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자동차정비기능장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직렬 4행정 1사이클 8기통 엔진은 몇 도마다 폭발 행정이 일어나는가?

  1. 90°
  2. 120°
  3. 180°
  4. 360°
(정답률: 74%)
  • 직렬 4행정 1사이클 8기통 엔진은 4행정 엔진이므로 2바퀴를 돌아야 모든 실린더에서 폭발 행정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720도를 8로 나눈 값인 90도마다 폭발 행정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무연 휘발유의 구비 조건으로 알맞는 것은?

  1. 앤티 노크성이 작을 것
  2. 발열량이 작을 것
  3. 연소 퇴적물 발생이 적을 것
  4. 공기와 잘 혼합되고 휘발성이 없을 것
(정답률: 64%)
  • 연소 퇴적물은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을 말합니다. 이러한 연소 퇴적물은 엔진 내부에서 쌓이면서 엔진 성능을 저하시키고 오염물질 배출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무연 휘발유는 연소 퇴적물 발생이 적을 것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린더 총 배기량이 1500cm3, 연소실 체적이 200cm3인 단기통 기관의 압축비는 얼마인가?

  1. 6.5 : 1
  2. 7.5 : 1
  3. 8.5 : 1
  4. 9.5 : 1
(정답률: 2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압축 또는 폭발 행정시 가스가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서 누출되는 현상은?

  1. 블로우 백(blow back)
  2. 블로우 다운(blow down)
  3. 블로우 바이(blow by)
  4. 베이퍼 록(vapour lock)
(정답률: 87%)
  • 가스가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서 누출되는 현상을 블로우 바이(blow by)라고 합니다. 이는 엔진 내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데, 피스톤과 실린더 벽면 사이의 간격이 너무 커지거나, 실린더 벽면이 마모되어 누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누출은 엔진 성능 저하와 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관이 고속에서 회전력의 저하를 가져오는 이유는?

  1. 관성에 의해서 점화시기가 너무 진각되기 때문이다.
  2. 충전 효율이 너무 높기 때문이다.
  3. 체적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4. 혼합비가 너무 농후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65%)
  • 고속에서 회전하는 기관은 회전할 때마다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데, 이때 공기의 압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 열로 인해 기관 내부의 부품들이 높은 온도에 노출되게 됩니다. 이 때문에 기관의 성능이 저하되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원인은 체적효율의 감소입니다. 즉, 고속에서 회전하는 기관은 공기를 빠르게 흡입하고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공기의 압력과 온도가 불안정해지면서 체적효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기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르코니아 O2센서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백금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전극 외측에 세라믹을 도포한다.
  2. 센서 내측에는 배출가스를, 외측에는 대기를 도입한다.
  3. 지르코니아 소자는 내외면의 산소 농도차가 크면 기전력을 발생한다.
  4. 산소 농도 차이가 클수록 기전력의 발생도 커진다.
(정답률: 82%)
  • 센서 내측에는 배출가스를, 외측에는 대기를 도입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지르코니아 O2센서는 센서 내측에 대기를, 외측에 배출가스를 도입합니다. 이는 센서 내부의 지르코니아 소자가 대기와 배출가스 사이의 산소 농도 차이를 감지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자제어 가솔린 기관에서 피드백 제어가 해제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전부하 출력시
  2. 연료 차단시
  3. 희박 신호가 길게 계속될 때
  4. 냉각 수온이 높을 때
(정답률: 66%)
  • 가솔린 기관에서는 냉각 수온이 높을 때 피드백 제어가 해제됩니다. 이는 열이 충분하지 않아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각 수온이 높을 때는 열을 더 많이 생성하기 위해 피드백 제어를 해제하여 최대 출력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윤활유의 구비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알맞은 점성을 가질 것
  2. 카아본 생성이 적을 것
  3. 열에 대한 저항력이 없을 것
  4. 부식성이 없을 것
(정답률: 91%)
  • 윤활유는 열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야 합니다.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한 저항력이 없으면 윤활유가 빨리 분해되고 증발하여 엔진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윤활유는 열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느 기관의 냉각수는 규정량이 18ℓ 이다. 사용 중에 주입된 냉각수 양이 15ℓ 였다면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률은 몇 %인가?

