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30)

용접기능장
(2003-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용접분류 중 융접법에 속하는 것은?

  1. 테르밋 용접
  2. 심용접
  3. 초음파용접
  4. 퍼커션 용접
(정답률: 69%)
  • 테르밋 용접은 융점을 이용한 용접 방법으로,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즉, 금속을 녹이는 것이 아니라 화학 반응으로 인해 금속이 용접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융점을 이용한 용접 방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크 용접기의 부속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동전격 방지장치
  2. 원격 제어장치
  3. 핫스타트(hot start) 장치
  4. 용접봉 건조로 장치
(정답률: 90%)
  • 아크 용접기의 부속장치 중에서는 자동전격 방지장치, 원격 제어장치, 핫스타트 장치가 포함되지만, 용접봉 건조로 장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용접봉 건조로 장치가 아크 용접기의 부속장치가 아니라, 용접 작업 시 사용되는 용접봉의 보조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용접기의 핫스타트(hot start)장치의 이점이 아닌 것은?

  1. 아크발생을 쉽게 한다.
  2. 크레이터 처리를 잘 해준다.
  3. 비드(bead)의 이음자리를 개선한다.
  4. 아크 발생 초기의 비드 용입을 양호하게 한다.
(정답률: 85%)
  • 핫스타트는 아크 발생을 쉽게 하고, 아크 발생 초기의 비드 용입을 양호하게 하며, 비드의 이음자리를 개선하는 등의 이점이 있지만, 크레이터 처리를 잘 해주는 것은 아닙니다. 크레이터 처리는 용접 후에 발생하는 용접 부식물이나 용접물의 녹음 등을 처리하는 것으로, 핫스타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용접기의 1차선에 비하여 2차선에 굵은 도선을 사용하는 이유는?

  1. 2차전압이 1차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2. 2차전류가 1차전류보다 많기 때문에
  3. 2차선의 방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4. 전선의 강도상 굵은 쪽이 더욱 튼튼하기 때문에
(정답률: 78%)
  • 2차선에 굵은 도선을 사용하는 이유는 2차전류가 1차전류보다 많기 때문입니다. 2차선은 1차선에서 전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류도 함께 증가합니다. 따라서 2차선에는 더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굵은 도선을 사용하여 전선의 강도를 높이고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교류 용접기에서 무부하전압 80V, 아크전압 30V, 아크전류 200A를 사용할 때 용접기의 효율은? (단, 내부손실 4㎾)

  1. 70%
  2. 40%
  3. 50%
  4. 60%
(정답률: 76%)
  • 용접기의 효율은 출력전력/입력전력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출력전력은 아크전압 x 아크전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력전력은 30V x 200A = 6,000W 입니다. 입력전력은 무부하전압 x 입력전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전력은 80V x (6,000W/80V + 4kW) = 600W + 4kW = 4.6kW 입니다. 따라서 용접기의 효율은 6,000W/4,600W x 100% = 60%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피복 용접봉의 피복제(flux)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용착 금속의 산화와 질화를 방지한다.
  2. 용착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한다.
  3. 용착 금속의 탈산을 방지한다.
  4. 용착 금속의 급냉을 방지한다.
(정답률: 46%)
  • 용접봉의 피복제는 용착 과정에서 용착 금속을 보호하고 산화, 질화, 탈산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용착 금속의 탈산을 방지한다."는 피복제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복아크 용접봉의 피복제에서 형석(CaF2)이 용접 모재에 미치는 성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크 안정
  2. 슬랙그화 생성
  3. 유동성 증가
  4. 환원가스 발생
(정답률: 64%)
  • 형석(CaF2)은 피복제로 사용되며, 용접 모재에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아크 안정성을 높이며 슬랙그화 생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환원가스 발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환원가스는 보통 용접 모재나 피복제에 첨가되는 화학물질로서, 용접 과정에서 산화물을 환원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형석(CaF2)은 환원가스 발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기용접봉을 KS규정에 의하여 E5316으로 표시할 때, "53"이 의미하는 것은?

