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20)

용접기능장
(2003-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피복 아크용접에서 용접 전류가 200A, 아크전압이 25V, 용접속도가 15㎝/min일 때의 용접입열(Joule/㎝)은 얼마인가?

  1. 333.3
  2. 7200
  3. 20000
  4. 333300
(정답률: 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리벳 이음과 비교한 아크 용접의 장점을 설명한 것은?

  1. 응력집중에 대하여 극히 둔감하다.
  2. 재질변형 및 잔류응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3. 품질검사를 쉽게할 수 있다.
  4. 수밀 및 기밀성이 좋다.
(정답률: 93%)
  • 아크 용접은 리벳 이음에 비해 수밀 및 기밀성이 좋습니다. 이는 아크 용접이 재료를 용융시켜 결합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부식이나 누출의 위험이 적고, 또한 용접 부위가 매우 단단하게 결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밀 및 기밀성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아크 용접이 더욱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아크 용접기의 용량은 다음 중 어느 것으로 표시하는가?

  1. 용접기의 1차 전류
  2. 용접기의 정격 2차 전류
  3. 용접기의 무부하 전압
  4. 정격 사용률에서 2차 전류의 50%
(정답률: 93%)
  • 아크 용접기의 용량은 용접기의 정격 2차 전류로 표시합니다. 이는 용접기가 최대로 공급할 수 있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며, 이 값을 기준으로 용접기의 사용 가능한 최대 용접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기의 용량을 나타내는 가장 적절한 값은 용접기의 정격 2차 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직류용접기의 설명에 해당 되는 것은?

  1. 아크(arc)가 매우 안정된다.
  2. 자기쏠림(magnetic blow)이 비교적 적다.
  3. 구조와 취급이 비교적 간단하다.
  4. 전격의 위험성이 크다.
(정답률: 73%)
  • 직류용접기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여 아크(arc)가 매우 안정되며, 자기쏠림(magnetic blow)이 비교적 적어서 용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며, 구조와 취급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크(arc)가 매우 안정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직류용접기에서 정극성이란?

  1. 모재쪽에 양극(+)을, 용접봉쪽에 음극(-)을 연결함
  2. 모재쪽에 음극(-)을, 용접봉쪽에 양극(+)을 연결함
  3. 모재, 용접봉쪽에 모두 양극(+)을 연결함
  4. 모재, 용접봉쪽에 모두 음극(-)을 연결함
(정답률: 77%)
  • 직류용접기에서 정극성은 용접봉과 모재 사이의 전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모재쪽에 양극(+)을, 용접봉쪽에 음극(-)을 연결하는 이유는 양극(+)쪽에서는 전자가 모재로 흐르고 음극(-)쪽에서는 전자가 용접봉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면 모재와 용접봉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서 열이 발생하고 용접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KS규격중 철분 저수소계 용접봉은?

  1. E4316
  2. E4324
  3. E4326
  4. E4327
(정답률: 56%)
  • KS규격에서 "E"는 전극(Electrode)을 의미하며, 숫자는 전극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43"은 저합금강용 전극을 나타내며, "26"은 전극의 용접 위치가 수평이나 경사면일 때 사용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철분 저수소계 용접봉은 "E432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KS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연강 아크 용접봉의 심선 성분이 아닌 것은?

  1. C
  2. Si
  3. Mg
  4. P
(정답률: 56%)
  • KS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연강 아크 용접봉의 심선 성분은 "C", "Si", "P"이지만 "Mg"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연강 용접봉의 성질과 용도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Mg는 연강 용접봉에 필요한 성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적으로 아크 드라이브(Arc drive)의 전압은 몇 V 로 고정되어 있는가?

