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10-09)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2021-10-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진로상담

1. 수퍼(D. Super)의 발달모형에 바탕을 둔 진로상담 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 ㅁ
  2. ㄱ - ㄴ - ㄷ - ㅁ – ㄹ
  3. ㄱ - ㄴ - ㄹ - ㄷ - ㅁ
  4. ㄱ - ㄴ - ㅁ - ㄷ – ㄹ
  5. ㄱ - ㄷ - ㄴ - ㄹ -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 ㄴ - ㄹ - ㄷ - ㅁ" 입니다.

    ㄱ단계에서는 진로탐색을 위한 자기이해와 진로이해를 위한 자기성향 및 관심분야 파악이 이루어집니다.

    ㄴ단계에서는 진로탐색을 위한 정보수집과 진로선택을 위한 정보분석이 이루어집니다.

    ㄹ단계에서는 진로선택을 위한 계획수립과 진로실행을 위한 자원활용이 이루어집니다.

    ㄷ단계에서는 진로실행을 위한 문제해결과 적응을 위한 자기개발이 이루어집니다.

    ㅁ단계에서는 진로실행 후에도 지속적인 진로관리와 발전을 위한 자기평가와 피드백이 이루어집니다.

    이 중에서 "ㄱ - ㄴ - ㄹ - ㄷ - ㅁ" 순서가 가장 적절한 이유는, 진로탐색을 위한 자기이해와 진로이해를 먼저 하고, 그 다음에 정보수집과 분석, 계획수립과 자원활용, 문제해결과 적응, 자기평가와 피드백 순서로 진행하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진로상담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진로상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신이 바라거나 바라지 않던 통찰에 참여하기
  2. 상담자의 상담방법을 이유 없이 비난하기
  3. 책임지기를 두려워하여 진로의사결정을 회피하기
  4. 반복적으로 상담시간에 연락 없이 오지 않기
  5. 상담시간에 계속 침묵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자신이 바라거나 바라지 않던 통찰에 참여하기"는 진로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항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진로상담의 목적인 새로운 시각과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태도를 열어두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문화 진로상담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다문화에 대한 사회인식은 고려사항이 아니다.
  2. 내담자가 한국문화를 따르도록 한다.
  3. 내담자의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알 필요는 없다.
  4. 다문화에 대한 상담자의 지식과 인식은 중요하다.
  5. 구성주의 진로상담이론은 다문화 내담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문화 진로상담에서는 내담자의 문화적 배경과 다문화에 대한 상담자의 지식과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내담자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문화적 오해나 갈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다문화에 대한 상담자의 지식과 인식은 중요하다."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이스버스(N. Gysbers)와 무어(E. Moore)가 목표설정을 위하여 사용하는 진로상담 기법은?

  1. 생애진로무지개(Life Career Rainbow)
  2. 사다리 기법(Laddering Techniques)
  3. 생애진로사정(Life Career Assessment)
  4. 진로 가계도(Career Genogram)
  5. 면담 리드(Interview Leads)
(정답률: 알수없음)
  • 가이스버스와 무어가 사용하는 진로상담 기법 중 "면담 리드(Interview Leads)"는 진로상담자가 질문을 통해 상담 대상자의 관심사와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를 설정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 기법은 상담 대상자의 의견과 생각을 중요시하며, 상호작용적인 상담을 통해 목표를 도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용노동부 워크넷(www.work.go.kr)에서 제공하는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ㄹ, ㅁ
  3.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ㅁ
(정답률: 알수없음)
  • 고용노동부 워크넷에서 제공하는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는 "취업성향검사", "직업가치관검사", "직업적합성검사", "직업선택능력검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ㄱ, ㄴ, ㄷ, ㅁ"은 이 네 가지 검사를 모두 선택한 것입니다. 이 네 가지 검사를 모두 수행하면 청소년들이 자신의 취업성향, 직업가치관, 직업적합성, 직업선택능력 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모두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진로성숙도검사(CMI)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크라이츠(J. Crites)의 진로의사결정모형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2. 진로계획태도와 진로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3. 진로행동은 자기평가, 직업정보, 목표선정, 계획, 문제해결을 측정한다.
  4. 진로계획태도는 자아존중감, 책임감, 타협성, 의존성을 측정한다.
  5.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한국형 진로성숙도 검사는 태도, 능력, 행동 세 가지 측면을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한국형 진로성숙도 검사는 태도, 능력, 행동 세 가지 측면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베츠(N. Betz)와 해켓(G. Hackett)의 이론에서 5가지 진로상담전략으로 옳은 것은?

  1. 자기정체감 점검 및 강화
  2. 과정평가의 탐색과 현실성 강화
  3. 환경적 영향의 검토
  4. 진로준비정서의 촉진
  5. 진로의사결정 유형 점검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적 영향의 검토는 학생이 선택한 진로가 그들의 주변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평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전 경험, 가족의 지원, 사회적 기회 및 제한, 경제적 제약 등을 고려하여 학생이 선택한 진로가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는 학생이 진로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구성주의 진로상담 과정과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성 - 해체 - 재구성 - 협력구성'의 내러티브 방식을 기본으로 한다.
  2. 개인의 생활이나 정체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을 변화시켜야 한다.
  3. 진로상담과정에서 진로양식면접을 최소화하고, 표준화된 검사실시와 결과의 해석을 주로 사용한다.
  4. 내담자의 내러티브 이야기 자체는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하여 얻어진 평균적인 경험이라고 본다.
  5. '문제확인 - 주관적 정체성 탐색 - 문제 재정의 - 관점확대 - 정체성 실현을 위한 행동정의 - 추수지도' 단계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성 - 해체 - 재구성 - 협력구성'의 내러티브 방식을 기본으로 한다."는 구성주의 진로상담 과정과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이는 내담자의 이야기를 듣고, 그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해체하여 새로운 구성을 만들어내고, 내담자와 함께 협력하여 새로운 진로를 구성해 나가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내담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정체성을 존중하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접근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청소년 진로집단상담에서 고려해야 할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청소년 진로집단상담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다양하다.

    ㄱ. 청소년의 성격, 관심사, 장단점 등을 파악하여 적합한 진로를 제시해야 한다.

    ㄴ. 진로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고, 청소년이 진로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알려줘야 한다.

    ㄷ. 진로 선택에 대한 부모님의 의견과 청소년의 의견이 다를 경우, 양쪽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중재해야 한다.

    ㄹ. 진로 선택에 따른 진로 전망과 취업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현실적인 조언을 해줘야 한다.

    따라서, "ㄱ, ㄴ, ㄷ, ㄹ" 모두 고려해야 할 것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청소년 진로상담에서 사용하는 심리검사와 사용목적과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수퍼(D. Super)의 CDI - 진로결정유형 측정
  2. 홀랜드(J. Holland)의 SDS - 직업적 성격특성 측정
  3. 크럼볼츠(J. Krumboltz)의 CDS - 진로 미결정 선행조건 측정
  4. 다위스(R. Dawis)와 롭퀴스트(L. Lofquist)의 MIQ - 진로문제해결과 진로의사결정에서의 역기능적 사고 측정
  5. 피터슨(G. Peterson), 샘슨(J. Sampson) 등의 CTI - 20가지 작업 요구와 가치에 대한 개인의 중요도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청소년 진로상담에서는 홀랜드의 SDS - 직업적 성격특성 측정을 사용한다. 이는 청소년의 성격과 관심사를 파악하여 적합한 직업군을 추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검사들은 진로결정유형, 미결정 선행조건, 역기능적 사고, 작업 요구와 가치 등을 측정하는데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진로상담에서 심리검사를 활용할 때 옳은 것은?

