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형설계

1. 메달이나 화폐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가공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엠보싱
  2. 코이닝
  3. 컬링
  4. 업셋팅
(정답률: 88%)
  • 코이닝은 금속 시트를 동전이나 메달 같은 모양으로 가공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금속 시트는 특별한 프레스 기계를 사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찍히게 됩니다. 따라서 메달이나 화폐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가공을 코이닝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굽힘금형으로 제품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스프링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일재질일 경우 판 두께가 얇을수록 크다.
  2. 굽힘부에 큰 압력을 가하면 증가할 수 있다.
  3. 굽힘반경이 클수록 증가한다.
  4. 굽힘각도가 클수록 증가한다.
(정답률: 42%)
  • 정답은 "동일재질일 경우 판 두께가 얇을수록 크다." 이다.

    굽힘반경이 클수록, 굽힘각도가 클수록 스프링백은 증가한다. 이는 굽힘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굽힘부에 큰 압력을 가하면 스프링백이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레스 기계의 토크 능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행정위치에 따른 가압력
  2. 1회의 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의 일량
  3. 공칭압력을 발생할 수 있는 최고 스트로크 위치의 하사 점에서 거리
  4. 기능적 손상을 입지 않고 가공할 수 있는 최대압력
(정답률: 54%)
  • 프레스 기계의 토크 능력은 "공칭압력을 발생할 수 있는 최고 스트로크 위치의 하사 점에서 거리" 입니다. 이는 프레스 기계가 가공할 수 있는 최대 압력을 의미하며, 이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거리가 짧을수록 더 강력한 가공이 가능하며, 길어질수록 가공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블랭크의 직경이 140mm인 블랭크를 직경이 70mm가 되도록 드로잉 하였다. 이때 드로잉비는?

  1. 0.2
  2. 0.5
  3. 1
  4. 2
(정답률: 75%)
  • 드로잉비는 작도된 크기와 원래 크기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블랭크의 직경이 140mm에서 70mm로 줄어들었으므로, 작도된 크기는 원래 크기의 1/2이 된다. 따라서 드로잉비는 1/2 = 0.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가 아니라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판 또는 용기의 가장자리 부분에 원형 단면의 테두리를 말아 넣는 가공법은?

  1. 컬링
  2. 벌징
  3. 비딩
  4. 벤딩
(정답률: 85%)
  • 컬링은 판이나 용기의 가장자리를 원형 단면으로 말아 넣는 가공법으로, 이는 판이나 용기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가공법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컬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레스에 고정되는 생크(shank)는 금형의 하중중심에 설치되어 평형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생크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펀치와 외곽선 중심을 이용한 위치계산
  2. 선 중심을 이용한 위치계산
  3. 면 중심을 이용한 위치계산
  4. 금형 무게를 이용한 위치계산
(정답률: 74%)
  • 금형 무게를 이용한 위치계산은 생크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생크는 금형의 하중중심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금형의 무게 중심을 계산하여 그 위치에 생크를 고정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금형 무게를 이용한 위치계산"은 생크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장 올바른 방법이다. 반면에, "펀치와 외곽선 중심을 이용한 위치계산", "선 중심을 이용한 위치계산", "면 중심을 이용한 위치계산"은 생크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 생크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무게 중심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이미 뚫어져있는 구멍을 이용하여 제품의 위치결정을 할 경우에 사용하는 금형부품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파일럿 핀
  2. 고정 게이지 핀
  3. 맞춤 핀
  4. 스톱 핀
(정답률: 88%)
  • 파일럿 핀은 이미 뚫어져 있는 구멍을 이용하여 제품의 위치결정을 할 때 사용하는 부품으로, 구멍의 중심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부품입니다. 고정 게이지 핀은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맞춤 핀은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부품입니다. 스톱 핀은 금형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재료 및 프레스 기계의 제약이 없다.
  2. 대량생산 및 가공 속도가 우수하다.
  3. 제품의 정밀도가 매우 낮다.
  4. 공정이 많아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다.
(정답률: 79%)
  • 프로그래시브 금형은 여러 단계의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대량생산 및 가공 속도가 우수합니다. 이는 제품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장점이 됩니다. 또한 사용재료나 프레스 기계의 제약이 없어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정이 많아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고, 제품의 정밀도가 낮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이세트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제품정도의 균일성
  2. 설치작업의 신속화
  3. 금형분해 조립의 용이
  4. 금형의 대형화
(정답률: 85%)
  • 다이세트의 기능 중 "금형의 대형화"는 틀린 것입니다. 다이세트는 금형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설치작업을 신속화하고 제품정도의 균일성을 높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금형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피어싱 금형에서는 클리어런스를 어디에 주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다이
  2. 고정판
  3. 펀치
  4. 스트리퍼
(정답률: 61%)
  • 피어싱 금형에서 클리어런스는 다이에 주어야 합니다. 이는 다이가 원활하게 작동하고 부품이 올바르게 배치되도록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고정판은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펀치는 부품을 자르는 역할을 합니다. 스트리퍼는 부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표준게이트의 폭(W)을 결정하는 공식을 알맞게 표현한 것은? (단, n=수지상수, A=성형품 외측의 표면적(mm2)이다.)

