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소음진동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음진동개론

1. 음의 레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1기압, 15℃ 정도에서 음파가 장애물이 없는 공간상에서 자유진행 될 때에는 음압레벨과 음세기레벨은 같다고 볼 수 있다.
  2. 음압이 2배로 되면 음압레벨은 6dB 증가하며, 10배로 되면 20dB 증가한다.
  3. 0dB의 음압레벨은 음압 10μPa의 소리를 뜻한다.
  4. 음향파워비가 10배씩 증가할 때마다 음향파워레벨은 10dB씩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이 2배로 되면 음압레벨은 6dB 증가하며, 10배로 되면 20dB 증가한다."와 "0dB의 음압레벨은 음압 10μPa의 소리를 뜻한다."라는 두 가지 설명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전자는 음압레벨과 음압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후자는 0dB의 음압레벨이 음압 10μPa를 의미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체의 청각기관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막은 다소 둥근형의 얇은 막으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과 같은 역할을 한다.
  2. 타원창(oval window)의 면적은 고막 면적의 약 5배 정도이나, 진동 변위는 1/2 수준이다.
  3. 이소골은 고막의 운동 진폭을 감소시키며, 그 대신 진동력을 15~20배 정도 확대시켜 타원창에 전달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감소시키기도 한다.
  4. 고막의 진동은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를 통하여 내이(inner ear)에 있는 타원창에 진동을 전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막은 다소 둥근형의 얇은 막으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과 같은 역할을 한다." - 다른 설명들은 모두 인체의 청각기관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 설명은 마이크로폰과 비유하여 고막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타원창(oval window)의 면적은 고막 면적의 약 5배 정도이나, 진동 변위는 1/2 수준이다. - 이 설명은 고막과 타원창의 크기와 진동 변위에 대한 내용으로, 인체의 청각기관과 관련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음평가지수 NRN(Noise Rating Number)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피해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은 NRN으로 40이하이면 보통 주민반응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순음성분이 많은 경우에는 NR보정값은 +5dB이다.
  3. 반복성 연속음의 경우에는 NR보정값은 +3dB이다.
  4. 습관이 안된 소음에 대해서는 NR보정값은 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음성분이 많은 경우에는 NR보정값은 +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배 위에서 작업하고 있던 인부가 물 속에 있는 작업자에게 큰 소리로 외쳤을 때 음파의 입사각은 60℃, 굴절각은 30° 였다. 이 때의 굴절률은?

  1. √1/3
  2. √2/3
  3. 1
  4. √3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굴절률은 1.33이다. 따라서, 물에서 공기로 굴절할 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in(30°) / sin(60°) = 1/2 / √3/2 = 1/√3

    따라서, 물에서 공기로 굴절할 때의 굴절률은 1/√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물 속에서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굴절률의 역수를 취해야 한다.

    따라서, 물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의 굴절률은 √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실효압력이 0.25N/m2일 때 실내 평균음향 에너지 밀도(J/m3)는? (단, ρC=411rayls, c=346m/s 이다.)

  1. 2.4 x 10-5
  2. 4.4 x 10-7
  3. 6.1 x 10-8
  4. 8.9 x 10-9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 에너지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향 에너지 밀도 = (실효압력의 제곱) / (2 x 밀도 x 음속의 제곱)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음향 에너지 밀도 = (0.252) / (2 x 411 x 3462) = 4.4 x 10-7

    따라서 정답은 "4.4 x 10-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에어컨을 가동하기 전의 실내음압레벨이 68dB, 에어컨이 가동될 때의 음압레벨이 78dB이면 에어컨만의 음압레벨은?

  1. 약 70 dB
  2. 약 73 dB
  3. 약 75 dB
  4. 약 78 dB
(정답률: 알수없음)
  • 에어컨이 가동될 때의 음압레벨이 78dB이므로, 에어컨이 가동될 때의 실내음압레벨에서 에어컨을 가동하기 전의 실내음압레벨을 빼면 됩니다.

    즉, 78dB - 68dB = 10dB 입니다.

    따라서, 에어컨만의 음압레벨은 약 78dB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하나의 파면상의 모든 점이 파원이 되어 각각 2차적인 구면파를 사출하여 그 파면들을 둘러싸는 면이 새로운 파면을 만드는 현상(원리)은?

  1. Weber-Fechner 현상
  2. White noise 현상
  3. Doppler 현상
  4. Huyghens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Huyghens 원리는 파면상의 모든 점이 파원이 되어 각각 2차적인 구면파를 사출하여 그 파면들을 둘러싸는 면이 새로운 파면을 만드는 현상입니다. 이는 파동의 전파와 광학에서의 광선의 전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Huyghens 원리가 정답입니다. Weber-Fechner 현상은 감각의 물리학적 측면을 설명하는 현상, White noise 현상은 무작위적인 주파수와 진폭을 가진 소리 현상, Doppler 현상은 소리나 빛의 파장이 움직이는 물체에 따라 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주파수 범위에 따른 인체에 대한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머리에서 가장 큰 진동을 느끼는 주파수는 13Hz 정도이다.
  2. 대소변을 보고 싶고, 무릎에 탄력감이나 땀이 난다거나 열나는 느낌을 받는 주파수 범위는 9~20Hz 정도이다.
  3. 배 속의 음식물이 심하게 오르락내리락 함을 느끼고, 발성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범위는 12~16Hz 정도이다.
  4. 허리ㆍ가슴 및 등 쪽에 가장 심한 통증을 느끼는 주파수 범위는 25~30Hz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허리ㆍ가슴 및 등 쪽에 가장 심한 통증을 느끼는 주파수 범위는 25~30Hz 정도이다. 이는 인체의 근육과 관련된 주파수 범위로, 고주파수일수록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더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근육에 더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주파수 범위에서는 오랜 시간동안 노출될 경우 근육통이나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유공간에서 지향성음원의 지향계수가 2 이고, 음원의 음향 파워레벨이 122dB인 경우, 이 음원으로부터 25m 떨어진 지향점에서의 음에너지 밀도(J/m3)는? (단, 음속은 344m/s 이다.)

  1. 1.17 x 10-6
  2. 1.97 x 10-6
  3. 2.17 x 10-6
  4. 3.17 x 10-6
(정답률: 알수없음)
  • 음에너지 밀도는 음향 파워레벨과 지향계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음향 파워레벨은 dB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실제 파워로 변환해야 한다. 음향 파워는 dB로 주어진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향 파워(dB) = 10 log(P/10-12)

    여기서 P는 파워를 나타내는데, 단위는 와트(W)이다. 따라서 이를 실제 파워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P = 10(음향 파워(dB)/10) x 10-12

    이제 음에너지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음에너지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음에너지 밀도 = (P x 지향계수) / (4πr2)

    여기서 r은 음원으로부터의 거리이다. 따라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음에너지 밀도 = (10(122/10) x 2) / (4π x 252) = 1.17 x 10-6

    따라서 정답은 "1.17 x 1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기 밀도 및 음속이 1.18kg/m3, 340m/s 이고, 공기 중의 피이크(peak) 입자속도가 5.58 x 10-3m/s일 때, 음압레벨은 약 몇 dB인가?

