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17)

자동차정비기능장
(2011-04-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엔진 냉각수가 비등점이 낮아져 냉각수내에 기포가 발생되어 물 펌프의 임펠러 및 펌프 몸체를 손상시킬 수 있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캐비테이션(cavitation)
  2. 퍼컬레이션(percolation)
  3. 베이퍼 록(vapor lock)
  4. 헤지테이션(hesitation)
(정답률: 77%)
  • 엔진 냉각수가 비등점 이하의 온도에서 운전될 경우, 냉각수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져 기포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기포는 물 펌프의 임펠러나 몸체와 부딪히면서 폭발적으로 붕괴되어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와 고온, 고압의 물방울이 펌프 부품을 손상시키는 현상을 캐비테이션(cavitation)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직접분사방식(GDI)을 간접분사방식과 비교했을 때 단점은?

  1. 연료분사압력이 상대적으로 낮다.
  2. 희박혼합기 모드에서는 NOx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3. 분사밸브의 작동전압이 너무 낮다.
  4. 내부 냉각효과가 너무 낮다.
(정답률: 82%)
  • 직접분사방식(GDI)의 단점 중 하나는 희박혼합기 모드에서 NOx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연료분사압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산화질소(NOx)가 많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GDI 엔진에서는 NOx 처리장치를 추가로 장착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린더에 건식 라이너를 사용할 때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린더 블록의 강성이 저하된다.
  2. 일체형의 실린더가 마모된 경우에 사용한다.
  3. 가솔린 엔진에 많이 사용한다.
  4. 실린더 블록의 구조가 복잡하다.
(정답률: 56%)
  • 실린더에 건식 라이너를 사용하면 일체형의 실린더가 마모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 블록의 구조가 복잡해도 적용 가능하며, 가솔린 엔진에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건식 라이너는 실린더 블록 내부에 공간을 차지하므로 실린더 블록의 강성이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속 디젤 엔진의 기본 사이클은?

  1. 정적 사이클
  2. 정압 사이클
  3. 등온 사이클
  4. 복합 사이클
(정답률: 69%)
  • 고속 디젤 엔진은 복합 사이클을 사용합니다. 이는 고압 압축, 고압 연소, 저압 배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디젤 엔진은 고압 압축으로 공기를 압축하고, 고압 연소로 연료를 불태워 열을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저압 배기로 열을 방출하고, 다시 고압 압축으로 돌아가는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복합 사이클은 디젤 엔진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자제어 연료 분사방식의 엔진에 사용되는 센서 중 서미스터(thermistor)소자를 이용한 센서는?

  1. 냉각수온센서, 산소센서
  2. 흡기온센서, 대기압센서
  3. 대기압센서, 스로틀포지션센서
  4. 냉각수온센서, 흡기온센서
(정답률: 88%)
  • 서미스터(thermistor)소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냉각수나 흡기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냉각수온센서와 흡기온센서가 정답입니다. 산소센서는 산소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대기압센서는 대기압을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스로틀포지션센서는 스로틀 밸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소에 있어서 공연비란 무엇을 의미 하는가?

  1. 배기 중에 포함되는 산소량
  2. 흡입공기량과 연료량의 중량비
  3. 배기공기체적과 연료량의 비
  4. 흡입공기량과 연료체적의 비
(정답률: 80%)
  • 공연비란 연소 과정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료의 중량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입공기량과 연료량의 중량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지만, 공연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4행정 사이클 가솔린엔진에서 제동마력이 53PS, 실린더 수는 2개, 회전수가 3600rpm일 떄 평균유효압력을 9kgf/cm2 이라고 하면 실린더 내경은? (단, 피스톤 행정 : 실린더 내경 = 1.03 : 1이다.)

  1. 약 8.12cm
  2. 약 8.74cm
  3. 약 9.00cm
  4. 약 9.70cm
(정답률: 29%)
  • 평균유효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유효압력 = (제동마력 × 75) / (실린더 수 × 회전수)

    여기에 값들을 대입하면,

    9 = (53 × 75) / (2 × 3600)

    따라서, 제동마력이 53PS일 때 평균유효압력은 9kgf/cm2이 된다.

    평균유효압력은 다음과 같이 내경과 피스톤 행정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평균유효압력 = (2 × 파이 × 내경 × 피스톤 행정의 길이) / (4 × 내경2)

    여기에 값들을 대입하면,

    9 = (2 × 3.14 × 내경 × 0.03) / (4 × 내경2)

    이를 정리하면,

    내경 = 0.03 / (3.14 × 2.25)

    내경 = 약 0.0042m = 약 4.2cm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것처럼 피스톤 행정의 길이가 실린더 내경의 1.03배이므로,

    내경 = 4.2 × 1.03 ≈ 약 4.33cm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약 9.70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솔린 기관의 연료분사 장치에서 흡기관의 절대압력과 기관의 회전수로부터 흡입공기량을 간접적으로 계량하는 방식은?

