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12)

디지털영상편집 1급
(2012-05-12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YUV 신호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1. 고화질을 요하는 VTR 시스템에 적합한 신호이다.
  2. 흑백신호 3배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기 때문에 전송 기록에 막대한 대역폭이 소요된다.
  3. RGB 신호에 비해 화질 열화가 적다.
  4. RGB 신호보다 정보량이 크게 삼각 되어 전송, 기록의 효율성과 경제성이 높다.
(정답률: 82%)
  • 정답: "흑백신호 3배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기 때문에 전송 기록에 막대한 대역폭이 소요된다."

    해설: YUV 신호는 흑백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색차신호는 흑백신호보다 주파수 대역이 낮기 때문에 전송 기록에 필요한 대역폭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흑백신호 3배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기 때문에 전송 기록에 막대한 대역폭이 소요된다."는 설명이 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디지털 영상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디지털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2. 디지털영상은 아날로그 영상에 비해 영상물 복사가 용이하다.
  3. 디지털영상물은 복사를 많이 하면 할수록 화질의 저하가 생긴다.
  4. 데이터 통신을 응용한 분야에서도 디지털 영상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84%)
  • "디지털영상물은 복사를 많이 하면 할수록 화질의 저하가 생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디지털 영상은 압축을 거쳐 저장되기 때문에 복사를 많이 하면 압축이 계속해서 진행되어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영상의 미학적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빛과 색상
  2. 2차원 영역
  3. 3차원 영역
  4. 시간과 매체
(정답률: 67%)
  • 정답은 "시간과 매체"입니다.

    "빛과 색상", "2차원 영역", "3차원 영역"은 모두 영상의 시각적인 구성요소로서, 영상의 시각적인 미적 감각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시간과 매체"는 영상의 미학적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시간은 영상의 흐름과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미적 감각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또한 매체는 영상을 제작하는 도구나 방법을 의미하며, 이 또한 영상의 미적 감각을 형성하는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편집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바르지 않은 것은?

  1. combine –촬영, 녹화된 샷을 순서대로 짜 맞춘다.
  2. condense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 필요한 부분만을 골라 말끔하게 정리한다.
  3. build - 촬영이 완료된 수많은 장면들을 이용해 새로운 씬으로 제작한다.
  4. correct - 잘못 촬영한 것이나 마음에 들지 않는 장면을 제거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build - 촬영이 완료된 수많은 장면들을 이용해 새로운 씬으로 제작한다." 이다. build는 촬영된 장면을 이용해 새로운 씬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장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영상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correct는 잘못 촬영한 것이나 마음에 들지 않는 장면을 제거하는 것으로, 영상 편집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영상의 단위 크기순으로 잘 연결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Shot <= Scene <= Sequence <= Movie
  2. Shot <= Scene <= Movie <= Clip
  3. Shot <= Sequence <= Scene <= Movie
  4. Shot <= Sequence <= Clip <= Scene
(정답률: 100%)
  • 정답은 "Shot <= Scene <= Sequence <= Movie"이다.

    - Shot: 영화나 비디오에서 하나의 연속된 촬영을 의미하는 단위
    - Scene: 한 장소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을 포함하는 단위
    - Sequence: 연속적인 장면들이 모여 이루는 단위
    - Movie: 전체 영화를 의미하는 단위

    따라서, Shot은 가장 작은 단위이며, 이것이 모여 Scene을 이루고, Scene들이 모여 Sequence를 이루고, Sequence들이 모여 Movie를 이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MPEG-4 파일의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화상회의를 위해 적합한 압축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코덱이다.
  2. 실시간 영상 서비스가 필요한 인터넷 방송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3.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객체별로 독립적이며 유연성 있게 부호화할 수 있도록 1998년 표준화한 규격이다.
  4. MPEG-1, MPEG-2 보다 압축률은 낮아 인터넷 방송 분야에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지만, 화질이 좋아 다양한 분야에 서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정답률: 89%)
  • 정답은 "MPEG-1, MPEG-2 보다 압축률은 낮아 인터넷 방송 분야에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지만, 화질이 좋아 다양한 분야에 서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MPEG-4는 MPEG-1, MPEG-2보다 더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며, 인터넷 방송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MPEG-1, MPEG-2 보다 압축률은 높아 인터넷 방송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선형(Linear) 편집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결과물을 수없이 복사해도 원본의 화질을 그대로 간직한다.
  2. 렌더링 과정과 캡처라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3. 대부분의 디지털 편집이 여기에 해당한다.
  4. 즉시성을 가지고 있어 편집점을 찾아가는데 효율적이다.
(정답률: 60%)
  • 선형(Linear) 편집은 결과물을 수없이 복사해도 원본의 화질을 그대로 간직하며, 렌더링 과정과 캡처라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즉시성을 가지고 있어 편집점을 찾아가는데 효율적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디지털 편집이 선형 편집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압축률이 높고, 영상편집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코덱은 어느 것인가?

