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정보처리산업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뷰(View)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SQL에서 뷰를 생성할 때는 CREATE문을 사용한다.
  2. 뷰를 통하여 데이터를 접근하게 하면 뷰에 나타나지 않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3. 필요한 데이터만 뷰로 정의해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해진다.
  4. 삽입, 삭제 연산에 아무런 제한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뷰를 다루기가 편하다.
(정답률: 84%)
  • 뷰(View)의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SQL에서 뷰를 생성할 때는 CREATE문을 사용한다." 이다. 이유는 다른 설명들은 뷰의 장점과 기능에 대한 내용이지만, 이 설명은 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검색방법 중 찾고자 하는 레코드 키가 있음직한 위치를 추정하여 검색하는 방법은?

  1. 이진(Binary) 검색
  2. 보간(Interpolation) 검색
  3. 피보나치(Fibonacci) 검색
  4. 순차(Sequential) 검색
(정답률: 50%)
  • 보간 검색은 레코드 키 값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는 경우, 이전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검색 위치를 추정하여 검색하는 방법이다. 이에 비해 이진 검색은 레코드 키 값이 정렬되어 있을 때 사용되며, 피보나치 검색은 이진 검색과 유사하지만 검색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 다르다. 순차 검색은 모든 레코드를 순서대로 검색하는 방법으로, 검색 속도가 가장 느리다. 따라서, 레코드 키 값이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되어 있을 때 보간 검색이 가장 효율적인 검색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E-R 모델에서 사각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관계 타입
  2. 개체 타입
  3. 속성
  4. 링크
(정답률: 87%)
  • 사각형은 E-R 모델에서 "개체 타입"을 나타냅니다. 개체 타입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개체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가진 집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학생 개체 타입은 학생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성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개체 타입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로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해싱 함수 기법 중 어떤 진법으로 표현된 주어진 레코드 키 값을 다른 진법으로 간주하고 키 값을 변환하여 홈 주소로 취하는 방식은?

  1. 숫자 분석(Digit Analysis)
  2. 대수적 코딩(Algebraic Coding) 방법)
  3. 기수(Radix) 변환법
  4. 제곱(Mid-Square) 법
(정답률: 76%)
  • 기수 변환법은 주어진 레코드 키 값을 다른 진법으로 변환하여 홈 주소로 취하는 방식이다. 이는 각 자리수의 값을 이용하여 해시 함수를 계산하는 숫자 분석 방법의 일종으로, 대수적 코딩 방법과는 다르게 수학적인 계산 없이 진법 변환을 통해 해시 함수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수 변환법이 해싱 함수 기법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데이터 모델이 포함하는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개념(Concept)
  2. 구조(Structure)
  3. 연산(Operation)
  4. 제약조건(Constraint)
(정답률: 62%)
  • 개념은 데이터 모델에서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요소로, 실제 데이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구조는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의 구조와 관련된 요소로, 데이터의 속성과 관계를 정의합니다. 연산은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요소로, 데이터를 조작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제약조건은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의 제약사항을 정의하는 요소로,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개념이 데이터 모델에서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고려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스키마의 모델링 작업과 요구되는 트랜잭션 파악
  2. 파일과 구조 저장을 위한 최소한의 효율적 공간
  3. 트랜잭션의 실행을 위한 시스템내 입력부터 결과까지의 소요 시간
  4. 단위시간당 처리 가능한 평균 트랜잭션 수
(정답률: 56%)
  • 스키마의 모델링 작업과 요구되는 트랜잭션 파악은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이다. 스키마의 모델링 작업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결정하고, 요구되는 트랜잭션 파악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사항은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반면에 "파일과 구조 저장을 위한 최소한의 효율적 공간", "트랜잭션의 실행을 위한 시스템내 입력부터 결과까지의 소요 시간", "단위시간당 처리 가능한 평균 트랜잭션 수"는 모두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지만, "적당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키마의 모델링 작업과 요구되는 트랜잭션 파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릴레이션 R의 두 애트리뷰트 A와 B 사이에 함수적 종속성 A→B가 성립할 때, 그 의미를 가장 정확히 설명한 것은?

