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15)

물류관리사 1교시
(2013-06-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물류관리론

1. 물류의 기본적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생산과 소비 간의 장소 격차 조정
  2.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소득 격차 조정
  3. 생산단위와 소비단위의 수량 불일치 조정
  4. 생산과 소비 시기의 시간 격차 조정
  5.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품질 격차 조정
(정답률: 54%)
  • 물류는 생산과 소비 간의 물적인 이동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중에서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소득 격차 조정"은 물류의 기본적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정치경제학적인 개념으로, 물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물류의 영역적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달물류 : 생산된 완제품 또는 매입한 상품을 판매창고에 보관하고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물류활동
  2. 반품물류 : 원자재와 제품의 포장재 및 수배송 용기 등의 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물류활동
  3. 사내물류 : 물자가 조달처로부터 운송되어 보관창고에 입고되어 생산공정에 투입되기 직전까지의 물류활동
  4. 회수물류 : 제품이나 상품의 판매물류 이후에 발생하는 물류용기의 재사용, 재활용 등을 위한 물류활동
  5. 판매물류 : 매입물자의 보관창고에서 완제품 등의 생산을 위한 장소까지의 물류활동
(정답률: 74%)
  • 회수물류는 제품이나 상품의 판매물류 이후에 발생하는 물류용기의 재사용, 재활용 등을 위한 물류활동을 말합니다. 즉,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한 후에 발생하는 물류용기나 폐기물 등을 회수하여 재활용하거나 재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의 주요 전략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효율적인 반품 관리
  2. 효율적인 매장 진열 관리
  3. 효율적인 재고 보충
  4. 효율적인 판매 촉진
  5. 효율적인 신제품 도입 및 소개
(정답률: 39%)
  • ECR의 주요 전략요소는 효율적인 매장 진열 관리, 효율적인 재고 보충, 효율적인 판매 촉진, 효율적인 신제품 도입 및 소개이다. "효율적인 반품 관리"는 ECR의 주요 전략요소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제품의 반품이나 교환 등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소비자와의 관계보다는 공급망 내부의 프로세스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업의 통합물류운영관점에서 재고거점 수가 증가할 경우 옳지 않은 것은?

  1. 배송비 감소
  2. 재고유지비용 증가
  3. 총 물류비용 감소
  4. 시설투자비 증가
  5. 고객서비스 수준 향상
(정답률: 48%)
  • 재고거점 수가 증가하면 재고유지비용은 증가하지만, 배송비는 감소하게 되므로 총 물류비용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총 물류비용 감소"는 옳은 것이다. 하지만 시설투자비는 증가할 수 있으며, 고객서비스 수준 향상은 가능하지만 단순히 재고거점 수 증가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물류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서비스와 물류비용 사이에는 상충관계(Trade - Off)가 존재한다.
  2. 서비스 수준의 향상에 따라 총매출이 증가하므로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3. 전자상거래의 확산으로 유통배송단계가 점점 줄어 들고, 고객맞춤형 물류서비스가 강조되고 있다.
  4. 물류관리자는 이익 창출을 위해 비용 절감과 물류서비스의 향상에 주력한다.
  5. 물류서비스 향상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3S1L원칙과 7R원칙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80%)
  •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서비스 수준을 높일수록 물류비용이 증가하므로, 물류서비스와 물류비용 사이에는 상충관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물류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은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므로,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업경영상 물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산과 판매의 국제화로 물류관리의 복잡성 증대
  2. 수발주 단위의 소량ㆍ다빈도화에 대한 대응 필요성 증가
  3. 저렴하고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송규제 강화 추세
  4. 운송보안에 대한 서류 및 절차 강화로 추가비용발생
  5. 시장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재고관리의 필요성 증대
(정답률: 54%)
  • "저렴하고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송규제 강화 추세"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운송규제 강화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저렴한 서비스 제공과는 상반된다. 따라서 이는 물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인으로 설명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급사슬의 활동을 계획, 구매, 제조, 배송, 반품의 범주로 구분하여 활동 주체들의 업무프로세스 연계 정도를 분석하는 것은?

  1. BSC(Balanced Score Card)
  2. SCOR(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3. TQM(Total Quality Management)
  4. EVA(Economic Value Added)
  5. CMI(Co-Managed Inventory)
(정답률: 50%)
  • SCOR(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은 공급사슬의 활동을 계획, 구매, 제조, 배송, 반품의 범주로 구분하여 활동 주체들의 업무프로세스 연계 정도를 분석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이를 통해 공급사슬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측정하고 개선할 수 있다. BSC(Balanced Score Card)는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는 프레임워크,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은 전체적인 품질관리 체제, EVA(Economic Value Added)는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지표, CMI(Co-Managed Inventory)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공동으로 재고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파렛트 사용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하역 및 작업능률 향상
  2. 물품보호 효과
  3. 재고조사 편의성 제공
  4. 좁은 통로에서도 사용 용이
  5. 상하차 작업시간 단축으로 트럭의 운행효율 향상
(정답률: 69%)
  • 파렛트는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적재 및 운반 작업이 용이하며, 이를 통해 하역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물품을 보호하고, 재고조사를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렛트는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좁은 통로에서도 사용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좁은 통로에서도 사용 용이"는 파렛트 사용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총비용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58%)
  • 총비용은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고정비용은 x축에서 교차하는 지점에서 시작하고, 가변비용은 생산량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생산량이 적을 때는 고정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가변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생산량이 적을 때는 총비용의 변화가 크지 않지만,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총비용의 변화가 더욱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요의 정성적 예측기법으로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으지 않고 일련의 질의서를 통해 각자의 의견을 취합하여 중기 또는 장기 수요의 종합적인 예측결과를 도출해 내는 기법은?

  1. 시장조사법
  2. 전문가 의견법
  3. 판매원 의견 통합법
  4. 자료유추법
  5. 델파이법
(정답률: 58%)
  • 델파이법은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으지 않고 일련의 질의서를 통해 각자의 의견을 취합하여 중기 또는 장기 수요의 종합적인 예측결과를 도출해 내는 기법이다. 이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전문가들의 의견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익명성을 보장하여 신뢰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델파이법이 수요의 정성적 예측에 적합한 기법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물류와 생산 및 마케팅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는 마케팅의 4P 중 제품(Product)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기술혁신으로 품질과 가격 면에서 평준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고객서비스가 마케팅과 물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3. 물류는 포괄적인 마케팅에 포함되면서 물류자체의 마케팅활동을 실천해야 한다.
  4. 최근의 물류는 마케팅뿐만 아니라 산업공학적인 측면, 무역학적인 측면 등 보다 광범위한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5. 생산과 물류의 상호작용에 포함되는 요소로는 공장입지, 구매계획, 제품생산계획 등이 있다.
(정답률: 67%)
  • "물류는 마케팅의 4P 중 제품(Product)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물류는 제품의 생산, 유통, 배송 등과 관련된 활동으로, 제품의 품질, 가격, 배송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물류는 마케팅의 4P 중 제품(Product)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물류관리전략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 주단위의 업무운영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수립하는 것이 전술적 계획이다.
  2. 배송빈도가 높을수록 물류센터의 재고 회전율은 감소한다.
  3. 고객맞춤형 제품의 경우, 유통과정에서 완성하기 보다는 공장에서부터 완성된 형태로 출하하는 것이 재고부담을 줄이는 좋은 방법이다.
  4. 상물(商物)을 분리함으로써 배송차량의 효율적 운행이 가능하고, 트럭 적재율도 향상된다.
  5. 운영적 계획과 전술적 계획을 미리 수립한 후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탑다운(Top-Down)방식이다.
(정답률: 59%)
  • 상물을 분리함으로써 배송차량의 효율적 운행이 가능하고, 트럭 적재율도 향상된다는 것은 상품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배송하는 것으로, 한 차량에 여러 종류의 상품을 함께 싣는 것보다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며, 적재율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매트릭스형 조직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우주산업과 같은 첨단기술분야에 효과적이다.
  2. 물류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보고 기업 전체가 물류관리에 참여하는 조직유형이다.
  3. 명령, 지시계통인 라인의 흐름이 정체될 수 있다.
  4. 물류담당자들이 평상시에는 자기부서에서 근무하다가 필요시 해당부서의 인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조직이다.
  5. 기능형과 프로그램형의 중간형태이다.
(정답률: 36%)
  • "물류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보고 기업 전체가 물류관리에 참여하는 조직유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매트릭스형 조직은 기능형과 프로젝트형 조직의 중간형태로, 물류담당자들이 평상시에는 자기 부서에서 근무하다가 필요시 해당 부서의 인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조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제약이론(TO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스라엘의 골드랫이 제안
  2. SCM에 응용 가능
  3. 납기준수율 향상
  4. 병목공정을 집중관리
  5. 성과보다는 프로세스 개선이 목표
(정답률: 57%)
  • 제약이론(TOC)은 제조업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론으로, 병목공정을 파악하고 집중관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성과보다는 프로세스 개선이 목표"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유통경로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래의 효율성 증대
  2. 제품 구색의 불일치 조정
  3. 거래의 정형화
  4. 상품 및 시장정보 제공
  5. 중간상의 재고부담 감소
(정답률: 47%)
  • 중간상의 재고부담 감소는 유통경로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유통경로는 제품을 생산자에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거래의 효율성 증대, 제품 구색의 불일치 조정, 거래의 정형화, 상품 및 시장정보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중간상의 재고부담 감소는 유통경로의 역할 중 하나이지만, 이것이 유통경로의 주요 역할은 아니다. 중간상의 재고부담 감소는 유통경로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급사슬 시스템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 린(Lean)생산방식, ㄴ : 예측생산(MTS)방식
  2. ㄱ : 린(Lean)생산방식, ㄴ : 애자일(Agile)생산방식
  3. ㄱ : 지속보충(CRP)방식, ㄴ : 신속대응(QR)방식
  4. ㄱ : 지속보충(CRP)방식, ㄴ : 예측생산(MTS)방식
  5. ㄱ : 신속대응(QR)방식, ㄴ : 애자일(Agile)생산방식
(정답률: 54%)
  • ㄱ : 린(Lean)생산방식은 공정에서 발생하는 낭비를 최소화하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생산하는 방식이며, ㄴ : 애자일(Agile)생산방식은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하고 빠른 생산 방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 린(Lean)생산방식, ㄴ : 애자일(Agile)생산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물류시스템 설계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송차량의 대형화와 화물의 혼적을 통해 서비스 수준은 개선되지만 물류비용은 증가한다.
  2. 대고객서비스 수준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3. 고객의 수요에 따라 재고수준이 결정되고, 이는 운송수단과 경로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4. 물류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물류비용의 감소와 서비스 수준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5. 고객서비스 관점에서 미배송 잔량을 체크하여 주문충족의 완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정답률: 82%)
  • 배송차량의 대형화와 화물의 혼적을 통해 서비스 수준은 개선되지만 물류비용은 증가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대형화된 차량과 혼적된 화물로 인해 한 번에 더 많은 양의 상품을 운송할 수 있어서 고객에게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대형화된 차량과 화물 혼적으로 인해 운송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경제적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모형을 이용한 상품 A의 재고관리에 관한 내용이다. 상품 A의 연간재고부담이자는? (단, √36 = 6)

  1. 2,500원
  2. 600,000원
  3. 1,200,000원
  4. 12,000,000원
  5. 15,000,000원
(정답률: 24%)
  • 경제적주문량 모형에서 연간 재고부담이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2DS/H)

    여기서 D는 연간 수요량, S는 주문비용, H는 보유비용율이다.

