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10-10)

지적기능사
(2004-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일반(임의구분)

1. 지적에서 하나의 지번을 부여하는 토지의 등록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필지
  2. 대지
  3. 구획
  4. 택지
(정답률: 89%)
  • 지적에서 하나의 지번을 부여하는 토지의 등록 단위를 "필지"라고 합니다. 이는 한 개의 건물을 세울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대지는 필지보다 큰 단위이며, 구획은 필지보다 작은 단위입니다. 택지는 건축물을 세울 수 있는 대지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적에서 지적측량기준점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지적도근점과 방향점
  2. 지적위성기준점과 지적삼각점
  3. 지적삼각점과 방향점
  4. 지적위성기준점과 전개점
(정답률: 52%)
  • 지적에서는 지적측량을 위해 지적위성기준점과 지적삼각점을 사용합니다. 지적위성기준점은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한 고도와 위도, 경도를 기반으로 한 기준점으로, 지적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지적삼각점은 지적측량에서 사용되는 삼각측량의 기준점으로, 지적의 위치를 삼각측량을 통해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기준점은 지적측량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적법의 3대 이념이 아닌 것은?

  1. 지적 공개주의
  2. 지적 국정주의
  3. 지적 국유주의
  4. 지적 등록주의
(정답률: 87%)
  • 지적 국유주의는 지적재산권을 국가가 소유하고 통제하는 이념으로, 지적재산권의 개인 소유를 부정하는 것이므로 지적법의 이념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우리나라에서 지적측량 적부심사를 담당하는 기관은?

  1. 한국지적학회
  2. 지방지적위원회
  3. 대한지적공사
  4. 행정자치부
(정답률: 54%)
  • 지적측량 적부심사는 지방지적위원회가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지방지적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적사업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 지적측량 적부심사를 비롯한 지적사업의 계획, 조정, 감독 등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지적공부의 보존년한은?

  1. 10년
  2. 30년
  3. 50년
  4. 영구
(정답률: 75%)
  • 지적공부는 지식과 정보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존년한은 영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임야대장에 등록된 임야를 개간하여 토지대장에 "전"으로 등록하는 행위는 다음 어디에 해당 되는가?

  1. 신규등록
  2. 등록전환
  3. 지목변경
  4. 과세지정
(정답률: 57%)
  • 이는 "등록전환"에 해당됩니다. 임야대장에 등록된 임야를 개간하여 토지대장에 등록하는 것은 기존에 이미 등록된 임야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등록 전환을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기존에 등록된 임야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등록정보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3-2, 6, 7, 7-1, 7-2' 다섯 필지를 합병하여 지번을 부여할 경우 합병 후의 지번으로 옳은 것은 ? (단, 토지소유자가 합병하기전의 지번 중 특정 지번을 지정하지 않았다.)

  1. 7
  2. 3-2
  3. 6
  4. 7-3
(정답률: 63%)
  • 합병 전의 지번 중 특정 지번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합병 후에는 가장 작은 번호인 "6"이 새로운 지번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적공부 중 토지대장의 편성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 가치적 편성주의
  2. 연대적 편성주의
  3. 인적 편성주위
  4. 물적 편성주의
(정답률: 56%)
  • 가치적 편성주의는 토지대장을 편성할 때, 소유자의 가치관과 이념을 고려하여 편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토지의 소유자가 자신의 가치관에 맞게 토지를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는 토지의 물리적 조건이나 소유자의 연대나 인적 요소보다는 소유자의 가치관을 우선시하는 방법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낚시터에 감시소, 좌대, 휴양용 정자 등 휴양 시설물이 종합적으로 갖추어진 경우에 알맞은 지목은?

  1. 유지
  2. 공원
  3. 유원지
  4. 구거
(정답률: 63%)
  • 유원지는 휴양 시설물이 종합적으로 갖추어진 곳으로, 낚시터, 감시소, 좌대, 휴양용 정자 등 다양한 시설물이 있어서 사람들이 쉬고 놀기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가장 알맞은 지목은 유원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기우식 지번 부번 방법이 가장 적합한 지역은?