  1. 16.7
  2. 17.7
  3. 18.7
  4. 19.7
(정답률: 70%)
  •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막힘률(%) = (주입된 냉각수 양 - 규정량) / 규정량 × 1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막힘률(%) = (15 - 18) / 18 × 100 = -3 / 18 × 100 = -16.7

    하지만 막힘률은 항상 양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해준다.

    막힘률(%) = |-16.7| = 16.7

    따라서 정답은 "1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디젤기관 분사펌프의 딜리버리 밸브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압 파이프 내 연료의 잔압을 유지
  2. 분사펌프의 연료분사량을 증감
  3. 연료의 역류방지
  4. 후적을 방지
(정답률: 82%)
  • 디젤기관 분사펌프의 딜리버리 밸브는 분사펌프에서 나오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밸브를 조절하여 분사펌프의 연료분사량을 증감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엔진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연비를 개선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분사펌프의 연료분사량을 증감"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소구기관 특징 중 관계가 없는 것은?

  1. 연료 소비율이 낮다.
  2. 단위 마력당 중량이 크다.
  3.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4. 소형 화물선 등에 많이 쓰인다.
(정답률: 60%)
  • 단위 마력당 중량이 크다. 이유는 소구기관의 구조가 단순하고 작기 때문에 무게 대비 출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 많은 출력을 내면서도 연료 소비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관의 비출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실린더 내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다음 중에서 관계가 없는 것은?

  1. 터보챠저 장착
  2. 슈퍼챠저 장착
  3. DOHC 방식 채용
  4. 다점분사방식 채용(MPI)
(정답률: 75%)
  • 다점분사방식 채용(MPI)은 실린더 내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MPI는 연료를 효율적으로 분사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실린더 블럭이나 헤드의 변형도 측정기구는?

  1. 마이크로미터
  2. 버어니어캘리퍼스
  3. 다이얼 게이지
  4. 직각자와 필러 게이지
(정답률: 78%)
  • 실린더 블럭이나 헤드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평면도와 수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직각자는 수직도를 측정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도구이며, 필러 게이지는 평면도를 측정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도구입니다. 따라서 직각자와 필러 게이지를 사용하여 실린더 블럭이나 헤드의 변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배기 배출물의 정화에 사용되는 촉매의 설명 중 맞는 것은?

  1. 산화촉매는 배기중의 NOx를 환원시켜 N2와 CO2로 만든다.
  2. 산화촉매는 배기중의 CO와 HC를 산화시켜 CO2와 H2O로 만든다.
  3. 3원촉매는 배기중의 SOx, HC, NOx를 동시에 하나의 촉매로 처리한다.
  4. 3원촉매는 배기중의 SOx, CO, NOx를 동시에 하나의 촉매로 처리한다.
(정답률: 79%)
  • 정답은 "산화촉매는 배기중의 CO와 HC를 산화시켜 CO2와 H2O로 만든다."입니다.

    이유는 산화촉매는 주로 활성탄, 알루미나, 철, 구리 등의 금속 촉매를 사용하여 배기 가스 중 일부인 탄화수소(HC)와 일산화탄소(CO)를 산화시켜서 이산화탄소(CO2)와 수증기(H2O)로 변환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대기오염물질인 CO와 HC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자제어 기관에서 연료압력 조절기는 무엇과 연계하여 연료압력을 조절하는가?