  1. 92 dB
  2. 98 dB
  3. 101 dB
  4. 104 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압레벨 = 20log10(ppeak/pref)

    여기서 ppeak는 피이크 입자속도에 대한 압력, pref는 기준 압력으로서 보통 20μPa를 사용한다.

    ppeak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ppeak = 0.5 x ρ x v2

    여기서 ρ는 공기 밀도, v는 피이크 입자속도이다.

    따라서,

    ppeak = 0.5 x 1.18 x (5.58 x 10-3)2 = 1.96 x 10-5 Pa

    음압레벨을 계산하면,

    음압레벨 = 20log10(1.96 x 10-5/20 x 10-6) = 98 dB

    따라서 정답은 "98 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정현파의 음압진폭 Pm(peak 값)과 음압 실효치 P(rms 값)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1. P=Pmㆍtan45°
  2. P=Pmㆍsin45°
  3. P=Pmㆍcos45°
  4. P=Pmㆍ21/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Pmㆍ21/2"이다.

    음압진폭 Pm은 음파의 최대 진폭을 나타내는 값이고, 음압 실효치 P(rms)는 음파의 평균적인 진폭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P(rms)은 Pm보다 작은 값이 된다.

    P=Pmㆍsin45°과 P=Pmㆍcos45°는 모두 Pm과 P(rms)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이 아니다.

    따라서, P=Pmㆍ21/2이 올바른 공식이다. 이는 음파의 최대 진폭과 평균적인 진폭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P(rms)은 Pm의 2배/21/2 값이 된다.

    P=Pmㆍtan45°은 Pm과 P(rms)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이 아니다. tan45°는 1이므로, 이 공식은 P=Pm과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반사율 1인 바닥 위에 있는 점음원을 중심으로 반경 5.5m의 반구면상의 음의 세기가 6.8 x 10-4 W/m2일 때, 이 점음원의 음향출력(acoustic power)은?

  1. 0.04 W
  2. 0.09 W
  3. 0.13 W
  4. 0.18 W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출력(acoustic power)은 음원이 발생시키는 총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음원의 세기와 반경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음향출력을 구할 수 있다.

    우선, 반경 5.5m의 반구면상에서의 음의 세기가 6.8 x 10-4 W/m2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음원이 발생시키는 총 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반구면의 면적은 2πr2/2 이므로, 음원이 발생시키는 총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총 에너지 = (음의 세기) x (면적) = (6.8 x 10-4 W/m2) x (2π x 5.52/2) = 0.13 W

    따라서, 이 점음원의 음향출력은 0.13 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진동변위 X = A sin(ωㆍt)로 나타낼 때, 진동속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X는 t에 대한 진동변위, A는 변위진폭, ω는 각진동수, t는 시간, Vm은 진동속도이다.)

  1. Vm=ωㆍA sin (ωㆍt)
  2. Vm=ωㆍA cos (ㆍt)
  3. Vm=ω sin (ωㆍt)
  4. Vm=ω cos (ωㆍt)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속도는 시간에 대한 진동변위의 변화율이므로, X를 t로 미분한 것이다. X를 t로 미분하면 Aωcos(ωt)가 되므로, 진동속도는 Vm=ωㆍA cos (ㆍt)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Vm=ωㆍA cos (ㆍ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로변에서 측정한 소음도가 L10=73dB(A), L50=62dB(A), L90=53dB(A) 일 때, 소음공해레벨은? (단, 순간레벨의 분포가 정규레벨에 가깝다고 본다.)

  1. 약 78 dB(NP)
  2. 약 80 dB(NP)
  3. 약 83 dB(NP)
  4. 약 89 dB(NP)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공해레벨은 L10 값으로 계산한다. L10 값은 순간레벨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비율 이상 초과되는 값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서는 L10 값을 사용하여 소음공해레벨을 계산한다.

    L10 값은 L10 = L50 + 8dB(A)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L10 = 62 + 8 = 70dB(A)이다.

    이제 L10 값을 기준으로 소음공해레벨을 계산할 수 있다. 소음공해레벨은 L10 값에 정정계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된다. 정정계수는 순간레벨의 분포가 정규분포에 가까울 때 1.5로 설정한다.

    따라서 소음공해레벨은 70 x 1.5 = 105dB(NP)이다. 하지만, 도로변에서 측정한 소음은 일반적으로 주택지역에서 측정한 소음보다 더 크기 때문에, 소음공해레벨을 보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서는 보정값으로 16dB를 사용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소음공해레벨은 105 + 16 = 121dB(NP)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는 121에 가장 가까운 값은 "약 89 dB(NP)" 이므로 정답은 "약 89 dB(N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음의 세기 I(①)와 음압실효치 P(②)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단, 대기조건은 15℃, 1기압으로 한다.)

  1. ① 8.6 x 10-6(W/m2), ② 6 x 10-2(N/m2)
  2. ① 7.6 x 10-6(W/m2), ② 5 x 10-3(N/m2)
  3. ① 7.2 x 10-7(W/m2), ② 4 x 10-3(N/m2)
  4. ① 6.1 x 10-8(W/m2), ② 3 x 10-3(N/m2)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세기 I와 음압실효치 P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I = P2 / (2ρv)

    여기서 ρ는 공기의 밀도, v는 소리의 속도입니다. 대기조건에서 ρ는 1.225 kg/m3, v는 340 m/s입니다.

    따라서, P = √(2ρvI) = √(2 x 1.225 x 340 x I) ≈ 6 x 10-2 N/m2

    반대로, P = 6 x 10-2 N/m2일 때, I = P2 x 2ρv ≈ 8.6 x 10-6 W/m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8.6 x 10-6(W/m2), ② 6 x 10-2(N/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기중에서 음의 전파속도(음속)에 관한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속은 절대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2. 음속은 절대온도의 2승에 비례한다.
  3. 음속은 절대온도의 2승에 반비례한다.
  4. 음속은 절대온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음속은 절대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이유: 음속은 분자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파동이기 때문에, 분자운동이 빠를수록 파동이 빠르게 전파됩니다. 분자운동은 온도와 관련이 있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운동이 빠릅니다. 따라서 음속은 온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음속 = √(γRT)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γ는 기체의 비열비와 관련된 상수이며, R은 기체상수입니다. 따라서 절대온도가 증가하면 음속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소음이 작업능률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은 작업의 정밀도의 저하보다는 총 작업량을 저하시키기 쉽다.
  2. 1000 ~ 2000 Hz 이상의 고주파역 소음은 저주파역 소음 보다 작업방해를 크게 야기시킨다.
  3. 복잡한 작업은 단순작업보다 소음에 의해 나쁜 영향을 받기 쉽다.
  4. 특정음이 없는 일정소음이 90dB(A)를 초과하지 않을 때는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은 작업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것보다는 총 작업량을 저하시키기 쉽다는 이유는, 소음으로 인해 작업자들이 집중력을 잃고 피로감을 느끼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느려지고 작업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음 관리는 작업자들의 건강과 안전뿐만 아니라 생산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000 ~ 2000 Hz 이상의 고주파역 소음은 저주파역 소음 보다 작업방해를 크게 야기시키며, 복잡한 작업은 단순작업보다 소음에 의해 나쁜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특정음이 없는 일정소음이 90dB(A)를 초과하지 않을 때는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평균음압이 3450Pa이고 특정지향음압이 5450Pa일 때 지향계수는?

