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9)

항공무선통신사
(2014-03-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파법규

1. 다음은 ICAO의 항공이동업무에 관한 사항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20[MHz]
  2. 30[MHz]
  3. 40[MHz]
  4. 50[MHz]
(정답률: 67%)
  • ICAO에서는 항공이동업무를 위해 VH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 중에서도 항공기와 지상국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118~137[MHz]이다. 그 중에서도 30[MHz]는 항공기와 지상국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30[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파형식의 등급표시에 있어 기본 특성의 셋째 기호(송신할 정보형태) 중 '전화'를 나타내는 문자는?

  1. A
  2. C
  3. E
  4. F
(정답률: 83%)
  • 전파형식의 등급표시에서 기본 특성의 셋째 기호는 송신할 정보형태를 나타내는데, "전화"를 나타내는 문자는 "E"이다. 이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한 규약에 따라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A", "C", "F"는 각각 모르는, 전보,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설자가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신고하고 무선국의 운용을 휴지할 수 있는 기간은?

  1. 1개월이상 1년이내
  2. 2개월이상 1년이내
  3. 3개월이상 1년이내
  4. 6개월이상 1년이내
(정답률: 76%)
  • 시설자가 무선국의 운용 문제를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신고하고 휴지할 수 있는 기간은 "전파법" 제 44조에 따라 1개월 이상 1년 이내입니다. 이 기간 내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항공이동업무의 무선국을 위한 조난 및 긴급통신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무선전화용 주파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56.8[MHz]
  2. 121.5[MHz]
  3. 243[MHz]
  4. 500[KHz]
(정답률: 49%)
  • 121.5MHz는 항공기의 긴급상황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로, 조난 신호를 보내거나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주파수는 국제적으로도 표준으로 인정되어 있어서, 다른 국가의 항공기와도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항공국이 운용을 종료하고자 할 떄의 제한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 있는 모든 항공기국에 대하여 그 뜻을 통지하여한 한다.
  2. 정시외의 시각에 다시 운용을 종료하고자 하는 때에는 그 예정시각도 통지하여야 한다.
  3. 항공국이 운용종료 통지결과 항공기국으로부터 운용시간 연장을 요구할 경우에는 그 요구된 시간까지 운용하여야 한다.
  4. 통신을 행하였던 항공기국에 대해서만 그 뜻을 통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84%)
  • 옳지 않은 것은 "통신을 행하였던 항공기국에 대해서만 그 뜻을 통지하여야 한다." 이유는 항공기국이 통신을 하지 않은 경우에도 운용 종료를 알리기 위해 모든 항공기국에 대해 통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 성능유지를 확인하야 하는 주기로 옳은 것은?

  1. 500시간 사용할 때마다 1회 이상 확인
  2. 1,000시간 사용할 때마다 1회 이상 확인
  3. 1,500시간 사용할 때마다 1회 이상 확인
  4. 2,000시간 사용할 때마다 1회 이상 확인
(정답률: 90%)
  • 무선설비는 안전한 비행을 위해 항상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하므로, 일정한 주기로 성능을 확인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이때, 주기가 너무 짧으면 비효율적이고, 너무 길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적절한 주기를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1,000시간 사용할 때마다 1회 이상 확인하는 것이 적절한 주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항공무선통신사가 행할 수 있는 무선설비 외부조정의 기술운용 범위를 나타낸 말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적당한 말은?

  1. 50와트
  2. 100와트
  3. 200와트
  4. 250와트
(정답률: 69%)
  • 항공무선통신사가 행할 수 있는 무선설비 외부조정의 기술운용 범위는 항공기 안전을 위해 규제되어 있으며, 최대 출력은 250와트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와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항공기국 무선설비의 일반조건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작고 가벼우며, 취급이 용이할 것
  2. 무선실비 동작안전을 위하여 온도 및 습도에 예민하게 반응할 것
  3. 수신설비는 가능한 한 항공기의 전기적 잡음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아니할 것
  4. 공중선계는 풍압과 빙결에 견딜 것
(정답률: 87%)
  • "무선실비 동작안전을 위하여 온도 및 습도에 예민하게 반응할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무선설비는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적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지만, 이는 동작안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정확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공기국과 통신하기 위하여 육상에 개설하고 이동하지 않는 무선국은?