  1. 용착금속의 최저 인장 강도
  2. 최소 충격치
  3. 용착금속의 최대인장강도
  4. 2차 정격전류
(정답률: 87%)
  • "53"은 용착금속의 최저 인장 강도를 나타냅니다. KS규정에서는 전기용접봉의 품질을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숫자와 문자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 "53"은 용착금속의 최저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용접 후 용착부의 인장강도가 이 값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값은 용접부의 강도를 보장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접봉의 용융속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아크 전류에 반비례 한다.
  2. 아크 전압은 관계가 없다.
  3. 같은 종류이면 봉의 지름에도 관계가 없다.
  4. 단위시간당 소비되는 용접봉의 중량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46%)
  • 아크 전류가 낮을수록 용접봉의 용융속도는 느려지기 때문에 "아크 전류에 반비례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아크 전류가 높을수록 용접봉의 용융속도는 빨라지기 때문에 "아크 전류에 비례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크용접에서 아크길이가 너무 길 때, 용접부에 미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스패터가 많다.
  2. 아크 실드 효과가 떨어진다.
  3. 슬래그가 혼입 된다.
  4. 기포가 생긴다.
(정답률: 68%)
  • 아크길이가 너무 길 때는 아크 실드 효과가 떨어지고, 스패터가 많아지며 기포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슬래그가 혼입되는 것은 아크길이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슬래그는 용접 과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이고, 아크길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슬래그가 혼입 된다."는 틀린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세틸렌 가스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공기보다 가볍다.
  2. 고압산소가 없으면 연소하지 않는다.
  3. 탄소와 수소의 화합물이다.
  4. 카바이드와 물의 화학작용으로 발생한다.
(정답률: 68%)
  • 고압산소가 없으면 연소하지 않는 이유는 아세틸렌 가스가 고압산소와 반응하여 발화점을 낮추기 때문입니다. 고압산소가 없으면 발화점이 너무 높아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세틸렌 가스를 사용할 때는 고압산소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피복아크 용접기 설치상 주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는?

  1. 먼지가 많은 장소
  2. 진동이나 충격이 심한 장소
  3. 주위 온도가 4[℃] 이상 상온의 장소
  4. 휘발성기름이나 부식성가스가 있는 장소
(정답률: 85%)
  • 피복아크 용접기는 민감한 전자 부품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나 진동, 충격 등의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휘발성 기름이나 부식성 가스와 같은 화학 물질이 있는 장소에서는 용접기의 내부 부품이 부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복아크 용접기를 설치할 때는 주위 온도가 4℃ 이상인 상온의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는 용접기의 내부 부품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온도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피복아크용접봉의 피복제 종류에서 가스발생식에 해당되는 것은?

  1. 일미나이트계
  2. 고셀룰로스계
  3. 철분산화철계
  4. 티탄계
(정답률: 54%)
  • 가스발생식 피복제는 용접 시 가스를 발생시켜 용접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고셀룰로스계는 가스발생식 피복제 중 하나입니다. 고셀룰로스는 셀룰로오스를 가공하여 만든 섬유소재로, 용접 시 가열되면서 가스를 발생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셀룰로스계 피복제는 용접 시 가스를 발생시켜 용접 부위를 보호하며, 용접 후에는 가스가 증발하여 부식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각종 연료가스의 성질 중 실제발열량이 가장 높은 것은?

  1. 메탄
  2. 수소
  3. 부탄
  4. 아세틸렌
(정답률: 60%)
  • 부탄은 탄화수소 중 분자량이 큰 편에 속하며, 결합 에너지가 높아서 실제발열량이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부탄은 다른 보기들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키며, 연료로서의 효율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티그(TIG)용접에 사용되는 고주파(H.F)의 전압은 몇 [V]나 되는가?

  1. 2000 - 3000
  2. 100 - 1000
  3. 500 - 1000
  4. 80 - 110
(정답률: 64%)
  • 티그(TIG)용접에서 사용되는 고주파(H.F)의 전압은 2000V에서 3000V 사이이다. 이는 고주파 전류를 생성하여 아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2000V에서 3000V 사이의 전압이 필요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아크가 불안정해지거나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전압을 설정하여 용접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활성 가스(불활성가스)아크 용접법중 용가재를 전극으로 하여 용접하는 방법은?

  1. CO2용접
  2. MIG용접
  3. 서브머지드용접
  4. 테르밋용접
(정답률: 54%)
  • 비활성 가스(불활성가스) 아크 용접법 중 용가재를 전극으로 하여 용접하는 방법은 MIG(Metal Inert Gas) 용접입니다. MIG 용접은 용접 전극으로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고, 보호 가스로 CO2 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용접 부위를 보호하고, 용접 시 발생하는 스플래터를 최소화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수분은 몇 % 이하의 것이 좋은가?

