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분석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1)

사회조사분석사 1급
(201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

1. 최근 발생한 강진을 경험한 영남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반기별로 5년간 100명 씩 새로운 표집을 통해 조사하여 결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코호트 연구(cohort study)
  2. 패널 연구(nanel study)
  3. 횡단 연구(cross-sectional study)
  4. 섹션 연구(section stud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코호트 연구(cohort study)

    코호트 연구는 특정 집단을 선택하여 그 집단의 특성을 추적하고, 그 집단 내에서 특정한 결과가 발생하는지를 조사하는 연구이다. 이 경우, 강진을 경험한 영남지역 주민을 선택하여 그들의 건강 상태를 반기별로 5년간 추적하고, 강진과 관련된 질병이나 사망 등의 결과가 발생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집단 내에서 특정한 요인과 결과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누진세에 대한 태도와 소득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다가 교육수준을 통제하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기에서 교육수준과 같은 검정요인(test factor)을 가리키는 용어는?

  1. 매개변수
  2. 구성변수
  3. 억제변수
  4. 왜곡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억제변수

    설명: 억제변수는 검정하고자 하는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왜곡시키는 변수를 말한다. 이 변수는 통제되지 않으면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위의 예시에서는 누진세와 소득 수준 사이의 관계에서 교육수준이 억제변수 역할을 하였다. 즉, 교육수준을 통제하지 않으면 누진세와 소득 수준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없었으며, 교육수준을 통제하고 나니 누진세와 소득 수준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론, 가설, 관찰, 일반화, 이론으로 과학을 묘사하는 Wallace 모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과학은 일반적으로 이론에서 출발한다.
  2. 과학은 일반적으로 가설에서 출발한다.
  3. 과학은 일반적으로 관찰에서 출발한다.
  4. 과학은 어느 곳에서나 출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과학은 어느 곳에서나 출발할 수 있다."

    Wallace 모형은 과학적 방법론을 설명하는 모형 중 하나로, 과학적 방법론은 이론, 가설, 관찰, 일반화, 이론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론은 관찰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일반적인 원리이며, 가설은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예측이다. 관찰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이며, 일반화는 관찰한 데이터를 일반적인 원리로 일반화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이론은 일반화된 원리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Wallace 모형에서는 과학적 방법론이 어디에서 출발하든지 상관없이 이론, 가설, 관찰, 일반화, 이론의 과정을 거쳐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과학적 방법론이 유연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나 발견을 통해 언제든지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Durkheim은 종교와 자살행위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한 바바리아와 프러시아 지방의 분석에서, 그 지역의 개신교도의 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톨릭 신자의 비율이 낮을수록 평균자살건수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런데 이를 바탕으로 개신교도가 가톨릭 신자보다 자살을 할 경향이 높다고 해석하는 경우 어떤 오류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는가?

  1. 합성오류
  2. 생태학적 오류
  3. 개인주의적 오류
  4. 환원주의적 오류
(정답률: 알수없음)
  • Durkheim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신교도가 가톨릭 신자보다 자살을 할 경향이 높다고 해석하는 경우 생태학적 오류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다. 이는 지역의 종교적 배경과 자살률 사이의 상관관계를 일반화하여 개인의 종교적 신념과 자살행위 사이의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개인의 특성과 행동은 그들이 속한 사회와 문화적 배경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역의 종교적 배경과 자살률 사이의 상관관계는 개인의 종교적 신념과 자살행위 사이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에는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편조사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면 것은?

  1. 회신용 우표를 설문지에 동봉한다.
  2. 응답자 협조의 중요성을 설득적으로 설명한다.
  3. 가능한 한 질문지의 글자 크기를 줄여 설문지가 짧아 보이게 한다.
  4. 설문지를 발송한 후에 이를 환기시키는 서신을 보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질문지의 글자 크기를 줄이면 설문지가 짧아 보이기 때문에 응답자들이 더 쉽게 응답할 수 있고, 회신율이 높아질 수 있다. 글자 크기가 크면 설문지가 길어 보이고, 응답자들은 응답하기 귀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질문지의 글자 크기를 줄여서 설문지를 간단하고 쉽게 만들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질적 연구방법의 엄밀성(rigorousness)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각적 방법(triangulation)의 활용
  2. 예외적인 사례의 분석
  3. 연구자와 연구대상 간의 공식적 관계 유지
  4. 연구대상을 통한 재확인
(정답률: 알수없음)
  • 연구자와 연구대상 간의 공식적 관계 유지는 질적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원칙 중 하나이며, 연구자의 주관적인 편견이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질적 연구의 엄밀성을 높이는 데 가장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다각적 방법이나 예외적인 사례의 분석, 연구대상을 통한 재확인은 질적 연구의 결과를 보다 신뢰성 있게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이들 방법은 질적 연구의 엄밀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그림이 설명하고 있는 연구디자인은?

  1. 상호교체 단절적 시계열 설계 (interrupted time-series with switching replications)
  2. 통제-시계열 설계 (control-time series design)
  3. 솔로몬 4집단 설계(solomon four-group design)
  4. 통제집단 사후측정 설계(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연구디자인은 솔로몬 4집단 설계이다. 이는 실험과 통제집단을 각각 사전측정과 사후측정으로 나누어, 실험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측정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만 처리를 가한 후 사후측정을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실험과 통제집단 모두 사후측정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실험과 통제집단의 초기 차이를 줄이고, 처리의 효과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횡단적 조사설계(cross-sectional design)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변수 간의 인과적 관계 추론
  2. 현안 쟁점에 대한 신속한 조사
  3. 광범위하고 다양한 자료 수집의 용이
  4. 분석결과의 통계적 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횡단적 조사설계는 한 시점에서 변수들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변수 간의 인과적 관계를 추론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변수 간의 인과적 관계 추론"은 횡단적 조사설계의 장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질문지 작성 시 일반적으로 주의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질문은 짧을수록 좋고, 부연설명이나 단어의 중복된 사용은 피해야 한다.
  2. 질문은 그 자체로서 의미가 명확히 전달된 수 있도록 언어구성을 하고, 모호한 질문은 피하여야 한다.
  3.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조사에서는 중간 수준의 교육을 받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진술은 가치중립적이어야 하며, 응답의 선택 범주에 모든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주의할 사항 중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조사에서는 중간 수준의 교육을 받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언어 사용은 대상 인구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교육 수준만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언어를 결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상 인구의 특성과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언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느 신문에 대선 후보자 지지도 여론조사 결과가 다음과 같이 나왔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 후보의 지지도가 29%에서 22%사이에 있을 확률은 100 중 95이다.
  2. A 후보의 지지도와 B 후보의 지지도는 오차범위 내에 있다.
  3. B 후보의 지지도와 C 후보의 지지도는 오차범위 밖에 있다.
  4. A 후보가 당선될 확률이 95%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 후보가 당선될 확률이 95%이다." 이다. 이유는 여론조사 결과에서 A 후보의 지지도가 29%에서 22% 사이에 있을 확률이 100 중 95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당선 확률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당선 확률은 여러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이 여론조사 결과만으로는 당선 확률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순수실험설계의 구성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속변수의 조작
  2. 외생변수의 통제
  3. 실험 대상의 무작위 할당
  4. 측정 시기 및 대상 통제
(정답률: 알수없음)
  • 순수실험설계에서는 종속변수의 조작이 가장 거리가 먼 구성요소입니다. 이는 실험자가 종속변수를 조작하여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러한 조작은 실험의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수실험설계에서는 종속변수를 조작하지 않고, 다른 요소들을 통제하여 실험 결과를 신뢰성 있게 얻으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질적 연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화 가능성이 높다.
  2.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한다.
  3. 구조화 면접을 많이 활용한다.
  4. 자료수집단계와 자료분석단계가 분명히 구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질적 연구방법은 일반화 가능성이 낮고, 대신에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구조화 면접을 많이 활용하며, 자료수집단계와 자료분석단계가 분명히 구분된다. 따라서, 질적 연구방법은 특정한 현상을 깊이 이해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분석단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식적인 사회조직도 분석단위가 된다.
  2. 지역주민들의 욕구조사를 실시할 경우 분석단위는 개인이다.
  3. 분석단위는 조사문제의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
  4. 사회적 가공물(social artifacts)은 분석단위가 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적 가공물(social artifacts)은 분석단위가 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사회적 가공물은 분석단위가 될 수 있다. 사회적 가공물은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법, 규범, 제도, 문화 등이 있다. 이러한 사회적 가공물은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분석단위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험설계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외생변수가 아닌 것은?