  1.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검사는 많이 할수록 좋다.
  2. 검사를 선택할 때 검사문항보다 검사지명을 보고 선택한다.
  3. 신뢰도와 타당도가 갖추어진 검사를 선택한다.
  4. 절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를 활용한다.
  5. 검사결과를 활용할 때에는 강점만 활용하고 약점은 제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도와 타당도가 갖추어진 검사를 선택하는 것이 옳은 이유는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있고,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검사문항보다 검사지명을 보고 선택하거나, 절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를 활용하는 것은 검사의 품질을 고려하지 않은 선택이며, 검사결과를 활용할 때에는 강점만 활용하고 약점은 제외하는 것은 개인의 발전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검사는 많이 할수록 좋다는 것은 검사의 양적 증가가 검사의 질적 향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사례에 제시된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
  2. 자기이해를 위한 탐색
  3. 선택된 진로과정 점검
  4. 진로관련 심리검사 실시
  5. 진로관련 의사결정 연습
(정답률: 알수없음)
  • "선택된 진로과정 점검"은 이미 선택된 진로에 대한 점검과 평가를 위한 것이므로, 이 내담자의 경우에는 아직 진로를 선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옳지 않은 개입이다. 따라서, "선택된 진로과정 점검"은 옳지 않은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사례에 나타난 진로상담 단계는?

  1. 상담초기면접
  2. 상담관계형성
  3. 상담목표 설정
  4. 상담구조화
  5. 상담종결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사례에서는 이미 상담목표가 설정되어 있고, 상담구조화가 이루어졌으며, 상담자와 상담대상자 간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상담종결하기 단계에 해당합니다. 상담종결하기는 상담의 목표가 달성되었거나, 상담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진행되며, 상담자와 상담대상자 간의 관계를 적절하게 마무리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발달이론에서 제안한 진로발달단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ㄱ - ㄴ - ㄹ - ㄷ – ㅁ
  2. ㄱ - ㄹ - ㄷ - ㄴ – ㅁ
  3. ㄴ - ㄱ - ㄹ - ㄷ - ㅁ
  4. ㄴ - ㄷ - ㄱ - ㄹ – ㅁ
  5. ㄴ - ㄹ - ㄱ - ㄷ -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 - ㄱ - ㄹ - ㄷ - ㅁ" 입니다.

    이유는 수퍼의 생애진로발달이론에서는 개인의 진로발달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고 제안합니다.

    1. 성장기 (Growth stage)
    2. 탐색기 (Exploration stage)
    3. 결정기 (Establishment stage)
    4. 유지기 (Maintenance stage)
    5. 갱신기 (Decline stage)

    따라서, "ㄴ - ㄱ - ㄹ - ㄷ - ㅁ" 순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1. 성장기: 아직 진로에 대한 관심이 없는 단계
    2. 탐색기: 진로에 대한 탐색과 관련된 단계
    3. 결정기: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단계
    4. 유지기: 결정한 진로를 유지하며 발전하는 단계
    5. 갱신기: 진로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진로를 찾는 단계

    따라서, "ㄴ - ㄱ - ㄹ - ㄷ - ㅁ" 순서는 수퍼의 생애진로발달이론에서 제안한 진로발달단계의 순서를 올바르게 따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대화 중 청소년 진로상담의 목표에 관한 진술로 옳지 않은 것은?

  1. A
  2. B
  3. C
  4. D
  5. E
(정답률: 알수없음)
  • 상담의 목표는 청소년의 진로에 대한 지도와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C. 청소년의 진로를 결정해주는 것"이 옳지 않은 진술이다. 상담자는 청소년이 진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정보와 조언을 제공하고, 그들의 관심과 능력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로상담전문가 양성에 중점을 둔다.
  2. 상담윤리를 지키며 진행한다.
  3. 내담자의 문제를 내담자의 입장에서 이해한다.
  4. 내담자마다 성격, 적성, 흥미 등이 다름을 고려한다.
  5. 내담자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발현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로상담전문가 양성에 중점을 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진로상담을 진행하는 상담자가 반드시 전문가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자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옳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진로상담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위스(R. Dawis)와 롭퀴스트(L.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서 성격은 성격양식과 성격구조로 설명된다.
  2. 파슨스(F. Parsons)의 특성ㆍ요인이론은 개인과 직업 특성의 합리적인 연결을 강조한다.
  3. 홀랜드(J. Holland)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특성과 유사한 직업환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4. 사비카스(M. Savickas)의 구성주의 진로이론에서 생애주제란 진로와 관련된 각 개인의 능력, 욕구, 흥미를 의미한다.
  5. 로우(A. Roe)의 이론에서 비즈니스직은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설득하는데 초점을 둔 직업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비카스(M. Savickas)의 구성주의 진로이론에서 생애주제란 진로와 관련된 각 개인의 능력, 욕구, 흥미를 의미한다." 이 부분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크럼볼츠(J. 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ㄹ, ㅁ
  3. ㄴ,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ㄹ, ㅁ"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크럼볼츠의 사회학습이론은 개인의 경험, 행동, 환경, 결과가 상호작용하여 진로선택과 진로전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이론에서는 진로선택과 진로전환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4가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 중 "환경요인"과 "결과요인"은 선택적 요인으로, 개인이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며, "경험요인"과 "행동요인"은 제한적 요인으로, 개인이 직접 선택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 이에 따라, "ㄱ, ㄹ, ㅁ"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ㄱ"은 경험요인으로, 개인의 성격, 관심, 가치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는 개인이 직접 선택할 수 없는 영역이므로, 진로선택과 진로전환에 있어서는 제한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ㄹ"은 환경요인으로,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영역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개인이 선택한 진로와 관련된 취업, 교육, 사회적 지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환경요인은 개인의 진로선택과 진로전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ㅁ"은 결과요인으로, 개인의 선택과 행동에 따른 결과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는 개인이 선택한 진로와 관련된 성취, 만족, 보상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결과요인은 개인의 진로선택과 진로전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이 설명하는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의 진로포부 발달단계는?

  1. 크기와 힘 지향 단계
  2. 외적 자아 확립 단계
  3. 사회적 가치 지향 단계
  4. 성역할 지향 단계
  5. 내적 자아 확립 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갓프레드슨의 진로포부 발달단계에서 "성역할 지향 단계"는 대개 14세 이상의 청소년들이 겪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성적 정체성과 성역할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중요해진다. 이 단계에서는 성적인 관계와 성적인 행동에 대한 이해와 태도가 형성되며, 성적인 삶에 대한 계획과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성역할 지향 단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하렌(V. Harren)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하렌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이론은 개인의 성격, 관심, 가치관 등을 고려하여 진로 선택을 돕는 이론이다. 이 중에서 "ㄱ, ㄴ"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은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문제 해결에 있어서 실제적인 방법을 선호하며, 현실적인 결과를 중요시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안정과 안정적인 직장을 추구한다.
    - "ㄴ"은 탐구적이고 창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문제 해결에 있어서 창의적인 방법을 선호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나 방법을 발견하는 것을 즐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자유로운 환경에서 일하며,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을 추구한다.

    따라서, "ㄱ, ㄴ"은 하렌의 진로의사결정유형이론에서 가장 기본적인 유형으로, 현실적이면서도 창의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경제적인 안정과 자유로운 환경에서 일하는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슐로스버그(N. Schlossberg) 등이 제시한 진로전환상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환의 개념을 결혼이나 출산과 같은 명백한 삶의 변화로 제한하였다.
  2. 진로전환에는 양가적인 특성이 있다.
  3. 개인의 진로전환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요소(4S)는 자아(Self), 지원(Support), 상황(Situation), 전략(Strategies)이다.
  4. 진로전환의 증진요인으로는 경제적 안정, 정서적 안정, 건강, 전환 기술, 지지적 직업환경, 전환에 대한 지지 등이 있다.
  5. 진로전환검사(CTI)는 준비도, 자기효능감(confidence), 지각된 지지, 내외적 통제, 자기중심-관계중심(independence-interdependence)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환의 개념을 결혼이나 출산과 같은 명백한 삶의 변화로 제한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전환의 개념을 제한하는 것이며, 슐로스버그 등은 진로전환을 다양한 삶의 변화와 선택으로 정의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다위스(R. Dawis)와 롭퀴스트(L.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다위스와 롭퀴스트는 직업적응이론을 제시한 학자들이다.
    - 이들은 직업적응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로 개인, 직업, 환경을 각각 지목하였다.
    - 개인과 직업 간의 적합성,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 그리고 직업과 환경 간의 적합성이 모두 적절하게 조화되어야 직업적응이 이루어진다.
    - 따라서 "ㄴ, ㄹ"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이 설명하는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의 개념으로 옳은 것은?

