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20)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2005-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설기계정비

1. 과급기를 설치하면 기관의 출력은 어느 정도 증가 되는가?

  1. 5 - 10 %
  2. 15 - 20%
  3. 35 - 45%
  4. 50 - 60%
(정답률: 55%)
  • 과급기는 기관에 공기를 더 많이 공급하여 연소 과정에서 더 많은 연료를 연소시키도록 돕는 장치입니다. 이로 인해 기관의 출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과급기의 효과는 설치하는 기관의 종류나 상태, 과급기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증가율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대체로 35 - 45% 정도의 출력 증가가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구성품 중 주유 할 필요가 없는 곳은?

  1. 대각지주(diagonal brace)
  2. 트랙(track)
  3. 트랙 긴도 조정 실린더
  4. 유니버살 조인트(universal joint)
(정답률: 86%)
  • 트랙(track)은 주행을 위해 필요한 부품이지만, 주유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유할 필요가 없는 곳입니다. 대각지주(diagonal brace), 트랙 긴도 조정 실린더, 유니버살 조인트(universal joint)는 모두 기계의 움직임과 관련된 부품이지만, 주유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중량 10톤의 믹서트럭이 시속 80km/h로 주행하고 있다. 제동거리가 40m 이내가 되려면 제동력의 합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공주거리는 0m, 관성 중량은 0.07W)

  1. 5850kgf
  2. 8270kgf
  3. 5560kgf
  4. 6740kgf
(정답률: 49%)
  • 제동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제동거리 = 제동시간 x 제동전진거리

    제동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제동시간 = 관성중량 x 속도 / 제동력

    여기서 관성중량은 주행중인 차량의 질량에 비례하는 값으로, 보통 0.05 ~ 0.1 정도의 값을 사용한다. 문제에서는 0.07W로 주어졌다.

    제동전진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제동전진거리 = (속도^2) / (2 x 제동력 x 마찰계수)

    여기서 마찰계수는 보통 0.7 정도의 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동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제동거리 = (0.07W x 80/3.6) / 제동력 x (80/3.6)^2 / (2 x 0.7)

    제동거리가 40m 이내가 되려면, 제동력의 합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지 구해보자.

    40 = (0.07W x 80/3.6) / 제동력 x (80/3.6)^2 / (2 x 0.7)

    제동력 = (0.07W x 80/3.6) / (40 x (80/3.6)^2 / (2 x 0.7))

    제동력 = 6740kgf

    따라서, 정답은 "6740kg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슈형 분사펌프의 각 플런저 분사량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 원인은?

  1. 캠축 축방향의 유격이 있다.
  2. 조속기 스프링의 장력이 약하다.
  3. 연료공급 펌프의 압송능력이 좋다.
  4. 연료 파이프에 공기가 들어있다.
(정답률: 64%)
  • 연료 파이프에 공기가 들어있으면, 분사펌프가 공기와 함께 연료를 압축하여 분사하게 되므로 각 플런저 분사량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로 주행 타이어식 건설기계에서 속도계의 구동케이블 체결위치는?

  1. 앞차축
  2. 뒤차축
  3. 변속기 입력축
  4. 변속기 출력축
(정답률: 78%)
  • 속도계는 변속기 출력축에 체결됩니다. 이는 변속기 출력축이 회전할 때마다 속도계 구동케이블이 회전하여 속도계가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변속기 출력축이 속도계의 구동원리를 제공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임페라 브레이커, 스크린, 에어프런 피이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설기계는?

  1. 콘크리트 휘니셔
  2. 콘크리트 배칭 플랜트
  3. 크러셔
  4. 아스팔트 플랜트
(정답률: 57%)
  • 임페라 브레이커, 스크린, 에어프런 피이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설기계는 주로 돌이나 콘크리트 등을 분쇄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기계 중에서 "크러셔"가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크러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스톤링의 절개구를 서로 120°방향으로 끼우는 이유는?

  1. 피스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
  2. 벗겨지지 않게 하기 위함
  3. 냉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4. 절개구 쪽으로 압축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정답률: 100%)
  • 절개구 쪽으로 압축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피스톤링이 실린더 벽면과 밀착되어 압축 공기가 실린더 상단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건설기계의 유압계통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실(Seal)의 종류는?

  1. D-링 실
  2. O-링 실
  3. T-링 실
  4. X-링 실
(정답률: 97%)
  • O-링 실은 가장 간단하고 널리 사용되는 실로, 원형의 고무 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실은 유압 시스템에서 압력을 유지하고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O-링 실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건설기계의 유압계통에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압모터의 압력이 70kgf/cm2, 유량 20ℓ/min일 경우 최대 토크는? (단, 1회전에 대한 유량은 20㏄/rev이다.)

  1. 1.41kgf-m
  2. 2.23kgf-m
  3. 22.3kgf-m
  4. 223kgf-m
(정답률: 32%)
  • 유압모터의 최대 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 토크 = 압력 × 유량 ÷ (2π × 회전수)

    여기서 압력은 70kgf/cm2, 유량은 20ℓ/min, 회전수는 1회전당 유량이 20㏄/rev이므로 1000/20 = 50회전이다.

    따라서 최대 토크 = 70 × 20 ÷ (2π × 50) = 2.23kgf-m 이다.

    정답은 2.23kgf-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게차의 인칭밸브 불량시 나타나는 현상은?

  1. 원동기 회전 정지
  2. 지게차 주행 정지
  3. 작업장치 작동 정지
  4. 유압펌프 작동 정지
(정답률: 80%)
  • 인칭밸브는 운전자가 지게차를 탑승하고 있을 때만 작동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인칭밸브가 불량하면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게차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지게차 주행이 정지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른 요소는 변화하지 않고 발전기 필드에 저항을 더 넣으면?