  1. 무작위화(random assignment)
  2. 우연적 사건(history)
  3. 실험대상의 소멸(mortality)
  4. 실험변수의 확산(diffusion)
(정답률: 알수없음)
  • 무작위화(random assignment)는 실험 대상을 무작위로 그룹으로 나누는 것으로, 실험설계의 타당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외생변수를 제어하고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우연적 사건(history), 실험대상의 소멸(mortality), 실험변수의 확산(diffusion)은 실험설계의 타당성을 저해하는 외생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귀하는 소득에 비해 과도하게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계십니까?'라는 질문에 관련된 문제는?

  1. 사회적 바림직성(socially desirable)
  2. 포괄성(collectively exhaustive)
  3. 상호배타성(mutually exclusive)
  4. 중심 집중화 현상(central tendency)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적 바림직성(socially desirable)"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선택하는 답변으로, 이 경우에는 사람들이 자신의 소비습관을 부정적으로 인식받지 않기 위해 선택하는 답변일 수 있습니다. 이 선택지는 "포괄성(collectively exhaustive)"과 "상호배타성(mutually exclusive)"을 모두 충족하며, 다른 선택지와는 달리 특정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으므로 "중심 집중화 현상(central tendency)"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가설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부모 간의 불화가 소년범죄를 유발한다.
  2. 도시 거주자들이 농어촌에 거주하는 사람들보다 더 야당성향을 띤다.
  3. 핵가족이 보편화되면서 노인에 대한 존경심은 낮아지고 있다.
  4. 기업 경영은 근본적으로 인간이 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업 경영은 근본적으로 인간이 결정한다. 가설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기업 경영은 인간이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가치관, 행동양식, 의사결정 등이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기업 경영은 근본적으로 인간이 결정한다는 가설은 타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화조사와 우편조사의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화조사는 우편조사에 비해 신속히 이루어진다.
  2. 전화조사에서는 우편조사에 비해 면접원의 개인차에 의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3. 전화조사에서는 우편조사에 비해 응답자가 이해하지 못할 때 추가적인 설명이 가능하다.
  4. 전화조사는 우편조사에 비해 질문의 내용을 단순하고 짧게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화조사에서는 우편조사에 비해 면접원의 개인차에 의한 오류를 줄일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전화조사에서도 면접원의 개인차에 의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면접원의 억양이나 발음 등이 응답자에게 이해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관찰조사에서 자기 자신을 완전히 감추어 버리거나, 완전히 공개적으로 관찰하는 조사자의 참여 수준은?

  1. 완전참여자
  2.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3.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4. 완전관찰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완전관찰자"입니다. 완전관찰자는 자신을 완전히 감추거나 공개하지 않고, 가능한 한 중립적인 입장에서 모든 것을 관찰하며 기록합니다. 이는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참여 수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참여와 관찰의 역할이 혼재되어 있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증 집단조사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응답자가 질문을 오해하여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2. 개별조사에 비해 응답자의 통제가 용이하다.
  3. 집단적 상황이 응답을 왜곡시킬 수 있다.
  4. 집단의 규범에 동의하려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음 증 집단조사의 특징 중에서 틀린 것은 없다. 집단조사는 개별조사에 비해 응답자의 통제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집단 내에서 응답자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응답을 왜곡시키는 경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집단조사는 응답자들이 질문을 오해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집단의 규범에 따라 응답을 왜곡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점은 유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패널(panel)을 사용하지 않고 국민의 정치성향을 매년 반복조사하는 국민의식조사와 같은 방식의 조사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수집단에 대한 축적된 표본의 확보가 가능하다.
  2. 특정 시점의 모집단에 대한 추정이 정확하다.
  3. 동일한 표집 단위(sampling units)를 사용하지 않는다.
  4. 대표적인 조사로 영국의 General Household Survey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민의식조사와 같은 방식의 조사설계는 매년 반복조사를 통해 국민의 정치성향 등을 파악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소수집단에 대한 축적된 표본의 확보가 가능하고, 특정 시점의 모집단에 대한 추정이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동일한 표집 단위(sampling units)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즉, 매년 조사할 때마다 다른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연도별로 조사 결과를 직접 비교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대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정치참여에 대한 관심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조사방법은?

  1. 횡단조사
  2. 종단조사
  3. 탐색조사
  4. 인과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조사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으로, 대상 집단의 변화를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정치참여에 대한 관심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횡단조사는 특정 시점에서 여러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방법이며, 탐색조사는 새로운 문제나 현상을 조사하는 방법, 인과조사는 원인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2차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구문제에 적합한 자료를 직접 수집한 것이다.
  2. 자료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용이하다.
  3. 최근의 정보만을 대상으로 하기에 연구문제와 관련성이 높다.
  4. 자료수집의 경제성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2차 자료는 이미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료수집에 드는 비용과 시간이 적어 자료수집의 경제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회조사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사실과 다른 응답을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여기에는 의도적으로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응답할 수도 있고, 의도적인 것은 아니지만 기억이 확실하지 않아 사실과 다른 응답을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다음 중 비의도적 이유에 의해 정확한 관찰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전진 압축오차(forward telescoping error)
  2. 최근성 편향(recency bias)
  3. 응답자 집합(response set)의 영향
  4.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최근성 편향(recency bias)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은 응답자가 자신의 이미지나 타인의 평가 등을 고려하여 사실과 다른 응답을 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응답자의 사회적 지위나 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회조사에서는 이러한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전진 압축오차(forward telescoping error)는 과거 사건을 현재보다 더 최근에 일어난 것으로 기억하는 현상이며, 최근성 편향(recency bias)은 최근에 경험한 사건이나 정보에 과도하게 영향을 받아 이전의 경험이나 정보를 무시하는 현상이다. 응답자 집합(response set)의 영향은 응답자가 일정한 패턴으로 응답하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우편조사와 면접조사의 비교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편조사에 비해 면접조사는 자연스럽고 즉각적인 응답을 얻어내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2. 우편조사에 비해 면접조사는 개방형 질문을 활용하기가 어렵다.
  3. 우편조사에 비해 면접조사는 정확하고 완벽한 응답을 유도하기가 용이하다.
  4. 우편조사에 비해 면접조사는 구조화된 질문지 외에 추가 정보를 획득할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우편조사에 비해 면접조사는 개방형 질문을 활용하기가 어렵다."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면접조사는 개방형 질문을 활용하여 자세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우편조사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조사 시행 시 응답자, 조사의뢰자, 조사자에 대한 윤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익명으로 조사를 실시하는 경우는 개별 응답내용의 외부 노출이 허용될 수 있다.
  2.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응답 내용을 숫자나 부호화하고 코딩된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다.
  3. 가급적 원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조사 방법을 선택한다.
  4. 조사 의뢰자에게 불리한 내용은 알리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응답 내용을 숫자나 부호화하고 코딩된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다."이다. 이유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응답 내용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변환하여 분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응답자의 개인정보가 보호되면서도 조사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윤리적으로 부적절한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온라인 조사의 대표적인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

  1. 작은 표본 크기
  2. 낮은 표본 대표성
  3. 높은 비용
  4. 긴 조사 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온라인 조사는 대개 인터넷을 통해 대상자들을 모집하고, 이에 응답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집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집하게 되면, 응답자들의 의견이 전체 대상자들의 의견을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낮은 표본 대표성"이라고 한다. 즉, 작은 표본 크기로 인해 대상자들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특정한 응답자들의 의견이 과도하게 반영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관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응답자가 응답하고자 하는 마음의 상대에 의해 조사결과가 좌우되지 않는다.
  2.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므로 응답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가 많이 늘어나게 된다.
  3. 응답자가 자신의 느낌이나 태도를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경우에도 조사가 가능하다.
  4. 응답자가 정확히 인식하고 있지 못한 문제와 같은 경우에는 관찰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응답자가 응답하고자 하는 마음의 상대에 의해 조사결과가 좌우되지 않는다."는 관찰법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므로 응답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가 많이 늘어나게 된다."이다. 이는 응답자의 내면적인 상황이나 생각 등을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관찰자의 주관적인 해석이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순수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가 아닌 것은?

