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정보처리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 계산기 일반

1. JK 플립플롭(Flip Flop)에서 보수가 출력되기 위한 입력값 J, K의 입력 상태는?

  1. J=0, K=1
  2. J=0, K=0
  3. J=1, K=1
  4. J=1, K=0
(정답률: 88%)
  •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값에 따라서 출력값이 결정됩니다. J와 K가 모두 1인 경우, 이전 상태와 반대되는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즉, 이전에 0이었다면 1을 출력하고, 이전에 1이었다면 0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보수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J와 K가 모두 1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J=1, K=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반대가 되는 즉 "0"이면 "1", "1"이면 "0"이 되는 회로는?

  1. AND 회로
  2. OR 회로
  3. NOT 회로
  4. Flip-Flop 회로
(정답률: 77%)
  • 정답은 "NOT 회로"입니다. NOT 회로는 입력값을 반대로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반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값이 "0"이면 출력값은 "1"이 되고, 입력값이 "1"이면 출력값은 "0"이 됩니다. AND 회로와 OR 회로는 입력값을 조합하여 출력값을 결정하는 회로이며, Flip-Flop 회로는 이전 상태를 기억하여 출력값을 결정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기억장치에서 자료 표현의 최소 단위는?

  1. 셀(Cell)
  2. 바이트(Byte)
  3. 레코드(Record)
  4. 블록(Block)
(정답률: 75%)
  • 주기억장치에서 자료 표현의 최소 단위는 바이트(Byte)입니다. 이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가장 작은 단위이며, 8비트(bit)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트는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최소 단위이기 때문에 주기억장치에서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의 연산결과는?

  1. 1001
  2. 1101
  3. 1010
  4. 1110
(정답률: 8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동시에 여러 개의 입·출력장치가 작동되도록 설계된 채널은?

  1. Simplex Channel
  2. Register Channel
  3. Selector Channel
  4. Multiplexer Channel
(정답률: 89%)
  • Multiplexer Channel은 여러 개의 입·출력장치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채널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여러 개의 장치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불대수의 정리 중 옳지 않은 것은?

  1. A·A = A
  2. A·1 = A
  3. A + A = 1
  4. 1 + A = 1
(정답률: 74%)
  • 옳지 않은 불대수의 정리는 "A + A = 1"입니다. 이는 논리적으로 부정확합니다. A가 0 또는 1인 경우를 생각해보면 A + A는 항상 A이므로 1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정리는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42(8)를 10진수로 변환하면?

  1. 88
  2. 98
  3. 108
  4. 118
(정답률: 68%)
  • 142(8)은 8진수로 표현된 수이며,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려면 각 자리수를 8의 거듭제곱으로 곱한 후 더해주면 됩니다.

    142(8) = 1 x 8^2 + 4 x 8^1 + 2 x 8^0 = 64 + 32 + 2 = 98

    따라서, 정답은 "9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진리표와 같이 연산이 행해지는 게이트(Gate)는?

  1. AND
  2. OR
  3. XOR
  4. NAND
(정답률: 81%)
  • 진리표에서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AND 게이트의 동작 방식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N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의 차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장치는?

  1. 입·출력 채널
  2. 인덱스 레지스터
  3. 연산장치
  4. 명령 해독기
(정답률: 71%)
  • 입·출력 채널은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의 차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장치입니다. 이는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최적화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출력 채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Register)는?

  1. Accumulator
  2. Memory Buffer Register
  3. Memory Address Register
  4. Instruction Register
(정답률: 67%)
  • Accumulator는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는 다른 레지스터와 달리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로서, CPU가 수행하는 대부분의 연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ccumulator가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라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레지스터 중 Program Counter의 기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현재 실행중인 명령어의 내용을 기억한다.
  2. 주기억장치의 번지를 기억한다.
  3.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4.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한다.
(정답률: 70%)
  • Program Counter는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한다."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레지스터의 다른 기능들을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프로그램이 컴퓨터의 기종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은?

