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0-20)

디지털영상편집 1급
(2012-10-20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MPEG4에서 변형된 코덱은 어느 것 인가?

  1. XviD 코덱
  2. DTS 코덱
  3. AC3 코덱
  4. Vorbis 코덱
(정답률: 78%)
  • XviD 코덱은 MPEG4에서 파생된 코덱으로, MPEG4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압축 기술을 개선하여 더욱 효율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XviD 코덱은 MPEG4에서 변형된 코덱 중 하나입니다. DTS 코덱은 오디오 압축 기술이며, AC3 코덱은 동영상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코덱입니다. Vorbis 코덱은 오픈소스 오디오 코덱으로, Ogg Vorbis 파일 형식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씬(Scen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같은 공간, 같은 시간의 상황을 보여주는 일련의 샷(Shot)을 의미한다.
  2. 씬(Scene)을 하나의 컷(Cut)으로 구성할 수 있다.
  3. 같은 공간이면서 밤과 낮에 이루어진 씬(Scene)은 하나의 씬(Scene)이다.
  4. 씬(Scene)을 여러 컷(Cut)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정답률: 88%)
  • "같은 공간이면서 밤과 낮에 이루어진 씬(Scene)은 하나의 씬(Scene)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씬은 같은 공간이라도 시간이나 분위기 등이 변화하는 경우 여러 개의 씬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같은 공간이면서 밤과 낮에 이루어진 경우에도 두 개의 씬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면 속 두 인물이 마주보고 이야기 할 때 오버숄더 샷(Over the Shoulder Shot)에서 배경의 한 사람만 화면에 보여주는 샷(Shot)은?

  1. 크로스 샷 (XS : Cross Shot)
  2. 업 샷 (Up Shot)
  3. 투 샷 (Two Shot)
  4. 롱 샷 (Long Shot)
(정답률: 87%)
  • 크로스 샷은 두 인물이 마주보고 이야기 할 때 한 사람의 어깨를 따라 다른 사람을 비추는 샷으로, 상대방의 반응을 포착할 수 있어 대화의 감정 전달에 효과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위에서 촬영한 샷(업 샷), 두 인물을 함께 촬영한 샷(투 샷), 인물과 배경을 모두 포함한 샷(롱 샷)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화면 속 인물의 시선방향으로 빈 공간을 설정하여 화면에 방향성과 기대감을 주는 촬영의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아이 룸 (Eye Room)
  2. 노즈 룸 (Nose Room)
  3. 헤드 룸 (Head Room)
  4. 룩킹 룸 (Looking Room)
(정답률: 77%)
  • 헤드 룸은 인물의 머리 위쪽에 빈 공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인물의 시선방향과는 관계없이 화면 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따라서, 시선방향과 기대감을 주는 촬영의 고려사항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이미지(IMAGE)라는 용어를 저서 ʻPublic Opinionʼi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1. D.W. 그리피스(David Llewelyn Wark Griffith)
  2.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Sergei Eisenstein)
  3. 월터 리프만(Walter Lippman)
  4. 조르쥬 멜리에스(Georges Melies)
(정답률: 77%)
  • 월터 리프만은 1922년에 출간한 저서 ʻPublic Opinionʼ에서 이미지(IMAGE)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습니다. 이 책은 대중의 의견 형성과 대중의 정보 수용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 있으며, 이미지라는 용어는 대중의 의견 형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DVD에서 사용하는 동영상 파일의 포맷은?

  1. VOB
  2. MOV
  3. AVI
  4. FLV
(정답률: 82%)
  • DVD에서 사용하는 동영상 파일의 포맷은 VOB입니다. VOB는 Video Object 파일의 약자로, DVD 비디오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VOB 파일은 MPEG-2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며, DVD 메뉴 및 자막과 같은 추가 기능도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V카메라의 압축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덱은?

  1. DIVX
  2. CINEPAK
  3. DV코덱
  4. AC3
(정답률: 78%)
  • DV카메라는 비디오를 디지털화할 때 DV코덱을 사용합니다. 이 코덱은 비디오를 압축하면서도 고화질을 유지할 수 있어서, DV카메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압축방식입니다. DIVX나 CINEPAK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코덱이며, AC3은 오디오 압축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고화질 압축 유무선 전송을 위한 DMB Video 표준코덱으로, IPTVㆍI디지털 TVㆍV위성 DMB등 방송, HD 캠코더에 사용되는 코덱은?