  1. 항공고정국
  2. 항공국
  3. 기지국
  4. 해안국
(정답률: 56%)
  • 항공기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무선국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무선국을 항공국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국과 통신하기 위하여 육상에 개설하고 이동하지 않는 무선국은 "항공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전파법에서 규정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선국'은 무선통신을 위하여 허가 받은 무선기기를 말한다.
  2. '송신설비'는 전파를 보내는 설비로서 송신장치와 송신공중선계로 구성되는 설비를 말한다.
  3. '수신설비'는 전파를 받는 설비로서 수신장치와 수신공중선계로 구성되는 설비를 말한다.
  4. '무선설비'는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을 말한다.
(정답률: 7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무선설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위탁운용 또는 공동사용할 수 있는 무선설비가 아닌 것은?

  1. 무선국의 공중선주
  2. 송신설비
  3. 무선국의 성능측정 설비
  4. 수신설비
(정답률: 83%)
  • 무선국의 성능측정 설비는 무선설비의 운용이나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설비이지만, 무선설비의 운용 자체를 위탁운용하거나 공동사용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효율적 이용을 위해 위탁운용 또는 공동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의무항공기국이 운용의무시간 중에 청취하여야 할 전파형식은?

  1. J3E
  2. F3E
  3. A3E
  4. E3E
(정답률: 86%)
  • 운용의무시간 중에는 의무항공기국이 통신을 위해 A3E 전파형식을 청취해야 합니다. A3E는 AM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음성 통화에 적합한 전파형식입니다. J3E는 SSB (Single Side Band) 방식으로, 장거리 통신에 적합하며, F3E는 FM (Frequency Modulation) 방식으로, 고음질의 음성 통화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합니다. E3E는 CW (Continuous Wave) 방식으로, 모스 부호 전송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선박, 항공기 또는 기타 이동체의안전, 선상 또는 시계 내에 있는 인명의 안전에 관련되 긴급 전문의 우선순위 약어는?

  1. SS
  2. DD
  3. FF
  4. GG
(정답률: 51%)
  • "DD"는 "Dangerous Drift"의 약어로, 선박이나 항공기 등의 이동체가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요한 방향 제어를 할 수 없는 위험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다른 모든 우선순위를 우선시하여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국이 항공국에 무선전화에 의한 시험통신을 행하고 이에 항공국이 시험통신에 응하는 경우 올바른 송신 순서는?

  1. 상대항공기국의 호출명칭-여기는-자국의호출명칭-명료도-이상
  2. 상대항공기국의 호출명칭-여기는-자국의호출명칭-이상-명료도
  3. 자국의호출명칭-여기는-상대항공기국의 호출명칭-이상-명료도
  4. 자국의호출명칭-여기는-상대항공기국의 호출명칭-명료도-이상
(정답률: 84%)
  • 올바른 송신 순서는 "상대항공기국의 호출명칭-여기는-자국의호출명칭-명료도-이상"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상대항공기국의 호출명칭을 먼저 부르는 이유는 상대항공기국이 자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 다음으로 "여기는"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이유는 자신이 상대항공기국과 통신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자국의 호출명칭을 부르는 이유는 자국에서 송신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국의 호출명칭을 먼저 부르는 것이 자연스럽다.

    명료도는 통신의 명료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통신 내용이 상대항공기국에게 명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이유는 통신이 끝났음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이는 상대항공기국이 자신의 발언이 끝났음을 인식하고 다음 발언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무선국의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한 자에 대한 벌칙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3.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65%)
  • 무선국의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행위는 전파법 제63조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파수할당을 받은 자가 주파수이용기간이 만료되어 주파수재할당을 받으려면 주파수이용기간 만료 몇 개월전에 신청하여야 하는가?

  1. 1개월
  2. 2개월
  3. 6개월
  4. 8개월
(정답률: 73%)
  • 주파수 이용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에 주파수 재할당을 신청해야 합니다. 이는 주파수 재할당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파수 이용기간이 만료된 후에는 해당 주파수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용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재할당을 신청하여 중단 없이 주파수 이용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무선국 검사 시 허가 또는 신고사항 등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조검사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시설자
  2. 설치장소
  3. 무선종사자 배치
  4. 공중선 전력
(정답률: 62%)
  • 무선국 검사 시 허가 또는 신고사항 등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조검사 항목에는 "공중선 전력"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무선국 검사와 관련이 없는 항목으로, 공중선 전력은 전기안전법에 따라 전기안전관리자가 관리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무선국 검사 시에는 공중선 전력과 관련된 사항은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실비로서 A3E 전파 118[MHz]부터 136.975[MHz]까지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송신설비의 유효통달거리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비행고도 300미터 일 때)

