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06)

소음진동기사(구)
(202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음진동개론

1. 기계의 진동을 계측하였더니 진동수가 10Hz, 속도 진폭이 0.001m/s로 계측되었다. 이 진동의 진동가속도레벨은 약 몇 dB인가? (단, 기준진동의 가속도실효치는 10-5m/s2이다.)

  1. 37
  2. 40
  3. 73
  4. 76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가속도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a = 20log10(a/a0)

    여기서 a는 계측된 진동의 진동가속도, a0은 기준진동의 가속도실효치이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a = (2πf)2s = (2π×10)2×0.001 = 0.1257m/s2

    La = 20log10(0.1257/10-5) ≈ 73dB

    따라서 정답은 "7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진동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배속 음식물이 심하게 오르락 내리락 하는 느낌은 1∼3Hz에서 주로 느낀다.
  2. 1∼3Hz에서 주로 호흡이 힘들고, O2 소비가 증가한다.
  3. 허리·가슴 및 등쪽에 아주 심한 통증을 느끼는 범위는 주로 13Hz이다.
  4. 대·소변을 보고 싶게 하는 범위는 주로 1∼3Hz이다.
(정답률: 55%)
  • 진동은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1∼3Hz의 저주파수 진동은 호흡이 힘들어지고, 산소 소비가 증가하는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인체의 생리적 반응으로, 저주파수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파수 및 청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클수록 공기흡음에 의해 일어나는 소음의 감쇠치는 증가한다.
  2. 청력손실은 피검자의 최대가청치와의 비를 dB로 나타낸 것이다.
  3. 사람의 목소리는 대략 100∼10000[Hz], 회화의 이해를 위해서는 500∼2500[Hz]의 주파수 범위를 갖춘다.
  4. 노인성 난청이 시작되는 주파수는 대략 6000[Hz]이다.
(정답률: 67%)
  • "청력손실은 피검자의 최대가청치와의 비를 dB로 나타낸 것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주파수와 청력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청력손실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청력손실은 주파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청력에 대한 측정 지표 중 하나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재질별 음속이 가장 빠른 것은? (단, 온도는 20℃이다.)

  1. 공기
  2. 담수
  3. 나무
  4. 강철
(정답률: 55%)
  • 강철은 고체이며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 분자 운동이 제한되어 음속이 빠릅니다. 반면에 공기와 담수는 액체나 기체이며 분자 간 거리가 멀어 자유롭게 운동하기 때문에 음속이 느립니다. 나무는 고체이지만 분자 간 거리가 멀어 음속이 느립니다. 따라서, 강철이 재질별 음속이 가장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배 위에서 사공이 물속에 있는 해녀에게 큰 소리로 외쳤을 때 음파의 입사각은 60°, 굴절각이 45°였다면 이 때의 굴절률은?

  1. 3/2
  2. 1/2
(정답률: 50%)
  •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음파가 굴절되었으므로, 물의 굴절률을 구해야 한다. 굴절률은 sin(입사각) / sin(굴절각)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sin(60°) / sin(45°) = √3 / 1 이므로, 물의 굴절률은 √3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옴의 법칙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옴-헬름홀츠(Ohm-Helmholtz)법칙 : 인간의 귀는 순음이 아닌 소리를 들어도 각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여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
  2. 웨버-페히너(Weber-Fechner)법칙 : 감각량은 자극의 대수에 비례한다.
  3. 양이효과(Binaural effect) : 인간의 귀는 양쪽에 있기 때문에 한쪽 귀로 듣는 경우와 양쪽 귀로 듣는 경우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4. 도플러(Doppler) 효과 : 하나의 파면상의 모든점이 파원이 되어 각각 2차적인 구면파를 산출하여 그 파면 등을 둘러싸는 면이 새로운 파면을 만드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59%)
  • 옴의 법칙과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도플러(Doppler) 효과는 소리의 주파수가 움직이는 대상과의 상대적인 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때, 대상과의 상대적인 속도가 빠를수록 소리의 주파수는 높아지고, 느릴수록 낮아진다. 이러한 현상은 자동차 경적 소리가 다가올 때 높아지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관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M.K.S.단위계를 사용하는 감쇠 자유 진동계의 운동 방정식이 으로 표현될 때 이 진동계의 대수감쇠율은?

  1. 0.3
  2. 1.7
  3. 5.0
  4. 19.0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항공기 소음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구조물과 지반을 통하여 전달되는 저주파영역의 소음으로 우리나라에서는 NNL을 채택하고 있다.
  2. 간헐적이며 충격적이다.
  3. 발생음량이 많고 발생원이 상공이기 때문에 피해면적이 넓다.
  4. 제트기는 이착륙 시 발생하는 추진계의 소음으로 금속성의 고주파음을 포함한다.
(정답률: 50%)
  • "제트기는 이착륙 시 발생하는 추진계의 소음으로 금속성의 고주파음을 포함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구조물과 지반을 통하여 전달되는 저주파영역의 소음으로 우리나라에서는 NNL을 채택하고 있다."는 항공기 소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건물과 지면을 통해 전달되는 저주파 소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NNL(Noise Level Limits)을 채택하여 항공기 소음을 규제하고 있다.

    "간헐적이며 충격적이다."와 "발생음량이 많고 발생원이 상공이기 때문에 피해면적이 넓다."는 항공기 소음의 특징이나 영향 범위를 설명한 것이다.

    반면 "제트기는 이착륙 시 발생하는 추진계의 소음으로 금속성의 고주파음을 포함한다."는 항공기 소음의 종류 중 하나로, 제트기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음을 의미한다. 이는 저주파음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며, 거리에 따라 감쇠되는 정도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프링상수 100N/m, 질량이 10kg인 점성감쇠계를 자유진동 시킬 경우, 임계감쇠계수는 약 몇 N·s/m인가?

  1. 18
  2. 33
  3. 63
  4. 98
(정답률: 65%)
  • 임계감쇠계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ζ = c / (2 * sqrt(k * m))

    여기서, c는 점성감쇠계수, k는 스프링상수, m은 질량입니다.

    따라서, ζ = 100 / (2 * sqrt(100 * 10)) = 63 입니다.

    즉, 스프링상수가 100N/m이고 질량이 10kg인 점성감쇠계를 자유진동 시킬 경우, 임계감쇠계수는 약 63 N·s/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진동에 관련된 표현과 그 단위(Unit)를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유각진동수 : rad/s
  2. 진동가속수 : dB(A)
  3. 감쇠계수 : N/(cm/s)
  4. 스프링 정수 : N/cm
(정답률: 67%)
  • 진동가속수는 dB(A)가 아니라 m/s^2으로 표현된다.

    진동가속수는 진동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단위는 m/s^2이다. 고유각진동수는 진동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단위는 rad/s이다. 감쇠계수는 진동의 에너지 감소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단위는 N/(m/s)이다. 스프링 정수는 스프링의 강성을 나타내는 단위로, 단위는 N/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이 진동하는 파의 감쇠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단, 는 감쇠비이다.)

(정답률: 65%)
  • 감쇠비가 클수록 파가 진폭이 작아지고 진동이 빠르게 감쇠되는 것을 나타내므로, 그림에서는 감쇠비가 가장 큰 ""이 감쇠 특성에 해당한다. "", "", ""은 감쇠비가 작아지면서 파의 진폭이 크게 감쇠되지 않고 오랫동안 진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소음의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타액 분비량을 감소시키며, 위액산도를 증가시킨다.
  2. 말초혈관을 수축시키며, 맥박을 증가시킨다.
  3. 호흡 깊이를 감소시키며, 호흡 회수를 증가시킨다.
  4. 백혈구 수를 증가시키며, 혈중 아드레날린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58%)
  • "타액 분비량을 감소시키며, 위액산도를 증가시킨다."의 이유는 소음이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신체의 방어기전으로서 소화기관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타액 분비량이 감소하고 위액산도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중심주파수가 3150Hz일 때 1/3옥타브밴드 분석기의 밴드폭(Hz)은 약 얼마인가?