  1. 신뢰성
  2. 가용성
  3. 안정성
  4. 호환성
(정답률: 81%)
  • 호환성은 프로그램이 다양한 기종의 컴퓨터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호환성이 높은 프로그램은 사용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사용자층에게 접근할 수 있고, 이는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보급과 이용에 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논리회로의 논리식은?

  1. f = A + B'
  2. f = A' + B
  3. f = A·B
  4. f = A + B
(정답률: 49%)
  • AND 게이트는 입력 신호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논리식은 f = A·B가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OR 게이트나 NOT 게이트를 사용하는데, 이 회로에서는 해당 게이트가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억장치에 액세스(Access)할 필요 없이 스택(Stack)을 이용하여 연산을 행하는 명령어 형식은?

  1. 2 - 주소명령어
  2. 3 - 주소명령어
  3. 0 - 주소명령어
  4. 1 - 주소명령어
(정답률: 80%)
  • 스택(Stack)은 후입선입(LIFO)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는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스택을 이용하여 연산을 행하는 명령어 형식은 피연산자를 스택에 저장하고, 연산자가 나타날 때마다 스택에서 필요한 개수만큼 피연산자를 꺼내서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기억장치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스택(Stack)만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0 - 주소명령어"이다. 다른 보기들은 주소를 직접 지정하여 기억장치에 액세스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0 - 주소명령어"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명령어 내의 오퍼랜드 부분의 주소가 실제 데이터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포인터의 주소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유연성이 좋으나 주소 참조 횟수가 많다는 단점이 있는 주소지정 방식은?

  1. 즉시 주소 지정
  2. 계산에 의한 주소 지정
  3. 간접 주소 지정
  4. 직접 주소 지정
(정답률: 55%)
  • 간접 주소 지정은 오퍼랜드 부분의 주소가 실제 데이터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포인터의 주소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유연성이 좋으나 주소 참조 횟수가 많다는 단점이 있는 주소지정 방식입니다. 즉, 데이터를 직접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포인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참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오류검색 코드 형식
  2. 자료의 표현과 주소 지정 방식
  3. 주프로그램과 부 프로그램
  4. 명령 코드부와 번지부로 구성
(정답률: 61%)
  • 명령 코드부는 컴퓨터가 수행할 명령어를 나타내고, 번지 부는 해당 명령어가 수행될 메모리 주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명령 코드부와 번지부로 구성된 인스트럭션은 컴퓨터가 명령어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8bit를 1Word로 이용하는 컴퓨터에서 Op Code를 3bit 사용하면 인스트럭션을 몇 가지 사용할 수 있는가?

  1. 6
  2. 16
  3. 8
  4. 4
(정답률: 70%)
  • Op Code를 3bit 사용하면 2^3 = 8개의 다른 인스트럭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컴퓨터 시스템에 예기치 못한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제어프로그램에 알려 CPU가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모듈(Module)
  2. 로테이트(Rotate)
  3. 교착상태(Deadlock)
  4. 인터럽트(Interrupt)
(정답률: 59%)
  • 인터럽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제어프로그램에 알리고 CPU가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터럽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가산기(Full Adder)는 어떤 회로로 구성되는가?

  1. 반가산기 1개와 AND 게이트로 구성된다.
  2. 반가산기 2개와 AND 게이트로 구성된다.
  3. 반가산기 1개와 OR 게이트로 구성된다.
  4. 반가산기 2개와 OR 게이트로 구성된다.
(정답률: 71%)
  • 전가산기는 2개의 이진수와 이전 단계에서의 자리올림수를 입력으로 받아 각 자리의 합과 현재 자리에서의 자리올림수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를 위해 반가산기 2개를 사용하여 각 자리의 합과 자리올림수를 구하고, 이를 OR 게이트로 연결하여 최종 출력을 구한다. 따라서 정답은 "반가산기 2개와 OR 게이트로 구성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출력장치
  2. 레지스터
  3. 제어장치
  4. 연산장치
(정답률: 52%)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 요소는 연산장치, 제어장치, 레지스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출력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출력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처리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외부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출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패키지 활용

