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13)

항공무선통신사
(2011-03-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파법규

1. 다음 중 청문대상이 아닌 것은?

  1. 무선국 개설허가의 취소
  2. 적합성평가의 취소
  3. 무선국검사 합격 취소
  4. 개설신고한 무선국의 폐지
(정답률: 70%)
  • "무선국검사 합격 취소"는 청문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무선국검사 합격 취소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선국검사 시험의 공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절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개인의 부정행위나 불법행위와는 무관하며, 무선국검사 시험의 공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절차에 따라 결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무선국의 최대 허가유효기간은 몇 년의 범위 내에서 정할 수 있는가?

  1. 1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률: 67%)
  • 무선국의 최대 허가유효기간은 전파법 제30조에 따라 7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무선국의 운용 상황이나 기술적 변화 등을 고려하여 일정 기간마다 검토하고 갱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선국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7년 이내의 허가유효기간을 갖는 무선국 허가를 신청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로서 A3E전파 118[MHz]부터 136.975[MHz]까지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송신설비의 유효통달거리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행고도 1,500미터 : 150킬로미터 이상
  2. 비행고도 3,000미터 : 210킬로미터 이상
  3. 비행고도 5,000미터 : 275킬로미터 이상
  4. 비행고도 7,000미터 : 300킬로미터 이상
(정답률: 79%)
  • "비행고도 7,000미터 : 300킬로미터 이상"이 옳지 않은 것은, 비행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밀도가 낮아져 전파의 통신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행고도가 높아질수록 유효통달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무선국의 허가를 받은 자가 준공기한(전파법에 의하여 기한을 연장한 경우에는 그 기한)이 지난 후 몇 일이 지날 때까지 준공신고를 마치지 아니한 경우에 무선국의 개설허가를 취소할 수 있는가?

  1. 20일
  2. 30일
  3. 40일
  4. 50일
(정답률: 94%)
  • 무선국의 허가를 받은 자가 준공기한이 지난 후에는 30일 이내에 준공신고를 마치지 않으면 무선국의 개설허가가 취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파법 제 58조 제2항에 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항공기국이 항행 중 또는 항행 준비 중에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외에 운영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기상의 조회 또는 시간의 조합을 위하여 행하는 항공국과 항공기국 간의 통신
  2. 항공기국에서 그 시설자의 업무를 위한 전보를 항공국에 보내기 위하여 행하는 통신
  3. 동일한 시설자에 속하는 항공기국과 이동업무 무선국 간에 행하는 시급하지 않은 통신
  4. 비상통신의 통신체제 확보를 위한 훈련목적의 통신
(정답률: 81%)
  • 정답인 "동일한 시설자에 속하는 항공기국과 이동업무 무선국 간에 행하는 시급하지 않은 통신"은 항공기국이 운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아닌 이유는, 이는 시설자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으로서 긴급성이 없는 일반적인 통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항공기국이 운영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방향표지시설(VOR)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주파수는 108[MHz]부터 118[MHz]의 범위이다.
  2. 송신설비의 주반송파 변조방식은 주파수 변조하는 것일 것
  3. 기준 위상신호 및 가변 위상신호를 연속하여 송신할 수 있을 것
  4. 식별신호는 모오스 부호에 의해 적어도 30초마다 1회 송신할 수 있을 것
(정답률: 64%)
  • "송신설비의 주반송파 변조방식은 주파수 변조하는 것일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VOR은 주파수 변조와 위상 변조를 결합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송신설비의 주반송파는 위상 변조와 주파수 변조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항공무선통신사의 통신운용 범위 중 틀린 것은?

  1. 항공기국을 위한 무선항행국 무선설비의 통신운용
  2. 항공국을 위한 무선항행국 무선설비의 통신운용
  3. 항공기를 위한 무선항행국 무선설비의 통신운용
  4. 위 ①내지 ③에 정한 사항 외의 항공운항 및 항공업무 관련 무선국의 공중선 전력 250와트 이하의 무선설비의 통신운용
(정답률: 74%)
  • "위 ①내지 ③에 정한 사항 외의 항공운항 및 항공업무 관련 무선국의 공중선 전력 250와트 이하의 무선설비의 통신운용"이 틀린 것이다. 이는 항공무선통신사의 통신운용 범위에서 제외되는 항목으로, 공중선 전력이 250와트 이하인 무선설비의 통신운용은 항공무선통신사가 아닌 다른 무선통신사에서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항공기 구명이동국의 호출보호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모항공기의 완전한 호출부호와 1개의 숫자
  2. 모항공기의 완전한 호출부호와 0과 1 이외의 1개의 숫자
  3. 2개의 숫자와 3개의 문자 다음에 1개의 숫자
  4. 3개의 숫자와 2개의 문자 다음에 1개의 숫자
(정답률: 77%)
  • 정답은 "모항공기의 완전한 호출부호와 0과 1 이외의 1개의 숫자"입니다. 항공기 구명이동국의 호출보호는 항공기의 호출부호와 함께 특정한 숫자를 입력하여 호출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때 모항공기의 완전한 호출부호는 국제적으로 정해진 4자리 숫자이며, 이외에 0과 1 이외의 1개의 숫자를 추가로 입력하여 호출합니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항공기의 호출부호만으로는 호출을 보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공이동업무에서 취급되는 통보의 순서로 올바르게 구성된 것은?