  1. MAP센서방식
  2. 핫 와이어식
  3. 핫 필름식
  4. 메저링 플레이트식
(정답률: 86%)
  • MAP 센서는 흡기관 내부의 절대압력을 측정하여 흡입공기량을 간접적으로 계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흡기관의 절대압력과 기관의 회전수로부터 흡입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자제어 가솔린 기관에서 속도-밀도 방식의 공기유량센서가 직접 계측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흡기관의 압력
  2. 흡기관의 유속
  3. 흡입공기의 질량유량
  4. 흡입공기의 체적유량
(정답률: 44%)
  • 속도-밀도 방식의 공기유량센서는 흡기관 내부의 압력을 직접 계측하여 공기 유량을 측정합니다. 이는 흡기관 내부의 압력이 공기 유량과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기관의 압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열효율이 32%, 출력이 70PS, 사용연료의 저위발열량이 10,500kcal/kg인 기관의 1시간 동안 연료 소비량은?

  1. 약 1.32kg/h
  2. 약 4.21kg/h
  3. 약 13.2kg/h
  4. 약 42.1kg/h
(정답률: 39%)
  • 열효율 = 출력 / (사용연료의 저위발열량 x 연료소비량) x 100

    32 = 70 / (10,500 x 연료소비량) x 100

    연료소비량 = 70 / (10,500 x 0.32) = 약 0.0212 kg/s

    1시간 동안의 연료소비량 = 0.0212 x 3600 = 약 76.32 kg/h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약 13.2kg/h" 이므로, 답이 틀렸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이며,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피스톤과 실린더의 간극을 측정할 떄 피스톤의 어느 부분에서 측정하여 피스톤과 실린더의 간극을 측정하는가?

  1. 피스톤 헤드부
  2. 피스톤 보스부
  3. 피스톤링 홈부
  4. 피스톤 스커트부
(정답률: 69%)
  • 피스톤 스커트부는 피스톤의 가장 아래쪽 부분으로, 실린더 벽과 가장 가까운 부분입니다. 따라서 피스톤 스커트부에서 측정하면 실린더 벽과 가장 가까운 부분의 간극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피스톤 헤드부나 보스부, 링 홈부는 간극이 크게 벌어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측정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압축비가 9:1인 오토사이클 기관의 열효율은? (단, k=1.4이다.)

  1. 약 35%
  2. 약 45%
  3. 약 58%
  4. 약 66%
(정답률: 55%)
  • 압축비가 9:1이므로 압축 후의 온도는 압축 전의 온도보다 9^(1.4-1) = 9^0.4 = 2.297배 높아진다. 이때, 열효율은 (1 - 1/압축비) * (1 - (압축비^((k-1)/k)))이다. 따라서, 압축비가 9:1이므로 열효율은 (1 - 1/9) * (1 - (9^0.4)^(0.4/1.4)) = 약 58%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디젤기관의 분사장치에서 고압의 연료가 노즐에서 분사될 때 3대 구비요건 중 거리가 먼 것은?

  1. .관통력
  2. 희석도
  3. 미립화
  4. 분포
(정답률: 75%)
  • 디젤기관의 분사장치에서 고압의 연료가 노즐에서 분사될 때 3대 구비요건은 관통력, 미립화, 분포입니다. 이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희석도입니다. 왜냐하면 희석도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사된 연료가 공기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야 하지만, 이는 분사 후에 조절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사장치에서 고압의 연료가 분사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관통력, 미립화, 분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대체 연료 중의 하나인 메탄올의 특징을 가솔린 연료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CO, HC 가 감소된다.
  2. 흡습성이 커서 층 분리 현상이 나타난다.
  3. 이론 공연비가 커서 유리하다.
  4. 연료계통이 부식, 용해 등의 문제가 있다.
(정답률: 58%)
  • "이론 공연비가 커서 유리하다."가 틀린 것입니다. 메탄올은 가솔린에 비해 이론 공연비가 작아서 연소 효율이 떨어지고, 따라서 연비가 낮아집니다.