  1. 50[Km] 이상
  2. 60[Km] 이상
  3. 70[Km] 이상
  4. 80[Km] 이상
(정답률: 76%)
  • A3E 전파는 VHF 대역으로, 공기 중 전파의 전파속도는 약 300,000 km/s이다. 따라서, 전파가 300m 높이의 비행기에서 발사되어 지표면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약 0.001초이다. 이 시간 동안 전파는 직진하며, 지표면과의 거리에 따라 전파의 퍼짐이 일어난다. 이 때, 전파의 퍼짐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전파의 유효통달거리는 비행기와 지표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유효통달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비행기와 지표면 사이의 거리를 알아야 한다. 비행고도가 300m이므로, 비행기와 지표면 사이의 거리는 300m이다. 이 때, 유효통달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효통달거리 = (전파의 속도) x (전파가 이동하는 시간) x (전파의 퍼짐 보정 계수)

    전파의 속도는 약 300,000 km/s이고, 전파가 이동하는 시간은 약 0.001초이다. 전파의 퍼짐 보정 계수는 일반적으로 1.5 ~ 2.0 사이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유효통달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효통달거리 = 300,000 x 0.001 x 1.5 = 450 km

    따라서, A3E 전파 118[MHz]부터 136.975[MHz]까지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송신설비의 유효통달거리는 최소 450k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80[Km]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무선국을 개설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에게 허가를 얻어야 하는가?

  1. 산업통산자원부장관
  2. 미래창조과학부방관
  3. 국립전파연구원장
  4. 국토교통부장관
(정답률: 68%)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미래창조과학부방관 -> 과학기술통신부장관으로 수정 부탁드립니다. 문재인 정부부터 미창부가 과기부로 바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업무종사의 정지를 당한 후 그 기간에 무선설비를 운용한 경우 벌칙은?

  1. 2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정답률: 67%)
  • 업무종사의 정지는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이 기간 동안 무선설비를 운용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벌금과 과태료는 법적인 의미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과태료가 적용됩니다. 이유는 벌금은 범죄에 대한 처벌로서 법원에서 판결을 내리는 것이고, 과태료는 행정상의 위반에 대한 처벌로서 관련 기관에서 직접 부과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 기관에서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초전파공학

21. 다음 중 공중선과 전송선로 사이의 임피던스 부정합 상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한다.
  2. 전송선로의 길이를 조정한다.
  3. 발룬(Balun)을 사용한다.
  4. L(리액턴스),C(캐피시던스) 정합회로를 사용한다.
(정답률: 40%)
  • 전송선로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은 공중선과 전송선로 사이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해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전송선로의 길이를 조정하면 전파가 전송선로와 공중선 사이에서 잘 반사되지 않고 전송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송선로의 길이를 조정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은 공중선과 전송선로 사이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급전선의 필요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전송효율이 좋을 것
  2. 급전선의 파동임피던스가 클 것
  3. 유도방해를 주거나 받지 않을 것
  4. 송신용의 경우 절연내력이 클 것
(정답률: 49%)
  • "급전선의 파동임피던스가 클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급전선의 파동임피던스가 클수록 전송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에 급전선 설계 시 파동임피던스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올바른 급전선 설계의 필요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격출력 25[W]의 송신기 출력을 측정하였더니 진행파 24.5[W], 반사파 1.25[W] 였다면 실제 공중선에 공급되는 출력은 얼마인가? (단, 급전선 케이블 손실 등은 0[dB]라고 가정한다.)

  1. 23.25[W]
  2. 24.50[W]
  3. 25.00[W]
  4. 25.75[W]
(정답률: 53%)
  • 송신기에서 발생한 25[W]의 출력 중 진행파가 24.5[W]이므로 반사파는 0.5[W]입니다. 이때, 반사파는 공중선으로 돌아가지 않고 송신기 쪽으로 돌아오므로, 실제 공중선에 공급되는 출력은 진행파 출력에서 반사파 출력을 뺀 값이 됩니다. 따라서, 실제 공중선에 공급되는 출력은 24.5[W] - 1.25[W] = 23.25[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3.25[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비오사바르의 법칙은 어떤 관계를 나타낸 것인가?

