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09)

디지털영상편집 2급
(2015-05-09 기출문제)

목록

1. 영상의 역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근법의 발견 : 공간의 깊이는 한 명의 관람자 시점과 하나의 배경 뒤의 한 점에 고정된 소실점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2. 영화의 발견 : 에드워드 마이브리지의 달리는 24장의 말 사진이 계기가 되었다.
  3. 19세기의 사진 : 과학적인 목적을 배제한채 부를 과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4. 원시 동굴벽화 : 인간 최초의 외적 표현물, 문자보다 먼저 사용된 이미지 표현수단이 었다.
(정답률: 76%)
  • 19세기의 사진 : 과학적인 목적을 배제한채 부를 과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 이는 영상의 역사가 아닌 사진의 역사에 관한 내용이다.

    원근법의 발견은 15세기 이탈리아 예술가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영상의 시각적 표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화의 발견은 1895년 리옹에서 브라더스 리머가 상영한 첫 영화로, 영상의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원시 동굴벽화는 인류 최초의 예술 작품으로, 인간의 창조성과 예술적 감각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유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영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상의 역사는 벽화→회화→사진→영화 순으로 발전되어 왔다.
  2. 컷이 쌓여가면서 작품이 된다.
  3. 영상은 움직임이 있는 그림이다.
  4. 움직이지 않는 컷이라면 영상이라 말할 수 없다.
(정답률: 88%)
  • 움직이지 않는 컷이라면 영상이라 말할 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영상은 움직임이 있는 그림이지만, 움직이지 않는 컷도 영상의 일부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나 드라마에서 씬 전환 시에 사용되는 스틸 컷도 영상의 일부분으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동일한 피사체를 대상으로 첫 번째샷을 찍고, 두 번째 샷은 일정 이상의 각도로 옮겨서 다음 컷을 찍어야 하는 것을 일컫는 법칙은?

  1. 30도 법칙
  2. 90도 법칙
  3. 180도 법칙
  4. 시선일치의 법칙
(정답률: 74%)
  • "30도 법칙"은 동일한 피사체를 찍을 때, 첫 번째 샷과 두 번째 샷 사이의 각도를 최소 30도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법칙이다. 이는 사진에서 깊이감을 부각시키고, 더욱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한 것이다. "90도 법칙"은 동일한 피사체를 찍을 때, 첫 번째 샷과 두 번째 샷 사이의 각도를 90도로 유지해야 한다는 법칙이며, "180도 법칙"은 180도로 유지해야 한다는 법칙이다. "시선일치의 법칙"은 사진 속 인물의 시선이 카메라와 일치해야 한다는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화면전환 효과의 종류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포커스 인/아웃 : 화면과 화면이 순간적으로 겹쳐지면서 서서히 바뀌는 것
  2. 컷 : 새로운 화면이 기존의 화면을 밀어내면서 나오는 기법
  3.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 : 블랙화면이 점점 밝아지거나 화이트화면이 점점 어두워지는 것
  4. 디졸브 : 한 그림에서 다른 그림으로 중간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넘어가는 것
(정답률: 83%)
  • 페이드 인/페이드 아웃은 화면이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효과로, 이는 블랙화면이나 화이트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이루어진다. 이 효과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장면으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ASF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 전체를 다운받지 않아도 웹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정한 규격에 맞추어 만들어진 파일 형식이다.
  3.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는데 최적화 되어있다.
  4. 무압축 파일이기 때문에 높은 화질을 갖고 있다.
(정답률: 80%)
  • ASF 파일은 무압축 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무압축 파일이기 때문에 높은 화질을 갖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ASF 파일은 비디오, 오디오, 스트리밍 데이터 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파일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는데 최적화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정한 규격에 맞추어 만들어진 파일 형식이며, 파일 전체를 다운받지 않아도 웹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MOV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S사의 AVI 이후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2. 윈도우 시스템에서 MOV를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플러그인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애플사가 개발한 매킨토시용 표준 시스템 확장 파일이다.
  4. 멀티미디어 제작 도구에서 지원되는 표준 멀티미디어 파일포맷에 가장 근접한 기술이다.
(정답률: 82%)
  • "MS사의 AVI 이후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MOV는 애플사에서 개발한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으로, QuickTime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할 수 있습니다. MOV는 애플사에서 개발한 것이지만, 윈도우 시스템에서도 QuickTime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MOV 파일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S사의 AVI와 경쟁하며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디지털 색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MYK 색 공간은 색을 혼합하면 명도가 높아진다.
  2. YUV 색 공간은 자청색, 노랑색, 검정을 뜻한다.
  3. HLS 색 공간은 색상과 채도만의 값으로 색을 지정한다.
  4. RGB 색공간의 계산방식은 가산혼합방식으로 세 가지 색상을 100%로 섞으면 검정이 된다.
(정답률: 66%)
  • YUV 색 공간은 색을 밝기(Y), 색상 차(Cb), 색상 차(Cr)로 분리하여 표현하는 색 공간이다. 따라서 자청색, 노랑색, 검정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화면에서 인물이 움직이는 방향의 빈 공간을 말하는 용어는?

