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0-04)

항공무선통신사
(2015-10-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파법규

1. 다음 중 전파법에서 규정하는 시설자의 정의로 맞는 것은?

  1. 무선국의 허가를 신청하는 자
  2. 무선설비를 조작하고 운용하는 자
  3. 미래창조과학부장관으로부터 기술자격증을 받은 자
  4. 미래창조과학부장관으로부터 무선국의 개설허가를 받거나 개설신고를 하고 무선국을 개설한 자
(정답률: 82%)
  • 전파법에서 규정하는 시설자의 정의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으로부터 무선국의 개설허가를 받거나 개설신고를 하고 무선국을 개설한 자"입니다. 이는 무선통신 시설을 운용하는 자로서, 무선국 개설에 대한 규정을 준수하고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를 말합니다. 따라서 무선국의 허가를 신청하는 자나 무선설비를 조작하고 운용하는 자, 또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으로부터 기술자격증을 받은 자는 시설자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설자가 무선국의 무선설비를 타인에게 임대하고자 할 때 미래창조 과학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는?

  1. 무선설비 임대승인신청서
  2. 무선설비 임태차계약서
  3. 무선설비 임대사실확인서
  4. 무선설비 임대요청서
(정답률: 80%)
  • 무선설비 임대승인신청서는 시설자가 무선국의 무선설비를 타인에게 임대하고자 할 때, 미래창조 과학부장관에게 제출하는 서류입니다. 이 서류는 무선설비 임대에 대한 승인을 받기 위해 제출하는 것으로, 무선설비 임대에 필요한 정보와 계약서 등을 첨부하여 제출합니다. 따라서 "무선설비 임대승인신청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공기용 구명무선설비의 공중선전력의 허용편차로 맞는 것은?

  1. 상한 50[%] 하한 20[%]
  2. 상한 50[%] 하한 50[%]
  3. 상한 10[%] 하한 20[%]
  4. 상한 20[%] 하한 20[%]
(정답률: 76%)
  • 항공기용 구명무선설비는 비상상황에서 사용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공중선전력의 허용편차가 너무 크면 장비의 고장으로 인해 통신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허용편차가 너무 작으면 신호의 강도가 너무 약해져서 통신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용 구명무선설비의 공중선전력의 허용편차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 상한 50[%] 하한 20[%]은 적절한 범위로, 고장 발생 시에도 통신이 가능하면서도 신호의 강도가 너무 약해지지 않도록 설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대가할당 받은 주파수의 경우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주파수의 이용여건 등을 고려하여 얼마의 범위내에서 이용기간을 정하여 고시하는가?

  1. 3년
  2. 10년
  3. 20년
  4. 30년
(정답률: 47%)
  •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은 대가할당 받은 주파수의 이용여건 등을 고려하여 20년의 범위내에서 이용기간을 정하여 고시합니다. 이는 주파수 이용자들이 일정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항공기국이 무선전화통신으로 무선방향탐지국에 대하여 방위측정용 부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순서로 맞는 것은?

  1. 자국의 호출부호 – 각 10초간의 2선 – 자국의 호출부호
  2. 상대국의 호출부호 – 각 10초간의 2선 – 자국의 호출부호
  3. 자국의 호출부호 – 각 20초간의 2선 – 상대국의 호출부호
  4. 상대국의 호출부호 – 각 20초간의 2선 – 자국의 호출부호
(정답률: 66%)
  • 정답은 "자국의 호출부호 – 각 10초간의 2선 – 자국의 호출부호" 입니다.

    이유는 무선방향탐지국은 항공기의 위치와 방위를 측정하기 위해 항공기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합니다. 따라서 항공기가 무선방향탐지국에게 자신의 위치와 방위를 알리기 위해서는 자국의 호출부호를 먼저 송신해야 합니다. 그리고 각 10초간의 2선을 송신하여 무선방향탐지국이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자국의 호출부호를 다시 한번 송신하여 통신을 종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무선측위업무가 아닌 것은?

  1. 무선방향탐지업무
  2. 무선항행업무
  3. 표준주파수업무
  4. 무선탐지업무
(정답률: 79%)
  • 표준주파수업무는 무선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주파수를 유지하는 업무이며, 무선측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준주파수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파수할당을 받은 자가 주파수이용기간이 만료되어 주파수재할당을 받으려면 주파수이용기간 만료 몇 개월 전에 신청하여야 하는가?

  1. 1개월
  2. 2개월
  3. 6개월
  4. 8개월
(정답률: 68%)
  • 주파수 이용기간이 만료되면 재할당을 받기 위해서는 미리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 때, 주파수 이용기간 만료 몇 개월 전에 신청해야 하는지는 규정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6개월 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이는 주파수 이용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재할당을 받을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의무항공기국의 무선설비 성능유지를 확인하여야 하는 주기로 옳은 것은?

