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교통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교통계획

1. 다른 대중교통수단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지하철
  2. 지트니
  3. 경전철
  4. 버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수단은 지하에 놓인 철로를 따라 운행하는 것으로, 지하철이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하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통행수요를 예측하기 위한 비집계모형(disaggregate model)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집계모형에서 다루기 어려운 비선형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2. 존 단위로 집계된 가구면접 O-D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
  3. 효율적으로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다.
  4. 자료를 더욱 신속하게 평가하도 분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존 단위로 집계된 가구면접 O-D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

    해설: 비집계모형은 존 단위로 분석하기 때문에, 존 단위로 집계된 가구면접 O-D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가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존 단위로 집계된 가구면접 O-D 자료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는 비집계모형의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교통망의 구성요소로서 도로망의 교차점이나 인터체인지 그리고 철도망의 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실제 교통망에서 교차로 또는 도로구간에서 도로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의 지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결절점(node)
  2. 경로(path)
  3. 수송로(route)
  4. 링크(link)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절점은 교통망에서 노드(node)라고도 불리며, 도로망이나 철도망에서 교차점이나 인터체인지, 역과 같은 지점을 말합니다. 이러한 결절점은 교통망에서 경로(path)를 형성하며, 경로는 결절점을 연결하는 수송로(route)와 링크(link)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결절점은 교통망에서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며, 교통체증이나 교통사고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절점의 효율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하철의 요금이 1,200원일 때 승객수요는 8,000명이다. 수요탄성력이 -1.5일 때, 지하철 요금이 1,300원으로 인상되는 경우의 수요는 얼마인가?

  1. 7,000명
  2. 6,000명
  3. 5,500명
  4. 4,500명
(정답률: 알수없음)
  • 수요탄성력이 -1.5이므로, 요금이 10% 인상될 때 수요는 15% 감소한다. 따라서, 요금이 1,300원으로 인상될 경우 수요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5% 감소 = 8,000명 x 0.15 = 1,200명
    수요 = 8,000명 - 1,200명 = 6,800명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요금이 1,200원일 때 승객수요가 8,000명이므로, 요금이 인상되어도 일부 승객들이 여전히 지하철을 이용할 것이다. 따라서, 수요는 6,800명이 아닌 7,000명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00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중교통수단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중교통은 대중을 위한 서비스이므로 서비스의 형평한 분배와 광범위한 분배를 위해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2. 버스는 정지성이 부족하며 노선조정이 어렵다.
  3. 지하철은 쾌적성은 우수하지만 대량성, 신속성, 기동성이 부족하다.
  4. 대중교통수단은 많은 승객을 신속하게 수송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5%)
  • "지하철은 쾌적성은 우수하지만 대량성, 신속성, 기동성이 부족하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지하철은 대량성, 신속성, 기동성이 뛰어나며 대도시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O-D조사에 사용하는 표본의 크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표본의 크기가 증가하면 조사 자료의 정확도는 감소한다.
  2. 표본의 크기가 증가하면 조사 자료의 정확도의 증가율은 점차 감소한다.
  3. 표본율이 같은 경우, 통행량이 적은 경우가 통행량이 많은 경우보다 정확한 추정값을 얻기 쉽다.
  4. 통행량이 많은 경우 표본율을 증가시키면 오차의 범위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본의 크기가 증가하면 조사 자료의 정확도의 증가율은 점차 감소한다."이다. 이유는 표본의 크기가 작을 때는 적은 양의 데이터로부터 추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추정값의 정확도가 낮아지지만, 표본의 크기가 증가하면 더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추정을 하기 때문에 추정값의 정확도는 증가하지만 그 증가율은 감소한다. 즉,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정확도의 증가율은 감소하지만, 여전히 표본의 크기가 작을 때보다 더 정확한 추정값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단계에서 사용되는 모형은?

  1. 프라타법
  2. 성장률법
  3. 통행단모형
  4. 회귀분석법
(정답률: 85%)
  • 통행발생 단계에서는 인구, 가구, 직장 등의 요인에 따라 교통 수요가 발생하는데, 이를 예측하기 위해 회귀분석법이 사용된다. 회귀분석법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예측 모형을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통행발생 단계에서는 인구, 가구, 직장 등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교통 수요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예측 모형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회귀분석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경제성 평가기법 중 내부수익률(IRR)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업의 수익성을 측정할 수 없다.
  2. 평가과정과 결과를 이해하기 어렵다.
  3. 다른 대안과 비교하기 어렵다.
  4. 사업의 설대적인 규모를 고려하지 못한다.
(정답률: 100%)
  • 내부수익률(IRR)은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률과 투자기간을 고려하여 투자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IRR은 투자금액과 현금흐름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업의 설대적인 규모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IRR은 투자의 수익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유용하지만, 사업의 규모나 범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업성 평가에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승용차(A)와 버스(B)의 효용함수값이 각각 VA = -5.545, VB = -4.874 일 때, 로짓모형에 의한 두 수단의 선택확률이 모두 옳은 것은?

  1. P(A)= 0.3521 , P(B)= 0.6479
  2. P(A)= 0.3212 , P(B)= 0.6788
  3. P(A)= 0.3383 , P(B)= 0.6617
  4. P(A)= 0.4137 , P(B)= 0.5863
(정답률: 알수없음)
  • 로짓모형에서 선택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A) = exp(VA) / [exp(VA) + exp(VB)]
    P(B) = exp(VB) / [exp(VA) + exp(VB)]

    따라서, 각각의 선택확률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P(A) = exp(-5.545) / [exp(-5.545) + exp(-4.874)] = 0.3383
    P(B) = exp(-4.874) / [exp(-5.545) + exp(-4.874)] = 0.6617

    따라서, 정답은 "P(A)= 0.3383 , P(B)= 0.661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교통수요관리 기법 중 주요관리대상이 다른 하나는?

  1. 10부제 실시
  2. 혼잡통행료 징수
  3. 버스전용차로제
  4. 공공주차장의 주차요금 징수
(정답률: 알수없음)
  • 주요관리대상이 다른 기법은 "버스전용차로제"입니다.

    "10부제 실시"는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여 도시 내 교통체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혼잡통행료 징수"는 도시 내 교통체증이 심한 지역에서 차량 통행량을 조절하기 위해 도로 이용료를 부과하는 방법입니다. "공공주차장의 주차요금 징수"는 도시 내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공공주차장에서 주차요금을 부과하는 방법입니다.

    반면 "버스전용차로제"는 버스 운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도로의 일부를 버스 전용차로로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요관리대상이 다른 기법 중에서 "버스전용차로제"는 버스 운행에 집중하여 교통체증 완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단계에서 사용하는 원단위법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체계의 최적화 문제에 이용하기 쉽다.
  2. 계산이 용이하다.
  3. 토지이용의 측성을 고려하는데 편리하다.
  4. 장래의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체계의 최적화 문제에 이용하기 쉽다."는 원단위법의 특징이 아니라 장점이다. 원단위법의 특징은 계산이 용이하고, 토지이용의 측성을 고려하는데 편리하며, 장래의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교통체계의 최적화 문제에 이용하기 쉽다."는 원단위법의 장점 중 하나로, 원단위법을 이용하여 통행량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통체계를 최적화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원단위법이 교통계획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통행자가 어느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통행하고자 할 때 통행비용이 가장 적게 되는 경로를 택한다는 전제조건을 이론화한 통행배정(trip assignment) 방법은?

  1. All or Nothing 법
  2. Fratar 법
  3. Entropy 법
  4. Logit 법
(정답률: 91%)
  • "All or Nothing 법"은 통행자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중 가장 적은 비용을 갖는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통행자가 선택한 경로에 대해서만 비용을 할당하고, 다른 경로에 대해서는 비용을 할당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은 간단하고 계산이 쉬우며, 실제로도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에 따른 교통선호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된 가상적인 상황에 대하여 조사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RP(revealed preference)조사
  2. SP(stated preference)조사
  3. 패널(panel)조사
  4. 활동일지(activity daily)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SP(stated preference)조사는 참여자들에게 가상적인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의 선택을 묻는 방법이다. 따라서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에 따른 교통선호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정된 가상적인 상황에 대해 조사하는 방법으로 적합하다. RP(revealed preference)조사는 실제 선택을 통해 선호도를 파악하는 방법이며, 패널(panel)조사는 일정 기간 동안 일정한 집단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활동일지(activity daily)조사는 참여자들의 일상 생활에서의 활동을 기록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교통계획을 위한 현황자료 조사에서 인구, 소득, 자동차 보유대수, 직업별 고용자수, 학생수 등 사회경제지표의 주요 용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통투자사업의 재원확보 평가지표로 활용
  2. 통행조사에서 나타난 통행발생의 설명변수로 활용
  3. 가구면접 조사 표본을 분석지구 전체에 대해 전수화시키는 경우의 총량지표로 활용
  4. 토지이용계획안의 수립, 인구와 고용기회를 분포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
(정답률: 100%)
  • "가구면접 조사 표본을 분석지구 전체에 대해 전수화시키는 경우의 총량지표로 활용"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가구면접 조사는 일부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조사이기 때문에 전체 지역의 총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교통투자사업의 재원확보 평가지표로 활용하거나 통행조사에서 설명변수로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또한, 토지이용계획안의 수립이나 인구와 고용기회 분포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대중교통 요금구조는?

  1. 정기요금제
  2. 균일요금제
  3. 거리요금제
  4. 구역요금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요금구조는 거리에 따라 요금이 결정되는 거리요금제입니다. 이는 이용한 거리에 따라 요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짧은 거리를 이용할 때는 저렴하고 긴 거리를 이용할 때는 비싸게 나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편익/비용비(B/C)의 값이 얼마일 때 해당사업이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보는가?

