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05)

물류관리사 1교시
(2012-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류관리론

1. 물류산업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자 욕구와 상품구입 방법의 다양화
  2.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로의 채널파워 이동
  3. 글로벌 경제활동에 따른 공급사슬의 복잡화
  4. 다빈도 소량주문과 소품종 대량생산의 확대
  5. 물류비 절감과 매출증대의 중요성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다빈도 소량주문과 소품종 대량생산의 확대"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이는 상반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동시에 확대될 수 없다. 다빈도 소량주문은 소비자 욕구와 상품구입 방법의 다양화로 인해 발생하며, 소품종 대량생산은 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로의 채널파워 이동과 글로벌 경제활동에 따른 공급사슬의 복잡화로 인해 발생한다. 물류산업은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물류비 절감과 매출증대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물류의 기본적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각각의 설명에 해당하는 물류의 기능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ㄱ: 보관, ㄴ: 집하ㆍ배송, ㄷ: 가공ㆍ조립ㆍ포장, ㄹ: 수송
  2. ㄱ: 가공ㆍ조립ㆍ포장, ㄴ: 수송, ㄷ: 집하ㆍ배송, ㄹ: 보관
  3. ㄱ: 보관, ㄴ: 가공ㆍ조립ㆍ포장, ㄷ: 집하ㆍ배송, ㄹ: 수송
  4. ㄱ: 보관, ㄴ: 가공ㆍ조립ㆍ포장, ㄷ: 수송, ㄹ: 집하ㆍ배송
  5. ㄱ: 집하ㆍ배송, ㄴ: 보관, ㄷ: 가공ㆍ조립ㆍ포장, ㄹ: 수송
(정답률: 59%)
  • 정답은 "ㄱ: 보관, ㄴ: 가공ㆍ조립ㆍ포장, ㄷ: 집하ㆍ배송, ㄹ: 수송" 입니다.

    - 보관: 물류의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로, 제품이나 물품을 임시로 보관하는 것입니다.
    - 가공ㆍ조립ㆍ포장: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가공, 조립, 포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 집하ㆍ배송: 제품이나 물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송하는 것입니다.
    - 수송: 제품이나 물품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단위 주문원가는 100원, 연간 수요는 10,000단위, 연간 재고유지비용은 20%, 재고 한 단위의 가치는 200원이라고 할 때, 경제적주문량모형(EOQ: Economic Order Quantity model)을 이용한 경제적주문량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210
  2. 224
  3. 264
  4. 320
  5. 360
(정답률: 알수없음)
  • EOQ = √((2DS)/H)

    D = 연간 수요 = 10,000 단위
    S = 단위 주문원가 = 100원
    H = 재고 한 단위의 가치 × 재고유지비용 = 200원 × 20% = 40원

    EOQ = √((2 × 10,000 × 100) / 40) = √(500,000) = 223.60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2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물류활동의 영역에 관한 설명이다. 조달, 생산, 판매, 반품, 회수활동의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ㄷ-ㄴ-ㄹ-ㅁ
  2. ㄷ-ㅁ-ㄱ-ㄴ-ㄹ
  3. ㄷ-ㅁ-ㄱ-ㄹ-ㄴ
  4. ㅁ-ㄱ-ㄴ-ㄷ-ㄹ
  5. ㅁ-ㄱ-ㄹ-ㄴ-ㄷ
(정답률: 84%)
  • 물류활동의 순서는 조달(원자재 구매) → 생산(제품 생산) → 판매(제품 판매) → 반품(제품 반품) → 회수(제품 회수)이다. 따라서, "ㄷ-ㅁ-ㄱ-ㄹ-ㄴ"이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물류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급사슬(supply chain)이 길어지면, 다양한 제약요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물류는 생산지점에서 소비지점으로 재화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3. 물류는 가격조건, 적절한 시간과 장소에서 재화의 가용성을 증대시켜 고객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활동이다.
  4. 고객서비스는 물류시스템의 중요한 산출물 중의 하나이다.
  5. 물류시스템에서 JIT(Just in Time)는 모든 물류활동에 정(+)의 효과를 가지는 혁신적인 방법이다.
(정답률: 75%)
  • "물류시스템에서 JIT(Just in Time)는 모든 물류활동에 정(+)의 효과를 가지는 혁신적인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JIT는 생산과 물류 활동을 조율하여 재고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모든 물류활동에 정(+)의 효과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일부 물류 활동에서는 JIT가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구 환경의 변화에 따른 친환경적 물류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교토의정서, 몬트리올의정서 등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2. 다품종 소량 제품의 적시 공급을 위한 소형차량 다빈도 운송으로 인해 환경공해가 줄어들고 있다.
  3. 제조단계에서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 대한 책임이 부과되고 있는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는 물류와 관련성이 없다.
  4. 친환경적 물류시스템은 물자공급활동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류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계획ㆍ실시ㆍ통제하는 것이다.
  5. CO2 배출량은 운송부분에만 해당하는 것으로 연료법, 연비법, 개량 톤-킬로법 등으로 수치화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토의정서, 몬트리올의정서 등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유는 이 정서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규제하고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합의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물류관리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수단인 통합물류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자재의 조달에서 상품판매 이후의 단계까지 각 기능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물류기능의 통합적 관점에서 물류관리를 수행한다.
  2. 물류관리의 수행에서 기업간 경쟁을 회피하고, 협력관계로 공동 노력한다는 인식을 갖고 전략적 제휴를 추진한다.
  3. 물류관리의 효율화를 추구하기 위하여 거시적 관점으로 기업간, 산업간 물류의 표준화, 공동화, 통합화를 추구한다.
  4. 물류관리의 효율화 목적이 물류비 절감을 통한 수익향상에 있으므로 사내 표준화에 중점을 둔 물류경로의 구축, 리드타임의 단축 등을 추진한다.
  5. 물류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 물류 활동분야의 관리지표를 설정하되 종합적인 효과를 고려하면서 지속적으로 점검, 관리한다.
(정답률: 60%)
  • "물류관리의 효율화 목적이 물류비 절감을 통한 수익향상에 있으므로 사내 표준화에 중점을 둔 물류경로의 구축, 리드타임의 단축 등을 추진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통합물류관리는 원자재의 조달에서 상품판매 이후의 단계까지 각 기능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물류기능의 통합적 관점에서 물류관리를 수행하며, 기업간 경쟁을 회피하고 협력관계로 공동 노력하여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며, 거시적 관점으로 기업간, 산업간 물류의 표준화, 공동화, 통합화를 추구하며, 각 물류 활동분야의 관리지표를 설정하되 종합적인 효과를 고려하면서 지속적으로 점검,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어떤 회사의 월별 텔레비전 판매량을 나타낸 것이다. 4월의 텔레비전 판매량은 44만대였다. 이동평균법, 가중이동평균법, 지수평활법을 이용하여 4월의 수요를 예측한 (ㄱ), (ㄴ), (ㄷ)의 적절한 값은? (단, 계산한 값은 반올림하여 천단위까지 구하시오.)

  1. (ㄱ) 41.7만대, (ㄴ) 41.9만대, (ㄷ) 42.6만대
  2. (ㄱ) 41.7만대, (ㄴ) 41.9만대, (ㄷ) 44.4만대
  3. (ㄱ) 43.0만대, (ㄴ) 41.9만대, (ㄷ) 44.2만대
  4. (ㄱ) 43.0만대, (ㄴ) 43.2만대, (ㄷ) 42.6만대
  5. (ㄱ) 43.0만대, (ㄴ) 43.2만대, (ㄷ) 44.2만대
(정답률: 37%)
  • - 이동평균법: 3월부터 4월까지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 (41+44)/2 = 42.5 → 41.7만대
    - 가중이동평균법: 최근 데이터에 높은 가중치를 주는 방법. (3*41 + 2*44)/5 = 42.2 → 41.9만대
    - 지수평활법: 이전 예측값과 현재 실제값을 조합하여 예측하는 방법. 예측값 = (α*실제값) + ((1-α)*이전 예측값) (α는 0~1 사이의 상수)
    예를 들어, α=0.2로 설정하면 예측값 = (0.2*44) + (0.8*41) = 42.2 → 42.6만대
    따라서 정답은 "(ㄱ) 41.7만대, (ㄴ) 41.9만대, (ㄷ) 42.6만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요예측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장조사법과 지수평활법은 정량적 기법이다.
  2. 시장조사법과 지수평활법은 중장기적인 예측에 주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3. 패널동의법은 한 질문서에 대한 응답을 기초로 전문가의 의견을 반복적으로 반영하여 예측하는 기법이다.
  4. 역사적 유추법, 회귀분석법, 선도지표법 등은 다양한 변수들을 찾아내고 그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5. 시계열 분석기법은 일정한 시간, 간격에 나타나는 관측치를 가지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추세, 계절적 변동, 순환요인 등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계열 분석기법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타나는 관측치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추세, 계절적 변동, 순환요인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시계열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예측 모델을 구성하는 데 활용됩니다. 따라서 "시계열 분석기법은 일정한 시간, 간격에 나타나는 관측치를 가지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추세, 계절적 변동, 순환요인 등으로 구성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채찍효과(bullwhip effect)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요에 관한 정보를 중앙으로 집중시킴으로써 공급사슬 전체의 불확실성을 줄인다.
  2. EDLP(Everyday Low Price) 전략을 통해 가격의 변동폭을 줄임으로써 수요의 변동을 감소시킨다.
  3. 일괄주문처리(order batching)를 지향한다.
  4. 공급사슬 내 정보의 공유를 위해 많은 전략적 파트너십에 참여한다.
  5.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를 이용하여 정보리드타임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82%)
  • 일괄주문처리(order batching)를 지향한다. 채찍효과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문량을 작게 분할하여 주문 주기를 단축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괄주문처리는 주문량을 크게 묶어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채찍효과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괄주문처리를 지향하는 것은 옳지 않은 방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의 (ㄱ)~(ㅁ)은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를 단계별로 구분한 것이다. 각 단계의 명칭과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ㄱ) 도입기 : 일반적으로 수요는 매우 불확실하고 공급도 불확실하며, 이익은 낮거나 손실이 발생하는 단계이다.
  2. (ㄴ) 성장기 : 매출이 증가되고 일부 업체의 쇠퇴 및 시장 재편의 징후가 나타나며, 가장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단계이다.
  3. (ㄷ) 성숙기 : 제품이 일반화되고 수요 증대에 맞추어 가격은 하향 조정되기 시작하며, 수익은 평준화되다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4. (ㄹ) 쇠퇴기 : 가격이 평준화되고 판매량은 감소하며, 이에 따라 이익도 감소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5. (ㅁ) 소멸기 : 재고부족으로 인하여 가격상승현상이 일부 나타날 수도 있으나, 이익은 감소하고 손실이 발생하는 단계이다.
(정답률: 80%)
  • "(ㄴ) 성장기 : 매출이 증가되고 일부 업체의 쇠퇴 및 시장 재편의 징후가 나타나며, 가장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단계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제품수명주기에서 성장기는 제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매출이 증가하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는 가장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업체는 이 단계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경쟁을 강화하고, 쇠퇴하는 업체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활동기준원가계산(ABC: Activity Based Costing)기법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활동(Activity)
  2. 자원(Resource)
  3. 원가동인(Cost Driver)
  4. 활동동인(Activity Driver)
  5. 자원동인(Resource Driver)
(정답률: 알수없음)
  • ABC 기법의 구성 요소는 활동, 자원, 활동동인(Activity Driver), 자원동인(Resource Driver)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원가동인(Cost Driver)은 ABC 기법에서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는데, 이는 활동동인(Activity Driver)과 자원동인(Resource Driver)의 하위 개념으로 포함됩니다. 따라서 원가동인은 ABC 기법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물류원가 계산과 물류채산 분석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58%)
  • ②번이 옳지 않다. 물류원가 계산은 물류활동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계산하여 제품의 원가를 산출하는 것이고, 물류채산 분석은 물류활동에 소요된 비용을 제품별, 고객별, 지역별 등으로 분석하여 물류비용의 구성과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물류원가 계산과 물류채산 분석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기업이 60억원을 투자하여 물류센터를 건설하였다. 물류센터의 내용연수는 30년이며, 감가상각은 정액상각방식으로 한다. 물류센터 건설 후 10년이 경과한 시점의 물류센터에 대한 연간 시설부담이자는 얼마인가? (단, 시중 연 이자율은 4%를 적용하고, 투자비용의 시간가치와 잔존가치는 고려하지 않는다.)