  1. 애트리뷰트 A는 릴레이션 R의 후보키이다.
  2. 애트리뷰트 A의 값 각각에 대해 애트리뷰트 B의 값이 반드시 하나만 연관된다.
  3. 애트리뷰트 B는 애트리뷰트 A로부터 어떤 함수를 적용해서 구해지는 값이다.
  4. 애트리뷰트 A는 애트리뷰트 B로부터 어떤 함수를 적용해서 구해지는 값이다.
(정답률: 41%)
  • 애트리뷰트 A→B는 애트리뷰트 A의 값이 주어지면 애트리뷰트 B의 값이 유일하게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애트리뷰트 A의 값 각각에 대해 애트리뷰트 B의 값이 반드시 하나만 연관된다."는 정답입니다. 이는 함수적 종속성의 정의를 가장 간결하게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설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 객체, 성질, 관계, 제약조건에 관한 것이다.
  2. 데이터집단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의 집합체를 말한다.
  3.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나타내는 논리적 단위로 파일시스템의 레코드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4. 물리적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본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명세를 말한다.
(정답률: 63%)
  •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설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 객체, 성질, 관계, 제약조건에 관한 것이다. 즉,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내용을 정의하는 개념적인 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자료구조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STACK
  2. QUEUE
  3. DEQUE
  4. TREE
(정답률: 89%)
  • "TREE"는 선형 자료구조가 아니라 비선형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성격이 다르다. 스택, 큐, 덱은 모두 선형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하여 저장하고 접근한다. 하지만 트리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비선형 자료구조로,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며 부모-자식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트리는 선형 자료구조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트리를 표현할 때 가장 적합한 자료구조는?

  1. Stack
  2. Queue
  3. Linked List
  4. Circular Queue
(정답률: 68%)
  • 트리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노드는 여러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Linked List가 가장 적합한 자료구조입니다. Linked List는 각 노드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노드가 자식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추가로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Linked List는 동적으로 크기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트리의 크기가 동적으로 변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

  1. Array
  2. Stack
  3. Queue
  4. Deque
(정답률: 64%)
  • 위 그림은 Stack 자료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Stack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듯이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ta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트랜잭션이 가져야 할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정확성(Accuracy)
  2. 원자성(Atomicity)
  3. 일관성(Consisitency)
  4. 고립성(Isolation)
(정답률: 50%)
  • 정확성은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데이터베이스가 일관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합니다. 다른 트랜잭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모든 변경 사항이 올바르게 반영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릴레이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ㄹ
(정답률: 75%)
  • 주어진 릴레이션은 학생(Student)과 과목(Subject)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학생과 과목 각각의 속성(Attribute)을 가지고 있고, 학생과 과목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속성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속성들은 각각의 열(Column)로 표현되고, 각 학생과 과목의 정보는 각각의 행(Row)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이 릴레이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테이블(Table)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정답은 "ㄴ"인데, 이는 릴레이션에 포함된 속성 중에서 기본키(Primary Key)가 없기 때문이다. 기본키는 각 행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으로, 릴레이션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릴레이션은 기본키가 없으므로 정규화(Normalization) 과정을 거쳐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

  1. Query
  2. Backup
  3. Transaction
  4. Integrity
(정답률: 66%)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한 번에 수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 이 작업들은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되거나, 모두 취소되어야 한다. 따라서 트랜잭션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SQL 문장의 기술이 적당치 않은 것은?

  1. select … from … where …
  2. insert … on … values …
  3. update … set … where …
  4. delete … from … where …
(정답률: 83%)
  • 정답은 "insert … on … values …"입니다.