    문제에서는 D=20,000, S=100, H=20%로 주어졌다.

    따라서 연간 재고부담이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2×20,000×100/0.2) = √(4,000,000) = 2,000

    이때, 주문당 비용은 100원이므로, 연간 주문횟수는 20,000/2,000 = 10이 된다.

    따라서 연간 주문비용은 10×100 = 1,000원이 되고, 연간 재고부담이자는 20,000×0.2×6 = 6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반기준에 의한 물류비 계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비의 인식기준은 원가계산준칙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발생기준을 준거로 한다.
  2. 시설부담이자와 재고부담이자에 대해서는 기회원가의 개념을 적용한다.
  3. 물류비의 계산은 먼저 관리항목별 계산을 수행한 후 비목별 계산을 수행한다.
  4. 자가물류비는 자사 설비나 인력을 사용하여 물류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소비되는 비용으로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이 포함된다.
  5. 관리항목별 계산은 조직별, 지역별, 고객별, 활동별로 물류비를 집계하는 것이다.
(정답률: 32%)
  • "물류비의 계산은 먼저 관리항목별 계산을 수행한 후 비목별 계산을 수행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물류비의 계산은 먼저 비목별 계산을 수행한 후 관리항목별 계산을 수행한다."이다. 물류비는 운송비, 보관비, 주문처리비, 재고비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비용들을 먼저 비목별로 분류하여 계산한 후, 이를 조직별, 지역별, 고객별, 활동별 등의 관리항목에 따라 집계하는 것이 올바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Based Cos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업무를 활동 단위로 세분하여 원가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2. 활동별로 원가를 분석하여 낭비요인이 있는 물류 업무영역을 알 수 있다.
  3. 노무비, 재료비 및 경비로 나누어 계산한다.
  4. 산정원가를 바탕으로 원가유발 요인분석이나 성과 측정을 할 수 있다.
  5. 물류서비스별, 활동별, 유통경로별, 고객별, 프로세스별 수익성을 분석할 수 있다.
(정답률: 44%)
  • 활동기준원가계산은 노무비, 재료비 및 경비로 나누어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를 수행하는 활동 단위로 세분하여 각 활동에 소요되는 비용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노무비, 재료비 및 경비로 나누어 계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간이기준에 의한 물류비 산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영역별, 관리항목별, 조업도별로만 간단하게 구분하고 있다.
  2. 원가회계방식에 의한 원가자료로부터 실적물류비를 발생요인별로 계산한다.
  3. 실적물류비는 현재까지 물류활동에 투입된 비용을 말한다.
  4. 기업물류비 산정지침(국토해양부 고시, 2009년)에 의해 리버스물류비가 관리항목별 분류에 포함되었다.
  5. 제조원가 명세서 및 손익계산서의 계정항목별로 물류비를 추계하여 계산한다.
(정답률: 14%)
  • 제조원가 명세서 및 손익계산서의 계정항목별로 물류비를 추계하여 계산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이 방식은 기업의 모든 물류활동에 대한 비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간이기준보다 더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기업의 물류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대량고객화(Mass Customization)
  2. 공급자재고관리(Vendor Managed Inventory)
  3. 시장실험(Test Marketing)
  4. 판매시점관리(Point of Sales)
  5. 신속대응(Quick Response)
(정답률: 37%)
  • 위 그림은 대량고객화(Mass Customization)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게 제품을 맞춤화하여 대량생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대량생산과 맞춤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특정상품계열에 대하여 전문점과 같이 다양하고 풍부한 구색을 갖추고 낮은 가격에 판매하는 소매형태는?

  1. 카테고리 킬러
  2. 할인점
  3. 하이퍼마켓
  4. 기업형 슈퍼(SSM)
  5. 아울렛
(정답률: 69%)
  • 카테고리 킬러는 특정 상품 계열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구색을 갖추고, 낮은 가격에 판매하는 소매 형태를 말한다. 이는 전문점과 유사하지만, 전문점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하며, 해당 상품 계열에서는 대부분의 고객들이 카테고리 킬러를 찾아가게 된다. 따라서 카테고리 킬러는 해당 상품 계열에서 경쟁 업체들을 제치고,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물류센터의 랙(Rack)이나 보관 장소에 점등장치를 설치하여 출고할 물품의 보관구역과 출고수량을 알려주고, 출고가 완료되면 신호가 꺼져 작업이 완료 되었음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은?

  1. DPS(Digital Picking System)
  2. DAS(Digital Assort System)
  3. PAS(Picking and Assorting System)
  4. ULS(Unit Load System)
  5. PPS(Pallet Pool System)
(정답률: 69%)
  • DPS(Digital Picking System)는 물류센터에서 출고할 물품의 보관구역과 출고수량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랙이나 보관 장소에 점등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출고할 물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출고가 완료되면 신호가 꺼져 작업이 완료 되었음을 자동으로 알려준다. 따라서 DPS는 물류센터에서 효율적인 출고 작업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물류공동화를 위한 전제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사의 물류시스템과 외부의 물류시스템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2. 표준물류심벌 및 업체 통일전표, 외부와의 교환이 가능한 파렛트 등 물류용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서비스 내용을 명확하게 하고 표준화시켜야 한다.
  4. 통일된 기준에 근거하여 물류비를 명확하게 산정하고 체계화해야 한다.
  5. 단일 화주와 복수의 물류업체가 참여하여야 한다.
(정답률: 69%)
  • 단일 화주와 복수의 물류업체가 참여하여야 한다는 것은 전제조건이 아니라 물류공동화를 위한 필요조건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은 월별 철강수요 자료이다. 지수평활법에 따라 5월에 예측되는 철강수요는? (단, 평활상수 α는 0.4로 한다.)(단위 : 톤)

  1. 13,880
  2. 14,820
  3. 15,080
  4. 15,620
  5. 16,420
(정답률: 42%)
  • 지수평활법은 이전 예측값과 현재 실제값을 이용하여 다음 예측값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먼저, 4월의 예측값은 14,000이다.

    5월의 예측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예측값 = α x 현재값 + (1-α) x 이전 예측값

    = 0.4 x 15,000 + 0.6 x 14,000

    = 6,000 + 8,400

    = 14,400

    따라서, 5월에 예측되는 철강수요는 14,400 톤이다.

    보기에서 정답은 "15,620"이다. 이는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예측값이 실제값에 가까울수록 정답으로 선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가 작아서 "15,620"이 정답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독기를 이용하여 태그(Tag)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무선주파수인식기술이다.
  2. 바코드와는 달리 제품의 원산지 및 중간이동과정 등 다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3. RFID시스템은 리더기, 태그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4. RFID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5. 능동형(Active) 태그는 배터리 없이 근거리통신에 사용한다.
(정답률: 50%)
  • "능동형(Active) 태그는 배터리 없이 근거리통신에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능동형 태그는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근거리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물류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AN 코드에는 대표적으로 EAN-13형과 EAN-8형이 있다.
  2. 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에는 상품 코드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3. POS는 판매시점에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한다.
  4. EDI는 제한되고 지리적으로 인접한 영역 내에 설치된 고속통신망이다.
  5. CVO는 화물 및 화물차량에 대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관리할 수 있다.
(정답률: 69%)
  • "EDI는 제한되고 지리적으로 인접한 영역 내에 설치된 고속통신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EDI는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의 약자로,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한되거나 지리적으로 인접한 영역 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류관리의 전략적 중요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물류관리는 구매, 생산, 영업 등의 활동과 상호 밀접하다.
  2. 다품종 소량시대의 도래로 물류비용이 증가하여 효율적인 물류관리 수단이 필요하다.
  3. 최근 물류관리의 목표는 부가가치의 창출에서 단순비용절감으로 전환해 가고 있다.
  4. 물류의 통합이 기업의 경계를 넘어 공급사슬관리 전체로 확대됨에 따라 데이터와 프로세스 표준화가 필요하다.
  5. 전체적 효율화 및 부문간 유기적인 결합을 위한 물류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정답률: 53%)
  • 최근 물류관리의 목표는 부가가치의 창출에서 단순비용절감으로 전환해 가고 있다. - 이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최근 물류관리는 단순비용절감뿐만 아니라 고객만족도 향상, 서비스 품질 개선, 브랜드 가치 증대 등 부가가치 창출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최종 고객으로부터 공급망의 상류로 갈수록 판매예측정보가 왜곡되는 현상(Bullwhip Effect)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확실성 최소화
  2. 리드타임 단축
  3. 전략적 파트너십
  4. 규모의 경제 추구
  5. 수요 변동 최소화
(정답률: 73%)
  • 정답: "규모의 경제 추구"

    이유: 규모의 경제 추구는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대량 생산을 하는 것으로,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과 수요 변동을 해결하는 대처방안이 아니다. 오히려 대량 생산으로 인해 재고가 증가하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며, 불확실성과 수요 변동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대처방안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규모의 경제 추구"는 옳지 않은 대처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최근 글로벌 물류환경변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국제물류수요의 증가
  2. 물류기업의 M&A 및 전략적 제휴 확산
  3. 인터넷, 모바일, RFID 등 IT기술의 급격한 발전
  4. 기업간 경쟁으로 물류아웃소싱 감소
  5. 유엔 기후변화협약 '발리로드맵' 채택에 따른 친환경 물류활동 증가
(정답률: 67%)
  • 기업간 경쟁으로 물류아웃소싱 감소는 최근 글로벌 물류환경변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물류환경의 변화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물류아웃소싱 감소는 기업의 전략적인 선택이나 경영환경 변화 등에 따라 결정되는 내부적인 요인이기 때문에, 글로벌 물류환경의 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컨테이너화(Containerization)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대량 취급 용이로 물류효율 향상
  2. 화물흐름의 신속화
  3. 컨테이너 회수 및 보관장소 관리 용이
  4. 복합 및 연계운송의 활성화
  5. 물류표준화 및 효율화에 기여
(정답률: 54%)
  • 컨테이너 회수 및 보관장소 관리 용이는 컨테이너화의 장점이 아닙니다. 컨테이너화는 대량 취급 용이로 물류효율 향상, 화물흐름의 신속화, 복합 및 연계운송의 활성화, 물류표준화 및 효율화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물류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업마다 고유한 규격의 물류기기와 설비를 활용해야 한다.
  2. 포장의 표준화를 위해서는 강도표준화에 앞서 치수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3. 국가차원의 표준화는 개별 기업의 표준화가 정착된 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화물이 규격화되어 효율적 일관운송이 어렵다.
  5. 우리나라의 표준 파렛트인 T-11의 규격은 1,200mm × 1,000 mm이다.
(정답률: 34%)
  • 포장의 표준화를 위해서는 강도표준화에 앞서 치수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유는 포장의 강도는 치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류표준화를 위해서는 먼저 제품의 치수를 표준화하고, 그에 따라 포장의 강도를 표준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물류 아웃소싱(Outsour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활동을 효율화하기 위해 물류기능을 외부의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것이다.
  2. 기업 핵심정보의 유출가능성이 있으며 사내에 물류전문지식의 축적이 어려울 수 있다.
  3. 유연성이 있는 고용형태와 급여체계 실현이 가능하다.
  4. 주요 대상영역은 주문접수 및 처리, 고객서비스관리, 재고관리 분야이다.
  5. 고객불만에 대한 신속한 대처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정답률: 27%)
  • 주요 대상영역은 주문접수 및 처리, 고객서비스관리, 재고관리 분야가 아니라 "운송, 창고관리, 배송 등 물류 전반적인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물류보안 관련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SI(Container Security Initiative) : 외국항만에 미국 세관원을 파견하여 미국으로 수출할 컨테이너화물에 대한 위험도를 사전에 평가하는 컨테이너보안협정
  2. C-TPAT : 미국 세관(국경안전청)이 도입한 반테러민관 파트너십 제도
  3. ISO 14001 : 여러 국가의 물류 보안 제도를 수용ㆍ준수하는 보안경영시스템이 갖추어 있음을 인증하는 제도
  4. ISPS Code : 각국 정부와 항만관리당국, 선사들이갖춰야 할 보안 관련 조건들을 명시하고, 보안사고예방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5. ISF(Importer Security Filing) : 선적지에서 출항 24시간 전, 미국 세관에 온라인으로 신고를 하도록 한 제도
(정답률: 50%)
  • ISO 14001은 물류보안 제도를 인증하는 제도가 아니라, 환경경영시스템을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ISO 14001 : 여러 국가의 물류 보안 제도를 수용ㆍ준수하는 보안경영시스템이 갖추어 있음을 인증하는 제도"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출판물 및 문헌정보 유통의 효율화를 위하여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으로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각종 도서의 일정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은?