  1. 스테이터 코일에 열이 발생한다.
  2. 발전기 전압이 높아 진다.
  3. 발전기 전류가 높아 진다.
  4. 발전기 출력이 낮아 진다.
(정답률: 48%)
  • 발전기 필드에 저항을 더 넣으면 발전기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발전기 출력도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발전기 출력이 낮아 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향클러치의 분리가 안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오일압력부족
  2. 압력스프링의 절손
  3. 오일량의 부족
  4. 수동드럼 내치마모
(정답률: 34%)
  • 조향클러치의 분리가 안되는 원인은 오일압력부족, 오일량의 부족, 수동드럼 내치마모일 수 있지만, 압력스프링의 절손은 분리가 안되는 원인이 아니다. 압력스프링의 절손은 조향클러치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분리가 안되는 원인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로우더 장비에서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스로틀 압력
  2. 가버너 압력
  3. 토크 변환기 속도
  4. 메뉴얼 시프트
(정답률: 40%)
  • 토크 변환기 속도는 로우더 장비에서 자동변속기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토크 변환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스로틀 압력은 가속도를 조절하고, 가버너 압력은 변속기의 기어를 선택하는 데 사용됩니다. 메뉴얼 시프트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기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윈치로서 75(ton)의 화물을 0.1(m/s)의 속도로 감아 올릴 때 몇마력이 필요한가? (단, 효율 η = 100%라고 가정)

  1. 100ps
  2. 120ps
  3. 140ps
  4. 160ps
(정답률: 43%)
  • 일단, 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물의 무게인 75(ton)을 중력가속도 9.8(m/s^2)로 나누어 준 후, 이를 0.1(m/s)의 속도로 올리기 위해 필요한 힘을 구해야 합니다.

    필요한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힘 = 화물의 무게 × 올리는 속도 / 효율

    여기서 효율은 100%로 가정하였으므로 1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힘 = 75(ton) × 9.8(m/s^2) × 0.1(m/s) / 1 = 735(W)

    이를 마력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W) = 0.00134(hp)

    따라서 필요한 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마력 = 735(W) × 0.00134(hp/W) = 0.986(HP)

    즉, 필요한 마력은 약 1(HP)입니다. 이를 반올림하여 답은 "100p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동전동기가 작동이 안된다. 원인이 아닌 것은?

  1. 연료 여과기가 막혔다.
  2. 축전지 불량
  3. 시동전동기의 배선 접촉 불량
  4. 퓨즈가 끊어졌다.
(정답률: 88%)
  • 기동전동기가 작동하지 않는 원인 중에서는 연료 여과기가 막혔다는 것이 아닌 것입니다. 연료 여과기가 막히면 연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엔진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는 보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열정산에서 냉각에 의한 손실이 30%, 배기에 의한 손실이 35%, 기계효율이 80%라면 정미 열효율은?

  1. 24%
  2. 28%
  3. 30%
  4. 35%
(정답률: 48%)
  • 열효율은 출력열 / 입력열 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입력열은 연료의 열량이고, 출력열은 유용한 열의 양입니다.

    정미 열효율은 연료의 열량 중에서 실제 유용한 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미 열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정미 열효율 = (1 - 손실열 / 입력열) x 기계효율

    여기서 손실열은 냉각과 배기에 의한 열 손실의 합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정미 열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정미 열효율 = (1 - (0.3 + 0.35) / 1) x 0.8 = 0.28 = 28%

    따라서, 정답은 "2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앵글도저의 성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굴토작업, 굳은땅 옆으로 자르기, 제설작업 등에 쓰인다.
  2. 평탄도로에서 차에 견인력은 대체로 자중을 넘지 않는다.
  3. 좌우 경사 한계각은 60도 정도이다.
  4. 등판능력은 30도 정도이다.
(정답률: 50%)
  • "좌우 경사 한계각은 60도 정도이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앵글도저의 좌우 경사 한계각은 30도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관이 과열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냉각수가 부족할 때
  2. 물펌프의 작동 불능 때
  3. 온도 조절기가 열려있을 때
  4. 라디에이터 코어가 막혀있을 때
(정답률: 87%)
  • 온도 조절기가 열려있을 때는 냉각수가 계속해서 엔진에 유입되어 온도가 낮아지지 않기 때문에 기관이 과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피스톤 지름 50mm, 크랭크 반지름 25mm인 기관에서 압축비를 8 로 만들면 연소실의 체적은?

  1. 12 cm3
  2. 14 cm3
  3. 86 cm3
  4. 98 cm3
(정답률: 49%)
  • 압축비는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부피와 피스톤이 최하점에서 상한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의 실린더 부피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압축비 =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부피 / 상한점에서의 실린더 부피

    여기서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부피는 피스톤 지름과 크랭크 반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부피 = (피스톤 지름 / 2)² x π x 스트로크

    여기서 스트로크는 피스톤이 상하한점을 이동한 거리를 의미합니다.

    상한점에서의 실린더 부피는 연소실의 체적과 같습니다.

    따라서, 압축비를 8로 만들기 위해서는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부피 / 연소실의 체적 = 8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부피 = 8 x 연소실의 체적

    압축 상태에서의 실린더 부피 = (50/2)² x π x 스트로크

    연소실의 체적 = (50/2)² x π x 스트로크 / 8

    연산을 하면, 연소실의 체적은 약 14 cm³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 cm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디젤엔진에서 공기빼기 작업순서로 다음 중 가장 알맞는것은?

  1. 연료탱크 - 연료필터 - 분사파이프 - 분사펌프
  2. 연료필터 - 분사펌프 - 공급펌프 - 분사파이프
  3. 연료필터 - 공급펌프 - 분사파이프 - 분사펌프
  4. 공급펌프 - 연료필터 - 분사펌프 - 분사파이프
(정답률: 55%)
  • 디젤엔진에서 공기빼기 작업순서는 "공급펌프 - 연료필터 - 분사펌프 - 분사파이프" 입니다. 이는 연료가 공급펌프를 통해 연료필터로 들어가서 공기가 제거된 후 분사펌프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분사파이프를 통해 실린더로 분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료의 순서와 공기 제거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위와 같은 순서로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내연기관

21. 연소실의 체적이 22,500㎣ 가스 기관의 1행정 체적이 400cm3 이라면 이 기관의 압축비는 얼마인가?

