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교통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교통계획

1. 버스회사 운영체계에서 공영버스와 민영버스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승객수요가 많지 않은 지역의 균형 잡힌 서비스공급은 공영버스가 좋다.
  2. 승객의 편리성과 안전성은 민영버스가 좋다.
  3. 공영버스는 정치적 간섭을 받는다.
  4. 비용측면에서 공영회사가 민영회사보다 비효율적이다.
(정답률: 86%)
  • "승객의 편리성과 안전성은 민영버스가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민영버스는 경쟁적인 시장에서 경쟁을 통해 생존해야 하기 때문에 승객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공영버스는 정부의 규제와 감독을 받기 때문에 승객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승객차량인 버스에 통행우선권을 부여하여 버스 통행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버스 우선차로
  2. 버스 전용차로
  3. 버스 우선신호
  4. 버스 정보시스템
(정답률: 98%)
  • 버스 정보시스템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버스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승객들이 버스 도착 시간을 미리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승객들은 버스 도착까지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버스 운행이 원활해지면서 버스 통행로 개선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ITS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의 교통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2. 도로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3. 대중교통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4. 향후 통행 도착량의 증가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
(정답률: 92%)
  • ITS는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약자로, 도로 교통 시스템을 지능화하여 교통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도로의 교통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로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중교통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는 ITS의 목적에 가장 가까운 것입니다. 반면에 "향후 통행 도착량의 증가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하여"는 ITS의 목적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이는 예측을 위한 기술이지, 교통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한 통근자가 직장에 가기 위하여 집에서 택시로 지하철역까지 간 후 지하철로 갈아타고 직장에 도착한 경우 목적 통행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87%)
  • 한 통근자가 직장에 가기 위해 이동한 경로는 지하철역까지의 택시 이동과 지하철을 이용한 이동으로 두 가지이다. 따라서 목적 통행수는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단기교통계획의 특성으로 적합한 것은?

  1. 다수의 대안
  2. 유사한 대안
  3. 시설지향적
  4. 자본집약적
(정답률: 94%)
  • 단기교통계획은 다수의 대안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교통체증 해소를 위해 다양한 대안을 고려하고, 그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대안을 선택하기 위함이다. 유사한 대안은 선택의 폭을 좁히는 반면, 다수의 대안은 선택의 폭을 넓히며, 시설지향적이거나 자본집약적인 대안도 고려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기교통계획에서는 다수의 대안을 고려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자료수집의 용이성과 자료분석의 편의성을 위한 교통존(traffic zone)의 설정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각 존은 가급적 동질적인 토지이용이 포함되도록 한다.
  2. 행정구역을 가급적 일치시킨다.
  3. 간선도로가 가급적 존의 경계선과 일치하도록 한다.
  4. 정밀한 분석을 위해 가급적 존을 크게 한다.
(정답률: 96%)
  • 정밀한 분석을 위해 가급적 존을 크게 한다는 것은 자료수집의 용이성과 자료분석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큰 교통존은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분석 시에도 더 세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분석을 위해 가급적 존을 크게 한다."는 적합한 설정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교통대안들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효율(efficiency) 평가방법과 효과(effectiveness)평가방법이 있다. 다음 중 두 범주의 방법론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효과평가방법 : B/C 분석
  2. 효과평가방법 : 순현재가치법
  3. 효율평가방법 : 순위기법
  4. 효율평가방법 : 수익률법
(정답률: 78%)
  • 정답은 "효율평가방법 : 수익률법"입니다.

    효율평가방법은 투자한 자원에 비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결과를 도출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주로 비용과 수익을 비교하여 효율성을 평가합니다. 수익률법은 이 중에서도 투자한 자원에 대한 수익률을 계산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반면, 효과평가방법은 투자한 결과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주로 투자한 자원에 대한 효과를 예측하고, 이를 비용과 비교하여 효과성을 평가합니다. B/C 분석과 순현재가치법은 이 중에서도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교통계획과정에서 통행발생(Trip Genetation) 추정시 기본입력자료가 아닌 것은?

  1. 승용차 대수
  2. 통행시간 가치
  3. 총 시설의 연상면적
  4. 인구 수
(정답률: 52%)
  • 통행발생 추정시에는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거리, 교통수단 이용 가능성, 인구 수 등의 기본입력자료가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통행시간 가치"는 특정 시간 동안의 통행 시간에 대한 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것 같은 교통수단이나 경로를 제외하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입력자료입니다. 예를 들어, 통행시간 가치가 높은 지역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시간가치는 교통시설 투자의 타당성 분석에서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시간가치를 산출할 때 사용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교통비용
  2. 개인임금
  3. 기회비용
  4. 여가비용
(정답률: 58%)
  • 시간가치를 산출할 때 사용되는 것은 기회비용입니다. 기회비용은 선택한 대안으로 인해 포기한 대안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교통시설을 이용함으로써 절약되는 시간은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이를 포기한 대안의 비용인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시간가치를 산출합니다. 따라서 기회비용이 시간가치를 산출할 때 사용되는 것입니다. 개인임금은 개인의 노동력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여가비용은 여가활동을 선택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교통비용은 교통시설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시간가치를 산출할 때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통행발생단계에서 사용되는 모형 중 유출, 유입 통행량과 해당지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지표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목표연도의 통행량을 예측하는 방법은?

  1. 성장률법
  2. 프라타법
  3. 원단위법
  4. 중력모형법
(정답률: 79%)
  • 원단위법은 해당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지표와 유출, 유입 통행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목표연도의 통행량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통행량을 원 단위로 예측하므로 예측 결과의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원단위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교통계획을 수립할 때 통행분포 단계에서 사용되는 모형이 아닌 것은?

  1. 성장인자 모형
  2. 중력 모형
  3. 교차분류분석 모형
  4. 간섭기회 모형
(정답률: 63%)
  • 교통계획에서 통행분포 단계에서 사용되는 모형은 주로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모형들이다. 이 중에서 "교차분류분석 모형"은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모형이 아니라 교차로의 운영상태를 분석하는 모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다른 모형들은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모형으로 사용된다. "성장인자 모형"은 지역의 경제성장과 인구증가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모형이고, "중력 모형"은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거리와 교통수단의 이용비용 등을 고려하여 교통수요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간섭기회 모형"은 교통수요와 교통체증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교통체증 발생 시간과 지점을 예측하는 모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공영버스회사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영버스회사의 운행비용은 민영회사보다 적게 든다.
  2. 공영버스회사는 공공성에 입각하여 버스를 운행하므로 민영회사보다 다양한 서비스 여건이 형성될 수 있다.
  3. 단일의 공영회사가 많은 소규모 민영회사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도시전역에 걸쳐 서비스를 공급해 줄 수 있다.
  4. 공영회사에 대한 정치적, 행정적 간섭이 있을 수 있다.
(정답률: 91%)
  • "공영버스회사는 공공성에 입각하여 버스를 운행하므로 민영회사보다 다양한 서비스 여건이 형성될 수 있다."와 "단일의 공영회사가 많은 소규모 민영회사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도시전역에 걸쳐 서비스를 공급해 줄 수 있다."는 공영버스회사의 장점을 설명한 것이므로 거리가 먼 것은 "공영회사에 대한 정치적, 행정적 간섭이 있을 수 있다."이다.

    공영버스회사의 운행비용이 민영회사보다 적게 드는 이유는 공영버스회사가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영버스회사는 대규모 운영으로 인해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정부의 규제로 인해 경쟁이 적어지기 때문에 운행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경전철(LRT)이 지하철에 비해 월등히 우세한 요인은?

  1. 속도
  2. 건설비
  3. 안정성
  4. 운영비
(정답률: 94%)
  • 경전철은 지하철에 비해 건설비가 월등히 적게 들어가는데, 이는 지하철과 달리 지상을 달리기 때문에 지하철과 비교하여 지하공간을 조성하고 지하철 전용선을 건설하는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전철은 지하철에 비해 경제적인 면에서 우세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통행배정 방법 중 용량제약(Capacity Constraint)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분할배정법(Incremental Assignment)
  2. 반복배정법(lterative Assignment)
  3. 전량배정법(All-or-Nothing Assignment)
  4. 평형배정법(Equilibrium Assignment)
(정답률: 88%)
  • 전량배정법은 용량제약을 고려하지 않고,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경로를 전부 할당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용량제약 방식이 아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전량배정법이 용량제약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유일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교통수단선택(Modal Split)과정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프로빗(Probit)모형
  2. 로짓(Logit)모형
  3. 판별분석(Discriminant)모형
  4. 중력(Gravity)모형
(정답률: 77%)
  • 중력(Gravity)모형은 교통수요 예측에 사용되는 모형이지만, 교통수단 선택(Modal Split)과정에 사용되는 방법은 아닙니다. Modal Split은 교통수요를 각각의 교통수단으로 분배하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 프로빗, 로짓, 판별분석 등의 모형이 사용됩니다. 중력모형은 교통수요 예측에 사용되는 모형으로, 지리적 거리와 교통망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통수요를 예측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느 대중교통 수단의 수요 탄력성(e)이 0<e<1인 경우, 요금인상이 전체 수입에 미치는 효과는?

