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용접기능장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다음 용접법 중 압접(壓接)에 속하는 것은?

  1. TIG용접
  2. 서브머지드용접
  3. 테르밋용접
  4. 전기저항용접
(정답률: 61%)
  • 압접(壓接)은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용접법입니다. 따라서 전기저항용접은 압력을 가하지 않고 전기적인 열로 부품을 접합하는 용접법이므로 압접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저항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직류 아크 용접에서 용접봉을 용접기의 음(-)극에, 모재를 양(+)극에 연결한 경우의 극성은?

  1. 직류 영극성
  2. 직류 용극성
  3. 직류 정극성
  4. 직류 역극성
(정답률: 73%)
  • 직류 아크 용접에서는 용접봉을 음극에, 모재를 양극에 연결하여 전류를 흐르게 합니다. 이때 전류의 방향은 용접봉에서 모재로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극성을 직류 정극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격 2차 전류가 300[A], 정격사용률이 40[%]인 용접기로 180[A]로 용접할 때, 허용사용률[%]은?

  1. 약 111[%]
  2. 약 101[%]
  3. 약 91[%]
  4. 약 121[%]
(정답률: 8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용접봉의 건조온도가 300 ∼ 350[℃]인 것은?

  1. E4301
  2. E4303
  3. E4311
  4. E4316
(정답률: 89%)
  • 용접봉의 건조온도는 용접 전에 봉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온도입니다. 이때, 용접봉의 재질에 따라 건조온도가 다르게 설정됩니다.

    따라서, E4316은 모리브덴 합금강 용접봉으로, 건조온도가 300 ∼ 350[℃]인 것입니다. 다른 보기인 E4301, E4303, E4311은 각각 탄소강, 저합금강, 고합금강 용접봉으로, 건조온도가 다르게 설정됩니다.

    따라서, E4316이 건조온도가 300 ∼ 350[℃]인 이유는 해당 용접봉의 재질이 모리브덴 합금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피복 배합제중 아크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은?

  1. 탄산나트륨(Na2CO3)
  2. 붕산(H3BO3)
  3. 알루미나(Al2O3)
  4. 마그네슘(Mg)
(정답률: 70%)
  • 아크안정은 전해질의 이온화를 억제하여 전해질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탄산나트륨은 이온화된 나트륨 이온과 탄산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탄산 이온은 전해질의 이온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탄산나트륨은 아크안정에 도움이 되는 피복 배합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내균열성이 가장 좋은 피복아크 용접봉의 계통은?

  1. 일미나이트계
  2. 라임티탄계
  3. 고산화티탄계
  4. 저수소계
(정답률: 87%)
  • 저수소계는 피복아크 용접봉의 계통 중에서 내균열성이 가장 우수한 계통입니다. 이는 저수소계 용접봉이 용접 후에도 내부 응력이 적게 발생하며, 용접부의 강도와 인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수소계 용접봉은 용접 후에도 용접부의 변형이 적어 용접부의 형상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저수소계 용접봉은 고객의 요구에 맞는 용접부를 만들기 위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강용 피복금속아크 용접봉의 종류중 철분 산화철계에 해당되는 것은?

  1. E4324
  2. E4340
  3. E4326
  4. E4327
(정답률: 80%)
  • 철분 산화철계에 해당되는 것은 "E4327"입니다. 이는 AWS(American Welding Society)에서 정한 용접봉 규격 중 하나로, 철분 산화철계에 사용되는 용접봉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규격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피복 아크 용접에서 아크 길이가 길어지면 전압은 어떻게 되는가?

  1. 낮아진다.
  2. 높아졌다 낮아진다.
  3. 높아진다.
  4. 변동없다.
(정답률: 49%)
  • 피복 아크 용접에서 아크 길이가 길어지면 전압은 높아진다. 이는 아크 길이가 길어지면 전류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전압이 상승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크 길이가 길어지면 전압을 높여야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접방법중 용착효율(deposition efficiency)이 가장 낮은 것은?