21. Windows용 프리젠테이션에서 화면 전체를 전환하는 단위를 의미하는 것은?

  1. 개요
  2. 개체
  3. 스크린 팁
  4. 쪽(슬라이드)
(정답률: 84%)
  • 쪽(슬라이드)은 Windows용 프리젠테이션에서 화면 전체를 전환하는 단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프리젠테이션의 각 페이지를 나타내며, 각 쪽(슬라이드)은 하나의 주제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을 구성할 때 각 쪽(슬라이드)를 잘 구성하고 전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업체의 발표회나 각종 회의 등에서 빔 프로젝트 등을 이용하여 제품에 대한 소개나 회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를 의미하는 것은?

  1. 데이터베이스
  2. 프리젠테이션
  3. 스프레드시트
  4. 워드프로세서
(정답률: 88%)
  • 프리젠테이션은 발표나 회의 등에서 제품이나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빔 프로젝트 등을 이용하여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시트, 워드프로세서로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것에서부터 큰 순서로 이루어진 것은?

  1. 데이터 → 필드 → 레코드 → 파일
  2. 데이터 → 레코드 → 필드 → 파일
  3. 데이터 → 레코드 → 파일 →필드
  4. 데이터 → 필드 → 파일 → 레코드
(정답률: 56%)
  • 데이터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필드는 데이터를 담는 공간이며, 레코드는 여러 필드를 묶어 하나의 묶음으로 만든 것이며, 파일은 여러 레코드를 모아놓은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 필드 → 레코드 → 파일 순서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스프레드시트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수치계산 기능
  2. 슬라이드 쇼 기능
  3. 문서작성 기능
  4. 그래프 기능
(정답률: 77%)
  • 슬라이드 쇼 기능은 스프레드시트의 주요 기능이 아니며, 주로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스프레드시트는 주로 수치계산, 문서작성, 그래프 작성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모든 원자값들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인스턴스(Instance)
  2. 튜플(Tuple)
  3. 도메인(Domain)
  4. 스키마(Schema)
(정답률: 70%)
  • 도메인은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값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애트리뷰트의 타입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스턴스는 릴레이션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의미하며, 튜플은 릴레이션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의미합니다. 스키마는 릴레이션의 구조를 정의하는 것으로, 릴레이션의 이름과 각 애트리뷰트의 이름과 타입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SQL 검색문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학생 테이블에서 “*” 값이 포함된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
  2. 학생 테이블에서 전체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
  3. 학생 테이블에서 첫번째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
  4. 학생 테이블에서 마지막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
(정답률: 76%)
  • 검색문에서 SELECT 다음에 나오는 *는 모든 필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학생 테이블에서 전체 레코드의 모든 필드를 검색하라."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상품(상품명, 단가, 수량) 테이블에 대하여 필드명 단가(1차 정렬키)는 오름차순, 필드명 수량(2차 정렬키)은 내림차순으로 검색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SQL 문의 표기가 옳은 것은?

  1. SELECT 상품명, 단가, 수량 FROM 상품 ORDER BY 단가 ASC, 수량 DESC;
  2. SELECT 상품명, 단가, 수량 FROM 상품 ORDER BY 단가 DESC, 수량 ASC;
  3. SELECT 상품명, 단가, 수량 FROM 상품 ORDER BY 단가 ASC AND 수량 DESC;
  4. SELECT 상품명, 단가, 수량 FROM 상품 ORDER TO 단가 DESC, 수량 ASC;
(정답률: 56%)
  • 정답은 "SELECT 상품명, 단가, 수량 FROM 상품 ORDER BY 단가 ASC, 수량 DESC;"이다.