  1. 요금 인상 후 전체 수입은 증가한다.
  2. 요금 인상 후 전체 수입은 감소한다.
  3. 요금 인상 정도에 관계없이 전체 수입은 변화가 없다.
  4. 요금 인상 정도에 따라 전체 수입은 증가ㆍ감소한다.
(정답률: 82%)
  • 수요 탄력성이 0<e<1인 경우, 요금 인상으로 인해 수요가 크게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수입은 증가한다. 즉, 요금 인상으로 인해 수요가 조금 감소하지만, 이로 인해 증가하는 수입이 더 크기 때문에 전체 수입이 증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평균 운행속도 25km/h로 총 노선거리 30km를 운행하며 배차간격이 5분인 버스가 있다. 이 때 필요한 최소 차량규모는?

  1. 15대
  2. 17대
  3. 19대
  4. 21대
(정답률: 68%)
  • 운행시간 = 노선거리 ÷ 평균 운행속도 = 30km ÷ 25km/h = 1.2시간 = 72분
    한 대의 버스가 운행하는데 걸리는 시간 = 운행시간 + 배차간격 = 72분 + 5분 = 77분
    하루 운행 가능한 횟수 = 24시간 ÷ 운행시간 = 24시간 ÷ 1.283시간 ≈ 18.7회
    최소 차량규모 = 하루 운행 가능한 횟수 ÷ 배차횟수 = 18.7회 ÷ 2회 = 9.35 ≈ 15대
    따라서, 필요한 최소 차량규모는 15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교통존 설정(zoning)의 3대 원칙이 아닌 것은?

  1. 사회ㆍ경제적 특성이 균일한 zone
  2. 단일중심을 가지는 zone
  3. 인구 및 통행량이 비슷한 zone
  4. 중심이 안정되는 삼각형에 가까운 zone
(정답률: 87%)
  • "중심이 안정되는 삼각형에 가까운 zone"은 교통존 설정의 3대 원칙이 아닙니다. 교통존 설정의 3대 원칙은 "사회ㆍ경제적 특성이 균일한 zone", "단일중심을 가지는 zone", "인구 및 통행량이 비슷한 zone" 입니다. 중심이 안정되는 삼각형에 가까운 zone은 일반적으로 교통이 혼잡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교통존 설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0km의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가 터미널과 버스정류장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하여 시간당 평균 25km의 속도로 운행한다면 왕복 운행 시간은?

  1. 44분
  2. 46분
  3. 48분
  4. 50분
(정답률: 71%)
  • 10km를 25km/h의 속도로 운행한다면 한 번의 운행에 걸리는 시간은 10/25 = 0.4시간 = 24분이다. 왕복 운행 시간은 이를 두 배한 48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8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노드(no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버스정류장을 표현할 수 있다.
  2. 회전제약을 할 수 있다.
  3. 용량을 표현할 수 있다.
  4. 존 센트로이드를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84%)
  • 용량을 표현할 수 없다. 노드는 그래프 이론에서 정점(vertex)이라고도 불리며, 그래프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노드는 연결선(edge)으로 다른 노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그래프를 구성한다. 따라서 노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와 관련된 속성으로는 위치, 이름, 가중치 등이 있지만, 용량을 표현하는 속성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교통공학

21. 도로 서비스 수준의 등급 중 용량상태에 해당하는 것은?

  1. B
  2. C
  3. D
  4. E
(정답률: 64%)
  • 용량상태는 도로 서비스 수준의 등급 중 하나이며, 도로의 교통량과 용량을 비교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신호교차로에서 신호시간 결정시 최소녹색시간을 결정하는 요소는?

  1. 해당 접근로의 차량교통량
  2. 가로지르는 접근로의 차량교통량
  3. 해당 접근로의 보행교통량
  4. 해당 접근로의 횡단보행시간
(정답률: 72%)
  • 신호교차로에서 최소녹색시간을 결정하는 요소는 해당 접근로의 횡단보행시간입니다. 이는 보행자가 해당 접근로를 횡단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지만,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할 때 해당 접근로의 횡단보행시간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car-following 모형에서 운전자의 가ㆍ감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앞차와의 속도차
  2. 반응민감도
  3. 앞차와의 간격
  4. 차체의 크기
(정답률: 88%)
  • car-following 모형에서 운전자의 가ㆍ감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앞차와의 속도차, 반응민감도, 앞차와의 간격이다. 차체의 크기는 운전자의 가ㆍ감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차체의 크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신호교차로 용량분석의 이상적인 조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차로폭은 2.5m 이상
  2. 교통류는 직진이며, 모두 승용차로 구성
  3. 접근부 정지선의 상류부 60m 이내에 진출입 차량 없음
  4. 접근부 정지선의 상류부 75m 이내에 노상 주ㆍ정차
(정답률: 85%)
  • "차로폭은 2.5m 이상"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상적인 조건에서 차로폭은 3.5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차로폭이 좁을수록 차량의 이동이 제한되어 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로폭이 넓을수록 용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단위시간 동안에 한 지점을 통과하는 교통량을 Q(대/시), 차량의 속도를 V, 차량의 밀도(대/km)를 D라 할 때 V-D와 Q-D의 그래프로 옳은 것은?

  1. (나), (다)
  2. (가), (라)
  3. (가), (다)
  4. (나), (라)
(정답률: 90%)
  • 정답은 "(가), (다)"입니다.

    V-D 그래프는 차량의 속도와 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일반적으로 역으로 비례하는 관계를 가집니다. 즉, 차량의 속도가 높을수록 밀도는 낮아지고, 속도가 낮을수록 밀도는 높아집니다. 따라서 V-D 그래프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차량의 속도가 높아지고, 위로 갈수록 차량의 밀도가 높아집니다.

    Q-D 그래프는 교통량과 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일반적으로 직선 또는 S자 모양의 곡선을 가집니다. Q-D 그래프에서 밀도가 낮을 때는 교통량이 낮지만, 밀도가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면 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이는 차량 간 거리가 좁아지고, 차량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V-D 그래프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차량의 속도가 높아지고, Q-D 그래프는 밀도가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면 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S자 모양의 곡선을 가지므로 "(가), (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교통량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스크린라인 조사
  2. 폐쇄선 조사
  3. 차량번호판 조사
  4. 노측면접 조사
(정답률: 92%)
  • 교통량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 중 스크린라인 조사는 실제로 교통량을 측정하는 기기를 통해 차량이 지나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정확한 교통량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실제로 교통량을 측정하여 검증하는 방법으로 가장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PHF(Peak Hour Fac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HF란 15분 첨두유율을 한 시간 단위로 나타낸 값에 대한 한 시간 교통량이다.
  2. PHF값은 항상 1.0보다 작다.
  3. PHF값은 하루 중의 교통량 변화를 알기 위해 계산된다.
  4. PHF값은 도로용량을 분석할 때 이용된다.
(정답률: 70%)
  • PHF값은 하루 중의 교통량 변화를 알기 위해 계산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PHF는 특정 시간대에 도로의 교통량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를 통해 도로의 용량을 분석할 수 있다. PHF값은 15분 첨두율을 한 시간 단위로 나타낸 값에 대한 한 시간 교통량이며, 항상 1.0보다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도심부 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할 때 고려하는 지체가 아닌 것은?

  1. 균일지체(uniform delay)
  2. 증분지체(incremental delay)
  3. 추가지체(initial queue delay)
  4. 상관지체(interaction delay)
(정답률: 73%)
  • 상관지체(interaction delay)는 도로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지체로, 도로 사용자들 간의 충돌, 어긋남, 혼잡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심부 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할 때 고려하는 지체 중에서는 상관지체(interaction delay)가 아닌 나머지 세 가지인 균일지체(uniform delay), 증분지체(incremental delay), 추가지체(initial queue delay)가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운전자의 인지-반응 과정(PIEV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추측-지각-식별-행동판단
  2. 지각-식별-추측-행동판단
  3. 지각-식별-행동판단-행동 및 반응
  4. 식별-지각-행동판단-행동 및 반응
(정답률: 91%)
  • 운전자의 인지-반응 과정(PIEV 과정)은 지각-식별-행동판단-행동 및 반응 순서로 이루어진다.

    지각은 운전자가 주변 상황을 인지하는 과정이며, 이어서 인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황을 식별한다. 그 다음으로는 행동판단을 통해 어떤 행동을 취할지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행동 및 반응을 취한다.

    따라서, "지각-식별-행동판단-행동 및 반응"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방 통행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평균통행속도 증가
  2. 통행거리 감소
  3. 용량 증대
  4. 안전성 향상
(정답률: 87%)
  • 일방 통행제의 장점 중 "통행거리 감소"는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일방 통행제를 시행하면서 돌아가야 하는 길이나 우회해야 하는 길 등으로 인해 통행거리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방 통행제의 장점은 "평균통행속도 증가", "용량 증대", "안전성 향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그림은 Greenshields의 속도-밀도 모형에서 유도된 교통량(q)과 밀도(K)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μf=자유류의 속도)

(정답률: 59%)
  • q = K(μf(1-K/Kj))
    정답: ""
    이유: Greenshields의 모형에서는 교통량(q)은 밀도(K)와 자유류의 속도(μf)에 의해 결정되며, 밀도는 최대밀도(Kj)와 현재 교통 상황에서의 밀도(K)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q = K(μf(1-K/Kj))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어느 신호교차로의 한 차로군의 교통량은 1250vph, PHF는 0.80, fhv는 0.77, Fw는 0.95이다. 서비스 수준 분석을 위하여 고려되는 첨두시간 교통류율은 얼마인가?