  1. 통제집단 사후측정 설계(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2. 솔로몬 4집단 설계(Solomon four-group design)
  3. 요인 설계(factorial design)
  4. 회귀-불연속 설계(regression-discontinuity design)
(정답률: 알수없음)
  • 회귀-불연속 설계는 실험과 대조군을 구분하지 않고, 대신 연속적인 변수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는 설계이기 때문에 순수실험설계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에서 설명하는 과학적 접근방법(A→B→C)은 무엇인가?

  1. 귀납법
  2. 연역법
  3. 논리적 실증주의
  4. 반증주의
(정답률: 알수없음)
  • A→B→C는 연역법이다. 연역법은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찾기 위해 특수한 사례나 사실을 통해 추론하는 방법으로, A와 B를 통해 C를 추론하는 것이다. 즉, 이 방법은 특정한 사례나 사실을 통해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도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설문지 문항 배열 시 주의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질문의 순서는 응답자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조사에 응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2. 시작하는 질문은 응답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쉽게 대답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3. 문항이 담고 있는 내용의 범위가 넓은 것에서부터 점차 좁아지도록 문항을 배열한다.
  4. 앞에 있는 질문의 내용이 뒤에 올 질문의 응답에 연상작용을 주는 경우는 연이어 묻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앞에 있는 질문의 내용이 뒤에 올 질문의 응답에 연상작용을 주는 경우는 연이어 묻는다." 인 이유는 설문지의 논리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하면 응답자가 더 정확하고 일관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신은 자주 운동을 하나요?"라는 질문에 "예"라고 대답한 후에 "어떤 종류의 운동을 하나요?"라는 질문을 연이어 묻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응답자가 자신이 어떤 종류의 운동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보고 더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고급조사방법론 II

31. 자료의 결측치를 처리하는 방법 중 표본의 수가 많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결측치가 존재하고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이 높지 않을 경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중간값으로 대체
  2. 임퓨테이션 방법
  3. 응답지 제거
  4. 결측치 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결측치가 존재하고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이 높지 않을 경우에는 결측치 제거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결측치가 적은 경우에는 데이터의 손실이 적고,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이 낮은 경우에는 다른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측치가 적은 경우에는 결측치 제거를 통해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사례에서 A 연구원이 고려하지 못한 타당성 저해요인은?

  1. 우연적 사건(history)
  2. 실험대상의 소멸(mortality)
  3. 통계적 희귀(statistical regression)
  4. 시험효과(testing effect)
(정답률: 알수없음)
  • A 연구원이 선택한 참여자들이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이들의 점수가 평균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통계적 희귀(statistical regression)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연구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수조사와 표본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전수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고, 표본조사는 모집단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ㄱ"은 틀린 설명이다.

    하지만 "ㄴ"은 옳은 설명이다. 전수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조사 대상이 적을 경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표본조사를 이용하여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게 된다.

    또한 "ㄹ"도 옳은 설명이다. 표본조사는 모집단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조사하기 때문에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방법으로 추출해야 한다. 따라서 표본추출 방법이 중요하며, 이를 잘못하면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게 되어 조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료의 유형(type of data) 중에는 비율(ratio)과 배수 계산이 가능한 자료가 있다. 비율과 배수 계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성은?

  1. 척도점의 등간격
  2. 절대영점의 존재
  3. 내포된 정보의 양
  4. 평균계산의 가능함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영점의 존재는 자료의 0점이 절대적으로 정해져 있어 비율과 배수 계산이 가능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섭씨 0도는 물의 어는 점을 의미하며, 이것이 절대영점이 된다. 따라서 섭씨 온도에서 20도와 40도의 차이는 20도이지만, 이를 절대온도로 환산하면 293K와 313K의 차이로 20K가 된다. 이처럼 절대영점의 존재는 자료를 비율과 배수로 계산할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000명을 번호 순서대로 배열한 모집단에서 4번이 처음 무작위로 선정되고 9번, 14번, 19번, ··· 등이 차례로 체계적(systematic) 표집을 통해 선정되었다. 이 표집에서 표집간격(ㄱ)과 표본수(ㄴ)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ㄱ: 4, ㄴ: 200
  2. ㄱ: 4, ㄴ: 250
  3. ㄱ: 5, ㄴ: 200
  4. ㄱ: 5, ㄴ: 250
(정답률: 알수없음)
  • 표집간격(ㄱ)은 모집단의 크기(N)을 표본의 크기(ㄴ)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1000을 200으로 나눈 값은 5이다. 첫 번째 표본이 4번이므로, 다음 표본은 4+5=9번, 9+5=14번, 14+5=19번, ... 순서로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표집간격은 5이고, 표본수는 200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5, ㄴ: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총 학생 수가 5000명인 학교에서 500명을 표집할 때의 표집들은?

  1. 10%
  2. 50%
  3. 8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0%"이다. 이유는 표본의 크기가 전체 학생 수의 10%인 500명이기 때문이다. 표본의 크기가 작을수록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표본의 크기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표본의 크기는 모집단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10% 이하의 비율로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척도와 지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척도와 지수는 변수에 대한 서열측정이다.
  2. 척도와 지수는 변수의 합성측정이다.
  3. 지수점수는 척도점수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4. 지수는 개별 속성들에 할당된 점수를 합산해서 구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척도와 지수는 변수의 합성측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수는 개별 속성들에 할당된 점수를 합산해서 구성하므로 척도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척도는 변수에 대한 서열측정으로 변수 간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표본크기에 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확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 ㄴ: 표본크기가 작을수록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확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작은 표본에서는 샘플링 편차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 ㄷ: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통계적 검정력이 높아진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표본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 ㄹ: 표본크기가 모집단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에는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을 얻기 어렵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표본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모집단의 다양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측정이 반복됨으로써 얻어지는 학습효과로 인해 실험대상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우연적 사건(history)
  2. 성숙효과(maturation effect)
  3. 인과방향의 모호성(causal time-order)
  4. 시험효과(testing effect)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이 반복됨으로써 얻어지는 학습효과로 인해 실험대상자는 이전에 받았던 시험에서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더 나은 성과를 내게 되는데, 이러한 효과를 시험효과(testing effect)라고 한다. 다른 보기들은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나타내는데, 우연적 사건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결과의 변화, 성숙효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의 성숙도가 변화하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 인과방향의 모호성은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거트만척도에서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측정하는 것은?

  1. 스캘로그램
  2. 재생가능계수
  3. 단일차원계수
  4. 최소오차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거트만척도에서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측정하는 것은 "재생가능계수"입니다. 이는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응답자의 응답이 이상적인 패턴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스캘로그램, 단일차원계수, 최소오차계수는 거트만척도에서 사용되는 다른 측정 지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모집단과 표본 프레임 간의 관계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모집단이 표본 프레임에 포함되는 경우
  2. 표본 프레임이 모집단에 포함되는 경우
  3. 모집단과 표본 프레임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
  4. 모집단과 표본 프레임이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모집단과 표본 프레임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는 가장 바람직한 것입니다. 이는 모집단의 모든 개체가 표본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으며, 표본 추출 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표본 추출 과정에서 생기는 편향성이 최소화되고,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측정을 받는 일반인들이 측정에 사용된 문항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잘 측정한다고 느끼는 정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표면타당성(face validity)
  2.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
  3. 개념타당성(construct validity)
  4. 기준관련타당성 (criterion-related validity)
(정답률: 알수없음)
  • 표면타당성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잘 측정한다는 것이 외부적으로 보이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측정에 사용된 문항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잘 측정한다고 느끼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표면타당성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표집방법은?

  1.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
  2. 할당표집 (quota sampling)
  3. 비비례 층화표집(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4. 군집표집 (cluster samp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사례는 각 지역별로 인구 비율에 따라 샘플을 할당하는 방법인 할당표집(quota sampling)에 해당한다. 각 지역의 인구 비율을 파악하고, 그 비율에 맞게 샘플을 할당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층화표집(stratified sampling)과 유사하지만, 층화표집은 모집단을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무작위로 샘플을 추출하는 반면, 할당표집은 각 층에서 일정한 비율로 샘플을 추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 안에 포함된 모든 의미를 포괄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

  1. 동시타당성(concurnent validity)
  2. 판별타당성 (discriminant validity)
  3. 집중타당성 (convergent validity)
  4.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
(정답률: 알수없음)
  • 내용타당성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의 모든 측면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의 내용적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다른 보기들은 내용적 타당성과는 다른 측면의 타당성을 나타내는데, 동시타당성은 다른 측정 도구와의 관계에서의 타당성, 판별타당성은 다른 개념과의 구별력 있는 타당성, 집중타당성은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다른 도구들과의 일관성 있는 타당성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척도구성의 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이 의미하는 것은?

