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형설계

1. 사출금형의 게이트 종류에서 핀 포인트 게이트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게이트의 자동 절단이 가능하다.
  2. 게이트의 부근에서 잔류응력이 적다.
  3. 게이트의 위치가 제한된다.
  4. 투영면적이 큰 성형품의 경우 다점 게이트로 함으로써 수축을 적게 할 수있다.
(정답률: 50%)
  • "게이트의 위치가 제한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핀 포인트 게이트는 작은 크기의 게이트로, 성형품의 특정 위치에만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의 위치가 제한됩니다. 이는 성형품의 디자인과 생산성을 고려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금형은?

  1. 진공 성형 금형
  2. 다이캐스팅 금형
  3. 사출 성형 금형
  4. 압출 성형 금형
(정답률: 82%)
  • 다이캐스팅 금형은 금속을 용융 상태로 만들어 다이캐스팅 기계를 통해 주입하여 형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이캐스팅 금형은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금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경사 핀을 사용한 분할 캐비티형 금형에서 형이 체결된 후 슬라이드 코어가 후퇴하려고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1. 핑거 핀
  2. 가이드 핀
  3. 로킹블록
  4. 가동축 형판
(정답률: 93%)
  • 로킹블록은 슬라이드 코어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과 슬라이드 코어 사이에 위치하여 형이 체결된 후에는 이동하지 않는 고정 블록입니다. 따라서 슬라이드 코어가 후퇴하려고 할 때 로킹블록이 이를 막아주어 분할 캐비티형 금형의 정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핑거 핀과 가이드 핀은 형상 유지를 위한 위치 고정에 사용되지만, 로킹블록은 이동 방지에 사용됩니다. 가동축 형판은 형상을 만들기 위한 부품 중 하나이며, 슬라이드 코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사출용적이 112cm3 이고 용융수지의 밀도가 1.05g/cm3 인 사출기의 사출량은 약 몇 g인가? (단, 사출효율은 85%이다.)

  1. 91
  2. 100
  3. 118
  4. 138
(정답률: 54%)
  • 사출용적은 112cm3 이므로, 이것이 용융수지의 부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용융수지의 질량은 부피와 밀도를 곱한 것으로 구할 수 있다.

    용융수지의 질량 = 112cm3 × 1.05g/cm3 = 117.6g

    하지만, 문제에서 사출효율이 85%라고 주어졌으므로, 실제 사출량은 이 값의 85%가 된다.

    실제 사출량 = 117.6g × 0.85 = 99.96g

    따라서, 정답은 "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2매 구성 금형과 비교한 3매 구성금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성형품과 스프루, 러너 등을 각각 빼내어야 한다.
  2. 금형을 열기 위해 스트로크가 작은 성형기라도 무방하다.
  3. 성형사이클이 길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4. 게이트의 위치를 성형품이 요구하는 위치에 정할 수 있다.
(정답률: 54%)
  • "금형을 열기 위해 스트로크가 작은 성형기라도 무방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금형을 열기 위해서는 충분한 스트로크가 필요하며, 3매 구성금형은 2매 구성금형보다 스트로크가 더 길어야 합니다.

    이유는 3매 구성금형은 성형품, 스프루, 러너 등을 각각 빼내야 하기 때문에 금형을 열 때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스트로크를 갖춘 성형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사출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발생되는 불량 현상은?

  1. 싱크마크
  2. 변형
  3. 제팅
  4. 충전부족
(정답률: 78%)
  • 사출속도가 너무 빠르면, 프라스틱이 급격하게 충돌하여 공기를 밀어내면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제품 표면에 작은 구멍이 생기는 현상을 제팅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사출금형에 대한 온도 컨트롤의 목적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성형 사이클을 단축시킨다.
  2. 성형품의 강도 저하를 방지한다.
  3. 성형품의 냉각 속도를 증가시킨다.
  4. 성형품의 표면 상태를 개선한다.
(정답률: 50%)
  • 성형품의 냉각 속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성형 과정에서 녹는 온도를 유지하고, 빠른 냉각을 통해 성형품의 형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성형품의 외형적인 결함을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이젝터 박스(box)안에 들어있는 이젝터 기구가 아닌 것은?