  1. 압축압력
  2. 흡기다기관 압력
  3. 점화시기
  4. 냉각수 온도
(정답률: 83%)
  • 연료압력 조절기는 흡기다기관 압력과 연계하여 연료압력을 조절합니다. 이는 흡기다기관 압력이 높을수록 공기가 더 많이 흡입되어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맞게 연료압력을 높여주어 적절한 연소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흡기다기관 압력은 연료의 적절한 공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엔진이 정상적인 난기 상태에서 정화장치(촉매)앞, 뒤에 설치된 산소센서 출력이다.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정화장치(촉매) 고장이다.
  2. 뒤쪽에 설치된 산소센서 고장이다.
  3. 정화장치(촉매)가 정상적인 작용을 하고 있다.
  4. 앞쪽 산소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뒤쪽 산소 센서는 동작을 멈춘다.
(정답률: 70%)
  • 정답은 "정화장치(촉매)가 정상적인 작용을 하고 있다."입니다. 그림에서 앞쪽 산소센서와 뒤쪽 산소센서의 출력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촉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배기가스를 깨끗하게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은 ECU가 발전기 전류를 제어하는 회로도이다.(그림에서 엔진가동시 ECU B20번 단자에서는 크랭크각 센서 1주기에서 FR신호를 입력 받는다.) 회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TR3가 동작할 땐 발전중이다.
  2. TR2가 동작되면 TR3가 동작한다.
  3. TR1이 동작할 때 TR2는 동작하지 않는다.
  4. ECU D26단자가 접지되지 않으면 TR1이 동작한다.
(정답률: 43%)
  • TR3은 발전기의 전류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로, TR2가 동작되면 TR3도 동작하여 발전기의 전류를 조절한다. 따라서 TR3가 동작할 때는 발전기가 전류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인 발전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동차용 LPG의 갖추어야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적당한 증기압(1~20kgf/cm2)을 가져야 한다.
  2. 불포화(올레핀계)탄화수소를 함유하지 말아야 한다.
  3. 가급적 불순물이 함유되지 말아야 한다.
  4.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함유가 충분히 많아야 한다.
(정답률: 79%)
  • 프로필렌, 부틸렌 등은 LPG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 이들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어야 자동차용 LPG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보장됩니다. 이들은 불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어 연소 시에도 깨끗한 연소가 가능하며, 또한 증기압을 유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자동차용 LPG의 조성에는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함유가 충분히 많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샘플링 검사의 목적으로서 틀린 것은?

  1. 검사비용 절감
  2. 생산공정상의 문제점 해결
  3. 품질향상의 자극
  4. 나쁜 품질인 로트의 불합격
(정답률: 34%)
  • 샘플링 검사의 목적 중에서 "생산공정상의 문제점 해결"은 올바른 목적입니다. 이는 샘플링 검사를 통해 불량품이 발견되면 해당 생산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향후 불량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공정의 효율성과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월 100대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세이퍼 1대의 제품 1대당 소요공수가 14.4 H 라 한다. 1일 8 H, 월 25일, 가동한다고 할 때 이 제품 전부를 만드는데 필요한 세이퍼의 필요대 수를 계산하면? (단,작업자 가동율 80 %, 세이퍼 가동율 90 % 이다.)

  1. 8대
  2. 9대
  3. 10대
  4. 11대
(정답률: 45%)
  • 월 생산량은 100대이므로, 총 소요공수는 100 x 14.4 = 1440 H 입니다.
    하루 가동시간은 8시간, 월 가동일수는 25일이므로 총 가동시간은 8 x 25 = 200 시간입니다.
    작업자 가동율이 80% 이므로, 실제 가동시간은 200 x 0.8 = 160 시간입니다.
    세이퍼 가동율이 90% 이므로, 실제 세이퍼 가동시간은 160 x 0.9 = 144 시간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세이퍼 대수는 1440 / 144 = 10대 입니다.
    정답은 "10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의 PERT/CPM에서 주공정(Critical path)은? (단, 화살표 밑의 숫자는 활동시간을 나타낸다.)

  1. ① - ③ - ② - ④
  2. ① - ② - ③ - ④
  3. ① - ② - ④
  4. ① - ④
(정답률: 46%)
  • 주공정은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경로를 말한다. 이 그래프에서는 ① - ② - ③ - ④가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경로이므로, 주공정은 ① - ② - ③ - ④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 ② - ③ -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품공정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공정간의 정체를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56%)
  • 제품공정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공정간의 정체를 나타내는 기호는 "" 입니다. 이 기호는 공정간의 연결을 나타내며, 이전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여 처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기호들은 각각 시작, 검사, 측정, 저장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T Q C (Total Quality Control)란?

  1. 시스템적 사고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품질관리 기법이다.
  2. 아프터 서비스를 통한 품질을 보증하는 방법이다.
  3. 전사적인 품질정보의 교환으로 품질향상을 기도하는 기법이다.
  4. QC부의 정보분석 결과를 생산부에 피드백하는 것이다
(정답률: 60%)
  • TQC는 전사적인 품질정보의 교환으로 품질향상을 기도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계수값 관리도는 어느 것인가?