  1. 서브머어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
  2. 플럭스 코어 용접(flux cored welding)
  3.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inert gas metal arc welding)
  4. 피복전기 용접(coated electrode welding)
(정답률: 73%)
  • 피복전기 용접은 용접봉의 피복재가 용융되면서 가스와 슬래그를 생성하므로, 이러한 소모물들이 용접효율을 낮추게 됩니다. 따라서 피복전기 용접은 용착효율이 가장 낮은 용접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스용접이나 절단에 사용되는 용접가스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연소속도가 느릴 것
  2. 불꽃의 온도가 높을 것
  3. 발열량이 클 것
  4. 용융금속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것
(정답률: 75%)
  • 답: "연소속도가 느릴 것"

    가스 용접이나 절단에 사용되는 용접 가스는 연소 속도가 빠르고 불꽃의 온도가 높아야 합니다. 이는 용접 작업 시 용접 부위의 금속을 빠르게 용융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연소 속도가 느린 가스는 용접 작업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스카핑(scarfing)작업은 어느 것인가?

  1. 탄소 또는 흑연 전극봉과 모재와의 사이에 아크를 일으켜서 절단하는 방법이다.
  2. 강재 표면의 탈탄층 또는 홈을 제거하기 위해 얇게 타원형 모양으로 넓게 표면을 깎는 것이다.
  3. 탄소 아크 절단에 압축공기를 병용한 방법으로 결함제거, 절단 및 구멍뚫기 작업이다.
  4. 일종의 수중절단(under water cutting)이다.
(정답률: 95%)
  • 강재 표면의 탈탄층 또는 홈을 제거하기 위해 얇게 타원형 모양으로 넓게 표면을 깎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강판 두께 25.4[mm]를 가스 절단시에 드래그(drag)율을 보통 20[%]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이때 드래그 길이 (drag length)는 약 얼마 정도인가?

  1. 3.5[mm]
  2. 5.08[mm]
  3. 5.85[mm]
  4. 6.45[mm]
(정답률: 71%)
  • 드래그(drag) 길이는 강판 두께에 드래그율을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드래그 길이 = 25.4[mm] x 20[%] = 5.08[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8[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중가스절단 작업이 가능한 물깊이는 다음 중 얼마정도까지 인가?

  1. 110m
  2. 125m
  3. 45m
  4. 10m
(정답률: 75%)
  • 수중가스절단 작업은 수중에서 금속 등을 절단하는 작업으로, 가스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가스의 압력이 높을수록 절단 능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물의 압력이 높은 깊이에서는 작업이 어렵다. 일반적으로 수중가스절단 작업은 45m 이하의 얕은 깊이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정답은 "4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스 절단 토오치에는 동심형(同心型)과 이심형(異心型)이 있다. 이심형은 무슨식이라고도 하는가?

  1. 영국식이라고 한다.
  2. 프랑스식이라고 한다.
  3. 독일식이라고 한다.
  4. 스위스식이라고 한다.
(정답률: 86%)
  • 이심형 가스 절단 토오치는 독일에서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독일식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장치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

  1. 와이어 송급장치,접촉팁,용제호퍼를 일괄하여 용접헤드라 한다.
  2. 용접헤드는 주행 대차의 가이드 레일 위나 강판 위를 이동하게 된다.
  3. 송급속도 조정은 전압제어 장치에 의해 항상 아크길 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4. 용접 후 용융되지 않은 용제는 진공회수 장치로 회수하여 폐기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용접 후 용융되지 않은 용제는 진공회수 장치로 회수하여 폐기한다."가 아닙니다.

    해당 설명은 올바릅니다.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장치는 용접 시 용접봉(와이어)과 용제(플럭스)를 함께 사용하는데, 용접 후 용제가 용융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을 경우 용접부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부식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진공회수 장치로 회수하여 폐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서브머지드 용접(submerged weld)과 같은 대전류를 사용하는 것에 알맞는 용융금속의 이행 방법은?

