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정보통신산업기사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다음 중 시미트 트리거 회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압비교회로
  2. 구형파회로
  3. 쌍안정회로
  4. 증폭회로
(정답률: 79%)
  •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출력 신호가 바뀌는 회로입니다. 이에 반해 증폭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켜 출력 신호로 내보내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시미트 트리거 회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증폭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궤환발진기에서 궤환율 β=0.05일 때 발진조건이 성립하려면 증폭도(A)의 크기는?

  1. 0.5
  2. 5
  3. 10
  4. 20
(정답률: 62%)
  • 발진조건은 Aβ>1 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Aβ=0.05A 이므로 A>1/0.05=20 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차동증폭기회로에서 이미터 저항 대신 정전류원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전류이득을 크게 하기 위해서
  2. 전압이득을 크게 하기 위해서
  3. 바이어스 전압을 크게 하기 위해서
  4. CMRR을 크게 하기 위해서
(정답률: 61%)
  • 차동증폭기회로에서 이미터 저항을 사용하면 공통모드 잡음이 증폭되어 CMRR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전류원을 사용하여 바이어스 전압을 크게 하여 CMRR을 크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MRR을 크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25:1의 리플 카운터를 설계하고자 한다. 최소한 몇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한가?

  1. 4개
  2. 5개
  3. 6개
  4. 7개
(정답률: 86%)
  • 25:1의 리플 카운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5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이는 2의 5승이 32이므로, 5개의 비트로 0부터 24까지의 수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5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클립핑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형 변환회로의 일종이다.
  2. 직렬형과 병렬형이 있다.
  3. 적분기의 일종이다.
  4. 진폭 조작회로의 종류이다.
(정답률: 73%)
  • "적분기의 일종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클립핑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출력 신호가 일정한 값으로 고정됩니다. 이는 직렬형과 병렬형이 있으며, 파형 변환회로나 진폭 조작회로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이미터 플로어(emitter follower)증폭기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류이득이 크다.
  2. 입력 임피던스가 높다.
  3. 출력 임피던스가 높다.
  4. 전압이득은 1보다 작다.
(정답률: 73%)
  • 정답: "출력 임피던스가 높다."

    이미터 플로어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전압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되며, 입력 임피던스가 높아서 입력 신호에 대한 부하가 적습니다. 또한 전류 증폭기로서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서 출력 신호에 대한 부하가 적습니다. 따라서, 출력 임피던스가 높다는 것은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논리식 와 등가인 회로는?

(정답률: 59%)
  • 정답은 ""이다.

    논리식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A와 B 중 하나는 참이고, C와 D 중 하나는 참이면, A와 D 중 하나는 참이다.

    등가인 회로는 A와 B를 OR 게이트로 연결하고, C와 D를 OR 게이트로 연결한 후, 두 결과를 AND 게이트로 연결한 것이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이면 출력이 참이므로, A와 B 중 하나가 참이거나, C와 D 중 하나가 참이면 출력이 참이 된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므로, A와 D 중 하나가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된다.

    따라서, 논리식과 등가인 회로는 같은 동작을 수행하므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컬렉터 또는 베이스 동조형 발진회로에서 동조회로의 공진주파수와 이들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는 어떤 관계에 있어야 하는가?

  1. 공진주파수와 발진주파수는 같아야 한다.
  2. 공진주파수는 발진주파수보다 약간 높아야 한다.
  3. 공진주파수는 발진주파수보다 약간 낮아야 한다.
  4. 공진주파수와 발진주파수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정답률: 54%)
  • 정답: "공진주파수는 발진주파수보다 약간 높아야 한다."

    이유: 컬렉터 또는 베이스 동조형 발진회로에서는 발진회로의 주파수가 공진주파수와 약간 차이가 나야 한다. 이는 발진회로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공진주파수에서 증폭되어 동조회로에서 더욱 강한 신호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진주파수는 발진주파수보다 약간 높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접합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베이스 회로에 직렬로 저항을 접속한다.
  2. 베이스 회로에 인덕턴스를 접속한다.
  3. 베이스 회로에 저항과 콘덴서를 접속하여 연결한다.
  4. 베이스 회로에 제너 다이오드를 접속한다.
(정답률: 61%)
  • 베이스 회로에 저항과 콘덴서를 접속하여 연결하는 것은 RC 회로를 형성하여, 콘덴서가 충전되는 시간과 방전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스위칭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전류가 빠르게 증폭되어 전기 신호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회로내의 분포용량, 표유 인덕턴스 또는 회로정수의 불평형에 의해서 다른 주파수의 발진이 생기는 현상은?

  1. 고유 진동 발진
  2. 이완 발진
  3. 다이나트론 발진
  4. 기생 발진
(정답률: 73%)
  • 기생 발진은 회로내의 분포용량, 표유 인덕턴스 또는 회로정수의 불평형에 의해서 다른 주파수의 발진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는 회로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가적인 발진으로, 원래의 발진 회로와는 독립적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기생 발진은 회로의 안정성을 해치고, 불필요한 전파를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회로에서 입력전압 Vi = 100 sin ωt[V]일 때, 출력전압 Vo의 크기는?