  1. 1.06
  2. 18.8
  3. 20.8
  4. 56.2
(정답률: 37%)
  • 압축비는 압축 전 체적을 압축 후 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압축 전 체적은 연소실의 체적인 22,500㎣ 이고, 압축 후 체적은 1행정 체적인 400cm3 이다. 따라서, 압축비는 22,500 / 400 = 56.25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18.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관에서 캠축의 캠의 수는 어느 것과 관계가 있는가?

  1. 배기량
  2. 피스톤 수
  3. 기관의 밸브 수
  4. 밸브 간극
(정답률: 67%)
  • 캠은 밸브를 열고 닫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관의 밸브 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밸브가 많을수록 캠의 수도 많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관의 밸브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라디에이터의 구비조건과 관계 없는 것은?

  1. 냉각수 흐름 저항이 클 것
  2. 대류 열전달이 좋을 것
  3. 단위면적당 방열량이 클 것
  4. 가볍고 강도가 클 것
(정답률: 85%)
  • 라디에이터의 구비조건과 관계 없는 것은 "냉각수 흐름 저항이 클 것"이다. 이유는 냉각수 흐름 저항이 클수록 냉각수의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냉각수 흐름 저항이 낮을수록 라디에이터의 성능이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기관을 동력계로 측정하였더니 회전수 3500rpm에서 토크가 4.8kg-m이였다. 이 기관의 출력은?

  1. 약 23.5 PS
  2. 약 26.8 PS
  3. 약 36.7 PS
  4. 약 46.7 PS
(정답률: 27%)
  • 출력(Power) = 회전수(RPM) × 토크(Torque) ÷ 716.2

    = 3500 × 4.8 ÷ 716.2

    ≈ 23.5 PS

    여기서 716.2은 단위 변환 상수로, rpm과 kg-m을 PS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23.5 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다기통기관의 점화순서를 고려할 때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이웃하는 실린더에 연속적으로 폭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2. 크랭크축의 비틀림이나 진동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3. 흡·배기가 서로 간섭하여 기관의 부조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4. 크랭크축이 2회전하는 동안 각 실린더의 동력행정이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되어야 한다.
(정답률: 52%)
  • "크랭크축이 2회전하는 동안 각 실린더의 동력행정이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을 두고 발생되어야 한다."는 다기통기관의 점화순서를 고려할 때의 사항이 맞는 것입니다. 이유는 각 실린더에서 폭발이 일어나는 순서와 시간 간격이 정확하게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엔진의 부조현상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동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기통기관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동연료 소비율 be=220 g/PS·h인 자동차용 가솔린기관의 제동 열효율은 얼마인가? (단, 연료의 저위발열량은 10500 kcal/kgf 이다.)

  1. 27.38 %
  2. 30.62 %
  3. 31.47 %
  4. 34.27 %
(정답률: 0%)
  • 제동 열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동 열효율 = (발생한 제동 열량) / (연료 소모에 의한 열량)

    제동 열량은 연료 소모에 의해 발생하는 열량 중 일부이므로, 제동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동 열량 = 연료 소모량 × 저위발열량 × 제동연료 소비율

    여기서 연료 소모량은 출력에 비례하므로, 연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연비 = 1 / (제동연료 소비율 × 백분율로 변환한 출력)

    따라서, 연비를 이용하여 연료 소모량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동 열량과 제동 열효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이 100 PS인 경우 연비는 다음과 같다.

    연비 = 1 / (220 g/PS·h × 100%) = 0.00454 kgf/PS·h

    따라서, 연료 소모량은 다음과 같다.

    연료 소모량 = 0.00454 kgf/PS·h × 100 PS = 0.454 kgf/h

    제동 열량은 다음과 같다.

    제동 열량 = 0.454 kgf/h × 10500 kcal/kgf × 220 g/PS·h = 1071.9 kcal/h

    제동 열효율은 다음과 같다.

    제동 열효율 = 1071.9 kcal/h / (0.454 kgf/h × 427.8 kcal/kgf) × 100% = 27.38 %

    따라서, 정답은 "27.3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관을 과급하는 가장 주된 목적에 해당되는 것은?

  1. 압축초 압축압력이 높아 착화지연 기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이다.
  2. 기관 회전수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3. 연료 소비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이다.
  4. 급기밀도를 증가시켜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이다.
(정답률: 72%)
  • 기관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료 공급량을 늘리거나 공기 공급량을 늘려야 합니다. 하지만 연료 공급량을 늘리면 연료 소비량이 증가하고, 공기 공급량을 늘리면 공기 저항이 증가하여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공기 공급량을 늘리면서도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밀도를 높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급기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압력비 8인 단순 가스터어빈 사이클의 열효율은? (단, K=1.4이다.)

  1. 62.4%
  2. 58.4%
  3. 36.6%
  4. 44.8%
(정답률: 31%)
  • 가스터어빈 사이클은 4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과정에서의 열효율을 구하여 곱하면 전체 열효율을 구할 수 있다.

    1. 압축 과정: 압력비 8인 단순 가스터어빈 사이클에서는 압축 과정이 이상적인 등엔트로피 압축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열효율은 다음과 같다.

    η1 = (P2/P1)^((K-1)/K) = (8)^((1.4-1)/1.4) = 0.536

    2. 가열 과정: 가열 과정에서는 열효율이 100%이므로, η2 = 1이다.

    3. 확장 과정: 확장 과정도 이상적인 등엔트로피 확장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열효율은 다음과 같다.