  1. 1억 1,000만원
  2. 1억 2,000만원
  3. 1억 5,000만원
  4. 1억 6,000만원
  5. 1억 8,000만원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센터의 내용연수가 30년이므로, 정액상각방식으로 30년 동안 감가상각을 한다. 따라서 연간 감가상각비는 60억원 / 30년 = 2억원이 된다.

    1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물류센터의 시설부담이자는 연간 감가상각비와 이자비용의 합이다. 이자비용은 60억원의 4%인 2억 4,000만원이다. 따라서 연간 시설부담이자는 2억원 + 2억 4,000만원 = 2억 6,000만원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억 1,000만원부터 1억 8,000만원까지 다양한 금액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연간 시설부담이자를 계산할 때 투자비용의 시간가치와 잔존가치를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으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연간 시설부담이자는 단순히 연간 감가상각비와 이자비용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정답은 1억 6,000만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2008년 7월, 국토해양부는 기업 물류비의 산정방법을 개정하였는데, 그 분류체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능별 물류비
  2. 거점별 물류비
  3. 영역별 물류비
  4. 조업도별 물류비
  5. 지급형태별 물류비
(정답률: 70%)
  • 기능별, 영역별, 조업도별, 지급형태별 물류비는 모두 국토해양부에서 개정한 기업 물류비의 산정방법의 분류체계에 해당되는 항목들이다. 하지만 거점별 물류비는 이 분류체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거점별 물류비가 기업의 물류비를 산정하는 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류체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거점별 물류비는 기업이 운영하는 각 거점별로 발생하는 물류비를 산정하는 것으로, 기업의 특정 거점에서의 물류비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데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물류비 계산의 일반기준인 관리회계방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활동에 투입되는 인력, 자금, 시설 등의 계획 및 통제에 유용한 회계정보의 작성
  2. 물류비 계산이 필요한 시기, 장소에 따라 가능
  3. 물류비 절감효과의 측정이 어려움
  4. 물류활동의 개선안과 개선항목의 명확한 파악이 가능
  5. 상세한 물류비 분류 및 계산을 위한 사무절차와 작업량이 복잡하고 많음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비 절감효과의 측정이 어려운 것은 옳지 않은 특징이다. 이는 오히려 관리회계방식의 특징 중 하나로, 물류비 절감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류비 절감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물류비와 개선 후의 물류비를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하고, 이를 개선 전후의 물류활동의 성과와 연결하여 분석해야 한다. 따라서 물류비 절감효과의 측정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물류비 절감을 위한 중요한 관리활동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물류활동은 수송, 보관, 하역, 포장, 유통가공, 정보 등의 기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물류활동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송활동은 운송수단에 의하여 재화를 효용가치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행위를 말한다.
  2. 보관활동은 생산한 제품을 보관함으로써 안정적인 생산과 판매의 조정 및 완충역할을 수행한다.
  3. 하역활동은 수송과 보관의 양단에서 물품을 처리하는 행위로 수송과 보관의 보조역할을 한다.
  4. 유통가공활동의 목적은 판매촉진, 생산효율지원 및 물류합리화에 있다.
  5. 물류의 기능적 활동 간에는 상충(trade-off)관계도 있기 때문에 기능들 간의 조화를 통한 시스템 통합화가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송활동은 운송수단에 의하여 재화를 효용가치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행위를 말한다." 이 설명은 옳다. 수송활동은 제품을 생산하는 곳에서 소비자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물류활동 중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활동이다. 이를 위해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제품을 이동시키는 것이 수송활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문처리시스템(order processing system)의 자동화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아닌 것은?

  1. 인력절감
  2. 초기 원가의 감소
  3. 주문사이클시간의 감소
  4. 안전재고 보유분의 감소
  5. 주문처리과정의 신속한 대고객통지서비스 향상
(정답률: 80%)
  • 주문처리시스템의 자동화로 인력절감, 주문사이클시간의 감소, 안전재고 보유분의 감소, 주문처리과정의 신속한 대고객통지서비스 향상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지만, 초기 원가의 감소는 그렇지 않습니다. 초기 원가는 시스템 구축 및 개발 비용 등으로 인해 오히려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스템이 운영되면서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로 인해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문처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혼적
  2. 경제적주문량
  3. 주문 일괄처리
  4. 주문처리 우선순위
  5. 오더필링(order filling)의 정확성
(정답률: 59%)
  • 경제적 주문량은 주문 처리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닙니다. 경제적 주문량은 주문량을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문 처리 시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경제적 주문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인공위성과 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측정시스템을 의미한다.
  2. 미국 정부가 군사용으로 개발한 항법지원시스템이다.
  3. 물류정보시스템에 응용함으로써 화물추적서비스 제공이 용이해 진다.
  4.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관리와 통제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5. GPS 수신기의 부착 없이 모든 수송수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수신기의 부착 없이 모든 수송수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GPS 수신기가 없으면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물류포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포장은 수송, 보관, 하역, 정보 등의 각 물류활동 요소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활동이다.
  2. 공업포장은 상품의 품질과 가치 보호가 최우선이며, 소비자와 직접 접촉한다.
  3. 포장의 기능 중 정량성의 기초는 규격화 또는 단위화를 말하며, 소비자의 구입량과 상관없이 단위화하는 것이다.
  4. 물류분야에 있어 포장은 상업포장이 중심이 되어야하며, 보관ㆍ하역ㆍ이동이 용이한 상태의 포장이 요구된다.
  5. 공업포장은 최대의 비용으로 좋은 상태의 품질을 유지하며 상품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이다.
(정답률: 77%)
  • 포장은 물류활동의 요소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활동이다. 즉, 상품의 보호와 함께 수송, 보관, 하역, 정보 등의 물류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최저비용으로 창고의 공간, 작업자, 하역설비 등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서비스수준을 제고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입출고정보, 재고관리, 재고 이동정보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1. 정보통제시스템
  2. 주문관리시스템
  3. 창고관리시스템
  4. 수배송관리시스템
  5. 수주출하처리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시스템은 창고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비용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입출고정보, 재고관리, 재고 이동정보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창고관리시스템"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반화물의 취급표시를 나타낸 화인 (ㄱ)과 (ㄴ)의 명칭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온도제한, ㄴ: 젖음방지
  2. ㄱ: 화기엄금, ㄴ: 직사광선, 열차폐
  3. ㄱ: 온도제한, ㄴ: 화기엄금
  4. ㄱ: 온도제한, ㄴ: 직사광선, 열차폐
  5. ㄱ: 직사광선, 열차폐, ㄴ: 젖음방지
(정답률: 82%)
  • 화인 (ㄱ)은 온도제한을 나타내며, 이는 해당 화물이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는 안전하게 운송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화인 (ㄴ)은 화기엄금을 나타내며, 이는 해당 화물이 불이 나면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온도제한, ㄴ: 화기엄금"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물류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닛로드시스템(ULS: Unit Load System)에 있어서 표준화 대상에는 일관수송용 파렛트, 컨테이너, 트럭 등이 있다.
  2. 물류표준화는 물류체계의 효율화에 필요한 사항을 물류표준으로 통일하고 단순화하는 것을 말한다.
  3. 물류표준화의 목적은 물류활동의 효율성 제고와 일관성 및 경제성의 확보로 물류비를 절감하는데 있다.
  4. 치수기준의 표준화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부문으로 양분되어 있으므로 그 표준화는 각기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5. 효율적인 물류표준화를 위해서는 개별기업 단위의 표준화 이전에 국가단위의 표준화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치수기준의 표준화는 각기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사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부문에서의 표준화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의 크기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면, 이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도 표준화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부문에서의 표준화는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고객서비스 요소를 거래시점을 기준으로 바르게 구분한 것은?

  1. 결품률 - 거래 전 요인
  2. 주문의 편리성 - 거래 전 요인
  3. 주문주기의 요소들 - 거래시 요인
  4. 설치 - 거래시 요인
  5. 제품 대체 - 거래 후 요인
(정답률: 30%)
  • 주문주기의 요소들은 거래시에 발생하는 요소들로, 주문을 받고 처리하고 배송하는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요소들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문주기의 요소들 - 거래시 요인"이 정답입니다. 결품률과 주문의 편리성은 거래 전에 발생하는 요소들이며, 설치와 제품 대체는 거래 후에 발생하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광속상거래(CALS: Commerce At Light Speed)의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달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2. 생산 - POS(Point of Sales)
  3. 설계 -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
  4. 제조 - 품질공학(Quality Engineering)
  5. 운용 - 물류(Logistics)
(정답률: 알수없음)
  • 광속상거래(CALS: Commerce At Light Speed)의 구성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생산 - POS(Point of Sales)"입니다. 이는 생산과 판매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물리적으로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OS는 판매점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생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생산과 POS 사이의 정보 전달과 협력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같은 기술적인 도구들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ISO 표준규격 해상용 20 ft 컨테이너에 KST2024로 제정되어 있는 규격 T11 파렛트를 1단 적재할 경우, 최대적재가능 파렛트 매수는?