  1. 시가지 도로변
  2. 지형이 불규칙한 농경지
  3. 토지 구획정리 시행지구
  4. 경사가 심한 산간지
(정답률: 39%)
  • "시가지 도로변"이 가장 적합한 지역은 주소를 표기하기 쉽고, 주소를 찾기 쉬운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시가지 도로변은 대개 도로명이 지정되어 있고, 건물들이 밀집해 있어서 주소를 찾기 쉽습니다. 또한, 기우식 지번 부번 방법은 토지의 구획이 명확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지형이 불규칙한 농경지", "토지 구획정리 시행지구", "경사가 심한 산간지"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지점에 측판을 세우고 다른 지점을 시준한 방향선에 의하여 구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1. 전방교회법
  2. 후방교회법
  3. 복전진법
  4. 단전진법
(정답률: 55%)
  • 전방교회법은 측판을 기지점에서 앞쪽으로 던져 다른 지점을 시준한 방향선에 의해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정하는 방향이 명확하고 측정 오차가 적기 때문에 구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지점에서 앞쪽으로 측정하는 전방교회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선차가 24m이고, 횡선차가 36m일 때의 두 점간의 거리는?

  1. 36.2m
  2. 40.3m
  3. 43.3m
  4. 46.2m
(정답률: 59%)
  • 두 차량이 서로 마주보고 있을 때, 두 차량과 땅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이 생깁니다. 이 삼각형의 밑변은 종선차와 횡선차의 길이를 합한 값인 60m이고, 이 삼각형의 꼭지점에서 밑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가 두 차량 사이의 거리입니다. 이 수선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면, (60/2)^2 - 24^2 = 36^2 - x^2 이므로, x = √(60^2 - 24^2 - 36^2) ≈ 43.3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3.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적삼각보조점을 교회법으로 관측하는 경우에 수평각의 관측방법은?

  1. 2회 반복관측법
  2. 2대회 방향관측법
  3. 3회 반복관측법
  4. 3대회 방향관측법
(정답률: 53%)
  • 지적삼각보조점을 교회법으로 관측하는 경우에는 수평각을 측정하여 삼각측량법을 이용해 위치를 계산합니다. 이때, 수평각을 측정하는 방법 중 가장 정확한 것은 2대회 방향관측법입니다. 이 방법은 한 점에서 두 번의 관측을 수행하여 오차를 줄이는 방법으로, 첫 번째 관측에서 측정한 각도와 두 번째 관측에서 측정한 각도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위치를 계산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차를 최소화하고 보다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측선AB 방위각이 45° 15' 30"라면 이 측선의 역방위각은?

  1. 45° 15' 30"
  2. 135° 15' 30"
  3. 225° 15' 30"
  4. 134° 44' 30"
(정답률: 52%)
  • 역방위각은 해당 방위각에서 180°를 더하고, 북쪽과 남쪽을 바꾸고, 동쪽과 서쪽을 바꾸면 된다. 따라서, 45° 15' 30"에서 180°를 더하면 225° 15' 30"이 된다. 또한, 북쪽과 남쪽을 바꾸면서 동쪽과 서쪽도 바뀌지만, 이 경우에는 방위각이 동쪽이므로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225° 15'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지적도근점을 구성할 수 없는 것은?

  1. 결합도선
  2. 폐합도선
  3. 왕복도선
  4. 개방도선
(정답률: 42%)
  • 개방도선은 두 개 이상의 지점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지적도근점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두 개 이상의 지점이 연결되어 있어서 지적도근점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측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을 시행하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방법은?

  1. 교회법
  2. 도선법
  3. 시거법
  4. 방사법
(정답률: 64%)
  • 측판측량방법은 삼각측량법의 일종으로, 삼각측량법에서 측정한 기준점과 측정 대상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에서 사용하는 측정기기는 삼각기와 측지대 등이 있습니다. 시거법은 삼각측량법 중 하나이지만, 측정 대상과 측정기기 사이에 물체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측정 대상과 측정기기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시거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측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을 교회법에 의할 경우 방향선의 도상길이는 얼마로 하는가?