  1. 직선이행
  2. 스프레이이행
  3. 핀치효과이행
  4. 폭발형이행
(정답률: 48%)
  • 서브머지드 용접과 같은 대전류를 사용하는 경우, 용융금속의 이행 방법으로는 핀치효과이행이 적합합니다. 이는 전극과 작업물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전류의 밀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용접 부위에서 높은 열과 압력을 발생시켜 용융금속을 형성하고 결합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용접 부위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중 미그(MIG)용접의 와이어(wire)송급장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푸시(push)방식
  2. 푸시-아웃(push-out)방식
  3. 풀(pull)방식
  4. 푸시-풀(push-pull)방식
(정답률: 93%)
  • 푸시-아웃(push-out)방식은 미그(MIG)용접에서 사용되지 않는 송급장치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와이어를 송급할 때, 송급롤러가 와이어를 밀어내는(push) 방식으로 송급하면서 동시에 와이어의 끝을 자동으로 잘라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와이어의 송급과 잘라내기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송급장치와 잘라내기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탄산가스 아크용접 즉 CO2 용접에서 다음중 어느 극성으로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가? (단, 복합와이어는 사용하지 않음)

  1. 교류(AC)를 사용하므로 극성에 제한이 없다.
  2. 직류(DC)전원을 사용하며 극성에 제한없다.
  3. 직류정극성(DCSP)을 사용한다.
  4. 직류역극성(DCRP)을 사용한다.
(정답률: 65%)
  • 탄산가스 아크용접에서는 양극성보다는 음극성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직류역극성(DCRP)을 사용하여 음극성으로 연결해야 한다. 이는 양극성으로 연결할 경우 아크가 불안정하고 용접이 부실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lux cored arc weld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용접속도를 빨리할 수 있다.
  2. 용착률(deposition rate)이 상당히 크다.
  3. 용입(penetration)은 미그(MIG)용접보다 작다.
  4. 아래보기 이외의 자세용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83%)
  •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은 미그용접보다 용입(penetration)이 크기 때문에, 주어진 보기 중 "용입(penetration)은 미그(MIG)용접보다 작다."가 틀린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플라스마(plasma)를 구성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양이온 (positive ions)
  2. 중성자 (neutral atoms)
  3. 음전자 (negative electrons)
  4. 양전자 (positive electrons)
(정답률: 73%)
  • 양전자는 존재하지 않는 입자입니다. 전자는 음전하를 가지는 입자이기 때문에, 양전하를 가지는 입자인 양전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플라스마를 구성하는 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은 전자 빔 용접(electron beam welding)의 응용범위에 대하여 열거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천공
  2. 후판의 용접
  3. 미크론(micron)용접
  4. 스카핑(scarfing)
(정답률: 84%)
  • 스카핑(scarfing)은 전자 빔 용접의 응용범위가 아니라, 금속재료의 표면을 정밀하게 깎아내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주로 파이프나 강관의 용접 부위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재를 겹쳐 놓은 상태에서 접착할 부분의 작은 면적에 전극을 가압하여 저항 용접하는 것으로서,일반적으로 얇은 판의 용접에 잘 쓰이며 자동차,철도차량, 전기기기,제관등의 판금관계에 널리 응용되는 용접은?

  1. 탄소 아크 용접
  2. 원자수소 용접
  3. 스터드(stud) 용접
  4. 스포트(spot) 용접
(정답률: 81%)
  • 스포트 용접은 모재를 겹쳐 놓은 상태에서 작은 면적에 전극을 가압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얇은 판의 용접에 적합하며 자동차, 철도차량, 전기기기, 제관 등의 판금관계에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스포트 용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용접부에 생기는 용접 균열 결함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로 균열
  2. 세로 균열
  3. 플랭크 균열
  4. 비드밑 균열
(정답률: 80%)
  • 플랭크 균열은 용접 부위에서 발생하는 결함 종류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나무재질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용접 부위에서 발생하는 균열 결함 종류는 가로 균열, 세로 균열, 비드밑 균열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황동용접시 산화아연으로 인한 중독을 방지하는 방법은?