  1. 500시간 사용할 때 마다 1회 이상 확인
  2. 1,000시간 사용할 때 마다 1회 이상 확인
  3. 1,500시간 사용할 때 마다 1회 이상 확인
  4. 2,000시간 사용할 때 마다 1회 이상 확인
(정답률: 86%)
  • 무선설비는 항공기의 안전 운항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그 성능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무선설비의 성능을 확인하는 주기는 가능한 짧아야 합니다. 1,000시간 사용할 때 마다 1회 이상 확인하는 것은 성능 유지를 위한 적절한 주기입니다. 500시간 사용할 때 마다 확인하는 것은 너무 자주이고, 1,500시간 또는 2,000시간 사용할 때 마다 확인하는 것은 너무 늦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공국의 허가유효기간 만료일 도래 시 재허가 신청기간은?

  1.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 전 1개월 이상 2개월 이내
  2.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 전 1개월 이상 4개월 이내
  3.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 전 2개월 이상 4개월 이내
  4.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 전 2개월 이상 6개월 이내
(정답률: 64%)
  • 항공국의 허가는 유효기간이 있으며, 만료일이 다가올 때 재허가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때, 신청 기간은 유효기간 만료 전 2개월 이상 4개월 이내입니다. 이는 항공국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재허가 심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신청 기간을 넘어서면, 항공 운영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신청 기간을 엄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항공고정업무국의 운용에서 수신상태의 불량으로 통신연락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 통신연락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송방식에 의해 송신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O” 적의 연속 – 자국의 호출부호 1회
  2. “S” 적의 연속 – 자국의 호출부호 1회
  3. “V” 적의 연속 – 자국의 호출부호 1회
  4. “X” 적의 연속 – 자국의 호출부호 1회
(정답률: 62%)
  • 항공고정업무국에서 수신상태의 불량으로 통신연락을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송신하는 방법으로는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특수한 신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V" 적의 연속은 비상상황을 나타내는 신호 중 하나입니다. 이 신호는 자국의 호출부호를 1회 송신하고, 이어서 "V" 적의 연속을 3회 송신하는 방식으로 통신연락을 설정합니다.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비상상황 신호 중 하나이며, 항공기나 선박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항공고정업무국의 운용에 있어 ‘통보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통보의 우선순위
  2. 수신부서명
  3. 발신부서명
  4. 상대국의 식별표지
(정답률: 71%)
  • 항공고정업무국의 운용에 있어 '통보의 구성' 요소 중에서 상대국의 식별표지는 제외됩니다. 이는 통보를 받는 측에서 상대국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통보의 구성 요소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다른 요소들은 통보의 우선순위, 수신부서명, 발신부서명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무선국이 아닌 것은?

  1. 한국방송공사 소속 고정국
  2. 소방서 소속 육상이동국
  3. 공기업 소속 고정국
  4. 이동통신사업자 이동중계국
(정답률: 60%)
  • 한국방송공사 소속 고정국은 방송국이므로 무선 통신을 위한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운용의무시간 외에 의무항공기국을 운용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통신연락 수단이 없는 경우 긴급한 통보를 항공이동업무국에 송신하는 경우
  2. 무선국 검사에 필요한 경우
  3. 항행 준비 중인 경우
  4. 항공기 보안사무에 관한 통신을 하는 경우
(정답률: 65%)
  • 운용의무시간 외에도 의무항공기국을 운용할 수 있는 경우는 다양하지만, 항공기 보안사무에 관한 통신을 하는 경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항공기 보안에 대한 중요성 때문입니다. 항공기 보안사무에 관한 통신은 항공기의 안전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운용의무시간 외에도 운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색구조에 종사하는 항공기에 있어서 장거리 취항 비행을 행하는 항공기국이 사용하는 주파수로 맞는 것은?

  1. 108[MHz]
  2. 156.8[MHz]
  3. 156.252[MHz]
  4. 243.0[MHz]
(정답률: 75%)
  • 243.0 MHz는 비상 주파수로, 수색구조에 종사하는 항공기가 장거리 취항 비행 중에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하는 주파수입니다. 다른 주파수들은 일반적인 항공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이지만, 비상 상황에서는 이 주파수를 사용하여 구조 요청 및 응급 상황 보고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술자격검정에 관하여 부정행위가 있을 때에 부정행위자에 대하여 취할 수 있는 제재 조치가 아닌 것은?

  1. 당해 행위자에 대하여 그 검정을 정지함
  2. 당해 행위자에 대하여 합격을 무효로 함
  3. 당해 행위자에 대하여 벌금을 부과함
  4. 기간을 정하여 기술자격검정을 받지 못하게 함
(정답률: 78%)
  • 정답: 당해 행위자에 대하여 벌금을 부과함

    기술자격검정에서 부정행위가 발견되면, 해당 행위자에 대하여 합격을 무효로 하거나 검정을 정지시키는 등의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법적인 책임을 물을 수도 있습니다. 이 중에서 "당해 행위자에 대하여 벌금을 부과함"은 법적인 제재 조치 중 하나입니다. 부정행위를 한 행위자에게 벌금을 부과함으로써, 부정행위를 예방하고 검정의 공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국이 해상이동업무를 하는 무선국과 통신할 경우 통상 어느 업무와 관련된 규정에 따라야 하는가?

