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정보처리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 계산기 일반

1. 컴퓨터 시스템에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CPU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단계의 하나로서,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읽어 들이는 단계는?

  1. 해독(Decoding)단계
  2. 인출(Fetch)단계
  3. 재기록(Write Back)단계
  4. 실행(Execute)단계
(정답률: 63%)
  • 인출 단계는 CPU가 기억장치에서 명령어를 읽어와서 CPU 내부의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출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6진수 FF를 10진수로 나타내면?

  1. 257
  2. 256
  3. 255
  4. 254
(정답률: 67%)
  • 16진수 FF는 10진수로 255를 나타냅니다. 이는 16진수에서 F가 15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F는 15*16^1 + 15*16^0 = 25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언어번역 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로더
  2. 어셈블러
  3. 인터프리터
  4. 컴파일러
(정답률: 69%)
  • 로더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며, 언어번역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어셈블러, 인터프리터, 컴파일러는 모두 언어번역 프로그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반가산기(Half-Adder)의 논리회로도에서 자리올림이 발생하는 회로는?

  1. Exclusive OR
  2. OR
  3. NOT
  4. AND
(정답률: 65%)
  • 반가산기의 논리회로도에서 자리올림이 발생하는 회로는 "AND" 입니다. 이는 반가산기에서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 자리올림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AND 게이트는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 출력값이 1이 되는 논리게이트이므로, 두 입력값이 모두 1일 때 자리올림이 발생하는 반가산기에서는 AND 게이트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기억장치, 제어장치, 연산장치 사이에서 정보가 이동되는 경로이다. 빈 부분에 알맞은 장치는?

  1. ① 주기억장치, ② 제어장치, ③ 연산장치
  2. ① 제어장치, ② 주기억장치, ③ 연산장치
  3. ① 주기억장치, ② 연산장치, ③ 제어장치
  4. ① 제어장치, ② 연산장치, ③ 주기억장치
(정답률: 79%)
  •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장치가 읽어와 연산장치에서 처리하고, 다시 제어장치를 통해 주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이동 경로는 주기억장치 → 제어장치 → 연산장치 → 제어장치 → 주기억장치 순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답은 "① 주기억장치, ② 연산장치, ③ 제어장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누산기(Accumulator)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산술연산 또는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다.
  2. 연산명령이 주어지면 연산준비를 하는 장치이다.
  3. 연산명령의 순서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4. 연산부호를 해독하는 해독장치이다.
(정답률: 79%)
  • 누산기는 산술연산 또는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다음 연산에 필요한 값을 저장하고, 이전 연산 결과를 다음 연산에 이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누산기는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불대수(Boolean algebra)의 정리 중 틀린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는 드 모르간의 법칙이 아니라 드 모르간의 정리이기 때문입니다. 드 모르간의 법칙은 ~(A∨B) = ~A∧~B와 ~(A∧B) = ~A∨~B로 표현되며, 드 모르간의 정리는 ~(A∨B) = ~A∩~B와 ~(A∧B) = ~A∪~B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의 논리회로에서 입력 A, B, C에 대한 출력 Y의 값은?

(정답률: 79%)
  • 입력 A, B, C 중 하나라도 1이면 AND 게이트의 출력은 0이 되고,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입력 A, B, C가 각각 0, 0, 1일 때만 출력 Y가 1이 되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에서 A의 값이 1010, B의 값이 1110일 때 출력 Y의 값은?