  1. 0.05%
  2. 0.5%
  3. 1%
  4. 3%
(정답률: 83%)
  •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에서는 수분이 많으면 용접 부위에서 불순물이 발생하여 용접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가스의 수분 함량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이산화탄소 가스의 수분 함량이 0.05% 이하인 이유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수분 함량이 0.05% 이하면 용접 부위에서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고, 용접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법이 아닌 것은?

  1. 아코스 아크법
  2. 퓨즈 아크법
  3. 유니온 아크법
  4. 플라즈마 아크법
(정답률: 80%)
  •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법은 이산화탄소 가스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이지만, 플라즈마 아크법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플라즈마 아크법은 이산화탄소 아크 용접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플라스마(plasma)용접의 장점 중 틀린 것은?

  1. 아크 형태가 원통형이고 직진도가 좋다.
  2.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가능한 모재 두께의 제한이 없다.
  3. 용접봉이 토오치내의 노즐안쪽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모재에 부닥칠 염려가 없다.
  4. 빠른 플라즈마 가스 흐름에 의해, 맞대기 용접에서는 키홀(key hole) 현상이 나타난다.
(정답률: 47%)
  • 정답: "빠른 플라즈마 가스 흐름에 의해, 맞대기 용접에서는 키홀(key hole) 현상이 나타난다."

    설명: 플라스마 용접은 아크 형태가 원통형이고 직진도가 좋아 정확한 용접이 가능하며, 용접봉이 노즐 안쪽으로 들어가 있어 모재에 부닥칠 염려가 없습니다. 또한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 가능한 모재 두께의 제한이 없습니다. 하지만 빠른 플라즈마 가스 흐름에 의해 맞대기 용접에서는 키홀(key hole) 현상이 나타나 용접 시 녹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테르밋 용접에서 산화철과 알루미늄이 반응할때 생성되는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의 온도는 약 몇도(℃)나 되는가?

  1. 2000
  2. 2800
  3. 4000
  4. 5800
(정답률: 68%)
  • 테르밋 용접에서 산화철과 알루미늄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학반응은 엔탈피 변화가 큰 반응으로, 매우 높은 온도가 발생합니다. 이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은 약 2800℃ 정도의 온도를 유발하며, 이는 다른 보기들인 2000℃, 4000℃, 5800℃보다 낮은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8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장갑을 끼고 할 수 있는 작업은?

  1. 드릴작업
  2. 용접작업
  3. 해머작업
  4. 선반작업
(정답률: 88%)
  • 용접작업은 불쾌한 열과 노출된 금속 조각으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해 장갑을 끼고 할 수 있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아세틸렌 발생기에서 발생된 아세틸렌 불순물중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가스는?

  1. 암모니아
  2. 인화수소
  3. 유화수소
  4. 질소
(정답률: 60%)
  • 아세틸렌 발생기에서 발생된 아세틸렌 불순물 중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가스는 인화수소입니다. 이는 인화수소가 공기와 혼합되면 폭발성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세틸렌 발생기에서 인화수소 불순물이 발생하면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스용접의 안전작업 중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가스를 들여 마시지 않도록 한다.
  2. 토치 끝으로 용접물의 위치를 바꾸거나 재를 제거하면 안 된다.
  3. 토치에 불꽃을 점화시킬 때에는 산소밸브를 먼저 열고 다음에 아세틸렌 밸브를 연다.
  4. 산소누설 시험에는 비눗물을 사용한다.
(정답률: 92%)
  • "토치에 불꽃을 점화시킬 때에는 산소밸브를 먼저 열고 다음에 아세틸렌 밸브를 연다."가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산소는 공기보다 더 높은 농도에서 존재하므로, 산소밸브를 먼저 열면 불꽃이 산소로 향하게 되어 불안전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세틸렌 밸브를 먼저 열고, 그 다음에 산소밸브를 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크 용접중 아크 빛으로 인해 혈안이 되고 눈이 붓는 수가 있으며,눈병이 생긴다.이 경우 우선 취해야 할 일은?