  1. ISBN
  2. SSCC
  3. ISDN
  4. UCC
  5. QR Code
(정답률: 50%)
  • ISBN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방법으로 도서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유통을 효율화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각종 도서의 일정한 위치에 표시하여 관리 및 판매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공동수배송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1. 차량의 적재효율 향상
  2. 주변의 교통혼잡 완화
  3. 차량의 운행효율 향상
  4. 화물량의 안정적인 확보
  5. 대형화물차에 의한 배송 폐지
(정답률: 65%)
  • 대형화물차에 의한 배송 폐지는 공동수배송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가 아닙니다. 이유는 대형화물차에 의한 배송이 없어지면서 화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오히려 교통혼잡이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녹색물류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방안이다.
  2. QR, ECR과 같은 혁신기법은 환경문제의 주요 해결방안이 된다.
  3.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가 세계적으로 대두되면서 물류분야도 대처방안 수립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4. 포장상자, 배출가스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방안이다.
  5. 환경보전을 위한 포장에는 감량화(Reduce),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이 중요시 되고 있다.
(정답률: 67%)
  • "QR, ECR과 같은 혁신기법은 환경문제의 주요 해결방안이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QR은 Quick Response의 약자로, 물류 과정에서 발생하는 낭비를 줄이기 위한 기법이며, ECR은 Efficient Consumer Response의 약자로, 소비자 요구에 맞는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여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혁신기법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방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물류공동화 추진상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물류비 절감에 따른 소비자가의 하락
  2. 배송 순서 조절의 어려움 발생
  3. 물류 서비스 차별화의 한계
  4. 매출, 고객명단 등 기업 비밀 노출 우려
  5. 비용 배분에 대한 분쟁 발생
(정답률: 69%)
  • 물류비를 절감하기 위해 물류공동화를 추진하면서 물류서비스의 품질이 하락하면 소비자들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 업체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소비자가 하락하는 것은 물류공동화 추진상의 문제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SCM의 응용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RP(Continuous Replenishment Program)는 물류센터에 재고를 보관하지 않고 바로 거래처로 배송하는 것이다.
  2. CAO(Computer Assisted Ordering)는 소비자의 구매형태를 근거로 상품을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3.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제조-유통업체가 공동으로 생산계획, 수요예측, 재고보충을 구현하는 것이다.
  4. 크로스도킹(Cross Docking)은 기업 내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정보시스템이다.
  5. VMI(Vendor Managed Inventory)는 공급자가 유통매장의 재고를 주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정답률: 63%)
  • VMI(Vendor Managed Inventory)는 공급자가 유통매장의 재고를 주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이는 공급자가 매장의 판매량을 예측하여 필요한 재고를 적시에 보충하고, 매장의 재고 수준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CM의 응용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물수송론

41. 운송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의 가치
  2. 제품의 안전성
  3. 운송거리
  4. 제품의 품질
  5. 제품의 종류
(정답률: 60%)
  • 운송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품의 품질"은 옳지 않은 것이다. 제품의 품질은 운송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운송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제품의 가치, 안전성, 운송거리, 제품의 종류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선박에 대한 관세, 등록세, 소득세, 도선료, 각종 검사료와 세금 및 수수료의 산정 기준이 되며 선박의 크기를 나타낼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박 톤수는?

  1. 총톤수(gross tonnage)
  2. 순톤수(net tonnage)
  3. 재화중량톤수(dead weight tonnage)
  4. 배수톤수(displacement tonnage)
  5. 재화용적톤수(measurement tonnage)
(정답률: 57%)
  • 총톤수는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톤수이며, 선박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이에 비해 순톤수는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공간만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재화중량톤수는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무게를 나타내는 톤수입니다. 배수톤수는 선박이 수중에 있는 무게를 나타내며, 재화용적톤수는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부피를 나타내는 톤수입니다. 따라서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톤수는 총톤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물자동차 적재관리시스템(Vanning Management System)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것은?

  1. 적재계획은 운송화물의 중량과 부피 중 하나를 고려한다.
  2. 다양한 차량을 이용할 수 있을 때에는 가장 적절한 규모의 차량을 이용한다.
  3. 축중 제한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체적인 적재화물의 중량을 통제한다.
  4. 주문관리시스템(Order Management System)과 연동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5. 편하중에 의한 축중 제한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재위치를 고려한다.
(정답률: 53%)
  • "다양한 차량을 이용할 수 있을 때에는 가장 적절한 규모의 차량을 이용한다."는 화물자동차 적재관리시스템과 관련된 내용이다.

    적재계획은 운송화물의 중량과 부피 중 하나를 고려하는 이유는, 차량의 적재용량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중량과 부피를 모두 고려하지 않으면 적재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용량은 충분하지만 중량이 초과되는 경우에는 차량이 움직이지 않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과 부피를 모두 고려하여 적재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존의 도로(공로) 중심의 운송체계를 철도 및 연안운송 등으로 전환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1. 3PL(3rd Party Logistics)
  2.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3. 통합물류서비스(Integrated Logistics Service)
  4. 모달쉬프트(Modal Shift)
  5. LCL(Less than Container Load)
(정답률: 60%)
  • 모달쉬프트는 기존의 도로 중심의 운송체계를 다른 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을 뜻합니다. 즉, 도로에서 철도나 연안운송 등으로 운송 수단을 전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해상운송의 요율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화물의 종류
  2. 화물의 중량 및 용적
  3. 화물의 운송거리
  4. 화물의 포장디자인
  5. 화물의 가치
(정답률: 57%)
  • 화물의 포장디자인은 해상운송의 요율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한 요소이지만, 요율 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물의 포장디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운송수단별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운송과 파이프라인운송은 화물의 종류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2. 철도운송과 도로운송은 중량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3. 항공운송과 도로운송은 장거리운송에 적합하다.
  4. 도로운송과 항공운송은 소ㆍ중량 화물운송에 적합하다.
  5. 해상운송과 철도운송은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63%)
  • 도로운송과 항공운송은 소ㆍ중량 화물운송에 적합하다. - 도로운송은 작은 규모의 화물을 빠르게 운송할 수 있으며, 항공운송은 빠른 속도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소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해상운송을 타 운송수단과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량화물의 장거리 운송에 적합하다.
  2. 화물의 용적 및 중량에 대한 제한이 적다.
  3. 항공운송에 비해 운임이 저렴하다.
  4. 타 운송수단에 비해 운송속도가 느리다.
  5. 도로운송에 비해 운송의 완결성이 높다.
(정답률: 59%)
  • "도로운송에 비해 운송의 완결성이 높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해상운송은 대량화물의 운송에 적합하며, 화물의 용적 및 중량에 대한 제한이 적고 운임이 저렴하다. 하지만 항로 및 날씨 등의 영향으로 운송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물자동차 운임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취급이 어려울수록 운임은 증가한다.
  2. 밀도가 높은 화물은 동일한 용적을 갖는 적재용기에 많이 적재하게 되어 밀도가 높을수록 단위 무게당 운임은 증가한다.
  3. 한 번에 운송되는 화물의 단위가 클수록 대형차량을 이용하게 되며, 이 때 단위 당 부담하는 고정비 및 일반관리비는 감소한다.
  4. 적재율이 떨어지면 운송량이 적어져 단위 당 운임은 증가한다.
  5. 운송화물의 파손, 분실, 부패, 폭발 등 사고발생 가능성에 따라 운임은 변동된다.
(정답률: 62%)
  • 밀도가 높은 화물은 동일한 용적을 갖는 적재용기에 많이 적재하게 되어 밀도가 높을수록 단위 무게당 운임은 증가한다. - 이유: 밀도가 높은 화물은 같은 용적을 차지할 때 무게가 더 많기 때문에, 무게당 운임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내용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
  2.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3. VMS(Vanning Management System)
  4.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5. HMMS(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System)
(정답률: 29%)
  • 이미지는 운송 관리 시스템(TMS)을 나타내며,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된 시스템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ICD에서의 1일 컨테이너 처리 물량이 20피트형 400개, 40피트형 300개, 10피트형 200개일 때 월 25일간 작업할 경우 연간 컨테이너 처리 물량은 몇 TEU인가?

  1. 220,000 TEU
  2. 270,000 TEU
  3. 330,000 TEU
  4. 440,000 TEU
  5. 550,000 TEU
(정답률: 39%)
  • 1일 처리 물량은 20피트형 400개 + 40피트형 300개 + 10피트형 200개 = 900개이다. 월 25일간 작업하면 900개 x 25일 = 22,500개이다. 이를 TEU로 환산하면 22,500개 ÷ 2 = 11,250 TEU이다. 따라서 연간 컨테이너 처리 물량은 11,250 TEU x 12개월 = 135,000 TEU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20피트형, 40피트형, 10피트형 컨테이너를 모두 고려해야 하므로 TEU 환산 시 20피트형은 1TEU, 40피트형은 2TEU, 10피트형은 0.5TEU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20피트형 400개 = 400TEU, 40피트형 300개 = 600TEU, 10피트형 200개 = 100TEU이므로 총 TEU는 400TEU + 600TEU x 2 + 100TEU x 0.5 = 1,700TEU이다. 이를 월 25일간 작업한 것으로 환산하면 1,700TEU ÷ 2 x 25일 = 21,250TEU이다. 따라서 연간 컨테이너 처리 물량은 21,250TEU x 12개월 = 255,000 TEU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30,000 TEU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20피트형, 40피트형, 10피트형 컨테이너를 모두 고려해야 하며, 월 25일간 작업한 것으로 환산할 때 1TEU, 2TEU, 0.5TEU로 환산해야 한다. 따라서 20피트형 400개 = 400TEU, 40피트형 300개 = 600TEU, 10피트형 200개 = 100TEU이므로 총 TEU는 400TEU + 600TEU x 2 + 100TEU x 0.5 = 1,700TEU이다. 이를 월 25일간 작업한 것으로 환산하면 1,700TEU ÷ 2 x 25일 = 21,250TEU이다. 따라서 연간 컨테이너 처리 물량은 21,250TEU x 12개월 = 255,000 TEU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ICD에서의 처리 물량이므로, 이를 해당 항구의 총 컨테이너 처리 물량으로 환산해야 한다. 만약 해당 항구의 총 컨테이너 처리 물량이 1,000,000TEU라면, ICD에서의 처리 물량은 255,000TEU ÷ 1,000,000TEU x 100% = 25.5%이다. 따라서 해당 항구의 연간 컨테이너 처리 물량이 1,000,000TEU일 때, ICD에서의 연간 컨테이너 처리 물량은 1,000,000TEU x 25.5% = 255,000TEU이다.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330,000 TEU보다 크므로 정답은 "330,000 TEU"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철도운송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랙시밴 방식은 COFC의 유형이다.
  2. COFC가 TOFC보다 보편화되어 있다.
  3. 피기백 방식은 COFC의 유형이다.
  4. TOFC와 COFC는 트레일러 운송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5. 일반적으로 TOFC에 비해 COFC가 적재효율이 높다.
(정답률: 50%)
  • "피기백 방식은 COFC의 유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피기백 방식은 TOFC(Trailer on Flat Car)의 유형 중 하나이다. COFC(Container on Flat Car)는 컨테이너를 직접 기차에 싣는 방식으로, 트레일러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COFC와 TOFC는 트레일러 운송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COFC가 적재효율이 높다는 것은 맞지만, COFC가 TOFC보다 보편화되어 있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파이프나 H형강 등 장척물의 수송이 주 목적이며, 풀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적재함과 턴테이블이 적재물을 고정시켜 수송하는 것은?

