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07)

항공무선통신사
(2015-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파법규

1. 전파의 전파특성을 이용하여 위치·속도 및 기타 사물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무선탐지
  2. 무선측위
  3. 무선항행
  4. 무선방향탐지
(정답률: 66%)
  • 정답은 "무선측위"입니다. 무선측위는 전파의 전파특성을 이용하여 위치, 속도, 기타 사물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무선탐지, 무선항행, 무선방향탐지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무선탐지는 무선신호의 존재를 감지하는 것이고, 무선항행은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파악하여 항행하는 것이며, 무선방향탐지는 무선신호가 발생하는 방향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무선방위측정장치의 설치장소로부터 1km 이내의 지역에 미래참조과학부장관의 승인 없이도 건설할 수 있는 것은?

  1. 송신공중선
  2. 철도 및 궤도
  3. 양각 3도 미만의 건물
  4. 수신공중선
(정답률: 88%)
  • 무선방위측정장치는 전파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의 전자파를 측정하는 장치이므로, 주변에 전파를 방해할 수 있는 건물이나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으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무선방위측정장치의 설치장소로부터 1km 이내의 지역에는 양각 3도 미만의 건물만 건설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파의 진행 방향과 수신기 간의 각도가 3도 이하일 때는 건물이 전파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송신공중선, 철도 및 궤도, 수신공중선은 모두 전파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무선방위측정장치의 설치장소로부터 1km 이내에는 건설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하고자 할 때 활주로부터 떨어진 거리정보를 항공기에 제공하는 무선설비는?

  1. 로칼라이저
  2. 글라이드패스
  3. 마아커비콘
  4. 전방향표지시설(VOR)
(정답률: 71%)
  • 마아커비콘은 활주로에 위치한 무선설비로, 항공기가 활주로에 접근할 때 활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거리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항공기는 정확한 착륙점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아커비콘이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돕는 중요한 무선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항공기국의 A3E저파 118MHz부터 136.975MHz까지의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의 변조방식은?

  1. 진폭변조
  2. 주파수변조
  3. 위상변조
  4. 혼합변조
(정답률: 65%)
  • A3E 저파의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무선설비는 AM(진폭변조)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신호의 진폭을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음성 통화나 라디오 방송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주파수변조나 위상변조는 다른 방식으로 신호를 변조하는데, 주파수변조는 신호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위상변조는 신호의 위상을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합니다. 혼합변조는 여러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A3E 저파의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무선설비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국제항공고정 무선 릉신 당에 속하는 항공고정 국이 취급하는 통보에서 통신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 는 약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1순위 : “SS"
  2. 제2순위 : "DD" 또는 "FF"
  3. 제3순위 : "GG" 또는 “KK"
  4. 제4순위 : "TT"
(정답률: 80%)
  • 옳지 않은 것은 "제4순위 : "TT""이다.

    국제항공고정 무선 릉신(Datalink) 당에 속하는 항공고정 국이 취급하는 통보에서 통신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약어는 CPDLC(무선통신기반 데이터링크)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순위: "EMERGENCY" (긴급 상황)
    2순위: "PRIORITY" (우선)
    3순위: "ROUTINE" (보통)
    4순위: "MONITOR" (감시)

    따라서, "제4순위 : "TT""는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우선국의 기기 대치 시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무선기기는?

  1. 간이무선숙의 무선설비기기
  2. 라디오부이
  3. 주파수 측정장치
  4. 비상국의 무선설비기기
(정답률: 68%)
  • 비상국의 무선설비기기는 국가안보와 관련된 무선기기로, 기기 대치 시에는 변경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간이무선숙의 무선설비기기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무선기기이며, 라디오부이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기, 주파수 측정장치는 무선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설자의 지위를 승계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

  1. 시설자가 사업을 양도하면서 그 사업과 관련된 무선국을 양도한 경우의 양수인
  2. 시설자가 사망한 경우의 상속인
  3. 무선국이 있는 선박의 소유권 이전에 의하여 선박을 운항하는 자가 변경된 경우에 해당 선박을 운항하는 자
  4. 무선국이 있는 항공기의 임대차계약에 의하여 항공기를 운항하는 자가 변경된 경우에 해당 항공기를 운항하는 자
(정답률: 72%)
  • 정답은 "시설자가 사업을 양도하면서 그 사업과 관련된 무선국을 양도한 경우의 양수인"입니다. 이유는 시설자가 사업을 양도하면서 무선국도 함께 양도되기 때문에, 새로운 시설자가 무선국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인가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설자의 지위를 승계하기 위해 인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는 그 송신장치의 출력과 변조도, 수신장치의 감도와 선택도에 대하여 무선설비규칙에서 정한 성능의 유지여부를 얼마의 사용기간에 따라 1회 이상 확인하여야 하는가?

