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29)

자동차정비기능장
(2009-03-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실린더 간극체적(clearance volume)이 실린더 체적의 10%인 기관의 압축비는?

  1. 10:1
  2. 8:1
  3. 6:1
  4. 4:1
(정답률: 87%)
  • 압축비는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체적과 실린더 간극체적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실린더 체적이 V, 실린더 간극체적이 0.1V라고 가정하면, 실린더 체적은 V + 0.1V = 1.1V가 됩니다. 이때,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체적은 V이므로, 압축비는 1.1V / V = 1.1:1이 됩니다. 이를 단순화하여 10:1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젤기관에서 와류실식 연소실의 장점으로 틀린것은?

  1. 무과급 디젤기관 중에서 평균 유효압력이 가장 높다.
  2. 기관 냉각시 시동이 용이하다.
  3. 리터 마력이 크다.
  4. 직접분사식에 비해 공기 이용률이 높다.
(정답률: 52%)
  • 디젤기관에서 와류실식 연소실의 장점 중에서 "기관 냉각시 시동이 용이하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와류실식 연소실은 고온 고압 가스가 직접 분사되어 연소되는 방식으로, 기관 내부 온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관 냉각시 시동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플라이휠의 무게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진동 댐퍼
  2. 회전수와 실린더 수
  3. 압축비
  4. 기동모터의 출력
(정답률: 74%)
  • 플라이휠은 엔진의 회전운동을 안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회전수와 실린더 수가 플라이휠의 무게와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회전수와 실린더 수가 높을수록 엔진의 진동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플라이휠의 무게를 늘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회전수와 실린더 수가 플라이휠의 무게와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료 압력 조절기는 연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료 압력 조절기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어떻게 하는가?

  1. 흡기 다기관의 압력을 낮추어 준다.
  2. 연료를 연료 탱크로 되돌려 보내 압력을 조정한다.
  3. 연료 펌프의 공급압력을 낮추어 공급시킨다.
  4. 인젝터의 분사압을 높여준다.
(정답률: 94%)
  • 연료 압력 조절기는 연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연료를 연료 탱크로 되돌려 보내 압력을 조정해야 한다. 이는 연료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과도한 압력을 조절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중 0.85인 가솔린 0.5kg을 완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량은?(단, 공연비는 14.5:1이다.)

  1. 15kg
  2. 5.17kg
  3. 6.16kg
  4. 7.25kg
(정답률: 40%)
  • 가솔린 0.5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산소와 충분한 양의 공기가 필요합니다. 공연비가 14.5:1이므로, 공기 1kg당 산소는 14.5 / (14.5 + 1) = 0.935kg 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0.5kg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0.5kg × 0.935kg/kg = 0.468kg의 산소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공기량은 0.468kg / (1 - 0.85) = 3.12kg 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0.5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3.12kg의 공기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공기와 가솔린의 비중이 0.85:1 이므로, 공기 1kg당 가솔린은 1 / 0.85 = 1.176kg 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0.5kg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3.12kg × 1.176kg/kg = 3.67kg의 공기와 0.5kg의 가솔린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67kg + 0.5kg = 7.25k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연료의 옥탄가를 결정하기 위해서 운전 중에 압축비를 바꿀 수 있고, 또 노크가 발생했을 때 그 강도를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춘 기관은?

  1. F,B,C 기관
  2. C,F,R 기관
  3. O,H,C 기관
  4. E,F,I 기관
(정답률: 85%)
  • 옥탄가는 연료가 엔진에서 연소될 때 노크 현상이 발생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옥탄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노크가 발생하는 압력과 시점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압축비를 바꿀 수 있는 기능과 노크 강도를 기록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갖춘 기관 중에서 C,F,R 기관이 옥탄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료 소비율이 250g/PS-h인 가솔린 기관의 열효율은?(단, 가솔린의 저위발열량은 10500kcal/kg이다.)

  1. 약 12%
  2. 약 24%
  3. 약 30%
  4. 약 34%
(정답률: 52%)
  • 열효율은 출력과 입력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출력은 주로 마력(PS)으로 표시되며, 입력은 연료 소비량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열효율 = 출력 / (연료 소비량 x 연료의 저위발열량)

    여기서, 출력은 1PS이므로, 연료 소비량과 가솔린의 저위발열량만 알면 됩니다. 따라서, 계산을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열효율 = 1 / (250g/PS-h x 10500kcal/kg) = 약 0.24 = 약 24%