  1. 10V
  2. 16V
  3. 20V
  4. 30V
(정답률: 71%)
  • 아크 드라이브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16V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아크 드라이브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C 24V 전원에서 작동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16V는 전원에서 24V를 빼면 나오는 전압이며, 이는 아크 드라이브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최적의 전압입니다. 따라서 16V가 일반적으로 아크 드라이브의 전압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해 아세틸렌을 취급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저장 장소는 통풍이 잘되어야 한다.
  2. 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용기는 뉘어서 사용한다.
  3. 화기에 가깝거나 온도가 높은 장소에는 두지 않는다.
  4. 용기 주변에 소화기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94%)
  • 답: "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용기는 뉘어서 사용한다."이 틀린 것이다.

    해설: 용해 아세틸렌은 압축 가스로서, 용기 내부에 액체 아세틸렌과 용매인 아세트올이 함께 들어있다. 따라서 용기를 뉘어서 사용하면 액체 아세틸렌이 용기의 일부분에 모이게 되어 가스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용기는 항상 세워서 사용해야 한다. 저장 장소는 통풍이 잘되어야 하며, 화기에 가깝거나 온도가 높은 장소에는 두지 않아야 한다. 용기 주변에는 소화기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중 8m 이상에서 절단작업을 할때 사용되는 가스는?

  1. 용해 아세틸렌 가스
  2. 수소가스
  3. 탄산가스
  4. 헬륨가스
(정답률: 73%)
  • 수중 8m 이상에서는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스의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수소가스는 안정성이 높아 수중 8m 이상에서 절단작업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수소가스는 불꽃이 작고 뜨거워서 절단작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양호한 가스절단 상태에 해당되는 것은?

  1. 드래그가 고르지 않다.
  2. 절단면에 노치(notch)가 있다.
  3. 슬래그의 이탈성이 나쁘다.
  4. 절단면의 윗 모서리가 예리하다.
(정답률: 91%)
  • 절단면의 윗 모서리가 예리하다는 것은 가스절단기의 절단날이 날카롭게 유지되고 있으며, 이는 절단면의 깔때기 모양이 예리한 모서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양호한 가스절단 상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소절단의 원리를 설명한 것중 옳지 못한 사항은?

  1. 산소 절단은 아세틸렌과 철의 화학 작용에 의한 것이다.
  2. 산소 절단은 산소와 철의 화학반응열을 이용한 것이다.
  3. 산소 절단시 화학반응열은 예열에 이용된다.
  4. 철에 포함된 많은 탄소는 절단을 방해한다.
(정답률: 60%)
  • "산소 절단은 아세틸렌과 철의 화학 작용에 의한 것이다."가 옳지 못한 사항입니다. 실제로 산소 절단은 산소와 연료인 아세틸렌이 혼합된 가스를 사용하여 작동합니다. 이 가스 혼합물이 불에 타면서 고온과 고압의 환경을 만들어내고, 이를 이용하여 금속을 절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산소 절단은 아세틸렌과 산소의 화학 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소-아세틸렌 가스로 직선절단 작업시 드래그(drag)의 길이는 강판 두께의 몇 % 정도를 표준으로 하는가?

  1. 0
  2. 20
  3. 35
  4. 50
(정답률: 77%)
  • 드래그 길이는 강판 두께의 약 20% 정도를 표준으로 합니다. 이는 산소-아세틸렌 가스로 직선절단 작업시에 발생하는 열팽창 현상 때문입니다. 작업 중에 강판이 가열되면, 절단기의 움직임에 따라 강판이 녹아내리면서 드래그가 발생합니다. 이 드래그 길이는 강판 두께의 약 20% 정도가 적당하다고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장점은?

