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7-27)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2013-07-27 기출문제)

목록

1.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

  1. 부모님을 한 달에 두 번꼴로 찾아뵈려고 노력한다.
  2. 서류를 정리할 때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면 편리하다.
  3. 이미 그 일에 대해서는 온 국민이 다 알고 있다.
  4. 어느 말을 믿어야 옳은 지 모르겠다.
(정답률: 70%)
  • "두 번꼴로"가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두 번씩"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유는 "꼴"은 "번"과 함께 쓰이는 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꼴"은 "모양, 스타일" 등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따라서 "두 번씩"이라는 표현이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글의 중심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모든 일에 기초를 튼튼히 해야 한다.
  2. 청렴한 인재 선발을 통해 정치를 개혁해야 한다.
  3. 잘못을 알게 되면 바로 고쳐 나가는 자세가 중요하다.
  4. 훌륭한 위정자가 되기 위해서는 매사 삼가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
(정답률: 88%)
  • 잘못을 알게 되면 바로 고쳐 나가는 자세가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에서 알 수 있는 언어 기호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1. 추상성
  2. 자의성
  3. 분절성
  4. 역사성
(정답률: 80%)
  • 이 언어 기호는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부분은 독립적으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이 언어 기호는 분절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밑줄 친 말을 잘못 고친 것은?

  1. 그는 굉장한 사업 수단으로 재산을 빠른 속도로 늘렸다.→늘였다.
  2. 좀 전에 제시한 것으로 의견 표명을 가름하겠습니다.→갈음
  3. 이 사건은 의협과 용기로서 대처해야 한다.→로써
  4. 나에 대한 너의 판단은 달랐어.→틀렸어.
(정답률: 70%)
  • "그는 굉장한 사업 수단으로 재산을 빠른 속도로 늘렸다.→늘였다."가 잘못 고친 것입니다. "늘렸다"가 맞는 표현이며, "늘였다"는 틀린 표현입니다. "늘리다"는 동사 원형이며, 과거형은 "늘렸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괄호 안에 들어갈 고사 성어로 적절한 것은?

  1. 阿鼻叫喚
  2. 雲泥之差
  3. 怒氣登天
  4. 百難之中
(정답률: 54%)
  • "雲泥之差"는 두 가지 사물이나 상황이 차이가 매우 크다는 뜻입니다. 그림에서는 두 개의 집이 그려져 있는데, 하나는 아름답고 풍경이 좋은 곳에 위치해 있고, 다른 하나는 황폐하고 추한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두 집의 차이가 "雲泥之差"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글의 논지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관점이 다른 두 주장을 대비하고 있다.
  2.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유추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3. 다양성이 사라진 사회를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4. 다양성이 사라진 사회의 사례들을 나열하고 있다.
(정답률: 60%)
  • 이 글은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유추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의 논지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하다. 글에서는 다양성이 없는 사회의 문제점을 예시를 들어 설명하고, 이를 통해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을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성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유추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가 가장 적절한 논지 전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기행문의 일부이다. 이 글을 통해 알 수 없는 내용은?

  1. 여행의 동기와 목적
  2. 출발할 때의 감흥
  3. 출발할 때의 날씨와 시간
  4. 여행의 노정과 일정
(정답률: 84%)
  • 이 글을 통해 알 수 없는 내용은 "여행의 동기와 목적", "출발할 때의 감흥", "출발할 때의 날씨와 시간"이다. 이 글은 여행의 노정과 일정에 대한 이야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의어의 종류가 다음과 같은 것은?

  1. 친구-벗
  2. 보조개-볼우물
  3. 매니저-관리인
  4. 소금-염화나트륨
(정답률: 63%)
  • 이 유의어들은 모두 한 단어가 다른 단어로 대체되어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그 중에서도 "보조개-볼우물"은 인체 부위를 나타내는 단어로, 보조개는 볼의 살짝 위쪽에 위치한 부위를 가리키고, 볼우물은 볼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 구멍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두 단어는 비슷한 위치에 있으며, 둘 다 얼굴의 형태와 외모에 영향을 미치는 부위이기 때문에 유의어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장 자연스러운 표현은?

  1. 교장 선생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2. 모두 흥에 겨워 춤과 노래를 부르고 있다.
  3. 축배를 터뜨리며 함께 우승의 기쁨을 나누었다.
  4. 독서는 삶의 방편인 동시에 평생의 반려자이기도 하다.
(정답률: 65%)
  • 독서는 삶의 방편이 되어 우리가 삶을 더 풍요롭게 살 수 있게 해주며, 또한 평생의 반려자가 되어 우리를 언제나 위로하고 지식과 경험을 함께 나누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밑줄 친 부분이 표준 발음법에 맞는 것은?