  1. 100[V]
  2. 141[V]
  3. 200[V]
  4. 282[V]
(정답률: 45%)
  • 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작동하게 되어 입력전압의 절댓값이 출력전압의 절댓값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출력전압의 크기는 입력전압의 절댓값인 100[V]보다 작을 것입니다.

    다이오드의 정방향 작동 전압은 보통 0.7[V] 정도입니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0.7[V] 이상일 때만 다이오드가 작동하여 출력전압이 존재합니다. 입력전압이 0.7[V] 이하일 때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출력전압이 0[V]가 됩니다.

    입력전압이 100[V]일 때,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출력전압이 존재합니다. 이때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에서 0.7[V]을 뺀 값이 됩니다. 따라서 출력전압의 크기는 99.3[V]가 됩니다.

    하지만 입력전압은 사인파 형태이므로, 다이오드가 작동하는 시간도 사인파 주기에 따라 변화합니다. 입력전압이 0[V]에서 최대값인 100[V]까지 증가하는 시간은 반 주기인 5[ms]입니다. 이 시간 동안 다이오드가 작동하여 출력전압이 존재하므로, 출력전압의 크기는 99.3[V]보다 커집니다.

    출력전압의 최대값은 입력전압이 최대값인 100[V]일 때, 다이오드가 작동하는 시간 동안 출력전압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이때 출력전압의 크기는 입력전압에서 0.7[V]을 뺀 값인 99.3[V]보다 크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200[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압이득이 40[dB]인 저주파 증폭기에 전압부궤환율을 0.98로 걸어줄 때, 왜율의 개선율[%]은 약 얼마인가?

  1. 6.26
  2. 7.25
  3. 8.25
  4. 9.26
(정답률: 35%)
  • 전압부궤환율이 0.98로 걸어지면, 이전에는 40[dB]의 전압이득이 있었지만 이제는 20[dB]의 전압이득이 된다. 따라서 왜율은 이전에는 1000배가 증폭되었지만, 이제는 100배가 증폭되므로 개선율은 (1000/100) - 1 = 9배 개선된 것이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9.26[%]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디코더(decoder)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AND 회로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2.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3. 10진수를 BCD로 표현할 때 사용한다.
  4. 명령 해독이나 번지를 해독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75%)
  •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10진수를 BCD로 표현할 때 사용하는 이유는, BCD(Binary Coded Decimal)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10진수를 직접 표현하는 것보다 메모리 공간을 덜 차지하기 때문이다. 디코더는 이진수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이 경우에는 10진수를 BCD로 변환하는 디코더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송파 vc(t) = Vc cos ωct, 신호파 vs(t) = Vs cosωst라 할 때, FM 피변조파 vm(t)를 표시한 것은?

  1. vm(t) = Vc(1+mf cos ωst) cos ωct
  2. vm(t) = Vc cos(ωct+mf sin ωst)
  3. vm(t) = Vc cos(ωct+ vs (t))
  4. vm(t) = Vc cos(ωct+ Vs cos ωst)
(정답률: 41%)
  • 정답은 "vm(t) = Vc cos(ωct+mf sin ωst)"이다.

    FM 피변조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신호파의 진폭이 변화할 때 반송파의 주파수가 변화한다. 이 때, 진폭 변화의 크기에 따라 주파수 변화의 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FM 피변조파의 진폭은 신호파의 진폭 변화에 따라 변화하며, 주파수는 반송파의 주파수와 일정한 비율로 변화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vm(t) = Vc cos[ωct + 2πkf ∫vs(τ)dτ]

    여기서 kf는 변조 감도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이 수식을 간단화하기 위해, 신호파가 cos 함수로 주어진다고 가정하면,

    vm(t) = Vc cos[ωct + 2πkf ∫Vs cos ωsτ dτ]

    = Vc cos[ωct + mf sin ωst]

    따라서, FM 피변조파의 수식은 vm(t) = Vc cos(ωct+mf sin ωst)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프트 레지스터 출력을 입력에 되먹임 시킴으로써 클럭펄스가 가해지면 같은 2진수가 레지스터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만든 계수기는?

  1. 링 계수기
  2. 2진 리플 계수기
  3. 동기형 계수기
  4. 업/다운 계수기
(정답률: 63%)
  • 링 계수기는 시프트 레지스터 출력을 되먹임 시켜서 같은 2진수가 레지스터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만들어진 계수기이다. 이는 링 형태로 연결된 여러 개의 D-플립플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클럭 펄스가 가해지면 각 플립플롭이 이전 플립플롭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서 2진수를 생성하고, 마지막 플립플롭은 첫 번째 플립플롭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서 순환을 유지한다. 따라서 링 계수기는 입력 신호에 대한 지연이 없으며, 고속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논리식 을 간략화하면?

(정답률: 59%)
  •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가 된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OR 연산자는 둘 중 하나만 참이어도 전체가 참이 되기 때문에, 두 개의 항이 모두 참일 때는 하나의 항으로 간략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가 모두 참일 때, 전체 논리식은 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신호를 양자화하기 전에 미약한 신호는 진폭을 크게 하고, 진폭이 큰 신호는 진폭을 줄이는 기능은?