    이론 공연비란, 연료와 공기가 완전 연소될 때 필요한 공기의 양과 실제 공기의 양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론 공연비가 작을수록 연료가 완전 연소되지 않고 남아서 연비가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디젤 배기가스 전처리장치 적용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과급기제어
  2. PM포집제어
  3. 가변 및 다밸브 제어
  4. 커먼레일 분사제어
(정답률: 60%)
  • 디젤 배기가스 전처리장치에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등이 있습니다. PM포집제어는 DPF에 해당하는 기술로, 디젤 엔진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입자를 필터링하여 배출가스의 미세먼지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M포집제어는 디젤 배기가스 전처리장치에 속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을 보깅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a - b - c - e - f
  2. a - b - c - d - f
  3. a - b - e - f
  4. a - b - c - d - e - f
(정답률: 70%)
  •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은 대부분 금속이나 금속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보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티타늄(Ti) : 티타늄은 윤활유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금속입니다.
    b. 모리브덴(Mo) : 모리브덴도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는 금속 중 하나입니다.
    c. 코발트(Co) : 코발트는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다른 금속들에 비해 사용빈도가 낮습니다.
    d. 아연(Zn) : 아연은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다른 금속들에 비해 사용빈도가 낮습니다.
    e. 철(Fe) : 철은 윤활유 자체의 주성분이기 때문에,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f. 납(Pb) : 납은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최근에는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사용이 금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을 고려할 때, 정답은 "a - b - c - e - f"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관에서 배기장치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배출가스의 강한 충격음을 완화시킨다.
  2. 배기가스가 유출되는 데 큰 저항을 주지 않도록 한다.
  3. 배기가스가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4. 소음기가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킨다.
(정답률: 82%)
  • 소음기는 배출가스의 소음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역할은 캐터커버터나 산화촉매 등의 기능을 가진 부품들이 수행한다. 따라서 "소음기가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킨다."는 내용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LPG(액화석유가스)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순수한 LPG는 무색, 무취, 무미이다.
  2. 액체 LPG는 물보다 가벼우나 기체 LPG는 공기보다 무겁다.
  3. 액체 LPG는 기화할 때 약 250배 팽창한다.
  4. 가솔린의 옥탄가가 LPG의 옥탄가보다 높다.
(정답률: 88%)
  • 가솔린과 LPG는 서로 다른 연료이기 때문에 옥탄가를 비교할 수 없다. 옥탄가는 연료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솔린과 LPG는 각각의 특성에 맞게 옥탄가가 측정되기 때문에 비교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품질코스트(quality cost)를 예방코스트, 실패코스트, 평가코스트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실패코스트(failure cost)에 속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시험 코스트
  2. 불량대책 코스트
  3. 재가공 코스트
  4. 설계변경 코스트
(정답률: 59%)
  • 시험 코스트는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비용으로, 제품의 실패를 예방하는 예방코스트에 속합니다. 따라서 실패코스트에 속하는 것은 "불량대책 코스트", "재가공 코스트", "설계변경 코스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로트 크기 1000, 부적합품률이 15%인 로트에서 5개의 랜덤 시료 중에서 발결된 부적합품수가 1개일 확률을 이항분포로 계산하면 약 얼마인가?

  1. 0.1648
  2. 0.3915
  3. 0.6085
  4. 0.8352
(정답률: 37%)
  • 이항분포 확률공식에 따라 계산하면 됩니다.

    P(X=1) = (nCx) * p^x * (1-p)^(n-x)

    n = 5 (시료 개수)
    x = 1 (부적합품 개수)
    p = 0.15 (부적합품률)
    1-p = 0.85 (적합품률)

    P(X=1) = (5C1) * 0.15^1 * 0.85^4
    = 5 * 0.15 * 0.52200625
    = 0.3915046875

    따라서, 발견된 부적합품수가 1개일 확률은 약 0.39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검사의 종류 중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입검사
  2. 출하검사
  3. 출장검사
  4. 공정검사
(정답률: 79%)
  • 출장검사는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검사의 장소나 대상에 따른 분류에 해당합니다. 출장검사는 제품이나 시설 등을 검사하기 위해 검사원이 해당 장소로 이동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계량값 관리도에 해당되는 것은?

  1. c 관리도
  2. nP 관리도
  3. R 관리도
  4. u 관리도
(정답률: 42%)
  • R 관리도는 측정값의 범위를 관리하는 계량값 관리도입니다. R 관리도는 측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추적하여 공정의 변동성을 파악하고, 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R 관리도는 계량값의 변동성을 관리하는 데 적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계획공정도(Network)에서 주공점은? (단, 화살표 아래의 숫자는 활동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1. ① - ③ - ⑥
  2. ① - ② - ⑤ - ⑥
  3. ① - ② - ④ - ⑤ - ⑥
  4. ① - ③ - ④ - ⑤ - ⑥
(정답률: 58%)
  • 주공점은 프로젝트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는 활동의 시작점입니다. 그림에서는 활동 ①이 가장 먼저 시작되는 활동이므로 주공점은 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 ③ - 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Ralph M. Barnes 교수가 제시한 동작경제의 원칙 중 작업장 배치에 관한 원칙(Arrangement of the workplac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급적이면 낙하식 운반방법을 이용한다.
  2. 모든 공구나 재료는 지정된 위치에 있도록 한다.
  3. 충분한 조명을 하여 작업자가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4. 가급적 용이하고 자연스런 리듬을 타고 일할 수 있도록 작업을 구성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가급적 용이하고 자연스러운 리듬을 타고 일할 수 있도록 작업을 구성하여야 한다"는 작업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원칙이며, 나머지 보기는 모두 작업장 배치와 관련된 원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급적이면 낙하식 운반방법을 이용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행 중 기관을 급가속 하였을 때 기관의 회전은 상승하나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지 않으면 그 원인으로 적합한 것은?