  1. 2㎝ 이하
  2. 8㎝ 이하
  3. 10㎝ 이하
  4. 15㎝ 이하
(정답률: 67%)
  • 교회법에서는 방향선의 도상길이를 10㎝ 이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교회 건축물의 성격상 정확한 위치와 크기가 중요하며, 측량 오차가 크면 건축물의 안정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측량을 위해 방향선의 도상길이를 10㎝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측판측량법에 있어서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지상거리의 축척별 허용범위는? (단, M은 축척의 분모임.)

  1. M/10 mm
  2. M/100 mm
  3. M/10 m
  4. M/100 m
(정답률: 48%)
  • 측판측량법에서는 지상거리의 측정값을 도상에 투영하여 측정합니다. 이때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는 지상거리의 측정값이 일정한 오차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이 오차 범위는 축척에 따라 다르며, 축척이 작을수록 오차 범위가 작아집니다.

    따라서 축척이 M일 때, 지상거리의 허용 오차 범위는 M/10 mm입니다. 이는 지상거리 1m을 측정할 때, 도상상에서의 오차 범위가 1/M mm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축척이 커질수록 지상거리의 측정 오차 범위가 커지므로, 축척이 작을수록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실제 2점간의 거리 50m를 도상 2mm로 표시하였을 때 축척은 얼마인가?

  1. 1/1,000
  2. 2/2,500
  3. 1/25,000
  4. 1/50,000
(정답률: 82%)
  • 도상 1mm는 실제 1m를 나타내므로, 도상 2mm는 실제 2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2점간의 거리 50m를 도상으로 나타내면 2mm × 25 = 50mm가 됩니다. 이를 축척으로 나타내면 1mm에 25m가 해당하므로, 1/25,0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교회법에 의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서 2개의 삼각형으로부터 계산한 위치의 연결교차가 얼마 이하인 때 그 평균치를 지적삼각보조점의 위치로 하는가?

  1. 0.20m
  2. 0.30m
  3. 0.50m
  4. 0.80m
(정답률: 41%)
  • 교회법에 의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서는 2개의 삼각형으로부터 계산한 위치의 연결교차가 작을수록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연결교차가 작을수록 좋다. 따라서 평균치를 지적삼각보조점의 위치로 하는데, 이때 연결교차가 작을수록 평균치와 실제 위치의 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연결교차가 0.30m 이하일 때 평균치를 지적삼각보조점의 위치로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지적측량(임의구분)

21. 다음 중 지적삼각보조측량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경위의 측량방법
  2. 방사법
  3.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법
  4. 다각망도선법
(정답률: 51%)
  • 방사법은 지적삼각보조측량과는 관련이 없는 측량 방법입니다. 방사법은 일반적으로 지하수나 지하 파이프 등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지적삼각보조측량과는 전혀 다른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축척 1/1200인 지적도 도곽선의 왼쪽 종선의 신축된 차 △X1=-5mm, 오른쪽 종선의 신축된 차 △X2=-5mm, 윗쪽 횡선의 신축된 차 △Y1=-3mm, 아래쪽 횡선의 신축된 차 △Y2=-3mm 일 때 이 도면의 도곽신축량은?

  1. -2mm
  2. -3mm
  3. -4mm
  4. -5mm
(정답률: 63%)
  • 도곽선이 신축되면 그림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모든 신축된 차가 음수이므로 도면의 도곽신축량은 음수이다.

    또한, 도곽선의 왼쪽 종선과 오른쪽 종선의 신축된 차가 같고, 윗쪽 횡선과 아래쪽 횡선의 신축된 차가 같으므로, 이 도면은 균일한 신축을 겪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곽선의 신축된 차의 평균값을 구하면 도면의 도곽신축량을 구할 수 있다.