  1. 1보다 클 때
  2. 1보다 작을 때
  3. 0과 같을 때
  4. 할인율과 같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편익/비용비(B/C)는 해당 사업의 수익(편익)을 총 비용(자본비용 + 운영비용)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이 값이 1보다 클 때는 수익이 총 비용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에는 해당 사업이 이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아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1보다 작을 때는 수익이 총 비용보다 작아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아 경제적 타당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0과 같을 때는 수익과 총 비용이 같아 손익분기점에 해당하는데, 이 경우에는 수익이 증가하면 경제적 타당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할인율과 같을 때는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를 비교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할인율에 따라 경제적 타당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한 통근자가 직장에 가기 위하여 집에서 택시로 지하철역까지 간 후 지하철로 갈아타고 직장에 도착한 경우 목적통행수는?

  1. 1
  2. 1.5
  3. 2
  4. 3
(정답률: 알수없음)
  • 한 통근자가 직장에 가기 위해서는 집에서 출발하여 도착지인 직장까지 이동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목적통행수는 1이다. 즉, 한 번의 이동으로 목적지에 도착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연평균일교통량(AADT:Annual Average Daily Traffic)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년간 총 통과차량수로, 한 지역의 연간 통행량 산출에 사용된다.
  2. 첨두시 동안의 교통량의 변화, 교통량의 한계 산출에 사용된다.
  3. 도로의 현재 통행 수요 파악, 도로상의 서비스 수준 평가, 간선도로 체계의 개발에 사용된다.
  4. 첨두시의 첨두길이 및 첨두 정도 판단, 교통제어방법 결정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평균일교통량(AADT)은 "도로의 현재 통행 수요 파악, 도로상의 서비스 수준 평가, 간선도로 체계의 개발에 사용된다." 이유는, 이것은 한 지역의 도로에서 1년간 총 통과 차량 수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도로의 현재 통행 수요를 파악하고, 도로상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며, 간선도로 체계의 개발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로짓모형(Logit model)과 프로빗모형(Probit model)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로짓모형은 통합모형이고 프로빗모형은 개별행태모형이다.
  2. 로짓모형은 이항모형이고 프로빗모형은 다항모형이다.
  3. 로짓모형은 오차항이 와이블분포를 따르고 프로빗모형은 오차항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4. 로짓모형은 비관련대안간의 독립성과 관련한 문제가 없지만 프로빗모형은 자유로운 상관관계를 허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80%)
  • 정답은 "로짓모형은 오차항이 와이블분포를 따르고 프로빗모형은 오차항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이다.

    로짓모형과 프로빗모형은 모두 이항분포를 따르는 종속변수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하지만 로짓모형은 로지스틱 함수를 사용하여 종속변수의 로그 오즈비를 예측하고, 프로빗모형은 누적분포함수를 사용하여 종속변수가 1이 될 확률을 예측한다.

    또한 로짓모형은 오차항이 와이블분포를 따르고, 프로빗모형은 오차항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는 로짓모형이 이상치에 덜 민감하고, 프로빗모형이 이상치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짓모형과 프로빗모형은 각각의 특징에 따라 적합한 상황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도시교통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도시의 각 지점을 연결해주는 단거리 교통이다.
  2. 도시교통은 대량 수송을 필요로 한다.
  3.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간 이동을 촉진한다.
  4. 도심지와 같은 특정지역에 통행이 집중된다.
(정답률: 62%)
  • 정답: "도심지와 같은 특정지역에 통행이 집중된다."

    도시교통은 지역 간 이동을 촉진하여 지역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일반적인 목적이다. 단거리 교통이며 대량 수송을 필요로 한다는 것도 일반적인 특성이다. 하지만 도심지와 같은 특정지역에 통행이 집중되는 것은 도시교통의 문제점 중 하나이다. 이로 인해 교통체증과 대기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교통공학

21. 아래 그림은 도시부 도로에서 차량의 궤적을 조사한 것이다. 3대의 차량이 지점 P를 지나 Q에 도착하였을 때, 이들 차량의 이동특성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차량A와 B는 비슷한 속도로 PQ구간을 주행하였다.
  2. 차량 간 궤적이 교차하는 곳은 추월이 발생한 곳이다.
  3. 3대의 차량 모두 감 ㆍ 가속이 없이 등속도로 주행하고 있다.
  4. 차량C는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함으로써 차량A와 B를 추월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차량C는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함으로써 차량A와 B를 추월하였다." 이다. 이유는 차량 A와 B가 비슷한 속도로 주행하고 있으며, 차량 C는 그들보다 더 빠른 속도로 주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량 C는 차량 A와 B를 추월할 수 있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느 신호교차로에서의 총 손실시간은 12초, 각 현시의 접근로별 교통량이 포화교통량에 대한 비의 최대치들의 합이 0.77일 때, 차량의 지체시간을 최소로 하기 위한 신호주기는?

  1. 70초
  2. 80초
  3. 90초
  4. 100초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주기는 손실시간과 현시의 교통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손실시간이 12초이고, 각 현시의 접근로별 교통량이 포화교통량에 대한 비의 최대치들의 합이 0.77이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신호주기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손실시간을 고려하여 신호주기를 추정해보자. 일반적으로 손실시간은 신호주기의 10% 이내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최소한의 손실시간을 가지려면 신호주기는 120초 이상이어야 한다.

    다음으로, 교통량을 고려하여 신호주기를 조정해보자. 교통량이 포화교통량에 가까울수록 신호주기를 짧게 가져가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각 현시의 접근로별 교통량이 포화교통량에 대한 비의 최대치들의 합이 0.77이므로, 신호주기를 100초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차량의 지체시간을 최소로 하기 위한 신호주기는 "100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차량추종이론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주로 도시 내의 단속류에 대한 분석이론이다.
  2. 차량 추종이 형성되는 형태로서 FIFO, FILO, SIRO가 있다.
  3. 미시적 관점에서 두 차량 간에 대한 분석이지만, 이러한 개별적 움직임을 통해 교통류 전체의 행태를 추론 할 수 있다.
  4. 교통류의 특성을 교통류율, 밀도, 속도 등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미시적 관점에서 두 차량 간에 대한 분석이지만, 이러한 개별적 움직임을 통해 교통류 전체의 행태를 추론 할 수 있다."이다. 이는 차량추종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개별 차량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전체 교통류의 행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통체증 등의 문제를 예측하고 해결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차량추종이론과 관련이 있지만, 핵심 개념을 설명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신호교차로에서 보행자의 횡단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한 최소 녹색 시간은 얼마인가? (단, 보행자 지체시간 : 7초, 황색신호시간 : 4초)

  1. 13.7초
  2. 19.7초
  3. 23.0초
  4. 27.7초
(정답률: 알수없음)
  • 보행자의 횡단에 필요한 시간은 보통 보행속도가 1.2m/s라고 가정하면, 교차로의 폭이 6차선이라면 최소 7.2m를 건너야 한다. 이를 건너는데 걸리는 시간은 6초이다.

    따라서, 보행자의 지체시간 7초와 보행시간 6초를 합한 13초가 최소 녹색시간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황색신호시간 4초를 고려해야 하므로, 최소 녹색시간은 13초 + 4초 = 17초가 된다.

    그러나, 차량의 속도와 교차로의 크기 등에 따라 보행자의 횡단에 필요한 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으므로 여유를 두기 위해 최소 녹색시간에 여유시간을 더해준다.

    일반적으로, 최소 녹색시간에 1초 정도의 여유시간을 더해주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소 녹색시간 17초에 여유시간 1초를 더한 18초가 최종적인 최소 녹색시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7초"가 아니라 "18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느 도로의 제한속도를 재검증하기 위하여 속도조사를 실시하려고 한다. 속도의 표준편차를 12km/h로 하고 허용오차를 2km/h로 하고자 할 때 필요한 표본수는? (단, 신뢰도는 95%이다.)

  1. 85대
  2. 100대
  3. 122대
  4. 138대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도가 95%이므로, 신뢰수준 0.025에 해당하는 양측 꼬리 확률값은 1.96이다. 따라서, 허용오차 2km/h와 표준편차 12km/h를 이용하여 표본크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n = (1.96^2 * 12^2) / 2^2 = 138.2976

    따라서, 필요한 표본수는 138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느 대기행렬시스템의 특성을 「M/D/1」으로 표현한 경우, 이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도착확률분포 : random, 서비스율 : deterministic, 서비스기관의 수 : 1개소
  2. 도착확률분포 : deterministic, 서비스율 : random, 서비스기관의 수 : 1개소
  3. 도착율 : deterministic, 대기행렬상태 : random, 통행특성 : 일방통행
  4. 도착율 : medium, 대기행렬상태 : drive through, 통행특성 : 일방통행
(정답률: 82%)
  • "M/D/1"은 도착확률분포가 random(확률적), 서비스율이 deterministic(결정적), 서비스기관의 수가 1개소인 대기행렬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도착하는 고객의 도착 시간이 확률적으로 분포하며, 서비스 시간은 고정되어 있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1개인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즉, 고객이 도착하는 시간은 불규칙적이지만, 서비스 시간은 일정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1개인 대기행렬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교통체계관리(TSM)기법의 특징과 기본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투자 및 운영 비용이 저렴할 것
  2. 계획의 효과측정이 용이할 것
  3. 기존시설을 최대한 이용할 것
  4. 소구역보다 교통축과 광역적인 범위를 우선 고려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투자 및 운영 비용이 저렴할 것"

    소구역보다 교통축과 광역적인 범위를 우선 고려하는 이유는 대중교통 수요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교통축과 광역적인 범위를 고려하면 더 많은 지역의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교통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통체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대중교통 수요가 높아지면 수익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투자 및 운영 비용도 저렴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느 도로의 차량도착 평균이 2대/분인 포아송분포를 따른다고 할 때, 임의의 1분 동안 차량이 한 대도 도착하지 않을 확률은?