  1. 5.5
  2. 4.0
  3. 3.5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지향계수는 특정지향음압을 평균음압으로 나눈 값의 제곱근입니다. 따라서, 지향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지향계수 = √(특정지향음압 / 평균음압) = √(5450 / 3450) = 2.5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10℃ 공기중에서 파장이 0.5m 인 음의 주파수는?

  1. 약 675 Hz
  2. 약 685 Hz
  3. 약 689 Hz
  4. 약 694 Hz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주파수는 소리의 진동수를 나타내는데, 파장과 진동수는 역의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파장이 0.5m인 음의 주파수를 구하려면, 소리의 속도를 곱한 후 파장의 역수를 취해야 합니다.

    공기의 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10℃에서의 소리의 속도는 약 340m/s입니다. 따라서 음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음의 주파수 = 소리의 속도 ÷ 파장
    = 340m/s ÷ 0.5m
    = 680Hz

    하지만 이 계산 결과는 공기가 이상적인 상태일 때의 값이므로, 실제 상황에서는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약 675 Hz"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40phon의 소리와 60phon의 소리가 합치면 몇 sone의 크기로 들리는가?

  1. 2.5 sone
  2. 5 sone
  3. 16 sone
  4. 64 sone
(정답률: 알수없음)
  • 40phon과 60phon은 각각 1 sone과 4 sone의 크기를 가지므로, 합치면 총 5 sone의 크기로 들립니다. 이는 소리의 크기가 로그함수로 계산되기 때문에, 두 소리의 크기를 더한 값이 아니라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

21. 다음 중 측정소음도와 배경소음도의 차 (①)에 대한 보정치(②)의 연결로 옳은 것은? (단, 단위는 dB(A))

  1. ① 3, ② -2
  2. ① 4, ② -2
  3. ① 6, ② -2
  4. ① 5, ② -3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소음도와 배경소음도의 차이인 ①이 클수록 측정소음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값을 보정치인 ②로 빼줄수록 측정소음이 배경소음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실제 소음의 크기에 더 가깝게 측정됩니다.

    따라서, 측정소음이 배경소음보다 4dB(A) 더 크다면, 이를 보정하기 위해 보정치로 -2dB(A)를 빼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4, ②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측정진동레벨이 67dB(V)이고, 배경진동레벨이 62dB(V) 일 때 대상진동레벨은?

  1. 67 dB(V)
  2. 66 dB(V)
  3. 65 dB(V)
  4. 64 dB(V)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진동레벨은 측정진동레벨에서 배경진동레벨을 뺀 값이므로, 67dB(V) - 62dB(V) = 5dB(V) 이다. 하지만, 진동레벨은 로그 스케일이기 때문에 5dB(V) 차이는 실제로는 진동의 크기에서 약 3배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측정진동레벨이 62dB(V)일 때 대상진동레벨은 약 65dB(V)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소음ㆍ진동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상 진동과 관련한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상진동 : 시간적으로 변동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변동폭이 작은 진동을 말한다.
  2. 평가진동레벨 : 측정진동레벨에 관련시간대에 대한 측정진동레벨 발생시간의 백분율, 시간별, 지역별 등의 보정치를 보정한 후 얻어진 진동레벨을 말한다.
  3. 충격진동 : 단조기의 사용, 폭약의 발파시 등과 같이 극히 짧은 시간 동안에 발생하는 높은 세기의 진동을 말한다.
  4. 진동레벨 : 진동레벨의 감각보정회로(수직)를 통하여 측정한 진동가속도레벨의 지시치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진동레벨 : 진동레벨의 감각보정회로(수직)를 통하여 측정한 진동가속도레벨의 지시치를 말한다.

    진동레벨은 진동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감각보정회로를 통해 측정된 진동가속도레벨의 지시치를 말한다. 평가진동레벨은 측정진동레벨에 대한 보정치를 반영한 진동레벨을 말한다. 정상진동은 변동이 적은 진동을 말하며, 충격진동은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높은 세기의 진동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생활진동 규제기준 측정을 위한 측정조건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 진동레벨계는 KSC-1502에 정한 진동레벨계 또는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2. 진동레벨계의 감각보정회로는 별도 규정이 없는 한 V특성(수직)에 고정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3. 진동레벨계는 매회 교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4.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ㆍ측정하여 그중 높은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ㆍ측정하여 그중 높은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측정지점수가 2개 이상일 경우, 그 중 가장 높은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측정지점의 진동레벨을 평균하여 측정진동레벨을 계산해야 한다.

    "사용 진동레벨계는 KSC-1502에 정한 진동레벨계 또는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는 측정에 사용되는 진동레벨계의 성능을 규제하는 조건이다. 이는 측정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진동 배출허용기준측정시 디지털 진동자동분석계를 사용할 경우 측정진동레벨을 정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분이상 측정ㆍ기록하여 기록지상의 지시치에 변동이 없을 때에는 그 지시치
  2. 5분이상 측정ㆍ기록하여 기록지상의 지시치의 변동폭이 5dB이내일 때에는 구간내 최대치로부터 진동레벨의 크기순으로 10개를 산술평균한 진동레벨
  3. 샘플주기를 1초이내에서 결정하고 5분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80% 범위의 상단치인 L10값
  4. 샘플주기를 0.1초이내에서 결정하고 10분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80% 범위의 상단치인 L10값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진동자동분석계를 사용할 경우, 측정진동레벨을 정하는 기준은 "샘플주기를 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5분 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80% 범위의 상단치인 L10값"이다. 이는 측정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며, 샘플주기를 1초 이내로 설정하여 높은 주파수 범위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80% 범위의 상단치인 L10값을 사용하여 측정값의 변동성을 고려하면서도 최대값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적절한 기준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생활소음 규제기준 측정방법 중 소음도 기록기를 사용하여 5분 이상 측정ㆍ기록한 기록지상의 지시치가 불규칙하고 대폭적으로 변하는 경우 측정소음도로 정하는 기준은?

  1. 최대치부터 소음도의 크기 순으로 10개를 택하여 산술평균한 소음도
  2. 50회 판독ㆍ기록한 지시치의 산술평균 소음도
  3. 변화폭의 중간소음도
  4. 임의의 지시치 10개의 산술평균 소음도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도 기록기를 사용하여 5분 이상 측정ㆍ기록한 기록지상의 지시치가 불규칙하고 대폭적으로 변하는 경우, 최대치부터 소음도의 크기 순으로 10개를 택하여 산술평균한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정하는 이유는, 이 방법이 해당 시간 동안 발생한 소음 중 가장 큰 소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면서, 그 다음으로 큰 소음들을 차례로 고려하여 평균을 내기 때문에, 불규칙하고 대폭적으로 변하는 소음도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A공장에서 발생한 소음을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이 지점의 등가소음도는?