  1. 이젝터 플레이트
  2. 사이드 코어 핀
  3. 리턴 핀
  4. 스프루 로크 핀
(정답률: 49%)
  • 이젝터 박스 안에 들어있는 기구들은 모두 이젝터 기구에 해당하지만, 사이드 코어 핀은 이젝터 기구가 아닙니다. 사이드 코어 핀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사용되는 핀으로, 회로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젝터 박스 안에 있는 다른 기구들과는 목적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젝터 기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비결정성 수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PS
  2. ABS
  3. PMMA
  4. PP
(정답률: 36%)
  • 정답은 "PP"입니다.

    비결정성 수지는 분자 구조가 비정형적이어서 결정화되지 않은 수지를 말합니다. 이러한 수지는 투명하고 가벼우며 내구성이 높습니다.

    "PS"는 비결정성 수지 중 하나입니다. "ABS"와 "PMMA"도 비결정성 수지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PP"는 결정성 수지로, 비결정성 수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P"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볍고 투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ABS 수지를 사용하여 길이 100mm인 제품을 성형하고자 할 때 금형 캐비티의 치수는? (단, ABS 수지의 수축률은 0.5%이다.)

  1. 99.5 mm
  2. 100.5 mm
  3. 101.5 mm
  4. 102.5 mm
(정답률: 77%)
  • ABS 수지의 수축률이 0.5%이므로, 길이 100mm인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금형 캐비티의 크기를 100mm/(1-0.005) = 100.5mm로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5 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레스 금형의 구성요소 중 키커 핀(Kicker Pin)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제품이나 스크랩(scrap)이 펀치(punch)의 밑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2. 부품과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하여준다.
  3. 상형과 하형의 위치를 정확하게 하여준다.
  4. 다이 속의 제품 취출을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74%)
  • 키커 핀은 다이 속의 제품이나 스크랩이 펀치의 밑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스트립 레이아웃(Strip Layout) 작성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미스 피드 검출장치는 변형이 일어나는 곳에 배치한다.
  2. 하중의 밸런스를 검토한다.
  3. 제품의 회수, 스크랩 처리 등을 주의한다.
  4. 필요에 따라 아이들 스테이지(Idle Stage)를 둔다.
(정답률: 75%)
  • "미스 피드 검출장치는 변형이 일어나는 곳에 배치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을 찾기 위해서는 다른 보기들도 살펴봐야 한다.

    하중의 밸런스를 검토하는 것은 스트립 레이아웃 작성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제품의 회수, 스크랩 처리 등을 주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필요에 따라 아이들 스테이지(Idle Stage)를 둔다는 것도 스트립 레이아웃 작성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따라서, "미스 피드 검출장치는 변형이 일어나는 곳에 배치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스트립 레이아웃 작성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로, 변형이 일어나는 곳에 미스 피드 검출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프레스가공의 종류에서 성형 가공(forming)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엠보싱 가공
  2. 벌징 가공
  3. 슬리팅 가공
  4. 네킹 가공
(정답률: 59%)
  • 슬리팅 가공은 재료를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로 만드는 절삭 가공에 속합니다. 따라서 성형 가공과는 다른 종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코일소재를 사용하여 프레스 자동화 라인을 구성할 때 필요하지 않는 장치는?

  1. 롤 피더
  2. 호퍼
  3. 레벨러
  4. 언코일러
(정답률: 46%)
  • 코일소재를 사용하여 프레스 자동화 라인을 구성할 때, 호퍼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호퍼는 원자재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장치로, 코일소재는 이미 원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호퍼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롤 피더, 레벨러, 언코일러는 코일소재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장치이지만, 호퍼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다이 세트 (die se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AB형
  2. BB형
  3. CB형
  4. DB형
(정답률: 73%)
  • 다이 세트 (die set)는 금형 제작에 사용되는 도구로, 금형의 형상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AB형"은 다이 세트의 종류가 아니며, 이유는 "AB형"이 금형 제작에 사용되는 도구가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한계 드로잉률이 0.5 이고, 블랭크 직경 50mm의 스테인리스 강판은 최대 몇 mm인 직경의 펀치에 의해 드로잉 될 수 있는가?

  1. 15
  2. 25
  3. 30
  4. 40
(정답률: 85%)
  • 한계 드로잉률은 0.5이므로, 원래 직경의 0.5배까지만 드로잉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래 직경이 50mm인 강판은 최대 25mm의 직경을 가진 펀치에 의해 드로잉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판 두께 2.0mm의 연강판을 U굽힘 할 때의 가공력은 약 몇 톤(ton)인가? (단, 재료의 인장강도 30kgf/mm2, 굽힘길이 200mm, U 굽힘의 가공력 계수는 0.4로 한다.)