    따라서, 정답은 "약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흡기계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배기열의 일부를 이용하여 흡기매니폴드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2. 예열플러그를 사용하여 흡입공기를 가열 한다.
  3. 흡기매니폴드 주위에 물재킷을 만들어 온수를 순환한다.
  4. 배기가스를 직접 흡기매니폴드의 일부로 유도하여 이용한다.
(정답률: 67%)
  • 예열플러그를 사용하여 흡입공기를 가열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예열플러그는 디젤 엔진에서만 사용되며, 엔진의 시작 시점에서 신속한 연소를 위해 실린더 내부를 가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흡기계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법은 "배기열의 일부를 이용하여 흡기매니폴드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흡기매니폴드 주위에 물재킷을 만들어 온수를 순환한다.", "배기가스를 직접 흡기매니폴드의 일부로 유도하여 이용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오버 스퀘어 엔진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피스톤 평균속도를 올리지 않고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2. 흡ㆍ배기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어 단위 실린더 체적당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직렬형인 경우 엔진의 높이를 낮게 할 수있다.
  4. 엔진의 길이가 짧고 진동이 작다.
(정답률: 75%)
  • 정답인 "엔진의 길이가 짧고 진동이 작다."는 오버 스퀘어 엔진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오버 스퀘어 엔진의 특징이 아니라 다른 엔진의 특징입니다. 오버 스퀘어 엔진의 장점은 피스톤 평균속도를 올리지 않고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흡ㆍ배기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어 단위 실린더 체적당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직렬형인 경우 엔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C. I. E(Compression Ignition Engine)의 연료 분무 형성의 3대 요건은?

  1. 무화, 관통력, 분무압력
  2. 무화, 분포, 분무입도
  3. 무화, 관통력, 분포
  4. 무화, 분포, 분무속도
(정답률: 79%)
  • C. I. E의 연료 분무 형성의 3대 요건은 "무화, 관통력, 분포" 입니다.

    - 무화: 연료 분무 시 미립자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를 미세화하여 무화시킵니다.
    - 관통력: 연료 분무 시 노즐에서 분사된 연료가 실린더 내 벽면에 부딪혀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 입자의 관통력이 중요합니다.
    - 분포: 실린더 내 연료 분포가 균일해야 하며, 이를 위해 연료 분무 시 입자 크기와 분포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떤 기관의 회전속도가 3000rpm이고, 연소지연시간이 1/900초일 때, 연소지연시간 동안의 크랭크축의 회전각도는?

  1. 30°
  2. 28°
  3. 25°
  4. 20°
(정답률: 33%)
  • 연소지연시간 동안 크랭크축은 회전을 계속하므로, 회전각도는 회전속도와 연소지연시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전각도 = 회전속도 × 연소지연시간 = 3000rpm × (1/900초) = 10°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크랭크축이 1회전하는데 필요한 회전각도가 360°이므로, 10°는 1/36회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연소지연시간 동안의 회전각도는 1/36회전 = 360°/36 = 10° × 10 = 100° 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1회전에 대한 회전각도이므로, 100°를 1회전으로 나누어 주면 2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동차 운행 중 냉각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올라갔을 경우에 발생 가능한 고장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냉각수량이 부족하다.
  2. 수온 조절기가 불량하다.
  3. 냉각수 펌프의 구동벨트가 헐겁다.
  4. 피스톤의 압축 링이 심하게 마모되었다.
(정답률: 92%)
  • 피스톤의 압축 링이 마모되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압력이 누출되어 엔진 내부에서 냉각수가 연소실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냉각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올라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관 오일에 유압이 높을 때의 원인과 관계없는 것은?

  1. 윤활유의 점도가 높을 때
  2. 유압조정 밸브 스프링의 장력이 강할 때
  3. 오일 파이프의 일부가 막혔을 때
  4. 베어링과 축의 간격이 클 때
(정답률: 93%)
  • 베어링과 축의 간격이 클 때는 기계 부품 간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서 오일이 부족하게 윤활되기 때문에 기관 오일에 유압이 높아지는 원인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베어링과 축의 간격이 클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GDI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내부 냉각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2. 부분부하 영역에서는 혼합기의 질을 제어할 수 있어, 평균유효압력을 높일 수 있다.
  3. 간접 분사방식에 비해 기관이 냉각된 상태에서 또는 가속할 때 혼합기를 더 농후하게 해야 된다.
  4. 층상급기를 통해 EGR 비율을 높일 수있다.
(정답률: 73%)
  • 간접 분사방식에 비해 기관이 냉각된 상태에서 또는 가속할 때 혼합기를 더 농후하게 해야 된다는 것은 GDI 방식의 단점입니다. 이는 GDI 방식에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 때문에 혼합기의 질을 제어하기 어렵고, 냉각된 상태에서는 연료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아 불완전 연소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GDI 방식에서는 엔진의 온도와 부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혼합비를 유지하기 위해 연료 분사 시간과 압력을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OBD-Ⅱ 시스템의 주요 감시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촉매기의 기능감시
  2. 2차 공기 시스템의 기능감시
  3. 공기비 센서의 기능감시
  4. 고전압 분배 기능감시
(정답률: 83%)
  • 고전압 분배 기능감시는 OBD-II 시스템에서 주요 감시기능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이 기능은 차량의 전기 시스템과 관련된 것으로, OBD-II 시스템에서는 주로 엔진과 배기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전압 분배 기능감시는 OBD-II 시스템의 주요 감시기능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커먼레일 기관의 크랭킹시 레일압력조절 밸브의 공급 전원이 O[V]일 때 나타나는 현상은?