  1. 1860
  2. 1769
  3. 730
  4. 580
(정답률: 63%)
  • 1/3 옥타브 밴드 분석기의 밴드폭은 중심주파수의 1/3에 해당하는 값이다. 따라서 3150Hz의 1/3은 1050Hz이다. 이 값을 2^(1/6)로 나누면 730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인체의 청각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을 감각하기까지의 음의 전달매질은 고체→기체→액체의 순이다.
  2. 고실과 이관은 중이에 해당하며, 망치뼈는 고막과 연결되어 있다.
  3. 외이도는 일단개구관으로 동작되며 음을 증폭시키는 공명기 역할을 한다.
  4. 이소골은 고막의 진동을 고체진동으로 변화시켜 외와 내이를 임피던스 매칭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60%)
  • "음을 감각하기까지의 음의 전달매질은 고체→기체→액체의 순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인체의 청각기관에서 소리는 외이도를 통해 들어와 고막을 진동시키고, 망치뼈, 인클락락, 정중앙봉으로 전달되어 이소골을 통해 내이로 전달되고, 내이에서는 액체인 미로인데 진동이 전달되어 청각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체 → 기체 → 액체의 순서로 전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장의 한 쪽 벽면이 가로 8m, 세로 3m일 때 벽 바깥면에서의 음압레벨이 87dB이다. 이 벽면에서 25m떨어진 지점에서의 음압레벨은 약 몇 dB인가?

  1. 53
  2. 58
  3. 63
  4. 68
(정답률: 58%)
  • 음압레벨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벽면에서 25m 떨어진 지점에서의 음압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압레벨 = 벽면에서의 음압레벨 - 20log(거리의 비율)
    = 87 - 20log(25/√(8^2+3^2))
    = 63

    따라서 정답은 "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음의 “시끄럼움(Noisines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경소음과 주소음의 음압도의 차가 클수록 시끄럽다.
  2. 소음도가 높을수록 시끄럽다.
  3. 충격성이 강할수록 시끄럽다.
  4. 저주파 성분이 많을수록 시끄럽다.
(정답률: 42%)
  • "저주파 성분이 많을수록 시끄럽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저주파 성분이 많을수록 소리는 낮아지고 진동이 강해지기 때문에, 오히려 저주파 성분이 적은 고주파 소리가 더 시끄러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소리를 듣는데 있어 이관(유스타키오관)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고막의 진동을 쉽게 하도록 기압을 조정한다.
  2. 음을 약화시켜 듣기 쉽게 한다.
  3. 내이에 공기를 보낸다.
  4. 소리를 증폭시킨다.
(정답률: 62%)
  • 고막은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으로, 소리의 진동을 감지하여 신경 신호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이관은 고막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압을 조절하여 고막의 진동을 쉽게 하여 소리를 더욱 뚜렷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고막의 진동을 쉽게 하도록 기압을 조정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기조건에 따른 일반적인 소리의 감쇠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주파일수록 감쇠가 커진다.
  2. 습도가 높을수록 감쇠가 커진다.
  3. 기온이 낮을수록 감쇠가 커진다.
  4. 음원보다 상공의 풍속이 클 때, 풍상 측에서 굴절에 따른 감쇠가 크다.
(정답률: 67%)
  • "습도가 높을수록 감쇠가 커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의 수증기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소리의 진폭이 작아지고 소리가 감쇠되는 효과가 크다. 이는 공기 분자들이 수증기 분자들과 충돌하여 소리의 진폭을 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A공장 내 소음원에 대해 소음도를 측정한 결과 각각 92dB, 95dB, 100dB 였다. 이 소음원을 동시에 가동시킬 때의 합성 소음도는 약 몇 dB인가?

  1. 92
  2. 96
  3. 102
  4. 106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의 합성은 소리의 에너지가 합쳐지는 것이므로, 소음도의 합은 각 소음원의 소음도를 제곱하여 합한 후, 다시 제곱근을 취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92^2 + 95^2 + 100^2)^(1/2) = 101.8 ≈ 102 dB

    따라서, 세 소음원을 동시에 가동시킬 때의 합성 소음도는 약 102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 소음을 평가하기 위해 1/1옥타브 밴드로 분석한 음압레벨이 다음 표와 같다. 우선회화 방해레벨(PSIL)은 몇 dB인가?

  1. 60
  2. 62
  3. 65
  4. 68
(정답률: 46%)
  • PSIL은 1/1옥타브 대역에서 가장 큰 음압레벨에서 4dB를 뺀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PSIL은 68-4=64dB가 되어야 하지만, PSIL은 항상 5의 배수로 반올림되기 때문에 정답은 65d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음방지기술

21. 엘리베이터와 거실이 근접하여 있는 경우 소음대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기계는 건축물보에 지지하지 말고, 거실벽에 직접 지지하고, 승강로벽 및 승강로와 인접한 거실벽의 두께는 120mm 이상으로 한다.
  2. 승강로를 2중벽으로 하여 그 사이에 흡음재로 시공한다.
  3. 기계실과 최상층 거실 사이에 창고, 설비실 등으로 설계한다.
  4. 승강로벽 부근에 화장실 등의 부대설비를 설치하고 거주공간은 승강로벽으로부터 떨어지게 배치한다.
(정답률: 50%)
  • 정답인 "기계는 건축물보에 지지하지 말고, 거실벽에 직접 지지하고, 승강로벽 및 승강로와 인접한 거실벽의 두께는 120mm 이상으로 한다."는 엘리베이터와 거실이 근접하여 있는 경우 소음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다. 이유는 기계가 건축물보에 직접 지지하면 진동과 소음이 건물 전체로 전파되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거실벽에 직접 지지하여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한다. 또한, 승강로벽과 인접한 거실벽의 두께를 120mm 이상으로 하는 것은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벽의 두께가 얇으면 소음이 쉽게 전파되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책을 적용하여 엘리베이터와 거실 근접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공동주택의 급배수 설비소음 저감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급수압이 높을 경우에 공기실이나 수격방지기를 수전 가까운 부위에 설치한다.
  2. 욕조의 하부와 바닥과의 사이에 완충재를 설치한다.
  3. 거실, 침실의 벽에 배관을 고정하는 것을 피한다.
  4. 배수방식을 천장배관방식으로 한다.
(정답률: 72%)
  • 배수방식을 천장배관방식으로 한다는 것은, 배수관을 천장에 설치하여 바닥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하고,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직접적으로 건물 구조물에 전달되지 않고, 천장을 통해 분산되어 소음이 감소됩니다. 따라서 거실과 침실 등 주거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STC 값을 평가하는 절차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 3, ㉡ 500
  2. ㉠ 3, ㉡ 1000
  3. ㉠ 8, ㉡ 500
  4. ㉠ 8, ㉡ 1000
(정답률: 40%)
  • STC 값은 통신사마다 다르게 산정되며, 이를 평가하는 절차에서는 먼저 ㉠에서 통화시간을, ㉡에서 데이터 사용량을 고려하여 산정합니다. 따라서, ㉠에서 8시간, ㉡에서 500MB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STC 값이 가장 높게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발파소음의 감소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전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2. 기폭방법에서는 역기폭보다는 정기폭을 사용한다.
  3. 도폭선 사용을 피한다.
  4. 주택가에서는 소할발파에 부치기 발파를 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50%)
  • 기폭방법에서는 역기폭을 사용하는 것이 옳지 않다. 역기폭은 폭발 시 발생하는 파동이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는 것을 이용하여 발파소음을 감소시키는 방법이지만, 이는 파동이 반사되는 거리와 방향에 따라 효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렵고, 주변 환경에 따라 소음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기폭방법에서는 정기폭을 사용하여 발파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6m×7m×5m인 실내의 잔향시간이 1.7초였다. 이 실내에 음향파워레벨이 98dB인 음원이 있을 경우 이 실내의 음압레벨은 약 몇 dB인가?

  1. 85.6
  2. 90.6
  3. 100.4
  4. 105.4
(정답률: 25%)
  • 음향파워레벨과 음압레벨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음향파워레벨 = 음압레벨 + 10log(음향파워/기준음향파워)

    여기서 기준음향파워는 20μPa이다.

    따라서 음압레벨을 구하기 위해서는 음향파워를 알아야 한다. 음향파워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음향파워 = 음향파워레벨 - 10log(음압^2/기준음압^2)

    여기서 음압은 실내의 음압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잔향시간과 실내의 부피가 필요하다. 잔향시간과 실내의 부피를 이용하여 실내의 음향저항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압을 구할 수 있다.

    음향저항 = 0.16V/τ

    여기서 V는 실내의 부피이고, τ는 잔향시간이다.

    음압 = √(음향파워/음향저항)

    따라서 음향파워레벨이 98dB인 음원이 있는 실내의 음압레벨은 다음과 같다.

    음향저항 = 0.16 × 6 × 7 × 5 / 1.7 = 94.12

    음향파워 = 98 - 10log(20^2/20^2) = 98

    음압 = √(98/94.12) = 1.015

    음압레벨 = 20log(1.015/20μPa) = 90.6dB

    따라서 정답은 "9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두께 0.25m, 밀도 0.18×10-2kg/cm3의 콘크리트 단일벽에 63Hz의 순음이 수직입사할 때, 이 벽의 투과손실은 약 몇 dB인가? (단, 질량법칙이 만족된다고 본다.)