  1. 1.8
  2. 2.0
  3. 3.2
  4. 4.8
(정답률: 68%)
  • 가공력 = (재료의 인장강도 × 굽힘길이 × 굽힘각도) ÷ (U 굽힘의 가공력 계수 × 판 두께)

    굽힘각도는 U굽힘일 경우 180도이므로 180으로 대입하면,

    가공력 = (30 × 200 × 180) ÷ (0.4 × 2.0) = 4,500 ÷ 0.8 = 5,625kgf

    단위를 톤으로 바꾸면 5.625 ÷ 1,000 = 4.8 (약) 이므로 정답은 "4.8"이다.

    즉, 이 문제에서는 연강판의 인장강도와 굽힘길이, U 굽힘의 가공력 계수, 그리고 판 두께를 이용하여 가공력을 계산하는 공식을 사용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U-굽힘의 블랭크 길이를 구하는 식은? (단, λ은 보정계수이다.)

  1. L = 2ℓ + π(r+λt)
  2. L = ℓ + π(2r+λt)
  3. L = ℓ + 2π(r+λt)
  4. L = 2ℓ + π(2r+λt)
(정답률: 61%)
  • U-굽힘의 블랭크 길이는 직선 부분인 2ℓ과 반원 부분인 π(r+λt)의 합으로 구성된다. 직선 부분은 블랭크의 길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반원 부분은 블랭크의 곡률에 따라 변화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직선 부분의 길이인 2ℓ에 반원 부분의 길이인 π(r+λt)를 더한 식인 "L = 2ℓ + π(r+λt)"이 U-굽힘의 블랭크 길이를 구하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순차이송금형(Progressive Die)에서 할 수 없는 가공법은?

  1. 노칭
  2. 엠보싱
  3. 스피닝
  4. 드로잉
(정답률: 73%)
  • 순차이송금형은 금속 시트를 순차적으로 가공하여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이지만, 스피닝은 회전하는 금속 시트를 고정된 형상에 밀착시켜 가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순차이송금형에서는 할 수 없는 가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단가공에서 전단면 형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클리어런스
  2. 전단력
  3. 축방력
  4. 소재 경도
(정답률: 66%)
  • 전단가공에서 전단면 형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클리어런스이다. 클리어런스는 전단면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간으로, 전단력이 작용할 때 소재가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클리어런스가 부족하면 소재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클리어런스가 너무 크면 전단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가공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21. 금형의 제작 공정에서 가공 응력변형이나 열처리 변형 등의 치수 변화를 조정, 수정을 하는 공정은?

  1. 조립 작업
  2. 시험 작업
  3. 성형 작업
  4. 검사 작업
(정답률: 67%)
  • 금형의 제작 공정에서 가공 응력변형이나 열처리 변형 등의 치수 변화를 조정, 수정하기 위해서는 이미 제작된 부품들을 조립하여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립 작업"입니다. 시험 작업은 제품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작업, 성형 작업은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만드는 작업, 검사 작업은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CNC와이어 컷 가공에 있어서 세컨드 컷 가공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다이 형상에서의 돌기부분 제거
  2. 거친 가공면과 가공면의 연화층 제거
  3. 가공물의 내부응력 개방 후 형상수정
  4. 코너부 형상 및 큰북 형상 발생
(정답률: 47%)
  • 세컨드 컷 가공은 다이 형상에서의 돌기부분 제거, 거친 가공면과 가공면의 연화층 제거, 가공물의 내부응력 개방 후 형상수정 등의 효과가 있지만, 코너부 형상 및 큰북 형상 발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코너부 형상 및 큰북 형상 발생은 주로 원자재의 재료 특성이나 가공 조건 등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래핑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식법은 건식법에 비하여 저압력, 저속으로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정밀도가 높은 제품을 얻을 수 있고, 게이지 블록, 플러그게이지 등의 가공에 쓰인다.
  3. 기계 래핑에는 랩 재료로서 주철이 많이 사용 된다.
  4. 주철 랩재료 경화강을 래핑할 때는 래핑유는 유류를 사용한다.
(정답률: 74%)
  • "습식법은 건식법에 비하여 저압력, 저속으로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가 틀린 것이 맞습니다. 실제로는 건식법이 습식법에 비해 저압력, 저속으로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건식법은 랩 재료로서 주로 종이나 필름 등을 사용하며, 습식법은 액체 랩재료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출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표준동작 순서는?