  1. 시동 안 됨
  2. 가속 불량
  3. 매연 과다 발생
  4. 아이들(idle) 부조
(정답률: 87%)
  • 시동 안 됨: 레일압력조절 밸브가 공급 전원이 없으면 커먼레일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급가속 후 나타난 MAP센서 출력파형이다. 파형의 각 구간별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아이들(idle) 상태에서 출력을 보여준다.
  2. b:급가속시 스로틀 밸브가 빠르게 열리고 있다.
  3. c:스로틀 밸브가 전개(WOT) 부근에 있다.
  4. d:급가속에 의한 흡입공기량 변화로 진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전압이 낮아짐을 보여준다.
(정답률: 90%)
  • 정답인 "d"는 급가속에 따라 흡입공기량이 증가하면서 진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MAP센서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흡입공기량과 진공도는 반비례 관계에 있으며, 이는 엔진의 작동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LPG 연료장치에서 베이퍼라이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료가 1차실로 들어가면 1차압 조절 기구에 의해 가압된다.
  2. 시동성을 좋게 하려고 슬로우 컷 솔레노이드가 있다.
  3. 동결 방지를 위해 냉각수 통로가 있다.
  4. 2차실 압력을 대기압에 가깝게 감압하는 작용을 한다.
(정답률: 67%)
  • "연료가 1차실로 들어가면 1차압 조절 기구에 의해 가압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LPG 연료장치에서 베이퍼라이저는 연료를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환시켜 엔진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료가 1차실로 들어가면 압력 조절 기구에 의해 압력이 감소되어 액체에서 기체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연료는 가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압력이 감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계수치 관리도가 아닌 것은?

  1. d 관리도
  2. p 관리도
  3. u 관리도
  4. x 관리도
(정답률: 63%)
  • 정답: x 관리도

    이유:

    - d 관리도: 측정값의 편차를 관리하는 관리도
    - p 관리도: 불량률을 관리하는 관리도
    - u 관리도: 단위당 불량수를 관리하는 관리도
    - x 관리도: 평균값을 관리하는 관리도

    따라서, x 관리도는 계수치 관리도 중 하나가 아니며, 평균값을 관리하는 관리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표]는 A 자동차 영업소의 월별 판매실적을 나타낸 것이다. 5개월 단순 이동 평균법으로 6월의 수요를 예측하면 몇 대인가?

  1. 120
  2. 130
  3. 140
  4. 150
(정답률: 72%)
  • 5개월 단순 이동 평균법은 가장 최근 5개월간의 판매실적을 더한 후 5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6월의 예상 판매실적은 (110+120+130+140+150)/5 = 650/5 = 130 대이다. 따라서 정답은 "1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중 반즈(Ralph M. Barnes)가 제시한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표준작업의 원칙
  2.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3.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률: 39%)
  • 정답은 "표준작업의 원칙"입니다.

    표준작업의 원칙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고, 이를 표준화하여 일관성 있게 수행하도록 하는 원칙입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즈가 제시한 다른 원칙들은 모두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은 인간의 신체적 한계를 고려하여 작업을 설계하고,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은 작업자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은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공구와 설비를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품질관리 기능의 사이클을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품질개선 - 품질설계 - 품질보증 - 공정관리
  2. 품질설계 - 공정관리 - 품질보증 - 품질개선
  3. 품질개선 - 품질보증 - 품질설계 - 공정관리
  4. 품질설계 - 품질개선 - 공정관리 - 품질보증
(정답률: 60%)
  • 정답은 "품질설계 - 공정관리 - 품질보증 - 품질개선" 입니다.

    품질관리 기능의 사이클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 사이클은 품질설계, 공정관리, 품질보증, 품질개선으로 구성됩니다.