  1. 선택모형
  2. 결과기대
  3. 자기효능감
  4. 흥미발달모형
  5. 개인변인과 환경변인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에서 "결과기대"는 개인이 특정 직업을 선택하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개인은 자신이 선택한 직업에서 어떤 결과를 얻을 것인지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선택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결과기대는 개인의 직업만족도와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개인의 자기효능감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결과기대"는 SCCT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이론을 주장한 학자는?

  1. 갓프레드슨(L. Gottfredson)
  2. 블라우(P. Blau)
  3. 타이드만(D. Tiedeman)과 오하라(R. O'Hara)
  4. 카크런(L. Cochran)
  5. 아들러(A. Adler)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드만과 오하라는 직업선택과 직업만족에 대한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이들은 개인의 성격, 가치관, 관심사 등이 직업선택과 직업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이들은 직업선택과 직업만족은 개인의 발전과 연관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학자 - 진로상담이론 - 개념'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로우(A. Roe) - 욕구이론 - 심리적 욕구구조
  2. 윌리암슨(E. Williamson) - 특성ㆍ요인이론 - 제한과 타협
  3. 렌트(R. Lent) - 사회인지진로이론 - 자기효능감
  4. 긴즈버그(E. Ginzberg) - 진로발달이론 - 환상기
  5. 겔라트(H. Gelatt) - 진로의사결정이론 - 의사결정 순환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윌리암슨(E. Williamson) - 특성ㆍ요인이론 - 제한과 타협"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진로상담이론 중 하나인데, 윌리암슨의 특성ㆍ요인이론은 기업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이론으로 진로상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윌리암슨의 이론은 기업이 외부시장에서 자원을 구입하거나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제한과 타협에 대한 이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집단상담

26. 교류분석 집단상담의 생활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애 초기에 결정된다.
  2. 생활자세는 교류분석으로 변화 가능하다.
  3. 자신에 대해 느끼고, 타인과 관계 맺는 방식을 결정한다.
  4. 자기 긍정-타인 긍정 자세는 패배자는 없고, 승리자만 있다.
  5. 자기 긍정-타인 부정 자세는 타인과 비교해서 자신이 무기력하다고 느끼는 우울한 사람의 자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 긍정-타인 부정 자세는 타인과 비교해서 자신이 무기력하다고 느끼는 우울한 사람의 자세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 자세는 자기 부정-타인 부정 자세에 해당한다. 자기 긍정-타인 부정 자세는 타인을 믿지 않고 자신만이 옳다고 생각하는 자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로저스(C. Rogers)의 인간중심 집단상담에서 변화의 필요충분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로저스의 인간중심 집단상담에서 변화의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 ㄱ. 상담 대상자는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자유롭고 열린 대화를 할 수 있어야 한다.
    - ㄴ. 상담 대상자는 자신의 감정, 경험, 생각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 ㄹ. 상담자는 상담 대상자의 내적 경험을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ㄱ, ㄴ, ㄹ"이 옳은 답이다. 이유는 상담 대상자가 자유롭게 표현하고 상담자가 이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것이 변화를 이끌어내는 필요충분조건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조건 중 하나 이상이 빠져있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성장집단에 적합하지 않은 청소년 집단원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 ㄷ, ㄹ"은 모두 성장집단에 적합하지 않은 청소년 집단원을 나타냅니다. "ㄱ"은 어떤 청소년이 성장집단에 적합하지 않은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ㄱ, ㄷ"는 "ㄴ, ㄷ, ㄹ"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ㄱ, ㄴ, ㄷ"는 "ㄴ, ㄷ, ㄹ"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ㄱ, ㄴ, ㄷ, ㄹ"은 모든 청소년 집단원이 성장집단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의 개념이나 기법이 강조되는 집단상담 접근은?

  1. 게슈탈트 집단상담
  2. 교류분석 집단상담
  3. 개인심리 집단상담
  4. 인간중심 집단상담
  5. 정신분석 집단상담
(정답률: 알수없음)
  • 게슈탈트 집단상담은 개인의 경험과 감정을 집단 내에서 공유하고, 집단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중시하는 상담 접근입니다. 이는 게슈탈트 이론에서 유래한 것으로, 개인의 경험을 전체적인 상황과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이 접근은 집단 구성원들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집단 상담을 추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심리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ㄷ, ㄹ
  5.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심리극은 인물들의 내면적인 감정과 심리적 상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연극 장르이다.
    - "ㄱ, ㄹ"이 정답인 이유는, "ㄱ"은 갈등과 "ㄹ"은 해소를 나타내는데, 심리극은 이러한 갈등과 해소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대화에서 집단원이 보이는 얄롬(I. Yalom)의 치료적 요인은?

  1. 희망
  2. 수용
  3. 보편성
  4. 정화
  5. 이타심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원이 보이는 얄롬의 치료적 요인은 "보편성"입니다. 이는 집단원들이 서로 다른 배경과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인 인간적인 경험과 감정을 공유하며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집단원들이 서로를 받아들이고 수용하며, 서로를 지지하고 격려함으로써 희망을 얻을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보편성은 집단원들이 자신의 문제를 정화하고 이타심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사례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법은?

  1. 재진술
  2. 차단
  3. 요약
  4. 직면
  5. 정보제공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사례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법은 "직면"입니다. "직면"은 상담 대상자가 문제에 직면하도록 유도하는 기법으로, 상담자는 상대방의 말을 듣고 그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다가가게 하여 해결책을 찾도록 돕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상담자는 이들에게 직접적으로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나요?"라는 질문을 하여 문제에 직면하도록 유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현실치료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스로의 선택에 대해 책임진다.
  2. 전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3. 과거 경험과 기억선택에 초점을 둔다.
  4. 더 나은 선택을 하는 방법을 배운다.
  5. 적극적이고, 지시적이며, 교육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거 경험과 기억선택에 초점을 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현실치료 집단상담은 현재의 문제와 상황에 대한 인식과 대처 방법을 중심으로 다루는 것이 특징이며, 과거 경험에 대한 이야기는 필요에 따라 다루기도 하지만 핵심적인 초점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구조화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구조화 집단상담은 일정한 주제와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는 상담 방법이다. (ㄱ)
    - 구조화 집단상담은 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자기 개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ㄴ)
    - "ㄷ, ㄹ"은 구조화 집단상담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아니라, 다른 상담 방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 "ㄱ, ㄴ, ㄷ, ㄹ"은 모두 구조화 집단상담에서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ㄱ, ㄴ"이 가장 기본적인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치료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각한 정도의 정서ㆍ행동문제 또는 정신장애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
  2. 치료집단을 이끄는 사람을 집단치료자라고 한다.
  3. 집단역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신병리적 진단ㆍ평가를 활용하지 않는다.
  4. 공황장애 치료를 원하는 사람이 참가할 수 있다.
  5. 치료기간이 최대 수년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으로 진행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역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신병리적 진단ㆍ평가를 활용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집단치료에서도 정신병리적 진단과 평가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집단치료에서는 개인치료와 달리 집단의 상호작용과 역동을 중심으로 치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참가자의 정신병리적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집단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집단상담자의 자질을 인간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로 구분할 때, 인간적 자질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적 자질을 구분할 때, 상담자는 공감능력, 이해심, 인내심, 존중심, 친절함 등의 인간적 자질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ㄹ, ㅁ"은 존중심과 친절함을 나타내는 자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ㄹ, 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사례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법은?

  1. 재진술
  2. 요약
  3. 직면
  4. 정보제공
  5. 해석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사례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법은 "해석"입니다. 그 이유는 상담자가 청소년들이 이야기한 내용을 듣고 그것을 해석하여 다른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책을 제시해주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 집단상담자의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원의 불평이 습관적이거나 만성적이라면 불평할 때마다 충고를 한다.
  2. 적대적인 집단원에게는 그 행동이 다른 집단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원하는 것을 탐색하여 직접 표현하게 한다.
  3. 지속적으로 침묵하는 집단원에게는 다른 집단원이 자신의 침묵을 오해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4. 질문공세를 하는 집단원에게는 질문하기 전 마음속의 생각과 느낌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요청한다.
  5. 사실적 이야기를 늘어놓는 집단원에게는 그 경험에서 야기된 감정을 공감적 이해를 통해 현재형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원의 불평이 습관적이거나 만성적이라면 불평할 때마다 충고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집단상담자는 집단원의 감정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그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불평이 습관적이거나 만성적인 집단원에게 충고를 한다는 것은 그들의 감정을 무시하고, 해결책을 강요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단원의 감정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그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동상담자가 청소년 집단상담을 진행할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은 상담자의 역할과 책임을 설명하는 내용이며, 상담자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책임을 가지는지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 "ㄴ"은 상담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는 내용이며, 상담의 목적과 방법을 분명하게 설명하여 참여자들이 상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ㄱ, ㄴ"이 옳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의 집단 유형은?

