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7)

항공무선통신사
(2013-03-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파법규

1. 다음 중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으로 잘못된 것은?

  1. 실험국 : 1년
  2. 항공국 : 3년
  3. 우주국 : 5년
  4. 항공법에 의해 항공기에 의무적으로 개설하는 무선국 : 무기한
(정답률: 84%)
  • 항공국의 무선국 개설허가 유효기간은 3년이 아니라 1년입니다. 이는 항공국에서 발급하는 무선국 개설허가가 1년마다 갱신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항공국에서 발급하는 무선국 개설허가가 항공안전법에 따라서 발급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무선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대한 기준을 정하여 고시하는 사항과 관계없는 것은?

  1.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2. 전자파 강도 측정기준
  3. 전자파 흡수율 측정기준
  4. 전자파 인체내성 측정기준
(정답률: 87%)
  • "전자파 인체내성 측정기준"은 인체가 전자파에 노출될 때 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증가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무선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대한 측정과 제한을 정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전자파에 대한 측정이나 제한을 다른 측면에서 다루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특정한 주파수의 용도를 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파수 할당
  2. 주파수 분배
  3. 주파수 지정
  4. 주파수 배치
(정답률: 53%)
  • 특정한 주파수의 용도를 정하는 것을 주파수 분배라고 합니다. 이는 무선 통신에서 여러 기기들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각 기기들에게 적절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항공이동업무에 있어서 통신의 우선순위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조난통신 - 기상통보에 관한 통신 - 무선방향탐지에 관한 통신
  2. 조난통신 - 긴급통신 - 무선방향탐지에 관한 통신
  3. 조난통신 - 기상통보에 관한 통신 - 항공기 안전운항에 관한 통신
  4. 조난통신 - 항공기 안전운항에 관한 통신 - 긴급통신
(정답률: 87%)
  • 항공이동업무에서는 항상 우선순위가 높은 조난통신이 가장 먼저 처리되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긴급통신이 처리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는 무선방향탐지에 관한 통신이 처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난통신 - 긴급통신 - 무선방향탐지에 관한 통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국제항공조정무선통신망에 속하는 항공고정국에서 행하는 호출 순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자국의 호출부호 - "DE" - 상대국의 호출부호 – 청수주파수를 표시하는 약어
  2. 자국의 호출부호 - 상대국의 호출부호 - "DE" - 청수주파수를 표시하는 약어
  3. 상대국의 호출부호 - "DE" - 자국의 호출부호 –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약어
  4. 상대국의 호출부호 - 자국의 호출부호 - "DE" -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약어
(정답률: 78%)
  • 국제항공조정무선통신망에서는 상대국의 호출부호를 먼저 부르고, 그 다음에 "DE"를 붙여 자국의 호출부호를 부르는 순서를 따릅니다. 이후에는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약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대국의 호출부호 - "DE" - 자국의 호출부호 –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약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항공기국의 통신연락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책임항공국과 그 담당구역은 “항공법”규정에 따른다.
  2. 항공기국은 원칙적으로 책임항공국과 연락을 취하여야 한다.
  3. 부득이한 사정이 있을 때에는 다른 항공기국을 경유할 수 있다.
  4. 항공기국 상호간의 통신은 호출한 항공기국이 그 통신을 지도한다.
(정답률: 72%)
  • "항공기국 상호간의 통신은 호출한 항공기국이 그 통신을 지도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항공기국 상호간의 통신은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며, 호출한 항공기국이 통신을 지도하는 것은 일방적인 통신 방법이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항공기국 상호간의 통신은 상호 협의하에 이루어지며, 양쪽이 서로의 의사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의무항공기국의 A3E전파 118[MHz]부터 136.975[MHz]까지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송신설비로서 비행고도에 따른 유효통달거리에 관한 기준으로 잘못된 것은?

  1. 비행고도 1,500미터 : 150킬로미터 이상
  2. 비행고도 3,000미터 : 210킬로미터 이상
  3. 비행고도 5,000미터 : 275킬로미터 이상
  4. 비행고도 7,000미터 : 290킬로미터 이상
(정답률: 73%)
  • 정답은 "비행고도 7,000미터 : 290킬로미터 이상" 이 아닙니다.

    A3E전파는 VHF 대역의 전파로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전파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비행고도가 높아질수록 유효통달거리가 늘어나지 않고 오히려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비행고도 7,000미터 : 290킬로미터 이상"은 잘못된 기준입니다.

    보기에서 비행고도가 높아질수록 유효통달거리가 늘어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증가폭은 감소합니다. 즉, 비행고도가 1,500미터에서 3,000미터로 올라갈 때는 유효통달거리가 60킬로미터 증가하지만, 5,000미터에서 7,000미터로 올라갈 때는 15킬로미터만 증가합니다. 이는 전파의 특성 때문인데, 고도가 높아질수록 전파의 직진성이 강해지고 지평선 이상의 지역까지 전파가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노탐(NOTAM)에 관한 통신은 긴급의 정도에 따라 어떤 통신 다음으로 그 순위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가?