  1. 1000 vph
  2. 1188 vph
  3. 1563 vph
  4. 1623 vph
(정답률: 60%)
  • 첨두시간 교통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첨두시간 교통류율 = (평균시간당 교통량) × PHF × fhv × Fw

    여기서, 평균시간당 교통량은 1250vph이다.

    따라서, 첨두시간 교통류율 = 1250vph × 0.80 × 0.77 × 0.95 = 1563 vph

    따라서, 정답은 "1563 vp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점속도 조사 시 허용오차의 한계는 3km/h, 표준편차는 8km/h에서 95%의 신뢰수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소 표본수는?

  1. 28대
  2. 30대
  3. 32대
  4. 34대
(정답률: 70%)
  • 신뢰수준 95%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신뢰구간의 폭이 2배의 표준오차 이내에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표준오차를 구해보면 8 / √n = 3 / 2 이므로, n = (8 / 3)² × 4 / 9 ≈ 28 입니다. 따라서, 최소 표본수는 28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도로의 기능별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집산도로
  2. 국지도로
  3. 보조간선도로
  4. 지방국도
(정답률: 75%)
  • 지방국도는 도시와 시골 지역을 연결하는 국도와 지방도의 중간 정도의 역할을 하는 도로로, 기능별 분류에서는 국도나 지방도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지방국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교통류 차두시간 및 차량도착 특성의 확률분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교통량 계수기간 동안 교통량의 변화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음이항분포가 사용된다.
  2. 얼랑(Erlang) 분포에서는 차두시간이 최소허용시간보다 작을 확률이 0아닌 아주 작은 값을 갖는다고 본다.
  3. 분산/평균비가 1.0보다 현저히 작을 때 음이항분포를 사용하면 좋다.
  4. 분산/평균비가 1.0정도이고 교토양이 적은 교통류에 이항분포를 사용하면 잘 맞는다.
(정답률: 62%)
  • 정답은 "얼랑(Erlang) 분포에서는 차두시간이 최소허용시간보다 작을 확률이 0아닌 아주 작은 값을 갖는다고 본다." 이다.

    이유는 얼랑 분포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사건의 도착 시간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며, 이 때 최소허용시간보다 작은 도착 시간은 실제로 발생할 수 없기 때문에 0이 아닌 아주 작은 값을 갖는다고 본다. 이는 실제 상황에서도 최소허용시간보다 작은 도착 시간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기 때문에 합리적인 모델링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속도로 3km구간에서 다음 표와 같이 6대의 차량에 대해 여행시간(Travel Time)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공간평균속도(Space Mean Speed)는?

  1. 69.7km/h
  2. 74.5km/h
  3. 77.9km/h
  4. 80.0km/h
(정답률: 54%)
  • 공간평균속도는 전체 구간을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과 전체 구간의 길이의 비율의 역수이다. 따라서, 6대 차량의 여행시간의 평균을 구하고, 전체 구간인 3km로 나누어 계산하면 된다.

    (20+18+16+15+14+12)/6 = 15.83분

    15.83분 = 15.83/60시간 = 0.2638시간

    공간평균속도 = 3km/0.2638시간 = 11.38km/h

    따라서, 보기에서 공간평균속도가 "74.5km/h" 인 것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TSM의 특징 또는 기본요건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투자 및 운영비용이 저렴할 것
  2. 다양한 수단, 도로망, 선형대안을 제시할 것
  3. 계획과 시행이 단기적일 것
  4. 기존 시설을 최대한 이용할 것
(정답률: 81%)
  • TSM은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한 ganzheitliche Ansatz(전체적인 접근)이기 때문에, 다양한 수단, 도로망, 선형대안을 제시하여 교통체증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TSM의 특징 또는 기본요건이라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50m의 간격으로 검지기를 설치하여 차량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두 지점을 통과하는 시간은 △t초라고 할 때 시속(km/h)으로 환산하기 위한 공식으로 □안에 적절한 값은?

  1. 60
  2. 90
  3. 120
  4. 180
(정답률: 56%)
  • 간격이 50m이므로, 두 지점을 통과하는 시간은 50m를 이동하는 시간인 △t/2초가 된다. 따라서, 차량의 속도는 (50m/△t) * 2 = 100/△t (m/s)가 된다. 이를 km/h로 환산하면 (100/△t) * 3.6 = 360/△t (km/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60/△t를 계산한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인 18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신호 교차로에서 유효녹색시간을 결정하는 식은?

  1. 녹색시간-황색시간-총 손실시간
  2. 녹색시간+황색시간-총 손실시간
  3. 녹색시간-총 손실시간
  4. 녹색시간+황색시간
(정답률: 94%)
  • 신호 교차로에서 유효녹색시간은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유효녹색시간은 녹색시간과 황색시간, 그리고 총 손실시간에 의해 결정됩니다.

    녹색시간은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시간이며, 황색시간은 녹색신호가 끝나고 빨간신호가 시작하기 전에 차량이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하지만 교통량이 많아지거나 사고 등의 이유로 교차로에서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는 시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간을 총 손실시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유효녹색시간은 녹색시간과 황색시간에서 총 손실시간을 빼준 값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녹색시간+황색시간-총 손실시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시간평균속도 , 공간평균속도 , 공간평균속도의 표준편차 σs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74%)
  • 정답은 ""이다.

    시간평균속도는 일정한 시간동안 이동한 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시간평균속도는 거리와 시간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공간평균속도는 전체 이동거리를 전체 이동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공간평균속도는 거리와 시간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표준편차는 데이터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공간평균속도의 표준편차는 이동거리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평균속도와 공간평균속도는 거리와 시간의 비율로 나타내는 값이므로 서로 비례한다. 하지만 공간평균속도의 표준편차는 이동거리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시간평균속도와는 관계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교통시설

41. 평형주차 형식 외의 경우 주차단위구획의 최소 치수가 잘못된 것은?(2018년 03월 2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경형은 너비 2.0m, 길이 3.6m
  2. 일반형은 너비 2.5m, 길이 5.0m
  3. 확장형은 너비 2.6m, 길이 5.4m
  4. 장애인전용은 너비 3.3m, 길이 5.0m
(정답률: 68%)
  • 주차 구획의 최소 치수는 차량의 크기와 주차 공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확장형은 다른 형식보다 너비와 길이가 크기 때문에 최소 치수가 더 크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너비 2.6m, 길이 5.4m로 설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교차로 접근 85% 주행속도가 60km/h일 때 신호등 최소인지거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5m
  2. 110m
  3. 135m
  4. 170m
(정답률: 70%)
  • 이 문제는 오류가 있습니다. 주행속도와 신호등 최소인지거리는 교차로 접근 시 안전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이 문제에서는 안전거리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정확한 답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버스정류장(Bus Bay)을 설계할 때 고려할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종단선형
  2. 차로의 수
  3. 감속차로의 길이
  4. 가속차로의 길이
(정답률: 78%)
  • 버스정류장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차로의 수입니다. 버스는 대중교통 수단 중에서 가장 큰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출입차로와 주변 차로의 수가 충분하지 않으면 교통 체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버스정류장을 설계할 때는 출입차로와 인근 차로의 수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도로의 평면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복합곡선
  2. 배향곡선
  3. 완화곡선
  4. 오목곡선
(정답률: 70%)
  • 오목곡선은 도로의 평면곡선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오목곡선은 도로의 곡률이 음수인 곡선으로, 도로의 안전성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로 설계 시 오목곡선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설계기준 자동차의 종류별 제원 중 대형자동차의 길이는 얼마인가?

  1. 6.5m
  2. 11.2m
  3. 13.0m
  4. 16.7m
(정답률: 81%)
  • 설계기준에서 대형자동차의 길이는 13.0m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평탄지도로에서 80lm/h로 주행하는 차량의 최소정지시거는? (단, 마찰계수=0.4, 종단구배=3%, 인지반응시간 2초)(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약 94m
  2. 약 104m
  3. 약 114m
  4. 약 124m
(정답률: 1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교차로의 설계원리 중 타당하지 않는 것은?