  1. 1천시간
  2. 2천시간
  3. 3천시간
  4. 4천시간
(정답률: 90%)
  •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는 안전하고 정확한 통신을 위해 규정된 성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무선설비규칙에서는 일정한 사용기간마다 성능 확인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용기간은 1천시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의무항공기국은 무선설비의 성능을 1천시간마다 확인하여 규정된 성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항공기국이 항공국과 무선전화에 의한 시험통신에 행할 때 가장 먼저 송신하는 것은?

  1. 상대국의 호출부호
  2. 자국의 호출부호
  3.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4. 명료도
(정답률: 81%)
  • 항공기국이 항공국과 무선전화에 의한 시험통신을 할 때 가장 먼저 송신하는 것은 "상대국의 호출부호"입니다. 이는 상대방이 자신을 인식하고 통신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자국의 호출부호나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명료도는 이후에 설정되는 것이며, 상대방의 호출부호를 먼저 송신함으로써 상호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국가보안법을 위합하여 급고 이상의 형을 선고 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무선종사자는 몇 년 경과 후 무선국에 배치할 수 있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45%)
  •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선고받은 무선종사자는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을 받지 않기로 확정된 후, 5년이 지나면 무선국에 배치될 수 있습니다. 이는 국가보안법 제39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선박국과 협동 수색 및 구조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항공기국 간의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는?

  1. 156.3 MHz
  2. 4.125 kHz
  3. 2.183 kHz
  4. 500 kHz
(정답률: 72%)
  • 선박과 항공기 간의 통신은 VHF (Very High Frequency) 대역에서 이루어지며, 이 대역에서는 156-174 MHz 사이의 주파수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156.3 MHz가 항공기와 선박 간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입니다. 다른 주파수들은 다른 용도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외국인이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이 아닌 것은?

  1. 실험국
  2. 공중통신업무를 위한 고정국
  3. 항공법에 의한 허가를 받아 국내항공에 사용되는 항공기의 무선국
  4.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적 행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그 기간에만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허용하는 무선국
(정답률: 75%)
  • 정답은 "공중통신업무를 위한 고정국"입니다. 이유는 외국인이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 중에서도 이것은 국가 안보와 관련된 공중통신업무를 위한 고정국으로, 국가 안보와 관련된 이유로 외국인이 개설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항공이동위성업무’란 무엇인가?

  1. 선박에 설치된 이동지구국이 행하는 이동위성업무이다.
  2. 항공기에 설치된 이동지구국이 행하는 무선항해위위성업무이다.
  3. 차량에 설치된 이동지구국이 행하는 이동위성업무이다.
  4. 항공기에 설치된 이동지구국이 행하는 이동위성업무이다.
(정답률: 86%)
  • ‘항공이동위성업무’는 항공기에 설치된 이동지구국이 행하는 이동위성업무입니다. 즉, 항공기에서 이동지구국을 통해 통신 및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국이 항행 중 또는 항행 준비 중에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외에 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기상의 조회 또는 시각의 조합을 위하여 행하는 항공국과 항공기국 간의 통신
  2. 항공기국에서 그 시설자의 업무를 위한 전보를 항공국에 보내기 위하여 행하는 통신
  3. 동일한 시설자에 속하는 항공기국과 이동업무의 무선국 간에 행하는 시급하지 않은 통신
  4. 비상통신의 통신체제 확보를 위한 훈련목적의 통신
(정답률: 80%)
  • 정답인 "동일한 시설자에 속하는 항공기국과 이동업무의 무선국 간에 행하는 시급하지 않은 통신"은 항공기국과 이동업무의 무선국이 동일한 시설자에 속하는 경우에만 가능한 통신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는 시급하지 않은 통신으로 간주되어 항행 중 또는 항행 준비 중에 허가증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외에 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항공국의 의무청취 및 지정청취 주파수가 아닌 것은?