  1. 조난통신
  2. 긴급통신
  3. 무선방향탐지에 관한 통신
  4. 항공기 안전운항에 관한 통신
(정답률: 49%)
  • 노탐(NOTAM)은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이므로,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긴급통신"을 선택해야 한다. 다른 통신들은 긴급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양벌규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1. 허가를 받아야할 무선국을 허가 없이 개설한 경우
  2. 운용정지 명령을 받은 무선국을 운용한 경우
  3. 무선국에 대한 검사, 조사 또는 시험을 거부한 경우
  4. 조난이 없음에도 무선설비에 의하여 조난통신을 발하는 경우
(정답률: 78%)
  • 양벌규정은 무선통신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 대해 처벌을 면제하는 규정입니다. 따라서, "조난이 없음에도 무선설비에 의하여 조난통신을 발하는 경우"는 양벌규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무선통신에 관한 법률에서 금지하고 있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항공국의 의무 청취주파수 (전파형식/주파수)로 옳은 것은?

  1. A3E/121.5[MHz]
  2. J3E/121.5[MHz]
  3. A3E/156.8[MHz]
  4. J3E/156.8[MHz]
(정답률: 77%)
  • 항공국의 의무 청취주파수는 비상 상황에서의 구조 요청 및 응급 상황 발생 시의 연락 수단으로 사용되는 주파수입니다. 이에 따라 항공국의 의무 청취주파수는 A3E/121.5[MHz]입니다. A3E는 AM 방식의 전파형식을 의미하며, 121.5[MHz]는 주파수를 나타냅니다. J3E는 SSB 방식의 전파형식을 의미하며, 156.8[MHz]는 VHF 대역의 주파수로 항공국의 의무 청취주파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ITU의 공용어가 아닌 것은?

  1. 중국어
  2. 프랑스어
  3. 일본어
  4. 영어
(정답률: 89%)
  • ITU의 공용어는 중국어, 프랑스어, 영어이지만 일본어는 공용어가 아닙니다. 이는 ITU의 본부가 일본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해상이동업무의 무선국과 통신하기 위하여 항공기국이 156[MHz]와 174[MHz]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송신기의 평균 송신전력은 몇 와트를 초과할 수 없는가?

  1. 50와트
  2. 30와트
  3. 10와트
  4. 5와트
(정답률: 67%)
  • 해상이동업무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VH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항공기국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156[MHz]와 174[MHz] 사이입니다. 이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송신기의 평균 송신전력은 최대 5와트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이는 국제 전기통신 연합(ITU)에서 정한 규정에 따른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와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항공기에 개설하여 항공이동위성업무를 행하는 이동지구국은?

  1. 항공국
  2. 항공기국
  3. 항공지구국
  4. 항공기지구국
(정답률: 83%)
  • 이동지구국은 항공기에 개설되어 이동하면서 항공 이동 위성 업무를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항공기지구국이 필요하다. 항공기지구국은 항공기를 기지로 사용하여 이동지구국의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항공기지구국"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무선통신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제 3급아마추어무선기사(전신급) 자격검정에 응시하는 경우 면제받을 수 있는 과목이 아닌 것은?

  1. 전파법규
  2. 통신보안
  3. 무선통신술
  4. 무선설비취급방법
(정답률: 53%)
  • 무선통신술은 항공무선통신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들이 이미 학습하고 이해하고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제 3급아마추어무선기사(전신급) 자격검정에서 면제받을 수 있는 과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선통신술"이 아닌 다른 과목들인 "전파법규", "통신보안", "무선설비취급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국제 전파규칙(RR)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는 사항은?

  1. 업무와 무선국에 관한 규정사항
  2. 주파수할당에 관한 사항
  3. 공중선전력의 분배에 관한 사항
  4. 무선국으로부터의 혼신에 관한 사항
(정답률: 66%)
  • 국제 전파규칙(RR)은 무선 통신에 대한 국제적인 규정을 담고 있는데, 이 중에서는 업무와 무선국에 관한 규정사항, 주파수할당에 관한 사항, 무선국으로부터의 혼신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공중선전력의 분배에 관한 사항은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국제 전파규칙이 무선 통신에 대한 규정을 다루는데 비해, 공중선전력은 전기 분야에서 다루는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무선설비기기에 대한 적합성평가의 기준적용에 대한 시험 및 확인 방법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누가 공고하는가?