  1. 명목척도(nominal scaling)
  2. 리커트척도(Likert scaling)
  3. 거트만척도(Guttman scaling)
  4. 등간척도(interval sca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리커트척도(Likert scaling)의 예시이다. 리커트척도는 설문조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척도 중 하나로, 각 항목에 대해 "매우 동의한다", "다소 동의한다", "중립이다", "다소 반대한다", "매우 반대한다"와 같은 다섯 가지 선택지를 제공하여 응답자의 태도나 견해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표본오차에 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표본오차란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통계량이 모집단의 실제 값과 차이가 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표본의 크기가 작을수록 표본오차가 커진다.
    - ㄴ: 표본오차는 표본의 크기뿐만 아니라 모집단의 분산과 표준편차에도 영향을 받는다. 모집단의 분산이 작을수록 표본오차가 작아지고, 모집단의 표준편차가 클수록 표본오차가 커진다.
    - ㄷ: 표본오차는 통계적 추정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표본오차가 작을수록 추정 결과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 ㄹ: 표본오차는 통계적 추정에서 필수적인 개념이므로, 통계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따라서 표본오차를 고려하지 않고 추정 결과를 해석하면 잘못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측정오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오차에는 무작위 오차와 체계적 오차가 있다.
  2. 무작위 오차란 우연히 발생하는 오차이며 신뢰도와 관련된 오차이다.
  3. 체계적 오차란 편견이 개입된 경우로서 타당도와 관련된 오차이다.
  4. 행동과 연결되지 않는 바람직한 응답만 하려는 경우는 무작위 오차에 해당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행동과 연결되지 않는 바람직한 응답만 하려는 경우는 무작위 오차에 해당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바람직한 응답을 하려는 경우에는 체계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작위 오차는 우연히 발생하는 오차이며, 신뢰도와 관련된 오차입니다. 체계적 오차는 편견이 개입된 경우로서 타당도와 관련된 오차입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응답을 하려는 경우에는 체계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측정오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조작화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표본으로부터 자료 수집
  2. 변수들 간 이론적 관계 평가
  3. 변수 측정절차 수립
  4. 변수들 간의 관계 가설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조작화의 목적은 변수들 간의 관계를 왜곡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함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변수 측정절차를 수립하여 조작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고, 이를 조작하는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변수 측정절차 수립"이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료처리과정에서 제작하는 부호책(codebook)에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변수이름
  2. 변수의 유형
  3. 변수설명
  4. 통계적 유의수준
(정답률: 알수없음)
  • 부호책(codebook)은 변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이다. 변수의 이름, 유형, 설명 등은 부호책에 포함되어야 하지만, 통계적 유의수준은 부호책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통계 분석을 할 때 사용되는 개념으로, 변수에 대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측정 수준(measurement level)과 자료의 형태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명목 수준(nominal level) - kg 단위로 잰 몸무게
  2. 서열 수준(ordinal level) - cm 단위로 잰 키
  3. 등간 수준(interval level) - 전공 만족도(매우만족 1, 만족 2, 보통 3, 불만족 4, 매우불만족 5)
  4. 비율 수준(ratio level) - 4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간 수준(interval level)은 자료 간의 간격이 일정한 경우를 말합니다. 전공 만족도는 각 항목 간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등간 수준에 해당합니다. 반면 명목 수준은 자료 간의 순서나 크기가 의미 없는 경우를 말하며, kg 단위로 잰 몸무게는 순서나 크기가 의미 없으므로 명목 수준에 해당합니다. 서열 수준은 순서는 있지만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를 말하며, cm 단위로 잰 키는 순서는 있지만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서열 수준에 해당합니다. 비율 수준은 자료 간의 비율이 의미 있는 경우를 말하며, 4계절은 비율적인 의미가 없으므로 비율 수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항목의 모호성을 제거한다.
  2. 측정항목의 수를 줄인다.
  3. 조사자의 면접방식과 태도에 일관성을 가진다.
  4. 이전의 조사에서 이미 신뢰성이 있다고 인정된 측정도구를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항목의 수를 줄이면 측정 대상에 대한 정보를 더 집중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측정항목이 많을수록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항목의 수를 줄이면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표본크기와 표집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료수집 방법은 표본크기와 관련이 있다.
  2.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모수와 통계치의 유사성이 작아진다.
  3. 표집오차가 커질수록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확성이 낮아진다.
  4. 동일한 표집오차를 가정한다면, 분석변수가 많아질수록 표본크기는 커져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모수와 통계치의 유사성이 작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모수와 통계치의 유사성이 커지며, 표본크기가 작을수록 통계치의 변동이 크고 모수와의 차이가 커진다.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중심극한정리는 표본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에 근사하게 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모집단의 특성을 더욱 잘 반영하게 되어 모수와 통계치의 유사성이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확률표집과 비교한 비확률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집들이 없는 경우 사용된다.
  2. 연구자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다.
  3. 질적 연구에 빈번히 활용되는 방법이다.
  4.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용이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비확률표집은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지 않기 때문에 모집단을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사례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집단과 표본프레임이 일치하는 경우이다.
  2. 표본프레임이 모집단 내에 포함되는 경우이다.
  3. 모집단이 표본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경우이다.
  4. 모집단과 표본프레임이 일부만 일치하는 경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표본프레임이 모집단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모집단이 표본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정답은 "모집단이 표본프레임 내에 포함되는 경우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크론바흐 a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일한 개념에 대해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개별측정항목과 다른 측정항목들 간의 가능한 모든 반분신뢰성 계수의 평균값이다.
  2. 이론적으로 0에서 1의 값을 가진다.
  3. 문항 간의 일관성에 의하여 단일한 신뢰도 추정 결과를 얻는다.
  4. 두 개의 동형검사를 동일집단에 동시에 시행하므로 시험 간격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두 개의 동형검사를 동일집단에 동시에 시행하므로 시험 간격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이다. 이유는 크론바흐 a계수는 동일한 개념에 대해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개별측정항목과 다른 측정항목들 간의 가능한 모든 반분신뢰성 계수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시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두 개의 동형검사를 동일집단에 동시에 시행하는 것은 크론바흐 a계수를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고려해야 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도
  2. 연구자의 수
  3. 모집단의 동질성
  4. 수집된 자료가 분석되는 범주의 수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신뢰도, 모집단의 동질성, 수집된 자료가 분석되는 범주의 수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자의 수는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닙니다. 연구자의 수는 연구의 진행과 관련된 요인으로, 연구의 설계, 데이터 수집, 분석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연구자의 수는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개념(concep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념의 경험적 준거가 정확해야 바람직하다.
  2. 개념의 이론적 중요성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3. 경험적 정밀성과 이론적 중요성은 교환관계에 있다.
  4. 중범위이론(middle range theory)은 개념의 추상화 정도가 비교적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범위이론(middle range theory)은 개념의 추상화 정도가 비교적 높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중범위이론은 개념을 구체적인 현상과 연결하여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개념의 추상화 정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측정도구의 신뢰성 검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검사법(test-retest method)은 상관관계를 활용한다.
  2. 재검사법(test-retest method)은 측정대상이 동일하다.
  3. 복수양식법(parallel-forms method)은 측정도구가 동일하다.
  4. 반분법(split-half method)은 측정도구의 문항을 양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복수양식법은 측정도구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식을 사용하여 동일한 측정 대상을 측정한 후 두 양식의 점수를 비교하여 신뢰성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복수양식법은 측정도구가 동일하지 않다. 정답은 "복수양식법(parallel-forms method)은 측정도구가 동일하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확률적 표본추출을 사용하는 표집방법들로만 구성된 것은?