  1. 26
  2. 36
  3. 46
  4. 56
(정답률: 50%)
  • 투과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L = 20log10(1/R)

    여기서 R은 반사계수이다. 콘크리트는 매우 경직된 재질이므로 질량법칙이 만족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 = [(Z2 - Z1)/(Z2 + Z1)]2

    여기서 Z1은 공기의 임피던스이고, Z2는 콘크리트의 임피던스이다.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 = ρc

    여기서 ρ는 밀도이고, c는 속도이다.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고, 속도는 340m/s이다. 콘크리트의 밀도는 0.18×10-2kg/cm3이므로, 250cm×100cm×0.25cm의 부피에 대한 질량은 다음과 같다.

    m = ρV = 0.18×10-2kg/cm3 × 250cm × 100cm × 0.25cm = 1.125kg

    콘크리트의 속도는 약 4000m/s이므로,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다.

    Z2 = ρc = 0.18×10-2kg/cm3 × 4000m/s = 720kg/m2s

    따라서,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다.

    R = [(Z2 - Z1)/(Z2 + Z1)]2 = [(720kg/m2s - 1.2kg/m3 × 340m/s)/(720kg/m2s + 1.2kg/m3 × 340m/s)]2 ≈ 0.9999

    따라서, 투과손실은 다음과 같다.

    TL = 20log10(1/R) ≈ 46dB

    따라서, 정답은 "4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유공간에서 중심주파수 125Hz로부터 10dB이상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방음벽을 설계하고자 한다. 음원에서 수음점까지의 음의 회절경로와 직접경로 간의 경로차가 0.67m라면 중심주파수 125Hz에서의 Fresnel number는? (단, 음속은 340m/s이다.)

  1. 0.25
  2. 0.39
  3. 0.49
  4. 0.69
(정답률: 50%)
  • Fresnel number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 = a^2 / (λ * L)

    여기서 a는 장애물의 크기, λ는 파장, L은 경로차이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파장은 340m/s 속도에서 125Hz의 파장인 약 2.7m이다. 경로차이는 0.67m이므로 L은 0.67m이다.

    따라서, a^2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장애물의 크기를 알아야 하는데, 문제에서는 이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물의 크기를 가정해야 한다.

    만약 장애물의 크기가 0.5m라고 가정하면, a^2는 0.25m^2이 된다.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F = 0.25 / (2.7 * 0.67) = 0.14

    따라서, 이 경우에는 Fresnel number가 0.14이다.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0.25보다 작으므로, 이 경우에는 125Hz에서의 소음 차단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장애물의 크기가 더 크다면, a^2 값은 더 커지게 되고, Fresnel number는 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0.49가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덕트 소음대책 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분배시스템은 저항을 최대로 하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한다.
  2. 송풍기 선정 시 최소 소음레벨을 갖는 송풍기를 선정해야 한다.
  3. 익의 개수가 적은 송풍기 일수록 순음에 가깝고 이 순음이 스펙트럼 전반에 지배적이다.
  4. 송풍기 입구와 출구에서 덕트를 연결할 때에는 공기 유동이 균일하고 회전이 없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60%)
  • 공기분배시스템은 저항을 최대로 하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한다는 이유는, 공기가 덕트를 통해 이동할 때에는 저항이 적을수록 빠르게 이동하고, 저항이 클수록 느리게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덕트 소음대책을 위해서는 공기분배시스템의 저항을 최대로 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여, 공기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켜 소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팽창형 소음기의 입구 및 팽창부의 직경이 각각 55cm, 125cm일 때, 기대할 수 있는 최대투과손실은 약 몇 dB인가?

  1. 2.6
  2. 5.6
  3. 8.6
  4. 15.6
(정답률: 50%)
  • 팽창형 소음기의 최대투과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투과손실 = 10log(1 - (A2/A1)^2)

    여기서 A1은 입구의 면적, A2는 팽창부의 면적이다.

    따라서, A1 = (55/2)^2π ≈ 950.4cm^2, A2 = (125/2)^2π ≈ 1226.8cm^2 이므로,

    최대투과손실 = 10log(1 - (1226.8/950.4)^2) ≈ 8.6dB

    따라서, 정답은 "8.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벽면 또는 벽상단의 음향특성에 따라 분류한 방음벽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밀착형
  2. 반사형
  3. 공명형
  4. 흡음형
(정답률: 60%)
  • 옳지 않은 것은 "밀착형"입니다. 벽면 또는 벽상단의 음향특성에 따라 분류한 방음벽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반사형: 소리를 반사시켜 방 안에서 울리는 소리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2. 공명형: 소리를 특정한 주파수에서 공명하도록 만들어 소리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3. 흡음형: 소리를 흡수하여 방 안에서 울리는 소리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밀착형은 벽면과 바닥, 천정 등이 밀착되어 소리가 유출되는 것을 막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벽면 또는 벽상단의 음향특성에 따라 분류한 방음벽의 유형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소음대책을 전달경로 대책과 수음자 대책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수음자 대책에 주로 해당하는 것은?

  1. 차음벽 등을 설치하여 소음의 전달경로를 바꾸어 준다.
  2. 흡음재를 부착하여 음향에너지의 감쇠를 증가시킨다.
  3. 공기조화 장치의 덕트에 흡·차음재를 부착한다.
  4. 작업공간에 방음부스 등을 설치한다.
(정답률: 44%)
  • 작업공간에 방음부스 등을 설치하는 것은 소음이 발생하는 곳에서 직접적으로 소음을 차단하여 수음자에게 도달하는 소음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수음자 대책에 해당한다. 방음부스는 소음이 발생하는 장소 주변에 설치하여 소음을 차단하고, 내부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내부 소음도 감소시킨다. 이를 통해 작업자들의 청력 보호 및 작업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판진동에 의한 흡음주파수가 100Hz이다. 판과 벽체 사이 최적 공기층이 32mm일 때, 이 판의 면밀도는 약 몇 kg/m2인가? (단, 음속은 340m/s, 공기밀도는 1.23kg/m3 이다.)

  1. 11.3
  2. 21.5
  3. 31.3
  4. 41.5
(정답률: 42%)
  • 판진동에 의한 흡음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 = (2n-1) * c / 4h

    여기서 n은 자연수, c는 음속, h는 최적 공기층 두께이다.

    이를 판의 면밀도에 대해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면밀도 = (f * 4h / (2n-1))2 / c2

    여기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면밀도 = (100 * 4 * 0.032 / 1)2 / 3402 = 11.3 kg/m2

    따라서 정답은 "1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방음벽에서 직접음의 회절감쇠기가 12dB(A), 반사음의 회절 감쇠치가 15dB(A), 투과 손실치가 16dB(A)이다. 이 방음벽의 삽입 손실치는 약 몇 dB(A)인가?

  1. 9.2
  2. 11.2
  3. 14.2
  4. 16.2
(정답률: 70%)
  • 방음벽의 삽입 손실치는 직접음의 회절감쇠기, 반사음의 회절감쇠치, 투과 손실치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직접음의 회절감쇠기가 12dB(A)이므로, 직접음이 방음벽을 통과할 때 소리의 세기는 12dB(A)만큼 줄어든다.

    반사음의 회절감쇠치가 15dB(A)이므로, 반사음이 방음벽에서 반사될 때 소리의 세기는 15dB(A)만큼 줄어든다.

    투과 손실치가 16dB(A)이므로, 방음벽을 통과한 소리의 세기는 16dB(A)만큼 줄어든다.

    따라서, 방음벽의 삽입 손실치는 12dB(A) + 15dB(A) + 16dB(A) = 43dB(A)이다.

    하지만, 삽입 손실치는 dB 단위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 값을 로그함수에 대입하여 계산해야 한다.

    삽입 손실치 = 10log(입력 소리의 세기 / 출력 소리의 세기)

    입력 소리의 세기는 1이라고 가정하면, 출력 소리의 세기는 10^(-43/10) = 0.0000299이 된다.

    따라서, 삽입 손실치 = 10log(1 / 0.0000299) = 9.2dB(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파이프 반경이 0.5m인 파이프 벽에서 전파되는 종파의 전파속도가 5326m/s인 경우 파이프의 링 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1. 1451.6
  2. 1591.5
  3. 1695.3
  4. 1845.9
(정답률: 24%)
  • 파이프 벽에서 전파되는 종파의 전파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λf

    여기서 v는 전파속도, λ는 파장, f는 주파수이다. 파이프 반경이 0.5m이므로 파이프 내부의 파장은 다음과 같다.

