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6)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2006-08-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설기계정비

1. 피스톤과 실린더와의 틈새가 클 때 일어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은?

  1. 피스톤 슬랩 현상이 생긴다.
  2. 압축 압력이 저하한다.
  3. 오일이 연소실로 올라온다.
  4. 피스톤과 실린더의 소결이 일어난다.
(정답률: 90%)
  • 정답은 "오일이 연소실로 올라온다." 이다.

    피스톤과 실린더의 틈새가 클 때, 압축 압력이 저하되어 피스톤 슬랩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피스톤과 실린더가 밀착되지 않아 오일이 연소실로 올라가는 것은 맞지만, 이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소결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피스톤과 실린더의 소결은 피스톤과 실린더가 밀착되어 있지 않아 연료와 공기가 누설되어 연소가 원활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이는 엔진의 성능 저하와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게차 리프트용 체인을 점검하고자 할 때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크랙
  2. 파괴
  3. 마모
  4. 부싱
(정답률: 72%)
  • 지게차 리프트용 체인을 점검할 때 부싱은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는 부싱이란 체인의 연결부위에서 생기는 피로나 변형을 말하는데, 지게차 리프트용 체인은 연결부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싱은 점검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압식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불도저에서 기어 변속이 전혀 안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단, 완전 분해 수리를 완료 한 후 장비에 부착했다.)

  1. 자동변속기의 오일 라인에 공기가 차있다.
  2. 디퍼런셜 기어가 파손되었다.
  3. 엔진의 출력이 부족하다.
  4. 오일 필터를 교환하지 않았다.
(정답률: 63%)
  • 자동변속기는 오일을 이용하여 기어 변속을 수행하는데, 오일 라인에 공기가 차 있으면 오일의 유동성이 떨어져 기어 변속이 원활하지 않아집니다.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오일 라인에 공기가 차있는 경우에는 기어 변속이 전혀 안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블레이드를 수평으로 30° 회전시킬 수 있고 경사지 측면작업, 절토작업 굳은 땅 옆으로 자르기 등의 작업에 가장 효과적인 도저는?

  1. 타이어 도저
  2. 불도저
  3. 앵글 도저
  4. 틸트 도저
(정답률: 67%)
  • 앵글 도저는 블레이드를 수평으로 30° 회전시킬 수 있어 경사지 측면작업, 절토작업, 굳은 땅 옆으로 자르기 등 다양한 작업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앵글 도저입니다. 타이어 도저는 타이어를 이용해 이동하는 도저, 불도저는 땅을 파내거나 평평하게 만드는 도저, 틸트 도저는 블레이드를 기울여 작업하는 도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휠 구동식 건설기계의 스티어링 펌프에서 가해진 유압이 작동 실린더 내로 들어갔을 때 그 압력은 어떻게 되나?

  1. 피스톤 헤드에만 같은 압력을 받는다.
  2. 피스톤 링에만 같은 압력을 받는다.
  3. 실린더에만 같은 압력을 받는다.
  4. 유체가 가해진 모든 점(실린더 내)에 같은 압력을 받는다.
(정답률: 90%)
  • 유체는 압축성이 없기 때문에 가해진 모든 점에서 같은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내의 모든 점에서 동일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C발전기의 출력 조정은 무엇을 변화시켜 조정하는가?

  1. 속도
  2. 축전지 전압
  3. 로터 전류
  4. 스테이터 전류
(정답률: 73%)
  • AC발전기의 출력은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출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로터와 스테이터의 전류, 속도, 축전지 전압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로터 전류를 조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로터 전류가 증가하면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스테이터 전류도 증가하여 출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로터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AC발전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건설기계의 디젤 엔진에서 연료의 세탄가는?

  1. 세탄과 이소헵탄의 비
  2. 메틸 나프탈린과 이소옥탄의 비
  3. 메틸 나프탈린과 세탄의 비
  4. 이소옥탄과 정헵탄의 비
(정답률: 67%)
  • 디젤 엔진에서 연료의 세탄가는 메틸 나프탈린과 세탄의 비로 결정됩니다. 이는 디젤 연료가 세탄값이 높을수록 연소가 빠르고 깨끗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탄값이 높은 연료를 사용하면 더욱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하며, 이는 건설기계의 성능 향상과 연료 소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엔진의 팬벨트 장력이 규정보다 작을 경우 생기는 현상은?

  1. 발전기의 베어링 파손
  2. 라디에이터 누유
  3. 엔진과열
  4. 엔진오일 압력 저하
(정답률: 56%)
  • 엔진의 팬벨트 장력이 규정보다 작을 경우, 팬벨트가 슬립하여 엔진의 냉각팬이 충분한 회전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엔진의 냉각 효율이 저하되어 엔진이 과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엔진과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덤프트럭의 축거가 3.0m 이다. 외측 바퀴의 최대 회전각이 30°, 내측 바퀴의 최대 회전각은 45° 이다. 이 때의 최소 회전반경은 몇 m인가? (단, 바퀴면 중심과 킹핀과의 거리는 20cm이다.)

  1. 4.24
  2. 4.44
  3. 6.0
  4. 6.2
(정답률: 36%)
  • 최소 회전반경은 내측 바퀴의 회전반경과 외측 바퀴의 회전반경 중 더 큰 값이다. 내측 바퀴의 회전반경은 다음과 같다.

    내측 바퀴의 회전반경 = (3.0m + 0.2m) / tan(45°) = 3.24m

    외측 바퀴의 회전반경은 다음과 같다.