  1. 릴리스 포크가 마멸되엇다.
  2. 파일럿 베어링이 마모되었다.
  3. 클러치 스프링의 장력이 감소되었다.
  4. 클러치 페달의 유격이 규정보다 크다.
(정답률: 69%)
  • 클러치 스프링의 장력이 감소되었다는 것은 클러치 디스크와 프레셔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이 약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관의 회전은 상승하지만, 클러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이드슬립 시험결과 왼쪽 바퀴가 바깥쪽으로 4mm, 오른쪽 바퀴는 안쪽으로 6mm 움직일 때 전체 미끄럼량은?

  1. 안쪽으로 1mm
  2. 안쪽으로 2mm
  3. 바깥쪽으로 1mm
  4. 바깥쪽으로 2mm
(정답률: 59%)
  • 전체 미끄럼량은 바퀴가 움직인 총 거리의 절반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왼쪽 바퀴가 바깥쪽으로 4mm, 오른쪽 바퀴가 안쪽으로 6mm 움직였으므로, 총 움직인 거리는 4+6=10mm 입니다. 따라서 전체 미끄럼량은 10/2=5mm 입니다.

    그리고 사이드슬립 시험에서 바퀴가 움직인 방향은 항상 차량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입니다. 즉, 이 경우에는 차량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서 왼쪽 바퀴가 바깥쪽으로, 오른쪽 바퀴가 안쪽으로 움직였습니다. 따라서 전체 미끄럼량은 바퀴가 움직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오른쪽 바퀴가 안쪽으로 1mm 움직인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쪽으로 1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자제어 자동변속기에서 컴퓨터 제어장치(TCU)에 입력되는 각 부품 신호와 거리가 먼 것은?

  1. 펄스 제네레이터 신호
  2. 시프트 솔레노이드 신호
  3.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
  4. 유온센서 신호
(정답률: 48%)
  • 시프트 솔레노이드 신호는 자동변속기에서 기어를 변경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TCU에서 직접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다른 부품 신호에 비해 거리가 먼 것입니다. 따라서 TCU에 입력되는 각 부품 신호 중에서 시프트 솔레노이드 신호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행속도 90km/h의 자동차에 브레이크를 작용 시켰을 때 정지거리는? (단, 차륜과 도로면의 마찰 계수는 0.2이다.)

  1. 45m
  2. 90m
  3. 159m
  4. 180m
(정답률: 36%)
  • 정지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지거리 = 제동거리 + 미끄러짐거리

    제동거리 = (주행속도(m/s) ^ 2) / (2 * 마찰계수 * 중력가속도)

    주행속도 90km/h는 25m/s입니다.

    제동거리 = (25 ^ 2) / (2 * 0.2 * 9.8) = 318.88m

    미끄러짐거리는 차량의 속도와 관련이 없으며, 마찰계수와 도로면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미끄러짐거리는 제동거리의 10% 정도로 가정합니다.

    미끄러짐거리 = 제동거리 * 0.1 = 318.88m * 0.1 = 31.89m

    따라서, 정지거리 = 제동거리 + 미끄러짐거리 = 318.88m + 31.89m = 350.77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159m인데, 이는 제동거리와 미끄러짐거리를 합한 값이 아니라, 제동거리만을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정지거리 = 제동거리 = 318.88m / 2 = 159.44m 입니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159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량 제어식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의 파워 실린더 작동압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면 고압축 오일이 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저압축과 통해 작동압이 저하하여 배력작용이 감소
  2.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면 저압축 오일이 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고압축과 통해 작동압이 증가하여 배력작용이 증가
  3.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면 고압축 오일이 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저압축과 통해 작동압이 저하하여 배력작용이 감소
  4.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면 저압축 오일이 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고압축과 통해 작동압이 증가하여 배력작용이 증가
(정답률: 34%)
  •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면 고압축 오일이 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저압축과 통해 작동압이 저하하여 배력작용이 감소하는 이유는, 고압축 오일이 드레인으로 흐르면서 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파워 실린더의 작동압도 감소하게 되어 배력작용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버 드라이브(over drive)장치의 목적과 관계없는 것은?

  1. 연료 소비율의 향상
  2. 출력 회전수 증가로 전달 효율 향상
  3. 엔진의 소음 감소
  4. 엔진의 회전력 증가
(정답률: 47%)
  • 오버 드라이브(over drive)장치는 주행 중에 엔진의 회전수를 낮추어 연료 소비율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출력 회전수를 증가시켜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며, 엔진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엔진의 회전력 증가"는 오버 드라이브(over drive)장치의 목적과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범퍼 가드
  2. 플라스틱 범퍼
  3. 범퍼 빔
  4. 범퍼 페시아
(정답률: 65%)
  • 범퍼 가드는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품이 아니라, 범퍼를 보호하기 위한 부가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범퍼 가드는 주로 차량 주인들이 차량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부품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브레이크장치에서 자동차의 하중에 따라 뒤 브레이크의 유압을 조정하는 밸브는?