  1. 호출(발신국이 표시되는 것)-본문
  2. 호출(발신국이 표시되는 것)-“FOR”(구문인 경우에 한한다)
  3. 호출(발신국이 표시되는 것)-수신인 명칭
  4. 호출(발신국이 표시되는 것)-착신인 명칭
(정답률: 86%)
  • 정답은 "호출(발신국이 표시되는 것)-본문"입니다. 이유는 항공이동업무에서 통보는 발신국이 표시되는 호출부와 내용이 포함된 본문으로 구성되며, 이 중 호출부는 발신국을 명시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호출부가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본문이 나오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FOR"이나 수신인 명칭, 착신인 명칭은 추가적인 정보이며, 호출부와 본문 이후에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인 순서는 호출부-본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국에서 송신하는 통보는 무엇으로 보는가?

  1. 조난통신
  2. 긴급통신
  3. 안전통신
  4. 비상통신
(정답률: 68%)
  •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국에서 송신하는 통보는 "조난통신"으로 보는 것이다. 이는 비상상황에서 구조요청 및 구조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으로, 생명과 안전에 관련된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통보는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련 기관들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항공기국 무선설비의 일반조건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작고 가벼우며, 취급이 용이할 것
  2. 온도, 습도, 기압진동과 가속도 등에 의한 기능저하가 최대일 것
  3. 수신설비는 가능한 한 항공기의 전기적 잡음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아니할 것
  4. 공중선계는 풍압과 빙결에 견딜 것
(정답률: 88%)
  • "온도, 습도, 기압진동과 가속도 등에 의한 기능저하가 최대일 것"은 일반조건으로서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무선설비의 문제점이며, 일반조건으로는 "작고 가벼우며, 취급이 용이할 것", "수신설비는 가능한 한 항공기의 전기적 잡음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아니할 것", "공중선계는 풍압과 빙결에 견딜 것"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해상이동업무의 무선국과 통신하기 위하여, 항공기국이 156[MHZ]와 174[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송신기의 평균송신전력은 몇 와트를 초과할 수 없는가?

  1. 50와트
  2. 30와트
  3. 10와트
  4. 5와트
(정답률: 75%)
  • 해상이동업무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짧은 거리에서 이루어지므로, 송신기의 평균송신전력은 5와트 이하로 제한됩니다. 이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안전한 통신을 위해 규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항공기국이 156[MHZ]와 174[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송신기의 평균송신전력은 5와트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무선국 허가를 위한 심사사항이 아닌 것은?

  1. 주파수 지정이 가능한지의 여부
  2. 설치 운용할 무선설비가 기술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
  3. 공사가 설계서의 내용과 일치하는지의 여부
  4. 무선종사자의 자격정원 배치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
(정답률: 67%)
  • 공사가 설계서의 내용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는 무선국 허가를 위한 심사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설치 후 검사 및 점검 단계에서 확인되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무선국 허가를 위한 심사사항은 "주파수 지정이 가능한지의 여부", "설치 운용할 무선설비가 기술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 "무선종사자의 자격정원 배치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중선 전력”이라 함은 무엇을 말하는가?

  1. 송신설비에서 공간으로 발사되는 전력
  2. 공중선에서 공간으로 발사되는 전력
  3. 공중선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전력
  4. 송신설비의 종단부에 공급되는 전력
(정답률: 78%)
  • 공중선 전력은 공중선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말합니다. 즉, 전기가 공중선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공중선의 급전선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공중선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무선방위측정장치의 설치장소로부터 1[km] 이내에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 없이 건설할 수 있는 것은?

  1. 송신공중선
  2. 철도 및 궤도
  3. 앙각 3도 미만의 건축물 등
  4. 고가 케이블
(정답률: 92%)
  • 무선방위측정장치는 무선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이므로, 주변에 다른 무선신호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건축물 등이 설치되어 있으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는 무선방위측정장치의 설치장소로부터 1[km] 이내에는 앙각 3도 미만의 건축물 등만 건설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무선신호의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앙각 3도 미만의 건축물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외국정보 또는 그 대표자에게 무선국의 개설을 허용할 수 없는 무선국은?

  1. 실험국
  2. 의무선박국
  3. 의무항공기국
  4. 방송국
(정답률: 71%)
  • 외국정보나 그 대표자에게 무선국의 개설을 허용할 수 없는 이유는 국가 안보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국은 국가 안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외국정보나 그 대표자에게 무선국의 개설을 허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항공이동위성업무에 있어서 통신 우선순위가 가장 빠른 것은?

  1. 긴급신호에 의하여 전치된 통신
  2. 무선방향탐지와 관련된 통신
  3. 비행안전메시지
  4. 조난관련 통신
(정답률: 83%)
  • 조난관련 통신이 가장 빠른 이유는 항공 이동 위성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생명 안전이기 때문입니다. 조난 신호는 비상 상황에서 발생하며,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 통신보다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따라서 조난관련 통신은 항공 이동 위성 업무에서 가장 빠른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항공기국이 사용하여야 하는 전파형식 및 사용주파수가 아닌 것은?