    η3 = 1/((P3/P4)^((K-1)/K)) = 1/((1/8)^((1.4-1)/1.4)) = 1.872

    4. 냉각 과정: 냉각 과정에서도 열효율이 100%이므로, η4 = 1이다.

    따라서, 전체 열효율은 다음과 같다.

    η = η1 x η2 x η3 x η4 = 0.536 x 1 x 1.872 x 1 = 1.003

    즉, 압력비 8인 단순 가스터어빈 사이클의 열효율은 100.3%이다. 하지만, 열효율은 항상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실제 열효율은 100%로 한정된다. 따라서, 실제 열효율은 100.3%에서 100%를 뺀 값인 0.3%가 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열효율을 백분율로 표시하고 있으므로, 0.3%를 100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열효율은 0.3%/100% x 100 = 0.3%이며,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44.8%"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4행정 사이클 디젤기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배압(back pressure)
  2. 배기관 온도(exhaust manifold temperature)
  3. 흡기관 온도(intake manifold temperature)
  4. 부스트 압력(boost pressure)
(정답률: 70%)
  • 배기관 온도는 디젤기관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4행정 사이클에서는 가장 관계가 적은 인자입니다. 이는 4행정 사이클에서는 배기관 온도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배압은 엔진의 효율성과 출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흡기관 온도와 부스트 압력은 연료의 효율성과 엔진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동차용 내연기관의 연료로 탄화수소(CmHn)가 많이 사용된다. 이 탄화수소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원자의 결합구조에 따라 방향족, 나프텐족, 지방족 등으로 나눈다.
  2. 탄소원자와 수소원자로 구성된다.
  3. 석탄가루와 수소를 연소시켜 만든다.
  4. 수소와 탄소원자의 배열상태에 따라 연료의 특성이 달라진다.
(정답률: 58%)
  • 석탄가루와 수소를 연소시켜 만든다는 설명은 적합하지 않다. 이는 석탄가루와 같은 화석연료에서 추출된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이 아니라, 수소와 탄소를 합성하여 만든 인공적인 연료인 수소화탄화수소(Hydrogenated hydrocarbons)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에서 사용된다. 이 연료는 석유화학공업에서 생산되며, 석유에서 추출된 탄화수소를 수소화하여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왕복형 내연기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4행정 사이클 기관에서는 팽창 행정 때 동력이 얻어진다.
  2. 가솔린 기관은 혼합기를 흡입하고 디젤기관은 공기만을 흡입한다.
  3. 실린더 내의 체적이 최소가 되는 피스톤 위치를 상사점이라 한다.
  4. 피스톤이 하사점에 있을 때의 실린더내 전체적을 행정체적이라 한다.
(정답률: 30%)
  • "피스톤이 하사점에 있을 때의 실린더내 전체적을 행정체적이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내연기관에서 4행정 사이클 중 하사 행정에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최하점에 위치할 때를 말하며, 이때 실린더 내부의 체적이 최소가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윤활유가 열화하면 기관 각부에 오손현상이 발생한다. 다음 중 열화의 주된 요인이라고 보기에 거리가 먼 것은?

  1. 윤활유 자체의 산화에 의한 열화
  2. 외부 이물질의 혼입에 의한 열화
  3. 첨가제의 소모에 의한 열화
  4. 압축압력 저하에 의한 열화
(정답률: 69%)
  • 압축압력 저하에 의한 열화는 윤활유가 기계 내부에서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면서 발생하는 열화 현상입니다. 이는 윤활유의 끓는점이 낮아져 윤활유 안에 포함된 물질들이 증발하여 윤활유의 성질이 변화하고, 이로 인해 윤활유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압축압력 저하에 의한 열화는 윤활유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완전충전 상태에서 축전지 전해액의 비중(20℃)은 다음 중 어느 것에 가장 가까운가?

  1. 1.280
  2. 1.527
  3. 1.150
  4. 1.859
(정답률: 90%)
  • 정답은 "1.280"이다.

    충전된 축전지의 전해액 비중은 대략 1.28 ~ 1.3 정도이다. 이는 축전지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생성되는 수소와 산소가 전해액에 녹아들어 전해액의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전된 축전지의 전해액 비중은 1.280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피스톤 링의 3대 작용이 아닌 것은?

  1. 밀봉작용
  2. 냉각작용
  3. 오일제어작용
  4. 피스톤 마멸방지 작용
(정답률: 50%)
  • 피스톤 링의 3대 작용은 밀봉작용, 냉각작용, 오일제어작용입니다. 피스톤 마멸방지 작용은 피스톤 링의 주요 작용 중 하나가 아니며,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의 마찰을 줄여서 마멸방지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솔린 차량의 공연비와 배출가스에 대해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NOx는 이론공연비보다 약간 희박한 혼합비 영역에서 가장 많이 배출된다.
  2. CO는 불완전 연소시에 배출된다.
  3. HC는 증발가스가 60% 이상을 차지한다.
  4. HC는 농후하거나 희박한 혼합비 영역에서 증가한다.
(정답률: 46%)
  • "HC는 증발가스가 60% 이상을 차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 HC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증발가스는 일부분만 차지한다. 이는 연료의 증발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HC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연료의 증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솔린 200cc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무게는 몇 kgf인가? (단, 혼합비 15이고, 가솔린 비중은 0.73이다.)

  1. 1.65
  2. 2.19
  3. 2.47
  4. 3.14
(정답률: 38%)
  • 가솔린 200cc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정한 공기량이 필요하다. 이 공기량은 연소 반응식에서 산소와의 몰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가솔린의 몰량을 구해보자. 가솔린의 분자량은 약 114g/mol이다. 따라서 200cc(0.2L)의 가솔린의 몰량은 다음과 같다.

    0.2L × (0.73g/mL) ÷ (114g/mol) = 0.0013 mol

    다음으로, 연소 반응식에서 산소와의 몰비를 구해보자. 혼합비가 15이므로, 공기 중에 있는 질소와의 몰비는 15:1이다. 따라서 산소와의 몰비는 다음과 같다.