  1. 1010
  2. 1111
  3. 0100
  4. 1001
(정답률: 73%)
  • A와 B의 값을 AND 게이트로 연결하여 출력값을 구합니다. A의 값이 1010이므로, A1은 1, A2는 0, A3은 1, A4는 0입니다. B의 값이 1110이므로, B1은 1, B2는 1, B3은 1, B4는 0입니다. 따라서, AND 게이트의 입력값은 1010 AND 1110 = 1010이 됩니다. 이 값을 디코더의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출력값을 구합니다. 디코더의 출력값은 입력값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비트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형태입니다. 따라서, 1010에 해당하는 인덱스는 2이므로, 디코더의 출력값은 01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비트(bit) 기억장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누산기
  2. 레지스터
  3. 계전기
  4. 플립플롭
(정답률: 74%)
  • 1비트(bit) 기억장치는 0 또는 1의 두 가지 상태만을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기억장치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서, 플립플롭이 가장 적합한 기억장치입니다. 플립플롭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비트(bit) 기억장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항 연산(Binary Operation)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AND
  2. Rotate
  3. Complement
  4. Shift
(정답률: 76%)
  • 2항 연산은 두 개의 항을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AND"는 두 개의 비트를 비교하여 둘 다 1일 경우에만 결과값이 1이 되는 연산입니다. 따라서 "AND"는 2항 연산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2진수 1101.101를 10진수로 표현하면?

  1. 13.625
  2. 13.5
  3. 13.875
  4. 13.6875
(정답률: 50%)
  • 2진수 1101.101을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수점을 기준으로 정수부와 소수부를 분리합니다.
    - 정수부: 1101 (2진수)
    - 소수부: 0.101 (2진수)

    2. 정수부를 10진수로 변환합니다.
    - 1101 (2진수) = 1x2^3 + 1x2^2 + 0x2^1 + 1x2^0 = 8 + 4 + 0 + 1 = 13

    3. 소수부를 10진수로 변환합니다.
    - 0.101 (2진수) = 1x2^-1 + 0x2^-2 + 1x2^-3 = 0.5 + 0 + 0.125 = 0.625

    4. 정수부와 소수부를 합하여 최종 결과를 구합니다.
    - 13 + 0.625 = 13.625

    따라서, 정답은 "13.6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보기의 연산은?

  1. MOVE 연산
  2. OR 연산
  3. AND 연산
  4. Complement 연산
(정답률: 83%)
  • 위 보기에서는 두 개의 비트열이 AND 연산으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는 연산입니다. 따라서 위 보기에서는 두 비트열의 각 비트를 비교하여 둘 다 1인 경우에만 결과 비트열의 해당 비트가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ND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명령어 형식 중 기억 장치에 접근할 피 연산자가 없는 것으로 산술에 필요한 명령어는 스택 구조 형태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은?

  1. 2-주소 형식
  2. 1-주소 형식
  3. 0-주소 형식
  4. 3-주소 형식
(정답률: 78%)
  • 0-주소 형식은 명령어에서 피 연산자가 없으므로, 스택 구조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스택 구조에서는 연산에 필요한 피 연산자를 스택에 push하고, 연산 결과를 스택에 다시 push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피 연산자의 주소를 명령어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0-주소 형식은 스택 구조에서 처리하기 적합한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명령어 구성에서 연산자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소 지정 기능
  2. 입·출력 기능
  3. 제어 기능
  4. 함수 연산 기능
(정답률: 60%)
  • 주소 지정 기능은 연산자의 기능이 아니라, 변수나 메모리 주소를 지정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주소 지정 기능은 명령어 구성에서 연산자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nstruction의 구성에서 처음의 바이트(Byte)에 기억되는 것은?

  1. Length
  2. Operand
  3. Op Code
  4. Comma
(정답률: 77%)
  • Instruction의 구성에서 처음의 바이트(Byte)에는 해당 명령어의 Op Code가 기억됩니다. Op Code는 해당 명령어의 종류를 식별하는 코드로, CPU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Instruction의 구성에서 처음의 바이트는 Op Code가 되며, 이것이 명령어의 종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소 부분에 있는 값이 실제 데이터가 있는 실제 기억장치 내의 주소를 나타내며 단순한 변수 등을 액세스하는데 사용되는 주소 지정 방식은?

  1. 상대 Address
  2. 절대 Address
  3. 간접 Address
  4. 직접 Address
(정답률: 54%)
  • 주소 부분에 있는 값이 실제 데이터가 있는 실제 기억장치 내의 주소를 직접 나타내기 때문에 "직접 Address"라고 부릅니다. 다른 주소 지정 방식들은 간접적으로 주소를 나타내거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주소를 계산하기 때문에 "직접 Address"가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동시에 여러 개의 입·출력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채널은?