  1. R관리도
  2. 관리도
  3. P관리도
  4. 관리도
(정답률: 49%)
  • 계수값 관리도는 불량률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도로, P관리도를 사용합니다. P관리도는 불량률의 변화를 추적하고, 불량률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수값 관리도는 P관리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클러치가 미끄러지지 않기 위한 조건은? (단, 클러치 압력스프링의 장력 t, 마찰 계수 μ , 평균반경 r, 회전력 T인 경우)

  1. t· μ · r ≦ T
  2. T· μ · r ≧ t
  3. t· μ · r ≧ T
  4. T· μ · r ≦ t
(정답률: 68%)
  • 클러치가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서는 클러치 압력스프링의 장력 t, 마찰 계수 μ, 평균반경 r, 회전력 T가 일정한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관계식은 t· μ · r ≧ T 입니다. 이유는 클러치가 미끄러지지 않으려면 클러치 디스크와 플라이휠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마찰력은 마찰 계수와 접촉면적, 압력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클러치 압력스프링의 장력 t, 마찰 계수 μ, 평균반경 r이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면 회전력 T보다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클러치가 미끄러지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인의 필요성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앞바퀴를 평행하게 직진시키기 위해서
  2. 수직방향 하중에 의한 앞차축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앞바퀴의 옆미끄럼과 마멸을 방지하기 위하여
  4. 조향기구의 마멸에 의한 토아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7%)
  • "앞바퀴를 평행하게 직진시키기 위해서"는 토인의 필요성과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수직방향 하중에 의한 앞차축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토인의 필요성 중 하나로, 차량이 주행 중에 받는 수직 하중이 앞차축에 집중되어 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토인을 조절하여 앞바퀴의 접지면을 최적화하고, 앞차축의 휨을 최소화합니다.

    "앞바퀴의 옆미끄럼과 마멸을 방지하기 위하여"와 "조향기구의 마멸에 의한 토아웃을 방지하기 위하여"도 토인의 필요성과 관련이 있지만, "수직방향 하중에 의한 앞차축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가 가장 간단명료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제동장치에서 마스터 백은 무엇을 이용하여 브레이크에 배력작용을 하게 한 것인가?

  1. 배기가스 압력 이용
  2. 대기 압력만 이용
  3. 흡기 다기관의 압력만 이용
  4. 대기압과 흡기 다기관의 압력차 이용
(정답률: 92%)
  • 마스터 백은 브레이크에 배력작용을 주는데, 이때 대기압과 흡기 다기관의 압력차를 이용합니다. 대기압은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며, 흡기 다기관은 엔진의 작동에 따라 압력이 변화합니다. 이러한 압력차를 이용하여 마스터 백은 브레이크에 압력을 전달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대기압과 흡기 다기관의 압력차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스크 브레이크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적당치 않은 것은?

  1. 고속에서 사용하여도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한다.
  2.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가 비교적 어렵다.
  3. 디스크가 노출되어 회전하므로 방열성이 좋다.
  4. 마찰면적이 적기 때문에 패드를 압착하는 힘을 크게 하여야 한다.
(정답률: 86%)
  • "디스크가 노출되어 회전하므로 방열성이 좋다."는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디스크와 패드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동하는데, 디스크가 노출되어 회전하므로 방열성이 좋다는 것은 오히려 장점입니다.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가 비교적 어렵다는 것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점 중 하나로, 패드와 디스크의 마찰면적이 작기 때문에 패드를 압착하는 힘을 크게 해야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동차가 54 km/h로 달리다가 급가속하여 10초후에 90km/h가 되었을 때, 가속도는 얼마인가?

  1. 2 m/sec2
  2. 1 m/sec2
  3. 3 m/sec2
  4. 4 m/sec2
(정답률: 46%)
  • 가속도는 변화한 속도를 변화한 시간으로 나눈 값이므로,

    가속도 = (최종속도 - 초기속도) / 시간

    여기서 초기속도는 54 km/h, 최종속도는 90 km/h, 시간은 10초이므로,

    가속도 = (90 - 54) / 10 = 3.6 m/sec^2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1 m/sec^2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단위 변환을 통해 구할 수 있다.

    1 km/h = 0.2778 m/sec

    따라서, 초기속도는 54 km/h = 15 m/sec, 최종속도는 90 km/h = 25 m/sec 이다.

    가속도 = (최종속도 - 초기속도) / 시간 = (25 - 15) / 10 = 1 m/sec^2

    따라서, 정답은 "1 m/sec^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변속기 내의 록킹 볼이 하는 역할이 아닌 것은?

