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13)

디지털영상편집 2급
(2017-05-13 기출문제)

목록

1. 영상의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근법 발견 이전에는 모든 인물의 크기를 동일하게 그렸다.
  2. 19세기 사진은 과학적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3. 원시 동굴 벽화는 문자 이후에 그려지기 시작했다.
  4. 에드워드 마이브리지의 달리는 24장의 말 사진은 원근법 발견의 계기가 되었다.
(정답률: 64%)
  • 19세기 사진은 과학적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 이유는 사진이 과학적 연구나 조사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진을 이용하여 동식물의 생태나 해부학적 특징을 연구하거나, 지리적인 위치나 건축물의 모습을 기록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또한, 사진은 원근법 발견 이전에는 모든 인물의 크기를 동일하게 그렸던 예술 분야에서도 큰 영향을 미쳤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Dolby Digital의 개발 프로젝트명이며 지금은 흔히 디지털 5.1채널이라 불리는 코덱은?

  1. AC3
  2. Xvid
  3. H.263
  4. DivX
(정답률: 59%)
  • Dolby Digital은 오디오 코덱으로, 5.1채널 사운드를 디지털 형태로 압축하는 기술입니다. 이 코덱의 개발 프로젝트명이 AC3이며, 따라서 디지털 5.1채널은 AC3로 압축된 파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샷의 장소
  2. 샷의 내용
  3. 샷의 길이
  4. 샷의 배열
(정답률: 77%)
  • 샷의 장소는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 중 하나가 아니다. 샷의 내용, 길이, 배열은 모두 편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샷의 장소는 촬영 시 결정되는 요소이며, 편집 단계에서는 이미 촬영된 샷들을 조합하여 편집을 완성하는 것이므로, 샷의 장소는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화면의 이야기 흐름에 따라 편집과정에서 다양한 장면 전환 기법을 활용해 연결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커넥션(Connection)
  2. 영상효과(Effecting)
  3. 트랜지션(Transition)
  4. PIP(Picture in Picture)
(정답률: 73%)
  • 정답은 "트랜지션(Transition)"입니다. 이는 화면 전환 시에 사용되는 기법으로, 이전 장면과 다음 장면을 부드럽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화면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다음 장면이 나타나는 "페이드 아웃/인(Fade Out/In)"이나, 화면이 가로로 나뉘어서 다음 장면이 나타나는 "슬라이드(Slide)" 등이 대표적인 트랜지션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YUV 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GB 신호보다 기록의 효율이 좋지 않다.
  2. 신호의 상호간섭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3. 일반적으로 말하는 컴포넌트 신호는 아니다.
  4. 대역폭이 1/2에 불과해 고화질을 요구하는 VTR시스템에 적합하다.
(정답률: 71%)
  • YUV 신호는 RGB 신호보다 기록의 효율이 좋고, 대역폭이 1/2에 불과해 고화질을 요구하는 VTR시스템에 적합하다. RGB 신호는 색상 정보와 밝기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대역폭이 크고, 신호의 상호간섭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YUV 신호는 색상 정보와 밝기 정보를 분리하여 전송하므로 대역폭이 작고 상호간섭성이 적어서 VTR 시스템에 적합하다. 따라서 YUV 신호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컴포넌트 신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ASF 파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많은 압축으로 인해 화질이 다른 파일포맷에 비해 떨어진다.
  2.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에만 재생이 가능하다.
  3. MOV 파일 이전에 애플사에서 개발한 포맷이다.
  4. 파일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에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52%)
  • 답: "많은 압축으로 인해 화질이 다른 파일포맷에 비해 떨어진다." - ASF 파일은 압축이 많이 되어 있기 때문에 화질이 다른 파일 포맷에 비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파일 용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지만, 화질이 중요한 경우에는 다른 파일 포맷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화면에서 인물이 움직이고 있는 방향의 빈 공간을 말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리드룸(Lead room)
  2. 헤드룸(Head room)
  3. 루킹룸(Looking room)
  4. 노즈룸(Nose room)
(정답률: 83%)
  • 정답은 "리드룸(Lead room)"입니다.

    리드룸(Lead room)은 인물이 움직이고 있는 방향의 빈 공간을 말합니다. 이는 인물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공간이 남아있어 인물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인물이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있다면, 인물의 오른쪽에 빈 공간이 있어야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영화나 드라마 촬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소니, JVC 등에서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HD급 화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가변 포맷은?

  1. HDMI
  2. HDV
  3. HDS
  4. HDI
(정답률: 64%)
  • HDV는 소니와 JVC가 개발한 비디오 포맷으로, 더 저렴한 비용으로 HD급 화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이 포맷은 MPEG-2 압축을 사용하여 HD급 비디오를 녹화하며, DV 테이프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HDV 카메라를 사용하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HD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연기하는 배우의 전체를 보여주는 샷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WS(Waist Shot)
  2. BS(Bust Shot)
  3. CU(Close Up)
  4. FS(Full Shot)
(정답률: 100%)
  • 정답: FS(Full Shot)

    설명: FS는 연기하는 배우의 전체를 보여주는 샷으로, 배우의 발부터 머리까지 모두 보여지는 샷입니다. 따라서 다리, 허리, 가슴 등 일부분만 보여지는 WS나 BS와는 구분됩니다. 또한 배우의 얼굴이 크게 보이지 않는 CU와도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디지털 영상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이 흘러도 처음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다.
  2. 복사와 재생을 반복할 경우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3. 디지털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4. 아날로그 신호인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한 데이터이다.
(정답률: 75%)
  • "복사와 재생을 반복할 경우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디지털 영상의 특징 중 하나로, 디지털 데이터는 복사와 재생을 반복해도 화질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자막을 입력하고 자막의 색상, 모양등을 설정하는 기기는?