  1. Selector Channel
  2. Register Channel
  3. Multiplexer Channel
  4. Duplex Channel
(정답률: 85%)
  • Multiplexer Channel은 여러 개의 입·출력장치를 하나의 채널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이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RS 플립플롭에서 S=1, R=1이면 출력은 어떤 상태가 되는가?

  1. 불능(Not Allowed)
  2. 1로 Set됨
  3. 0으로 Reset됨
  4. 불변 (No Change)
(정답률: 57%)
  • RS 플립플롭에서 S=1, R=1이면 출력은 "불능(Not Allowed)" 상태가 됩니다. 이는 S와 R 입력이 모두 1인 경우, 출력이 불안정하게 되어 예측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태를 "메타스터블(Metastable)" 상태라고도 부르며, 이는 회로 설계에서 피해야 할 상황입니다. 따라서 S와 R 입력이 모두 1인 경우는 회로 설계에서 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만 있고,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억된 내용이 소멸되지 않는 것은?

  1. DAM
  2. ROM
  3. DOM
  4. RAM
(정답률: 74%)
  • ROM은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읽기 전용 메모리입니다.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는 있지만, 쓰기가 불가능하며 전원이 차단되어도 내용이 소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억된 내용을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패키지 활용

2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개념 스키마, 핵심 스키마, 구체적 스키마
  2. 외부 스키마, 핵심 스키마, 내부 스키마
  3. 개념 스키마, 구체적 스키마, 응용 스키마
  4.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
(정답률: 85%)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 가장 적절한 것은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입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3단계 구조를 나타내며, 각각의 스키마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외부 스키마: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합니다. 즉,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와 접근 방법을 정의합니다.
    - 개념 스키마: 데이터베이스 전체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합니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와 그들 간의 관계를 정의합니다.
    - 내부 스키마: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합니다. 즉,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방식과 저장 위치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는 이러한 3단계 구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단계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1)-(4)-(2)-(3)
  2. (1)-(3)-(2)-(4)
  3. (1)-(2)-(4)-(3)
  4. (1)-(2)-(3)-(4)
(정답률: 68%)
  • 정답은 "(1)-(2)-(3)-(4)"입니다.

    (1)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는 시스템이 제공해야 할 기능과 데이터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합니다.

    (2)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파악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작성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업무 프로세스와 데이터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ER(Entity-Relationship)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합니다.

    (3)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작성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ER 다이어그램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로 변환하고,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합니다.

    (4)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테이블과 인덱스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DBMS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보안성 보장
  2. 데이터 중복성 최대화
  3. 데이터 공유
  4. 데이터 무결성 유지
(정답률: 80%)
  • 데이터 중복성 최대화는 DBMS의 단점이며, 이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해치고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데이터 중복성 최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프레젠테이션을 구성하는 내용을 하나의 화면 단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슬라이드
  2. 개체
  3. 포인트
  4. 서식파일
(정답률: 85%)
  • 프레젠테이션은 여러 개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화면을 하나의 단위로 나누어 표현한 것이 슬라이드입니다. 슬라이드는 프레젠테이션의 기본 단위이며, 각 슬라이드는 개체와 포인트, 서식파일 등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스프레드시트 작업에서 반복되거나 복잡한 단계를 수행하는 작업을 일괄적으로 자동화시켜 처리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필터
  2. 검색
  3. 정렬
  4. 매크로
(정답률: 85%)
  • 매크로는 스프레드시트 작업에서 반복되거나 복잡한 단계를 수행하는 작업을 일괄적으로 자동화시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인 필터, 검색, 정렬은 스프레드시트에서 수행하는 일반적인 작업이지만, 매크로는 이러한 작업을 자동화시켜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학생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한 후, 주소 필드가 누락되어 이를 추가하려고 할 때의 적합한 SQL 명령은?

  1. CREATE TABLE
  2. ADD TABLE
  3. ALTER TABLE
  4. MODIFY TABLE
(정답률: 61%)
  • 주소 필드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이미 생성된 학생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므로 "ALTER TABLE" 명령이 적합합니다. "CREATE TABLE"은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할 때 사용하며, "ADD TABLE"과 "MODIFY TABLE"은 SQL에서 사용되지 않는 잘못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질의를 SQL 문으로 옳게 표기한 것은?