    15 ÷ (15+1) = 0.94

    마지막으로, 가솔린 1몰에 필요한 산소의 몰수를 구하고, 이를 공기의 몰수와 곱하여 공기의 몰수를 구할 수 있다.

    가솔린 1몰에 필요한 산소의 몰수 = 0.0013 mol × 0.94 = 0.0012 mol

    공기의 몰수 = 가솔린 1몰에 필요한 산소의 몰수 × (1+15) = 0.018 mol

    마지막으로, 공기의 몰수를 공기의 질량으로 환산하여 답을 구할 수 있다. 공기의 분자량은 약 29g/mol이므로, 공기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0.018 mol × 29g/mol = 0.52 g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kgf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공기의 질량을 중력가속도로 나누어준 후, kgf로 환산해야 한다.

    0.52 g ÷ 9.81 m/s² = 0.053 kgf

    따라서, 가솔린 200cc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무게는 약 0.053 kgf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주어졌으므로, 반올림하여 2.19이라는 답이 나온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직접분사식 전자제어 디젤엔진(커먼레일) 연료분사장치의 입력신호를 위한 센서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공기 질량 센서
  2. 크랭크 위치 센서
  3. 휠 센서
  4. 캠 샤프트 위치 센서
(정답률: 80%)
  • 휠 센서는 주행 중 차량의 속도와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직접분사식 전자제어 디젤엔진의 연료분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휠 센서"입니다. 반면, 공기 질량 센서, 크랭크 위치 센서, 캠 샤프트 위치 센서는 모두 디젤엔진의 연료분사에 필요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로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열역학 제 1법칙은?

  1. 에너지 보존에 관한 법칙이다.
  2. 에너지 변환에 관한 법칙이다.
  3. 에너지 축소에 관한 법칙이다.
  4. 열이 일로 변화하는 것에 대한 법칙이다.
(정답률: 90%)
  • 열역학 제 1법칙은 에너지 보존에 관한 법칙이다. 이는 에너지는 변하지 않고, 단지 형태만 변할 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스템 내부에서 일어나는 열과 일의 변화는 에너지의 총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고속 디젤기관의 기본 사이클에 속하는 것은?

  1. 사바테 사이클
  2. 정압 사이클
  3. 정적 사이클
  4. 브레이톤 사이클
(정답률: 80%)
  • 고속 디젤기관의 기본 사이클은 사바테 사이클입니다. 이는 고압과 저압의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압에서는 공기가 압축되고, 연소가 일어나며, 저압에서는 연소가 끝나고 배기가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사이클은 디젤기관에서 가장 효율적인 사이클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실린더 내에서 폭발한 연소 가스의 일을 직접 측정한 마력은?

  1. 도시 마력
  2. 제동 마력
  3. 정미 마력
  4. 유효 마력
(정답률: 37%)
  • 도시 마력은 실린더 내에서 폭발한 연소 가스의 일을 직접 측정한 마력으로, 엔진의 실제 출력을 나타내는 가장 정확한 지표이다. 제동 마력은 차량의 제동장치가 발생시키는 마력, 정미 마력은 엔진의 회전력을 나타내는 마력, 유효 마력은 엔진이 실제로 전달하는 마력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모두 도시 마력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압기기 및 건설기계안전관리

41. 유압유가 국부적으로 압력이 낮아지면(진공상태) 유압 작동유 속에 녹아있는 공기가 기포로 되어 일어나는 현상과 가장 관계있는 용어는?

  1. 용해 현상
  2. 공동 현상
  3. 액화 현상
  4. 맥동 현상
(정답률: 76%)
  • 공동 현상은 액체 속에 녹아있는 기체가 압력이 낮아지면 기포로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유압유가 진공상태가 되면 유압 작동유 속에 녹아있는 공기가 기포로 일어나는 것이 바로 공동 현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압 작동유와는 관련이 없는 현상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기와 같은 방향제어 회로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증압회로
  2. 배압회로
  3. 로킹회로
  4. 감압회로
(정답률: 43%)
  • 이 회로는 입력신호가 High일 때 출력신호가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로킹회로"라고 부릅니다. 입력신호가 Low일 때는 출력신호가 Low가 되고, 다시 High로 바뀌면 이전의 출력신호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메모리 회로나 디지털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정한 유량으로 유체가 흐를 때 관의 안지름이 절반인관으로 교체할 경우 유속은 몇 배가 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74%)
  • 유량은 유속과 관의 단면적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속이 변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관의 단면적은 기존의 관의 단면적의 절반인 1/4가 됩니다. 이에 따라 유량은 1/4로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유량은 일정하므로, 유속은 새로운 관에서 기존의 관보다 4배 빨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패킹재료로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유연성이 없을 것
  2. 사용유체에 대한 저항성이 있을 것
  3. 내열성이 있을 것
  4. 내화성이 있을 것
(정답률: 84%)
  • 패킹재료는 유연성이 있어야 사용 대상에 맞게 적절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사용 중에 발생하는 진동 등의 충격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유연성이 없을 것"은 패킹재료로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보기 그림에서 A1이 20cm2 이고 A2가 600cm2 일 때 피스톤 1의 변위 s1이 10cm 발생하였다면, 피스톤 2의 변위는 얼마인가?

  1. 0.66 cm
  2. 0.55 cm
  3. 0.44 cm
  4. 0.33 cm
(정답률: 44%)
  • 부피 보존 법칙에 의해 A1s1 = A2s2 이다. 따라서 s2 = (A1s1)/A2 = (20cm2 × 10cm)/600cm2 = 0.33 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릴리프 밸브의 주 기능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유압회로의 최고압력을 제한하여 회로 내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2. 유압회로의 최저압력 이하로 감압되지 않도록 한다.
  3. 유압회로의 압력을 작동 순에 따라 제한한다.
  4. 유압회로의 유압방향을 제어한다.
(정답률: 75%)
  • 릴리프 밸브는 유압회로의 최고압력을 제한하여 회로 내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유압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선운동을 하는 유압 액추에이터(actuator)인 것은?