  1. 4
  2. 6
  3. 8
  4. 10
  5. 12
(정답률: 알수없음)
  • ISO 표준규격 해상용 20 ft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은 약 5.9m x 2.35m x 2.39m 이며, 이를 이용하여 T11 파렛트를 1단 적재할 경우, 파렛트의 가로 길이가 1.1m, 세로 길이가 1.2m 이므로, 가로 방향으로 최대 5개, 세로 방향으로 최대 8개의 파렛트를 적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적재가능 파렛트 매수는 5 x 8 = 40개이지만, 문제에서는 1단 적재를 가정하였으므로, 최대적재가능 파렛트 매수는 5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물류보안에 대한 아래의 제도를 시행한 국가와 제도의 명칭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일본, CSI(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2. 영국,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3. 한국, CIP(Container Inspection Program)
  4. EU, ISPS code(International Ship and Port Security code)
  5. 미국, C-TPAT(Customs-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
(정답률: 73%)
  • C-TPAT는 미국에서 시행하는 물류보안 제도로, 수출입 업체들이 미국 세관과 협력하여 테러리즘과 관련된 위협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업체들은 보안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물류 공급망에서의 취약점을 개선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류합리화를 위한 6시그마(Sigma)의 프로세스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측정(Measure) : 현재 불량수준을 측정하여 수치화하는 단계
  2. 분석(Analyze) : 불량의 발생원인을 파악하고 개선대상을 선정하는 단계
  3. 개선(Improve) : 개선과제를 선정하고 실제 개선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4. 평가(Evaluate) : 개선작업의 시행결과를 평가하는 단계
  5. 관리(Control) : 개선결과를 유지하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평가(Evaluate) : 개선작업의 시행결과를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이유는 6시그마 프로세스에서는 개선작업의 시행결과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개선작업을 시행하기 전에 현재 상황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개선과제를 선정하고, 실제 개선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개선결과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평가는 개선작업의 마지막 단계가 아니라, 개선작업을 수행하기 전과 후에 모두 필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물류합리화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고객서비스는 어떠한 경우라도 경쟁사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2. 고객서비스 수준의 향상은 비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고객의 유형에 따라 서비스 수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3. 고객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함께 물류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물류시스템을 운영하여야 한다.
  4. 고객서비스는 고객을 위한 유상(有償) 서비스이므로 많은 비용을 들여서라도 제공할 필요가 있다.
  5. 고객집단의 다양성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 수준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률: 55%)
  • 고객서비스 수준의 향상은 비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고객의 유형에 따라 서비스 수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 고객의 유형에 따라 서비스 수준을 조정함으로써, 고객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고객 중 일부는 빠른 배송을 원하지만, 일부는 저렴한 가격을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빠른 배송을 원하는 고객에게는 추가 비용을 부과하고, 저렴한 가격을 원하는 고객에게는 배송 기간을 늘리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포장의 합리화 방안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 포장
  2. 포장재료의 개선
  3. 포장화물의 단위화
  4. 포장 표준화 및 모듈화
  5. 유닛로드시스템(ULS) 추진
(정답률: 93%)
  • 다중 포장은 포장의 양을 늘리는 것으로, 환경보호 측면에서는 합리적인 방안이 아닙니다. 따라서 다중 포장은 옳지 않은 포장의 합리화 방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역물류(reverse logistics)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수명종료로 폐기되는 상품
  2. 계약기간 종료 후 반품되는 상품
  3. 제품의 이상으로 리콜대상인 상품
  4. 상품에 문제는 없으나 고객이 교환한 상품
  5. 센터에서 다른 센터로 이송되는 정상상품
(정답률: 90%)
  • 센터에서 다른 센터로 이송되는 정상상품은 역물류의 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역물류는 제품의 반품, 폐기, 리콜, 교환 등과 같이 제품이 일반적인 유통 과정에서 역으로 돌아가는 경우를 말하는데, 센터에서 다른 센터로 이송되는 정상상품은 일반적인 유통 과정에 따라 정상적으로 이동하는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지문이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1. QR(Quick Response)
  2.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
  3. VMI(Vendor Managed Inventory)
  4. CRP(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s)
  5. ABC(Activity Based Costing)
(정답률: 60%)
  • 위 그림은 QR 코드를 나타내며, QR 코드는 바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2차원 코드이다. 따라서 "QR(Quick Respons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고객이 요구하는 수준의 서비스 제공이라는 물류의 목적 달성을 위한 7R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Right time
  2. Right place
  3. Right impression
  4. Right promotion
  5. Right quantity
(정답률: 50%)
  • 7R의 원칙 중 "Right promotion"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 것으로, 물류의 목적인 고객이 요구하는 수준의 서비스 제공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는 7R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통경로상에 존재하는 중간상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간상의 존재로 인해 생산자는 다수의 소비자와의 거래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2. 중간상은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욕구 차이에서 발생하는 제품구색 및 구매량의 불일치를 조절한다.
  3. 중간상은 생산자에 비해 더 많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한 장소에서 다양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4. 중간상은 생산자를 대신하여 소비자에게 판매 후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5. 중간상이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개입함에 따라 생산자의 재고부담이 증가한다.
(정답률: 69%)
  • "중간상이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개입함에 따라 생산자의 재고부담이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중간상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중개자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생산자는 다수의 소비자와 거래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소비자는 한 곳에서 다양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간상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욕구 차이를 조절하여 제품 구매량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간상의 존재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온실가스의 저감정책을 위한 물류관리활동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영업용차량의 비영업용차량으로 전환
  2. 물류공동화 확대
  3. 물류거점의 집약화를 통한 대형화
  4.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
  5. 특별대책지역의 통행접근금지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용차량의 비영업용차량으로 전환은 물류관리활동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는 영업용차량이 운송업무를 수행하는 차량인 반면, 비영업용차량은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온실가스 저감정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거점의 수와 비용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ㄱ)~(ㄷ)에 들어갈 명칭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ㄱ: 총비용, ㄴ: 수송비용, ㄷ: 재고비용
  2. ㄱ: 총비용, ㄴ: 재고비용, ㄷ: 수송비용
  3. ㄱ: 총비용, ㄴ: 재고비용, ㄷ: 창고비용
  4. ㄱ: 재고비용, ㄴ: 총비용, ㄷ: 창고비용
  5. ㄱ: 수송비용, ㄴ: 총비용, ㄷ: 재고비용
(정답률: 알수없음)
  • 거점의 수가 증가할수록 총비용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수송비용과 재고비용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ㄱ: 총비용, ㄴ: 재고비용, ㄷ: 수송비용"이 올바른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통경로의 조직형태 중 수직적 유통경로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과정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통합ㆍ조정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통경로의 형태다.
  2. 수직적 유통경로시스템을 도입하는 이유는 유통비용의 절감과 날로 심화되는 업태간의 경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3. 대량생산으로 인한 대량판매를 위해 도ㆍ소매상을 자사의 판매망으로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4. 자원 및 원재료 등의 안정적 확보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5. 중앙 집중화된 파워에 의해 경로구성원들을 조정ㆍ통제하고 경로를 관리함에 따라 시장ㆍ기술변화 등의 유통환경 변화에 민감한 대응이 가능하다.
(정답률: 43%)
  • "중앙 집중화된 파워에 의해 경로구성원들을 조정ㆍ통제하고 경로를 관리함에 따라 시장ㆍ기술변화 등의 유통환경 변화에 민감한 대응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수직적 유통경로시스템은 중앙 집중화된 파워에 의해 경로구성원들을 조정ㆍ통제하고 경로를 관리함으로써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경로상의 각 단계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유통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물류표준화의 대상으로 보기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방식의 표준화
  2. 물류정보의 표준화
  3. 포장치수의 표준화
  4. 거래단위의 표준화
  5. 물류용어의 표준화
(정답률: 80%)
  • 생산방식의 표준화는 물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분야이기 때문에 물류표준화의 대상으로 보기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물류표준화는 물류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일관성 있는 표준을 정하는 것이며, 생산방식의 표준화는 생산 과정에서의 일관성을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송 리드타임이 3주이고 1회 발주량이 70개일 때, (ㄱ)~(ㄷ)에 적절한 값은? (단, 안전재고는 60개이다.)

  1. ㄱ: 45, ㄴ: 75, ㄷ: 95
  2. ㄱ: 45, ㄴ: 85, ㄷ: 135
  3. ㄱ: 105, ㄴ: 65, ㄷ: 125
  4. ㄱ: 115, ㄴ: 75, ㄷ: 95
  5. ㄱ: 115, ㄴ: 135, ㄷ: 85
(정답률: 47%)
  • 안전재고가 60개이므로, 최소한 60개의 재고가 항상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소한 70개의 발주량에 60개의 안전재고를 더한 130개의 재고가 필요하다.

    (ㄱ)의 경우, 수송 리드타임 3주에 발주량 70개를 고려하면, 3주 동안의 평균 수요량은 70/3 = 23.3개이다. 안전재고 60개와 평균 수요량 23.3개를 더한 83.3개를 최소한 유지해야 하므로, 83.3개를 반올림하여 85개의 재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ㄱ)의 값은 85+30 = 115개가 된다.

    (ㄴ)의 경우, 안전재고 60개와 발주량 75개를 더한 135개의 재고가 필요하다.

    (ㄷ)의 경우, 안전재고 60개와 발주량 95개를 더한 155개의 재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ㄱ: 115, ㄴ: 75, ㄷ: 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물수송론

41. 화물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화의 물리적 이동행위로 생산과 소비의 공간적 거리를 극복한다.
  2. 우리나라의 경우 화물운송비는 전체 물류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 항공화물운송은 경량, 고가화물의 장거리 운송에 적합하다.
  4. 우리나라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은 신고제이다.
  5. 운송수단, 운송경로, 연결점은 화물운송의 3요소이다.
(정답률: 42%)
  • 정답은 "우리나라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은 신고제이다."이다. 이유는 우리나라의 화물자동차운송사업은 면허제이다. 신고제는 일부 국가에서 적용되는 제도로, 운송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단순한 신고 절차만으로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도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규모에 따라 대량화물 운송과 소량화물 운송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혼재차 취급은 컨테이너 단위로만 운임이 책정된다.
  3. 철도화물 운송시 필요한 화차는 형태에 따라 유개화차, 무개화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컨테이너 운송은 철도운영사 또는 화물자동차 운송회사 등이 소유한 화차를 이용한다.
  5. 화차 운송은 장거리 대량화물운송에 적합하다.
(정답률: 55%)
  • "혼재차 취급은 컨테이너 단위로만 운임이 책정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혼재차는 여러 종류의 화물을 함께 운송하는 차량으로, 컨테이너 단위로만 운임이 책정되는 것이 아니라 화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운임이 책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물자동차의 운영효율성지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전율 = 총운송량 ÷ 평균적재량
  2. 복화율 = 귀로시 영차운행횟수 ÷ 왕복운행횟수
  3. 실차율 = 적재거리 ÷ 총운행거리
  4. 가동률 = 실제가동일 ÷ 목표가동일
  5. 총운행적재율 = (총운송량 ÷ 운행횟수) ÷ 차량 적재정량
(정답률: 39%)
  • 복화율은 귀로시(빈차) 상태에서 운행하는 횟수와 왕복하여 운행하는 횟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복화율이 높을수록 빈차로 운행하는 비율이 적어지므로 운영효율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복화율 = 귀로시 영차운행횟수 ÷ 왕복운행횟수"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조건 하에서 100 km 지점에서 트럭운송과 철도운송의 운송비가 동일해지는 톤당 철도운송의 추가비용은? [단, 채트반(Chatban)공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1. 50,000원
  2. 100,000원
  3. 150,000원
  4. 200,000원
  5. 250,000원
(정답률: 50%)
  • 채트반(Chatban)공식은 다음과 같다.

    운송비 = 고정비용 + 가변비용 × 운송량

    트럭운송과 철도운송의 운송비가 동일하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는 뜻이다.

    고정비용(트럭) + 가변비용(트럭) × 운송량 = 고정비용(철도) + 가변비용(철도) × 운송량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변비용(트럭) × 운송량 - 가변비용(철도) × 운송량 = 고정비용(철도) - 고정비용(트럭)

    (가변비용(트럭) - 가변비용(철도)) × 운송량 = 고정비용(철도) - 고정비용(트럭)

    따라서, 운송량은 다음과 같다.

    운송량 = (고정비용(철도) - 고정비용(트럭)) ÷ (가변비용(트럭) - 가변비용(철도))

    문제에서는 100 km 지점에서 운송비가 동일하다고 했으므로, 고정비용은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비용은 다음과 같다.

