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20)

귀금속가공기능사
(2003-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예디자인

1. 트레이싱(tracing)지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수채 물감이나 콩테에 의한 스켓치에 알맞다.
  2. 포스타컬러에 의한 렌더링에서 앞 뒷면의 명암조절을 할 수 있다.
  3. 면이 경질이며 앞뒤가 있는데, 뒷면이 더 곱다.
  4. 반투명 황산지로서, 청사진에 의한 복제를 필요로 할 경우 많이 쓰인다.
(정답률: 91%)
  • 트레이싱은 원본 그림이나 사진을 반투명 황산지에 올려놓고 그 위를 따라 그리는 기술이다. 따라서 청사진에 의한 복제를 필요로 할 경우 많이 쓰인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에서 가장 크게 느끼는 감정은?

  1. 침착성과 안정된 느낌
  2. 주목성과 동적인 느낌
  3. 불안정과 동적인 느낌
  4. 섬세함과 소극적인 느낌
(정답률: 69%)
  • 이 그림은 정적인 이미지로, 주변 환경이나 인물의 움직임이 없어서 안정된 느낌을 주고, 인물의 표정과 자세가 침착하고 차분해 보여서 침착성을 느끼게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착성과 안정된 느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직선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짧은선 - 자극성, 계속성, 빠른 운동감
  2. 긴선 - 시간성, 지속성, 속도성
  3. 굵은선 - 직선이 가진 힘찬 긴장감
  4. 가는선 - 섬세, 예민, 직선이 가진 팽팽한 긴장감
(정답률: 78%)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 "짧은선 - 자극성, 계속성, 빠른 운동감" : 짧은 선은 눈에 띄기 때문에 자극성이 있으며, 계속적인 운동으로 인해 빠른 운동감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짧은 선이 반복되면서 계속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 "긴선 - 시간성, 지속성, 속도성" : 긴 선은 시간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에 시간성을 느낄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지속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긴 선이 빠르게 그려지면 속도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 "굵은선 - 직선이 가진 힘찬 긴장감" : 굵은 선은 두껍기 때문에 힘찬 느낌을 줍니다. 직선이기 때문에 긴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가는선 - 섬세, 예민, 직선이 가진 팽팽한 긴장감" : 가는 선은 얇기 때문에 섬세한 느낌을 줍니다. 또한, 직선이기 때문에 팽팽한 긴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민한 느낌도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동일 평면상에 있는 다음 그림에서 가장 크게 느껴지는 착시현상은?

  1. 길이
  2. 각도
  3. 형태
  4. 거리
(정답률: 92%)
  • 정답은 "거리"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가장 큰 사각형이 실제로는 기울어져 있지 않고, 모든 변의 길이가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뇌는 이를 보정하여 사각형이 기울어져 있고, 가장 긴 변의 길이가 더 길게 느껴지게 인식합니다. 이것이 거리 착시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불규칙한 형의 진주를 의미하는 말로서 표현된 시대는?

  1. 비잔틴
  2. 바로크
  3. 엠파이어
  4. 로코코
(정답률: 84%)
  • 바로크는 17세기 유럽에서 발생한 예술적 운동으로, 대규모, 복잡하고 불규칙한 형태와 장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따라서 "불규칙한 형의 진주"를 표현하는 말로서 바로크가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낙랑 공예는 다음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 하였는가?

  1. 한강 하류를 중심으로
  2. 낙동강 하류를 중심으로
  3. 낙동강 상류를 중심으로
  4. 대동강 하류를 중심으로
(정답률: 71%)
  • 정답: "대동강 하류를 중심으로"

    설명: 낙랑 공예는 대동강 하류 지역에서 발전하였습니다. 이 지역은 수도권과 경기도, 충청도 등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동강과 그 지류들이 흐르는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고려시대부터 낙랑이라는 나무를 이용한 공예가 발전하였으며, 이후에는 철도와 도로 등 교통의 발달로 인해 다른 지역으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순색 중 녹색과 같은 채도의 색은?

  1. 연두
  2. 파랑
  3. 보라
  4. 노랑
(정답률: 58%)
  • 녹색과 파랑은 색상환에서 인접한 색으로, 녹색과 같은 채도의 색은 파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명시도가 가장 높은 배색은?