  1. RLE(Run Lengh Encoded) 코덱
  2. 모션제이펙(M-Jpeg) 코덱
  3. DV 코덱
  4. 시네펙(Cinepak) 코덱
(정답률: 40%)
  • 압축률이 높고,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M-Jpeg 코덱은 영상편집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분리하여 각각 압축하므로, 특정 프레임만 수정해도 전체 영상을 재압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현재 존재하는 DivX 코덱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ivX 2
  2. DivX 3.x
  3. DivX 4
  4. DivX 5
(정답률: 48%)
  • "DivX 2"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 DivX 코덱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DivX 3.x, DivX 4, DivX 5는 모두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DivX 코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코덱 중 분류가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WMA
  2. MOV
  3. OCG
  4. AC3
(정답률: 74%)
  • 정답은 "WMA"입니다.

    WMA는 Windows Media Audio의 약자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음성 코덱입니다. MOV는 애플에서 개발한 동영상 파일 포맷이며, OCG는 오디오 코덱 그룹의 약자로, 일본에서 개발된 오디오 코덱입니다. AC3는 돌비 디지털의 약자로, 돌비에서 개발한 오디오 코덱입니다.

    따라서, WMA는 다른 코덱들과는 분류가 다르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음성 코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VOB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VOB파일은 Real Network사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개발된 동영상 파일포맷이다.
  2. VOB 파일은 VCD에 사용되는 표준 비디오 포맷이다.
  3. VOB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PowerDVD나 WinDVD와 같이 DVD를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4. VOB파일은 DVD 영상 매체 내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이기는 하나 복사 방지기능을 포함 시킬 수 없어, 단독으로 파일 재생이 가능하다.
(정답률: 56%)
  • VOB파일은 DVD 영상 매체 내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이기는 하나, 복사 방지기능을 포함 시킬 수 없어서 단독으로 파일 재생이 불가능하며, PowerDVD나 WinDVD와 같이 DVD를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타임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타임코드란 영상을 재생하거나 편집 할 때 프레임들이 어떻게 계산되는가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2. 일정한 간격의 편집점을 지정하고 검색하기 위한 내용을 규격화한 것이다.
  3. 거의 모든 방송용, 가정용 비디오 장비들은 SMPTE 비디오 타임코드를 사용한다.
  4. SMPTE 비디오 타임코드는 시간, 분, 초, 프레임의 형태로 클립의 시간을 12시간제로 표시하는 방식을 말하며, 초당 프레임의 구성 비율로 카운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률: 38%)
  • "타임코드란 영상을 재생하거나 편집 할 때 프레임들이 어떻게 계산되는가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는 타임코드의 개념 자체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바르지 않은 설명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SMPTE 비디오 타임코드는 영상의 시간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시간, 분, 초, 프레임의 형태로 표시하며 초당 프레임의 구성 비율로 카운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보기 중 4번째 설명과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각 단어의 설명이 맞게 연결된 것은?

  1. 틸트(Tilt) - 카메라 위치는 고정한 상태에서 카메라 헤드를 위와 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2. 점프 컷(Jump Cut) - 카메라와 피사체의 위치를 변동하지 않고 줌 렌즈를 조작하여 촬영 범위를 좁게 혹은 넓게 잡는 것을 말한다.
  3. 콘트라스트(Contrast) - 전 화면과 뒤에 이어지는 화면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고 끊어진다는 느낌을 주는 것을 말한다.
  4. 큐 시트(Cue-Sheet) - 피사체에 대하여 카메라 자체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촬영하는 샷을 말한다.
(정답률: 77%)
  • "틸트(Tilt) - 카메라 위치는 고정한 상태에서 카메라 헤드를 위와 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순차주사방식(Progressive Scan)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비월주사방식에 비해 많은 수의 정지 화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동작을 부드럽게 보여준다.
  2. 필름과 호환이 쉽고 화질이 선명하여 캡쳐 시정확한 정지 화면을 얻을 수 있다.
  3. 1/60초당 한 번씩 홀수필드(Odd Field)와 짝수필드(Even Field)로 나누어 주사하는 방식이다
  4. 일반적으로 TV에 사용된다.
(정답률: 40%)
  • 순차주사방식은 1/60초당 한 번씩 홀수필드와 짝수필드로 나누어 주사하는 방식이며, 필름과 호환이 쉽고 화질이 선명하여 캡쳐 시 정확한 정지 화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일명 스위처(Switcher)라고 불리는 기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문자발생기기 CG(Character Generator)
  2. 영상녹화기기 VTR(Video Tape Recorder)
  3. 영상합성기기 VMU(Video Mixing Unit)
  4. 영상효과기기 DVE(Digital Video Effect)
(정답률: 50%)
  • 영상합성기기 VMU(Video Mixing Unit)는 여러 개의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 신호로 만들어주는 기기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영상 효과를 적용하거나, 여러 개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합성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스위처(Switcher)라고 불리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컴포지트 비디오(Composite Video)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세 개의 구분된 신호로 전달하거나 저장되는 아날로그 영상 정보의 일종을 가리킨다.
  2. 휘도와 색도를 별개의 성분으로 남겨두어 두 개 이상의 컴포지트로 나뉘는 영상신호이다.
  3. 컴포지트 신호는 프로그램을 전송, 기록하는데 매우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다.
  4. 컴포지트 비디오는 컴포넌트 비디오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정답률: 48%)
  • "컴포지트 신호는 프로그램을 전송, 기록하는데 매우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휘도와 색도를 하나의 신호로 합쳐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대역폭이 적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날로그 컴포지트, 아날로그 컴포넌트 등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단자는 무엇인가?

