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상편집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10)

디지털영상편집 1급
(2014-05-10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영상의 다이나미즘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길이(시간의 길이) - 인상의 완급
  2. 스피드감 - 시각 인상의 완급
  3. 화상의 색감 - 시각 인상의 강약
  4. 길이(시간의 길이), 스피드감, 화상의 질감은 영상의 의미성을 발생시킨다.
(정답률: 57%)
  • "화상의 색감 - 시각 인상의 강약"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영상의 다이나미즘을 구성하는 요소는 길이(시간의 길이), 스피드감, 화상의 색감, 화상의 질감 등이 있으며, 이들은 영상의 의미성을 발생시킨다. 화상의 색감은 시각 인상의 강약이 아니라 색상의 선택과 조합 등으로 영상의 분위기와 감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영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상작품을 구성하는 컷 중 전혀 움직이지 않는 정지화면이라면 영상의 흐름을 신경 쓸 필요는 없다.
  2. 영상매체란 광선의 굴절이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의 상을 나타나도록 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3. 영상은 광선의 굴절이나 반사에 따라 비춰지는 물체의 모습을 말하기도 하고, 영화나 텔레비전의 화상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4. 영상은 공학적 문제와 함께 지각과 의식구성, 지각상과 심적상 형성, 그리고 새로운 의미 연결이라는 문화적 차원으로 규정할 수 있다.
(정답률: 87%)
  • "영상작품을 구성하는 컷 중 전혀 움직이지 않는 정지화면이라면 영상의 흐름을 신경 쓸 필요는 없다." 이 설명은 옳지 않다. 정지화면이라도 영상의 흐름과 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경 써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영상미학에 대한 설명으로 그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샷 크기의 변화 - 주로 한 인물의 행위를 서로 다른 크기의 샷들로 분할해서 연결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2. 행위의 일치 - 등장인물이 행동하는 중간에 편집을 하면 관객들은 샷과 샷의 연결을 의식하지 못 한다.
  3. 시선의 일치 - 영화 속의 등장인물이 어느 한 곳을 바라보고 있다면 이어지는 다음 샷은 그 인물이 바라보고 있는 대상을 보여준다.
  4. 설정 샷 - 등장인물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샷 크기의 변화를 한 단계 이상 건너뛰어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답률: 79%)
  • "샷 크기의 변화 - 주로 한 인물의 행위를 서로 다른 크기의 샷들로 분할해서 연결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가 영상미학에 대한 설명으로 그 연결이 옳지 않습니다.

    설정 샷은 등장인물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샷 크기의 변화를 한 단계 이상 건너뛰어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영화의 시간과 공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관객의 시선을 이끌어내는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샷의 내용
  2. 샷의 길이
  3. 샷의 배열
  4. 샷의 배경
(정답률: 72%)
  •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는 "샷의 내용", "샷의 길이", "샷의 배열"이다. 이들은 영상의 구성과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샷의 배경"은 영상의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단지 샷의 시각적인 분위기나 느낌을 결정하는 요소일 뿐이다. 따라서 편집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영상의 단위를 크기순으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샷(Shot) → 시퀀스(Sequence) → 씬(Scene) → 무비(Movie)
  2. 씬(Scene) → 샷(Shot) → 시퀀스(Sequence) → 무비(Movie)
  3. 씬(Scene) → 시퀀스(Sequence) → 샷(Shot) → 무비(Movie)
  4. 샷(Shot) → 씬(Scene) → 시퀀스(Sequence) → 무비(Movie)
(정답률: 77%)
  • 정답은 "샷(Shot) → 씬(Scene) → 시퀀스(Sequence) → 무비(Movie)"입니다.

    샷은 영상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 한 번의 촬영으로 만들어진 하나의 영상 클립을 의미합니다. 씬은 여러 개의 샷으로 이루어진 작은 단위로, 한 장면을 구성하는 모든 샷을 포함합니다. 시퀀스는 여러 개의 씬으로 이루어진 큰 단위로, 전체 영상을 구성하는 모든 씬을 포함합니다. 마지막으로 무비는 모든 시퀀스를 합쳐서 만들어진 최종 영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샷 → 씬 → 시퀀스 → 무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DVD 영상 매체 내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으로 옳은 것은?