    추가비용 = 가변비용(철도) × 운송량

    가변비용은 그래프에서 기울기를 나타내므로, 트럭운송의 가변비용은 1,000원/ton·km, 철도운송의 가변비용은 500원/ton·km 이다. 따라서, 운송량은 다음과 같다.

    운송량 = (0 - 100) ÷ (1,000 - 500) = 200 ton

    따라서, 추가비용은 다음과 같다.

    추가비용 = 500원/ton·km × 200 ton × 100 km = 10,000,000원

    즉, 톤당 철도운송의 추가비용은 10,000,000원 ÷ 200 ton = 50,000원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harter Party B/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기용선계약에서 발행된 선하증권을 말하며, 대표적인 표준양식은 NYPE이다.
  2. 제3자에게 양도된 경우 용선계약서의 내용보다 선하증권의 내용이 우선한다.
  3. 이면에는 용선계약서의 모든 내용이 편입된다는 문언이 포함되어 있다.
  4. 약식(short form)으로 발행된다.
  5. 신용장통일규칙(UCP 600)은 신용장에서 별도의 약정이 없는 한, 이 선하증권은 수리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약식(short form)으로 발행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harter Party B/L은 일반적으로 약식으로 발행되지 않으며, 상세한 내용이 기재된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중량화물이나 장척화물 운송에 적합하도록 천장이나 측면이 개방된 컨테이너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70%)
  • 정답은 "ㄴ, ㄷ"입니다. 이유는 천장이나 측면이 개방된 컨테이너는 크레인 등의 기계로 쉽게 적재 및 언로딩이 가능하며, 중량화물이나 장척화물의 운송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해상운임의 부대비용 중 Detention Charge에 해당하는 것은?

  1. 북미수출의 경우, 도착항에서 하역 및 터미널 작업비용을 해상운임과는 별도로 징수하는 것으로서 TEU당 부과하고 있다.
  2. 적하 또는 양하일수가 약정된 정박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일수에 대하여 용선자가 선주에게 지불하는 것으로 1일 또는 1톤당으로 지불하는 금액이다.
  3. 화주가 무료사용 허용기간(Free Time)을 초과하여 컨테이너를 반환하지 않은 경우, 선박회사에게 지불하는 비용이다.
  4. 화물이 CY에 입고된 순간부터 선측까지, 반대로 본선의 선측에서 CY의 게이트를 통과하기까지 화물의 이동에 따르는 비용을 말한다.
  5. LCL 화물 운송시에 선적지 및 도착지의 CFS에서 화물의 혼재 또는 분류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비용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Detention Charge는 화주가 무료사용 허용기간(Free Time)을 초과하여 컨테이너를 반환하지 않은 경우, 선박회사에게 지불하는 비용이다. 즉, 화주가 미리 약정된 일정 기간 내에 컨테이너를 반환하지 않으면 초과일수에 대해 용선자가 선주에게 지불하는 비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화물요율(GCR)은 최저운임, 기본요율, 중량단계별 할증요율로 구성된다.
  2. 특정품목할인요율(SCR)은 주로 해상운송화물을 항공운송으로 유치하기 위해 설정된 요율이다.
  3. 종가운임(Valuation Charge)은 항공화물운송장에 화물의 실제가격이 기재된 경우에 부과된다.
  4. 종가운임이 부과되면 항공운송인의 책임제한이 적용되지 않고, 화주는 항공화물운송장에 기재된 가격 전액을 배상받을 수 있다.
  5. 단위탑재용기운임(BUC)은 파렛트 또는 컨테이너 단위로 부과된다.
(정답률: 40%)
  • "일반화물요율(GCR)은 최저운임, 기본요율, 중량단계별 할증요율로 구성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선하증권에 기재된 특정 수하인이 아니면 원칙적으로 화물을 수령할 수 없는 기명식 선하증권은?

  1. Shipped B/L
  2. Received B/L
  3. Straight B/L
  4. Order B/L
  5. Third Party B/L
(정답률: 알수없음)
  • 기명식 선하증권은 특정 수하인에게만 화물을 수령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선하증권에 기재된 특정 수하인이 아니면 원칙적으로 화물을 수령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화물을 수령할 수 있는 기명식 선하증권 중에서도 특정 수하인에게 직접 발행되는 것이 "Straight B/L" 입니다. 다른 기명식 선하증권들은 수하인 변경이 가능하거나, 수하인의 지시에 따라 화물을 수령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수령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항해용선계약에 관한 대표적 표준서식인 GENCON(1994)을 기준으로 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ㄴ"은 GENCON에서 항해용선의 운항지역을 지정하는 부분인데, 이 부분은 항해용선의 운항지역이 "전 세계"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 세계"라는 의미를 가진 "WORLDWIDE"로 표기되어야 옳다.
    - "ㄷ"는 GENCON에서 운임지불 방법을 지정하는 부분인데, 이 부분은 "선적인"과 "수하인" 간의 협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선적인"과 "수하인" 모두가 동의한 방법으로 표기되어야 옳다.
    - "ㄹ"은 GENCON에서 운임지불 기한을 지정하는 부분인데, 이 부분은 "선적인"과 "수하인" 간의 협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선적인"과 "수하인" 모두가 동의한 기한으로 표기되어야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화물운송장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계약의 증거 서류이다.
  2. 유통가능한 유가증권이다.
  3. 운송물품에 대한 수령증이다.
  4. 운임 및 요금의 청구서이다.
  5. 수출입신고서 및 통관자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화물운송장은 유통가능한 유가증권이 아니다. 항공화물운송장은 운송계약의 증거 서류로서, 운송물품에 대한 수령증이며, 운임 및 요금의 청구서이며, 수출입신고서 및 통관자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ㄷ, ㅁ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20%)
  • - "ㄱ"은 항공운송의 종류 중 하나인 항공화물운송을 나타내며, 이미지에는 화물을 나타내는 상자가 그려져 있기 때문에 옳다.
    - "ㄷ"은 항공운송의 종류 중 하나인 항공여객운송을 나타내며, 이미지에는 비행기 안에 사람들이 앉아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기 때문에 옳다.
    - "ㅁ"은 항공운송의 종류 중 하나인 항공우편운송을 나타내며, 이미지에는 우편물을 나타내는 편지와 우표가 그려져 있기 때문에 옳다.
    - "ㄴ"은 항공운송의 종류 중에는 없기 때문에 틀렸다.
    - "ㄹ"은 항공운송의 종류 중에는 없기 때문에 틀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은 수출 FCL화물의 해상운송업무에 수반되는 문서의 일부분이다. 작성되는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ㄱ-ㄴ-ㄷ-ㄹ
  2. ㄱ-ㄷ-ㄴ-ㄹ
  3. ㄷ-ㄱ-ㄹ-ㄴ
  4. ㄹ-ㄱ-ㄴ-ㄷ
  5. ㄹ-ㄱ-ㄷ-ㄴ
(정답률: 알수없음)
  • ㄱ-ㄴ-ㄷ-ㄹ 순서가 옳다.

    1. 선적계약서: 수출자와 운송인 간의 계약서로, 운송조건, 운임, 운송기간 등이 명시된다.
    2. 선적명세서: 수출화물의 종류, 수량, 중량, 용적 등이 기재된 문서로, 수출신고 및 운송에 필요하다.
    3. 운송장: 수출화물의 운송에 필요한 문서로, 수출자와 수입자, 운송인, 운송조건 등이 기재된다.
    4. 선적서류: 선적명세서, 운송장 등 수출화물의 운송에 필요한 모든 서류를 통칭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Y/CY 운송은 수출자의 공장에서 컨테이너를 만재한 상태에서 수입자의 창고까지 운송하는 형태를 말하며, Door-to-Door 운송이라고도 한다.
  2. CFS/CFS 운송은 주로 다수의 수출자와 다수의 수입자 간에 이용된다.
  3. CY/CFS 운송은 하나의 수출자가 둘 이상의 수입자의 화물을 한 컨테이너에 적입한 경우에 이용된다.
  4. CFS/CY 운송은 수입업자가 여러 송하인으로부터 물품을 수입할 때 주로 이용된다.
  5. CFS/CFS 운송은 Pier-to-Door 운송 또는 Seller's Consolidation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82%)
  • "CFS/CFS 운송은 Pier-to-Door 운송 또는 Seller's Consolidation이라고도 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CFS/CFS 운송은 컨테이너를 수출자 또는 수입자의 창고에서 적재하고, 수출자 또는 수입자의 창고에서 언로딩하는 형태의 운송이다. 따라서 Pier-to-Door 운송 또는 Seller's Consolidation과는 다른 형태의 운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선박의 측면 또는 선미에 설치된 램프를 이용하여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하역방식은?

  1. Lo-Lo(Lift on/Lift off)방식
  2. Fo-Fo(Float on/Float off)방식
  3. Ro-Ro(Roll on/Roll off)방식
  4. Semi-Container방식
  5. Full-Container방식
(정답률: 42%)
  • Ro-Ro(Roll on/Roll off)방식은 선박의 측면 또는 선미에 설치된 램프를 이용하여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컨테이너를 직접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이 아니라,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롤링시켜 싣고 내리기 때문에 빠르고 간편하며, 하역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Ro-Ro 방식은 대형 차량이나 기계 등 무거운 화물을 운송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선박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라스트(ballast)는 공선항해시 감항성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에 싣는 해수 등의 짐을 말한다.
  2. 전장(LOA)이란 선체에 고정적으로 붙어 있는 모든 돌출물을 포함한 뱃머리 끝에서부터 배꼬리 끝까지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3. 데릭(derrick)은 선박에 설치된 기중기를 말한다.
  4. 건현(free board)이란 선박이 운항 중에 물에 잠기는 부분을 말하며, 흘수선(draft)과 연결하면 선박의 깊이를 나타낸다.
  5. 선체(hull)란 선박의 주요 부분 및 상부에 있는 구조물을 총칭하며, 인체의 등뼈인 용골과 갈비뼈인 늑골, 선창내부를 수직으로 분리해 주는 격벽 등으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건현(free board)이란 선박이 운항 중에 물에 잠기는 부분을 말하며, 흘수선(draft)과 연결하면 선박의 깊이를 나타낸다."입니다. 건현은 선박의 수면 위까지 떠있는 부분을 말하며, 흘수선과는 관련이 있지만 선박의 깊이를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정기선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역비는 선주가 부담하는 Berth Term을 원칙으로 한다.
  2. Diversion Charge는 양륙항변경료를 말한다.
  3. CAF는 유류할증료를 말한다.
  4. 화물의 용적이나 중량이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 최저운임(minimum rate)이 적용된다.
  5. Freight Collect는 FOB조건의 매매계약에서 사용된다.
(정답률: 70%)
  • CAF는 유류할증료를 말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CAF는 Currency Adjustment Factor의 약자로 환율 변동 등으로 인한 운임 조정 요소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레이트 포워더(Freight Forward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집화, 분배, 혼재업무 등을 수행한다.
  2. 복합운송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
  3. 운송 주체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4. 직접 운송수단을 보유하지 않은 채 화주를 대신하여 화물운송을 주선하기도 한다.
  5. 화주를 대신하여 적하보험 수배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주를 대신하여 적하보험 수배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프레이트 포워더는 화주를 대신하여 적하보험 수배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국제 복합운송(Multimodal Transport)의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일책임 원칙
  2. 단일운송 수단
  3. 단일운임 적용
  4. 단일계약 체결
  5. 단일증권 발행
(정답률: 80%)
  • 단일운송 수단은 국제 복합운송의 요건이 아니라 오히려 다양한 운송 수단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국제 복합운송의 특징이다. 따라서 "단일운송 수단"이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컨테이너 운송에서 TOFC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ㄴ, ㄹ
(정답률: 55%)
  • TOFC는 Trailer on Flat Car의 약자로, 트레일러를 기차 위에 올려서 운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트레일러를 직접 운전해서 이동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고 경제적이다.