  1. 우체국장
  2.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장
  3. 국립전파연구원장
  4. 중앙전파관리소장
(정답률: 47%)
  • 국립전파연구원은 무선설비기기의 적합성평가를 위한 시험 및 확인 방법 등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기관이며, 이에 따라 적합성평가의 기준적용에 대한 세부사항을 공고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정답은 "국립전파연구원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외국정부 또는 그 대표자에게 무선국의 개설을 허용할 수 없는 무선국은?

  1. 실험국
  2. 의무선박국
  3. 의무항공기국
  4. 방송국
(정답률: 71%)
  • 외국정부나 대표자에게 무선국 개설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는 국가 안보나 국제안보에 위협을 가할 우려가 있는 경우입니다. 이 중 방송국은 무선파를 이용하여 대중에게 정보나 문화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가 안보나 국제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지는 않지만, 무선파의 사용이 제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조난호출을 행한 항공기국이 호출에 이어서 지체 없이 행하여야 하는 조난통보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조난항공기의 식별표지
  2. 책임항공국의 호출부호
  3. 조난항공기의 위치
  4. 조난의 종류, 상황과 필요로 하는 구조의 종류
(정답률: 74%)
  • "조난항공기의 식별표지"는 조난호출을 행한 항공기의 식별을 위해 필요한 정보이며, "조난항공기의 위치"와 "조난의 종류, 상황과 필요로 하는 구조의 종류"는 조난상황 파악과 구조작업에 필요한 정보이므로 모두 적합한 사항입니다. 하지만 "책임항공국의 호출부호"는 조난호출을 받은 항공기국이 책임을 지는 국가의 호출부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호출을 받은 항공기국이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며, 지체 없이 행해야 하는 조난통보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방송통신위원회가 전파이용기술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직접적인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촉진
  2. 전파이용질서의 유지
  3. 전파감시업무의 효율적 수행
  4. 전파이용자 보호
(정답률: 75%)
  • 전파감시업무의 효율적 수행은 전파이용기술의 표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이는 전파 이용에 대한 규제와 감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전파 이용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따라서, 전파감시업무의 효율적 수행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주요 업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항공이동업무국의 운용시간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항공국 및 항공지구국은 별도로 고시하지 않는 한 상시 운용하여야 한다.
  2. 의무항공기국의 운용의무시간은 그 항공기의 항행 중으로 한다.
  3. 의무항공기국은 운용의무시간 외에 무선국 검사에 필요한 경우 운용할 수 있다.
  4. 의무항공기국은 운용의무시간 외에 비행종료 후 타 항공기국에 연락을 위해 송신할 수 있다.
(정답률: 71%)
  • 정답은 "의무항공기국은 운용의무시간 외에 비행종료 후 타 항공기국에 연락을 위해 송신할 수 있다."가 아닌 "의무항공기국은 운용의무시간 외에 무선국 검사에 필요한 경우 운용할 수 있다."이다.

    의무항공기국은 운용의무시간 외에 무선국 검사에 필요한 경우 운용할 수 있지만, 비행종료 후 타 항공기국에 연락을 위해 송신할 수는 없다. 이는 항공국 및 항공지구국의 운용시간과 관련된 사항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초전파공학

21. 다음 중 무선송신기의 구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발진회로
  2. 증폭회로
  3. 변조회로
  4. AVC회로
(정답률: 67%)
  • AVC회로는 무선송신기에서 수신부에서 사용되는 회로로, 송신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발진회로는 송신 주파수를 생성하고, 증폭회로는 발진회로에서 생성된 신호를 증폭시켜 안테나로 전송하며, 변조회로는 음성이나 데이터 등을 송신 신호에 실어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VC회로가 무선송신기의 구성과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단파통신에 있어서 전리층의 반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임계주파수
  2. 반사주파수
  3. 최적주파수
  4. 최저주파수
(정답률: 59%)
  • 단파통신에서 전리층의 반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는 임계주파수이다. 이는 전파가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지구로 돌아오는 시간이 전파 주기보다 길어지면 전파가 지구로 돌아오기 전에 다시 전리층에서 흡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계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는 지구 주변을 돌아다니며 전파가 전달되지 않는 반면, 임계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는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지구 상에 있는 다른 지점으로 전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계기착륙장치(ILS)의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로컬라이저
  2. 글라이드 패스
  3. 마아커 비콘
  4. 2차 레이더
(정답률: 70%)
  • ILS는 로컬라이저, 글라이드 패스, 마커 비콘, 2차 레이더로 구성됩니다. 그 중에서 2차 레이더는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비행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공기를 탐지하여 비행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요소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전리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전파의 회절
  2. 전파의 산란
  3. 편파면의 회전
  4. 전파의 굴절
(정답률: 51%)
  • 전파의 회절은 전파가 물체의 가장자리를 지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전파가 구석이나 불규칙한 표면을 만나면 파장이 굴절되어 산란되는 것과는 다른 현상입니다. 회절은 파장의 크기와 물체의 크기가 비슷할 때 일어나며, 이 때 전파는 물체 주위에 일정한 패턴으로 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운항 중인 항공기에 접근하는 항공기가 있을 경우 충돌방지시스템(TCAS)에서 접근하는 항공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장비는?