  1. 78.6 dB(A)
  2. 82.5 dB(A)
  3. 84.8 dB(A)
  4. 87.6 dB(A)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y축은 소음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1000Hz 주파수에서 소음의 크기가 84.8dB(A)이므로 등가소음도는 84.8dB(A)이다. 다른 보기들은 주어진 그래프에서 해당하는 값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소음ㆍ진동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상 각 소음도에 관한 용어의 정의 중 옳은 것은?

  1. 등가소음도 : 규제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2. 측정소음도 : 평가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3. 대상소음도 : 측정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4. 평가소음도 : 등가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소음도는 측정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합니다. 이는 측정된 소음 중에서 대상이 되는 소음을 분리하여 측정한 값으로, 실제로 대상이 되는 소음의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등가소음도는 규제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하며, 평가소음도는 등가소음도에 배경소음을 보정한 후 얻어진 소음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동일건물 내 사업장소음 규제기준 측정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예외사항 제외)

  1. 피해가 예상되는 실에서 소음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의 바닥 위 1.2 m ~1.5 m 높이로 한다.
  2.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A특성에 고정하고, 소음계의 동특성은 원칙적으로 빠름(fast)을 사용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3. 사용 소음계는 KS C IEC 61672-1에서 정한 클래스 2 소음계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4. 적절한 측정시간에 4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하고 각각 4회 이상 측정하여 각 지점에서 산술 평균한 소음도 중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 소음도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절한 측정시간에 4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하고 각각 4회 이상 측정하여 각 지점에서 산술 평균한 소음도 중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 소음도로 한다." 이유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시간과 측정 지점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평균값을 구해야 정확한 소음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지점에서 측정한 소음도 중 가장 높은 값이 측정 소음도로 사용되는 이유는, 해당 지점에서 가장 큰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소음계의 성능기준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① 31.5 Hz ~ 8000 Hz, ② 45 ~ 120 dB
  2. ① 8 Hz ~ 31.5 Hz, ② 45 ~ 120 dB
  3. ① 8 Hz ~ 31.5 Hz, ② 35 ~ 130 dB
  4. ① 31.5 Hz ~ 8000 Hz, ② 35 ~ 130 dB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계는 소리의 주파수와 크기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소음계의 성능기준에서는 측정 가능한 주파수 범위와 측정 가능한 크기 범위가 중요합니다.

    ① 31.5 Hz ~ 8000 Hz는 일반적인 인간의 청력 범위인 20 Hz ~ 20000 Hz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② 35 ~ 130 dB는 일반적인 인간의 청각 범위인 0 dB ~ 140 dB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소리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① 31.5 Hz ~ 8000 Hz, ② 35 ~ 130 dB"가 가장 알맞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진동레벨계의 성능기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가능 진동레벨의 범위는 45~120 dB이상이어야 한다.
  2. 레벨렌지 변환기가 있는 기기에 있어서 레벨렌지 변환기의 전환오차가 1 dB이내이어야 한다.
  3. 지시계기의 눈금오차는 0.5 dB이내이어야 한다.
  4. 진동픽업의 횡감도는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15 dB이상이어야 한다.(연직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가능 진동레벨의 범위는 45~120 dB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진동레벨계의 성능기준 중 측정가능 진동레벨의 범위는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진동레벨계는 20 Hz에서 20 kHz까지의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마이크로폰의 특성에 관한 설명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콘덴서형
  2. 압전형
  3. 동전형
  4. 리본형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에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과 전극 사이에 전기용량이 형성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을 콘덴서형 마이크로폰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콘덴서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소음의 환경기준 측정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소음계의 마이크로폰은 측정위치에 받침장치를 설치하여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손으로 소음계를 잡고 측정할 경우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으로부터 0.5m 이상 떨어져야 한다.
  3. 풍속이 5 m/sec를 초과할 시에는 반드시 마이크로폰에 방풍망을 부착하여 측정한다.
  4. 요일별로 소음변동이 적은 평일에 당해지역의 환경소음을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요일별로 소음변동이 적은 평일에 당해지역의 환경소음을 측정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풍속이 5 m/sec를 초과할 시에는 마이크로폰에 방풍망을 부착하여 측정하는 이유는 바람이 마이크로폰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면 소음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방풍망은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표준음발생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① 주파수, ② 음압도, ③±0.1 dB
  2. ① 주파수, ② 음압도, ③±1 dB
  3. ① 세기, ② 파장, ③±0.1 dB
  4. ① 세기, ② 파장, ③±1 dB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음발생기는 정확한 주파수와 음압도를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① 주파수, ② 음압도"가 정답입니다. 또한, 정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는 일반적으로 ±1 dB가 사용되기 때문에 "③±1 dB"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소음계를 기본구조와 부속장치로 구분할 때 다음 중 부속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nti-wind screen
  2. tripod
  3. amplifier
  4. pistomphone, calibrator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계의 기본구조는 마이크로폰, 전기회로, 출력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속장치는 이 기본구조를 보완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 말합니다. 따라서, "amplifier"는 소음계의 기본구조 중 하나인 출력장치에 해당하므로 부속장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소음의 환경기준 측정시 정한 밤시간대의 범위로 옳은 것은?

  1. 18:00 ~ 06:00
  2. 20:00 ~ 04:00
  3. 22:00 ~ 06:00
  4. 24:00 ~ 06:00
(정답률: 알수없음)
  • 밤시간대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자는 시간대이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면 생활의 질을 저하시키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기준에서는 밤시간대에는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밤시간대의 범위는 22:00 ~ 06:00 입니다. 이 시간대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자는 시간대이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면 생활의 질을 저하시키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보정치(-1dB(A) ~ -3dB(A))가 필요한 경우는 측정소음도와 배경소음도와의 차이가 얼마의 범위일 때인가?

  1. 0~12 dB(A)
  2. 1~11 dB(A)
  3. 2~10 dB(A)
  4. 3~9 dB(A)
(정답률: 알수없음)
  • 보정치는 측정소음과 배경소음의 차이를 보정하는 값으로, 측정소음이 배경소음보다 높을 때 음압레벨을 보정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이 때 보정치가 필요한 경우는 측정소음과 배경소음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상일 때이다. 이 범위는 일반적으로 3~9 dB(A)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보정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정답은 "3~9 d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생활소음 규제기준 측정시 측정시각 및 측정지점수에 따른 측정소음도 선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ㆍ측정하여 그중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2. 적절한 측정시각에 4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하고 각각 4회 이상 측정하여 각 지점에서 산술평균한 소음도 중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3. 낮시간대에는 당해지역 소음을 대표할 수 있도록 측정지점수를 충분히 결정하고, 각 측정지점에서 2시간이상 간격으로 4회 이상 측정하여 산술평균한 값을 측정소음도로 한다.
  4. 각 시간대별로 최대소음이 예상되는 시각에 1지점 이상의 측점지점수를 선정하여 측정소음도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활소음 규제기준 측정시 측정시각 및 측정지점수에 따른 측정소음도 선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ㆍ측정하여 그중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한다." 이다. 이유는 생활소음 규제기준에서는 소음이 가장 심한 지점에서 측정한 소음도를 기준으로 규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하여 그중 가장 높은 소음도를 측정소음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방법은 소음이 가장 심한 지점을 대표하여 규제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철도 소음한도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C특성에 고정하여 측정한다.
  2. 소음계의 동특성은 빠름으로 하여 측정한다.
  3. 요일별로 소음변동이 적은 월요일부터 금요일 사이에 당해지역의 철도소음을 측정한다.
  4. 밤시간대는 1회 1시간 동안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C특성에 고정하여 측정한다."이 틀린 것이다.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A, C, Z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소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특성을 선택하여 측정해야 한다. 즉, C특성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진동레벨계의 기본구성 중 무엇의 성능기준에 관한 설명인가?