    (△X1 + △X2 + △Y1 + △Y2) / 4 = (-5mm - 5mm - 3mm - 3mm) / 4 = -4mm

    따라서, 정답은 "-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측판을 측정점에 설치할 때에 충족시켜야 할 조건이 아닌것은?

  1. 정준
  2. 구심
  3. 표정
  4. 높이
(정답률: 69%)
  • 측판을 측정점에 설치할 때에 충족시켜야 할 조건은 정준, 구심, 표정입니다. 이는 측정 결과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높이는 측정 결과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천, 도로 등 좁고 긴 형상의 지형에 적합한 삼각망은?

  1. 사각망
  2. 삽입망
  3. 유심 다각망
  4. 단열삼각망
(정답률: 45%)
  • 단열삼각망은 좁고 긴 형상의 지형에 적합한 삼각망으로, 이는 삼각형의 변이 길고 각이 예각인 삼각형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하천이나 도로와 같은 긴 형상의 지형에서 적합하며, 삼각형의 변이 길어지면서 삼각형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계산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길어지면서 삼각형의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지형의 세부적인 특징을 놓치지 않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측량이란 무엇을 이용한 위치결정 체계인가?

  1.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
  2. 인공위성
  3. 항공사진
  4. 세오돌라이트(Theodolite)
(정답률: 80%)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측량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결정 체계입니다. GPS 수신기가 인공위성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기술자격별 직무범위에 있어 지적측량을 할 수 없는 자는?

  1. 지적기술사
  2. 지적기사
  3. 지적기능사
  4. 지적산업기사
(정답률: 75%)
  • 지적측량은 지적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은 지적기능사의 역할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지적기능사가 아닌 다른 기술자격은 지적측량을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지대장에 등록하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소유자명의 가나다순서
  2. 과세의 등급순서
  3. 지번순서
  4. 지목별 차례
(정답률: 80%)
  • 토지대장에 등록하는 순서는 지번순서입니다. 이는 각 토지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지번이 부여되기 때문입니다. 지번은 지역별로 구역을 나누고, 그 안에서도 일정한 순서로 번호를 매기기 때문에 토지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지대장에 등록할 때에도 지번순서로 등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지적도에 지번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단, 본번이 25이고 부번이 7일 경우)

  1. 25 의 7
  2. 25 번지의 7
  3. 25 의 7 번지
  4. 25 - 7
(정답률: 83%)
  • 정답은 "25 - 7" 입니다.

    지적도에서는 일반적으로 본번과 부번을 "-"로 구분하여 표기합니다. 따라서 "25 - 7"이 옳은 표기법입니다.

    "25 의 7"은 의미가 모호하며, "25 번지의 7"은 번지가 아닌 부번을 나타내므로 옳지 않습니다. "25 의 7 번지"도 마찬가지로 부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적도의 축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1/1000
  2. 1/2400
  3. 1/5000
  4. 1/600
(정답률: 82%)
  • 지적도의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축척이 작을수록 지도상에서는 더 큰 영역을 보여주지만, 실제 거리는 더 짧아집니다. 반대로 축척이 클수록 지도상에서는 더 작은 영역을 보여주지만, 실제 거리는 더 길어집니다.

    따라서 "1/5000"은 다른 보기들보다 축척이 더 작은 것입니다. 이는 지도상에서 더 큰 영역을 보여주지만, 실제 거리는 더 짧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축척변경의 시행공고는 관련사항을 며칠 이상 공고하여야 하는가?