  1. 자유곡선 용접이 가능하다.
  2. 용착금속의 품질이 양호하다.
  3. 용접홈 가공이 정밀해야 한다.
  4. 용접자세의 제한을 받는다.
(정답률: 95%)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용접 부위를 물로 덮어 용접을 하기 때문에 산소와 기타 대기 중의 불순물이 용접 부위에 침투하지 않아 용착금속의 품질이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미그(MIG)용접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자세의 용접이 가능하다.
  2. 대체로 모든 금속의 용접이 가능하다.
  3. 용제를 사용하므로 비드 표면이 매우 아름답다.
  4. 용접이 가능한 판두께의 범위가 넓다.
(정답률: 63%)
  • 미그(MIG)용접에서 용제를 사용하는 것은 아름다운 비드 표면을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용접 과정에서 용제가 녹아서 금속을 보호하고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용제를 사용하므로 비드 표면이 매우 아름답다."는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TIG용접에 사용되는 전극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저 용융점의 금속
  2. 전자 방출이 잘 되는 금속
  3. 전기 저항률이 적은 금속
  4. 열 전도성이 좋은 금속
(정답률: 72%)
  • "저 용융점의 금속"은 틀린 것입니다. TIG용접에서는 전극으로 사용되는 금속이 높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전극이 녹아내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저 용융점의 금속"은 TIG용접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lux cored arc weld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용접속도를 빨리할 수 있다.
  2. 용착률(deposition rate)이 상당히 크다.
  3. 용입(penetration)은 미그(MIG)용접보다 작다.
  4. 아래보기 이외의 자세용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83%)
  •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은 미그용접보다 용입(penetration)이 크기 때문에, 주어진 보기 중 "용입(penetration)은 미그(MIG)용접보다 작다."가 틀린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플라스마(plasma)아크용접 장치가 아닌 것은?

  1. 용접 토치
  2. 제어 장치
  3. 와이어 릴
  4. 가스 송급장치
(정답률: 70%)
  • 플라스마 아크용접 장치는 용접 토치, 제어 장치, 가스 송급장치 등으로 구성되지만, 와이어 릴은 플라스마 아크용접에 사용되지 않는 장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와이어 릴은 주로 MIG/MAG 용접에서 사용되며, 용접 전극으로 사용되는 용접 와이어를 보관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렉트로 슬래그(ELECTRO SLAG) 용접에서 용접 조건이 모재의 용입 깊이에 미치는 영향 중 맞게 설명한 것은?

  1. 용접속도가 빠르면 용입이 깊어진다.
  2. 플럭스(FLUX)의 전기전도성이 크면 용입이 깊어진다.
  3. 용접 전압이 높으면 용입이 깊어진다.
  4. 용접 전압이 낮으면 용입이 깊어진다.
(정답률: 78%)
  •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에서 용접 전압이 높으면 용접 전류가 증가하고, 이는 용접 부위의 열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용접 부위의 금속이 녹아 용입이 깊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용접 전압이 높을수록 용입이 깊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탄산가스 아크 용접시 발생하기 쉬운 탄산가스에 의한 중독에서 치사량이 되려면 몇%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 이상
  2. 20% 이상
  3. 30% 이상
  4. 5% 이상
(정답률: 69%)
  • 탄산가스는 공기 중에서 0.03% 정도만 존재하는 미량 기체이기 때문에, 인체에 치명적인 농도인 30% 이상이 되려면 매우 높은 농도로 노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30%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아세틸렌 가스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폭발의 위험이 없다.
  2. 탄소와 수소의 화합물이다.
  3. 공기보다 가볍다.
  4. 카바이드와 물의 화학작용으로 발생한다.
(정답률: 89%)
  • 정답은 "폭발의 위험이 없다."입니다. 이유는 아세틸렌 가스는 고도로 인화성이며, 고압 또는 고온에서 불꽃, 스파크 또는 기타 열원에 노출되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한 보관과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탄소강에서 공석강의 조직은?

  1. 펄라이트
  2. 솔바이트
  3. 페라이트
  4. 마르텐사이트
(정답률: 55%)
  • 탄소강에서 공석강의 조직은 펄라이트입니다. 이는 탄소강에서 가장 일반적인 조직으로, 철과 탄소로 이루어진 균일한 혼합물입니다. 펄라이트는 철과 탄소의 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0.8% 이하의 탄소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펄라이트 조직은 가공이 용이하고, 인성과 인장강도가 높아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알루미늄 합금 용접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은 다음중 어느것인가 ? (단,알루미늄 합금은 비열처리성이다.)