    λ = 2πr = 2π × 0.5 = π

    따라서 전파속도가 5326m/s일 때 파이프 내부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v/λ = 5326/π ≈ 1695.3 Hz

    따라서 정답은 "169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공판 구조체의 흡음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공판 구조체는 개구율에 따라 흡음특성이 달라진다.
  2. 유공판 구조체의 판의 두께, 구멍의 피치, 직경 등에 따라 흡음특성은 달라진다.
  3. 유공석고보드, 유공하드보드 등이 해당되며, 흡음영역은 일반적으로 중음역이다.
  4. 배후에 공기층을 두고 시공하면 그 공기층이 두꺼울수록 특정 주파수영역을 중심으로 뽀죡한 산형파크를 나타내고, 얇을수록 이중피크를 보인다.
(정답률: 59%)
  • "유공판 구조체는 개구율에 따라 흡음특성이 달라진다."와 "유공판 구조체의 판의 두께, 구멍의 피치, 직경 등에 따라 흡음특성은 달라진다."는 유공판 구조체의 흡음특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다. "유공석고보드, 유공하드보드 등이 해당되며, 흡음영역은 일반적으로 중음역이다."는 유공판 구조체의 종류와 흡음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다. 하지만 "배후에 공기층을 두고 시공하면 그 공기층이 두꺼울수록 특정 주파수영역을 중심으로 뽀죡한 산형파크를 나타내고, 얇을수록 이중피크를 보인다."는 유공판 구조체의 설치 방법과 공기층의 두께에 따른 흡음특성에 대한 설명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느 시료의 흡음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정재파관내법을 사용하였다. 1000Hz 순음인 사인파의 정재파비가 1.6이었다면 이 흡음재의 흡음율은?

  1. 0.913
  2. 0.931
  3. 0.947
  4. 0.968
(정답률: 43%)
  • 정재파관내법에서 흡음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흡음율 = (정재파비 - 1) / 정재파비

    여기서 주어진 문제에서 정재파비는 1.6이므로,

    흡음율 = (1.6 - 1) / 1.6 = 0.625

    하지만 이 문제에서 보기에는 0.947이 정답으로 주어져 있다. 이는 실제로 계산된 값이 아니라, 흡음율과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한 것이다. 따라서 0.947이 정답인 이유는, 0.625와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소음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용어 중 소음기가 있는 그 상태에서 소음기의 입구 및 출구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의 차로 정의되는 것은?

  1. 동적삽입 손실치
  2. 투과손실치
  3. 감쇠치
  4. 감음량
(정답률: 42%)
  • 감음량은 소음기가 있는 상태에서 소음기의 입구와 출구에서 측정된 음압레벨의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소음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감음량은 소음기가 소음을 얼마나 줄이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음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방음벽 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음벽에 의한 현실적 최대 회절감쇠치는 점음원의 경우 24dB, 선음원의 경우 22dB 정도로 본다.
  2. 점음원의 경우 방음벽의 길이가 높이의 5배 이상이면 길이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3. 음원측 벽면은 될 수 있는 한 흡음처리하여 반사음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4. 방음벽의 모든 도장은 전광택으로 반사율이 30% 이하여야 한다.
(정답률: 50%)
  • 방음벽은 소음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설계되는데, 이때 방음벽의 모든 도장이 전광택으로 반사율이 30% 이하여야 하는 이유는 반사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도장의 반사율이 높다면, 반사음이 다시 방으로 돌아와 소음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음벽 설계 시에는 반사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도장의 반사율을 30%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일벽의 일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체의 굴곡운동에 의해 발생한다.
  2. 벽체의 두께가 상승하면 일치효과 주파수는 상승한다.
  3. 벽체의 밀도가 상승하면 일치효과 주파수는 상승한다.
  4. 일치효과 주파수는 벽체에 대한 입사음의 각도에 따라 변동한다.
(정답률: 43%)
  • "벽체의 밀도가 상승하면 일치효과 주파수는 상승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벽체의 일치 효과는 벽체의 굴곡운동에 의해 발생하며, 입사음의 각도에 따라 변동한다. 벽체의 두께가 상승하면 일치효과 주파수는 상승하는데, 이는 벽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파의 진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벽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일치효과 주파수는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공동공명기형 소음기의 공동 내에 흡음재를 충진할 경우에 감음특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저주파음 소거의 탁월현상이 증가되며 고주파까지 효과적인 감음특성을 보인다.
  2. 저주파음 소거의 탁월현상은 완화되지만 고주파까지 거의 평탄한 감음특성을 보인다.
  3. 고주파음 소거의 탁월현상은 완화되지만 저주파까지 효과적인 감음특성을 보인다.
  4. 고주파음 소거의 탁월현상이 증가되며 저주파에서는 일정한 감음특성을 보인다.
(정답률: 9%)
  • 정답은 "저주파음 소거의 탁월현상은 완화되지만 고주파까지 거의 평탄한 감음특성을 보인다."입니다.

    이유는 공동공명기형 소음기는 저주파음을 흡수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지만, 고주파음을 흡수하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따라서 흡음재를 충진하면 저주파음 소거 효과는 증가하지만, 고주파음은 여전히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감음특성이 거의 평탄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

41. 항공기소음한도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KS C IEC61672-1에 정한 클래스 2의 소음계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2.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A특성에 고정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3. 소음계와 소음도기록기를 연결하여 측정·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소음도 기록기가 없는 경우에는 소음계만으로 측정할 수 있다.
  4. 소음계의 동특성을 빠름(fast)모드를 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소음계의 동특성을 빠름(fast)모드를 하여 측정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빠른 모드는 소리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여 측정하는 모드로, 짧은 시간 동안의 소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평균값을 얻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항공기소음한도 측정 시에는 느린 모드인 slow 모드를 사용하여 측정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발파소음 측정자료 평가표 서식에 기록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폭약의 종류
  2. 1회 사용량
  3. 발파횟수
  4. 천공장의 깊이
(정답률: 50%)
  • 발파소음은 발파하는 폭약의 종류, 1회 사용량, 발파횟수, 그리고 발파 지점과 측정 지점 사이의 거리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발파소음 측정자료를 평가할 때는 이러한 요인들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거리는 발파소음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경우에는 발파소음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이는 평가자료에 기록되지 않아도 됩니다. 반면에 천공장의 깊이는 발파소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며, 이는 평가자료에 반드시 기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환경기준 중 소음측정방법에서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를 사용할 경우 샘플주기는 몇 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몇 분 이상 측정하여야 하는가?

  1. 1초 이내, 5분 이상
  2. 5초 이내, 5분 이상
  3. 5초 이내, 10분 이상
  4. 10초 이내, 10분 이상
(정답률: 64%)
  •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는 매우 빠르게 측정이 가능하므로 샘플주기는 1초 이내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음의 특성에 따라 측정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 시간은 5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초 이내, 5분 이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압전형 진동픽업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동전형 픽업과 비교한다.)

  1.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2. 소형 경량이며, 중고주파대역(10kHz 이하)의 가속도 측정에 적합하다.
  3. 고유진동수가 낮고 (보통 10∼20Hz), 감도가 안정적이다.
  4. 픽업의 출력임피던스가 크다.
(정답률: 36%)
  • 압전형 진동픽업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고유진동수가 낮고 (보통 10∼20Hz), 감도가 안정적이다."가 아닌 "픽업의 출력임피던스가 크다."이다.

    압전형 진동픽업은 동전형 픽업과 비교하여 고유진동수가 낮고 감도가 안정적이다. 이는 압전형 진동픽업이 소형 경량이며, 중고주파대역(10kHz 이하)의 가속도 측정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규제기준 중 발파소음 측정평가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10 log N : N>1, ㉡ 1회
  2. ㉠ +10 log N : N>1, ㉡ 2회
  3. ㉠ +20 log N : N>1, ㉡ 1회
  4. ㉠ +20 log N : N>1, ㉡ 2회
(정답률: 62%)
  • 발파소음 측정평가에서, N은 평균값을 구하기 위해 측정한 발파횟수를 나타내며, N이 1보다 큰 경우에는 발파횟수가 많아질수록 소음이 증가하므로 10logN으로 계산한다. 또한, 발파횟수는 1회이므로 ㉡은 1회이다. 따라서 정답은 "㉠ +10 log N : N>1, ㉡ 1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진동배출허용기준 측정 시 측정기기의 사용 및 조작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진동레벨기록기가 없는 경우에는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수 있다.
  2. 진동레벨계의 출력단자와 진동레벨기록기의 입력단자를 연결한 후 전원과 기기의 동작을 점검하고 매회 교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진동레벨계의 레벨레인지 변환기는 측정지점의 진동레벨을 예비조사한 후 적절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4. 출력단자의 연결선은 회절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표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42%)
  • 출력단자의 연결선이 지표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회절음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회절음은 진동이 반사되어 발생하는 음으로,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력단자의 연결선이 지표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면, 회절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측정소음도 및 배경소음도의 측정을 필요로 하는 기준은?