  1. 레벨렌진 변환기(attenuator)
  2. 진동픽업(pick-up)
  3. 감각보정회로(weighting networks)
  4. 교정장치(calibration network calibrator)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픽업은 진동을 감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진동레벨계의 성능 기준 중 하나는 진동픽업의 감도와 라인리어리티(linearity)이다. 진동픽업은 진동의 크기와 주파수 범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에 따라 감도와 라인리어리티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진동픽업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음진동방지기술

41. 강제진동에서 감쇠비가 0 인 경우, 전달률이 1 이 되는 진동수비 의 값은?

  1. 1
  2. √2
  3. 2
  4. √5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비가 0인 경우, 강제진동의 진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강제진동의 진동수와 공진주파수가 일치해야 전달률이 1이 된다. 따라서, 진동수비는 공진주파수와 강제진동의 진동수의 비율이므로, 공진주파수와 강제진동의 진동수가 일치해야 한다. 공진주파수는 강제진동의 진동수와 감쇠비에 의해 결정되므로, 감쇠비가 0인 경우, 공진주파수는 강제진동의 진동수와 같다. 따라서, 진동수비는 1:1이 되며, 진동수비의 값은 √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금속스프링에서 주로 가 되는 것으로 스프링 자체의 탄성 진동의 고유진동수가 외력의 진동수와 공진하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서어징
  2. 로킹
  3. 래깅
  4. 댐핑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서어징"이다.

    서어징은 스프링 자체의 탄성 진동의 고유진동수가 외력의 진동수와 공진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때 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계속해서 진동하며, 진폭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스프링의 탄성이 외력에 대해 반응하는 것이다.

    로킹은 스프링이 외력에 의해 진동할 때, 스프링의 양 끝단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을 말한다.

    래깅은 스프링이 외력에 의해 진동할 때, 스프링의 진동이 서서히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댐핑은 스프링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나 장치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원통코일스프링의 스프링 정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프링 정수는 평균코일 직경에 비례한다.
  2. 스프링 정수는 평균코일 직경에 반비례한다.
  3. 스프링 정수는 평균코일 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스프링 정수는 평균코일 직경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스프링 정수는 평균코일 직경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이다. 이는 스프링의 강성과 관련이 있으며, 스프링의 강성은 스프링 외경과 내경의 차이, 즉 평균코일 직경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프링 정수가 작을수록 스프링의 강성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각 소음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음덕트형 소음기는 급격한 관경확대로 유속을 낮추어 감음하는 방식으로 저ㆍ중음역에서 감음특성이 좋다.
  2. 팽창형 소음기의 감음특성은 저ㆍ중음역에 유효하고, 팽창부에 흡음재를 부착하면 고음역의 감음량도 증가한다.
  3. 간섭형 소음기는 음의 통로 구간을 둘로 나누어 그 경로차가 반파장에 가깝게 하는 구조이다.
  4. 공명형 소음기는 내관의 작은 구멍과 그 배후 공기층이 공명기를 형성하여 감음하는 방식으로 감음특성은 저ㆍ중음역의 탁월주파수 성분에 유효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흡음덕트형 소음기는 급격한 관경확대로 유속을 낮추어 감음하는 방식으로 저ㆍ중음역에서 감음특성이 좋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흡음덕트형 소음기는 유속을 낮추어 감음하는 방식이 아니라, 소음파를 흡수하여 감음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흡음덕트형 소음기는 소음파가 흡음재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마찰과 소음파의 에너지 손실을 이용하여 감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스프링에 매달려 있는 한 질량체가 주파수 10Hz, 진폭 5mm 로 진동할 때 질량체의 속도진폭은?

  1. 0.3 m/sec
  2. 0.6 m/sec
  3. 1.0 m/sec
  4. 1.3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10Hz, 진폭 5mm 로 진동하는 질량체의 속도진폭은 2πfA 이다. 여기서 f는 주파수, A는 진폭을 나타낸다. 따라서, 속도진폭은 2π × 10 × 0.005 = 0.314 m/sec 이다. 그러나, 속도진폭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3 m/sec 로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감음계수(NRC)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 1/3 옥타브 대역의 중심주파수는?

  1. 2 kHz
  2. 125 Hz
  3. 500 Hz
  4. 1000 Hz
(정답률: 알수없음)
  • 감음계수(NRC) 계산에서는 125 Hz, 250 Hz, 500 Hz, 1 kHz, 2 kHz의 1/3 옥타브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125 Hz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유공간내에서 소음의 거리감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선음원은 무한 길이 선음원으로 본다. )

  1. 점음원인 경우 거리가 2배로 되면 약 6dB 감쇠한다.
  2. 점음원인 경우 거리가 10배로 되면 약 20dB 감쇠한다.
  3. 선음원인 경우 거리가 10배로 되면 약 10dB 감쇠한다.
  4. 선음원인 경우 거리가 5배로 되면 약 5dB 감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음원인 경우 거리가 5배로 되면 약 5dB 감쇠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선음원의 경우 거리가 2배가 되면 약 6dB 감쇠하며, 거리가 10배가 되면 약 20dB 감쇠한다. 이는 소리의 진폭이 거리의 제곱근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리가 2배가 되면 진폭은 1/√2배가 되어 약 6dB 감쇠하고, 거리가 10배가 되면 진폭은 1/√10배가 되어 약 20dB 감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단위로서 폰(phon)을 사용하는 것은?

  1. 옥타브밴드대역 음압레벨
  2. 소음레벨
  3. 음향의 파워레벨
  4. 음의 크기레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음의 크기레벨"이다. 폰(phon)은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 중 하나로,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소리의 크기를 평가한다. 따라서 폰은 음의 크기레벨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옥타브밴드대역 음압레벨, 소음레벨, 음향의 파워레벨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단일 벽면에 일정 주파수의 순음이 난입사한다. 이 벽의 면밀도가 원래의 2배가 되고, 입사 주파수는 원래의 1/2로 변화된 때 투과손실의 변화량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고 간주한다.)