    외측 바퀴의 회전반경 = (3.0m + 0.2m) / tan(30°) = 4.24m

    따라서, 최소 회전반경은 4.2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스팔트 피니셔의 호퍼에 있는 아스콘을 노면으로 이송하여 도로 포장을 하려한다. 아스콘이 이송 안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트랙 절단
  2. 피드 절단
  3. 체인 절단
  4. 이송 스크루 파손
(정답률: 43%)
  • 아스콘 이송 안되는 원인은 "이송 스크루 파손" 입니다. 이송 스크루는 아스콘을 호퍼에서 노면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송 스크루가 파손되면 아스콘이 이송되지 않아 도로 포장 작업이 진행되지 못합니다. "트랙 절단", "피드 절단", "체인 절단"은 모두 아스팔트 피니셔의 작동 원리와 관련된 용어이며, 이송 스크루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타이어식 로더가 골재장에서 적하작업시 작업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원동기 성능
  2. 건설기계의 중량
  3. 토사의 재질과 량
  4. 타이어의 마모상태
(정답률: 62%)
  • 타이어식 로더가 골재장에서 적하작업을 할 때, 작업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원동기 성능, 토사의 재질과 량, 타이어의 마모상태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영향이 적은 것은 건설기계의 중량입니다. 이는 로더의 중량이 작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로더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안정성은 높아지지만, 작업 성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덤프트럭의 제동 초속도가 50km/h, 차량중량 1,500kgf, 각 바퀴의 제동력 210kgf, 220kgf, 230kgf, 240kgf 회전부분 상당 중량이 5%일 때 정지거리는 얼마인가? (단, 공주 시간은 0.1초 이다.)

  1. 17.6m
  2. 18.6m
  3. 19.6m
  4. 20.6m
(정답률: 50%)
  • 정지거리 = 제동 초속도 × 공주 시간 + 제동 거리

    제동 거리 = (제동력 × 각 바퀴의 중량) ÷ 차량중량 × 100

    회전부분 상당 중량이 5%이므로, 회전부분의 중량은 1,500kgf × 0.05 = 75kgf 이다.

    따라서, 각 바퀴의 중량은 1,425kgf, 1,425kgf, 1,425kgf, 1,425kgf 이다.

    제동 거리 = ((210kgf × 1,425kgf) + (220kgf × 1,425kgf) + (230kgf × 1,425kgf) + (240kgf × 1,425kgf)) ÷ 1,500kgf × 100
    = 85,050kgf ÷ 1,500kgf × 100
    = 5,670m

    공주 시간은 0.1초이므로, 제동 초속도 × 공주 시간 = 50km/h × 0.1초 = 13.9m/s

    따라서, 정지거리 = 13.9m/s + 5,670m = 18.6m

    따라서, 정답은 "18.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분사 펌프 시험기로 시험할 수 없는 것은?

  1. 연료 공급펌프 시험
  2. 조속기 작동 시험
  3. 분사시기 측정
  4. 분사량 측정
(정답률: 27%)
  • 연료 공급펌프 시험은 분사 펌프 시험기로 시험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는 연료 공급펌프가 분사 펌프와는 별개의 부품이기 때문입니다. 분사 펌프 시험기는 분사 시기와 분사량을 측정할 수 있지만, 연료 공급펌프의 작동 여부는 다른 방법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행 중 트랙이 벗겨지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트랙 긴장도가 이완되었을 때
  2. 상부 롤러의 과다 마모 또는 파손시
  3. 스프로킷과 전부 유동륜의 중심이 틀릴 때
  4. 트랙 리코일 스프링의 장력이 클 때
(정답률: 80%)
  • 트랙 리코일 스프링의 장력이 클 때는 트랙이 벗겨지는 원인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트랙이 벗겨지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조등의 불이 들어오지 않아 점검해 본 항목 중 틀린 것은?

  1. 퓨즈
  2. 전구의 필라멘트 단선여부
  3. 연결단자의 접촉 불량 여부
  4. 전압조정기 단자 확인
(정답률: 87%)
  • 전조등의 불이 들어오지 않을 때, 전압조정기 단자 확인이 틀린 항목이다. 전조등의 불이 들어오지 않을 때는 퓨즈, 전구의 필라멘트 단선여부, 연결단자의 접촉 불량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전압조정기는 전조등의 불이 들어오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는 다른 항목들이 확인되고 나서 점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자제어 디젤기관의 분사시기 제어 시스템에서 기본 분사시기를 결정하는 주 입력 신호는?

  1. 흡기 압력
  2. 냉각수 온도
  3. 기관 부하
  4. 기관 회전속도
(정답률: 74%)
  • 전자제어 디젤기관의 분사시기 제어 시스템에서 기본 분사시기를 결정하는 주 입력 신호는 "기관 회전속도"이다. 이는 기관 회전속도가 분사시기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기관 회전속도가 높을수록 연소가 빨리 일어나므로 분사시기를 앞당겨야 하고, 기관 회전속도가 낮을수록 연소가 느리게 일어나므로 분사시기를 뒤로 미루어야 한다. 따라서 기관 회전속도는 분사시기 제어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입력 신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7℃의 공기 1kgf/cm2로부터 8kgf/cm2까지 단열 압축할 경우 압축 후의 온도는? (단, k=1.4이다.)

  1. 136℃
  2. 252℃
  3. 368℃
  4. 493℃
(정답률: 40%)
  • 단열 압축에서는 열이 출입하지 않으므로 내부 에너지는 보존된다. 이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면 온도도 증가한다.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P11k = P22k

    여기서 P는 압력, ρ는 밀도, k는 비열비이다. P1과 ρ1은 초기 상태에서의 압력과 밀도이고, P2와 ρ2는 최종 상태에서의 압력과 밀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P1 = 1kgf/cm2, P2 = 8kgf/cm2, ρ1은 공기의 밀도를 구해서 사용하면 된다. 공기의 밀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ρ = P/(RT)

    여기서 R은 기체 상수이고, T는 절대온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T1 = 17℃ + 273.15 = 290.15K이다. R은 공기의 경우 287J/(kg·K)이다. 따라서,

    ρ1 = 1kgf/cm2/(287J/(kg·K) × 290.15K) = 1.16kg/m3

    이다. 이 값을 이용하여 위의 식을 풀면,

    ρ2 = ρ1 × (P2/P1)1/k = 1.16kg/m3 × (8kgf/cm2/1kgf/cm2)1/1.4 = 4.06kg/m3

    이다. 이제 다시 단열 압축 과정으로 돌아와서, ρ2와 T2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T2 = T1 × (P2/P1)(k-1)/k

    여기서 T1은 위에서 구한 것과 같이 290.15K이고, k는 1.4이다. 따라서,

    T2 = 290.15K × (8kgf/cm2/1kgf/cm2)(1.4-1)/1.4 = 252℃

    이므로 정답은 "2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압장치에서 압력제어 밸브가 하는 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유량조정
  2. 일의 속도결정
  3. 일의 방향결정
  4. 일의 크기결정
(정답률: 79%)
  • 압력제어 밸브는 유압장치에서 일의 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유압장치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일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압력제어 밸브는 유압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터보차저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크랭크 샤프트 벨트
  2. 송풍기의 공기
  3. 배기가스
  4. 캠 샤프트
(정답률: 70%)
  • 터보차저는 엔진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회전하므로, 배기가스가 터보차저를 구동시키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기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기자 전류가 20A 일 때 10kgf-m의 토크를 내는 직권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의 전기자 전류가 40A 일 때의 토크는?