  1. 전파형식 A3E 주파수 121.5[MHz]
  2. 전파형식 A3E 주파수 108[MHz]부터 118[MHz]까지의 주파수대에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정하는주파수
  3. 전파형식 J3E 또는 H3E 주파수 2,850[kHz]부터 22[MHz]까지의 주파수대에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정하는 주파수(일부 국내노선 취항 항공기국은 제외될 수 있음)
  4. 전파형식 A3E 주파수 243[MHz](수색구조에 종사하는 항공기에 있어서 장거리 취항 비행을 행하는 항공기국에 한함)
(정답률: 53%)
  • 정답은 "전파형식 A3E 주파수 243[MHz](수색구조에 종사하는 항공기에 있어서 장거리 취항 비행을 행하는 항공기국에 한함)"입니다. 이유는 이 주파수는 수색구조에 종사하는 항공기국에서만 사용되며, 항공기국이 사용하여야 하는 전파형식 및 사용주파수가 아닙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항공기국에서 사용되는 전파형식과 사용주파수입니다. 전파형식 A3E는 AM 방식의 음성통신에 사용되고, J3E와 H3E는 SSB 방식의 음성통신에 사용됩니다. 주파수는 각각 108~118MHz, 121.5MHz, 2,850kHz~22MHz입니다. 이 중 108~118MHz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정하는 주파수대에서 사용되며, 일부 국내노선 취항 항공기국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국제항공고정 무선통신망에 속하는 항공고정국에서 취급하는 통보의 통신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약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1순위 : “SS”
  2. 제2순위 : “DD” 또는 “FF”
  3. 제3순위 : “GG” 또는 “KK”
  4. 제4순위 : “TT”
(정답률: 85%)
  • 옳지 않은 것은 "제4순위 : “TT”"이다.

    국제항공고정 무선통신망에서는 통보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이를 약어로 나타낸다.

    - 제1순위 : “SS” (Safety Service) - 항공 안전과 관련된 통보
    - 제2순위 : “DD” 또는 “FF” (Distress and Urgency Service) - 비상 상황과 긴급 상황과 관련된 통보
    - 제3순위 : “GG” 또는 “KK” (Priority Service) - 우선순위가 높은 통보
    - 제4순위 : “TT” (Routine Service) - 일반적인 통보

    따라서, "TT"는 일반적인 통보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MF(핵터미터파) 전파의 주파수 범위로 옳은 것은?

  1. 300[kHz] 초과 3,000[kHz] 이하
  2. 3[MHz] 초과 30[MHz] 이하
  3. 30[MHz] 초과 300[MHz] 이하
  4. 300[MHz] 초과 3,000[MHz] 이하
(정답률: 78%)
  • 정답은 "3[MHz] 초과 30[MHz] 이하"가 아닌 "300[kHz] 초과 3,000[kHz] 이하"입니다.

    MF(핵터미터파) 전파는 주로 지상파 방송, 해상통신, 항공통신 등에 이용되는 전파로서, 주파수가 낮아서 지표면과의 전파전달이 용이하고, 장거리 통신에도 적합합니다.

    그러나 MF 전파의 주파수 범위는 300[kHz] 초과 3,000[kHz] 이하로 제한됩니다. 이유는 MF 전파의 주파수가 너무 낮아서, 전파 파장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전파 파장이 길어지면 지표면과의 전파전달이 용이해지지만, 전파의 직진성이 약해져서 장거리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MF 전파의 주파수 범위는 300[kHz] 초과 3,000[kHz]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초전파공학

21.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1. 입력저항이 0이다.
  2. 출력저항이 무한대이다.
  3. 전압이득이 무한대이다.
  4. 대역폭과 지연응답이 0이다.
(정답률: 41%)
  •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는 입력 저항이 0이고 출력 저항이 무한대이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전혀 감쇠되지 않고 출력 신호는 외부 회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최대한 큰 값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이득이 무한대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직류(DC)를 교류(AC)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장치는?

  1. Auxiliary Power Unit
  2. Converter
  3. Inverter
  4. Bus Power control Unit
(정답률: 54%)
  • Inverter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Auxiliary Power Unit은 보조 전원 장치, Converter는 전압이나 전류를 변환하는 장치, Bus Power control Unit은 버스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원형 도파관의 통과 주파수는 무엇에 의하여 결정되는가?

  1. 내부지름
  2. 도파관의 길이
  3. 도파관의 무게
  4. 도파관의 부피
(정답률: 51%)
  • 원형 도파관의 통과 주파수는 내부지름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는 도파관 내부의 전자기장이 특정 주파수에서 공명하게 되는데, 이 때 공명 주파수는 도파관 내부의 전자기장이 가장 강력해지는 주파수로, 이는 도파관의 내부지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내부지름이 작을수록 공명 주파수는 높아지고, 크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거리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어느 성분인가?

  1. 정전계
  2. 복사계
  3. 전자계
  4. 유도계
(정답률: 33%)
  • 원거리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전파이며, 전파는 복사계에 속합니다. 복사계는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전파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복사계는 원거리 통신에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NDB의 유효통달거리는 무엇에 의하여 가장 크게 좌우되는가?