  1. 구조화된 동질적 구성의 집중적 집단
  2. 구조화된 이질적 구성의 집중적 집단
  3. 비구조화된 동질적 구성의 집중적 집단
  4. 비구조화된 이질적 구성의 분산적 집단
  5. 구조화된 동질적 구성의 분산적 집단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집단은 구조화된 동질적 구성의 집중적 집단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구조화된: 이 집단은 구성원들 간에 명확한 역할과 규칙이 있으며, 이를 따르고 조화롭게 일하는 구조가 있다.
    - 동질적: 구성원들은 서로 비슷한 배경, 경험, 지식 등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 이해하고 협력하기 쉽다.
    - 집중적: 구성원들은 한 장소에서 모여서 활동하며, 서로 빠르게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집단은 구성원들 간의 조화로운 협력과 높은 생산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청소년 집단상담의 사전 동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발적인 집단원에게도 사전동의를 받아야 한다.
  2. 집단상담자의 경력, 이론적 지향, 도움제공이 가능한 문제를 알린다.
  3. 집단참여에 따른 잠재적 이익과 위험에 대해서 알린다.
  4. 폐쇄집단에서는 집단을 떠날 권리가 없음을 알린다.
  5. 심리검사, 진단 및 상담 기록에 대해 알 권리가 있음을 알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쇄집단에서는 집단을 떠날 권리가 없음을 알린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폐쇄집단에서도 집단을 떠날 권리는 있으며, 이를 알리지 않는 것은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들러(A. Adler) 집단상담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ㄱ - ㄷ - ㄹ – ㄴ
  2. ㄱ - ㄹ - ㄷ – ㄴ
  3. ㄴ - ㄷ - ㄹ - ㄱ
  4. ㄷ - ㄱ - ㄹ – ㄴ
  5. ㄷ - ㄹ - ㄱ - ㄴ
(정답률: 알수없음)
  • 아들러 집단상담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ㄱ. 모임 구성 및 목표 설정
    ㄷ. 개인 발언 및 문제 해결
    ㄹ. 집단 내 상호작용 증진
    ㄴ. 종료 및 평가

    이 중에서도 모임 구성 및 목표 설정이 가장 먼저 이루어지기 때문에, "ㄱ"이 첫 번째 단계이다. 그리고 개인 발언 및 문제 해결, 집단 내 상호작용 증진, 종료 및 평가가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ㄱ - ㄷ - ㄹ –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정신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슬랩손(S. Slavson)은 집단상담자의 기능을 지도적 기능, 자극적 기능, 확충적 기능, 해석적 기능으로 구분한다.
  2. 볼프(A. Wolf)는 집단상담자가 자신을 향한 집단원들의 전이행동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3. 집단에서 과거를 재경험하여 무의식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4. 궁극적인 목표는 내담자의 신경증적 갈등을 경감시켜 인격적 성숙을 도모하는 것이다.
  5. 어린 시절의 습관적인 행동이 집단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반동형성의 한 형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린 시절의 습관적인 행동이 집단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반동형성의 한 형태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반응형성"이라는 용어로 사용되며, 어린 시절의 경험으로 인해 형성된 무의식적인 방어 메커니즘이다. 반동형성은 특정한 욕구나 감정을 억제하려는 노력으로 인해 그 반대의 감정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사례에서 집단원 동호가 하고 있는 문제행동은?

  1. 산만한 집단원
  2. 구원하는 집단원
  3. 부정적인 집단원
  4. 소극적인 집단원
  5. 적대적인 집단원
(정답률: 알수없음)
  • 동호는 다른 집단원들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할 때마다 방해하고, 자신만의 해결책을 제시하며 주변을 지배하려는 행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적대적인 집단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적대적인 집단원"이 아닌 "구원하는 집단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청소년 집단상담 평가를 위한 구성요소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청소년 집단상담 평가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가 필요합니다.

    ㄱ. 평가자: 평가를 수행할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ㄴ. 평가도구: 청소년 집단상담 평가를 위한 적절한 평가도구가 필요합니다.
    ㄷ. 평가 대상: 청소년 집단상담을 받는 청소년들이 필요합니다.
    ㄹ. 평가 환경: 평가를 수행할 적절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ㄱ, ㄴ, ㄷ, ㄹ"이 모두 고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청소년을 위한 집단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소년의 흥미유발을 위해 다양한 매체와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2. 청소년기의 특성인 자율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집단상담자와 집단원이 공동상담자가 된다.
  3. 집단목표 설정은 청소년기 발달특성을 고려한다.
  4. 치료집단을 운영할 때는 법적 보호자의 참가 동의서를 받는다.
  5. 강제에 의한 비자발적인 참여를 하게 되면 집단에 대한 저항감이 클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청소년기의 특성인 자율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집단상담자와 집단원이 공동상담자가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청소년들의 자율성을 제한할 수 있으며, 상담자와 상담자의 역할을 혼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단상담자는 상담의 전문가로서 집단을 이끄는 역할을 하고, 집단원들은 상담을 받는 역할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구조화 집단상담 계획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다.
  2. 집단목적에 부합하는 집단 참여대상의 범위를 결정한다.
  3. 집단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계적인 세부목표를 설정한다.
  4. 집단상담자는 직관적 판단으로 집단형태를 결정한다.
  5. 집단활동의 내용은 집단 목적에 적합하게 구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상담자는 직관적 판단으로 집단형태를 결정한다."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집단상담자는 집단목적과 참여대상의 범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집단형태를 결정해야 합니다. 직관적 판단만으로는 효과적인 집단상담을 구성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학교 집단상담의 시행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ㄱ - ㄷ - ㅁ - ㄹ – ㄴ
  2. ㄱ - ㄹ - ㄷ - ㅁ – ㄴ
  3. ㄷ - ㄱ - ㄴ - ㅁ - ㄹ
  4. ㄷ - ㅁ - ㄱ - ㄹ – ㄴ
  5. ㄷ - ㅁ - ㄱ - ㄴ - ㄹ
(정답률: 알수없음)
  • 학교 집단상담의 시행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ㄷ. 상담의 필요성 인지 및 상담 대상자 선정
    ㅁ. 상담 내용 및 방법 결정
    ㄱ. 상담 일정 및 장소 조정
    ㄹ. 상담 진행 및 평가
    ㄴ. 상담 결과 보고 및 추적 관리

    정답인 "ㄷ - ㅁ - ㄱ - ㄹ – ㄴ"은 상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상담 대상자를 선정한 후, 상담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고 상담 일정과 장소를 조정한 뒤, 상담을 진행하고 평가하며, 마지막으로 상담 결과를 보고하고 추적 관리하는 순서로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집단상담 초기단계에 있는 집단원들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에 대해 비합리적인 기대를 하기도 한다.
  2. 자기표현을 하기에 안전한지 탐색한다.
  3. 불안과 긴장이 있기 때문에 의존적이고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4.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으로 자기개방에 부담을 느껴 집단 참여를 머뭇거린다.
  5. 집단원들을 판단하고 비난하며 경쟁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원들을 판단하고 비난하며 경쟁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집단상담 초기단계에 있는 집단원들은 집단에 대해 비합리적인 기대를 하기도 하고, 자기표현을 하기에 안전한지 탐색하며, 불안과 긴장이 있어 의존적이고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으로 자기개방에 부담을 느껴 집단 참여를 머뭇거리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코리(G. Corey)의 과도기 단계(transition stage)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ㄷ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코리의 과도기 단계에서는 집단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알아가고 친해지는 단계이며, 이때 집단상담자는 그들의 관계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인데, "ㄴ"은 집단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고, "ㄷ"는 집단 구성원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가족상담

51. 다음이 설명하는 가족상담기법은?