  1. 색상이 다르고, 채도가 같은 색의 배색
  2. 명도 차이가 큰 색의 배색
  3. 채도가 다르고, 명도 차이가 작은 색의 배색
  4. 색상 거리가 가까운 색의 배색
(정답률: 84%)
  • 명도 차이가 큰 색의 배색이 가장 명시도가 높은 배색입니다. 이는 명도가 크게 차이나면 색의 구분이 더욱 뚜렷해지기 때문입니다. 즉, 명도 차이가 큰 색의 배색은 눈에 더욱 뚜렷하게 들어오기 때문에 명시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비교적 높은 채도의 색을 필요로 하는 곳은?

  1. 교실
  2. 사무실
  3. 응접실
  4. 도서실
(정답률: 88%)
  • 응접실은 방문객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교적 높은 채도의 색을 사용하여 화려하고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실제의 길이 1000mm의 직선이 1:10으로 축소된 도면에서 올바른 치수 기입은?

  1. 1000
  2. 100
  3. 10
  4. 10000mm
(정답률: 76%)
  • 1:10 축소된 도면에서 1mm은 실제로 10mm이 된다. 따라서, 1000mm의 실제 길이는 1000 x 10 = 10000mm이 되고, 이를 축소된 도면에서 올바르게 표기하면 "10000mm"이 아니라 "1000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척도의 종류 중 배척에 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도면과 실물의 크기가 같을 때
  2. 도면이 실물보다 작을 때
  3. 도면이 실물보다 클 때
  4. 도면과 실물의 크기비례가 다를 때
(정답률: 72%)
  • 배척은 도면과 실물의 크기비례가 다를 때 발생합니다. 도면이 실물보다 클 때는 실제 크기보다 크게 그려진 것이므로 배척이 발생합니다. 이는 도면의 축적(scale)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절단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은?

  1. 절단형
  2. 보조투상면
  3. 단면도
  4. 정투상도
(정답률: 80%)
  • 단면도는 3차원 물체를 특정 평면으로 자른 모습을 평면에 투영하여 나타낸 도면입니다. 따라서 절단면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은 단면도입니다. 절단형은 절단된 물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보조투상면은 3차원 물체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도면입니다. 정투상도는 3차원 물체를 특정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직사각형과 같은 면적의 정사각형 그리기에서 맞는 것은?

  1. DF = FE
  2. BC = CG
  3. CE = CG
  4. DF = FH
(정답률: 87%)
  • 정사각형 ABCD의 대각선 AC와 BD는 서로 교차하고, 이 교차점을 O라고 하면, 대각선은 서로 같은 길이를 가지게 됩니다. 즉, AC = BD 입니다.

    또한, 삼각형 AOF와 삼각형 COE는 서로 대응각이 같고, 삼각형 AOF와 삼각형 COE는 모두 직각삼각형입니다. 따라서, 이 두 삼각형은 서로 합동입니다.

    따라서, AF = CE 입니다.

    마찬가지로, 삼각형 BOF와 삼각형 COG는 서로 대응각이 같고, 삼각형 BOF와 삼각형 COG는 모두 직각삼각형입니다. 따라서, 이 두 삼각형은 서로 합동입니다.

    따라서, BF = CG 입니다.

    이제, 삼각형 BDF와 삼각형 FEA는 서로 대응각이 같고, 삼각형 BDF와 삼각형 FEA는 모두 직각삼각형입니다. 따라서, 이 두 삼각형은 서로 합동입니다.

    따라서, DF = F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정투상도(제3각법)에 맞게 표현된 입체도는?

