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5-11)

디지털영상편집 1급
(2013-05-11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RGB 4:4:4 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차원적 컴포넌트 신호로 3원색인 RGB는 서로 완벽히 분리되어 있어 고화질 영상처리를 한다.
  2. RGB 세 개의 케이블은 75암페어의 동축 케이블로 반드시 동일한 길이여야 한다.
  3. YUV 신호에 비해 정보량이 크게 삼각되어 전송, 기록의 효율과 경제성이 높고 화질열화도 적다.
  4. 주로 방송용 비디오 카메라의 조정, 크로마키 합성, 모니터링 등 일부 영역을 제외하면 실용성, 경제성이 떨어진다.
(정답률: 56%)
  • "RGB 세 개의 케이블은 75암페어의 동축 케이블로 반드시 동일한 길이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RGB 4:4:4 신호는 각각의 색상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YUV 신호에 비해 정보량이 크게 삼각되어 전송, 기록의 효율과 경제성이 높고 화질 열화도 적습니다. 이는 고화질 영상처리에 적합하며, 주로 영화 제작, 영상 편집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디지털 영상의 개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어떤 일을 전달하는 매체란 뜻을 내포하고 있지는 않다.
  2. 광선의 굴절이나 반사에 따라 비추어지는 물체의 모습을 일컫는다.
  3. 영화나 텔레비전의 화상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4. 영상은 렌즈라고 하는 ‘물질의 문’을 이용하여 대상을 자동적으로 기록, 재생한다.
(정답률: 67%)
  • "어떤 일을 전달하는 매체란 뜻을 내포하고 있지는 않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디지털 영상은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통해 어떤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어떤 일을 전달하는 매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영상미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상미학은 단순히 아름다움이나 미학에 치중하기보다는 빛, 공간, 시간, 동작, 음향과 같은 여러 가지 미학적 요소들과 이에 대한 인간의 지각적 반응을 다루는 것이다.
  2. 영상 미학은 주로 순수 미술을 분석하여 그것이 예술인 이유를 찾아내어 이해시키는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3. 영상미학을 다루는 미디어는 단순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미학적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매체가 되었다.
  4. 영상미학의 기본 목적은 어떠한 상황이나 사건을 명료화시키고 강조하여 관객의 이해를 돕는 것이다.
(정답률: 65%)
  • 영상 미학은 주로 순수 미술을 분석하여 그것이 예술인 이유를 찾아내어 이해시키는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영상 미학은 순수 미술 뿐만 아니라 영화, 광고, 뉴스 등 다양한 영상 매체를 다루며, 이를 통해 미학적 요소들과 인간의 지각적 반응을 다루는 것이다. 따라서 영상 미학은 단순히 아름다움이나 미학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매체가 전달하는 메시지와 미학적 요소들을 분석하여 이를 이해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샷의 색감
  2. 샷의 내용
  3. 샷의 길이
  4. 샷의 배열
(정답률: 73%)
  • 샷의 색감은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가 아니라는 것은 색감은 영상의 분위기나 감성을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편집의 구성이나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샷의 내용, 길이, 배열은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로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영상을 구성하는 단위 중 작은 단위부터 순서대로 연결한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shot → sequence → scene → movie
  2. shot → scene → sequence → movie
  3. scene → shot → movie → sequence
  4. scene → shot → sequence → movie
(정답률: 85%)
  • 영화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는 샷(shot)이다. 샷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장면(scene)을 이루고, 장면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시퀀스(sequence)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시퀀스들이 연결되어 전체 영화(movie)를 구성한다. 따라서 영상을 구성하는 단위는 "shot → scene → sequence → movie" 순서대로 연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DV코덱 : DV카메라에서 사용하는 압축방식으로, 촬영 시 테잎에 기록될 때 2:1로 압축되어 기록하기 때문에 저화질 기록에 유리하다.
  2. 모션 제이펙 : 영상 편집용으로 사용하는 코덱으로 Jpeg 포맷은 사진 이미지 포맷에서 가장 높은 압축률을 자랑하고 있다.
  3. H.263코덱 : 퀵타임 코덱 중 가장 보편적인 비디오 코덱으로 인코딩이 쉽고 소렌슨비디오에 비해서 다소 저사양의 CPU를 필요로 한다.
  4. AC3 코덱 : 5.1채널을 기반으로 한 입체음향 포맷으로 기존의 사운드 포맷과는 달리 현실에서 들을 수 있는 가장 사실적인 사운드를 들려준다.
(정답률: 50%)
  • "DV코덱 : DV카메라에서 사용하는 압축방식으로, 촬영 시 테잎에 기록될 때 2:1로 압축되어 기록하기 때문에 저화질 기록에 유리하다." 이 설명이 옳다. DV코덱은 비교적 낮은 압축률로 고화질 영상을 기록할 수 있으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덱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MPEG-2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MPEG-1에 비해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고 있다.
  2. MPEG-2의 규격은 TV방송에서 한 영상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필드라는 개념이 없기때문에 방송용 규격에 포함 되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3. MPEG-2의 최대 오디오 채널수는 8개이다.
  4. MPEG-2의 표준화 년도는 1991년도이다.
(정답률: 43%)
  • MPEG-2의 최대 오디오 채널수는 8개이다. 이는 MPEG-2가 다중 채널 오디오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규격인 AC-3(Dolby Digital)과 호환성을 가지기 위한 것이다. AC-3은 최대 5.1 채널까지 지원하므로, MPEG-2에서는 이를 포함하여 최대 8개의 오디오 채널을 지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레디우스(Radius)사가 개발한 비디오 압축 코덱으로, 멀티미디어 CD-ROM 동영상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코덱은 어느 것인가?