  1. 과제부여
  2. 가계도
  3. 외재화
  4. 예외질문
  5. 가족조각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가족상담기법은 "외재화" 기법입니다. 외재화란 가족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나 갈등을 외부적인 요인으로 바꾸어서 이야기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은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보다 더 쉽게 이야기할 수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 가족이 함께 보내는 시간이 부족해서 서로 이야기를 못하게 되는 것 같아. 우리가 함께 할 수 있는 새로운 활동을 찾아보면 어떨까?"와 같이 외부적인 요인을 이용하여 문제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은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담 방법이다.
    - "ㄱ.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목표를 설정하며,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는 것"과 "ㄴ.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특징이다.
    - "ㄷ.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고,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며,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전반적인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이론의 개념으로 옳은 것은?

  1. 가족게임
  2. 실연화
  3. 권력과 통제
  4. 하위체계
  5. 핵가족 정서체계
(정답률: 알수없음)
  • 보웬의 가족상담이론에서 "핵가족 정서체계"는 핵가족 구성원들 간의 감정적 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과 기능을 의미합니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가족 구성원들의 감정적 안정과 안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웬의 가족상담에서는 이러한 핵가족 정서체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중심철학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은 클라이언트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ㄱ, ㄷ, ㄹ"이 옳은 정답인 이유는 이들이 모두 해결과 관련된 요소들이기 때문입니다. "ㄱ"은 문제를 발견하고 인식하는 것, "ㄷ"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 수립과 실행, "ㄹ"은 문제 해결 후 결과를 평가하고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들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해결중심단기가족상담의 중심철학에 부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가족상담이론의 질문기법이다. ( )에 들어갈 말은?

  1. 대처
  2. 기적
  3. 관계성
  4. 보람
  5. 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음의 보기에서 정답이 "기적" 인 이유는 가족상담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성을 개선하고 보람을 느끼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일종의 기적과도 같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이 설명하는 카터(B. Carter)와 맥골드릭(M. McGoldrick)의 가족생활주기 단계는?

  1. 새롭게 출발하는 가족
  2. 어린 자녀를 둔 가족
  3.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
  4. 자립하는 자녀를 둔 가족
  5. 노년기 가족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가족은 이미 자녀들이 성장하여 청소년기를 맞이한 상황이기 때문에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녀들이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부모들이 지도해주고, 자녀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적 관계를 발전시키는 시기입니다. 부모들은 자녀들의 성장과 발전을 지지하며,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도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이야기치료의 첫 번째 단계인 '문제의 경청과 해체의 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활동은?

  1. 문제 이야기 경청
  2. 문제 명명하기
  3. 문제의 영향 탐색
  4. 문제의 영향 평가
  5. 대안적 이야기 만들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야기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문제의 경청과 해체의 단계이므로, "대안적 이야기 만들기"가 해당되지 않는 활동이다. 이는 이야기치료의 두 번째 단계인 "대안적 이야기 만들기"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는 문제 이야기를 해체하고, 대안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ㄱ: 무의식, ㄴ: 열망
  2. ㄱ: 지각, ㄴ: 자아
  3. ㄱ: 지각, ㄴ: 열망
  4. ㄱ: 이성, ㄴ: 자아
  5. ㄱ: 이성, ㄴ: 무의식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는 "지각"과 "열망"이라는 단어가 함께 나타나 있으며, 이는 심리학에서 "지각"과 "열망"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지각"은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열망"은 욕구나 욕망을 가지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하는 내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지각, ㄴ: 열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족사정에 관한 맥매스터 모델(McMaster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가족사정에 관한 맥매스터 모델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모델이다.
    - 모델은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 해결, 의사소통, 감정적 지원.
    - "ㄱ, ㄷ"는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소통을 통해 서로의 요구와 필요를 이해하며 해결책을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ㄴ, ㄷ"는 의사소통과 감정적 지원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서로를 지지하고 위로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ㄷ, ㄹ"은 문제 해결과 감정적 지원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ㄱ, ㄴ, ㄹ"은 모든 요인에 대해 균형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ㄴ, ㄷ, ㄹ"은 의사소통과 감정적 지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이야기치료의 기본가정(전제)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계와 인간경험은 개인이 해석하는 방식으로 존재한다.
  2. 삶의 이야기는 단선적이며, 정해진 방향대로 간다.
  3. 우리가 살아가는 이야기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진다.
  4. 삶의 이야기 속에는 사회적 담론과 자기정체성이 포함된다.
  5. 지배적 이야기를 해체하는 것이 새로운 가능성을 높여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삶의 이야기는 단선적이며, 정해진 방향대로 간다."는 이야기치료의 기본가정(전제)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이야기치료에서 해체하고자 하는 지배적인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이야기치료에서는 개인의 삶의 이야기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방향성은 개인의 해석과 선택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 기본가정입니다. 따라서 이야기치료에서는 개인의 이야기를 듣고, 그 이야기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대상관계 가족상담에 기초를 둔 개입방법은?

  1. 경계설정을 통한 가족의 재구성
  2. 해석과 훈습을 통한 가족관계 역동의 통찰
  3. 빙산탐색을 통한 내면 이해
  4. 기적질문을 통한 관계의 명료화
  5. 문제의 재명명을 통한 문제 이해
(정답률: 알수없음)
  • 해석과 훈습을 통한 가족관계 역동의 통찰은 대상관계 가족상담에서 사용되는 개입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가족 구성원들의 언어와 행동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 역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행동 방식을 제안하고 훈련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새로운 관계 역동을 형성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전략적 가족상담으로 분류되는 학자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전략적 가족상담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상담 방법론이다. 이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 규칙, 의사소통 방식 등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하고 있는 학자들은 "ㄴ, ㄹ, ㅁ"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서적 단절은 물리적 단절을 전제한다.
  2. 하위체계 사이의 위계를 변화시켜 재구조화한다.
  3. 분화수준이 높은 사람은 독립적이며 친밀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
  4. 자기 위치 지키기(I-positioning)는 나 전달법(I-message)과 같은 기법이다.
  5. 출생순위 또는 형제자매 위치가 가족의 정서체계 안에서 특정한 역할과 기능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웬의 가족상담 이론에서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중요하게 보며, 출생순위나 형제자매 위치가 가족의 정서체계 안에서 특정한 역할과 기능을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과 위치가 가족 내에서의 권한과 책임, 자원의 분배 등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 구성원들의 정서적 단절과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족상담에서는 이러한 출생순위나 형제자매 위치와 같은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과 위치를 고려하여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를 재구성하고,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구조적 가족상담 이론에서 역기능적 가족의 재구조화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모 하위체계와 별도로 부부 하위체계가 기능하도록 한다.
  2. 부모가 서로 지원하고 서로에게 적응함으로써 자녀에게 일관된 모습을 보여야 한다.
  3. 부모는 자녀끼리 협상하고 갈등이나 차이를 해결하도록 지원한다.
  4. 적절한 위계는 부모가 권위와 책임을 바탕으로 세대 간 차이를 인정하는 구조이다.
  5. 경계선이 밀착된 가족은 가족원 간의 상호작용 빈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서로에 대한 보살핌과 지원을 제공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선이 밀착된 가족은 가족원 간의 상호작용 빈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서로에 대한 보살핌과 지원을 제공하도록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구조적 가족상담 이론에서는 경계선이 밀착된 가족은 서로 간섭하고 침범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계를 재설정하고 각 가족 구성원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따라서, 경계선이 밀착된 가족이 서로에게 보살핌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옳지 않다.