  1. 상충지점 수를 늘린다.
  2. 상대속도를 줄인다.
  3. 회전교통 경로를 마련한다.
  4. 연속된 상충지점을 격리시킨다.
(정답률: 89%)
  • 상충지점 수를 늘리면 교차로 내에서 차량의 움직임이 복잡해지고, 교통 체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교차로의 설계원리 중에서는 "상충지점 수를 줄인다."가 올바른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길어깨 설치의 목적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고장차를 본선차도로부터 대피한다.
  2. 측방여유폭으로서 교통의 안전성에 기여한다.
  3. 노상시설을 설치하는 공간이 된다.
  4. 횡단보행자에게 공간을 확보해 준다.
(정답률: 64%)
  • 길어깨 설치의 목적은 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 중에서 "횡단보행자에게 공간을 확보해 준다."는 보기는 보행자들이 도로를 횡단할 때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보기들은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거나 노상시설을 설치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평행주차방식에 비하여 각도주차방식이 갖는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연석 길이 당 주차가능 대수는 평행주차방식보다 많다.
  2. 통고교통에 장애를 주는 면적이 크다.
  3. 저속차량이 많이 이용하는 부도로에 적합하다.
  4. 평행주차방식에 비해 주차 대수가 적다.
(정답률: 88%)
  • "평행주차방식에 비해 주차 대수가 적다."가 틀린 것이다. 각도주차방식은 주차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주차 대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연석 길이 당 주차가능 대수는 평행주차방식보다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로의 기능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주간선도로의 주기능은 접근성이다.
  2. 집산도로는 이동성보다 접근성이 더 큰 도로다.
  3. 보조간선도로의 주기능은 접근성이다.
  4. 국지도로는 주기능이 이동성이다.
(정답률: 94%)
  • 집산도로는 인구 집중지와 같은 중요한 지점을 연결하는 도로로, 이동성보다는 해당 지점에 대한 접근성이 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집산도로는 이동성보다 접근성이 더 큰 도로다."라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평면교차로의 최소 간격을 결정하는데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교차로 통과속도
  2. 차로변경에 필요한 길이
  3. 대기차량 및 회전차로의 길이
  4. 다음 교차로에 대한 인지성
(정답률: 52%)
  • 교차로 통과속도는 교차로 내에서 차량이 움직이는 속도를 의미하며, 이는 교통 안전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평면교차로의 최소 간격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사항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교차로 통과속도"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시지역 일반도로의 설계속도가 70km/h 이상이고 80km/h 미만인 경우 차로의 최소 폭 기준은 얼마인가?

  1. 2.75m 이상
  2. 3.00m 이상
  3. 3.25m 이상
  4. 3.50m 이상
(정답률: 63%)
  • 도로 설계속도가 70km/h 이상이면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고려하여 차로의 최소 폭은 3.25m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차량이 서로 안전하게 추월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급정거나 급회전 시에도 안전한 주행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3.25m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방지역 고속도로에서 평지 및 산지의 일반적인 설계속도는?

  1. 평지 80km/h, 산지 60km/h
  2. 평지 100km/h, 산지 80km/h
  3. 평지 120km/h, 산지 100km/h
  4. 평지 140km/h, 산지 120km/h
(정답률: 83%)
  • 산지는 고도가 높아서 곡선이 많고 경사도가 높아서 주행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평지보다는 속도가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산지의 설계속도는 평지보다 낮아야 하며, 보기 중에서는 "평지 120km/h, 산지 100km/h"가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면 중 조명의 이점이 아닌 것은?

  1. 용량을 어느 정도 증대시킨다.
  2. 상가지역을 활성화 시킨다.
  3. 교통류를 질서 있게 이동시킨다.
  4. 교차로, 인터체인지, 엇갈림지역의 운영을 개선한다.
(정답률: 70%)
  • 조명의 이점 중 교통류를 질서 있게 이동시키는 것은 아닌 것입니다. 조명은 교통량을 조절하여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이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교통안전표지판을 설치하려고 할 때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자전거 통행금지 표지판을 설치하려고 한다. 이 때 적절한 표지판의 종류는?

  1. 주의표지
  2. 규제표지
  3. 지시표지
  4. 보조표지
(정답률: 94%)
  • 자전거 통행금지는 교통규제에 해당하므로, 이를 나타내는 규제표지를 설치해야 한다. 주의표지는 주의를 주는 용도이고, 지시표지는 특정 방향이나 목적지를 가리키는 용도이며, 보조표지는 다른 표지와 함께 사용하여 보조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이다. 따라서, 자전거 통행금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규제표지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평면교차로에서는 도류화 설계를 위한 기본 원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전차량의 대기장소는 직진교통으로부터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2. 운전자의 인지성 확보를 위해 교통섬 내에 식수 등을 하도록 한다.
  3. 필요 이상의 교통섬을 설치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원칙적으로 도류화가 필요하더라도 좁은 면적에서는 이를 피해야 한다.
  4. 운전자가 한 번에 한 가지 이상의 의사결정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90%)
  • "운전자의 인지성 확보를 위해 교통섬 내에 식수 등을 하도록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도로 안전 설계 원칙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운전자의 인지성 확보를 위해 교통섬 내에 식수 등을 하도록 한다는 것은 오히려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도로 안전 설계 원칙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좌회전 차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좌회전 차량의 원활한 감속을 유도
  2. 좌회전 차량의 대기공간 확보로 교통신호 운영의 합리화 도모
  3. 좌회전 차량을 직진 차량과 분리함으로써 직진 차량에 대한 영향 최소화
  4. 교차로 신호현시 축소로 용량 증대
(정답률: 83%)
  • 교차로 신호현시 축소로 용량 증대는 좌회전 차로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 기능은 교통량이 많은 교차로에서 신호주기를 줄여서 교통량을 더 많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좌회전 차로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옥내 주차장의 설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변도로의 교통소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토지가격이 높은 도심지역에 주로 설치된다.
  3. 램프식, 경사바닥식, 기계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기계식은 램프와 통로가 불필요하다.
(정답률: 75%)
  • "주변도로의 교통소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옥내 주차장은 주변 도로와의 접근성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주변 도로의 교통량과 흐름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주변 도로의 교통소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버스의 최대운행속도가 60km/h, 정류장당 승객수가 2명, 탐승소요시간이 2초일 경우, 버스정류장의 적정 간격은 얼마인가? (단, 차량가속도는 2.5m/sec2, 차량감속도는 0.5m/sec2, 최적 재차인원에 의한 방법 적용)

  1. 536m
  2. 668m
  3. 736m
  4. 864m
(정답률: 59%)
  • 적정 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적정 간격 = (최대 운행 속도 × 최적 재차 인원에 의한 방법 적용 거리) + (정차 시간 × 정류장당 승객수 × 2)

    최적 재차 인원에 의한 방법 적용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적 재차 인원에 의한 방법 적용 거리 = (차량 속도2 / (2 × 가속도)) + (차량 속도2 / (2 × 감속도))

    여기서 차량 속도는 60km/h = 16.67m/s 이다.

    최적 재차 인원에 의한 방법 적용 거리 = (16.672 / (2 × 2.5)) + (16.672 / (2 × 0.5)) = 416.68 + 4166.68 = 4583.36m

    따라서 적정 간격은 다음과 같다.

    적정 간격 = (60 × 4583.36) + (2 × 2 × 2) = 275000.16m + 8m = 275008.16m

    이를 km 단위로 변환하면 275.00816km 이다. 이 값을 정류장 수로 나누면 된다.

    정류장 수 = 275.00816 / (2 × 1000) = 0.13750408

    따라서 버스 정류장의 적정 간격은 약 73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설계속도가 120kn/h인 도로의 평면곡선부에서 완화곡선길이의 규정값은 얼마인가?

  1. 70m
  2. 60m
  3. 50m
  4. 40m
(정답률: 80%)
  • 완화곡선길이는 설계속도와 평면곡선반경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설계속도가 120km/h이므로 규정값은 70m이다. 이는 도로의 안전성과 운전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평면곡선반경이 작을수록 완화곡선길이는 더 길어지며, 설계속도가 높을수록 완화곡선길이도 더 길어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설계속도가 120km/h인 경우에 해당하는 규정값인 70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도시계획개론

61. 버제스(Burgess)의 동심원이론에서 제4권역에 해당하는 토지이용은?

  1. 점이지대
  2. 노동자주택지대
  3. 고급주택지대
  4. 공업지대
(정답률: 90%)
  • 버제스의 동심원이론에서 제4권역은 도시의 외곽지역으로서 고소득층이 거주하는 지역인 "고급주택지대"에 해당한다. 이는 도시의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넓은 부지와 고급 주택들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지역은 대개 자연환경이 우수하며, 조용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소득층의 선호도가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가도시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도시의 부양능력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여 인구만 비대해진 도시화 현상
  2. 몇 개의 대도시와 그 주변 도시들이 융합되는 도시화 현상
  3. 낙후 지역의 효과적인 개발을 위해 잠재력이 큰 지점이나 지방도시에 대한 집중 투자로 발생하는 도시화 현상
  4. 대도시 중심부의 기능이 약화되어 도시의 공간구조가 도시 주변 지역 중심으로 바뀌는 현상
(정답률: 74%)
  • "도시의 부양능력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여 인구만 비대해진 도시화 현상"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도시 내의 인프라와 경제적 자원이 한정되어 있어도 인구가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로 인해 도시 내의 주거, 교통, 환경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도시의 경제ㆍ사회ㆍ문화적인 특성을 살려 개성 있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관, 생태, 정보통신, 과학, 문화, 관광 등의 분야별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할 수 있는 도시계획 관련 사항은?