  1. 시프트 포크를 알맞는 위치에 고정한다.
  2. 기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3. 시프트 레일을 알맞는 위치에 고정한다.
  4. 기어가 2중으로 치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76%)
  • 록킹 볼은 기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시프트 포크와 시프트 레일을 알맞는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기어가 2중으로 치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동력전달 장치를 통하여 바퀴를 돌리면 구동축은 그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 작용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코어링 포스
  2. 휠 트램프
  3. 윈드 업
  4. 리어 앤드 토크
(정답률: 52%)
  • 리어 앤드 토크는 동력전달 장치를 통해 바퀴를 돌릴 때 구동축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합니다. 이는 바퀴가 지면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반력과 공기저항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차량의 가속력과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리어 앤드 토크가 정답인 이유는 바퀴를 돌릴 때 발생하는 작용력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동 변속기에서 댐퍼 클러치(록 업클러치)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저속시나 급출발시 작용한다.
  2. 펌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직렬시킨다.
  3. 동력 전달시 미끄럼 손실을 최소화한다.
  4. 연료 소비율 향상과 정숙성을 도모한다.
(정답률: 64%)
  • 펌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직렬시키는 것은 댐퍼 클러치(록 업클러치)의 기능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펌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직렬시킨다."는 댐퍼 클러치(록 업클러치)의 기능이 맞습니다. 저속시나 급출발시 작용하는 것은 댐퍼 클러치(록 업클러치)가 아니라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동 변속기에서 동력을 한쪽 방향으로 자유롭게 전달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전달하지 못하는 기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다판 클러치
  2. 일방향 클러치
  3. 브레이크 밴드
  4. 토크 컨버터
(정답률: 75%)
  • 일방향 클러치는 동력을 한쪽 방향으로만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구입니다. 따라서 자동 변속기에서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일방향 클러치가 작동하지 않아 동력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이와 달리 다판 클러치는 양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밴드는 회전하는 축을 멈추는 역할을 하며, 토크 컨버터는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향핸들을 2회전 시켰더니 피트먼암은 30° 회전하였다. 조향기어비를 구하면?

  1. 24:1
  2. 15:1
  3. 60:1
  4. 12:1
(정답률: 47%)
  • 조향핸들을 2회전 시켰을 때 피트먼암이 30° 회전했으므로, 1회전당 피트먼암의 회전각은 15°이다. 따라서 조향기어비는 15:1이다. 이유는 조향핸들 1회전당 조향기어가 회전하는 각도와 피트먼암이 회전하는 각도의 비율이 15:1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동차의 검사항목 중 정기검사시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1. 조종장치
  2. 주행장치
  3. 동일성 확인
  4. 차체 및 차대
(정답률: 66%)
  • 조종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을 조작하는데 필요한 부분으로, 정기검사에서는 주로 차량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검사하는 항목들에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조종장치는 차량의 안전성과 기능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정기검사시 검사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차량이 선회시 원심력에 의한 횡요동(롤링)을 억제하기 위한 토션 바로서, 독립현가식 서스펜션에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롤링을 감소하고 차체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품의 명칭은?

  1.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2. 에어 스프링(air spring)
  3. 코일 스프링(coil spring)
  4. 토션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
(정답률: 75%)
  • 스테빌라이저는 차량이 선회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횡요동(롤링)을 억제하여 차체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품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설명하는 기능과 가장 부합하는 답은 "스테빌라이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ABS 시스템에서 스피드센서에 의해 4륜 각각의 차륜속도 및 차륜 감가속도를 연산하여 차륜의 슬립상태를 판단하며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증압 및 감압형태를 결정하는 부품은?

  1. 모터 및 펌프(MOTOR & PUMP)
  2. ABS ECU
  3. 하이드로릭 유니트
  4. EBD
(정답률: 77%)
  • ABS 시스템에서 차륜의 슬립상태를 판단하고 적절한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차륜속도 및 차륜 감가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연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ABS ECU는 스피드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륜의 슬립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증압 및 감압형태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ABS 시스템에서 차륜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부품은 ABS EC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보기의 회로는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어떤 센서인가?

  1. G 센서
  2. 공기 압력 센서
  3. 차고 센서
  4. 조향 각 센서
(정답률: 71%)
  • 위의 회로는 조향 각 센서의 회로입니다. 이는 조향 각도를 측정하여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구동력 조절장치(traction control system)의 제어 방식으로 틀린 것은?