    간단한 설명: 경계선이 밀착된 가족은 서로 간섭하고 침범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계를 재설정하고 각 가족 구성원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가족상담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가족상담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 의사소통, 갈등 등을 다루는 상담이다. (ㄱ)
    - 가족상담은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는 그룹 상담이다. (ㄴ)
    - 따라서 "ㄱ, ㄴ"이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사티어(V. Satir)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족의 역기능 현상을 제거하여 안정된 현재 상황에 머무르게 한다.
  2. 원가족 도표는 돌아가신 분들은 제외하고 현재 살아있는 가족원만 포함한다.
  3. 가족조각은 가족의 주요 생활사건을 연대별로 나열하여 그림으로 표현하는 기법이다.
  4. 원가족 삼인군에서 부여한 가족규칙을 따르도록 하여 가족결속력을 높인다.
  5. 경험적 가족치료자로서 갖춰야 될 3대 요소는 유능(Competent), 자신감(Confident), 일치(Con gruent)의 3C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험적 가족치료자로서 갖춰야 될 3대 요소는 유능(Competent), 자신감(Confident), 일치(Con gruent)의 3C이다. 이는 사티어(V. Satir) 가족상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족치료자의 자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사티어 가족상담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가족체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족원 각각의 개인적 특성보다 상호연결성과 관계에 더 초점을 둔다.
  2. 부적(negative)피드백이 정적(positive)피드백보다 더 바람직하다.
  3. 가족체계는 가족원 개개인의 특성을 합한 것 그 이상이다.
  4. 가족원들은 개체로서 작용하며 일정한 속성을 가지고 상호작용한다.
  5. 가족체계가 건강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개방성과 폐쇄성 간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적(negative)피드백이 정적(positive)피드백보다 더 바람직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부적 피드백은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신에 상호작용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정적 피드백이 더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략적 가족상담 기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ㄹ, ㅁ
  3. ㄷ, ㄹ,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가족상담에서 전략적 가족상담 기법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따라서, "ㄴ, ㄷ, ㄹ, ㅁ"이 옳은 정답이다.

    - "ㄱ, ㄴ, ㄷ" : "ㄱ"은 포용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개선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 "ㄴ, ㄹ, ㅁ" : "ㄴ"은 가족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것이지만,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ㄹ"과 "ㅁ"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개선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둔 전략적 가족상담 기법이지만, "ㄴ"이 없어도 전략적 가족상담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 "ㄴ, ㄷ, ㄹ, ㅁ" : "ㄴ"은 가족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고, "ㄷ"와 "ㄹ"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개선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둔 전략적 가족상담 기법이다. "ㅁ"은 가족 구성원들의 자원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따라서, 모두 옳은 정답이다.
    - "ㄱ, ㄴ, ㄷ, ㄹ, ㅁ" : "ㄴ, ㄷ, ㄹ, ㅁ"은 전략적 가족상담 기법 중 일부이지만, "ㄱ"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개선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틀린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가족상담 이론과 상담목표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경험적 가족상담 - 투사적 동일시를 통해 유지되어 온 가족관계를 이해한다.
  2. 전략적 가족상담 - 가족들이 발달상에서 이루어야 할 자아통합을 이루도록 돕는다.
  3. 다세대 가족상담 - 내담자가 정서체계에 따라 행동하게 한다.
  4. 구조적 가족상담 - 역기능적인 가족구조를 재구조화 한다.
  5. 이야기 치료 -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와 자신을 동일시하여 사회문화적 기준에 따르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조적 가족상담은 역기능적인 가족구조를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역할, 권한, 규칙 등을 분석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을 수정하여 가족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론과 상담목표가 연결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대화에서 상담자가 시도하고 있는 상담기법은?

  1. 척도질문
  2. 예외질문
  3. 대처질문
  4. 과정질문
  5. 관계성질문
(정답률: 알수없음)
  • 상담자가 "어느 정도로 스트레스를 느끼고 계신가요?"라는 질문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상담자가 상담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척도를 사용하는 질문입니다. 따라서 이 상담기법은 "척도질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사례에 나타나는 가족역동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가족상담 개념은?

  1. 삼각관계
  2. 독특한 결과
  3. 기계론적 관점
  4. 선형적 인과관계
  5. 사회적 정서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가족 상황에서는 부모와 딸, 아들과 딸, 부모와 아들 간에 각각 서로 다른 관계가 존재하며, 이들 관계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삼각관계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삼각관계에서는 한 사람의 행동이 다른 두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독특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계론적 관점이나 선형적 인과관계보다는 사회적 정서과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 가족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가족상담 개념은 "삼각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가족상담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ㄴ"은 가족 구성원들의 관계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예방하고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 "ㄹ"은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소통하고 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의견 차이나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가족상담 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담자가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권리를 존중한다.
  2. 인종, 성별, 출신국가 등에 관계없이 내담자를 공정하게 대우해야 한다.
  3. 상담자는 내담자와 사적인 친밀관계, 성적관계, 동업자관계 등을 피해야 한다.
  4. 비밀보장은 상담관계를 유지하는데 기본이 되는 원칙이기 때문에 예외 없이 지켜져야 한다.
  5. 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내담자에게 자신의 권리와 책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를 구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밀보장은 상담관계를 유지하는데 기본이 되는 원칙이기 때문에 예외 없이 지켜져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비밀보장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유지되어야 하지만, 법적인 의무나 내담자의 안전을 위해 상담자가 판단한 경우에는 비밀보장을 깨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비밀보장을 깨는 것이 윤리적으로 타당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올슨(D. Olson) 등의 순환모델(Circumplex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응력은 가족의 변화를 허용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2. 응집력은 가족원 사이의 정서적 결합의 정도를 의미한다.
  3. 적응력과 응집력은 높을수록 더 건강한 가족임을 의미한다.
  4. 순환모델을 바탕으로 개발된 평가도구는 FACES와 CRS가 있다.
  5. 가족체계이론을 바탕으로 가족기능에 관한 개념을 분석하여 귀납적으로 발전시킨 모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응력과 응집력은 높을수록 더 건강한 가족임을 의미한다."는 올슨 등의 순환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적응력은 가족이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응집력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감정적 결속력을 의미한다. 이 두 가지 요소가 높을수록 가족은 더 건강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해주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사티어(V. Satir) 가족상담의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회유형의 자원은 자기주장이다.
  2. 비난형은 자아존중감 요소 중 자기를 무시한다.
  3. 초이성형의 내면은 쉽게 상처받고 소외감을 느낀다.
  4. 산만형은 재미있고 익살스러워 내면에 쉽게 접촉할 수 있다.
  5. 일치형은 스스로를 방어하고 상황을 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티어(V. Satir) 가족상담에서는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회유형: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거나 강요하여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는 유형. 자원은 자기주장이다.
    - 비난형: 자신의 문제를 다른 사람들의 탓으로 돌리는 유형. 자아존중감 요소 중 자기를 무시한다.
    - 초이성형: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거나 숨기는 유형. 내면은 쉽게 상처받고 소외감을 느낀다.
    - 산만형: 지루함을 싫어하고 새로운 자극을 찾는 유형. 재미있고 익살스러워 내면에 쉽게 접촉할 수 있다.
    - 일치형: 다른 사람들과의 갈등을 피하려고 노력하는 유형. 스스로를 방어하고 상황을 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초이성형의 내면은 쉽게 상처받고 소외감을 느낀다."는 사티어 가족상담에서 초이성형 유형의 특징 중 하나로 설명된다. 초이성형은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거나 숨기는 경향이 있어, 내면에서는 상처받고 소외감을 느끼기 쉽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학업상담