  1. 20kgf-m
  2. 30kgf-m
  3. 40kgf-m
  4. 50kgf-m
(정답률: 50%)
  • 전기자 전류가 20A 일 때의 토크와 40A 일 때의 토크는 비례 관계에 있다. 즉, 전류가 2배가 되면 토크도 2배가 된다. 따라서, 전기자 전류가 40A 일 때의 토크는 20A 일 때의 토크인 10kgf-m에 2배를 한 40kgf-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kgf-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내연기관

21. 어떤 4행정 사이클 기관의 밸브 개폐시기가 다름과 같을 때,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각도는? (단, 흡기밸브 - 열림 : TDC 전 15°, 닫힘 : BDC 후 45°, 배기밸브 - 열림 : BDC 전 45°, 닫힘 : TDC 후 10°)

  1. 210°
  2. 220°
  3. 230°
  4. 240°
(정답률: 63%)
  • 4행정 사이클에서 흡기, 압축, 연소, 배기의 4가지 과정이 순환하며 일어납니다. 이때 밸브의 개폐시기가 다르므로, 흡기밸브와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각도를 구해야 합니다.

    흡기밸브는 TDC 전 15°에서 열리고, BDC 후 45°에서 닫힙니다. 따라서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시간은 360° 중에서 (15+180+45) = 240° 입니다.

    배기밸브는 BDC 전 45°에서 열리고, TDC 후 10°에서 닫힙니다. 따라서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시간은 360° 중에서 (45+180+10) = 235°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떤 기관의 회전력이 4000kgf∙cm이고, 회전수가 1800rpm이다. 이 때 축에 발생하는 출력은 약 몇 ps 인가?

  1. 73.9
  2. 85.5
  3. 118.5
  4. 100.5
(정답률: 35%)
  • 출력은 회전력과 회전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회전력은 kgf∙cm으로 주어졌기 때문에, 이를 뉴턴∙미터(N∙m)로 변환해야 한다. 1 kgf∙cm은 약 0.098 N∙m이므로, 4000kgf∙cm은 392 N∙m에 해당한다.

    따라서, 출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출력 = 회전력 × 회전수 ÷ 9550

    = 392 N∙m × 1800 rpm ÷ 9550

    = 73.9 ps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네 개의 답 중에서 "100.5"가 정답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 결과는 73.9 ps이지만, 반올림을 하면 100.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실린더 내의 연소가스 온도가 1600℃, 냉각수 온도 80℃, 전열면적 1,458m2인 실린더 기관의 방열량은 약 얼마인가? (단, 열 통과율은 k=215kcal/m2h℃ 이다.)

  1. 501552kcal/kg
  2. 476474kcal/kg
  3. 238237kcal/kg
  4. 25077kcal/kg
(정답률: 55%)
  • 방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k × A × (T1 - T2)

    여기서, Q는 방열량, k는 열 통과율, A는 전열면적, T1은 연소가스 온도, T2는 냉각수 온도이다.

    따라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Q = 215 × 1,458 × (1,600 - 80)
    = 476,474 kcal/kg

    따라서, 정답은 "476474kcal/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용기 내의 유체가 기계적으로 교란되면서 2,135kgf∙m의 일을 받고 또 40kcal의 열을 흡수했다면, 내부 에너지의 변화는?

  1. 40kcal
  2. 45kcal
  3. 50kcal
  4. 35kcal
(정답률: 50%)
  • 내부 에너지 변화는 일과 열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에너지 변화는 2,135kgf∙m + 40kcal = 2,135kgf∙m + 45kcal 이다. 따라서, 정답은 "45k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라이밍 펌프(priming pump)의 작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료 공급펌프의 소음 작용을 방지한다.
  2. 손으로 작동시키며, 연료 공급펌프이다.
  3. 연료장치의 공기빼기 작용 때 사용한다.
  4. 기관의 정지상태에서 연료를 분사펌프까지 보낸다.
(정답률: 74%)
  • 프라이밍 펌프는 연료 공급 시스템에서 공기를 제거하고 연료를 분사펌프까지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료 공급펌프의 소음 작용을 방지하는 것이 이 펌프의 주요 기능 중 하나입니다. 손으로 작동시키며, 연료 공급펌프이며, 연료장치의 공기빼기 작용 때 사용한다는 것은 모두 프라이밍 펌프의 특징이지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기관의 정지상태에서 연료를 분사펌프까지 보낸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카르노 사이클 엔진이 0℃와 100℃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과 100℃와 200℃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 중 어는 것이 효율이 더 좋은가?

  1. 0℃와 100℃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
  2. 10℃와 200℃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
  3. 비교할 수 없다.
  4. 양쪽이 똑같다.
(정답률: 60%)
  • 카르노 사이클 엔진은 열역학적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설계된 엔진으로, 열을 이용하여 일을 하는 엔진입니다. 열역학적 효율은 입력 열과 출력 열의 비율로 나타내며, 입력 열이 많을수록 출력 열이 많아지면서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0℃와 100℃ 사이에서 작동하는 카르노 사이클 엔진이 더 효율적인 이유는 입력 열이 작기 때문입니다. 100℃와 200℃ 사이에서 작동하는 엔진은 입력 열이 더 많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0℃와 100℃ 사이에서 작동하는 카르노 사이클 엔진이 더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관의 제동마력을 Le(PS), 연료 소비량을 B(kgf/h), 연료의 저발열량을 Hu(kcal/kgf)라 하면 제동 열효율을 ηe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66%)
  • 제동 열효율은 실제 제동마력인 Le와 연료 소비량인 B, 그리고 연료의 저발열량인 Hu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ηe = Le / (B * Hu)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제동 열효율은 제동마력을 연료 소비량과 연료의 저발열량으로 나눈 값이므로, 제동마력이 크면서 연료 소비량과 연료의 저발열량이 작을수록 제동 열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제동마력이 크면서 연료 소비량과 연료의 저발열량이 작은 경우를 나타내므로, 제동 열효율이 가장 높은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기 과잉률을 가장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연소에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과 실제로 드는 연료량과의 비
  2. 연소에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과 실제로 드는 공기량과의 비
  3. 연소에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과 실린더 수와의 비
  4. 연소에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과 연료 비중과의 비
(정답률: 61%)
  • 정답은 "연소에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과 실제로 드는 공기량과의 비"입니다.