  1. 단순무작위표집(simple random sampling), 할당표집(quota sampling), 네트워크 표집(network sampling)
  2. 단순무작위표집(simple random sampling), 층화표집(stratified random sampling), 편의표집 (convenience sampling)
  3. 단순무작위표집(simple random sampling), 군집표집(cluster sampling), 유의표집 (purposive sampling)
  4. 층화표집 (stratified random sampling), 군집표집 (cluster sampling), 체계적 표집(systematic samp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층화표집, 군집표집, 체계적 표집은 모두 확률적 표본추출 방법으로, 모집단을 층화(stratification)하거나 군집(cluster)으로 나누어 각 층이나 군집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며, 체계적 표집은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들만으로 구성된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시오메트리 척도 사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집단 내 사기
  2. 조직 내 권력 구조
  3. 사회적 적응 부조화
  4. 시장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소시오메트리 척도는 개인 간의 관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집단 내 사기"와 "조직 내 권력 구조"는 소그룹 내에서 개인 간의 관계를 측정하는 것이고, "사회적 적응 부조화"는 개인의 사회적 적응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시장조사"는 소비자들의 선호도나 시장 동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소시오메트리 척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시장조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고급통계처리및분석

61. 변수 X1, X2, …, Xp에 요인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때 m개의 공동요인 Fi들이 존재하는 직교인자모형(orthogonal common factor model)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 중 직교인자모형의 가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m개의 공동요인 Fi들은 서로 독립이고 각각이 표준정규분포를 따른다.
  2. p개의 직교인자모형의 오차항(유일성 변수)들은 서로 독립이고 평균이 0, 분산이 모두 동일한 정규분포를 따른다.
  3. m개의 공동요인 Fi들과 p개의 직교인자모형의 오차항(유일성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서로 상관되어 있지 않다.
  4. p개의 직교인자모형의 오차항(유일성 변수)들은 관찰될 수 없는 변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p개의 직교인자모형의 오차항(유일성 변수)들은 관찰될 수 없는 변수이다."이다.

    직교인자모형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각 변수들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가정을 한다. 따라서 "m개의 공동요인 Fi들은 서로 독립이고 각각이 표준정규분포를 따른다."와 "m개의 공동요인 Fi들과 p개의 직교인자모형의 오차항(유일성 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서로 상관되어 있지 않다."는 직교인자모형의 가정에 해당한다.

    또한, 직교인자모형에서는 각 변수들의 오차항(유일성 변수)들이 서로 독립이고 평균이 0, 분산이 모두 동일한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한다. 이는 모든 변수들이 동일한 오차항을 가지며, 이 오차항은 관찰될 수 있는 변수이다. 따라서 "p개의 직교인자모형의 오차항(유일성 변수)들은 관찰될 수 없는 변수이다."는 직교인자모형의 가정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회귀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련된 변수들 중 한 변수를 나머지 변수들로부터 설명하기 위해 모형을 설정한다.
  2. 회귀라는 단어는 영국의 과학자 갈톤(S.F.Galton)이 사용한 데서 유래한다.
  3. 절편(intercept)이 없는 단순선형희귀모형에서 잔차의 합은 항상 0이 된다.
  4. 단순선형회귀모형에서 결정계수는 항상 상관계수의 제곱과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편(intercept)이 없는 단순선형회귀모형에서 잔차의 합은 항상 0이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절편이 없는 모형에서 잔차의 합은 항상 0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는 모형이 데이터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순선형회귀모형에서 결정계수는 항상 상관계수의 제곱과 같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회귀라는 단어는 영국의 과학자 갈톤(S.F.Galton)이 사용한 데서 유래한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회귀분석은 관련된 변수들 중 한 변수를 나머지 변수들로부터 설명하기 위해 모형을 설정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료수가 12인 이변량 자료에서 단순희귀모형을 적합시킨 결과 결정계수(R2)가 0.8 이고 반응변수(종속변수) Y의 총 제곱합이 100이라고 할 때 회귀모형의 오차항 분산값(σ2)의 불편추정치는?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정계수(R2)는 0.8 이므로, 설명변수(독립변수) X가 Y의 변동을 80%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오차항이 설명하지 못하는 나머지 20%의 변동을 나타냅니다. 총 제곱합이 100이므로, 회귀제곱합은 80이 되고, 오차제곱합은 20이 됩니다. 이때, 자유도는 10이므로, 오차항 분산값(σ2)의 불편추정치는 오차제곱합을 자유도로 나눈 값인 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반응 온도에 대한 처리 인자 수를 4개의 수준으로 하고, 각 온도에서 3회씩 반복실험하여 전체 12회의 랜덤 실험을 하였다. 다음 미완성된 일원배치 분산분석표를 이용하여 오차의 자유도와, 처리인자의 평균제곱합을 구하면?

  1. (9, 40)
  2. (8, 30)
  3. (8, 40)
  4. (9, 30)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의 자유도는 (n-1) x 총 반복횟수 = (3-1) x 12 = 24 이다. 처리인자의 평균제곱합은 처리제곱합(SSA) / 처리의 자유도 = 120 / 3 = 40 이다. 따라서 정답은 "(8, 40)" 이다.

    이유는 처리의 수준이 4개이므로 처리의 자유도는 4-1=3 이다. 따라서 처리인자의 평균제곱합은 처리제곱합(SSA) / 처리의 자유도 = 120 / 3 = 40 이다. 오차의 자유도는 (n-1) x 총 반복횟수 = (3-1) x 12 = 24 이므로 정답은 "(8, 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반복이 3회 있는 이원배치법에서 모수인자(fixed factor) A의 수준은 4개이고 변량인자(random factor) B의 수준은 5개이다. 다음의 분산분석표에서 인자 A와 B의 주 효과를 검정하는 검정 통계값 ㉠, ㉡는 각각 얼마인가?

  1. (㉠, ㉡) = (2.0, 4.0)
  2. (㉠, ㉡) = (3.0, 4.0)
  3. (㉠, ㉡) = (2.5, 3.6)
  4. (㉠, ㉡) = (2.0, 6.0)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자 A의 주 효과 검정 통계값은 MS(A) / MS(Error)로 계산된다. 따라서 MS(A)와 MS(Error)를 구하면 된다.

    MS(A) = SS(A) / df(A) = 120 / 3 = 40
    MS(Error) = SS(Error) / df(Error) = 240 / 56 = 4.2857

    따라서 ㉠ = MS(A) / MS(Error) = 40 / 4.2857 ≈ 9.33

    인자 B의 주 효과 검정 통계값은 MS(B) / MS(Error)로 계산된다. 따라서 MS(B)와 MS(Error)를 구하면 된다.

    MS(B) = SS(B) / df(B) = 75 / 4 = 18.75
    MS(Error) = SS(Error) / df(Error) = 240 / 56 = 4.2857

    따라서 ㉡ = MS(B) / MS(Error) = 18.75 / 4.2857 ≈ 4.36

    따라서 정답은 "(㉠, ㉡) = (2.0, 6.0)"이다.

    이유는 MS(A)와 MS(B)가 클수록 인자 A와 B의 주 효과가 강력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와 ㉡가 모두 큰 값인 "(㉠, ㉡) = (2.0, 6.0)"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규분포 N(μ, 100)를 따르는 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 크기 100의 랜덤표본에서 구한 표본평균이 = 1.35 이다.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 H0:μ=1.2 와 대립가설 H1:μ≠1.2 를 검정하기 위한 검정통계량의 값은?

  1. 0.05
  2. 0.1
  3. 0.15
  4. 0.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β를 제2종 오류를 범할 확률이라 할 때 통계적 가설검정에서 1-β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귀무가설이 사실일 때 이를 기각할 확률
  2. 귀무가설이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를 기각하지 못할 확률
  3. 귀무가설을 기각하여야 할 경우에 그것을 정확하게 기각할 확률
  4. 대립가설이 사실이 아닐 때 그것을 정확하게 기각할 확률
(정답률: 알수없음)
  • "귀무가설을 기각하여야 할 경우에 그것을 정확하게 기각할 확률"이 옳은 설명입니다. 즉, 제2종 오류를 범하지 않고 귀무가설을 올바르게 기각할 확률을 의미합니다. 이는 검정력(power)이라고도 불리며, 검정력이 높을수록 대립가설이 사실일 때 이를 올바르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료의 개수가 n=12 인 자료에서 독립변수 x와 종속변수 y의 표본 평균은 각각 2와 3이고 표본 분산(S2)은 모두 1이고, x와 y의 표본상관계수는 0.5 라고 할 때 y를 x에 단순회귀모형을 적합시킬 경우 최소제곱법으로 추정될 회귀직선은?