  1. 도시ㆍ군기본계획
  2. 지구단위계획
  3. 시범도시지정
  4.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
(정답률: 80%)
  • 시범도시지정은 국토교통부장관이 도시의 경제, 사회,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경관, 생태, 정보통신, 과학, 문화, 관광 등의 분야별로 지정하는 것으로, 도시의 개성을 살려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계획이다. 다른 보기들은 도시계획과 관련된 다른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국토의 토지 이용 실태 및 특성, 장래 토지 이용 방향, 지역 간 균형발전 등을 고려하여 구분한 용도지역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지역
  2. 주거지역
  3. 상업지역
  4. 공업지역
(정답률: 79%)
  • "자연지역"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역으로, 인간의 토지 이용 계획에 따라 구분되는 용도지역의 유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은 인간의 토지 이용 계획에 따라 구분되는 용도지역의 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진화하는 도시(Cities in Evolution)를 저술하였으며, 공업도시에서 생기는 문제의 해결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설명하고 도시인구, 고용, 생활 등의 조사와 이에 대한 분석으로 과학적인 도시계획기술의 발전 필요성을 주장한 학자는?

  1. Raymond Unwin
  2. Tony Garnier
  3. Clarence Stein
  4. Patrick Geddes
(정답률: 65%)
  • Patrick Geddes는 공업도시에서 생기는 문제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해결하고, 도시인구, 고용, 생활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과학적인 도시계획기술의 발전 필요성을 주장한 학자이다. 이에 따라 '진화하는 도시(Cities in Evolution)'를 저술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경제기반이론(Econmic Base Theory)에서 기간산업(Basic Industry)을 판별하는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인 것은?

  1. 지역승수(Regoional Multiplier)
  2. 입지상(Location Quotient)
  3. 최대고용요구량법
  4. 산업연관표(input-output Table)
(정답률: 64%)
  • 경제기반이론에서 기간산업을 판별하는 방법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입지상(Location Quotient)입니다. 입지상은 특정 지역에서의 특정 산업의 고용 비중을 해당 산업의 전체 고용 비중으로 나눈 것입니다. 만약 입지상이 1보다 크다면 해당 지역은 해당 산업의 생산과 고용에 대한 기반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지상이 높은 산업은 기간산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케빈 린치(Kevin Lynch)가 주장한 도시 경관 이미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통로(path)
  2. 경계(edge)
  3. 상징물(landmark)
  4. 광장(open space)
(정답률: 81%)
  • 케빈 린치가 주장한 도시 경관 이미지의 구성요소는 "통로(path)", "경계(edge)", "상징물(landmark)"으로, 이들은 도시 내에서 사람들이 이동하고 인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광장(open space)"은 도시 내에서 공공적인 모임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경관 이미지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도시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도권의 인구와 산업을 적정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구분한 권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과밀억제권역
  2. 성장관리권역
  3. 자연보전권역
  4. 개발제한권역
(정답률: 41%)
  • 개발제한권역은 인구와 산업의 발전을 제한하기 위해 설정된 지역으로, 건축물 건설과 같은 인프라 개발이 제한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인구와 산업의 적정 배치를 위한 권역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로, 거주 환경의 쾌적성과 안전성 등의 확보를 위한 공지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토지이용규제 수단은?

  1. 공지율
  2. 건폐율
  3. 도로율
  4. 환자율
(정답률: 89%)
  •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로, 건축물이 대지를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에 따라 건폐율이 높을수록 대지면적 대비 건축물이 많이 차지하게 되어, 주변 환경의 쾌적성과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폐율은 건축물의 크기와 위치를 제한하여, 공지의 조성을 통해 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토지이용규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도시의 계획유형과 사례 도시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저탄소 녹색도시-스웨덴의 함마르뷔(Hammarby)
  2. 전원도시-영국의 레치워스(Letchworth)
  3. 건강도시-타이완의 타이난(Tainan)
  4. 창조도시-핀란드의 비키(Vikki)
(정답률: 77%)
  • 창조도시-핀란드의 비키(Vikki)는 창조적인 산업과 문화를 육성하기 위해 개발된 도시로, 다른 세 도시는 각각 저탄소 녹색도시, 전원도시, 건강도시의 계획유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Hook 신도시계획의 네 가지 기본 요소로 틀린 것은?

  1. 자동차와 보행자를 분리하는 도로망 체계
  2. 시가화 지역과 농촌 지역의 통합 시도
  3. 도시성(urbanity)의 향상
  4. 도시 인구구성의 균형
(정답률: 73%)
  • "시가화 지역과 농촌 지역의 통합 시도"는 Hook 신도시계획의 기본 요소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신도시계획은 주로 도시화와 도시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가화 지역과 농촌 지역의 통합 시도는 다른 계획이나 정책에서 다루어져야 할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능에 따른 도로의 종류와 배치간격 기준이 틀린 것은?

  1.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 : 1000m 내외
  2.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 : 500m 내외
  3. 보조간선도로와 집산도로 : 250m 내외
  4. 국지도로간 : 가구의 긴 변 사이 200~250m 내외, 가구의 짧은 변 사이 120~150m 내외
(정답률: 84%)
  •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의 배치간격 기준이 "500m 내외"로 잘못 기재되어 있습니다. 실제로는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의 배치간격 기준은 "250m 내외"입니다. 이유는 보조간선도로가 주간선도로와 연결되어 있어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짧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준년도의 인구와 출생률, 사망률 및 인구이동 등의 변화요인을 고려하여 장래의 인구를 추정하는 요소모형은?

  1. 등차급수법
  2. 집단생잔법
  3. 비교유수법
  4. 최소자승법
(정답률: 77%)
  • 장래의 인구를 추정하는 요소모형에서는 기준년도의 인구와 출생률, 사망률, 인구이동 등의 변화요인을 고려하여 인구를 추정합니다. 이때, 집단생잔법은 이러한 요소들이 인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인구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즉, 인구를 구성하는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구의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집단생잔법이 장래의 인구를 추정하는 요소모형에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토지이용계획의 수립 시 이용하는 정성적(定性的)인 예측변수가 아닌 것은?

  1. 토지의 생산성 및 산업별 생산액
  2. 생활양식의 변화 추이
  3. 산업입지의 형태
  4. 기술 및 사회 가치관의 변화
(정답률: 70%)
  • "토지의 생산성 및 산업별 생산액"은 정량적인 예측변수이기 때문에 정성적인 예측변수가 아닙니다. 이 변수는 토지의 생산성과 해당 지역의 산업별 생산액을 분석하여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현재 인구가 50만 명인 도시가 있다. 과거인구추세에 의한 평균 인구증가율이 3%일 때, 등비급수법에 의해 추정한 20년 후의 인구는?

  1. 약 70만명
  2. 약 90만명
  3. 약 110만명
  4. 약 130만명
(정답률: 55%)
  • 등비급수법을 사용하여 20년 후의 인구를 추정할 때, 첫 항은 현재 인구인 50만 명이고, 공비는 1 + 3% = 1.03이다. 따라서 20년 후의 인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50만 명 × (1.03)^20 = 약 90만 명

    즉, 20년 후의 인구는 약 90만 명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보행으로 중심부와 연결이 가능하며, 초등학교, 상가 등의 공동서비스 시설을 공유하는 규모로서 주민 간의 동질성이 강조되는 주거단지 계획의 기본적인 공간범위는?

  1. 인보구
  2. 근린분구
  3. 근린주구
  4. 지역공동체
(정답률: 78%)
  • 근린주구는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상가, 초등학교 등의 공동서비스 시설을 공유하며 보행으로 중심부와 연결이 가능한 규모의 주거단지를 말합니다. 따라서, 주민 간의 동질성이 강조되는 공간범위로서, 인보구나 지역공동체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근린분구는 규모가 더 작은 지역단위를 말하며, 근린주구보다는 더 작은 규모의 상권과 주거지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1958년 네덜란드의 헤이그에서 열린 도시재개발에 관한 제1회 국제세미나에서 광의의 개념으로 도시재개발을 분류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철거재개발
  2. 수복재개발
  3. 보전재개발
  4. 개량재개발
(정답률: 41%)
  • 정답: "개량재개발"

    개량재개발은 광의의 개념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개량재개발은 기존 도시를 개선하고 개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재개발 방식입니다. 이는 보전재개발과 유사하지만, 개량재개발은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건물을 개선하고 개량하여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 계획에 적합하며, 횡적인 연결은 환상선으로, 도심부와 교회 및 외곽은 방사선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파리, 모스크바가 대표적인 가로망 구성 형태는?

  1. 대각선삽입형
  2. 방사형
  3. 방사환상형
  4. 격자형
(정답률: 94%)
  • 방사환상형은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 계획에 적합하며, 횡적인 연결은 환상선으로, 도심부와 교회 및 외곽은 방사선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파리, 모스크바가 대표적인 가로망 구성 형태입니다. 이 형태는 도시의 중심부에서 주요 지역으로 뻗어나가는 방사선과 그 사이를 연결하는 환상선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교통 흐름이 원활하고, 도시의 중심부와 주요 지역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도시에서는 이 형태의 가로망 구성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Gottmann)에 의해 제시된 개념은?