  1. 기전력과 자속의 변화
  2. 전위와 자기장의 세기
  3. 전류와 자기장의 세기
  4. 기전력과 회전수
(정답률: 52%)
  • 비오사바르의 법칙은 전류와 자기장의 세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전류의 세기와 직접 비례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류가 강해지면 자기장의 세기도 강해지고, 전류가 약해지면 자기장의 세기도 약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정류기의 평활 회로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콘덴서
  2. 다이오드
  3. 초크 코일
  4. 저항
(정답률: 42%)
  • 정류기의 평활 회로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AC 신호를 필터링하여 DC 신호로 만들어주는데, 이때 콘덴서, 초크 코일, 저항이 사용됩니다. 다이오드는 정류기에서 반드시 사용되는 부품이지만, 평활 회로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이오드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류기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1[kHz] 신호파에 916[kHz] 반송파를 진폭변조(AM)할 때, 피변조파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주파수는?

  1. 1[kHz]
  2. 915[kHz]
  3. 916[kHz]
  4. 917[kHz]
(정답률: 58%)
  • AM 변조에서 피변조파의 주파수는 변조 신호의 주파수와 같으며, 이 문제에서는 1[kHz] 신호파가 변조 신호이므로 피변조파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주파수는 915[kHz], 916[kHz], 917[kHz] 중에서 916[kHz]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위성통신용 주파수대의 일반 분류 명칭과 주파수 범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L밴드 : 1 ~ 2[GHz]
  2. S밴드 : 4 ~ 8[GHz]
  3. X밴드 : 8 ~ 12.5[GHz]
  4. K밴드 : 18 ~ 26.5[GHz]
(정답률: 49%)
  • 정답은 "S밴드 : 4 ~ 8[GHz]"이다. S밴드는 2 ~ 4[GHz] 또는 2 ~ 8[GHz]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국가 또는 기관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S밴드는 2 ~ 4[GHz]로 분류되며,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S밴드의 주파수 범위가 잘못 연결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방위는 알 수 있지만 거리는 알 수 없다.
  2. 레이더 화면에 항공기 추가정보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3. 질문기와 응답기로 구성된다.
  4. 항공기측에서 고도 또는 항공기 식별 코드를 응답할 수 있다.
(정답률: 68%)
  • "방위는 알 수 있지만 거리는 알 수 없다."는 SSR의 단점 중 하나이다. SSR은 항공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항공기의 위치와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지만, 거리는 계산할 수 없다. 이는 SSR이 항공기의 고도를 기준으로 거리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SR은 항공기의 위치와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정확한 거리 측정에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설비 중 무선항법시스템이 아닌 것은?

  1. NDB
  2. DME
  3. VOR
  4. SSR
(정답률: 64%)
  • SSR은 무선항법시스템이 아닙니다. SSR은 주로 비행기의 위치와 고도를 추적하는 레이더 시스템입니다. NDB, DME, VOR은 모두 무선항법시스템으로, 비행기의 위치를 식별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무선송신기 최종단에서 스피커나 기타 큰 부하를 구동하는 증폭기는 무엇인가?

  1. 전압 증폭기
  2. 전류 증폭기
  3. 저항 증폭기
  4. 전력 증폭기
(정답률: 42%)
  • 무선송신기 최종단에서는 전파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력이 큰 신호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스피커나 기타 큰 부하를 구동하는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를 사용합니다. 전력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전압과 전류를 동시에 증폭하여 출력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무선송신기 최종단에서는 전력 증폭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AM 송신기의 변조신호를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더니 다음과 같이 나왔다면 변조율은 몇 [%]인가? (단, 진폭의 (Vmax)=12[V]이고, 진폭의 최소값(Vmin)=0.5[V]이다.)

  1. 88[%]
  2. 92[%]
  3. 96[%]
  4. 100[%]
(정답률: 41%)
  • 변조율은 (Vmax-Vmin)/(Vmax+Vmin)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2-0.5)/(12+0.5) x 100 = 92[%] 이므로 정답은 "9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내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중 기내에서 무선LAN 접속 시 IEEE 802.11n을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기준은?

  1. IEEE 802.11n
  2. IEEE 802.11a
  3. IEEE 802.11g
  4. IEEE 802.11k
(정답률: 62%)
  • IEEE 802.11k는 기내에서 무선LAN 접속 시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 기준 중 하나입니다. 이 기술은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무선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기내에서 무선LAN 접속 시 IEEE 802.11n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IEEE 802.11k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송신기 출력 10[W] 신호의 스퓨리어스발사 성분을 스펙트럼분석기로 측정하였더니 절대값이 –20[dBm]으로 측정되었다. 송신기 출력 기준 스퓨리어스발사 성분의 상대값은 얼마인가?