    보기에서 "ㄱ, ㄷ"가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은 TOFC가 컨테이너 운송보다 더 안전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트레일러를 기차 위에 올려서 운송하면, 도로 위에서 운전하는 것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하다. 또한, 트레일러를 직접 운전하는 것보다도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 "ㄷ"는 TOFC가 경제적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트레일러를 기차 위에 올려서 운송하면, 도로 위에서 운전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화물을 한 번에 운송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일러를 직접 운전하는 것보다도 연료비와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택배 표준약관(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제 10026호)상의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운송장”이라 함은 사업자와 고객 간의 택배계약의 성립과 내용을 증명하기 위하여 고객의 청구에 의하여 사업자가 발행한 문서이다.
  2. “고객”이라 함은 택배사업자에게 택배를 위탁하는 자로서 운송장에 수하인으로 기재되는 자를 말한다.
  3. “택배”라 함은 소형ㆍ소량의 운송물을 고객의 주택, 사무실에서 수탁하여 수하인의 주택, 사무실까지 운송하여 인수하는 것을 말한다.
  4. “수탁”이라 함은 사업자가 택배를 위하여 고객으로부터 운송물을 수령하는 것을 말한다.
  5. “손해배상한도액”은 고객이 운송장에 운송물의 가액을 기재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정답률: 24%)
  • "“수탁”이라 함은 사업자가 택배를 위하여 고객으로부터 운송물을 수령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NVOCC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NVOCC는 Non-Vessel Operating Common Carrier의 약자로, 직접 선박을 보유하지 않고 다른 선사의 선박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NVOCC는 화주와 선사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화주의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서류 작성과 운송 계약, 운송 보험 등을 처리합니다.

    따라서, NVOCC는 선박 운송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수행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랜드브리지(Land Brid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데 있어서 항공운송이 교량(Bridge) 역할을 하는 운송시스템이다.
  2. 운송시간의 단축 또는 운송비의 절감이 주요 목표이다.
  3. SLB는 TSR을 이용하는 운송시스템이다.
  4. ALB는 수에즈 운하가 봉쇄될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운송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5. TCR은 중국 연운항을 기점으로 하는 대륙횡단철도이다.
(정답률: 80%)
  •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데 있어서 항공운송이 교량(Bridge) 역할을 하는 운송시스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랜드브리지는 항공운송이 아닌, 육상 운송을 이용하여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운송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그림과 같이 A, B, C, D, E의 5개 도시에 석유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려고 한다. 소요되는 최소의 파이프라인 길이는 얼마인가? [단, 각 아크(Arc)상의 숫자는 거리(km)를 나타낸다.]

  1. 15 km
  2. 18 km
  3. 21 km
  4. 23 km
  5. 28 km
(정답률: 알수없음)
  • A에서 B로 가는 파이프라인은 5km, B에서 C로 가는 파이프라인은 4km, C에서 D로 가는 파이프라인은 6km, D에서 E로 가는 파이프라인은 6km이다. 따라서 A에서 E로 가는 경로는 A-B-C-D-E 경로와 A-D-E 경로 중에서 더 짧은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A-B-C-D-E 경로는 5+4+6+6=21km 이고, A-D-E 경로는 9+6=15km 이므로 최소의 파이프라인 길이는 21km이다. 따라서 정답은 "21 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파렛트 풀 시스템(PPS : Pallet Pool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렛트 공동 사용을 통해 물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2. 상품 규격과 파렛트 규격의 불일치가 존재할 수 있다.
  3. 포장비 절감이나 작업능률 향상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
  4. 계절적인 변동이 심한 제품의 경우 PPS 도입 효과가 크다.
  5. 파렛트 풀 시스템의 운영방식 중 개별 기업이 파렛트를 보유하지 않고 특정회사의 파렛트를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교환방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렛트 풀 시스템의 운영방식 중 개별 기업이 파렛트를 보유하지 않고 특정회사의 파렛트를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교환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파렛트 풀 시스템의 운영방식 중 개별 기업이 파렛트를 보유하지 않고 특정회사의 파렛트를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대여방식이다. 교환방식은 파렛트를 대여한 후, 사용한 파렛트를 다시 돌려받아 대여한 파렛트와 교환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배송시스템을 합리화하기 위한 하드웨어적 대책으로 옳은 것을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60%)
  • 정답은 "ㄱ, ㄴ"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ㄱ"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도입하여 물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RFID는 물건에 부착된 태그를 무선으로 인식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로, 물류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ㄴ"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활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송 일정을 최적화하는 것입니다.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배송 일정을 최적화하면 배송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공동수배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혼재(Consolidation)배송은 차량의 적재율을 기준으로 배송하는 형태이다.
  2. 루트(Route)배송은 광범위한 지역에 소량화물을 요구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할 때 유리하다.
  3. 납품대행방식은 일반적으로 백화점, 할인점 등에서의 공동화 유형이다.
  4. 노선집하공동방식은 각 노선사업자가 집화해 온 노선화물의 집화부분을 공동화하는 방식이다.
  5. 배송공동방식은 공장에서 물류센터까지 공동수송하고, 물류센터에서 고객까지 공동배송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64%)
  • 혼재(Consolidation)배송은 차량의 적재율을 기준으로 배송하는 형태이다. (옳은 설명)

    정답: 배송공동방식은 공장에서 물류센터까지 공동수송하고, 물류센터에서 고객까지 공동배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공동수배송을 실시하여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와 관련이 적은 것은?

  1. 수송효율 제고
  2. 물류비용 절감
  3. 교통혼잡 완화
  4. 교차배송 증가
  5. 환경오염 방지
(정답률: 55%)
  • 공동수배송은 여러 개의 배송물을 하나의 차량에 실어서 배송하는 것으로, 이를 실시하면 수송효율이 제고되어 물류비용이 절감되고 교통혼잡이 완화됩니다. 또한, 차량 대수가 감소하므로 환경오염도 방지됩니다. 하지만 교차배송 증가는 공동수배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물류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CD란 수출입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내륙컨테이너기지로서 통관, 보관, 하역 등 항만 터미널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물류거점이다.
  2. 물류창고란 화물의 저장ㆍ관리, 집화ㆍ배송 및 수급조정 등을 위한 보관시설ㆍ보관장소 또는 이와 관련된 하역ㆍ분류ㆍ포장ㆍ상표부착 등에 필요한 기능을 갖춘 시설이다.
  3. 공동집배송센터란 창고, 화물터미널, 항만 등의 제반시설을 한 곳에 집중하여 물류활동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복합시설이다.
  4. 물류터미널이란 화물의 집화ㆍ하역 및 이와 관련된 분류ㆍ포장ㆍ보관ㆍ가공ㆍ조립 또는 통관 등에 필요한 기능을 갖춘 시설물이다.
  5. 물류단지란 물류단지시설과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ㆍ육성하기 위하여 지정ㆍ개발하는 일단의 토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동집배송센터란 창고, 화물터미널, 항만 등의 제반시설을 한 곳에 집중하여 물류활동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복합시설이다.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우리나라 운송시스템의 합리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리화된 운송시스템은 재고관리비와 운송비의 Trade-off 측면을 주로 고려하여 설계한다.
  2. 화물 트럭의 회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하차 소요 시간을 감소시킨다.
  3. 수송과 배송을 연계하여 물류센터의 재고를 줄인다.
  4. 거리 구분에 관계없이 자가차량을 중심으로 운영한다.
  5. 물류 특성에 맞게 배송차량을 선택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정답률: 60%)
  • "거리 구분에 관계없이 자가차량을 중심으로 운영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합리화된 운송시스템은 거리와 물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운송수단을 선택하여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근거리 배송은 대형 트럭보다는 경량화물차나 이륜차 등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우리나라 운송부문 합리화 방안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운송을 철도와 연안운송으로 전환한다.
  2. 동일지역의 동종업종을 대상으로 화주들의 공동수배송을 유도한다.
  3. 운송업체간 제휴나 M&A를 통하여 운송업체의 대형화를 유도한다.
  4. 대형 화주기업들을 중심으로 자가 수송체계 구축을 유도한다.
  5. 수도권과 주요 항만을 연결하는 컨테이너 정기 직행열차(Block Train)를 운행한다.
(정답률: 85%)
  • 대형 화주기업들을 중심으로 자가 수송체계 구축을 유도하는 것은 합리화 방안이 아니라 개별 기업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합리화 방안은 전반적인 운송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배송경로 및 일정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송날짜가 다른 경우에는 경유지를 구분한다.
  2. 운행경로는 배송센터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부터 만들어 간다.
  3. 픽업과 배송은 한꺼번에 이루어지게 한다.
  4. 효율적인 경로는 이용할 수 있는 대형 차량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5. 차량경로상의 운행순서는 경로가 교차하지 않도록 만들어 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운행경로는 배송센터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부터 만들어 가는 것이 옳지 않다. 이는 최단거리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여 운행경로를 수립해야 한다.

    운행경로를 최적화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존재하며, 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나 최소비용 등을 고려하여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배송 및 경로 계획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아래와 같은 운송조건하에서 최소비용법(Least-cost Method)에 의한 최초 가능해의 총운송비용은 얼마인가? (단, 톤당 비용은 수요지와 공급지간 단위운송비용이다.)

  1. 13,400원
  2. 14,700원
  3. 15,400원
  4. 16,700원
  5. 17,400원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장에서 물류센터까지 연간 7,000,000개의 제품을 운송하려고 한다. 다음 세 가지 수송수단 중 '수송 중 재고비용'이 가장 저렴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제품당 가격은 7,000원이며, 연간 재고유지비용은 제품가격의 20%이다.)

  1. 철송-트럭-항공
  2. 철송-항공-트럭
  3. 트럭-철송-항공
  4. 트럭-항공-철송
  5. 항공-트럭-철송
(정답률: 알수없음)
  • 재고유지비용은 제품가격의 20%이므로, 제품당 연간 재고유지비용은 1,400원이다. 따라서, 수송 중 재고비용이 가장 저렴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항공: 1개의 운송 단위당 제품 수가 많아서 재고유지비용이 적게 든다.
    2. 트럭: 운송 단위가 적지만, 운송비용이 저렴하여 전체 비용이 적게 든다.
    3. 철송: 운송 단위가 크지만, 운송비용이 높아서 전체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정답은 "항공-트럭-철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공로운송에서 공동수배송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지역내 공동수배송에 참여할 수 있는 복수 기업이 존재해야 한다.
  2. 공동수배송에 대한 참여 기업들의 이해가 일치해야 한다.
  3. 공동수배송을 주도하는 중심업체가 있어야 한다.
  4. 동일 품목에 한정하여 공동수배송이 이루어져야 한다.
  5. 대상화물의 공동배송 조건이 유사해야 한다.
(정답률: 64%)
  • 정답은 "동일 품목에 한정하여 공동수배송이 이루어져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다양한 품목을 함께 배송하면 각각의 특성에 따라 배송 시간과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동수배송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품목에 대해서만 공동수배송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과 같은 공동수배송 시스템의 운영방식은?