  1. 안약을 넣고 계속 작업을 해도 좋다.
  2. 냉습포를 눈위에 얹어놓고 안정을 취한다.
  3. 신선한 공기와 맑은 하늘을 보면된다.
  4. 소금을 물에 타서 눈을 닦고 작업한다.
(정답률: 91%)
  • 아크 용접 중 눈에 아크 빛이 들어가면 눈이 붓고 혈안이 되며 눈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눈을 쉬어줘야 합니다. 냉습포를 눈 위에 얹어놓고 안정을 취하는 것은 눈을 쉬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냉습포는 눈을 식히고 진정시켜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눈에 좋습니다. 그리고 용접 작업을 계속하면 눈에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작업을 중단하고 쉬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냉습포를 눈위에 얹어놓고 안정을 취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백선철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파면이 회색이다.
  2. 경도가 크고 절삭이 곤란하다.
  3. 제강용으로 사용한다.
  4. 탄소는 철과 화합상태로 되어있다.
(정답률: 60%)
  • "파면이 회색이다."가 정답인 이유는, 이는 백선철의 특징이 아닌, 철강 제조에서 사용되는 파면 검사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파면 검사는 금속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파면이 회색이 되는 것은 결함이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백선철의 특징이 아닌, 철강 제조에서 사용되는 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철(cast iron)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용선로(cupola)에서 제조한다.
  2. C< 0.01%이다.
  3. 연하고 용접성이 우수하다.
  4. 연성이 크다.
(정답률: 61%)
  • 주철은 용선로(cupola)에서 제조됩니다. 이는 용선로가 고온으로 용융된 철 주원료를 산화제와 함께 처리하여 주철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주철은 C< 0.01%로 탄소 함량이 매우 낮아 연하고 용접성이 우수하며, 연성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스테인레스강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강
  2.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3. 페라이트 스테인레스강
  4. 펄라이트 스테인레스강
(정답률: 71%)
  • 펄라이트 스테인레스강은 스테인레스강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펄라이트 스테인레스강이 아니라 펄라이트와 스테인레스강이 결합된 합금으로, 스테인레스강의 특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입계부식을 없게하기 위하여는 탄소의 함량이 어느정도 이어야 하는가?

  1. 0.1%이하
  2. 0.08%이하
  3. 0.05%이하
  4. 0.03%이하
(정답률: 47%)
  •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은 크롬과 니켈 등의 합금 원소를 함유하여 내식성이 뛰어나지만, 탄소 함량이 높아지면 입계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계부식을 없애기 위해서는 탄소 함량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때, 탄소 함량이 0.03% 이하일 때 입계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03%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아래 조직 중 용접금속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Chill정
  2. 등축정
  3. 주상결정
  4. 수지상정
(정답률: 45%)
  • 용접금속의 특징 중 주상결정은 결정의 방향이 용접선의 방향과 일치하여 강도와 인성이 우수하며, 용접선에서의 응력이 적어 파열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탄소강에서 탄소의 양이 증가하면 기계적 성질은 어떻게 변화 하는가?

  1. 인장강도, 경도, 연신율이 모두 증가한다.
  2. 인장강도, 경도, 연신율이 모두 감소한다.
  3. 인장강도와 경도는 증가하나 연신율은 감소한다.
  4. 인장강도와 경도는 감소하나 연신율은 증가한다.
(정답률: 83%)
  • 탄소의 양이 증가하면 탄소와 철 사이의 결합이 강해지므로 결정 구조가 더욱 단단해지고, 따라서 인장강도와 경도가 증가합니다. 그러나 결정 구조가 더욱 단단해지면 더 이상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연신율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페라이트와 탄화철이 서로 파상으로 배치된 조직으로 현미경 조직은 흑백으로된 파상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결정조직은 강하고 또한 질긴 성질이 있다. 브리넬경도 약 300, 인장강도 600㎏f/㎜2 정도인 이 서냉조직은 무엇인가?

  1. 지철
  2. 오스테나이트
  3. 펄라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61%)
  • 페라이트는 철-탄소계에서 0.022% 이하의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조직으로, 주로 강철의 기본 구조 중 하나이다. 이 서냉조직은 페라이트와 탄화철이 파상으로 배치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강하고 질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브리넬경도가 약 300, 인장강도가 600㎏f/㎜2 정도인 이 서냉조직은 펄라이트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용접이음을 설계할 때의 주의사항으로서 틀린 것은?