(정답률: 78%)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표준게이트의 폭(W)은 수지상수(n)와 성형품 외측의 표면적(A)에 비례하고, 역수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W ∝ nA-1 이고, 이를 공식으로 나타내면 W = k * n * A-1 (k는 비례상수)가 된다. 이 공식에서 A의 역수를 취한 이유는 성형품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준게이트의 폭이 작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외측언더컷을 처리할 때의 처리기구에 해당되는 것은?

  1. 일체 코어형
  2. 편심 로드형
  3. 분할 캐비티형
  4. 이젝터 핀형
(정답률: 70%)
  • 외측언더컷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처리기구는 분할 캐비티형이다. 이는 외측언더컷을 처리할 때 치아를 분할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치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정확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일체 코어형은 치아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이며, 편심 로드형은 치아를 고정하는 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방식이다. 이젝터 핀형은 이젝터 핀을 이용하여 치아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출금형의 냉각수 구멍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이 각각 독립해서 조정 되도록 한다.
  2. 스프루나 게이트 등 금형온도가 제일 높은 곳에 냉매가 우선 유입되도록 한다.
  3. 냉각 구멍의 방청을 고려하고, 또한 청소가 간편한 구조이어야 한다.
  4. 가동측 형판은 수열량과 방열면적이 커서 고정측 형판보다 냉각 수량을 많이 필요하게 설계한다.
(정답률: 64%)
  • 가동측 형판은 수열량과 방열면적이 커서 고정측 형판보다 냉각 수량을 많이 필요하게 설계한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가동측 형판이 제품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냉각이 부족하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동측 형판에는 냉각수 구멍을 더 많이 설계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사출성형용 금형부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코어
  2. 로케이트 링
  3. 파일럿 핀
  4. 이젝터 핀
(정답률: 67%)
  • 파일럿 핀은 사출성형용 금형부품 중에서는 아니지만, 다른 금형부품들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 부품입니다. 파일럿 핀은 금형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금형의 정렬과 위치 조정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사출성형용 금형부품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공업용 기어, 캠, 베어링 등의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수지는?