76. 학습부진(underachiev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업성취수준이 잠재적 능력에 미치지 못하고 현격하게 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2. 지능수준이 하위 3∼25%에 해당하고 지능지수는 약 75-90 정도에 속하는 학습자를 말한다.
  3.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4. 비효율적인 학습전략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5. 선수 학습의 누적된 결손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능수준이 하위 3∼25%에 해당하고 지능지수는 약 75-90 정도에 속하는 학습자를 말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설명은 길포드(J. Guilford)의 창의적 사고력의 구성 요인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1. 유창성(fluency)
  2. 유연성(flexibility)
  3. 민감성(sensitivity)
  4. 독창성(originality)
  5. 정교성(elabor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유사성(similarity)을 나타내고, 유사한 단어들을 연상해내는 것이 유창성(fluency)에 해당한다. 유창성은 많은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능력으로, 자유로운 상상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유창성(fluenc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반두라(A. Bandura)의 자기효능감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기효능감은 과제수행에 필요한 행위를 조직하고 실행해나가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다.
  2.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도전적이고 어려운 목표를 선호한다.
  3. 자기효능감은 결과기대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4. 성취경험, 대리경험, 사회적(언어적) 설득, 생리적 지표는 자기효능감의 원천이다.
  5. 자기효능감은 자기가치에 대한 평가결과로 얻어지는 자존감과 구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효능감은 결과기대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자기효능감은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판단이며, 결과에 대한 기대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결과기대는 성취에 대한 기대와 관련이 있으며, 자기효능감은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도전적이고 어려운 목표를 선호하며, 성취 경험, 대리 경험, 사회적(언어적) 설득, 생리적 지표 등이 자기효능감의 원천이 됩니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자기가치에 대한 평가결과로 얻어지는 자존감과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몰입(flow)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이 흥미를 느끼는 과제수행에 몰입하여 최적 경험을 하는 심리적 상태다.
  2. 최적 경험은 자기목적적 경험이라고도 한다.
  3. 도전 수준이 너무 높고 기술 수준이 너무 낮은 경우 불안을 느낀다.
  4. 도전 수준이 기술 수준보다 너무 낮은 경우는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
  5. 몰입 상태에서는 고도의 자기인식 상태에 빠지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몰입 상태에서는 고도의 자기인식 상태에 빠지게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몰입 상태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자신의 목표와 가치를 명확하게 인식하며,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자기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진다. 이러한 고도의 자기인식 상태는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최적 경험을 더욱 깊이 체험할 수 있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의 기대가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적절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2. ㄱ - ㄷ – ㄴ
  3. ㄴ - ㄱ – ㄷ
  4. ㄴ - ㄷ – ㄱ
  5. ㄷ - ㄱ - ㄴ
(정답률: 알수없음)
  • 교사의 기대는 학생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교사가 학생에 대한 특정한 기대를 가지고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 학생은 그 기대에 맞추어 행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교사의 기대가 자기충족적 예언으로 작용하게 되어, 교사의 기대가 높을수록 학생의 성취도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설명할 때는 "ㄴ - ㄱ – ㄷ"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기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기억은 정보가 장기기억으로 이동되거나 장기기억 내 지식과 통합될 수 있도록 전달자 기능을 한다.
  2. 작업기억의 수용 용량은 무제한이다.
  3. 일반지식에 관한 기억은 의미기억이고 개인적 경험과 관계된 기억은 일화기억이다.
  4. 부호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정교화와 조직화이다.
  5. 명제는 장기기억 속 지식과 의미의 기본단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기억의 수용 용량은 무제한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작업기억은 일시적으로 정보를 유지하는 기억으로, 그 용량은 제한적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7개 정도의 정보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와이너(B. Weiner)의 귀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신의 실패를 내부귀인 할 때보다 외부귀인 할 때 수치심을 더 강하게 느낀다.
  2. 다른 사람이 통제하는 요인에 의해 성공을 방해받을 경우 분노를 느낀다.
  3. 자신의 성공을 외부귀인 할 때 내부귀인 할 때보다 더 자긍심이 높아진다.
  4. 자신의 실패를 통제 가능한 원인으로 탓을 돌릴 때 학습된 무기력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5. 수행에 대한 기대는 안정성 차원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와이너의 귀인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성공이나 실패를 내부적 요인(자신의 능력, 노력 등)이나 외부적 요인(타인의 행동, 운명 등)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통제하는 요인에 의해 성공을 방해받을 경우 분노를 느낀다."는 외부귀인에 해당하는 경우로, 개인이 자신의 성공을 외부적인 요인으로 설명하고 그것을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분노를 느끼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창의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발상기법에 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PMI
  2. 브레인스토밍
  3. 강제관련법
  4. 체크리스트
  5. 장소법
(정답률: 알수없음)
  • 강제관련법은 무작위로 선택한 두 가지 사물이나 개념을 강제로 연관시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발상기법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무작위로 선택한 두 개의 단어를 연결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강제관련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맥키치(W. Mckeachie)는 학습전략을 인지적, 초인지적, 자원관리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다음에 나열한 전략 중 초인지적 전략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ㄹ
  4. ㄴ, ㄷ, ㅁ
  5.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기억하고 활용하는 것은 초인지적 전략에 해당한다. 따라서 "ㄴ, ㄷ, ㅁ"이 초인지적 전략에 해당한다.
    - "ㄱ, ㄴ, ㄷ"은 인지적 전략에 해당하는 것으로,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전략이다.
    - "ㄱ, ㄴ, ㄹ"은 자원관리 전략에 해당하는 것으로, 학습 시간과 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략이다.
    - "ㄴ, ㄷ, ㄹ"은 인지적 전략과 자원관리 전략이 혼합된 것으로,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동시에 시간과 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략이다.
    - "ㄷ, ㄹ, ㅁ"은 자원관리 전략에 해당하는 것으로, 학습 시간과 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데시와 라이언(E. Deci & R. Ryan)은 자기결정이론에서 자율성과 관련하여 여섯 유형의 학습동기를 제시하였다. 다음이 설명하는 동기유형은?

  1. 외적조절(external regulation)
  2. 부과된 조절(introjected regulation)
  3. 확인된 조절(identified regulation)
  4. 통합된 조절(integrated regulation)
  5. 내적조절(intrinsic regu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유형의 동기는 개인이 자신의 가치관과 목표를 내면화하고, 그것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내적 동기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인이 외부적인 요인이나 부여된 목표가 아닌 자신의 내면에서 비롯된 목표와 가치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통합된 조절"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드웩(C. Dweck)의 이론에서 수행목표지향성을 가진 학생들의 특징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ㄴ, ㄷ, ㅁ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드웩의 이론에서 수행목표지향성을 가진 학생들은 노력과 열정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성취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노력", "성취", "목표"와 관련된 단어들이 포함된 보기들 중에서 "ㄴ, ㄹ, ㅁ"이 정답인 이유입니다. "ㄴ"은 노력과 성취를 추구하는 "노력형", "ㄹ"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목표지향형", "ㅁ"은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성장형"을 나타내는 단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시간관리 매트릭스에서 중요도가 높고 긴급도가 낮은 분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중요도가 높고 긴급도가 낮은 분면은 "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분면에 해당하는 것은 "일정한 운동, 건강한 식습관 유지, 취미활동, 자기계발 등"과 같이 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일들입니다. 이에 따라, 중요도가 높고 긴급도가 낮은 분면에 해당하는 것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 "ㄱ" : 일정한 운동, 건강한 식습관 유지와 같은 건강 관리에 해당합니다.
    - "ㄴ" : 취미활동, 가족과의 시간, 친구와의 만남 등 여가활동에 해당합니다.
    - "ㄷ" : 자기계발, 공부, 직무 역량 강화 등 개인적인 성장에 해당합니다.
    - "ㄹ" : 일상적인 업무, 일상적인 가사 등 일상적인 일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학업상담에서 상담자의 역할과 개입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습장애아 상담시 장애의 발달양상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그들이 실현해 나가는 과 정의 독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2. 상담자가 제공할 수 있는 조력의 내용이 아니거나 정도를 넘어선 높은 수준의 개입전략이 요구되면 최선을 다해 조력해야 한다.
  3. 2차적 문제 발생의 예방을 위해 조기진단과 초기 개입이 필요하다.
  4. 내담자로 하여금 현재 성취수준을 수용하도록 촉진한다.
  5. 기초학습능력의 결손이나 선수학습의 결손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탐색 과정을 도와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담자가 제공할 수 있는 조력의 내용이 아니거나 정도를 넘어선 높은 수준의 개입전략이 요구되면 최선을 다해 조력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상담자의 역할과 개입전략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이 아니라, 오히려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상담자는 자신의 역할과 역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력과 개입전략을 제공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전문가나 기관으로 연계를 시도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주의집중력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주의집중력 문제를 가진 내담자는 어릴 때부터 많은 호기심, 높은 에너지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2. Think Aloud 훈련은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개입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3. 과도한 조기교육이나 선수학습 등과 같은 흥미나 동기 수준을 뛰어넘는 교육적ㆍ문화적 자극은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학습 결손의 누적은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친다.
  5. 지나치게 비구조화 되어 있는 생활환경은 주의집중력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도한 조기교육이나 선수학습 등과 같은 흥미나 동기 수준을 뛰어넘는 교육적ㆍ문화적 자극은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생각으로, 과도한 자극은 오히려 주의집중력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주의집중력 문제를 가진 내담자는 적절한 자극과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개인의 흥미와 동기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중재반응 모델(RTI)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ㄹ
  2. ㄷ, ㄹ
  3. ㄱ, ㄷ, ㅁ
  4. ㄱ, ㄴ, ㄷ, ㅁ
  5.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중재반응 모델(RTI)은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 "ㄱ.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라 다양한 지원을 제공한다"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RTI는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라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 "ㄴ.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을 조기에 발견한다"는 설명도 맞는 설명이다. RTI는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는 모델이다.
    - "ㄷ.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RTI는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교사, 학부모, 전문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를 위한 전문가들의 협력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 "ㅁ.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준의 지원을 제공한다"는 설명도 맞는 설명이다. RTI는 학생들의 학습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수준의 지원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학습동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성인의 경우 만족감, 자아존중감 증진, 삶의 질 향상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동기화 된다.
  2. 계획세우기, 시연, 의사결정, 문제해결, 평가 등은 동기의 정신적 활동에 속한다.
  3. 레닝거(K. Renninger)는 학습동기를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 무동기로 구분한 학자이다.
  4. 동기유발을 위한 활동은 목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5. 학업성취는 학습동기의 외적 동기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획세우기, 시연, 의사결정, 문제해결, 평가 등은 동기의 정신적 활동에 속한다."는 학습동기의 내재적 동기와 관련된 내용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내적으로 동기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들은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를 유지하고 강화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학습장애 진단 평가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ㅁ – ㄹ
  2. ㄱ - ㄹ - ㄴ - ㅁ – ㄷ
  3. ㄴ - ㄱ - ㄷ - ㄹ - ㅁ
  4. ㄴ - ㄷ - ㄱ - ㄹ – ㅁ
  5. ㄷ - ㄱ - ㄹ - ㅁ - ㄴ
(정답률: 알수없음)
  • 학습장애 진단 평가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 문제 인식 및 문제 정의 (ㄴ)
    2. 평가 도구 선택 및 적용 (ㄷ)
    3. 평가 결과 분석 (ㄱ)
    4. 진단서 작성 (ㄹ)
    5. 진단 결과 설명 및 대처 방안 제시 (ㅁ)