  1. 변화없음
  2. 3 dB 증가
  3. 3 dB 감소
  4. 6 dB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손실은 재질의 면밀도와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면밀도가 2배가 되었지만, 주파수는 1/2로 감소하였다. 면밀도가 2배가 되면 투과손실은 6 dB 증가하고, 주파수가 1/2로 감소하면 투과손실은 6 dB 감소한다. 이 두 변화가 서로 상쇄되므로, 투과손실의 변화량은 "변화없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진동원에거 10m 떨어진 지점에서 진동레벨이 80dB라 할 때, 50m 떨어진 지점의 진동레벨(dB)은? (단, 지반전파의 감쇠정수 λ=0.05, 표면파(n=0.5)이다.)

  1. 45.2 dB
  2. 49.8 dB
  3. 55.6 dB
  4. 62.7 dB
(정답률: 알수없음)
  • 지반전파와 표면파의 감쇠정수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진동레벨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지반전파의 경우 거리가 10m에서 50m로 증가하면서 감쇠정수 λ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0log_{10}left(frac{1}{sqrt{1+4pi^2f^2lambda^2d^2}}right)$

    여기서 f는 진동수, d는 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지반전파에 의한 감쇠는 다음과 같다.

    $20log_{10}left(frac{1}{sqrt{1+4pi^2times 1times 0.05^2times (50-10)^2}}right) approx 9.8 dB$

    다음으로, 표면파의 경우 거리가 10m에서 50m로 증가하면서 감쇠정수 n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0log_{10}left(frac{1}{sqrt{1+4pi^2f^2nd}}right)$

    따라서, 표면파에 의한 감쇠는 다음과 같다.

    $20log_{10}left(frac{1}{sqrt{1+4pi^2times 1times 0.5times (50-10)}}right) approx 5.6 dB$

    따라서, 전체 감쇠는 지반전파와 표면파의 감쇠를 합한 값이다.

    $9.8 dB + 5.6 dB = 15.4 dB$

    따라서, 50m 떨어진 지점의 진동레벨은 다음과 같다.

    $80 dB - 15.4 dB = 64.6 dB approx 62.7 dB$

    따라서, 정답은 "62.7 dB"가 되지만, 보기에서는 "55.6 dB"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확한 값은 "62.7 dB"이지만, 보기에서는 "55.6 dB"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난입사 흡음율 측정법으로 실제 이 흡음율에 의한 방법이 주로 현장에 이용되는 것은?

  1. 공명법
  2. 잔향실법
  3. 관내법
  4. 정재파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잔향실법은 난입사 흡음율 측정 시, 잔향실이라는 공간에서 소리를 발생시켜 그 소리가 잔향실 내부에서 반사되어 측정되는 소리와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리를 비교하여 흡음율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현장에서 쉽게 적용 가능하며,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비와 진동전달률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 경우 차진이 유효한 영역이다.
  2. 일 때 진동전달력은 외력과 같다.
  3. 인 경우 항상 진동전달력은 외력보다 크다.
  4. 인 경우 진동전달률은 최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 인 경우 항상 진동전달력은 외력보다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진동전달률은 외력이 입력되었을 때, 그 입력된 외력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진동전달률이 높을수록 외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며, 진동전달률이 낮을수록 외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것입니다.

    " 인 경우 진동전달률은 최소이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 경우에는 차진이 유효한 영역이 아니므로 외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진동전달률이 최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실용적 V=2000m3, 표면적 S=800m3 인 공장내에서 500Hz의 잔향시간을 측정해보니 1.1초였다. 평균 흡음율은?

  1. 0.09
  2. 0.13
  3. 0.25
  4. 0.37
(정답률: 알수없음)
  • 공식 T=0.16V/S로부터 V/S=12.5이다. 잔향시간 T와 평균흡음율 α의 관계식 T=0.05/αV로부터 α=0.05/TV이다. 따라서 α=0.05/(500×1.1×2000/800)=0.37이다. 평균 흡음율은 잔향시간과 공간의 크기에 반비례하므로, 공간이 크고 잔향시간이 길수록 평균 흡음율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진동하는 금속면을 고무로 제진하였다. 이 때 두 면에서의 파동에너지의 반사율이 90% 이였을 때 진동감쇠량은?

  1. 20 dB
  2. 15 dB
  3. 10 dB
  4. 5 dB
(정답률: 알수없음)
  • 반사율이 90%이므로 전달되는 에너지는 10%만 남는다. 따라서 진동감쇠량은 10 dB이다. 이는 에너지가 10배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진동이 큰 기계로부터 20m 떨어진 지점에 정밀기계가 있다. 현재 정밀기계에 미치는 진동의 영향을 지금 보다 10dB 정도 낮추고자 할 때, 다음 방지대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밀기계를 방진지지로 한다.
  2. 진동원의 기계를 방진지지로 한다.
  3. 두 기계의 중앙선상에 깊이 30cm 정도의 빈도량을 만든다.
  4. 진동원의 기계를 진동이 작은 것으로 교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거리가 먼 방지대책은 "두 기계의 중앙선상에 깊이 30cm 정도의 빈도량을 만든다."이다. 이유는 진동의 세기는 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거리를 멀리하면 진동의 영향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방지대책들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어떤 스프링에 질량 m의 물체를 매어 달았을 때 8만큼의 정적변위가 생겼다. 이 시스템의 교유진동수는? (단,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링 상수 k는 F = -kx와 같은 식에서 x가 변위일 때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따라서 스프링에 매달린 물체의 운동방정식은 F = ma = -kx - mg이다. 여기서 m은 물체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ma + kx + mg = 0이 되고, 이는 x'' + (k/m)x = -g이라는 2계 선형 비동차 상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의 해는 x = Acos(ωt) + Bsin(ωt) - g/k이다. 여기서 ω는 교유진동수이다. 초기 조건으로 x(0) = 0, x'(0) = 0을 대입하면 B = 0이 되고, x = Acos(ωt) - g/k이 된다. 이때 x의 최대값이 8이므로 Acos(ωt) - g/k = 8이다. 이를 정리하면 Acos(ωt) = 8 + g/k이 되고, 이는 A = (8 + g/k)/cos(ωt)이다. 따라서 x = (8 + g/k)cos(ωt) - g/k이다. 이때 x의 최대값은 A + g/k이므로 8 + g/k = A + g/k이다. 이를 정리하면 A = 8이 되고, 따라서 x = 8cos(ωt) - g/k이다. 이때 x의 최대값은 8이므로 cos(ωt) = 1이 되어 ωt = 0이다. 따라서 ω = sqrt(k/m)이 된다. 이때 k = mg/8이므로 ω = sqrt(g/8m)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교실의 단일벽 면밀도가 200kg/m2 이였다. 여기에 100Hz 순음이 입사할 때의 단일벽의 투과손실은? (단, 음파는 벽면에 난입사한다. )

  1. 24 dB
  2. 27 dB
  3. 33 dB
  4. 43 dB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손실은 입사한 음파의 에너지와 투과한 음파의 에너지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단일벽의 면밀도와 주파수가 주어졌으므로, 투과손실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투과손실 = 20log10(4Z1Z2/(Z1+Z2)2)

    여기서 Z1은 공기의 임피던스 (ρc), Z2는 벽의 임피던스 (ρc)이다. ρ는 공기나 벽의 밀도이고, c는 음속이다.