  1. 점용접
  2. 서브머지드 용접
  3. 불활성 가스아크용접
  4. 산소아세틸렌용접
(정답률: 67%)
  • 알루미늄 합금은 비열처리성이기 때문에 용접 시 높은 열이 발생하면 빠르게 냉각되어 용접부에 응력이 발생하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 용접에는 높은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용접 방법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서브머지드 용접은 용융된 금속 용액에 용접 전극을 잠그고 용액 위에서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용액 위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기와 접촉하지 않으며, 높은 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 용접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반면, 점용접, 불활성 가스아크용접, 산소아세틸렌용접은 모두 높은 열이 발생하므로 알루미늄 합금 용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금속의 용접성(weldability)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탄소 함유량(carbon content)
  2. 열전도(thermal conductivity)
  3.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4. 용융점(melting point)
(정답률: 49%)
  • 열전도는 금속의 용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용접은 금속을 녹여서 결합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 용융점이 높을수록 용접이 어렵고,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용접 부위에서의 변형이 적어지기 때문에 용접성이 좋아집니다. 하지만 열전도는 용접 과정에서 열이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용접 부위에서 금속이 빠르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제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열전도는 용접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반적으로 주철의 가스용접에는 다음 용제(flux)중 어느 것이 사용되는가?

  1. 규산나트륨(NaSiO3)
  2. 플루오르나트륨(NaF)
  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4. 염화칼슘(KCL)
(정답률: 56%)
  • 일반적으로 주철의 가스용접에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가 사용됩니다. 이는 주철의 표면을 청소하고 산화물을 제거하여 용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탄산수소나트륨은 가스용접 시 생성되는 산화물을 중화시켜 용접 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담금질 조직중에서 가장 경도가 높은 것은?

  1. 펄라이트
  2. 솔바이트
  3. 마르텐사이트
  4. 트루스타이트
(정답률: 50%)
  • 마르텐사이트는 담금질 조직 중에서 탄소 함량이 높아 경도가 가장 높은 조직입니다. 이는 탄소 원자가 철 원자 사이에 들어가면서 격자 구조가 단단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르텐사이트는 강철 등의 금속 재료에서 경화 처리를 통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금속의 표면을 보호하고 녹을 방지하며, 기계 표면을 매끈히 하고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표면처리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도장(painting)
  2. 전기도금(electroplating)
  3. 금속 용사(metal spraying)
  4. 시안화법(cyaniding)
(정답률: 73%)
  • 시안화법은 금속의 표면을 보호하거나 매끈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의 경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시안화법은 표면처리 방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접 이음을 설계할 때의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맞대기 용접에서는 뒷면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해서 용입부족이 없도록 한다.
  2. 용접 이음부가 한곳에 집중하지 않도록 설계 한다.
  3. 맞대기 용접은 가급적 피하고 필릿 용접을 하도록 한다.
  4.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하도록 설계 한다.
(정답률: 84%)
  • "맞대기 용접은 가급적 피하고 필릿 용접을 하도록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맞대기 용접은 두 개의 부재를 직접 맞대어 용접하는 방법으로, 용입부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필릿 용접은 부재의 끝부분에 용접을 하여 용입부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맞대기 용접이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필릿 용접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맞대기 용접에서는 뒷면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해서 용입부족이 없도록 한다.", "용접 이음부가 한곳에 집중하지 않도록 설계 한다.", "아래보기 용접을 많이 하도록 설계 한다."는 모두 용접 설계 시 주의해야 할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모재의 배치에 의한 용접 이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맞대기 이음
  2. 연속 이음
  3. T 이음
  4. 겹치기 이음
(정답률: 76%)
  • 연속 이음은 모재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이음부위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나열된 다른 이음들은 모재의 배치에 따라 이음부위가 달라지는 것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연속 이음이 아닌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접기호 중 은 무슨 용접법인가?