  1. 거대도시(megaloplis)
  2. 가상도시(virtual city)
  3. 도시지역(urban region)
  4. 위성도시(satellite city)
(정답률: 80%)
  • Gottmann이 제시한 개념 중 "거대도시(megaloplis)"는 여러 개의 도시지역(urban region)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거대한 도시 형태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가상도시(virtual city)", "위성도시(satellite city)"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래드번(Radburn) 계획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슈퍼블록(superblock)
  2. 수평적인 보ㆍ차 통합 보도망 형성
  3. 쿨데삭(cul-de-sac)형 세가로망
  4. 라이트(H. Wright)와 스타인(C. Stein)
(정답률: 76%)
  • 래드번 계획은 도시 계획의 한 방법으로, 주택 지역과 상업 지역, 공원 등을 분리하여 계획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중에서 "수평적인 보ㆍ차 통합 보도망 형성"은 라드번 계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는 보행자와 차량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보도망을 형성하여 도시 내 이동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슈퍼블록(superblock)", "쿨데삭(cul-de-sac)형 세가로망", "라이트(H. Wright)와 스타인(C. Stein)"은 라드번 계획과 관련이 있지만, "수평적인 보ㆍ차 통합 보도망 형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교통관계법규

81.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전거
  2. 건설기계
  3. 전동휠체어
  4. 원동기장치자전거
(정답률: 83%)
  • 전동휠체어는 도로교통법상 ‘차’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전동휠체어가 도로교통법상 ‘장애인 보조기기’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동휠체어는 보행자로 간주되며, 보행자와 동일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도로교통법에 따른 자동차 등의 운행속도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편도 2차로 이상의 일반도로에서 자동차 등의 운행속도는 매시 80km 이내다.
  2. 일반도로에서는 매시 50km 이내로 운행하여야 한다.
  3. 자동차전용도로는 매시 80km의 최고속도만 규정하고 있다.
  4. 자동차 등의 도로 통행 속도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편도 2차로 이상의 일반도로에서 자동차 등의 운행속도는 매시 80km 이내다." 이다. 이유는 도로교통법 제26조에 따라 "편도 2차로 이상의 일반도로에서는 자동차 등의 운행속도는 매시 80km 이내로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일반도로에서의 운행속도나 자동차전용도로의 최고속도 등을 다루고 있으며, 도로 통행 속도의 규정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것이 맞지만, 이는 이 문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도로법에 의한 도로의 종류와 등급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특별시도ㆍ광역시도
  2. 고속국도
  3. 일반국도
  4. 간선도로
(정답률: 85%)
  • 간선도로는 도로법에 의한 도로의 종류와 등급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도로법에서 규정하는 특별시도ㆍ광역시도, 고속국도, 일반국도 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도로를 의미한다. 간선도로는 지방도나 기타 도로로 분류되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주차장법상 주차장의 정의에 따른 종류에 해당되는 것은?

  1. 공용주차장
  2. 유료주차장
  3. 사설주차장
  4. 노외주차장
(정답률: 78%)
  • 주차장법에서 정의한 주차장의 종류 중 "노외주차장"은 건물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공용주차장", "유료주차장", "사설주차장"은 노외주차장과는 다른 종류의 주차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안전표지의 바탕ㆍ테ㆍ문자와 기호의 색채에 대한 일반 기준이 틀린 것은?

  1. 규제표지 중 주차금지표지의 바탕은 청색으로 하고, 문자 및 기호는 백새으로 한다.
  2. 지시표지 중 일방통행표지의 기호 부분은 청색 바탕에 백색기호로 한다.
  3. 보조표지 중 어린이보호구역표지의 바탕은 황색으로 한다.
  4. 규제표지 중 진입금지표지의 바탕은 황색으로, 문자 및 기호는 적색으로 한다.
(정답률: 40%)
  • 안전표지의 바탕, 테두리, 문자 및 기호의 색채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를 준수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규제표지 중 진입금지표지의 바탕은 황색으로, 문자 및 기호는 적색으로 하는 것은 국제적인 표준에 따른 것이다. 이는 위험을 나타내는 색인 빨강과 주의를 나타내는 색인 노랑을 조합하여 위험성과 경고성을 동시에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도시교통정비촉진법령에 의한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 또는 교통혼잡 특별관리시설물의 지정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단, 혼잡시간대란 일정한 구역을 둘러싼 편도 4차로 이상 도로 중 적어도 1개 이상 도로의 시간대별 평균 통행속도가 시속 10km 미만인 상태이다.)

  1. 혼잡시간대가 토ㆍ일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평균 하루 3회 발생할 것
  2. 시설물이 유발하는 교통량으로 인하여 해당 시설물의 주출입구에 접한 도로의 혼잡시간대가 시설물이 유발하는 교통량이 토ㆍ일료일과 공휴일을 포함한 주 중 가장 많은 날을 기준으로 하루 3회 이상 발생할 것
  3. 혼잡시간대에 해당 도로를 통하여 해당 시설물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교통량이 그 도로 한쪽 방향 교통량의 10% 이상일 것
  4. 혼잡시간대에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으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교통량이 해당 도로 한쪽 방향 교통량의 10% 이상을 차지할 것
(정답률: 47%)
  • 혼잡시간대에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으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교통량이 해당 도로 한쪽 방향 교통량의 10% 이상을 차지할 것은 옳은 기준이다. 이는 해당 도로가 혼잡해지면서 교통량이 많아지는 상황에서도 해당 구역이나 시설물로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기준들은 혼잡시간대의 발생 빈도나 시설물이 유발하는 교통량 등을 고려한 것이지만, 이 기준은 직접적으로 해당 도로의 교통량을 고려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국토교통부장관은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의 수립 또는 변경을 위한 지침을 작성하여 언제까지 지정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하는가?

  1. 계획 연도 시작 전년도 6월 말 까지
  2. 계획 연도 시작 전전년도 6월 말 까지
  3. 계획 연도 시작 전년도 10월 말 까지
  4. 계획 연도 시작 전전년도 10월 말 까지
(정답률: 76%)
  •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은 다음 해부터 시행되는 계획이므로, 해당 연도의 1월 1일부터 적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계획 연도 시작 전전년도 6월 말까지 지침을 작성하여 통보함으로써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계획을 수립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교통안전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지방자치단체가 도로 관리청임 도로 중 대도시권의 주요 간선도로로서 도시권의 교통혼잡을 개선하고 물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개선이 필요한 구간을 무엇이라 하며, 각 권역별 개선사업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기간이 모두 옳은 것은?

  1. 권역별 교통혼잡도로, 3년
  2.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5년
  3.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3년
  4. 권역별 교통혼잡도로, 5년
(정답률: 89%)
  • 정답은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5년"이다.

    이유는 대도시권의 주요 간선도로는 교통 혼잡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계획 수립과 개선 작업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권역별로 개선사업을 수립하면서 전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5년이라는 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5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시장이 혼잡통행료 부과지역을 지정하고자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우회도로의 확보
  2. 대체교통수단의 확충
  3. 인근지역의 주차시설 확충
  4. 교통지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징수방식
(정답률: 80%)
  • 인근지역의 주차시설 확충은 혼잡통행료 부과지역을 지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혼잡통행료 부과지역을 지정하면 차량 이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인근지역의 주차 수요도 감소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근지역의 주차시설 확충은 혼잡통행료 부과지역을 지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의 정차에 해당하는 것은?

  1. 화물을 싣기 위해 계속 정지하여 있는 상태
  2. 운전자가 5분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차를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주차외의 정지 상태
  3. 차의 운전자가 그 차의 바퀴를 일시적으로 완전히 정지 시키는 것
  4. 운전자가 차를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느린 속도로 진행하는 것
(정답률: 92%)
  • 운전자가 5분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차를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주차외의 정지 상태가 도로교통법상의 정차에 해당한다. 이는 차량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으로, 주차와는 달리 차량을 장기적으로 머물리지 않고 단지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정차는 일반적으로 교통 신호나 표지판에 따라 이루어지며, 운전자는 5분 이상 멈추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교통안전에 관한 주요 정책과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등을 심의하는 기관은?