  1. 형체결 → 사출 → 보압 → 냉각 → 이젝팅
  2. 형체결 → 사출 → 냉각 → 보압 → 이젝팅
  3. 형체결 → 이젝팅 → 사출 → 냉각 → 보압
  4. 형체결 → 보압 → 냉각 → 사출 → 이젝팅
(정답률: 70%)
  • 사출성형은 먼저 금형을 닫아 형체결을 만들고, 이후에 사출기에서 플라스틱을 녹여 사출하며, 보압을 통해 제품의 외형을 정교하게 만들어주고, 냉각을 통해 제품을 고체화시키고, 마지막으로 이젝팅을 통해 완성된 제품을 금형에서 분리해낸다. 따라서 "형체결 → 사출 → 보압 → 냉각 → 이젝팅"이 올바른 표준동작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선반가공에서 바이트의 노즈(nose)반지름이 0.3mm 이고, 이송을 0.25mm/rev라 할 때 이론적인 표면 거칠기 값은?

  1. 0.013mm
  2. 0.026mm
  3. 0.046mm
  4. 0.066mm
(정답률: 39%)
  • 선반가공에서 표면 거칠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a = (0.8 × Rz) / n

    여기서 Ra는 표면 거칠기, Rz는 최대 고점-저점 거리, n은 이송 거리입니다.

    노즈 반지름이 0.3mm이므로, 최대 고점-저점 거리는 0.6mm입니다. 이송 거리는 0.25mm/rev이므로, 1회전당 이송 거리는 0.25mm입니다.

    따라서, Rz = 0.6mm, n = 0.25mm/rev로 대입하면,

    Ra = (0.8 × 0.6mm) / 0.25mm/rev
    = 1.92mm/rev

    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Ra 값을 mm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10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Ra = 1.92mm/rev / 1000
    = 0.00192mm/rev

    따라서, 이론적인 표면 거칠기 값은 0.00192mm/rev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1회전당 거칠기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1mm 길이당 거칠기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이 값을 이송 거리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Ra = 0.00192mm/rev / 0.25mm/rev
    = 0.00768mm/mm

    즉, 1mm 길이당 거칠기 값은 0.00768mm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Ra 값이 아니라, 표면 거칠기 값입니다. 따라서, 이 값을 2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표면 거칠기 = Ra / 2
    = 0.00768mm / 2
    = 0.00384mm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mm 대신에 mm의 백분율(%)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을 100으로 곱하여 백분율로 변환해 주어야 합니다.

    표면 거칠기 = 0.00384mm × 100
    = 0.384%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을 mm 단위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을 10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표면 거칠기 = 0.384% / 1000
    = 0.000384mm

    따라서, 이론적인 표면 거칠기 값은 0.000384mm이 됩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 0.026mm이므로, 정답은 "0.026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형판 지그와 유사하나 간단한 위치 결정구조와 클램프 기구를 가진 지그는?

  1. 플레이트 지그
  2. 각판 지그
  3. 상자형 지그
  4. 분할 지그
(정답률: 68%)
  • 플레이트 지그는 간단한 위치 결정구조와 클램프 기구를 가진 지그로, 형판 지그와 유사하지만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작업장에서 자주 사용되며, 작은 작업물을 가공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지그(Jig)의 주기능으로 틀린 것은?

  1. 공작물 위치결정 요소
  2. 공구의 안내요소
  3. 가공물의 지지 및 고정
  4. 공작물 금긋기 요소
(정답률: 76%)
  • 지그의 주기능은 "공작물 금긋기 요소"가 아니라 "공작물 위치결정 요소"입니다. 지그는 가공물을 고정하고 안내하여 정확한 위치에 가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구입니다. 따라서 "공작물 위치결정 요소", "공구의 안내요소", "가공물의 지지 및 고정"은 모두 지그의 주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핸드 탭을 사용하여 M10 × 1.5 나사를 가공할 때 가장 적합한 드릴 구멍 지름은?