  1. 10일
  2. 15일
  3. 20일
  4. 30일
(정답률: 33%)
  • 축척변경은 중요한 사항이므로 충분한 시간을 두고 공고하여야 합니다. 이에 따라 관련 법령에서는 축척변경의 시행공고를 20일 이상 공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축척변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에 대한 이의제기 등을 받을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시개발사업 등의 완료사실은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몇 일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1. 10일 이내
  2. 15일 이내
  3. 20일 이내
  4. 30일 이내
(정답률: 43%)
  • 도시개발사업 등의 완료사실은 「도시계획 및 건축법 시행규칙」 제67조에 따라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관련 기관이나 주민들이 해당 사업의 완료사실을 빠르게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이를 지키지 않으면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관청이 직권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정정할 수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토지이동정리결의서의 내용과 다르게 정리된 경우
  2. 경계의 위치가 잘못되어 필지의 면적이 증감한 경우
  3. 지적공부의 작성 또는 재작성 당시 잘못 정리된 경우
  4. 지적측량성과와 다르게 정리된 경우
(정답률: 51%)
  • 경계의 위치가 잘못되어 필지의 면적이 증감한 경우는 지적공부에 등록된 사항을 정정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이는 지적공부의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인 필지의 면적이 정확하게 등록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측량 작업이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토지 합병의 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합병하고자 하는 토지의 소유자가 다를 것
  2. 합병하고자 하는 토지의 지목이 다를 것
  3. 합병하고자 하는 각 필지의 지반이 연속되어 있을 것
  4. 합병하고자 하는 각 필지의 도면 축척이 다를 것
(정답률: 73%)
  • 합병하고자 하는 각 필지의 지반이 연속되어 있어야 하는 이유는, 합병된 토지가 하나의 큰 조각으로 이어져 있어야 토지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고, 토지의 이용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지반이 끊어져 있거나 중간에 다른 토지가 끼어들면 경계가 모호해지고, 토지의 이용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신규등록할 토지가 있을 때는 발생한 날부터 몇 일 이내에 소관청에 신청하여야 하는가?

  1. 30일
  2. 40일
  3. 50일
  4. 60일
(정답률: 71%)
  • 토지 등기법 제9조에 따르면, 토지의 신규등록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소관청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이 기간을 초과하면 벌금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청산금의 납부고지를 받은 자는 그 고지를 받은 날부터 몇 월 이내에 납부하여야 하는가?

  1. 1월
  2. 2월
  3. 3월
  4. 6월
(정답률: 47%)
  • 청산금의 납부고지를 받은 자는 그 고지를 받은 다음 달부터 3개월 이내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필지의 소유자가 2인 이상일 때 작성하는 지적공부는?

  1. 공유지연명부
  2. 지적도
  3. 토지대장
  4. 지번색인표
(정답률: 82%)
  • 일필지의 소유자가 2인 이상일 때 작성하는 지적공부는 "공유지연명부"입니다. 이는 여러 명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부동산의 소유권과 지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로, 각 소유자의 지분과 지분에 따른 권리, 의무 등을 기록합니다. 지적도는 토지의 위치와 경계를 나타내는 지도이며, 토지대장은 토지의 소유자와 면적 등을 기록하는 문서입니다. 지번색인표는 지번별로 소유자와 면적 등을 검색할 수 있는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중 이동지 정리에 수반하여 지적도를 정리하여야 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1. 경계의 변동이 없는 면적 오류정정을 하는 경우
  2. 토지분할 또는 토지합병을 할 때
  3. 소유권이 변경된 경우
  4. 사유지가 공공용지로 변경될 때
(정답률: 50%)
  • 토지분할 또는 토지합병을 할 때는 기존의 지적도와는 달리 새로운 경계와 면적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지적도를 정리하여 지적도상의 변동사항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등록된 토지의 일부가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되어 다른 지번지역에 속하게 된 때에 알맞은 사항은?

  1. 소관청은 새로이 지번을 정하여 정리한다.
  2. 종전의 지번에 부호를 붙여서 정리한다.
  3. 토지 소재만 변경하여 정리한다.
  4. 행정자치부장관의 통첩을 받아 정리한다.
(정답률: 62%)
  •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되어 다른 지번지역에 속하게 된 경우, 해당 지역의 지번도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소관청은 새로운 지번을 정하여 정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적도면에서 행정구역선이 2종이상 겹치는 경우의 처리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최하급 행정구역계만 그린다.
  2. 최상급 행정구역계만 그린다.
  3. 약간 띄워서 모두 그린다.
  4. 중간 행정구역계만 그린다.
(정답률: 78%)
  • 지적도면에서 행정구역선이 2종 이상 겹치는 경우, 최상위 행정구역계만 그리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방법이다. 이는 최상위 행정구역이 하위 행정구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최상위 행정구역만 그려도 전체적인 지리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행정구역을 그리면 지도가 복잡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최상위 행정구역만 그리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적공부에 토지의 표시를 새로이 정하거나 변경 또는 말소하는 것을 말하는 것은?