  1. RM파일
  2. DAT파일
  3. MOV파일
  4. VOB파일
(정답률: 67%)
  • VOB 파일은 DVD 비디오 파일의 일부로, MPEG-2 비디오, 오디오 및 자막 스트림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DVD 영상 매체 내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으로 옳은 것입니다. RM 파일은 RealMedia 파일, DAT 파일은 일반적으로 VCD 비디오 파일에 사용되는 파일 포맷, MOV 파일은 QuickTime 파일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디지털 영상파일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MPEG-1은 표준화로 지정된지 오래된 만큼 널리 사용되었으며, VCD를 지원하는 장비를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
  2. MPEG-2는 필드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방송용 규격에 포함되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3. MPEG-4는 컴퓨터의 대화형 기능과 통신의 전송 기능을 결합하여 실시간 영상 서비스가 필요한 인터넷 방송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4. MPEG-7은 부호화 개념이 아닌 정보검색을 위한 내용 표현의 표준을 위해 만들어 졌다.
(정답률: 74%)
  • "MPEG-2는 필드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에 방송용 규격에 포함되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MPEG-2가 방송용 규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MPEG-2는 필드라는 개념이 있으며, 인터레이싱 방식으로 영상을 압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방송용 규격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FLV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acro Media사에서 만들어진 플래쉬 스트리밍을 위한 포맷이다.
  2. WMV나 AVI, ASF 파일 포맷에 비해 보안성이 높다
  3. 제작이 간편하고 용량에 비해 화질이 우수하여 UCC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4. 다른 동영상 파일 포맷에 비해 화질이 매우 우수하지만 용량이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73%)
  • 다른 동영상 파일 포맷에 비해 화질이 매우 우수하지만 용량이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FLV 파일의 특징 중 하나인 화질이 우수하다는 것은 맞지만, 이에 대한 단점으로 용량이 크다는 것이 옳지 않다. FLV 파일은 제작이 간편하고 용량에 비해 화질이 우수하여 UCC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보기 중에서 성격이 다른 파일 포맷은?

  1. MOV
  2. AC3
  3. WMV
  4. AVI
(정답률: 78%)
  • AC3은 오디오 코덱 포맷이며, 나머지는 비디오 파일 포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DV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동영상 파일 포맷은?

  1. DV
  2. MP4
  3. AVI
  4. ASF
(정답률: 83%)
  • 정답: DV

    DV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동영상 파일 포맷은 DV이다. DV는 디지털 비디오(Digital Video)의 약자로, 비디오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DV 포맷은 고화질의 동영상을 제공하며, 비디오 편집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이 높아 편집 작업에 용이하다. MP4, AVI, ASF는 모두 다른 동영상 파일 포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비월주사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일반적으로 TV에서 사용된다.
  2. 1/60초당 한 번씩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로 나누어 주사한다.
  3.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로 나누어 주사하기 때문에 빠른 동작의 피사체 움직임을 정지화면으로 캡처할 때 정확한 장면을 얻기 쉽다.
  4. 초당 30프레임 화면을 만드는 주사 방식이다.
(정답률: 55%)
  • "초당 30프레임 화면을 만드는 주사 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월주사방식은 1/60초당 한 번씩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로 나누어 주사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TV에서 사용된다. 이 방식은 빠른 동작의 피사체 움직임을 정지화면으로 캡처할 때 정확한 장면을 얻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컴포넌트 비디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포지트 비디오 보다 선명한 영상이미지를 제공하기 어렵다.
  2. 일반적으로 세 개의 구분된 신호로 전달한다.
  3. 휘도와 색도를 별개의 성분으로 남겨두어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로 나뉘는 영상 신호를 의미한다.
  4. 저장되는 아날로그 영상정보의 일종이다.
(정답률: 65%)
  • "컴포지트 비디오 보다 선명한 영상이미지를 제공하기 어렵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컴포넌트 비디오는 휘도와 색도를 별개의 성분으로 나누어 전달하기 때문에 더욱 선명한 영상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화면의 인물이 정면을 바라보지 않고 좌우를 바라볼 때, 인물을 화면 중앙에 배치하지 않고 바라보는 쪽의 공간을 더 확보하게 프레이밍을 하여, 화면구성의 안정감을 갖게 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은?

  1. Looking Room
  2. Dolly
  3. Lead Room
  4. Display Room
(정답률: 54%)
  • Looking Room은 인물이 바라보는 방향에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여 안정감 있는 화면 구성을 만드는 기법이다. 따라서 인물을 화면 중앙에 배치하지 않고 바라보는 쪽에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Looking Roo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일정한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있는 힘으로, TV화면에서 우리의 눈을 화면의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게하고 멀어지게 하는 방향성의 힘을 의미하는 것은?