  1. 이 책을 좀 읽게[익께].
  2. 밭을[바츨] 다 갈아야 돼.
  3. 협의[혀비]할 사항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까?
  4. 하늘은 맑지만[말찌만] 내 마음은 안 그래요.
(정답률: 71%)
  • "협의[혀비]할 사항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까?"가 표준 발음법에 맞는 것입니다. "협의"는 '혀비'로 발음해야 하지만, "읽게", "밭을", "맑지만"은 각각 '익께', '바츨', '말찌만'으로 발음해야 합니다. 이는 한글의 발음 규칙에 따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글의 내용에 어울리는 고사 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견강부회(牽强附會)
  2. 비육지탄(髀肉之嘆)
  3. 자승자박(自繩自縛)
  4. 화이부동(和而不同)
(정답률: 75%)
  • 이미 스스로 묶인 줄을 더욱 꼬아 매는 것을 비유한 고사 성어이기 때문에, 위의 그림에서 자신의 발목을 묶고 있는 사람이 자승자박(自繩自縛)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어느 부처 공문의 일부이다. 밑줄 친 부분을 잘못 고친 것은?

  1. 우리부→우리 부
  2. 기여하고져→기여하고저
  3. 계획인 바→계획인바
  4. 밝힌바와→밝힌 바와
(정답률: 56%)
  • "기여하고져"는 표준어에서는 "기여하고자"로 쓰여야 하는데, "자"와 "져"는 발음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기 때문에 잘못 고쳐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1. 손발
  2. 논밭
  3. 책가방
  4. 연세
(정답률: 86%)
  • 이미지에서는 "책가방"이 가장 크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다른 보기인 "손발"과 "논밭"은 이미지에서 작게 표시되어 있고, "연세"는 이미지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책가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ㄱ-ㄷ-ㄴ-ㄹ
  2. ㄱ-ㄹ-ㄷ-ㄴ
  3. ㄷ-ㄱ-ㄴ-ㄹ
  4. ㄷ-ㄴ-ㄱ-ㄹ
(정답률: 71%)
  • 이 글은 "물고기의 숨결"이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며, 물고기가 호흡을 하는 방법과 그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어서 물고기가 호흡을 하는 이유와 물고기가 물 속에서 살아남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ㄷ-ㄱ-ㄴ-ㄹ"이 가장 적절한 전개 순서이다. 물고기가 호흡을 하는 방법을 먼저 설명하고, 이어서 그 이유와 필요한 기능들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가장 논리적인 전개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사회자가 토론자들의 발언 순서를 통제하고 있다.
  2. 사회자가 논제에 대한 자신의 찬반 여부를 표명하고 있다.
  3. 찬성 측과 반대 측 모두 논제에 대한 상대방의 입장을 수용하고 있다.
  4. 찬성 측은 입론 단계에서 논제와 관련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정답률: 7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사회자가 토론자들의 발언 순서를 통제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자가 토론자들의 발언 순서를 통제하고 있다."가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밑줄 친 단어가 맞춤법에 맞는 것은?

  1. 어머니는 나의 간절한 바람을 들어주지 않았다.
  2. 나라 안밖에서 피난민을 위한 성금을 모금하였다.
  3. 철수와 나는 한시도 떨어질 수 없는 막연한 친구였다.
  4. 매점 앞 계시판에는 학생들이 원하는 과자 이름이 가득 적혀 있다.
(정답률: 75%)
  • "어머니는 나의 간절한 바람을 들어주지 않았다."가 맞는 것입니다. "바람"은 맞춤법에 맞는 표현이며, 다른 보기들은 "안밖"은 "안과 밖"으로 나누어 써야 하고, "막연한"은 "막연한 친구"가 아니라 "막연한 느낌" 등으로 써야 하며, "계시판"은 "게시판"으로 고쳐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글의 내용에 부합하지 않은 것은?

  1. 인간에 대해서도 동물학적 관점에서 탐구할 필요가 있다.
  2. 인간은 자신이 지닌 동물적 본능을 무시하거나 외면하려는 경향이 있다.
  3. 인간의 박식과 숭고한 본능은 수백만 년 전에 획득했다.
  4. 인간이 오랜 옛날부터 갖고 있던 동물적 본능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정답률: 69%)
  • 인간의 박식과 숭고한 본능은 수백만 년 전에 획득했다. 에 대한 설명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괄호 안에 들어갈 문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힐링이 먼저 정착된 서구의 힐링 상품들을 참고해야 할 것이다.
  2.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서도 쉽게 할 수 있는 일부터 찾는 것이 좋을 것이다.
  3. 이러한 상품들의 값이 터무니없이 비싸다고 느껴지지는 않을 것이다.
  4.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법을 알아야 할 것이다.
(정답률: 71%)
  •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서도 쉽게 할 수 있는 일부터 찾는 것이 좋을 것이다."가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힐링을 위한 상품들은 대부분 값이 비싸기 때문에, 먼저 쉽게 할 수 있는 일부터 찾아보는 것이 경제적이고 현실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속초 자리고기의 유래
  2. 속초의 아바이 마을과 가자미식해
  3. 아바이 마을의 밥상
  4. 청호동 주민과 함경도 실향민의 화합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인 재판의 정의
  2. 조선 시대 송사의 종류
  3. 조선 시대 송사와 옥사의 차이점
  4. 조선 시대 재판관과 행정관의 역할
(정답률: 75%)
  • 조선 시대 송사와 옥사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