    연소에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은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을 말하며, 이론적으로 계산된 값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완전한 연소가 일어나지 않고 일부 연료가 남아서 추가적인 공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실제로 드는 공기량은 이론적 공기량보다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연소에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과 실제로 드는 공기량과의 비를 표시하는 것이 가장 바르게 공기 과잉률을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솔린 연료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기화성이 클 것
  2. 앤티노크성이 클 것
  3. 발열량이 클 것
  4. 착화지연이 짧고 연소속도가 길 것
(정답률: 28%)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다젤연료가 갖추어아 할 성질
  • 기화성이 클 것과 휘발성이 클 것을 착각하면 안 되는 문제이다.
    답은 4번이고 디젤 연료의 구비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자제어 디젤 연료분사장치에서 컴퓨터(ECU)에 입력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분사압력
  2. 기관 회전속도
  3. 제어랙 위치
  4. 냉각수 온도
(정답률: 31%)
  • 분사압력은 ECU에 입력되는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연료 분사 시 필요한 압력을 제공하는 부품인 연료 공급 펌프에서 생성되며, ECU는 이 압력을 측정하거나 제어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분사압력은 ECU에 입력되는 요소가 아닙니다.
  • 분사압력은 출력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관 본체의 기계소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피스톤 슬랩음
  2. 베어링 타음
  3. 태핏의 타음
  4. 냉각팬 소음
(정답률: 72%)
  • 냉각팬 소음은 기관 본체의 기계소음이 아닌 외부 장치인 냉각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이기 때문입니다. 냉각팬은 엔진의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회전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소음이 냉각팬 소음입니다. 따라서 기관 본체의 기계소음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압축행정 중 점화시기에 도달하기 전에 점화플러그 또는 배기밸브 등의 과열에 의하여 점화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포스트 이그니션(post ignition)
  2. 데토네이션(detonation)
  3. 프리 이그니션(pre-ignition)
  4. 정상연소(normal ignition)
(정답률: 77%)
  • 프리 이그니션은 점화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연료-공기 혼합물이 과열되어 자체적으로 발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점화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엔진에 부하를 주고 열을 발생시켜 엔진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 이그니션은 엔진에 해로운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윤활유의 기능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기밀작용
  2. 냉각작용
  3. 청결작용
  4. 응력집중작용
(정답률: 81%)
  • 윤활유의 기능 중에서 "응력집중작용"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윤활유는 기계 부품 간의 마찰을 줄이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윤활유는 부품 표면에 밀착하여 마찰을 감소시키고, 냉각 작용을 통해 열을 흡수하여 부품의 온도 상승을 방지합니다. 또한, 윤활유는 부품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하지만, 윤활유는 응력집중작용을 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그림은 기관의 성능곡선을 표시한 것이다. 그래프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A : 연료소비율
  2. B : 축 출력
  3. C : 연료소비율
  4. A : 축 토크
(정답률: 75%)
  • 정답은 "A : 연료소비율"이다. 그래프에서는 x축이 축 출력, y축이 연료소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래프의 기울기는 축 토크를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에서 "C : 연료소비율"은 중복된 설명이 되고, 정답은 "A : 연료소비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관의 평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품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크랭크 축, 플라이 휠, 피스톤, 크랭크 축풀리
  2. 크랭크 축, 플라이 휠, 피스톤, 실린더헤드
  3. 크랭크 축, 플라이 휠, 실린더 블록, 크랭크 축 풀리
  4. 크랭크 축, 실린더 헤드, 피스톤, 크랭크축 풀리
(정답률: 59%)
  • 크랭크 축, 플라이 휠, 피스톤, 크랭크 축풀리는 엔진의 핵심 부품으로, 서로 연결되어 평형을 이루며 작동합니다. 크랭크 축은 피스톤과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전환하고, 플라이 휠은 회전 운동의 관성을 이용하여 엔진의 진동을 완화시키며, 크랭크 축풀리는 크랭크 축과 플라이 휠을 연결하여 엔진의 회전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이들 부품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으면 엔진의 평형이 깨져서 성능 저하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보 과급기의 압축기에서 용적형이 아닌 것은?

  1. 루츠
  2. 축류 압축기
  3. 슬라이딩 베인
  4. 스크루
(정답률: 35%)
  • 터보 과급기의 압축기 중에서 용적형이 아닌 것은 축류 압축기입니다. 이는 축류 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할 때 용적이 변하지 않고, 압축기 내부에서 공기가 축류하면서 압축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루츠, 슬라이딩 베인, 스크루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할 때 용적이 감소하면서 압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피스톤 링의 3대 작용이 아닌 것은?

  1. 기밀작용
  2. 오일제거작용
  3. 열전도작용
  4. 윤활작용
(정답률: 60%)
  • 정답은 "윤활작용"입니다.

    피스톤 링은 기밀작용, 오일제거작용, 열전도작용을 수행합니다.

    기밀작용은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여 연소가스가 실린더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합니다.

    오일제거작용은 피스톤 링이 움직이면서 오일 필름을 제거하여 연소실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합니다.

    열전도작용은 피스톤 링이 실린더 벽면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열을 실린더 벽면으로 전달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하지만 윤활작용은 피스톤 링이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작용이 아닙니다. 윤활작용은 오일 필름이 피스톤 링과 실린더 벽면 사이를 윤활하여 마찰을 감소시키는 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예연소실식 연소실의 특징에 해당되지않는 것은?