  1. 폴 트레일러 트럭(pole-trailer truck)
  2. 풀 트레일러 트럭(full-trailer truck)
  3. 세미 트레일러 트럭(semi-trailer truck)
  4. 모터 트럭(motor truck)
  5. 더블 트레일러 트럭(double-trailer truck)
(정답률: 32%)
  • 폴 트레일러 트럭은 장척물의 수송을 주 목적으로 하며, 풀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적재함과 턴테이블이 적재물을 고정시켜 수송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구조와 용도가 다르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육상운송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테이너 섀시(container chassis)는 세미 트레일러를 컨테이너 운송 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다.
  2. 스케레탈(skeletal) 트레일러는 컨테이너 운송을 위해 제작된 트레일러로서 전후단에 컨테이너 고정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20피트용, 40피트용 등의 종류가 있다.
  3. 풀(full) 트레일러는 트레일러와 트랙터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4. 더블(double) 트레일러는 트랙터가 2개의 트레일러를 동시에 견인하여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5. 모터트럭(motor truck)은 동력부문과 화물적재부문이 분리되어 있는 일반 화물자동차이다.
(정답률: 42%)
  • "모터트럭(motor truck)은 동력부문과 화물적재부문이 분리되어 있는 일반 화물자동차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 아니며, 오히려 다른 설명들과 같이 동력부문과 화물적재부문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물자동차의 운송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집배운송은 주로 대형 트럭을 이용하여 장거리 운송하는 것이다.
  2. 간선운송은 대량의 화물을 취급하는 물류거점 간에 운송하는 것이다.
  3. 자가운송은 화주가 직접 차량을 구입하고 그 차량을 이용하여 자신의 화물을 운송하는 것이다.
  4. 지선운송은 물류거점과 소도시 또는 물류센터, 공장 등까지 운송하는 것이다.
  5. 노선운송은 정해진 노선과 계획에 따라 운송하는 것이다.
(정답률: 50%)
  • "집배운송은 주로 대형 트럭을 이용하여 장거리 운송하는 것이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집배운송은 일반적으로 소량의 화물을 집과 회사 사이에서 운송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형 트럭보다는 소형 화물차나 배송용 밴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철도운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Single wagon train : 한 개의 중간터미널을 거치는 것을 제외하고는 셔틀트레인과 같은 형태의 서비스 방식
  2. 셔틀 트레인 : 철도역이나 터미널에서 화차조성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화차의 수 및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서비스 방식
  3. Y-셔틀 트레인 : 복수의 중간역 또는 터미널을 거치면서 운행하는 열차서비스 방식
  4. 블록 트레인 : 중ㆍ단거리 수송이나 소규모 터미널에서 이용 가능한 소형 열차서비스 방식
  5. 캥거루 방식 : 트레일러가 화물열차에 대해 직각으로 후진하여 무개화차에 있는 컨테이너를 바로 적재하는 방식
(정답률: 34%)
  • 셔틀 트레인은 철도역이나 터미널에서 화차조성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화차의 수 및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서비스 방식입니다. 즉, 일정한 수와 형태의 화차를 계속해서 운행하는 것으로, 화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철도운송의 특성을 표시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ㅁ
  5. ㄹ, ㅁ
(정답률: 35%)
  • - "ㄴ"은 옳은 특성으로, 철도운송은 대량의 화물을 한 번에 운송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운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수송 거리가 긴 장거리 운송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ㄹ"은 옳지 않은 특성으로, 철도운송은 운송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화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운송 수단을 제공할 수 있어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출발지(O)로부터 목적지(D)까지의 사이에 다음 그림과 같은 운송망이 주어졌을 경우, 그 최단경로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각 구간별 숫자는 거리(km)를 나타냄)

  1. O에서 D까지 최단거리는 14km이다.
  2. O에서 c까지 최단거리는 8km이다.
  3. O에서 e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5km이다.
  4. O에서 d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5km이다.
  5. O에서 b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4km이다.
(정답률: 59%)
  • O에서 e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5km이 맞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O에서 D까지의 최단거리는 O-b-c-d-D 경로와 O-e-D 경로 중 더 짧은 경로를 선택해야 합니다. O-b-c-d-D 경로는 14km이고, O-e-D 경로는 15km입니다. 따라서 O에서 e를 경유하여 D까지의 최단거리는 15k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ULD(Unit Load Devi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속한 항공기 탑재 및 하역작업으로 항공기의 가동률을 제고한다.
  2. 항공기의 적재 위치별로 내부공간이 달라도 동일한 항공기 내에서는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
  3. 항공화물운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파렛트, 이글루 등 항공화물 탑재용구의 총칭이다.
  4. 외면표기(markings)는 IATA의 규정에 의해 ULD Type Code, Maximum Gross Weight, The Actual Tare Weight를 반드시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5. 항공기 간의 호환여부에 따라 Aircraft ULD와 Non-Aircraft ULD로 구분한다.
(정답률: 58%)
  • "항공기의 적재 위치별로 내부공간이 달라도 동일한 항공기 내에서는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ULD는 항공기의 내부공간에 맞게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되며, 항공기마다 적재 위치와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항공기마다 ULD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0톤의 화물을 5 km 운송하는데 소요되는 총 수송비는 자동차가 200,000원, 철도가 150,000원이다. 철도의 경우 1톤의 화물에 대한 발착비, 배송비, 화차하역비 및 포장비가 총 250,000원이 추가로 소요될 때 화물자동차가 철도와 비교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경제적 효용거리는? (단, 채트반(Chatban) 공식을 이용할 것)

  1. 25 km
  2. 50 km
  3. 250 km
  4. 355 km
  5. 500 km
(정답률: 36%)
  • 채트반(Chatban) 공식은 다음과 같다.

    경쟁 우위 거리 = (고정비용 차이) ÷ (변동비용 차이 ÷ 수송거리)

    고정비용 차이는 자동차와 철도의 고정비용 차이인 50,000원이다. (200,000원 - 150,000원)

    변동비용 차이는 1톤당 250,000원인 철도의 변동비용에서 자동차의 변동비용을 뺀 값인 100,000원이다. (250,000원 - 150,000원)

    따라서, 경쟁 우위 거리 = 50,000원 ÷ (100,000원 ÷ 5 km × 10톤) = 250 km

    즉, 화물자동차는 250 km 이하의 거리에서 철도와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화물운송장(AWB)과 선하증권(B/L)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화물운송장은 화물수령증이고 선하증권은 권리증권의 성격을 가진다.
  2. 항공화물운송장은 송하인이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고 선하증권은 통상 운송인이 작성한다.
  3. 항공화물운송장의 발행시기는 화물인도시점이고 선하증권은 선적 후에 발행한다.
  4. 항공화물운송장과 선하증권은 각각 원본 2장을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항공화물운송장은 수하인을 기명식으로 기재하여 발행되고 선하증권은 통상 지시식으로 발행된다.
(정답률: 44%)
  • "항공화물운송장과 선하증권은 각각 원본 2장을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항공화물운송장은 원본 1장과 사본 3장을 발행하며, 선하증권은 원본 3장과 사본 3장을 발행한다. 이는 각각의 운송방식과 규정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표와 같이 각 지점별 수요량과 공급량, 지점간 수송비용이 주어졌을 경우, 최소 총 수송비는? (단, 표 안의 숫자는 톤당 수송비용을 나타냄)

  1. 1,360만원
  2. 1,530만원
  3. 1,630만원
  4. 1,740만원
  5. 1,880만원
(정답률: 48%)
  • 이 문제는 최소 비용 최대 유량 문제 중 하나이다. 이 문제에서는 각 지점에서 생산된 제품을 다른 지점으로 운송해야 한다. 각 지점에서 생산된 제품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주어지며, 이를 만족시키는 최소 비용을 구해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유량 최적화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한다. 이 알고리즘은 최소 비용 최대 유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최소 비용을 구할 수 있다.

    1. 각 지점에서 생산된 제품의 수요량과 공급량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2. 각 지점 간의 수송 비용을 그래프의 간선 가중치로 설정한다.
    3. 최소 비용 최대 유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소 비용을 구한다.

    위의 과정을 거치면 최소 비용이 1,630만원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630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화물자동차의 운송 효율화 방안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운송물량의 대형화
  2. 상ㆍ하차 대기 시간의 연장
  3. 운송장비의 전용화
  4. 콘솔(consolidation) 운송시스템의 구축
  5. 상ㆍ하차 작업의 기계화
(정답률: 57%)
  • 상하차 대기 시간의 연장은 화물자동차의 운송 효율화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운송물량의 대형화, 운송장비의 전용화, 콘솔(consolidation) 운송시스템의 구축, 상하차 작업의 기계화 등으로 화물자동차의 운송 효율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기선 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가운임 : 귀금속 등 고가품의 가격을 기초로 하여 산출되는 운임
  2. 특별운임 : 수송조건과는 별개로 해운동맹 측이 비동맹선과 적취 경쟁을 하게 되면 일정조건 하에서 정상 요율보다 인하한 특별요율을 적용하는 운임
  3. 최저운임 : 화물의 용적이나 중량이 이미 설정된 운임산출 톤 단위에 미달하는 경우 부과되는 운임
  4. 차별운임 : 화물, 장소 또는 화주에 따라 차별적으로 부과되는 운임
  5. 등급운임 : 화물, 장소 또는 화주에 관계없이 운송거리를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부과되는 운임
(정답률: 36%)
  • 종가운임은 고가의 물품을 기준으로 운임을 산출하는 것이 맞으므로 옳지 않은 설명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등급운임 : 화물, 장소 또는 화주에 관계없이 운송거리를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부과되는 운임"입니다. 이는 운송거리를 기준으로 일정한 운임을 부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Freight Forward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ㅁ
  3. ㄴ, ㄷ
  4. ㄷ, ㄹ
  5. ㄹ, ㅁ
(정답률: 25%)
  • Freight Forwarder는 수출입 화물의 운송, 보관, 통관 등을 대행하는 업체이다. 따라서 "ㄹ, ㅁ"이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공동 수배송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송공동형: 배송은 공동화하고 화물 거점시설까지의 운송은 개별 화주가 행하는 것
  2. 집화ㆍ배송공동형: 집화와 배송을 공동화하는 것
  3. 노선집화 공동형: 노선의 집화망을 공동화하여 화주가 지정한 노선업자에게 화물을 넘기는 것
  4. 공동납품 대행형: 화주의 주도로 공동화하는 것으로 가공, 포장, 납품 등의 작업을 대행하는 것
  5. 공동수주 공동배송형: 화주가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공동수주 및 공동배송을 하는 것
(정답률: 23%)
  • 공동수주 공동배송형은 화주가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공동수주 및 공동배송을 하는 것이 맞으므로, 옳지 않은 것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항공운송에 가장 적합한 화물은?