  1. SELCAL
  2. Radar
  3. VOR/DME
  4. ATC Transponder
(정답률: 64%)
  • ATC Transponder는 항공기가 운항 중일 때, 다른 항공기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TCAS와 같은 시스템에서 접근하는 항공기의 위치와 고도 등의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따라서 TCAS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비는 ATC Transpond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신기의 선택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고주파 증폭회로를 부가한다.
  2. 동조회로의 Q를 크게 한다.
  3. 리미터 회로를 부가한다.
  4. 슈퍼헤테로다인 수신방식으로 한다.
(정답률: 54%)
  • 리미터 회로를 부가하는 것은 선택도를 높이는 방법이 아니라, 수신기의 감도를 높이는 방법이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리미터 회로는 강한 신호를 제한하여 약한 신호를 더 잘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TVOR(Terminal VOR)의 경우 일반적인 사용가능 고도와 통달거리(반경)는?

  1. 1,000~12,000피트, 15해리
  2. 1,000~12,000피트, 25해리
  3. 1,000~14,500피트, 40해리
  4. 1,000~18,000피트, 40해리
(정답률: 62%)
  • TVOR은 대체로 1,000~12,000피트의 고도 범위에서 사용되며, 이는 대체로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들이 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TVOR의 통달거리(반경)는 대체로 25해리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TVOR의 신호가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서만 수신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12,000피트, 25해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발진조건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단, A:증폭도, β: 궤환률)

  1. A = 1
  2. β = 1
  3. Aβ = 1
  4. Aβ < 1
(정답률: 60%)
  • 정답은 "Aβ = 1"입니다.

    발진 조건은 증폭도(A)와 궤환률(β)의 곱이 1이 되는 경우입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를 유지하면서 계속 증폭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만약 Aβ가 1보다 작다면,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보다 작아지므로 발진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Aβ = 1이 발진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가장 이상적인 증폭기의 잡음지수 F는 얼마인가?

  1. F = 0
  2. F = 1
  3. F = 10
  4. F = 100
(정답률: 53%)
  • 가장 이상적인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왜곡 없이 출력으로 전달하는 것이며, 이는 잡음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장 이상적인 증폭기의 잡음지수 F는 0에 가까울수록 좋은데, 이 중에서도 F=0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므로 F=1이 가장 이상적인 값이다. 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신호 대 잡음 비율이 1:1인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압 증폭도가 20[dB]인 증폭기를 2단으로 종속 연결하고, 회로 환경 등으로 인해 5[dB] 손실이 생겼다면 종합 증폭도는 몇 [dB]인가?

  1. 30[dB]
  2. 35[dB]
  3. 40[dB]
  4. 45[dB]
(정답률: 62%)
  • 먼저 2단으로 종속 연결된 증폭기의 총 증폭도는 20[dB] + 20[dB] = 40[dB]이다. 그러나 회로 환경 등으로 인해 5[dB]의 손실이 생겼으므로, 총 증폭도에서 5[dB]를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종합 증폭도는 40[dB] - 5[dB] = 35[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콘덴서를 병렬 연결한 경우의 총 정전용량을 나타낸 올바른 식은?

  1. C = C1 + C2 + C3 + … + Cn
  2. C = C1 × C2 × C3 × … × Cn
(정답률: 61%)
  • 정전용량은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병렬 연결된 콘덴서들은 각각 전하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모두 더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C = C1 + C2 + C3 + … + C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파대의 송신에서 지표파가 도달하지 않는 지점에서 공간파가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지점 사이의 전계강도가 “0”에 가까운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불감지대(Dead Zone)
  2. 페이딩(Fading)
  3. 라디오 덕트(Radio Duct)
  4. 케널리(Kenely)
(정답률: 57%)
  • 불감지대(Dead Zone)는 지표파가 도달하지 않는 지점에서 공간파가 전리층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지점 사이의 전계강도가 “0”에 가까운 지점을 말합니다. 이 지점에서는 전파가 전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신호를 수신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형, 건물, 기상 등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통신 시스템 설계 시 이러한 불감지대를 고려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초고속 인터넷의 경제성을 확보하고 안정적 품질을 보장하며 시속 60[km/h] 이상으로 이동하면서 고속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는?