  1.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하도록 할 것
  2. 용접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간격을 남길 것
  3. 가능한 한 용접이음부의 접근 및 교차를 피할 것
  4. 용접이음부를 한곳에 집중되도록 설계할 것
(정답률: 93%)
  • 용접이음부를 한곳에 집중되도록 설계하면 용접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용접이음부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용접작업이 집중되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용접이음부를 한곳에 집중시키면 그 부분의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적절한 보강과 검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판의 두께 14㎜, 강판의 폭 300㎜를 맞대기 용접이음 하였다. 인장하중 4000 ㎏f이 용접선에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면 용접부의 인장응력은 몇 ㎏f/㎜2 인가?

  1. 0.095
  2. 0.952
  3. 9.52
  4. 95.2
(정답률: 57%)
  • 용접선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은 P = 4000 kgf이다. 용접부의 단면적은 강판의 두께와 폭을 곱한 값인 A = 14 × 300 = 4200 mm^2이다.

    인장응력은 인장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장응력은 σ = P/A = 4000/4200 = 0.952 kgf/mm^2이다.

    따라서 정답은 "0.9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의 필렛 용접이음에서 용접부의 목두께 t는 얼마인가 ? (단, 용접부의 한변(용접다리)은 10㎜ 이다.)

  1. 0.0707㎜
  2. 0.707㎜
  3. 7.07㎜
  4. 70.77㎜
(정답률: 73%)
  • 이 문제에서는 필렛 용접이음의 높이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먼저, 용접다리의 길이가 10㎜이므로, 용접부의 높이는 10㎜입니다.

    그리고 필렛 용접이음에서는 용접부의 높이가 목두께의 절반과 같으므로,

    목두께 = 용접부의 높이 x 2 = 10㎜ x 2 = 20㎜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mm가 아닌 cm로 주어졌으므로,

    목두께 = 20㎜ = 2cm

    따라서, 용접부의 목두께 t는 2cm의 제곱근인 1.414cm 또는 14.14mm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mm로 주어졌으므로,

    목두께 = 14.14mm = 7.07mm

    따라서, 정답은 "7.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래 그림에서 용접부의 설계가 가장 잘된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용접부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서 강도가 높습니다.
    2. 용접부의 모양이 곡선으로 되어 있어 응력이 분산되어 강도가 높습니다.
    3. 용접부의 두께가 충분히 두껍기 때문에 강도가 높습니다.
    4. 용접부의 모양이 복잡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라멜라 테어링(LAMELLAR TEARING)을 감소하기 위한 가장 좋은 용접 설계는?

(정답률: 89%)
  • 라멜라 테어링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용접 시에 급격한 열팽창을 방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용접선의 크기와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열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 가장 좋은 용접 설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에 나타낸 용접이음과 지시사항을 용접기호로 나타낸 것중 옳은 것은?

(정답률: 44%)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용접이음이 T자형이며, 용접기호에서 T자형은 "" 로 표시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에서 보이는 형태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용접지그(jig)의 사용목적이 아닌 것은?

  1. 소량 생산을 위해 사용된다.
  2. 용접작업을 쉽게한다.
  3. 제품의 수치를 정확하게 한다.
  4. 용접부의 신뢰성을 높인다.
(정답률: 90%)
  • 용접지그는 대량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데, 소량 생산에서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량 생산을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용접의 층간에 소요되는 시간, 예컨데 루트부 용접을 완료한 후, 다음 비드 용접을 하기전의 소요시간을 규제 하도록 요구하는 규격은?

  1. 한국 표준 규격(KS CODE)
  2. 미국 기계학회 코드(ASME CODE)
  3. 미국 용접학회 코드(AWS CODE)
  4. 미국 석유협회 코드(API CODE)
(정답률: 52%)
  • 미국 석유협회 코드(API CODE)는 파이프라인 및 관련 시설의 설계, 건설, 운영 및 유지보수에 대한 규격을 제공하는 국제적인 표준입니다. 이 규격은 파이프라인 용접에 대한 규제도 포함하고 있으며, 층간 소요시간 등 용접 작업에 대한 세부 규정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에 대한 규제를 요구하는 규격으로서 API CODE가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열응력의 풀림 처리중에서 고온풀림에 해당하는 것은?