  1. XLR
  2. AUX
  3. IEEE
  4. BNC
(정답률: 65%)
  • BNC 단자는 비디오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RF 연결 단자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데 적합하다. 따라서 아날로그 컴포지트, 아날로그 컴포넌트 등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XLR은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단자이고, AUX는 보조 입력을 위한 단자이며, IEEE는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단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주어진 입력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환, 출력해내는 기기로서 모든 신호 변환을 실시간으로 처리 할 수 있는 기기는 어는 것인가?

  1. 영상효과기기
  2. 음향효과기기
  3. 문자발생기기
  4. 영상녹화기기
(정답률: 65%)
  • 정답은 "영상효과기기"이다. 영상효과기기는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고 출력해내는 기기로, 모든 신호 변환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음향효과기기는 음향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기기이며, 문자발생기기는 문자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기기이다. 영상녹화기기는 입력된 영상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아날로그 비디오에 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VCR은 테이프에 저장된 비디오와 사운드 신호를 주파수 변조를 통해 무선 주파수로 만들어 TV에 보내며, 이렇게 주파수를 변조하여 무선 주파수로 만든 것을 NTSC 신호로 만들 수 있다.
  2. NTSC 신호는 주사선 252개에 1초당 30프레임이다.
  3. 캠코더나 방송용 카메라로 찍은 비디오는 VCR(Video Cassette Recorder) 테이프에 저장하였다가 TV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4. 아날로그 비디오테이프는 비디오 트랙, 오디오 트랙, 제어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74%)
  • "NTSC 신호는 주사선 252개에 1초당 30프레임이다." 이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NTSC 신호는 미국과 일본에서 사용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표준이며, 주사선 252개에 1초당 30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는 화면을 525개의 수평선으로 나누고, 각 수평선을 2개의 필드로 나누어 60Hz의 주파수로 스캔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면을 구성하면서도 인간의 눈에 자연스러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보기 중 괄호 안에 들어갈 명칭을 아래에서 고르시오.

  1. U-Matic
  2. VTR
  3. DV
  4. Heical VTR
(정답률: 71%)
  • 위 그림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것은 U-Matic이며, 이는 3/4인치 폭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VTR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U-Matic"입니다. DV는 디지털 비디오를 저장하는 포맷이며, Heical VTR은 U-Matic 이후에 개발된 VT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DV, VHS테이프에 담긴 동영상을 컴퓨터로 불러들이는 작업을 말하는 것은?

  1. 익스포팅(Exporting)
  2. 캡처(Capture)
  3. 트랜지션(Transition)
  4. 임포트(Import)
(정답률: 54%)
  • 캡처는 DV, VHS테이프에 담긴 동영상을 컴퓨터로 불러들이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은 비디오 카메라나 VCR 등의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동영상을 녹화하면서 컴퓨터에 저장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캡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증 프리미어 CS3의 Preferences 창 안에 있는 Capture 옵션의 기능설명으로 맞는 것은?

  1. Report dropped frames - 캡처 작업 중에 드롭 프레임이 생기면 자동으로 캡처를 중단한다.
  2. Abort Capture on dropped frames - 캡처하는 도중에 발생한 드롭 프레임의 수를 알려준다.
  3. Generate batch logfile only on unsuccessful completion - 캡처가 완벽하게 종료되면 로그 파일을 만들어 준다.
  4. Use device control timecode - 장착된 디바이스의 시간 코드를 사용한다.
(정답률: 65%)
  • Capture 옵션 중 "Use device control timecode"는 장착된 디바이스의 시간 코드를 사용하여 캡처를 진행하는 기능이다. 이는 캡처된 영상의 정확한 시간 정보를 유지하고, 후에 편집 작업을 할 때 영상의 시간 정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보기는 프리미어 프로그램 내 창에 대한 설명이다. 어느 창에 대한 설명인가?