  1. SELECT 상품명, 단가, 수량 FROM 상품 WHERE 수량 >= 50000;
  2. SELECT 상품 FROM 상품명, 단가, 수량 WHERE 단가 >= 50000;
  3. SELECT 상품명, 단가, 수량 FROM 상품 WHERE 단가 >= 50000;
  4. SELECT 상품명, 단가, 수량 FROM 상품 IF 단가 >= 50000;
(정답률: 48%)
  • 상품 테이블에서 단가가 50000 이상인 상품의 상품명, 단가, 수량을 선택하는 쿼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SQL에서 데이터 검색을 할 경우 검색된 결과값의 중복 레코드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옵션은?

  1. distinct
  2. *
  3. all
  4. cascade
(정답률: 67%)
  • "distinct" 옵션은 검색된 결과값에서 중복된 레코드를 제거하여 유일한 값을 반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검색된 결과값에서 중복된 레코드를 제거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SQL 문의 형식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DELETE - FROM - WHERE
  2. INSERT - INTO - VALUES
  3. UPDATE - FROM - WHERE
  4. SELECT - FROM - WHERE
(정답률: 67%)
  • UPDATE - FROM - WHERE은 SQL 문의 형식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UPDATE 문은 특정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하는데 사용되는데, FROM 절은 다른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PDATE 문에서는 FROM 절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업의 제품소개나 연구발표, 회의내용 요약 등 각종 그림이나 도표,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많은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의미를 전달할 때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1. 스프레드시트
  2. 프레젠테이션
  3. 데이터베이스
  4. 유틸리티
(정답률: 82%)
  • 프레젠테이션은 그림, 도표,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많은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의미를 전달할 때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제품소개나 연구발표, 회의내용 요약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스프레드시트는 숫자나 데이터를 관리하고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틸리티는 컴퓨터 시스템의 유지보수나 관리를 위한 도구들을 모아놓은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 운영 체제

31. Windows 98에서 [디스크 조각모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파일을 정리한다.
  2. 디스크의 삭제된 파일을 복구한다.
  3. 디스크의 물리적 손상부분을 제거한다.
  4. 디스크의 논리적 영역을 할당한다.
(정답률: 66%)
  • 디스크 조각모음은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들이 조각나서 저장되어 있을 때,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파일을 정리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파일을 정리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98의 탐색기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같은 드라이브로 이동하는 방법 및 선택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누른 후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2. 마우스의 왼쪽단추로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3. 비 연속인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 할 경우 Shift 단축키를 사용한다.
  4. 이동할 파일이나 폴더의 전체항목을 선택하는 단축키는 Ctrl + A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마우스의 왼쪽단추로 드래그 앤 드롭을 이용하여 이동한다."입니다.

    Shift 단축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연속적인 범위 내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기 위해서입니다. Shift 키를 누른 후 첫 번째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마지막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할 때까지 Shift 키를 누른 채로 마우스를 이동하면 해당 범위 내의 모든 파일이나 폴더가 선택됩니다.

    Ctrl + A 단축키는 전체 항목을 선택하는 단축키이지만, 이동할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는 단축키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준비상태(Ready)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CPU를 할당(Running 상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타이머 종료(Timer Runout)
  2. 디스패치(Dispatch)
  3. 사건대기(Event Wait)
  4. 깨어남(Wake Up)
(정답률: 70%)
  • 디스패치는 준비상태에 있는 프로세스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CPU를 할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CPU를 할당하는 것을 의미하는 디스패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UNIX에서 현재 작업 디렉토리 경로를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는?

  1. cat
  2. pr
  3. ar
  4. pwd
(정답률: 60%)
  • 정답: pwd

    이유: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경로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98에서 선택된 아이콘을 다른 폴더로 이동 또는 복사하기 위하여 아이콘을 선택한 후 왼쪽버튼을 누른 채 원하는 곳에 끌어다 놓은 후, 마우스 버튼을 놓는 마우스 동작 방법은?

