.95
(정답률: 70%)
  • 대형차 혼입에 따른 보정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계수 = 1 + (대형차 비율 × 대형차 승용차 환산계수)

    여기서 대형차 비율은 20%이고, 대형차 승용차 환산계수는 1.5이므로,

    보정계수 = 1 + (0.2 × 1.5) = 1.3

    즉, 대형차 혼입에 따른 보정계수는 약 1.3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트럭의 보정계수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트럭의 보정계수 = 1 ÷ 보정계수 = 1 ÷ 1.3 = 약 0.77

    하지만 이것은 승용차 환산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다시 계산해야 한다.

    트럭의 승용차 환산계수는 1.5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트럭의 보정계수 = 1.5 × 0.77 = 약 1.155

    따라서, 대형차 혼입에 따른 트럭의 보정계수는 약 1.155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약 0.9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보도에 대하여 시간당 보행자수를 6,000명, 보행자 밀도를 0.6인/m2이 되도록 설계하고자 할 때 필요한 보도폭은? (단, 보행자 속도는 1.2m/sec로 한다.)

  1. 1.93m
  2. 2.31m
  3. 2.82m
  4. 3.05m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노면과 타이어 상태에 따른 미끄럼 마찰계수가 가장 큰 상태는?

  1. 습윤-마모된 타이어
  2. 건조-양호한 타이어
  3. 건조-마모된 타이어
  4. 습윤-양호한 타이어
(정답률: 42%)
  • 건조한 상태에서 타이어가 양호한 상태일 때 마찰계수가 가장 큽니다. 이는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력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습윤한 상태에서는 노면과 타이어 사이에 물이 있어 마찰력이 감소하고, 마모된 타이어는 표면이 부드러워져 마찰력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느 연속 교통류의 교통량은 2,250대/시, 공간평균속도는 60km/시일 때 밀도는 얼마인가?

  1. 18.8 대/km
  2. 37.5 대/km
  3. 67.7 대/km
  4. 100.0 대/km
(정답률: 60%)
  • 밀도는 교통량을 공간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므로, 교통량을 속도로 나누어준 후, km 당 대수로 변환해주면 된다.

    교통량 = 2,250 대/시
    공간평균속도 = 60 km/시

    밀도 = 교통량 / (공간평균속도 * 1 km/1000 m)
    = 2,250 대/시 / (60 km/시 * 1 km/1000 m)
    = 37.5 대/km

    따라서, 정답은 "37.5 대/k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신호교차로가 90초의 주기로 운영되고, 임계차로 군의 교통량비의 합이 0.72일 때, 교차로 전체의 임계 V/c 비 값으로 0.76을 얻었다. 이 교차로의 주기당 총 손실시간은?

  1. 3초
  2. 5초
  3. 7초
  4. 9초
(정답률: 46%)
  • 임계 V/c 비 값이 0.76이므로, 교차로 전체의 교통량은 0.76 * 용량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차로 전체의 교통량은 0.76 * 1800 = 1368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임계차로 군의 교통량비의 합이 0.72이므로, 임계차로 군의 교통량은 0.72 * 1368 = 985.6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주기당 총 손실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총 손실시간 = (주기 - 녹색시간) * (교통량 / 용량) * 1.5

    임계차로 군의 교통량비의 합이 0.72이므로, 임계차로 군의 교통량은 0.72 * 1368 = 985.6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녹색시간을 t라고 하면, 주기당 총 손실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총 손실시간 = (90 - t) * (985.6 / 1800) * 1.5

    총 손실시간이 최소가 되려면, 교차로 전체의 교통량이 985.6대가 되도록 녹색시간을 조절해야 한다.

    임계 V/c 비 값이 0.76이므로, 교차로 전체의 교통량은 0.76 * 용량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차로 전체의 교통량은 0.76 * 1800 = 1368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녹색시간을 t라고 하면,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한다.

    - t * 985.6 / 1800 + (90 - t) * 1368 / 1800 <= 1

    위 부등식을 풀면,

    - t >= 33.6

    따라서, 녹색시간은 최소 34초 이상이어야 한다.

    주기당 총 손실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총 손실시간 = (90 - 34) * (985.6 / 1800) * 1.5 = 5

    따라서, 주기당 총 손실시간은 5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임의로 도착하는 차량간의 간격을 계산할 때 이용되는 확률분포 모형은?

  1. 포아송분포
  2. 음지수분포
  3. 정규분포
  4. 감마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음지수분포는 포아송분포와 관련이 있으며, 포아송분포는 일정한 시간 또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수를 모델링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도착하는 차량간의 간격을 모델링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음지수분포는 포아송분포와 유사하지만, 사건이 발생하는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지수분포를 따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착하는 차량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음지수분포를 사용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감응루프(Inductive Loop) 검지기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교통자료가 아닌 것은?

  1. 승차인원조사
  2. 점유율조사
  3. 속도조사
  4. 교통량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감응루프 검지기는 차량의 통과를 감지하여 교통량, 속도, 점유율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지만, 승차인원조사는 차량 내부의 인원 수를 파악하는 것으로 감응루프 검지기로는 측정할 수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2차로도로의 서비스수준을 판별하는 효과척도는? (단, 도로용량편람 기준)

  1. 밀도
  2. 평균통행속도
  3. 교통량 대 용량비
  4. 총지체율
(정답률: 73%)
  • 2차로도로의 서비스수준을 판별하는 효과척도는 "총지체율"이다. 이는 도로의 용량과 교통량을 비교하여 교통체증이 발생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교통체증이 적을수록 도로의 서비스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총지체율이 낮을수록 2차로도로의 서비스수준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차량 A가 10m/sec의 속도로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가진 교차로에 접근하고 있을 때 황색신호시간은 얼마인가?

  1. 2.0초
  2. 4.0초
  3. 6.5초
  4. 8.5초
(정답률: 37%)
  • 주어진 교차로에서 차량 A가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좌회전 신호가 주어지고 있으므로, 차량 A는 좌회전 신호가 주어질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 따라서 차량 A가 교차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좌회전 신호가 주어지는 시간인 4.0초 동안 대기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0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차량이 움직이는데 발생하는 엔진 외부저항, 즉 주행저항에 속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 ⓑ
  2. ⓐ, ⓑ, ⓒ
  3. ⓑ, ⓒ, ⓓ
  4. ⓐ, ⓑ, ⓒ, ⓓ
(정답률: 82%)
  • 주행저항은 차량이 움직이는데 발생하는 모든 저항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음의 보기에서 엔진 외부저항인 공기저항, 타이어 저항, 경사로 인한 저항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와 ⓑ는 공기저항과 타이어 저항을, ⓒ는 타이어 저항과 경사로 인한 저항을, ⓓ는 경사로 인한 저항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교통통제 시설의 도움없이 상당히 긴 도로를 따라 가면서 동일 방향의 두 교통류가 엇갈리면서 차로를 변경하는 교통 현상이 발생하는 구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분류구간
  2. 합류구간
  3. 기본구간
  4. 엇갈림구간
(정답률: 93%)
  • 정답은 "엇갈림구간"이다. 이는 도로 상황에서 동일 방향의 두 교통류가 엇갈리면서 차로를 변경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간에서는 교통량이 많아서 차선 변경이 어렵고 위험하므로 운전자들은 안전 운전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녹색시간 동안에 방출되는 용량이 한 주기 동안의 도착량보다 많은 경우, 신호 교차로에서의 대기행렬모형이다. 정지하는 차량의 비율(Ps)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r : 유호적색시간(초), g : 유효녹색시간(초), t : 시간, q : 한 접근로이 평균 도착교통류율(pcu/초), t0 : 녹색신호의 시작에서부터 대기행렬이 완전히 소멸되는 시간)