  1.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2. 압신(Compression-expansion)
  3. 디엠퍼시스(De-emphasis)
  4. FM 복조시의 리미팅(Limiting)
(정답률: 78%)
  • 압신은 신호의 진폭을 압축하고 확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약한 신호는 진폭을 크게 하고, 진폭이 큰 신호는 진폭을 줄여서 전체적인 신호의 동적 범위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신호의 질을 개선하고, 노이즈와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의 회로는 어떤 궤환에 속하는가?

  1. 직렬 전류 부궤환
  2. 병렬 전류 부궤환
  3. 병렬 전압 부궤환
  4. 직렬 전압 부궤환
(정답률: 49%)
  • 정답은 "직렬 전류 부궤환"이다. 이유는 전기원과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전류가 한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배타적 논리합(EX-OR)을 나타내는 논리식이 아닌 것은?

(정답률: 53%)
  • 논리식 ""은 AND 연산자를 사용한 논리식이므로 배타적 논리합을 나타내는 논리식이 아니다.

    ""는 XOR 연산자를 사용한 논리식으로, 두 개의 입력 값이 서로 다를 때만 출력 값이 참이 된다.

    ""은 OR 연산자를 사용한 논리식으로, 두 개의 입력 값 중 하나 이상이 참이면 출력 값이 참이 된다.

    ""은 NOT 연산자를 사용한 논리식으로, 입력 값의 반대 값을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FM 복조회로가 아닌 것은?

  1. Slope detector
  2. Foster-seeley detector
  3. Ratio detector
  4. De-emphasis detector
(정답률: 54%)
  • De-emphasis detector는 FM 신호를 복조하는 것이 아니라, FM 방송에서 사용되는 De-emphasis 필터링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FM 복조회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모뎀의 구조에서 송신부와 수신부에 공통으로 구성되는 요소는?

  1. 대역제한여파기
  2. 등화기
  3. 자동이득제어기(AGC)
  4. 디코더
(정답률: 53%)
  • 송신부와 수신부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요소는 대역제한여파기입니다. 이는 모뎀에서 신호를 보내거나 받을 때, 일정한 대역폭 내에서만 신호를 전달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불필요한 잡음이나 외부 신호의 간섭을 방지하고, 신호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등화기는 수신부에서 사용되며, 신호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동이득제어기(AGC)는 수신부에서 사용되며, 신호의 강도에 따라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신호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코더는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해석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중 축적교환방식이 아닌 것은?

  1. 회선교환방식
  2.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
  3. 메시지교환방식
  4. 가상회선 패킷교환방식
(정답률: 60%)
  • 회선교환방식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 회선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축적교환방식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 메시지교환방식, 가상회선 패킷교환방식은 모두 축적교환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ATM 교환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비동기 방식이다.
  2. 다양한 속도를 제공한다.
  3. 음성, 화상, 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4. 정보의 지연이 일정하다.
(정답률: 59%)
  • 정보의 지연이 일정하다는 것은 ATM 교환방식의 특징 중에 없는 것이다. 이유는 ATM 교환방식은 비동기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패킷의 크기와 속도에 따라 정보의 전송 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의 지연이 일정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디지털 TV 방송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상 및 음향 신호의 압축이 용이하고 녹화 재생시 화질이나 음질의 열화가 적다.
  2.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많은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
  3. 오류정정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저장 및 복제에 따른 손실이 적다.
  4. 상호간섭이 비교적 많고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다.
(정답률: 67%)
  • "상호간섭이 비교적 많고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다."가 틀린 것이다. 디지털 TV 방송은 아날로그 TV 방송과 달리 신호의 열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며, 상호간섭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보다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화상통신회의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음향부
  2. 제어부
  3. 호스트 컴퓨터
  4. 영상부
(정답률: 65%)
  • 화상통신회의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음향부, 제어부, 영상부이다. 호스트 컴퓨터는 화상통신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지만,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CATV의 헤드엔드(Head-end)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FM 증폭기
  2. PILOT 신호 발생기
  3. TV 변조기
  4. 간선 증폭기
(정답률: 43%)
  • CATV의 헤드엔드(Head-end)의 구성요소 중 간선 증폭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간선 증폭기가 주로 케이블 TV 네트워크의 중간에 위치하여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헤드엔드에서는 간선 증폭기보다는 FM 증폭기, PILOT 신호 발생기, TV 변조기 등의 구성요소가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통신제어장치의 주요 기능은?

  1. 모뎀과 통신회선을 연결하는 기능 수행
  2. 데이터 단말장치와 전송회선을 연결하는 기능 수행
  3. 컴퓨터와 전송회선 사이에 위치하여 각종 제어기능 수행
  4. 데이터 단말장치와 다중화장비를 연결하는 기능 수행
(정답률: 48%)
  • 통신제어장치는 컴퓨터와 전송회선 사이에 위치하여 각종 제어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전송, 수신, 오류 검출 및 정정,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통신제어장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좌표를 판독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설계도면이나 도형을 디지털 형태로 컴퓨터에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터치스크린
  2. 디지타이저
  3. OMR
  4. OCR
(정답률: 64%)
  • 디지타이저는 펜이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설계도면이나 도형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기기이다. 따라서 좌표를 판독하여 디지털 형태로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터치스크린은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입력하는 기기이고, OMR은 광학 판독기로서 선택지를 읽어들이는 기기이며, OCR은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인쇄체나 필기체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호텔, 병원, 학교 등에서 방범, 방재 등의 목적에 주로 이용되는 것은?