  1. 프로젝션 용접
  2. 홈용접의 V형 용접
  3. 필렛용접
  4. 비드살돋음
(정답률: 74%)
  • 은 프로젝션 용접을 나타냅니다. 프로젝션 용접은 두 개 이상의 금속판을 겹쳐 놓고 그 사이에 용접을 하는 방법으로, 용접 부위가 두께가 일정한 부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정확한 용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 때문에 자동차, 선박, 철도 등의 대형 구조물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KS규격에서, 현장용접을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87%)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현장용접을 나타내는 기호로, "F"는 공장용접, "B"는 굴곡용접, "H"는 수동아크용접, "T"는 TIG용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현장에서 직접 수행하는 용접을 나타내는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그(Jig)설계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공정수가 늘어나고 생산능률이 향상된다.
  2. 제품의 정밀도가 증가한다.
  3. 경제적 생산이 가능하다.
  4. 불량이 적고 미숙련공도 작업이 용이하다.
(정답률: 90%)
  • 지그(Jig)설계의 목적은 제품의 정밀도를 증가시키고 경제적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불량을 최소화하고 미숙련공도 작업이 용이하게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정수가 늘어나고 생산능률이 향상된다."는 지그(Jig)설계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접시 예열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연강도 후판(25mm 이상)이 되면 예열을 함이 좋다.
  2. 예열은 용접부의 냉각속도를 느리게 한다.
  3. 예열온도는 모재의 재질에 따라 각각 다르다.
  4. 연강은 0℃이하의 저온에서는 예열이 불필요하다.
(정답률: 86%)
  • 연강은 0℃ 이하의 저온에서는 예열이 불필요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연강도 다른 재질과 마찬가지로 용접 시에도 내부 응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열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압력용기를 회전하면서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기에 적합치 않은 용접설비는?

  1. 스트롱 백(Strong back)
  2. 포지셔너(Positioner)
  3.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
  4. 터닝롤러(Turning roller)
(정답률: 90%)
  • 압력용기를 회전하면서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기에는 스트롱 백(Strong back)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스트롱 백은 용접부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회전하는 용접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포지셔너(Positioner),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 터닝롤러(Turning roller)가 압력용기 회전 용접에 적합한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용접작업시 피닝(Peening)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모재의 연성을 높인다.
  2. 급냉을 방지한다.
  3. 모재의 경도를 높인다.
  4. 잔류응력을 줄인다.
(정답률: 88%)
  • 피닝은 용접 후 모재에 생긴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잔류응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각종 금속의 용접에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보통 사용되지 않는 재료는?

  1. 고니켈합금
  2. 저탄소강
  3. 순철
  4. 가단주철
(정답률: 59%)
  •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고열과 용융된 금속 용융재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므로, 용융점이 높은 재료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가단주철은 용융점이 낮아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열영향부(H.A.Z) 가장자리 가까운 곳에 나타나는 형이고 계단형태로, 구속을 많이 받는 용접부 또는 다층 용접부에서 용접 중 또는 용접직후 발생하는 용접결함은?

  1. 라멜라 균열(lamella tearing crack)
  2. 힐 크랙(heel crack)
  3. 토 균열(toe crack)
  4. 비드 밑 균열(under bead crack)
(정답률: 59%)
  • 열영향부(H.A.Z)는 용접 중에 매우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그 구조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때, 구속을 많이 받는 용접부나 다층 용접부에서는 열영향부(H.A.Z) 가장자리 부근에서 라멜라 균열(lamella tearing crack)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열영향부(H.A.Z)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 구조적 결함으로, 용접부의 인장응력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열영향부(H.A.Z) 가장자리 부근에서 라멜라 균열(lamella tearing crack)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구면 모양이 특수 해머로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가볍게 때 려 용접 표면상에 소성변형을 주는 방법은?