    - 품질설계: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할 때 품질을 미리 계획하고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목표 품질 수준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과 방법을 결정합니다.
    - 공정관리: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거나 제공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단계입니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일관되게 유지합니다.
    - 품질보증: 제품이나 서비스가 목표 품질 수준에 도달했는지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검사하고, 이를 통해 품질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합니다.
    - 품질개선: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단계입니다. 이전 단계에서 파악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더욱 개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부적합 품질이 1%인 모집단에서 5개의 시료를 랜덤하게 샘플링 할 때, 부적합품수가 1개일 확률은 약 얼마인가?(단,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1. 0.048
  2. 0.058
  3. 0.48
  4. 0.58
(정답률: 47%)
  • 이 문제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항분포는 성공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n번 반복하여 성공하는 횟수를 X라고 할 때, X가 따르는 분포입니다.

    여기서는 부적합 품질이 1%이므로 성공확률 p는 0.01입니다. 또한 시료를 5개 샘플링하므로 n은 5입니다. 부적합품수가 1개일 확률을 구해야 하므로 X=1일 때의 확률을 구하면 됩니다.

    따라서 이항분포의 확률질량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X=1) = (5 choose 1) * 0.01^1 * 0.99^4
    = 5 * 0.01 * 0.96059601
    = 0.048

    따라서 부적합품수가 1개일 확률은 0.04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검사의 종류 중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입검사
  2. 출하검사
  3. 출장검사
  4. 공정검사
(정답률: 85%)
  • 출장검사는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검사의 장소나 대상에 따른 분류에 해당됩니다. 출장검사는 검사 대상이 공장이나 시설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검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동차의 전면투영면적이 20% 증가될 때 공기 저항의 증가비율은?(단, 공기저항계수 및 차량의 속도는 동일조건)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75%)
  • 전면투영면적이 20% 증가하면, 공기가 차량에 부딪히는 면적이 더 커지므로 공기저항이 증가합니다. 이때, 공기저항은 전면투영면적에 비례하므로 전면투영면적이 20% 증가하면 공기저항도 20%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동변속기에서 동기 물림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변속 소음이 거의 없고 변속이 용이하다.
  2. 변속기 기어 수명이 길다.
  3. 기어 치형이 헬리컬형 이므로 하중 부담 능력이 크다.
  4. 변속시 특별히 가속시키거나, 더블클러치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7%)
  • 동기 물림식의 장점은 변속 소음이 거의 없고 변속이 용이하며, 기어 수명이 길고 하중 부담 능력이 크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변속시 특별히 가속시키거나, 더블클러치를 조작할 필요가 있다."는 답이 됩니다. 이는 수동변속기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동기 물림식에서는 이러한 조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동변속기 차량과 비교할 때 자동변속기 차량의 장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조작 미숙으로 인해 시동이 꺼지는 경우가 적다.
  2. 기어 변속 조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이 편리하다.
  3. 동력이 오일을 매개로 전달되기 때문에 출발 및 가ㆍ감속이 원활하다.
  4. 각 부의 진동과 충격을 오일이 흡수해 주므로 최고속도가 빠르고 연료소비량이 적다.
(정답률: 87%)
  • 각 부의 진동과 충격을 오일이 흡수해 주므로 최고속도가 빠르고 연료소비량이 적다는 것은 자동변속기 차량이 더 부드럽고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차량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이는 수동변속기 차량과 비교할 때만 해당되는 장점이며, 다른 보기들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장점으로서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차고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레버로 연결된 로드와 센서 보디로 구성되어 있다.
  2. 레버의 회전량이 센서로 전달된다.
  3. 액슬과 바퀴의 중심점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4. 검출방식에는 초음파 방식과 광 단속기 방식이 있다.
(정답률: 68%)
  • 액슬과 바퀴의 중심점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은 차고센서가 아닌 휠센서의 역할입니다. 차고센서는 차고 안에 차량이 들어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기식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밸브와 브레이크 체임버 사이에 설치되어 브레이크가 빠르고 확실하게 풀리도록 하는 것은?

  1. 공기 압축기
  2. 압력 조정기
  3. 퀵 릴리스 밸브
  4. 첵 및 안전 밸브
(정답률: 96%)
  • 퀵 릴리스 밸브는 브레이크 체임버와 브레이크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브레이크를 빠르고 확실하게 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브레이크를 급하게 해제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하며, 브레이크 체임버 내의 압력을 빠르게 방출하여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퀵 릴리스 밸브는 공기식 브레이크 장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빗길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특징적인 현상은?