  1. 121.5 MHz
  2. 2.850 kHz부터 17.970 kHz 까지의 당해 무선국에 지정된 주파수
  3. 117.975 MHz부터 137 MHz 까지의 당해 무선국에 지정된 주파수
  4. 243 MHz
(정답률: 59%)
  • 243 MHz는 항공국의 의무청취나 지정청취 주파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일부이지만, 243 MHz는 해당 범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무선국 정기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5년의 범위 내에서 실시한다.
  2. 비영리 목적의 방송국은 정기검사의 면제가 가능하다.
  3. 정기검사는 대조검사와 성능검사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4.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무선국별로 기간을 정하여 실시한다.
(정답률: 72%)
  • "비영리 목적의 방송국은 정기검사의 면제가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영리 목적의 방송국도 무선국으로서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며, 면제되는 경우는 없다. 이는 무선설비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항공기가 책임항공국으로부터 조난통신에 사용하는 전파를 지시받지 못한 경우에 행할 수 있는 조난통신용 주파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156.8 MHz
  2. 2.182 kHz
  3. 500 kHz
  4. 145 MHz
(정답률: 55%)
  • 항공기가 책임항공국으로부터 지시받지 못한 경우에는 국제적으로 정해진 비상 주파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121.5 MHz와 243 MHz입니다. 따라서 "145 MHz"는 조난통신용 주파수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국제전파규칙(RR)에 따라 항공기국 검사를 실시한 경우 무선국 검사관은 자신의 검사결과를 누구에게 알려야 하는가?

  1. 항공기의 기장
  2. 항공기 소유자
  3. 항공기 관할 검사기관
  4. 항공기의 통신사
(정답률: 76%)
  • 항공기국 검사는 항공기의 안전과 관련된 검사이므로 검사결과는 항공기의 기장에게 알려야 합니다. 항공기의 기장은 항공기의 운항을 책임지는 주체이기 때문에 검사결과를 받아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 소유자나 통신사는 검사결과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항공기 관할 검사기관은 검사를 실시한 검사관이 아니므로 검사결과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양벌규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1. 허가를 받아야 할 무선국을 허가 없이 개설한 경우
  2. 운용정지 명령을 받은 무선국을 운용한 경우
  3. 무선국에 대한 검사, 조사 또는 시험을 거부한 경우
  4. 조난이 없음에도 무선설비에 의하여 조난통신을 말하는 경우
(정답률: 70%)
  • 양벌규정은 무선통신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규정으로, 무선통신을 운용하는 사람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발생한 조난통신을 제외하고는 일정한 벌금을 부과받지 않도록 하는 규정입니다. 따라서, "조난이 없음에도 무선설비에 의하여 조난통신을 말하는 경우"는 양벌규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무선통신을 남용하여 위조, 변조, 조작 등을 행하는 것으로, 법적으로 엄격하게 처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하여 6개월 이상 무선국의 운용을 휴지한 경우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1. 무선종사자 기술자격의 정지
  2. 무선국의 운용정지
  3. 무선국의 운용제한
  4. 무선국 개설허가의 취소
(정답률: 48%)
  • 6개월 이상 무선국을 운용하지 않는 것은 무선국 개설허가 조건을 위반한 것이므로,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이에 대해 무선국 개설허가의 취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초전파공학

21. 다음 중 집적회로(IC)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저전압, 소전력으로 동작한다.
  2.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3. 온도에 강하다.
  4. 소형이다.
(정답률: 50%)
  • 일반적으로 IC는 온도에 민감하며, 고온이나 저온에서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에 강하다"는 맞지 않는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파장의 의미로 맞는 것은?

  1. 전파의 속도를 주파수로 나눈 값으로 1초당 전파가 진동하는 폭
  2. 주파수를 전파의 속도로 나눈 값으로 1초당 전파가 진동하는 폭
  3. 전파의 속도를 주파수로 곱한 값으로 10초당 전파가 반복하는 횟수
  4. 주파수를 전파의 속도로 곱한 값으로 10초당 전파가 반복하는 횟수
(정답률: 55%)
  • 정답은 "전파의 속도를 주파수로 나눈 값으로 1초당 전파가 진동하는 폭"입니다. 이는 파장의 정의 중 하나로, 파장은 전파의 진행 속도와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며, 전파의 속도를 주파수로 나눈 값이 파장의 길이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 파장의 길이는 1초당 전파가 진동하는 폭을 나타내며, 이를 파장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전파의 창(Radio window)'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안테나의 주위
  2. 도심에서 건물이 밀집된 부분
  3. 반사파를 많이 발생시키는 부분
  4. 대기상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감쇠가 적은 부분
(정답률: 48%)
  • 전파의 창(Radio window)은 대기상에서 특정 주파수대의 감쇠가 적은 부분을 말합니다. 이는 전파가 대기를 통과할 때 일부 주파수는 감쇠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는 범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파의 창은 라디오 통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운항 중인 항공기에 접근하는 항공기가 있을 경우 충돌방지시스템(TCAS)에서 접근하는 항공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장비는?