  1. –40[dB]
  2. –60[dB]
  3. –80[dB]
  4. –100[dB]
(정답률: 40%)
  • 송신기 출력 10[W]에 대한 스펙트럼 분석 결과 스퓨리어스발사 성분이 -20[dBm]으로 측정되었으므로, 이를 10[dBm]으로 변환하면 송신기 출력 기준 스퓨리어스발사 성분은 -30[dB]이 된다. 따라서 상대값은 -30[dB] - 10[dB] = -40[dB]이 된다.

    정답은 "-60[dB]"이 아닌 이유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들 중에서 -40[dB]이 가장 적합한 값이기 때문이다. -60[dB]은 상대적으로 너무 작은 값이므로,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40[dB]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초단파 전파를 발사하여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게 진입로에 대한 수평유도정보를 제공해주는 ILS 시설은?

  1. VOR
  2. Glide path
  3. Outer marker
  4. Localizer
(정답률: 61%)
  • ILS 시설 중 Localizer는 수평 유도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는 항공기가 정확한 진입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인 VOR는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며, Glide path는 수직 유도 정보를 제공합니다. Outer marker는 ILS 접근 절차 중 하나로, 항공기가 정확한 위치에 도달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ocalizer가 ILS 시설 중 진입로에 대한 수평 유도 정보를 제공하는 유일한 시설이므로 정답은 Localiz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전리력선(Line of Electric For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전하의 표면에서 나와서 양전하의 표면에서 끝난다.
  2. 전기력선은 도체의 표면에 수평으로 출입한다.
  3. 전기력선은 서로 교차하는 성질이 있다.
  4. 전기력석의 말도는 전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정답률: 40%)
  • 전기력선은 전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나타내는 선으로, 전기장의 세기가 강할수록 전기력선의 밀도가 높아지며, 전기장의 방향은 전기력선의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전기력석의 말도는 전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리층 반사를 이용하는 장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안테나는?

  1. 장파용 안테나
  2. 중파용 안테나
  3. 단파용 안테나
  4. 마이크로파용 안테나
(정답률: 57%)
  • 전리층 반사는 지구 대기 상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단파 주파수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일어납니다. 따라서, 장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안테나는 단파용 안테나입니다. 다른 안테나들은 전리층 반사를 이용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접근관제 레이더(ASR)의 현시장치에는 몇 초 이내에 새로운 자료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는가?

  1. 1초
  2. 2초
  3. 4초
  4. 6초
(정답률: 47%)
  • 접근관제 레이더는 항공기의 위치와 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분석하여 공항 교통을 관리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때, 레이더가 감지한 정보는 최대한 빠르게 화면에 나타나야 합니다. 이는 공항 교통의 실시간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접근관제 레이더의 현시장치는 최대 6초 이내에 새로운 자료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수직접지 안테나의 복사저항이 10[Ω]이고 접지저항이 6[Ω]일 때 100[W]의 전력을 공급하면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는?

  1. 2.5[A]
  2. 10[A]
  3. 25[A]
  4. 1,400[A]
(정답률: 45%)
  • 안테나에 공급되는 전력은 P = I^2 * R 이므로, 전력과 저항을 알고 있으면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주어진 전력은 100[W]이고 복사저항은 10[Ω]이므로, 전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100 = I^2 * 10
    10 = I^2
    I = √10

    따라서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는 약 3.16[A]이다. 하지만 접지저항이 6[Ω]이므로, 실제로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는 전체 회로의 전압이 6[Ω]에 의해 분배되어 감소하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전류를 다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전압 = 전력 / 전류 = 100 / 3.16 = 31.65[V]
    실제 전류 = 전압 / (복사저항 + 접지저항) = 31.65 / (10 + 6) = 1.58[A]

    하지만 이는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가 아니라, 전체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원하는 답은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전류의 분배 비율을 고려해야 한다. 복사저항과 접지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의 분배 비율은 각 저항의 비율과 같다.

    복사저항 : 접지저항 = 10 : 6

    따라서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다.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 = 전체 전류 * (복사저항 / (복사저항 + 접지저항))
    = 1.58 * (10 / (10 + 6))
    = 2.5[A]

    따라서 정답은 "2.5[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기호 중 AND 게이트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53%)
  • 정답은 ""이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그림에서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인 경우 출력이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기호들은 OR 게이트, NOT 게이트, NAND 게이트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어떤 법칙에 대한 설명인가?