  1. 폴리아세탈
  2. 실리콘 수지
  3. ABS
  4. PVC
(정답률: 45%)
  • 폴리아세탈은 고강도, 고내마모성, 내열성, 내부식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공업용 기어, 캠, 베어링 등의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저온에서도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등에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공업용 기어, 캠, 베어링 등의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아세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출성형용 금형에서 게이트(gate)의 역할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수지의 잔류 응력을 경감하여 성형품의 균열을 방지한다.
  2. 수지의 흐름을 조절하여 충전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3. 수지가 게이트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마찰열로 플로마크를 경감한다.
  4. 게이트 부근에 싱크마크(Sink mark)발생을 방지한다.
(정답률: 56%)
  • "게이트 부근에 싱크마크(Sink mark)발생을 방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게이트는 수지가 금형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며, 수지의 흐름을 조절하여 충전밸런스를 맞출 수 있습니다. 또한 게이트 부근에 싱크마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게이트 디자인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출성형기 기본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사출장치
  2. 형체장치
  3. 전기제어부
  4. 주축 구동부
(정답률: 44%)
  • 주축 구동부는 사출성형기의 기본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사출성형기의 주축을 구동하는 부품으로, 사출성형기의 작동에 필수적이지만, 기본구성 요소는 아닙니다. 기본구성 요소는 사출장치, 형체장치, 전기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기압 이젝터 방식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금형구조가 간략화 된다.
  2. 코어형, 캐비티형 어느 것에도 사용된다.
  3. 성형품의 형상에 제약이 없다.
  4. 형개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밀어내기가 된다.
(정답률: 42%)
  • 공기압 이젝터 방식은 형개 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밀어내기가 가능하며, 이는 성형품의 형상에 제약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캐비티 내의 공기가 빠지지 않을 때 가장 적합한 대책은?

  1. 금형온도를 높인다.
  2. 에어벤트를 설치한다.
  3. 러너의 형상을 바꾼다.
  4. 사출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87%)
  • 캐비티 내의 공기가 빠지지 않을 때는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한 대책이다. 이는 캐비티 내부의 공기 압력을 조절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캐비티 내부의 공기 배출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대책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상온성형품치수가 40mm 이고, 상온금형침수가 40.8mm이다. 이 수지의 성형수축률은 약 몇 %인가?

  1. 0.8
  2. 2
  3. 3
  4. 3.6
(정답률: 60%)
  • 성형수축률 = (상온금형침수 - 상온성형품치수) / 상온성형품치수 x 100

    = (40.8 - 40) / 40 x 100

    = 2%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21. CAD/CAM 시스템과 CNC기계들을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1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대의 CNC공작 기계에 데이터를 분배하여 전송함으로써 동시에 여러대의 기계를 운전할 수 있는 시스템은?

  1. ATC
  2. DNC
  3. QNC
  4. FNC
(정답률: 84%)
  • DNC는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의 약자로, 분산형 수치 제어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CAD/CAM 시스템과 CNC기계들을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1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대의 CNC공작 기계에 데이터를 분배하여 전송함으로써 동시에 여러대의 기계를 운전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DNC 시스템을 사용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N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해연삭에 사용되는 전해액의 구비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전도도를 가질 것
  2. 부식을 방지하는 특성을 가질 것
  3. 반응 생성물을 용해하는 성능을 가질 것
  4. 유기염이 섞인 비도전성 불수용액 일 것
(정답률: 65%)
  • 전해연삭은 전기를 통해 이온을 이동시켜 금속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전해액은 전기전도성이 높아야 하며, 부식을 방지하는 특성과 반응 생성물을 용해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고전도도를 가질 것", "부식을 방지하는 특성을 가질 것", "반응 생성물을 용해하는 성능을 가질 것"은 전해액의 구비조건에 해당된다. 하지만 "유기염이 섞인 비도전성 불수용액"은 전해액으로 사용될 수 없다. 유기염은 전해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전해액으로 사용될 수 없으며, 비도전성 불수용액은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해액으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유기염이 섞인 비도전성 불수용액"은 전해액의 구비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금형조립용 측정공구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한계 게이지
  2. 하이트 게이지
  3. 다이얼 게이지
  4. 클램프(clamp)
(정답률: 65%)
  • 클램프는 금형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도구이며, 금형조립용 측정공구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금형조립용 측정공구는 금형의 치수나 위치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한계 게이지, 하이트 게이지, 다이얼 게이지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치제어선반에서 사용되는 보조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MOO : 프로그램 정지
  2. MO4 : 주축 정회전
  3. M30 : 프로그램 종료
  4. M98 : 보조프로그램 호출
(정답률: 74%)
  • 정답은 "MO4 : 주축 정회전"입니다.