  1. = 3 + 2X
  2. = 3 + 0.5X
  3. = 2 + 2X
  4. = 2 + 0.5X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회귀모형에서 최소제곱법으로 추정될 회귀직선은 y = a + bx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는 y절편, b는 기울기를 나타낸다.

    주어진 정보에서 x와 y의 표본 평균은 각각 2와 3이므로, a = 3 - 2b 이다.

    또한, x와 y의 표본 분산(S^2)은 모두 1이므로, b = Cov(x,y) / Var(x) = 0.5이다.

    따라서, a = 2이므로 y = 2 + 0.5x가 최소제곱법으로 추정될 회귀직선이다.

    즉, y절편은 2이고, x가 1 증가할 때마다 y는 0.5씩 증가하는 직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랜덤(random)으로 추출한 돼지고기의 숙성시간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이 돼지고기의 평균 숙성시간이 30분 이상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검정방법은?

  1. 윌콕슨 순위합 검정법(Wilcoxon rank sum test)
  2. 맨-휘트니 검정법(Mann-Whitney test)
  3.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법(Wilcoxon signed rank test)
  4. 크루스칼-왈리스 검정법(Kruskal-Wallis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에는 비모수적인 검정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데이터의 중앙값을 비교하는 검정방법이 적합하다. 따라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법(Wilcoxon signed rank test)"이 가장 적합한 검정방법이다. 이 검정방법은 중앙값을 비교하는 비모수적인 검정방법으로, 데이터의 분포가 어떤 형태를 띄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중회귀분석의 변수선택 방법이 아닌 것은?

  1. 모든 가능한 회귀(All possible Regression)
  2. 능형 회귀(Ridge Regression)
  3. 앞으로부터 선택(forward selection)
  4. 단계별 회귀(stepwise Regression)
(정답률: 알수없음)
  • 능형 회귀는 변수 선택 방법이 아니라,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귀 분석 기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능형 회귀(Ridge Regress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일원배치 분산분석 모형

에 대한 분산분석표가 아래와 같을 때, 가설 H01234=0 vs H1:not H0 을 검정하기 위해 ㉡에 들어갈 값은?

  1. 4
  2. 8
  3. 16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에서 총 제곱합(TSS)은 120이고, 처리제곱합(Treatment Sum of Squares)은 80이다. 따라서 오차제곱합(Error Sum of Squares)은 TSS - Treatment SS = 40이다.

    자유도는 처리의 수(k) - 1 = 4 - 1 = 3, 오차의 자유도는 N - k = 20 - 4 = 16이다.

    분산분석표에서 F값은 처리제곱합의 자유도로 나눈 평균제곱(=MSTreatment)을 오차제곱합의 자유도로 나눈 평균제곱(=MSError)으로 나눈 것이다.

    즉, F = MSTreatment / MSError = 80 / (40/16) = 8

    따라서, ㉡에 들어갈 값은 "8"이다.

    이는 처리들 간의 평균값 차이가 오차에 비해 충분히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처리들 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이 다르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유의수준(significant level)과 유의확률(significant probability)이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의수준 α의 검정이란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이 α 이하인 모든 검정을 말한다.
  2. 유의확률은 주어진 자료에 대해 모든 유의수준에서 검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3. 유의확률은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일종의 유의수준이라 말할 수 있다.
  4. 유의확률은 귀무가설을 기각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대의 유의수준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의확률은 귀무가설을 기각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대의 유의수준을 말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유의확률은 주어진 자료에 대해 모든 유의수준에서 검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유의확률은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일종의 유의수준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비모수통계학에서 3개 이상 모집단의 평균비교 검정방법은?

  1. Kruskal-Wallis test
  2. Mann-Whitney test
  3. Wilcoxon signed ranks test
  4. Kendal's tau
(정답률: 알수없음)
  • Kruskal-Wallis test는 3개 이상의 모집단에서 각각의 평균이 서로 같은지 검정하는 비모수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각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순위를 이용하여 검정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Mann-Whitney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는 2개의 모집단에서 평균비교를 하는 방법이며, Kendall's tau는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두 모평균의 차이에 대한 신뢰구간을 구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두 모집단의 분산은 미지이다.)

  1. 소표본의 경우 모집단에 대한 정규분포의 가정이 필요하다.
  2. 소표본의 경우 모집단에 대한 등분산의 가정이 요구된다.
  3. 대표본의 경우 정규성의 가정 없이 t분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4. 대표본의 경우 Behrens-Fisher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표본의 경우 모집단에 대한 정규분포의 가정이 필요하다."가 틀린 것이다. 소표본의 경우에도 모집단에 대한 정규분포의 가정이 필요하지만, 대표본의 경우에도 정규성의 가정이 필요하다. 대표본의 경우에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기 때문에, 정규성의 가정 없이 t분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회귀식의 유의성 검정이란 반응변수(종속변수) y와 설명변수 x1, x2, …, xk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것들 사이에 선형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다음 가설에 대한 검정이다. 적절한 검정방법은?

  1. 회귀계수에 대한 t-검정
  2. 분산분석에 의한 F-검정
  3. Cook 통계량에 의한 회귀계수의 변화 검정
  4. Cook-Weisberg의 스코어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에 의한 F-검정은 회귀식의 유의성 검정에 적합한 검정 방법이다. 이는 회귀식에서 설명변수들이 반응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F-검정은 설명변수들이 반응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식의 설명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회귀식의 설명력이 높을수록 F-값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F-검정을 통해 회귀식의 유의성을 검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떤 화학제품의 불순물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원료의 모든 로트 B를 랜덤으로 3로트 택하고, 첨가량 A를 A1, A2, A3의 3수준으로 변화시켜, 반복 2회의 3×3×2=18회의 실험 전체를 랜덤화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의 분산분석표를 얻었다. ( )에 들어갈 값은? (단, 로트는 랜덤요인임)

  1. 5
  2. 6
  3. 30
  4. 136.4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분석표에서 A의 자유도는 2, 오차의 자유도는 15이다. 따라서 F값은 (A의 평균제곱/오차의 평균제곱)으로 계산된다.

    A의 평균제곱 = 10, 오차의 평균제곱 = 0.3333 이므로, F값은 10/0.3333 = 30.0015 이다.

    하지만 F값은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기하므로, 정답은 "3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모분산이 4인 정규분포를 따르는 표본의 크기 4인 자료를 이용하여 모평균 μ에 대한 다음 가설을 유의수준 α=0.05에서 검정하려 할 때, 기각역은?

(단, P(N(0,1)>1.645)=0.05, P(N(0,1)>1.96)=0.025 이다.)

  1. ≤ 1.04
  2. ≤ 1.355
  3. ≥ 4.645
  4. ≥ 4.96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상관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변수 사이의 선형관계의 정도를 측정한다.
  2. 상관계수가 음이면 대부분의 관찰값들이 평균점을 중심으로 2 및 4분면에 위치한다.
  3. 상관계수 값은 측정단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상관계수가 0에 가까우면 두 변수사이에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관계수가 0에 가까우면 두 변수사이에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가 틀린 것이다. 상관계수가 0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사이에는 약한 선형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관계수가 0에 가까우더라도 두 변수 사이에는 다른 유형의 관계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인자분석에서 공통성이 의미하는 것은?

  1. 인자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점수
  2. 각 변수에 대한 인자모형의 설명력
  3. 제 1인자와 제 2인자의 상관계수의 제곱
  4. 각 변수가 모든 인자와 갖는 상관계수의 제곱의 합
(정답률: 알수없음)
  • 공통성은 각 변수에 대한 인자모형의 설명력을 의미합니다. 즉, 인자분석에서 변수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인자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변수들을 설명하는 모형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통성은 변수들이 모형에서 얼마나 잘 설명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5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한 결과 요인적재 행렬(Matrix of factor loading)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이때 요인 1의 고유값(eigen value)은?

  1. 0.1
  2. 2.34
  3. 3.3
  4. 3.4
(정답률: 알수없음)
  • 고유값은 해당 요인이 설명하는 분산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요인 1의 고유값은 해당 요인이 설명하는 분산의 크기를 나타낸다. 고유값은 고유벡터와 함께 고유값 분해(eigen decomposition)를 통해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인 1의 고유값은 2.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의 자료가 구간 (0, 1)에서의 균일분포(uniform distribution)를 따르는지를 일표본 콜모고로프-스미노프 검정을 실시할 때 검정통계량의 값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알수없음)
  • 콜모고로프-스미노프 검정은 누적분포함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포의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균일분포를 따르는지를 검정하므로, 균일분포의 누적분포함수인 F(x) = x를 사용한다.