  1. 줄의 법칙
  2. 옵의 법칙
  3. 쿨롱의 법칙
  4. 암페어의 법칙
(정답률: 59%)
  • 위 그림은 전기장과 전하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쿨롱의 법칙을 보여줍니다. 쿨롱의 법칙은 전기적인 상호작용에서 전하 사이의 힘을 계산하는 법칙으로, 전하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 힘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전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힘이 강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보안

41. 다음 중 통신보안상 국가외교비밀 누설에 해당되는 것은?

  1.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외국 주재원의 활동 및 인적사항
  2. 대공 및 중요사건과 관련된 검문, 검색계획 및 집행
  3. 반국가적 행위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내용
  4. 국가시책에 영향을 초해는 사항
(정답률: 57%)
  •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외국 주재원의 활동 및 인적사항"은 국가의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이며, 이 정보가 노출될 경우 해당 외교관의 안전과 국가의 외교적 이익이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보안상 국가외교비밀 누설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통신망 구축 시 보안대책이 아닌 것은?

  1. 통신망 관리책임자의 보고체계 다원화
  2. 통신장비 수급관리 시 보안대책 수립
  3. 보안자재 및 보안장비의 설치운용
  4. 통신망 신·증설 시 통신보안대책 수립 의무화
(정답률: 66%)
  • "통신망 관리책임자의 보고체계 다원화"는 보안대책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보고체계를 다양화하여 보안사고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반면, "통신장비 수급관리 시 보안대책 수립", "보안자재 및 보안장비의 설치운용", "통신망 신·증설 시 통신보안대책 수립 의무화"는 모두 통신망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하나의 통신문이 아닌 많은 통신문을 종합분석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신정보 수집 방법은?

  1. 교신상황 분석
  2. 통신내용 분석
  3. 암호 분석
  4. 방해통신 분석
(정답률: 59%)
  • 통신내용 분석은 하나의 통신문이 아닌 여러 통신문을 종합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통신자들의 의도나 계획, 행동 패턴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정보 수집에 매우 유용합니다. 교신상황 분석은 통신자들 간의 관계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며, 암호 분석은 암호화된 통신문을 해독하는 것, 방해통신 분석은 적의 통신을 방해하거나 간섭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비밀누설의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1. 과다한 통신소통
  2. 보고체계의 다원화
  3. 취약성 있는 통신망 이용
  4. 보안장비 사용
(정답률: 62%)
  • 보안장비 사용은 비밀누설의 주요 요인이 아닙니다. 보안장비 사용은 오히려 비밀 유지를 위한 보안 조치로, 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안장비 사용은 비밀누설의 주요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통신정보활동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인가?

  1. 통신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
  2. 통신내용의 기밀누설을 방지
  3. 통신내용을 수집·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생산
  4. 통신내용의 수집·분석을 저지
(정답률: 65%)
  • 통신정보활동은 주로 통신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생산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보안 및 기밀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통신정보활동은 국가 안보 및 경제 발전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상호 약정된 확인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
  2. 상대통신소가 의심스러울 때
  3. 주파수를 변경했을 때
  4. 불필요한 통신을 계속할 때
(정답률: 57%)
  • 불필요한 통신을 계속할 때는 상호 약정된 확인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다. 이는 이미 통신이 이루어졌고, 더 이상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확인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통신보안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노출된 정보의 분석 지연책 강구
  2. 국가기밀 누설 최소화
  3. 무선통신 억제
  4. 비밀누설가능성 사전 제거
(정답률: 60%)
  • 통신보안의 목적은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여 불법적인 접근, 변조, 파괴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무선통신 억제"는 통신보안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무선통신 억제는 무선 주파수를 차단하여 무선 통신을 방해하는 것으로, 주로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송신보안의 대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밀송신 자료를 보관용기에 비치한다.
  2. 보안자재 취급자를 최소한으로 제한한다.
  3. 모든 통신을 암호화한다.
  4. 불필요한 전파발사를 억제한다.
(정답률: 36%)
  • 송신보안의 대책으로 불필요한 전파발사를 억제하는 것은, 전파를 발사할 때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파발사를 줄이는 것은 송신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만통신을 당하고 있다고 느낄 때의 조치로 옳은 것은?