  1. Quick Time
  2. CINEPAK
  3. H.264
  4. ASF
(정답률: 78%)
  • H.264는 고화질 비디오를 압축하여 전송할 때 사용되는 표준 코덱으로, 높은 압축률과 동시에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IPTV, I디지털 TV, V위성 DMB 등에서 사용되며, HD 캠코더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Quick Time, CINEPAK, ASF는 모두 다른 유형의 비디오 코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저장매체(DVD), 방송매체(HDTV), 통신매체에서 영상 및 음향 압축에 사용하기 위해 표준화한 MPEG의 규격은?

  1. MPEG-1
  2. MPEG-2
  3. MPEG-4
  4. MPEG-7
(정답률: 34%)
  • MPEG-2는 고화질의 비디오를 압축하는 데에 적합한 규격으로, DVD나 HDTV와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나 방송매체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따라서 이러한 매체에서 영상 및 음향 압축에 사용하기 위해 MPEG-2가 표준화되었다. MPEG-1은 낮은 해상도의 비디오를 압축하는 데에 적합하며, MPEG-4는 인터넷 등의 저대역폭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MPEG-7은 멀티미디어 검색 및 검색 결과의 표현을 위한 규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DVD, 블루레이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카드등 다양한 기억 장치를 지원하는 HD 영상 녹화용 포맷은?

  1. MP4
  2. CINEPAK
  3. AVCHD
  4. AC3
(정답률: 75%)
  • AVCHD는 고화질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포맷으로, DVD, 블루레이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기억 장치를 지원하며, 높은 압축률로 고품질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D 영상 녹화용 포맷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MP4는 일반적인 동영상 포맷이며, CINEPAK은 오래된 비디오 코덱입니다. AC3는 오디오 코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NTSC 컬러영상신호에서 사용하는 색상의 표현 형식은?

  1. HSV 색공간 (Color Space)
  2. CMYK 색공간 (Color Space)
  3. YUV 색공간 (Color Space)
  4. RGB 색공간 (Color Space)
(정답률: 69%)
  • NTSC 컬러영상신호에서 사용하는 색상의 표현 형식은 YUV 색공간(Color Space)이다. 이는 밝기(Y)와 색상 정보(U,V)를 분리하여 표현하는 방식으로, 밝기 정보와 색상 정보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 색상 변환 등의 작업이 용이하다. RGB 색공간과는 달리 인간의 시각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어서 색상 차이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미국에서 개발되어 한국, 일본, 캐나다에서 사용하는 아날로그TV 방송 표준 신호는?

  1. NTSC
  2. Time Code
  3. PAL
  4. SECOM
(정답률: 85%)
  • NTSC는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약자로, 미국에서 개발된 아날로그 TV 방송 표준 신호입니다. 이 신호는 6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미국에서는 525줄의 해상도를 사용합니다. 이후 한국, 일본, 캐나다 등에서도 NTSC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 디지털 TV 방송의 전송표준은?

  1. NTSC
  2. SECOM
  3. ATSC
  4. DVB
(정답률: 46%)
  • 우리나라 디지털 TV 방송의 전송표준은 ATSC이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표준으로, 고화질 디지털 TV 방송을 위해 개발되었다. ATSC는 MPEG-2 압축 방식을 사용하며, 지상파와 케이블, 위성 등 다양한 방송매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채널 방송과 대화형 서비스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YUV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GB신호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되어 화질열화가 적다.
  2. 일반적인 컴포넌트신호는 YUV신호이다.
  3. 사람의 눈이 색상보다는 밝기에 민감하다는 사실에 착안한 방식이다.
  4. YUV신호는 RGB신호보다 전송, 기록의 효율성, 경제성이 낮다.
(정답률: 78%)
  • "YUV신호는 RGB신호보다 전송, 기록의 효율성, 경제성이 낮다."가 틀린 것이 맞습니다. YUV 신호는 RGB 신호보다 전송, 기록의 효율성, 경제성이 높습니다. 이는 YUV 신호가 밝기 정보와 색상 정보를 분리하여 전송하므로, 색상 정보가 적은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YUV 신호는 인간의 시각 특성에 맞게 밝기 정보를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화질 열화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컴포지트 비디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디오/오디오 연결방식 중 가장 단순한 영상 신호이다.
  2. 1개의 전송로를 통해 명도, 채도, 색상의 3가지 정보를 동시에 전송한다.
  3. 영상신호의 전송이 쉽고 경제적이다.
  4.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한다.
(정답률: 60%)
  •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컴포지트 비디오는 여러 신호를 합쳐서 전송하기 때문에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선형편집(Non-Linear Editing) 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별도의 렌더링 과정과 캡쳐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2. 원하는 편집점을 손쉽게 찾아가는 빠른 접근(Random Access)이 불가능하다.
  3. 온라인 편집(On-Line Editing)이 가능하다.
  4. 복사를 반복하면 화질이 나빠진다.
(정답률: 86%)
  • 비선형편집 시스템은 원하는 편집점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기능을 제공하므로 온라인 편집이 가능합니다. 이는 별도의 렌더링 과정과 캡쳐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복사를 반복해도 화질이 나빠지지 않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순차주사방식(Progressive scan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차주사방식은 컴퓨터 모니터에 사용하는 주사방식이다.
  2. 완전한 화면정보를 담은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에 주사한다.
  3. 아날로그 TV시스템에서는 순차주사방식을 지원한다.
  4. 화면 떨림이 적으며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75%)
  • "아날로그 TV시스템에서는 순차주사방식을 지원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아날로그 TV시스템에서는 대부분 인터레이스주사방식을 사용합니다.