  1. 집배공동형
  2. 배송공동형
  3. 납품대행형
  4. 공동수주ㆍ공동배송형
  5. 노선집하공동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시스템은 고객들이 주문한 상품을 집배공동형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즉, 여러 고객들이 같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을 경우, 해당 지역에 배송을 담당하는 택배기사가 해당 지역의 모든 고객들에게 상품을 배송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배송비용을 절감하고 배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네트워크 문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는 공간적, 지리적 위치나 시간적 상태를 나타내는 노드(node)와 이를 연결하는 링크(link) 또는 아크(arc)에 의해 표현된다.
  2. 최단경로 문제는 비용, 거리, 시간의 관점에서 최단경로를 찾는 문제로서 외판원의 경로선택 문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최소걸침나무 문제는 네트워크상의 모든 마디를 가장 적은 비용 또는 짧은 시간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찾는 문제이다.
  4. 최대흐름 문제는 네트워크상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보낼 수 있는 최대 유량을 찾는 문제이다.
  5.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기법은 선형계획법이다.
(정답률: 39%)
  •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기법은 선형계획법이 아니다.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최단경로 문제, 최소걸침나무 문제, 최대흐름 문제 등이 있다. 선형계획법은 선형적인 제약조건을 가진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녹색물류(Green Logistic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국은 교토의정서에 따른 의무감축국으로서 EU보다 더 적극적으로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있다.
  2. 일본은 '종합물류시책대강'을 수립하고, 물류활동에서 발생하는 탄소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우리나라는 교토의정서를 비준하였으며,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물류정책기본법에 녹색물류인증제도 도입을 규정하고 있다.
  4. '배출권 거래제도(Emission Trading System)'는 교토의정서의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에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5. 녹색물류는 수송, 보관, 포장, 하역, 회수 등전 부문에 있어서 물류활동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정답률: 47%)
  • 미국은 교토의정서를 비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무감축국이 아니다. 따라서 "미국은 교토의정서에 따른 의무감축국으로서 EU보다 더 적극적으로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 미국은 교토의정서를 비준하지 않았기 때문에 교토의정서에 따른 의무감축국이 아니다. 그러나 미국은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파리협정에는 참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과 같은 수송표가 주어졌을 때 북서코너법(North-West Corner Method)으로 초기해를 구하고, 디딤돌법(Stepping Stone Method)에 의해 초기해를 개선할 여지가 있는지 검토하려고 한다. 초기해에서 수송경로 (나, 1)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할당량은? (단, 괄호는 단위당 수송비용이다.)

  1. 8
  2. 10
  3. 12
  4. 15
  5. 17
(정답률: 알수없음)
  • 북서코너법으로 초기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1 | 2 | 3 | 공급 |
    |---|---|---|---|---|
    | 나 | 8(2) | 0 | 0 | 8 |
    | 다 | 2(3) | 5(2) | 0 | 7 |
    | 라 | 0 | 5(1) | 10(3) | 15 |
    | 수요 | 10 | 10 | 10 | |

    나와 1번 공장 사이의 수송경로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할당량은 10이다. 이는 나와 1번 공장의 공급량과 수요량 중 작은 값인 8과 10 중 작은 값인 8에 해당하는데, 이는 최대할당량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리나라 국가산업단지의 화물발생량(톤/일)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회귀식이 도출되었다. 어느 국가산업단지의 고용자수와 매출액이 각각 3,000명과 5,000억원으로 추정될 경우, 화물발생량은?

  1. 1,200 톤/일
  2. 1,300톤/일
  3. 1,400톤/일
  4. 1,500 톤/일
  5. 1,600톤/일
(정답률: 알수없음)
  • 회귀식에 고용자수와 매출액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화물발생량 = 500 + 0.1 × 3,000 + 0.001 × 5,000 = 800톤/일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600톤/일" 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국제물류론

81. 국제물류의 활동 중 상품의 수급조절기능, 수송조절기능, 물류거점기능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1. 보관
  2. 운송
  3. 포장
  4. 하역
  5. 글로벌 소싱
(정답률: 알수없음)
  • 보관은 상품의 수급조절기능, 수송조절기능, 물류거점기능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상품을 보관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조절하고, 수송 및 물류거점에서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보관을 통해 상품의 안전성과 보존성을 유지할 수 있어 글로벌 소싱 등의 다양한 물류 활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UN 국제물품복합운송조약(1980)의 일부 내용이다.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Consignee
  2. Consignor
  3. Carrier
  4. Actual Carrier
  5. Ship Broker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는 "Consignor"이라는 용어가 "보내는 사람"을 의미하는데, 이는 물품을 보내는 측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Consignor"이다. "Consignee"는 물품을 받는 측을 가리키는 용어이고, "Carrier"는 물품을 운송하는 운송업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Actual Carrier"는 실제로 물품을 운송하는 업체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Ship Broker"는 선적인 중개인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상품이 생산국 창고에서 출하되어 특정 경제권 내 물류거점 국가에 설치된 중앙창고로 수송된 다음 각국의 자회사 창고나 고객 또는 유통경로의 다음 단계로 수송되는 국제물류시스템은?

  1. Direct System
  2. Transit System
  3. Multi-country Warehouse System
  4. Point to Point System
  5. Classical System
(정답률: 50%)
  • 상품이 여러 나라의 창고를 거쳐 운송되는 국제물류시스템을 Multi-country Warehouse System이라고 부릅니다. 이 시스템은 생산국에서 출발하여 중앙창고를 거쳐 다양한 나라의 창고나 고객에게 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여러 나라의 창고를 활용하여 상품을 보관하고 운송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해상운송과 연계하여 육상운송을 할 때 해상보험에 의한 담보의 구간을 내륙지점까지 확장 담보하는 약관은?

  1. ISE
  2. COOC
  3. RFWD
  4. ITE
  5. TPND
(정답률: 50%)
  • 해상운송과 연계하여 육상운송을 할 때 내륙지점까지의 담보를 확장하는 약관은 "ITE"입니다. 이는 Inland Transportation Extension의 약자로, 내륙운송 확장 보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국제특송(국제소화물일관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형ㆍ경량물품을 문전에서 문전까지 신속하게 수취ㆍ배달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2. 쿠리어(courier) 서비스 라고도 한다.
  3. 운송업자는 모든 운송구간에 대하여 일관책임을 진다.
  4. 대표적인 글로벌 업체로는 DHL, FedEx, UPS 등이 있다.
  5. 우리나라는 항공법에서 국제특송업을 등록업종으로 규정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형ㆍ경량물품을 문전에서 문전까지 신속하게 수취ㆍ배달하여 주는 서비스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국제특송은 소형ㆍ경량물품 뿐만 아니라 대형ㆍ무거운 물품도 운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우리나라는 항공법에서 국제특송업을 등록업종으로 규정하는 이유는 국제특송이 항공운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항공운송은 국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제특송은 항공운송을 이용하여 국제적으로 물품을 운송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항공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항만의 계류시설 중 선박을 계선밧줄로 고정하기 위하여 안벽에 설치된 석재 또는 강철재의 짧은 기둥은?

  1. 비트(Bitt)
  2. 펜더(Fender)
  3. 캡스탄(Capstan)
  4. 돌핀(Dolphin)
  5. 안벽(Berth)
(정답률: 70%)
  • 비트는 선박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류시설 중 하나로, 안벽에 설치된 석재 또는 강철재의 짧은 기둥이다. 선박의 계선밧줄을 비트에 감아서 고정하면, 선박이 계류시설에서 떠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트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선급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박의 감항성에 대한 객관적ㆍ전문적 판단을 위해서 생겼다.
  2. 보험의 인수여부 및 보험료 결정을 위해 1760년 'Green Book'이라는 선박등록부를 만들면서 시작되었다.
  3. 1968년 국제선급협회(IACS)가 창설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정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4. 우리나라는 독자적인 선급제도의 필요성에 의해 한국선급협회를 창설하였다.
  5. 선급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년 일반검사를 받고 5년 마다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28%)
  • 선급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년 일반검사를 받고 5년 마다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선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반검사와 정밀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일반검사는 매년이 아니라 2년마다 받아야 하고, 정밀검사는 5년마다 받아야 한다. 이유는 선박의 안전성과 유지보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용선의 형태 중 'Bareboat Charter'와 관련이 있는 것은?

  1. Demise Charter
  2. Time Charter
  3. Partial Charter
  4. Daily Charter
  5. Lump sum Charter
(정답률: 39%)
  • "Bareboat Charter"는 선박을 대여받아 스스로 운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된 형태 중 "Demise Charter"는 선박을 대여받은 사람이 선박의 소유권과 운영권을 모두 갖게 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Demise Charter"가 "Bareboat Charter"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IATA의 Dangerous Goods Regulations(DGR)에서 규정하고 있는 위험품목이 아닌 것은?

  1. Flammable Gases(발화성 가스)
  2. Oxidizing Substances(산화성 물질)
  3. Corrosives(부식성 물질)
  4. Perishable Cargo(부패성 화물)
  5. Radioactive Materials(방사성 물질)
(정답률: 55%)
  • Perishable Cargo(부패성 화물)은 위험성이 아닌 화물이며, DGR에서 규정하고 있는 위험품목이 아닙니다. Perishable Cargo는 식품, 꽃 등과 같이 부패가 빠른 화물로서, 운송 중에 온도와 습도 등의 조건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해사안전 및 오염방지 대책, 국제해사 관련 협약의 시행 및 권고 등을 위해 설립된 UN 산하의 국제기구는?

  1. CMI
  2. IMO
  3. ICS
  4. ISF
  5. ISO
(정답률: 82%)
  • IMO는 국제해사안전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약자로, 해사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한 국제규제를 개발하고 시행하는 국제기구입니다. IMO는 해양환경보호, 선박안전, 해양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촉진하고 국제해사 관련 협약의 시행과 권고를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1992년 UNCTAD/ICC 복합운송증권에 관한 국제규칙에서 채택하고 있는 복합운송인의 책임원칙과 체계로 옳은 것은?