    따라서, 정답은 "ㄴ - ㄷ - ㄱ - ㄹ – 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학습부진 영재아 상담의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 능력과 학업적 수행간의 불일치가 일어나고 있는 내담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2. 부진보다는 영재성에 우선 관심을 두고 조력해야 한다.
  3. 부적합한 교수 또는 학습전략으로 인해 성취실패를 반복하는 경우 좌절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정서적 접근의 상담이 동반되어야 한다.
  4. 완벽주의 경향을 가진 학습부진 영재아는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학업만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자신의 완벽주의 경향을 인식하고 조절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5. 실패에 대한 지각은 낮고 성공에 대한 지각은 높게 가지는 경향성을 고려하여 상담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실패에 대한 지각은 낮고 성공에 대한 지각은 높게 가지는 경향성을 고려하여 상담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이다. 이는 영재아가 아닌 일반 학생들의 특성 중 하나이며, 학습부진 영재아의 경우에는 실패에 대한 지각이 높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담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켈러(J. Keller)의 학습동기유발이론 ARCS모형의 요소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ㄷ, ㅁ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ㅁ
  5. ㄱ,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ARCS 모형은 Attention(주의), Relevance(관련성), Confidence(자신감), Satisfaction(만족)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ㄱ, ㄴ, ㄷ, ㅁ"은 각각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에 해당하는 요소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 "ㄱ"은 Attention(주의)에 해당하는 요소로, 학습자의 관심을 끌고 학습에 집중하게끔 유도한다.
    - "ㄴ"은 Relevance(관련성)에 해당하는 요소로, 학습 내용이 학습자에게 중요하고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ㄷ"는 Confidence(자신감)에 해당하는 요소로,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이고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한다.
    - "ㅁ"은 Satisfaction(만족)에 해당하는 요소로, 학습자가 학습 결과에 만족하고 보상을 느끼게끔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고등학생 민주가 호소하는 고민의 내용이다. 상담자의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민주의 호소내용은 시험불안에 관한 것임을 알아차리고 시험불안에 대해 다룬다.
  2. 시험불안의 요인인 걱정과 감정 중 어떤 요인이 현재 민주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3. 민주가 경험하고 있는 시험불안의 원인을 탐색한다.
  4. 호소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민주와의 상담관계를 형성하는데 주력한다.
  5. 합리적 사고를 가지도록 체계적 둔감법을 훈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합리적 사고를 가지도록 체계적 둔감법을 훈련한다."가 옳지 않은 행동이다. 이는 둔감법을 훈련하는 것으로, 둔감법은 감정을 무시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으로, 이는 불안감을 해결하는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신에, 불안감의 원인을 파악하고, 민주와의 상담관계를 형성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학습관련문제 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검사로 옳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K-WISC-V : 시공간, 유동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등 4개 지표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2. LDSS : 학습장애 위험 가능성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검사로 고위험군 선별에 사용하고 있다.
  3. BASA : 학생들이 실제로 배우는 기초학습기능에 근거하여 수행정도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4. MLST : 학습의 다양한 요인을 확인 후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 학습문제를 수정, 개입하는데 활용하는 검사이다.
  5. ALSA :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학습기술, 학습시간, 환경관리(자원관리기술) 등이 하위척도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K-WISC-V : 시공간, 유동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등 4개 지표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분이 옳지 않다. K-WISC-V는 지능검사로, 지능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척도를 사용한다. 시공간, 유동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는 K-WISC-V에서 사용되는 일부 지표척도 중 일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학업상담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사례관리 - 문제진단 - 목표설정 - 상담관계 형성
  2. 상담구조화 - 개입전략 설정 - 목표설정 - 사례관리
  3. 문제진단 - 목표설정 - 개입전략 설정 - 사례관리
  4. 문제진단 - 상담관계 형성 - 사례관리 - 개입전략 설정
  5. 개입전략 설정 - 문제진단 - 목표설정 - 사례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학업상담 과정은 일반적으로 문제진단부터 시작하여 목표설정, 개입전략 설정, 그리고 사례관리로 이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문제진단 - 목표설정 - 개입전략 설정 - 사례관리"이다. 이 과정에서는 먼저 학생의 문제를 진단하고, 그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개입전략을 설정한다. 마지막으로는 학생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사례를 관리하여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학습 무동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시(E. Deci)와 라이언(R. Ryan)은 동기의 변화 과정을 무동기,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순으로 발달해간다고 설명하였다.
  2. 사회적 보상에 둔감하고 인내력이 낮은 특성은 학습 무동기의 기질적 원인에 해당한다.
  3. 학습동기가 내면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4.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되어 있으며 자신의 반응이 어떠한 영향도 미칠 수 없다는 것을 학습한 결과에 기인한다.
  5.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기초하여 무동기의 원인을 설명하는 입장은 인간중심적 관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데시(E. Deci)와 라이언(R. Ryan)은 동기의 변화 과정을 무동기,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순으로 발달해간다고 설명하였다."가 옳은 내용이다. 이유는 데시와 라이언은 동기의 발달 과정을 무동기에서 내재적 동기, 그리고 외재적 동기로 발전한다고 설명하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학습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술 곤란형은 특정학습장애에 해당한다.
  2. 정신지체로 인해 학업성취도가 떨어지는 장애도 학습장애에 해당한다.
  3. 시각장애, 청각장애로 인해 학력이 지체된 아동은 학습장애 아동으로 분류한다.
  4. DSM-5에서 특정학습장애는 장애 상태에 따라 심각도를 명시하지 않으며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5. 개입전략으로 교사주도적 교수법과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술 곤란형은 특정학습장애에 해당한다. 이는 수학적인 개념과 계산 능력에 문제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학습장애와 관련이 있지만, 산술 곤란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학업문제 유형에 포함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학업문제 유형은 "그래프 이론"과 관련된 문제이다. "ㄱ"은 그래프의 구성요소인 "정점"과 "간선"을 이해하고 있는 문제, "ㄴ"은 그래프의 종류를 이해하고 있는 문제, "ㄷ"은 그래프의 표현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 문제, "ㄹ"은 그래프의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있는 문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