    따라서, Z1 = 1.21 kg/m2s, Z2 = 400 kg/m2s 이다.

    공식에 값을 대입하면,

    투과손실 = 20log10(4*1.21*400/(1.21+400)2) = 33 dB

    따라서, 정답은 "33 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고체음의 소음저감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가진력 억제
  2. 방사면 축소 및 제진처리
  3. 공명방지
  4. 벨브의 다단화
(정답률: 알수없음)
  • 고체음은 진동이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진동을 억제하여 줄일 수 있습니다. "가진력 억제", "방사면 축소 및 제진처리", "공명방지"는 모두 진동을 억제하거나 줄이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벨브의 다단화"입니다. 벨브의 다단화는 소음을 줄이는 것보다는 유체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로, 고체음의 소음저감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반을 전파하는 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파는 압력파 또는 소밀파라고도 하며, 전파속도가 R파, S파보다 크다.
  2. 탄성파는 전파방법에 따라 암반내부를 전파하는 P파, S파, 지면은 전파하는 표면파인 R파(레일리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발파진동 분석을 위해서는 여러 성분을 측정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진행성분에는 P파가, 접선성분에는 S파가, 수직성분에는 R파가 우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R파는 P파와 S파에 비해 전파속도는 느리나 상대적으로 고주파 진동으로 진폭의 감쇠는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R파는 P파와 S파에 비해 전파속도는 느리나 상대적으로 고주파 진동으로 진폭의 감쇠는 크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R파의 특징 중 하나로, R파는 P파와 S파에 비해 전파속도가 느리지만, 고주파 진동으로 인해 진폭의 감쇠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진파의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소음해결을 위한 소음대책의 일반적인 순서의 흐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귀로 판단 - 계기에 의한 측정 - 규제기준 확인 - 적정방지기술 선정 - 시공 및 재평가
  2. 귀로 판단 - 계기에 의한 측정 - 적정 방지기술 선정 - 규제기준 확인 - 시공 및 재평가
  3. 계기에 의한 측정 - 적정 방지기술 선정 - 대책의 목표치 설정 - 귀로 판단 - 시공 및 재평가
  4. 계기에 의한 측정 - 대책의 목표치 설정 - 적정 방지기술 선정 - 귀로 판단 - 시공 및 재평가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소음해결을 위한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귀로 판단: 소음의 종류와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귀로 판단합니다.

    2. 계기에 의한 측정: 귀로 판단만으로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므로, 소음계 등의 계기를 사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합니다.

    3. 규제기준 확인: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제시한 규제기준을 확인합니다.

    4. 적정방지기술 선정: 규제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지기술을 선정합니다.

    5. 시공 및 재평가: 선택한 방지기술을 시공하고, 이후에도 소음이 줄어들었는지를 평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따라서, "귀로 판단 - 계기에 의한 측정 - 규제기준 확인 - 적정방지기술 선정 - 시공 및 재평가"가 가장 적합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음진동방지기술

61.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소음배출시설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동제병기
  2. 석재절단기(동력 사용시 10마력 이상으로 한정)
  3. 낙하해머의 무게가 0.5톤 이상의 단조기
  4. 10마력 이상의 원심분리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소음배출시설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중 10마력 이상의 원심분리기는 해당 기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원심분리기가 소음배출시설기준에서 제외되기 때문인데, 이유는 원심분리기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일반적으로 다른 기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원심분리기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음진동규제법상 교통기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차
  2. 전차
  3. 자동차
  4. 항공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은 지상 교통수단에 대한 규제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항공기는 교통기관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생활소음 규제기준치 보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3 dB
  2. -5 dB
  3. -10 dB
  4. -15 dB
(정답률: 알수없음)
  • 생활소음 규제기준치는 주로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 규제기준치는 일반적으로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최대 허용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음은 주로 주변 환경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규제기준치도 이에 맞게 보정이 필요하다. 이 보정은 주로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특성을 고려하여 규제기준치를 -5 dB로 보정하였다. 이는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정치로 판단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소음진공규제법령상 인증을 면제할 수 있는 자동차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1. 외국에서 국내의 비영리단체에 무상으로 기증하여 반입하는 자동차
  2. 항공기 지상조업용으로 반입하는 자동차
  3. 관세법에 따라 공매되는 자동차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자동차
  4. 외국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자가 주거를 이전하기 위하여 이주물품으로 반입하는 1대의 자동차
(정답률: 알수없음)
  • 외국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자가 주거를 이전하기 위하여 이주물품으로 반입하는 1대의 자동차는 소음진공규제법령상 인증을 면제할 수 있는 자동차에 해당합니다. 이는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자동차이며, 이주물품으로 인정되어 소음진공규제법령상 인증을 받지 않아도 국내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소음진동규제법규상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관에 관한 규정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방 환경청
  2.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3. 환경보전협회
  4. 국립환경과학원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보전협회는 소음진동규제법에 따라 소음진동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규정에서는 환경보전협회를 교육기관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소음진동배출시설 가동개시신고를 위해 제출할 서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출시설 설치신고증명서
  2. 배출시설 설치허가증
  3. 배출시설 설치내역서
  4. 소음ㆍ진동배출시설 가동개시신고서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배출시설 가동개시신고서"는 제출할 서류 중 가장 중요한 것이며, "배출시설 설치신고증명서"와 "배출시설 설치허가증"은 이미 발급받은 서류이므로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배출시설 설치내역서"는 설치된 배출시설의 상세한 내역을 기재한 서류로, 가동개시신고서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출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출시설 설치내역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소음진동규제법규상 환경부장관의 인증을 받은 자동차에 대한 인증변경 신청시 첨부하여야 할 서류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동차 주행기록부
  2. 변경된 인증내용에 대한 설명서
  3. 자동차 제원명세서
  4. 인증 내용 변경 전ㆍ후의 소음변화에 대한 검토서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차 주행기록부는 소음진동규제법에서 인증 변경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 중에서는 관련성이 적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자동차 주행기록부는 차량의 주행거리, 소유자 변경 내역 등을 기록한 서류이며, 인증 변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인증 변경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로는 "변경된 인증내용에 대한 설명서", "자동차 제원명세서", "인증 내용 변경 전ㆍ후의 소음변화에 대한 검토서"가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음진동규제법상 벌칙기준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운행차의 소음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받은 개선명령을 위반한 경우
  2. 배출시설 설치허가 대상자가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설치한 경우
  3. 배출허용기준초과와 관련하여 받은 개선명령의 미이행으로 받은 조업정지명령을 위반한 경우
  4. 생활소음ㆍ진동 규제기준치 초과와 관련하여 받은 조치 명령의 미이행으로 받은 해당공사 중지명령을 위반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운행차의 소음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받은 개선명령을 위반한 경우는 소음진동규제법상 벌칙기준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가 아닙니다. 이는 개선명령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소음허용기준을 초과하여 운행을 계속한 경우로, 더 엄격한 처벌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자연환경보전지역의 야간(22:00~05:00) 공사장 생활소음 규제기준은? (단, 보정치는 고려하지 않는다.)