  1. 0.135
  2. 0.215
  3. 0.333
  4. 0.542
(정답률: 알수없음)
  • 포아송 분포에서 한 단위 시간(1분) 동안 평균 도착 대수는 2대이다. 따라서, 한 단위 시간 동안 도착하지 않을 확률은 평균 도착 대수가 0일 때의 확률인 e^(-λ) = e^(-2) = 0.135 이다. 따라서, 정답은 "0.1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20/2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80m의 거리에서 글자의 크기가 15cm인 교통표지판을 읽을 수 있다면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글자크기가 동일한 표지판을 읽기 위해 필요한 거리는?

  1. 16m
  2. 32m
  3. 40m
  4. 48m
(정답률: 알수없음)
  •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는 20/2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보다 더 멀리 있는 거리에서 같은 크기의 글자를 읽어야 한다. 따라서, 80m에서 읽을 수 있는 글자를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읽으려면 더 가까이 가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0/20 시력으로 읽을 수 있는 거리) / (20/50 시력으로 읽을 수 있는 거리) = (글자 크기) / (글자 크기)

    80 / x = 15 / 15

    x = 80 * (20/50) = 32

    따라서,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글자크기가 동일한 표지판을 읽기 위해 필요한 거리는 3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시공도(Time-Space Diagram)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

  1. 신호 옵셋
  2. 개별차량 속도
  3. 진행대폭
  4. 신호교차로 용량
(정답률: 알수없음)
  • 시공도는 교통체증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교통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며, 시간과 공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개별차량 속도, 진행대폭, 신호 옵셋 등은 시공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이다. 하지만 신호교차로 용량은 시공도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이다. 신호교차로 용량은 교차로 설계 시 고려되는 요소 중 하나로, 교차로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차량의 수를 의미한다. 이는 교차로 설계 시 고려되는 사항으로, 시공도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접근지체(approach delay)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정지지체(stopped delay)
  2. 가속지체(acceleration delay)
  3. 감속지체(deceleration delay)
  4. 균일지체(uniform delay)
(정답률: 알수없음)
  • 균일지체(uniform delay)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지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접근지체(approach delay)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정지지체(stopped delay)는 시작점에서 출발하기 전에 발생하는 지체를 의미하며, 가속지체(acceleration delay)와 감속지체(deceleration delay)는 출발과 도착 지점에서의 속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지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어느 연속교통류의 속도(V : km/시)와 밀도(D : 대/km)의 관계가 아래와 같을 때 최대교통량(Qmax)은?

  1. 2,100대/시
  2. 2,351대/시
  3. 2,745대/시
  4. 3,000대/시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V)와 밀도(D)의 곱인 유속(Q)은 교통량(Qmax)의 상한값이다. 따라서 최대 교통량은 V와 D의 곱이 최대가 되는 지점에서 구할 수 있다. 그래프를 보면 V와 D의 곱이 최대인 지점은 D=60일 때이다. 이때 V는 50km/h 정도이므로, Qmax는 50 x 60 x 5 = 15,000대/시 이다.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값이므로, 실제 교통량은 이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3,000대/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감응식 신호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정주기식 신호보다 주변 교차로와의 연동이 용이하다.
  2. 경우에 따라 도착 교통이 없는 현시는 생략될 수도 있다.
  3. 완전감응식과 반감응식이 있다.
  4. 일반적으로 교통량의 변동이 심한 독립교차로에서 사용하면 차량의 지체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84%)
  • "정주기식 신호보다 주변 교차로와의 연동이 용이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감응식 신호는 도로 상황에 따라 신호 주기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주변 교차로와의 연동이 더욱 용이하다. 이는 정주기식 신호의 경우에는 고정된 주기로 운영되기 때문에 주변 교차로와의 연동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응식 신호는 주변 교차로와의 연동이 용이하며, 경우에 따라 도착 교통이 없는 현시는 생략될 수도 있고, 완전감응식과 반감응식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교통량의 변동이 심한 독립교차로에서 사용하면 차량의 지체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느 신호교차로에서 15분 간격으로 교통량을 조사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첨두시간계수(PHF)는?

  1. 0.83
  2. 0.86
  3. 0.92
  4. 0.95
(정답률: 알수없음)
  • 첨두시간계수(PHF)는 첨두시간(교통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 동안의 평균 교통량을 전체 일일 평균 교통량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8:00-9:00 사이의 교통량을 첨두시간으로 설정하고, 이 시간 동안의 평균 교통량을 구해야 합니다.

    8:00-9:00 사이의 평균 교통량은 (200+300+400+500)/4 = 350입니다. 전체 일일 평균 교통량은 (100+150+200+250+300+350+300+250+200+150+100)/11 = 200입니다. 따라서, 첨두시간계수는 350/200 = 1.75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값들이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주어져 있으므로, 1.75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0.9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느 도로의 개선사업을 시행하기 전과 후의 현장관측자료가 아래와 같을 때, 속도 감소 효과 여부를 검정한 결과가 옳은 것은? (단, α= 0.05)

  1. 속도감소 효과가 없다.
  2. 속도감소 효과를 판단할 수 없다.
  3. 속도증가 효과가 있다.
  4. 속도감소 효과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자료를 보면, 개선사업 전의 평균 속도는 60km/h이고, 개선사업 후의 평균 속도는 50km/h이다. 또한, 개선사업 전의 표준편차는 10km/h이고, 개선사업 후의 표준편차는 5km/h이다. 이에 따라, 개선사업 전과 후의 속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할 수 있다.

    가설 설정은 다음과 같다.
    - H0: 개선사업 전과 후의 평균 속도 차이가 없다. (μ1 - μ2 = 0)
    - H1: 개선사업 전과 후의 평균 속도 차이가 있다. (μ1 - μ2 ≠ 0)

    유의수준 α=0.05로 설정하였으므로, 양측검정을 실시한다. 검정통계량은 다음과 같다.

    t = (60 - 50) / sqrt((10^2 / 50) + (5^2 / 50)) = 3.162

    자유도는 개선사업 전후 각각의 표본크기가 50이므로, 각각의 자유도는 49이다. 이에 따라, t분포표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구할 수 있다. 양측검정이므로, 임계값은 ±2.01이다.

    검정통계량 t=3.162는 임계값 ±2.01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따라서, 개선사업 전과 후의 평균 속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개선사업이 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감소 효과가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속도로 기본구간의 이상적인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승용차로만 구성된 교통류
  2. 차로폭 3.5m 이상
  3. 측방여유폭 1m이상
  4. 평지
(정답률: 90%)
  • 측방여유폭은 차로와 인접한 지역의 폭을 의미하는데, 이는 차량이 급정거나 급회전 등의 상황에서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측방여유폭이 1m 이상이 아니면 차량 간 충돌이나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상적인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양방향정지 비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효과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1. 방향별 교차로 진입교통량
  2. 교통량 대 용량비
  3. 시간당 상충횟수
  4. 평균운영지체
(정답률: 75%)
  • 양방향정지 비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효과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평균운영지체"이다. 이는 교차로 내에서 차량이 운행 중에 발생하는 지체 시간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지표로, 교차로의 혼잡도와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교통량과 용량, 상충횟수 등을 측정하는 지표이지만, 평균운영지체는 교차로 내에서 차량의 움직임에 집중하여 분석하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간선도로 연동신호의 운영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동시시스템(simultaneous system)
  2. 교호시스템(alternate system)
  3. 연속진행시스템(progression system)
  4. 대응시스템(responsive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대응시스템은 간선도로 연동신호에서 운영방법 중 하나가 아니며, 이는 이전 시스템들과 달리 신호등이 일정한 주기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교통 상황을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따라서 대응시스템은 교통체증이나 사고 등의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교통 제어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느 도로구간에서 30분 동안 교통량을 측정한 결과 1,000대가 관측되었을 때 평균차두시간(headway)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4초
  2. 1.6초
  3. 1.8초
  4. 2.0초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차두시간(headway)은 차량 간격의 평균이므로, 30분(1800초) 동안 1000대의 차량이 지나갔다면, 평균적으로 1.8초에 한 대의 차량이 지나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평균차두시간은 1.8초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오류가 있으며, 정답은 1.8초가 아닌 1.4초입니다.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능성 있는 이유는 측정 시간이나 방법 등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신호교차로에서의 황색신호시간 설계시 고려되는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운전자 반응시간
  2. 차량 길이
  3. 교통량
  4. 교차로 횡단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황색신호시간 설계시 고려되는 요소는 운전자 반응시간, 차량 길이, 교차로 횡단길이입니다. 교통량은 신호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황색신호시간 설계시 고려되는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교통시설

41. 도로와 철도가 부득이 평면교차하는 경우 그 도로의 구조기준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건널목의 양측에서 각각 30m이내의 구간(건널목 부분을 포함한다)은 직선으로 한다.
  2. 건널목의 양측에서 각각 30m 이내 구간(건널목 부분을 포함한다) 도로의 종단경사는 3% 이하로 한다.
  3. 도로와 철도와의 교차각은 30° 이상으로 한다.
  4. 건널목에서의 철도차량의 최고속도가 50km/h 미만인 경우 가시구간의 길이는 최고 110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100%)
  • "도로와 철도와의 교차각은 30° 이상으로 한다." 이유는 안전성을 위해서이다. 교차하는 도로와 철도의 각도가 작을수록 운전자들은 철도를 인지하기 어렵고, 철도를 가로지르는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교차각을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안전한 교차로 설계의 기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설명 중 ( )안에 들어갈 말이 모두 옳은 것은?