(정답률: 97%)
  • 정투상도(제3각법)에서는 수평선과 수직선이 교차하는 점을 원점으로 하여, 수평선을 x축, 수직선을 y축으로 놓습니다. 이때, 입체도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한 면은 x-y평면에 평행한 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예와 산업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산업이 우선되며 공예미술을 이끌어간다.
  2. 공예미술은 산업을 자극하고 그 개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3. 공예는 예술이고 산업은 기술로서 서로관계를 가질수 없다.
  4. 공예미술은 근대산업 이전의 생산수단을 벗어나서는 안된다.
(정답률: 84%)
  • 공예미술은 산업을 자극하고 그 개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공예미술이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공예미술은 산업에서 사용되는 제품들의 디자인과 생산 방법을 개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향성을 제시하여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공예미술은 산업에서 사용되는 재료와 기술을 활용하여 예술적인 작품을 만들어내는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예미술은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산업의 발전과 함께 발전해나가는 예술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형태와 관련된 설명 중 가장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단순한 형태에는 정교한 장식이 효과적이다.
  2. 복잡한 형태에는 화려한 색채가 효과적이다.
  3. 기능적인 형태에는 단순한 구조가 효과적이다.
  4. 장식적인 형태에는 통일된 색채가 효과적이다.
(정답률: 71%)
  • "장식적인 형태에는 통일된 색채가 효과적이다."는 가장 적합하지 못한 설명입니다. 이유는 장식적인 형태는 다양한 디테일과 장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통일된 색채보다는 다양한 색채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잡한 형태에 화려한 색채가 효과적인 이유는 복잡한 형태가 이미 충분히 복잡하므로, 단순한 색채보다는 화려한 색채를 사용하여 시선을 끌고 강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두색 이상을 섞었을 때 명도가 낮아지는 혼합은?

  1. 색료혼합
  2. 색광혼합
  3. 회전혼합
  4. 병치혼합
(정답률: 65%)
  • 두 개 이상의 색을 섞어 만든 혼합물을 색료혼합이라고 합니다. 이때 색의 명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색료혼합은 색의 양과 비율에 따라서 다양한 색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혼합한 결과가 명청(明淸)색인 것은?

  1. 순색 + 검정
  2. 순색 + 회색
  3. 순색 + 흰색
  4. 녹색 + 회색
(정답률: 82%)
  • 순색은 색상의 가장 진한 부분을 의미하고, 흰색은 모든 색상을 혼합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순색과 흰색을 혼합하면 색상이 밝아지면서 명청색이 됩니다. 반면에 검정과 회색은 모두 어두운 색상이므로 혼합해도 명청색이 될 수 없고, 녹색과 회색은 색상이 서로 대조되지 않아 혼합해도 명청색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먼셀 표색계의 종단면도에 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A와 C는 동일 색상면이다.
  2. A와 F는 보색 이다.
  3. B와 F는 명도의 차이가 작다.
  4. D와 E는 유채색이다.
(정답률: 80%)
  • D와 E는 유채색이 아니라 무채색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색의 진출, 후퇴, 팽창, 수축 등의 감정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진출색은 난색계통이다.
  2. 팽창색은 고명도의 색이다.
  3. 수축색은 고채도의 색이다.
  4. 후퇴색은 저명도 또는 한색계통의 색이다.
(정답률: 73%)
  • "진출색은 난색계통이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진출색은 색상이 밝아지면서 채도가 높아지는 색을 말하며, 이는 주로 적색계통에서 나타납니다.

    수축색은 고채도의 색이 맞습니다. 수축은 색상이 어두워지면서 채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주로 청색계통에서 나타납니다.

    간단명료한 이유는 수축색은 색상이 어두워지면서 채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귀금속재료

21. 같은 질량의 석재라도 흰색과 검은색의 무게감이 달리 느껴지는 이유와 가장 큰 관계가 있는 요소는?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보색
(정답률: 75%)
  • 흰색은 높은 명도를 가지고 있어 밝고 가벼워 보이고, 검은색은 낮은 명도를 가지고 있어 어두워 보이고 무거워 보입니다. 따라서 같은 질량의 석재라도 색상의 명도가 달라지면 무게감이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가장 큰 관계가 있는 요소는 "명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시각으로 느끼는 물체의 형상을 기하학적으로 구하는 방법은?

  1. 투시도법
  2. 투상도법
  3. 등각투상도법
  4. 사투상도법
(정답률: 59%)
  • 시각으로 느끼는 물체의 형상을 기하학적으로 구하는 방법은 투시도법입니다. 이는 물체를 평면에 투영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으로, 물체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서 투영되는 크기와 모양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투시도법을 사용하면 실제 물체의 형상을 정확하게 그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알콜에 잘녹지 않고 가열하면 백색다공성의 물질이 되며, 땜을 접합부에 신속히 침투시키는 용제는?