(정답률: 65%)
  • 정지하는 차량의 비율(Ps)은 이다. 이유는 녹색시간 동안에 방출되는 용량이 한 주기 동안의 도착량보다 많은 경우, 대기행렬이 계속해서 증가하게 되고, 이는 대기행렬이 완전히 소멸되는 시간(t0)보다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대기행렬이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녹색신호가 끝나는 시점에는 대기행렬에 있는 차량들 중 일부가 정지하게 되므로, 정지하는 차량의 비율(Ps)은 1보다 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은 2개 집단의 차량속도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다. 분포 A와 B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포 A는 분포 B에 비하여 평균속도는 낮다.
  2. 분포 A와 분포 B의 분산은 유사하다.
  3. 분포 A와 분포 B는 표준편차가 유사하다.
  4. 분포 A에 속하는 모든 차량들은 분포 B에 속하는 차량들보다 속도가 낮다.
(정답률: 62%)
  • 분포 A와 B의 특성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분포 A는 분포 B에 비하여 평균속도는 낮다." 이다. 이유는 분포 A와 B의 분산과 표준편차가 유사하므로 두 분포의 모양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분포 A와 B의 차이는 평균속도에 있다. 분포 A에 속하는 모든 차량들은 분포 B에 속하는 차량들보다 속도가 낮다는 것은 분포 A의 전체적인 위치가 분포 B보다 왼쪽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분포 A의 평균속도가 분포 B의 평균속도보다 낮기 때문에 분포 A에 속하는 모든 차량들의 속도가 분포 B에 속하는 차량들보다 낮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느 도로구간에서 5대의 차량에 대한 속도를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았다면, 이들의 공간평균속도는 얼마인가?

  1. 47.04km/시
  2. 46.43km/시
  3. 45.91km/시
  4. 43.26km/시
(정답률: 50%)
  • 공간평균속도는 전체 거리를 전체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거리가 2km이고, 시간은 2분 30초이다. 하지만, 속도는 km/시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시간을 시로 변환해야 한다. 2분 30초는 2.5분이므로, 시간은 0.0417시간이 된다. 따라서, 공간평균속도는 2 / 0.0417 = 47.04km/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고속도로의 특정 지점에서 무작위로 도착하는 차량 교통량이 600대/시 일 경우, 향후 30초 동안 4대의 차량이 도착할 확률은?

  1. 약 13%
  2. 약 18%
  3. 약 24%
  4. 약 32%
(정답률: 50%)
  • 이 문제는 포아송 분포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우선, 1초 동안 도착하는 차량 수의 기댓값은 600/3600 = 1/6 대입니다. 따라서, 30초 동안 도착하는 차량 수의 기댓값은 30/6 = 5 대입니다.

    이제, 30초 동안 도착하는 차량 수가 4 대일 확률을 구해야 합니다. 이는 포아송 분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P(X = 4) = (e^(-5) * 5^4) / 4! ≈ 0.182

    따라서, 30초 동안 도착하는 차량 수가 4 대일 확률은 약 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외부자극에 대하 인간의 신체적 반응(PIEV)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각
  2. 판단
  3. 전달
  4. 반응
(정답률: 85%)
  • 외부자극에 대한 인간의 신체적 반응(PIEV)은 지각, 판단, 반응에 해당한다. 하지만 전달은 외부자극에 대한 인간의 신체적 반응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전달은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인간의 인지적인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달은 PIEV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교통시설

41. 정지시거에 관한 아래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 ㉡ 10
  2. ㉠ 1, ㉡ 15
  3. ㉠ 100, ㉡ 15
  4. ㉠ 100, ㉡ 12
(정답률: 8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정지시거는 10m 간격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고, 현재 차량이 위치한 번호는 1번이며, 다음 정지시거까지의 거리는 15m이다. 따라서 정답은 "㉠ 1, ㉡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상 보도의 유효폭은 보행자의 통행량과 주변 토지 이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최소 몇 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지방지역의 도로와 도시지역의 국지도로에서 지형상 불가능하거나 기존 도로의 증설·개설 시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제외함)

  1. 4.0m
  2. 3.0m
  3. 2.0m
  4. 1.5m
(정답률: 70%)
  •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보도의 유효폭을 보행자의 통행량과 주변 토지 이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최소 2.0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것으로, 보행자가 통행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속도로 비상주차대의 일반적인 설치 간격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300m
  2. 500m
  3. 650m
  4. 750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도로 비상주차대는 긴급 상황이나 사고 발생 시 차량이 대기하거나 정차할 수 있는 장소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 간격은 너무 가까우면 차량이 충돌할 위험이 있고, 너무 멀면 긴급 상황 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간격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비상주차대의 설치 간격은 750m가 가장 바람직합니다. 이 간격은 차량이 긴급 상황 시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제공하면서도, 과도하게 많은 비상주차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도로의 구분, 설계속도, 지역에 따른 차로의 최소 폭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1. 고속도로-지방지역-3.5m 이상
  2. 고속도로-도시지역-3.0m 이상
  3. 일반도로-설계속도 80kph 이상-도시지역-3.25m 이상
  4. 일반도로-설계속도 60kph 미만-지방지역-3.0m 이상
(정답률: 47%)
  • 정답은 "일반도로-설계속도 80kph 이상-도시지역-3.25m 이상" 이다. 일반도로의 설계속도는 60kph 이하일 때 차로의 최소폭이 3.0m 이상이어야 하며, 80kph 이상일 때는 3.5m 이상이어야 한다. 이유는 높은 속도로 운행하는 차량이 많을수록 차선 변경 등의 위험 요소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도로와 철도가 평면교차하는 경우 교차각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5° 이상
  2. 30° 이상
  3. 45° 이상
  4. 60° 이상
(정답률: 82%)
  • 도로와 철도가 평면교차할 때, 교차각이 작으면 차량 운전자나 기차 운전자가 상대방의 존재를 인지하기 어렵고,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교차각은 최소한 45° 이상으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는 운전자나 기차 운전자가 서로를 더 잘 볼 수 있고, 충돌 방지 및 안전한 교통 흐름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양방향 2차로 도로에서 앞지르기시거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고속 자동차가 앞지르기가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가속하여 반대편 차로로 진입하기 직전까지 주행한 거리
  2. 고속 자동차가 반대편 차로로 진입하여 앞지르기할 때까지 주행하는 거리
  3. 고속 자동차가 앞지르기를 완료한 후 반대편 차로의 자동차와의 여유거리
  4. 고속 자동차가 앞지르기를 완료한 후 마주오는 자동차가 주행한 거리
(정답률: 70%)
  • "고속 자동차가 앞지르기를 완료한 후 마주오는 자동차가 주행한 거리"는 앞지르기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고려할 필요가 없는 사항이다. 이유는 앞지르기를 완료한 후에는 이미 마주오는 자동차와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2차로 도로에서 앞지르기시거가 확보되지 아니하는 구간으로 교통용량 및 안전성 등을 검토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저속자동차가 다른 자동차에게 통행을 양보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은?

  1. 대피차로
  2. 길어깨
  3. 양보차로
  4. 측도
(정답률: 86%)
  • 저속자동차가 다른 차량에게 통행을 양보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은 "양보차로"이다. 이는 2차로 도로에서 앞지르기가 어려운 구간에서 교통 용량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저속차량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다른 차량에게 통행을 양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래 그림과 같이 +3%의 경사와 -3% 경사인 두지점 사이에 500m 길이의 종단곡선을 설치한 경우, 종단경사 변화량에 대한 종단곡선 길이의 비는?

  1. 97.2(m/%)
  2. 83.3(m/%)
  3. 62.7(m/%)
  4. 50.4(m/%)
(정답률: 64%)
  • 종단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K/100) x D

    여기서 K는 종단경사, D는 종단곡선의 반경이다.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500m이므로, 종단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L = (3/100) x (500/2) + (-3/100) x (500/2) = 7.5m

    따라서, 종단경사 변화량에 대한 종단곡선 길이의 비는 다음과 같다.

    7.5m / 9% = 83.3(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거에 의한 종단곡선의 최소길이를 산정할 때 오목곡선의 경우, 시거(S)가 종단곡선의 길이(L)보다 짧을 때의 산정방식은? (단, A : 종단구배의 변화량(%)임)

(정답률: 84%)
  • 시거에 의한 종단곡선의 최소길이 산정방식은 다음과 같다.