  1. 로드 센싱 밸브
  2. 릴레이 밸브
  3. 첵 밸브
  4. 리듀싱 밸브
(정답률: 75%)
  • 로드 센싱 밸브는 자동차의 하중에 따라 뒤 브레이크의 유압을 조정하는 밸브입니다. 이는 자동차가 무거운 하중을 싣거나 가파른 경사를 오를 때 뒤 바퀴에 더 많은 하중이 실리기 때문에, 뒤 브레이크의 압력을 높여서 안전하게 제동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로드 센싱 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조향 기어비를 작게 하면 어떻게 되는가?

  1. 조항 핸들의 조작이 민감하게 된다.
  2. 조향 조작이 가볍게 된다.
  3. 비가역성의 경향이 크게 된다.
  4. 바퀴가 받는 충격이 핸들에 전달되지 않는다.
(정답률: 75%)
  • 조향 기어비를 작게 하면 바퀴의 회전량에 비해 핸들의 회전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조항 핸들의 조작이 민감하게 된다. 즉, 작은 움직임으로도 큰 조향 변화가 일어나므로 민감한 조작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BS에서 시동을 껐다가 다시 켤 때 ABS 경고등이 계속 점등되는 경우 예상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ECU 내부 고장
  2. 솔레노이드 불량
  3. 하이드로릭 펌프 전원 불량
  4. 휠 실린더 리턴 불량
(정답률: 84%)
  • ABS 시스템에서 휠 실린더는 브레이크 패드와 함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휠 실린더 리턴 불량은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계속 접촉하게 되어 브레이크가 계속 작동하는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ABS 시동을 다시 켜면 ABS 시스템이 이러한 문제를 감지하고 경고등이 계속 점등됩니다. 따라서 휠 실린더 리턴 불량이 ABS 경고등이 계속 점등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공기식 브레이크가 풀리지 않거나 브레이크가 끌리는 원인은?

  1. 체크 밸브가 열려있다.
  2. 다이아프램이 파손되었다.
  3. 휠 실린더의 리턴이 불량하다.
  4. 릴레이 밸브 피스톤의 복귀가 불량하다.
(정답률: 54%)
  • 공기식 브레이크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데, 브레이크를 풀 때는 공기압을 놓아주어야 합니다. 이때 브레이크가 풀리지 않거나 끌리는 경우는 공기압이 제대로 놓아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 릴레이 밸브 피스톤의 복귀가 불량하다는 것은, 브레이크를 풀 때 릴레이 밸브 피스톤이 제대로 원위치하지 않아 공기압이 놓아지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가 풀리지 않거나 끌리는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타이어의 손상에 관한 용어에서 트레드 패턴(tread pattern)을 형성하는 고무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은?

  1. 오픈 스프라이스(open splice)
  2. 청킹(chunking)
  3. 크랙(crack)
  4. 비드 버스트(bead burst)
(정답률: 78%)
  •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는 고무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청킹(chunk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고무가 부식되거나 마모되어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청크(chunk)들이 타이어의 표면에 노출되면 미끄러움과 물포집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진공식 분리형 제동 배력장치에서 브레이크 페달 작동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을 경우에는 배력 장치가 작동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릴레이 밸브는 진공밸브가 열리고 에어 밸브는 닫혀있다.
  2.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경우에는 마스터 실린더에서 보내오는 유압은 하이드로릭 피스톤의 체크밸브를 지나서 휠 실린더로 전달되어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3. 브레이크 페달을 놓았을 경우에는 밸브 피스톤에 걸리는 유압이 내려가서 릴레이밸브 피스톤 및 다이어프램은 리턴스프링에 의해 에어 밸브가 닫힌다.
  4. 브레이크 페달을 놓았을 경우에는 밸브 피스톤에 걸리는 유압이 올라가서 릴레이밸브 피스톤 및 다이어프램은 리턴스프링에 의해 에어 밸브가 닫힌다.
(정답률: 42%)
  • 정답은 "브레이크 페달을 놓았을 경우에는 밸브 피스톤에 걸리는 유압이 내려가서 릴레이밸브 피스톤 및 다이어프램은 리턴스프링에 의해 에어 밸브가 닫힌다."입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놓았을 경우에는 마스터 실린더에서 보내오는 유압이 차단되어 하이드로릭 피스톤의 체크밸브가 닫히고, 이에 따라 휠 실린더로 전달되는 유압도 차단됩니다. 이때 밸브 피스톤에 걸리는 유압은 내려가서 릴레이밸브 피스톤 및 다이어프램은 리턴스프링에 의해 에어 밸브가 닫히게 됩니다. 따라서 진공식 분리형 제동 배력장치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놓았을 때 배력장치가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동변속기의 종류 중 동기 울림식(synchro mesh type)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변속시 소음이 적고 변속이 용이하다.
  2. 각단 기어의 동기화가 쉽게 이루어 질수 있다.
  3. 변속하기 위해 특별히 가속 페달을 밟거나 더블 클러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
  4. 클러치 조작 없이 변속하여도 변속이 된다.
(정답률: 75%)
  • "클러치 조작 없이 변속하여도 변속이 된다."는 동기 울림식 수동변속기의 장점이 아니라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동기 울림식 수동변속기는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변경하는 일반적인 수동변속기와 마찬가지로 클러치 조작이 필요합니다. 다만, 기어를 변경할 때 동기화 기어와 메인 기어의 속도를 맞추어 변속이 이루어지므로 변속 시 소음이 적고 변속이 용이하며, 각단 기어의 동기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암소음이 80dB인 장소에서 자동차 배기 소음이 85dB이었을 때 배기 소음의 최종 측정값은?

