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학습이론
1. 학습의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손다이크(E. Thorndike)의 이론적 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처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5. 고전적 조건형성의 적용 사례로 옳지 않은 것은?
6. 다음 실험에서 밑줄 친 부분과 고전적 조건형성의 개념을 옳게 짝지은 것은?
7. 고전적 조건형성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개념은?
8. 다음 과정에 관한 이요인 이론(two-factor theory; O. Mowrer)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강화계획은?
10. 프리맥 원리(Premack principl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1. 관찰학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관찰학습의 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3. 통찰학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학습과 인지구조에 관한 비고츠키(L. Vygotsky)의 주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앳킨슨과 쉬프린(R. Atkinson & R. Shiffrin)의 기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다음 학습 전략은?
17. 기억의 역행간섭(retroactive interference)에 해당하는 사례는?
18. 파이비오(A. Paivio)의 이중부호이론(dual-coding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이론은?
20. 학습에 관한 뇌과학적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1. 다음 사례를 설명하는 이론은?
22. 몰입(flow)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 다음 사례를 통해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의 내재적 동기는?
25. '수행목표(performance goal)' 지향 학습자의 특성을 모두 고른 것은?
2과목: 청소년 이해론
26. 청소년기의 다양한 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7. <보기 1>의 학자와 <보기 2>의 내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28. 엘킨드(D. Elkind)의 청소년기 자아중심성 개념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29. 마샤(J. Marcia)의 정체감 지위이론에서 자기탐색을 위한 정체감 위기를 경험하지 않고 자신에 대해 쉽게 의사결정을 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30.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발달 단계에서 타인의 눈을 의식하여 친구들에게 좋은 사람으로 인정받기 위해 행동을 결정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31. 청소년기 신체적 발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 청소년기 성역할 고정관념의 증가현상을 의미하는 것은?
33. 청소년기 또래집단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4. 진로 및 직업발달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5. 브론펜브레너(U.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6. 청소년 문화를 사회 전체 문화 중 한 부분을 이루는 문화로 보는 입장에 해당하는 것은?
37. 미디어의 다양한 기능 중 미디어가 상세히 보도하는 이슈를 대중들도 중요한 이슈로 인식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은?
38. 명품으로 대변되는 상류사회의 규범과 위선에 반격을 가하는 도전적인 젊은이들이 추구하는 청소년 패션 문화를 의미하는 것은?
39. 청소년기 비행이론 중 허쉬(T. Hirschi)가 제안한 사회유대의 하위차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0.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1. 청소년기 자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2. 청소년 보호법상 청소년 유해약물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3. 다음 중 학교부적응 요인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4. 청소년 보호법령상 인터넷게임 중독ㆍ과몰입 등의 예방 및 피해 청소년 지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5. 청소년 기본법상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46. 청소년복지 지원법상 다음이 설명하는 청소년복지시설은?
47. 다음이 설명하는 청소년 기본법의 조항은?
48. 청소년복지 지원법상 청소년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9.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상 다음이 설명하는 지원에 해당하는 것은?
50. 청소년복지 지원법상 지역사회 내 청소년 필수연계기관과 연계하여 위기청소년의 상담, 보호, 교육, 자립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3과목: 청소년 수련 활동론
51. 다음에서 설명하는 청소년활동은?
52. 칙센트미하이(M. Csikszentmihalyi)의 몰입이론에서 활동과제 수준이 자신의 수행능력을 완전히 초월할 때 경험하는 것은?
53.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다음이 설명하는 요구분석 기법은?
54. 청소년활동 진흥법령상 위험도가 높은 청소년 수련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5. 스터플빔(D.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
56. 콜브(D. Kolb)의 경험학습모델에서 추상적 개념화 과정을 통해 도출된 일반원리들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은?
57.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국립청소년수련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8. 제7차 청소년정책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플랫폼기반 청소년활동 활성화'에 포함된 정책 과제가 아닌 것은?
59. 청소년활동 진흥법상 청소년의 직업체험, 문화예술, 과학정보, 환경 등 특정 목적의 청소년활동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를 갖춘 수련시설은?
60. 프로그램 개발 통합모형에서 프로그램의 목표 진술과 프로그램 내용을 선정하는 단계는?
61. 청소년활동 진흥법령상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대표자의 자격을 갖춘 사람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2. 청소년활동 진흥법령상 청소년수련시설 건립심의위원회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63.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의 인증기준 중에서 공통기준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64.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에서 구분하고 있는 활동유형 중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을 옳게 나열한 것은?
65. 청소년활동 진흥법상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66. 청소년활동 진흥법상 청소년 문화활동의 지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7. 청소년활동 진흥법령상 청소년운영위원회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청소년 방과 후 활동 지원의 근거가 되는 법은?
69. 청소년활동 진흥법령상 청소년수련시설 설치ㆍ운영자가 수련시설 이용자에게 실시하여야 하는 안전교육을 모두 고른 것은?
70. 청소년활동 진흥법상 인증심사원의 자격 및 선발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71. 청소년활동 진흥법령상 수련시설의 종합평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72.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에서 합숙활동의 최소 활동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73. 청소년자기도전포상제의 운영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4.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의 운영유형 중에서 일반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5. 청소년활동 진흥법상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서 수행하는 사업이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