    순차주사방식은 컴퓨터 모니터에 사용하는 주사방식으로, 화면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한 줄씩 연속적으로 주사하여 완전한 화면정보를 담은 프레임을 만듭니다. 이 방식은 화면 떨림이 적으며 시각적 피로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월주사방식(Interlaced Scan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한된 주파수대역을 가지고도 해상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킨다.
  2. 화면 떨림과 화면이 깜박이는 현상이 눈의 피로를 유발한다.
  3. 낮은 주파수로도 고해상도의 화면을 재생 할 수 있다.
  4. HDTV에서 보여주는 주사 방식은 인터레이스 방식이다.
(정답률: 63%)
  • HDTV에서 보여주는 주사 방식은 인터레이스 방식이 아니라 프로그레시브 방식이다. 인터레이스 방식은 과거 CRT TV에서 사용되던 방식으로, 화면을 두 개의 필드로 나누어 번갈아가며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화면 떨림과 깜박임 현상이 발생하여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프로그레시브 방식은 화면을 한 번에 모두 표시하는 방식으로, 떨림과 깜박임 현상이 없으며 더 높은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저렴한 비용으로 HD급의 화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가변포맷은?

  1. DVI
  2. HDV
  3. S-VIDEO
  4. HDMI
(정답률: 64%)
  • HDV는 고화질 비디오를 저장하기 위한 가변포맷으로, 높은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MPEG-2 압축 기술을 사용하며, HDV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은 HDV 포맷으로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HDTV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DTV방송은 디지털 방식만 지원한다.
  2. Full HDTV 표준을 1366 × 768으로 다운 컨버팅한 포맷이다.
  3. 한국은 1920 × 1080 해상도의 Full HD급 방송을 하지 않으며, 1366 × 768 해상도로 다운스케일링 하여 방송하고 있다.
  4. HD는 1366 × 768, 1080i의 해상도와 주사율 30Frame/1초이다.
(정답률: 34%)
  • 정답은 "Full HDTV 표준을 1366 × 768으로 다운 컨버팅한 포맷이다."이다. Full HDTV 표준 해상도는 1920 × 1080이며, 1366 × 768은 HD Ready 표준 해상도이다. HDTV 방송은 디지털 방식만 지원한다는 것은 맞다. 한국은 1920 × 1080 해상도의 Full HD급 방송을 하지 않으며, 1366 × 768 해상도로 다운스케일링 하여 방송하고 있다. HD는 1366 × 768, 1080i의 해상도와 주사율 30Frame/1초이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색법 -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이 겹쳐서 여러 색을 만드는 것이다.
  2. 감색법 - 빛의 삼원색과 보색을 이루는 노랑, 사이언, 마젠타색을 3원색으로 이용한다.
  3. 교차편집 - 주로 사건의 설명에 목적을 둔 편집 방식이다.
  4. 리액션샷 –다른 배우의 대사를 듣고 있는 배우의 표정을 잡아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지 설명하는 화면이다.
(정답률: 65%)
  • "교차편집 - 주로 사건의 설명에 목적을 둔 편집 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교차편집은 두 개 이상의 장면을 교차적으로 연결하여 전개하는 편집 방식이다. 주로 긴장감을 높이는 효과를 내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Clip Notes의 Export를 위한 세팅패널에서 동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것은?