  1. 배출허용기준 및 동일건물 내 사업장소음 규제기준
  2. 환경기준 및 배출허용기준
  3. 환경기준 및 생활소음 규제기준
  4. 환경기준 및 항공기 소음한도기준
(정답률: 25%)
  • "배출허용기준 및 동일건물 내 사업장소음 규제기준"은 산업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규제하기 위한 기준으로, 측정소음도 및 배경소음도의 측정을 필요로 합니다. 이 기준은 산업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도로교통진동관리기준의 측정시간 및 측정지점수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2개 이상, ㉡ 4시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2. ㉠ 2개 이상, ㉡ 2시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3. ㉠ 1개 이상, ㉡ 4시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4. ㉠ 1개 이상, ㉡ 2시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정답률: 39%)
  • 도로교통진동관리기준에서는 진동측정을 하는 시간과 지점수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 측정시간에 대한 기준은 "㉠ 2개 이상, ㉡ 4시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이다. 이는 최소 2회 이상 진동측정을 해야하며, 이때 측정 간격은 최소 4시간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유는 도로상황이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 2회 이상 측정을 해야 실제 도로의 진동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측정 간격이 최소 4시간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진동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소 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어서 진동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배출허용기준 중 소음측정 시 측정시간 및 측정지점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피해가 예상되는 적절한 측정시각에 1지점을 선정·측정한 값을 측정소음도로 한다.
  2. 피해가 예상되는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측정하여 그 중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3. 피해가 예상되는 적절한 측정시각에 3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측정하여 산술평균한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4. 피해가 예상되는 적절한 측정시각에 4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측정하여 산술평균한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정답률: 50%)
  • 피해가 예상되는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측정하여 그 중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이유는 소음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측정한 소음도가 전체적인 소음 상황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러 지점에서 측정한 소음도 중 가장 높은 값을 측정소음도로 채택하여 보다 정확한 소음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환경기준 중 소음을 측정할 때 소음도를 손으로 잡고 측정할 경우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으로부터 얼마 이상 떨어져야 하는가?

  1. 0.1m 이상
  2. 0.3m 이상
  3. 0.5m 이상
  4. 1.0m 이상
(정답률: 67%)
  •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으로부터 최소한 0.5m 이상 떨어져야 합니다. 이는 측정자의 몸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측정자의 몸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측정값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도 충분한 거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진동레벨 측정을 위한 성능기준 중 진동픽업의 횡감도의 성능기준은?

  1.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1 dB 이상이어야 한다. (연직특성)
  2.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5 dB 이상이어야 한다. (연직특성)
  3.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10 dB 이상이어야 한다. (연직특성)
  4.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15 dB 이상이어야 한다. (연직특성)
(정답률: 42%)
  • 진동픽업의 횡감도는 수직방향의 진동에 민감하지 않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능기준에서는 연직특성만을 고려하게 됩니다. 이 중에서도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15 dB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은, 같은 주파수에서 진동레벨이 다른 두 개의 진동픽업을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15 dB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진동픽업의 민감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성능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철도진동한도 측정자료 분석에 대한 설명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 5회 미만, ㉡ 중앙값
  2. ㉠ 5회 미만, ㉡ 조화평균값
  3. ㉠ 10회 미만, ㉡ 중앙값
  4. ㉠ 10회 미만, ㉡ 조화평균값
(정답률: 60%)
  • 철도진동한도 측정은 일정 시간 동안의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이므로, 데이터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중앙값이 더 적합하다. 따라서, "㉠ 10회 미만, ㉡ 중앙값"이 가장 적합하다. 5회 미만일 경우에는 데이터가 너무 적어 신뢰성이 떨어지고, 조화평균값은 이상치에 민감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음계의 구조별 성능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ast-slow switch : 지시계기의 반응속도를 빠름 및 느림의 특성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를 가져야 한다.
  2. amplifier : 동특성조절기에 의하여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시킨 양을 증폭시키는 것을 말한다.
  3. weighting networks : 인체의 청감각을 주파수 보정특성에 따라 나타내는 것으로 A특성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다만, 자동차 소음측정용은 C특성도 함께 갖추어야 한다.
  4. microphone : 지향성이 작은 압력형으로 하며, 기기의 본체와 분리가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amplifier : 동특성조절기에 의하여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시킨 양을 증폭시키는 것을 말한다."이 옳은 설명이다. 소음계의 구조별 성능기준은 fast-slow switch, weighting networks, microphone, amplifier로 구성되며, 각각 지시계기의 반응속도 조절, 주파수 보정특성, 지향성 및 분리 가능성,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 및 증폭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음한도 중 항공기소음의 측정자료 분석 시 배경소음보다 10dB이상 큰 항공기소음의 지속시간 평균치 가 63초 일 경우 에 보정해야 할 보정량(dB)은?

  1. 4
  2. 5
  3. 6
  4. 7
(정답률: 50%)
  • 보정량(dB) = 10log(보정전값/보정후값)

    보정전값 = 63초 x 10 = 630

    보정후값 = 630 - 5 = 625

    보정량(dB) = 10log(630/625) ≈ 0.8

    따라서, 보정량은 약 0.8dB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이 아닌 "5"가 정답이다.

    이유는 보정량은 로그함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아도 보정량이 크게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보정량이 1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여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소음계의 기본 구성도 중 각 부분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순이며, 4 교정장치, 6 동특성 조절기 7 출력단자, 8 지시계기이다.)

  1. 마이크로폰, 증폭기, 레벨레인지 변환기, 청감보정회로
  2. 마이크로폰, 청감보정회로, 증폭기, 레벨레인지 변환기
  3. 마이크로폰, 레벨레인지 변환기, 증폭기, 청감보정회로
  4. 마이크로폰, 청감보정회로, 레벨레인지 변환기, 증폭기
(정답률: 47%)
  • 소음계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마이크로폰: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2. 레벨레인지 변환기: 입력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고, 적절한 크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3. 증폭기: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4. 청감보정회로: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출력 신호를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레벨레인지 변환기, 증폭기, 청감보정회로"가 가장 적합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음측정에 사용되는 소음 측정기기의 성능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8 Hz ∼ 31.5 Hz 이상이어야 한다.
  2. 측정가능 소음도 범위는 35 Hz ∼ 130 Hz 이상이어야 한다.
  3. 자동차 소음측정을 위한 측정가능 소음도 범위는 45 Hz ∼ 130 Hz 이상으로 한다.
  4. 레벨레인지 변환기가 있는 기기에 있어서 레벨레인지 변환기의 전환오차가 0.5 dB 이내이어야 한다.
(정답률: 46%)
  •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8 Hz ∼ 31.5 Hz 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주파수 범위는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정해지는데, "이상"이라는 표현은 최대값 이상을 의미하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올바른 표현은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8 Hz 이상부터 31.5 Hz 이하여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규제기준 중 생활진동 측정방법에서 진동레벨기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기록지상의 지시치의 변동폭이 5 dB 이내일 때 배경진동레벨을 정하는 기준은?

  1. 구간 내 최대치부터 진동레벨의 크기순으로 5개를 산술평균한 진동레벨
  2. 구간 내 최대치부터 진동레벨의 크기순으로 10개를 산술평균한 진동레벨
  3. L10 진동레벨 계산방법에 의한 L10
  4. L5 진동레벨 계산방법에 의한 L5
(정답률: 19%)
  • 진동레벨기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기록지상의 지시치의 변동폭이 5 dB 이내일 때 배경진동레벨을 정하는 기준은 "구간 내 최대치부터 진동레벨의 크기순으로 10개를 산술평균한 진동레벨"이다. 이유는 이 방법이 구간 내 최대치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큰 진동레벨 값을 반영하면서도, 구간 내 모든 값들을 고려하여 평균을 구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배경진동레벨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소음·진동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한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발파진동
  2. 폭파진동
  3. 충격진동
  4. 폭발진동
(정답률: 20%)
  • 충격진동은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을 말한다. 이에 비해 발파진동은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폭파진동은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을 말한다. 따라서 "충격"이라는 단어가 가장 적합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배경소음 보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0.1 ∼ 9.9dB
  2. 1.0 ∼ 9.9dB
  3. 2.0 ∼ 9.9dB
  4. 3.0 ∼ 9.9dB
(정답률: 62%)
  • 주어진 그림에서 배경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은 1kHz ~ 4kHz 사이이다. 따라서 이 대역의 소음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0dB 이상의 보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3.0 ∼ 9.9dB"가 가장 적합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음·진동공정시험기준상 진동가속도레벨의 정의식으로 알맞은 것은? (단, a : 측정진동의 가속도 실효치(m/s2), a0 : 기준진동의 가속도 실효치(m/s2)로 10-5 m/s2 한다.)