    수치제어선반에서 MOO는 프로그램을 정지시키는 기능, M30은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기능, M98은 보조프로그램을 호출하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MO4는 주축을 정회전시키는 기능이 아니라, 주축을 지정한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MO4는 주축을 회전시키는 기능이지만, 정회전시키는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치공구를 사용할 때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정밀도가 향상되고 호환성을 갖는다.
  2. 미숙련자도 정밀작업이 가능하다.
  3. 제품불량이 적으나 생산 능력이 감소된다.
  4. 제품을 검사하는 방법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치공구를 사용하면 정밀도가 향상되고 호환성을 갖게 되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됩니다. 또한 미숙련자도 정밀작업이 가능해져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제품불량이 적어지는 것은 장점이지만, 치공구를 사용하면 생산 능력이 감소됩니다. 이는 치공구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더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산성과 품질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제품을 검사하는 방법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은 치공구를 사용하는 또 다른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연삭액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냉각성
  2. 유동성
  3. 흡수성
  4. 윤활성
(정답률: 83%)
  • 연삭액은 연마 작업 시에 사용되는 액체로,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연마된 부분을 제거하여 연마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연삭액의 구비조건 중에서 "흡수성"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금형 부품의 위치결정에서 부품의 한쪽에 흠을 파고 그 홈에 다른 부품을 조립하여 위치결정을 하는 방법은?

  1. 홈에 의한 위치결정
  2. 블록에 의한 위치결정
  3. 포켓내의 인서트에 의한 위치결정
  4. 로케이션 핀에 의한 위치결정
(정답률: 80%)
  • 홈에 의한 위치결정은 부품의 한쪽에 흠을 파고 그 홈에 다른 부품을 조립하여 위치결정을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부품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품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홈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많이 사용되는 위치결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방전가공용 전극재료의 구비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가공에 따른 전극의 소모가 적을 것
  2. 기계가공성이 좋을 것
  3. 구하기 쉽고 값이 저렴할 것
  4. 방전이 불안전하고 가공속도가 작을 것
(정답률: 91%)
  • 방전이 불안전하고 가공속도가 작을 것은 전극재료가 방전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고, 가공속도가 느리면 생산성이 떨어져 비효율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숏 피닝(shot peening) 작업은 경화된 강구를 공작물 표면에 분사하여 피로강도와 기타 성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가공조건의 인자가 아닌 것은?

  1. 분사속도
  2. 분사각도
  3. 분사면적
  4. 분사시간
(정답률: 47%)
  • 숏 피닝 작업에서 분사시간은 가공조건의 인자가 아닙니다. 이는 분사하는 입자의 크기, 속도, 각도, 밀도 등이 피로강도와 기타 성질을 향상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사시간은 작업자가 조절할 수 없는 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초음파 가공에서 연삭 입자의 재질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알루미나
  2. 문쯔메탈
  3. 탄화규소
  4. 탄화붕소
(정답률: 58%)
  • 문쯔메탈은 초음파 가공에서 연삭 입자의 재질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문쯔메탈이 연삭 과정에서 고온에 노출될 경우 산화되어 파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루미나, 탄화규소, 탄화붕소와 같은 내화성이 높은 재질이 연삭 입자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금형가공에 많이 이용되는 CNC공작기계로서 자동공구 교환장치(ATC)가 부착되어 있어 여러 가지 공구를 필요에 따라서 교환하면서 작업을 진행시키는 공작기계는?