  1. WiBro
  2. DMB
  3. HSDPA
  4. Wi-Fi
(정답률: 60%)
  • WiBro는 모바일 인터넷 기술 중 하나로,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면서도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품질을 보장합니다. 또한 시속 60[km/h] 이상으로 이동하면서도 고속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이동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동 중에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WiBro가 이 문제에서 정답입니다. DMB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HSDPA는 고속 패킷 접속(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는 무선 인터넷 기술로, 이들은 모두 WiBro와는 다른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수신기의 감도측정에 필요 없는 측정기는?

  1. 시그널 제네레이터
  2. VTVM(진공관전압계)
  3. 오실로스코프
  4. 와트메타
(정답률: 44%)
  • 와트메타는 전력 측정에 사용되는 측정기이며, 수신기의 감도측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수신기의 감도측정에 필요한 측정기는 시그널 제네레이터, VTVM(진공관전압계), 오실로스코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VOR원리에 의해 방위정보를 얻으면서 별도의 DME에 의해 거리를 얻는 항법장비는 무엇인가?

  1. TACAN
  2. ADF
  3. ILS
  4. VORTAC
(정답률: 52%)
  • VORTAC는 VOR과 TACAN을 결합한 항법장비로, VOR원리에 의해 방위정보를 얻으면서 동시에 TACAN 시스템을 통해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별도의 DME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레이더 주파수밴드별 사용주파수 및 용도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S Band : 2.7~3.5[GHz], 공항감시레이더, 수색레이더
  2. C Band : 5.25~5.925[GHz], 기상레이더, 수색레이더
  3. X Band : 8.5~10.550[GHz], 공항감시레이더, 선박레이더
  4. Ka Band : 13.4~17.7[GHz], 2차 레이더, 원거리기상레이더
(정답률: 69%)
  • Ka Band : 13.4~17.7[GHz], 2차 레이더, 원거리기상레이더는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Ka Band는 주로 위성통신이나 레이더 관측 등에 사용되며,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차 레이더나 원거리 기상 레이더로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직류 발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자(Armature)의 권선은 적층 철심에 감겨있고 자기장 내에 놓여 있을 때 큰 전압을 얻을 수 있다.
  2. 전기자의 권선은 전기 철심의 많은 홈에 많은 코일이 들어있어 발전 전압의 크기가 변하고 불안정한 직류전압이 된다.
  3. 계자는 연철에 권선이 감겨있어 스스로 발생한 직류전압 또는 외부의 직류전원에서 전류가 들어와 전자석이 된다.
  4. 브러쉬는 카본이 사용되며 정류자와 접촉을 원활히 한다.
(정답률: 60%)
  • "전기자의 권선은 전기 철심의 많은 홈에 많은 코일이 들어있어 발전 전압의 크기가 변하고 불안정한 직류전압이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기자의 권선이 많은 홈에 많은 코일이 들어있을수록 발전 전압의 크기는 더욱 안정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는 전기자의 회전 속도와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TACAN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TACAN국 식별을 점검하고 Monitor한다.
  2. ADF, VOR, Radar 등 다른 항법장비를 함께 이용한다.
  3. 비행 전에 사용하게 될 지상국의 각종 정보를 미리 점검한다.
  4. TACAN국을 수시로 바꾼다.
(정답률: 65%)
  • TACAN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TACAN국을 수시로 바꾼다."는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TACAN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TACAN 국을 수시로 바꾸는 것은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이를 무차별적으로 변경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TACAN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항법장비와 함께 이용하거나, 지상국의 정보를 미리 점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리층반사나 지표파를 이용하지 않고 주로 직접파를 이용하는 주파수대는?

  1. 중파
  2. 중단파
  3. 단파
  4. 초단파
(정답률: 59%)
  • 초단파는 전파의 파장이 짧아서 건물이나 산 등 장애물을 통과하기 쉽고, 전리층 반사나 지표파를 이용하지 않고도 직접파를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주로 직접파를 이용하는 주파수대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측정기가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조건이 아닌 것은?

  1. 측정오차가 적을 것
  2. 측정값의 확도가 높을 것
  3. 안정도가 좋을 것
  4. 동작전원은 교류전원일 것
(정답률: 61%)
  • 측정기가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조건은 측정오차가 적을 것, 측정값의 확도가 높을 것, 안정도가 좋을 것입니다. 그러나 동작전원이 교류전원일 필요는 없습니다. 측정기의 동작전원은 교류전원이나 직류전원 모두 가능합니다. 따라서 "동작전원은 교류전원일 것"은 일반적인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보안