  1. 과실책임원칙과 단일책임체계
  2. 과실추정책임원칙과 단일책임체계
  3. 과실추정책임원칙과 변형단일책임체계
  4. 무과실책임원칙과 변형단일책임체계
  5. 절대책임원칙과 이종책임체계
(정답률: 알수없음)
  • 1992년 UNCTAD/ICC 복합운송증권에 관한 국제규칙에서는 과실추정책임원칙과 변형단일책임체계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복합운송인이 운송 중 발생한 손해에 대해 과실의 유무와 상관없이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복합운송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손해배상 문제를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변형단일책임체계는 복합운송인이 운송 중 발생한 모든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으로, 운송 수단의 종류나 운송 경로에 따라 책임의 범위가 달라지는 기존의 단일책임체계를 보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미국의 1998년 개정해운법(The Ocean Shipping Reform Act of 1998)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정법은 동맹에 대한 독점금지법의 면제를 인정하지 않는다.
  2. 서비스 계약시 개별선사에게 비밀계약을 허용한다.
  3. 태리프(Tariff)는 연방해사위원회(FMC)에 신고하여야 한다.
  4. 선사그룹(Carrier Group)이 내륙운송업자와 운임률 및 서비스를 공동으로 협상할 수 없다.
  5. 무선박운송인(NVOCC)은 연방해사위원회(FMC)로부터 면허를 받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40%)
  • 미국의 1998년 개정해운법은 서비스 계약시 개별선사에게 비밀계약을 허용한다는 것이 옳다. 이는 선사들이 서로 경쟁하면서도 서비스 계약 내용을 비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선사들 간의 경쟁을 촉진하면서도 공정한 시장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다른 보기들은 개정법의 내용 중 일부이지만, 비밀계약을 허용하는 이유는 이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국제항공운송조약별 책임한도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르샤바 조약 : 여객 1인당 US$ 10,000
  2. 헤이그 의정서 : 위탁수화물 1 kg당 US$ 20.00
  3. 몬트리올 협정 : 휴대수화물 1인당 US$ 400.00
  4. 바르샤바 조약 : 화물 1 kg당 US$ 20.00
  5. 헤이그 의정서 : 여객 1인당 US$ 75,000
(정답률: 알수없음)
  • 헤이그 의정서의 책임한도액은 여객 1인당 US$ 75,000이 맞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헤이그 의정서는 국제항공운송조약 중 하나로, 여객 및 수하물의 손상, 지연, 분실 등에 대한 항공사의 책임을 규정합니다. 이 중에서도 여객의 사망, 부상, 질병 등에 대한 책임한도액이 US$ 75,000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국제항공운송조약 중에서 가장 높은 책임한도액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괄호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ICAO
  2. WTO
  3. ITF
  4. IMO
  5. ICC
(정답률: 37%)
  • 이미지에 나타난 비행기 등록번호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사용하는 국제 표준이기 때문에 정답은 "ICAO"입니다. WTO는 세계무역기구, ITF는 국제운송노동조합연맹, IMO는 국제해사기구, ICC는 국제상공회의소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제항공업무통과협정에서 인정하고 있는 하늘의 자유(Freedoms of the Ai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1의 자유는 영공통과의 자유(Fly-over Right)이다.
  2. 제2의 자유는 기술착륙의 자유(Technical Landing Right)이다.
  3. 제3의 자유는 자국의 영역 내에서 실은 여객과 화물을 타 체약국으로 운송할 수 있는 자유(Set-down Right)이다.
  4. 제4의 자유는 타 체약국의 영역 내에서 여객과 화물을 탑승하고 자국으로 운송할 수 있는 자유(Bring-back Right)이다.
  5. 제5의 자유는 자국의 영역 내에서 타 체약국의 항공사가 운송할 수 있는 자유(Stand Alone Cabotage Right)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5의 자유는 자국의 영역 내에서 타 체약국의 항공사가 운송할 수 있는 자유(Stand Alone Cabotage Right)이 아니라, 자국의 영역 외에서 타 체약국의 항공사가 운송할 수 있는 자유(Fifth Freedom Right)이다.

    제5의 자유는 자국의 영역 내에서 운송하는 것이 아니라, 타 국가의 영역에서 출발하여 자국을 거쳐 다른 국가로 운송하는 것을 허용하는 권리이다. 예를 들어, 한 항공사가 일본에서 출발하여 한국을 거쳐 미국으로 운송하는 경우, 한국에서 미국으로 운송하는 부분에서 한국에서 운송하는 항공사도 일본 항공사와 경쟁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ATA는 국제항공사간의 협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설립된 UN 산하의 국제기구이다.
  2. IATA는 약관을 포함한 항공권의 규격 및 발권 절차의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
  3. IATA는 ICAO와 연대 협력한다.
  4. IATA는 항공운송업계의 바람직한 경쟁을 목표로 한다.
  5. IATA는 출입국절차의 간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답률: 82%)
  • "IATA는 국제항공사간의 협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설립된 UN 산하의 국제기구이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IATA는 국제항공사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항공운송업계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국제기구이며, UN 산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선박의 국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항선박은 국적을 취득해야 한다.
  2. 그리스 국적의 선주가 실질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선박을 파나마에 등록하면 이 선박은 편의치적선에 해당된다.
  3. 편의치적은 오늘날 경제적인 목적이 아니라 정치적, 군사적 목적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4. 편의치적은 해운기업의 비용절감에 기여했다.
  5. 전통적인 해운국의 입장에서 편의치적의 확산을 방지할 필요가 있어 제2선적제도가 고안되었다.
(정답률: 60%)
  • "외항선박은 국적을 취득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외항선박은 국적을 취득하지 않고도 항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선박의 순톤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박 내부의 폐쇄된 공간의 총 용적을 의미한다.
  2. 선박 내부의 폐쇄된 공간 중 직접 상행위에 사용되는 장소의 용적을 의미한다.
  3.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중량을 의미한다.
  4. 선박마다 톤수를 표현하는 기준이 달라 한가지로 통합하여 선박 건조원가의 기준으로 활용하는 톤수이다.
  5. 경화상태에 있어서의 배수량을 배수톤으로 표시한 것으로 군함 등에서 주로 쓰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순톤수는 "선박 내부의 폐쇄된 공간 중 직접 상행위에 사용되는 장소의 용적을 의미한다." 이다. 이는 선박의 운송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선박의 크기와 용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보기들은 순톤수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ague Rules(1924)는 운송인의 의무 및 책임의 최소한을 규정하고 있다.
  2. Hague Rules(1924)는 운송인과 화주 간의 위험배분에 관해 이해의 조정을 도모하지 않았다.
  3. Hamburg Rules(1978)가 제정된 배경은 종래의 관련 규칙이 선박을 소유한 선진국 선주에게 유리하고, 개도국 화주에게 불리하다는 주장과 관련이 있다.
  4. Hague-Visby Rules(1968)는 그 자체가 독립된 새로운 협약이 아니라 Hague Rules(1924)를 개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5. Hague Rules(1924)는 운송인의 기본적인 의무로서 선박의 감항능력에 관한 주의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정답률: 46%)
  • "Hague Rules(1924)는 운송인과 화주 간의 위험배분에 관해 이해의 조정을 도모하지 않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Hague Rules(1924)는 운송인과 화주 간의 위험배분에 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정기선 해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선료가 부과된다.
  2. 원유, 철광석 등 대량 화물을 운송한다.
  3. 선박의 운항 패턴이 규칙적이다.
  4. 용선계약서가 작성된다.
  5. 수요와 공급에 의해 수시로 운임이 결정된다.
(정답률: 80%)
  • 정기선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일정한 노선을 운항하는 선박으로, 이에 따라 선박의 운항 패턴이 규칙적입니다. 이러한 규칙적인 운항으로 인해 운송 일정이 예측 가능하고, 화주들은 물류 계획을 세우기 용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국제복합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합운송인은 물품의 수령에서 인도까지 모든 운송구간에 대해 책임을 진다.
  2. 2가지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을 사용한다.
  3. 모든 운송구간에 대해 일괄운임이 적용된다.
  4. 복합운송인은 각 운송수단별로 운송서류를 발행한다.
  5. 복합운송인은 자신이 직접 운송수단을 보유하여 운송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정답률: 55%)
  • "복합운송인은 각 운송수단별로 운송서류를 발행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복합운송인은 모든 운송구간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것과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사용한다는 것이 맞지만, 각 운송수단별로 운송서류를 발행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복합운송인은 전체 운송에 대한 하나의 운송서류를 발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컨테이너 터미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FS는 FCL Cargo를 인수, 인도, 보관하는 장소이다.
  2. Apron은 컨테이너의 선적 및 양륙을 위하여 선측에 Gantry Crane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이다.
  3. Marshalling Yard는 바로 선적해야 할 컨테이너를 하역 순서대로 정렬하여 두거나 양륙된 컨테이너를 배치해 놓은 장소이다.
  4. Berth는 선박을 계류시키는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선박의 접안장소이다.
  5. On-dock CY는 컨테이너의 인수, 인도, 보관을 위해 항만내에 있는 장소이다.
(정답률: 50%)
  • "CFS는 FCL Cargo를 인수, 인도, 보관하는 장소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CFS는 LCL Cargo를 인수, 인도, 보관하는 장소이다. FCL Cargo는 직접 선박에 실려서 운송되므로 CFS에서는 처리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로테르담 규칙(2008)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해과실 면책조항이 없다.
  2. 손해발생구간이 밝혀지지 않은 화물손해는 해상운송에서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3. 화주에게 화물의 감항성 의무를 부과했다.
  4. 정해진 인도 일자를 지나 화물을 인도하면 그 화물운임의 2.5배 내에서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5. UNCTAD의 주도로 채택된 국제화물운송협약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UNCTAD의 주도로 채택된 국제화물운송협약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로테르담 규칙은 국제상거래에서 발생하는 화물손해에 대한 규정으로, 2008년에 채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해상화물운송장(Sea Waybil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본서류의 제시 없이도 물품의 인수가 가능하다.
  2. 수입화물선취보증제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3. 유통성이 없다.
  4. 항해 중 물품의 전매가 가능하다.
  5. 권리증권이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화물운송장(Sea Waybill)은 원본서류의 제시 없이도 물품의 인수가 가능하며, 수입화물선취보증제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유통성이 없고, 항해 중 물품의 전매가 불가능하며 권리증권이 아닙니다. 따라서 "항해 중 물품의 전매가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선하증권의 종류별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tale B/L : 선적 후 일정기간 내에 은행에 선하증권이 제시되어야 하는데, 그 기간이 경과된 선하증권
  2. Shipped B/L : 화물이 실제로 특정선박에 적재 되었다는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선적 후 발행되는 선하증권
  3. House B/L : 화물의 혼재를 주선한 포워더가 선사로부터 발급받는 선하증권
  4. Foul B/L : 선적 당시 화물의 포장이나 수량 등에 결함 또는 이상이 있어 그 사실이 선하증권에 그대로 기재되어 발행된 선하증권
  5. Straight B/L : 선하증권의 수하인란에 수하인의 상호 및 주소가 기재된 선하증권
(정답률: 알수없음)
  • House B/L은 화물의 혼재를 주선한 포워더가 발급하는 것이 맞으므로 옳지 않은 설명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House B/L은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의 선사가 발급하는 선하증권인 Master B/L과는 달리, 화물을 주선한 포워더가 발급하는 것입니다. 이는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의 선사와 직접 계약하지 않은 수출입업자들이 화물을 주선한 포워더를 통해 선하증권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House B/L에는 화물의 수량, 종류, 운송 경로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극동아시아에서 미국 태평양 연안까지 해상운송하고, 태평양 연안의 항구로부터 미국동안까지 철도운송하는 방식은?

  1. America Land Bridge
  2. Interior Point Intermodal
  3. Reversed Interior Point Intermodal
  4. Micro-land Bridge
  5. Mini Land Bridge
(정답률: 알수없음)
  • "Mini Land Bridge"는 극동아시아에서 미국 태평양 연안까지 해상운송하고, 태평양 연안의 항구로부터 미국동안까지 철도운송하는 방식 중 가장 짧은 거리를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는 방식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화주가 선박회사에게 발행하는 서류로서 선적된 화물에 후일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선박회사에게 책임을 전가시키지 않는다는 취지의 각서는?