  1. 보통선반
  2. 지그보링머신
  3. 와이어커팅머신
  4. 머시닝센터
(정답률: 90%)
  • 머시닝센터는 자동공구 교환장치(ATC)가 부착되어 있어 여러 가지 공구를 필요에 따라서 교환하면서 작업을 진행시키는 공작기계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금형가공에서 필요한 다양한 작업을 하나의 기계로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고속가공 공작기계가 최적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고속가공의 요소기술로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주축의 고속화
  2. 열적 안정성이 있는 고속 이송 시스템
  3. BT방식의 공구 홀더 적용
  4. 내진동 구조에 대한 장비구조 설계
(정답률: 59%)
  • BT방식의 공구 홀더 적용은 고속가공에서 필요한 정밀한 공구 고정과 안정적인 회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는 공구와 주축 사이의 접합부가 강력하게 유지되어 진동을 최소화하고, 고속 회전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구 홀더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BT방식의 공구 홀더 적용은 고속가공에서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밀링에서 가공물을 분할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직접 분할 방법
  2. 단식 분할 방법
  3. 각도 분할 방법
  4. 헬리컬 분할 방법
(정답률: 52%)
  • 헬리컬 분할 방법은 밀링에서 가공물을 분할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헬리컬 분할 방법은 주로 드릴링에서 사용되며, 회전하는 드릴 비트를 이용하여 나선형으로 가공물을 분할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헬리컬 분할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냉간단조 가공의 장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금형 설계가 쉽다.
  2. 후가공의 공정수가 증가한다.
  3. 내구성 저하되고, 재료 손실이 많다.
  4. 저가 재료 사용으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정답률: 59%)
  • 냉간단조 가공은 고온에서 가공하는 열간단조 가공과 달리 저온에서 가공하기 때문에 재료의 내구성이 떨어지지 않고, 재료 손실이 적습니다. 또한 저가의 재료를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금형제작을 할 때 작업의 주의 사항들이다.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탭 중심과 구멍의 중심을 잘 맞춘다.
  2. 탭 핸들은 수평을 유지한다.
  3. 탭 핸들은 절대로 역회전시키지 않는다.
  4. 가공할 재료는 수평이 되도록 고정한다.
(정답률: 81%)
  • 정답: "탭 핸들은 수평을 유지한다."

    설명: 탭 핸들은 수평을 유지해야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므로, 이 항목은 올바른 주의 사항이다. 탭 중심과 구멍의 중심을 맞추는 것과 가공할 재료를 수평으로 고정하는 것도 중요한 주의 사항이다. 하지만 탭 핸들을 역회전시키면 탭이 깨질 수 있으므로, 이 항목은 잘못된 주의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레이저 가공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자동 가공이 쉽고 특히 CNC 이용이 가능하다.
  2. 비접촉 가공이므로 공구의 마모가 없다.
  3. 세라믹, 유리, 인조 대리석 등 고경도 취성재료의 가공이 용이하다.
  4. 국부순간 가열로 열변형이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69%)
  • "국부순간 가열로 열변형이 많이 발생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레이저 가공은 국부적으로 물질을 가열하여 가공하기 때문에 열변형이 많이 발생한다. 이는 가공 대상물질의 성질에 따라 다르지만, 이러한 열변형을 고려하여 가공 조건을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CNC 가공에서 드웰(GO4)은 지령된 점에서 일정 시간 멈추기 위하여 사용한다. 사용할 수 없는 어드레스는?

  1. X
  2. U
  3. P
  4. S
(정답률: 80%)
  • 드웰(GO4)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지정된 점에서 일정 시간 멈추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사용할 수 없는 어드레스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존재하지 않는 어드레스이다. "S"는 CNC 가공에서 사용되는 어드레스 중 하나가 아니므로 사용할 수 없는 어드레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CNC 공작기계의 절삭제어 방식이 아닌 것은?

  1. 위치결정 제어
  2. 직선절삭 제어
  3. 윤곽절삭 제어
  4. 급속절삭 제어
(정답률: 72%)
  • 정답: 위치결정 제어

    설명: CNC 공작기계의 절삭제어 방식에는 위치결정 제어, 직선절삭 제어, 윤곽절삭 제어, 급속절삭 제어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급속절삭 제어는 공작물의 절삭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급속절삭 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센터, 척, 자석척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가공물의 표면을 조정하는 조정숫돌과 지지대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연마하는 연삭기는?