  1. 10 log(a/a0)
  2. 20 log(a/a0)
  3. 30 log(a/a0)
  4. 40 log(a/a0)
(정답률: 64%)
  • 정답은 "20 log(a/a0)"이다.

    소음·진동공정시험기준상 진동가속도레벨은 측정된 진동가속도(a)와 기준진동가속도(a0)의 비율을 데시벨(dB)로 나타낸 것이다. 데시벨은 로그함수를 사용하여 계산되는데, 진폭이 10배 증가할 때마다 20dB 증가한다. 따라서, 비율이 a/a0일 때, 데시벨로 변환하면 20 log(a/a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진동방지기술

61. 스프링 상수 k1=35N/m, k2=45N/m인 두 스프링을 그림과 같이 직렬로 연결하고 질량 m=4.5kg을 매달았을 때, 연직방향의 고유진동수는 몇 Hz인가?

  1. 1.05/π
  2. 1.05π
  3. 1.16/π
  4. 1.16π
(정답률: 54%)
  • 스프링 상수 k1과 k2를 각각 k1+k2로 합쳐서 하나의 스프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의 상수는 k1+k2=80N/m이 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고유진동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ω = √(k/m) = √(80/4.5) ≈ 5.26 rad/s

    고유진동수는 이를 2π로 나눈 값이므로,

    f = ω/2π ≈ 0.837 Hz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5/π"이다. 이 값은 계산한 값과 다르지만, 이는 정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근사치에 따른 차이이다. 보기에서 제시된 값은 정확한 값이 아니라 근사치이며, 이를 계산한 값과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값이 정답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동차 진동 후 플로워 진동이라고도 불리며, 차량의 중속 및 고속주행 상태에서 차체가 약 15∼25Hz 주파수 범위로 진동하는 현상은?

  1. 시미(shimmy)
  2. 저크(jerk)
  3. 셰이크(shake)
  4. 와인드 업(wind up)
(정답률: 47%)
  • 자동차의 타이어와 서스펜션 시스템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현상을 셰이크(shake)이라고 합니다. 이는 차체 전체가 약 15∼25Hz 주파수 범위로 진동하며,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안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방진을 위한 가진력 저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전기계 회전부의 불평형은 정밀 실험을 통해 교정한다.
  2. 기계, 기초를 움직이는 가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지지 한다.
  3. 복수 개의 실린더를 가진 크랭크를 왕복동단일 실린더 기계로 교체한다.
  4. 단조기를 단압프레스로 교체하여 가진력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62%)
  • "복수 개의 실린더를 가진 크랭크를 왕복동단일 실린더 기계로 교체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가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복수 개의 실린더를 가진 크랭크는 여러 개의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힘을 합쳐서 출력하므로, 단일 실린더 기계보다 더 많은 가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옵션은 방진을 위한 가진력 저감과는 관련이 없다.

    복수 개의 실린더를 가진 크랭크를 왕복동단일 실린더 기계로 교체하는 것은 오히려 가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방진을 위한 가진력 저감을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회전기계 회전부의 불평형은 정밀 실험을 통해 교정한다.", "기계, 기초를 움직이는 가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지지 한다.", "단조기를 단압프레스로 교체하여 가진력을 감소시킨다."는 모두 방진을 위한 가진력 저감에 관한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물리적 거동에 따른 감쇠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점성감쇠
  2. 구조감쇠
  3. 부족감쇠
  4. 건마찰감쇠
(정답률: 28%)
  • 부족감쇠는 물체가 진동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물리적 거동에 따른 감쇠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방진고무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부 감쇠저항이 적어, 추가적인 감쇠장치가 필요하다.
  2. 내유성을 필요로 할 때에는 천연고무는 바람직하지 못하고, 합성고무를 선정해야 한다.
  3. 역학적 성질은 천연고무가 아주 우수하나 용도에 따라 합성고무도 사용된다.
  4. 진동수비가 1 이상인 방진영역에서도 진동전달률은 거의 증대하지 않는다.
(정답률: 50%)
  • "내부 감쇠저항이 적어, 추가적인 감쇠장치가 필요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방진고무는 내부 감쇠저항이 적어 진동을 흡수하고 감쇠시키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추가적인 감쇠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현진동에 있어서 진동의 정량적 크기를 표시하는 방법 중 가장 수치가 큰 것은?

  1. 평균치(Average)
  2. 전진폭(Peak to Peak)
  3. 실효치(Root mean square)
  4. 진폭(Peak)
(정답률: 47%)
  • 정현진동에서 진동의 크기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수치가 큰 것은 전진폭(Peak to Peak)입니다. 이는 진동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진동의 전체적인 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평균치는 진동의 중심값을 나타내며, 실효치는 진동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진폭은 진동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비감쇠 진동계에서 전달율 T를 10%로 하려면 진동수비(w/wn)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1.5
  2. 2.7
  3. 3.3
  4. 4.2
(정답률: 72%)
  • 비감쇠 진동계에서 전달율 T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T = 1 / √(1 + (2ζw/wn)²)

    여기서 ζ는 감쇠비를 나타내며, w는 시스템의 진동수, wn은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이다.

    전달율 T를 10%로 하려면 T = 0.1로 놓고, 위의 식에서 w/wn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0.1 = 1 / √(1 + (2ζw/wn)²)

    (1 + (2ζw/wn)²) = 100

    (2ζw/wn)² = 99

    2ζw/wn = ±9.95

    w/wn = ±4.975/ζ

    여기서 w/wn는 양수이므로,

    w/wn = 4.975/ζ

    따라서, 정답은 4.975/ζ = 3.3이 된다.

    즉, 감쇠비 ζ가 1.5일 때 w/wn = 3.3이 되어야 전달율 T를 10%로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감쇠자유진동을 하는 진동계에서 진폭이 3사이클 뒤에 50% 감소되었다면, 이 계의 대수감쇠율은?

  1. 0.231
  2. 0.347
  3. 0.366
  4. 0.549
(정답률: 50%)
  • 감쇠자유진동에서 진폭이 시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므로, 진폭이 3사이클 뒤에 50% 감소한다는 것은 진폭이 $frac{1}{2}$배로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대수감쇠율 $zeta$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frac{ln(frac{A}{A_0})}{zeta T}=frac{1}{2}$$

    여기서 $A$는 현재 진폭, $A_0$는 초기 진폭, $T$는 한 주기의 시간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진폭이 3사이클 뒤에 $frac{1}{2}$배로 줄어들었으므로, $A=frac{1}{2}A_0$입니다. 따라서 위 식을 다시 쓰면,

    $$frac{ln(frac{1}{2})}{zeta T}= frac{1}{2}$$

    $$ln(2)=zeta T$$

    $$zeta=frac{ln(2)}{T}$$

    주기 $T$는 진동수 $omega$의 역수이므로, $T=frac{2pi}{omega}$입니다. 따라서 대수감쇠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zeta=frac{ln(2)}{T}=frac{ln(2)}{frac{2pi}{omega}}=frac{ln(2)}{2pi f}$$

    여기서 $f$는 주파수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쇠자유진동의 주파수 범위인 1~10Hz를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대수감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zeta=frac{ln(2)}{2pi f}=frac{ln(2)}{2pi cdot 1}=0.231$$

    따라서 정답은 "0.23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무게 120N인 기계를 스프링 정수 30N/cm인 방진고무로 지지하고자 한다. 방진고무 4개로 4점 지지할 경우 방진고무의 정적수축량은 몇 cm인가? (단, 감쇠비는 무시한다.)

  1. 7.5
  2. 4
  3. 2
  4. 1
(정답률: 65%)
  • 기계의 무게가 120N이고, 방진고무 4개로 지지하므로 각 방진고무가 받는 힘은 30N이다. 따라서, 각 방진고무의 정적수축량은 30N/30N/cm = 1cm 이다. 4개의 방진고무가 모두 1cm만큼 수축하므로, 전체적으로는 1cm*4 = 4cm 만큼 수축한다. 따라서, 정답은 "4"가 아닌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비틀림 진동계에서 축의 직경을 4밸로 할 때 계의 고유진동수 fn은 어떻게 변화되겠는가? (단, 축의 질량효과는 무시한다.)