  1. 등록전환
  2. 토지의 이동
  3. 지목변경
  4. 축척변경
(정답률: 33%)
  • 토지의 이동은 기존에 존재하는 토지의 소유자나 경계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적공부에 토지의 표시를 새로이 정하거나 변경 또는 말소하는 것은 토지의 이동에 해당합니다. 등록전환은 지적도상의 토지를 실제 토지로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목변경은 토지의 용도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축척변경은 지적도의 축척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지적공부정리(임의구분)

41. 도면의 재작성에서 도면의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 기준으로 하는 것은?

  1. 측량약도
  2. 대장
  3. 측량결과도
  4. 대장부본
(정답률: 63%)
  • 도면의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실제 현장에서 측량을 통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측량결과도에 반영하여 도면을 재작성합니다. 따라서 측량결과도가 기준이 됩니다. 측량약도는 측량을 위한 도면이며, 대장과 대장부본은 측량결과를 기록하는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원지의 지목을 지적도에 등록정리 할 때에는 어떻게 표기하는가?

  1. 유원
(정답률: 68%)
  • 유원지는 "원"으로 표기합니다. 이는 지적도에서 토지의 명칭을 표기할 때, 가장 큰 단위인 "원"으로 표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원지"는 "원"으로 표기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적도에 지목 변경 정리시 구지목의 말소는?

  1. 양홍평행쌍선
  2. 양홍단교차선
  3. 묵평행쌍선
  4. 묵단교차선
(정답률: 47%)
  • 지적도에 지목 변경 정리시 구지목의 말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양홍평행쌍선"이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양홍"은 지적도에서 사용하는 색상이며, "평행쌍선"은 지적도에서 도로를 나타내는 선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양홍평행쌍선"은 지적도상에서 도로를 나타내는 선 중 양홍색으로 표시된 평행쌍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적공부에 정리하는 수치 및 경계에 관한 사항 중 틀린것은?

  1. 도곽선의 수치는 붉은색으로 한다.
  2. 도곽선의 주기는 붉은색으로 한다.
  3. 지번의 주기는 검은색으로 한다.
  4. 새로이 설정된 지번의 주기는 붉은색으로 한다.
(정답률: 51%)
  • "지번의 주기는 검은색으로 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지번의 주기는 일반적으로 붉은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지번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입니다. 새로이 설정된 지번의 주기를 붉은색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이 지번이 새롭게 설정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일람도에 등재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번
  2. 지번설정지역의 경계 및 명칭
  3. 도면의 제명 및 축척
  4. 주요 지형 지물의 표시
(정답률: 34%)
  • 일람도는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이며, 지번은 토지의 소재지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로 지리적 정보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일람도에 등재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적도에서 지적측량기준점을 제도하는 선의 굵기는?

  1. 0.1mm
  2. 0.2mm
  3. 0.3mm
  4. 0.4mm
(정답률: 30%)
  • 지적도에서 지적측량기준점을 제도하는 선의 굵기는 0.2mm입니다. 이는 지적도에서 사용되는 굵기 중 가장 적절한 굵기로, 충분한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선택된 것입니다. 또한, 너무 얇은 굵기는 선이 흐릿하게 보일 수 있고, 너무 두꺼운 굵기는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0.2mm가 적절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경 1mm, 2mm의 2중원을 그리고 1mm원의 내부를 검게 제도한 것은?