    이유는 "insert … on … values …"는 SQL 문장에서 데이터를 삽입하는 INSERT 문장의 형식을 나타내는데, 이 문장은 기술이 적당합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SQL 문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SELECT, UPDATE, DELETE 등의 문장 형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문장의 기술도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삽입 SQ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삽입 SQL 실행문은 호스트 실행문이 나타날 수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하다.
  2. SQL문에 사용되는 호스트 변수는 콜론(:)을 앞에 붙인다.
  3. 응용 프로그램에서 삽입 SQL문은 ‘EXEC SQL’을 앞에 붙여 다른 호스트 명령문과 구별한다.
  4. 삽입 SQL문의 호스트 변수의 데이터 타입은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필드의 SQL 데이터 타입과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71%)
  • "삽입 SQL문의 호스트 변수의 데이터 타입은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필드의 SQL 데이터 타입과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호스트 변수의 데이터 타입은 데이터베이스 필드의 SQL 데이터 타입과 일치해야 합니다. 호스트 변수의 데이터 타입이 일치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에 삽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관계 데이터 연산인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계 데이터 모델에 대한 연산의 표현 방법으로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은 모두 절차적인 특성을 갖는다.
  2. 관계 대수는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으로 피연산자와 결과가 모두 릴레이션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3. 관계 해석은 원래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Predicate Calculus)에 기반을 두고 있다.
  4. 관계 대수의 일반 집합 연산에는 합집합, 교집합, 찻집합, 카티션 프로덕트 등이 있다.
(정답률: 68%)
  • "관계 데이터 모델에 대한 연산의 표현 방법으로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은 모두 절차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관계 해석은 절차적인 특성보다는 비절차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관계 해석은 수학적인 논리 기호를 사용하여 릴레이션을 조작하는 것으로, 어떤 순서나 절차 없이 논리적인 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따라서 관계 해석은 비절차적인 특성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떤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개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Cardinality
  2. Degree
  3. Domain
  4. Attribute
(정답률: 74%)
  • "Cardinality"는 어떤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개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Cardinality"이다. "Degree"는 릴레이션에서 속성의 개수를 나타내는 용어이고, "Domain"은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Attribute"는 릴레이션의 속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해싱(Hashing)에서 서로 다른 키(Key)가 같은 홈 주소(Home Address)를 가지는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동의어(Synonym)
  2. 재귀(Recursion)
  3. 충돌(Collision)
  4. 버킷(Bucket)
(정답률: 66%)
  • 충돌(Collision)이라고 한다. 해싱에서는 서로 다른 키가 같은 홈 주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돌 처리 기법을 사용한다. 충돌이 발생하면 해당 홈 주소에 있는 버킷(Bucket)에 여러 개의 키가 저장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버킷 내부에서 다른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키를 저장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보(Information)의 의미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료(Data)를 처리하여 얻은 결과
  2. 사용자가 목적하는 값
  3. 현실세계에서 관찰을 통해 얻은 값
  4. 의사결정을 위한 값
(정답률: 77%)
  • 정보는 현실세계에서 관찰을 통해 얻은 값입니다. 이는 자료를 처리하여 얻은 결과나 사용자가 목적하는 값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정보는 현실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얻어지는 값으로, 의사결정을 위한 값으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음수를 2의 보수로 표현할 때, 8비트로 나타낼 수 있는 정수의 범위는?

  1. -27 ~ +27
  2. -28 ~ + 28
  3. -27 ~ + 27-1
  4. -27-1 ~ + 27
(정답률: 68%)
  • 음수를 2의 보수로 표현할 때,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 비트로 사용되므로 8비트에서는 -128부터 시작하여 0까지의 범위가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작은 값은 -27이고 가장 큰 값은 +27-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레지스터의 내용을 메모리에 전달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Fetch
  2. Store
  3. Load
  4. Transfer
(정답률: 57%)
  • 레지스터의 내용을 메모리에 전달하는 기능을 "Store"라고 한다. 이는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를 가져오는(fetch), 메모리에서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불러오는(load), 데이터를 전송하는(transfer)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 "Store"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오퍼랜드(Operand) 자체를 데이터로 기억하는 방식은?