  1. 마스크를 냉수에 적시어 사용한다.
  2. 마스크를 온수에 적시어 사용한다.
  3. 마스크를 가성소다액에 적시어 사용한다.
  4. 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률: 60%)
  • 산화아연 중독은 황동용접 시 발생하는데, 이는 산화아연이 발생하여 마스크를 통해 들어온 공기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스크를 가성소다액에 적시면, 산화아연이 중화되어 흡입되는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기 용접때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1. 접지 설비
  2. 전류계 설치
  3. 고압계 설치
  4. 작업등 설치
(정답률: 98%)
  • 전기 용접 작업 시에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매우 큰 위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는 접지 설비가 가장 중요합니다. 접지 설비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지면으로 흡수하여 인체에 흡수되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전기적인 에너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전기 용접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접지 설비를 설치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의 용접성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티그나 미그 용접방법으로 하면 좋다.
  2. 오스테나이트(austenite)강의 용접성이 마텐자이트(martensite)강보다 좋다.
  3. 될수있는한 저온에서 용접하면 좋다.
  4. 피복전기 용접법으로 할 때는 직류정극성(DCSP)이 좋다.
(정답률: 55%)
  • "피복전기 용접법으로 할 때는 직류정극성(DCSP)이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피복전기 용접법에서는 직류반전극성(DCRP)이 더욱 적합합니다. 이는 용접 전극의 양극성과 용접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용접 부위의 열이 더욱 집중되어 용접이 더욱 깊고 강력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백선철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파면이 회색이다.
  2. 경도가 크고 절삭이 곤란하다.
  3. 제강용으로 사용한다.
  4. 탄소는 철과 화합상태로 되어있다.
(정답률: 71%)
  • "파면이 회색이다."는 백선철에 대한 특징이 아니라, 철강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파괴 시험 방법 중 하나인 파괴 시험에서 파면이 생길 때 나타나는 색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파면이 회색이다."가 백선철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철의 용접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균열의 보수는 균열의 연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균열의 끝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2. 큰 물건이나 두께가 다른 것을 용접할 때는 예열과 후열후 서냉작업을 반드시 행한다.
  3. 비드 배치는 길게 하고 용입을 깊게 하도록 한다.
  4. 용접전류는 필요 이상 높이지 말고 직선 비드를 배치한다.
(정답률: 76%)
  • "비드 배치는 길게 하고 용입을 깊게 하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오히려 비드 배치를 짧게 하고 용입을 얕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비드가 길면 열이 축적되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용입을 깊게 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열이 축적되어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비드 배치는 짧게 하고 용입을 얕게 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조용 Mg합금으로 Mg - Al계 합금의 대표적인 것은?

  1. 다우메탈(dow metal)
  2. 엘렉트론(elektron)
  3. 미쉬메탈(misch metal)
  4. 반메탈(bahm metal)
(정답률: 62%)
  • 다우메탈은 Mg-Al-Mn 합금으로, 주조용 Mg 합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입니다. 이는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가벼운 무게, 내식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항공기, 자동차, 자전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다우케미칼(Dow Chemical)에서 개발되어 그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풀림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확산풀림
  2. 구상화풀림
  3. 완전풀림
  4. 등온풀림
(정답률: 52%)
  • 등온풀림은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액체와 기체가 평형을 이루는 현상을 말합니다. 다른 세 가지 풀림은 모두 온도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등온풀림은 온도가 변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등온풀림은 풀림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두께가 다른 여러가지 용접물을 노(爐)내에서 응력제거 열처리를 하고자 한다. 열처리 방법 중 알맞은 것은?

  1. 가장 두꺼운 용접물을 기준으로 열처리 시간을 정한다.
  2. 용접물의 평균 두께를 측정하여 열처리 시간을 정한다.
  3. 두께별로 분류하여 2단계(2 step method)로 열처리 한다.
  4. 두께가 1[inch] 이상 차이나는 것은 분류하여 따로 열처리 하도록 한다.
(정답률: 68%)
  • 가장 두꺼운 용접물을 기준으로 열처리 시간을 정하는 이유는 두꺼운 용접물은 더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두꺼운 용접물에 충분한 열처리를 하면 얇은 용접물도 충분한 열처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두꺼운 용접물을 기준으로 열처리 시간을 정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응력 부식(corros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응력이 존재하면 부식이 촉진되는 것을 응력 부식이라 한다.
  2. 부식이 일어나면 응력이 증가한다.
  3. 응력이 집중되면 부식은 잘 안 일어난다.
  4. 재료에 인장응력이 가해지면 부식이 잘 안 일어난다.
(정답률: 77%)
  • 응력 부식은 재료에 인장, 압축, 굽힘 등의 응력이 가해질 때 부식이 촉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응력이 부식반응에 필요한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응력이 존재하면 부식이 촉진되는 것을 응력 부식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장을 받는 맞대기 용접이음에서 굽휨모멘트 : M[kgf-mm] 굽휨 응력 : σ b[kgf/mm2], 용접길이 : L[㎜]일 때, 용접치수 : t[㎜]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2%)
  • 정답은 ""입니다.