  1. 확산 풀림(diffusion annealing)
  2. 응력제거 풀림(stress relief annealing)
  3. 구상화 풀림(spheroidizing annealing)
  4. 프로세스 풀림(process annealing)
(정답률: 55%)
  • 고온풀림은 확산 풀림(diffusion annealing)에 해당합니다. 이는 고온에서 금속 내부의 결함이나 성분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확산되는 과정으로, 금속의 강도를 낮추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오버랩(over lap)의 결함이 있을 경우, 어떻게 보수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가늘은 용접봉으로 재용접한다.
  2. 비드 위에 재용접한다.
  3. 결함 부분을 깎아내고 재용접한다.
  4. 드릴로 구멍을 뚫고 재용접한다.
(정답률: 84%)
  • 오버랩 결함은 두 개 이상의 부품이 겹쳐져서 용접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겹쳐진 부분이 충분히 용접되지 않아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결함을 보수할 때는 결함 부분을 깎아내고 재용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결함 부분을 깎아내면 용접 부위가 깨끗하게 노출되어 용접이 잘 이루어지며, 재용접으로 인해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결함을 보수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언더컷(Undercut)의 결함이 생기기 쉬운 용접조건은?

  1. 용접속도가 느리고 아크전압이 높을 때
  2. 용접속도가 느리고 전류가 적을 때
  3. 용접속도가 빠르고 아크전압이 낮을 때
  4. 용접속도가 빠르고 전류가 많을 때
(정답률: 85%)
  • 언더컷 결함은 용접 부위의 가장자리에서 용접재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이러한 결함은 용접속도가 빠르고 전류가 많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는 용접속도가 빠르면 용접재가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용접재가 부족해지고, 전류가 많으면 용접재가 녹아내리면서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속도와 전류를 적절히 조절하여 언더컷 결함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용접부에 발생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서 열거한 방법 중 옳은 것은?

  1. 풀림처리를 한다.
  2. 담금질 처리를 한다.
  3. 서브제로 처리를 한다.
  4. 뜨임 처리를 한다.
(정답률: 78%)
  • 용접부에 발생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풀림처리를 해야 합니다. 이는 용접부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잔류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용접부의 내부 응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담금질 처리나 서브제로 처리는 일부 응력을 제거할 수 있지만, 완전한 제거는 어렵습니다. 뜨임 처리는 오히려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용접부 부근의 냉각속도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못한 것은?

  1. 용접부 부근의 어떤점의 냉각속도란 그점의 식어가는 속도를 말한다.
  2. 맞대기이음 경우의 냉각속도는 T형이음 용접경우의 냉각속도보다 크다.
  3. 맞대기이음 경우와 모서리이음 경우의 냉각속도는 거의 같다.
  4. 후판의 냉각속도는 박판 경우 보다 크다.
(정답률: 50%)
  • "맞대기이음 경우의 냉각속도는 T형이음 용접경우의 냉각속도보다 크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맞대기이음은 용접부가 두껍기 때문에 열이 더 많이 축적되어 냉각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T형이음 용접경우보다 냉각속도가 더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아크 에어가우징에서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은 다음중 얼마가 적당한가?

  1. 0.5 - 1.5 kgf/㎝2
  2. 2 - 3 kgf/㎝2
  3. 6 - 7 kgf/㎝2
  4. 10 - 12 kgf/㎝2
(정답률: 67%)
  • 아크 에어가우징은 공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계이며, 이때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 너무 낮은 압력은 작동에 필요한 힘이 부족하여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동 중에도 압력이 떨어져 작동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너무 높은 압력은 기계에 과부하를 주어 파손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아크 에어가우징에서 사용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은 적당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범위는 6 - 7 kgf/㎝2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용접부의 비파괴 검사중 비자성체 재료에 이용할 수 없는 것은?

  1. 방사선 투과 검사
  2. 초음파 검사
  3. 천공검사
  4. 자기적 검사
(정답률: 61%)
  • 비자성체 재료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적 검사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자기적 검사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자기장을 생성할 수 없는 비자성체 재료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비자성체 재료에는 방사선 투과 검사, 초음파 검사, 천공검사 등의 비파괴 검사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용접부의 시험방법중 파괴 시험의 기계적 시험법에 속하는 것은?