  1. Text Insert Tool
  2. Text Add VTR
  3. Character Generator
  4. Character Animator
(정답률: 54%)
  • 자막을 입력하고 자막의 색상, 모양 등을 설정하는 기기는 "Character Generator"이다. 이는 텍스트를 생성하고 디자인하는 기능을 가진 전문적인 비디오 편집 도구로, 텍스트의 크기, 색상, 폰트, 배경 등을 조정하여 자막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Device Control 셋팅을 할 수 있는 메뉴로 옳은 것은?

  1. Logging Settings
  2. Device Settings
  3. File Settings
  4. Settings
(정답률: 65%)
  • 정답은 "Settings"입니다.

    이유는 "Device Control"은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Settings"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Logging Settings"은 로그 기록 설정, "File Settings"은 파일 설정과 관련된 메뉴이며, "Device Settings"는 디바이스 설정과 관련된 메뉴입니다. 따라서 "Settings"가 Device Control 셋팅을 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클립의 원본 모습을 보여주는 창과 현재 작업 중인 모습을 보여주는 창의 명칭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소스모니터 창 - 프로젝트 창
  2. 프로그램 모니터 창 - 타임라인 창
  3. 소스모니터 창 - 프로그램 모니터 창
  4. 프로그램모니터 창 - 프로젝트 창
(정답률: 79%)
  • 정답은 "소스모니터 창 - 프로그램 모니터 창"입니다.

    소스모니터 창은 클립의 원본 모습을 보여주는 창이며, 프로그램 모니터 창은 현재 작업 중인 모습을 보여주는 창입니다.

    프로젝트 창은 미디어 파일이나 클립 등을 관리하는 창이며, 타임라인 창은 작업 중인 시퀀스를 편집하는 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영상이나 사운드 등의 자르기, 붙이기, 효과주기, 화면 전환하기 등을 수행할 있는 메뉴는?

  1. 타임라인
  2. 프로젝트
  3. 소스모니터
  4. 툴박스
(정답률: 81%)
  • 타임라인은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영상이나 사운드 등의 자르기, 붙이기, 효과주기, 화면 전환하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이는 프로젝트에서 가져온 소스들을 시간순으로 배치하여 편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영상이나 사운드를 자르고 붙이며, 효과를 추가하고 화면 전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임라인은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가장 중요한 편집 도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이펙트 패널에 있는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udio Transitions : 오디오 클립과 관련된 이펙트가 5.1 Stereo, Mono 채널로 구분하여 등록되어 있다.
  2. Video Transitions : 연결된 2개의 비디오 클립 간의 화면전환과 관련된 트랜지션이 등록되어 있는 옵션이다.
  3. Audio Effects : 연결된 2개의 오디오 클립간의 사운드 전환에 관련된 전환이 등록되어 있다.
  4. Video Effects : 프로젝트에 사용될 비디오 클립을 저장하는 곳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Video Transitions : 연결된 2개의 비디오 클립 간의 화면전환과 관련된 트랜지션이 등록되어 있는 옵션이다."입니다. Video Transitions은 비디오 클립 간의 전환 효과를 추가하는 옵션입니다. 예를 들어, Fade, Dissolve, Wipe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Audio Transitions은 오디오 클립 간의 전환 효과를 추가하는 옵션입니다. Audio Effects는 오디오 클립에 적용되는 이펙트를 추가하는 옵션입니다. Video Effects는 비디오 클립에 적용되는 이펙트를 추가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타임라인 패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urrent Time Indicator : 편집의 기준이 되는 수직의 지시선
  2. Set Encore Chapter Marker : 인코딩 할 때 미리 표시될 부분을 선택
  3. Set Unnumbered Marker : 필요 없는 곳에 번호 없는 마커를 설정
  4. Current Time Code : 현재 위치의 시간 코드
(정답률: 49%)
  • Set Unnumbered Marker : 필요 없는 곳에 번호 없는 마커를 설정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 기능은 필요한 곳에 번호 없는 마커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이는 편집 작업에서 중요한 부분이나 참고할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도비 프리미어의 프로그램 패널에서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을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은 뒤의 클립을 당겨 채우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Lift
  2. Delete Clips
  3. Extract
  4. Razor At Start & End
(정답률: 57%)
  • "Extract"는 클립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지정하여 해당 부분을 제거하고, 공백을 당겨 채우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하면 클립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Lift"는 클립을 제거하면서 해당 부분을 다른 곳에 복사하는 기능이며, "Delete Clips"는 클립을 완전히 삭제하는 기능입니다. "Razor At Start & End"는 클립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지정하여 해당 부분을 자르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요소들을 자신의 장비 특성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1. 환경정리(Clean Environment)
  2. 셋업(Set Up)
  3. 환경 재설정(Re-Preference)
  4. 환경 설정(Preference)
(정답률: 83%)
  • 정답은 "환경 설정(Preference)"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장비 특성에 맞게 프리미어 화면에 나타나는 각종 요소들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이 메뉴에서는 비디오 및 오디오 디바이스, 캡처 설정, 시퀀스 설정, 미디어 캐시, 효과 및 프리셋, 키보드 단축키 등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프로젝트 메뉴의 명칭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utomate to Sequence : 프로젝트패널에서 임포트(Import)된 소스 클립을 자동으로 타임라인에 배치시키는 기능
  2. Link Media : 오프라인 파일이나 캡쳐한 파일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기능
  3. Removed Unused : 임포트(Import)한 후 사용 하지 않은 소스파일을 프로젝트 패널에서 삭제시키는 기능
  4. Export Batch List : 배치 캡처 후 생성된 배치 로그파일과 캡처가 완료된 클립을 내보내는 기능
(정답률: 81%)
  • "Link Media : 오프라인 파일이나 캡쳐한 파일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기능"이 옳지 않은 것이다. Link Media는 소스 클립과 해당 파일을 연결하는 기능으로, 파일을 삭제하지 않는다.