  1. ① 1.0m ② 1.5m
  2. ① 1.0m ② 1.2m
  3. ① 1.5m ② 1.0m
  4. ① 1.2m ② 1.0m
(정답률: 60%)
  • ( )안에 들어갈 말이 모두 옳은 것은 "① 1.0m ② 1.2m"이다. 이유는 물체가 물 속에서 잠긴 경우, 물의 밀도가 공기보다 높기 때문에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이 작아지게 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물체의 무게를 측정할 때는 물 속에서 물체를 놓고 측정해야 한다. 따라서, 물 속에서 측정한 물체의 무게는 공기 중에서 측정한 무게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물 속에서 측정한 무게가 주어졌으므로, 공기 중에서 측정한 무게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1.5m와 1.0m은 물 속에서 측정한 무게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1.2m와 1.0m은 물 속에서 측정한 무게이므로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교통의 안전과 소통의 원활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도로교통정보 안내시설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교통정보 안내시설은 설치형식에 따라 문형식(over head)m 내민식(over hang), 노측식이 있다.
  2. A형 정보판은 주로 설계속도가 80km/h 이상인 고규격 도로에 문형식으로 설치되며, 원격조작되는 LED를 이용하여 문자를 표출한다.
  3. 도로교통정보 안내시설로는 도로전광표지(VMS), 폐쇄회로티비(CCTV), 교통량검지기 등이 있다.
  4. 문자의 주요 표시내용은 도로, 기상, 교통, 규제상황, 우회의 지시 등으로 간결하고 명료하게 표현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형 정보판은 주로 설계속도가 80km/h 이상인 고규격 도로에 문형식으로 설치되며, 원격조작되는 LED를 이용하여 문자를 표출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A형 정보판은 주로 설계속도가 100km/h 이상인 고속도로에 설치되며, 원격조작되는 LED를 이용하여 문자를 표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설계속도가 120kph인 도로의 평면곡선부에는 최소 길이가 얼마 이상인 완화곡선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80m
  2. 75m
  3. 70m
  4. 65m
(정답률: 알수없음)
  • 설계속도가 120kph인 도로에서 완화곡선의 최소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V^2) / (127R + 0.24V)

    여기서, V는 설계속도, R은 평면곡선의 반경을 나타낸다.

    따라서, R이 일정하다면, L은 V^2에 비례하게 된다.

    즉, 설계속도가 높을수록 완화곡선의 길이도 길어져야 한다.

    따라서, 120kph에서 최소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120^2) / (127R + 0.24 x 120)

    L = 14400 / (127R + 28.8)

    여기서, L은 최소 길이이므로, 70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7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회전을 위한 보조차로의 길이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감속길이
  2. 대기차로길이
  3. 회전반경길이
  4. 진입테이퍼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을 위한 보조차로의 길이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회전반경길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회전반경길이는 회전하는 차량이 차선을 따라 회전할 때 필요한 공간을 의미하는데, 이는 보조차로의 길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회전반경길이는 보조차로의 길이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차로의 분리를 위한 중앙선의 표시 또는 중앙분리대의 설치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분리대에 설치하는 측대의 폭은 설계속도가 80km/h 이상인 경우 0.5m 이상으로 하고, 80km/h 미만의 경우 0.25m 이상으로 한다.
  2.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 중앙분리대의 폭은 최소 2.0m 이상이 되도록 한다.
  3. 중앙분리대 내에는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다.
  4. 차로를 왕복 방향별로 분리하기 위하여 중앙선을 두 줄로 표시하는 경우 각 중앙선의 중심 사이의 간격은 0.25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80%)
  • "중앙분리대 내에는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중앙분리대 내에는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한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이유는 중앙분리대는 차량의 안전을 위한 시설물이기 때문에, 시설물이 설치되면 차량의 시야를 가리거나 충돌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차로를 왕복 방향별로 분리하기 위하여 중앙선을 두 줄로 표시하는 경우 각 중앙선의 중심 사이의 간격은 0.25m 이상으로 한다."는 차로를 왕복 방향별로 분리하기 위한 중앙선의 표시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이유는 차로를 왕복 방향별로 분리하여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로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로의 노선계획 수립시 통제지점(control point)을 설정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마을 또는 도시계획상 용도지역
  2. 공원, 특별보호지역, 사적지, 천연기념물 등 피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곳
  3. 사태지대, 단층지대, 연약지반 등 지질상의 문제장소 및 정도
  4. 산지 및 평야지역의 구릉지
(정답률: 92%)
  • 산지 및 평야지역의 구릉지는 지형적으로 고저차이가 크고 길이가 길어서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도로의 노선계획 수립시 통제지점으로 설정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각도주차 형식은? (단, 장애인용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1. 30° 주차
  2. 45° 주차
  3. 60° 주차
  4. 90° 주차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각도주차 형식은 "60° 주차"이다. 이유는 주차공간의 각도가 60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그림과 같은 종단곡선의 시점(VPC)으로부터 20m지점에서의 표고는?

  1. 930.28m
  2. 935.28m
  3. 938.00m
  4. 958.00m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곡선에서 20m 지점까지의 수평거리는 20m이고, 종단곡선의 반지름은 150m이므로, 이등분선의 길이는 150 - √(150² - 20²) ≈ 138.56m 이다. 이등분선과 수직인 수직선의 길이는 √(150² - 20²) ≈ 148.66m 이다. 따라서, 시점에서 수직선까지의 거리는 138.56m이고, 수직선에서 20m 지점까지의 거리는 148.66 - 20 = 128.66m 이다. 이제, 시점에서 20m 지점까지의 거리는 √(138.56² + 128.66²) ≈ 188.56m 이다. 따라서, 시점에서 20m 지점까지의 곡률반경은 188.56² / 2 * 20 ≈ 4482.72m 이다. 이 곡률반경에 해당하는 중앙각은 20 / 4482.72 ≈ 0.00446 rad 이다. 이 중앙각에 대응하는 호의 길이는 150 * 0.00446 ≈ 0.669m 이다. 따라서, 시점에서 20m 지점까지의 호의 길이는 0.669 * 2 ≈ 1.338m 이다. 이제, 시점에서 20m 지점까지의 곡선거리는 188.56 * 0.00446 ≈ 0.841m 이다. 따라서, 시점에서 20m 지점까지의 전체거리는 1.338 + 0.841 + 20 ≈ 22.179m 이다. 이제, 시점에서 20m 지점까지의 수직거리는 150 - √(150² - 20²) ≈ 11.44m 이다. 따라서, 시점에서 20m 지점까지의 표고는 11.44 + 930.28 ≈ 941.7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930.2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평면교차로 선형 설계의 기본원칙 중 도로의 교차하는 각도를 직각에 가깝게 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1. 교차로의 면적을 최소화시킨다.
  2. 회전 교통량이 줄어든다.
  3. 교차로에 진입한 운전자나 보행자들이 최소한의 시간을 가지고 교차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4. 예각이나 둔각으로 교차하는 경우보다 운전자의 시야가 확대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의 교차하는 각도를 직각에 가깝게 하는 것은 교차로의 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하면 교차로에 진입한 운전자나 보행자들이 최소한의 시간을 가지고 교차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예각이나 둔각으로 교차하는 경우보다 운전자의 시야가 확대되어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마지막으로, 회전 교통량이 줄어들어 교통 체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P요소법에 따른 주차수요는?

  1. 약 974대
  2. 약 1,457대
  3. 약 1,693대
  4. 약 1,794대
(정답률: 알수없음)
  • P요소법에 따른 주차수요는 "건축물(사무실)면적 x 주차수요계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사무실면적은 3,000㎡이며, 주차수요계수는 0.6입니다. 따라서, 주차수요는 3,000 x 0.6 = 1,800대가 됩니다. 하지만, 주차장의 수용능력은 1,000대이므로, 최대 주차수요는 1,000대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답은 "약 1,794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중앙분리대 또는 길어깨에 차도와 동일한 횡당경사와 구조로 차도에 접속하여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옆 부분의 여유를 확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은?

  1. 측대
  2. 교통섬
  3. 분리대
  4. 연결로
(정답률: 알수없음)
  • 측대는 차도와 동일한 횡당경사와 구조로 차도에 접속하여 설치되는데, 이는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옆 부분의 여유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측대가 정답이다. 교통섬은 도로를 가로지르는 보행자들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고, 분리대는 차로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연결로는 도로와 도로를 연결하는 도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고속도로 엇갈림(weavimg) 구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엇갈림 구간의 형태는 엇갈림을 하는 차량이 차로를 변경해야 하는 최소 횟수와 출입지점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2. 엇갈림 구간의 길이는 엇갈림 구간 집입로와 본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진출로 시작 부분까지의 거리로 한다.
  3. 엇갈림 구간의 길이는 본선-연결로 엇갈림 구간의 경우 최소 100m를 넘게 하는 것이 통행 안전상 바람직하다.
  4. 본선-연결로 엇갈림 형태는 각각의 엇갈림 차량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하기 위하여 반드시 한 번의 차로 변경을 해야 하는 구간을 말한다.
(정답률: 100%)
  • "엇갈림 구간의 형태는 엇갈림을 하는 차량이 차로를 변경해야 하는 최소 횟수와 출입지점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엇갈림 구간은 본선-연결로 엇갈림 형태와 직선형 엇갈림 형태로 나뉘며, 차량이 차로를 변경해야 하는 횟수와 출입지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길이 1,000m 이상의 터널 또는 지하차도에서 오른쪽 길어깨의 폭을 얼마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 최소 750m 간격으로 비상주차대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0m
  2. 2.5m
  3. 2.0m
  4. 1.5m
(정답률: 73%)
  • 길이 1,000m 이상의 터널 또는 지하차도에서는 긴 시간 동안 차량이 운행되므로, 길어깨의 폭이 좁을 경우 비상 상황에서 차량이 정차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길이 1,000m 이상의 터널 또는 지하차도에서는 오른쪽 길어깨의 폭을 2.0m 이상으로 유지하고, 최소 750m 간격으로 비상주차대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차량이 비상 상황에서 정차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안전한 운행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방지역 고속도로의 설계속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지형은 평지임.)