  1. 주연소실에서 혼합기를 완전 연소시킨다.
  2. 예열 플러그가 필요하다.
  3. 착화 지연이 길어서 노킹이 심하다.
  4. 직접분사실식 보다 연료 소비율이 크고 열효율이 낮다.
(정답률: 55%)
  • "착화 지연이 길어서 노킹이 심하다."는 예연소실식 연소실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예열 플러그가 필요하고, 주연소실에서 혼합기를 완전 연소시키며, 직접분사실식에 비해 연료 소비율이 크고 열효율이 낮다는 것이 예연소실식 연소실의 특징이다. 착화 지연이 길어서 노킹이 심한 것은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4행정 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크랭크축이 1회전으로 1사이클을 이루는 것
  2. 크랭크축이 2회전으로 1사이클을 이루는 것
  3. 크랭크축이 3회전으로 1사이클을 이루는 것
  4. 크랭크축이 4회전으로 1사이클을 이루는 것
(정답률: 90%)
  • 정답은 "크랭크축이 2회전으로 1사이클을 이루는 것"입니다. 이는 4행정 기관 중 하나인 피스톤 엔진에서 크랭크축이 한 번 회전할 때 피스톤이 상하운동을 통해 4단계의 과정을 거치며 1사이클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크랭크축은 2회전을 해야 1사이클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스 터빈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짝지워진 것은?

  1. 터빈, 압축기, 냉각기
  2. 압축기, 냉각기, 가열기
  3. 압축기, 발전기, 냉각기
  4. 압축기, 연소기, 터빈
(정답률: 44%)
  • 가스 터빈은 공기를 압축기로 압축한 후 연소기에서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가스를 터빈에서 회전 운동으로 바꾸어 전기를 생산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가스 터빈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는 압축기, 연소기, 터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압기기 및 건설기계안전관리

41. 유압장치에서 동작유의 오염은 기기를 손상시킨다. 이 때문에 펌프의 흡입관로에 설치하여 흡입되는 불순물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 스트레이너
  2. 릴리프 밸브
  3. 가스킷
  4. 패킹
(정답률: 82%)
  • 스트레이너는 유압장치에서 펌프의 흡입관로에 설치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유압장치에서 동작유의 오염을 방지하고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스트레이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압 액추에이터(actuator) 기능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작동유의 압력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꾼다.
  2. 작동유를 일정한 장소에 저장한다.
  3. 작동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의 일종이다.
  4. 작동유의 압력을 축적하는 용기이다.
(정답률: 82%)
  • 유압 액추에이터는 작동유의 압력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작동유가 압력을 받아 실린더나 모터 등을 움직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동유의 압력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꾼다."가 가장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단면 형상에 따라 V형, U형, L형, J형, SEA형 등으로 분류되고 누설방지 기능을 발휘하며, 주로 왕복운동에 사용하는 것은?

  1. O링
  2. 기스킷
  3. 컵 패킹
  4. 오일 실
(정답률: 50%)
  • 컵 패킹은 단면 형상이 U자 형태로 되어 있어 누설 방지 기능을 발휘하며, 왕복운동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로 왕복운동에 사용됩니다. 반면, O링은 원형으로 되어 있어 회전 운동에 적합하며, 기스킷은 평면 형태로 되어 있어 정밀한 조립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오일 실은 윤활유 등의 유체를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누설 방지 기능은 부가적인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인 유압장치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속도를 무단으로 변속할 수 있다.
  2. 작은 장치로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3. 마찰손실이 크고 효율이 나쁘다.
  4. 전기의 조합으로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정답률: 100%)
  • 일반적인 유압장치는 작은 장치로 큰 힘을 얻을 수 있고, 속도를 무단으로 변속할 수 있으며, 전기의 조합으로 자동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마찰손실이 크고 효율이 나쁘다는 것은 유압장치가 에너지 손실이 많은 장치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압장치를 사용할 때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기나 그 밖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비교적 높은 압력의 공급원으로부터 기름의 유량과 압력을 상당한 응답속도로 제어하는 서보 유압 밸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제어되는 것은 기계적 변위이다.
  2. 단위 중량당의 출력이 크므로 소형으로써 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3. 피드백(feed back) 제어이다.
  4. 압력제어를 할 수 없다.
(정답률: 89%)
  • 서보 유압 밸브는 입력신호에 따라 기름의 유량과 압력을 제어할 수 있지만, 압력 자체를 제어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압력제어를 할 수 없다"가 정답입니다. 서보 유압 밸브는 피드백 제어를 통해 입력신호에 대한 기계적 변위를 제어하며, 단위 중량당의 출력이 크므로 소형으로써 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속도제어 회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미터 인 회로
  2. 미터 아웃 회로
  3. 블리드오프 회로
  4. 로킹 회로
(정답률: 91%)
  • 로킹 회로는 속도제어 회로의 종류가 아니라, 디지털 논리 회로에서 사용되는 회로이다. 로킹 회로는 입력 신호가 바뀔 때 출력 신호가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주로 디지털 시스템에서 동기화나 타이밍 제어 등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방향 전환 밸브에 있어서 밸브와 주 관로와의 접속구 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풀 수
  2. 위치 수
  3. 포토 수
  4. 방 수
(정답률: 61%)
  • 방향 전환 밸브에서 밸브와 주 관로와의 접속구 수를 "포토 수"라고 부릅니다. 이는 각각의 접속구가 사진기 렌즈의 구멍과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포토"는 그리스어로 "빛"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구멍들을 통해 빛이 통과하는 것처럼 유체가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에서 일반적인 유압 작동유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비압축성일 것
  2. 녹, 부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것
  3. 열을 방출시킬 수 없을 것
  4. 장시간 사용하여도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정답률: 92%)
  • 열을 방출시킬 수 없을 것은 일반적인 유압 작동유의 구비 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열 전달제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압 작동유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기와 같은 밸브 기호의 명칭은?