  1. RLE
  2. Cinepak
  3. Indio
  4. MOV
(정답률: 47%)
  • Cinepak은 멀티미디어 CD-ROM 동영상에 많이 사용되는 코덱으로, 레디우스(Radius)사가 개발한 비디오 압축 코덱입니다. 이 코덱은 비교적 낮은 비트레이트에서도 고화질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서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나머지와 성격이 다른 파일포맷은 어느 것인가?

  1. MOV파일
  2. AVI 파일
  3. WMV코덱
  4. MP3파일
(정답률: 79%)
  • MP3파일은 음악 파일 포맷이며, 나머지는 모두 비디오 파일 포맷 또는 코덱이다. MP3파일은 오디오 파일이므로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VCD(Video CD)에 사용되는 표준 비디오 포맷을 말하는 파일은 어느 것인가?

  1. RM 파일
  2. DAT 파일
  3. VOB파일
  4. MOV 파일
(정답률: 34%)
  • 정답은 "DAT 파일"입니다. VCD는 MPEG-1 비디오 포맷을 사용하며, 이 포맷으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DAT 파일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따라서 VCD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DAT 파일을 지원하는 미디어 플레이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선형 편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편집점에 대한 접근이 순차적으로 가능한 편집방법이다.
  2. 대부분의 아날로그 편집이 여기에 해당한다.
  3. 선형편집은 즉시성이 있어 편집점을 찾아가는데 효율적이다.
  4. 화질이 일정 부분 손상되는 아날로그적인 특성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58%)
  • 선형편집은 즉시성이 있어 편집점을 찾아가는데 효율적이다. 이유는 선형편집에서는 편집점에 대한 접근이 순차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서의 편집 작업이 필요할 때, 해당 시점으로 바로 이동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선형편집은 비디오 편집 등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타임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타임코드는 영상을 재생하거나 편집 할 때 프레임들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2. 시간, 분, 초, 프레임의 형태로 클립의 시간을 24시제로 표시하며, 00:00:00:00부터 23:59:59:29까지 표기할 수 있다.
  3. 국내 방송용 편집 시 드롭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 타임코드는 1초가 언제나 30프레임이다.
  4. 29.97FPS 드롭 프레임 옵션은 00:07:59:29 이후에는 00:08:00:01로 표기된다.
(정답률: 63%)
  • "국내 방송용 편집 시 드롭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 타임코드는 1초가 언제나 30프레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국내 방송에서는 드롭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드롭 프레임은 초당 프레임 수가 29.97인 경우에 사용되며, 초당 30프레임이 아닌 29.97프레임으로 계산됩니다. 이 때문에 1초당 30프레임이 아닌 29.97프레임으로 계산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프레임을 빼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드롭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29.97FPS 드롭 프레임 옵션은 00:07:59:29 이후에는 00:08:00:01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NTSC 방송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초기 미국에서 발표되어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컬러 TV시스템이다.
  2. 주사선은 PAL, SECAM 보다 적은 525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초당 29.97프레임을 사용한다.
  4. 한 프레임 당 1개의 필드로 되어있어, 초당 30 필드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62%)
  • 한 프레임 당 1개의 필드로 되어있어, 초당 30 필드로 이루어진다는 설명이 올바르지 않다. NTSC 방송신호는 한 프레임당 2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당 60 필드로 이루어진다. 이는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영상을 전송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RGB 색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은 세 가지색의 축으로 3차원 공간 안에 색을 표현한다.
  2. 빨강, 파랑, 초록 세 가지의 색을 100%로 섞으면 검정색이 된다.
  3. 빨강, 파랑, 초록 세 가지 색의 밝기를 기준으로 16만 가지 이상의 색을 지정한다.
  4. 색을 혼합하면 명도가 높아지는 가산 혼합방식으로 색을 표현한다.
(정답률: 72%)
  • "빨강, 파랑, 초록 세 가지의 색을 100%로 섞으면 검정색이 된다." 이 설명이 올바르지 않다. RGB 색 공간에서는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의 색을 100%로 섞으면 흰색이 되며, 모두 0%로 섞으면 검정색이 된다. 이는 가산 혼합 방식에서 밝기가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빨강, 초록, 파랑이 모두 꺼져 있으면 어떤 빛도 발하지 않으므로 검정색이 되고, 모두 켜져 있으면 밝기가 가장 높아져 흰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줄 카메라가 피사체로 다가가거나, 후퇴하며 촬영하는 방식을 표현한 단어는?