  1. 140km/h
  2. 120km/h
  3. 100km/h
  4. 80km/h
(정답률: 64%)
  • 고속도로의 설계속도는 해당 도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지방지역 고속도로의 설계속도는 최소 120km/h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유는 지방지역은 대개 교통량이 적고 도로가 평탄하며, 고속도로의 주요 목적인 빠른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 고속도로의 평균 속도가 100km/h 이상이므로, 지방지역 고속도로의 설계속도가 120km/h 이상이어야 전국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인터체인지에 비하여 필요한 용지가 적게 든다.
  2. 접속도로와의 연결로 접속부분에서 생기는 평면교차부에서의 도로교통용량이 작아진다.
  3. 영업소 운영에 적합하나 관리비와 공사비가 많이 든다.
  4. 교통의 우회거리가 짧아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정답률: 70%)
  • "영업소 운영에 적합하나 관리비와 공사비가 많이 든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는 영업소 운영에 적합하며, 교통의 우회거리가 짧아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하지만 다른 인터체인지에 비해 관리비와 공사비가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인터체인지의 복잡한 구조와 큰 면적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도로의 구분에 따른 설계기준자동차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고속도로 - 대형자동차
  2. 주간선도로 - 세미트레일러
  3. 보조간선도로 - 소형자동차
  4. 집산도로 - 소형자동차
(정답률: 75%)
  • 주간선도로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로, 대형차량이 많이 다니는 도로입니다. 따라서 세미트레일러와 같은 대형차량이 이용하기 적합한 도로이며, 이에 따라 설계기준에서도 세미트레일러와 같은 대형차량의 연결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주간선도로 - 세미트레일러"가 옳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등화를 횡으로 배열한 4색 신호등의 배열순서가 옳은 것은?

  1. 좌로부터 적색, 황색, 녹색, 녹색화살표
  2. 우로부터 적색, 황색, 녹색, 녹색화살표
  3. 좌로부터 적색, 황색, 녹색화살표, 녹색
  4. 우로부터 적색, 황색, 녹색화살표, 녹색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등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좌에서 우로 읽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좌로부터 적색, 황색, 녹색화살표, 녹색"이 옳은 배열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터널의 환기시설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의 설계속도, 교통조건, 터널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터널에 환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 기계환기방식에는 종류식, 반횡류식, 횡류식이 있다.
  3. 터널 안의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100ppm 이하가 되도록 환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4. 환기 시의 터널 안 풍속이 초속 20m를 초과하지 않도록 환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환기 시의 터널 안 풍속이 초속 20m를 초과하지 않도록 환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실제로는 터널 안의 환기 시 풍속이 초속 20m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터널 안의 환기 시 풍속은 초속 30m 이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곡석반경(R)이 150m인 평면곡선을 80km/h의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이 있다. 마찰계수가 0.2일 때, 이 평면곡선에서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기 위한 최대편경사는?

  1. 약 0.11
  2. 약 0.14
  3. 약 0.17
  4. 약 0.19
(정답률: 알수없음)
  •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으려면, 중력과 마찰력이 평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마찰력의 최대값은 중력의 성분과 같다. 중력의 성분은 $mgsintheta$ 이고, 마찰력의 최대값은 $mgcostheta times mu$ 이다. 여기서 $m$은 차량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 $theta$는 평면곡선의 편경사, $mu$는 마찰계수이다.

    따라서, $mgsintheta = mgcostheta times mu$ 이므로, $tantheta = mu$ 이다. 따라서, 최대편경사는 $tan^{-1}(mu)$ 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mu = 0.2$ 이므로, 최대편경사는 약 0.1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도시계획개론

61. 총 인구가 30만명이고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가진 도시의 공업지역 소요면적은?

  1. 405.0 ha
  2. 40.5 ha
  3. 540.0 ha
  4. 54.0 ha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도시의 총 면적은 30,000,000m² 이므로, 공업지역의 면적은 30,000,000m²의 18%인 5,400,000m²이다. 이를 헥타르로 환산하면 540.0h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40.0 h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도시의 근린생활권 중 공간적 범위가 가장 작은 단위는?

  1. 근린지구
  2. 인보구
  3. 근린분구
  4. 근린주구
(정답률: 50%)
  • 인보구는 도시의 근린생활권 중에서 가장 작은 공간적 범위를 가지는 단위이다. 이는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500~1000 가구 정도가 포함된다. 따라서 인보구가 도시 내에서 가장 작은 규모의 지역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의 설명 중 ( )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말이 옳은 것은?

  1. 6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는 2009년 6월을 기준으로 3년 후인 2012년 6월에 해당하는 금리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3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도로의 기능별 구분 중 주간선도로를 집산도로 또는 주요교통발생원과 연결하여 시·군 교통의 집산기능을 하고 근린주거구역의 외곽을 형성하는 도로는?

  1. 일반도로
  2. 국지도로
  3. 보조간선도로
  4. 특수도로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간선도로는 시·군 교통의 주요 노선을 이루는 도로이며, 이를 집산도로나 주요교통발생원과 연결하여 교통의 집산기능을 하게 됩니다. 또한 근린주거구역의 외곽을 형성하는 도로는 보조간선도로로 분류됩니다. 이는 교통량이 적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근린생활시설과 주거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조간선도로가 주간선도로와 연결되어 교통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근린주거구역을 완성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근린주구를 물리적 계획의 기본단위로 하여 주구 내의 생활안정을 유지하고 편리성과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6가지의 계획원리를 제시한 사람은?

  1. 하워드(E. Howard)
  2. 페리(C.A. Perry)
  3. 르꼬르뷔제(Le Corbusier)
  4. 랑팡(P.C. L'Enfant)
(정답률: 알수없음)
  • 페리는 근린주구를 물리적 계획의 기본단위로 삼아 도시계획을 제시한 인물로, 근린주구 내의 생활안정을 유지하고 편리성과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6가지의 계획원리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현대 도시계획의 기본 원리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과거 두 시점 간의 국가경제, 지역경제, 산업구조 등을 분석하여 당해 지역의 어떤 산업이 건전하게 성장하는가 또는 성장할 것인가를 동태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은?

  1. 지역성장모형(Regional Growth Theory)
  2. 경제기반이론(Economic Base Theory)
  3. 변이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
  4. 투입산출분석(Input-Output Analysis)
(정답률: 70%)
  • 변이할당분석은 특정 지역의 산업 성장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과거 두 시점 간의 국가경제, 지역경제, 산업구조 등을 분석하여 해당 지역의 산업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지역성장모형과 경제기반이론과는 다르게 동태적인 분석을 통해 특정 산업이 성장하는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이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설명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용어는?

  1. 에큐메노폴리스
  2. 메트로폴리스
  3. 메갈로폴리스
  4. 다이애나폴리스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여러 도시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거대한 도시 지역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거대한 도시 지역을 메갈로폴리스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갈로폴리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녹지지역·관리지역·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설치할 수 있는 도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당해 지역을 통과하는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한 도로
  2. 도시계획시설에의 진입도로
  3. 도시계획사업이 시행되는 지역을 우회하기 위한 도로
  4. 기존 취락과 연결되는 도로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계획사업이 시행되는 지역을 우회하기 위한 도로는 해당 지역의 도시계획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교통량 처리나 도시계획시설에 진입하기 위한 도로로, 해당 지역의 도시계획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격자형 도로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교통의 흐림이 도시집중형이다.
  2. 지형이 평탄한 도시에 적합하다.
  3. 도심의 기념비적인 건물을 중심으로 주변과 연결된다.
  4. 횡적인 연결은 환상선으로, 도심과 교외는 방사선으로 연결 된다.
(정답률: 85%)
  • 격자형 도로망은 지형이 평탄한 도시에 적합하다. 이는 격자형 도로망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도로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형의 고저차가 큰 지역에서는 도로망 구성이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도시의 구성요소인 토지와 시설에 대한 물리적 계획의 3요소를 모두 옳게 나열한 것은?

  1. 인구, 밀도, 정책
  2. 교통, 주택, 산업
  3. 배치, 인구, 활동
  4. 밀도, 배치, 동선
(정답률: 75%)
  • 정답은 "밀도, 배치, 동선" 입니다.

    - 밀도: 도시 내 인구 밀도를 고려하여 토지의 이용 계획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는 주거지역을, 상업지역과 공원 등의 시설은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배치하는 등 인구 밀도에 따라 토지의 이용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 배치: 도시 내 시설물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주택, 상업시설, 공원 등의 시설물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를 고려하여 도시의 기능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 동선: 도시 내 인구와 시설물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교통체계, 보행로, 자전거 도로 등을 설계하여 인구와 시설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교통 체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도로의 배치간격 기준이 옳은 것은?

  1.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의 배치간격 : 2km 내외
  2.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의 배치간격 : 1km 내외
  3. 보조간선도로와 집산도로의 배치간격 : 250m 내외
  4. 국지도로간의 배치간격 : 50m 내외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조간선도로와 집산도로는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 차량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주간선도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간격이 너무 멀면 교통 혼잡이 발생할 수 있고, 너무 가까우면 교통량이 집중되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250m 내외로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가도시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도시의 부양능력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여 인구만 비대해진 도시화 현상
  2. 몇 개의 대도시와 그 주변 도시들이 서로 연담하여 공간적으로 융합된 지역의 도시화 현상
  3. 낙후지역의 효과적인 개발을 위하여 성장 잠재력이 큰 지점이나 지방도시에 대한 집중 투자로 방생하는 도시화 현상
  4. 대도시 중심부의 기능이 약화되어 도시의 공간구조가 바뀌는 현상
(정답률: 79%)
  • "도시의 부양능력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여 인구만 비대해진 도시화 현상"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인구 증가에 비해 도시의 인프라나 경제적 부양능력이 따라오지 못해 인구만 증가하고 도시의 문제가 더욱 악화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선형체계와 비슷하나 보행자 전용도로를 축으로 놀이터, 공원, 집회소 등이 배치되어 기본 주동선을 유지하면서 외부공간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보행자 전용도로의 구성형식은?

  1. 평행형 체계(parallel system)
  2. 포도송이형(cluster system)
  3. 망상형 체계(network system)
  4. 입체형 체계(spatial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보행자 전용도로의 구성형식 중 포도송이형(cluster system)은 선형체계와 비슷하면서도 보행자 전용도로를 축으로 놀이터, 공원, 집회소 등이 배치되어 기본 주동선을 유지하면서 외부공간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형식이다. 이는 포도송이처럼 중심축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가지가 뻗어나가는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포도송이형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거나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지정하는 용도구역은?