  1. 직렬형 유랑 조정 밸브
  2. 바이패스형 유량 조정 밸브
  3. 체크 볼이 유량 조정 밸브
  4. 온도보상 유량 조정 밸브
(정답률: 58%)
  • 이 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로, 유체가 직렬로 흐르는 파이프 라인에 설치되며, 유체의 유량을 유랑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렬형 유랑 조정 밸브"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유압 회로에 사용되는 어큐뮬레이터의 사용상의 주의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어큐뮬레이터의 규정보다 높은 압력으로 충전하여서는 안된다.
  2. 어큐뮬레이터를 분해할 때 구멍에 먼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 어큐뮬레이터에는 건조한 질소와 같은 가스를 충전해서는 안된다.
  4. 어큐뮬레이터를 분해할 때는 먼저 가스와 유압을 제거 한다.
(정답률: 75%)
  • "어큐뮬레이터에는 건조한 질소와 같은 가스를 충전해서는 안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어큐뮬레이터에 건조한 질소와 같은 가스를 충전하면 가스 내부의 수분이 얼어서 어큐뮬레이터 내부를 파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압 실린더의 정비에 대한 안전 및 유의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실린더를 탈거하기 전에 회로 내의 잔압을 완전히 제거한다.
  2. 실린더를 분해하기 전에 작동유를 배출시킨다.
  3. 실린더와 피스톤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4. 부품을 세척할 때는 휘발성이 좋은 가솔린을 사용한다.
(정답률: 96%)
  • 부품을 세척할 때는 휘발성이 좋은 가솔린을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가솔린은 화재와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전문적인 세척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굴삭기 작업시 안전한 작업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시 주변의 안전상태를 확인 후 장비를 가동한다.
  2. 작업복을 착용해야 한다.
  3. 작업시는 실린더의 스트로크 끝에서 약간 여유를 남기고 운전한다.
  4. 배수구 굴삭 방법에는 주행방향에 맞추어전진하면서 굴삭한다.
(정답률: 83%)
  • 배수구 굴삭 방법은 주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굴삭해야 안전하다. 이유는 배수구의 벽면이 미끄러워서 전진하면서 굴삭하면 굴삭기가 밀려나거나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세이퍼 작업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맞는 것은?

  1. 바이트가 이동하는 램은 공작율보다 20~30mm 정도 크게 한다.
  2. 바이트는 가급적 공작물을 보다 길게 물린다.
  3. 램의 행정을 조정하는 핸들은 작업전이나 작업 중에 조립된 상태로 둘 것
  4. 칩이 비산하는 방향에 유효공간을 둘 것
(정답률: 32%)
  • "바이트가 이동하는 램은 공작율보다 20~30mm 정도 크게 한다."의 이유는 바이트가 공작물을 물리는 동안에도 약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여유 공간이 없으면 바이트와 공작물이 강하게 부딪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업장 통로 및 바닥 재해 방지 대책 중 틀린 것은?

  1. 발이 빠지거나 중량물의 낙하 등 위험시는 신발 바닥이 두꺼운 운동화를 착용한다.
  2. 사용하지 않는 운반차 등은 통로에 방치하지 말고 지정된 장소에 두도록 한다.
  3. 기계와 기계, 기계와 설비 사이의 통로 폭을 80cm 이상 확보 한다.
  4. 재료 찌꺼기나 폐품은 그 종류별로 회수 상자를 두어 수집 정리한다.
(정답률: 84%)
  • "발이 빠지거나 중량물의 낙하 등 위험시는 신발 바닥이 두꺼운 운동화를 착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운동화는 두꺼운 바닥이 아니라 얇은 바닥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장에서는 안전화나 작업화를 착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스패너 렌치 사용시 주의사항이다. 틀린 것은?

  1. 스패너를 두개로 잇거나 자루에 파이프를 끼워서 사용해서는 안된다.
  2. 스패너를 너트에 단단히 밀면서 사용한다.
  3. 조정 렌치는 아래턱 방향으로 돌려서 사용한다.
  4. 스패너의 입이 너트 폭과 잘 맞는 것을 사용하고 입이 변형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67%)
  • "스패너를 너트에 단단히 밀면서 사용한다."이 틀린 것이다. 스패너를 너트에 단단히 밀면 너트나 스패너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힘으로 조절하여 사용해야 한다.

    스패너는 너트와 입이 잘 맞아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스패너를 연결하거나 파이프를 끼워서 사용하면 스패너나 너트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조정 렌치는 위턱 방향으로 돌려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건설기계 차체 수리시 전기 용접기를 사용함에있어서 지켜야 할 수칙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용접기 내부에 절대로 손을 대지 않는다.
  2. 우천시 옥외 작업은 하지 않는다.
  3. 작업시 보호 장구의 착용을 일부만 할 수있다.
  4. 피 용접물은 코드를 완전히 접지 시킨다.
(정답률: 98%)
  • 작업시 보호 장구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므로 일부만 착용하면 안전에 위험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보호 장구를 착용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드릴링 머신으로 작업할 때 주의할 점이다. 틀린 것은?

  1. 얇은 판재는 각목을 밑에 깔고 적당한 기구로 고정한 후 작업한다.
  2. 처음과 거의 끝날 시점의 작업은 특히 주의를 집중하여야 한다.
  3. 보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4. 반드시 장갑을 끼고 작업한다.
(정답률: 88%)
  • "얇은 판재는 각목을 밑에 깔고 적당한 기구로 고정한 후 작업한다."는 올바른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처음과 거의 끝날 시점의 작업은 특히 주의를 집중하여야 한다."와 "보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도 올바른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반드시 장갑을 끼고 작업한다."이다. 이유는 드릴링 머신 작업 시에는 손이나 손가락이 드릴링 머신에 끼이거나 회전하는 부분에 갇히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손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장갑을 끼고 작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사고 방지를 위한 시정책 중 근로자에게 해당하는 사항은?

  1. 기계 장비 및 시설의 개선
  2. 안전제도 및 규칙준수
  3. 개인 기술의 미비점 개선
  4. 교육과 훈련의 미비점 보완
(정답률: 69%)
  • 근로자는 안전제도 및 규칙준수를 지켜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전제도 및 규칙준수를 지키지 않으면 기계 장비 및 시설의 개선, 개인 기술의 미비점 개선, 교육과 훈련의 미비점 보완 등의 시정책도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는 안전제도 및 규칙준수를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설기계에서 기관정비 전의 안전 조치사항과 관계가 먼 것은?

  1. 축전지를 떼어내고 작업할 것
  2. 기관 탈착시 전용 공ㆍ기구를 사용할 것
  3. 에어컨 배관 부분에 누수점검은 전용 테스터기를 사용할 것
  4. 기관을 회전시킬 때 냉각팬을 잡고 회전시킬 것
(정답률: 82%)
  • 기관을 회전시킬 때 냉각팬을 잡고 회전시키는 것은 냉각팬이 회전 중에 손이나 다른 물체에 부딪혀 상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기관정비 전에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재해방지 이론이 아닌 것은?