  1. 항공이동업무의 규정
  2. 해상이동업무의 규정
  3. 이동업무에 대한 국제 규정
  4. 국제민강항공 관련 규정
(정답률: 66%)
  • 해상이동업무는 항공기국과 무선국 간의 통신이 필요한 업무 중 하나이며, 이에 대한 규정은 해상이동업무의 규정에 따라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이동업무, 이동업무에 대한 국제 규정, 국제민강항공 관련 규정 등과 관련된 규정들이므로, 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국제전파규칙(RR)에서 규정한 무선전화의 안전신호는?

  1. PAN
  2. MAYDAY
  3. SAFETY
  4. SECURITE
(정답률: 69%)
  • RR에서 규정한 무선전화의 안전신호 중 "SECURITE"는 비상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안전상황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PAN"은 긴급상황을 나타내는 신호, "MAYDAY"는 생명이 위험한 긴급상황을 나타내는 신호, "SAFETY"는 안전상황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따라서 "SECURIT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RR에서 규정하는 무선전화통신사 자격증에 해당하는 것은?

  1. 무선전화통신사 임시자격증
  2. 무선전화통신사 일반자격증
  3. 무선전화통신사 1급 자격증
  4. 무선전화통신사 2급 자격증
(정답률: 81%)
  • RR에서 규정하는 무선전화통신사 자격증 중에서는 "무선전화통신사 일반자격증"이 해당한다. 이는 무선전화통신사의 기본적인 업무 능력을 갖춘 자격증으로, 무선전화통신사의 설치, 유지보수, 운용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는 자격증이다. 무선전화통신사 일반자격증은 무선전화통신사 임시자격증, 1급 자격증, 2급 자격증보다 낮은 자격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항공기의 운행업무에 제공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 기능에 장해를 주어 무선통신을 방해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4.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6%)
  • 항공기의 운행업무에 제공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 기능에 장해를 주어 무선통신을 방해하는 행위는 항공기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벌칙은 매우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높은 벌칙인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은 이러한 범죄의 심각성과 벌칙의 예방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대한민국 헌법」 또는 「대한민국 헌법」에 따라 설치된 국가기관을 폭력으로 파괴할 것을 주장하는 통신을 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상의 징역 또는 금고
(정답률: 76%)
  • 국가기관을 폭력으로 파괴하려는 행위는 국가의 안전과 질서를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벌칙이 부과됩니다. 따라서 「대한민국 헌법」 또는 「대한민국 헌법」에 따라 설치된 국가기관을 폭력으로 파괴할 것을 주장하는 통신을 한 자에 대한 벌칙은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입니다. 이는 범죄의 성격과 심각성을 고려한 결과로,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국가기관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초전파공학

21. 다음 중 주로 고주파 증폭회로에 사용되는 방식은?

  1. 에미터 접지 증폭회로
  2. 베이스 접지 증폭회로
  3. 콜렉터 접지 증폭회로
  4. 에미터 폴로워 증폭회로
(정답률: 29%)
  •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서는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증폭을 위해 베이스 접지 증폭회로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 적정한 저항을 두어 베이스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콜렉터와 전원 사이에 적정한 저항을 두어 안정적인 증폭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에미터 접지 증폭회로나 콜렉터 접지 증폭회로는 안정적인 증폭을 위해 필요한 전압이나 전류가 충분하지 않아 고주파 증폭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파수 체배시 가장 많이 쓰는 증폭방식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60%)
  • 주파수 체배시에는 일반적으로 C급 증폭기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C급 증폭기가 다른 등급의 증폭기에 비해 더 높은 효율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C급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절반만을 증폭하여 출력으로 내놓기 때문에, 다른 등급의 증폭기보다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높은 출력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C급 증폭기는 주파수 체배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특히 오디오 증폭기나 라디오 송신기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기내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중 기내에서 무선LAN 접속 시 IEEE 802.11n을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기준은?

  1. IEEE 802.11
  2. IEEE 802.11a
  3. IEEE 802.11g
  4. IEEE 802.11k
(정답률: 48%)
  • IEEE 802.11k는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기준으로,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강도, 무선 채널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무선 환경을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 무선LAN 접속 시에도 최적의 무선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IEEE 802.11k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IEEE 802.11n을 지원하는 기술 기준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공항부근에 국한되는 짧은 범위를 Cover하는 시설로서 Approach Control, Departure Control 및 공항부근에 있는 항공기의 Vectoring에 이용되는 시설은? (단, 고도정보는 얻을 수 없다.)