  1. 지상국의 송신출력
  2. 지상국의 위치
  3. 송신되는 주파수대역
  4. 유효거리는 항상 일정하다.
(정답률: 38%)
  • NDB의 유효통달거리는 지상국의 송신출력에 가장 크게 좌우됩니다. 이는 송신출력이 클수록 전파의 에너지가 강해져서 더 멀리 전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상국의 위치나 송신되는 주파수대역도 유효통달거리에 영향을 미치지만, 송신출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또한, 유효거리는 항상 일정하지 않으며, 지형, 날씨 등의 환경적인 요소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반송파 주파수가 118.025[MHz]인 AM 송신기에 음성주파수 1.0[kHz] ~ 3.0[kHz]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면 상측파대 최구 주파수(fUSB)와 하측파대 최저주파수(fLSB)는 얼마인가?

  1. fUSB = 118.028[MHz], fLSB = 118.022[MHz]
  2. fUSB = 118.026[MHz], fLSB = 118.024[MHz]
  3. fUSB = 118.028[MHz], fLSB = 118.024[MHz]
  4. fUSB = 118.026[MHz], fLSB = 118.022[MHz]
(정답률: 54%)
  • AM 변조에서, 상측파대 최구 주파수(fUSB)는 캐리어 주파수에 음성신호 주파수를 더한 값이고, 하측파대 최저주파수(fLSB)는 캐리어 주파수에서 음성신호 주파수를 뺀 값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캐리어 주파수는 118.025[MHz]이고, 음성신호 주파수를 1.0[kHz] ~ 3.0[kHz] 범위에서 변조하므로, 최종적으로 상측파대 최구 주파수(fUSB)는 118.025[MHz] + 3.0[kHz] = 118.028[MHz]이 되고, 하측파대 최저주파수(fLSB)는 118.025[MHz] - 1.0[kHz] = 118.024[M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fUSB = 118.028[MHz], fLSB = 118.024[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하나의 공중선에 여러 개의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려고 할 때에 사용되는 코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단축 코일
  2. 연장 코일
  3. 트랩
  4. 유도 코일
(정답률: 43%)
  • 트랩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코일로, 하나의 공중선에 여러 개의 주파수를 전송할 때 각각의 주파수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단축 코일, 연장 코일, 유도 코일과는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TACAN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TACAN국 식별을 점검하고 Monitor 한다.
  2. ADF, VOR, Radar 등 다른 항법장비를 함께 이용한다.
  3. 비행 전에 사용하게 될 지상국의 각종 정보를 미리 점검한다.
  4. TACAN국을 수시로 바꾼다.
(정답률: 55%)
  • TACAN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TACAN국을 수시로 바꾼다."는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TACAN 시스템의 정확성과 무관하게 국가간 협의 없이 국가를 변경하는 것이므로, 국가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ACAN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TACAN국 식별을 점검하고 Monitor 하거나, ADF, VOR, Radar 등 다른 항법장비를 함께 이용하거나, 비행 전에 사용하게 될 지상국의 각종 정보를 미리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ILS Marker는 Final Approach 중의 항공기에 대하여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가?

  1. 방위
  2. 고도
  3. 시간
  4. 거리
(정답률: 47%)
  • ILS Marker는 Final Approach 중의 항공기에 대하여 "거리"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방위, 고도, 시간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나타내지만, ILS Marker는 거리 정보를 나타내므로 정답은 "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태양면의 폭발현상으로 인하여 지구 대기 상층의 전리층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단파통신의 장애 현상은 무엇인가?

  1. 에코(echo)
  2. 룩셈부르크 효과(Luxemburg effect)
  3. 델린저 현상(dellinger effect)
  4. 자기람(magnetic storm)
(정답률: 51%)
  • 태양면의 폭발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자들이 지구 대기 상층의 전리층에 충돌하면서 전자들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전자들은 지구 자전과 함께 움직이면서 지구 자기장의 세기가 강한 지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델린저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 현상은 단파통신의 장애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며, 전파가 지구 대기 상층에서 반사되어 지구로 돌아오는 에코 현상과는 다릅니다. 룩셈부르크 효과는 지구 대기 상층에서 전파가 산란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며, 자기람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기 위하여 역원추형의 지향성 전파를 수직으로 상공에 발사하는 무선표지업무를 행하는 항행안전무선 시설은?

  1. Fan Marker
  2. DME
  3. Z Marker
  4. VOR
(정답률: 30%)
  • Z Marker는 역원추형의 지향성 전파를 수직으로 상공에 발사하여 항공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표지업무를 수행하는 항행안전무선 시설입니다. 다른 보기인 Fan Marker, DME, VOR는 각각 다른 무선표지업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무선송신기의 구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발진회로
  2. 증폭회로
  3. 변조회로
  4. AVC 회로
(정답률: 48%)
  • AVC 회로는 자동 음량 제어 회로로, 무선송신기의 구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발진회로는 송신 주파수를 생성하고, 증폭회로는 신호를 증폭시키고, 변조회로는 정보를 신호에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FM 송신기의 발진부에서 30[MHz]로 동작하고 있고 체배증폭기에서 2체배를 하고 있을 때 출력 주파수는?