  1. SELCAL
  2. Radar
  3. VOR/DME
  4. ATC Transpondor
(정답률: 53%)
  • ATC Transpondor는 항공기의 위치와 상태를 라디오 신호로 송신하여 공항의 공중교통 관제(ATC) 시스템에서 항공기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입니다. TCAS에서는 이 ATC Transpondor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접근하는 항공기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파고도계(Radio Altimeter)로 측정 가능한 고도는?

  1. 절대고도
  2. 진고도
  3. 상대고도
  4. 기압고도
(정답률: 56%)
  • 전파고도계는 지표면으로부터 비행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고도를 계산합니다. 이때 측정되는 고도는 비행기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파고도계로 측정되는 고도는 비행기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지구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절대고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극초단파(UHF)의 주파수 내역은?

  1. 3 ∼ 30 MHz
  2. 30 ∼ 300 MHz
  3. 300 ∼ 3,000 MHz
  4. 3 ∼30 GHz
(정답률: 49%)
  • 극초단파는 고주파 대역에 속하며,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극초단파는 300MHz 이상 3,000MHz 이하의 주파수 범위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TACAN계기에 나타나는 DME는 어떤 거리인가?

  1. 수평거리
  2. 경사거리
  3. 수직거리
  4. 곡선거리
(정답률: 49%)
  • TACAN은 비행기와 지상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때 DME는 "Distance Measuring Equipment"의 약자로, 비행기와 지상국 사이의 경사거리를 측정합니다. 경사거리는 비행기와 지상국 사이의 수평거리와 비행기의 고도를 고려하여 계산된 거리입니다. 따라서 "경사거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기 사고 시 수색 및 구조를 위한 11.5 MHz 의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LT)에 대한 기술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용하는 전파의 형식은 A2B 일 것
  2. 공중선의 지향특성이 수평면 단방향성일 것
  3. 변조도는 85% 이상일 것
  4. 주파수 허용편차는 0.005% 이내일 것
(정답률: 47%)
  • 공중선의 지향특성이 수평면 단방향성일 것은 ELT가 비상 상황에서 항공기가 추락한 지점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수평면 단방향성이라는 것은 ELT가 지면과 수평면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전파를 발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수색 및 구조 담당자들은 ELT 신호를 수신하여 추락 지점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항공기의 계기착륙장치(ILS)와 관계 없는 것은?

  1. 로칼라이지
  2. 글라이드패스
  3. 마아커바콘
  4. 레이더
(정답률: 61%)
  • ILS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으로, 로칼라이저와 글라이드패스, 마커비콘 등의 장치로 구성됩니다. 이 중 레이더는 ILS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술로, 비행기 위치 파악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이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FM 송신기의 발진부에서 30MHz로 동작하고 있는 체배증폭기에서 2체배를 하고 있을 때 출력 주파수는?

  1. 30 MHz
  2. 32 MHz
  3. 60 MHz
  4. 900 MHz
(정답률: 65%)
  • 체배증폭기는 입력 주파수를 2배로 증폭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30MHz로 동작하는 체배증폭기에서 2체배를 하면 출력 주파수는 30MHz x 2 = 60M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 M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안테나의 특징을 나타내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피던스
  2. 지향성
  3. 이득
  4. 파장
(정답률: 39%)
  • 안테나의 특징을 나타내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파장"입니다. 안테나는 주파수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파장도 달라집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특징을 나타내는 요소 중 파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산과 같은 높은 지형을 전파가 통과할 때 여러 신호가 혼합되고 반사되어 ADF 지시침이 흔들리게 되는 현상은?