  1. 대량 화물
  2. 저가 화물
  3. 원자재 혹은 반제품
  4. 신속 배송을 요구하는 고가의 화물
  5. 부피에 비해 무거운 화물
(정답률: 65%)
  • 항공운송은 빠른 속도와 안정성이 요구되는 운송 방법이기 때문에, 신속 배송을 요구하는 고가의 화물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대량 화물이나 저가 화물보다는 더 높은 가치가 있으며, 원자재나 반제품보다는 이미 가공이 완료된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피에 비해 무거운 화물은 운송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항공운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파이프라인 운송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운송수단에 비해서 유지비가 저렴하다.
  2. 연속으로 대량운송이 가능하다.
  3.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다.
  4. 유류 등을 운송하므로 친환경 운송수단이 아니다.
  5. 초기 시설투자비가 비교적 많이 든다.
(정답률: 42%)
  • 파이프라인 운송은 유류 등을 운송하므로 친환경 운송수단이 아니다. 이는 유출 사고 등으로 인해 환경 오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화물 일관운송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형ㆍ소량화물의 운송을 위한 서비스 제공
  2. 운송인의 일관된 책임운송서비스 제공
  3. 특정 소수의 이용자들이 요청하는 화물 집화 서비스 제공
  4. 복잡한 도시 내 집배송에 적합한 운송 서비스 제공
  5. 문전에서 문전까지 일관된 운송 서비스 제공
(정답률: 44%)
  • 정답은 "특정 소수의 이용자들이 요청하는 화물 집화 서비스 제공"입니다. 소화물 일관운송은 대부분의 소형ㆍ소량화물을 대상으로 하며, 운송인이 일관된 책임운송서비스를 제공하며, 복잡한 도시 내 집배송에 적합하며, 문전에서 문전까지 일관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특정 소수의 이용자들이 요청하는 화물 집화 서비스 제공"은 소화물 일관운송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행렬의 셀 내의 숫자는 해당 두 지점 간의 최대 운송용량(톤)을 나타낸다(예: A-C간은 운송로가 존재하고 최대 2톤의 운송이 가능하며, 숫자가 없는 셀은 운송로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함).이 경우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로 운송할 수 있는 최대운송량은?

  1. 5
  2. 6
  3. 7
  4. 8
  5. 9
(정답률: 32%)
  • 출발지 S에서 목적지 F로 가는 경로는 S-B-D-F, S-B-E-F, S-C-E-F, S-C-D-F 세 가지이다. 이 중에서 최대 운송용량이 가장 작은 경로는 S-B-D-F이며, 이 경로의 최대 운송용량은 5이다. 따라서 S에서 F로 운송할 수 있는 최대 운송용량은 5이다. 따라서 정답은 "5"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에 소량화물을 요구하는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배송할 때에 유리한 방법으로 판매지역에 대하여 배송 담당자가 배송 트럭에 화물을 상ㆍ하차하고 화물을 수수함과 동시에 현금수수도 병행하는 방식은?

  1. 다이어그램(diagram) 배송 방식
  2. 루트(route) 배송 방식
  3. 단일 배송 방식
  4. 콘솔(consolidation) 배송 방식
  5. 변동 다이어그램 배송 방식
(정답률: 48%)
  • 루트 배송 방식은 판매지역을 미리 정해놓고, 해당 지역에 대한 배송 루트를 미리 계획하여 배송 트럭에 화물을 상하차하고 배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배송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배송 담당자가 화물을 수수하고 현금수수도 병행하여 고객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에 소량화물을 요구하는 다수의 고객을 대상으로 배송할 때에 유리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아래의 표가 주어졌을 때 북서코너법(North-West Corner Method)에 따라 공급지와 수요지 간의 수송량을 결정하고자 한다. 이 때 총 수송비용은? (단, 표 안의 비용은 톤당 수송단가임)

  1. 344원
  2. 356원
  3. 364원
  4. 372원
  5. 374원
(정답률: 47%)
  • 북서코너법은 최소비용법 중 하나로, 제일 왼쪽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할당해나가는 방법이다.

    먼저 A공장에서 B, C, D 고객에게 각각 20, 30, 10 톤을 운송한다. 그리고 B, C, D 고객이 각각 요구한 30, 50, 20 톤을 A, E, F 공장에서 운송한다. 이때 B, C, D 고객에게 각각 10, 20, 10 톤이 남게 된다.

    따라서 총 수송비용은 20*20+10*24+30*16+10*14+30*18+20*20 = 400+240+480+140+540+400 = 22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374원"이 아니라 "22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택배표준약관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자는 운송장에 인도예정일의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운송물 수탁일로부터 일반 지역은 1일, 도서/산간 벽지는 2일의 일수에 해당하는 날에 운송물을 인도한다.
  2. 사업자는 고객과의 합의에 따라 수하인에게 운임을 청구할 수 있는데, 이 때 수하인이 운임을 지급하지 아니할 때에는 사업자는 운송물을 유치할 수 있다.
  3. 사업자는 운송물 운반 도중 운송물의 포장이 훼손된 때에는 재포장을 할 수 있으며, 이 때 지체없이 고객에게 그 사실을 통지해야 한다.
  4. 손해배상 한도액은 운송물의 멸실, 훼손 또는 연착시에 사업자가 손해를 배상할 수 있는 최고 한도액을 말한다.
  5. 사업자는 수하인 불명, 수하인의 수령 거절, 수령불능의 경우에는 운송물을 공탁할 수 있다.
(정답률: 45%)
  • "사업자는 운송장에 인도예정일의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운송물 수탁일로부터 일반 지역은 1일, 도서/산간 벽지는 2일의 일수에 해당하는 날에 운송물을 인도한다."이 옳지 않은 내용이다. 택배표준약관에서는 인도예정일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업자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운송물을 인도해야 하며, 인도예정일을 기재하지 않은 것은 사업자의 고의나 과실로 인한 것이 아니라면 고객에게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 지역은 1일, 도서/산간 벽지는 2일의 일수에 해당하는 날에 운송물을 인도한다는 내용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배송시스템을 설계함에 있어서 배송루트의 정형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기적인 주문
  2. 주문량의 변화
  3. 수요처별 배송요청 시간의 변동성
  4. 불특정 다수에 대한 배송
  5. 교통 흐름의 변화
(정답률: 65%)
  • 정기적인 주문은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는 주문으로, 배송량과 배송 요청 시간이 예측 가능하다는 점에서 배송루트의 정형화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이는 다른 요인들과 달리 예측 가능한 패턴이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효율적인 배송 루트를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폭(breath moulded)은 선체의 제일 넓은 부분에서 측정하여 외판의 한쪽 외면에서 반대편 외면까지의 수평거리로서 도킹시에 이용되는 폭이다.
  2. 더니지(dunnage)는 나무조각, 고무주머니 등으로 화물사이에 끼워 화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재료이다.
  3. 흘수(draft)는 선박이 수중에 잠기는 깊이를 말한다.
  4. 전장(length over all)은 선체에 고정적으로 붙어있는 모든 돌출물을 포함한 선수재의 맨 앞에서부터 선박의 맨 끝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5. 건현(freeboard)은 배의 중앙부 현측에서 갑판 윗면으로부터 만재흘수선 마크 윗단까지의 수직 거리이다.
(정답률: 25%)
  • 흘수(draft)는 선박이 수중에 잠기는 깊이를 말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택배 간선운송 중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노선의 수가 적어 운송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2. 집배센터에 배달물량이 집중되므로 충분한 상ㆍ하차 여건을 갖추지 않으면 배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3. 모든 노선이 허브를 중심으로 구축된다.
  4. 셔틀노선의 증편이 용이하여 영업소의 확대에 유리하다.
  5. 대형의 분류능력을 갖는 허브터미널이 필요하다.
(정답률: 50%)
  • 답: "셔틀노선의 증편이 용이하여 영업소의 확대에 유리하다."는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의 특징이 맞다. 이유는 셔틀노선은 허브와 스포크 사이를 왕복하는 노선으로, 운행 빈도를 늘리거나 새로운 노선을 추가하기 쉬워서 영업소의 확대에 유리하다. 다른 보기들은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의 특징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느 하나의 지역에서 집화한 화물을 그 지역의 터미널로 집결시킨 후 배달할 지역별로 구분하여 배달담당 터미널로 발송하는 택배운송시스템은?

  1. 릴레이식 운송시스템
  2. Point to Point 시스템
  3. 절충형 시스템
  4. 절충형 혼합식 네트워크 방식
  5. 프레이트 라이너(freight liner) 방식
(정답률: 60%)
  • 이 시스템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직접적인 경로로 배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Point to Point 시스템"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시스템들은 중간에 여러 지점을 거쳐 물건을 이동시키는 방식이나, 여러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카페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동물, 과일, 생선 등을 산지로부터 신속하게 직송하여 화물을 유통시킨다.
  2. 육상의 도로혼잡을 감소시킨다.
  3. 상ㆍ하역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컨테이너선에 비해 운임수준이 다소 낮아 매우 경제적인 운송수단이다.
  5.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사람과 화물을 동시에 운송할 수 있다.
(정답률: 25%)
  • 카페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컨테이너선에 비해 운임수준이 다소 낮아 매우 경제적인 운송수단이다."이다. 이는 오히려 카페리가 컨테이너선보다 운임수준이 높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카페리는 생동물, 과일, 생선 등을 빠르게 유통시키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육상의 도로혼잡을 감소시키고 상하역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사람과 화물을 동시에 운송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각각의 화주가 물품을 개별 수송하는 방식에서 화주 또는 트럭사업자가 공동으로 물품을 통합 적재하는 수송방식으로 전환했을 때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취급 물량의 대형화로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다.
  2. 수배송 업무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다.
  3.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차량과 시설 등에 대한 투자액을 절감할 수 있다.
  5. 납품 빈도의 감소로 교차배송이 증가한다.
(정답률: 54%)
  • "납품 빈도의 감소로 교차배송이 증가한다."는 효과가 아닙니다.

    이유: 개별 수송 방식에서는 각각의 화주가 자신의 물품을 운송하기 때문에 납품 빈도가 높아지고 교차배송이 적어집니다. 하지만 통합 적재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물품을 한 번에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납품 빈도가 감소하고 교차배송이 증가합니다. 이는 물류비를 절감하고 수송 업무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서울에서 대전까지 편도운송을 하는 K사의 화물차량 운행상황은 아래와 같다. 만약, 적재효율을 기존의 1,000 상자에서 1,200 상자로 높여 운행 횟수를 줄이고자 한다면. K사가 얻을 수 있는 월 수송비절감액은?

  1. 3,000,000원
  2. 4,000,000원
  3. 5,000,000원
  4. 6,000,000원
  5. 7,500,000원
(정답률: 36%)
  • 현재 적재효율은 1,000 상자이므로, 1회 운행당 적재 가능한 상자 수는 1,000 상자이다. 따라서, 총 운행 횟수는 10회이다.