  1. 유압 펌프
  2. 유압 실린더
  3. 유압 모터
  4. 유압 요동 모터
(정답률: 74%)
  • 유압 실린더는 유압 압력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이다. 유압 펌프는 유압 액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유압 모터는 회전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이다. 유압 요동 모터는 유압 모터와 유사하지만, 요동 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이다. 따라서, 직선운동을 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인 유압 실린더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작동유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잠시 저축했다가 이것을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유압 기기는?

  1. 유체 커플링
  2. 유량 제어 밸브
  3. 축압기
  4. 압력 제어 밸브
(정답률: 84%)
  • 축압기는 작동유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저축하여 이를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유압 기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축압기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축압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기와 같은 유압·공기압 도면 기호의 명칭은?

  1. 2포트 수동 전환밸브
  2. 2포트 전자 변환밸브
  3. 3포트 수동 전환밸브
  4. 3포트 전자 변환밸브
(정답률: 66%)
  • 이 도면 기호는 2포트 수동 전환밸브를 나타낸다. 이유는 기호에 보이는 것처럼, 두 개의 포트가 있고,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전자 변환 기능이 있거나 포트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유압 관로에서 필요에 따라 유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기시키는 관로와 가장 관계있는 용어는?

  1. 브레이크 관로
  2. 시퀀스 관로
  3. 바이패스 관로
  4. 카운터 관로
(정답률: 82%)
  • 바이패스 관로는 유압 관로에서 유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유압 기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에서 바이패스 관로는 매우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밀링작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면 거칠기는 손으로 검사해야 정확히 알 수 있다.
  2. 급속 이송은 한 방향으로만 한다.
  3. 급송 이송시 백래쉬 제거장치를 작동 해서는 안된다.
  4. 하향절삭은 백래쉬 제거장치가 작동하고 있을 때 한다.
(정답률: 81%)
  • "표면 거칠기는 손으로 검사해야 정확히 알 수 있다."가 틀린 이유는, 표면 거칠기는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손으로 검사하면 주관적인 평가가 들어가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장 부품 취급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절연된 부분은 오일로 깨끗이 세척한다.
  2. 시험기의 조작방법을 숙지한다.
  3. 접촉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확실히 조인다.
  4. 안전사항에 주의하고 특히 감전에 주의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절연된 부분은 오일로 깨끗이 세척한다." 이다. 이유는 전기 부품에서 오일이나 기름 등의 노폐물이 쌓이면 전기 저항이 증가하여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깨끗이 세척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타이어식 건설기계의 허브 작업시 옳지 않는 것은?

  1. 대형 잭으로만 안전하게 받친다.
  2. 사용한 오일실은 신품으로 교환한다.
  3. 분해하지 않는 타이어에는 고임목을 받친다.
  4. 허브를 떼어낼 때는 전용풀러를 상용한다.
(정답률: 81%)
  • 타이어식 건설기계의 허브 작업시 대형 잭으로만 안전하게 받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안전하지 않은 방법이며, 작업 중에 장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신에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해서는 전용풀러를 사용하고, 분해하지 않는 타이어에는 고임목을 받치며, 사용한 오일실은 신품으로 교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기공구의 사용시 직접적인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물 또는 수분
  2. 전기코드의 상태
  3. 접지상태
  4. 작업장 주변의 정돈
(정답률: 70%)
  • 작업장 주변의 정돈은 전기공구의 사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공구 사용시에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압회로에서 유압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오일실의 구비조건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내압성과 내열성이 클 것
  2. 내마멸성이 적당할 것
  3. 정밀가공면을 손상시키지 않을 것
  4. 설치하기가 까다로우며 복잡한 구조일 것
(정답률: 89%)
  • 설치하기가 까다로우며 복잡한 구조일 것은 오일실이 유압회로에서 유압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일실의 설치 위치와 크기, 유압유의 압력과 온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밀하게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오일실은 정밀가공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내압성과 내열성이 높아야 하며, 내마멸성도 적당해야 합니다. 따라서 설치하기가 까다로우며 복잡한 구조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고열 작업장에서 땀을 많이 흘린 경우는 땀 3∼10ℓ당 물 1컵에 0.5∼1g의 소금을 타서 마실 것
  2. 작업을 위해 차를 받칠 때는 잭이나 호이스트에만 의존하지 말고 받침목을 고일 것
  3. 운행 중인 운반 차량 등에서 뛰어타거나 내릴 때는 운전자에게 신호를 보낼 것
  4. 들어 올리거나 운반할 물건은 크기와 무게를 검사하여 적절한 방법을 취할 것
(정답률: 79%)
  • "운행 중인 운반 차량 등에서 뛰어타거나 내릴 때는 운전자에게 신호를 보낼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올바른 안전 규칙이 아니며,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올바른 안전 규칙은 차량이 완전히 정지한 후에만 내리거나 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안전사고와 관련 있는 산업심리의 5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습관
  2. 기질
  3. 정서
  4. 동기
(정답률: 49%)
  • 안전사고와 관련 있는 산업심리의 5대 요소는 습관, 기질, 동기, 인지, 환경이다. 정서는 산업심리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안전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공구 보관시 올바른 방법은?