41. 무선 통신망의 통신보안대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무선통신망은 자격취득자만 사용하도록 한다.
  2. 비밀내용은 반드시 보안자재의 사용을 생활화하여야 한다.
  3. 통신보안은 제도상 교육기관의 교육만으로 성취될 수 있다.
  4. 국가의 기밀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해야 한다.
(정답률: 63%)
  • 무선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과 달리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안자재의 사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보안자재를 사용하면 암호화된 통신을 할 수 있고, 불법적인 접근이나 해킹 등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밀내용은 반드시 보안자재의 사용을 생활화하여야 한다."가 가장 적합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통신보안이 필요한 요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통신장비가 디지털화 되고 있으므로
  2. 대부분의 통신이 평문으로 소통되므로
  3. 무선통신 이용증가로 풍부한 정보의 원천이 되므로
  4. 수신 장치의 제조기술이 고도화되므로
(정답률: 65%)
  • 정답은 "무선통신 이용증가로 풍부한 정보의 원천이 되므로"입니다. 무선통신은 물리적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커들이 무선 신호를 가로채어 정보를 탈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신보안이 필요합니다. 또한, 무선통신은 이용자가 많아지면서 풍부한 정보의 원천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통신보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송신보안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도청으로부터 보호
  2. 교신분석으로부터 보호
  3. 기만통신으로부터 보호
  4. 자재의 탈취로부터 보호
(정답률: 60%)
  • 송신보안은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자재의 탈취로부터 보호는 송신보안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자재의 탈취로부터 보호는 물리적 보안에 해당하며,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적인 대책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보안 조치입니다. 예를 들어, 서버실에 출입하는 사람들을 제한하거나, 중요한 자재를 잠금장치로 보호하는 것 등이 자재의 탈취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방해통신”을 가장 적절히 정의한 것은?

  1. 통신소통을 지연, 중단 또는 통신질서를 교란시킬 목적으로 통신망에 혼신 및 잡음 등의 전파를 발사하는 행위
  2. 통신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는 비밀내용을 비닉할 목적으로 암호기술상의 처리를 가한 통신문 내용을 분석하는 행위
  3. 통신소통과정에서 통신비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해지는 제반 보호대책
  4. 통신소의 고유명칭 등 통신제원 및 교신량을 기술적으로 획득하기 위하여 혼신 및 잡음 등의 전파를 발사하는 행위
(정답률: 62%)
  • "방해통신"은 통신망에 혼신 및 잡음 등의 전파를 발사하여 통신소통을 지연, 중단 또는 통신질서를 교란시키는 행위를 말한다. 즉, 다른 사람들의 통신을 방해하는 행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통신정보”를 가장 적절히 정의한 것은?

  1. 통신수단에 의하여 비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을 말한다.
  2. 전기통신수단에 의하여 발신되는 통신을 수집·분석하여 산출하는 정보를 말한다.
  3. 외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부문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4. 반국가 활동세력과 그 추종분자의 행위로부터 국가안전보장을 위한 정보를 말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전기통신수단에 의하여 발신되는 통신을 수집·분석하여 산출하는 정보를 말한다."입니다. 이는 전자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통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가안보나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비밀의 수발 방법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1. 암호화하여 전신으로 수발한다.
  2. 무선통신망으로 수발한다.
  3. 각급기관의 문서수발계통에 의하여 수발한다.
  4. 등기우편에 의하여 수발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무선통신망으로 수발한다."입니다. 이유는 무선통신망은 해킹 등의 보안 위협에 취약하고, 제3자가 정보를 가로챌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밀의 수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무선통신의 통신부안 취약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교신분석이 가능하다.
  2. 대부분 즉흥식 문답으로 이루어진다.
  3. 원거리에서 도청이 불가능하다.
  4. 기만 및 역이용을 당할 우려가 있다.
(정답률: 67%)
  • 원거리에서 도청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무선통신의 암호화 기술이 강력하게 적용되어 있어, 외부인이 무선 신호를 가로채어 해독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거리에서 도청이 불가능하다."는 무선통신의 통신부안 취약점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일반우편통신의 취약성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수취인에 대한 정확한 전달이 가능하다.
  2. 국가 공신력에 의하여 취급되나 피습을 당할 우려가 있다.
  3. 다른 통신수단에 비하여 비교적 신속성이 결여된다.
  4. 보통우편의 경우 분실에 대한 책임 보장이 없다.
(정답률: 53%)
  • "보통우편의 경우 분실에 대한 책임 보장이 없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수취인에 대한 정확한 전달이 가능하다"는 이유는 우편물에는 수취인의 주소와 이름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편물은 우체국을 통해 안전하게 전달되므로, 통신 수단 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일반우편통신은 국가 공신력에 의해 취급되기 때문에, 피습을 당할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다른 통신수단에 비해 비교적 신속성이 결여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통신보안의 위규사항이 아닌 것은?