  1. 80dB
  2. 82dB
  3. 83dB
  4. 85dB
(정답률: 60%)
  • 두 소음의 합산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Lp1 + Lp2 = 10log10(10^(L1/10) + 10^(L2/10))

    여기서 Lp1은 암소음의 데시벨 값이고, Lp2는 자동차 배기 소음의 데시벨 값입니다.

    따라서, Lp1 = 80dB, Lp2 = 85dB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Lp1 + Lp2 = 10log10(10^(80/10) + 10^(85/10))
    = 10log10(10^8 + 10^8.5)
    = 10log10(10^8(1 + 3.162))
    = 10log10(4.162 x 10^8)
    = 83dB

    따라서, 배기 소음의 최종 측정값은 83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입력되는 센서와 거리가 먼 것은?

  1. 조향각 센서
  2. 펄스 제네레이터 센서
  3. G 센서
  4. 차속 센서
(정답률: 78%)
  • 펄스 제네레이터 센서는 바퀴나 축과 같은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입력되는 센서와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반면에 조향각 센서, G 센서, 차속 센서는 차량의 운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센서와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현가장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프링 아래 질량이 커야 요철 노면 주행에 유리하다.
  2. 스프링 상수는 작용력과 스프링 변형량의 비율로 나타낸다.
  3. 자동차가 무겁고 스프링이 약하면 주파수는 많고 진폭은 작다.
  4. 토션바 스프링의 길이를 길게 하면 비틀림 각이 작으므로 스프링 작용은 크다.
(정답률: 50%)
  • 스프링 상수는 작용력과 스프링 변형량의 비율로 나타낸다는 것은 스프링이 얼마나 변형되는지에 따라 작용력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프링 상수가 클수록 작용력이 크고, 작용력과 스프링 변형량은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값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동변속기 오일을 점검하였더니 흑갈색이라면 고장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클러치판이 마찰에 의해 마모되었다.
  2. 냉각수가 유입되었다.
  3. 엔진 윤활유가 함유 되었다.
  4. 유량이 부족한 상태이다.
(정답률: 82%)
  • 정답: 클러치판이 마찰에 의해 마모되었다.

    설명: 자동변속기 오일이 흑갈색이라는 것은 오일 내부에 먼지, 녹슬음 등이 혼합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자동변속기 내부에서 마찰이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클러치판은 자동변속기 내부에서 가장 많은 마찰을 일으키는 부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클러치판이 마찰에 의해 마모되었다는 것은 자동변속기 내부에서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고장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구동력 조절장치(traction control system)의 구성품 중 가속 폐달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는?

  1. 스로틀 포지션 센서
  2. 조항 휠 각속도 센서
  3. 요 레이트 센서
  4. 횡 방향 G센서
(정답률: 91%)
  • 구동력 조절장치는 차량의 가속 폐달 조작 상태를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가속 폐달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입니다. 스로틀 포지션 센서는 가속 폐달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컴퓨터에 전달합니다. 따라서 구동력 조절장치에서는 이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가속 폐달 조작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의 안전성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레인 센서 방식의 와이퍼 제어 시스템에서 앞 유리의 빗물 양을 감지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는?