    용접치수 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 = (M / (σ b * L)) * 10

    여기서 M은 굽휨모멘트, σ b는 굽휨응력, L은 용접길이를 나타냅니다. 계산 결과를 10으로 곱해주는 이유는 단위를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M은 kgf-mm, σ b는 kgf/mm2, L은 mm이므로 t는 mm이 됩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재료의 안전율을 바르게 나타낸 식은? (단,안전율 > 1)

  1. 인장강도/탄성강도
  2. 허용응력/인장강도
  3. 인장강도/허용응력
  4. 인장강도/극한강도
(정답률: 60%)
  • 재료의 안전율은 허용응력 대비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를 허용응력으로 나눈 "인장강도/허용응력"이 정답입니다. 안전율이 1보다 크면 재료가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그(jig)를 구성하는 기계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작물의 내마모장치
  2. 공작물의 위치 결정장치
  3. 공작물의 클램핑장치
  4. 공구의 안내장치
(정답률: 60%)
  • 지그는 공작물을 고정하고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며, 이를 구성하는 기계 요소로는 공작물의 위치 결정장치, 클램핑장치, 공구의 안내장치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공작물의 내마모장치"는 지그를 구성하는 기계 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내마모장치는 공작물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지그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탄소강에 대한 후열처리의 기능을 틀리게 기술한 것은?

  1. 잔류응력 경감
  2. 인성(toughness)증가
  3.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함량 증가
  4. 균열 감수성 증가
(정답률: 36%)
  •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함량 증가는 탄소강의 후열처리 과정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올바른 기술은 "펄라이트 조직의 형성"입니다. 후열처리를 통해 탄소강의 조직을 변화시켜 펄라이트 조직을 형성하면 잔류응력이 경감되고 인성과 균열 감수성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용접 결함과 그 원인을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1. 변형 - 용접부의 과열
  2. 기공 - 용접봉의 습기
  3. 슬래그 혼입 - 전층의 슬랙제거 불완전
  4. 용입부족 - 수소용해량의 과다
(정답률: 88%)
  • 용입부족은 용접 시 필요한 용접재료가 충분하지 않아 용접부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는 결함입니다. 이는 수소가 용접부에 과다하게 존재하게 되어 수소용해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용접부의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용접부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용접 금속이 응고할 때 방출된 가스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상당히 큰 거품으로 주위가 먼저 응고된 경우에 형성되는 용접 구조상의 결함은?

  1. 피트(pit)
  2. 은점(fish eye)
  3. 슬랙섞임(slag inclusion)
  4. 선상조직(ice flower structure)
(정답률: 38%)
  • 가스가 방출되면 용융 금속 주변에 거품이 형성되고, 이 거품이 응고할 때 주변 금속이 빠져나가면서 작은 구멍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구멍을 피트(pit)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용접부 균열 발생에 대한 원인 설명 중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모재안에 황 함유량이 많을 때
  2. 용접봉의 선택을 잘못했을 때
  3. 적정한 예열, 후열을 하지 않았을 때
  4. 수축이 큰 이음을 먼저 용접하였을 때
(정답률: 76%)
  • 수축이 큰 이음을 먼저 용접하였을 때는 용접 후 냉각 시 수축이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용접 부위의 길이가 길어지면 더욱 심해집니다. 따라서 용접 시에는 수축이 적은 이음부터 용접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용접후 처리인 노내풀림 응력제거에서 두께 25[㎜] 보일러용 강판은 노내에서 몇 도로 몇 시간 유지해야 하는가?