  1. ASR
  2. SSR
  3. PAR
  4. ASDE
(정답률: 50%)
  • ASR은 Airport Surveillance Radar의 약자로, 공항 부근에서 항공기의 위치와 고도를 추적하여 Approach Control, Departure Control 및 Vectoring에 이용되는 시설이다. 고도 정보는 얻을 수 없지만, 항공기의 위치와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한 운항을 돕는다. SSR은 Secondary Surveillance Radar의 약자로, 항공기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PAR은 Precision Approach Radar의 약자로, 정밀한 착륙 지원을 위해 사용된다. ASDE는 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의 약자로, 공항 주변 지역에서 지상 차량 및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의 항법설비 중 거리측정장치(D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ME는 지상국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2. 수신된 정현파의 도래시간을 측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아낸다.
  3. 응답 주파수는 960[MHz] ~ 1,215[MHz]이다.
  4. 항공기에서 발사된 질문펄스와 지상 응답펄스간의 도래시간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정답률: 37%)
  • 수신된 정현파의 도래시간을 측정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아낸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DME는 항공기와 지상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로, 항공기에서 발사된 질문펄스와 지상 응답펄스간의 도래시간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항공기의 무선, 항법, 위성설비 중 항공기에서 전파를 발사하지 않는 설비는?

  1. HF, WX-Radar
  2. DME, Radar
  3. DME, LRRA
  4. ADF, VOR
(정답률: 57%)
  • ADF와 VOR은 항공기에서 전파를 발사하지 않는 수신기로, 주로 항법에 사용됩니다. HF와 WX-Radar은 항공기에서 전파를 발사하는 송신기로, 기상정보와 통신에 사용됩니다. DME와 Radar는 항공기에서 전파를 발사하는 송수신기로, 항법과 공기관제에 사용됩니다. DME와 LRRA는 항공기에서 전파를 발사하는 송신기와 수신기로, 항법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ADF와 VOR은 항공기에서 전파를 발사하지 않는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항법시설용 초단파(VHF) Marker Beacon의 기술기준으로 잘못된 것은?

  1. 외측마아커의 변조 주파수는 400[Hz]±10[Hz]이어야 한다.
  2. 변조도는 91[%] 이상 99[%] 이하이어야 한다.
  3. 내측마아커의 변조 주파수는 3,000[Hz]±75[Hz]이어야 한다.
  4. 전파의 발사는 반드시 원 편파만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56%)
  • "전파의 발사는 반드시 원 편파만 사용하여야 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Marker Beacon은 AM(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동작하며, 이는 원 편파(Oscillating Carrier Wave)에 변조 신호(Modulating Signal)를 더해 전파를 발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Marker Beacon의 전파 발사는 원 편파와 변조 신호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DME Transponder는 대략 몇 대의 항공기에 대하여 동시에 응답할 수 있는가?

  1. 약 100대
  2. 약 200대
  3. 약 500대
  4. 무한대
(정답률: 51%)
  • DME Transponder는 주파수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대략 100대 정도의 항공기에 대하여 동시에 응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파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제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중 10진수 (10.375)10를 2진수로 올바르게 변환한 것은?

  1. (1011.111)2
  2. (1010.111)2
  3. (1010.011)2
  4. (1011.011)2
(정답률: 50%)
  • 10진수 10.375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수 부분인 10을 2진수로 변환합니다. 10을 2로 나눈 나머지는 0이고 몫은 5입니다. 다시 5를 2로 나눈 나머지는 1이고 몫은 2입니다. 다시 2를 2로 나눈 나머지는 0이고 몫은 1입니다. 마지막으로 1을 2로 나눈 나머지는 1이고 몫은 0입니다. 따라서 10의 2진수는 1010입니다.

    2. 소수 부분인 0.375를 2진수로 변환합니다. 0.375를 2로 곱하면 0.75가 되고, 정수 부분은 0입니다. 다시 0.75를 2로 곱하면 1.5가 되고, 정수 부분은 1입니다. 다시 0.5를 2로 곱하면 1이 되고, 정수 부분은 0입니다. 따라서 0.375의 2진수는 0.011입니다.

    3.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합쳐서 10진수 10.375의 2진수를 구합니다. 정수 부분인 1010과 소수 부분인 0.011을 합치면 (1010.011)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10.01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이동통신에서 타채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기지국수 제어
  2. 이동국수 제어
  3. 전력 제어
  4. 송수신 안테나수 제어
(정답률: 37%)
  • 전력 제어는 타채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전송하는 신호의 전력을 조절하여 다른 채널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때문입니다. 기지국수 제어나 이동국수 제어는 기지국이나 이동국의 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간섭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합니다. 송수신 안테나수 제어는 안테나의 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전력 제어보다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송신기의 성능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송신되는 주파수는 유동적이어야 한다.
  2. 스퓨리어스 발사의 강도는 가능한 적어야 한다.
  3. 변조 직진성이 좋아야 한다.
  4. 신호파에 대한 변조도의 주파수 특성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41%)
  • "송신되는 주파수는 유동적이어야 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성능조건이다. 이는 주파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통신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서는 주파수 대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주파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다른 장비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가 진침로(TH)090° 비행시, ADF를 이용하여 상대방위를 측정하여 060°를 얻었다. 이 때 항공기의 국(Station)에 대한 진방위각은 얼마인가?