  1. 벡터(vector)
  2. 아크(arc)
  3. 달리(Dolly)
  4. 큐(Cue)
(정답률: 74%)
  • 달리(Dolly)는 카메라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피사체에 가까이 이동시키거나 멀리 떨어뜨려 촬영하는 방식을 표현합니다. 벡터(vector)는 방향과 크기를 가지는 물리량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아크(arc)는 호를 그리는 용어, 큐(Cue)는 연극이나 영화에서 배우들이 대사나 행동을 시작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연결 단자의 종류에 대한 설명과 명칭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BNC –아날로그 컴포지트, 아날로그 컴포넌트, SDI, SDTI 등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2. XLR –마이크 혹은 다른 밸런스 오디오 장치를 연결하거나 AES/EBU 디지털 오디오연결을 위해 사용한다.
  3. RCA –DV캠코더나 VCR, 1394 포트를 장착한 컴퓨터 등의 연결에 사용하는 단자로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다
  4. S-Video –S-VHS 캠코더나 VCR 같은 S-Video 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43%)
  • XLR –마이크 혹은 다른 밸런스 오디오 장치를 연결하거나 AES/EBU 디지털 오디오연결을 위해 사용한다. (XLR은 오디오 연결에 사용되는 단자이며, DV캠코더나 VCR, 1394 포트를 장착한 컴퓨터 등의 연결에 사용되는 단자는 FireWire 또는 IEEE 1394라고 불린다.)

    RCA –DV캠코더나 VCR, 1394 포트를 장착한 컴퓨터 등의 연결에 사용하는 단자로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다. (RCA는 비디오 및 오디오 연결에 사용되는 단자이며,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단자는 FireWire 또는 IEEE 1394라고 불린다.)