  1. Format
  2. Range
  3. Preset
  4. Scene Detect
(정답률: 67%)
  • Clip Notes의 Export를 위한 세팅패널에서 동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것은 "Preset"이다. 이는 미리 정해진 해상도 설정값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옵션들은 각각 동영상의 형식, 범위, 씬 감지 등을 설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Edit 메뉴의 Paste Attributes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삽입편집으로 붙이는 명령이다.
  2. 복사한 클립의 속성을 다른 클립에 붙이는 명령이다.
  3. 클립을 복사하여 두 개로 만들 수 있다.
  4. 선택한 클립을 오려 둔다.
(정답률: 60%)
  • Edit 메뉴의 Paste Attributes 기능은 복사한 클립의 속성을 다른 클립에 붙이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0초 길이의 동영상 속도를 클립(Clip) 메뉴의 Speed/Duration 기능을 사용하여 50%로 변환하면 길이가 어떻게 변화하는가?

  1. 5초
  2. 10초
  3. 20초
  4. 50초
(정답률: 67%)
  • 동영상 속도를 50%로 변환하면 원래 길이의 2배가 되므로, 10초의 동영상이 20초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시퀀스(Sequence) 메뉴의 Render Work Area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는?

  1. Ctrl+K
  2. Enter
  3. Ctrl+D
  4. S
(정답률: 77%)
  • 시퀀스(Sequence) 메뉴의 Render Work Area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는 "Enter"이다. 이는 현재 시간 인디케이터가 위치한 Work Area 범위를 렌더링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nter" 키를 누르면 현재 Work Area 범위 내의 모든 클립이 렌더링되어 출력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리미어를 이용하는 타이틀 작업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로고를 삽입하는 Insert Logo 기능을 지원한다.
  2. 크롤(Crawl) 기능을 이용하여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문자를 만들 수 있다.
  3. 롤(Roll) 기능을 이용하여 좌우로 움직이 는 문자를 만들 수 있다.
  4. 타이틀의 확장자 형식은 .DVI이다
(정답률: 65%)
  • "로고를 삽입하는 Insert Logo 기능을 지원한다."는 프리미어에서 타이틀 작업을 할 때 로고를 쉽게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가 로고 이미지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타이틀에 삽입되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리미어의 타임라인에서 클립과 클립을 정확하게 맞물려주고 공백 없이 이어 붙여주는 기능은?

  1. 마커 (Marker)
  2. 키 프레임 (Key Frame)
  3. 스냅 (Snap)
  4. 리플 에디트 툴 (Ripple Edit Tool)
(정답률: 65%)
  • 스냅 기능은 타임라인 상에서 클립과 클립을 정확하게 맞물려주고 공백 없이 이어 붙여주는 기능입니다. 이는 클립을 이동하거나 조정할 때 유용하며, 스냅 기능을 켜면 클립이 다른 클립에 자동으로 맞춰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냅 기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프로젝트 윈도우에서 클립을 소스 모니터로 불러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Open in Source Monitor 명령을 실행한다.
  2. File 메뉴의 Import 명령을 실행한다.
  3. 프로젝트 창의 클립을 소스 모니터 창에 마우스로 끌어 온다. (Drag and Drop)
  4. 프로젝트 창의 클립을 더블클릭(Double Click)한다.
(정답률: 60%)
  • 정답: "File 메뉴의 Import 명령을 실행한다."

    이유: Import 명령은 프로젝트에 새로운 클립을 추가하는 명령이며, 소스 모니터로 불러오는 명령이 아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툴(Tool) 가운데 클립의 속도를 조절하는 도구는?

(정답률: 79%)
  • 정답은 ""이다. 이 도구는 클립의 속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더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른 도구들은 편집, 자르기, 붙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오디오 이펙트(Effect)로 옳은 것은?

  1. DeEsser
  2. Convolution Kernel
  3. Extract
  4. Mirror
(정답률: 69%)
  • DeEsser는 음성 녹음 시 발생하는 샤르프한 "S" 소리를 제거하는 오디오 이펙트이다. 따라서, "DeEsser"가 정답이다. Convolution Kernel은 주로 리버브(Reverb) 효과를 만들 때 사용되는 오디오 이펙트이며, Extract는 오디오에서 특정 부분을 추출하는 기능을 하는 편집 도구이다. Mirror는 오디오를 반전시켜주는 효과를 가진 오디오 이펙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