  1. 030°
  2. 150°
  3. 075°
  4. 110°
(정답률: 63%)
  • ADF는 항로를 기준으로 상대방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항로와 국의 위치 관계에 따라 진방위각이 달라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항공기가 진침로 090°로 비행하고 있으므로, 항로와 국은 서로 수직입니다. 따라서 상대방위 060°은 항로를 왼쪽으로 30° 회전한 방향입니다. 이를 항로에 대한 상대방위로 변환하면 090°+60°=15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동 코일형의 계기눈금은?

  1. 균등하다.
  2. 대수형이다.
  3. 제곱형이다.
  4. 지수형이다.
(정답률: 56%)
  • 가동 코일형의 계기눈금은 "균등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눈금 간격이 일정하게 분할되어 있어서 측정값이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대수형, 제곱형, 지수형은 눈금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측정값이 부정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단일시설로 운영되는 거리측정시설(DME)의 식별부호는?

  1. 1 ~ 2개 문자로 구성된 국내 모르스 부호를 사용한다.
  2. 2 ~ 3개 문자로 구성된 국제 모르스 부호를 사용한다.
  3. 3 ~ 4개 문자로 구성된 국내 모르스 부호를 사용한다.
  4. 4 ~ 5개 문자로 구성된 국제 모르스 부호를 사용한다.
(정답률: 56%)
  • DME는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시설이기 때문에 국제 모르스 부호를 사용한다. 이 부호는 2~3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식별 부호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도 이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원형도파관의 통과 주파수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1. 도파관의 내부지름
  2. 도파관의 길이
  3. 도파관의 무게
  4. 도파관의 부피
(정답률: 57%)
  • 원형도파관의 통과 주파수는 도파관의 내부지름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는 도파관 내부에서 전파가 전달될 때, 내부지름이 작을수록 전파의 진폭이 증가하고 주파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부지름이 작은 도파관일수록 높은 주파수의 전파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항공기내 인터넷 설비의 안테나로 사용 가능한 것은?

  1. Yagi Antenna
  2. Cassegrain Antenna
  3. Dummy Load Antenna
  4. Folded Dipole Antenna
(정답률: 45%)
  • 항공기내 인터넷 설비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대역폭이 넓은 안테나가 필요하다. 이 중 Cassegrain Antenna는 대역폭이 넓고, 수신 감도가 높으며, 크기가 작아서 항공기내 설비에 적합하다. 따라서 항공기내 인터넷 설비의 안테나로 Cassegrain Antenna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전리층반사나 지표파를 이용하지 않고 주로 직접파를 이용하는 주파수대는?

  1. 중파
  2. 중단파
  3. 단파
  4. 초단파
(정답률: 50%)
  • 초단파는 전파의 파장이 짧아서 건물이나 산 등 장애물을 통과하기 쉽고, 전리층 반사나 지표파를 이용하지 않고도 직접파를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직접파를 이용하는 주파수대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단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리층 중 일반적으로 지상으로부터 가장 높고, 단파통신에 주로 이용되는 층은?

  1. D층
  2. E층
  3. F층
  4. 스포라딕 E층
(정답률: 48%)
  • F층은 전리층 중에서 가장 높은 층으로, 이 층에서는 단파통신이 가능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D층과 E층은 F층보다 낮은 층으로, 스포라딕 E층은 일정 기간 동안만 형성되는 임시 층이므로 F층이 단파통신에 가장 적합한 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옴(Ohm)의 법칙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전기저항은 도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2. 전기저항은 도선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3. 전기저항은 도선의 길이와는 무관하다.
  4. 전기저항은 도선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정답률: 57%)
  • 옴의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전압은 전류와 저항의 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저항은 도선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이다. 이는 도선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전류의 흐름이 제한되어 저항이 커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도선의 길이는 전류의 흐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단면적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4[Ω]의 저항에 20[A]의 전류가 흘렀을 때 소비된 전력은?

  1. 5 [W]
  2. 80 [W]
  3. 320 [W]
  4. 1,600 [W]
(정답률: 26%)
  •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4[Ω]의 저항에 20[A]의 전류가 흐를 때 소비된 전력은 20^2 x 4 = 1,600 [W]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600 [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보안

41. 전파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통신보안 준수사항”의 정의로 알맞은 것은?

  1. 무선국의 운용, 감독 및 관리 등 통신 전반에 대한 책임자의 준수사항
  2. 비밀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누설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방책
  3. 선박국의 무선종사자가 지켜야 할 통신운용에 관한 사항
  4. 무선국을 운용할 때 지켜야 할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
(정답률: 49%)
  • 정답은 "무선국을 운용할 때 지켜야 할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입니다. 이는 무선 통신 시 비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켜야 할 보안 관련 규정을 말합니다. 이를 준수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통신보안담당관의 임명 및 임무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안담당관은 각급 기관에서 임명한다.
  2. 중앙전파관리소장이 각극 기관의 보안담당관을 임명한다.
  3. 보안담당관은 자체 보안업무를 관리한다.
  4. 보안담당관은 비밀소유현황 조사를 한다.
(정답률: 51%)
  • 정답: "중앙전파관리소장이 각극 기관의 보안담당관을 임명한다."