  1. 625 ± 25[℃]에서 1시간
  2. 625 ± 25[℃]에서 2시간
  3. 725 ± 25[℃]에서 2시간
  4. 725 ± 25[℃]에서 1시간
(정답률: 73%)
  • 용접 후 처리인 노내풀림 응력제거는 용접으로 인해 발생한 내부 응력을 제거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강판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해야 합니다.

    두께 25[㎜]의 보일러용 강판은 일반적으로 625 ± 25[℃]에서 1시간 동안 유지됩니다. 이는 강판의 두께와 재질, 용접 후 발생한 응력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625 ± 25[℃]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는 이유는 이 온도 범위에서 강판의 내부 응력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1시간 이상 가열하면 강판의 구조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1시간 이내로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25 ± 25[℃]에서 1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저온응력 완화법에서는 용접선의 양쪽을 폭 150[㎜] 정도로 몇 [℃]정도 가열하였다가 수냉시키는가?

  1. 50 - 100[℃]
  2. 150 - 200[℃]
  3. 450 - 600[℃]
  4. 650 - 800[℃]
(정답률: 53%)
  • 용접선의 양쪽을 가열하여 완화시키는 이유는 용접시 발생하는 열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함입니다. 이때, 너무 낮은 온도로 가열하면 완화 효과가 미미하고, 너무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 용접선의 물성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온도대인 150 - 200℃로 가열하여 완화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열영향부(H.A.Z) 가장자리 가까운 곳에 나타나는 형이고 계단형태로, 구속을 많이 받는 용접부 또는 다층 용접부에서 용접 중 또는 용접직후 발생하는 용접결함은?

  1. 라멜라 균열(lamella tearing crack)
  2. 힐 크랙(heel crack)
  3. 토 균열(toe crack)
  4. 비드 밑 균열(under bead crack)
(정답률: 67%)
  • 열영향부(H.A.Z)는 용접 중에 매우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그 구조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때, 구속을 많이 받는 용접부나 다층 용접부에서는 열영향부(H.A.Z) 가장자리 부근에서 라멜라 균열(lamella tearing crack)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열영향부(H.A.Z)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 구조적 결함으로, 용접부의 인장응력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열영향부(H.A.Z) 가장자리 부근에서 라멜라 균열(lamella tearing crack)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탄소강의 용접부는 야금적으로 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무엇과 무엇인가?

  1. 원질부와 용착금속부
  2. 원질부와 열 영향부
  3. 과열금속부와 급냉금속부
  4. 용착금속부와 열 영향부
(정답률: 73%)
  • 탄소강의 용접부는 용착금속부와 열 영향부로 나누어진다. 용착금속부는 용접 과정에서 용재와 기초재가 녹아서 만들어진 신규 금속 부분으로, 용접부의 강도와 경도가 높다. 반면에 열 영향부는 용접 과정에서 급격한 열팽창과 급냉각으로 인해 기존의 금속 부분에서 열 영향을 받아 변형된 부분으로, 강도와 경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용접부의 품질을 평가할 때는 용착금속부와 열 영향부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열영향부(HAZ)의 재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1. 용접부의 예열과 후열
  2. 특수용가재 사용
  3. 고장력강 용접봉의 사용
  4. 특수플럭스(용제) 사용
(정답률: 83%)
  • 용접부의 예열과 후열은 열영향부(HAZ)의 재질을 향상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예열은 용접 전에 재료를 미리 가열하여 재료 내부의 응력을 완화시키고 용접 후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합니다. 후열은 용접 후에 재료를 가열하여 용접부의 결함을 최소화하고 재료 내부의 응력을 완화시킵니다. 이러한 예열과 후열은 열영향부(HAZ)의 재질을 더욱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은 것으로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체를 가열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이 혼합된 도전(導電)성을 띤 가스체를 적당한 방법으로 한 방향에 분출시켜, 각종 금속의 용접 및 절단 등에 이용하는 용접은?