  1. 스탠딩 웨이브 현상
  2. 로드 홀딩 현상
  3. 하이드로 플레닝 현상
  4. 페이드 현상
(정답률: 75%)
  • 빗길 주행 중에는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물이 쌓이게 되어 마찰력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타이어가 도로와 접촉을 잃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하이드로 플레닝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빗길에서 주행 시 속도를 줄이고, 브레이크와 조향을 부드럽게 조작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앞바퀴 정렬 중 캐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킹핀 중심선의 연장이 노면과 교차하는 지점을 캐스터 점이라 한다.
  2. 캐스터 점과 타이어 접지면 중심과의 거리를 트레일이라 한다.
  3. 캐스터는 주행 중 바퀴에 복원성을 준다.
  4. 캐스터 점은 일반적으로 차량 후방에 있다.
(정답률: 77%)
  • 캐스터 점은 일반적으로 차량 전방에 있다. 이는 차량의 안정성과 조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주행 중에 바퀴가 방향을 바꿀 때 더욱 효과적인 조향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풀타임(full time) 4륜 구동방식에서 타이트 코너 브레이크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은?

  1. 바퀴를 작게 한다.
  2. 타이어 공기압을 높여준다.
  3. 앞, 뒤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에 중앙 차동 장치를 설치한다.
  4. 프로펠러 샤프트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2개 연속으로 장착한다.
(정답률: 82%)
  • 앞, 뒤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에 중앙 차동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풀타임 4륜 구동방식에서 앞, 뒤 바퀴에 동일한 토크(회전력)를 전달하여 타이트 코너 브레이크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는 차량의 전체적인 구동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자제어 조향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의 구성 요소 중 조향각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존 동력조향장치의 캐치-업(Catch-Up) 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센서
  2. 자동차의 속도를 검출하여 컨트롤 유닛에 입력하기 위한 센서
  3. 차속과 조향각 신호를 기초로 하여 최적 상태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
  4. 스로틀 밸브의 열림 량을 감지하여 컨트롤 유닛에 입력하기 위한 센서
(정답률: 76%)
  • 기존 동력조향장치의 캐치-업(Catch-Up) 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센서입니다. 이는 기존의 전자제어 조향장치가 조향각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 느린 반응속도를 가지고 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조향각 센서를 추가함으로써 이를 보상하고 더 빠른 반응속도를 가지도록 개선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동변속기 전자제어 시스템에서 컴퓨터는 변속패턴 제어를 위하여 스로틀 밸브 열림량 보정을 어떻게 하는가?

  1. 스로틀포지션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엔진 급가속시 회전속도 보정 및 에어컨 스위치 ON시 부하보정을 한다.
  2. 스로틀포지션 센서의 출력을 기초로 엔진 공회전 때의 보정 및 에어컨 스위치 ON시 부하보정을 한다.
  3. 오버드라이브 출력보정 및 에어컨 스위치 ON시 부하보정을 한다.
  4. 점화코일의 펄스에 의하여 엔진의 각 회전상태를 기초로 하여 에어컨 스위치 ON시 부하보정을 한다.
(정답률: 69%)
  • 스로틀포지션 센서는 엔진의 스로틀 밸브 열림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이 센서의 출력을 기반으로 컴퓨터는 엔진의 공회전 상태에서의 보정을 할 수 있고, 에어컨 스위치가 켜졌을 때의 부하를 고려하여 보정할 수 있다. 급가속시 회전속도 보정은 스로틀포지션 센서와는 관련이 없는 부분이므로 오답이다. 오버드라이브 출력보정은 자동변속기의 다른 부분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점화코일의 펄스에 의한 보정은 엔진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스로틀포지션 센서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장력 300N인 코일 스프링이 6개 설치된 클러치가 있다. 이 클러치의 정지 마찰계수가 0.3이면, 페이싱 한 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1. 90N
  2. 540N
  3. 600N
  4. 1080N
(정답률: 74%)
  • 클러치의 정지 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지 마찰력 = 장력 × 정지 마찰계수 × 스프링 개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정지 마찰력 = 300N × 0.3 × 6 = 540N

    따라서, 페이싱 한 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540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변 기어비형 조향기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핸들 직진시에는 조향 기어비가 크고, 핸들을 최대로 돌렸을 때는 조향 기어비가 작도록 되어 있다.
  2. 핸들 회전량은 같더라도 직진시와 최대 조향시의 샤프트 회전각도는 다르다.
  3. 직진 주행시는 핸들의 조종성이 좋다.
  4. 골목길을 돌 때나 차고에 넣을 때는 핸들의 조작이 가볍다.
(정답률: 55%)
  • "직진 주행시는 핸들의 조종성이 좋다."는 가변 기어비형 조향기어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습니다.

    "핸들 직진시에는 조향 기어비가 크고, 핸들을 최대로 돌렸을 때는 조향 기어비가 작도록 되어 있다."는 핸들의 회전량이 같더라도 직진시와 최대 조향시의 샤프트 회전각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핸들을 최대로 돌리면 샤프트 회전각도가 크기 때문에 조향 기어비를 작게 만들어 민감한 조향을 가능하게 하고, 핸들을 직진시키면 샤프트 회전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조향 기어비를 크게 만들어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차량 선회시 원심력에 의한 횡요동(롤링)을 억제하기 위한 토션바로서 독립현가식 서스펜션에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롤링을 감소하고 차체의 평행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품은?