    따라서, 정답은 XLR –마이크 혹은 다른 밸런스 오디오 장치를 연결하거나 AES/EBU 디지털 오디오연결을 위해 사용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2D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atte Key(매트키) –키홀만을 만든 화면을 배경화면 위에 얹고 홀 안에 다른 비디오화면을 채워 넣는 것
  2. Freeze(프리즈) –1에서 30프레임까지 연속적으로 재생되지 않고 5프레임, 10프레임등 임의의 프레임 단위로 정지됐다가 재생되는 효과
  3. Rolling(롤링) –상하 방향으로 자막이 진행되게 하는 효과.
  4. Flip(플립) –화면의 상하가 바뀌어 보이는 효과.
(정답률: 79%)
  • Freeze(프리즈) –1에서 30프레임까지 연속적으로 재생되지 않고 5프레임, 10프레임등 임의의 프레임 단위로 정지됐다가 재생되는 효과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디지털 영상 편집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촬영할 때 계획만 제대로 하면 편집은 필요없다.
  2. 편집의 가장 큰 목적은 잘못 촬영 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3. 불필요하거나 의미전달에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여 정보를 압축하는 것이다.
  4. 영상과 음성 소재를 적당하게 조합하여 적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작업이다.
(정답률: 73%)
  • "촬영할 때 계획만 제대로 하면 편집은 필요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황이나 촬영 자체의 한계 등으로 인해 편집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다. 따라서, 촬영할 때 계획을 잘 세우는 것이 중요하지만, 편집도 필수적인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ENG의 표준이 되었던 유매틱의 뒤를 이어서 1981년 화질과 기능을 더욱 개선한 방식이 소니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다음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DVI
  2. Betacam
  3. VTR
  4. DVC
(정답률: 65%)
  • 1981년에 소니사가 개발한 방식은 Betaca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NTSC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 프레임은 625개의 주사선으로 되어있다.
  2.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일본 등의 표준방식으로 채택하였다.
  3. 필드 주파수가 60 Hz 이다.
  4. 1초에 29.97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60%)
  • "한 프레임은 625개의 주사선으로 되어있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PAL 방식에서 사용되는 주사선 수이며, NTSC 방식은 한 프레임에 525개의 주사선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프리미어 CS3 설치환경에 관한 설명 틀린 것은?

  1. Windows 98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2. Windows XP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3. MAC OS에서도 설치 가능하다.
  4. 2GB 이상의 RAM을 권장한다.
(정답률: 71%)
  • 정답: "Windows 98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설명: 프리미어 CS3는 Windows XP 이상의 운영체제에서만 설치가 가능하며, MAC OS에서도 설치 가능합니다. 하지만 Windows 98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Windows 98이 CS3의 하드웨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2GB 이상의 RAM을 권장하는 이유는 CS3이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연결이 바르지 않는 것은?

  1. Preroll – 지정한 시간만큼 여유를 두고 비디오의 프레임을 재생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
  2. Postroll – 끝나는 프레임 이후 지정한 시간만큼 여유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
  3. Bins –i동작되는 방법을 설정하는 기능
  4. Optimize rendering for –체크 표시를 할 경우 Enter 키를 이용한 렌더링 프리뷰 보기 기능이다.
(정답률: 45%)
  • "Bins –i동작되는 방법을 설정하는 기능"은 오타가 있어 "Bins - 동작되는 방법을 설정하는 기능"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Optimize rendering for –체크 표시를 할 경우 Enter 키를 이용한 렌더링 프리뷰 보기 기능이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 기능은 렌더링 시간을 최적화하여 더 빠르게 렌더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체크 표시를 하면 Enter 키를 누르면 렌더링된 프리뷰를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Undo : 바로 이전에 실행한 명령이나 작업을 취소한다.
  2. Ripple Delete : 편집할 때 발생하는 클립간의 빈 공간을 제거한다.
  3. Label : 소스 클립 간의 구분을 위해 레이블 색상을 부여한다.
  4. Paste Attributes : 잘라 내거나 복사한 클립을 현재 위치에 삽입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Paste Attributes : 잘라 내거나 복사한 클립을 현재 위치에 삽입한다." 이유를 설명해주는 것이다.

    올바르지 않은 설명은 없다.

    Paste Attributes는 클립의 속성을 복사하여 다른 클립에 붙여넣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클립에서 색상 보정을 적용하고, 이를 다른 클립에도 적용하고 싶을 때, 해당 클립의 속성을 복사하여 다른 클립에 붙여넣을 수 있다. 이때, 붙여넣을 속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속성만을 복사하여 붙여넣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프리미어 CS3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설정해 놓은 환경을 수정하는 기능은 어느 것인가?