  1. 가지런히 벽에 세워서 보관
  2. 끝이 날카로운 공구는 아래로 세워서 보관
  3. 공장이나 바닥에 한쪽 옆으로 보관
  4. 보관상자에 넣어 습기나 수분이 없는 곳에 보관
(정답률: 77%)
  • 보관상자에 넣어 습기나 수분이 없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이유는 공구는 습기나 수분에 노출되면 부식이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관상자에 넣으면 먼지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되어 보존상태가 좋아지며, 보관상자에 넣어두면 가지런하게 정리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스용접에서 토치 취급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에 적당한 팁을 선택하고 산소와 아세틸렌의 압력을 조정 유지한다.
  2. 토치에 점화할 때는 성냥 등을 사용하여 점화한다.
  3. 팁이 가열될 때에는 냉각시키고, 산소 가스만을 적게 통하게 하여 서서히 냉각시킨다.
  4.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호스나 토치의 연결 부분이 완전히 체결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93%)
  • "토치에 점화할 때는 성냥 등을 사용하여 점화한다."가 틀린 것이다. 가스용접에서는 성냥 등 대신에 스파크 라이터나 피즈마 라이터를 사용하여 점화한다. 이는 성냥 등이 불안정한 불꽃을 일으키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재해율 산정의 강도율 계산공식으로 적합한 것은?

  1.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연근로시간 ⒡ 1,000
  2.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연근로시간 ⒡ 1,000,000
  3. 강도율 = 연근로시간/근로손실일수 ⒡ 1,000,000
  4. 강도율 = 연근로시간/근로손실일수 ⒡ 1,000
(정답률: 57%)
  • 정답: 강도율 = 근로손실일수/연근로시간 ⒡ 1,000

    강도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근로 손실일수를 연근로시간으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것입니다. 이 계산식은 근로자들이 일을 하면서 발생한 손실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근로자들이 일을 하지 않아 생산성이 감소하거나, 일을 하면서 부상을 입어 일시적으로 일을 할 수 없는 경우 등이 근로 손실일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근로 손실일수를 연근로시간으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해 강도율을 계산하는 것은 근로자들의 생산성을 측정하는 데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일반기계공학

61. 다음의 강판 중 차체 경량화와 가장 관계 있는 것은?

  1. 냉간압연강판
  2. 열간압연강판
  3. 표면처리강판
  4. 고장력강판
(정답률: 42%)
  • 차체 경량화를 위해서는 강도가 높고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한 강판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고장력강판은 강도가 높아서 차체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경량화가 가능하여 차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장력강판이 차체 경량화와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세라믹스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단하고 취성이 있다.
  2. 융점이 낮다.
  3. 내열성, 내산화성이 좋다.
  4. 열전도율이 낮다.
(정답률: 45%)
  • 융점이 낮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세라믹스는 일반적으로 융점이 높은 소재로,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세라믹스가 결정 구조가 밀도 높고 결합력이 강하며, 분자 운동이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라믹스는 내열성과 내산화성이 좋으며, 단단하고 취성이 있는 소재입니다. 그러나 열전도율은 낮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비중 8.9의 은백색을 띄며 내식성과 내열성이 커서 화학공업용, 화폐, 도금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비철금속은?

  1. 주석(Sn)
  2. 아연(Zn)
  3. 납(Pb)
  4. 니켈(Ni)
(정답률: 52%)
  • 니켈은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서 화학공업용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도금용으로도 많이 사용되며, 화폐에도 사용되는데 이는 니켈의 높은 내구성과 내식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니켈(N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주강제의 볼을 분사하여 표면가공을 함으로써 경도 및 피로강도를 향상시키는 표면가공법은?

  1. 쇼트 피닝
  2. 호닝
  3. 버어니싱
  4. 버핑
(정답률: 61%)
  • 쇼트 피닝은 주강제의 볼을 고속으로 분사하여 표면을 충격적으로 가공하는 방법으로, 이로 인해 표면의 결함이 제거되고 경도 및 피로강도가 향상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쇼트 피닝이 주강제의 볼을 분사하여 표면가공을 함으로써 경도 및 피로강도를 향상시키는 표면가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호브(hob)라고 하는 공구를 사용하여 기어를 가공하는 공작기계는?

  1. 핵소오잉머시인
  2. 호빙머시인
  3. 버핑머시인
  4. 방전가공기
(정답률: 84%)
  • 호브(hob)는 기어의 치형을 만들기 위한 공구로, 호빙머시인은 이 호브를 사용하여 기어를 가공하는 공작기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빙머시인"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기어를 가공하는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는 공작기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축과 풀리 또는 기어의 허브(hub)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요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계요소는?

  1. 코터
  2. 나사
(정답률: 60%)
  • 키는 축과 허브 사이에 끼워져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계요소입니다. 키는 축과 허브의 구멍에 각각 끼워져서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이때 키는 축과 허브의 회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키는 축과 허브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요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저널에 작용하는 최대하중 W, 축의 직경을 d, 저널의 길이를 L 이라고 할 때 베어링 압력을 구하는 식은?

  1. W/(dL)
  2. (dL)/W
  3. d/(WL)
  4. L/(dW)
(정답률: 40%)
  • 베어링 압력은 최대하중을 축의 면적과 저널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하중이 면적과 길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W/(d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공압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 중 전기적인 작동방법은?

  1. 레버
  2. 스프링
  3. 압축공기
  4. 솔레노이드
(정답률: 83%)
  • 솔레노이드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밸브를 작동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전기적인 작동방법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레버나 스프링, 압축공기는 공압밸브를 작동시키는 다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정밀 주조법의 일종으로 정밀한 금형에 용융금속을 고압, 고속으로 주입하여 주물을 얻는 주조법은?

  1. 다이 캐스팅(Die casting)
  2. 원심주조법(Centrifugal casting)
  3. 셀 몰드법(Shell moulding process)
  4. 인베스트먼트법(Investment casting)
(정답률: 73%)
  • 다이 캐스팅은 정밀한 금형에 용융금속을 고압, 고속으로 주입하여 주물을 얻는 주조법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고압, 고속으로 주입하여 정밀한 형상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다이 캐스팅은 정밀한 부품을 생산하는 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베어링의 호칭번호가 6008일 경우 안지름은?