  1. CATV
  2. CCTV
  3. VRS
  4. HDTV
(정답률: 79%)
  • CCTV는 Clo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자로, 비디오 카메라와 모니터를 이용하여 특정 구역을 감시하고 녹화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따라서 방범, 방재 등의 목적에 주로 이용되며, 호텔, 병원, 학교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역다중화기에서 두 개의 별도의 채널이 지닌 상대적 지연 때문에 생기는 비트열의 혼란을 조정해 주는 것은?

  1. Port selector
  2. Modem
  3. DSU
  4. Circulating Memory
(정답률: 52%)
  • 역다중화기에서는 두 개의 별도 채널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비트열의 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Circulating Memory입니다. Circulating Memory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두 채널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속도 차이를 조정하여 데이터의 손실 없이 정확한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초소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지상의 지구국에 해당되는 것은?

  1. VSAT
  2. TWTA
  3. SNG
  4. LNA
(정답률: 63%)
  • VSAT은 Very Small Aperture Terminal의 약자로, 초소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지상의 지구국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TWTA, SNG, LNA는 모두 위성 통신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이며, VSAT과는 용도와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DTE와 디지털 데이터 교환망을 접속하기 위한 DSU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신호 파형의 변환
  2. 신호 전송속도의 변환
  3. 제어 신호의 삽입
  4. 프레임의 시분할 다중화
(정답률: 49%)
  • DSU는 디지털 데이터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장비로, 신호 파형의 변환, 신호 전송속도의 변환, 제어 신호의 삽입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DSU는 프레임의 시분할 다중화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프레임의 시분할 다중화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며, 이는 DSU의 역할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정지 위성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신 영역이 넓고,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하다.
  2. 다원접속(multiple access)이 가능하다.
  3. 방송에 이용시 난시청 지역을 해소할 수 있다.
  4. 전파의 전송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71%)
  • 전파의 전송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실제로는 거리에 따라 전파의 전송 시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지 위성통신은 지상 통신망보다 전송 시간이 더 짧고, 대규모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지리적 제약이 적기 때문에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주반사경과 부반사경이 있는 안테나로서 위성통신 지구국 안테나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파라볼라 안테나
  2. 야기 안테나
  3. 헬리컬 안테나
  4. 카세그레인 안테나
(정답률: 60%)
  •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주반사경과 부반사경을 모두 사용하여 높은 효율성과 정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성통신 지구국 안테나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주로 라디오와 TV 송출용으로 사용되며, 야기 안테나는 초단파 통신용으로 사용됩니다. 헬리컬 안테나는 위성통신이나 레이더용으로 사용되며, 주로 방송국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팩시밀리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주사장치
  2. 광전변환
  3. 수신기록
  4. 주파수체배
(정답률: 62%)
  • 주사장치, 광전변환, 수신기록은 모두 팩시밀리의 구성요소입니다. 하지만 주파수체배는 팩시밀리에서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체배는 팩시밀리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2개의 음성대역폭 회선을 이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 속도를 갖는 것은?

  1. 다중화기
  2. 역 다중화기
  3. 지능 다중화기
  4. 시분할 다중화기
(정답률: 57%)
  • 정답은 "역 다중화기"입니다.

    광대역에서 통신을 할 때는 대역폭이 넓은 회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대역폭이 넓은 회선은 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여러 개의 음성대역폭 회선을 이용하여 광대역을 구성합니다.

    이때, 다중화기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음성대역폭 회선을 하나의 광대역 회선으로 합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합쳐진 광대역 회선을 받는 측에서는 다시 원래의 음성대역폭 회선으로 분리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역 다중화기입니다.

    따라서, 2개의 음성대역폭 회선을 이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 속도를 갖는 것은 역 다중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대역 압축 방식으로 MH, MR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은?

  1. G1 FAX
  2. G2 FAX
  3. G3 FAX
  4. G4 FAX
(정답률: 71%)
  • G3 FAX는 대역 압축 방식으로 MH, MR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을 압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방식은 G1 FAX와 G2 FAX보다 더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며, 더 높은 해상도와 선명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G3 FAX는 대역 압축 방식으로 MH, MR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정보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요소 중에서 데이터 처리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신호변환장치
  2. 호스트컴퓨터
  3. 통신제어장치
  4. 단말장치
(정답률: 43%)
  • 데이터 처리계는 정보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중에서도 호스트컴퓨터는 중앙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계에 해당하는 것은 호스트컴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무선 수신기의 종합특성을 표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변조도
  2. 선택도
  3. 안정도
  4. 충실도
(정답률: 59%)
  • 무선 수신기의 종합특성을 표시하는 사항 중 "변조도"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무선 신호의 변조 방식과 관련된 것으로, 무선 송신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무선 수신기의 종합특성을 나타내는 사항으로는 "선택도", "안정도", "충실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비디오텍스의 방식 중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이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도형을 점, 선, 원호, 사각 등의 위치나 조합으로 표현한 것은?