  1. 국가 외교비밀에 관한 사항의 누설
  2. 국가 행정비밀에 관한 사항의 누설
  3. 국가 산업정보에 관한 사항의 누설
  4. 보도된 산업정보 통계에 관한 사항
(정답률: 71%)
  • 보도된 산업정보 통계는 이미 공개된 정보이기 때문에 통신보안의 위반 사항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통신보안의 위반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통신보안의 책임과 가장 관계가 없는 사람은?

  1. 통신이용자
  2. 방송수신자
  3. 통신 통제권자
  4. 통신문 기안자
(정답률: 62%)
  • 방송수신자는 통신보안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사람입니다. 통신보안은 통신이용자, 통신 통제권자, 그리고 통신문 기안자와 관련이 있습니다. 방송수신자는 단순히 방송을 수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통신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영어

5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because
  2. lest
  3. but
  4. that
(정답률: 56%)
  • "lest"는 "안 그러면"이라는 의미로, 위 문장에서는 "그들이 더 이상 우리를 공격하지 않도록"이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lest"가 가장 알맞은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관제 실무에 관한 영어 표현을 잘못된 것은?

  1. 여기는 ABC관제소 즉시 응답하시오. - This is ABC Control, Acknowledge.
  2. 즉시 비행경로를 좌/우로 변경하시오. - Immediately, Turn left/right
  3. 속도를 150노트로 줄이시오. - Reduce speed to 150knots.
  4. 비행 중 매 5분마다 위치보고를 하시오. - Repeat your position every 5 minutes.
(정답률: 49%)
  • 잘못된 표현은 없습니다. 모두 관제 실무에서 사용되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Repeat your position every 5 minutes."는 비행 중 위치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문장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Cleared For Take-off
  2. Circle to Runway
  3. Cleared To Land
  4. Cleared To Taxi
(정답률: 75%)
  • 이 문장은 항공 용어 "Cleared To Land"에 대한 설명이다. "Cleared To Land"는 비행기가 착륙할 수 있는 것으로 승인된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Cleared For Take-off"은 이륙 승인, "Circle to Runway"는 비행기가 공항 주변을 돌아가며 착륙 준비를 하는 것을 의미하며, "Cleared To Taxi"는 비행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승인된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문장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육상이동업무란 기지국과 육상국간, 또는 육상국간의 이동업무이다.
  2. 육상이동업무란 기지국과 이동국간, 또는 이동국간의 이동업무이다.
  3. 육상이동업무란 기지국과 육상국간, 또는 이동국간의 이동업무이다.
  4. 육상이동업무란 기지국과 육상이동국간, 또는 육상이동국간의 이동업무이다.
(정답률: 67%)
  • "육상이동업무란 기지국과 육상국간, 또는 육상국간의 이동업무이다."는 옳지 않다. "육상이동업무란 기지국과 육상이동국간, 또는 육상이동국간의 이동업무이다."가 옳다. 이유는 "육상이동"이란 용어가 이미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육상국"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동국"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문장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Stand by
  2. Monitor
  3. Cancel
  4. Break
(정답률: 73%)
  • 위의 그림은 "Break" 버튼을 나타내며, 이 버튼은 작업을 중지하거나 중단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Break"이 정답입니다. "Stand by"는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버튼, "Monitor"는 모니터링을 시작하는 버튼, "Cancel"은 작업을 취소하는 버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문장이 나타내는 무선국은?

  1. Aircraft station
  2. Aircraft earth station
  3. Aeronautical station
  4. Aeronautical mobile station
(정답률: 48%)
  • 이 그림은 비행기 지상국을 나타낸다. 그림에서는 지상국과 비행기 사이에 지상국의 안테나와 비행기의 안테나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비행기 지상국이 지상국과 비행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장이 나타내는 무선국은 "Aircraft earth st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ROGER"의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I've received all your transmission.
  2. Can be used to answer a question requiring yes or no?
  3. Ready to take off.
  4. Ready to touchdown.
(정답률: 77%)
  • "I've received all your transmission."이 ROGER의 의미이다. ROGER는 상대방의 메시지를 받았음을 알리는 무선 통신 용어이다. "Can be used to answer a question requiring yes or no?"는 YES, "Ready to take off."는 READY FOR TAKEOFF, "Ready to touchdown."은 READY TO LAND와 같은 다른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에 알맞은 것은?

  1. abeam
  2. left or right
  3. side by side
  4. over
(정답률: 59%)
  • 해당 그림은 선박이 바다를 항해할 때 사용하는 용어를 나타내는 것이다. "abeam"은 선박이 좌우로 수평한 방향에 위치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그림에서 밑줄 친 부분은 선박이 좌우로 수평한 방향에 위치할 때 사용하는 "abeam"이 맞다. "left or right"는 좌측 또는 우측을 의미하며, "side by side"는 나란히를 의미하며, "over"는 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무선 교신에서 나의 송신에 대한 상대국의 수신 상태를 알려고 질문하는 용어는?