  1. 엔진 토크 제어
  2. 유압 반력 제어
  3. 브레이크 토크 제어
  4. 차동 장치 제어
(정답률: 58%)
  • 정답은 "유압 반력 제어"입니다. 구동력 조절장치의 제어 방식으로는 엔진 토크 제어, 브레이크 토크 제어, 차동 장치 제어가 있습니다. 하지만 유압 반력 제어는 구동력 조절장치와는 관련이 없는 제어 방식입니다. 유압 반력 제어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 방식으로, 브레이크를 밟을 때 발생하는 반력을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타이어 트레드패턴(tread pattern)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공기누설을 방지한다.
  2.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방산한다.
  3. 트레드에 발생한 파손이나 손상 등의 확산을 방지한다.
  4. 사이드 슬립(side slip)이나 전진방향의 미끄럼을 방지한다.
(정답률: 84%)
  • 타이어 트레드패턴은 공기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공기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의 밸브와 밸브캡의 상태를 확인하고 교체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누설을 방지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하중이 2ton이고 압축스프링 변형량이 2cm일 때 스프링 상수는 얼마인가?

  1. 100 kgf/mm
  2. 120 kgf/mm
  3. 150 kgf/mm
  4. 200 kgf/mm
(정답률: 70%)
  • 스프링 상수는 하중과 변형량의 비례상수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스프링 상수 = 하중 / 변형량 입니다.

    주어진 문제에서 하중은 2ton, 변형량은 2cm 이므로 스프링 상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스프링 상수 = 2 ton / 2 cm = 1000 kg / 2 cm = 500 kg/cm

    하지만 보기에서 답안은 kgf/mm 으로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1 kgf = 9.81 kg 이므로,

    스프링 상수 = 500 kg/cm × 9.81 N/kg × 1 cm/mm ÷ 1000 N/kg = 4.905 N/mm = 100 kgf/mm

    따라서 정답은 "100 kgf/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풀 에어 브레이크(Full Air Brake) 시스템의 구성부품이 아닌 것은?

  1. 투 웨이 밸브
  2. 로드센싱 밸브
  3. 휠 실린더
  4. 릴레이 밸브
(정답률: 49%)
  • 풀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휠 실린더는 구성부품 중 하나이지만, 이는 풀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부분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휠 실린더는 브레이크 패드를 움직여 타이어를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에서 콘트롤 유니트(CU)로 입력되는 항목으로 맞는 것은?

  1. 냉각수온 신호
  2. 차속 신호
  3. 자동변속기 D레인지 신호
  4. 에어콘 작동 신호
(정답률: 71%)
  • 차속 신호는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에서 콘트롤 유니트(CU)로 입력되는 항목 중에서 맞는 것입니다. 이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조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입니다. 따라서 차속 신호는 조향장치의 정확한 동작을 위해 필수적인 입력 신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동차 에어콘 시스템의 구성품 중 리시버드라이어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팽창밸브로 들어가는 냉매 중의 기포분리 저장
  2. 냉매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나 이물질 제거
  3. 압축기에 들어가는 냉매 중 액체상태의 냉매 분리 저장
  4. 냉매의 온도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때 안전판 역할
(정답률: 42%)
  • 압축기에 들어가는 냉매 중 액체상태의 냉매 분리 저장은 리시버드라이어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압축기에서 생성된 냉매는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상태로 나오기 때문에, 리시버드라이어는 이 중 액체상태의 냉매를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압축기의 안정적인 작동을 돕고, 냉매 순환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축기에 들어가는 냉매 중 액체상태의 냉매 분리 저장"은 리시버드라이어의 역할 중 하나이며, 문제에서 제시된 보기 중에서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트랜지스터 전압 조정기는 기존의 접점식에 비해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이 중에서 틀린 것은?

  1. 스위칭 타임이 짧아 제어 공차가 적다.
  2. 전자식 온도 보상이 가능하므로 제어공차가 적다.
  3. 스위칭 전류가 크기 때문에 레귤레이터의 이용 범위가 넓다.
  4. 충격과 진동에 약하다.
(정답률: 75%)
  • 스위칭 전압 조정기는 스위칭 작동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위칭 타임이 짧아 제어 공차가 적고, 전자식 온도 보상이 가능하여 제어 공차가 적습니다. 또한 스위칭 전류가 크기 때문에 레귤레이터의 이용 범위가 넓습니다. 하지만 충격과 진동에 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스위칭 작동 방식 때문에 발생하는데, 스위칭 시에는 전류가 급격하게 변화하므로 이로 인한 충격과 진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격과 진동이 심한 환경에서는 사용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의 화학식이다. ( )속에 알맞는 화학식은?