  1. CLICK AND DROP
  2. DRAG AND DROP
  3. DOUBLE CLICK
  4. CLICK
(정답률: 71%)
  • 선택된 아이콘을 다른 폴더로 이동 또는 복사하기 위해서는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합니다. 이러한 동작을 "DRAG AND DROP"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RAG AND DROP"입니다. "CLICK AND DROP"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며, "DOUBLE CLICK"은 더블 클릭, "CLICK"은 클릭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98에서 도스 창을 열어 작업한 후, 다시 윈도로 복귀하고자 할 때 도스 창을 종료하는 방법은?

  1. Ctrl + Enter를 누른다.
  2. “EXIT”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3. Esc를 누른다.
  4. Alt + F4를 누른다.
(정답률: 54%)
  • 도스 창에서 "EXIT" 명령어를 입력하면 도스 창이 종료되고 윈도 화면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이는 도스 창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를 종료하고 도스 창을 닫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Ctrl + Enter", "Esc", "Alt + F4"는 모두 윈도 화면에서 창을 닫는 단축키이므로 도스 창을 종료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컴퓨터 센터에 작업을 지시하고 나서부터 결과를 받을 때까지의 경과 시간은?

  1. 턴 어라운드 시간(Turnaround Time)
  2. 프로세스 시간(Process Time)
  3. 서치 시간(Search Time)
  4. 액세스 시간(Access Time)
(정답률: 60%)
  • 턴 어라운드 시간은 프로세스가 컴퓨터 센터에 작업을 지시하고 나서부터 결과를 받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확히 이 시간을 묻고 있으므로 "턴 어라운드 시간(Turnaround Time)"이 정답입니다. 프로세스 시간은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서치 시간은 데이터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액세스 시간은 데이터에 접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98에서는 CD-ROM Title를 드라이브에 넣으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 기능을 멈추게 하는 방법은?

  1. F4 를 누른 채로 삽입
  2. Ctrl 을 누른 채로 삽입
  3. Alt 를 누른 채로 삽입
  4. Shift 를 누른 채로 삽입
(정답률: 46%)
  • Windows 98에서는 CD-ROM Title을 드라이브에 넣으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기능을 AutoPlay라고 합니다. 이 기능을 멈추기 위해서는 Shift 키를 누른 채로 CD-ROM을 삽입하면 됩니다. Shift 키를 누르면 AutoPlay가 실행되지 않고 CD-ROM이 그냥 열립니다. 이는 Windows 98에서 CD-ROM을 열 때 Shift 키를 누르면 AutoPlay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UNIX 명령어 중 DOS의 DIR과 같은 역할을 하는 명령은?

  1. pwd
  2. cd
  3. cp
  4. ls
(정답률: 55%)
  • 정답은 "ls"입니다.

    "ls"는 UNIX 및 Linux 시스템에서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이는 DOS의 "DIR" 명령어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pwd"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고, "cd"는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cp"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UNIX 명령어 “rm”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파일 이동
  2. 파일 삭제
  3. 디렉토리 이동
  4. 디렉토리 생성
(정답률: 71%)
  • rm은 re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일 삭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 98에서 제어판에 있는 디스플레이 항목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마우스 포인터의 모양 변경
  2. 해상도 지정
  3. 화면 보호기능
  4. 배경무늬 변경
(정답률: 72%)
  • Windows 98에서 제어판의 디스플레이 항목은 화면과 관련된 다양한 설정을 제공합니다. 그 중 "마우스 포인터의 모양 변경"은 디스플레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능입니다. 이는 마우스 설정과 관련된 항목으로, 마우스의 모양을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마우스 포인터의 모양 변경"은 디스플레이 항목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스(MS-DOS)에서 별도의 실행 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COMMAND.COM”이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을 경우, 항상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를 의미하는 것은?