  1. 태핑법
  2. 국부풀림법
  3. 피닝법
  4. 노내풀림법
(정답률: 80%)
  • 구면 모양의 특수 해머를 사용하여 용접부를 가볍게 때려 소성변형을 주는 방법을 피닝법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용접부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용접부의 결함을 제거하며, 용접부의 강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부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피닝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탄소봉과 공기를 사용하여 이면 홈가공이나 용접결함부를 제거할 때 많이 사용되는 가우징 방법은?

  1. 분말 가우징
  2. 기계적 가우징
  3. 불꽃 가우징
  4. 아크 에어 가우징
(정답률: 92%)
  • 아크 에어 가우징은 탄소봉과 공기를 이용하여 불꽃을 발생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부식시키는 방법으로, 이면 홈가공이나 용접결함부를 제거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분말 가우징, 기계적 가우징, 불꽃 가우징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며, 불꽃 발생이나 부식물 남아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에서 용접성 시험의 분류에 들지 않는 것은?

  1. 노치취성시험
  2. 용접부의 연성시험
  3. 모재와 용접금속의 균열시험
  4. 이음부의 기계적 성질시험
(정답률: 54%)
  • 이음부의 기계적 성질시험은 용접부의 기계적인 강도, 인성, 경도 등을 측정하는 시험이 아니라, 이음부의 기계적인 성질을 측정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용접성 시험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초음파 탐상 시험(UT)에 사용되는 주파수(진동수)의 범위는 어느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0.5 - 15㎒
  2. 15 - 100㎒
  3. 100 - 150㎒
  4. 0.05 - 0.5㎒
(정답률: 64%)
  • 초음파 탐상 시험(UT)에서는 검사 대상물질의 두께와 소재에 따라 적절한 주파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얇은 물질일수록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두께가 두꺼운 물질일수록 낮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주파수 범위가 0.5 - 15㎒인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 범위는 일반적으로 산업용 초음파 검사에 많이 사용되며, 두께가 1mm 이상인 대부분의 소재에 적합합니다. 또한, 이 범위는 검사 대상물질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기에 적합한 범위입니다.

    그러나, 검사 대상물질의 두께와 소재에 따라 다른 주파수 범위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대상물질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에서 엔드탭(end tap)을 붙여서 시공해야 하는 용접법은?

  1. 심용접
  2. TIG 용접
  3. 서브머지드용접
  4. 아크 점용접
(정답률: 77%)
  • 서브머지드용접은 용접 시에 용접봉을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용접을 진행하기 때문에 엔드탭(end tap)을 붙여서 시공해야 합니다. 다른 용접법들은 용접봉을 수동으로 공급하거나 용접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엔드탭을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TIG 용접이음부의 불순물 제거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와이어 브러시
  2. 이염화탄소
  3. 삼염화에틸렌
  4. 염화암모늄
(정답률: 66%)
  • 염화암모늄은 TIG 용접에서 사용되는 불순물 제거제 중 하나이지만, 그리 안전한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염화암모늄은 인체에 유해하며, 불순물 제거에 사용할 경우 환경오염의 위험성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대안인 와이어 브러시, 이염화탄소, 삼염화에틸렌 등이 사용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니켈 합금이 아닌 것은?

  1. 콘스탄탄(Constantan)
  2. 인코넬(Inconel)
  3. 모넬메탈(Monel Metal)
  4. 다우메탈(Dow Metal)
(정답률: 47%)
  • 다우메탈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합금으로, 단순히 다우 케미컬(Dow Chemical)에서 상표 등록을 위해 만든 이름입니다. 따라서, 다우메탈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는 니켈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톰백(Tombac) 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1. 0.3∼0.8% Zn의 황동
  2. 1.2∼3.7% Zn의 황동
  3. 5∼20% Zn의 황동
  4. 30∼40% Zn의 황동
(정답률: 77%)
  • 톰백은 구리와 아연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일반적으로 5~20% 정도의 아연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20% Zn의 황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벌즈 아이 조직(Bull's eye structure)이란 어느 주철에 나타나는 조직인가?