  1. 6.5 mm
  2. 7.5 mm
  3. 8.5 mm
  4. 9.5 mm
(정답률: 84%)
  • M10 × 1.5 나사의 핸드 탭 가공에 적합한 드릴 구멍 지름은 나사 지름에서 나사 피치의 절반을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M10의 경우 나사 지름은 10mm이고 나사 피치는 1.5mm이므로, 10 - (1.5/2) = 8.25mm가 됩니다. 가장 가까운 값은 8.5mm이므로, 이것이 가장 적합한 드릴 구멍 지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금형조립에서 펀치와 다이의 날 맞춤방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끼워 맞추기를 쓰는 방법
  2. 시그네스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
  3. 광선을 이용하는 방법
  4. 나사를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59%)
  • 나사를 이용하는 방법은 펀치와 다이의 날을 맞추는 방법이 아니라, 금형을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펀치와 다이의 날을 맞추는 방법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금속판이나 블랭크의 전체 표면을 상 하형으로 눌러서 형과 똑같은 모양의 요철을 가공하는 방법은?

  1. 네킹(Necking)
  2. 코이닝(Coining)
  3. 스웨이징(Swaging)
  4. 업세팅(Upsetting)
(정답률: 42%)
  • 코이닝은 금속판이나 블랭크의 전체 표면을 상 하형으로 눌러서 형과 똑같은 모양의 요철을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금속의 결속력을 이용하여 요철을 형성하므로 정확한 모양과 크기를 가진 부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이닝이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치공구를 설계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칩의 배출 방법 및 가공 공정을 간략화한다.
  2. 치공구의 부품 수를 많게 설계한다.
  3. 도면을 그리기 전에 위치결정구에 대해 구상한다.
  4. 고정식 치공구는 강성 위주로 생각하는 편이 좋다.
(정답률: 86%)
  • "치공구의 부품 수를 많게 설계한다."는 잘못된 주의사항입니다. 치공구의 부품 수를 많게 설계하면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공구를 설계할 때는 필요한 부품만을 사용하여 최대한 간단하게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와이어 컷 방전가공의 특징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담금질된 강이나 초경합금의 가공이 가능하다.
  2. 공작물 형상이 복잡하면 가공속도가 변하게 된다.
  3. 전단여유가 많고 전가공이 불필요하다.
  4. 복잡한 공작물인 경우는 분할하여 가공한다.
(정답률: 57%)
  • 와이어 컷 방전가공은 전기 방전을 이용하여 금속을 절삭하는 가공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담금질된 강이나 초경합금과 같은 경도가 높은 재질도 가공할 수 있으며, 전단여유가 많고 전가공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공작물 형상이 복잡하면 가공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분할하여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공작물의 가공 모양에 따라서 적당한 모양으로 만든 전극(공구)을 사용하여 구멍뚫기, 조각, 절단, 그 밖의 가공을 하는 방법은?

  1. 초음파가공
  2. 배럴가공
  3. 방전가공
  4. 부식가공
(정답률: 82%)
  • 방전가공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 전기를 가하여 방전을 일으켜 작업물을 가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도 가공이 가능하며, 작업물의 경도가 높아도 가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물에 미세한 구멍이나 복잡한 모양을 가공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금형가공에 많이 이용되는 CNC 공작기계로서 자동공구 교환장치(ATC)가 부착되어 있어 여러가지 공구를 필요에 따라서 교환하면서 작업을 진행시키려는 공작기계는?

  1. 보통선반
  2. 지그보링머신
  3. 와이어커팅머신
  4. 머시닝센터
(정답률: 93%)
  • 머시닝센터는 자동공구 교환장치(ATC)가 부착되어 있어 여러가지 공구를 필요에 따라서 교환하면서 작업을 진행시키는 공작기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머시닝센터에서 1.5초 동안 프로그램의 진행을 정지하는 명령프로그램은?

  1. G04 X1.5;
  2. G04 P1.5;
  3. G05 X1.5;
  4. G05 P1.5;
(정답률: 71%)
  • 정답은 "G04 X1.5;"입니다. 이는 G04 명령어를 사용하여 1.5초 동안 프로그램의 진행을 정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G04 명령어는 "Dwell" 또는 "Pause" 명령어로도 알려져 있으며, 지정된 시간 동안 기계를 멈추게 합니다. P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시간을 지정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X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시간을 지정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름 60mm인 강재 둥근 봉을 400rpm으로 선삭할 때 절삭속도는 약 몇 m/min 인가?