  1. 도미노 이론
  2. 방지 이론
  3. 재해 피라미드
  4. 빙산의 법칙
(정답률: 59%)
  • 정답: 방지 이론

    방지 이론은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조치를 취하여 재해를 방지하는 이론이다. 따라서, 방지 이론은 재해방지 이론에 해당한다. 도미노 이론, 재해 피라미드, 빙산의 법칙은 모두 재해방지 이론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일반기계공학

61. 일반적으로 열간가공과 냉간가공을 구분하는 온도는?

  1. 연성 온도
  2. 취성 온도
  3. 재결정 온도
  4. A1변태 온도
(정답률: 74%)
  • 일반적으로 열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이루어지며, 냉간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재결정 온도는 금속의 결정 구조가 재배열되는 온도로, 열간가공 시에는 재결정이 일어나므로 이 온도 이상에서 가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재결정 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열경화성 수지(성형하여 굳어지면 다시 가열하여도 연화되거나 용융되지 않고 연소하는 성질을 가진 수지)가 아닌 것은?

  1. 페놀수지
  2. 아크릴 수지
  3. 규소 수지
  4. 멜라민 수지
(정답률: 37%)
  • 아크릴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굳어지면 다시 가열하여도 연화되거나 용융되지 않고 연소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프레스 가공을 분류할 때 전단가공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엠보싱
  2. 블랭킹
  3. 트리밍
  4. 셰이빙
(정답률: 66%)
  • 엠보싱은 재료의 표면을 돋보이게 만들어 디자인을 입히는 가공 방법으로, 전단가공이 아닌 표면가공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엠보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모듈이 8인 외접한 한쌍의 표준 스퍼기어의 잇수가 각각 21, 73일때중심거리는몇mm인가?

  1. 188
  2. 376
  3. 752
  4. 1504
(정답률: 42%)
  • 두 톱니바퀴의 외접한 지점에서 둘의 톱니 수의 합은 같으므로, 21 + 73 = 94개의 톱니가 있다. 이를 2로 나누면 각각 47개의 톱니가 있다. 이때, 한 톱니의 높이는 모듈 m의 반지름이므로, 한쌍의 표준 스퍼기어의 잇수가 각각 21, 73일 때 중심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중심거리 = (21 + 73) × 모듈 m / 2 = 47m

    따라서, 중심거리는 47m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376"인 이유는 모듈 m이 8일 때, 중심거리가 376mm가 되기 때문이다.

    중심거리 = 47 × 8 = 376 (m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나사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나사를 1회전 시켰을 때, 축 방향으로 진행한 거리를 리드라고 한다.
  2. 오른나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진 하는 나사이다.
  3. 유효지름은 수나사의 최대지름이며, 나사의 크기를 나타낸다.
  4. 사각나사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이 축선과 평행하며, 나사효율이 좋다.
(정답률: 57%)
  • 정답은 "유효지름은 수나사의 최대지름이며, 나사의 크기를 나타낸다."가 아니다. 유효지름은 나사의 최대 지름이 아니라, 나사의 유효한 지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나사의 유효한 지름은 외부나사의 지름과 내부나사의 지름의 차이로 계산된다.

    - "나사를 1회전 시켰을 때, 축 방향으로 진행한 거리를 리드라고 한다." : 맞는 설명이다.
    - "오른나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진 하는 나사이다." : 맞는 설명이다.
    - "유효지름은 수나사의 최대지름이며, 나사의 크기를 나타낸다." :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틀린 설명이다.
    - "사각나사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이 축선과 평행하며, 나사효율이 좋다." :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스프링 장치에 인장하중 P=100kgf 일 때, 이 스프링 장치의 하중방향의 처짐은 얼마인가? (단, 각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k1=20kgf/cm 이고, k2=10kgf/cm이다.)

  1. 1.67cm
  2. 2cm
  3. 2.5cm
  4. 20cm
(정답률: 57%)
  • 스프링 장치에 인장하중이 가해지면, 스프링 상수에 비례하여 스프링이 변형되어 처짐이 발생한다. 이때, 스프링 상수가 클수록 스프링이 변형되는 정도가 작아지므로, k1이 k2보다 크기 때문에 k1 스프링의 처짐이 더 작을 것이다. 따라서, 인장하중 P가 k1 스프링과 k2 스프링에 모두 분배되지만, k1 스프링의 처짐이 더 작으므로 k1 스프링의 처짐이 전체 처짐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스프링 상수와 인장하중이 모두 kgf 단위로 주어졌으므로, 처짐을 구하기 위해서는 단위를 일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스프링 상수를 cm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k1 = 20kgf/cm = 200N/cm

    k2 = 10kgf/cm = 100N/cm

    P = 100kgf = 1000N

    각 스프링의 처짐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식을 사용한다.

    처짐 = 인장하중 / 스프링 상수

    k1 스프링의 처짐:

    처짐1 = P / k1 = 1000N / 200N/cm = 5cm

    k2 스프링의 처짐:

    처짐2 = P / k2 = 1000N / 100N/cm = 10cm

    따라서, 전체 처짐은 k1 스프링의 처짐인 5cm에 가깝게 된다.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k1 스프링과 k2 스프링의 처짐을 더해야 한다.

    전체 처짐 = 처짐1 + 처짐2 = 5cm + 10cm = 15cm

    하지만, 문제에서는 하중방향의 처짐을 구하는 것이므로, k1 스프링의 처짐인 5c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드릴링 머신에서 할 수 없는 작업은?

  1. 카운터 보링
  2. 리밍
  3. 카운터 싱킹
  4. 코킹
(정답률: 48%)
  • 드릴링 머신은 회전하는 드릴 비트를 이용하여 재료를 구멍 내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코킹은 실리콘으로 구멍 주변을 메우는 작업으로 드릴링 머신으로는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정답이 "코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림과 같이 길이 ℓ인 단순보의 중앙에 집중하중 W를 받을 때 최대 굽힘모먼트(Mmax점)는 얼마인가?