  1. 공구 연삭기
  2. 성형 연삭기
  3. 평면 연삭기
  4. 센터리스 연삭기
(정답률: 79%)
  • 센터리스 연삭기는 센터, 척, 자석척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가공물의 표면을 조정하는 조정숫돌과 지지대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연마하는 연삭기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공구 연삭기", "성형 연삭기", "평면 연삭기"는 센터, 척, 자석척 등을 사용하여 가공물을 연마하는 연삭기이므로 정답은 "센터리스 연삭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 부분이 가공물 안으로 묻히도록 드릴과 동심원의 2단 구멍을 만드는 가공작업은?

  1. 리밍
  2. 카운터 보링
  3. 태핑
  4. 드릴링
(정답률: 89%)
  • 카운터 보링은 드릴과 동심원의 2단 구멍을 만들어 볼트 또는 너트의 머리 부분이 가공물 안으로 묻히도록 하는 가공작업입니다. 이는 리밍과는 다르게 가공물의 표면을 깎아내는 것이 아니라, 구멍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태핑은 나사를 만들기 위한 가공작업이며, 드릴링은 구멍을 뚫는 가공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형재료 및 정밀계측

41. 나사의 피치가 0.500mm 이고 딤블의 원주눈금이 500등분인 높이 마이크로미터에서 읽을 수 있는 최소눈금은 몇 mm 인가?

  1. 0.010
  2. 0.005
  3. 0.001
  4. 0.0005
(정답률: 63%)
  • 나사의 피치가 0.500mm 이므로, 한 번 회전할 때 0.500mm 만큼 이동한다. 따라서 딤블의 원주눈금 1등분은 0.500mm/500 = 0.001mm 이다. 이것은 높이 마이크로미터에서 읽을 수 있는 최소 눈금이므로, 정답은 "0.00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름 15mm의 둥근봉에 대해 오차 백분율 ±0.5%까지가 합격이라고 할 때 다음 중 합격 치수 범위로 옳은 것은?

  1. 14.915 ~ 15.085
  2. 14.945 ~ 15.055
  3. 14.925 ~ 15.075
  4. 14.995 ~ 15.005
(정답률: 59%)
  • 오차 백분율 ±0.5%는 실제치의 0.5%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름 15mm의 둥근봉의 경우, 합격 범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최소 합격치: 15mm × (1 - 0.005) = 14.925mm
    - 최대 합격치: 15mm × (1 + 0.005) = 15.075mm

    따라서, 합격 치수 범위는 "14.925 ~ 15.07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미터나사에서 최적 3침의 지름이 3.000mm 인 3침을 이용하여 외측거리 M=50.000mm를 얻었을 때의 유효지름은 몇 mm 인가? (단, 최적 3침 선경 dw = 0.57735 x P 이고 여기서 P는 피치이다.)

  1. 45.500
  2. 45.700
  3. 45.900
  4. 46.200
(정답률: 31%)
  • 최적 3침의 지름이 3.000mm 이므로, 선경은 dw = 0.57735 x P = 0.57735 x 3 = 1.732mm 이다.

    외측거리 M=50.000mm 이므로, 유효지름은 da = M - (2 x 1.732) = 46.536mm 이다.

    하지만, 미터나사는 보통 0.036mm 정도의 오차가 있으므로, 이 값을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유효지름은 46.536 - 0.036 = 46.500m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만 주어졌으므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45.500"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내측 테이퍼 구멍의 테이퍼 각을 지름이 일정한 한 쌍의 강구와 게이지 블록을 높이 H = 27mm로 하여 측정한 결과 M1 = 25mm, M2 = 12mm 이었다. 테이퍼 각 ø는 얼마인가? (단, 테이퍼 형상은 좌우 대칭으로 본다.)