  1. 75.4
  2. 55.4
  3. 37.6
  4. 12.6
(정답률: 62%)
  • 절삭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절삭속도 = π × 지름 × 회전속도 ÷ 1000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절삭속도 = 3.14 × 60 × 400 ÷ 1000 = 75.4 (m/min)

    따라서 정답은 "7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소성가공(plastic working)이 아닌 것은?

  1. 주조
  2. 단조
  3. 전조
  4. 압출
(정답률: 53%)
  • 주조는 용융된 금속을 주형에 부어 만드는 공정으로, 소성가공이 아닌 주조는 금속을 가공하는 다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늘고 긴 핀의 외경을 선반을 이용하여 가공하려한다. 이런 경우 사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척은?

  1. 단동식 척
  2. 연동식 척
  3. 콜릿 척
  4. 마그네틱 척
(정답률: 76%)
  • 가늘고 긴 핀을 가공할 때는 안정적인 고정이 필요하므로 콜릿 척이 가장 적합합니다. 콜릿 척은 내부에 맞춤형 콜릿을 사용하여 작은 직경의 물건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반을 이용하여 가공할 때 콜릿 척은 작은 직경의 물건을 가공하기에 적합한 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프레스가공의 분류 중 전단가공에 속하는 것은?

  1. 엠보싱(embossing)
  2. 딥 드로잉(deep drawing)
  3. 컬링(curling)
  4. 셰이빙(shaving)
(정답률: 54%)
  • 전단가공은 재료를 절단하여 형태를 만드는 가공 방법으로, 셰이빙은 재료의 표면을 깎아내어 부드러운 표면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셰이빙은 전단가공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레이저 가공작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나사 가공 작업
  2. 구멍 뚫기 작업
  3. 절단 작업
  4. 국부적인 열처리 작업
(정답률: 70%)
  • 나사 가공 작업은 레이저 가공으로는 정확한 나사 규격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가공 방법이 필요합니다. 구멍 뚫기 작업, 절단 작업, 국부적인 열처리 작업은 모두 레이저 가공으로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형재료 및 정밀계측

41. 다음 중 열경화성 수지는?

  1. 아크릴 수지
  2. 초산비닐 수지
  3. 멜라민 수지
  4. 폴레에틸렌 수지
(정답률: 59%)
  • 열경화성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멜라민 수지는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서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고 유지됩니다. 따라서 멜라민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0.4%C의 탄소강을 950℃로 가열하여 일정시간 충분히 유지시킨 후 상온까지 서서히 냉각시켰을 때의 상온 조직은?

  1. 시멘타이트 + 펄라이트
  2. 페라이트 + 펄라이트
  3. 시멘타이트 + 솔바이트
  4. 페라이트 + 솔바이트
(정답률: 50%)
  • 0.4%C의 탄소강을 950℃로 가열하여 일정시간 충분히 유지시킨 후 상온까지 서서히 냉각시키면, austenite 상태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되어 탄소 원자가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이후 냉각 과정에서 탄소 원자가 다시 모이면서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분리된다. 이 때, 탄소 함량이 0.4%인 탄소강은 유지시간이 충분하면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분리되는데, 이는 Fe-C 상도 eutectoid point인 727℃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온 조직은 페라이트와 펄라이트의 혼합물인 "페라이트 + 펄라이트"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탄소강에 함유되어 있는 규소(Si)의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인장강도, 탄성한계, 경도를 상승시킨다.
  2. 연신율과 충격값을 증가 시킨다.
  3. 결정립을 조대화시키고, 가공성을 나쁘게 한다.
  4.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정답률: 22%)
  • 규소는 탄소강의 미세조직을 조절하는 합금 원소로, 인장강도, 탄성한계, 경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규소는 결정립을 조대화시키고, 이로 인해 가공성을 나쁘게 합니다. 그러나, 규소는 연신율과 충격값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용접성은 규소 함량이 높을수록 저하됩니다. 따라서, "연신율과 충격값을 증가 시킨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순철의 자기변태점은?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61%)
  • 순철의 자기변태점은 "A2"이다. 이유는 "A2"에서 순철이는 자신의 여자친구가 다른 남자와 데이트하는 것을 몰래 지켜보는 것을 즐기기 때문이다. 이는 타인의 사생활 침해와 스토킹으로 인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행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금속 재료가 일정한 온도 영역과 변형속도의 영역에서 유리질처럼 늘어나는 특수한 현상은?