  1. Vector
  2. Sneak out
  3. Dolly
  4. Gain
(정답률: 80%)
  • 정답은 "Vector"이다. Vector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힘을 의미한다. TV화면에서 우리의 눈을 화면의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가게하고 멀어지게 하는 방향성의 힘도 크기와 방향을 가지므로 Vector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보기인 "Sneak out", "Dolly", "Gain"은 Vector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A사건과 B사건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보여주고자 할 때 사용하는 편집 방법은?

  1. 교차편집
  2. 연속편집
  3. 순차편집
  4. 어웨이편집
(정답률: 97%)
  • 교차편집은 A사건과 B사건을 번갈아가며 보여주는 편집 방법이다. 이 방법은 두 사건을 서로 대조해 비교하기 쉽게 만들어주며, 시청자의 흥미를 끌어주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A사건과 B사건을 서로 엇갈리게 보여주고자 할 때는 교차편집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아날로그 컴포지트, 아날로그 컴포넌트, SDI, SDTI등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결 단자는?

  1. XLR
  2. BNC
  3. S-Video
  4. RCA
(정답률: 57%)
  • BNC는 비디오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RF 연결 단자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데 적합하다. 따라서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아날로그 컴포지트, 아날로그 컴포넌트, SDI, SDTI 등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BNC가 사용된다. XLR은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연결 단자이고, S-Video와 RCA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지만 BNC보다는 불안정하고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영상편집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를 이용한 비선형 편집기, 특수 영상 효과 장비, 대용량 서버 등이 급속한 발전을 하고 있어, 기존 VTR의 역할 중 많은 부분을 점차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2. 최근에는 컴포넌트 디지털 방식의 VTR이 주로 쓰이고 있다.
  3. 최근 방송용으로는 HDV와 Blu-ray로 압축되는 경향이다.
  4. VTR 및 테이프는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모든 노력의 결정체이어서 운용과 관리에 많은 주의를 요한다.
(정답률: 63%)
  • "최근 방송용으로는 HDV와 Blu-ray로 압축되는 경향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HDV와 Blu-ray는 영상을 압축하는 기술이 아니라, 고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고 재생하는 미디어 형식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수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주어진 입력 영상을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환, 출력하는 기기는?

  1. 음향효과기기
  2. 문자발생기
  3. VTR
  4. 영상효과기기
(정답률: 73%)
  •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고 출력하는 기기는 영상효과기기이다. 이 기기는 입력된 영상에 다양한 효과를 적용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색상, 밝기, 대조 등을 조절하거나 모자이크, 블러 등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효과기기는 영상 제작, 편집, 방송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아날로그 컬러 비디오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특정 국가의 전기 시스템이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주사방식을 결정한다.
  2. 컬러비디오 시스템은 크게 NTSC, PAL, SECAM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3. 60Hz의 전기를 사용하는 국가들은 완벽한 텔레비전 프레임의 기록을 위해 525개의 수직 주사선을 표준방식으로 채택하고 있다.
  4. 50Hz의 전기를 사용하는 국가들은 완벽한 텔레비전 프레임의 기록을 위해 652개의 수직 주사선을 표준방식으로 채택하고 있다.
(정답률: 85%)
  • "50Hz의 전기를 사용하는 국가들은 완벽한 텔레비전 프레임의 기록을 위해 652개의 수직 주사선을 표준방식으로 채택하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 50Hz 전기를 사용하는 국가들은 PAL 방식을 채택하며, PAL 방식에서는 625개의 수직 주사선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저렴한 비용으로 HD급의 화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JVC와 Sony사에서 개발한 가변 포맷은?

  1. MPEG-4
  2. H.264
  3. BETA
  4. HDV
(정답률: 68%)
  • HDV는 JVC와 Sony가 개발한 고화질 디지털 비디오 포맷으로, MPEG-2 압축 방식을 사용하여 HD급의 화질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HDV는 MPEG-4, H.264, BETA와는 다른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 CS3 설치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98, Windows XP, Windows 7에 설치가 가능하다.
  2. 설치를 위해서는 2GB 이상의 RAM이 요구 된다.
  3. MAC OS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4. 설치를 위해서는 10GB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추천하고 있다.
(정답률: 75%)
  • "Windows 98"는 어도비 프리미어 CS3 설치환경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어도비 프리미어 CS3가 출시된 시기에는 이미 Windows 98이 지원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캡처 전에 시작지점 보다 이전에 테이프 재생을 시작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은?