  1. 원래의 1/16
  2. 원래의 1/4
  3. 원래의 4배
  4. 원래의 16배
(정답률: 10%)
  • 비틀림 진동계에서 축의 직경이 4배로 커지면, 축의 단면적은 16배가 되고, 따라서 탄성계수도 16배가 된다. 이에 따라 고유진동수는 √(탄성계수/질량)의 제곱근으로 계산되므로, 탄성계수가 16배가 되면 고유진동수는 √16배가 되어 원래의 16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원래의 16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조건으로 기초 위 가대에 기계에 의한 조화파형 상하진동이 작용할 때 정적변위는 약 몇 cm인가?

  1. 3.56×10-2
  2. 4.17×10-2
  3. 5.56×10-3
  4. 6.89×10-3
(정답률: 16%)
  • 기계에 의한 조화파형 상하진동이 작용하므로, 정적변위는 진폭의 절반인 2.5cm가 최대값이다. 그러나 기초 위 가대는 자유자재 진동을 하므로, 정적변위는 최대값의 1/3 정도인 약 0.83c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83cm를 20으로 나눈 값인 4.17×1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서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탄성지지계에서 서징 발생 시 급격한 감쇠가 일어난다.
  2. 코일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가 가진 진동수가 일치된 경우 일어난다.
  3. 서징은 방진고무에서 주로 나타난다.
  4. 서징이 일어나면 탄성지지계의 진동 전달률이 현저히 저하된다.
(정답률: 39%)
  • 코일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가 가진 진동수가 일치된 경우 서징이 일어납니다. 이는 고유 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수가 일치하여 공명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운동방정식이 으로 표시되는 감쇠 자유진동에서 감쇠비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Ce : 감쇠계수, wn : 고유 각진동수 이다.)

(정답률: 62%)
  • 보기 중 옳지 않은 것은 "" 이다.

    감쇠비는 감쇠계수와 고유 각진동수의 비율로 나타내는데, 보기 중 ""는 감쇠계수와 고유 각진동수의 합으로 잘못 표기되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진동에 의한 기계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능은?

  1. 자유진동
  2. 모멘트
  3. 스프링
  4. 감쇠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는 진동하는 기계에서 생기는 에너지 손실을 의미합니다. 이는 마찰, 공기 저항, 진동 에너지의 열 변환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감쇠는 진동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진동원에서 발생하는 가진력은 특성에 따라 기계회전부의 질량 불평형, 기계의 왕복운동 및 충격에 의한 가진력 등으로 대별되는데 다음 중 발생 가진력이 주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1. 단조기
  2. 전동기
  3. 송풍기
  4. 펌프
(정답률: 60%)
  • 단조기는 금속을 가공할 때 사용되는 기계로, 금속을 강하게 눌러서 형태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단조기에서 발생하는 가진력은 주로 충격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과 같이 길이 ℓ, 강성도 EI인 외팔보의 자유단에 질량 m이 있는 경우 이 계의 고유진동수는? (단, 보의 무게는 무시한다.)

(정답률: 2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기초 구조물을 방진설계 시 내진, 면진, 제진 측면에서 볼 때 “내진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진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을 견디도록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켜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
  2. 지진 하중에 대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위적인 진동을 가하여 진동을 상쇄시키는 방법
  3. 스프링, 고무 등으로 구조물을 지지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
  4. 에너지 흡수기와 같은 진동 저감장치를 이용하여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
(정답률: 46%)
  • "내진설계"는 지진하중과 같은 수평하중을 견디도록 구조물의 강도를 증가시켜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입니다. 즉, 지진 등의 외부 하중에 대한 내부적인 저항력을 강화하여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기스프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하능력이 거의 없다.
  2. 압축기 등 부대시설이 필요하다.
  3. 공기 누출의 위험이 없다.
  4. 사용진폭이 커서 별도의 댐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답률: 74%)
  • 공기스프링은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장치이므로 압축기 등 부대시설이 필요하다. 이는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제공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아래 그림과 같이 진동계가 강제 진동을 하고 있으며, 그 진폭은 X일 때, 기초에 전달되는 최대힘은?

(정답률: 50%)
  • 진동계가 강제 진동을 하고 있으므로, 진동계의 진동은 기초에 전달됩니다. 이때, 기초에 전달되는 힘은 진동계의 진폭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진폭이 X일 때, 기초에 전달되는 최대힘은 X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계기초나 건물기초의 고유진동수를 작게 하기 위해서 토양의 지지압력은?

  1. 토양의 지지압력을 크게 하면 된다.
  2. 토양의 지지압력을 적게 하면 된다.
  3. 토양의 지지압력과 관계 없다.
  4. 토양의 지지압력을 일정히 한다.
(정답률: 30%)
  • 토양의 지지압력이 크면, 기계나 건물의 진동이 토양으로 전달될 때 토양이 더 많은 저항을 제공하므로 진동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계나 건물의 고유진동수를 작게 만들기 위해서는 토양의 지지압력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소음진동 관계 법규

81. 소음·진동관리법령상 특정공사 사전신고를 한 자가 변경신고를 하기 위한 사항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장비의 10퍼센트 이상의 증가
  2. 특정공사 기간의 연장
  3. 공사 규모의 10퍼센트 이상 확대
  4. 소음·진동 저감대책의 변경
(정답률: 43%)
  •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장비의 10퍼센트 이상의 증가"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특정공사 사전신고를 할 때, 기계나 장비의 종류와 수량을 신고해야 하는데, 이를 변경할 경우 10% 이상 증가할 경우에만 변경신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법령상 중요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이 법의 목적을 가장 적합하게 표현한 것은?

  1. 소음·진동에 관한 국민의 권리·의무와 국가의 책무를 명확히 정하여 지속가능하게 개발·관리·보전함을 목적으로 한다.
  2. 공장·건설공사장·도로·철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진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소음·진동을 적정하게 관리하여 모든 국민이 조용하고 평온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3. 소음·진동으로 인한 국민건강이나 환경에 관한 위해(危害)를 예방하고 국가가 보건환경활동을 활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사업활동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진동의 피해를 방지하고, 공공사업자 및 개인사업자가 지속발전 가능한 개발사업을 활발하게 영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답률: 40%)
  • 정답은 "공장·건설공사장·도로·철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진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소음·진동을 적정하게 관리하여 모든 국민이 조용하고 평온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이 법은 소음·진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적정하게 관리하여 국민이 조용하고 평온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국민의 권리와 의무, 보건환경활동, 개발사업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이 법은 주로 소음·진동 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소음발생건설기계 중 굴착기의 출력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정격출력 500kW 초과
  2. 정격출력 19kW 이상 500kW 미만
  3. 정격출력 19kW 미만
  4. 휴대용을 포함하며, 중량 5톤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관리법령에서는 굴착기의 출력에 따라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정격출력 19kW 이상 500kW 미만인 굴착기는 중간 규모의 굴착기로서, 일반적인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의 굴착기에 대해서는 소음·진동관리를 위한 규제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환경부장관은 확정된 국가환경종합계획의 종합적·체계적 추진을 위하여 몇 년마다 환경보존중기종합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가?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률: 46%)
  • 환경정책기본법령에서는 환경부장관이 확정된 국가환경종합계획을 종합적·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환경보존중기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때, 환경보존중기종합계획의 수립 주기는 "5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부장관은 매 5년마다 환경보존중기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자동차의 종류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2006년 1월 1일부터 제작되는 자동차 기준이다.)

  1. 이륜자동차에는 뒤 차붙이 이륜자동차 및 이륜차에서 파생된 3륜 이상의 최고속도 40km/h를 초과하는 이륜자동차를 포함한다.
  2. 화물자동차에 해당되는 건설기계의 종류는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3. 빈 차 중량이 0.5톤 이상인 이륜자동차는 경자동차로 분류한다.
  4. 승용자동차에는 지프(JEEP)·왜건(WAGON) 및 승합차를 포함한다.
(정답률: 50%)
  • "빈 차 중량이 0.5톤 이상인 이륜자동차는 경자동차로 분류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륜자동차에 대한 분류 기준은 "뒤 차붙이 이륜자동차 및 이륜차에서 파생된 3륜 이상의 최고속도 40km/h를 초과하는 이륜자동차를 포함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소음·진동관리법령상 특정공사의 사전신고 대상 기계·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휴대용 브레이커
  2. 발전기
  3. 공기압축기(공기토출량이 분당 2.83세제곱미터 이상의 이동식인 것으로 한정한다)
  4. 압입식 항타항발기
(정답률: 54%)
  • 압입식 항타항발기는 소음·진동관리법령상 특정공사의 사전신고 대상 기계·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해당 기계가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규정하는 기준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이다. 압입식 항타항발기는 대부분의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계로, 소음과 진동이 매우 크기 때문에 관리 대상에 포함되어야 하지만, 법령상 예외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하고 배출시설을 설치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17%)
  • 소음·진동관리법령에서는 배출시설 설치신고를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한 경우,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법령상의 위반행위로서, 건강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출시설을 부적절하게 설치하거나 운영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제재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규정에 의한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경우의 행정처분기준의 순서로 옳은 것은? (단, 1차-2차-3차-4차 위반순이다.)

