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7)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2012-04-07 기출문제)

목록

1. 우리말 표현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 우리가 기름을 아껴 쓴다면 자원의 낭비도 막고 깨끗한 환경도 유지할 수 있다.
  3. 시민 각자가 환경 정보에 대해 접근할 수 있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4.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건강과 쾌적한 교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정답률: 66%)
  • "우리가 기름을 아껴 쓴다면 자원의 낭비도 막고 깨끗한 환경도 유지할 수 있다."가 가장 옳은 표현입니다. 이유는 기름을 아끼면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밑줄 친 단어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그는 장사꾼의 에 놀아날 정도로 세상 물정에 어둡다.
  2. 제삿날 을 치르고 나면 온몸이 쑤신다는 사람들이 많다.
  3. 마감 일이 이제 코앞으로 다가와서 더 이상 을 늦출 수가 없다.
  4. 대기업들이 온갖 사업에 을 뻗치자 중소기업들은 설 곳을 잃게 되었다.
(정답률: 90%)
  • "손"이 여기서의 의미는 "간섭하다"입니다. 대기업들이 온갖 사업에 손을 뻗치면서 중소기업들은 경쟁력을 잃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ㄴ-ㄷ-ㄹ-ㄱ
  2. ㄴ-ㄹ-ㄱ-ㄷ
  3. ㄷ-ㄴ-ㄱ-ㄹ
  4. ㄷ-ㄹ-ㄱ-ㄴ
(정답률: 86%)
  • 이 글은 "물고기의 숨결"이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며, 물고기가 호흡을 하는 방법과 그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물고기가 호흡을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물고기가 어떻게 물 속에서 살아남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후 물고기의 호흡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마지막으로 물고기가 호흡을 하는 이유와 그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따라서 이 글의 전개 순서는 "ㄴ-ㄷ-ㄹ-ㄱ"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글에 나타난 서술 방식으로 옳은 것은?

  1. 인용
  2. 분류
  3. 예시
  4. 서사
(정답률: 82%)
  • 옳은 서술 방식은 "예시"입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정답이 '예시'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세요"라는 질문이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답변은 간단명료하게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기 때문입니다. 인용은 다른 출처에서 가져온 내용을 인용하는 것이고, 분류는 주어진 주제를 분류하는 것, 서사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순서대로 ㉠, ㉡)

  1. 경제적(經濟的), 문화적(文化的)
  2. 물리적(物理的),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3. 현실적(現實的), 이상주의적(理想主義的)
  4. 천편일률적(千篇一律的), 다원론적(多元論的)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물리적인 사물들인데, 이들이 가지고 있는 형태와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형이상학적인 개념과 이론이 필요하기 때문에 "물리적(物理的),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밑줄 친 것 중 보조사인 것은?

  1. 이 물건은 시장에서 사 왔다.
  2. 개는 늑대 비슷하게 생겼다.
  3.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4. 거칠 것 없는 바다의 사나이다.
(정답률: 63%)
  • -에서, -와, -로서가 보조사입니다.
    "나는 거칠 것 없는 바다의 사나이다"에서는 보조사가 없습니다. 이 문장은 주어인 "나"와 서술어인 "사나이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의존 형태소이면서 실질 형태소인 것만으로 묶인 것은?

  1. 놓-, 가-
  2. -고, -ㅆ-
  3. 영희, 책, 집
  4. -는, -을, -에
(정답률: 76%)
  • "놓-, 가-"는 모두 동사의 어간이며, 실질 형태소이기도 하지만 의존 형태소이기도 합니다. 이들은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여 동사의 어미를 이루어 문장을 완성합니다. 반면에 "영희, 책, 집"은 명사이며, "-는, -을, -에"는 조사로써 문장에서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문장의 의미를 구체화합니다. 따라서 "놓-, 가-"만이 의존 형태소이면서 실질 형태소인 것으로 묶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언어 예절에 맞는 것은?