  1. Night Effect(야간 효과)
  2. Terrain Effect(산악 효과)
  3. Shoreline Effect(해안 효과)
  4. Thunderstorm Effect(뇌우 효과)
(정답률: 67%)
  • 산과 같은 높은 지형은 전파를 반사시키고, 여러 신호가 혼합되어 ADF 지시침이 흔들리게 되는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를 Terrain Effect(산악 효과)라고 부릅니다. Night Effect(야간 효과)는 밤에 전파가 퍼지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며, Shoreline Effect(해안 효과)는 바다와 육지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Thunderstorm Effect(뇌우 효과)는 뇌우가 발생할 때 전파가 방해받아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안테나를 전송선으로 급전할 때 임피던스 Zc=300Ω이고 급전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Zo=200Ω이라고 하면 부정합에 의하여 전송선에 정재파가 발생되는데, 이때의 전압 정재파비(VSWR)?

  1. 0.25
  2. 0.5
  3. 1
  4. 1.5
(정답률: 60%)
  • 전압 정재파비(VSWR)는 전송선과 급전선로의 임피던스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파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급전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전송선의 임피던스보다 작기 때문에 반사파가 발생합니다. 이때 VSWR은 (Zo + Zc) / (Zo - Zc)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SWR은 (200 + 300) / (200 - 300) = 1.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가 On Course에서 10° 이상 이탈되었을 때 CDI(Course Deviation Indicator)는?

  1. 완전히 한쪽으로 비껴나간다.
  2. 2dot 한쪽으로 비껴나간다.
  3. 거리에 따라 비껴나가는 정도가 다르다.
  4. 1dot 한쪽으로 비껴나간다.
(정답률: 52%)
  • CDI는 항공기가 정해진 Course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나타내는 기기입니다. 만약 항공기가 On Course에서 10° 이상 벗어나면, CDI는 완전히 한쪽으로 비껴나가게 됩니다. 이는 항공기가 매우 큰 오차로 Course를 벗어났다는 것을 나타내며, 조종사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함을 알려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광섬유에 의한 전송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외부 충격에 강하다.
  2. 기상조건에 좌우되지 않는다.
  3. 전송손실이 적다.
  4. 안전한 전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55%)
  • 광섬유는 외부 충격에 강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광섬유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충격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광섬유를 설치할 때는 충격을 피해야하며, 보호책을 마련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태양의 폭발에 의한 방출된 자외선이 E층의 전자밀도를 증가시켜 통신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현상은?

  1. 룩셈부르크 효과(Luxemburg Effect)
  2. 자기폭풍(Magnetic Storm)
  3. 델린저 현상(Eellinger Phenomena)
  4.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정답률: 60%)
  • 태양의 폭발로 방출된 자외선이 대기 상층인 E층의 전자를 이온화시켜 전자밀도를 증가시키면서, 라디오파 등의 전파가 지구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는 현상을 델린저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자파 전력을 분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공동공진기
  2. 도파관 리액턴스
  3. 분배기
  4. 저항감쇠기
(정답률: 64%)
  • 전자파 전력을 분할하기 위해서는 전력을 분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분배기라고 한다. 다른 보기들은 전자파 전력을 분할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분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파방향에 대하여 전기장 성분이 존재하고 자기장 성분은 직각으로 되어 나타나지 않는 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자기적 횡파
  2. 전류적 횡파
  3. 전기적 횡파
  4. 지향적 횡파
(정답률: 48%)
  • 전파방향에 대하여 전기장 성분이 존재하고 자기장 성분은 직각으로 되어 나타나지 않는 파를 "자기적 횡파"라고 한다. 이는 전자기파가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기파의 전파속도가 직선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곡선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그림에서 두 저항의 합성저항이 300Ω이 되려면 저항 X의 값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1. 100 Ω
  2. 1.2 kΩ
  3. 1.5 kΩ
  4. 2.0 kΩ
(정답률: 53%)
  • 두 저항의 합성저항은 병렬저항의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1/300 = 1/X + 1/1200 이 성립한다. 이를 정리하면 X = 1.2 kΩ 이다.

    정답이 "1.2 kΩ" 인 이유는 위의 계산 결과와 같이, 두 저항의 병렬저항을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방향과 크기가 시간적으로 바뀌지 않는 전류는?