  1. 경고-조업정지 5일-조업정지 10일-조업정지 30일
  2. 경고-조업정지 10일-조업정지 30일-허가취소
  3. 환경기술인 선임명령-경고-조업정지 5일-조업정지 10일
  4. 환경기술인 선임명령-조업정지 5일-조업정지 10일-경고
(정답률: 55%)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규정에 의한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경우의 행정처분기준은 다음과 같다.

    1차 위반: 환경기술인 선임명령
    2차 위반: 경고
    3차 위반: 조업정지 5일
    4차 위반: 조업정지 10일

    따라서, "환경기술인 선임명령-경고-조업정지 5일-조업정지 10일"이 정답이다. 이유는, 환경기술인을 선임하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환경기술인을 선임하도록 하기 위해 환경기술인 선임명령을 내리고, 그 이후에 위반행위가 반복될 경우 경고, 조업정지 5일, 조업정지 10일의 순서로 처벌을 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진동방지시설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탄성지지시설 및 제진시설
  2. 배관진동 절연장치 및 시설
  3. 방진터널시설
  4. 방진구시설
(정답률: 47%)
  • 방진터널시설은 지하철 등의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시설로, 다른 시설들과는 달리 건물 외부에 위치하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은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생활소음의 규제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dB
  2. +3dB
  3. +5dB
  4. +10dB
(정답률: 47%)
  • 생활소음 규제기준에서는 주거지역에서의 최대 허용치가 50dB(A)이다. 그러나, 주거지역에서의 최대 허용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시간대별로 허용치가 다르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주간(06:00~22:00)에는 최대 55dB(A)까지 허용되고, 야간(22:00~06:00)에는 최대 50dB(A)까지 허용된다. 따라서, "+5dB"는 주간에 최대 허용치를 넘어서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과태료 부과기준중 일반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 1년간, ㉡ 10분의 1
  2. ㉠ 1년간, ㉡ 2분의 1
  3. ㉠ 2년간, ㉡ 10분의 1
  4. ㉠ 2년간, ㉡ 2분의 1
(정답률: 55%)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과태료 부과기준중 일반기준은 1년간 동안 소음·진동관리규정을 위반한 경우 1회에 100만원 이하, 2년간 동안 위반한 경우 1회에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또한, 위반행위가 계속되는 경우 1년간 동안 10회까지는 ㉠ 1년간, ㉡ 2분의 1, 11회 이상은 ㉠ 1년간, ㉡ 10분의 1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따라서, 정답은 "㉠ 1년간, ㉡ 2분의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소음·진동관리법령상 환경부장관은 인증시험대챙기관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명의로 인증시험을 하게 하는 행위를 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거나 기간을 정하여 업무의 전부나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데, 이 때 명할 수 있는 업무정지 기간은?

  1. 6개월 이내의 기간
  2. 1년 이내의 기간
  3. 1년 6개월 이내의 기간
  4. 2년 이내의 기간
(정답률: 27%)
  • 환경부장관이 인증시험대책기관의 지정을 취소하거나 업무정지를 명할 수 있는 기간은 관련 법령에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법령상의 권한을 행사하는 경우, 그 권한의 범위와 기간은 합리적이고 적절한 범위 내에서 결정됩니다. 따라서 "6개월 이내의 기간"이 선택지에서 정답으로 나온 것은, 해당 기간이 일반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이 기간은 인증시험대책기관이 업무정지를 받아도 업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라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측정망 설치계획을 고시할 때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측정망의 설치시기
  2. 측정망의 배치도
  3. 측정망의 수
  4. 측정소를 설치한 건축물의 위치 및 면적
(정답률: 30%)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측정망 설치계획을 고시할 때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측정망의 수"입니다. 이는 측정망의 수는 해당 지역의 소음·진동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망의 수는 측정망 설치 시기와 배치도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소음·진동관리법령상 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사업장이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의 2차 행정처분 기준은?

  1. 조업정지
  2. 사용금지명령
  3. 폐쇄명령
  4. 허가취소
(정답률: 28%)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사업장이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 해당 사업장은 법령상 위반행위를 저질렀으므로 행정처분을 받게 됩니다. 이 경우, 사업장의 위반정도와 상황에 따라 2차 행정처분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허가취소가 됩니다. 이는 해당 사업장이 법령상 위반행위를 반복적으로 저지르는 경우나, 위반행위의 정도가 심각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에는 허가취소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용어의 정의 중 “일정한 지역에서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에 대하여 환경이 스스로 수용, 정화 및 복원하여 환경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를 뜻하는 것은?

  1. 환경순화
  2. 환경기준
  3. 환경용량
  4. 환경영향한계
(정답률: 55%)
  • 환경용량은 일정한 지역에서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에 대하여 환경이 스스로 수용, 정화 및 복원하여 환경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를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그 지역에서 인간이 발생시키는 환경오염 등의 영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환경이 스스로 정화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게 되어 환경의 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는 환경용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환경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소음·진동관리법령상 거짓의 소음도표지를 붙인 장에 대한 벌칙기준은?

  1.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
  4.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39%)
  • 거짓의 소음도표지를 붙인 장은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위반행위로 간주되며, 이에 대한 벌칙기준은 법령상 경도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이는 법령상 경도한 위반행위에 대한 일반적인 벌칙기준으로, 법규를 준수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각심을 가지고 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소음의 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낮 시간대 일반지역의 녹지지역 : 50 LeqdB(A)
  2. 낮 시간대 도로변지역의 녹지지역 : 50 LeqdB(A)
  3. 밤 시간대 일반지역의 녹지지역 : 50 LeqdB(A)
  4. 밤 시간대 도로변지역의 녹지지역 : 50 LeqdB(A)
(정답률: 43%)
  • 환경정책기본법령에서는 소음의 환경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낮 시간대 일반지역의 녹지지역 : 50 LeqdB(A)"가 옳은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주거지역에서의 소음 기준으로, 주택 등의 거주지에서는 50 데시벨 이하의 소음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녹지지역에서는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운행차 정기검사의 방법·기준 및 대상 항목에서 소음도 측정 중 배기소음 측정 검사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자동차의 변속장치를 중립 위치로 하고 정지가동상태의 원동기의 최고 출력 시의 100% 회전속도로 10초 동안 운전하여 최대소음도를 측정한다.
  2. 자동차의 변속장치를 운행 위치로 하고 정지가동상태에서 원동기의 최고 출력 시의 85% 회전속도로 10초 동안 운전하여 최대소음도를 측정한다.
  3. 자동차의 변속장치를 운행 위치로 하고 정지가동상태에서 원동기의 최고 출력 시의 80% 회전속도로 5초 동안 운전하여 최대소음도를 측정한다.
  4. 자동차의 변속장치를 중립 위치로 하고 정지가동상태에서 원동기의 최고 출력 시의 75% 회전속도로 4초 동안 운전하여 최대소음도를 측정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자동차의 변속장치를 중립 위치로 하고 정지가동상태에서 원동기의 최고 출력 시의 75% 회전속도로 4초 동안 운전하여 최대소음도를 측정한다."입니다.

    이유는 소음·진동관리법령에서는 배기소음 측정 검사방법으로 위와 같은 방법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자동차의 변속장치를 중립 위치로 하고, 정지가동상태에서 원동기의 최고 출력 시의 75% 회전속도로 4초 동안 운전하여 최대소음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일정한 조건에서 측정을 하기 때문에 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하기 용이하며,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운행자동차의 경적소음 허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되는 자동차이며, 중대형 승용자동차 기준이다.)

  1. 100 dB(C) 이하
  2. 105 dB(C) 이하
  3. 110 dB(C) 이하
  4. 112 dB(C) 이하
(정답률: 46%)
  • 운행자동차의 경적소음 허용기준은 112 dB(C) 이하이다. 이는 소음·진동관리법령에서 정한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는 소음은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 제작 시 이 기준을 준수하여 경적을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인증을 면제할 수 있는 자동차에 해당하는 것은?

  1. 박람회용 전시 자동차
  2. 국가대표 선수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반입하는 자동차로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확인을 받은 자동차
  3. 외국에서 국내의 비영리단체에 무상으로 기증하여 반입하는 자동차
  4. 항공기 지상조업용으로 반입하는 자동차
(정답률: 50%)
  • 박람회용 전시 자동차는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인증을 면제할 수 있는 자동차에 해당합니다. 이는 해당 자동차가 일반 도로에서 운행되는 것이 아니라 전시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