  1. 소다
  2. 붕사
  3. 아연
  4. 산화크롬
(정답률: 93%)
  • 붕사는 알콜에 잘 녹지 않고 가열하면 백색다공성의 물질이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땜을 접합부에 신속히 침투시키는 용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붕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인 장신구용으로 은(Ag)의 합금 비율이 가장 이상적인 것은?

  1. 70%
  2. 75%
  3. 82.5%
  4. 92.5%
(정답률: 96%)
  • 은은 매우 부드러우며, 순수한 상태에서는 너무 연해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은 합금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은과 구리(Cu)의 합금인 브론즈(Bronze)은 오래된 장신구 제작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브론즈는 산화되기 쉽고, 색상이 은보다 어두워 보석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은과 구리의 합금인 스털링 실버(Sterling Silver)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스털링 실버는 은 92.5%와 구리 7.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비율은 은의 순도를 유지하면서도 구리의 강도를 높여 장신구로 사용하기 적합한 합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보석 중 가열하면 무색으로 변하는 보석은?

  1. 천연루비
  2. 합성루비
  3. 호박
  4. 자수정
(정답률: 69%)
  • 자수정은 가열하면 무색으로 변하는 보석입니다. 이는 자수정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가열에 의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석의 색상이 수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열 시 자수정은 무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볍고 강하며 열을 가하면 다양한 색상을 얻는 금속은?

  1. 알루미늄
  2. 니켈
  3. 마그네슘
  4. 티타늄
(정답률: 67%)
  • 티타늄은 가볍고 강하며 열을 가하면 다양한 색상을 얻을 수 있는 금속입니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강하지만 열을 가하면 색상이 변하지 않습니다. 니켈은 강하지만 가벼운 편이 아니며 열을 가하면 색상이 변하지 않습니다. 마그네슘은 가볍고 열을 가하면 밝은 녹색색상을 얻을 수 있지만 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티타늄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금의 품위를 표시하는 캐럿과 보석의 무게를 표시하는 캐럿은 발음이 같다. 0.5 캐럿 다이어몬드, 18금 5.5g 으로 된 제품의 품위표시는 어떻게 표시되어야 하는가?

  1. 0.5 CT, 18 K, 5.5g
  2. 0.5 KT, 18 CT, 5.5g
  3. 0.5 KARAT, 18 KT, 5.5g
  4. 0.5 CARAT, 18 CARAT, 5.5g
(정답률: 94%)
  • 정답은 "0.5 CT, 18 K, 5.5g" 입니다.

    - "0.5 CT"는 다이어몬드의 무게를 나타내는 캐럿(carat) 단위로 표시합니다.
    - "18 K"는 금의 품위를 나타내는 캐럿(karat) 단위로 표시합니다.
    - "5.5g"는 제품의 전체 무게를 그램(g) 단위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0.5 KT"는 다이어몬드의 무게를 나타내는 "KT" 단위가 없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18 CT"는 금의 품위를 나타내는 "CT" 단위가 없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0.5 KARAT"는 다이어몬드의 무게를 나타내는 "KARAT" 단위가 없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마지막으로, "0.5 CARAT, 18 CARAT, 5.5g"는 금의 품위를 나타내는 "CARAT" 단위가 다이어몬드의 무게를 나타내는 "CARAT" 단위와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백동합금이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구리와 아연 니켈의 합금이다.
  2. 구리와 아연 황동의 합금이다.
  3. 구리와 아연 주석의 합금이다.
  4. 구리와 아연 은의 합금이다.
(정답률: 73%)
  • 백동합금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부식 후 뒤처리가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유산을 솜에 묻혀 방식제를 닦아내고 또 알콜 불에 태워서 방식제를 말끔히 지운다.
  2. 아세톤이나 신너를 솜에 묻혀 방식제를 닦아내고 또 알콜 불에 태워서 방식제를 말끔히 지운다.
  3. 열산으로 방식제를 닦아준다.
  4. 왕수로 방식제를 닦아준다.
(정답률: 73%)
  • 부식 후 뒤처리는 부식된 부위를 깨끗하게 청소하고 방식제를 완전히 제거하여 추가적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아세톤이나 신너는 방식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용제이며, 알콜 불에 태워서 방식제를 말끔히 지우는 것은 방식제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아세톤이나 신너를 솜에 묻혀 방식제를 닦아내고 또 알콜 불에 태워서 방식제를 말끔히 지운다."가 올바른 부식 후 뒤처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분말상 칠보유약에 유성물질을 가한 것은?