  1. CEPT 방식
  2. CAPTAIN 방식
  3. NAPLPS 방식
  4. 패턴 방식
(정답률: 49%)
  •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은 그래픽을 점, 선, 원호, 사각 등의 도형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NAPLPS 방식은 이러한 도형뿐만 아니라 문자,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표현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NAPLPS 방식이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보다 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해밍 거리가 7일 때 정정할 수 있는 에러 개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61%)
  • 해밍 거리가 7인 경우, 두 개의 이진 코드 중 7개의 비트가 서로 다릅니다. 따라서 한 코드를 다른 코드로 정정하려면 최소 7개의 비트를 변경해야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 제시된 선택지 중에서는 최대 4개의 비트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정정할 수 있는 에러 개수는 3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동통신의 채널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음영효과
  2. 방해파 억압
  3. 도플러 현상
  4. 인접채널 간섭
(정답률: 48%)
  • 이동통신에서 채널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며, 방해파 억압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잡음이나 신호를 억제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동통신에서 채널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방해파 억압이다. 음영효과는 건물이나 산 등의 장애물로 인해 신호가 차단되는 현상, 도플러 현상은 이동하는 물체로 인해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 인접채널 간섭은 인접한 채널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서로 간섭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재생중계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등화증폭회로
  2. 식별회로
  3. 펄스재생회로
  4. 위상검출기
(정답률: 61%)
  • 위상검출기는 재생중계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는 회로로, 재생중계기의 주요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등화증폭회로는 신호를 증폭하고 등화시켜 안정적인 신호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며, 식별회로는 신호를 구분하고 분류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펄스재생회로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에러율이 5×10-5 [비트/초]인 전송회선에서 9600[bps] 속도로 15분간 전송할 때의 에러 비트수는?

  1. 43[비트]
  2. 288[비트]
  3. 432[비트]
  4. 720[비트]
(정답률: 54%)
  • 에러율이 5×10-5 [비트/초]이므로, 1초당 전송되는 비트수는 1/(5×10-5) = 20,000,000[bps]이다.

    9600[bps] 속도로 전송할 때, 1초에 전송되는 비트수는 9600[bps]이다. 따라서, 에러율이 5×10-5인 전송회선에서 9600[bps] 속도로 전송할 때, 1초에 전송되는 비트 중에서 에러가 발생할 확률은 5×10-5이다.

    15분은 900초이므로, 900초 동안 전송되는 비트 수는 9600[bps] × 900초 = 8,640,000[비트]이다.

    따라서, 8,640,000[비트] 중에서 에러가 발생할 확률은 5×10-5이므로, 에러 비트수는 8,640,000[비트] × 5×10-5 = 432[비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432[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M 전송 방식에서 4[kHz]의 대역폭을 갖는 음성 정보를 8[bit] coding으로 부호화 한다면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률은?

  1. 8[kbps]
  2. 32[kbps]
  3. 56[kbps]
  4. 64[kbps]
(정답률: 44%)
  • PCM 전송 방식에서 4[kHz]의 대역폭을 갖는 음성 정보를 8[bit] coding으로 부호화 한다면, 한 개의 샘플마다 8[bit]가 필요하므로 초당 4,000개의 샘플을 전송해야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률은 4,000 x 8 = 32,000[bit/s]가 됩니다. 그러나 이에 추가적으로 오버헤드가 발생하므로, 전송률을 산출할 때는 약간의 여유를 두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정답은 "64[k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HDLC 프로토콜의 FC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차국 또는 복합국의 주소를 나타낸다.
  2. 프레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3. 1차국 또는 복합국이 주소부에서 지정하는 2차국 또는 복합국에 대해 동작을 command로 지령한다.
  4. 프레임 내용이 잘 전송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에러검출용으로 사용되며 통상 16비트 CRC 방식을 이용한다.
(정답률: 53%)
  • HDLC 프로토콜의 FCS는 프레임 내용이 잘 전송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에러검출용으로 사용되며 통상 16비트 CRC 방식을 이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광학 파라미터 중 단일모드 광파이버인지 다중모드 광파이버인지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개구수
  2. 비굴절률차
  3. 수광각
  4. 규격화주파수
(정답률: 45%)
  • 단일모드 광파이버와 다중모드 광파이버는 광의 전파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필요합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학 파라미터는 광의 파장, 광의 진행 방향, 광의 굴절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규격화주파수는 광의 파장과 광파이버의 직경, 굴절률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값으로, 광파이버의 전송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파라미터입니다. 따라서 규격화주파수를 이용하여 단일모드 광파이버와 다중모드 광파이버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데이터 전송에서 직렬전송과 병렬전송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병렬전송은 직ㆍ병렬 변환회로가 필요하다.
  2. 직렬전송은 주로 원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3. 직렬전송은 병렬전송에 비해 전송속도가 느리다.
  4. 병렬전송은 일반적으로 strobe와 busy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ㆍ수신한다.
(정답률: 53%)
  • "병렬전송은 직ㆍ병렬 변환회로가 필요하다."가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병렬전송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비트로 나누어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직ㆍ병렬 변환회로는 직렬전송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ARQ 전송 방식에서 상대방으로부터 Ack가 안 올 경우 어느 정도 기다렸다가 다음 행동을 하는데 무엇을 근거로 기다리는 시간을 판단하는가?