  1. (같은 반 친구에게) 철수야, 선생님이 너 교무실로 오시래.
  2. (선생님과의 대화에서) 선생님, 저는 김해 김씨입니다.
  3. (점원이 손님에게) 전부 합쳐서 6만 9천원 되시겠습니다.
  4.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에서) 할아버지, 제가 말씀을 올리겠습니다.
(정답률: 65%)
  •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에서) 할아버지, 제가 말씀을 올리겠습니다."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언어 예절에서는 연상관계가 높은 사람이 먼저 말을 시작하는 것이 예절에 맞습니다. 따라서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에서는 손자가 먼저 말을 시작하는 것이 예절에 어긋나므로 할아버지가 말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밑줄 친 단어 중 어문 규정에 맞지 않는 것은?

  1. 불 좀 쬐어야겠구나.
  2. 선배님, 다음에 봬요.
  3. 점점 목을 죄여 오는 느낌이야.
  4. 될 대로 되라는 식의 사고는 좋지 않아.
(정답률: 58%)
  • "되라는"은 어미가 아닌 동사의 어간에 붙는 어미이므로 어문 규정에 맞지 않습니다. "되라"는 명령형 동사의 어미이며, 이는 동사의 어간에 붙는 어미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에 제시된 단어를 사전 등재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은?

  1. ㄱ-ㄴ-ㄷ-ㄹ-ㅁ
  2. ㄱ-ㄴ-ㄹ-ㄷ-ㅁ
  3. ㄴ-ㄱ-ㄷ-ㅁ-ㄹ
  4. ㄴ-ㄱ-ㅁ-ㄷ-ㄹ
(정답률: 77%)
  • 사전 등재 순서는 초성 기준으로 정렬됩니다. 따라서 "ㄴ"이 가장 먼저 오고, 다음으로 "ㄱ", "ㄷ", "ㅁ", "ㄹ" 순서로 정렬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ㄱ-ㄷ-ㅁ-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글에서 글쓴이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만으로 묶인 것은?

  1. 혼탁, 불순, 감염, 섞임
  2. 자유, 풍요, 세련, 순결
  3. 외딴섬, 쇄국, 빗장, 북벌
  4. 단색, 유니폼, 순화, 전체주의
(정답률: 78%)
  • 글쓴이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만으로 묶인 것은 "자유, 풍요, 세련, 순결" 입니다.

    "혼탁, 불순, 감염, 섞임"은 모두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혼탁은 물이 탁해져서 맑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불순은 순수하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감염은 병이나 바이러스 등이 전염되어 건강에 해를 끼치는 것을 의미하며, 섞임은 순수한 것과 다른 것이 섞여서 원래의 순수함을 잃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자유, 풍요, 세련, 순결"은 모두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유는 제한이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풍요는 풍성하고 풍부한 것을 의미합니다. 세련은 세련되고 우아한 것을 의미하며, 순결은 깨끗하고 순수한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밑줄 친 단어와 문맥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은?

  1. 관찰하고
  2. 예언하고
  3. 간주하고
  4. 전망하고
(정답률: 75%)
  • 문장에서 "미래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내용이 나오기 때문에 "전망하고"가 가장 문맥적으로 가깝습니다. "전망하다"는 미래에 대한 예측이나 추측을 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작품이 지닌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높임법을 활용하여 주제 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2. 공감각적 비유로 정서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3. 수미 상관의 방식으로 구조적 완결성을 높이고 있다.
  4. 두 제재의 속성과 관계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정답률: 72%)
  • "높임법을 활용하여 주제 의식을 강화하고 있다."는 이 작품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 작품은 주로 공감각적 비유를 사용하여 정서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수미 상관의 방식으로 구조적 완결성을 높이고 두 제재의 속성과 관계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높임법은 이 작품에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작품을 내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것은?