  1. 30 [MHz]
  2. 32 [MHz]
  3. 60 [MHz]
  4. 900 [MHz]
(정답률: 56%)
  • 체배증폭기에서 2체배를 하면 원래의 주파수가 2배가 되므로, 30[MHz] x 2 = 60 [MHz]가 된다. 따라서 출력 주파수는 60 [MHz]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의 무선, 항법, 위성설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가 아닌 것은?

  1. 스펙트럼분석기
  2. Mano Meter
  3. SWR Meter
  4. 주파수측정기
(정답률: 34%)
  • Mano Meter는 압력을 측정하는 기기로, 항공기의 무선, 항법, 위성설비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스펙트럼분석기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기기, SWR Meter는 안테나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기기, 주파수측정기는 주파수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파장이 가장 짧은 것은?

  1. LF
  2. MF
  3. HF
  4. VHF
(정답률: 55%)
  • 파장이 가장 짧은 것은 VHF입니다. 이는 VHF가 Very High Frequency의 약자로, 주파수가 30~300MHz 범위에 있기 때문입니다. 파장은 주파수의 역수이므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VHF는 다른 보기들보다 주파수가 높아 파장이 가장 짧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가 높은 이유 중 잘못된 것은?

  1. 수정편의 Q가 매우 높다.
  2. 부하 변동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3. 발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도성 주파수 범위가 매우 좁다.
  4. 기계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안정하다.
(정답률: 46%)
  • "부하 변동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라는 이유는 잘못된 것입니다. 수정 발진기는 부하 변동에 따라 주파수가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하 변동에 민감하지 않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100[W]의 송신기 전력이 3[dB]만큼 떨어졌다. 이 때 송신기 출력은?

  1. 10 [W]
  2. 50 [W]
  3. 100 [W]
  4. 200 [W]
(정답률: 44%)
  • 3[dB]의 감쇠는 전력이 절반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0[W]의 송신기 전력이 3[dB]만큼 감쇠되면 출력은 절반인 50[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 [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용주파수대는 Ku, K, Ka Band를 사용하며, 공항 내 지상 이동물체에 대한 관제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침입방지 및 충돌방지 등에 대한 경보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방위각은 360도이고, 고도는 비행장 지표면에서 60[m]까지 이다. 항공기와 차량 등을 목표물의 크기/형태 및 이동속도를 구분하는 설비로 최소한 1초에 한번씩 정보를 갱신하는 레이더는 어느 것인가?

  1. ASDE
  2. FDP
  3. ARTS
  4. ASR
(정답률: 47%)
  • ASDE는 공항 내 지상 이동물체에 대한 관제업무를 수행하는 레이더로, 목표물의 크기/형태 및 이동속도를 구분하여 정보를 갱신하며, 침입방지 및 충돌방지 등에 대한 경보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FDP는 비행계획서 처리 시스템, ARTS는 공항 레이더 추적 시스템, ASR은 공항 레이더 높이 측정 시스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발진조건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A : 증폭도, β : 궤환률)

  1. A = 1
  2. β = 1
  3. A β = 1
  4. A β < 1
(정답률: 50%)
  • 발진조건은 증폭도와 궤환률의 곱이 1보다 커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A β >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β = 1"이 아니라 "A β > 1"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기 무선설비 중 HF(단파) AM 무선전화 송신기에 단일 정현파의 가청주파수로 양극변조를 할 경우 종단 전력증폭기의 양극손실이 30[W]이며 효율이 70%라고 할 때, 이 송신기의 출력전력은 약 얼마인가? (단, 기타전력은 무시한다.)

  1. 40[W]
  2. 60[W]
  3. 70[W]
  4. 100[W]
(정답률: 30%)
  • 송신기의 출력전력은 종단 전력증폭기의 입력전력과 같습니다. 따라서, 종단 전력증폭기의 입력전력을 구해보겠습니다.

    종단 전력증폭기의 입력전력 = 양극변조된 출력전력 / 효율
    = (가청주파수의 출력전력) x (양극손실을 제외한 효율)
    = (단파 AM 무선전화 송신기의 출력전력) x (0.7)
    = (단파 AM 무선전화 송신기의 출력전력) x (7/10)

    따라서, 종단 전력증폭기의 입력전력은 송신기의 출력전력의 7/10이 됩니다.

    종단 전력증폭기의 입력전력 = 7/10 x 송신기의 출력전력

    그리고, 문제에서 종단 전력증폭기의 양극손실이 30[W]이라고 했으므로,

    종단 전력증폭기의 입력전력 = 송신기의 출력전력 + 30[W]

    위의 두 식을 연립하면,

    송신기의 출력전력 + 30[W] = 7/10 x 송신기의 출력전력

    송신기의 출력전력 = 70[W]

    따라서, 이 송신기의 출력전력은 7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보안

41. 송신보안에 해당되는 것은?