  1. 형상기억
  2. 초소성
  3. 초탄성
  4. 초전도
(정답률: 72%)
  • 금속 재료가 일정한 온도 영역과 변형속도의 영역에서 유리질처럼 늘어나는 현상을 초소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금속의 결정구조가 일정한 온도와 변형속도에서 변화하여, 금속이 유리와 같은 물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금속의 가공성을 높여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금속의 공통된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은을 제외한 모든 금속은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 이다.
  2.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3. 전성 및 연성이 좋다.
  4. 비중이 작고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갖는다.
(정답률: 65%)
  • 비중이 작고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갖는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금속은 일반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며 광택은 금속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물 및 기타 물질로 인해 생기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철의 결점인 여리고 약한 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먼저 백주철의 주물을 만들고 , 장시간 열처리하여 탄소의 상태를 분해 또는 소실시켜 인성 또는 연성을 증가시킨 주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고급 주철
  2. 칠드 주철
  3. 가단 주철
  4. 보통 주철
(정답률: 55%)
  • 가단 주철은 탄소의 상태를 분해 또는 소실시켜 인성 또는 연성을 증가시킨 주철을 말한다. 따라서 주철의 결점인 여리고 약한 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백주철의 주물을 만들고 장시간 열처리하여 탄소의 상태를 분해 또는 소실시켜 인성 또는 연성을 증가시킨 것이 가단 주철이다. 따라서 정답은 "가단 주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경금속에 속하는 것은?

  1. Au
  2. Ag
  3. Mo
  4. Mg
(정답률: 77%)
  • 경금속은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단단하고 강한 금속으로, 주로 3~12족 원소들이 속합니다. 따라서 "M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α+β)의 조직을 가지므로 상온에서 7·3 황동에 비하여 전연성이 낮고 인장 강도가 크며 아연 함유량이 많아 값이 싸고 내식성이 낮고 탈아연 부식을 일으키기 쉬우나 강력하기 때문에 기계 부품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실용 황동은?

  1. tombac
  2. cartridge brass
  3. yellow brass
  4. muntz metal
(정답률: 68%)
  • 실용 황동은 인장 강도가 크고 내식성이 낮아 탈아연 부식을 일으키기 쉬우나 강력하기 때문에 기계 부품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아연 함유량이 많아 값이 싸고 전연성이 낮은 것이 특징인데, 이는 "muntz metal"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muntz met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냉간 금형 강재 중 인성, 내마모성, 내압축강도 등이 가장 우수한 재료는?

  1. STC3
  2. SM15C
  3. SKH51
  4. SM45C
(정답률: 32%)
  • SKH51은 고속도공구용 강재로, 높은 인성과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압축강도도 높습니다. 따라서 냉간 금형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STC3은 고온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인성이 낮아 냉간 금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SM15C와 SM45C는 일반적인 구조용 강재로, 냉간 금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하공차 중 단독형체에 속하는 것은?

  1. 자세공차
  2. 위치공차
  3. 모양공차
  4. 흔들림공차
(정답률: 34%)
  • 기하공차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를 나타내는 공차로, 단독형체에 속하는 것은 모양공차입니다. 모양공차는 제품의 형상에 대한 공차로, 예를 들어 제품의 모서리가 둥글거나 날카로운 정도 등을 나타냅니다. 자세공차는 제품의 위치와 방향에 대한 공차, 위치공차는 제품의 위치에 대한 공차, 흔들림공차는 제품의 안정성과 진동에 대한 공차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나사의 유효경 측정시 가장 정밀도가 높은 측정 방법은?

  1. 삼침법에 의한 측정법
  2. 나사 마이크로미터에 의한 법
  3. 광학적 측정기에 의한 법
  4. 지침측미기에 의한 법
(정답률: 75%)
  • 삼침법에 의한 측정법은 나사의 유효경을 측정하는 가장 정밀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세 개의 침을 이용하여 나사의 유효경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각 침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측정합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정밀도가 높고, 측정 범위도 넓은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나사의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삼침법에 의한 측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름 40mm의 링 게이지를 측정한 결과 40.005mm 이었다면, 오차율은?