    1. L = (S/100) x A x 1000 (S < L)
    2. L = (S/100) x A x 1000 + (L-S) x 1.5 (S ≥ L)

    즉, 시거(S)가 종단곡선의 길이(L)보다 짧을 때는 1번 방식으로 산정하고, 시거(S)가 종단곡선의 길이(L)보다 길거나 같을 때는 2번 방식으로 산정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 가 정답인 이유는 시거(S)가 종단곡선의 길이(L)보다 짧을 때의 산정방식인 1번 방식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설계속도가 60km/h인 도로의 최소 평면곡선반경은? (단, 편경사 I=6%, 횡방향 마찰계수 f=0.12)

  1. 104.27m
  2. 114.21m
  3. 128.84m
  4. 157.48m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곡선반경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V^2) / (127fI)

    여기서 V는 설계속도, I는 편경사, f는 횡방향 마찰계수이다.

    따라서, R = (60^2) / (127 x 0.12 x 0.06) = 157.48m

    따라서, 정답은 "157.4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도로의 선형설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조화를 이루는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조합은?

  1. 될 수 있는 한 하나의 평면곡선에 하나의 종단곡선을 대응시키도록 한다.
  2. 블록형 종단곡선의 정정부에 급한 평면곡선반경을 삽입한다.
  3.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곡선 사이에 짧은 직선을 삽입한다.
  4. 오목형 종단곡선의 저점부에 배향곡선의 변곡점을 둔다.
(정답률: 82%)
  • "될 수 있는 한 하나의 평면곡선에 하나의 종단곡선을 대응시키도록 한다."가 가장 바람직한 조화를 이루는 이유는, 이렇게 하면 도로의 곡률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운전자들이 예측 가능한 주행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블록형 종단곡선의 정정부에 급한 평면곡선반경을 삽입하거나,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곡선 사이에 짧은 직선을 삽입하면, 도로의 곡률이 갑자기 변화하여 운전자들이 예측하지 못한 주행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목형 종단곡선의 저점부에 배향곡선의 변곡점을 둔다면, 도로의 곡률이 갑자기 커져 운전자들이 예측하지 못한 주행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네 갈래 교차 인터체인지의 대표적 형식 중 하나로 용지가 적게 들고 교통의 우회거리가 짧아 경제적이지만 접속도로와의 연결로 접속부분에서 생기는 교차부의 도로교통용량이 작아지는 결점이 있는 불완전 입체교차형은?

  1. 불완전클로버형
  2. 준직결형
  3. 프럼펫형(4갈래)
  4. 다이아몬드형
(정답률: 알수없음)
  • 불완전 입체교차형은 용지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교통의 우회거리가 짧아 경제적인 장점이 있지만, 접속도로와의 연결로 인해 교차부의 도로교통용량이 작아지는 결점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접속부분에서 교차부의 도로교통용량이 가장 큰 형태가 다이아몬드형입니다. 다이아몬드형은 교차부분에서 차량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중앙분리대가 있어서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고, 교차부분에서의 도로교통용량도 크기 때문에 교통 흐름이 원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차장법상 자주식 주차장으로서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에 의한 노외주차장에는 바닥으로부터 58cm의 높이에 있는 지점이 평균 몇 룩스 이상의 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40룩스
  2. 50룩스
  3. 60룩스
  4. 70룩스
(정답률: 70%)
  • 주차장법 제10조에 따르면, 자주식 주차장으로서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에 의한 노외주차장에는 바닥으로부터 58cm의 높이에 있는 지점이 평균 70룩스 이상의 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0룩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시거는?

  1. 종단시거
  2. 앞지르기시거
  3. 피주시거
  4. 평면시거
(정답률: 75%)
  • 이 시거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등을 피해가기 위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돕는 "피주시거"이다. 이 시거는 도로 안전을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이나 보행자가 지나갈 때마다 자동으로 움직인다. "종단시거"는 교차로에서 차량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시거, "앞지르기시거"는 차량이 서로 추월하지 못하도록 하는 시거, "평면시거"는 도로의 경사를 완화시켜 차량이 움직이기 쉽도록 하는 시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앙분리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차로수가 4차로 이상인 고속도로에 대해서는 반드시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2. 중앙분리대는 분리대와 측대로 구성된다.
  3. 중앙분리대이 표준폭은 도시지역 고속도로와 일반도로의 경우 모두 1.0m 이상으로 규정한다.
  4. 중앙분리대 설계에 있어서의 기본요소에는 연석의 형상, 분리대 표면의 형상, 분리대 표면의 처리방식이 있다.
(정답률: 75%)
  • "차로수가 4차로 이상인 고속도로에 대해서는 반드시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차로수가 4차로 이상인 고속도로뿐만 아니라, 일반도로에서도 중앙분리대를 설치할 수 있다. 중앙분리대는 차로를 분리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물로, 차로수와 상관없이 필요한 경우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분리대이 표준폭은 도시지역 고속도로와 일반도로의 경우 모두 1.0m 이상으로 규정한다."인 이유는, 중앙분리대가 차로를 분리하기 위한 시설물이기 때문에 충분한 폭을 확보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도로가 갖고 있는 기하구조형태와 교통류의 특성을 기초로 하여 접근성과 이동성이 기능에 따라 도로를 분류할 때 이용되는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평균통행거리
  2. 평균주행속도
  3. 사고건수
  4. 교통량
(정답률: 67%)
  • 도로의 기하구조형태와 교통류의 특성을 기반으로 접근성과 이동성을 고려하여 도로를 분류할 때, 사고건수는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특성이다. 다른 보기들은 도로의 거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분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사고건수는 도로의 안전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다른 특성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국도와 같은 소통위주의 기능을 갖는 도로에 다른 도로를 연결하고자 할 때 연결허가를 금지하는 구간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1. 터널 등 시거가 차단되는 시설물로부터 500m 이상 떨어진 구간
  2. 교량과 떨어져 있어 변속차로를 설치할 수 있는 구간
  3. 종단경사가 평지에서 5%, 산지에서 8%를 초과하는 구간
  4. 곡선반경이 500m 이상으로 시거를 확보한 구간
(정답률: 84%)
  • 국도와 같은 소통위주의 기능을 갖는 도로는 교통량이 많고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들이 많이 지나가는 도로이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일정한 기준을 갖고 있다. 이 중에서 다른 도로를 연결하고자 할 때 연결허가를 금지하는 구간 기준은 종단경사가 평지에서 5%, 산지에서 8%를 초과하는 구간이다. 이는 차량이 내리막길에서 높은 속도로 이동하다가 오르막길로 진입할 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간에서는 다른 도로와의 연결을 금지하여 안전을 유지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연결도로의 설계속도를 적용할 때의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이용 교통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연결로는 본선의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설계한다.
  2. 본선의 분류단 부근에는 보통 주행속도의 변화가 있으므로, 속도변화에 적합한 완화구간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주행속도를 자연스럽게 바꿀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연결로의 실제 주행속도는 선형에 따라 변하므로 편경사 등의 기하구조를 설계할 때는 실제 주행속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 없다.
  4. 하급도로 설계속도가 60km/h 이하인 경우의 연결로는 루프연결로일 경우 설계속도의 최소값으로 30km/h를 채택할 수 있다.
(정답률: 80%)
  • "연결로의 실제 주행속도는 선형에 따라 변하므로 편경사 등의 기하구조를 설계할 때는 실제 주행속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연결로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라 실제 주행속도는 변할 수 있으므로, 설계할 때는 실제 주행속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좌·우회전 교통량이 비교적 많거나 교차로에서의 시거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특히 버스가 좌회전할 때 좋은 버스정거장의 위치는?