  1. 1등삼각점
  2. 2등삼각점
  3. 3등삼각점
  4. 4등삼각점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원점들중 지적도 도곽선 구획의 기산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중부원점
  2. 서부원점
  3. 수준원점
  4. 동부원점
(정답률: 79%)
  • 기산점은 지적도 도곽선 구획의 경계선 위에 위치한 원점으로, 해당 구획의 높이를 기준으로 삼는다. 따라서 수준원점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원점이지만, 지적도 도곽선 구획의 경계선 위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산점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일람도의 축척으로 옳은 것은?

  1. 당해 지적도 축척의 1/5
  2. 당해 지적도 축척의 1/10
  3. 당해 지적도 축척의 1/50
  4. 당해 지적도 축척의 1/100
(정답률: 64%)
  • 일람도는 대상 지역의 전반적인 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는 지도이며,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따라서 "당해 지적도 축척의 1/10"이 옳은 것입니다. 이는 일람도의 축척이 지적도의 축척보다 10배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지적도의 축척이 1:5,000일 경우, 일람도의 축척은 1:50,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면 작성시 동, 리계의 행정구역선 폭은?

  1. 0.1mm
  2. 0.2mm
  3. 0.3mm
  4. 0.4mm
(정답률: 48%)
  • 동, 리계의 행정구역선은 지도상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폭이 너무 크면 지도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너무 작으면 구역선이 눈에 잘 띄지 않아서 적절한 크기인 0.2mm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축척 1/600 지역에서 토지를 분할하는 경우 토지의 원면적이 100m2인 경우 신구면적의 오차허용범위는?

  1. 96∼104m2
  2. 94∼106m2
  3. 93∼107m2
  4. 92∼108m2
(정답률: 41%)
  • 축척 1/600 지역에서 100m2의 원면적을 가진 토지를 분할할 때, 오차허용범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축척 1/600에서 1cm는 현실에서 600cm(6m)를 의미합니다.
    2. 따라서, 100m2의 원면적은 축척에 따라 100/6002 = 0.0278cm2가 됩니다.
    3. 이를 분할할 때 오차허용범위는 0.0278cm2의 5%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4. 따라서, 0.0278cm2 x 0.05 = 0.00139cm2가 오차허용범위가 됩니다.
    5. 이를 다시 현실 크기로 환산하면, 0.00139cm2 x 6002 = 503.04m2가 됩니다.
    6. 따라서, 오차허용범위는 100m2에서 ±√503.04 = ±22.44m2 내에 있어야 합니다.
    7.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96∼104m2"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면적을 측정할 경우 도곽선의 길이에 얼마 이상의 신축이 있을 때 이를 보정하는가?

  1. 0.5㎜
  2. 1㎜
  3. 2㎜
  4. 4㎜
(정답률: 71%)
  • 면적을 측정할 때 도곽선은 실제 물체의 경계를 따라 그려지지만, 측정 도구의 정확도나 측정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실제 경계와 도곽선 사이에 일정한 신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축은 면적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보정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보정 기준은 도곽선의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길이가 길수록 신축이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길이가 일정 기준 이상일 때 보정을 실시합니다. 이 기준은 보통 0.5㎜에서 4㎜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인 "0.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정 기준 중 가장 작은 값으로, 신축이 매우 작은 경우에도 보정을 실시하여 보다 정확한 면적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한 면적측정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단, A:허용면적, M:축척분모, F:측정면적의 평균)

  1.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시행한 지역에서 사용한다.
  2. 교차의 허용면적 산식은 A = 0.0232 M√F 이다.
  3. 측정면적은 1천분의 1제곱미터까지 계산하여 10분의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4. 도상에서 2회 측정하여 교차가 허용면적 이하인 때에는 그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한다.
(정답률: 65%)
  • 답: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시행한 지역에서 사용한다."