  1. 교류
  2. 직류
  3. 삼상전류
  4. 백동전류
(정답률: 61%)
  • 정답: 직류

    직류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시간적으로 바뀌지 않습니다. 즉, 전류가 항상 한 방향으로 흐르며 크기도 일정합니다. 이에 비해 교류는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주기적으로 바뀌며, 삼상전류와 백동전류는 특정한 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종류의 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보안

41. 다음 중 통신보안이 필요한 사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통신장비가 디지털화 되고 있으므로
  2. 대부분의 통신이 평문으로 소통되므로
  3. 무선통신 이용증가로 풍부한 정보의 원천이 되므로
  4. 수신장치의 제조기술이 고도화되므로
(정답률: 59%)
  • 무선통신 이용증가로 풍부한 정보의 원천이 되므로 통신보안이 필요합니다. 무선통신은 물리적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커나 악의적인 공격자가 무선 신호를 가로채어 정보를 탈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통신보안을 강화하여 정보 유출을 방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통신보안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은?

  1. 일반 보통우편
  2. 일반 유선전화
  3. 인가된 유선통신
  4. 시호통신
(정답률: 44%)
  • 인가된 유선통신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통신보안 우선순위를 가지는 이유는, 이는 통신사업자가 국가에서 인가를 받아 운영하는 통신망으로, 보안성이 높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가된 유선통신은 해킹 등의 공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며, 기밀성이 높은 정보를 주고받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일반 보통우편과 일반 유선전화는 통신 내용이 쉽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낮습니다. 시호통신은 비상시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 보안성은 중요하지만 상대적으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우선순위는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단파통신의 보안 취약점으로 옳은 것은?

  1. 통신 상대방을 기만하기 쉽다.
  2. 전자기술의 고도화로 수신기 제작이 용이하다.
  3. 주파수 범위가 협소하여 혼신이 많다.
  4. 원거리에서도 도청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원거리에서도 도청할 수 있다. - 단파통신은 전파의 주파수가 낮아서 전파의 진행 거리가 길고, 전파가 지폐, 건물 등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전파의 진행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도청이 쉽게 가능하다. 또한, 전자기술의 발전으로 수신기 제작이 용이해져서 도청 장비를 쉽게 구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전령(인편)통신의 취약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신의 신속성이 결여된다.
  2. 비경제적이다.
  3. 피습을 당할 우려가 있다.
  4. 원거리 통신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56%)
  • 원거리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전령통신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지만, 신속성이 결여되고 비경제적이며 피습을 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취약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비밀의 수발 방법으로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1. 임호화하여 전신으로 수발한다.
  2. 무선통신망으로 수발한다.
  3. 각급기관의 문서수발계통에 의하여 수발한다.
  4. 등기우편에 의하여 수발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무선통신망으로 수발한다."입니다. 이유는 무선통신망은 보안성이 낮아 해킹 등의 공격에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밀의 수발에는 보안성이 높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보호구역의 설정대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종합비밀보관소
  2. 정보공작실
  3. 탄약고지대
  4. 군부대 민원실
(정답률: 65%)
  • 군부대 민원실은 일반 시민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므로 보호구역의 설정대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반면에 종합비밀보관소, 정보공작실, 탄약고지대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시설이므로 보호구역의 설정대상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방해통신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송신출력을 낮춘다.
  2. 확인법을 사용한다.
  3. 주파수를 변경한다.
  4. 암호를 사용한다.
(정답률: 44%)
  •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은 방해통신을 일으키는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방해통신을 피할 수 있습니다. 다른 대책들은 송신출력을 낮추거나 확인법을 사용하는 것은 일시적인 방법이며, 암호를 사용하는 것은 방해통신을 막지는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약호자재 관리부의 보존기관으로 틀린 것은?

  1. 약호자재기록부 : 5년
  2. 약호자재 발간승인서 : 3년
  3. 약호자재 점검기록부 : 5녀
  4. 약호자재 사용기록부 : 3년
(정답률: 53%)
  • 약호자재 점검기록부는 "녀"가 아니라 "년"이어야 합니다. 약호자재 점검기록부는 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5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통신도청에 대한 방지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통신보안장치를 설치한다.
  2. 상대방을 확인한다.
  3. 불필요한 전파발사를 억제한다.
  4. 통신운용 절차 및 규율을 엄수한다.
(정답률: 48%)
  • 정답: "불필요한 전파발사를 억제한다."

    이유: 통신도청은 통신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불필요한 전파발사를 억제한다"는 방법은 통신 보안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상대방을 확인하는 것은 통신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통신 도청을 방지하고 불법적인 통신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통신보안시설과 관련 있는 통신보안 대책은?