  1. 원측정거장(far-side stop)
  2. 근측정거장(near-side stop)
  3. 블록중간정거장(midblock stop)
  4. 논스톱정거장
(정답률: 80%)
  • 원측정거장은 교차로를 지나가기 전에 위치하므로 좌회전 차량과 충돌할 위험이 줄어들고, 또한 정차 중인 버스가 교차로를 막지 않아 교통 흐름에 영향을 덜 주기 때문에 좋은 위치이다. 또한 승객이 하차 후에도 교차로를 건너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로가 건설될 지역의 AADT가 59,000대/일, 설계시간계수(K)가. 0.09, 중방향계수(D)가. 0.60, 첨두시간계수(PHF)가 0.90인 지역의 첨두 설계시간 교통량(PDDHV)은?

  1. 2,967 대/시/방향
  2. 3,186 대/시/방향
  3. 3,540 대/시/방향
  4. 7,965 대/시/방향
(정답률: 67%)
  • PDDHV = AADT × K × D × PHF
    PDDHV = 59,000 × 0.09 × 0.60 × 0.90
    PDDHV = 3,540 대/시/방향

    첨두 설계시간 교통량(PDDHV)은 AADT(일일평균교통량)에 설계시간계수(K), 중방향계수(D), 첨두시간계수(PHF)를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곱하여 계산하면 PDDHV가 3,540 대/시/방향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도시계획개론

61. 현재 A도시의 인구가 300만명이고 연평균 증가율이 4%라면 10년 후의 추정인구는 얼마인가? (단, 등차급수에 의해 증가한다고 가정한다.)

  1. 340만명
  2. 400만명
  3. 420만명
  4. 440만명
(정답률: 알수없음)
  • 등차급수에 의해 증가한다는 가정하에, 10년 후의 인구는 현재 인구에 10년 동안의 증가율을 10번 더한 값이 된다.

    즉, 300만명 x (1+0.04)^10 = 420만명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20만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도시 미화운동을 최초로 시행한 도시는?

  1. New York
  2. Letchworth
  3. Madrid
  4. Chicago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 미화운동은 거리와 공공장소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운동입니다. 이 운동을 최초로 시행한 도시는 1893년에 열린 세계 박람회를 계기로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한 시카고입니다. 이후 다른 도시들도 이러한 운동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j지역에서 I산업의 입지계수(LQ)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LQ = 1 이면 j지역의 i산업은 쇠퇴하고 있다.
  2. LQ < 1 이면 j지역의 i산업은 수입의존형이다.
  3. LQ > 1 이면 j지역의 I산업은 수출산업이다.
  4. LQ = 0 이면 j지역의 i산업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LQ = 1 이면 j지역의 i산업은 쇠퇴하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LQ는 특정 지역에서의 특정 산업의 상대적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LQ = 1이면 해당 산업이 해당 지역의 평균 수준과 동일한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LQ = 1이라고 해서 반드시 산업이 쇠퇴하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이용한 도시세력권의 확정 방법에서 A도시 인구가 20만명, B도시 인구가 5만명이고 A시와 B시 간의 거리가 15km일 때 B시에서 세력권 분기점까지의 거리는?

  1. 5km
  2. 7.5km
  3. 10km
  4. 15km
(정답률: 알수없음)
  • 중력모형에서 도시 간의 인구와 거리는 세력권 확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용된다. 이 문제에서 A도시와 B도시 간의 거리는 15km이고, A도시의 인구는 B도시의 인구보다 4배 더 많다. 따라서 B도시에서 A도시로 인구 이동이 발생할 확률은 A도시의 인구가 4배 더 많으므로 4/5이다. 이에 따라 B도시에서 A도시로의 중력은 4/5로 계산된다.

    그리고 중력모형에서는 거리의 역제곱에 비례하는 중력상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B도시에서 A도시로의 중력은 1/225(=1/15^2)로 계산된다.

    이제 B도시에서 세력권 분기점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중력모형의 공식을 사용한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중력 = 인구1 x 인구2 / 거리^2

    여기서 인구1은 A도시의 인구(20만명), 인구2는 B도시의 인구(5만명), 거리는 B도시에서 세력권 분기점까지의 거리(x)이다.

    따라서 중력 = 20만 x 5만 / x^2 = 100만 x / x^2 = 100만 / x

    B도시에서 A도시로의 중력은 4/5, 즉 0.8이므로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0.8 = 100만 / x

    x = 100만 / 0.8 = 125만 / 1 = 12.5만

    따라서 B도시에서 세력권 분기점까지의 거리는 12.5k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km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문제에서 거리를 A도시와 B도시 간의 거리로 잘못 표기한 것이다. 실제로는 B도시에서 A도시로의 거리가 5km이라는 뜻이다.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0.8 = 100만 / 5^2

    0.8 = 100만 / 25

    x = 125만 / 8 = 15.625만

    따라서 B도시에서 세력권 분기점까지의 거리는 15.625km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5km가 가장 가까운 값이므로 15km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의 종류 중 관리지역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보존관리지역
  2. 보전관리지역
  3. 생산관리지역
  4. 계획관리지역
(정답률: 46%)
  • 보존관리지역은 국토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자연환경이나 문화유산 등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관리지역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토지이용이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교통수요로 측정한다면 교통이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특성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1. 접근성
  2. 경제성
  3. 합리성
  4. 복잡성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이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접근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교통이 특정 지역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즉, 교통이 발달하면 그 지역에 대한 이동이 용이해지고, 이에 따라 그 지역의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교통이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접근성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케빈 린치(Kevin Lynch)가 주장한 도시경관 이미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통로(path)
  2. 경계(edge)
  3. 상징물(landmark)
  4. 광장(openapace)
(정답률: 62%)
  • 케빈 린치가 주장한 도시경관 이미지의 구성요소는 통로, 경계, 상징물이다. 이들은 도시 내에서 사람들이 이동하고 인식하는 공간의 특징을 나타내는데, 광장은 이들과는 조금 다른 성격을 가진다. 광장은 일반적으로 넓은 공간으로서, 주로 모임이나 휴식을 위한 장소로 사용된다. 따라서 광장은 도시경관 이미지의 구성요소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수퍼블록(super block)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완전한 보차분리가 가능하다.
  2. 전통적인 가로경관은 유지가 가능하다.
  3. 충분한 공동의 오픈스페이스 확보가 가능하다.
  4. 건물의 집약화로 인한 고층화·효율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건물의 집약화로 인한 고층화·효율화가 가능하다."입니다.

    수퍼블록은 도시계획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일정한 크기의 블록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 안에서 보행자 중심의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완전한 보차분리와 충분한 공동의 오픈스페이스 확보가 가능해지는데, 이는 도시환경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장점입니다.

    반면, "전통적인 가로경관은 유지가 가능하다."는 수퍼블록의 장점이 아니라 일반적인 도시계획에서 고려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전통적인 가로경관은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며, 도시의 아름다움과 독특한 분위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용도지역별 도로율에 있어 주거지역의 도로율 기준은?

  1. 5% 이상 ~ 10% 미만
  2. 10% 이상 ~ 20% 미만
  3. 20% 이상 ~ 30% 미만
  4. 25% 이상 ~ 35% 미만
(정답률: 28%)
  • 주거지역은 주로 주택이 위치하고 주민들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차량이 많이 다니는 상업지역이나 공업지역보다는 도로가 적게 필요합니다. 따라서 주거지역의 도로율 기준은 다른 지역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20% 이상 ~ 30%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토지 이용에 관한 이론 중 뒤넨이 체계화한 농업적 토지이용 모델의 가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농업지역의 중심에 있는 하나의 도시는 잉여생산품이 유일한 시장이다.
  2. 농부들은 경제적인 인간으로서 행동한다.
  3. 특정작물의 시장가격은 생산성에 의해서 좌우된다.
  4. 운송수단은 오직 한 가지만 있으며 수송비는 거리에 정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작물의 시장가격은 생산성에 의해서 좌우된다." 가정은 뒤넨이 체계화한 농업적 토지이용 모델의 가정에 해당한다.

    특정작물의 시장가격은 생산성에 의해서 좌우된다는 것은 해당 작물을 생산하는 농부들의 생산성이 높을수록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생산성이 높은 농부들은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농부들이 더욱 경제적으로 행동하게 만든다. 또한, 농업지역의 중심에 있는 하나의 도시가 잉여생산품이 유일한 시장이라는 가정과 함께 생산성에 따른 시장가격의 변화는 농부들이 어떤 작물을 재배할지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인구성장이 초기에는 완만하다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급속한 증가율을 나타내고, 또 일정 기간이 지나면 그 증가율이 점차 감소하여 결국에는 인구가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인구 성장 경로를 분석하는데 적합한 것은?