    ORDER BY 절은 검색 결과를 정렬하는 데 사용되며, ASC는 오름차순, DESC는 내림차순을 나타낸다. 따라서 필드명 단가를 오름차순으로, 필드명 수량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려면 "ORDER BY 단가 ASC, 수량 DESC"와 같이 작성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거나, 정렬 순서가 요구사항과 다르게 작성되어 있어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SQL 질의어의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상품 테이블을 삭제하라.
  2. 상품 필드를 제거하라.
  3. 상품 필드가 키인 인덱스를 제거하라.
  4. 상품 테이블의 인덱스만을 제거하라.
(정답률: 75%)
  • 해당 SQL 질의어는 "상품 테이블을 삭제하라."를 의미합니다. DROP TABLE은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필드나 인덱스를 삭제하는 명령어이지만, 이 질의어는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라는 명령어이므로 "상품 테이블을 삭제하라."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SQL 문의 형식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DELETE - FROM - WHERE
  2. INSERT - INTO - VALUES
  3. UPDATE - FROM - WHERE
  4. SELECT - FROM - WHERE
(정답률: 66%)
  • UPDATE - FROM - WHERE은 SQL 문의 형식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UPDATE 문은 특정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하는데 사용되는데, FROM 절은 다른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PDATE 문에서는 FROM 절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Data Base Administration)의 임무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수정하거나 물리적 저장 구조를 수정한다.
  2. 사용자들에게 데이터 접근권한을 부여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제어한다.
  3. 데이터베이스 도입 단계부터 실제 운영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계획을 수립 및 수행한다.
  4. 응용 프로그래머들이 작성한 데이터베이스 응용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고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정답률: 44%)
  • 응용 프로그래머들이 작성한 데이터베이스 응용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고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DBA의 역할이 아니라 사용자의 역할이기 때문입니다. DBA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보안 등을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 운영 체제

31. Windows 98을 종료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작버튼에서 시스템종료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2. Ctrl + Alt + Del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3. 바탕화면에서 Alt + F4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4. Ctrl + Alt + Shift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정답률: 71%)
  • Windows 98에서는 Ctrl + Alt + Shift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하는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스(MS-DOS)의 명령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FC : 모든 열려 있는 파일을 닫는다.
  2. CD : 현재의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3. CLS : 화면을 깨끗이 지운다.
  4. MD :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든다.
(정답률: 59%)
  • 정답은 "FC : 모든 열려 있는 파일을 닫는다." 이다. FC는 파일 비교 명령어이며, 모든 열려 있는 파일을 닫는 기능은 없다. 올바른 설명은 "EXIT : 현재의 명령 프롬프트를 종료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98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모든 파일은 파일명 없이 아이콘으로 되어 있다.
  2. GUI(Graphic User Interface) 방식의 운영체제이다.
  3.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한다.
  4. 마우스 버튼을 눌러 원하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정답률: 69%)
  • Windows 98에서는 파일명이 아이콘으로 대체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파일을 구분하기 어렵고, 파일명을 변경하거나 검색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98에서 64KB 이내의 텍스트형식의 파일만 지원하며 간단한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보조프로그램은?

  1. 메모장
  2. 워드패드
  3. 한글
  4. 그림판
(정답률: 70%)
  • Windows 98에서는 64KB 이내의 텍스트형식의 파일만 지원하기 때문에 간단한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보조프로그램으로는 메모장이 적합합니다. 메모장은 텍스트 파일을 만들고 편집할 수 있는 간단한 편집기로, 용량이 작고 빠르게 실행되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Windows 98에서도 메모장을 이용하여 간단한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UNIX에서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보여주는 명령은?

  1. ls
  2. mv
  3. cd
  4. pwd
(정답률: 53%)
  • 정답: ls

    설명: ls는 "list"의 약자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mv는 파일을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하는 명령어, cd는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 pwd는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보여주는 명령어는 l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페이지 대체 알고리즘에서 계수기를 두어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할 페이지로 선택하는 방법은?