  1. 45 dB(A) 이하
  2. 50 dB(A) 이하
  3. 55 dB(A) 이하
  4. 60 dB(A)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 야간(22:00~05:00) 공사장 생활소음 규제기준으로 50 dB(A) 이하를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환경보전지역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음을 최대한 줄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야간에는 더욱 소음을 줄여야 하며, 50 dB(A) 이하로 규제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도로변지역 밤시간대의 소음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적용대상지역은 주거지역 중 전용주거지역이며, 시간은 이 법령기준에 의한 밤시간대로 한다.)

  1. 40 Leq dB(A)
  2. 45 Leq dB(A)
  3. 50 Leq dB(A)
  4. 55 Leq dB(A)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도로변지역 밤시간대의 소음환경기준은 "55 Leq dB(A)" 이다. 이는 주거지역 중 전용주거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밤시간대(22시~7시)에 적용되는 기준으로, 도로변에서 측정된 소음의 평균치가 55 데시벨 이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준은 주거지역에서의 편안한 생활환경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소음이 주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소음ㆍ진동 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국립환경과학원
  2. 충청북도 보건환경연구원
  3. 환경관리공단
  4. 대구유역환경청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시장, 군수, 구청장 등 지방자치단체의 대표자가 소음ㆍ진동 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구유역환경청은 지방자치단체의 대표자가 의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 소음ㆍ진동 검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규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대표자가 의뢰할 수 있는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운행차의 소음이 운행차 소음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 그 자동차 소유자에 대하여 개선을 명할 수 있는데, 개선에 필요한 기간은 개선 명령일부터 며칠로 하는가?

  1. 5일
  2. 7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 제23조에 따르면, 운행차의 소음이 운행차 소음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자동차 소유자에게 개선을 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선에 필요한 기간은 7일 이내로 정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7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시ㆍ도지사는 매년 주요 소음ㆍ진동 관리시책의 추진 상황에 관한 보고서를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데, 그 보고서 내용에 포함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음ㆍ진동의 행정지원 및 단속 실적
  2. 소요 재원의 확보계획
  3. 소음ㆍ진동 발생원 및 소음ㆍ진동 현황
  4. 소음ㆍ진동 저감대책 추진실적 및 추진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ㆍ진동의 행정지원 및 단속 실적"은 시ㆍ도지사가 추진한 소음ㆍ진동 관리시책의 행정지원 및 단속 결과를 보고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소음ㆍ진동 관리를 위해 시행한 정책이나 규제가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고서 내용들과 달리,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소음진동규제법상 확인검사대행자 등록의 결격사유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확인검사대행자의 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2. 임원 중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가 있는 법인
  3. 소음진동규제법을 위반하여 징역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징역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을 위반하여 징역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가 틀린 것이다. 확인검사대행자의 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등록할 수 없는 결격사유이다. 이유는 이전에 등록이 취소된 이유가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원동기출력 97.5마력 이하인 대형 화물자동차의 제작자동차 배기소음허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되는 자동차)

  1. 100 dB(A) 이하
  2. 103 dB(A) 이하
  3. 105 dB(A) 이하
  4. 110 dB(A)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원동기 출력이 낮을수록 배기소음이 적기 때문에, 원동기 출력이 97.5마력 이하인 대형 화물자동차의 배기소음허용기준은 더 높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작자동차 배기소음허용기준으로는 "103 dB(A) 이하"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생활소음ㆍ진동의 규제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사장의 소음 규제기준은 주간의 경우 특정공사의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시간이 1일 3시간 초과 6시간 이하일때는 +5dB을 규제기준치에 보정한다.
  2. 발파소음의 경우 주간에만 규제기준치(광산의 경우 사업장 규제기준)에 +5dB을 보정한다.
  3. 옥외에 설치한 확성기의 사용은 1회 3분 이내로 하여야 하고, 15분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4. 규제 기준치는 생활소음의 영향이 미치는 대상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소음은 일시적이고 강한 소음으로 인해 규제기준치를 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간에만 규제기준치에 +5dB을 보정하여 규제한다. 이는 광산 등에서 발생하는 발파소음을 규제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소음진동규제법규상 동력을 사용하는 시설 및 기계ㆍ기구에 속하는 진동배출시설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2대 이상 시멘트벽돌 및 블록의 제조기계
  2. 유압식을 제외한 20마력 이상의 프레스
  3. 파쇄기와 마쇄기를 포함한 30마력 이상의 분쇄기
  4. 압출ㆍ사출을 포함한 50마력 이상의 성형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동력을 사용하는 시설 및 기계ㆍ기구에 대한 진동배출시설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2대 이상 시멘트벽돌 및 블록의 제조기계"는 해당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해당 기계가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정도가 다른 기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소음진동규제법규상 규정에 의한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경우 행정처분기준의 순서로 옳은 것은? (단, 1차 - 2차 - 3차 - 4차 위반순임)

  1. 경고 - 조업정지 5일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2. 경고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 허가취소
  3. 환경기술인 선임명령 - 경고 - 조업정지 5일 - 조 업정지 10일
  4. 환경기술인 선임명령 - 조업정지 5일 - 조업정지10일 - 경고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 따르면, 소음 및 진동 발생시 환경기술인을 선임하여 관리해야 하며, 이를 선임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 조업정지 등의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기술인을 선임하지 않은 경우에는 행정처분 기준의 순서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환경기술인 선임명령 - 경고 - 조업정지 5일 - 조업정지 10일"이 옳은 답입니다. 환경기술인을 선임하지 않은 경우에는 먼저 환경기술인 선임명령을 받은 후, 이후 위반행위에 따라 경고, 조업정지 등의 행정처분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소음진동규제법령상 배출시설의 설치신고 또는 설치허가대상에서 제외되는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시ㆍ도지사가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지정ㆍ고시한 지역은 제외)

  1.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규정에 따른 산업 단지
  2. 국토기본법 규정에 따른 용도계획 관리지역
  3.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규정에 따라 지정된 자유무역지역
  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규정에 따라 지정된 전용공업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기본법 규정에 따른 용도계획 관리지역"은 지역의 용도계획을 관리하고 지정된 용도에 맞게 사용되도록 지원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소음진동규제법령상 배출시설의 설치신고 또는 설치허가대상에서 제외되는 지역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산업지역이나 자유무역지역 등으로, 이러한 지역들은 일부 경우에는 소음진동규제법령상 배출시설의 설치신고 또는 설치허가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소음진동규제법규상 교육기관의 장이 다음 해의 교육계획을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하는 기간 기준(①)과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간기준(②)으로 옳은 것은? (단, 규정에 의한 교육기관에 한하고, 정보통신매체 를 이용하여 원격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1. ① 매년 11월 30일까지, ② 5일 이내
  2. ① 매년 11월 30일까지, ② 7일 이내
  3. ① 매년 12월 31일까지, ② 5일 이내
  4. ① 매년 12월 31일까지, ② 7일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교육기관의 장이 다음 해의 교육계획을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때, 교육계획 제출 기간은 매년 11월 30일까지이며,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간은 5일 이내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기간은 규정에 의한 교육기관에 한정되며, 원격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매년 11월 30일까지, ② 5일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