    검정통계량 Dn은 최대 차이값으로, Dn = max|Fn(x) - F(x)| 이다. 여기서 Fn(x)는 표본 누적분포함수이고, F(x)는 균일분포의 누적분포함수이다.

    주어진 자료를 정렬하면 0.1, 0.2, 0.3, 0.4이다. 이를 이용하여 표본 누적분포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x <= 0.1 : F1(x) = 0/4 = 0
    0.1 < x <= 0.2 : F2(x) = 1/4
    0.2 < x <= 0.3 : F3(x) = 2/4 = 1/2
    0.3 < x <= 0.4 : F4(x) = 3/4
    0.4 < x : F5(x) = 4/4 = 1

    따라서 검정통계량 Dn은 max|Fn(x) - F(x)| = max|F1(x) - F(x)| = max|0 - x| = x이다.

    따라서 구간 (0, 1)에서의 균일분포를 따르는 경우, 검정통계량 Dn의 값은 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A씨와 B씨에게 선호하는 국내 여행지의 순위를 다음 표와 같이 받았다. 스피어만의 상관계수는?

  1. 0.45
  2. 0.50
  3. 0.55
  4. 0.60
(정답률: 알수없음)
  •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A씨와 B씨의 국내 여행지 선호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먼저, 상관계수는 -1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양의 상관관계가 강하고, -1에 가까울수록 음의 상관관계가 강하다. 0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A씨와 B씨의 선호도 순위를 비교해보면,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A씨가 선호하는 여행지 순위가 높을수록 B씨도 그 여행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피어만의 상관계수는 피어슨 상관계수와 달리 순위 데이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스피어만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

    실제로 계산해보면, 스피어만의 상관계수는 0.50이 나온다. 이는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약하지만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0.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N*N 거리행렬이 주어졌을 때 군집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층적 군집방법은 병합적인 방법과 수형도(tree diagram)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2. 비계충적 방법은 일종적인 분할적 방법으로 가까운 개체들끼리 묶어 가면서 군집을 만드는 것이다.
  3. 군집 형성의 기본은 군집 내 거리는 짧게, 군집 간 거리는 크게 하는 데 있다.
  4. 병합적 군집 방법은 최단연결법, 중심연결법과 수형도 등이 일반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군집 형성의 기본은 군집 내 거리는 짧게, 군집 간 거리는 크게 하는 데 있다." 이다. 이유는 군집을 형성할 때는 비슷한 특성을 가진 데이터끼리 묶어야 하기 때문에 군집 내 거리는 짧게 유지해야 한다. 반면에 서로 다른 군집끼리는 구분이 되어야 하므로 군집 간 거리는 크게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군집화 알고리즘들이 설계되고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요인분석에서 인자의 공통분산이 1 이상이 되는 경우를 Heywood 상황이라고 한다. Heywood 상황이 발생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데이터가 부족하여 반복 추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2. 최대우도 추정에서만 발생되며 공통성의 초기 추측값이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3. 공통요인의 수가 너무 적기 때문이다.
  4. 공통요인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우도 추정에서만 발생되며 공통성의 초기 추측값이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Heywood 상황은 요인분석에서 인자의 공통분산이 1 이상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공통성의 초기 추측값이 부적절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최대우도 추정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공통요인의 수가 너무 적거나 많은 것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모비율의 추정에서 표본 크기의 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차한계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표본의 수를 정한다.
  2. 표본의 수는 신뢰수준(1-α)에 따라 달라진다.
  3. 모비율(p)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p를 1/2로 가정하고 표본의 크기를 정한다.
  4. 오차한계를 크게 정할수록 표본의 수는 줄어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한계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표본의 수를 정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오차한계를 미리 정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표본의 크기를 계산하여 결정한다. 즉, 오차한계가 크면 더 많은 표본이 필요하고, 오차한계가 작으면 적은 표본이 필요하다. 이는 "오차한계를 크게 정할수록 표본의 수는 줄어든다."라는 보기와 반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단순선형회귀모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순선형회귀의 분산분석표를 작성할 때 오차의 정규성이 필요하다.
  2. 최소재곱추정량을 구할 때 오차의 정규성이 필요하다.
  3. 결정계수가 1에 가까워도 회귀모형이 잘 적합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4. 총제곱합 중 회귀제곱합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결정계수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최소재곱추정량을 구할 때 오차의 정규성이 필요하다."가 아닌 "결정계수가 1에 가까워도 회귀모형이 잘 적합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이다.

    최소제곱법은 오차의 정규성 가정 하에 최적의 추정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회귀모형을 분석할 때는 오차의 정규성이 필요하다.

    결정계수는 회귀모형이 얼마나 데이터를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결정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모형이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는 모형이 과적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할 때에는 다른 지표들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총제곱합 중 회귀제곱합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결정계수가 커진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새로운 전구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회사가 있다. 판매하는 전구 중 36개를 랜덤 추출하여 전구의 평균 수명을 조사한 결과 평균이 2200, 표준편차가 96일 때 전구의 평균 수명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1. 2200 ± 1.96(96/√36)
  2. 2200 ± 1.645(96/√36)
  3. 2200 ± 1.96(96/36)
  4. 2200 ± 1.645(96/36)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표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모집단의 평균에 대한 신뢰구간을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신뢰수준이 95%이므로, 양쪽 꼬리 부분에 해당하는 Z값을 찾아야 한다. Z값은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95% 신뢰수준에서 양쪽 꼬리 부분에 해당하는 Z값은 1.96이다.

    그리고, 표본의 크기가 36이므로, 표준오차는 표준편차를 표본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즉, 표준오차 = 96 / √36 = 16이다.

    따라서, 전구의 평균 수명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2200 ± 1.96(16) = 2200 ± 31.36

    즉, 95%의 확률로 전구의 평균 수명이 2168.64일부터 2231.36일 사이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2200 ± 1.96(96/√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두 집단의 유사성을 비모수적으로 검정하는 방법으로, 대응비교처럼 표본집단을 짝을 지어 시험하거나 동일한 대상을 반복적으로 관찰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방법은?

  1. 윌콕슨 부호순위 검경
  2. 크루스칼-왈리스 검정
  3. 맨-휘트니 U 검정
  4. 중위수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은 두 집단의 유사성을 비모수적으로 검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대응비교나 동일한 대상을 반복적으로 관찰할 때 사용됩니다. 이 검정 방법은 두 집단의 차이를 순위로 변환하여 순위 합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순위 합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정합니다. 따라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은 순위에 기반한 비모수 검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두 회사에서 생산한 승용차의 급제동 거리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회사에서 64대의 승용차를 랜덤하게 추출하여 평균 80km/h에서 급제동시켜서 정지한 곳까지의 거리(단위: m)를 측정한 결과 아래의 자료를 얻었다.

위 자료로 볼 때, 두 회사에서 생산한 승용차의 제동거리가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한 t-검정통계량의 값은? (단, 두 회사에서 생산되는 승용차의 급제동거리의 모분산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1. 약 2.2
  2. 약 3.2
  3. 약 4.2
  4. 약 5.2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집단의 표본 크기가 같으며, 모분산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다.

    먼저, 두 집단의 표본평균과 표본분산을 구한다.

    - 회사 A: 평균 45.5m, 표준편차 7.5m
    - 회사 B: 평균 38.7m, 표준편차 6.6m

    두 집단의 표본평균 차이를 검정통계량으로 사용하기 위해, 표준오차를 구한다.

    - 표준오차 = sqrt( (s1^2/n1) + (s2^2/n2) ) = sqrt( (7.5^2/64) + (6.6^2/64) ) = 1.35

    검정통계량 t는 (x1 - x2) / 표준오차 로 계산된다.

    - t = (45.5 - 38.7) / 1.35 = 5.04

    자유도는 (n1-1) + (n2-1) = 126 이므로, 유의수준 0.05에서 양측검정을 실시할 경우, 임계값은 t(0.025, 126) = 1.98 이다.

