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지적일반(임의구분)
1.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가 5명이하 일 때에 토지소유자 중 몇 명을 축척변경위원회의 위원으로 위촉하여야 하는가?
2. 다음 중 지번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3. 사람의 신분에 관한 기록으로 정의되는 호적을 지적과 비교할 때, 호적의 성명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는 지적의 기재사항은?
4. 다음 중 지적공부의 복구 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면적의 결정 단위 기준은? (단, 지적도의 축척이 600분의 1인 지역과 경계점좌표 등록부에 등록하는 지역의 토지 면적을 등록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6. 지적측량 중 세부측량은 위성기준점, 통합기준점, 지적기준점 및 경계점을 기초로 하여 어떤 방법에 따라야 하는가?
7. 축척이 1/1200 인 도면에서 도곽선의 신축량이 x1= -0.6㎜, x2= -0.8㎜ y1= -0.8㎜ y2= -1.0㎜ 인 경우 도곽신축에 대한 면적보정 계수는?
8. 다음 중 지적도의 축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9. 다음 중 도면에 등록하는 동.리의 행정구역선은 얼마의 폭으로 제도하여야 하는가?
10.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 당시의 조사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1. 토지소유자는 신규등록 또는 등록전환할 토지가 있는 경우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최대 얼마 이내에 지적소관청에 신청하여야 하는가?
12. 다음 중 법지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 다음 중 신규등록에 의한 토지의 이동이 있어 지적공부를 정리하여야 하는 경우 지적소관청이 작성하여야 하는 것은?
14. 다음 일반적인 경계의 구분 중 측량사에 의하여 측량이 행해지고 지적 관리청의 사정에 의하여 확정된 토지 경계는?
15. 교회법에 따른 지적삼각보조점을 관측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연결교차는 얼마인가?
16. 다음 중 지적의 발생설과 거리가 먼 것은?
17. 다음 중 중앙지적위원회의 부위원정이 되는 자는?
18. 다음 중 지목의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9. 다음 중 지적서고의 설치 및 관리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다음 중 도면 제도시 붉은색으로 제도하여야 하는 것은? (단, 토지의 이동에 따른 도면을 정리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2과목: 지적측량(임의구분)
21. 토렌스시스템의 일반적 이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2. 다음 중 지상경계를 새로이 결정하려는 경우의 그 기준이 옳은 것은?
23. 다음 중 도곽선의 역할로 보기 어려운 것은?
24. 다음 중 지적도 및 임야도에 등록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5. 축척이 1/1200 인 지적도상에 1변이 2cm로 등록된 정사각형 모양인 토지의 실제면적은 얼마인가?
26. 다음 중 지적기준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7. 다음 중 경계의 결정 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28. 다음 중 신라시대의 토지측량에 사용된 구장 산술에서 구분한 토지의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9.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의 방법으로 옳은 것은?
30. 다음 중 시대에 따른 지적제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31. 다음 중 경계점의 위치를 평면직각좌표(X.Y)를 이용하여 등록 관리하는 지적제도는?
32. 다음 중 1필지로 정할 수 있는 기준이 옳지 않는 것은?
33. 다음 중 지번을 부여하는 진행방향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4. 다음 중 지적삼각 보조점 측량의 망 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35. 조선시대의 토지 등록 장부로 오늘날의 토지 대장과 같은 양안은 몇 년마다 한 번씩 양전을 실시하여 새로운 양안을 작성하였는가?
36. 다음 중 경계점좌표등록부의 정리 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37.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는 시행공고일 부터 최대 몇 일 이내에 시행공고일 현재 점유하고 있는 경계에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경계점표지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38. 축척이 1/1200 인 지적도에서 원면적이 3000m2인 일필지를 분할하는 경우 , 분할 후의 각 필지의 면적이 합계와 분할 전 면적과의 오차의 최대 허용범위는?
39. 다음 중 토지의 이동에 따라 경계선을 말소하는 경우의 제도 작업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경계의 길이가 짧은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40. 지적도를 갖춰두는 지역에서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하는 때에 거리의 측정단위는 얼마인가?
3과목: 지적공부정리(임의구분)
41. 우리나라 지적관련 법령의 변천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42. 다음 중 지적측량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43. 연 왕골 등이 자생하는 배수가 잘 되지 아니하는 토지의 지목은 무엇으로 설정하여야 하는가?
44. 다음 중 삼국시대부터 찾아볼 수 있는 오늘날의 지적(地積)과 유사한 토지에 관한 기록과 관계가 없는 것은?
45. 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등록된 토지를 토지대장 및 지적도에 옮겨 등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46. 전자면적측정기에 따른 면적측정은 도상에서 몇 회 측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47. 임야대장 및 임야도에 등록하는 토지의 지번은 숫자 앞에 어떠한 기호를 표기하는가?
48.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지적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쓰인 것은?
49. 다음 중 토지대장의 일반적인 유형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50. 다음 중 지적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1.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상 지적측량업의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지적측량업을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52. 다음 중 토지의 합병을 신청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닌 것은?
53. 다음 중 지목과 지적도면에 등록하는 때에 표기 하는 부호의 연결이 옳지 않는 것은?
54. 다음 중 토지정보시스템의 약호로 옳은 것은?
55. 토지소유자가 토지의 분할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 지적소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6.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적용해 온 지적의 원리로서 형식주의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57. 다음 중 필지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8. 다음 중 일람도에 등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9. 다음 중 지적소관청이 지적삼각보조점성과표 및 지적도근점 성과표에 기록 관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0. 다음 중 전 국토를 대상으로 실시한 토지조사 사업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