  1.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2. 에어 스프링(air spring)
  3. 코일 스프링(coil spring)
  4. 잎 스프링(leaf spring)
(정답률: 89%)
  • 스태빌라이저는 차량의 좌우 흔들림을 제어하여 차체의 평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차량 선회시 원심력에 의한 횡요동(롤링)을 감소시키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행속도가 120km/h인 자동차에 브레이크를 작동시켰을 때 제동거리는?(단, 바퀴와 도로면의 마찰계수는 0.25이다.)

  1. 약 226.7m
  2. 약 236.7m
  3. 약 247.6m
  4. 약 237.6m
(정답률: 31%)
  • 제동거리 = 제동시간 x 제동전진거리

    제동시간 = 제동거리 / 제동가속도

    제동가속도 = 마찰력 / 자동차의 질량

    마찰력 = 마찰계수 x 자동차의 무게 x 중력가속도

    따라서, 제동거리 = (제동거리 / (마찰계수 x 자동차의 무게 x 중력가속도)) x (자동차의 속도 / 3.6)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제동거리 = (120 / (0.25 x 1500 x 9.8)) x (120 / 3.6) = 약 226.7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조향륜의 사이드 슬립량을 측정한 결과 우측 값이 IN 8mm, 좌측값이 OUT 2mm이었을 때 사이드 슬립량은?

  1. IN 3mm
  2. OUT 3mm
  3. IN 6mm
  4. OUT 6mm
(정답률: 78%)
  • 사이드 슬립량은 우측값과 좌측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IN 8mm에서 OUT 2mm를 뺀 결과는 6mm가 됩니다. 이 값을 2로 나누면 양쪽 바퀴의 사이드 슬립량의 평균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6mm를 2로 나눈 결과는 3mm가 되므로, 정답은 "IN 3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차동 제한 장치(Limited Slip Differential:LSD)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미끄러지기 쉬운 모랫길이나 습지 등과 같은 노면에서 발진 및 주행이 용이하다.
  2. 악로 주행시 좌우 바퀴의 회전수가 균일 하므로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3. 미끄러운 노면에서는 차동시스템이 공회전함으로 타이어의 마멸이 적다.
  4. 좌우 바퀴의 구동력 차이가 없으므로 안정된 주행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4%)
  • 미끄러운 노면에서 차동 제한 장치가 공회전함으로 인해 타이어의 마멸이 적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차량의 주행 안정성과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차량의 주행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LSD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4륜 구동 ABS 장치 차량에서 제동시 차체의 기울기를 판단하여 가 ㆍ감속을 감지하는 센서는?

  1. G(GRAVITY) 센서
  2. 차속 센서
  3. 휠 스피드 센서
  4. 차고 센서
(정답률: 72%)
  • G(GRAVITY) 센서는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로, 4륜 구동 ABS 장치 차량에서 제동시 차체의 기울기를 판단하여 가 ㆍ감속을 감지합니다. 따라서 이 센서가 제동 시 차체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ABS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배력장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1. 진공 탱크의 크기와 진공 탱크의 재질
  2. 진공 탱크의 크기와 진공의 크기
  3. 진공의 크기와 진공 탱크의 재질
  4. 진공 탱크의 형상과 압력의 크기
(정답률: 79%)
  • 배력장치는 제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제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진공을 생성하는데, 이 때 진공 탱크의 크기와 진공의 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진공 탱크의 크기가 작으면 진공의 양이 적어져 제동력이 약해지고, 반대로 크면 진공의 양이 많아져 제동력이 강해집니다. 또한, 진공의 크기가 작으면 제동 시간이 길어져 제동 거리가 늘어나고, 반대로 크면 제동 시간이 짧아져 제동 거리가 짧아집니다. 따라서, 배력장치에 사용되는 진공 탱크의 크기와 진공의 크기는 제동력과 제동 거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동차를 제작, 조립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자가 자동차의 형식이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스스로 인증하는 것은?

  1. 자동차의 형식승인
  2. 자동차의 자기인증
  3. 자동차의 안전승인
  4. 자동차 제작판매 인증
(정답률: 68%)
  • 자동차의 자기인증은 자동차를 제작, 조립 또는 수입하는 자가 자신의 제품이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것을 스스로 인증하는 것입니다. 이는 제조사가 자신의 제품에 대한 책임을 직접 지는 것으로, 제조과정에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만들도록 유도합니다. 따라서 자동차의 자기인증은 제조사의 책임감과 안전성을 보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장치는?