  1. 타이머
  2. 명령어
  3. 운영체제
  4. 메시지
(정답률: 56%)
  • ARQ 전송 방식에서 상대방으로부터 Ack가 안 올 경우 기다리는 시간을 판단하는 것은 타이머이다. 타이머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시간이 끝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ARQ에서는 데이터를 보낸 후 일정 시간 동안 Ack를 기다리는데, 이 때 타이머를 사용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Ack가 오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재전송을 시도한다. 따라서 타이머를 사용하여 기다리는 시간을 판단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송특성 열화요인은 크게 정상 열화요인과 비정상 열화요인이 있다. 비정상 열화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파수 편차
  2. 펄스성 잡음
  3. 단시간 레벨변동
  4. 순간적 단절
(정답률: 45%)
  • 전송특성 열화요인 중에서 "주파수 편차"는 비정상 열화요인에 해당되지 않는다. 주파수 편차는 신호의 주파수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주로 진동하는 기계나 장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전송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펄스성 잡음", "단시간 레벨변동", "순간적 단절"은 모두 전송특성 열화요인 중에서 비정상 열화요인에 해당되며, 신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HDLC 전송제어절차에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필드의 명칭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배치한 것은?

  1. 주소 필드 - 제어 필드 - 정보 필드 - 플래그 필드 - 오류검사 필드 - 플래그 필드
  2. 플래그 필드 - 주소 필드 - 제어 필드 - 정보 필드 - 오류검사 필드 - 플래그 필드
  3. 플래그 필드 - 제어 필드 - 주소 필드 - 정보 필드 - 오류검사 필드 - 플래그 필드
  4. 오류검사 필드 - 주소 필드 - 플래그 필드 - 정보필드 - 제어 필드 - 플래그 필드
(정답률: 57%)
  • HDLC 전송제어절차에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필드의 명칭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배치한 것은 "플래그 필드 - 주소 필드 - 제어 필드 - 정보 필드 - 오류검사 필드 - 플래그 필드" 이다. 이는 HDLC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플래그 필드가 먼저 나오고, 그 다음으로는 목적지 주소와 송신지 주소를 나타내는 주소 필드가 나오고, 제어 필드는 전송 제어 정보를 담고, 정보 필드는 전송할 데이터를 담는다. 마지막으로 오류 검사를 위한 오류검사 필드가 나오고, 다시 플래그 필드로 끝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주소부여
  2. 단순화
  3. 흐름제어
  4. 데이터의 분할 및 조립
(정답률: 37%)
  • 단순화는 프로토콜의 기능이 아니라 디자인 원칙 중 하나입니다. 프로토콜의 기능으로는 주소부여, 흐름제어, 데이터의 분할 및 조립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엘리어싱(aliasing)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표본화시 사용하는 비트의 수를 작게 한다.
  2. 신호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표본화 한다.
  3. 신호주파수가 fm일 때 표본화주기는 1/fm보다 크게 한다.
  4. 표본화하려는 신호를 저역통과필터에 통과시킨 후 표본화한다.
(정답률: 48%)
  • 엘리어싱은 신호를 표본화할 때, 신호 주파수의 2배 이상으로 표본화 주파수를 설정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호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진 부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먼저 처리한 후에 표본화를 해야합니다. 따라서 "표본화하려는 신호를 저역통과필터에 통과시킨 후 표본화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비트율이 9600[bps]로 일정할 때 대역폭 효율이 가장 큰 것은?

  1. 전송대역폭이 1200[Hz]
  2. 전송대역폭이 2400[Hz]
  3. 전송대역폭이 4800[Hz]
  4. 전송대역폭이 9600[Hz]
(정답률: 46%)
  • 대역폭 효율은 비트율과 전송대역폭의 비율로 나타내며, 이 값이 클수록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트율이 일정한 경우, 전송대역폭이 작을수록 대역폭 효율이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전송대역폭이 1200[Hz]"가 가장 큰 대역폭 효율을 가지는 이유는 전송대역폭이 가장 작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예측기를 사용하지 않고 샘플값 그 자체를 양자화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카운팅 양자화
  2. 직렬 양자화
  3. 병렬 양자화
  4. 적응형 양자화
(정답률: 49%)
  • 적응형 양자화는 샘플값을 그 자체로 양자화하는 것이 아니라, 예측기를 사용하여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양자화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카운팅 양자화, 직렬 양자화, 병렬 양자화는 모두 샘플값 그 자체를 양자화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4상식 위상변조 방식에서 변조속도가 1200[Baud]일 때 데이터 신호속도는?

  1. 9600[bps]
  2. 4800[bps]
  3. 2400[bps]
  4. 1200[bps]
(정답률: 45%)
  • 4상식 위상변조 방식에서 1개의 심볼(symbol)은 2개의 비트(bit)를 나타내므로, 1200[Baud]의 변조속도는 2400[bps]의 데이터 신호속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2400[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마이크로파 통신에서 송수신 간 가시거리 내 전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산란파
  2. 직접파
  3. 지표파
  4. 반사파
(정답률: 39%)
  • 마이크로파 통신에서 송수신 간 가시거리 내 전파 중에서 산란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산란파가 직접적으로 송수신 간 가시거리 내에 도달하지 않고, 다른 물체에 부딪혀 산란되어 전파가 흩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란파는 전파의 강도가 약해지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반면, 직접파, 지표파, 반사파는 모두 송수신 간 가시거리 내에서 직접적으로 전파가 전달되는 방식으로 전파의 강도가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대역폭이 B[Hz], 신호대 잡음비가 0인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채널용량은 몇 [bps] 인가?