  1. Before Time 기능
  2. Timecode Offset 기능
  3. Preroll 기능
  4. Device 기능
(정답률: 58%)
  • Preroll 기능은 캡처 전에 시작지점 보다 이전에 테이프 재생을 시작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기능들이므로 정답은 Preroll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단축키를 수정하거나 필요한 단축키를 추가 설정하는 기능은?

  1. Short Cut exchange
  2. Keyboard Customization
  3. Short Cut Change option
  4. Keyboard Selection
(정답률: 87%)
  • "Keyboard Customization"은 키보드의 단축키를 수정하거나 필요한 단축키를 추가 설정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Keyboard Customization"이 가장 정확한 용어이며, 다른 보기들은 조금 더 구체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어도비 프리미어 CS3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설정해 놓은 환경을 수정할 수 있는 메뉴는?

  1. Reset Project
  2. Project Settings
  3. Project Control
  4. Reset Start Project
(정답률: 79%)
  •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설정한 환경을 수정하려면 "Project Settings" 메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메뉴를 통해 프로젝트의 해상도, 프레임 속도, 비디오 및 오디오 포맷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메뉴들은 프로젝트를 초기화하거나 제어하는 데 사용되지만, 설정을 수정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시퀀스 메뉴에 있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Extract : Program Monitor 패널에서 클립의 불필요한 부분을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을 지정한 후 제거하고, 공백은 뒤의 클립을 당겨 채우는 기능이다.
  2. Add Tracks: 타임라인 패널 내 새로운 트랙을 추가하는 기능이다.
  3. Apply Video Transition : 2개의 비디오 클립 사이에 기본 비디오 전환을 적용하는 기능이다.
  4. Render Work Area : 선택해놓은 작업 영역만을 렌더링 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Render Work Area : 선택해놓은 작업 영역만을 렌더링 하는 기능이다." 이다. 이 기능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선택한 글자 사이의 자간을 설정하는 기능은?

  1. Align
  2. Roll and Crawl
  3. Leading
  4. Kerning
(정답률: 71%)
  • 선택한 글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Kerning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편집 작업에 필요한 각종 클립들을 하드디스크로부터 작업 화면으로 불러들여서 정렬해 두는 창은?

  1. Source Monitor 창
  2. Clip 창
  3. Project 창
  4. Timeline 창
(정답률: 83%)
  • 편집 작업에 필요한 각종 클립들을 하드디스크로부터 작업 화면으로 불러들여서 정렬해 두는 창은 Project 창입니다. 이는 편집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클립들을 한 곳에서 관리하고, 필요한 클립들을 쉽게 찾아서 타임라인에 추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창입니다. Source Monitor 창은 클립의 내용을 미리보기할 수 있는 창, Clip 창은 클립의 속성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는 창, Timeline 창은 편집 작업을 진행하는 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타임라인 상에서의 두 클립의 경계에서 클립과 클립을 정확하게 맞물려 공백 없이 이어 붙일 수 있게 해주는 도구는?

  1. Atach 도구
  2. Snap 도구
  3. Magnetic 도구
  4. Ripple Edit 도구
(정답률: 53%)
  • Snap 도구는 타임라인 상에서 클립과 클립을 정확하게 맞물려 공백 없이 이어 붙일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클립의 시작점이나 끝점이 다른 클립의 시작점이나 끝점과 정확하게 맞물리도록 자동으로 조정해줍니다. 따라서 클립 간의 이어붙임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소스 & 프로그램 모니터 패널의 기능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Safe Margins : 모니터에 보호 영역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2. Audio Waveform : 오디오파형으로 표시하는 기능이다.
  3. Draft Quality : 최고 해상도로 비디오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4. Alpha : 투명도를 회색 음영 이미지로 표시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Draft Quality : 최고 해상도로 비디오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이다. 소스 & 프로그램 모니터 패널의 Draft Quality 기능은 최상의 해상도로 비디오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낮은 해상도로 비디오를 표시하여 프리뷰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성질이 다른 하나는 어느 것인가?

  1. Extract
  2. Mirror
  3. DeEsser
  4. Convolution Kernel
(정답률: 67%)
  • DeEsser는 다른 세 개의 플러그인이 이미지 처리와 관련된 것들이라면, 음성 처리와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성질이 다릅니다. DeEsser는 고주파 음성을 제거하여 음성의 산만함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