  1. 로드센싱 프로포셔닝 장치
  2. ABS
  3. 안티롤 장치
  4. 페일세이프 장치
(정답률: 44%)
  • 정지 중인 차량에서 급정거나 급출발 시 바퀴가 미끄러져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로, 바퀴 회전 속도를 측정하여 미끄러짐을 감지하고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안전한 주행을 돕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티롤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C 발전기의 발생전압을 조정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컷 아웃 릴레이는 발전기 정지시 또는 충전전압이 낮을 때 역전류를 방지하는 조정방식이다.
  2. 접점식 조정기는 접점방식에 의해 발생 전압에 따라 충전 경고등 점등, 로터코일의 여자전류 등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3. 트랜지스터식 조정기는 접점대신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용을 이용하여 로터 전류의 평균값을 변화시켜 전압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4. IC 조정기는 작동이 안정되고 신뢰성이 높으며 초소형이기 때문에 발전기 내부에 내장시켜 외부 배선이 없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50%)
  • 컷 아웃 릴레이는 발전기 정지시 또는 충전전압이 낮을 때 역전류를 방지하는 조정방식이 아니라, 발전기의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발전기 출력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발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이 점화 플러그의 세라믹(Ceramic) 절연체를 물결(Corrugation) 모양으로 만든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불꽃 방전시 코로나(corona) 방전 현상을 막기 위해
  2. 고전압 인가시 플래시 오버(flash over)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3. 플러그 배선 끝 고무 부트(boots)의 고정을 위해
  4. 이물질 또는 수분 등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정답률: 71%)
  • 물결 모양의 세라믹 절연체는 표면적을 늘려 전기장이 분산되어 고전압 인가시 플래시 오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NPN형 트랜지스터가 작동될 때 각 단자의 전원이 바르게 표시된 것은?

  1. 베이스(+), 콜렉터(+), 에미터(-)
  2. 베이스(-), 콜렉터(-), 에미터(+)
  3. 베이스(+), 콜렉터(+), 에미터(+)
  4. 베이스(-), 콜렉터(-), 에미터(-)
(정답률: 66%)
  • NPN형 트랜지스터는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면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작동합니다. 따라서 베이스는 양극, 콜렉터는 양극, 에미터는 음극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베이스(+), 콜렉터(+), 에미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동 전동기에 전류는 많이 흐르지만 작동하지 않을 경우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전기자 코일이 접지되었을 때
  2. 계자 코일이 단락되었을 때
  3. 전기자 축 베어링이 고착되었을 때
  4. 전기자 코일 또는 계자 코일이 개회로 되었을 때
(정답률: 76%)
  • 전기자 코일 또는 계자 코일이 개회로 되었을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작동하지 않는 원인이 됩니다. 개회란 회로가 끊어져 있는 상태를 말하며, 전기자 코일이나 계자 코일이 개회로 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동기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전기자 코일 또는 계자 코일이 개회로 되었을 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조명에 대한 용어 중 조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도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한다.
  2. 조도란 빛을 받는 면의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3. 일반적으로 피조면의 조도는 광원의 광도에 비례한다.
  4. 조도의 단위는 Lux이다.
(정답률: 69%)
  • 조도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지 않는다. 올바른 설명은 "조도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속과 피조면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다. 즉, 거리가 멀어질수록 조도는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정전류 충전에서 최대 충전전류는 표준 충전전류의 몇 배인가?

  1. 4배
  2. 3배
  3. 2배
  4. 1.5배
(정답률: 60%)
  • 정전류 충전에서 최대 충전전류는 표준 충전전류의 2배입니다. 이는 정전류 충전 방식이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충전 전압을 높이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충전 전압이 높아지면서 최대 충전전류도 증가하게 되는데, 이 때 최대 충전전류는 표준 충전전류의 2배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점화코일의 1차코일 저항값이 20℃일 때 5Ω 이었다. 작동시(80℃)의 저항은?(단, 구리선의 저항온도계수는 0.004이다.)