  1.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2. MIG용접
  3. 피복아크 용접
  4. 플라스마 젯트 용접
(정답률: 83%)
  • 기체를 가열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이 혼합된 도전성을 띤 가스체를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을 플라스마 젯트 용접이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MIG용접, 피복아크 용접으로, 이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용접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후판절단 등에 쓰이는 절단산소 분출구의 알맞은 형상은?

  1. 직선형
  2. 동심형
  3. 다이버젠트형
  4. 저속다이버젠트형
(정답률: 48%)
  • 후판절단 등에서는 절단 작업 시 발생하는 열과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속의 산소 분출이 필요합니다. 이때 산소 분출구의 형상은 직선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직선형이 가장 간단하고, 산소 분출 시에도 안정적인 유동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직선형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도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따라서 후판절단 등에서는 직선형의 산소 분출구가 가장 적합한 형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X - 선 투과 시험으로 쉽게 검출되지 않는 용접결함은?

  1. 기공
  2. 미세한 비드 밑터짐
  3. 용입불량
  4. 슬래그 혼입
(정답률: 65%)
  • X-선 투과 시험은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미세한 비드 밑터짐은 용접부의 내부에 존재하지만 X-선 투과 시험으로는 쉽게 검출되지 않습니다. 이는 미세한 비드 밑터짐이 용접부의 표면과 매우 가깝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세한 비드 밑터짐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검사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모재에 라미네이션(LAMINATION)이 발생하였다. 이 결함을 찾는 데 가장 좋은 비파괴검사 방법은?

  1. 침투탐상시험
  2. 자분탐상시험
  3. 방사선 투과시험
  4. 초음파 탐상시험
(정답률: 72%)
  • 모재에 라미네이션은 내부 결함으로서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파괴검사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초음파 탐상시험은 고주파 파동을 이용하여 모재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라미네이션과 같은 내부 결함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초음파 탐상시험이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분탐상검사에서 피검사물의 자화방법은 물체의 형상과 결함의 방향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 하는데, 다음 중 그 분류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축통전법
  2. 코일법
  3. 극간법
  4. 회전법
(정답률: 72%)
  • 자분탐상검사에서 피검사물의 자화방법은 물체의 형상과 결함의 방향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됩니다. 이 중 "회전법"은 분류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회전법은 자화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자화된 물체를 회전시켜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회전법은 자화 방법이 아니라 검사 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TIG 용접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Ar 가스 속에서 용접한다.
  2. 텅스텐 전극을 사용한다.
  3. 심선을 전극으로 한다.
  4. 특수 아크용접에 속한다.
(정답률: 70%)
  • 심선을 전극으로 사용하는 것은 TIG 용접이 아닌 MMA 용접에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TIG 용접에서는 텅스텐 전극을 사용하며, 심선은 용접재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심선을 전극으로 한다."는 TIG 용접에 대한 설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Mg-Aℓ -Zn계 합금의 대표적인 것은?

  1. 도우메탈
  2. 엘렉트론
  3. 하이드로날륨
  4. 라우탈
(정답률: 30%)
  • 정답은 "엘렉트론"입니다.

    Mg-Al-Zn 합금은 경량화와 고강도화에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항공기,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합금은 Mg, Al, Zn 원소들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며, 이들 원소들은 각각 다른 전자 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 엘렉트론은 원자의 외부 전자껍질에 위치한 전자를 의미합니다. Mg-Al-Zn 합금에서는 이들 원소들의 전자 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이 혼합되면서 전자의 수가 조절되고, 이는 합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Mg-Al-Zn 합금은 엘렉트론의 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성질을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열팽창계수가 유리나 백금과 거의 동일하므로 전구 도입선에 사용되는 불변강은 어느 것인가?