  1. Advise me your receiving level.
  2. Report your receiving condition.
  3. What is your listening status?
  4. How do you read me?
(정답률: 78%)
  • "How do you read me?"는 상대방이 나의 송신을 잘 받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묻는 질문입니다. "Read"는 여기서 "이해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대방이 나의 송신을 잘 이해하고 받았는지를 묻는 것입니다. 따라서 "Advise me your receiving level."은 "당신의 수신 레벨을 알려주세요."라는 뜻이며, "Report your receiving condition."은 "당신의 수신 상태를 보고해주세요."라는 뜻입니다. "What is your listening status?"는 "당신의 수신 상태는 어떤가요?"라는 뜻이지만, "listening"은 보통 음악이나 대화를 듣는 것을 의미하므로, 항공무선 교신에서는 적절한 용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것은?

  1. service call
  2. emergency call
  3. distress call
  4. stations call
(정답률: 74%)
  • 이미지에 나타난 그림은 해상에서 발생한 위급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distress call" 이기 때문입니다. "service call"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호출, "emergency call"은 긴급한 상황에서의 호출, "stations call"은 특정 장소나 기지에 대한 호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speed up
  2. delay
  3. charge
  4. carry out
(정답률: 66%)
  • 이미지에서 "speed up"은 작업을 더 빠르게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incongruous
  2. untenable
  3. undecipherable
  4. irreproachable
(정답률: 44%)
  • 이 문장에서는 "perfectly"와 대조되는 단어가 필요하다. "incongruous"는 맞지 않는, 어울리지 않는 의미이고, "untenable"은 지지할 수 없는, 옹호할 수 없는 의미이다. "undecipherable"은 해독할 수 없는, 알아볼 수 없는 의미이다. 따라서 "irreproachable"가 가장 적절한 단어이다. "irreproachable"는 비난할 여지가 없는, 흠잡을 데 없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의 문장에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Scalar
  2. Vector
  3. Stream Air
  4. Relative wind
(정답률: 59%)
  • 비행기가 비행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상대풍이라고 하며, 이 상대풍을 상대풍벡터로 나타낸 것이 상대풍이다. 따라서 "Relative wind"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Upper Camber
  2. Lower Camber
  3. Leading Edge
  4. Trailing Edge
(정답률: 40%)
  • 밑면의 곡률을 나타내는 용어 중 하나인데, "Lower Camber"는 밑면의 곡률이 큰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의 문장과 끝이 같은 것은?

  1. Finished the work, I played cards.
  2. Had finishing the work, I played cards.?
  3. Having finished the work, I played cards.
  4. Having had finished the work, I played cards.
(정답률: 52%)
  • 문장의 끝이 "-ed"로 끝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과거 분사형을 나타내는 형태이다. 따라서 정답은 "Having finished the work, I played cards."이다. 이 문장은 "나는 일을 끝내고 카드를 했다"라는 뜻으로, 과거에 끝낸 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형태인 "Having finished"를 사용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문장을 나타내는 용어는?

  1. LINE UP
  2. READY
  3. CLEARED TO LAND
  4. STAND BY
(정답률: 54%)
  • 이 용어는 비행기가 이착륙을 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며, "READY"는 비행기가 이착륙을 준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행기가 이착륙을 하기 전이나 후에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것은?

  1. as well as possible
  2. as far as possible
  3. as long as possible
  4. as rapidly as possible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이 뛰어오르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as rapidly as possible"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최대한 빠르게"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문장과는 맥락이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것은?

  1. are
  2. were
  3. are the
  4. is
(정답률: 6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VOR
  2. ILS
  3. DME
  4. TACAN
(정답률: 59%)
  • 주어진 그림은 항법 장비인 VOR (VHF Omnidirectional Range)의 표시이다. VOR은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장비 중 하나이다. 그러나 VOR만으로는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조적으로 DME (Distance Measuring Equipment)를 사용한다. DME은 항공기와 VOR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VOR과 함께 DME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둘을 함께 사용하는 시스템을 VOR/DME이라고 한다. ILS (Instrument Landing System)는 착륙 시에 사용되는 장비이며, TACAN (Tactical Air Navigation)은 군용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장비이다. 따라서, 정답은 "DM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전화를 잘못 거셨습니다.”라고 말할 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wrong
  2. false
  3. bad
  4. another
(정답률: 80%)
  • "전화를 잘못 거셨습니다."는 상대방에게 잘못된 전화를 걸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므로 "wrong"이 가장 알맞은 단어이다. "false"는 거짓이라는 뜻으로 적절하지 않고, "bad"는 전화 자체가 나쁘다는 뜻으로 맞지 않다. "another"는 다른 전화를 걸라는 뜻으로 문맥상 맞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