  1. 프로젝트(Project)
  2. 툴박스(Tool Box)
  3. 타임라인(Timeline)
  4. 소스&프로그램 모니터(Source&Program Monitor)
(정답률: 77%)
  • 이 창은 프리미어 프로그램에서 작업하는 프로젝트(Project)의 파일 구성과 설정을 관리하는 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현재의 프레임에 선택한 클립을 덮어씌우는 기능은 어느 것인가?

  1. Make Sub-clip
  2. Overlay
  3. Replace With Clip
  4. Synchronize
(정답률: 75%)
  • 정답: Overlay

    설명: Overlay는 현재의 프레임에 선택한 클립을 덮어씌우는 기능이다. 다른 옵션들은 클립을 자르거나 교체하는 등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프리미어 프로그램 내 마커(Marker) 메뉴 중 미리 설정해 둔 클립을 마커로 이동하게 해주는 기능은 어느 것인가?

  1. Go to Clip Marker
  2. Set Clip Marker
  3. Clear Clip Marker
  4. Edit Sequence Marker
(정답률: 84%)
  • 정답은 "Go to Clip Marker"이다. 이는 마커를 설정한 클립으로 이동하는 기능으로, 마커를 설정한 위치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Set Clip Marker"는 클립에 새로운 마커를 설정하는 기능이고, "Clear Clip Marker"는 클립에 설정된 마커를 삭제하는 기능이다. "Edit Sequence Marker"는 시퀀스 내 마커를 편집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선택한 문자들의 행간을 설정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1. Tracking
  2. Kerning
  3. Baseline Shift
  4. Leading
(정답률: 50%)
  • 정답은 "Leading"이다. Leading은 텍스트 라인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행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문자 간격, 문자 위치, 문자 크기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프리미어 프로그램 내 프로젝트 패널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각 클립을 대표하는 화면을 썸네일 보기로는 설정할 수 없다.
  2. 프로젝트 패널 내에 있는 클립을 검색할 수 없다.
  3. 편집 작업에 필요한 각종 클립들을 하드디스크로부터 작업 화면으로 불러들여서 정렬해 둘 수 있다.
  4. 프로젝트 윈도우의 클립을 목록 형식으로만 보여줄 수 있다.
(정답률: 82%)
  • "편집 작업에 필요한 각종 클립들을 하드디스크로부터 작업 화면으로 불러들여서 정렬해 둘 수 있다." 이것이 맞는 설명이다. 프리미어 프로그램 내 프로젝트 패널은 편집 작업에 필요한 모든 클립들을 하드디스크로부터 불러들여서 정렬해 둘 수 있는 공간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클립을 쉽게 찾아서 편집 작업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타임라인 내 Toggle Track Output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트랙별 출력 상태를 끄고 켜는 기능이다.
  2. 프레임을 분리하는 기능이다.
  3. 패널을 닫고 여는 기능이다.
  4. 트랙의 위치를 바꾸는 기능이다.
(정답률: 82%)
  • 정답은 "트랙별 출력 상태를 끄고 켜는 기능이다." 이다. Toggle Track Output은 각 트랙의 출력을 켜거나 끌 수 있는 기능으로, 트랙의 소리를 듣지 않고 작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소스 & 프로그램 모니터’ 패널 내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udio Waveform: 오디오파형으로 표시하는 기능이다.
  2. Alpha: 투명도를 회색 음영 이미지로 표시하는 기능이다.
  3. Safe Margins: 모니터에 보호 영역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4. Draft Quality: 최고 해상도로 비디오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40%)
  • 정답은 "Draft Quality: 최고 해상도로 비디오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이다. 이유는 'Draft Quality'는 최고 해상도가 아닌, 낮은 해상도로 비디오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기능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프리미어 프로그램 내 도구 창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Rolling Edit Tool -타임라인의 두 클립간 편집 지점을 롤링하여 두 클립의 결합된 지속시간은 유지하면서 한 클립의 시작지점과 다른 클립의 종료지점을 동시에 트리밍할 때 사용한다.
  2. Track Select Tool - 시퀀스의 커서 오른쪽에 있는 모든 클립을 선택할 때 사용한다.
  3. Ripple Edit Tool - 타임라인에서 클립의 재생속력을 높여 길이를 줄이거나 재생 속력을 낮춰 길이를 늘일 때 사용한다.
  4. Slid Tool - 시간범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타임라인에서 클립의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동시에 변경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44%)
  • Track Select Tool은 시퀀스의 커서 오른쪽에 있는 모든 클립을 선택하는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