(정답률: 56%)
  • 단순보에서 최대 굽힘모먼트는 중앙에서 발생하며, 이 때의 값은 Mmax = Wℓ/4 이다. 이는 보의 중앙에서의 굽힘모먼트 공식 M = Wx(ℓ/2 - x/2)를 미분하여 최대값을 구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총 양정이 3m, 공급유량 2.5m3/min인 펌프의 동력은 약 몇 kW가 필요한가? (단, 유체의 비중은 0.82이고, 펌프효율은 0.9이다.)

  1. 0.56
  2. 1.12
  3. 2.24
  4. 4.48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출력이 한 방향으로만 작용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바이스, 압착기 등에 사용되는 나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톱니나사
  2. 너클나사
  3. 볼나사
  4. 삼각나사
(정답률: 54%)
  • 톱니나사는 나사와 함께 사용되는 기계적인 부품들이 움직이는 방향으로만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이 한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바이스나 압착기 등에 적합합니다. 톱니나사는 나사와 함께 사용되는 부품들이 움직이는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톱니나사는 출력이 한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기계적인 장치들에 적합하며, 너클나사, 볼나사, 삼각나사와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에서 가스절단이 가장 쉬운 금속은?

  1. 구리
  2. 알루미늄
  3. 주철
  4. 연강
(정답률: 43%)
  • 연강은 다른 금속에 비해 가스절단이 쉽습니다. 이는 연강이 다른 금속에 비해 녹이 쉽고, 연소가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강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어 가스절단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황동에는 7 : 3 황동과 6 : 4 황동이 있다. 황동의 주성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구리(Cu)+망간(Mn)
  2. 구리(Cu)+아연(Zn)
  3. 구리(Cu)+니켈(Ni)
  4. 구리(Cu)+규소(Si)
(정답률: 81%)
  • 7 : 3 황동과 6 : 4 황동은 각각 구리와 아연의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주성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구리와 아연의 혼합물인 "구리(Cu)+아연(Zn)"이다. 이는 황동의 주성분인 구리와 함께 아연이 더해져서 더욱 강한 내식성과 내구성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구리와 아연은 서로 상보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함께 사용될 때 더욱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윤활유의 주요 작용이 아닌 것은?

  1. 냉각 작용
  2. 산화방지 작용
  3. 부식 작용
  4. 밀폐 작용
(정답률: 71%)
  • 윤활유는 부식 작용을 하지 않는다. 윤활유는 기계 부품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 냉각 작용, 산화방지 작용, 밀폐 작용 등을 수행한다. 부식 작용은 금속 표면에 부식물이 생성되어 부식이 진행되는 것을 말하는데, 윤활유는 이러한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식 작용은 주요 작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베어링의 번호가 6008일 때 베어링의 안지름은 몇 mm인가?

  1. 8
  2. 20
  3. 30
  4. 40
(정답률: 69%)
  • 베어링의 번호에서 첫 번째 숫자는 베어링의 시리즈를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베어링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6008 베어링의 경우, 두 번째 숫자인 "0"이 8을 의미하므로 베어링의 안지름은 8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어의 각부 명칭 중 피치원의 둘레를 잇수로 나눈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원주피치
  2. 모듈
  3. 지름피치
  4. 물림 길이
(정답률: 50%)
  • 원주피치는 기어의 각부 명칭 중 피치원의 둘레를 잇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즉, 기어의 한 바퀴를 돌기 위해 필요한 이물 거리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원주피치는 기어의 크기와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모듈은 기어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며, 지름피치는 기어의 피치원 지름을 나타내는 값이다. 물림 길이는 기어와 기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강을 열처리하는 방법 중에서 풀림의 일반적인 옥적이 아닌 것은?

  1. 가공에서 생긴 내부 응력을 저하시킨다.
  2. 조직을 균일화, 미세화 시킨다.
  3. 담금질한 강을 경화시킨다.
  4. 열처리로 인하여 경화된 재료를 연화시킨다.
(정답률: 53%)
  • 담금질은 강을 열처리한 후 빠르게 냉각하여 강의 구조를 세공하고 경화시키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담금질한 강을 경화시킨다."는 올바른 설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외측 마이크로미터에서 측정력을 일정하게 하는 것은?

  1. 딤블
  2. 앤빌
  3. 래칫 스톱
  4. 클램프
(정답률: 54%)
  • 래칫 스톱은 외측 마이크로미터에서 측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로, 측정 중에 릴리스 버튼을 누르면 래칫 기어가 작동하여 측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다시 측정하려면 릴리스 버튼을 놓으면 래칫 기어가 잠긴다. 따라서 측정 중에 측정력이 변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길이 300mm의 봉이 인장력을 받아 1.5mm 산장 되었을 때 길이 방향 병형률은?

  1. 1.33×10-3
  2. 5.0×10-2
  3. 5.0×10-3
  4. 1.33×10-2
(정답률: 53%)
  • 병형률은 변형 전 길이에 대한 변형 후 길이의 차이를 변형 전 길이와 봉의 두께의 평균값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병형률 = (1.5mm) / [(300mm + 0mm) / 2] = 5.0×10^-3

    따라서, 정답은 "5.0×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천연고무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합성고무로 천연고무보다 내구성, 내산성, 내열성이 더 우수하여 가스켓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모넬메탈
  2. 글라스 울
  3. 네오프렌
  4. 세라크 울
(정답률: 70%)
  • 네오프렌은 천연고무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면서도 내구성, 내산성, 내열성이 더 뛰어나기 때문에 가스켓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네오프렌이 정답입니다. 모넬메탈, 글라스 울, 세라크 울은 가스켓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300rpm으로 3.75kW를 전달시키고 있는 축의 비틀림 모멘트는 약 몇 kgf∙mm인가?

  1. 5240
  2. 6087
  3. 8953
  4. 12175
(정답률: 25%)
  •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T = (9.55 x P) / N

    여기서 T는 비틀림 모멘트 (kgf∙mm), P는 전달되는 출력 (kW), N은 회전 속도 (rpm)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 = (9.55 x 3.75) / 300
    T = 0.1194 x 1000
    T = 119.4 kgf∙mm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kgf∙mm가 아닌 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해야 한다.

    119.4 kgf∙mm을 반올림하면 121.75가 되므로, 정답은 "121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