  1. 문서보관 철저
  2. 접근 또는 관찰방지
  3. 자재보관소에 보호구역 표시
  4. 기만통신 방지
(정답률: 53%)
  • 송신보안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기만통신 방지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제3자가 정보를 가로채거나 변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암호화 기술 등을 사용하여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인증 기술 등을 사용하여 정보의 진위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기만통신 방지는 송신보안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통신보안대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통신내용의 비밀유무를 검토한다.
  2. 통신내용에 암호를 사용한다.
  3. 통신보안규정을 준수토록 한다.
  4. 통신약어를 사용한다.
(정답률: 47%)
  • 통신약어를 사용하는 것은 통신보안대책이 아니라 효율적인 통신을 위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통신약어를 사용하면 긴 문장을 짧게 줄여서 빠르고 간편하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신약어를 사용하더라도 통신내용의 비밀유무를 검토하고, 암호를 사용하며, 통신보안규정을 준수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통신정보활동의 수단으로 맞는 것은?

  1. 통신정보를 방어하기 위한 활동 수단
  2. 통신내용의 도청을 저지하는 수단
  3. 누설된 정보 분석을 지연시키는 수단
  4. 통신내용을 수집분석하여 유용한 정보생산 수단
(정답률: 55%)
  • 정답은 "통신내용을 수집분석하여 유용한 정보생산 수단"입니다. 이는 통신정보활동의 목적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생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통신정보를 방어하거나 도청을 저지하거나 정보 분석을 지연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 것이므로, 통신정보활동의 목적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무선통신운용에 있어 기본적인 통신제원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교신시간
  2. 호출부호
  3. 주파수
  4. 통신문 내용
(정답률: 38%)
  • 기본적인 통신제원은 교신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요소들을 말하는데, 이 중 "통신문 내용"은 교신의 내용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술적인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기본적인 통신제원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상대의 통신망에 개입, 상대를 오인케 하여 비밀을 탐지하는 수단은?

  1. 기만통신
  2. 방해통신
  3. 교신분석
  4. 암호분석
(정답률: 53%)
  • 기만통신은 상대방의 통신망에 개입하여 상대를 오인케 하여 비밀을 탐지하는 수단이다. 이는 상대방이 보내는 정보를 가로채서 내용을 변경하거나 조작하여 상대방을 속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기만통신"이다. 다른 보기들은 암호학에서 사용되는 분석 방법들이지만, 기만통신은 암호학적인 측면보다는 사이버 공격에서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통신보안상 무선통신의 취약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누구든지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사용자가 도청 당하는지의 여부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3. 무선통신망은 보안자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무선통신망은 유선전화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48%)
  • 정답은 "무선통신망은 보안자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다. 무선통신망은 기본적으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도청 당하는지의 여부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안 취약점이 많이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무선통신망은 보안자재를 사용하여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취약하지는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통신보안의 기능을 잘 설명한 것은?

  1. 통신보안은 통신내용을 보호하는 기능이다.
  2. 통신보안은 통신내용을 수집하는 기능이다.
  3. 통신보안은 공격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4. 통신보안은 소수인원으로 될 수 있다.
(정답률: 54%)
  • 정답은 "통신보안은 통신내용을 보호하는 기능이다." 이다. 통신보안은 통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암호화하거나 인증하는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접근이나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안전한 통신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통신보안은 통신내용을 보호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무선통신망의 보안대책으로 적합한 것은?

  1. 불요불급한 사항은 무선통신망 사용
  2. 무선종사자 자격증 취득자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
  3. 통신보안자재 또는 보안장비 설치 사용
  4. 무선통신 운용교육 미필자도 사용
(정답률: 53%)
  • 무선통신망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해킹, 도청, 위조 등의 보안 위협이 존재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보안자재 또는 보안장비를 설치하여 암호화, 인증, 접근제어 등의 보안 기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적합한 것입니다. 또한, 무선종사자 자격증 취득자 여부나 운용교육 미필자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보안 대책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사항이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불요불급한 사항은 무선통신망 사용에 대한 지침이 아니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통신보안용 호출명칭의 제작관리 및 운용에 관계된 비밀 관리부철의 보존 기간은 어느 것인 것?

  1. 영구보존
  2. 1년
  3. 5년
  4. 10년
(정답률: 32%)
  • 통신보안용 호출명칭은 기밀 정보이므로, 관리 및 운용에 관계된 비밀 관리부철의 보존 기간은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기간은 5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유는 5년이라는 기간은 보안에 필요한 기간으로서 충분하면서도, 정보의 중요성이 떨어지면서도 아직 유용한 정보일 가능성이 있는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기간은 관련 법령에서 규정한 기간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통신내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가장 안전한 통신방법은?

  1. 통신 약부호를 사용한다.
  2. 약어를 사용한다.
  3. 모르스 부호를 사용한다.
  4. 암호를 사용한다.
(정답률: 54%)
  • 암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이유는 암호화된 통신은 해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암호화된 통신을 해독하려면 암호화된 내용을 해독할 수 있는 키가 필요하며, 이 키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상 해독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암호를 사용하면 통신 내용이 노출될 위험이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영어

51.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redundancy
  2. ambiguity
  3. lucidity
  4. duplicity
(정답률: 57%)
  • 이미지에서는 "ambiguity"라는 단어가 중복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이미지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모호함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ambiguity"가 가장 적절한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말은?