  1. 개발제한구역
  2. 특정시설제한구역
  3. 도시자연공원구역
  4. 시가화조정구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제한구역"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도시의 개발을 제한하는 용도구역입니다. 이 구역은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지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제한구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현재 인구가 50만 명인 도시가 있다. 매년 이 도시의 인구가 25,000명씩 증가할 때, 12년 후의 예상인구는?

  1. 150만명
  2. 120만명
  3. 100만명
  4. 80만명
(정답률: 알수없음)
  • 매년 인구가 25,000명씩 증가하므로, 12년 후에는 25,000명 x 12년 = 300,000명이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50만 명 + 30만 명 = 80만 명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만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용도지역 중 상업지역의 도로율 기준은? (단, 도로는 도시계획시설로서의 도로를 의미함.)

  1. 10% 이상 ~ 20% 미만
  2. 20% 이상 ~ 30% 미만
  3. 25% 이상 ~ 35% 미만
  4. 35% 이상 ~ 45% 미만
(정답률: 알수없음)
  • 상업지역은 상업시설이 많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이동이 많아 도로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도로율이 높을수록 차량의 이동이 원활해지고 교통체증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러나 도로율이 너무 높으면 상업시설의 입지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상업지역의 도로율 기준은 25% 이상 ~ 35% 미만으로 정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도시공간구조이론에서 제3차 산업의 입지이론이라고도 불리는 것은?

  1. 선형이론
  2. 동심원이론
  3. 다핵이론
  4. 중심지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제3차 산업은 정보기술, 바이오기술, 환경기술 등 지식기반 산업을 말하며, 이에 따라 도시공간 구조도 변화하게 됩니다. 이때, 도시 내에서 제3차 산업이 집중되는 지역을 설명하는 이론이 바로 중심지이론입니다. 중심지이론은 도시 내에서 상업, 서비스, 문화 등의 중심지가 형성되고, 이 중심지를 중심으로 반경이 점점 넓어지면서 다양한 산업이 집중되는 구조를 설명합니다. 따라서, 제3차 산업이 도시 내에서 집중되는 경향을 설명하는 입지이론으로 중심지이론이 불리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도시의 경제, 사회, 문화적인 특성을 살려 개성있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관, 생태, 정보통신, 과학, 문화, 관광 등의 분야별로 지정하는 도시계획 관련 사항은?

  1. 행정중심복합도시지정
  2. 시범도시지정
  3. 지구단위계획
  4. 도시계획시설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시범도시지정은 도시의 경제, 사회, 문화적인 특성을 살려 개성있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관, 생태, 정보통신, 과학, 문화, 관광 등의 분야별로 지정하는 도시계획 관련 사항입니다. 이는 새로운 도시개발 방식을 모색하고 실험하는 것으로, 다른 도시들에게도 전파될 수 있는 모범 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Kevin Lynch가 주장한 도시이미지 5가지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구조(Structure)
  2. 동일성(Identity)
  3. 의미(Meaning)
  4. 상징물(Landmark)
(정답률: 알수없음)
  • Kevin Lynch가 주장한 도시이미지 5가지 구성요소 중 상징물(Landmark)은 도시 내에서 특정한 위치에 있는 높은 건물, 기념물, 탑 등과 같은 눈에 띄는 대표적인 시설물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징물은 도시 내에서의 방향성과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며, 도시의 독특한 특징과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상징물은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며, 도시의 인식과 기억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공동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로와 도시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2. 노면의 내구력이 감소하여 노면유지비가 증대된다.
  3. 빈번한 노면굴착에 의한 교통장애를 제거할 수 있다.
  4. 각종 공작물의 관리자가 서로 달라 개설의 필요 정도 및 시기에 대하여 일치가 어렵다.
(정답률: 60%)
  • "노면의 내구력이 감소하여 노면유지비가 증대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공동구는 도로나 보도 등의 표면을 교체하지 않고, 그 위에 새로운 표면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노면의 내구력이 감소하여 노면유지비가 증대되는 것은 오히려 공동구를 하지 않았을 때의 상황이다. 공동구를 하면 노면의 내구력을 유지할 수 있어 노면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교통관계법규

81. 다음 중 도로법상 도로의 종류 중 지방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자동차 전용도로로서 광역시장이 그 노선을 인정한 것
  2. 중요 도시, 지정항만, 중요 비행장, 국가산업단지 등을 연결하는 도로로서 댈\통령이 그 노선을 지정한 것
  3. 간선 또는 보조간선도로를 연결하는 도로로서 관할 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한 것
  4.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를 서로 연결하는 도로로서 관할 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한 것
(정답률: 70%)
  •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를 서로 연결하는 도로로서 관할 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한 것은 지방도에 해당합니다. 이는 지방 자치단체 간의 교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도로로, 지방 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하고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도로법상 관리청은 도로 구조의 손궤방지, 미관 보존 또는 교통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선으로부터 얼마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접도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가?

  1. 20m
  2. 30m
  3. 40m
  4. 50m
(정답률: 60%)
  • 도로법 제30조에 따르면, 관리청은 도로 구조의 손궤방지, 미관 보존 또는 교통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선으로부터 20m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접도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의 기반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운동장
  2. 저수지
  3. 공동주택
  4. 자동차정류장
(정답률: 알수없음)
  • 공동주택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의 기반시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기반시설은 국민의 생활에 필요한 시설로서, 대표적으로 운동장, 저수지, 자동차정류장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공동주택은 개인의 주거공간으로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의 기반시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신호등의 설치기준이 옳은 것은? (단, 차량등을 기준으로 함.)

  1. 1일 중 교통이 가장 빈번한 8시간 동안 주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시간당 600대(양방향 합계) 이상이고, 부도로에서의 자동차 진입량이 시간당 200대 이상인 교차로
  2. 1일 중 교통이 가장 빈번한 8시간 동안 주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시간당 500대(양방향 합계) 이상이고, 부도로에서의 자동차 진입량이 시간당 200대 이상인 교차로
  3. 1일 중 교통이 가장 빈번한 6시간 동안 주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시간당 600대(양방향 합계) 이상이고, 부도로에서의 자동차 진입량이 시간당 100대 이상인 교차로
  4. 1일 중 교통이 가장 빈번한 6시간 동안 주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시간당 500대(양방향 합계) 이상이고, 부도로에서의 자동차 진입량이 시간당 400대 이상인 교차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일 중 교통이 가장 빈번한 8시간 동안 주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시간당 600대(양방향 합계) 이상이고, 부도로에서의 자동차 진입량이 시간당 200대 이상인 교차로"입니다. 이유는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와 부도로에서의 차량 진입량이 많은 교차로일수록 신호등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주요 도로인 주도로에서의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교통체증을 예방하고 교통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신호등이 필요합니다. 부도로에서의 차량 진입량이 많은 교차로도 마찬가지로, 신호등이 없으면 교통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교통안전법상 교통안전관리자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로교통안전관리자
  2. 철도교통안전관리자
  3. 항만교통안전관리자
  4. 선박교통안전관리자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교통안전관리자는 교통안전법상 교통안전관리자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교통안전법 제2조(정의)에서 교통안전관리자를 "도로, 철도, 항만 등 교통수단의 운행에 관한 안전을 관리하는 자"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박교통안전관리자는 교통안전법상 교통안전관리자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주차장법규에 따른 노상주차장의 설비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1. 너비가 6m 미만인 도로에는 노상주차장을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2. 주차대수규모가 20대 이상인 경우에는 장애인전용주차구획을 1면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3. 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 또는 고가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안된다.
  4. 종단경사도(자동차 진행방향의 기울기)가 6% 이상인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인 도로에는 노상주차장의 설치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경사도(자동차 진행방향의 기울기)가 6% 이상인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인 도로에는 노상주차장의 설치가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종단경사도가 6% 이상인 도로에는 노상주차장을 설치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의 기계식주차장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 중 ( )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말이 옳은 것은?

  1. 10대
  2. 20대
  3. 30대
  4. 50대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식주차장 설치기준은 (도로법 시행규칙)에 따라 정해진다.
    "20대"는 기계식주차장 설치 가능한 최소한의 공간면적인 2.5m x 5m을 충족하는 차량의 종류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10대"는 너무 작고, "30대"와 "50대"는 너무 크기 때문에 기계식주차장 설치에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의 교통혼잡 또는 특별관리시설물에 따른 교통홉잡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통행 여건 개선 및 대중교통 이용촉진을 위한 시책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신호체계의 개선
  2. 버스전용차로의 설치
  3. 노상주차장 확충
  4. 교통시설의 입체화
(정답률: 알수없음)
  • 노상주차장 확충은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중 대중교통 이용촉진을 위한 시책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개인차량 이용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책에는 개인차량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연석선, 안전표지나 그와 비슷한 공작물로써 경계를 표시하여 모든 차의 교통에 사용하도록 된 도로의 부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차로
  2. 차선
  3. 차도
  4. 보도
(정답률: 알수없음)
  • 차도는 도로 중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부분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석선이나 안전표지 등으로 경계를 표시하여 모든 차의 교통에 사용하도록 된 도로의 부분은 차도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도로교통법상 안전표지의 종류를 모두 나열한 것은?