  1. 가체 통신망의 통화내용 감독
  2. 통신문의 사전 보안성 검토
  3. 통제구역 또는 제한구역 표지 부착
  4. 자체 통신망에서 위규발생 시 그 통신의 중단 및 기타 필요조치
(정답률: 55%)
  • 통신보안시설은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외부인의 불법적인 침입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통제구역 또는 제한구역 표지 부착"은 외부인이 통신보안시설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입니다. 통제구역 또는 제한구역 표지를 부착함으로써 외부인이 해당 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신보안시설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영어

51.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in communication to
  2. in communication of
  3. in communication with
  4. in communication for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사람은 서로 대화를 나누고 있는 상황이므로, "in communication with"가 가장 알맞은 표현이다. "in communication to"는 대상을 나타내는 전치사 "to"가 적절하지 않으며, "in communication of"은 소유를 나타내는 전치사 "of"가 적절하지 않다. "in communication for"는 대신을 나타내는 전치사 "for"가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묻장어I서 나타내는 전파의 특성을 가장 적절히 설명한 것은?

  1. 강우 뿐 아니라 모래와 먼지폭풍에 의하여 조금 영향을 받는다.
  2. 강우 뿐 아니라 모래와 먼지폭풍에 의하여 중대한 영향을 받는다.
  3. 강우 뿐 아니라 모래와 먼지폭풍에 의하여 어떤 영향도 받지 않는다.
  4. 강우 뿐 아니라 모래와 먼지폭풍에 의하여 때때로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81%)
  • 묻장어에서 나타내는 전파는 고주파이므로, 고주파는 직진성이 강하고 장거리 전파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래와 먼지폭풍은 고주파를 산란시켜 전파의 직진성을 약화시키고, 전파의 감쇠를 유발시킵니다. 따라서 묻장어에서 나타내는 전파는 강우 뿐 아니라 모래와 먼지폭풍에 의하여 중대한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ICAO 규정에서 정의한 다음의 용어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Air control radio station
  2. Ground control radio station
  3. Land station
  4. Air-ground control radio station
(정답률: 59%)
  • 이 용어는 공중-지상 제어 무전국을 나타낸다. "Air-ground"는 공중과 지상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 무전국은 항공기와 지상 제어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따라서 "Air control radio station"은 항공기와의 통신만을 담당하고, "Ground control radio station"은 지상 제어와의 통신만을 담당한다. "Land station"은 항공통신에 사용되는 무전국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문장의 괄호 안의 수준에 해당하는 것은?

  1. 3
  2. 4
  3. 5
  4. 6
(정답률: 75%)
  • 괄호 안의 수준은 6입니다.

    이유는 괄호 안에 있는 것들은 모두 한 단계씩 계층이 내려갔기 때문입니다.

    가장 바깥쪽 괄호는 1단계, 안쪽 괄호는 2단계, 더 안쪽 괄호는 3단계, 그리고 가장 안쪽 괄호는 4단계입니다.

    따라서 괄호 안의 수준은 4단계가 되는데, 이때 가장 안쪽 괄호 안에 있는 것들은 6단계까지 계층이 내려갔기 때문에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괄호 안에 적합한 것은?

  1. High Prequency
  2. Very High Prequency
  3. Ultra High Prequency
  4. Super High Prequency
(정답률: 65%)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관제사가 항공교통 관제상 위험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조종사에게 급한 항공기 기동을 요구할 때 주로 쓰이는 말은?

  1. At once
  2. Very soon
  3. Right now
  4. Immediately
(정답률: 81%)
  • 정답은 "Immediately"이다. 이는 가장 긴급하고 즉각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말로, 항공기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조종사가 즉시 대응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At once"와 "Right now"도 긴급성을 나타내지만, "Immediately"이 가장 강조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Very soon"은 긴급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설명은 어떤 용어에 대한 의미인가?

  1. Confirm
  2. Ackmowledge
  3. Understand
  4. Check
(정답률: 70%)
  • 위 그림은 "Acknowledge"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메시지나 요청을 받았을 때, 그것을 받았다는 것을 상대방에게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메시지를 받았습니다"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Confirm"은 확인하다, "Understand"는 이해하다, "Check"는 확인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말은?

  1. Endurance
  2. Maximum duration
  3. Longest flight duration
  4. Maximum flight period
(정답률: 6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비행기는 최대한 오래 날아다니는 것이 목적이므로 "Endurance"가 가장 알맞은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송신 중에 쓰이는 말로 “The message will be repeated."와 같은 내용의 용어로 무엇인가?