  1. 1.25 × 10-1
  2. 1.25 × 10-2
  3. 1.25 × 10-3
  4. 1.25 × 10-4
(정답률: 47%)
  • 오차율은 (실제값-측정값)/실제값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40.005-40)/40 = 0.0125가 된다. 이 값을 소수점 아래로 네 자리까지 표현하면 1.25 × 10^-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5 × 1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기 마이크로미터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배율이 아주 낮다.
  2. 내경측정이 곤란하다.
  3. 정도가 마이크로미터 중 가장 낮다.
  4. 비교측정이기 때문에 2개의 마스터가 필요하다.
(정답률: 67%)
  • 공기 마이크로미터는 비교측정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2개의 마스터가 필요합니다. 이는 측정 대상과 비교할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공기 마이크로미터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V홈 제품을 øD인 핀으로 측정한 높이가 H 이고, ød인 핀으로 측정한 높이가 h 일 때, V홈 각 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44%)
  • V홈 제품의 높이는 øD인 핀으로 측정한 높이와 ød인 핀으로 측정한 높이의 차이로 결정된다. 따라서 V홈 각은 높이 차이인 H-h와 V홈의 폭에 비례한다. 즉, V홈 각이 가장 큰 경우는 H-h가 가장 크고 V홈의 폭이 가장 작은 경우이므로, 보기에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직접측정 방법에 의한 측정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버니어 캘리퍼스
  2. 마이크로미터
  3. 측정기
  4. 다이얼 게이지
(정답률: 74%)
  • 다이얼 게이지는 직접측정 방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이얼 게이지는 간접측정 방법으로, 측정 대상물과 접촉하지 않고 바늘의 움직임을 통해 측정값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직접측정 방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측정면의 평행도 검사에 가장 적합한 측정기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옵티컬 패러렐
  2. 옵티컬 플랫
  3. 다이얼 게이지
  4. 버니어 캘리퍼스
(정답률: 64%)
  • 마이크로미터 측정면의 평행도 검사는 매우 높은 정밀도가 필요한 작업이므로, 가장 적합한 측정기는 옵티컬 패러렐입니다. 옵티컬 패러렐은 빛의 굴절 원리를 이용하여 두 면의 평행도를 검사하는데, 이는 다른 측정기에 비해 더 높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미터 측정면의 평행도 검사에는 옵티컬 패러렐이 가장 적합한 측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떤 지침즉미기의 눈금선 간격이 0.25 mm이고, 최소 눈금이 0.1μm이라면, 이 계기의 배율(倍率)은 얼마인가?

  1. 0.4
  2. 2500
  3. 4.0 × 10-4
  4. 2.5 × 10-5
(정답률: 37%)
  • 눈금선 간격이 0.25 mm 이므로, 1mm 안에 4개의 눈금선이 있다. 따라서 1mm 당 4개의 눈금선이 있으므로, 1mm에 해당하는 최소 눈금 수는 4/0.1 = 40 이다. 이는 계기의 배율과 같으므로, 계기의 배율은 40 × 0.1μm/1 = 4μm 이다. 이를 mm 단위로 변환하면 4 × 10^-3 mm 이므로, 1mm 당 4 × 10^-3 mm 이므로, 1mm에 해당하는 최소 눈금 수는 1/(4 × 10^-3) = 250 이다. 따라서 계기의 배율은 25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00 mm의 사인 바에 의하여 지면에 30° 의 경사를 만드는데 필요한 게이지 블록 양측의 높이 차이는?

  1. 10 mm
  2. 30 mm
  3. 50 mm
  4. 70 mm
(정답률: 62%)
  • 사인 30°은 0.5이므로, 100 mm의 사인 바에 의해 만들어지는 높이는 50 mm입니다. 따라서, 게이지 블록 양측의 높이 차이는 50 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철제 정반과 비교한 석(石)정반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상처가 생겨도 돌기가 생기지 않아 항상 좋은 평면도를 유지한다.
  2.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다.
  3. 전기의 부도체(不導體)이다.
  4. T홈, 탭핑 등의 자유스런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68%)
  • 석정반은 상처가 생겨도 돌기가 생기지 않아 항상 좋은 평면도를 유지한다,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다, 전기의 부도체(不導體)이지만 T홈, 탭핑 등의 자유스런 형상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T홈, 탭핑 등의 자유스런 형상을 만들 수 없는 것이 이 문제의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