  1. 플래티나이트(Platinite)
  2. 엘린바(Elinvar)
  3. 스텔라이트(Stellite)
  4. 인바(Invar)
(정답률: 50%)
  • 열팽창계수가 유리나 백금과 거의 동일한 불변강은 인바(Invar)입니다. 따라서, 플래티나이트(Platinite)가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용접시의 온도분포는 열전도율에 따라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다음 금속 중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

  1. 연강
  2. 알루미늄
  3. 스테인리스강
  4. 구리
(정답률: 50%)
  • 스테인리스강은 다른 금속에 비해 열전도율이 작습니다. 따라서 용접시에는 열이 집중되어 지역적으로 높은 온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용접부의 변형이나 균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니켈 65∼70%, 철 1.0∼3.0%, 나머지는 구리로 된 합금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하고 주조성과 단련이 잘되어 화학 공업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크로멜(chromel)
  2. 인코넬(inconel)
  3. 모넬메탈(monel metal)
  4. 콘스탄탄(constantan)
(정답률: 41%)
  • 니켈 함량이 높고 철 함량이 일정한 비율로 섞여있는 합금이며, 내식성이 우수하고 주조성과 단련이 잘되어 화학 공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 모넬메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샘플링 검사의 목적으로서 틀린 것은?

  1. 검사비용 절감
  2. 생산공정상의 문제점 해결
  3. 품질향상의 자극
  4. 나쁜 품질인 로트의 불합격
(정답률: 33%)
  • 샘플링 검사의 목적 중에서 "생산공정상의 문제점 해결"은 올바른 목적입니다. 이는 샘플링 검사를 통해 불량품이 발견되면 해당 생산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향후 불량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산공정상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키고, 검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월 100대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세이퍼 1대의 제품 1대당 소요공수가 14.4 H 라 한다. 1일 8 H, 월 25일, 가동한다고 할 때 이 제품 전부를 만드는데 필요한 세이퍼의 필요대 수를 계산하면? (단,작업자 가동율 80 %, 세이퍼 가동율 90 % 이다.)

  1. 8대
  2. 9대
  3. 10대
  4. 11대
(정답률: 46%)
  • 월 생산량은 100대이므로, 총 소요공수는 100 x 14.4 = 1440 H 입니다.
    하루 가동시간은 8시간, 월 가동일수는 25일이므로 총 가동시간은 8 x 25 = 200 시간입니다.
    작업자 가동율이 80% 이므로, 실제 가동시간은 200 x 0.8 = 160 시간입니다.
    세이퍼 가동율이 90% 이므로, 실제 세이퍼 가동시간은 160 x 0.9 = 144 시간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세이퍼 대수는 1440 / 144 = 10대 입니다.
    즉, 10대가 필요한 이유는 월 생산량과 가동시간, 가동율 등을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PERT/CPM에서 주공정(Critical path)은? (단, 화살표 밑의 숫자는 활동시간을 나타낸다.)

  1. ① - ③ - ② - ④
  2. ① - ② - ③ - ④
  3. ① - ② - ④
  4. ① - ④
(정답률: 45%)
  • 주공정은 ① - ② - ③ - ④ 이다. 이유는 PERT/CPM에서 주공정은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경로를 의미하는데, 이 경우 ① - ② - ③ - ④ 경로가 가장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 ② - ③ -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제품공정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공정간의 정체를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66%)
  • 제품공정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공정간의 정체를 나타내는 기호는 "" 입니다. 이 기호는 공정간의 연결을 나타내며, 이전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여 가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기호들은 각각 생산공정, 검사공정, 보관공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T Q C (Total Quality Control)란?

  1. 시스템적 사고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품질관리 기법이다.
  2. 아프터 서비스를 통한 품질을 보증하는 방법이다.
  3. 전사적인 품질정보의 교환으로 품질향상을 기도하는 기법이다.
  4. QC부의 정보분석 결과를 생산부에 피드백하는 것이다
(정답률: 67%)
  • TQC는 전사적인 품질정보의 교환으로 품질향상을 기도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모든 부서와 직원들이 품질관리에 참여하고, 품질정보를 공유하며,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계수값 관리도는 어느 것인가?

  1. R관리도
  2. 관리도
  3. P관리도
  4. 관리도
(정답률: 30%)
  • 계수값 관리도는 불량률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도로, P관리도가 해당된다. P관리도는 불량률의 변화를 추적하고, 불량률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 프로세스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