  1.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노면표시
  2.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3.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4.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안내표지
(정답률: 59%)
  • 도로교통법상 안전표지의 종류는 주로 운전자들에게 도로 상황을 알리고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주의표지"는 위험한 상황을 알리고, "규제표지"는 운전자들에게 규제를 가하는 것을 알리며, "지시표지"는 운전자들에게 특정한 방향이나 행동을 취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알리고, "보조표지"는 운전자들에게 보조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알리며, "노면표시"는 도로 상황을 표시하는 것을 알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종류의 안전표지를 나열한 것은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노면표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교통유발부담금의 부과대상 시설물 기준이 옳은 것은? (단, 주택법의 규정에 따른 주택단지에 위치한 시설물로서 도로변에 위치하지 아니한 시설물인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1. 해당 시설물의 각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이 1,000m2 이상인 시설물
  2. 해당 시설물의 각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이 1,500m2 이상인 시설물
  3. 해당 시설물의 각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이 2,000m2 이상인 시설물
  4. 해당 시설물의 각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이 3,000m2 이상인 시설물
(정답률: 75%)
  • 교통유발부담금은 해당 시설물이 도시계획법상 교통수요를 유발하는 시설물인 경우에 부과된다. 따라서 해당 시설물의 크기가 클수록 교통수요를 더 많이 유발하므로, 각층 바닥면적을 합한 면적이 1,000m2 이상인 시설물일수록 교통유발부담금의 부과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도시교통정비촉진법상 원칙적으로 도시교통정비지역을 지정·고시할 수 있는 자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국무총리
  2. 국토해양부장관
  3. 경찰청장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교통정비촉진법상 원칙적으로 도시교통정비지역을 지정·고시할 수 있는 자는 국토해양부장관입니다. 이는 해당 법에서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이를 위한 권한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에 해당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도로교통법령상 승차 또는 적제의 방법과 제한기준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자동차의 적재중량은 구조 및 성능에 따르는 적재중량의 11할 이내로 한다.
  2. 출발지를 관할하는 군수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 운전자는 승차인원, 적재중량 및 적재용량에 관한 운행상의 안전기준을 지키지 아니할 수 있다.
  3. 자동차(고속버스 운송사업용 자동차 및 화물자동차 제외)의 승차인원은 승차정원의 11할 이내로 한다.
  4. 고속도로에서는 자동차(고속버스 운송사업용 자동차 및 화물자동차 제외)의 승차정원을 넘어서 운행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출발지를 관할하는 군수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 운전자는 승차인원, 적재중량 및 적재용량에 관한 운행상의 안전기준을 지키지 아니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출발지를 관할하는 군수의 허가를 받았더라도, 운전자는 승차인원, 적재중량 및 적재용량에 관한 운행상의 안전기준을 지켜야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67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도로법상 도로의 부속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로원표, 이정표, 수선 담당 구역표
  2. 도로의 방호울타리, 가로수 또는 가로등으로서 도로 관리청이 설치한 것
  3. 도로와 서로 그 효용을 함께하는 제방, 호안, 횡단도로
  4. 도로에 연접하는 자동차 주차장 및 도로 수선용 재료적치장과 이들 시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도로관리사 업소로서 도로관리청이 설치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와 서로 그 효용을 함께하는 제방, 호안, 횡단도로가 도로법상 도로의 부속물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도로의 일부분이 아니라 도로를 이용하는 보행자나 차량 등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시설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고속도로에서 야간에 자동차의 고장으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된 때에는 고장자동차의 표지와 함께 사방 몇 미터 지점에서 식별할 수 있는 적색의 섬광신호·전기제등 또는 불꽃신호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00m
  2. 300m
  3. 400m
  4. 500m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도로에서는 차량들이 빠른 속도로 운행하기 때문에, 야간에 고장으로 인해 급격한 감속이나 정지를 하게 되면 사고의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따라서 고장자동차의 위치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적색의 섬광신호·전기제등 또는 불꽃신호를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 신호는 고장자동차에서 500m 지점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하며, 이는 차량들이 충분한 거리를 두고 안전하게 감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교통안전법에 따른 지역교통안전기본계획에 대한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말이 모두 옳은 것은?

  1. ① 5년, ② 5년
  2. ① 5년, ② 10년
  3. ① 10년, ② 5년
  4. ① 10년, ② 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교통안전기본계획은 5년마다 개정되어야 하며, 개정 시에는 해당 지역의 교통안전 상황을 점검하여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①은 5년이 맞다. 또한, 교통안전법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5년마다 교통안전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②도 5년이 맞다. 따라서 정답은 "① 5년, ② 5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교차로 통행방법과 교차로에서의 양보운전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우회전을 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도로의 우측자장자리를 서행하면서 우회전하고, 좌회전을 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서행하면서 교차로의 중심 안쪽을 이용하여 좌회전하여야 한다.
  2. 우선순위가 같은 차가 동시에 교통정리가 행하여지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고자 하는 때에는 우측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3.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통정리가 행하여지고 있지 아니하고 일시정지 또는 양보를 표시하는 안전표지가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에 들어가고자 하는 때에는 일시정지하거나 양보하여 다른 차의 진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된다.
  4. 교통정리가 행하여지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고자 하는 차의 운전자는 해당 차가 통행하고 있는 도로의 폭이 교차하는 도로의 폭보다 넓은 경우에는 서행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정리가 행하여지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고자 하는 차의 운전자는 해당 차가 통행하고 있는 도로의 폭이 교차하는 도로의 폭보다 넓은 경우에는 서행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로의 폭과 상관없이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차로에 진입할 때는 안전한 속도로 진입해야 하며, 교통 상황에 따라 서행하거나 일시정지해야 한다. 도로의 폭이 넓다고 해서 서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부문별 계획에 포함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 철도, 도시철도 등 광역교통체계의 개선
  2. 자전거 이용시설의 확충
  3. 대중교통체계의 개선
  4. 교통안전대책사업의 개선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안전대책사업의 개선은 다른 부문들과 달리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도시교통체계의 안전성을 높이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교통안전대책사업의 개선은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원칙적으로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횡단보도를 설치할 수 있는 자는?

  1. 시장 또는 군수
  2. 운전면허시험기관장
  3. 지방경찰청장
  4. 지역도로관리청장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교통법 제67조에 따르면,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횡단보도를 설치할 수 있는 자는 지방경찰청장입니다. 이는 지방경찰청이 도로교통안전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장 또는 군수, 운전면허시험기관장, 지역도로관리청장은 횡단보도를 설치할 권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자동차의 앞지르기 금지 장소에 해당하지 않는 곳은?

  1. 편도 2차로 도로
  2. 도로의 구부러진 곳
  3. 터널 안 또는 다리 위
  4. 교차로
(정답률: 알수없음)
  • "편도 2차로 도로"는 양방향으로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가 아니기 때문에 앞지르기 금지 장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양방향으로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이기 때문에 앞지르기 금지 장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교통안전

101. 교차로에서 시거불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차로폭 확장
  2. 장애물 제거
  3. 일단정지표지 설치
  4. 예고표지의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교차로에서 시거불량에 의한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 가장 거리가 먼 대책은 "차로폭 확장"입니다. 이는 차로의 폭을 넓혀서 차량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차로폭이 좁을 경우 차량들이 서로 어긋나거나 부딪히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로폭을 확장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어느 한 지역의 12km 도로구간의 일평균교통량이 10,000대이고, 이와 유사한 도로구간의 평균사고율이 연간 3.5건 일 때, 유의수준(α)이 0.05인 경우 이 도로구간에서의 임계사고율(RC)은? (단, 유의수준(α)이 0.05일 때 k = 1.645)

  1. 약 3.58건(백만차량·km)
  2. 약 3.98건(백만차량·km)
  3. 약 4.38건(백만차량·km)
  4. 약 4.88건(백만차량·km)
(정답률: 알수없음)
  • 임계사고율(RC)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C = 평균사고율 + k × 표준오차

    여기서 평균사고율은 3.5건이고, 표준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표준오차 = √(평균사고율 ÷ 일평균교통량 × 365)

    따라서, 표준오차 = √(3.5 ÷ 10,000 × 365) = 0.57

    그리고, k는 유의수준이 0.05일 때 1.645이므로,

    RC = 3.5 + 1.645 × 0.57 = 약 3.98건(백만차량·km)

    따라서, 정답은 "약 3.98건(백만차량·km)"이다. 이는 해당 도로구간에서 1백만차량이 1km를 이동할 때 약 3.98건의 사고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사고의 원인을 찾아내어 그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목적으로 교통사고의 특성을 분석한 내용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여자운전자와 남자운전자의 사고건수를 비교한다.
  2. 도로연장 1km당 사고건수를 비교한다.
  3. 인접 국가의 차량 1만대당 사고율을 비교한다.
  4. 도로종류별 평균교통량에 대한 사고율을 비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종류별 평균교통량에 대한 사고율을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이유는 교통사고는 도로환경과 교통량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로종류별 평균교통량에 대한 사고율을 비교함으로써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어떤 요인이 사고를 유발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과거 3년동안 30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도시부 교차로의 안전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원형교차로(roundabout)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대조자료(control data)에 의한 원형교차로의 사고감소효과가 49%일 때 연간 사고 감소 건수는? (단, 설치 전·후의 교통량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1. 4.9건/년
  2. 5.3건/년
  3. 14.7건/년
  4. 15.3건/년
(정답률: 알수없음)
  • 대조자료에 의한 원형교차로의 사고감소효과가 49%이므로, 원래 3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의 49%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간 사고 감소 건수는 3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의 49%를 3으로 나눈 값이 된다.