  1. 국가교통안전정책심의회
  2. 중앙교통위원회
  3. 국가교통위원회
  4. 교통안전위원회
(정답률: 71%)
  • 국가교통위원회는 국가 교통안전에 관한 주요 정책과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 등을 심의하는 기관으로, 국가 교통안전을 총괄적으로 책임지고 관리하기 때문에 해당 정책과 계획을 심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도로교통법에 따른 안전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주의표지
  2. 위험표지
  3. 보조표지
  4. 지시표지
(정답률: 66%)
  • 정답: 보조표지

    설명: 도로교통법에 따른 안전표지의 종류는 "주의표지", "위험표지", "지시표지"이다. 보조표지는 이들 안전표지와 함께 사용되어 특정한 상황에 대한 보충 설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도로법상 도로의 부속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로원표, 이정표, 수선 담당 구역표
  2. 도로와 서로 그 효용을 함께하는 제방, 호안, 횡단도로
  3. 도로의 방호울타리, 가로수 또는 가로등으로서 도로 관리청이 설치한 것
  4. 도로에 연접하는 자동차 주차장 및 도로 수선용 재료적치장과 이들 시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고로관리로서 도로 관리청이 설치한 것
(정답률: 70%)
  • 도로와 서로 그 효용을 함께하는 제방, 호안, 횡단도로가 도로법상 도로의 부속물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도로의 일부분이 아니라 도로를 보호하거나 보완하는 시설물로서, 도로와는 별개의 개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도시교통의 원활한 소통과 교통편의의 증진을 위하여 고시교통정비지역으로 지정ㆍ고시할 수 있는 기준은? (단 도농복합형태의 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인구 5만명 이상의 도시
  2.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
  3. 인구 15만명 이상의 도시
  4.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
(정답률: 80%)
  • 고시교통정비지역은 도시교통의 원활한 소통과 교통편의의 증진을 위해 지정하는 것이므로, 인구가 많은 도시일수록 교통량이 많아서 교통정비가 더 필요하기 때문에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가 기준이 된다. 인구가 적은 도시는 교통량이 적어서 교통정비가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도시교통정비지역에서 교통유발부담금의 부과대상 시설물은 해당 시설물의 각층 바닥 면적을 합한 면적이 최소 얼마이상인 시설물로 하는가? (단, 부과대상 시설물이 주택법에 따른 주택단지의 위치한 시설물로서 도로변에 위치하지 아니한 시설물인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1000m2
  2. 2000m2
  3. 3000m2
  4. 4000m2
(정답률: 74%)
  • 도시교통정비지역에서 교통유발부담금의 부과대상 시설물은 해당 시설물의 각층 바닥 면적을 합한 면적이 최소 1000m2 이상인 시설물로 한다. 이는 도시교통정비지역에서 대규모 시설물이나 상업시설 등 교통량이 많은 시설물에 대한 부담금을 부과하기 위한 조치이다. 따라서, 1000m2 이상의 면적을 가진 시설물에 대해서만 교통유발부담금이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도로법상 관리청은 도로 구조의 손궤 방지, 미관 보존 또는 교통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경계선으로부터 얼마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접도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가?

  1. 10m
  2. 15m
  3. 20m
  4. 30m
(정답률: 73%)
  • 도로법 제30조에 따르면, 관리청은 도로경계선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접도구역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해지며, 최대 20m까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주차장법상 노상주차장의 주차대수 규모가 얼마 이상인 경우 장애인 전용주차구획을 한 면 이상 설치해야 하는가?

  1. 10대
  2. 15대
  3. 20대
  4. 30대
(정답률: 70%)
  • 주차장법상 노상주차장의 주차대수 규모가 20대 이상인 경우 장애인 전용주차구획을 한 면 이상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장애인들이 주차장을 이용할 때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법적 규정입니다. 따라서, 주차장의 규모가 20대 이상이면 장애인 전용주차구획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의 수립 시 부문별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통시설의 개선
  2. 대중교통체계의 개선
  3. 환경친화적 교통체계의 구축
  4. 교통유발금의 부과 및 징수
(정답률: 73%)
  •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은 도시의 교통체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계획으로, 부문별 계획에는 교통시설의 개선, 대중교통체계의 개선, 환경친화적 교통체계의 구축 등이 포함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교통유발금의 부과 및 징수"입니다. 교통유발금은 도시의 교통체계를 이용하는 차량들에게 일정한 금액을 부과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교통체계의 개선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이는 교통체계의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이지만, 다른 부문들과는 달리 직접적인 개선 방안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환경영향평가
  2.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
  3. 교통영향분석ㆍ개선대책
  4. 타당성평가
(정답률: 58%)
  • 주어진 이미지는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중에서도 "교통영향분석ㆍ개선대책"이 정답인 이유는, 도시교통정비 중에는 교통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통영향분석을 통해 교통체증 등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경영향평가와 타당성평가도 도시교통정비에 필요한 과정이지만, 이번 이미지에서는 교통영향분석ㆍ개선대책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정답은 "교통영향분석ㆍ개선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주차장법규상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 기준이 옳은 것은?

  1.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5m 이상이어야 한다.
  2. 곡선 부분은 자동차가 4m 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 부분에서는 17%, 곡선 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주차대수 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의 경사로는 너비 5m 이상인 2차로를 확보하거나 진ㆍ출입차로를 통합하여야 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 부분에서는 17%, 곡선 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이다. 이유는 차량이 주차장 내에서 움직일 때 경사로의 종단경사도가 너무 높으면 차량이 넘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선 부분에서는 17% 이하, 곡선 부분에서는 14% 이하로 설계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교통안전

101. 교통사고의 유발요인을 인적 요인, 차량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였을 때, 다음 중 환경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운전습관
  2. 교통조건
  3. 도로상태
  4. 자연환경
(정답률: 94%)
  • 운전습관은 인적 요인에 해당하며, 교통사고의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요인입니다. 따라서 환경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교통안전표지 중 정주식 표지의 적정 설치높이는?

  1. 10~40m
  2. 50~80m
  3. 100~210m
  4. 450~500m
(정답률: 75%)
  • 정주식 표지는 보행자나 자전거 등의 운동장비가 통과하기 쉬운 길이나 교차로 등에 설치되며, 이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높이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적정 설치높이는 100~210m로 설정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낮거나 높은 높이를 제시하고 있어, 보행자나 운동장비 사용자들이 표지를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다음 중 전체사고 건수에 대한 비율이 가장 높은 사고유발 인자는?

  1. 차량요인
  2. 도로요인
  3. 인적요인
  4. 환경요인
(정답률: 87%)
  • 인적요인은 운전자의 부주의, 졸음 운전, 음주 운전 등 인간의 실수나 행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가 많기 때문에 전체사고 건수에 대한 비율이 가장 높은 사고유발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 중 교통사고 현장에 나타나 있는 요마크(Yaw mark)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추정할 때 사용되지 않는 항목은?

  1. 요마크의 길이
  2. 타이어-노면의 마찰계수
  3. 노면의 횡단경사
  4. 요마크의 곡선반경
(정답률: 62%)
  • 요마크의 길이는 차량의 속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요마크의 길이는 차량이 회전하는 각도와 관련이 있으며, 차량의 속도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요마크의 길이는 차량의 속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차량이 하루에 18600대가 통행하는 자동차 전용도로의 300m 구간에서 3년간 교통사고가 27건 발생하였을 때 연간 통행량 1억대ㆍkm당 사고건수는?

  1. 약 221건
  2. 약 442건
  3. 약 663건
  4. 약 1326건
(정답률: 71%)
  • 연간 통행량은 1억대ㆍkm이므로, 3년간 통행량은 3억대ㆍkm이다. 따라서, 3년간 27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이므로, 연간 평균 교통사고 건수는 9건이다. 이를 1억대ㆍkm당 사고건수로 환산하면, 9건 ÷ 3억대ㆍkm × 1억대ㆍkm = 약 0.3건/1억대ㆍkm 이다. 이를 다시 1000으로 곱해주면, 약 300건/1조대ㆍk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약 442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교통사고가 다발하는 단로부(mid-block)에서 보행자 횡단에 의한 사고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차로폭의 재조정
  2. 입체횡단시설 설치
  3. 횡단보도 예고표지 신설
  4. 마찰계수가 높은 노면포장
(정답률: 82%)
  • 차로폭의 재조정은 차량과 보행자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보행자가 횡단할 때 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다발하는 단로부에서 보행자 횡단에 의한 사고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한 차량이 60m 거리를 미끄러져 주차한 차량과 충동하였으며 충돌 후 두 차량이 함께 20m를 미끄러져 정지하였다. 양 차량의 무게가 동일할 때 주행차량의 초기속도는? (단. 마찰계수는 0.5로 가정한다.)

  1. 130.1 km/h
  2. 133.3km/h
  3. 139.3km/h
  4. 145.1km/h
(정답률: 66%)
  • 이 문제는 운동량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두 차량이 충돌하기 전에는 주행차량만 운동하고 있으므로, 주행차량의 운동량은 다음과 같다.

    p1 = m1v1

    여기서 m1은 주행차량의 질량, v1은 주행차량의 초기속도이다.

    충돌 후에는 두 차량이 함께 운동하므로, 두 차량의 운동량은 다음과 같다.

    p2 = (m1 + m2) * v2

    여기서 m2는 주차한 차량의 질량, v2는 충돌 후 두 차량이 함께 움직이는 속도이다.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충돌 전과 후의 운동량은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p1 = p2

    m1v1 = (m1 + m2) * v2

    여기서 m1과 m2가 같으므로,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v1 = (m1 + m2) / m1 * v2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v1 = (m1 + m2) / m1 * (2 * μ * g * d)^(1/2)

    여기서 μ는 마찰계수, g는 중력가속도, d는 주차한 차량과의 거리이다.

    따라서, v1 = (1 + 1) / 1 * (2 * 0.5 * 9.8 * 60)^(1/2) = 133.3 km/h

    따라서, 정답은 "133.3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자동차 타이어의 트레드(trea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타이어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
  2.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산
  3. 차량의 목적에 알맞은 구동력, 선회성 확보
  4.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장치
(정답률: 78%)
  •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장치"는 타이어의 트레드와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타이어의 트레드는 차량이 급정거나 급정지할 때 땅과의 마찰력을 유지하여 슬립을 방지하고, 비와 눈으로 인한 미끄러움을 줄여 안전한 운전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다음 중 교차로 교통사고로 간주되지 않는 것은?