    전자면적측정기는 지형지물의 면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측정면적은 1천분의 1제곱미터까지 계산하여 10분의1제곱미터 단위로 정합니다. 도상에서 2회 측정하여 교차가 허용면적 이하인 때에는 그 평균치를 측정면적으로 산출합니다. 교차의 허용면적 산식은 A = 0.0232 M√F 이며, 이는 면적측정기의 축척분모와 측정면적의 평균값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시행한 지역에서 사용한다."는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한 면적측정방법과는 무관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축척 1/600 지역에서 1필지 면적을 좌표면적계산법으로 계산하여 245.450m2를 산출하였다. 이 필지의 결정면적은 얼마인가?

  1. 245.45m2
  2. 245.4m2
  3. 245.5m2
  4. 246m2
(정답률: 55%)
  • 축척 1/600 지역에서 1필지 면적을 좌표면적계산법으로 계산하면, 실제 필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결정면적은 계산된 면적에 축척의 제곱을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결정면적은 245.45m2 x (600)2 = 21,037,200m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245.4m2" 인 이유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는 계산된 면적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축척 1/1000인 지적도 1 도곽의 실제 포용면적은?

  1. 30,000m2
  2. 60,000m2
  3. 90,000m2
  4. 120,000m2
(정답률: 51%)
  • 축척 1/1000이므로 1cm가 실제로는 1000cm 또는 10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1 도안의 면적은 1cm x 1cm = 10m x 10m = 100m²이 됩니다. 이를 지적도의 축척에 맞게 확대하면 1000 x 1000 = 1,000,000배가 되므로, 1 도안의 면적은 100,000,000m²이 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실제 포용면적은 건물, 도로, 녹지 등의 영향으로 인해 사용 가능한 면적이 제한됩니다. 이를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지적도에서는 실제 포용면적을 1/8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100,000,000m² ÷ 8 = 12,500,000m²이 됩니다. 이를 보기에서 제시된 답변으로 변환하면 120,000m²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곽선의 수치는 도곽선의 왼쪽 아래부분과 오른쪽 윗부분 바깥쪽에 몇 mm 크기의 아라비아숫자로 제도하는가?

  1. 0.1
  2. 0.5
  3. 1.0
  4. 2.0
(정답률: 26%)
  • 도곽선의 수치는 도면상에서 도곽선의 왼쪽 아래부분과 오른쪽 윗부분 바깥쪽에 몇 mm 크기의 아라비아숫자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수치가 2.0인 경우, 도곽선의 왼쪽 아래부분과 오른쪽 윗부분 바깥쪽에 2mm 크기의 아라비아숫자로 표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람도 제도에서 검은색 0.2mm 폭의 2선으로 제도하는 것은?

  1. 수도용지
  2. 지방도
  3. 공원용지
  4. 하천
(정답률: 52%)
  • 일람도 제도에서 검은색 0.2mm 폭의 2선으로 제도하는 것은 지방도이다. 이는 지방 도시와 시골 지역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지방도는 지방 도시와 시골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면적 측정을 하여야 할 대상이 아닌 경우는?

  1. 지적 공부를 복구하는 경우
  2. 신규 등록을 하는 경우
  3. 분할을 하는 경우
  4. 합병을 하는 경우
(정답률: 68%)
  • 합병을 하는 경우는 이미 측정된 면적들을 합쳐서 하나의 면적으로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면적을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면적 측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번색인표의 등재사항이 아닌 것은?

  1. 제명
  2. 지번
  3. 종번
  4. 결번
(정답률: 70%)
  • 종번은 지번색인표에 등재되지 않는다. 지번색인표는 토지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종번은 토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번호가 아니라, 토지의 면적을 구분하기 위한 번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번색인표에는 제명, 지번, 결번 등이 등재되지만, 종번은 등재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축척 1/1200 지역에서 면적 결정의 최소 단위는?

  1. 0.1m2
  2. 1m2
  3. 5m2
  4. 10m2
(정답률: 68%)
  • 축척 1/1200은 1cm를 1200cm로 축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cm2는 실제 세계에서 1200cm x 1200cm = 1440000cm2에 해당합니다. 이를 미터 단위로 환산하면 14.4m2이 됩니다. 따라서, 1/1200 지역에서 면적 결정의 최소 단위는 1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