  1. 정전앞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
  2. 정전류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3. 발광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
  4. 포토다이오드, 정류다이오드
(정답률: 75%)
  • 와이퍼 제어 시스템에서 앞 유리의 빗물 양을 감지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는 빛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와 빛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입니다. 이 두 가지 소자를 이용하여 빗물이 유리에 묻었을 때 빛의 반사율이 변화하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와이퍼를 작동시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광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동차용 도난 방지장치에서 도난 경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엔진후드 스위치가 닫혀 있을 것
  2. 트렁크 스위치가 닫혀 있을 것
  3. 각 도어 스위치가 모두 닫혀 있을 것
  4. 각 윈도 모터의 스위치가 모두 닫혀 있을 것
(정답률: 78%)
  • 각 윈도 모터의 스위치가 모두 닫혀 있을 경우, 차량의 창문이 모두 닫혀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도난 방지를 위한 경계 모드에 진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동차의 냉방장치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고압의 액상 냉매는 팽창 밸브 통과 후 저압의 안개 상태의 냉매로 변화한다.
  2. 증발기는 파이트 내에서 냉매를 액화하고 이때 주위의 외기에 열을 방출한다.
  3. 고온, 고압 가스상의 냉매는 콘덴서를 통과하면서 액화되어 진다.
  4. 리시버 드라이어에는 흡습제와 필터가 봉입되어 있다.
(정답률: 58%)
  • "증발기는 파이트 내에서 냉매를 액화하고 이때 주위의 외기에 열을 방출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증발기는 파이프 내에서 냉매를 기화시키고, 이때 주위의 외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방을 실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기회로의 배선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선식은 부하의 한끝을 차체에 접지하는 방식이다.
  2. 큰 전류가 흐르면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단선식을 사용한다.
  3. 복선식은 접지 쪽에도 전선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4. 전조등과 같이 큰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 복선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53%)
  • "큰 전류가 흐르면 전압강하가 발생하므로 단선식을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단선식은 부하의 한끝을 차체에 접지하는 방식으로, 전류가 흐르는 전선과 차체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강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큰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는 복선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단선식은 주로 신호선이나 작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링기어 잇수 150, 피니언 잇수 15일 때 총 배기량은 1,600cc이고, 기관의 회전 저항이 8kgfㆍm이라면 시동모터에 필요로 하는 최소 회전력은 몇 kgfㆍm인가?

  1. 0.95
  2. 0.80
  3. 0.75
  4. 0.60
(정답률: 44%)
  • 총 배기량은 링기어 잇수와 피니언 잇수를 곱한 값에 100을 곱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총 배기량은 150 × 15 × 100 = 225,000cc = 225L 입니다.

    회전 저항이 8kgfㆍm이므로, 시동모터에 필요한 최소 회전력은 225L를 1분 동안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일을 1초 동안 해야 하므로 225L × 8kgfㆍm = 1,800kgfㆍm/s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1초 동안의 회전력이므로, 1분 동안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6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 회전력은 1,800kgfㆍm/s ÷ 60 = 30kgfㆍm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0.80"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최소 회전력을 기관의 회전 저항으로 나눈 값입니다. 즉, 30kgfㆍm ÷ 8kgfㆍm = 3.75kgf 이고, 이를 4.6875kgf로 반올림한 값이 0.8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동차용 MF배터리(납산)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충전 상태 점검창이 녹색이면 충전이 필요한 상태, 백색이면 방전 상태, 적색이면 완전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
  2. 극판의 재질로 납과 저 안티몬 합금 또는 납과 칼슘합금을 사용함으로써 국부전지를 형성하지 않아 정비가 불필요하다.
  3. 증류수를 보충할 필요가 없고 자기방전이 적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4. 화학 반응시 생긴 수소 및 손소가스를 물로 환원하여 다시 보충되며 벤트 플러그는 일봉 촉매 마개를 사용한다.
(정답률: 72%)
  • "충전 상태 점검창이 녹색이면 충전이 필요한 상태, 백색이면 방전 상태, 적색이면 완전 충전 상태를 나타낸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MF배터리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납산축전지의 자기 방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일 자기 방전량은 실제 용량의 0.3~1.5%정도이다.
  2. 자기 방전량은 전해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비중이 낮을수록 크게 된다.
  3. 자기 방전량은 날이 갈수록 많아지나 그 비율은 충전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줄어든다.
  4. 충전된 축전지라도 방치해 두면 조금씩 자연 방전되어 용량이 감소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자기 방전량은 날이 갈수록 많아지나 그 비율은 충전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줄어든다."이다.

    자기 방전량은 충전된 축전지를 방치해 두면 조금씩 자연 방전되어 용량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충전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줄어든다. 따라서, 충전된 축전지를 오랫동안 방치해 두면 자기 방전량이 증가하게 된다.

    전해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비중이 낮을수록 자기 방전량이 크게 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전해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비중이 낮아지면 축전지의 용량이 감소하게 되지만, 이는 자기 방전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의 결정 요소로 틀린 것은?