  1. H2O
  2. 2H2O
  3. 2PbSO4
  4. 2H2SO4
(정답률: 67%)
  • 축전지에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화학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때 양극에서는 양이온이 전자를 받아 양전하가 높아지고, 음극에서는 음이온이 전자를 내어주어 음전하가 높아집니다. 이러한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전해질이 필요한데, 이 전해질이 바로 (2H2SO4)입니다. H2O는 전해질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2H2O는 물 분자이므로 전해질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PbSO4는 축전지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2H2SO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그로울러 시험기로 시험할수 없는 것은?

  1. 전기자 코일의 단락
  2. 코일 밸런스
  3. 전기자 코일단선
  4. 계자코일의 단락
(정답률: 52%)
  • 계자코일은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코일 내부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여 계측용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계자코일의 단락은 전류나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되므로 그로울러 시험기로 시험할 수 없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전기자 코일의 단락, 코일 밸런스, 전기자 코일단선은 모두 그로울러 시험기로 시험할 수 있는 문제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4기통 디젤기관에 저항이 0.5Ω 인 예열플러그를 각기통에 병렬로 연결하였다. 이 기관에 설치된 예열 플러그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 (단, 기관의 전원은 24V 임)

  1. 0.13
  2. 0.5
  3. 2
  4. 12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점화플러그 절연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산화알루미늄(Al2O3)
  2. 자기(Porcelain)
  3. 스티어타이트(H2O.3MgO.4SiO2)
  4. 유리
(정답률: 64%)
  • 점화플러그 절연재는 고온과 고압에서도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내화성과 내산화성이 뛰어난 물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산화알루미늄(Al2O3)입니다. 산화알루미늄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내화성과 내산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점화플러그 절연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산화알루미늄은 비교적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낮추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자식 현가장치(ECS)에서 앤티롤(Anti Roll) 제어가 불량해 지는 원인과 관계 없는 것은?

  1. 조향각 센서의 불량
  2. 차속 센서의 불량
  3. 유량 절환 밸브의 불량
  4. 제동등 스위치의 불량
(정답률: 73%)
  • 앤티롤 제어는 차량의 조향각 센서와 차속 센서, 유량 절환 밸브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제동등 스위치는 앤티롤 제어와는 관련이 없는 부품으로, 불량해도 앤티롤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동등 스위치의 불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동차 편의장치(ETACS, ISU)는 어떠한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각종 신호를 입력받아 상황을 판단한 후 출력 제어를 한다. 다음 중 에탁스 입력 요소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선 스위치
  2. 감광식 룸램프
  3. 차속센서
  4. 와셔 스위치
(정답률: 59%)
  • 감광식 룸램프는 입력 요소가 아니라 출력 요소입니다. ETACS는 감광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룸램프의 밝기를 제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광식 룸램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점화코일의 1차코일 저항값이 20Ω일때 5Ω이었다. 작동시(80Ω)의 저항은?(단, 구리선의 저항온도계수는 0.004이다.)

  1. 5.24Ω
  2. 4.76Ω
  3. 5.76Ω
  4. 4.24Ω
(정답률: 26%)
  • 점화코일의 1차코일 저항값이 20Ω이고, 1차코일의 저항온도계수는 구리선의 저항온도계수인 0.004이므로, 작동시의 1차코일 저항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작동시의 1차코일 저항값 = 20Ω × (1 + 0.004 × (80℃ - 20℃))
    = 20Ω × 1.24
    = 24.8Ω

    따라서, 작동시의 점화코일의 저항은 24.8Ω이 됩니다. 이때, 2차코일의 저항은 5Ω이므로, 전체 점화코일의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체 점화코일의 저항 = 2차코일의 저항 + 작동시의 1차코일 저항
    = 5Ω + 24.8Ω
    = 29.8Ω

    따라서, 작동시의 점화코일의 저항은 29.8Ω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중에서 5.24Ω이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구한 작동시의 1차코일 저항값이 정확하지 않은 것이 원인입니다. 문제에서는 1차코일의 저항온도계수를 구리선의 저항온도계수인 0.004로 가정했지만, 실제로는 1차코일의 재질과 구조에 따라 저항온도계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5.24Ω이 정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차체에서 화이트 보디(White body)를 구성하는 부품 중 틀린 것은?