  1. 시인의 의지적 삶이 곳곳에서 느껴져.
  2. '눈'과 '기침하는 행위'의 상징성이 뚜렷이 부각되고 있어.
  3. 시인은 죽음조차도 별로 두려워하지 않았던 사람인 것 같아.
  4. 4ㆍ19 혁명 이후, 강렬한 현실 인식에서 나온 작품인 것 같아.
(정답률: 63%)
  • 이 작품은 시인의 내면적인 감정과 의지적 삶을 담고 있으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 '눈'과 '기침하는 행위'를 상징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눈'은 시인의 내면을 비추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기침하는 행위'는 시인이 현실에 대한 불만이나 불안감을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징성이 뚜렷이 부각되어 있어 시인의 내면적인 감정과 의지적 삶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4ㆍ19 혁명 이후의 강렬한 현실 인식에서 나온 작품인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밑줄 친 단어와 문맥상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은?

  1. 형상(形象)
  2. 상념(想念)
  3. 업적(業績)
  4. 후예(後裔)
(정답률: 73%)
  • 이 문장에서는 "그의 성과"를 묘사하고 있으며, "업적"은 "성과"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따라서 "업적"이 가장 가까운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칠수는 비유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을 비판하고 있어.
  2. 칠수의 대화 상대는 착실하고 검소한 사람인 것 같아.
  3. 칠수는 다른 사람의 경우를 예로 들어 상대를 설득하고 있어.
  4. 칠수는 시종일관 강한 어조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얘기하고 있어.
(정답률: 69%)
  • "칠수는 다른 사람의 경우를 예로 들어 상대를 설득하고 있어."는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칠수는 비유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을 비판하고 있으며, 대화 상대는 착실하고 검소한 사람인 것 같고, 칠수는 시종일관 강한 어조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밑줄 친 한자 성어의 쓰임이 옳지 않은 것은?

  1. 민족을 위해 어떤 일이든 견마지로(犬馬之勞)를 다하겠어요.
  2. 조직의 발전을 위해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심정으로 감싸 안아 줘요.
  3. 고생하다 돌아가신 어머님 생각에 풍수지탄(風樹之嘆)을 금할 수가 없어.
  4. 자존심 강한 그이지만, 모르는 것이 있을 때는 불치하문(不恥下問)할 줄 알아.
(정답률: 74%)
  •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쓰임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삼국시대 삼국지에 등장하는 이야기에서 나온 말로, 삼국시대 삼국 중 하나인 삼국의 하나인 삼국의 장수인 마속이 적군에게 포위당해 자신의 목숨을 바친 이야기입니다. 이는 조직의 발전과는 큰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밑줄 친 단어 중 표준어인 것은?

  1. 살다 보면 별 희안한 일이 다 생기지요.
  2. 고향에서 온 편지를 뜯어본 그의 심정은 착찹하기 이를 데 없었다.
  3. 이렇게 심하게 아픈 줄 알았더라면 진즉 병원에 가 볼 것을 그랬다.
  4. 그가 그처럼 흉칙스러운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았다.
(정답률: 50%)
  • "진즉"은 표준어입니다. 다른 단어들은 모두 사투리나 구어체에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 "희안한"은 "이상한"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 "착찹하기"는 "찝찝하기"로 대체 가능합니다.
    - "흉칙스러운"은 "끔찍한"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따라서, "진즉"이 표준어인 이유는 해당 단어가 국어사전에 수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1. 윤직원 영감은 실망이 컸겠군.
  2. 시할머니는 자애로운 분인 것 같아.
  3. 박 씨는 부유한 집안에서 시집왔겠군.
  4. 고 씨의 현재 심경은 아주 절망적일 거야.
(정답률: 86%)
  • 그림에서 고 씨가 눈물을 흘리고 있으며, 그의 얼굴 표정이 매우 우울해 보이기 때문에 "고 씨의 현재 심경은 아주 절망적일 거야."라는 답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1. 한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변사가 막간극을 공연했다.
  2. 한국에 극장가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00년경이었다.
  3. 한국은 영화의 장편화로 무대에 서는 변사의 수가 늘어났다.
  4. 자막과 반주 음악의 등장으로 변사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정답률: 76%)
  • 한국은 영화의 장편화로 무대에 서는 변사의 수가 늘어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