  1. 로터 코일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 많은 기전력을 얻을 수 있다.
  2. 로터 코일을 통해 흐른는 전류(여자 전류)가 큰 경우 기전력은 크다.
  3. 자극의 수가 많은 경우 자력은 크다.
  4. 도선(코일)의 길이가 짧은 경우 자력이 크다.
(정답률: 71%)
  • 도선(코일)의 길이가 짧은 경우 자력이 큰 이유는, 짧은 길이로 인해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짧으면 자기장의 변화율이 커져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선(코일)의 길이가 짧을수록 자력이 강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1차 코일에 발생된 자기유도 전압이 150V이고, 1차 코일의 권수는 150회, 2차 코일의 권수는 20,000회이면 2차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은?

  1. 10,000V
  2. 15,000V
  3. 20,000V
  4. 25,000V
(정답률: 63%)
  • 자기유도 전압은 코일의 권수와 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하므로, 2차 코일의 권수가 1차 코일의 권수보다 많기 때문에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은 1차 코일에 발생된 전압보다 더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2차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은 20,000V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기저항 용접에 해당되는 것은?

  1. 심 용접
  2. 플라즈마 용접
  3. 피복 아크 용접
  4. 탄산 가스 아크 용접
(정답률: 63%)
  • 전기저항 용접은 두 개의 금속 부품을 접합할 때 전기 저항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 심 용접은 전극을 부착한 심을 이용하여 전기 저항을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으로, 전기저항 용접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판금용 해머, 돌리, 스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머는 가볍게 잡고 패널 면과 경사지게 때린다.
  2. 돌리는 패널 모양에 맞추어 꼭 맞는 것을 사용한다.
  3. 판금용 해머는 패널수정 이외의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4. 스푼은 좁은 틈 사이로 집어넣어 패널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72%)
  • "해머는 가볍게 잡고 패널 면과 경사지게 때린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해머는 가볍게 잡고 패널 면과 경사지게 때리는 것이 올바른 사용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판금이 깨지지 않고 깔끔하게 패널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른 것입니다.

    다른 보기 중에서 틀린 것은 "판금용 해머는 패널수정 이외의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된다."입니다. 판금용 해머는 패널 수정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속을 구부리거나 구멍을 뚫는 등의 작업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패티 작업 시 주로 곡선이나 둥근면을 바를 때 가장 적합한 주걱은?

  1. 나무 주걱
  2. 대나무 주걱
  3. 고무 주걱
  4. 쇠주걱
(정답률: 79%)
  • 고무 주걱은 유연하고 부드러워서 곡선이나 둥근면을 바를 때 적합합니다. 나무 주걱은 딱딱하고 끝이 뾰족해서 곡선이나 둥근면을 바르기 어렵고, 대나무 주걱은 곡선이나 둥근면을 바르기는 적합하지만 내구성이 낮아서 오래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쇠주걱은 곡선이나 둥근면을 바르기는 어렵고, 무거워서 사용하기 불편합니다. 따라서 곡선이나 둥근면을 바를 때 가장 적합한 주걱은 고무 주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트렁크 리드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트렁크 리드 힌지
  2. 토션 바
  3. 트렁크 리드 로크
  4. 패키지 트레이
(정답률: 68%)
  • 패키지 트레이는 트렁크 리드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패키지 트레이는 트렁크 내부에 있는 작은 수납 공간으로, 보통 소형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 트렁크 리드 힌지, 토션 바, 트렁크 리드 로크는 모두 트렁크 리드를 구성하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조색 작업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조색용 원색의 수를 최소화하여 선명한 색상을 만든다.
  2. 조색 작업시 많이 소요되는 색과 밝은 색부터 혼합한다.
  3. 계통이 다른 도료와의 혼용을 한다.
  4. 필요 양의 약 7할 정도 만든다.
(정답률: 79%)
  • "계통이 다른 도료와의 혼용을 한다."는 주의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조색 작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계통이 다른 도료를 혼용하여 색상의 다양성과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은 서로 다른 계통에 속하지만 혼합하면 보라색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주의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장 결함 중 핀홀(pin hole) 발생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용제의 증발이 빠르다.
  2. 세팅타임이 너무 길다.
  3. 너무 두껍게 도장되었다.
  4. 하도의 건조가 불량하다.
(정답률: 47%)
  • 세팅타임이 너무 길다는 것은 도장용 용제가 너무 느리게 건조되어 핀홀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용제의 증발이 빠르지 않거나 도장을 하기 전에 용제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았을 때 핀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프레임 파손이나, 변형의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추돌
  2. 굴러 떨어진 사고
  3. 극단적인 굽응 모멘트 발생
  4. 장기간의 하중
(정답률: 71%)
  • 장기간의 하중은 시간이 지나면서 천천히 작용하는 하중으로, 프레임 파손이나 변형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극단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프레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료를 구성하는 4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1. 수지
  2. 광택
  3. 안료
  4. 용제
(정답률: 81%)
  • 광택은 도료의 특성이나 성분이 아니라, 도료가 바르거나 마무리되었을 때 표면이 반사하여 빛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도료를 구성하는 4가지 요소는 "수지", "안료", "용제", "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