  1. 사이드 보디
  2. 도어(앞,뒤문짝)
  3. 범퍼
  4. 엔진 후드, 트렁크 리드
(정답률: 68%)
  • 범퍼는 차체의 외부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보호하기 위한 부품으로, 화이트 보디를 구성하는 부품이 아닙니다. 사이드 보디, 도어, 엔진 후드, 트렁크 리드는 모두 차체의 구성 요소로서 화이트 보디를 구성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손상된 보디를 기본적인 고정을 하고 인장 작업을 위해 추가적인 고정을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보디 중심에 필요한 회전 모멘트를 발생하기 위해서
  2. 과도한 인장력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스포트 용접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4. 고정한 부분까지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
(정답률: 55%)
  • 보디 중심에 필요한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것은 고정이 아닌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고정은 보디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인장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점 용접 3단계의 순서로 맞는 것은?

  1. 가압 → 냉각고착 → 통전
  2. 냉각고착 → 가압 → 통전
  3. 가압 → 통전 → 냉각고착
  4. 통전 → 가압 → 냉각고착
(정답률: 66%)
  • 가압 → 통전 → 냉각고착 순서가 맞습니다. 이는 용접 후에 생긴 열이 빠르게 식어나지 않도록 가압 상태로 유지하고, 그 후에 전기를 통해 용접 부위를 녹여 결합시키며, 마지막으로 냉각 과정을 거쳐 용접 부위가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가압 → 통전 → 냉각고착 순서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동차의 하중 분포를 계산하여야 할 작업이 아닌 것은?

  1. 오버 항 연장
  2. 라디에이터 길이 연장
  3. 휠 베이스의 연장
  4. 하대 개조 및 하대 옵셋의 변경
(정답률: 88%)
  • 라디에이터 길이 연장은 자동차의 하중 분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작업입니다. 라디에이터는 엔진을 냉각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으로, 길이를 연장한다고 해서 자동차의 하중 분포가 바뀌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라디에이터 길이 연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상도 도장작업 중에 에어 스프레이 건에서 조절이 가능한 것이 아닌 것은?

  1. 도료의 토출량 조절
  2. 에어량 조절
  3. 패턴 사이즈 조절
  4. 노즐 사이즈 조절
(정답률: 55%)
  • 노즐 사이즈는 스프레이 건의 흡입구와 도료 분사구 사이의 구멍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노즐 사이즈를 조절하면 분사되는 도료의 양과 분사 패턴의 크기가 변경됩니다. 따라서 노즐 사이즈는 조절이 가능한 항목이 아니며, 나머지 항목들은 에어 스프레이 건에서 조절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장 작업 후 열처리 시에 부스의 온도를 급격하게 올렸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도장 문제점은?

  1. 오랜지 필
  2. 주름 현상
  3. 핀홀 또는 솔벤트 퍼핑
  4. 백화 현상
(정답률: 72%)
  • 열처리 시 부스의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면 도장막이 빠르게 건조되어 공기 중에 있는 용매가 도장막 내부로 침투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 솔벤트 퍼핑이다. 이 때, 도장막 내부에 공기 중에 있는 용매가 침투하면서 작은 구멍이 생기는데, 이를 핀홀이라고 한다. 따라서, 도장 작업 후 열처리 시 부스의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면 핀홀 또는 솔벤트 퍼핑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메탈릭 색상의 조색에서 차체색상보다 도료색상이 어두워 원색도료를 투입하고자 한다. 적당한 조색제는?

  1. 백색
  2. 투명 백색
  3. 회색
  4. 알루미늄(실버)
(정답률: 87%)
  • 메탈릭 색상은 반사율이 높아서 도료색상이 차체색상보다 어두워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색도료를 투입하여 도료색상을 더 밝게 만들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알루미늄(실버)은 반사율이 높아서 도료색상을 밝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실버)가 적당한 조색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료 중 요철부위의 메꿈역할과 맨 철판에 대한 부착기능 및 연마에 의한 표면조정을 위해 도장하는 도료는?

  1. 퍼티
  2. 프라이머
  3. 서페이서
  4. 우레탄
(정답률: 75%)
  • 퍼티는 요철부위의 메꿈역할과 맨 철판에 대한 부착기능 및 연마에 의한 표면조정을 위해 도장하는 도료입니다. 이는 퍼티가 점착성이 강하고,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퍼티는 우수한 방수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요철부위의 보호와 함께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