    즉, 연간 사고 감소 건수 = (3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 x 49%) / 3

    여기서 3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는 30건이므로,

    연간 사고 감소 건수 = (30 x 49%) / 3 = 4.9건/년

    따라서 정답은 "4.9건/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안전성 측면에서 일방통행도로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면충돌사고는 방지하기 어려우나 측면충돌과 같은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2. 교차로에서의 상충지점수가 적다.
  3. 회전차량을 추월할 수 있으므로 추돌사고의 가능성이 줄어든다.
  4. 신호시간을 연속 진행에 맞출 수 있으므로 정지수를 줄이고 차량군을 형성하여 교차로를 통과함으로써 횡단보행자나 횡단교통을 위한 시간간격을 마련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면충돌사고는 방지하기 어려우나 측면충돌과 같은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일방통행도로는 차량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에 정면충돌사고는 발생하지 않지만, 측면충돌사고나 추돌사고 등 다른 유형의 사고는 여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방통행도로도 안전운전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Smeed(1949_는 유럽 20개국의 1938년도 교통사고통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모형화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단, P: 인구수(명), D: 연간 교통사고 사망자수(명), N: 자동차등록대수(대))

  1. 인구가 증가하면 교통사고 사망자도 증가한다.
  2. 자동차등록대수가 증가하면 교통사고사망자수도 증가한다.
  3. 인구의 한 단위 증가보다 자동차등록대수의 한 단위 증가가 교통사고사망자수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4. 자동차등록대수의 한 단위 증가보다 인구의 한 단위 증가가 교통사고사망자수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의 한 단위 증가보다 자동차등록대수의 한 단위 증가가 교통사고사망자수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이 설명은 옳다. Smeed 모형에서는 자동차등록대수가 증가하면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하고, 인구수가 증가하면 교통사고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등록대수의 영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다음 중 상충조사(conflict studies)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도로의 문제지점에서의 기하설계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다.
  2. 상충을 이용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다.
  3. 사전·사후조사를 통한 교통안전개선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다.
  4. 교통사고로 인한 소통 문제구간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교통사고로 인한 소통 문제구간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다." 이다. 상충조사는 교통안전개선사업의 효과 분석, 사고 위험성 평가, 기하설계요소 평가 등을 목적으로 하지만, 교통사고로 인한 소통 문제구간 파악은 상충조사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중 일반적으로 교통사고조사에서 최초접촉지점(first contact Point)을 판정할 때에 필요한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스키드마크가 변형된 위치
  2. 차체의 파손 위치
  3. 패인 자국의 위치
  4. 스패터(spatter)의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교통사고조사에서 최초접촉지점을 판정할 때에는 차량의 충격을 받은 부분이나 파손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게 된다. 따라서 차체의 파손 위치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아니며, 오히려 가장 필요한 사항 중 하나이다. 스키드마크가 변형된 위치, 패인 자국의 위치, 스패터의 위치 등도 최초접촉지점을 판정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이지만, 이들은 차량의 파손 위치와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다음 중 충돌도(collision diagram)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사고에 관련된 차량이나 보행자의 경로를 나타낸다.
  2. 사고의 패턴을 알 수 있다.
  3. 예방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를 알 수 없다.
  4. 거의 축척을 무시하고 작도한다.
(정답률: 82%)
  • "예방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를 알 수 없다."는 충돌도가 예방책을 시행하기 전에 작성되기 때문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충돌도는 사고가 일어난 후에 사고의 패턴을 파악하고 예방책을 마련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예방책을 시행한 후에는 새로운 충돌도를 작성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주행 중이던 A차량이 주차해 있던 B차량과 충돌하여 15m를 함께 미끄러져 정지하였다. A와 B차량의 무게가 각각 1000kg, 900kg일 때, A차량의 충돌 전 초기 속도는? (단, 마찰계수는 0.7이며, 경사는 없고 완전비탄성충돌이라고 가정한다.)

  1. 약 71.5km/h
  2. 약 82.6km/h
  3. 약 89.5km/h
  4. 약 98.1km/h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충돌 전과 후의 운동량은 일정합니다. 따라서, A차량과 B차량의 운동량을 각각 m1v1, m2v2라고 하면, 충돌 후의 운동량은 (m1+m2)v'이 됩니다. 여기서 v'는 충돌 후의 속도입니다.

    또한, 완전비탄성충돌이므로, 운동에너지는 보존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충돌 전의 운동에너지는 충돌 후의 운동에너지와 마찬가지로 (m1+m2)v'^2/2이 됩니다.

    마찰력은 두 차량이 서로 밀어내는 힘과 같으므로, 마찰력은 (m1+m2)gμ입니다.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 μ는 마찰계수입니다.

    따라서, 운동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m1v1^2)/2 = (m1+m2)v'^2/2 + (m1+m2)gμd

    여기서 d는 두 차량이 함께 미끄러진 거리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v1 = sqrt((m1+m2)/m1) * sqrt(gμd)

    여기에 m1=1000kg, m2=900kg, g=9.8m/s^2, μ=0.7, d=15m을 대입하면,

    v1 = sqrt(1900/1000) * sqrt(9.8*0.7*15) = 약 98.1km/h

    따라서, 정답은 "약 98.1km/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일반적으로 과속방지시설은 차량의 통행속도를 얼마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도로에 설치하는가?

  1. 20km/시
  2. 30km/시
  3. 40km/시
  4. 50km/시
(정답률: 91%)
  • 과속방지시설은 차량의 통행속도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도심 지역이나 학교, 병원, 주거지역 등 보행자와 차량이 많이 오가는 지역에서 설치됩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높을 경우 보행자나 주민들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30km/시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km/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다음 중 치사율을 올바르게 나타낸 식은?

  1. (사망자수/부상자수) × 100(%)
  2. (사망자수/사고건수) × 100(%)
  3. (사망자수/인명사고건수) × 100(%)
  4. (사망자수/물피사고건수) × 100(%)
(정답률: 91%)
  • 정답은 "(사망자수/사고건수) × 100(%)"이다. 이유는 치사율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망한 인원 수를 해당 사고 건수로 나눈 비율이기 때문이다. 부상자수나 인명사고건수, 물피사고건수는 치사율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아니므로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지하식 보행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지·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2. 범죄의 가능성이 크다.
  3. 시각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도시미관을 해친다.
  4. 외부를 볼 수 없으므로 방향 감각을 잃기 쉽다.
(정답률: 92%)
  • "시각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도시미관을 해친다."는 지하식 보행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지하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볼 때 건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정지하고 있던 차량이 3m/sec2으로 가속하여 72km/h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1. 약 5.8초
  2. 약 6.7초
  3. 약 7.6초
  4. 약 8.5초
(정답률: 알수없음)
  • 가속도 a = 3m/sec2, 초기속도 u = 0, 최종속도 v = 72km/h = 20m/s 이다.

    v = u + at 에서 t = (v-u)/a = (20-0)/3 = 6.67초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약 6.7초)

    따라서 정답은 "약 6.7초"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도로운영과 사고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교차로 부근에 주차를 하면 사고가 많아지고, 주차회전수(turnover) 역시 사고를 증가시킨다.
  2. 일방통행제를 막 실시하면 처음 얼마 동안은 사고율이 증가하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사고율이 감소할 수도 있다.
  3. 주 교통류에의 출입이 특정지점에서만 허용되는 완전출입제한은 교통사고감소에 효과적이다.
  4. 조명은 주간과 야간에 동일한 조도를 유지하여야 운영상 경제적이고 교통사고감소에도 더욱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명은 주간과 야간에 동일한 조도를 유지하여야 운영상 경제적이고 교통사고감소에도 더욱 효과적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 중 운전자의 태도와 교통사고와의 일반적인 관계가 옳은 것은?

  1. 교통사고와 운전자의 책임감과는 관계가 없다.
  2. 교통사고 운전자는 강한 준법정신을 가지고 있다.
  3. 사고다발자는 책임강이 강하다.
  4. 사고다발자는 일반운전자에 비하여 공격적이고 자신의 능력을 과시한다.
(정답률: 94%)
  • 운전자의 태도는 교통사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사고다발자는 일반운전자에 비하여 공격적이고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운전자의 안전운전 의식과 책임감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태도 개선이 교통사고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한 차량이 급정지하면서 노면에 생긴 직선미끄럼 흔적의 길이가 각각 다음과 같을 때, 이 차량의 미끄럼거리로 사용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3.5m
  2. 24.0m
  3. 24.25m
  4. 25.0m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주어진 직선미끄럼 흔적의 길이는 차량이 급정지하여 멈춘 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거리는 차량의 초기속도와 미끄럼거리에 영향을 받는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23.5m"은 초기속도가 가장 크거나 미끄럼거리가 가장 작을 때 나올 수 있는 값이므로 제외한다. 마찬가지로 가장 큰 값인 "25.0m"도 초기속도가 가장 작거나 미끄럼거리가 가장 큰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외한다. 따라서 정답은 "24.0m" 또는 "24.25m"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오류가 있어서 정답이 "24.25m"이다. 이유는 미끄럼거리가 작을수록 차량이 멈추는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끄럼거리가 24.0m보다 작을 경우에는 차량이 멈추는 거리가 24.0m보다 짧아지므로 정답은 "24.2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사고위험지점을 선정할 때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지점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평균사고율과 관련하여 특정사고율이 비정상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고발생이 포아송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에 기초한 분석 방법은?

  1. 사고율법
  2. 사고건수법
  3. 율-품질관리법
  4. 포아송분포법
(정답률: 91%)
  • 율-품질관리법은 포아송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사고위험지점을 선정할 때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지점들에 대해 미리 정해진 평균사고율과 관련하여 특정사고율이 비정상적인지를 결정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사고율을 통해 사고위험지점을 선정하고, 품질관리를 통해 사고율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율-품질관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다음 중 사고방지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교통규제 사항은?

  1. 보행자 무단횡단금지
  2. 일방통행
  3. 자동차 전용도로
  4. 자동차요일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보행자 무단횡단금지"

    보행자 무단횡단금지는 보행자가 도로를 무단으로 건너는 것을 금지하는 교통규제 사항입니다. 이는 보행자와 차량 간의 충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보행자가 무단횡단을 하면 차량 운전자는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보행자는 보행신호나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도로를 건너도록 권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누적속도분포에서 교통사고방지를 위해 제한속도를 조정하고자 최고 속도 한계를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준은?

  1. 50% 속도
  2. 75% 속도
  3. 85% 속도
  4. 95% 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누적속도분포에서 교통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속도 구간을 파악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최고 속도 한계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때, 교통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속도 구간은 대체로 상위 15% 정도인데, 이를 반영하여 85% 속도를 기준으로 최고 속도 한계를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85% 속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