    해설: 보안담당관은 각급 기관에서 임명하며, 중앙전파관리소장은 각 기관의 보안담당관을 임명하는 권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리적 여건상 우리나라는 무선통신의 보안상 상당히 불리한 조건하에 있는 실정이다. 다음 중 지정학적 측면을 고려할 때 통신보안의 취약성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북쪽-북한
  2. 서쪽-중국
  3. 동쪽-일본
  4. 남쪽-호주
(정답률: 62%)
  • 정답: "남쪽-호주"

    설명: 지리적으로 남쪽에 위치한 호주는 우리나라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외국의 무선신호가 우리나라로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신보안의 취약성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북쪽에 위치한 북한과 서쪽에 위치한 중국, 동쪽에 위치한 일본은 우리나라와 인접해 있어서 무선신호가 상대적으로 쉽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보안의 취약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통신보안 측면에서 전기통신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전기통신은 제반 통신수단 중 가장 편리하지만 통신보안대책이 필요하다.
  2. 원거리까지 의사전달이 가능하므로 타 통신수단보다 보안성이 낮다.
  3. 통신형태에 따른 별도의 통신보안대책이 필요하다.
  4. 초단파 이상은 근거리통신만 가능하므로 별도의 통신보안대책은 필요 없다.
(정답률: 60%)
  • 정답은 "초단파 이상은 근거리통신만 가능하므로 별도의 통신보안대책은 필요 없다." 이다. 이유는 초단파 이상의 주파수는 근거리통신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원격지 간 통신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에서는 별도의 통신보안대책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은 전기통신의 특징으로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암호자재의 배부·반납에 대한 사항으로 알맞은 것은?

  1. 암호자재는 신분증이 있는 자에 한하여 배부한다.
  2. 예비용 암호자재는 사용기관까지 72시간 내에 배부하여 한다.
  3. 사용기간이 끝난 암호자재를 지체 없이 제작기관에 반납하여야 한다.
  4. 암호자재는 배부, 반납, 파기 또는 오인소각에 대한 증명은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42%)
  • 사용기간이 끝난 암호자재를 지체 없이 제작기관에 반납하여야 한다는 이유는 보안을 위해서이다. 사용기간이 끝난 암호자재는 더 이상 안전하게 보관할 수 없기 때문에 제작기관에서 파기 또는 재활용을 할 수 있도록 반납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암호자재의 유출이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통신도청과 통신감청의 차이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통신도청은 비합법적이고 통신감청은 합법적이다.
  2. 통신도청은 합법적이고 통신감청은 비합법적이다.
  3. 통신감청은 누구나 할 수 있다.
  4. 통신도청은 비밀보호 관련법령과 무관하다.
(정답률: 58%)
  • 통신도청은 통신사업자의 통신망을 불법적으로 도청하는 것이므로 비합법적이며, 반면에 통신감청은 법적인 절차를 거쳐 수사나 국가안보 등의 목적으로 합법적으로 통신 내용을 감청하는 것이다. 따라서 "통신도청은 비합법적이고 통신감청은 합법적이다."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통신보안을 요하는 사항의 취급방법으로 알맞는 것은?

  1. 보안책임자에게 보고하지 않는다.
  2. 텔렉스로 통신한다.
  3. 통신보안용 약호자재를 사용한다.
  4. 보안책임자가 직접 평문교신한다.
(정답률: 59%)
  • 통신보안을 요하는 사항은 제3자가 통신 내용을 엿듣거나 변경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통신보안용 약호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암호화된 통신을 보장하며, 제3자가 암호를 해독하지 못하도록 보호합니다. 따라서 "통신보안용 약호자재를 사용한다."가 올바른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통신보안을 보장하지 않거나 보안책임자에게 보고하지 않는 등 보안에 취약한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약호자재의 긴급파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호자재의 긴급파기 계획은 평상시에 수립되어 있어야 한다.
  2. 사용 중인 암호자재를 계속 보유할 수 없을 때에는 배부처가 적은 것부터 파기한다.
  3. 긴급사태 발생하였을 때 사용기간이 끝난 암호자재, 예비용 암호자재 및 사용 중인 암호자재 순으로 파기한다.
  4. 암호자재를 관리·운용하는 사람은 긴급사태 발생으로 암호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파기할 수 있다.
(정답률: 46%)
  • "암호자재를 관리·운용하는 사람은 긴급사태 발생으로 암호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파기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사용 중인 암호자재를 계속 보유할 수 없을 때에는 배부처가 적은 것부터 파기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배부처가 적은 것부터 파기함으로써, 보안 위험이 적은 암호자재부터 파기하여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약호자재를 분실한 경우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자체적으로 대책을 수립
  2. 관계기관에 신고하여 적절한 보안대책 강구
  3. 가까운 경찰관서에 신고
  4. 부서장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에 따름
(정답률: 59%)
  • 약호자재는 보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분실된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때 자체적으로 대책을 수립하거나 가까운 경찰관서에 신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관계기관에 신고하여 적절한 보안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분실된 약호자재가 다른 기관이나 개인에게 악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계기관에 신고하여 적극적인 대응을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서장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에 따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는 추가적인 조치로서 필요한 경우에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통신보안용 보안자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암호
  2. 음어
  3. 약어
  4. 약호
(정답률: 55%)
  • 정답은 "음어"입니다.