  1. 아크(arc)
  2. 리드룸(lead room)
  3. 룩킹룸(looking room)
  4. 게인(gain)
(정답률: 92%)
  • 리드룸(lead room)은 인물이 움직이는 방향의 빈 공간을 말합니다. 이는 인물이 움직이는 방향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시선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물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한 리드룸은 영상 또는 사진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편집 시 앞 화면이 서서히 사라짐과 동시에 뒤 화면이 서서히 나타나는 2D 편집 효과는?

  1. 디졸브
  2. 체크박스
  3. 와이프
  4. 모자이크
(정답률: 84%)
  • 디졸브는 앞 화면이 서서히 사라짐과 동시에 뒤 화면이 서서히 나타나는 2D 편집 효과입니다. 디졸브는 영상이 서서히 변화하는 것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되며, 영상의 전환 효과를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영상 입출력 시스템 방식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PAL 방식
  2. NTSC 방식
  3. BETACAM 방식
  4. SECAM 방식
(정답률: 80%)
  • 위 그림은 NTSC 방식의 입출력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NTSC 방식은 미국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525줄의 해상도와 60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도 525/60이라는 표기가 보인다. 이와 달리 PAL 방식은 유럽과 아시아에서 사용되며, 625줄의 해상도와 50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BETACAM 방식은 비디오 테이프 포맷 중 하나이며, SECAM 방식은 프랑스와 일부 동유럽 국가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편집 과정에서 화면의 이야기 흐름에 따라 다양한 장면 전환 기법을 활용하여 연결하는 것은?

  1. 트랜지션(Transition)
  2. 영상효과(Effecting)
  3. PIP(Picture in Picture)
  4. 커넥션(Connection)
(정답률: 89%)
  • 장면 전환 기법 중에서도 화면의 이야기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 "트랜지션(Transition)"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영상에 효과를 주거나, 화면 내에 다른 영상을 삽입하는 등의 기법이지만, 트랜지션은 연결되는 두 장면 사이의 전환을 부드럽게 처리하여 시청자에게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프리미어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요소들을 자신의 장비 특성에 맞게 설정하는 것은?

  1. 환경재설정(Re-Preference)
  2. 셋업(Set Up)
  3. 환경정리(Clean Environment)
  4. 환경설정(Preferences)
(정답률: 85%)
  • 프리미어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요소들을 자신의 장비 특성에 맞게 설정하는 것은 "환경설정(Preferences)"이다. 이는 사용자가 프리미어를 사용할 때 필요한 설정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기능으로,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프리미어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환경설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장비 특성에 맞게 프리미어를 설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프리미어의 기본 설정 중 컴퓨터에 장착된 재생/기록 장치를 제어할 때 사용하는 설정은?

  1. Control Disks
  2. Record Control
  3. Device Control
  4. Control Saver
(정답률: 84%)
  • "Device Control"은 컴퓨터에 장착된 재생/기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으로, 비디오 카메라나 레코더 등의 장치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이 설정을 사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면 더욱 효율적인 비디오 편집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리미어 내에서 어도비 프로덕션 관련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하는 메뉴는?

  1. Revert
  2. Adobe Browse Connector
  3. Adobe Bridge
  4. Adobe Dynamic Link
(정답률: 62%)
  • 정답은 "Adobe Dynamic Link"입니다. 이는 프리미어 프로젝트와 다른 어도비 프로덕션 애플리케이션 간에 실시간으로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프리미어에서 After Effects, Audition 등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쉽게 이동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기능을 사용하면 프리미어에서 변경한 내용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프리미어에서 선택한 소스 클립을 복제하는 기능은?

  1. Cut & Save
  2. Copy & Cut
  3. Duplicate
  4. Copy Special
(정답률: 70%)
  • 정답은 "Duplicate"입니다. "Duplicate"는 선택한 소스 클립을 복제하여 새로운 클립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Cut & Save"는 클립을 자르고 새로운 시퀀스에 저장하는 기능이며, "Copy & Cut"은 클립을 복사하고 원본 클립을 삭제하는 기능입니다. "Copy Special"은 클립을 복사하고 특정한 형식으로 붙여넣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프로젝트 패널에서 Import된 소스 클립을 자동으로 타임라인에 배치시키는 기능은?