    Link Media는 소스 클립과 해당 파일을 연결하는 기능으로, 파일을 삭제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도비 프리미어의 창 구성 중 옵션의 명칭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lean Up : 아이콘 보기 상태에서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클립을 정렬시키는 기능이다.
  2. Thumbnails : 프로젝트 패널로 클립을 가져오는 기능이다.
  3. New Bin :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드는 기능이다.
  4. Undock Panel : 프레임을 분리시키는 기능이다.
(정답률: 42%)
  • Clean Up은 아이콘 보기 상태에서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클립을 정렬시키는 기능입니다. 즉, 클립들이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Clean Up을 실행하면 윈도우의 크기에 맞게 자동으로 정렬됩니다. 다른 옵션들은 Thumbnails는 클립을 가져오는 기능, New Bin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드는 기능, Undock Panel은 프레임을 분리시키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의 클립 메뉴에서 클립마커를 제거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Set Sequence Marker
  2. Clear Sequence Marker
  3. Set Clip Marker
  4. Clear Clip Marker
(정답률: 90%)
  • 정답은 "Clear Clip Marker"이다. 이는 클립 메뉴에서 클립마커를 제거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Set Sequence Marker"는 시퀀스 메뉴에서 마커를 설정하는 기능을, "Clear Sequence Marker"는 시퀀스 메뉴에서 마커를 제거하는 기능을, "Set Clip Marker"는 클립 메뉴에서 마커를 설정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도비 프리미어의 Title 메뉴에서 배경 비디오의 시간 코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은?

  1. Background Video Timecode
  2. Show Background Video
  3. Kerning
  4. Leading
(정답률: 79%)
  • "Background Video Timecode"는 타이틀 메뉴에서 배경 비디오의 시간 코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타이틀 디자인과 관련된 기능이지만, 배경 비디오의 시간 코드를 설정하는 기능은 "Background Video Timecode"밖에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트랙별 비디오 출력 상태를 끄고 켤 수 있는 기능은 무엇인가?

  1. Toggle Track Lock
  2. Toggle Track Input
  3. Toggle Track Output
  4. Toggle Track Send
(정답률: 65%)
  • 정답은 "Toggle Track Output"이다. 이 기능은 트랙의 비디오 출력을 켜거나 끌 수 있는 기능으로, 트랙의 비디오 출력을 제어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다른 보기들은 트랙의 잠금, 입력, 전송을 토글할 수 있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도비 프리미어 환경 설정에서 디바이스 채널과 프리미어 아웃풋 채널의 매치를 보여주는 항목으로 옳은 것은?

  1. General
  2. Audio
  3. Audio Hardware
  4. Audio Output Mapping
(정답률: 80%)
  • "Audio Output Mapping"은 디바이스 채널과 프리미어 아웃풋 채널의 매치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오디오 출력을 원하는 채널로 매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1 사운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 "Audio Output Mapping"을 사용하여 프리미어의 오디오 출력을 5.1 채널에 매핑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사용자는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인 사운드 믹싱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도비 프리미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ast Insert : 잘라내거나 복사한 클립을 현재 위치에 삽입한다.
  2. Past Attributes : 프로젝트 패널의 선택한 소스 클립을 프로젝트 패널에 복제한다.
  3. Ripple Delete : 편집할 때 발생하는 클립간의 빈 공간을 제거한다.
  4. Edit Original : 선택한 소스 클립을 제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정한다.
(정답률: 64%)
  • "Past Attributes : 프로젝트 패널의 선택한 소스 클립을 프로젝트 패널에 복제한다." 이 옵션은 선택한 소스 클립의 속성을 다른 클립에 적용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며, 프로젝트 패널에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타임라인에 적용하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