  1. 배치 명령어
  2. 실행 명령어
  3. 외부 명령어
  4. 내부 명령어
(정답률: 60%)
  • 내부 명령어는 MS-DOS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로, 별도의 실행 파일이 필요하지 않고 COMMAND.COM에 내장되어 있어 항상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배치 명령어, 실행 명령어, 외부 명령어와는 달리 별도의 파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항상 사용 가능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98에서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방법 중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1. Windows 탐색기로 삭제할 응용 프로그램 폴더를 찾아서 delete 키를 누른다.
  2. 내 컴퓨터 창을 열어서 삭제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을 휴지통으로 Drag & Drop 한다.
  3. 시작 메뉴를 클릭하여 프로그램 메뉴를 선택한 후 삭제할 응용 프로그램을 휴지통으로 Drag & Drop 한다.
  4.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삭제 아이콘을 이용하여 삭제한다.
(정답률: 61%)
  •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삭제 아이콘을 이용하여 삭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파일이나 레지스트리 항목 등을 함께 삭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실수로 필요한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98의 [내 컴퓨터] → [(C:)] → [등록 정보] → [도구]에서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은?

  1. 내게 필요한 옵션
  2. 새 하드웨어 추가
  3. 디스크 조각 상태
  4. 프로그램 추가/삭제
(정답률: 40%)
  • 디스크 조각 상태는 하드 디스크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파일들이 조각나서 저장되는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 항목에서는 디스크 조각 상태를 확인하고 조각난 파일들을 정리하여 하드 디스크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항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정의하는 용어는?

  1. 인터럽트
  2. 프로세스
  3. 버퍼
  4. 커널
(정답률: 65%)
  • 프로세스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정의하는 용어입니다. 프로세스는 메모리에 할당된 코드와 데이터, 실행 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하며,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됩니다. 인터럽트는 프로세스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예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며, 버퍼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을 의미하며,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Windows 98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lug and Play 기능을 지원한다.
  2. 데이터를 한번에 16비트 단위로 처리한다.
  3.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었다.
  4.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지원한다.
(정답률: 75%)
  • 데이터를 한번에 16비트 단위로 처리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Windows 98은 32비트 운영체제이며, 데이터 처리도 32비트 단위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Windows 98에서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을 정렬하려고 할 때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아이콘 정렬방식이 아닌 것은?

  1. 크기순 정렬
  2. 계단식 정렬
  3. 종류별 정렬
  4. 자동 정렬
(정답률: 69%)
  • 계단식 정렬은 아이콘을 세로로 정렬하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 줄씩 내려가며 정렬하는 방식입니다. 다른 정렬 방식은 가로나 세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이콘을 정렬하는 것이지만, 계단식 정렬은 아이콘의 크기나 종류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렬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아이콘 정렬방식 중에서는 유일하게 계단식 정렬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설명은 무엇에 관한 내용인가?

  1. Operating System
  2. File System
  3. Application Program
  4. Job Scheduling
(정답률: 71%)
  • 위 그림은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이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운영체제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Operating Syste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의 설명이 가장 적합한 것은?

  1. File Store
  2. Backup
  3. Formatting
  4. Booting
(정답률: 38%)
  • 위 그림은 하드 디스크의 포맷팅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ormattin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중 프로그래밍 상에서 두 개의 프로세스가 실행 중에 있게 되면, 각 프로세스는 자신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실행되다가 서로 자신이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포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경우 두 프로세스는 모두 더 이상 실행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상 시스템(Virtual System)
  2. 세마포어(Semaphore)
  3. 교착상태(Dead Lock)
  4. 임계 영역(Critical Section)
(정답률: 80%)
  •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서 더 이상 진행이 불가능한 상태를 교착상태(Dead Lock)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 통신 일반

51. 온-라인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베이스 장치
  2. 전송제어장치
  3. 통신회선
  4. 단말장치
(정답률: 39%)
  • 온-라인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는 전송제어장치, 통신회선, 단말장치로 구성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지만, 온-라인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처리하는 데에 초점을 둔 것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헤딩과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보 메시지가 3개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전송될 경우 최종 블록에 들어갈 전송 제어 캐릭터는?