  1. Letter of Guarantee
  2. Letter of Indemnity
  3. Shipping Request
  4. Shipping Order
  5. Delivery Order
(정답률: 37%)
  • 화주가 선적된 화물에 대한 책임을 선박회사에게 전가하지 않기 위해 발행하는 서류는 "Letter of Indemnity"이다. 이 서류는 화주가 선박회사에게 보내는 취지의 각서로, 화주가 선적된 화물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부담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후일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선박회사는 책임을 지지 않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일반적인 선적절차에 따라 발급되는 서류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Shipping Request → Booking Note → Shipping Order → Bill of Lading → Mate's Receipt
  2. Shipping Order → Shipping Request → Booking Note → Mate's Receipt → Bill of Lading
  3. Shipping Request → Booking Note → Mate's Receipt → Shipping Order → Bill of Lading
  4. Shipping Request → Booking Note → Shipping Order → Mate's Receipt → Bill of Lading
  5. Shipping Request → Booking Note → Mate's Receipt → Bill of Lading → Shipping Order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선적절차에 따라 발급되는 서류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hipping Request: 화주가 운송을 요청하는 서류
    2. Booking Note: 화물을 예약하는 서류
    3. Shipping Order: 운송을 신청하는 서류
    4. Mate's Receipt: 화물이 배에 실렸음을 증명하는 서류
    5. Bill of Lading: 운송 계약서로서, 운송의 증명서 및 화물의 소유권 증명서 역할을 하는 서류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Shipping Request → Booking Note → Shipping Order → Mate's Receipt → Bill of Lading" 입니다. 이 순서대로 발급되는 서류들은 화주와 운송업체 간의 계약 및 운송 과정에서 필요한 서류들이며, 각각의 서류는 이전 서류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항해용선계약의 주요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I(Free In)는 선적시에는 용선자, 양륙시에는 선주가 선내하역인부의 임금(Stevedorage)을 부담하는 조건이다.
  2. Running Laydays는 기상조건이 하역가능한 상태의 일수 만을 정박기간에 산입하는 것으로 현재 가장 많이 택하고 있는 조건이다.
  3. Demurrage는 계약상 정박일수를 초과할 때 용선자가 선주에게 지급하기로 약정한 금액이다.
  4. Despatch Money는 계약상 허용된 정박기간이 종료되기 전에 하역이 완료되었을 경우 단축된 기간에 대하여 선주가 용선자에게 지급하기로 약정한 금액이다.
  5. Lien Clause는 운송계약에 있어서 화주인 용선자가 운임 및 기타 부대경비를 지급하지 아니할 때 선주는 그 화물을 유치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는 조항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Running Laydays는 기상조건이 하역가능한 상태의 일수 만을 정박기간에 산입하는 것으로 현재 가장 많이 택하고 있는 조건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 ㄱ ), ( ㄴ )에 해당하는 것은?

  1. ㄱ: 4시간, ㄴ: 1시간
  2. ㄱ: 12시간, ㄴ: 2시간
  3. ㄱ: 12시간, ㄴ: 4시간
  4. ㄱ: 24시간, ㄴ: 2시간
  5. ㄱ: 24시간, ㄴ: 4시간
(정답률: 24%)
  • 이 그림은 시계를 나타내며,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시계 바늘은 1시간에 한 번씩 돌아갑니다. 따라서, (ㄱ)은 시계 바늘이 한 바퀴 돌아서 24시간이 되는 시간이고, (ㄴ)은 시계 바늘이 한 바퀴 돌아서 4시간이 되는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국제물류에서 활용되고 있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FID는 EOS(Electronic Ordering System)에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2. RFID는 기존의 무선인식시스템 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다.
  3. RFID 기술은 전파를 매개로 하는 초소형 칩과 안테나를 사물에 태그형태로 부착한다.
  4. RFID의 도입을 통해 화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5. RFID는 유통업체 및 제조업체의 재고파악 능력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60%)
  • "RFID는 EOS(Electronic Ordering System)에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RFID는 주로 물류 및 유통 분야에서 활용되며, EOS와는 별개의 기술이다. EOS는 주문 및 구매 관리 시스템으로, 주로 판매 및 구매 업무에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한번에 적재할 항공화물이 총 25상자이고, 총 중량은 450 kg이다. 각 상자의 크기가 가로 60 cm, 세로 40 cm, 높이 50 cm일 때 운임 산출중량(Chargeable Weight)은? (단, 운임부과 중량 환산기준은 6,000 cm3 = 1 kg)

  1. 400 kg
  2. 450 kg
  3. 500 kg
  4. 550 kg
  5. 600 kg
(정답률: 50%)
  • 각 상자의 부피는 60 x 40 x 50 = 120,000 cm3 이다. 25상자의 총 부피는 25 x 120,000 = 3,000,000 cm3 이다. 이를 6,000으로 나누면 500 kg이 된다. 따라서 운임 산출중량은 500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해상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eavy Lift Surcharge는 화물 한 단위가 일정한 중량을 초과할 때 기본운임에 할증하여 부과하는 운임이다.
  2. Freight All Kinds Rate는 컨테이너에 적입된 화물의 가액, 성질 등에 관계없이 부과하는 컨테이너당 운임이다.
  3. Dead Freight는 실제 적재량을 계약한 화물량 만큼 채우지 못할 경우 사용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부과하는 운임이다.
  4. Pro rata Freight는 선박이 항해 중 불가항력 등의 이유로 항해를 계속할 수 없을 때 중도에서 화물을 화주에게 인도하고 선주는 운송한 거리의 비율에 따라 부과하는 운임이다.
  5. Optional Surcharge는 선적 시에 지정했던 항구를 선적 후에 변동하고자 할 때 추가로 부과하는 운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Optional Surcharge는 선적 시에 지정했던 항구를 선적 후에 변동하고자 할 때 추가로 부과하는 운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Optional Surcharge는 선적 시에 이미 약속된 운임 이외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경우 부과하는 운임이다. 예를 들어, 연료 가격 상승으로 인한 연료 할증 운임이 Optional Surcharge로 부과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항공화물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요율의 적용시점은 항공화물운송장 발행일로 한다.
  2. 항공화물의 요율은 공항에서 공항까지의 운송 구간만을 대상으로 한다.
  3. 운임의 기준통화는 도착지 국가의 현지통화로 설정되는 것이 원칙이나 많은 국가에서 미국달러로 요율을 설정하고 있다.
  4. 미국출발 화물의 중량요율(Weight Rate)은 lb(파운드)당 요율로 표시할 수 있다.
  5. 운임산출에 적용한 경로대로 수송하지 않아도 운임의 변동은 없다.
(정답률: 60%)
  • 운임의 기준통화는 도착지 국가의 현지통화로 설정되는 것이 원칙이나 많은 국가에서 미국달러로 요율을 설정하고 있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항공화물운임의 기준통화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서 정한 3가지 통화(미국달러, 유로, 일본 엔) 중 하나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도착지 국가의 현지통화로 설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1978년 UN 해상물품운송조약의 일부 내용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Carrier
  2. Actual Carrier
  3. Shipper
  4. Consignee
  5. Notify Party
(정답률: 30%)
  • Actual Carrier는 실제로 화물을 운송하는 운송업자를 의미한다. Carrier는 운송업자를 일반적으로 의미하지만, Actual Carrier는 실제로 운송을 담당하는 업자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Actual Carrier가 정답이다. Shipper는 화주, Consignee는 수하인, Notify Party는 통지인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해상보험에 있어서 서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공동해손(General Average)과 요크-앤트워프규칙(York-Antwerp Rules)
  2. 포괄예정보험(Open Cover)과 보험증명서(Certificate of Insurance)
  3. 보험중개인(Insurance Broker)과 부보각서(Cover Note)
  4. 위부(Abandonment)와 단독해손(Particular Average)
  5. 전위험 담보조건(All Risks)과 ICC(A)
(정답률: 50%)
  • 위부(Abandonment)와 단독해손(Particular Average)은 모두 해상보험에서 손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한 용어이지만, 위부는 선박을 포기하고 보험금을 청구하는 것을 의미하고, 단독해손은 선박이나 화물에 발생한 특정 손해에 대한 보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두 용어는 서로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ICC(A) 조건하에서 추가적으로 특약하면 보험회사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는 손해는?

  1. 지연을 근인으로 하여 발생한 손해
  2. 동맹파업으로 인한 손해
  3. 통상의 누손, 중량 또는 용적의 통상적인 감소
  4. 포장 또는 준비의 불완전 또는 부적합에 의한 손해
  5. 피보험자의 고의적인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
(정답률: 40%)
  • ICC(A) 조건은 국제무역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보호하기 위한 보험 조건으로, 보험금 청구 시 특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동맹파업으로 인한 손해는 노동조합 등의 집단적인 파업으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거나 지연되어 발생하는 손해를 말합니다. 이는 국제무역에서 매우 중요한 위험 요소 중 하나이며, ICC(A) 조건에서 이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언급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동맹파업으로 인한 손해는 ICC(A) 조건하에서 추가적으로 특약하면 보험회사로부터 보상받을 수 있는 손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화물에 손해가 발생하거나 또는 손해발생의 염려가 있을 때, 보험자가 보상하게 될 손해를 방지 또는 경감하기 위하여 피보험자, 사용인 또는 대리인이 정당하고 합리적으로 지출하는 비용은?

  1. Particular Charge
  2. Salvage Charge
  3. Sue & Labour Charge
  4. Survey Fee
  5. Particular Average
(정답률: 40%)
  • "Sue & Labour Charge"는 화물에 손해가 발생하거나 손해발생의 염려가 있을 때, 보험자가 보상하게 될 손해를 방지 또는 경감하기 위해 피보험자, 사용인 또는 대리인이 정당하고 합리적으로 지출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이는 보험금 지급을 최소화하고 보험회사와 피보험자 간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따라서 "Sue & Labour Charg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국제해상운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의 봉인(Sea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이 적입된 컨테이너를 봉인하는 것으로 식별을 위한 기호 및 번호가 적혀 있다.
  2. 봉인상태에 의하여 도난, 변조 등의 부정행위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3. 컨테이너 봉인은 화물이 적입된 시점부터 도착지에서 화물이 적출될 때까지 장착된다.
  4. 컨테이너 봉인은 도착지 선박회사의 지정 컨테이너 터미널이나 내륙의 컨테이너 야드에서만 제거된다.
  5. 컨테이너에 부착된 봉인의 번호는 선하증권에 기재된다.
(정답률: 55%)
  • "컨테이너 봉인은 도착지 선박회사의 지정 컨테이너 터미널이나 내륙의 컨테이너 야드에서만 제거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컨테이너 봉인은 출발지에서도 제거되며, 중간에 화물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거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INCOTERMS® 2010의 일부 내용이다.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Delivered at Place
  2. Delivered at Terminal
  3. Ex Works
  4. Free on Board
  5. Free Carrier
(정답률: 알수없음)
  •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는 "Delivered at Place"이다.

    "Delivered at Place"는 판매자가 물건을 수입국의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조건이다. 판매자는 수입국의 관세 및 세금을 부담하지 않으며, 구매자는 수입국의 관세 및 세금을 부담한다. 이 조건에서는 판매자가 물건을 수입국의 목적지까지 운송하는데 필요한 모든 비용과 위험을 부담한다. 따라서, 판매자는 수입국의 관세 및 세금을 부담하지 않으며, 구매자는 수입국의 관세 및 세금을 부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