  1. 8mm
  2. 16mm
  3. 20mm
  4. 40mm
(정답률: 67%)
  • 베어링의 호칭번호에서 첫 번째 숫자는 안지름을 나타내므로, 6008의 경우 안지름은 4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변형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변형률은 탄성한계 내에서 응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2. 변형률은 탄성한계 내에서 응력과는 비례 관계가 있다.
  3. 변형률은 변화량과 본래의 치수와의 비를 말한다.
  4. 변형률은 길이와 길이 간의 비이므로 차원은 없다.
(정답률: 60%)
  • "변형률은 탄성한계 내에서 응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변형률은 탄성한계 내에서 응력과 비례 관계가 있습니다. 변형률은 응력과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금속 파이프 또는 봉재의 재료를 다이를 통과시켜 잡아당겨서 축 방향으로 테이퍼 구멍과 같은 다이 구멍의 최소 단면 치수로 가공하는 소성 가공법은?

  1. 단조(forging)
  2. 압연(rolling)
  3. 인발(drawing)
  4. 압출(extruding)
(정답률: 61%)
  • 인발(drawing)은 금속 파이프 또는 봉재의 재료를 다이를 통과시켜 축 방향으로 테이퍼 구멍과 같은 다이 구멍의 최소 단면 치수로 가공하는 소성 가공법이다. 따라서 인발은 다른 보기인 단조, 압연, 압출과는 다른 가공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고압 탱크, 보일러 등과 같이 기밀을 필요로 하는 용기를 리벳에 의해 제작할 때 리벳 작업이 끝난 후 행하는 작업은?

  1. 리밍
  2. 드릴링
  3. 코킹
(정답률: 50%)
  • 코킹은 리벳 작업이 끝난 후 용기의 구멍 주변에 밀봉재를 바르는 작업으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고압 탱크, 보일러 등과 같은 기밀 용기를 제작할 때 리벳 작업이 끝난 후 코킹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관속을 충만하게 흐르고 있는 액체의 속도를 급격히 변화시키면 액체에 심한 압력의 변화가 생기는 데 이런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퍼컬레이션
  2. 케비테이션
  3. 수격현상
  4. 서징현상
(정답률: 46%)
  • 액체의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면 액체 입자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운동 에너지가 변환되고, 이로 인해 액체 내부에서 압력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수격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길이 500mm의 봉이 인장하중을 받아 0.5mm 만큼 늘어났을 때, 인장변형률은?

  1. 1000
  2. 100
  3. 0.01
  4. 0.001
(정답률: 54%)
  • 인장변형률은 (늘어난 길이 / 원래 길이)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0.5 / 500) = 0.001 이 됩니다. 즉, 봉의 원래 길이에 대한 늘어난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은 정용량형 펌프와 릴리프 밸브 회로의 일부를 표시한 것이다. A 부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유압 실린더
  2. 오일 여과기
  3. 유압 펌프
  4. 방향제어 밸브
(정답률: 70%)
  • 그림에서는 펌프와 밸브 회로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이다. 따라서 A 부에 가장 적합한 것은 유압 펌프이다. 유압 펌프는 유압 시스템에서 압력을 생성하여 유압 실린더나 모터 등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선반을 이용한 절삭작업에서 절삭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절삭공구
  2. 공작물의 크기
  3. 이송량
  4. 절삭깊이
(정답률: 50%)
  • 선반을 이용한 절삭작업에서 절삭력은 절삭공구, 이송량, 절삭깊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공작물의 크기는 절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작물의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모듈이 6, 잇수가 50인 표준 스퍼기어의 바깥지름[mm]은?

  1. 300
  2. 312
  3. 316
  4. 322
(정답률: 36%)
  • 표준 스퍼기어의 바깥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바깥지름[mm] = (모듈 × 잇수 + 2) × 25.4

    따라서, 모듈이 6이고 잇수가 50인 경우 바깥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바깥지름[mm] = (6 × 50 + 2) × 25.4 = 312

    따라서, 정답은 "3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노 속에서 서냉하여 철강, 기타 금속 재료의 연화, 결정조직의 조정, 편석의 균일화 등을 갖기 위한 열처리 방법은?

  1. 뜨임
  2. 화염경화법
  3. 담금질
  4. 풀림
(정답률: 60%)
  • 정답은 "풀림"입니다.

    노 속에서 서냉하여 생긴 금속의 결정조직이 불균일하거나 편석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균일하게 만들기 위해 열처리를 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풀림"입니다.

    풀림은 금속을 고온에서 가열한 후, 천천히 냉각시켜 결정조직을 균일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금속 내부의 결정구조가 재배열되어 편석이 사라지고, 금속의 연화와 결정조직의 조정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뜨임은 금속을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방법, 화염경화법은 금속을 가열한 후 빠르게 냉각시켜 경화시키는 방법, 담금질은 금속을 가열한 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물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와 달리 풀림은 고온에서 가열한 후 천천히 냉각시켜 결정조직을 균일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외접한 한쌍의 표준평치차의 중심거리가 100mm이고, 한쪽 기어의 피치원 지름이 80mm일 때 상대기어의 피치원 지름은?

  1. 40mm
  2. 90mm
  3. 120mm
  4. 160mm
(정답률: 50%)
  • 두 기어가 외접하므로, 한쪽 기어의 피치원 지름과 상대기어의 피치원 지름의 합이 두 기어의 중심거리와 같다. 따라서, 상대기어의 피치원 지름은 80mm + 100mm = 180mm이다. 그러나 문제에서 보기에는 120mm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는 다른 방법으로 계산한 값일 것이다. 예를 들어, 두 기어의 모듈이 같다면, 피치원 지름과 모듈은 비례하므로, 한쪽 기어의 피치원 지름과 상대기어의 피치원 지름의 비율이 80mm:x 이고, 중심거리와 표준평치차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x를 구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계산하면, x = 120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