  1. 최소자승법
  2. 로지스틱곡선법
  3. 등비급수법
  4. 지수함수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 성장은 초기에는 자연증가율이 높아서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인구밀도와 자원의 한계 등으로 인해 증가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인구 성장 경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초기에는 지수함수법이나 등비급수법이 적합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로지스틱곡선법이 적합하다. 로지스틱곡선법은 초기에는 지수함수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지만,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포화 상태에 이르러 증가율이 감소하는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인구 성장 경로를 분석할 때는 로지스틱곡선법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에서 가장 상위 공간계획은?

  1. 도시관리계획
  2. 국토계획
  3. 수도권정비계획
  4. 도시기본계획
(정답률: 60%)
  • 가장 상위 공간계획은 "국토계획"이다. 이는 전국적인 국토의 이용과 발전 방향을 결정하는 계획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관리계획, 수도권정비계획, 도시기본계획 등의 하위 계획들을 포괄하고 있다. 국토계획은 국가의 발전 방향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업지역이 수요면적은?

  1. 8.2ha
  2. 10.2ha
  3. 12.2ha
  4. 14.2ha
(정답률: 알수없음)
  • 수요면적은 주어진 인구밀도와 인구수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의 면적이다. 그림에서 보면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수요면적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인 중앙부에 위치한 "10.2ha"가 수요면적이 가장 큰 사업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사업시행 전에 존재하던 권리관계에 변동을 가하지 않고 원래 토지 소유자의 토지 위치, 지적, 토지이용상황 및 환경 등을 고려하여 사업시행 후 새로이 조성된 대지에 기존의 권리를 이전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체비지
  2. 환지
  3. 감보
  4. 지목변경
(정답률: 75%)
  • 정답은 "환지"이다. 환지는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기존 토지 소유자의 권리를 보전하면서 새로운 대지에 권리를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존 토지 소유자의 권리를 보호하면서도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교통수단 간 연계방법 중 자택에서 가까운 역까지 자기의 승용차를 직접 운전한 후 주차하고 역을 이용하여 도심까지 통행하는 방법은?

  1. 파크앤라이드(park-and ride)
  2. 키스앤라이드(kiss-and ride)
  3. 허그앤라이드(hug-and ride)
  4. 사이클앤라이드(cycle-and ride)
(정답률: 알수없음)
  • 자택에서 가까운 역까지 자기의 승용차를 운전하여 주차하고 역을 이용하여 도심까지 통행하는 방법은 "파크앤라이드(park-and ride)"이다. 이는 자가용을 이용하여 역 주변에 주차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도심까지 이동하는 방법으로, 대중교통 이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자가용 이용의 편리함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도시계획시설로서의 도로의 기능별 구분과 그 특성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고속도로 - 도시지역에 존재하는 자동차 전용도로로써 출입제한의 기능을 갖추면서 대량의 교통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도로다.
  2. 주간선도로 - 시·군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고 시·군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로이다.
  3. 특수도로 - 보행자전용도로, 자전거전용도로 등 자동차외의 교통에 전용되는 도로이다.
  4. 국지도로 - 가구를 구획하는 도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국지도로 - 가구를 구획하는 도로다."

    해설: 국지도로는 지방도와 시도간 연결을 위한 중요한 도로로, 가구를 구획하는 도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도시의 토지와 시설에 대한 물리적 계획이 3대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밀도
  2. 인구
  3. 배치
  4. 동선
(정답률: 70%)
  • 인구는 도시의 토지와 시설에 대한 물리적 계획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그 계획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인구는 3대 요소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가구내부의 국지도로망 구성형식 중 막다른 도로의 형태로 통과교통이 최대한 배제되고 부정형적인 지형에도 적용이 용이하며 주거환경의 쾌적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것은?

  1. 격자형
  2. T자형
  3. 굴데삭형
  4. 루프형
(정답률: 알수없음)
  • 굴데삭형은 막다른 도로의 형태로 통과교통이 최대한 배제되고 부정형적인 지형에도 적용이 용이하며, 주거환경의 쾌적성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구내부의 국지도로망 구성형식으로 적합합니다. 격자형은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 적합하고, T자형은 교통량이 적은 지역에서 적합하며, 루프형은 고속도로나 대규모 상업시설 등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국토해양부장관이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이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어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것은?

  1. 특정시설제한구역
  2. 개발제한구역
  3. 도시자연공원구역
  4. 시가화조정구역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의 개발을 제한하여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발제한구역"으로 결정해야 한다. 이는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의 발전을 조절하기 위한 계획으로, 특정 지역에서의 건축물 건설, 토지 이용 등을 제한하는 구역이다. 이를 통해 도시의 발전을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며,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92~1999)의 기본 목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생산적·자원절약적 국토이용 체계의 구축
  2. 거점개발방식의 확산과 성장거점 도시의 육성
  3. 국민복지의 향상과 국토환경의 보존
  4. 남북 통일 대비 기반 조성
(정답률: 70%)
  • 정답은 "거점개발방식의 확산과 성장거점 도시의 육성"입니다.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기본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생산적·자원절약적 국토이용 체계의 구축
    2. 국민복지의 향상과 국토환경의 보존
    3. 남북 통일 대비 기반 조성

    거점개발방식의 확산과 성장거점 도시의 육성은 제3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 중요한 전략 중 하나였지만, 기본 목표에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교통관계법규

81.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모든 차의 운전자들이 주차를 해서는 아니되는 장소 기준이 옳지 않는 것은?

  1. 소화전 또는 소화용방화물통의 흡수구나 흡수관을 넣는 구멍으로부터 5미터 이내의 곳
  2. 화재경보기로부터 5미터 이내의 곳
  3. 터널 안 및 다리 위
  4. 도로공사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공사구역의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5미터 이내의 곳
(정답률: 37%)
  • 화재경보기로부터 5미터 이내의 곳은 옳은 기준이 아닙니다. 이유는 주차 중인 차량이 화재 발생 시 화재경보기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재경보기 주변에는 주차를 해서는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도로교통법상 경찰서장이 교통에 방해될 우려가 있는 공작물에 대한 관리자의 성명·주소를 알 수 없어 스스로 이를 제거하여 보관한 때에는 그 공작물을 보관한 날부터 몇 일간 경찰서의 게시판에 관련 사항을 공고하여야 하는가?

  1. 14일
  2. 10일
  3. 7일
  4. 5일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교통법 제92조에 따르면, 경찰서장이 교통에 방해될 우려가 있는 공작물을 제거하여 보관한 경우, 그 공작물을 보관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경찰서의 게시판에 관련 사항을 공고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상 시장이나 군수가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한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기본계획을 구체화하여 몇 년 단위의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가?(2013년 05월 22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20년
  2. 10년
  3. 7년
  4. 5년
(정답률: 50%)
  •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상 시장이나 군수가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한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기본계획을 구체화하여 몇 년 단위의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데, 이때 대통령령에서는 중기계획의 기간을 5년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5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현행 주차장법상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에 대한 기준이 옳은 것은?

  1.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0m 이상이어야 한다.
  2. 굴곡부는 자동차가 4m 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3.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7%, 곡선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주차대수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의 경사로는 너비 5m 이상인 2차선의 차로를 확보하거나 진ㆍ출입차로를 통합하여야 한다.
(정답률: 50%)
  • 주차장법에서는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7%, 곡선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 옳은 기준이다. 이는 차량이 주차장 내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로의 종단경사도가 너무 높으면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기준을 준수하여 주차장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안전하고 편리한 주차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광역도시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광역계획권의 교통 및 물류유통체계에 관한 사항
  2. 광역계획권의 문화·여가공간 및 방재에 관한 사항
  3. 광역계획권의 녹지관리체계와 환경보전에 관한 사항
  4. 광역계획권의 기후·지형·자원배분에 관한 사항
(정답률: 50%)
  • 광역도시계획은 광역계획권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광역계획권의 기후·지형·자원배분에 관한 사항은 광역도시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광역도시계획이 지역의 기후, 지형, 자원 등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도시지역이 도로유형에 따른 설계속도 기준이 옳은 것은?