  1. 송신출력을 줄인다.
  2. 통신속도를 빠르게 한다.
  3. 통신을 중단한다.
  4. 송신출력을 높인다.
(정답률: 67%)
  • 기만통신을 당하고 있다고 느낄 때는 통신을 중단하는 것이 가장 옳은 조치이다. 이는 기만통신을 당하는 상황에서는 상대방이 보내는 정보가 신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신을 중단하여 더 이상 위험한 정보를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보기들은 기만통신을 막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산업기밀의 유출요인이 아닌 것은?

  1. 주요 인력의 스카우트
  2. 기술협력을 통한 생산기술의 해외 유출
  3. 주요 기밀문서의 일원화된 관리
  4. 국가 핵심기술을 부정한 방법으로 해외 매각
(정답률: 54%)
  • 주요 기밀문서의 일원화된 관리는 산업기밀 유출 요인이 아닙니다. 이는 기밀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밀문서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고, 보안 강화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산업기밀 유출을 막기 위한 중요한 대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영어

5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consists with
  2. consists of
  3. is consists with
  4. is consist of
(정답률: 53%)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들은 "a series of" 이므로, "consists of" 가 가장 적합한 표현이다. "Consists with" 나 "is consists with" 는 올바른 표현이 아니며, "is consist of" 는 문법적으로 잘못된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redundancy
  2. ambiguity
  3. lucidity
  4. duplicity
(정답률: 70%)
  • 이미지에서는 "복잡성"이라는 단어가 밑줄 치워져 있으며, 이는 "ambiguity"와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redundancy"는 중복성을 의미하며, "lucidity"는 명료함을 의미한다. "duplicity"는 불성실함이나 이중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미지에서는 "ambiguity"가 가장 적절한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대화의 내용 중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은?

  1. go
  2. walk
  3. operate
  4. drive
(정답률: 80%)
  • A: Can you explain why the answer is "operate" in the following options? ["go", "walk", "operate", "drive"]
    B: Sure. The word "operate" means to control or use a machine or equipment. In this case, we are talking about a bank, which is like a machine that needs to be controlled or managed. Therefore, "operate" is the most appropriate word.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이 나타내는 용어는 무엇인가?

  1. ADS
  2. ATIS
  3. SSR
  4. TIS
(정답률: 55%)
  • ADS는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의 약자로, 항공기가 GPS를 통해 자신의 위치와 상태 정보를 지상국에 전송하여 공중교통 관제원이 항공교통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ADS-B(ADS-Broadcast)로, 항공기가 자신의 위치와 상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여 다른 항공기나 지상국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ADS-B 송신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문장이 설명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Azimuth
  2. Heading
  3. Radial
  4. TIS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화살표는 비행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항로상의 방향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것이 "Heading"이다. 따라서 정답은 "Head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enigma
  2. ultimatum
  3. affront
  4. opportunity
(정답률: 71%)
  • 이미지에 나타난 기계는 엔이그마(Enigma) 기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항공통신교신 중 'Stay with me' 라는 말이 요구하는 뜻은?

  1. Hold your position
  2. Maintain present altitude
  3. Fly toward my position
  4. Do not change frequency
(정답률: 75%)
  • 'Stay with me'는 항공통신에서 상대방과의 연락을 유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이 때, 'Do not change frequency'는 무선 주파수를 변경하지 말라는 뜻으로, 상대방과의 연락을 유지하기 위해 같은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Hold your position'은 현재 위치를 유지하라는 뜻, 'Maintain present altitude'는 현재 고도를 유지하라는 뜻, 'Fly toward my position'은 상대방의 위치로 비행하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것은?

  1. Angle of attack
  2. Angle of incidence
  3. Angle of bank
  4. Pitch angle
(정답률: 62%)
  • 비행기가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 "Angle of bank"입니다. "Angle of attack"는 비행기가 공기를 만나는 각도를 나타내며, "Angle of incidence"는 비행기의 날개와 기체의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나타냅니다. "Pitch angle"은 비행기의 수직 방향 각도를 나타내며, 비행기의 코가 위로 향하면 양수이고 아래로 향하면 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문장이 나타내는 항공통신 용어로 적당한 것은?

  1. CONTACT
  2. CONFIRM
  3. CLEARED
  4. CLEAR FOR TAKE-OFF
(정답률: 67%)
  • "CLEAR"는 이륙 허가를 의미하며, "CLEARED"는 이륙 허가가 이미 부여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CLEAR FOR TAKE-OFF"는 이륙 허가를 요청하는 것이고, "CLEARED"는 이미 이륙 허가가 부여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의 문장이 나태내는 용어로 적합한 것은?