  1. LFU
  2. LRU
  3. FIFO
  4. OPT
(정답률: 60%)
  • 계수기를 두어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법은 LFU 알고리즘이며, LRU 알고리즘은 가장 최근에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LRU 알고리즘이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Unix 시스템은 "Shell" 이라는 명령어 해석기를 사용하는데, Shell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Bourn Shell
  2. Korn Shell
  3. System Shell
  4. C Shell
(정답률: 56%)
  • 정답은 "System Shell"입니다.

    "System Shell"은 존재하지 않는 Shell 종류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hell 종류로는 "Bourn Shell", "Korn Shell", "C Shell" 등이 있습니다.

    Shell은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합니다. 각 Shell은 특정한 기능과 문법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실시간 처리 시스템과 거리가 먼 것은?

  1. 급여 처리 시스템
  2. 온라인 예금 시스템
  3. 산업 제어 시스템
  4. 좌석 예약 시스템
(정답률: 56%)
  • 급여 처리 시스템은 일정한 주기로 처리되기 때문에 실시간 처리 시스템과 거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월 말일에 급여가 지급되는 경우, 해당 시스템은 매월 말일에 일괄적으로 처리되므로 실시간 처리 시스템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운영체제의 성능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 가능도는 시스템을 얼마나 빨리 사용할 수 있는가의 정도를 나타낸다.
  2. 처리능력은 수치가 높을수록 좋다.
  3. 응답시간은 수치가 높을수록 좋다.
  4. 신뢰도는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얼마나 정확하게 해결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정답률: 75%)
  • 응답시간은 수치가 낮을수록 좋다. 응답시간은 시스템이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이고 그에 대한 결과를 반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응답시간이 짧을수록 사용자는 빠르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더 좋은 성능을 가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98의 탐색기에서 연속적인 여러 개의 파일을 한꺼번에 선택할 때 마우스와 함께 사용하는 키는?

  1. Alt
  2. Shift
  3. Tab
  4. Ctrl
(정답률: 69%)
  • Shift 키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여러 개의 파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첫 번째 파일을 선택한 후, Shift 키를 누른 채로 마지막 파일까지 드래그하면 해당 파일들이 모두 선택됩니다. 이는 Shift 키가 범위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도스(MS-DOS)에서 시스템 부팅시 반드시 필요한 파일이 아닌 것은?

  1. MSDOS.SYS
  2. CONFIG.SYS
  3. IO.SYS
  4. COMMAND.COM
(정답률: 64%)
  • CONFIG.SYS 파일은 시스템 부팅시 필수적인 파일은 아니며, 사용자가 시스템 구성을 변경하거나 추가적인 드라이버를 로드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정 파일입니다. 반면, MSDOS.SYS, IO.SYS, COMMAND.COM 파일은 시스템 부팅시 필수적으로 로드되어야 하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98에서 한번의 마우스 조작만으로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 사이를 오가며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1. 작업 표시줄
  2. 바탕화면
  3. 시작 버튼
  4. 내 컴퓨터
(정답률: 79%)
  • 작업 표시줄은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의 아이콘을 보여주며, 마우스로 클릭하면 해당 프로그램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번의 마우스 조작만으로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 사이를 오가며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98에서 새로운 하드웨어를 장착하고 시스템을 가동시키면 자동으로 하드웨어를 인식하고 실행하는 기능은?

  1. Interrupt 기능
  2. Auto & play 기능
  3. Plug & play 기능
  4. Auto & plug 기능
(정답률: 80%)
  • Plug & play 기능은 하드웨어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설정이나 드라이버 설치 없이 새로운 하드웨어를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terrupt 기능은 하드웨어와 CPU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기능이며, Auto & play 기능과 Auto & plug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괄호 안의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Operating System
  2. File System
  3. GUI
  4. Compiler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컴퓨터의 부팅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것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입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며, 다른 프로그램들이 실행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정답은 "Operating Syste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indows 98에서 디스크 조각모음을 수행할 수 없는 매체는?(단, 각 매체는 로컬(Local) 매체를 의미한다.)