  1. Link Media
  2. Project Settings
  3. Automate to Sequence
  4. Removed Unused
(정답률: 89%)
  • "Project Settings"는 프리미어 CS3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설정한 환경을 수정하는 기능입니다. 이 설정은 프로젝트의 해상도, 프레임 속도,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하여 프로젝트의 환경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Link Media"는 미디어 파일을 연결하는 기능, "Automate to Sequence"는 시퀀스를 자동화하는 기능, "Removed Unused"는 사용하지 않는 미디어 파일을 제거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시퀀스 메뉴 옵션들의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Delete Tracks - 타임라인 패널 내 기존 트랙을 삭제한다.
  2. Apply Video Transition - 2개의 비디오 클립 사이에 기본 비디오 전환을 적용한다.
  3. Lift –Program Monitor 패널에서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을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은 그대로 남겨둔다.
  4. Extract : 타임라인 패널에서 클립 간의 이동 시각각의 연결 부위에 스냅 기능을 부여하여 연결한다.
(정답률: 72%)
  • "Extract : 타임라인 패널에서 클립 간의 이동 시각각의 연결 부위에 스냅 기능을 부여하여 연결한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이 옵션은 클립을 이동할 때 다른 클립과의 연결 부위에 스냅 기능을 부여하여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클립 간의 이동이 보다 쉽고 정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작업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프리미어의 작업 공간 레이아웃을 선택하도록 하는 Window 메뉴는 어느 것인가?

  1. Events
  2. Workspace
  3. Info
  4. VST Editor
(정답률: 73%)
  • 정답은 "Workspace"이다. Workspace는 작업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프리미어의 작업 공간 레이아웃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작업에 가장 적합한 레이아웃을 선택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메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Project 패널에 대한 메뉴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Frame : 각 클립을 대표하는 화면을 썸네일 보기에 출력하도록 설정한다.
  2. Find : 프로젝트 패널 내에 있는 클립을 검색한다.
  3. New Item : 새로운 저장소를 만든다.
  4. Clip Info : 클립의 종류, 시작지점, 종료 지점, 지속시간, 비디오의 해상도 같은 정보를 표시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New Item : 새로운 저장소를 만든다." 이다. 이유는 프로젝트 패널은 클립, 시퀀스, 폴더 등의 저장소를 관리하는 곳이기 때문에 새로운 저장소를 만드는 기능은 이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맞지 않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Timeline 패널에서 할 수 없는 것은?

  1. 트랙별 비디오 출력 상태 끄고 켜기
  2. 트랙별 오디오 출력 상태 끄고 켜기
  3. 두 클립의 경계에서 클립과 클립을 정확하게 맞물려 공백 없이 이어 붙여 주기
  4. 클립을 검색하고 불러들여 연결하기
(정답률: 72%)
  • Timeline 패널은 비디오 및 오디오 클립을 배치하고 편집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클립을 검색하고 불러들여 연결하기"는 Timeline 패널에서 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 작업은 라이브러리 패널에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스 모니터 패널의 옵션과 관계없는 것은?

  1. Undock Panel
  2. Trim Monitor
  3. Vectorscope
  4. Gang to Reference Monitor
(정답률: 35%)
  • "Gang to Reference Monitor"는 소스 모니터 패널의 옵션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 옵션은 프로그램 모니터 패널과 관련이 있으며, 소스 모니터 패널과는 별개로 작동한다. 따라서 이 옵션은 소스 모니터 패널의 옵션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로그램 도구 창 내의 옵션 명과 설명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Rolling Edit Tool : 타임라인의 두 클립간 편집 지점을 롤링하여 두 클립의 결합된 지속시간은 유지하면서 한 클립의 시작지점과 다른 클립의 종료지점을 동시에 트리밍 할 때 사용한다.
  2. Slip Tool : 시간 범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타임라인에서 슬립의 시작지점 및 종료지점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3. Rate Stretch Tool: 타임라인에서 클립의 시작 또는 종료지점을 트리밍할 수 있다.
  4. Razor Tool : 타임라인에서 클립을 한 번이상 자를 수 있다.
(정답률: 30%)
  • 정답은 "Rate Stretch Tool: 타임라인에서 클립의 시작 또는 종료지점을 트리밍할 수 있다." 이다.

    Rate Stretch Tool은 클립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도구로, 클립의 시작과 종료 지점을 이동시키면서 클립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타임라인에서 클립의 시작 또는 종료지점을 트리밍할 수 있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