  1. Speak again
  2. I say again
  3. Repeat last transmission
  4. Request last transmission again
(정답률: 73%)
  • 정답은 "I say again"이다. 이는 이전에 전송한 메시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때, 상대방에게 해당 메시지를 다시 전달할 것을 요청하는 용어이다. "Speak again"은 상대방에게 말을 다시 하도록 요청하는 용어이고, "Repeat last transmission"은 마지막 전송 내용을 다시 전달하라는 의미이다. "Request last transmission again"은 마지막 전송 내용을 다시 요청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알맞은 것은?

  1. Interphone system
  2. Transmitter system
  3. Receiver system
  4. Transponder system
(정답률: 73%)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두 개의 기기가 서로 통신하는 것이므로, "Interphone system"이 가장 알맞다. "Transmitter system"은 신호를 보내는 시스템, "Receiver system"은 신호를 받는 시스템, "Transponder system"은 수신된 신호를 다시 보내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Power
  2. Length
  3. Weight
  4. Thrust
(정답률: 76%)
  • 발사체가 비행체를 날려주는 힘은 "Thrust" 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행체의 특징이나 성능과 관련된 것이지만, 비행체를 날려주는 힘은 "Thrus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in
  2. as
  3. on
  4. by
(정답률: 68%)
  • 이 그림은 시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시계의 시침이 10시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on"이라는 전치사가 가장 알맞습니다. "in"은 시간이 아닌 기간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as"는 역할이나 신분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by"는 어떤 시간까지 끝내겠다는 의미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항공통신 교신 중에 조종사 또는 관제사가 수조 동안 기다릴 것을 요구할 때 또는 “ATC clearance"가 곧 나간다는 것을 알릴 때 사용되는 용어는?

  1. Wait seconnds
  2. Stand by
  3. Wait
  4. Wait a moment
(정답률: 77%)
  • "Stand by"는 대기하라는 의미로, 조종사나 관제사가 상황을 확인하고 준비를 마칠 때까지 기다리라는 뜻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대체로 대기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Stand by"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Choose the wrong ICAD phonetic alphabet.

  1. K : Kilo
  2. H : Hotel
  3. C : Charlie
  4. B : Brave
(정답률: 79%)
  • The wrong ICAD phonetic alphabet is "B : Brave" because the correct word for the letter B is "Bravo" in the ICAD phonetic alphabet.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뜻이 다른 문장은 어느 것인가?

  1. Have you booked a seat on a plane?
  2. Have you reserved a seat on a plane?
  3. Did you make a reservation on a plane?
  4. Do you have a bookkeeping on a plane?
(정답률: 78%)
  • "Do you have a bookkeeping on a plane?"은 다른 문장들과 달리 비행기에서 회계를 관리하는 것을 묻는 것이므로 뜻이 다르다. 다른 문장들은 모두 비행기에서 좌석을 예약했는지 묻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괄호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for
  2. to
  3. from
  4. in
(정답률: 80%)
  • 이 그림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므로, "for" 가장 적합합니다. "for"는 시간의 기간을 나타내는 전치사이기 때문입니다. "to"는 특정 시간을 가리키는 전치사이고, "from"은 특정 시간부터 시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in"은 특정 시간 안에 일어나는 것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대화 중 밑줄 친 부분의 뜻은?

  1. 전문으로 하는
  2. 모으고 있는
  3. 추진 중인
  4. 특별한
(정답률: 76%)
  • "전문으로 하는"은 해당 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어서 그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단어는?

  1. dampen
  2. energize
  3. undertake
  4. augment
(정답률: 63%)
  • 이미지에서는 비가 오고 있으며, 이는 기분을 억누르거나 불안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dampen"은 기분이나 열정을 억누르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문맥에서 가장 적합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의 표현이 잘못된 것은?

  1. is
  2. higher
  3. than most
  4. living
(정답률: 68%)
  • 문장에서 잘못된 표현은 없습니다. "is higher than most"는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높다"는 뜻으로 올바른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동사의 변형을 나타낸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overspread - overspread - overspread
  2. transmit - transmited - transmited
  3. modulate - modulated - modulated
  4. broadcast - broadcast - broadcast
(정답률: 70%)
  • 정답은 "transmit - transmited - transmited" 이다. 이는 과거형과 과거 분사형이 잘못 표기된 것이다. 올바른 표기는 "transmit - transmitted - transmitted" 이다. "transmit"은 불규칙 동사이며, 과거형과 과거 분사형이 모두 "transmitted"로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