  1. CD-ROM
  2. 5.25 인치 플로피
  3. 하드디스크
  4. 3.5 인치 플로피
(정답률: 60%)
  • CD-ROM은 읽기 전용 매체이기 때문에 디스크 조각모음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CD-RO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도스(MS-DOS)에서 외부명령어가 아닌 것은?

  1. FORMAT
  2. LABEL
  3. COPY
  4. CHKDSK
(정답률: 61%)
  • 외부명령어란, 운영체제에 내장되어 있지 않고 별도로 설치되어 사용하는 명령어를 말합니다. 따라서, MS-DOS에 내장되어 있는 명령어 중 외부명령어가 아닌 것은 COPY입니다. COPY는 MS-DOS에 내장되어 있는 파일 복사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Windows 98에서 도스 프롬프트 상태로 부팅되게 하는 멀티 부팅 메뉴는?

  1. Logged
  2. Step - by - step configuration
  3. Normal
  4. Command Prompt Only
(정답률: 54%)
  • Windows 98에서 "Command Prompt Only" 옵션은 도스 프롬프트 상태로 부팅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다른 옵션들은 일반적인 Windows 부팅을 위한 것이며, "Logged" 옵션은 부팅 시 로그 파일을 작성하도록 합니다. "Step-by-step configuration" 옵션은 부팅 시 각 구성 요소가 로드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Normal" 옵션은 일반적인 Windows 부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Windows 98에서 현재 선택된 프로그램 창을 종료하는 단축키는?

  1. Alt + F1
  2. Shift + Esc
  3. Alt + F4
  4. Ctrl + Esc
(정답률: 80%)
  • 정답은 "Alt + F4"입니다. 이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현재 활성화된 창을 종료하는 기본 단축키입니다. "Alt" 키와 "F4" 키를 동시에 누르면 현재 창이 종료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윈도우 탐색기나 작업 관리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이지만, 현재 선택된 프로그램 창을 종료하는 기능은 "Alt + F4" 단축키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에서 규정시간 또는 시간 조각(Slice)을 미리 정의하여 CPU 스케줄러가 준비상태 큐에서 정의된 시간만큼 각 프로세스에 CPU를 제공하는 시분할 시스템에 적절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1. RR(Round-Robin)
  2. FCFS(First-Come-First-Served)
  3. SRT(Shortest Remaining Time)
  4. SJF(Shortest Job First)
(정답률: 55%)
  • RR(Round-Robin) 알고리즘은 시간 조각을 미리 정의하여 각 프로세스에 CPU를 일정 시간만큼 할당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때, 각 프로세스는 일정 시간만큼 CPU를 사용하고 다시 준비상태 큐의 맨 뒤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프로세스가 공평하게 CPU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응답시간도 빠르고 대기시간도 적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Which is not Operating System?

  1. PASCAL
  2. UNIX
  3. DOS
  4. WINDOWS 98
(정답률: 66%)
  • PASCAL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운영 체제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 통신 일반

51. 데이터통신에 있어서 전송 속도의 표준 기본 단위는?

  1. message/sec
  2. bit/sec
  3. word/sec
  4. character/sec
(정답률: 74%)
  • 전송 속도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를 나타내는데, 데이터는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bit) 단위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전송 속도의 표준 기본 단위는 bit/sec입니다. 메시지, 단어, 문자 등은 데이터의 크기나 형식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지만, 비트는 모든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이기 때문에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정한 폭을 가진 한 통신선로의 주파수 대역폭을 여러 개의 작은 대역폭으로 나누는 방식을 써서 전송선로를 분담하는 방식은?

  1. 시분할다중화방식
  2. 대역분할다중화방식
  3. 주파수분할다중화방식
  4. 선로스위칭다중화방식
(정답률: 50%)
  • 일정한 폭을 가진 한 통신선로의 주파수 대역폭을 여러 개의 작은 대역폭으로 나누어 전송선로를 분담하는 방식이 주파수분할다중화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사용자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합니다. 이 방식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하나의 중앙처리장치에 통신회선을 통하여 여러 개의 입·출력장치를 항시 연결해서 자료를 처리하는 방식은?