  1. 상대 주소 지정 방식
  2. 인덱스 지정 방식
  3. 즉시 주소 지정 방식
  4. 변형 주소 지정 방식
(정답률: 64%)
  • 오퍼랜드 자체를 데이터로 기억하는 방식은 즉시 주소 지정 방식이다. 이는 오퍼랜드가 명령어 자체에 직접 포함되어 있어서, 별도의 주소 지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즉시 주소 지정 방식은 가장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작은 규모의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명령어의 주소부분(Operand)을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 장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메모리 참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2. 레지스터 개수를 줄일 수 있다.
  3. 부동 소수점 레지스터를 사용하므로 속도가 빠르다.
  4. 동작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정답률: 58%)
  • 명령어의 주소부분(Operand)을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 해당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미리 저장해두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참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메모리 접근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전체적인 프로그램 실행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명령이 시작되는 최초의 번지를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는?

  1. 스택
  2. 누산기
  3. 베이스 레지스터
  4. 명령 레지스터
(정답률: 48%)
  • 명령이 시작되는 최초의 번지를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는 베이스 레지스터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시작 주소를 가리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주소에서 명령어를 가져와 실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2진수 1010(2)을 그레이(Gray) 코드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1111
  2. 1001
  3. 1011
  4. 1101
(정답률: 72%)
  • 정답은 "1111"이다.

    2진수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가장 왼쪽 비트를 그대로 복사한다.
    2.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의 XOR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1010(2)의 그레이 코드는 다음과 같다.

    1. 가장 왼쪽 비트인 1을 그대로 복사한다.
    2.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의 XOR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0 XOR 1 = 1, 1 XOR 0 = 1, 0 XOR 1 = 1이므로, 그레이 코드는 1111이 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1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2개 이상의 자료를 섞을 때(문자삽입 등)의 사용에 편리한 연산자는?

  1. MOVE 연산
  2. 보수 연산
  3. AND 연산
  4. OR 연산
(정답률: 66%)
  • OR 연산자는 두 개 이상의 자료를 합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자료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값은 1이 된다. 따라서 문자삽입 등의 작업에서는 OR 연산자를 사용하여 여러 자료를 합치는 것이 편리하다. 예를 들어, "Hello"와 "World"를 합치고 싶다면 "Hello" OR "World"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가상(Virtual) 기억장치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의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다.
  2. 주기억장치와 보조 기억장치가 계층 기억 체제를 이루고 있다.
  3. 컴퓨터의 기억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4. 하드웨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정답률: 43%)
  • "컴퓨터의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가상 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와 보조 기억장치가 계층 기억 체제를 이루고 있으며, 컴퓨터의 기억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이며, 하드웨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가상 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조 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함으로써 기억장치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컴퓨터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측면이 아닌 것은?

  1. 사용자의 편리성
  2. 응답시간
  3. 제작회사
  4. 신뢰도
(정답률: 87%)
  • 제작회사는 컴퓨터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컴퓨터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측면이 아니다. 제작회사는 컴퓨터의 브랜드나 제조사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품의 품질과 신뢰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16진수 (BC.D)16를 8진수로 표현한 것은?

  1. (274.15)8
  2. (274.45)8
  3. (274.61)8
  4. (274.64)8
(정답률: 58%)
  • 16진수 BC는 2진수로 10111100이고, 16진수 D는 2진수로 1101이다. 이를 합치면 101111001101이 된다. 이를 3자리씩 끊어서 8진수로 변환하면 274.6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74.6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JK 플립플롭에서 Jn=0, Kn=0 일 때, Qn+1의 출력은?