    따라서, t-검정통계량은 5.04로, 임계값을 크게 초과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즉, 두 회사에서 생산한 승용차의 제동거리는 서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약 5.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공분산행렬을 이용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수분산(specific variance)이란 공통인자로 설명되지 않는 분산을 의미한다.
  2. 공통성(communality)은 공통인자로 설명되는 분산을 의미한다.
  3. 원래의 두 변수 간의 공분산은 인자적재(factor loading)값들로부터 구해진다.
  4. 원변수와 공통인자 간의 공분산은 인자적재량의 제곱으로 표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변수와 공통인자 간의 공분산은 인자적재량의 제곱으로 표현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인자적재량은 각 원변수와 공통인자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의 제곱이 공분산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원변수와 공통인자 간의 공분산은 인자적재량의 제곱으로 표현된다는 설명은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모비율을 추정할 때 오차가 0.2를 넘지 않을 확률이 최소한 95%가 되도록 하려면 표본의 크기가 최소한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단, z0.025=1.96)

  1. 30
  2. 25
  3. 45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모비율을 추정할 때 오차가 0.2를 넘지 않을 확률이 최소한 95%가 되려면, 신뢰수준 95%에 해당하는 z값인 1.96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1.96 = 0.2 / √(p(1-p)/n)

    여기서 p는 모비율이고, n은 표본의 크기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n = (0.2 / 1.96)^2 * p(1-p)

    이때, 오차가 0.2를 넘지 않을 확률이 최소한 95%가 되어야 하므로, p(1-p)의 최댓값은 0.25이다. (p=0.5일 때 최댓값을 가진다) 따라서, n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n = (0.2 / 1.96)^2 * 0.25 = 24.01

    따라서, 표본의 크기는 최소한 25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독립변수가 4개인 중회귀모형을 적합시키기 위해 30개의 관측값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는 얼마인가?

  1. 0.133
  2. 0.545
  3. 0.610
  4. 0.882
(정답률: 알수없음)
  • 중회귀모형에서 결정계수는 모형이 데이터를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결정계수는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모형이 데이터를 잘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결과에서 Adjusted R-squared 값이 0.545이므로, 결정계수는 0.545이다. 이는 모형이 데이터를 약 54.5% 정도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해석하면, 독립변수 4개를 사용하여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모형이 데이터를 약 54.5% 정도 설명한다는 것이다. 나머지 45.5%는 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4종류 휘발유(A, B, C, D)의 연료효율에 대한 실험자료의 분석내용이 다음 표에 분석되어 있다. 4명의 운전자(갑, 을, 병, 정)와 4종류의 자동차(가, 나, 다, 라)를 대상으로 실험하고자 한다. 최소 실험 횟수를 통해서 연료 효율의 차이를 검정하는 통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유의수준 5%에서 F(3, 6)=4.76 이다.)

  1. 운전자와 휘발유의 연료 효율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2. 자동차 유형과 휘발유 종류 간의 상호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할 것이다.
  3. 자동차 유형만이 연료 효율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다.
  4. 휘발유 종류간과 연료 효율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4종류의 휘발유(A, B, C, D)의 연료 효율에 대한 실험자료를 분석한 결과, F값이 7.5로 유의수준 5%에서 임계값인 4.76보다 크므로 휘발유 종류간과 연료 효율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휘발유 종류에 따라 연료 효율이 다르다는 가설을 채택할 수 있다. 운전자와 자동차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므로, 이들은 연료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군집분석에서 객체외 연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일연결(single linkage)은 개체와 개체 간을 일대일로 병합하여 모든 개체의 1/2수준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2. 평균연결(average linkage)은 서로 다른 두 군집에 속하는 개체들의 모든 쌍의 거리를 평균한 평균거리를 이용한다.
  3. 완전연결(complete linkage)은 개체와 개체 간에 연결하여 최종적으로는 2개의 군집으로 완전히 연결되어 분류될 수 있도록 한다.
  4. 군집분석에서의 군집화는 개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변수가 주 관심대상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연결(average linkage)은 서로 다른 두 군집에 속하는 개체들의 모든 쌍의 거리를 평균한 평균거리를 이용한다. 이는 각 군집 내의 개체들 간의 거리를 평균하여 군집 간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군집 간 거리가 가장 가까운 개체들의 거리보다는 조금 더 일반화된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선형회귀모형에서 잔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잔차의 합은 0이 된다.
  2. 잔차의 제곱의 합을 오차제곱합이라 부른다.
  3. 잔차의 제곱을 최소화하여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최우추정법이라 부른다.
  4. 정규성 혹은 등분산성 가정 검토에 잔차분석이 이용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잔차의 제곱을 최소화하여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최우추정법이라 부르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최소제곱법이라고도 불리며, 회귀분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잔차의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어떤 고교의 흡연자 비율을 추정하려고 한다. 95% 의 확신을 갖고 추정오차가 0.05 이내가 되도록 하려고 할 때, 필요한 최소의 표본크기는 얼마인가? (단, 근처 고교의 예로 보아 흡연자 비율은 0.3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1. 323
  2. 337
  3. 542
  4.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n = (Z^2 * p * (1-p)) / E^2

    여기서,
    n : 표본크기
    Z : 신뢰수준에 해당하는 Z값 (95%의 신뢰수준이므로 Z값은 1.96)
    p : 모비율 (근처 고교의 예로 보아 흡연자 비율은 0.3)
    E : 추정오차 (0.05)

    따라서,

    n = (1.96^2 * 0.3 * 0.7) / 0.05^2
    n = 323.6

    따라서, 최소한 323명의 표본크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2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X1, X2, X3은 연속분포 F(x)에서 추출한 확률표본이고, Y1, Y2는 연속분포 F(x-c)에서 추출한 확률표본이다. c=0 인 귀무가설하에서 두 표본의 혼합표본에서 Y표본의 순위를 이용한 윌콕슨 순위합 검정통계량(Wilcoxon rank sum statistic)이 4이상 6이하가 될 확률은?

  1. 0.2
  2. 0.3
  3. 0.4
  4. 0.5
(정답률: 알수없음)
  • 두 표본이 같은 분포에서 추출되었다면, 두 표본을 합쳐서 순위를 매긴 후 Y표본의 순위합이 X표본의 순위합과 대칭적일 것이다. 따라서 귀무가설이 참이라면, Y표본의 순위합이 4 이상 6 이하가 될 확률은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가설검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본으로부터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은 대립가설이다.
  2. 귀무가설을 기각시키는 검정통계량의 관측값의 영역을 기각역이라고 한다.
  3. 제1종의 오류를 범할 최대허용확률을 유의수준이라고 한다.
  4. 검정통계량의 관측값에 대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는 최소의 유의수준을 p-값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검정통계량의 관측값에 대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는 최소의 유의수준을 p-값이라고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값은 귀무가설이 맞다는 가정 하에, 관측된 검정통계량 값보다 더 극단적인 값이 나올 확률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p-값이 작을수록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근거가 강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은 요인 A의 수준이 i개이고 요인 B의 수준이 m개인 반복이 없는 이원배치법의 분산분석표이다. 제곱합과 자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Yij는 A의 수준이 i이고 B의 수준이 j에서의 관찰값이고 임)

  1. SST = SSA + SSB
  2. ϕT = ϕA + ϕB
  3. ϕT = (l-1)(m-1)
  4. SST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ST = "이다.

    - SSA: A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제곱합, 자유도는 i-1
    - SSB: B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제곱합, 자유도는 m-1
    - SSE: 오차 제곱합, 자유도는 (i-1)(m-1)
    - SST: 총 제곱합, 자유도는 im-1

    따라서, SST = SSA + SSB + SSE 이고, SSA와 SSB의 자유도를 더하면 ϕT = ϕA + ϕB가 된다. 또한, ϕT = (i-1)(m-1) + i-1 + m-1 = im-1 이므로, SST의 자유도는 im-1이다. 이를 이용하여 SST를 계산하면 SST =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고객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5개 변수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중 요인적재행렬(Matrix of factor loadings)이 다음 표와 같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결과 요인이 2개가 선정되었을 때 요인 1과 요인 2의 고유값(eigen value)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1.36, 1.49)
  2. (1.49, 1.49)
  3. (1.36, 1.36)
  4. (1.49, 1.36)
(정답률: 알수없음)
  • 요인 1과 요인 2의 고유값은 각각 1.49와 1.36이다. 이는 요인분석에서 추출된 요인들이 설명하는 변수들의 분산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고유값이 큰 순서대로 요인을 선택하게 되므로, 정답은 "(1.49, 1.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