  1. 정제상유약
  2. 겔상유약
  3. 에마리엔유약
  4. 유채유약
(정답률: 70%)
  • 유성물질을 가한 분말상 칠보유약은 점액성을 띠게 되는데, 이는 겔상유약의 특징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겔상유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땜은의 성분 중 내황화성과 융점을 낮추어 주는 금속은?

  1. Au
  2. Ag
  3. Cu
  4. Zn
(정답률: 69%)
  • Zn은 내황화성이기 때문에 황과 반응하여 황화물을 생성하며, 또한 융점이 낮아서 쉽게 녹아서 다른 물질과 혼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땜은의 성분 중 내황화성과 융점을 낮추어 주는 금속은 Z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금의 정제법이 아닌 것은?

  1. 아말감법
  2. 염화법
  3. 회취법
  4. 시안화법
(정답률: 74%)
  • 금의 정제법 중 회취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회취법은 금의 정제법이 아니며, 회화법이라는 용어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취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단조로운 금속 표면의 색을 타 금속의 색깔로 개선하여 나타내며, 표면의 녹슬음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 방법은?

  1. 광쇠질
  2. 전기도금
  3. 초음파세척
  4. 열처리기법
(정답률: 80%)
  • 전기도금은 금속 표면에 전기적으로 양극을 붙여서 다른 금속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코팅된 금속의 색깔과 광택을 개선하고 녹슬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조로운 금속 표면의 색을 개선하고 녹슬음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 방법으로 전기도금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질산은 금속과 작용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하며 부식 시킨다. 이때 부식용으로 쓰이는 질산의 희석비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물3 : 질산7
  2. 물7 : 질산3
  3. 물4 : 질산6
  4. 물6 : 질산4
(정답률: 77%)
  • 질산은 금속과 작용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질산을 부식용으로 사용할 때는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물7 : 질산3의 비율은 질산을 물에 희석한 비율로, 질산이 물에 녹아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열반응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안전하게 부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7 : 질산3이 가장 적합한 비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금속의 공통성질이 아닌 것은?

  1. 일반적으로 비중이 크다.
  2. 열, 빛, 전기의 양도체이다.
  3. 전성과 연성이 좋다.
  4. 이온화시 음이온이 된다.
(정답률: 73%)
  • 이온화시 양이온이 되는 금속도 있기 때문에 "이온화시 음이온이 된다"는 공통성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백금은 순도에 따라서 A ,B, C, D 4등급으로 분류되는데 화학적으로 보증된 등급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5%)
  • 백금의 순도에 따라서 분류되는 등급은 화학적으로 보증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구리합금인 포금에 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구리-석청동 합금에 납, 아연을 첨가한 합금이다.
  2. 주조성이 좋다.
  3. 마찰이 심한 부분에 사용할 수 없다.
  4. 매우 질긴 성질을 나타낸다.
(정답률: 67%)
  • 포금은 구리-석청동 합금에 납, 아연을 첨가한 합금으로, 주조성이 좋고 매우 질긴 성질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마찰이 심한 부분에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포금은 비교적 연성이 높아서 마찰에 의해 마모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찰이 심한 부분에는 보다 내구성이 높은 다른 재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합금 방법 중 Cu, Sn 성분을 동시에 첨가하는 합금 금속은?

  1. 양은
  2. 청동
  3. Be 청동
  4. 두랄루민
(정답률: 79%)
  • Cu와 Sn을 동시에 첨가하여 만든 합금은 청동이라고 합니다. 이는 Cu와 Sn이 서로 용해도가 높아서 잘 섞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청동은 높은 인성과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떤 광물이 외부로부터 힘을 받을 때, 특정한 방향을 따라 평탄한 면을 만들면서 쪼개어 지는 성질은?