  1. 0[bps]
  2. B[bps]
  3. 2B[bps]
  4. 4B[bps]
(정답률: 55%)
  • 채널용량은 식 C=B*log2(1+S/N)에 따라 계산된다. 여기서 S/N은 신호대 잡음비를 의미한다. 문제에서는 신호대 잡음비가 0이므로 log2(1+0)=0이 되어 채널용량 C는 0[bp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PCM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2진 부호로 변환되는가?

  1. 표본화
  2. 양자화
  3. 부호화
  4. 복호화
(정답률: 60%)
  • PCM 과정 중 "양자화" 단계에서 2진 부호로 변환됩니다. 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며, 이 과정에서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디지털 값을 할당합니다. 이렇게 할당된 디지털 값은 이진수로 표현되며, 이를 부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양자화 잡음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압축을 행함
  2. 신장을 행함
  3. 선형 양자화를 수행
  4. 양자화 계단(스텝) 수를 많게 함
(정답률: 53%)
  • 선형 양자화를 수행하는 것은 양자화 잡음을 줄이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선형 양자화는 입력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양자화하는 방법으로, 양자화 잡음을 줄이는 것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선형 양자화를 수행"이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보조 기억 장치의 특징을 열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자기테이프는 주소 개념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보조 기억 장치로서 순서에 의해서만 접근하는 기억장치이다.
  2. 자기테이프는 여러 개의 파일을 저장시킬 수 있는데 이들 파일은 여러 개의 레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레코드의 공백을 IRG라고 한다.
  3. 자기디스크는 주소에 의하여 지정할 수 있는 정보의 단위가 주기억 장치보다는 정밀하지 못하나 주소에 의하여 임의의 곳에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4. 가변 헤드 디스크에서 헤드에 의해 그릴 수 있는 동심원으로 구성된 기억 공간을 트랙이라 하며 고정 헤드 디스크에서는 이것을 실린더라고 한다.
(정답률: 39%)
  • "자기테이프는 주소 개념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 보조 기억 장치로서 순서에 의해서만 접근하는 기억장치이다."가 틀린 것이다.

    자기테이프는 주소 개념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맞지만, 순서에 의해서만 접근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테이프는 특정 위치로 직접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읽거나 쓰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2진수 0111을 그레이 코드(Gray code)로 변환하면?

  1. 1010
  2. 0100
  3. 0000
  4. 1111
(정답률: 57%)
  •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비트가 한 비트씩만 다른 코드를 말합니다. 따라서 2진수 0111을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려면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해주면 됩니다.

    0111 -> 0010

    따라서 정답은 "01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오퍼랜드가 존재하는 기억장치 주소를 내용으로 가지고 있는 기억장소의 주소를 명령 속에 포함시켜 지정하는 방식은?

  1. relative addressing mode
  2. indirect addressing mode
  3. page addressing mode
  4. index addressing mode
(정답률: 38%)
  • "indirect addressing mode"는 주소를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주소에 저장된 값(간접 주소)을 이용하여 실제 값을 찾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퍼랜드가 존재하는 기억장치 주소를 내용으로 가지고 있는 기억장소의 주소를 명령 속에 포함시켜 지정하는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진리표를 가지는 게이트 명칭은? (단, A, B는 입력, X는 출력이다.)

  1. NAND
  2. XOR
  3. XNOR
  4. NOR
(정답률: 42%)
  • 진리표를 보면 A와 B가 같을 때 X가 1이 되고, A와 B가 다를 때 X가 0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XNOR 게이트의 진리표와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XN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각 ( ) 안에 알맞은 것은?

  1. (ㄱ) : 3초과 코드, (ㄴ) : 2
  2. (ㄱ) : 그레이 코드, (ㄴ) : 3
  3. (ㄱ) : 해밍 코드, (ㄴ) : 3
  4. (ㄱ) : 패리티 체크 코드, (ㄴ) : 2
(정답률: 53%)
  • (ㄱ)에서 보이는 코드는 해밍 코드이다. 해밍 코드는 데이터 전송 시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위해 사용되는 코드이다. 이 코드는 데이터 비트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하며, 수신 측에서는 패리티 비트를 검사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다. (ㄴ)에서 보이는 숫자는 3이다. 이는 해밍 코드에서 사용되는 패리티 비트의 개수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UNIX에서 시스템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는?

  1. i-node
  2. console
  3. kernel
  4. shell
(정답률: 50%)
  • "shell"은 UNIX에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명령어 해석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UNIX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은 "shel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도형이나 사진 및 그 외의 자료로부터 이미지를 읽어 들이는 장치는?