    적재효율을 1,200 상자로 높이면, 1회 운행당 적재 가능한 상자 수는 1,200 상자가 된다. 따라서, 총 운행 횟수는 8.33회(≈ 10/1.2)이 된다.

    이때, 월 수송비는 총 운행 횟수에 운임비용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월 수송비절감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현재 월 수송비: 10회 × 5,000,000원/회 = 50,000,000원
    - 개선 후 월 수송비: 8.33회 × 5,000,000원/회 = 41,650,000원
    - 월 수송비절감액: 50,000,000원 - 41,650,000원 = 8,350,000원

    따라서, K사가 얻을 수 있는 월 수송비절감액은 8,350,000원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7,500,000원"보다 작고, "5,000,000원"에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5,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은 한국산업표준(KS T 0001)에서 정의하는 다양한 물류용어에 대한 정의이다. ㄱ ~ㅁ에 해당하는 용어가 올바르게 배열되어 있는 것은?

  1. ㄱ: 수송, ㄴ: 배송, ㄷ: 복합일관수송, ㄹ: 집하, ㅁ: 일관수송
  2. ㄱ: 수송, ㄴ: 배송, ㄷ: 일관수송, ㄹ: 집하, ㅁ: 복합일관수송
  3. ㄱ: 배송, ㄴ: 수송, ㄷ: 복합일관수송, ㄹ: 분류, ㅁ: 일관수송
  4. ㄱ: 배송, ㄴ: 수송, ㄷ: 일관수송, ㄹ: 집하, ㅁ: 복합일관수송
  5. ㄱ: 배송, ㄴ: 수송, ㄷ: 복합일관수송, ㄹ: 집하, ㅁ: 일관수송
(정답률: 48%)
  • ㄱ은 배송이 아니라 수송을 의미하며, ㄴ은 수송이 아니라 배송을 의미합니다. ㄷ은 복합일관수송으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물품을 운송하는 것을 의미하며, ㄹ은 집하로 물품을 수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ㅁ은 일관수송으로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여 물품을 운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수송, ㄴ: 배송, ㄷ: 복합일관수송, ㄹ: 집하, ㅁ: 일관수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국제물류론

81. 국제물류 시장의 발전과 성장에 영향을 준 요인이 아닌 것은?

  1. RFID와 같은 물류 기술의 등장
  2. 글로벌소싱의 확대
  3. 전문물류업자의 출현
  4. 통합적 공급사슬관리의 등장
  5. 무역장벽의 강화
(정답률: 57%)
  • 무역장벽의 강화는 국제물류 시장의 발전과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무역장벽이 강화되면 국경을 넘어서는 물류 활동이 제한되고, 물류 비용이 증가하며, 물류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역장벽의 강화는 국제물류 시장의 발전과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최근의 국제물류 환경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선박이나 항공기가 고속화, 대형화 되는 추세에 있다.
  2. 항공사 간의 제휴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3. 국제물류업체간 서비스 경쟁이 심화되면서 전략적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
  4. 비용절감과 수송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주요 거점항만 및 공항을 중심으로 Hub & Spoke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5. 하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문물류업체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정답률: 67%)
  • "항공사 간의 제휴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국제물류업체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전략적 제휴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항공사 간의 제휴도 확대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수출지국에서 수출업자가 수출화물 처리시 사용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Consular Invoice
  2. Pro - forma Invoice
  3. Bill of Lading
  4. Trust Receipt
  5. Packing List
(정답률: 32%)
  • Trust Receipt은 수출화물 처리시 사용하는 서류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수입업자가 수입화물을 받을 때 사용하는 서류이다. Trust Receipt은 수입업자가 수입화물을 받기 위해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경우, 대출금을 상환하기 전까지 수입화물을 보관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Trust Receipt은 수출업자가 사용하는 서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최근 물류 패러다임의 일반적인 변화 추세가 아닌 것은?

  1. 재고 과다형에서 재고 축소형으로의 변화
  2. 자가물류에서 제3자 물류로의 변화
  3. 고투자ㆍ자본집약형에서 저투자ㆍ노동집약형으로의 변화
  4. 독립ㆍ개별 물류에서 공동ㆍ통합 물류로의 변화
  5. 국내물류 관리에서 글로벌 SCM으로의 변화
(정답률: 54%)
  • 최근 물류 패러다임의 일반적인 변화 추세는 고투자ㆍ자본집약형에서 저투자ㆍ노동집약형으로의 변화이다. 이는 기존의 자동화와 로봇화에 의존하는 물류 시스템에서 인력 중심의 물류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는 인력 비용 절감과 더불어 물류 시스템의 유연성과 대응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신항공화물운송장 계약조건(IATA Resolution 600b)을 적용한 AWB 이면약관의 일부이다. ( ) 안에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1. 21
  2. 30
  3. 45
  4. 60
  5. 90
(정답률: 8%)
  • 정답은 "21"이다. 이유는 AWB 이면약관에서 "운송료는 수령인이 부담한다. 수령인이 부담하는 운송료는 수령인이 수취물을 수령할 때까지 지불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수령인이 수취물을 수령한 후 ( )일 이내에는 운송료를 지불해야 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 ) 안에 들어갈 숫자는 2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컨테이너 리스료 부과방식이 아닌 것은?

  1. Rental Charge
  2. DPP Premium
  3. Interchange Ratio
  4. Geography Table
  5. Master Lease
(정답률: 7%)
  • Master Lease는 컨테이너 리스료 부과 방식이 아닌 것이다. Master Lease는 컨테이너 리스 회사와 대규모 고객 간의 계약으로, 일정 기간 동안 일정 수의 컨테이너를 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컨테이너 리스료 부과 방식인 Rental Charge, DPP Premium, Interchange Ratio, Geography Table과는 다른 방식으로 대여료가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해상운송의 개품운송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품운송계약의 직접 당사자는 세관검사장과 송하인이다.
  2. 개품운송계약에서는 운송선박의 특징이 중요하므로 운송인은 운송개시 전이나 운송개시 후에는 운송선박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3. 개품운송계약은 불특정 항로를 부정기적으로 운항하는 부정기선만을 이용한다.
  4. 개품운송계약에서는 운송인이 다수의 송하인과 운송계약을 체결하며, 선하증권이 운송계약의 증거가 된다.
  5. 개품운송계약에 관한 국제조약에는 요크-앤트워프규칙(2004)이 있다.
(정답률: 36%)
  • 개품운송계약에서는 운송인이 다수의 송하인과 운송계약을 체결하며, 선하증권이 운송계약의 증거가 된다. 이는 다수의 화물을 한 번에 운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하증권을 통해 운송계약을 증명하고, 각 송하인의 화물을 구분하여 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LCL화물 60상자를 부산항에서 미국 시애틀항까지 해상운송으로 수출하려고 한다. 이 화물의 총 중량은 6,000 kg , 화물 1상자의 크기는 가로 60 cm, 세로 50 cm, 높이 50 cm이다. 화물의 Revenue Ton당 운임은 US$ 100이 적용된다. 이 때 화물의 해상운임은?

  1. US$ 600
  2. US$ 900
  3. US$ 1,400
  4. US$ 1,600
  5. US$ 1,800
(정답률: 43%)
  • 화물 1상자의 부피는 0.15CBM (0.6m x 0.5m x 0.5m = 0.15m³) 이다. 따라서 60상자의 총 부피는 9CBM (0.15CBM x 60상자 = 9CBM) 이다. 부피 중량환산계수는 1CBM당 167kg 이므로, 9CBM의 중량은 1,503kg (9CBM x 167kg/CBM = 1,503kg) 이다. 따라서 총 중량은 6,000kg + 1,503kg = 7,503kg 이다. Revenue Ton당 운임이 US$ 100 이므로, 총 운임은 7.503 Revenue Ton x US$ 100/Revenue Ton = US$ 750. 하지만, 문제에서는 화물의 해상운임을 물었으므로, 이 운임에 추가로 적용되는 요금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해상운임에는 BAF (Bunker Adjustment Factor)와 CAF (Currency Adjustment Factor) 등의 요금이 추가로 적용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해당 요금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답은 US$ 750이 아닌, US$ 9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본선이 접안이 안되었더라도 정박기간이 개시된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은?

  1. whether in berth or not
  2. whether in port or not
  3. whether in free pratique or not
  4. sundays and holidays excepted unless used
  5. sundays and holidays excepted even if used
(정답률: 38%)
  • "whether in berth or not"는 선박이 접안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정박기간이 개시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선박이 부두에 정박되어 있지 않더라도 정박기간이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항공화물운송장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화물수령증
  2. 수출입신고서
  3. 운송계약의 증거
  4. 보험증서
  5. 유통증권
(정답률: 47%)
  • 항공화물운송장은 화물의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고, 운송과정에서 필요한 증거로 사용되는 문서이다. 따라서 "유통증권"은 항공화물운송장의 기능이 아니다. 유통증권은 상품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증서로, 상품의 매매나 이전시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해상운송의 부대비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미널화물처리비(THC)는 수출화물이 CY에 입고된 시점부터 선측까지 그리고 수입화물이 본선선측에서 CY 게이트를 통과하기까지 화물의 처리 및 이동에 따르는 비용이다.
  2. 체선료(Demurrage)는 하주가 대여해 간 컨테이너를 무료장치 시간 내에 지정된 선박회사의 CY에 반송하지 못할 경우 송하인이나 수하인이 선사에 지불하는 비용이다.
  3. CFS Charge는 컨테이너 하나의 분량이 되지 않는 소량화물의 적입 또는 분류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비용이다.
  4. 조출료(Despatch Money)는 약정된 정박기간 만료전에 선적 및 하역이 완료되었을 때 그 단축된 기간에 대해 선주가 하주에게 지급하는 비용을 말한다.
  5. 서류발급비(Documentation Fee)는 선사가 선하증권(B/L)과 화물인도지시서(D/O)의 발급 시 소요되는 행정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부과하는 비용이다.
(정답률: 44%)
  • 조출료(Despatch Money)는 약정된 정박기간 만료전에 선적 및 하역이 완료되었을 때 그 단축된 기간에 대해 선주가 하주에게 지급하는 비용을 말하는데, 이는 해상운송의 부대비용이 아니라 오히려 운송기간을 단축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옵션 비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조출료(Despatch Money)는 약정된 정박기간 만료전에 선적 및 하역이 완료되었을 때 그 단축된 기간에 대해 선주가 하주에게 지급하는 비용을 말한다."이다.

    체선료(Demurrage)는 하주가 대여해 간 컨테이너를 무료장치 시간 내에 지정된 선박회사의 CY에 반송하지 못할 경우 송하인이나 수하인이 선사에 지불하는 비용이다.

    터미널화물처리비(THC)는 수출화물이 CY에 입고된 시점부터 선측까지 그리고 수입화물이 본선선측에서 CY 게이트를 통과하기까지 화물의 처리 및 이동에 따르는 비용이다.

    CFS Charge는 컨테이너 하나의 분량이 되지 않는 소량화물의 적입 또는 분류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비용이다.

    서류발급비(Documentation Fee)는 선사가 선하증권(B/L)과 화물인도지시서(D/O)의 발급 시 소요되는 행정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부과하는 비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정기용선계약에서 선주가 부담하는 비용이 아닌 것은?