  1. 단구
  2. 벽개
  3. 열개
  4. 패더
(정답률: 83%)
  • 벽개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을 때, 결정 구조상 특정한 방향을 따라 평탄한 면을 만들면서 쪼개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벽개는 쉽게 분리되어 벽돌 모양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모양이 벽개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용융온도는 660.2℃로 낮아서 가열해서 녹을 때도 붉은 색을 띄지 않고 녹으므로 주의를 요하는 금속은?

  1. 티타늄
  2. 저먼 실버
  3. 청동
  4. 알루미늄
(정답률: 74%)
  • 알루미늄은 용융온도가 낮아서 가열해서 녹을 때 붉은 색을 띄지 않고 녹는 금속입니다. 따라서 주의를 요하는 금속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귀금속가공

41. 다음 사출용 왁스(injection wax)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공기를 흡수하지 않아 기포가 없어야 한다.
  2. 신속하게 유입이 되어야 하고 유연성이 적어야 좋다.
  3. 재나 잔재가 생기지 않고 완전 연소되어야 한다.
  4. 60-80℃에서 용해되는 왁스
(정답률: 80%)
  • "신속하게 유입이 되어야 하고 유연성이 적어야 좋다."는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사출용 왁스는 유입이 빠르고 유연성이 높아야 제품의 형태를 정확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평면 줄질 방법 중 다듬질 면이 곱고 절삭방향이 똑바르게 정리가 되는 대신 일감의 전후가 너무 깎여서 가운데의 볼록면을 작은 줄로 다시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은?

  1. 사진법
  2. 직진법
  3. 병진법
  4. 좌진법
(정답률: 60%)
  • 직진법은 절삭방향이 똑바르게 정리되어 곱은 면이 만들어지지만, 일감의 전후가 깎여서 가운데 볼록면을 작은 줄로 다시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구리와 아연을 합금시켜 합금(Alloy)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아연을 용해한 후 구리를 합금한다.
  2. 구리를 용해한 후 아연을 합금한다.
  3. 구리와 아연을 동시에 용해 합금한다.
  4. 구리와 아연, 어느 것이든 니켈과 함께 합금한다.
(정답률: 71%)
  • 구리와 아연은 서로 용해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먼저 구리를 용해시킨 후 아연을 합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리와 아연이 서로 물리적으로 섞이며, 강도와 내식성이 높은 합금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연마기 점검방법 중 부적합한 것은?

  1. 그라인더는 작업전에 조임나사의 확인과 아울러 연마석이 흔들리지 않도록 확인한다.
  2. 연마석의 교체 및 시운전은 담당자만이 해야 한다.
  3. 연마기의 덮개를 떼어 놓고 점검한다.
  4. 물과 함께 작업하므로 누전여부를 검사한다.
(정답률: 86%)
  • 연마기의 덮개를 떼어 놓고 점검하는 것은 부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안전상 위험하며, 전기적인 부분에 손을 대는 것이므로 전기적 위험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마기를 점검할 때는 전원을 차단하고, 덮개를 열지 않고 시각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동기 사용시 안전사고 요인과 관계 없는 것은?

  1. 전압이 낮을 때
  2. 물기가 많을 때
  3. 합선이 되고 있을 때
  4. 전선피복이 벗겨졌을 때
(정답률: 91%)
  • 전압이 낮을 때는 전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전압이 높을수록 전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전압이 낮을수록 전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전동기 사용시 안전사고 요인과 관계 없는 것은 전압이 낮을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구리계의 합금 중 톰백(tombac)은 금색에 가깝고 주조성이 매우 좋다. 톰백의 합금 금속 및 비율은?

  1. 구리 80%, 아연 20%
  2. 구리 70%, 아연 30%
  3. 구리 60%, 아연 40%
  4. 구리 50%, 아연 50%
(정답률: 65%)
  • 톰백은 구리와 아연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구리는 합금의 주성분이며 아연은 합금의 보조성분이다. 구리는 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높이고, 아연은 합금의 가공성과 부식성을 개선시킨다. 따라서, 톰백의 합금 비율은 구리 80%, 아연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금속 중 칠보 유약의 발색이 좋아 칠보 바탕 금속으로 사용하기가 가장 적합한 금속은?