  1. ETB
  2. STX
  3. EOT
  4. ETX
(정답률: 45%)
  • 정답은 "ETX"입니다.

    "ETX"는 End of Text의 약자로, 텍스트의 끝을 나타내는 제어 캐릭터입니다. 따라서 마지막 블록에는 전송할 텍스트가 더 이상 없으므로 "ETX"를 사용하여 전송을 종료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ETB"는 End of Transmission Block, "STX"는 Start of Text, "EOT"는 End of Transmission의 약자로, 각각 블록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제어 캐릭터입니다. 하지만 최종 블록에서는 전송을 종료해야 하므로 "ETX"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각 통화로에 여러 반송주파수를 할당하여 동시에 많은 통화로를 구성하는 방식은?

  1. 시분할 방식
  2. 온라인 방식
  3. 공간 분할 방식
  4. 주파수 분할 방식
(정답률: 58%)
  • 주파수 분할 방식은 각 통화로에 여러 반송주파수를 할당하여 동시에 많은 통화로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파수를 분할하여 각 통화로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하여 서로 간섭 없이 통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많은 통화로를 동시에 구성할 수 있어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데이터의 직렬 전송(Serial Transmission)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다 채널로 구성되므로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자주 이용되지 않는다.
  2.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회선(채널)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3. 부호의 단위 수 만큼 통신로를 사용하여 정보를 한번에 전송한다.
  4. 정보처리장치에서 1문자 또는 1바이트 단위로 처리한다.
(정답률: 48%)
  • 직렬 전송은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회선(채널)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병렬 전송에 비해 비경제적이지만, 전송 속도가 느린 장치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회선(채널)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전송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전자교환기용 MFC 자동전화기의 부호방식은?

  1. 단일주파부호방식
  2. 다주파부호방식
  3. 저주파부호방식
  4. 고주파부호방식
(정답률: 38%)
  • 전자교환기용 MFC 자동전화기의 부호방식은 다주파부호방식입니다. 이는 여러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숫자나 문자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단일주파수보다 오류 발생 확률이 적고 전송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또한, 다주파부호방식은 저주파와 고주파보다 더 넓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보통신시스템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 신호변환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DTE
  2. DCE
  3. DSU
  4. MODEM
(정답률: 26%)
  • DTE는 데이터 터미널 장비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소비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신호변환기는 DTE와 DCE 간의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DSU는 디지털 서비스 유닛으로, 디지털 회선에서 신호를 변환하고 증폭하는 역할을 합니다. 모뎀은 모디유레이터와 디모디유레이터의 합성어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TE는 신호변환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데이터링크 계층의 프로토콜 중 ISO에 의해 정해진 비트 방식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것은?

  1. ADCCP
  2. SDLC
  3. DDCMP
  4. HDLC
(정답률: 42%)
  • ISO에서 정한 비트 방식의 프로토콜은 HDLC입니다. HDLC는 High-level Data Link Control의 약자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HDLC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 구조와 제어 방식을 정의하고 있으며,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크레디트(Credit) 점검, 은행잔고 등의 응용 분야는?

  1. 대화형 시차배분
  2. 전문교환
  3. 원격일괄처리
  4. 정보 검색
(정답률: 28%)
  • 크레디트 점검이나 은행잔고 등의 응용 분야에서는 고객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서는 정보 검색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50보오(Baud) 통신 속도로 송신할 경우 1초간 송신되는 최단 펄스의 수는?

  1. 100
  2. 25
  3. 200
  4. 50
(정답률: 56%)
  • 50보오(Baud)는 초당 50개의 신호 변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초 동안 송신되는 최단 펄스의 수는 50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방송 네트워크의 특징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한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또는 다수의 다른 스테이션들에 의해 수신된다.
  2. 방송 네트워크는 패킷 라디오 네트워크, 인공위성 네트워크, 로컬 네트워크가 있다.
  3. 스테이션들을 공통의 통신 매체를 공유하며, 따라서 액세스 제어 기술이 필요 없다.
  4. 기본적인 구성에는 교환장치가 없다.
(정답률: 35%)
  • "스테이션들을 공통의 통신 매체를 공유하며, 따라서 액세스 제어 기술이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방송 네트워크에서도 여러 스테이션들이 공통의 통신 매체를 공유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액세스 제어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