  1. Endurance
  2. Maximum duration
  3. Longest flight duration
  4. Maximum flight period
(정답률: 65%)
  • 이미지에 있는 비행기는 오래 날 수 있는 기체로, "Endurance"은 비행기가 최대한 오래 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단어는?

  1. much
  2. great
  3. long
  4. many
(정답률: 58%)
  • 이 문장에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았다" 라는 뜻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much" 가 가장 알맞은 단어입니다. "great" 는 큰, 중요한, 대단한 등의 뜻을 가지고 있고, "long" 은 긴, 오래된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many" 는 많은, 여러 개의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무선통신에서의 송신 방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적절치 않은 내용은 어떤 것인가?

  1. Transmitter should maintain even rate of speech not exceeding 50 words per minute.
  2. Transmitter should maintain the speaking volume at a constant level.
  3. Transmitter should be familiar with the microphone operating techniques.
  4. Transmitter should suspend speech temporarily if it becomes necessary to turn the head away from the microphone.
(정답률: 52%)
  • "Transmitter should maintain even rate of speech not exceeding 50 words per minute."이 적절치 않은 내용이다. 이유는 항공무선통신에서는 속도가 빠르고 명료한 의사소통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50-160 단어/분의 빠른 속도로 말하는 것이 권장된다. 따라서 50 단어/분의 속도는 너무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빈칸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at
  2. on
  3. by
  4. in
(정답률: 50%)
  • 정답은 "in"입니다. 이유는 "in"이 시간적인 범위를 나타내는 전치사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at"은 특정한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이고, "on"은 특정한 날짜나 요일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by"는 어떤 시간까지 또는 어떤 방법으로 무언가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따라서, "in"이 가장 적합한 전치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Captain
  2. Pilot-in-Command
  3. Second-in-Command
  4. Copilot
(정답률: 57%)
  • 위의 그림은 비행기의 조종석에 앉아 있는 사람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비행기를 실제로 조종하고 있는 주체는 "Pilot-in-Command" 입니다. 이는 비행기의 총괄 조종사로, 비행기의 안전과 운항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는 사람입니다. "Captain"은 일반적으로 "Pilot-in-Command"를 의미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Second-in-Command"는 "Pilot-in-Command"의 보조 조종사이며, "Copilot"은 "Second-in-Command"의 다른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erodrome
  2. Aeronautical Area
  3. Aircraft
  4. Air Traffic
(정답률: 5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비행장이며, 비행장은 항공기가 이착륙하고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에 따라 "Aerodrome"이 정답이다. "Aeronautical Area"는 항공기가 비행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Aircraft"는 항공기 자체를 의미한다. "Air Traffic"은 항공기의 운항과 관련된 용어로, 공항 및 주변 지역에서의 항공기 운항 상황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고도 14,500[feet]를 송신할 때 가장 바람직한 송신 용어 및 방식은?

  1. fourteen and five hundreds
  2. fourteen decimal five hundreds
  3. fourteen thousands and five hundreds
  4. one four thousand five hundred
(정답률: 72%)
  • 고도를 송신할 때는 숫자를 분리하여 말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one four thousand five hundred"는 14,500을 숫자 하나하나 분리하여 말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숫자를 잘못 분리하거나 소수점을 사용하여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반송주파수 2,182[kHz]는 무선전화용 국제조난 주파수이다.”에서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영문표현으로 적합한 것은?

  1. An international distress frequency for radiotelegraphy
  2. An international emergency frequency for radiotelegraphy
  3. An international emergency frequency for radiotelephony
  4. An international distress frequency for radiotelephony
(정답률: 62%)
  • "An international distress frequency for radiotelephony"이 적합하다. 이는 무선전화에서 사용되는 국제적인 비상 상황 발생 주파수를 의미한다. "Radiotelephony"는 무선전화 통신을 의미하며, "distress frequency"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용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항공용어는 어느 것인가?

  1. touch and go operation
  2. closed traffic
  3. rectangular pattern
  4. circling maneuver
(정답률: 57%)
  • 이 항공용어는 "closed traffic"이다.

    "Closed traffic"는 비행기가 이륙 후 공항 주변에서 직사각형 패턴을 따라 연습 비행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비행 패턴은 비행기가 공항에 접근하고 착륙 후 다시 이륙하는 것을 반복하는 "touch and go operation"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다. "Rectangular pattern"은 이 비행 패턴을 묘사하는 용어이며, "circling maneuver"는 비행기가 공항 주변에서 원형으로 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ICAO에서 규정한 다음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Air Traffic : All aircraft in flight or operating on the maneuvering area of an aerodrome.
  2. ATC unit : A generic term meaning variously area control center approach control office or aerodrome control tower.
  3. Air taxing : Movement of a helicopter above the surface of an aerodrome, normally in a ground effect.
  4. Aeronautical station : A mobile station in the aeronautical mobile service.
(정답률: 46%)
  • 정답: "Air taxing : Movement of a helicopter above the surface of an aerodrome, normally in a ground effect."

    해설: "Air taxing"은 오타가 있어 "Air taxiing"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Air taxiing"은 헬리콥터가 지상 효과를 이용하여 공항 표면 위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용어의 정의가 옳지 않습니다.