    "암호"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기술이고, "약호"는 비밀번호와 같은 암호화된 문자열을 말합니다.

    하지만 "음어"는 보안용어나 암호화된 통신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안자재에 속하지 않습니다.

    "약어"는 단어나 구절을 줄여서 표현한 것으로, 예를 들어 "SSL"은 "Secure Sockets Layer"의 약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영어

51. 다음 중 관제기관과 해당 관제기관 호출부호에 사용하는 접미사가 적절히 연결된 것은?

  1. Area ControlCenter – Center
  2. Approach Control – Control
  3. Aeronautical Station – Radar
  4. Company Dispatch – Dispatch
(정답률: 65%)
  • 각 관제기관의 호출부호는 일반적으로 해당 기관의 이름 또는 약어와 함께 접미사가 사용됩니다. "Area Control Center"의 경우 "Center", "Approach Control"의 경우 "Control", "Aeronautical Station"의 경우 "Radar"가 일반적인 접미사입니다. "Company Dispatch"의 경우 "Dispatch"가 일반적인 접미사이며, 이는 해당 기관이 항공기 운항 회사의 관제부서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Company Dispatch – Dispatc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starting engine
  2. take-off
  3. the last part of the final approach
  4. the landing roll
(정답률: 61%)
  • 이유는 이미지에서 비행기가 이륙하기 전에 엔진을 가동하는 모습이 나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tarting engine"가 맞는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괄호 안에 적절한 내용으로 짝지어진 것은?

  1. pan pan, two
  2. pan pan, three
  3. mayday, two
  4. mayday, three
(정답률: 56%)
  • 이미지에 나타난 비행기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mayday" 라는 비상 호출을 해야 합니다. "mayday, two" 라는 호출은 이미 다른 비행기가 긴급 상황에 처해있는 상황이므로, 이를 제외한 "mayday, three" 이 올바른 호출입니다. "pan pan" 호출은 비상 상황이긴 하지만, "mayday" 호출보다는 상황이 덜 급박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pan pan" 호출은 이 상황에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난 중인 항공기를 관제하는 기관에서 기타 무선국의 무선침묵을 지시할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Stop Transmitting
  2. Break Break
  3. Keep Silence
  4. Stand By
(정답률: 74%)
  • "Stop Transmitting"은 무선국이 조난 중인 항공기와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침묵을 지시하는 가장 명확하고 강력한 표현입니다. "Break Break"는 긴급 상황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Keep Silence"는 조용히 유지하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Stand By"는 대기하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긴급 상황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공무선 통신에서 고도계 수정치 ‘29.92’를 송신할 때 맞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Two nine point nine two
  2. Two niner niner two
  3. Twenty nine decimal ninety two
  4. Twenty nine ninety two
(정답률: 35%)
  • 항공무선 통신에서 고도계 수정치 ‘29.92’는 인치 수위를 나타내는 값으로, 소수점 이하 두 자리까지 표기합니다. 따라서 "Two nine point nine two"가 맞는 표현입니다. "Two niner niner two"는 숫자를 각각 읽어서 표현한 것으로, 항공무선 통신에서는 이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Twenty nine decimal ninety two"는 소수점을 나타내는 "decimal"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으로, 항공무선 통신에서는 이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Twenty nine ninety two"는 소수점을 생략한 것으로, 항공무선 통신에서는 소수점 이하 두 자리까지 표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MSL
  2. QNH
  3. QFE
  4. AGL
(정답률: 35%)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FAA Glossary Sections A에 따르면 AGL Altitude- Altitude expressed in feet measured above ground level. 입니다. 이 문제 정답 자체가 좀 이상하네요 QNH는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측정하는데 measured above ground level 에 해당될 수가 없죠..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용어의 기능이 가장 적합하게 설명된 것은?

  1. “DME” providing only azimuth information.
  2. “TACAN” providing only distance information.
  3. “DME” providing distance and azimuth information.
  4. “TACAN” providing distance and azimuth information.
(정답률: 63%)
  • “TACAN”은 거리와 방위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약어 ‘CAVOK’의 의미와 발음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No precipitation, KA-VOK
  2. No Precipitation, KAV-OH-KAY
  3. Visibility, cloud and present weather better than prescribed values, KA-VOK
  4. Visibility, cloud and present weather better than prescribed values, KAV-OH-KAY
(정답률: 64%)
  • 약어 ‘CAVOK’은 "Visibility, cloud and present weather better than prescribed values, KAV-OH-KAY"의 약어로, 기상 상황이 매우 좋은 것을 의미합니다. 발음은 "KAV-OH-KAY"입니다. "No precipitation, KA-VOK"와 "No Precipitation, KAV-OH-KAY"는 CAVOK의 정확한 의미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특정 지시나 허가, 요청을 따를 수 없을 때 사용하는 항공관제 용어는?