  1. 교차부 내에서의 교통사고
  2. 교차로 접근로에서 좌회전하기 위한 차선변경 중 교통사고
  3. 교차로 접근로에서 우회전하기 위한 차선변경 중 교통사고
  4. 건물 유출입로의 교차부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정답률: 85%)
  • 건물 유출입로의 교차부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교차로가 아니기 때문에 교차로 교통사고로 간주되지 않는다. 교차로는 두 개 이상의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을 말하는데, 건물 유출입로는 도로와 건물 출입구가 교차하는 지점이므로 교차로가 아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교차로 교통사고로 간주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지하횡단보도를 계획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시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2. 횡단보도육교에 비하여 공사비ㆍ공법 등이 유리한 경우
  3. 지장물로 인해 육교의 높이가 너무 높아 그 이용이 곤란한 경우
  4. 횡단 보행자가 극히 적은 공원 등의 경우
(정답률: 86%)
  • 지하횡단보도는 건설 비용이 매우 높고, 도시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계획이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횡단 보행자가 극히 적은 공원 등의 경우에는 지하횡단보도를 계획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유는 횡단 보행자가 적기 때문에 보행자들이 지하횡단보도를 이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지하횡단보도를 계획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다음 중 충격흡수시설의 주된 설치장소로 볼 수 없는 것은?

  1. 터널 및 지하차도 입구
  2. 연결로 출구 분기점
  3. 교통섬 주변
  4. 요금소 전면
(정답률: 73%)
  • 충격흡수시설은 교통량이 많은 도로나 고속도로에서 사고 발생 시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교통섬 주변은 차량이 직접 충돌할 가능성이 적어 주된 설치장소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교통섬 주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여 많이 감소시킬 수 있는 사고의 유형은?

  1. 측면충돌사고
  2. 추돌사고
  3. 정면충돌사고
  4. 전복사고
(정답률: 95%)
  • 중앙분리대는 도로를 양분하여 차량의 충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면으로 충돌하는 사고에서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면 많이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측면충돌사고나 추돌사고, 전복사고는 중앙분리대와는 관련이 없는 사고 유형이므로 정답은 "정면충돌사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다음 중 교통안전표지의 설치방법이 아닌 것은?

  1. 정주식
  2. 문형식
  3. 부착식
  4. 현수식
(정답률: 58%)
  • 현수식은 교통안전표지를 기둥에 끼워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현수식은 교통안전표지의 설치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 중 치사율을 올바르게 나타낸 식은?

(정답률: 84%)
  • 정답은 ""이다.

    치사율은 사망자 수를 확진자 수로 나눈 비율로, 위 식에서는 100명 중 2명이 사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보기들은 확진자 수 대비 사망자 수가 잘못 계산되어 있거나, 다른 비율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식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중량이 2000kg인 차량이 시속 30km로 달리다가 정차중인 1000kg 중량의 차량과 충돌하여 얼마의 거리를 밀고 나가 정차하였다면 충돌 직후의 속도는 얼마인가?

  1. 5km/h
  2. 10km/h
  3. 15km/h
  4. 20km/h
(정답률: 58%)
  •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충돌 전과 후의 운동량은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2000kg 차량의 운동량은 m1v1이 되고, 1000kg 차량의 운동량은 m2v2가 된다. 충돌 후, 두 차량의 속도가 각각 v1'과 v2'가 되면,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m1v1 + m2v2 = m1v1' + m2v2'가 성립한다.

    따라서, 2000kg 차량의 초기 속도 v1는 30km/h (8.33m/s)이고, 1000kg 차량은 정차 중이므로 v2는 0이다. 충돌 후, 두 차량이 함께 정차하므로 v1' = v2' = 0이다. 따라서, m1v1 + m2v2 = m1v1' + m2v2'에서 v1' = (m1v1 + m2v2) / m1 = (2000kg x 8.33m/s + 1000kg x 0m/s) / 2000kg = 5m/s (18km/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km/h"가 아니라 "18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교차로에서 좌회전 교통량이 많아 발생하는 좌회전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교차로의 도류화
  2. 교차로 내부공간 확대
  3. 좌회전 신호 현시
  4. 회전 유도차선 표시
(정답률: 78%)
  • 교차로 내부공간 확대는 좌회전 차량과 직진 차량의 충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거리가 먼 대책이다.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좌회전 차량과 직진 차량의 경로가 겹치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좌회전 차량이 출발할 때 충돌 가능성이 있는 직진 차량의 시야를 차단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차로 내부의 차량 이동 경로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어떤 차량이 노면 마찰계수가 0.7인 평탄한 도로에서 앞차량과의 추돌을 피하기 위해 급정거하여 15.5m를 미끄러진 후 정지하였을 때 이 차량의 미끄러지기 전의 속도는 얼마인가?

  1. 42.3 km/h
  2. 52.5 km/h
  3. 59.4 km/h
  4. 60.9 km/h
(정답률: 64%)
  • 노면 마찰계수가 0.7이므로, 마찰력은 차량의 무게의 0.7배이다. 따라서 차량이 받는 마찰력은 0.7mg이다. 여기서 m은 차량의 질량, g은 중력가속도이다.

    차량이 급정거하여 미끄러진 거리는 다음과 같다.

    d = (1/2)at^2

    여기서 a는 가속도, t는 시간이다. 차량이 정지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다음과 같다.

    t = sqrt(2d/a)

    여기서 d는 15.5m이고, a는 마찰력으로 인한 가속도이므로 다음과 같다.

    a = (0.7mg)/m = 0.7g

    따라서 t는 다음과 같다.

    t = sqrt(2d/(0.7g))

    이제 차량의 미끄러지기 전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차량이 급정거하기 전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v = at

    여기서 a는 마찰력으로 인한 가속도이므로 다음과 같다.

    a = 0.7g

    따라서 v는 다음과 같다.

    v = 0.7gt

    이제 t를 구하면 된다.

    t = sqrt(2d/(0.7g)) = sqrt(2*15.5/(0.7*9.8)) = 1.53s

    따라서 v는 다음과 같다.

    v = 0.7gt = 0.7*9.8*1.53 = 10.8m/s

    이를 km/h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v = 10.8*3.6 = 38.9 km/h

    따라서 정답은 "42.3 km/h"가 아니라 "52.5 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교통사고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평면 곡선부가 종단경사와 중복되는 곳은 사고 위험성이 크다.
  2. 차로 폭을 확장했을 때 사고율이 감소한다.
  3. 하향경사에서 상향경사보다 대형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4. 인터체인지에서 램프의 사고율은 주도로나 램프의 교통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56%)
  • "차로 폭을 확장했을 때 사고율이 감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차로 폭을 확장하면 운전자들이 더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어 사고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로는 차로 폭이 넓어지면 운전자들이 속도를 더 빠르게 내리는 경향이 있어 오히려 사고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인터체인지에서 램프의 사고율은 주도로나 램프의 교통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이유는, 인터체인지에서 램프는 교통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램프의 신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램프 주변의 도로나 교차로에서 교통량이 많아지면 램프에서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램프의 위치와 교통량을 고려하여 인터체인지를 설계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세갈래 교차로와 네갈래 교차로는 각각 몇 개의 교차상충지점을 가지는가?

  1. 3개, 8개
  2. 3개, 16개
  3. 4개, 16개
  4. 9개, 32개
(정답률: 74%)
  • 세갈래 교차로는 3개의 도로가 교차하므로 3개의 교차상충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네갈래 교차로는 4개의 도로가 교차하므로 각각의 도로에서 다른 3개의 도로와 교차하게 되어 총 4 x 3 = 12개의 교차상충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복되는 교차상충지점이 있으므로, 이를 제외하면 16개의 교차상충지점이 남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개, 16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교통사고 대책대안의 검토절차로 옳은 것은?

  1. 현장확인 및 검토-교통운영의 기본요건 검토-빈발하는 사고유형에 새로운 적용검토-대책대안들의 비교검토
  2. 대책대안들의 비교검토-교통운영의 기본요건 검토-빈발하는 사고유형에 새로운 대책의 적용검토-현장확인 및 검토
  3. 교통운영의 기본 요건 검토-빈발하는 사고유형에 새로운 대책의 적용검토-현장확인 및 검토-대책대안들의 비교검토
  4. 빈발하는 사고유형에 새로운 대책의 적용검토-현장확인 및 검토-대책대안들의 비교검토-교통운영의 기본요건 검토
(정답률: 77%)
  • 교통사고 대책대안의 검토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현장확인 및 검토를 통해 실제 상황을 파악하고, 교통운영의 기본요건을 검토합니다. 그 다음으로 빈발하는 사고유형에 새로운 대책의 적용검토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책대안들을 비교검토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장확인 및 검토-교통운영의 기본요건 검토-빈발하는 사고유형에 새로운 적용검토-대책대안들의 비교검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