  1. 파면시험
  2. 용접균열시험
  3. 압력시험
  4. 피로시험
(정답률: 56%)
  • 피로시험은 재료나 부품의 피로 파괴를 예측하기 위한 시험으로,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으로 반복적인 하중을 가하여 재료나 부품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기계적 시험법 중 파괴 시험에 속하며, 주로 금속 재료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모재에 라미네이션(LAMINATION)이 발생하였다. 이 결함을 찾는 데 가장 좋은 비파괴 검사 방법은?

  1. 침투액 탐상시험
  2. 자분탐상시험
  3. 방사선 투과시험
  4. 초음파 탐상시험
(정답률: 63%)
  • 라미네이션은 두 개 이상의 층이 분리되는 결함으로, 이를 찾기 위해서는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비파괴 검사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초음파 탐상시험은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라미네이션과 같은 분리 결함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비교적 저렴하고 이동성이 용이하여 산업 현장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초음파 탐상시험이 가장 적합한 비파괴 검사 방법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크에어 가우징의 작업시 용접기의 전원으로 적합한 극성은?

  1. 직류 정극성
  2. 직류 역극성
  3. 교류
  4. 고주파 교류
(정답률: 63%)
  • 아크에어 가우징 작업시 용접기의 전원으로 적합한 극성은 "직류 역극성"입니다. 이는 용접 전극의 소모를 최소화하고 용접 부위의 열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직류 역극성은 전극의 양극성이 바뀌어가며 용접 부위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므로 용접 부위의 열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류 역극성은 용접 전극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용접 부위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합금강에서 Cr 원소 첨가효과 중 틀린 것은?

  1. 내열성
  2. 내마모성
  3. 내식성
  4. 인성
(정답률: 68%)
  • Cr 원소 첨가는 합금강의 인성을 향상시키지 않습니다. 오히려, Cr 원소 첨가는 합금강의 경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스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모재의 일반적인 조건 중 틀린 것은?

  1. 금속 화합물중에는 불연성 물질이 적을 것
  2. 모재의 연소온도가 그 용융온도보다 높을 것
  3. 산화물 또는 슬래그의 용융온도가 모재의 용융온도보다 낮을 것
  4. 산화물 또는 슬랙의 유동성이 좋고, 모재에서 쉽게 이탈할 것
(정답률: 58%)
  • "모재의 연소온도가 그 용융온도보다 높을 것"이 틀린 것입니다.

    모재의 연소온도가 그 용융온도보다 높을 경우, 모재가 연소되는 동안에도 용융되지 않고 고체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는 가스절단 작업에 방해가 되며, 절단면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재의 연소온도는 용융온도보다 낮거나 비슷해야 합니다.

    "산화물 또는 슬래그의 용융온도가 모재의 용융온도보다 낮을 것"은 모재와 산화물 또는 슬래그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금속 화합물중에는 불연성 물질이 적을 것"과 "산화물 또는 슬래그의 유동성이 좋고, 모재에서 쉽게 이탈할 것"은 모재와 산화물 또는 슬래그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알루미늄합금에서 과포화 고용체를 상온 또는 고온에 유지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합금의 성질이 변화하는 현상은?

  1. 시효
  2. 연성
  3. 노치
  4. 취성
(정답률: 54%)
  • 알루미늄합금에서 과포화 고용체를 상온 또는 고온에 유지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합금의 성질이 변화하는 현상은 시효입니다. 시효는 과포화 고용체가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되면서 합금 내부에서 세척작용을 일으켜 고용체가 성장하고, 이에 따라 합금의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고 연성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시효 현상은 알루미늄합금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시간과 온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성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구리의 용접에 관한 설명이다.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법은 판 두께 6mm 이하에 대하여 많이 사용된다.
  2. 구리의 용접은 불활성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법이 많이 사용된다.
  3. 용접용 구리재료로는 전해구리를 사용한다.
  4. 구리는 용융될 때 심한 산화를 일으킨다.
(정답률: 50%)
  • "구리는 용융될 때 심한 산화를 일으킨다."는 다른 보기들과는 관계가 먼 내용이다. 용접에 대한 설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용접용 구리재료로는 전해구리를 사용한다."는 구리의 용접과 관련된 내용으로, 전해구리는 용접용 구리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해당 보기가 정답이 된다. 이유는 전해구리가 용융점이 낮고, 용융 후 빠르게 응고되어 용접부위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해구리는 용접 후에도 내식성과 내부 응력이 적어서 용접부위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로봇의 구성에서 구동부와 제어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동력원이라 하고 에너지를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기기의 명칭은?