  1. 13° 15′ 9″
  2. 13° 32′ 9″
  3. 27° 4′ 18″
  4. 28° 46′ 56″
(정답률: 39%)
  • 먼저, 강구와 게이지 블록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테이퍼 각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tan(ø/2) = (M1 - M2) / 2H

    여기서 M1은 큰 지름, M2는 작은 지름, H는 높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tan(ø/2) = (25 - 12) / 54 = 0.2407

    ø/2 = arctan(0.2407) = 13.32°

    ø = 26.64°

    하지만, 문제에서 테이퍼 형상은 좌우 대칭으로 본다고 했으므로, 최종적인 답은 26.64°의 두 배인 53.28°가 아니라, 26.64°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27° 4′ 18″"인데, 이는 계산 결과인 26.64°를 도, 분, 초로 변환한 값이다. 따라서, 이유는 계산 결과를 도, 분, 초로 변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의 측정값 분포곡선 a, b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곡선 정확도는 양호한 편이다.
  2. b곡선 정확도는 양호한 편이다.
  3. a곡선 정밀도는 양호한 편이다.
  4. b곡선 정밀도는 양호한 편이다.
(정답률: 59%)
  • 설명 중 틀린 것은 "b곡선 정밀도는 양호한 편이다." 이다.

    a곡선과 b곡선은 모두 정확도는 양호한 편이지만, a곡선은 b곡선에 비해 정밀도가 높다. 이는 a곡선이 분포의 중심에 더 가까이 모여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곡선은 측정값들이 실제값과 더 가깝게 분포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b곡선은 측정값들이 상대적으로 더 넓게 분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간접측정(indirect measurement)이 아닌 것은?

  1. 사인바에 의한 테이퍼 측정
  2. 롤러와 게이지 블록에 의한 테이퍼 측정
  3. 스냅 게이지에 의한 원통 측정
  4. 삼침에 의한 나사의 유효지름 측정
(정답률: 47%)
  • 스냅 게이지에 의한 원통 측정은 직접적으로 원통의 직경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간접측정이 아닙니다. 스냅 게이지는 두 개의 측정 지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직경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문제의 조건과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계측용어에서 통계적 처리에 관한 용어 중 잔차(residual)의 의미는?

  1. 오차 절대치의 평균치
  2. 편차 절대치의 평균치
  3. 평균치로부터 모평균을 뺀 값
  4. 측정치로부터 시료평균을 뺀 값
(정답률: 44%)
  • 잔차(residual)는 측정치와 예측치(모형으로부터 예측한 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측정치로부터 시료평균을 뺀 값"이 정답입니다. 이는 모형으로부터 예측한 값이 아닌 실제 측정치와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공구 현미경으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길이 측정
  2. 각도 측정
  3. 윤곽 측정
  4. 거칠기 측정
(정답률: 69%)
  • 공구 현미경은 길이, 각도, 윤곽 등을 측정할 수 있지만, 거칠기는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거칠기가 표면의 미세한 울퉁불퉁함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공구 현미경으로는 이를 측정할 수 없습니다. 대신에, 거칠기 측정을 위해서는 다른 측정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표면거칠기에서 사용하는 단면곡선의 파라미터가 아닌 것은?

  1. P-파라미터
  2. R-파라미터
  3. U-파라미터
  4. W-파라미터
(정답률: 37%)
  • U-파라미터는 표면거칠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파라미터이다. P-파라미터는 표면의 평행이동, R-파라미터는 표면의 회전, W-파라미터는 표면의 파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한계 게이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링 게이지
  2. 테보 게이지
  3. 틈새 게이지
  4. 플러그 게이지
(정답률: 46%)
  • 한계 게이지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어떤 값이 어디까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게이지를 말합니다. 그 중 "틈새 게이지"는 존재하지 않는 게이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틈새 게이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금형 다이, 칼, 절단장치 등의 공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경도를 증가시켜 내마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풀링
  2. 담금질
  3. 뜨임
  4. 불림
(정답률: 71%)
  • 담금질은 금속을 가열하여 그 후 빠르게 냉각시켜 경도를 증가시키는 열처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금형 다이, 칼, 절단장치 등의 공구를 제작할 때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담금질은 빠른 냉각으로 인해 금속 내부의 구조가 세분화되고 경도가 증가하므로 내마모성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담금질"이 가장 적합한 열처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강(steel)과 비교한 플라스틱 재료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내열성이 높다.
  2. 치수가 불안정하다.
  3. 기계적 강도가 낮다.
  4. 내구성이 낮다.
(정답률: 55%)
  • 정답: "내열성이 높다."