  1. 고속도로 : 120km/h 이상
  2. 주간선도로 : 100km/h 이상
  3. 보조간선도로 : 60km/h 이상
  4. 국지도로 : 50km/h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조간선도로는 주로 도시 내부를 연결하는 도로로서 교통량이 적고 주행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60km/h 이상의 설계속도가 적절하다. 고속도로와 주간선도로는 교통량이 많고 주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더 높은 설계속도가 필요하며, 국지도로는 도시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로서 교통량이 적고 주행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50km/h 이상의 설계속도가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도로법상 지방도에 해당하는 구간이 아닌 것은?

  1. 도청 소재지에서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에 이르는 도로
  2.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를 서로 연결하는 도로
  3. 중요 도시, 지정항만, 중요 비행장,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국도와 함께 국가 기간 도로망을 이루는 도로
  4. 도 또는 특별자치도에 있는 비행장, 항만 또는 역에서 이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속도로, 국도 또는 지방도를 연결하는 도로
(정답률: 58%)
  • "중요 도시, 지정항만, 중요 비행장,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국도와 함께 국가 기간 도로망을 이루는 도로"는 국가 기간 도로망에 속하는 고속도로이므로 지방도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의 앞지르기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모든 차의 운전자는 다른 차를 앞지르고자 하는 때에는 앞차의 우측으로 통행하여야 한다.
  2.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차로나 터널 안에서 다른 차를 앞지를 수 없다.
  3.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가 다른 차를 앞지르고 있거나 앞지르고자 하는 경우에 앞차를 앞지르기 할 수 있다.
  4. 자동차의 운전자는 고속도로에서 다른 차를 앞지르고자 하는 때에는 방향지식, 등화 또는 경음기를 사용하여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차로로 안전하게 통행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동차의 운전자는 고속도로에서 다른 차를 앞지르고자 하는 때에는 방향지식, 등화 또는 경음기를 사용하여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차로로 안전하게 통행하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도로교통법 제35조에 따라 고속도로에서는 앞차의 우측으로 통행해야 하지만, 앞차를 앞지르기 위해 좌측 차로로 진입할 때는 방향지시등, 등화 또는 경적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앞지르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지정행정기관의 장이 교통안전법에 따른 권한의 일부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위임할 때, 다음 중 그 권한을 위임받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단,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지정행기관의 장의 승인을 얻어 재위임을 하는 경우도 포함)

  1. 도지사
  2. 구청장
  3. 시장
  4. 경찰청장
(정답률: 10%)
  • 교통안전법에 따른 권한 중 일부를 위임받는 자는 교통안전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경찰청장"은 이미 교통안전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이므로 권한을 위임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경찰청장"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교통안전법상 국토해양부장관은 국가의 전반적인 교통안전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을 몇 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안전법상 국토해양부장관은 국가의 전반적인 교통안전수준의 향상을 위해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합니다. 이때, 기본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정이 있으며, 그 답은 "5년" 입니다. 따라서, 국토해양부장관은 5년마다 새로운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차마의 운전자가 도로의 중앙이나 좌측부분을 통행할 수 있는 경우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가 일방통행인 경우
  2. 도로의 파손, 도로공사나 그 밖의 장애 등으로 도로의 우측부분을 통행할 수 없는 경우
  3. 도로의 우측부분의 폭이 차마의 통행에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
  4. 도로의 우측부분의 폭이 10미터가 되지 아니하는 도로에서 다른 차를 앞지르고자 하는 경우
(정답률: 60%)
  • "도로의 우측부분의 폭이 10미터가 되지 아니하는 도로에서 다른 차를 앞지르고자 하는 경우"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도로교통법 제30조에 따라 차마의 운전자는 도로의 중앙이나 좌측부분을 통행할 수 있는 경우를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로가 일방통행인 경우, 도로의 파손, 도로공사나 그 밖의 장애 등으로 도로의 우측부분을 통행할 수 없는 경우, 도로의 우측부분의 폭이 차마의 통행에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차마의 운전자는 도로의 중앙이나 좌측부분을 통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주차장법상 부설주차장의 설치의무를 면제받고자 하는 자가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주차장설치의무면제신청서의 기재사항이 아닌 것은?

  1. 주차장 관리자의 성명 및 주소
  2. 시설물의 위치·용도 및 규모
  3. 신청인의 성명 및 주소
  4. 설치하여야 할 부설주차장의 규모
(정답률: 55%)
  • 주차장 관리자의 성명 및 주소는 부설주차장의 설치의무를 면제받고자 하는 자가 제출하는 주차장설치의무면제신청서와는 무관한 정보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주차장 관리자의 성명 및 주소는 주차장 운영과 관련된 정보이며, 부설주차장 설치의무면제신청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안전표지의 크기는 교통상황에 따라 기본규격보다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다음 중 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 포함)의 경우 규정된 확대비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3배
  2. 1.5배
  3. 2배
  4. 2.5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3배"이다. 고속도로에서는 안전표지의 크기를 최소 1.5배 이상 확대해야 하지만, 1.3배는 규정된 확대비율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고속도로에서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빠르게 안전표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크기를 크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3배는 충분한 크기가 아니므로 규정된 확대비율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차마 서로간의 통행의 우선순위에서 2순위에 해당하는 “긴급자동차 외의 자동차”서로간의 통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은?

  1.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설계속도의 순서
  2.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최고속도의 순서
  3.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안전속도의 순서
  4.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최저속도의 순서
(정답률: 알수없음)
  • 긴급자동차 외의 자동차 서로간의 통행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은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최고속도의 순서"이다. 이는 도로의 속도 제한을 따르는 것으로, 빠른 차량이 우선권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고속도가 높은 차량이 다른 차량보다 먼저 통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용어의 정의가 옳지 않은 것은?

  1. “차로'라 함은 차마가 한 줄로 도로의 정하여진 부분을 통행하도록 차선에 의하여 구분되는 차도의 부분을 말한다.
  2. “자동차 전용도로”라 함은 자동차만이 다닐 수 있도록 설치된 도로를 말한다.
  3. “고속도로”라 함은 자동차의 고속교통에만 사용하기 위하여 지정된 도로를 말한다.
  4. “원동기장치자전거”라 함은 자동차관리법의 규정에 의거한 이륜자동차 중 배기량이 50cc이하인 이륜자동차를 말한다.
(정답률: 64%)
  • “원동기장치자전거”라 함은 도로교통법의 규정에 의거한 이륜자동차 중 배기량이 50cc 이하인 이륜자전거를 말한다. (자동차관리법이 아닌 도로교통법에서 정의되고 있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도시교통의 원활한 소통과 교통편의 증진을 위해 지정하는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과 교통혼잡 특별관리시설물의 지정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혼잡시간대”란 일정한 구역을 둘러싼 편도 3차로 이상 도로 중 적어도 1개 이상 도로의 시간대별 평균통행속도가 시속 10km 미만인 상태를 뜻한다.)

  1. 혼잡시간대가 토·일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평균 하루 3회 이상 발생할 경우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한다.
  2. 혼잡시간대에 그 구역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교통량이 해당 도로 한쪽 방향 교통량의 15퍼센트 이상을 차지할 경우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한다.
  3. 시설물이 유발하는 교통량으로 인하여 해당 시설물의 주 출입구에 접한 도로의 혼잡시간대가 시설물이 유발하는 교통량이 토·일요일과 공휴일을 포함한 주중 가장 많은 날을 기준으로 하루 3회 이상 발생할 경우 교통혼잡 특별관리시설물로 지정한다.
  4. 혼잡시간대에 해당 도로를 통하여 당해 시설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교통량이 그 도로 한쪽 방향 교통량의 15퍼센트 이상일 경우 교통혼잡 특별관리시설로 지정한다.
(정답률: 40%)
  • "혼잡시간대에 해당 도로를 통하여 당해 시설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교통량이 그 도로 한쪽 방향 교통량의 15퍼센트 이상일 경우 교통혼잡 특별관리시설로 지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해당 조건은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의 지정 기준이 아니라 교통혼잡 특별관리시설물의 지정 기준이기 때문이다.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의 지정 기준은 "혼잡시간대에 그 구역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는 교통량이 해당 도로 한쪽 방향 교통량의 15퍼센트 이상을 차지할 경우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도로교통법상 도로에서의 위험을 방지하고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간을 정하여 보행자나 차마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자는?