  1. 액추에이터
  2. 머니퓰레이터
  3. 교시박스
  4. 시퀀스 제어
(정답률: 84%)
  • 액추에이터는 동력원에서 받은 에너지를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기기로, 로봇의 구동부와 제어부를 가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정답입니다. 머니퓰레이터는 돈을 다루는 기기, 교시박스는 시간을 조절하는 기기, 시퀀스 제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의 OC곡선을 보고 가장 올바른 내용을 나타낸 것은?

  1. α : 소비자 위험
  2. L(p) : 로트의 합격확률
  3. β : 생산자 위험
  4. 불량율 : 0.03
(정답률: 55%)
  • OC곡선은 생산자 위험과 소비자 위험을 고려하여 불량품을 판별하는데 사용되는 통계적 도구입니다. 이 때, 로트의 합격확률은 해당 로트에서 불량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 선택될 확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L(p)가 가장 올바른 정답인 이유는 이 OC곡선에서 생산자 위험과 소비자 위험을 모두 고려하여 불량품을 판별하는데 가장 적합한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품질관리 활동의 초기단계에서 가장 큰 비율로 들어가는 코스트는?

  1. 평가코스트
  2. 실패코스트
  3. 예방코스트
  4. 검사코스트
(정답률: 80%)
  • 품질관리 활동의 초기단계에서 가장 큰 비율로 들어가는 코스트는 실패코스트입니다. 실패코스트는 제품 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으로, 제품을 다시 생산하거나 수리하는 등의 비용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실패코스트를 줄이기 위해 초기에 예방코스트를 투자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품질관리 활동에서는 초기에 예방코스트를 투자하여 실패코스트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PERT/CPM에서 Network 작도시 碇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단계(event)
  2. 명목상의 활동(dummy activity)
  3. 병행활동(paralleled activity)
  4. 최초단계(initial event)
(정답률: 46%)
  • 碇은 명목상의 활동(dummy activity)을 나타냅니다. 이는 실제로는 활동이 아니지만, 두 개 이상의 활동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의 활동입니다. 예를 들어, A 활동이 B 활동보다 먼저 시작되어야 하지만, A 활동이 완료되는 시점과 B 활동이 시작되는 시점이 겹치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A와 B 사이에 명목상의 활동을 추가하여 연결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체 프로젝트 일정을 정확하게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신제품에 가장 적합한 수요예측 방법은?

  1. 시계열분석
  2. 의견분석
  3. 최소자승법
  4. 지수평활법
(정답률: 50%)
  • 신제품은 과거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시계열분석이나 지수평활법과 같은 수량적인 예측 방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제품에 가장 적합한 수요예측 방법은 고객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예측하는 의견분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관리도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관리도는 공정의 관리만이 아니라 공정의 해석에도 이용된다.
  2. 관리도는 과거의 데이터의 해석에도 이용된다.
  3. 관리도는 표준화가 불가능한 공정에는 사용할 수 없다.
  4. 계량치인 경우에는 x - R 관리도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정답률: 69%)
  • "관리도는 표준화가 불가능한 공정에는 사용할 수 없다." 관리도는 공정의 변동성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도구로, 공정의 변동성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일어난다는 가정하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표준화가 불가능한 공정에서는 변동성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관리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워크 샘플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관측대상의 작업을 모집단으로 하고 임의의 시점에서 작업내용을 샘플로 한다.
  2. 업무나 활동의 비율을 알 수 있다.
  3. 기초이론은 확률이다.
  4. 한 사람의 관측자가 1인 또는 1대의 기계만을 측정한다.
(정답률: 69%)
  • 한 사람의 관측자가 1인 또는 1대의 기계만을 측정하는 것은 워크 샘플링의 핵심 원칙 중 하나인 단일 관측자 원칙(single observer principle)에 따른 것이다. 이는 작업 내용의 차이나 관측자의 주관적인 판단 등으로 인해 다른 관측자가 측정한 결과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사람 또는 한 대의 기계만을 측정하여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