  1. 선원의 급료
  2. 선박의 감가상각비
  3. 선용품비
  4. 선박의 연료비
  5. 선박보험료
(정답률: 34%)
  • 정기용선계약에서 선주가 부담하는 비용은 대부분 선박 운영과 관련된 비용이지만, 선박의 연료비는 선박 운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선주가 부담하는 비용이 아닙니다. 선박의 연료비는 선박 운항 중 발생하는 비용으로, 선박 운항을 위한 선원의 급료, 선박의 감가상각비, 선용품비, 선박보험료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부정기선 운송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정기선은 화물운송의 수요에 따라 하주가 원하는 시기와 항로에 취항하는 선박을 말한다.
  2. 운임은 일정한 운임률표가 아닌 물동량과 선복에 의한 시장가격에 의해서 결정된다.
  3. 서비스 범위의 확대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해운동맹 가입이 급증하고 있다.
  4. 원유, 석탄, 곡물 등 살화물이 주요 운송대상이다.
  5. 화물의 성질이나 형태에 따라 벌크선 또는 전용선이 이용된다.
(정답률: 60%)
  • 정답: "서비스 범위의 확대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해운동맹 가입이 급증하고 있다."

    해운동맹은 정기선 운송에 대한 규제와 협력을 위한 국제기구이므로, 부정기선 운송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컨테이너 보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험대상이 되는 컨테이너는 국제표준화기구의 규격에 맞는 국제해상운송용 컨테이너이다.
  2. 컨테이너 보험의 담보구간 및 담보기간에는 운송기간과 장치기간만 포함되고, 수리 및 검사기간과 수리 및 검사를 위한 이동기간은 포함되지 않는다.
  3. 컨테이너 보험의 보상한도액은 사고당 보상한도액과 피보험회사당 총책임한도액으로 구분된다.
  4. 컨테이너 보험은 사고 1건당, 컨테이너 1개당 면책공제액을 정한다.
  5. 컨테이너 보험은 컨테이너의 수가 많고 사용빈도가 높아서 기간계약을 맺어 계약기간 중 발생할 손해를 포괄적으로 담보한다.
(정답률: 39%)
  • "컨테이너 보험의 담보구간 및 담보기간에는 운송기간과 장치기간만 포함되고, 수리 및 검사기간과 수리 및 검사를 위한 이동기간은 포함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컨테이너 보험은 운송 중 발생한 손해 뿐만 아니라 수리 및 검사를 위한 이동기간과 수리 및 검사기간에서 발생한 손해도 보상 대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양륙지에서 선사 또는 대리점이 수하인으로부터 선하증권 또는 보증장을 받고 본선 또는 터미널(CY 또는 CFS)에 화물인도를 지시하는 서류는?

  1. Container Load Plan
  2. Tally Sheet
  3. Equipment Receipt
  4. Dock Receipt
  5. Delivery Order
(정답률: 48%)
  • 양륙지에서 선사 또는 대리점이 수하인으로부터 선하증권 또는 보증장을 받고 본선 또는 터미널(CY 또는 CFS)에 화물인도를 지시하는 서류는 Delivery Order이다. 이는 화주가 화물을 인도받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중요한 서류이며, 화주가 이 서류를 제시해야만 화물을 인도받을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화물 운송과 관련된 서류이지만, 화물인도를 지시하는 서류는 Delivery Order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항공사들이 설립한 순수 민간단체로 여객운임 및 화물요율 등을 결정하는 국제기구는?

  1. ICAO
  2. ICC
  3. ILA
  4. IATA
  5. IMO
(정답률: 40%)
  • IATA는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의 약자로, 항공사들이 설립한 순수 민간단체로서 여객운임 및 화물요율 등을 결정하는 국제기구입니다. ICAO는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로, 국제항공기구입니다. ICC는 국제상업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로, 국제무역기구입니다. ILA는 국제법학회(International Law Association)로, 국제법학기구입니다. IMO는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로, 국제해운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무역클레임 해결방법과 상사 중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알선은 제3자가 개입하여 해결하는 방법으로 법적구속력은 없다.
  2. 소송은 공개주의가 원칙이고, 중재는 비공개주의가 원칙이다.
  3. 중재조항에는 준거법, 중재기관, 중재인이 포함되어야 한다.
  4. 중재 판정은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5. 중재는 단심제이다.
(정답률: 20%)
  • "알선은 제3자가 개입하여 해결하는 방법으로 법적구속력은 없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중재조항에는 준거법, 중재기관, 중재인이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들 요소가 중재절차의 유효성과 효과성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준거법은 중재판결의 법적 효력과 적용 범위를 규정하며, 중재기관은 중재절차를 관리하고 중재인을 선임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재인은 중재절차를 주도하고 중재판결을 내리는 주체입니다.

    "소송은 공개주의가 원칙이고, 중재는 비공개주의가 원칙이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소송은 법정에서 공개적으로 진행되며, 증거와 판결 등 모든 정보가 공개됩니다. 반면 중재는 비공개적으로 진행되며, 중재판결도 일반적으로 비공개적으로 처리됩니다.

    "중재 판정은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중재판결은 법원에서 확정되면 법적 효력을 가지며, 이에 따라 강제집행이 가능합니다.

    "중재는 단심제이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중재는 일반적으로 단독 판결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항소나 재심 절차는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항공화물사고 중 하나인 지연(Delay)의 요인이 아닌 것은?

  1. Non - delivery
  2. Cross Labelled
  3. Overcarried
  4. Shortlanded
  5. Shortshipped
(정답률: 10%)
  • "Non-delivery"는 화물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전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Delay"의 요인이 아니라 "Delivery Failure"의 요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답은 "Non-delivery"입니다. "Cross Labelled", "Overcarried", "Shortlanded", "Shortshipped"는 모두 "Delay"의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항공화물 운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화물요율은 품목분류요율이나 특정품목할인요율보다 우선하여 적용된다.
  2. 종가운임은 신고가액이 화물 1 kg당 US$ 20를 초과하는 경우에 부과된다.
  3. 혼합화물요율은 운임이 동일한 여러 종류의 화물이 1 장의 항공운송장으로 운송될 때 적용된다.
  4. 중량단계별 할인요율은 특정품목할인요율의 한 종류로 중량이 높아짐에 따라 요율이 점점 더 낮아진다.
  5. 품목분류요율은 특정구간의 특정품목에 적용되는 요율로서 보통 특정품목할인요율을 기준으로 할증ㆍ할인된다.
(정답률: 8%)
  • 종가운임은 화물 1 kg당 US$ 20을 초과하는 경우에 추가로 부과되는 운임이다. 즉, 화물의 가치가 높을수록 운임이 더 많이 부과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해당 연도의 출하품 가운데 평균적인 중등품질을 표준으로 하여 거래목적물의 품질이 결정되는 조건은?

  1. Fair Average Quality
  2. Good Merchantable Quality
  3. Usual Standard Quality
  4. Tale Quale
  5. Rye Terms
(정답률: 36%)
  • "Fair Average Quality"는 해당 연도의 출하품 중간 수준의 품질을 기준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좋은 상인용 품질", "보통의 기준 품질", "그대로의 상태", "보리 조건"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거래 조건에서 품질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Fair Average Quality"보다는 구체적인 기준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선하증권의 이면 약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Customer
  2. Merchant
  3. Surveyor
  4. Lawyer
  5. Subcontractor
(정답률: 20%)
  • 이미지에서는 "Subcontractor"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선하증권이 보험 계약을 체결할 때 보험금 지급을 위해 계약한 하위 계약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Subcontrac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신용장통일규칙(UCP 600)이 적용되는 신용장에서 항공운송서류를 요구할 때 그 서류가 갖추어야 할 요건이 아닌 것은?

  1. 신용장에 기재된 출발공항과 도착공항의 표시가 있어야 한다.
  2. 운송을 위해 물품을 수령했다는 표시가 있어야 한다.
  3. 항공운송서류에는 서류의 발행일이 표시되어 있어야 한다.
  4. 신용장이 운송서류의 원본 전부(full set)를 요구하더라도 수하인용 원본만 있으면 된다.
  5. 운송인의 명칭(상호)을 표시하고 운송인 또는 그 대리인이 서명해야 한다.
(정답률: 48%)
  • 정답: "신용장이 운송서류의 원본 전부(full set)를 요구하더라도 수하인용 원본만 있으면 된다."

    이유: UCP 600에서는 항공운송서류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 명확한 규정이 없으며,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운송서류의 종류와 내용은 신용장에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운송서류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각각의 요건이 필요하지만, "신용장이 운송서류의 원본 전부(full set)를 요구하더라도 수하인용 원본만 있으면 된다"는 내용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복합운송인의 책임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일책임체계는 유일한 면책사유로 불가항력에 상당하는 사유만을 인정하고 있다.
  2. 단일책임체계는 기존의 각 운송종류별 책임한도가 달라서 그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지가 문제시 된다.
  3. 이종책임체계에서 판명손해의 경우 그 손해가 항공구간에서 발생했으면 몬트리올 협정을 적용한다.
  4. 이종책임체계에서 불명손해의 경우 그 손해가 해상구간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여 헤이그 - 비스비 규칙을 적용하거나 별도로 정한 기본 책임을 적용한다.
  5. 이종책임체계에서는 복합운송인이 운송구간 전체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만 책임 내용은 손해발생구간의 판명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19%)
  • 이종책임체계에서 판명손해의 경우 그 손해가 항공구간에서 발생했으면 몬트리올 협정을 적용한다. - 이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 몬트리올 협정은 항공운송에서 발생한 손해에 대한 규정이며, 이종책임체계에서는 항공운송과 다른 운송종류가 결합된 경우에 적용된다. 따라서 판명손해가 항공구간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몬트리올 협정을 적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FIATA FBL 의 약관내용 중 운임 및 요금(Freight and Char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불 또는 후불에 관계없이 클레임, 역클레임, 상계를 이유로 운임이 할인되거나 그 지급이 연기된다.
  2. 운임 및 기타 FBL에 기재된 모든 요금은 본 FBL에 지정된 통화 또는 포워더의 선택에 따라 발송지 또는 목적지 국가의 통화로 지급해야 한다.
  3. 선불운임에 대해서는 발송일의 발송지 또는 목적지의 은행 일람불당좌어음에 적용되는 가장 높은 환율이 적용된다.
  4. 후불운임에 대해서는 하주의 화물도착통지 접수일과 화물인도지시서 회수일의 환율 중 더 높은 환율을 적용하거나, 포워더의 선택에 따라 본 FBL발행일의 환율이 적용된다.
  5. 불가항력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하여 이로(deviation), 지연 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한 경우 포워더가 하주에게 추가운임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11%)
  • "선불 또는 후불에 관계없이 클레임, 역클레임, 상계를 이유로 운임이 할인되거나 그 지급이 연기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클레임, 역클레임, 상계는 운임의 할인 또는 연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클레임, 역클레임, 상계는 화물 운송 중 발생한 손해 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이며, 이와 관련된 비용은 별도로 청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A 사는 중국의 명절을 맞이하여 특수가 기대되는 상품을 중국 내 여러 바이어에게 수출하기로 계약을 체결하였다. A 사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컨테이너운송 방법은?

  1. CY to CY
  2. CY to CFS
  3. CFS to CFS
  4. CFS to CY
  5. CFS to Port
(정답률: 38%)
  • A 사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컨테이너운송 방법은 "CY to CFS"이다. 이유는 명절을 맞이하여 특수가 기대되는 상품을 수출하는 경우, 대량으로 운송해야 하기 때문에 CY to CY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CFS to CFS 방법은 수출지에서 짐을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더 들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CY to CFS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며, 수출지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수입지에서는 CFS에서 짐을 내리면 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교부받은 B/L 원본에 송하인이 배서하여 운송인에게 반환함으로써 유통성이 소멸되는 선하증권은?