  1. WHEN ABLE
  2. UNABLE
  3. NEGATIVE
  4. NEGATIVE CONTACT
(정답률: 70%)
  • 정답은 "UNABLE"입니다. "UNABLE"은 특정 지시나 허가, 요청을 따를 수 없을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WHEN ABLE"은 가능할 때까지 기다리라는 의미이고, "NEGATIVE"는 부정적인 응답을 나타내며, "NEGATIVE CONTACT"는 연락이 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무선 교신에서 “나의 송신에 대한 상대국의 수신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질문하는 용어는?

  1. Advise me your receiving level.
  2. Report your receiving condition.
  3. What is your listening status?
  4. How do you read me?
(정답률: 78%)
  • "How do you read me?"는 상대방이 나의 송신을 잘 받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묻는 질문입니다. "Read"는 여기서 "이해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대방이 나의 송신을 잘 이해하고 받았는지를 묻는 것입니다. 따라서 "Advise me your receiving level."은 "당신의 수신 레벨을 알려주세요."라는 의미이고, "Report your receiving condition."은 "당신의 수신 상태를 보고해주세요."라는 의미입니다. "What is your listening status?"는 "당신의 수신 상태는 어떻게 되나요?"라는 의미이지만, "listening"은 보통 음악이나 대화를 듣는 것을 의미하므로, 항공무선 교신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항공통신용어 중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를 유지할 것”을 요구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Remain this frequency
  2. Keep this frequence
  3. Hold this frequency
  4. Do not leave this frequency
(정답률: 77%)
  • "Remain this frequency"은 현재 사용 중인 주파수를 계속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명령어이다. "Keep this frequency"와 "Hold this frequency"도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Do not leave this frequency"는 주파수를 떠나지 말라는 뜻으로 약간 다른 뉘앙스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Approved
  2. Contact
  3. Go Ahead
  4. Say Again
(정답률: 78%)
  • "Go Ahead"는 상대방에게 이야기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무전용어로, 상대방이 이어서 이야기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상대방이 이야기할 준비가 되었으며, 이어서 이야기해도 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What is a definition of “ROGER”in aviation radio phrase?

  1. I have received all of your last transmission.
  2. My transmission is ended and I expect a response from you.
  3. Let me know that you have received and understand this message.
  4. This conversation is ended and no response is expected.
(정답률: 80%)
  • "ROGER" in aviation radio phrase means "I have received all of your last transmission." It is used to acknowledge that a message has been received and understood.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영문 통화표의 약어 발음방법으로 틀린 것은?

  1. A : ALFAH
  2. O : OSSCAH
  3. S : SEE EIRRAH
  4. X : ECKSRAY
(정답률: 69%)
  • 정답은 "S : SEE EIRRAH"이다. 영어에서 "S"는 "ess"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EIR"은 "air"로 발음된다. 따라서 "S : SEE AIRRAH"가 정확한 발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more
  2. most
  3. many
  4. much
(정답률: 77%)
  • 이 문장에서는 "money"라는 불가산명사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much"가 가장 적절한 단어이다. "more"와 "most"는 가산명사와 함께 사용되는 비교급과 최상급이며, "many"는 가산명사의 복수형과 함께 사용되는 양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보기의 문장 중 뜻이 다른 하나의 문장은 어느 것인가?

  1. A child of five would understand it.
  2. A five-year-old child would understand it.
  3. A five-year-old child would know it.
  4. A child is five-year-old, but he understand it.
(정답률: 62%)
  • 정답은 "A child is five-year-old, but he understand it." 이다.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맞지 않으며, "A child is five years old, but he understands it."로 수정되어야 한다. 다른 문장들은 모두 "다섯 살 아이는 그것을 이해할 수 있다."는 뜻으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know"와 "understand"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detour around
  2. look after
  3. shut off
  4. empty into
(정답률: 64%)
  • 이미지에서 보이는 도로가 바다로 __empty into__ 하고 있기 때문에 "empty into"가 가장 적절한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는?

  1. precision
  2. atmosphere
  3. selectivity
  4. spontaneity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들이 춤을 추고 있는 모습은 spontaneity(자발성)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문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that
  2. what
  3. who
  4. which
(정답률: 76%)
  • 밑줄 친 부분은 "묻는 것"을 나타내는 동사인 ask이므로, "what"이 적절한 선택지이다. "what"은 무엇을 묻는 것을 나타내는 관계대명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1. in
  2. on
  3. for
  4. up
(정답률: 82%)
  • 이 문장에서는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이 필요하다. "in"은 기간을 나타내는 표현이고, "on"은 특정한 날짜나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up"은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이므로, 가장 알맞은 것은 "for"이다. "for"는 어떤 기간 동안을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for"를 사용하여 "3일 동안"을 나타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