  1. 백동(nickel silver)
  2. 황동(brass)
  3. 청동(bronze)
  4. 단동(tombac)
(정답률: 66%)
  • 칠보 유약은 구리와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황동과 청동에 비해 단동에서 발색이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칠보 바탕 금속으로 사용하기에는 단동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지(Ring)제작시 곡면 줄질의 작업순서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단면 - 곡면외부 - 곡면내부
  2. 곡면외부 - 단면 - 곡면내부
  3. 단면 - 곡면내부 - 곡면외부
  4. 곡면내부 - 곡면외부 - 단면
(정답률: 58%)
  • 반지 제작시에는 먼저 단면을 줄질하여 반지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합니다. 그 후에는 곡면 외부를 줄질하여 반지의 외부 모양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곡면 내부를 줄질하여 반지의 내부 모양을 만듭니다. 이렇게 작업 순서를 따르면 반지의 크기, 모양, 내부 및 외부 모양이 모두 균형있게 조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면 - 곡면외부 - 곡면내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추기(錘起:rising) 작업공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추기 가공에서 가장 중요한 공구는 둥근끌 망치이다.
  2. 둥근끌 망치, 왜망치, 굽히는 망치로 구분된다.
  3. 나무, 고무, 플라스틱 망치 등을 병행하여 작업한다.
  4. 둥근끌 망치는 해머 다듬질에서 공작물을 두들겨 접시 등의 모양을 만든다.
(정답률: 55%)
  • 잘못된 설명은 "나무, 고무, 플라스틱 망치 등을 병행하여 작업한다."입니다. 추기 작업에서는 둥근끌 망치, 왜망치, 굽히는 망치 등 다양한 종류의 망치를 사용하지만, 나무, 고무, 플라스틱 망치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러한 재질의 망치는 공작물에 불필요한 흠집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조각 망치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50 ∼ 100g 까지의 크기가 있다.
  2. 망치 자루의 길이는 약 23㎝ 정도가 좋다.
  3. 망치를 사용할 때에는 엄지와 검지만으로 한다.
  4. 망치 자루의 끝에는 움직이지 않게 여러 개의 못을 박아준다.
(정답률: 75%)
  • 망치 자루의 길이는 약 23㎝ 정도가 좋다. 이유는 너무 짧으면 힘이 전달되지 않고, 너무 길면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적당한 길이의 망치를 사용하면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면서도 제어하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귀금속 합금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용융점이 높은 금속부터 용해한다.
  2. 용해시 적당량의 붕사를 넣고 흑연봉으로 저어준다.
  3. 긴 선재로 만들어 저어주면서 용해하면 합리적이다.
  4. 산화불꽃으로 신속하게 용해해야 로스(loss)가 적다.
(정답률: 58%)
  • "산화불꽃으로 신속하게 용해해야 로스(loss)가 적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사실 산화불꽃으로 신속하게 용해하면 오히려 로스가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온에서 금속이 산화되어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로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천천히 용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배럴연마(barrel tumbling)작업시 덤블링 속에 일감과 매체(media)를 넣고 작업한다. 매체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분리작용
  2. 연마작용
  3. 연마분의 항체
  4. 윤활작용
(정답률: 70%)
  • 배럴연마 작업에서 매체는 일감과 함께 움직이면서 일감의 모서리나 각진 부분을 부드럽게 연마하고, 표면을 광택나게 만들어주는데, 이때 매체는 분리작용과 연마작용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윤활작용은 매체가 일감과 매체 사이에서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마 작업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윤활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감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일감을 움직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게 고정시켜 주는 재료이다.
  2. 주성분은 송진과 토분을 섞어 만든다.
  3. 용융 온도는 약 70 ∼ 80 ℃ 정도이다.
  4. 가공 온도는 100 ℃ 미만으로 한다.
(정답률: 67%)
  • "용융 온도는 약 70 ∼ 80 ℃ 정도이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감탕은 일감을 움직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게 고정시켜 주는 재료로, 송진과 토분을 섞어 만들며, 용융 온도는 100 ℃ 미만이며, 가공 온도는 100 ℃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고운 줄질이 끝난 일감의 표면을 깎아서 금속의 표면을 다듬질 하는 공구는?