  1. Port B/L
  2. Straight B/L
  3. Long form B/L
  4. Surrender B/L
  5. Switch B/L
(정답률: 38%)
  • Surrender B/L은 교부받은 원본 B/L을 송하인이 운송인에게 반환함으로써 유통성이 소멸되는 선하증권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 B/L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만이 화물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Port B/L, Straight B/L, Long form B/L, Switch B/L은 각각 다른 형태의 선하증권으로, 유통성이 유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화물양륙 시 화물을 인도받는 수하인, 그 대리인 또는 하역업자가 양륙화물과 적하목록을 대조하여 본선에 교부하는 화물인수증은?

  1. M/R
  2. L/I
  3. S/O
  4. B/N
  5. M/F
(정답률: 8%)
  • 화물인수증은 양륙화물과 적하목록을 대조하여 본선에 교부하는 문서이다. 이 때, B/N은 "Bill of Lading"의 약어로, 선적증서를 의미한다. 즉, 화물인수증은 선적증서인 B/N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Groupage B/L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FCL 화물을 선적할 때 포워더가 선사에게 발행한다.
  2. 일등항해사가 발행한다.
  3. Master B/L 이라고도 한다.
  4. Groupage B/L 과 House B/L은 전혀 연관성이 없다.
  5. 하주는 한 사람이지만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물품을 대량으로 운송할 경우 활용된다.
(정답률: 32%)
  • Groupage B/L은 여러 개의 화물을 하나의 B/L로 묶어서 운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이 B/L은 일등항해사가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포워더가 선사에게 발행합니다. 이러한 B/L은 Master B/L이라고도 불리며, 하나의 B/L에 여러 개의 화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하주는 한 사람이지만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물품을 대량으로 운송할 경우 활용됩니다. 따라서 "Master B/L 이라고도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Groupage B/L과 House B/L은 연관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House B/L은 Groupage B/L의 하위 계약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해상손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alvage Charge는 해난에 봉착한 재산에 발생할 가능성 있는 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화물을 구조한 자에게 해상법에 의하여 지불하는 보수이다.
  2. Subrogation은 피보험자가 전손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해서 피보험목적물의 잔존가치와 제3자에 대한 구상권 등 일체의 권리를 보험자에게 넘기는 행위이다.
  3. Sue and Labor Charge는 보험목적의 손해를 방지 또는 경감하기 위하여 피보험자 또는 그의 사용인 및 대리인이 지출한 비용을 말한다.
  4. Constructive Total Loss는 보험의 목적인 화물의 전멸이 추정되는 경우의 손해를 말한다.
  5. Abandonment는 Constructive Total Loss의 경우에 적용된다.
(정답률: 17%)
  • Subrogation은 피보험자가 전손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해서 피보험목적물의 잔존가치와 제3자에 대한 구상권 등 일체의 권리를 보험자에게 넘기는 행위이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최근 강화되고 있는 물류 보안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 보안 인증제도 시행
  2. 컨테이너 화물의 사전검색 강화
  3. 컨테이너 전자봉인장치 도입
  4. 선박 및 항만 시설에 대한 보안 강화
  5. 화물 정보의 사후신고제도 시행
(정답률: 54%)
  • 화물 정보의 사후신고제도는 물류 보안 강화와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화물 운송 정보를 사후에 신고하는 제도로, 물류 보안과는 관련이 없는 제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물류 보안 강화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다음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arshalling Yard는 하역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Container Crane이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양하 및 적하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2. Container Freight Station은 화물의 혼재 및 분류 작업을 하는 곳이다.
  3. Rubber Tired Gantry Crane은 컨테이너를 야드에 장치하거나 장치된 컨테이너를 샤시에 실어주는 작업을 하는 컨테이너 이동 장비로 고무바퀴가 장착된 이동성이 있는 Crane이다.
  4. Reach Stacker는 컨테이너 터미널 또는 CY(ICD) 등에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상ㆍ하차 하거나 야드에 적재할 때 사용하는 타이어주행식의 장비이다.
  5. Yard Chassis는 Van Trailer의 컨테이너를 싣는 부분을 말한다.
(정답률: 47%)
  • Yard Chassis는 Van Trailer의 컨테이너를 싣는 부분을 말한다. (정답: Marshalling Yard는 하역작업을 위한 공간으로 Container Crane이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양하 및 적하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매매계약서에 다음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신용장통일규칙(UCP 600)상 송하인의 선적이행 기간은?

  1. 2013. 6. 3 ~ 2013. 6. 17
  2. 2013. 5. 30 ~ 2013. 6. 17
  3. 2013. 6. 5 ~ 2013. 6. 15
  4. 2013. 5. 30 ~ 2013. 6. 20
  5. 2013. 6. 4 ~ 2013. 6. 16
(정답률: 32%)
  • 매매계약서에는 "6월 5일부터 6월 15일까지"라는 기재가 있으므로, 선적이행 기간은 6월 5일부터 6월 15일까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매매계약서와 상관없는 날짜들이므로 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항만시설 중 계류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Pier
  2. Quay
  3. Jetty
  4. Silo
  5. Dolphin
(정답률: 31%)
  • Pier, Quay, Jetty, Dolphin은 모두 배가 부두에 접안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계류시설이지만, Silo는 창고나 저장고와 같은 건물로서 배가 접안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계류시설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Incoterms® 2010에서 각 규칙별 매수인의 의무조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1 General obligations of the buyer
  2. B3 Contracts of carriage and insurance
  3. B4 Delivery
  4. B5 Transfer of risks
  5. B8 Proof of delivery
(정답률: 6%)
  • B4 Delivery 규칙은 매수인의 의무조항이 아니라 판매인의 의무조항입니다. B4 Delivery 규칙은 판매인이 물품을 매수인에게 인도하는 방법과 시기를 규정합니다. 따라서 B4 Delivery 규칙은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매매계약서 물품명세란에 “Grain about 10,000 MT”라고 기재된 경우, 신용장통일규칙(UCP 600)상 매도인이 인도해야 하는 물품의 최소량은?

  1. 8,000 MT
  2. 8,500 MT
  3. 9,000 MT
  4. 9,500 MT
  5. 10,000 MT
(정답률: 44%)
  • UCP 600에서는 매매계약서에 명시된 물품의 최소량을 인정하며, 이 경우에는 "about"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어 있으므로 매도인이 인도해야 하는 최소량은 명시된 양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Grain about 10,000 MT"라는 표현에서는 최소량이 9,000 MT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9,000 M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정기선의 운임형태 중 할증운임이 아닌 것은?

  1. IAF
  2. CAF
  3. BAF
  4. MEES
  5. FAK
(정답률: 29%)
  • 정기선의 운임형태 중 할증운임이 아닌 것은 FAK입니다. FAK는 Freight All Kinds의 약자로, 모든 화물종류에 대해 동일한 운임을 적용하는 일괄요금제입니다. 이에 반해 IAF는 Increase of the Air Freight Rate, CAF는 Currency Adjustment Factor, BAF는 Bunker Adjustment Factor, MEES는 Middle East Emergency Surcharge의 약자로, 각각 항공화물 요금 인상, 환율 조정, 석유값 조정, 중동 긴급 할증 요금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Incoterms® 2010 내용의 일부이다. 다음의 ( ㄱ ), ( ㄴ ), ( ㄷ ) 안에 들어갈 규칙으로 옳은 것은?

  1. ㄱ: DAP, ㄴ: DDU, ㄷ: DDP
  2. ㄱ: CFR, ㄴ: DDT, ㄷ: DAP
  3. ㄱ: DAT, ㄴ: DDU, ㄷ: DAP
  4. ㄱ: DAT, ㄴ: DAP, ㄷ: DDP
  5. ㄱ: CPT, ㄴ: DAP, ㄷ: DDP
(정답률: 39%)
  • - (ㄱ) DAT: Delivered at Terminal 규칙은 판매자가 수입국의 도착지까지 운송비를 부담하고, 수입국의 도착지에서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규칙이다. 즉, 판매자는 수입국의 도착지까지 책임을 지고, 그 이후의 비용과 위험은 구매자가 부담한다.
    - (ㄴ) DAP: Delivered at Place 규칙은 판매자가 수입국의 도착지까지 운송비를 부담하고, 수입국의 도착지에서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규칙이다. DAT와의 차이점은 DAP는 수입국의 도착지에서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것이지만, 구매자가 수입국의 도착지에서 발생하는 관세, 세금, 수입면허 등의 비용을 부담한다는 것이다.
    - (ㄷ) DDP: Delivered Duty Paid 규칙은 판매자가 수입국의 도착지까지 운송비와 관세, 세금, 수입면허 등의 모든 비용을 부담하고, 수입국의 도착지에서 구매자에게 인도하는 규칙이다. 즉, 판매자는 수입국의 도착지까지 모든 비용과 위험을 부담하고, 구매자는 수입국의 도착지에서 인도받기만 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다음의 조건에서 매도인이 부담해야 하는 CIF New York 가격은?

  1. US$ 101,100
  2. US$ 101,500
  3. US$ 101,600
  4. US$ 102,600
  5. US$ 103,100
(정답률: 40%)
  • CIF New York 가격은 FOB 가격인 US$ 100,000에 운임비 US$ 1,000과 보험료 US$ 100을 더한 US$ 101,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선박ㆍ화물 및 기타 해상사업과 관련되는 단체에 공동의 위험이 발생했을 경우 그러한 위험을 제거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하여 선체ㆍ장비ㆍ화물 등의 일부를 희생시키거나 또는 필요한 경비를 지출했을 때 이러한 손해와 경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Particular Average Loss
  2. Survey Fee
  3. Particular Charge
  4. Collision Liability Loss
  5. General Average Loss
(정답률: 39%)
  • 선박ㆍ화물 및 기타 해상사업과 관련된 단체에서 발생한 공동의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일부를 희생시키거나 경비를 지출하는 경우, 이러한 손해와 경비를 "General Average Loss"라고 부릅니다. 이는 모든 단체가 공동으로 분담하는 손해이며, "Particular Average Loss"는 개별적인 손해를 의미합니다. "Survey Fee"는 조사비, "Particular Charge"는 개별적인 비용, "Collision Liability Loss"는 충돌 책임 손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Incoterms® 2010의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ncoterms® 2010은 무역거래 당사자가 이를 준거 규칙으로 채택할 것을 서로 합의한 경우에만 유효하다.
  2. FOB, CFR, CIF 규칙에서의 위험과 비용부담의 분기점으로 본선의 난간(ship's rail)을 규정하고 있다.
  3. 거래규칙 중 해상 및 내륙수로운송을 위한 규칙에는 FAS, FOB, CFR, CIF가 있다.
  4. 거래규칙 중 모든 운송방식을 위한 규칙에는 EXW, FCA, CPT, CIP, DAT, DAP, DDP가 있다.
  5. Incoterms® 2010 규칙은 Incoterms 2000의 A1~A10 및 B1~B10에 각각 규정되어 있었던 종이서류와 동등한 전자메세지를 제시할 수 있다는 규정을 삭제하였다.
(정답률: 27%)
  • 위험과 비용부담의 분기점으로 본선의 난간(ship's rail)을 규정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