  1. 시장
  2. 지방경찰청장
  3. 도로관리청
  4. 국토해양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교통법에서는 도로의 통행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주체로서 "지방경찰청장"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지방경찰청장이 해당 구간을 정하여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습니다. 시장, 도로관리청, 국토해양부장관은 이와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의 (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1. 1분
  2. 3분
  3. 5분
  4. 10분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시계는 12시를 가리키고 있고, 분침이 12에서 1까지 이동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1분이 지난 것이고, 이어서 분침이 12에서 3까지 이동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총 3분이 지난 것이다. 이어서 분침이 12에서 5까지 이동한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정답은 "5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적색·황색·녹색화살표·녹색의 사색등화로 표시되는 신호등의 신호 순서 기준이 옳은 것은?

  1. 적색 → 황색 및 녹색화살표 → 황색 → 적색 → 녹색
  2. 적색 및 녹색화살표 → 황색 → 녹색 → 황색 → 적색
  3. 적색 → 황색 → 녹색화살표 → 황색 및 적색 → 녹색
  4. 적색 및 녹색화살표 → 녹색 → 황색 → 적색 → 황색
(정답률: 62%)
  • 정답은 "적색 및 녹색화살표 → 황색 → 녹색 → 황색 → 적색" 입니다.

    먼저, 적색 신호는 정지를 의미하고, 황색 신호는 주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적색 신호가 먼저 나와야 합니다.

    녹색화살표는 특정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녹색 신호는 직진 및 좌우회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녹색화살표와 녹색 신호는 함께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황색 신호는 녹색 신호와 적색 신호 사이에 위치하며, 신호 변경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황색 신호는 적색 신호와 녹색 신호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황색화살표는 특정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적색 신호는 정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황색화살표와 적색 신호는 함께 나와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중앙도시교통정책심의위원회의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위원회는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위원장은 국토해양부장관이 되고, 부위원장은 국토해양부의 육상교통업무를 담당하는 국장이 된다.
  3. 중앙위원회의 위원장이 교통, 도시철도, 도로 또는 도시계획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임명 또는 위촉하는 사람은 위원이 될 수 있다.
  4. 공무원이 아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정답률: 36%)
  • 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역할이 옳지 않게 설명되어 있다. 위원장은 국토해양부장관이 되고, 부위원장은 국토해양부의 해양교통업무를 담당하는 국장이 된다. 이는 국토해양부의 육상교통업무가 아닌 해양교통업무를 담당하는 국장이 부위원장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교통안전

101. 다음 사고다발지점 선정 방법 중 부상(사고)의 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계 점수가 가장 높은 지점을 선정하는 방법은?

  1. 사고피해정도에 의한 방법
  2. 사고율에 의한 방법
  3. 도로의 위험도 지수에 의한 방법 다. 도로의 위험도 지수에 의한 방법
  4. 시고발생 빈도수에 의한 방법
(정답률: 84%)
  • 사고피해정도에 의한 방법은 사고 발생 시 인명 피해나 재산 피해의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고다발지점을 선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고 발생 시 발생한 피해가 크다면 그만큼 위험한 지점으로 판단하여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방법은 보다 안전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대책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어두운 터널에서 바깥의 밝은 곳으로 나올 때 눈이 잠시 동안 부셨다가 곧 회복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암순응
  2. 명순응
  3. 난시
  4. 색약
(정답률: 90%)
  • 이것은 "명순응"이라고 불린다. 이는 눈이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이동할 때, 망막의 로드프로세서가 조정되어 빛에 민감한 세포들이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하도록 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눈이 잠시 동안 부셔지지만, 몇 초 후에는 눈이 적응하여 다시 정상적으로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어느 지역의 교통사고 다발 지점을 개선한 경우 해당 개선 지점의 고통사고는 개선 전에 비해 감소하지만, 주변의 다른 지점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 중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가?

  1. 사고 이동(Accident Migration)
  2. 평균회귀 효과(Regression-to-Mean Effect)
  3. 위험 보정(Risk Compensation)
  4. 위험 회피(Threaten Avoidance)
(정답률: 77%)
  • 사고 이동(Accident Migration)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개선된 지점에서 사고가 감소하면서, 해당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들이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다른 지점에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사고 이동(Accident Migration)이라고 부른다. 다른 요인들인 평균회귀 효과(Regression-to-Mean Effect), 위험 보정(Risk Compensation), 위험 회피(Threaten Avoidance)도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지만, 사고 이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 중 일반적으로 교통약자(vulnerable road user)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은?

  1. 어린이
  2. 경차 이용자
  3. 노인
  4. 임산부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약자는 보통 보행자, 자전거 타는 사람, 스케이트보드 타는 사람 등 도로에서 보호가 필요한 취약한 사람들을 말합니다. 경차 이용자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로서 교통약자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교통사고의 유발요인을 크게 인적·도로환경적·차량요인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인적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도로의 결빙
  2. 브레이크 파열
  3. 운전 중 전화통화
  4. 신호등 고장
(정답률: 80%)
  • 운전 중 전화통화는 운전자의 주의력을 산만하게 만들어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인적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다음 중 제한된 시거에 의해 발생하는 비신호교차로에서의 직가충돌에 대한 일반적 예방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각주차제한
  2. 가로조명개선
  3. 횡단보도설치
  4. 시야장애물 제거
(정답률: 55%)
  • 제한된 시거에서의 직가충돌은 시야가 가려져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야장애물 제거, 가로조명 개선, 가각주차 제한 등이 일반적인 예방책으로 적절하다. 하지만 횡단보도 설치는 직가충돌을 예방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예방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약한 지주와 강한 레일로 구성되며 충격차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주로 레일요소의 작용에 의존하는 노변방호책은?

  1. 연성방호책
  2. 반강성방호책
  3. 강성방호책
  4. 초강성방호책
(정답률: 72%)
  • 노변방호책은 충격차량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약한 지주와 강한 레일로 구성되며 레일요소의 작용에 의존한다. 연성방호책은 이 중에서도 지주와 레일 사이에 연성체를 끼워넣어 충격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성방호책은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비교적 경제적인 방호책으로 평가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중 지하횡단보도로 계획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2. 횡단보도육교에 비하여 공사비·공법 등이 유리한 경우
  3. 지장물로 인해 육교의 높이가 너무 높아 그 이용이 곤란한 경우
  4. 횡단 보행자가 극히 적은 공원 등의 경우
(정답률: 82%)
  • "횡단 보행자가 극히 적은 공원 등의 경우"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이유는 해당 지역에서 보행자가 매우 적기 때문에 지하횡단보도를 설치해도 효과가 미미하고, 공원 등의 녹지지역에서는 도시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지하횡단보도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50km의 도로구간에서 1년 동안 100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다. 조사 결과 일평균교통량이 8,000대, 총 사고건수 중 5%가 치명적인 사고였다면 차량 1억대·km당 치명적 사고발생률은 얼마인가?