  1. 6.20Ω
  2. 5.32Ω
  3. 5.24Ω
  4. 3.80Ω
(정답률: 35%)
  • 구리선의 저항온도계수가 0.004이므로, 20℃에서 80℃로 상승한 온도차이는 60℃이다. 이에 따라 저항값은 5Ω에 대해 0.004×60℃×5Ω=1.2Ω 만큼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시의 저항값은 5Ω+1.2Ω=6.20Ω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차량에서 열적부하 요소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인적 부하
  2. 복사 부하
  3. 환기 부하
  4. 관류 부하
(정답률: 86%)
  • 이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차량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달라서 발생하는 열적 부하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와 교환해주는 환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는 "환기 부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용접 패널의 절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접부위에 바로 드릴로 작업하면 편리하다.
  2. 패널 뒤쪽에 전기배선, 파이프 등은 절단한다.
  3. 차종 부위에 따라 절단해서는 안 되는 부분도 있다.
  4. 제작회사의 설명서를 참고로 용접부만 잘라낸다.
(정답률: 84%)
  • 차종마다 디자인이 다르기 때문에 절단해도 문제가 없는 부위와 절단하면 안 되는 부위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절단하면 안 되는 부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종 부위에 따라 절단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도장 작업 중이나 건조과정 중에 불순물(먼지, 티 등)이 도막표면에 고착되었다. 예방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자의 청결 유지
  2. 피도면의 충분한 세정
  3. 여과지 미사용
  4. 스프레이건의 세척
(정답률: 77%)
  • 여과지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지만, 도장 작업 중에는 여과지가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도장 작업 중에 발생하는 불순물이 매우 작기 때문에 여과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과지를 사용하는 것은 예방책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바디 고정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바디 고정에는 기본 고정만 있다.
  2. 고정용 클램프는 십자(+) 형태로 연결한다.
  3. 기본 고정은 라커 패널 아래의 플랜지 네곳에서 한다.
  4. 라커 패널 아래의 플랜지가 없는 자동차는 고정할 수 없다.
(정답률: 79%)
  • 기본 고정은 라커 패널 아래의 플랜지 네곳에서 한다는 이유는 라커 패널 아래의 플랜지가 차체의 가장 강력한 부분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 고정용 클램프를 사용하여 바디를 고정하면 가장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우레탄 도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화제와 주제가 분리되어 있는 2액형 도료이다.
  2. 신차 라인에서 적용되는 도료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도장 품질도 다소 떨어지는 제품이다.
  3. 래커 도료에 비하여 취급하기는 까다로우나 내구성 등 여러 가지 물성이 래커에 비하여 우수하다.
  4.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사용하지 않으면 반응이 일어나 점도가 상승되어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정답률: 85%)
  • "신차 라인에서 적용되는 도료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도장 품질도 다소 떨어지는 제품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퍼티 작업 후의 연마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마 공구의 발전에 따라 수(水) 연마보다 건 연마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2. 생산성은 수 연마 방식이 건 연마 방식에 비하여 높다고 할 수 있다.
  3. 건 연마 방식은 먼지 발생이 적고 연마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4. 연마지의 사용량은 건 연마의 경우가 적게 들어간다.
(정답률: 73%)
  • 연마 공구의 발전으로 인해 건 연마 방식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건 연마 방식이 먼지 발생이 적고 연마 상태가 양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마지의 사용량도 건 연마 방식이 적게 들어간다. 따라서 "연마 공구의 발전에 따라 수(水) 연마보다 건 연마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동차에 사용되는 안전유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충격으로 깨어진 파편이 작은 동그라미띠 형태로 되어야 한다.
  2. 안전유리로 강화유리가 사용되며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약 600℃로 가열하여 급냉시켜 만든다.
  3. 앞면 유리로 사용되는 접합유리는 일반 유리를 2겹으로 접합시킨 것이다.
  4. 안전유리는 깨지기 어렵고, 깨질 경우에도 인체에 부상을 입히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76%)
  • 앞면 유리로 사용되는 접합유리는 일반 유리를 2겹으로 접합시킨 것이다. - 틀린 설명입니다. 안전유리는 일반 유리를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플라스틱 필름을 끼워서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안전유리는 깨져도 파편이 작은 동그라미띠 형태로 되어 인체에 부상을 입히지 않습니다. 또한, 강화유리는 안전유리에 사용되는 유리의 한 종류로, 판유리를 가열하여 급냉시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강을 가열한 후 급냉시켜 강도를 증가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불림
  2. 풀림
  3. 뜨임
  4. 담금질
(정답률: 76%)
  • 강을 가열하면 결정 구조가 크게 변화하여 인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을 급속하게 냉각시켜 결정 구조를 세밀하게 만들어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이 과정을 담금질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조색의 기본원칙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도료는 혼합하면 명도와 채도가 다 같이 낮아진다.
  2. 혼합하는 색이 많으면 많을수록 회색에 접근하게 되며 채도도 낮아진다.
  3. 상호간 보색 관계가 있는 색을 혼합하면 회색이 된다.
  4. 가까운 색상을 혼합하는 편이 채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50%)
  • 가까운 색상을 혼합하는 편이 채도가 낮아진다. - 이유: 가까운 색상을 혼합하면 빛의 파장이 유사하기 때문에 빛이 혼합되어 채도가 낮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