    플라스틱 재료는 강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플라스틱이 고온에서 용융되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플라스틱 재료는 일반적으로 강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소결합금으로 된 공구강은?

  1. 초경합금
  2. 스프링강
  3. 기계구조용강
  4. 탄소공구강
(정답률: 65%)
  • 초경합금은 소결합금으로 만들어진 공구강으로,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며 내열성도 우수합니다. 따라서 고온에서 사용되는 공구나 금형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10~14%의 규소가 함유된 알루미늄-규소계의 대표적인 합금은?

  1. 실루민
  2. 문쯔메탈
  3. 양은
  4. 켈밋
(정답률: 51%)
  • 실루민은 10~14%의 규소가 함유된 알루미늄-규소계의 대표적인 합금입니다. 이는 규소가 알루미늄과 결합하여 강도와 경도를 높이고, 동시에 가벼움과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실루민은 자동차 부품, 항공기 부품, 가전제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탄소강에서 존재하는 원소 중에서 강도를 증가시키고 고온에서의 소성가공성을 좋게 하며 주조성과 담금질 효과를 향상시키는 원소는?

  1. Si
  2. Mn
  3. P
  4. S
(정답률: 63%)
  • 정답은 "Mn"입니다. Mn은 탄소강에서 강도를 증가시키고 고온에서의 소성가공성을 좋게 하며, 주조성과 담금질 효과를 향상시키는 원소입니다. 반면에 "Si"는 주로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며, "P"와 "S"는 강도를 약화시키는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티탄(Ti)의 일반적인 성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비중이 약 4.54로 비교적 작다.
  2. 용융점이 약 730 로 낮다.
  3. 열전도율이 낮다.
  4. 산화성 수용액 중에서 내식성이 크다.
(정답률: 51%)
  • 티탄(Ti)의 일반적인 성질은 비중이 크고, 열전도율이 낮으며, 산화성 수용액 중에서 내식성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융점이 약 730 로 낮다."는 일반적인 성질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티탄이 비교적으로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금속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스테인리스강판과 같이 변형저항이 큰 소재의 냉간 프레스가공시 특히 요구되는 금형 강재의 성질은?

  1. 인성과 내마모성
  2. 담금질성
  3. 시장성
  4. 절삭성
(정답률: 67%)
  • 냉간 프레스가공은 소재를 강하게 압축하여 형상을 만들어내는 공정으로, 이때 금형 강재는 큰 압력과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고 내구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따라서 인성과 내마모성이 요구되는데, 인성은 금속이 파괴되기 전까지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성질이며, 내마모성은 마찰과 마모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이러한 성질이 높을수록 금형 강재는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철의 성질 중 강철에 비하여 가장 부족한 성질은?

  1. 인장강도
  2. 수축성
  3. 유동성
  4. 주조성
(정답률: 67%)
  • 주철의 성질 중 강철에 비하여 가장 부족한 성질은 "인장강도"입니다. 이는 주철이 강철보다 덜 단단하고 덜 견고하기 때문입니다. 인장강도는 물체가 인장력에 의해 얼마나 많은 힘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주철은 인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부족하여 강철보다 덜 견고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기계구조용 탄소강은?

  1. SM 20 C
  2. SPS 3
  3. STC 3
  4. GC 20
(정답률: 69%)
  • SM 20 C은 기계구조용 탄소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강 중 하나입니다. 이는 탄소 함량이 0.18%에서 0.23%인 강철로, 우수한 가공성과 용접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강도와 인성이 높아 기계부품 제작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SM 20 C은 기계부품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탄소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에서 금속이 비중이 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은 > 금 > 구리 > 철
  2. 금 > 은 > 구리 > 철
  3. 철 > 구리 > 금 > 은
  4. 구리 > 철 > 은 > 금
(정답률: 57%)
  • 금속의 비중은 원소의 원자량과 밀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원자량이 크고 밀도가 높은 금속일수록 비중이 크다. 이에 따라서 금 > 은 > 구리 > 철 순으로 비중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