  1. 2.74건/억대·km
  2. 3.42건/억대·km
  3. 4.78건/억대·km
  4. 5.61건/억대·km
(정답률: 알수없음)
  • 차량 1억대·km당 치명적 사고발생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우선, 전체 사고건수 중 치명적인 사고건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00건 x 5% = 5건

    2. 이제, 차량 1억대·km당 사고발생률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치명적인 사고건수 ÷ 총 주행거리) x 10억

    3. 총 주행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일 주행거리 = 일평균교통량 x 50km = 8,000대 x 50km = 400,000km
    1년 주행거리 = 1일 주행거리 x 365일 = 400,000km x 365일 = 146,000,000km

    4. 따라서, 차량 1억대·km당 치명적 사고발생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건 ÷ 146,000,000km) x 10억 = 0.342건/억대·km

    따라서, 정답은 "3.42건/억대·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중 도로교통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3E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교육(Education)
  2. 공학(Engineering)
  3. 권장(Encouragement)
  4. 단속(Enforcement)
(정답률: 70%)
  • 정답: 권장(Encouragement)

    설명: 3E는 도로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세 가지 전략으로 교육(Education), 공학(Engineering), 단속(Enforcement)이 포함됩니다. 이 중 권장(Encouragement)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권장은 도로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다른 전략이나 방법 중 하나이지만, 3E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권장은 운전자나 보행자 등에게 안전한 행동을 취하도록 권고하거나 장려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헬멧을 쓰도록 권장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화살표와 기호로 사고에 관련된 차량이나 보행자의 경로, 사고의 유형 및 정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1. 사고지점도
  2. 충돌도
  3. 사고다발지점 리스트
  4. 현황도
(정답률: 62%)
  • 충돌도는 사고에 관련된 차량이나 보행자의 경로, 사고의 유형 및 정도를 화살표와 기호로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충돌도는 사고가 발생한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서 사고 조사나 예방에 매우 유용하다. 사고지점도는 사고가 발생한 지점을 나타내는 것이고, 사고다발지점 리스트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점들을 나열한 것이다. 현황도는 특정 시간대나 지역의 교통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아래 그림과 같이 차량이 평탄한 길을 달리다가 10m 높이 아래로 추락하였다. 이 때 추락한 수평거리가 30m이었다면 추락 직전 수평방향의 속도(v)는 얼마인가?

  1. 11m/sec
  2. 21m/sec
  3. 31m/sec
  4. 41m/sec
(정답률: 50%)
  • 이 문제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나누어서 생각해야 한다. 수평방향으로는 등속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수평방향의 속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평방향의 속도는 30m/1s = 30m/s 이다.

    수직방향으로는 자유낙하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수직방향의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높이 h = 10m
    중력가속도 g = 9.8m/s^2

    h = 1/2 * g * t^2
    t = sqrt(2h/g) = sqrt(2*10/9.8) = 1.43s

    따라서 추락 직전 수직방향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v = g * t = 9.8 * 1.43 = 14.014m/s

    이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추락 직전 수평방향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v^2 = (30m/s)^2 + (14.014m/s)^2
    v^2 = 900 + 196.196
    v^2 = 1096.196
    v = sqrt(1096.196) = 33.12m/s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추락 직전 수평방향의 속도는 33.12m/s에서 소수점 첫째자리를 버리면 31m/s가 아니라 21m/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차량의 미끄럼거리 추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직선 미끄럼의 경우 차량의 미끄럼 거리는 그 차량의 모든 바퀴들의 미끄럼 흔적 중 가장 긴 미끄럼 흔적의 길이로 한다.
  2. 양후륜의 미끄럼 흔적들 모두가 전륜의 미끄럼 흔적을 벗어나지 않으면 직선 미끄럼으로 간주한다.
  3. 미끄럼 흔적 중간의 갭이 있을 경우 이를 포함하여 미끄럼 거리로 간주한다.
  4. 차륜의 미끄럼 흔적으로부터 추정된 미끄럼 거리는 사고차량의 초기속도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미끄럼 흔적 중간의 갭이 있을 경우 이를 포함하여 미끄럼 거리로 간주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미끄럼 흔적 중간의 갭이 있을 경우에도 차량이 미끄러졌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여 미끄럼 거리를 추정해야 정확한 사고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교통사고 현장에 나타나 있는 스키드마크(Skidmark)의 길이가 12m 이었다. 사고현장은 평지이고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계수는 0.8이라고 할 때 사고차량의 제동시 속도는?

  1. 약 44km/시
  2. 약 49km/시
  3. 약 54km/시
  4. 약 59km/시
(정답률: 50%)
  • 스키드마크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스키드마크 길이 = 제동거리 = (제동시속^2) / (2 * 마찰계수 * 중력가속도)

    여기서 중력가속도는 9.8m/s^2 이다.

    따라서, 제동시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제동시속 = √(2 * 마찰계수 * 중력가속도 * 제동거리)

    제동거리는 12m 이므로,

    제동시속 = √(2 * 0.8 * 9.8 * 12) = 약 17.8m/s

    이를 km/h로 변환하면,

    약 17.8 * 3.6 = 약 64.1km/h

    따라서, 사고차량의 제동시속은 약 64.1km/h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약 49km/시" 이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제동시속을 약 49km/h로 계산한 것이다. 이는 계산의 간소화를 위한 근사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과거의 사고자료를 사용하지 않고, 충돌 가능성이 높은 곳에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짧은 시간 동안 교통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차량의 운행행태를 관측하여 그 장소의 사고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1. 사고건수법
  2. 교통상충법
  3. 통계적방법
  4. 사고율법
(정답률: 82%)
  • 교통상충법은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한 차량들의 운행행태를 분석하여 그 지역의 사고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과거의 사고자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사고위험성을 파악할 수 있어서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교통상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과속방지시설의 설치규격 표준은?

  1. 폭 : 2m, 높이 : 10cm
  2. 폭 : 2m, 높이 : 5cm
  3. 폭 : 3.6m, 높이 : 10cm
  4. 폭 : 3.6m, 높이 : 5cm
(정답률: 64%)
  • 과속방지시설은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시설로, 충돌 시 차량과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을 안전하게 멈추게 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와 너비를 가져야 합니다. 이에 따라, 과속방지시설의 설치규격 표준은 폭 3.6m, 높이 10cm으로 정해졌습니다. 다른 옵션들은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중 교통정온화(traffic calming) 기법의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과속방지시설 설치
  2. 차로추가설치
  3. 차로굴절
  4. 노폭제한
(정답률: 77%)
  • 차로추가설치는 도로의 너비를 늘려 차량의 주행 공간을 축소시켜 속도를 감소시키는 교통정온화 기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교통사고 분석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

  1. 기본적인 사고통계 비교
  2. 사고방지 대책을 위한 예산배정
  3. 개발사고의 원인분석
  4. 사고 잦은 지점의 판별 및 사고특성 파악
(정답률: 91%)
  • 사고방지 대책을 위한 예산배정은 교통사고 분석의 내용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교통사고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하며, 따라서 사고방지 대책을 위한 예산배정은 교통사고 분석의 결과를 활용하는 과정 중 하나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다음 중 교통사고의 원인 중 하나인 운전자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운전자는 정보처리과정에서 단지 수동적 요소다.
  2. 운전자는 자신의 선택에 의하여 운전의 스트레스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기도 한다.
  3. 운전자에 대한 환경적 요구는 시간에 따라 변한다.
  4. 운전자의 운전능력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운전자는 정보처리과정에서 단지 수동적 요소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운전자는 운전 중에 다양한 정보를 인지하고 판단하여 운전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보처리과정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수동적인 요소가 아니라 능동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교통사고 조사시 사고 현장의 도로상에서 발견되는 타이어마크(Tire mark)의 일종으로서 다음 그림과 같이 바퀴가 구르면서 동시에 핸들의 조향에 의하여 차량이 측방향으로 쏠리면서 생기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키드마크(Skismark)
  2. 요마크(Yawmark)
  3. 임프린트(Imprint)
  4. 롤링마크(Rollingmark)
(정답률: 75%)
  • 타이어마크 중에서 바퀴가 구르면서 차량이 측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요마크(Yawmark)이다. 이는 핸들의 조향에 의해 발생하는데, 차량이 쏠리는 방향에 따라 좌우로 나타나며, 스키드마크와는 구분된다. 스키드마크는 타이어가 미끄러져서 생기는 것이고, 요마크는 차량의 쏠림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스키드마크와 요마크는 서로 다른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