  1. 구상흑연주철
  2. 가단주철
  3. 고급주철
  4. 칠드주철
(정답률: 74%)
  • 벌즈 아이 조직은 구상흑연주철에 나타나는 조직입니다. 이는 구상흑연주철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결정 구조로, 중심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큰 결정이 있고 그 주변에 작은 결정들이 배열되어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용접비드 끝에서 오목하게 패인 곳으로, 불순물과 편석이 발생하기 쉽고 냉각중에는 균열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것은?

  1. 스패터(spatter)
  2. 크레이터(crater)
  3. 자기쏠림
  4. 은점
(정답률: 79%)
  • 용접비드 끝에서 오목하게 패인 곳은 용접 중에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금속이 녹아 흐르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 때, 금속이 녹아 흐르면서 불순물과 편석이 발생하고, 냉각 중에는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용접 부위의 강도가 약해지고 결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크레이터는 용접비드 끝에서 오목하게 패인 부분이 깊게 파여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용접 중에 금속이 녹아 흐르면서 생긴 스패터가 용접비드 주변에 쌓이고, 그 위에 다시 용접을 하면서 스패터가 녹아 흐르면서 크레이터 형태를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결함은 강도가 약해지고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용접 시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자기쏠림은 용접 후에 생기는 현상으로, 용접 부위의 금속이 자기장에 노출되면서 자기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금속이 수축하면서 생기는 결함입니다.

    은점은 용접 시에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 부위에 불순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섞여서 생기는 작은 구멍이나 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용접비드 끝에서 오목하게 패인 곳으로 불순물과 편석이 발생하기 쉽고 냉각중에는 균열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것은 크레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철, 비철금속,고합금강의 절단에 가장 적합한 절단법은?

  1. 산소창 절단(oxygen lance cutting)
  2. 분말절단(powder cutting)
  3. TIG절단
  4. MIG 절단
(정답률: 72%)
  • 분말절단은 고온과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금속을 분해시키는 방식으로, 주철, 비철금속, 고합금강 등 다양한 금속재료에 적용 가능합니다. 이 방식은 고온과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금속을 분해시키기 때문에, 절단면이 매우 깨끗하고 정확하며, 열변형이 적어서 금속재료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철, 비철금속, 고합금강의 절단에 가장 적합한 절단법은 분말절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기 아크용접시 감전의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

  1. 좁은 장소의 작업에서는 신체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한다.
  2. 절연이 완전한 홀더를 사용한다.
  3. 무부하 전압이 높은 것을 사용한다.
  4. 의복,신체 등이 땀이나 습기에 젖지 않도록 하고 안전 보호구를 착용한다.
(정답률: 94%)
  • "무부하 전압이 높은 것을 사용한다."는 틀린 방지대책입니다. 무부하 전압이 높을수록 감전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전압을 사용하고 전기적으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정격2차전류 300A, 정격사용률 40%인 용접기로 200A의 용접전류 사용시, 허용사용률은?