  1. Export Project as AAF
  2. Automate to Sequence
  3. Import Batch List
  4. Link Media
(정답률: 81%)
  • "Automate to Sequence"은 프로젝트 패널에서 Import된 소스 클립을 자동으로 타임라인에 배치시키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소스 클립의 순서와 길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타임라인에 배치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기능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Automate to Sequence"이다. "Export Project as AAF"는 프로젝트를 AAF 파일로 내보내는 기능이고, "Import Batch List"는 일괄 처리 목록을 Import하는 기능이며, "Link Media"는 미디어 파일을 프로젝트에 연결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Overlay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클립을 옮기지 않고 곧바로 교체시키는 기능이다.
  2. 파일을 동기화시키는 기능이다.
  3. 현재 프레임에서 선택한 클립을 덮어씌우며, 기존 클립이 있는 경우 새로운 클립에 덮어씌운 채 사라지게 하는 기능이다.
  4. 비디오와 사운드를 연결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92%)
  • 현재 프레임에서 선택한 클립을 덮어씌우며, 기존 클립이 있는 경우 새로운 클립에 덮어씌운 채 사라지게 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시퀀스 메뉴의 Lif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끝지점을 지정한 후 앞부분을 모두 제거한다.
  2.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시작/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은 남겨둔다.
  3.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시작/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을 자동으로 당겨 채운다.
  4.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시작지점을 지정한 후 뒷 부분을 모두 제거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의 시작/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은 남겨둔다." 이다. 시퀀스 메뉴의 Lift는 클립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기능으로, 시작과 종료 지점을 지정한 후 해당 부분을 제거하고, 제거된 부분의 공백은 남겨둔다. 이를 통해 클립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미리 설정해 둔 클립을 클립 마커로 이동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Forward Sequence Marker
  2. Set Sequence Marker
  3. Go to Sequence Marker
  4. Edit Sequence Marker
(정답률: 88%)
  • 정답은 "Go to Sequence Marker"입니다. 이유는 "Go to Sequence Marker"는 미리 설정해 둔 클립 마커로 이동하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Forward Sequence Marker"는 다음 클립 마커로 이동하는 기능이고, "Set Sequence Marker"는 현재 위치에 클립 마커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Edit Sequence Marker"는 클립 마커를 편집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Title Properties에서 수행할 수 없는 기능은?

  1. Font Style 변경
  2. 타이틀을 가운데 정렬로 설정
  3. Opacity 조정
  4. X, Y position 조정
(정답률: 81%)
  • Title Properties에서는 타이틀을 가운데 정렬로 설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Title Properties에서는 타이틀의 위치를 조정할 수는 있지만, 정렬 방식을 선택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타이틀을 가운데 정렬로 설정하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프로젝트 메뉴 중 패널을 분리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Undock Panel
  2. Divide Panel
  3. New Bin
  4. Close Panel
(정답률: 64%)
  • "Undock Panel"은 현재 패널을 분리하여 독립적인 창으로 만드는 기능이다. 다른 메뉴들은 패널을 분리하는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Undock Pane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Timeline Panel Menu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ndock Frame : 프레임을 분리한다.
  2. Show Audio Time Units : 타임라인의 수치를 오디오 시간 단위로 변경한다.
  3. Maximize Frame : 프레임을 최대화한다.
  4. Sequence Zero Point : 시퀀스가 시작하는 시간 코드를 고정한다.
(정답률: 42%)
  • Sequence Zero Point 옵션은 시퀀스가 시작하는 시간 코드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퀀스의 제로 포인트를 설정하는 옵션이다. 제로 포인트란 시퀀스에서 가장 처음에 나오는 프레임을 말하며,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이를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소스 & 프로그램 모니터의 기능 중 미리 지정한 시작지점으로 이동하는 기능은?

  1. Panel menu
  2. Duration
  3. Go To In Point
  4. Current Time Code
(정답률: 80%)
  • "Go To In Point"는 소스 및 프로그램 모니터에서 현재 타임라인에서 미리 지정한 시작지점으로 이동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Duration"과 "Current Time Code"와는 다르게 특정 위치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 기능은 "Panel menu"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ool Box의 도구 중 타임라인에 있는 클립의 재생속도를 높여서 길이를 줄이거나, 재생속도를 낮추어 길이를 늘리는 기능을 가진 도구는?

  1. Ripple Edit Tool
  2. Rate Stretch Tool
  3. Rolling Edit Tool
  4. Razor Tool
(정답률: 72%)
  • Rate Stretch Tool은 클립의 재생속도를 높여서 길이를 줄이거나, 재생속도를 낮추어 길이를 늘리는 기능을 가진 도구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클립의 길이를 조정하면서도 클립 내부의 소리와 이미지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도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이펙트 패널에 있는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udio Transitions : 연결된 2개의 오디오 클립 간의 사운드 전환에 관련된 전환이 등록되어 있다.
  2. Audio Effects : 자주 사용하는 오디오 트랜지션 효과를 등록하여 곧바로 클립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과 수고를 덜어주는 역할을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3. Video Effects : 비디오 클립과 관련된 이 펙트가 등록되어 있는 옵션이다.
  4. Video Transitions : 연결된 2개의 비디오 클립 간의 화면전환과 관련된 트랜지션이 등록되어 있는 옵션이다.
(정답률: 84%)
  • 정답: "Audio Effects : 자주 사용하는 오디오 트랜지션 효과를 등록하여 곧바로 클립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과 수고를 덜어주는 역할을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설명은 Audio Transitions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 Audio Effects는 오디오 클립에 적용되는 효과를 등록하고 적용하는 옵션이다. Video Effects는 비디오 클립에 적용되는 효과를 등록하고 적용하는 옵션이다. Video Transitions는 연결된 2개의 비디오 클립 간의 화면 전환과 관련된 트랜지션을 등록하는 옵션이다. Audio Transitions는 연결된 2개의 오디오 클립 간의 사운드 전환에 관련된 전환을 등록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