  1. APPROVED
  2. CONFIRM
  3. GO AHEAD
  4. ACKNOWLEDGE
(정답률: 74%)
  • 이미지에서 손을 들고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요청을 받아들였음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ACKNOWLEDGE"가 적합하다. "APPROVED"는 요청을 승인했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CONFIRM"은 정보나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며, "GO AHEAD"는 계속 진행해도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receiver
  2. originator
  3. operator
  4. holder
(정답률: 57%)
  • 이 문장에서는 "이체를 발신한 사람"을 뜻하는 단어가 필요하다. 이에 가장 적절한 단어는 "originator"이다. "receiver"는 이체를 받는 사람을 뜻하고, "operator"는 운영자를 뜻하며, "holder"는 보유자를 뜻한다. 따라서 "originator"가 가장 적절한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승무원들은 브리핑실로 들어갔다.”를 바르게 영작한 것은?

  1. The crew entered the briefing room.
  2. The crew entered in the briefing room.
  3. The crew entered to the briefing room.
  4. The crew entered into the briefing room.
(정답률: 70%)
  • "The crew entered the briefing room."이 올바른 영작인 이유는, "enter"는 "in", "to", "into"와 함께 쓰이지 않고, "enter" 자체가 이미 "들어가다"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he crew entered the briefing room."이 가장 간결하고 정확한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문장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Yes
  2. Affirmative
  3. Roger
  4. Go ahead
(정답률: 77%)
  • "Roger"는 무선 통신에서 상대방의 메시지를 이해했음을 알리는 응답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긍정적인 응답을 나타내지만, "Roger"는 특히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것은?

  1. list
  2. listed
  3. listing
  4. being
(정답률: 69%)
  • 문장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listed"가 맞습니다. "list"는 동사의 원형, "listing"은 현재분사, "being"은 현재분사수식 구문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것은?

  1. Low Frequecy
  2. Medium Frequency
  3. High Frequency
  4. Very High Frequency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밑줄 친 부분은 "Very High Frequency"이다. 이는 라디오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이 주파수 대역은 일반적으로 FM 라디오, TV 송신, 무선 통신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미지에서 보여지는 라디오 타워는 이러한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송신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항공용으로 사용되는 'NOTAM'은 무엇의 약어인가?

  1. Note to Airmen
  2. Noted information to Airmen
  3. Notice to Aerodrome
  4. Notice to Airmen
(정답률: 63%)
  • NOTAM은 "Notice to Airmen"의 약어로, 항공기 조종사나 항공교통관제사 등에게 항로, 공항, 기상 등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보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항공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항공기 운항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문장에서 설명하는 항공용어는 무엇인가?

  1. Roger
  2. Roger out
  3. Wilco
  4. will do
(정답률: 73%)
  • "Wilco"는 항공용어로, 상대방의 지시나 요청에 대해 "이해했으며 수행할 것"을 의미합니다. "Roger"는 "이해했다"는 의미이고, "Roger out"은 "이해했다"와 동시에 대화를 종료한다는 의미입니다. "will do"는 "수행할 것이다"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의 요청에 대해 이해했으며 수행할 것을 약속하는 의미로 "Wilco"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항공용어는 무엇인가?

  1. touch and go operation
  2. closed traffic
  3. rectangular pattern
  4. circling maneuver
(정답률: 60%)
  • 이 항공용어는 "closed traffic"이다.

    "Closed traffic"는 비행기가 이륙 후 공항 주변에서 직사각형 패턴을 따라 연습 비행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비행 패턴은 비행기가 공항에 접근하고 착륙할 때 사용되는 패턴과 유사하다. "Closed traffic" 비행은 비행기 조종사들이 이륙, 비행, 착륙 등의 다양한 조작을 연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1. in
  2. on
  3. for
  4. up
(정답률: 76%)
  • 이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은 "기간"을 나타내는데, "for"는 기간을 나타내는 전치사 중 하나이다. 따라서 "for"가 가장 알맞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Doc4444에 수록된 영어 중 고도의 단위를 틀리게 서술한 것은?

  1. FLIGHT LEVES
  2. FEET
  3. METERS
  4. MILES
(정답률: 75%)
  • 정답은 "MILES"입니다. ICAO Doc4444에서는 고도의 단위로 "FLIGHT LEVELS", "FEET", "METERS"를 사용하고 있으며, "MILES"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MILES"는 틀린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