  1. 중앙 처리 방식
  2. 온라인 시스템
  3. 오프라인 시스템
  4. 일괄 처리 방식
(정답률: 29%)
  • 온라인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와 입·출력장치가 통신회선으로 항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요청하는 즉시 실시간으로 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처리 속도가 빠르고 실시간성이 높으며, 사용자와 시스템이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통신선로를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한 장비는?

  1. 변복조기
  2. 단말기
  3. 음향결합기
  4. 집중화기
(정답률: 22%)
  • 통신선로를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단말기를 한 곳에 모아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집중화기입니다. 집중화기는 여러 대의 단말기를 연결하여 하나의 통신선로로 통합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통신선로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집중화기가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ITU-T 권고안에서 아날로그 전화통신망을 이용한 프로토콜 시리즈는?

  1. K 시리즈
  2. X 시리즈
  3. T 시리즈
  4. V 시리즈
(정답률: 35%)
  • V 시리즈는 ITU-T에서 아날로그 전화통신망을 이용한 프로토콜 시리즈로 지정한 것입니다. K 시리즈는 전기적 특성을 다루는 권고안, X 시리즈는 데이터 통신을 다루는 권고안, T 시리즈는 텔레콤 네트워크 관련 권고안을 다루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보통신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정보통신망에는 무선전화회선을 포함하지 않는다.
  2. 정보통신은 단말장치가 불필요한 것이 특징이다.
  3. 이용약관은 통신관계법령으로 규정하고 있다.
  4. 정보통신은 광케이블을 필히 그 구성요소로 한다.
(정답률: 44%)
  • 이용약관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계약서로, 이용자의 권리와 의무, 서비스 이용 조건 등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용약관은 정보통신 관련 법령인 통신관계법령에 따라 규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용약관은 통신관계법령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정보통신에서 Ferranti 현상을 옳게 기술한 것은?

  1. 수신단 신호의 절대값이 송신단 신호의 절대값보다 큰 현상
  2. 임피던스가 정합된 전송선로에서 발생하는 현상
  3. 지하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현상
  4. 일반적인 통신 잡음 및 왜곡 현상
(정답률: 27%)
  • Ferranti 현상은 전송선로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신단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절대값이 송신단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절대값보다 큰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송선로에서 발생하는 반사파가 수신단과 송신단 사이를 오가며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사파는 수신단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왜곡시키고 잡음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Ferranti 현상은 전송선로의 설계나 장비의 선택 등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국제전기통신부호 제5호(ITU-T NO.5)로 채택하여 데이터 통신용 전송부호로 이용되고 있는 부호는?

  1. ASCII 부호
  2. TELEX 부호
  3. MORSE 부호
  4. EBCDIC 부호
(정답률: 48%)
  • 국제전기통신부호 제5호(ITU-T NO.5)는 데이터 통신용 전송부호로서, 문자와 숫자를 7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는 부호체계입니다. 이러한 7비트 부호체계는 ASCII 부호체계로도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용 부호체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SCII 부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데이터통신에서 교환기와의 회선접촉 불량에 의하여 주로 생기는 잡음은?

  1. 위상의곡(Phase Distortion)
  2. 감쇄(Attenuation)
  3. 비선형의곡(Nonlinear Distortion)
  4. 충격성잡음(Impulse Noise)
(정답률: 51%)
  • 교환기와의 회선접촉 불량으로 인해 생기는 잡음은 충격성잡음입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전압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으로, 전송되는 신호에 갑작스러운 노이즈가 섞이게 됩니다. 이는 주로 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물리적인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데이터 전송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동기식(Synchronous)전송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동기를 하기 위해서 SYN란 캐릭터를 사용한다.
  2.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필요하다.
  3. 고속도 전송에 주로 이용된다.
  4. 전송효율이 비동기식 전송보다 낮다.
(정답률: 51%)
  • 전송효율이 비동기식 전송보다 낮다는 것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SYN과 ACK 신호를 주고받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송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비동기식 전송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