  1. 60%
  2. 90%
  3. 120%
  4. 150%
(정답률: 59%)
  • 정격2차전류 300A 중 4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 가능한 전류는 300A x 0.4 = 120A 입니다. 따라서 200A의 용접전류를 사용하면, 허용 사용률은 200A / 120A x 100% = 166.67% 입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 가장 가까운 150%보다는 작고, 120%보다는 크므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용접으로 인한 변형교정 방법중에서 가열에 의한 교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얇은 판에 대한 점 수축법
  2.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
  3. 후판에 대한 가열후 압력을 주어 수냉하는 법
  4. 로울러에 의한법
(정답률: 74%)
  • 로울러에 의한법은 용접 후에 용접부위를 로울러(구르는 기계)로 구르면서 교정하는 방법으로, 가열에 의한 교정이 아닌 기계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얇은 판에 대한 점 수축법은 용접 후에 용접부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점으로 나누어 각 점에서 수축량을 측정하여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은 용접 후에 용접부위를 일정한 길이로 자르고 그 길이를 측정하여 수축량을 계산하여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후판에 대한 가열후 압력을 주어 수냉하는 법은 용접 후에 용접부위를 가열한 후에 냉각시켜 수축량을 교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용접에 자동제어 장치를 설치하여 생산공정에 투입시의 특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산속도와 노동조건이 향상된다.
  2. 노동력이 줄어들어 인건비가 감소한다.
  3.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고 불량품이 감소된다.
  4. 생산설비의 수명이 짧아진다.
(정답률: 91%)
  • 생산설비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것은 자동제어 장치를 설치하면 기존의 용접기보다 더 많은 전기적인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어 기계 부품의 마모가 더욱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동제어 장치를 사용하면 용접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기계 부품의 마모가 더욱 빨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생산설비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방사선 투과시험에서 필름(사진)의 상을 식별하는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1. 투과도계(penetrameter)
  2. 가스(gas)
  3. 심(shim)
  4. 증감지
(정답률: 82%)
  • 방사선 투과시험에서 필름의 상을 식별하는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투과도계입니다. 이는 방사선이 투과하는 두께를 측정하여 필름에 나타나는 검은색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가스, 심, 증감지는 방사선 투과시험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내식성 알루미늄 합금이 아닌 것은?

  1. 하이드로 날리움(Hydronalium)
  2. 알민(Almin)
  3. 알드리(Aldrey)
  4. 초듀랄루민(Super duralumin)
(정답률: 65%)
  • 초듀랄루민은 알루미늄 합금 중에서도 가장 강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내식성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알루미늄 합금이지만 초듀랄루민만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 가?

  1. 신뢰성
  2. 정확성
  3. 정밀도
  4. 오차
(정답률: 52%)
  • 정확성은 측정 결과의 평균값과 참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확성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정 결과의 일관성, 측정값의 정확도, 측정값의 정밀도 등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취급되어야 할 대상설비의 결정
  2. 정비작업에서 점검시기의 결정
  3. 대상설비 점검개소의 결정
  4.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
(정답률: 84%)
  • 예방보전의 기능은 대상설비의 결정, 점검시기 결정, 대상설비 점검개소 결정과 같은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여 장비의 이상을 예방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은 예방보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정답입니다. 이는 대상설비를 외주에 맡길 것인지, 자체적으로 관리할 것인지 등의 경영적인 결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리한계선을 구하는데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관리선을 구하는 관리도는?

  1. Pn 관리도
  2. U 관리도
  3. 관리도
  4. X 관리도
(정답률: 59%)
  • Pn 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관리하는 관리도입니다. 이항분포는 성공과 실패 두 가지 결과만을 가지는 시행에서 성공의 확률이 일정하고, 각 시행이 서로 독립적일 때 사용됩니다. Pn 관리도는 제품의 불량률을 이항분포로 모델링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품의 개수를 관찰하여, 불량률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Pn 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관리한계선을 구하는 관리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로트(Lot)수를 가장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1회 생산수량을 의미한다.
  2.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
  3. 생산목표량을 기계대수로 나눈 것이다.
  4. 생산목표량을 공정수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31%)
  • 로트(Lot)수는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입니다. 즉, 한 번의 생산에서 몇 개의 제품을 만들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데이터를 보고 편차 제곱합(S)을 구하면?(단, 소숫점 3자리까지 구하시오.)

  1. 0.338
  2. 1.029
  3. 0.114
  4. 1.014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정 도시기호중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 도시기호는?

(정답률: 59%)
  • 보조 도시기호 ""는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생략된 부분은 해당 공정계열의 모든 공정을 포함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가 "A"라는 공정계열을 나타내는 경우, ""를 사용하면 A계열의 모든 공정을 포함한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