  1. 광쇠
  2. 갈기
  3. 다이스
  4. 지환봉
(정답률: 79%)
  • 갈기는 표면을 깎아서 다듬질하는 공구이기 때문에 고운 줄질이 끝난 일감의 표면을 다듬질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갈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신라의 태환식 귀고리에 많이 쓰여진 세공기법은?

  1. 상감기법
  2. 누금기법
  3. 투조기법
  4. 칠보기법
(정답률: 80%)
  • 신라의 태환식 귀고리에는 누금기법이 많이 쓰였습니다. 이는 금속을 박아서 높은 부분을 만들고 그 부분에 금을 누르는 기법으로, 선명하고 섬세한 무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통의 내부 또는 둥글게 오목한 면을 다듬질하기에 적당한 줄은?

  1. 삼각줄
  2. 반원줄
  3. 칼줄
  4. 평줄
(정답률: 93%)
  • 원통의 내부나 둥글게 오목한 면을 다듬질할 때는 곡선 모양의 줄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반원 모양의 줄인 반원줄이 가장 적합합니다. 반원줄은 곡선 모양이므로 원통의 곡면을 따라 다듬질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반원 모양이므로 원통의 내부를 다듬질할 때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반원줄이 원통의 내부나 둥글게 오목한 면을 다듬질하기에 가장 적합한 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땜질 작업시 유의 사항 중 맞는 것은?

  1. 땜은은 모재 금속보다 용융점이 높아야 한다.
  2. 땜은은 모재의 가열 온도가 낮은 쪽으로 흐른다.
  3. 모재가 큰 것과 적은 것을 접합할 때는 가열의 양도 비례한다.
  4. 땜은은 붕사를 칠한 곳으로 흐르므로 잇는 점 주위에 모두 붕사칠을 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모재가 큰 것과 적은 것을 접합할 때는 가열의 양도 비례한다."입니다. 이유는 모재가 큰 경우, 땜합이 필요한 부분이 더 많아져 더 많은 열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재가 큰 경우 더 많은 가열이 필요하며, 모재가 작은 경우보다 더 많은 땜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귀금속의 회수 및 분석 작업시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

  1. 환기가 잘 되는 곳이어야 한다.
  2.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이 한다.
  3. 사용 설비가 완벽한 곳에서 한다.
  4. 최소한 3인 이상이 작업해야 한다.
(정답률: 87%)
  • 귀금속 회수 및 분석 작업은 위험한 작업이기 때문에 최소한 3인 이상이 작업해야 합니다. 이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작업자들 간의 상호 감시와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한 3인 이상이 작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안화나트륨(NaCN)과 과산화수소(H2O2)를 이용 스트리핑(stripping) 작업을 할 때 주의사항 중 잘못 된 것은?

  1. 용기는 가급적 주둥이가 좁은 것을 사용한다.
  2. 서로 다른 금속은 분리해서 작업한다.
  3. 스트리핑 후 용액은 분리처리 한다.
  4.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작업을 해야 해가 없다.
(정답률: 85%)
  • 정답: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작업을 해야 해가 없다."

    이유: 스트리핑 작업은 매우 위험한 작업으로서, 시안화나트륨과 과산화수소는 모두 매우 독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용기는 가급적 주둥이가 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은 작업 중에 물질이 증발하여 공기 중에 떠다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서로 다른 금속은 분리해서 작업하는 것은 전기화학적 반응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스트리핑 후 용액은 분리처리하는 것은 안전한 처분을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조금정을 사용도중 끝이 망가지거나 변형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열처리하려고 한다. 올바른 방법은?

  1. 열풀림
  2. 불림
  3. 담금질
  4. 뜨임
(정답률: 67%)
  • 뜨임은 조금정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끝이 망가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열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뜨임은 조금정의 끝 부분을 불에 가까이 acetylene torch나 가스 버너 등으로 가열하여 부드럽게 만든 후,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과정입니다. 이렇게 뜨인 조금정은 끝이 깨지거나 변형되지 않아 더욱 튼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