  1. 키보드
  2. 스캐너
  3. 마우스
  4. 광학문자판독기(OCR)
(정답률: 64%)
  • 스캐너는 도형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읽어들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키보드는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마우스는 컴퓨터 화면에서 커서를 움직이는 입력장치, OCR은 인쇄된 문자를 인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ROM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내용을 읽어내는 것만 가능하다.
  2. 기억된 내용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없다.
  3. 주로 마이크로프로그램과 같은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시키는데 사용한다.
  4.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시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이다.
(정답률: 27%)
  • "내용을 읽어내는 것만 가능하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이지만, 그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EPROM, EEPROM, Flash ROM 등도 존재한다. ROM은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시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컴퓨터 제어방식 중에서 하드와이어드 방식이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방식보다 좋은 점은?

  1. 구조화된 제어 구조를 제공한다.
  2. 인스트럭션 세트 변경이 용이하다.
  3. 컴퓨터의 속도가 빠르다.
  4. 비교적 복잡한 명령 세트를 가진 시스템에 적당하다.
(정답률: 37%)
  • 하드와이어드 방식은 제어 신호를 하드웨어 회로에 직접 구현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반면에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방식은 소프트웨어적인 접근 방식으로 인스트럭션을 해석하고 실행하기 때문에 하드와이어드 방식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순서도를 작성하는 이유로 부적합한 것은?

  1. 다른 사람에게 프로그램을 쉽게 전달할 수 있다.
  2. 프로그램의 수정이 용이하다.
  3. 처리순서를 기호로 표현하므로 프로그램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4. 프로그램 번역을 위해 필수적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프로그램 번역을 위해 필수적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이다. 순서도는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이지만, 프로그램 번역을 위해 필수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번역을 위해서는 소스 코드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보호조치
  2. 안전수단
  3. 보호수단
  4. 안전조치
(정답률: 3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화재 경보기이며, 화재 발생 시에 사람들에게 경보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화재로부터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 중 하나인데, 이를 "안전조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0
  2. 55
  3. 60
  4. 68
(정답률: 60%)
  • 주어진 그림에서는 각각의 도형이 가지는 숫자들의 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즉, 첫 번째 도형에서는 5+9+7+3=24, 두 번째 도형에서는 8+6+2+4=20, 세 번째 도형에서는 1+7+9+3=20이므로, 네 번째 도형에서는 24-20=4만큼 더해져서 6+2+(?)=12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빈칸에는 68이 들어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통신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 전기통신설비의 최초 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하는 것은?

  1. 국선
  2. 내선
  3. 전송설비
  4. 선로설비
(정답률: 73%)
  • 국선은 통신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 전기통신설비의 최초 단자까지의 회선을 말합니다. 즉, 전화나 인터넷 등을 이용하기 위해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회선이며, 이 회선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국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기통신사업법의 목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함
  2.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함
  3. 전기통신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기함
  4. 전기통신사업의 운영을 위한 기본원칙을 규정함
(정답률: 32%)
  • 전기통신사업의 운영을 위한 기본원칙을 규정하는 것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통신사업법의 목적 중 하나인 이용자의 편의, 공공복리의 증진, 건전한 발전을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술기준
  2. 통신규격
  3. 표준규격
  4. 설계도서
(정답률: 4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내용은 통신망 설계에 필요한 기술기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술기준"입니다. "통신규격"은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규격을 의미하며, "표준규격"은 산업 전반에서 사용되는 규격을 의미합니다. "설계도서"는 설계에 필요한 문서나 도면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국무총리
  2. 지식경제부장관
  3. 방송통신위원회
  4. 한국정보화진흥원장
(정답률: 66%)
  •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 분야의 규제와 관리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정보통신공사의 하자담보책임 기간으로 틀린 것은?

  1. 터널식 통신구공사 : 3년
  2. 전송설비공사 : 3년
  3. 교환기설치공사 : 3년
  4. 위성통신설비공사 : 3년
(정답률: 53%)
  • 정보통신공사의 하자담보책임 기간은 공사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전송설비공사와 교환기설치공사의 경우 1년, 위성통신설비공사의 경우 2년이지만, 터널식 통신구공사의 경우 터널 내부의 특수한 환경과 조건 때문에 3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

  1. 한정치산자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전기통신기본법의 규정에 의하여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3년을 경과한 자
  4. 정보통신공사업법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정답률: 57%)
  •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은 전기통신기본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3년이 경과한 자는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전기통신기본법 위반으로 벌금을 받았지만 3년이 지나면 등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에서 개인인 경우 자본금은?

  1. 1억원 이상
  2. 1.5억원 이상
  3. 2억원 이상
  4. 3억원 이상
(정답률: 49%)
  • 개인이 정보통신공사업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자본금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금으로, 일종의 보증금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본금이 높을수록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에서 개인인 경우 자본금은 1.5억원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금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간통신사업자는 국선을 몇 회선 이상으로 인입하는 경우에 케이블로 국선수용 단자반에 접속ㆍ수용하여야 하는가?

  1. 2회선
  2. 3회선
  3. 5회선
  4. 10회선
(정답률: 58%)
  • 기간통신사업자는 국선을 인입할 때, 국선수용 단자반에 접속하여 수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몇 회선 이상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는 케이블로 접속하여 수용해야 합니다. 이유는 국선이 많아질수록 단자반에 직접 접속하는 것이 불편하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회선 이상으로 인입하는 경우에는 케이블로 국선수용 단자반에 접속하여 수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