    "Aeronautical station"은 항공 이동체 이동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이동식 무선국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의 정의는 옳습니다.

    "Air Traffic"는 비행 중이거나 공항 조종 구역에서 운영 중인 모든 항공기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의 정의는 옳습니다.

    "ATC unit"은 지역 제어 센터, 접근 제어 사무소 또는 공항 제어 탑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이 용어의 정의는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에서 밑줄 친 부분의 뜻을 맞게 설명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B-2 격납고 뒤로 활주할 것을 요망함.
  2. B-2 격납고로 되돌아 갈 것(활주)을 요망함.
  3. B-2 주기장으로 갈 것임.
  4. B-2 주기장으로 대기할 것임.
(정답률: 67%)
  • 이미 비행을 시작한 비행기에 대해 B-2 격납고로 되돌아 갈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항공통신 교신 중에 조종사 또는 관제사가 수초 동안 기다릴 것을 요구할 때 “ATC clearance”가 곧 나간다는 것을 알릴 때 사용되는 용어는?

  1. Wait seconds
  2. Standby
  3. Wait
  4. Wait a moment
(정답률: 68%)
  • "Standby"는 대기하라는 의미로, 조종사나 관제사가 요청한 것을 처리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거나 다른 우선순위의 교신을 처리해야 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ATC clearance"가 곧 나간다는 것을 알릴 때 "Standby"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의 괄호에 들어갈 것으로 적합한 것은?

  1. because
  2. because of
  3. without
  4. within
(정답률: 63%)
  • 정답은 "because of"이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The bank is closed today" 라는 문장 뒤에 "because of the holiday" 라는 구가 온점(.)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because of"은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holiday"가 은행이 오늘 문을 닫은 이유임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항공용어는 어느 것인가?

  1. Roger
  2. Roger out
  3. Wilco
  4. Will do
(정답률: 61%)
  • "Wilco"는 "will comply"의 줄임말로, 상대방의 명령을 이해하고 수행할 것을 의미하는 항공용어이다. 따라서 상대방의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된다. "Roger"는 명령을 이해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Roger out"은 명령을 이해했으며 대화를 종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Will do"는 명령을 수행할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A문장을 B문장으로 가장 적절히 화법 전환한 것은?

  1. You may get up today
  2. He may get up today
  3. I may get up that day
  4. He may get up that day
(정답률: 60%)
  • A문장은 명령형으로 되어 있으며, B문장은 주어가 다른 문장으로 변환된 문장이다. 따라서 주어를 "you"로 바꾸어야 한다. 그리고 "today"는 "that day"보다 구체적이므로 "today"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You may get up today"가 가장 적절한 화법 전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조난 중인 항공기를 관제하는 관제기관에서 기타 무선국의 무선침묵을 지시할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내용은?

  1. Stop Transmitting
  2. Break Break
  3. Keep Silence
  4. Stand By
(정답률: 68%)
  • "Stop Transmitting"은 긴급 상황에서 조난 중인 항공기와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다른 무선국들이 무선침묵을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표현입니다. 이는 조난 상황에서 항공기와의 통신이 중요하기 때문에 다른 무선국들이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Break Break"는 긴급 상황에서 다른 통신을 중단하고 조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Keep Silence"는 조용히 유지하라는 의미로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Stand By"는 대기하라는 의미로, 특별한 상황이 없을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용어의 정의가 나타내는 항공통신 용어로 적당한 것은?

  1. CONTACT
  2. STAND BY
  3. CLEARED
  4. CLEAR FOR TAKE-OFF
(정답률: 63%)
  • "CLEAR"는 항로나 공항 등에서 비행기에게 허가를 내리는 용어이며, "CLEARED"는 이러한 허가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LEARED"는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항공통신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항공무선 교신에서 나의 송신에 대한 상대국의 수신상태를 알려고 질문하는 용어는?

  1. Advise me your receiving level.
  2. Report your receiving condition.
  3. What is your listening status?
  4. How do you read me?
(정답률: 72%)
  • "How do you read me?"는 상대방이 나의 송신을 잘 받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묻는 질문입니다. "Read"는 여기서 "이해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대방이 나의 송신을 잘 이해하고 받았는지를 묻는 것입니다. 따라서 "Advise me your receiving level."은 "당신의 수신 레벨을 알려주세요."라는 뜻이고, "Report your receiving condition."은 "당신의 수신 상태를 보고해주세요."라는 뜻입니다. "What is your listening status?"는 "당신의 수신 상태는 어떻습니까?"라는 뜻이지만, "listening"은 보통 음악이나 대화를 듣는 것을 의미하므로, 항공무선 교신에서는 적절한 용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두 사람의 대화에서 밑줄 친 곳에 알맞은 말은?

  1. neither
  2. some
  3. either
  4. other
(정답률: 70%)
  • A: "Do you want tea or coffee?"
    B: "Neither, I don't like either."
    A: "Well, we have some juice if you prefer that."

    The correct answer is "some" because it is used to offer an alternative option to the two choices previously mentioned (tea or coffee). "Neither" and "either" indicate a negative response or a choice between two options, and "other" does not fit in the context of the conversation.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