  1. 0
  2. 1
  3. Qn
  4. -1
(정답률: 50%)
  • JK 플립플롭에서 Jn=0, Kn=0 일 때, 이전 상태의 출력값을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Qn+1의 출력은 이전 상태의 출력값인 Qn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Q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인터럽트를 발생한 장치가 프로세서에게 분기할 곳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PSW
  2. 서브루틴
  3. 벡터(Vectored) 인터럽트
  4. 인터럽트 인에이블(Enable) 신호
(정답률: 53%)
  • 벡터(Vectored) 인터럽트는 인터럽트를 발생시킨 장치가 프로세서에게 분기할 곳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것은 "벡터(Vectored) 인터럽트"이다. PSW는 프로그램 상태 워드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서브루틴은 하위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방식이다. 인터럽트 인에이블(Enable) 신호는 인터럽트를 허용하는 신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디코더(Decoder)는 주로 어떤 게이트의 집합으로 구성되는가?

  1. NOT
  2. XOR
  3. OR
  4. AND
(정답률: 49%)
  • 디코더는 입력 비트 중 하나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경우에 대응하는 출력 비트를 1로 만드는 게이트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입력 비트의 개수에 따라 출력 비트의 개수가 2의 거듭제곱으로 증가하므로, 디코더는 대개 AND 게이트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이는 입력 비트 중 하나만 1이어도 출력이 0이 되는 다른 게이트들과 달리, AND 게이트는 모든 입력이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코더는 입력 비트 중 하나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경우에 대응하는 출력 비트를 1로 만들기 위해 AND 게이트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기억장치의 주소와 그 내용이 다음과 같을 때 어셈블리어(Assembly Language)로 LDA 120이면 한 명령이 직접 주소 지정방식일 경우 오퍼랜드(Operand)는 무엇이 되는가?

  1. 120
  2. 200
  3. 270
  4. 300
(정답률: 69%)
  • LDA 120은 기억장치 주소 120에 있는 데이터를 누적기로 가져오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주소 지정방식이 직접일 경우 오퍼랜드는 120이 된다. 그리고, 위의 기억장치 내용에서 120번지에는 200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LDA 120을 실행하면 누적기에 200이 저장된다. 따라서 정답은 "2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과 같은 마이크로 동작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은?

  1. AND
  2. STA
  3. BSA
  4. LDA
(정답률: 42%)
  • 이 마이크로 동작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누산기에 로드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동작은 "LDA" (Load Accumulator) 인스트럭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앙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 동작의 실행이 순서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1. 레지스터(REGISTER)
  2. 제어(CONTROL) 신호
  3. 누산기(ACCUMULATOR)
  4.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정답률: 58%)
  • 제어 신호는 중앙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 동작의 실행 순서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제어 신호가 없으면 마이크로 동작이 순서적으로 실행되지 않고,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 신호는 중앙처리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N개의 입력 데이터에서 입력선을 선택하여 단일 채널로 송신하는 것은?

  1. 인코더
  2. 감산기
  3. 전가산기
  4. 멀티플렉서
(정답률: 64%)
  • 멀티플렉서는 다수의 입력선 중에서 선택된 입력선을 단일 채널로 송신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N개의 입력 데이터에서 입력선을 선택하여 단일 채널로 송신하는 것은 멀티플렉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인코더는 입력 데이터를 압축하는 장치이고, 감산기와 전가산기는 덧셈과 뺄셈을 수행하는 장치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명령 중에서 번지 필드(Address Field)가 필요 없는 명령은?

  1. 데이터 전송 명령
  2. 산술 명령
  3. 스킵(Skip) 명령
  4. 서브루틴 Call 명령
(정답률: 52%)
  • 스킵(Skip) 명령은 번지 필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스킵 명령은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고 다음 명령어로 분기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다음 명령어의 번지 필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스킵 명령은 번지 필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하나의 전가산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반가산기 수는 몇 개인가?

  1. 5
  2. 4
  3. 3
  4. 2
(정답률: 78%)
  • 전가산기는 합과 자리올림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논리회로이다. 반가산기는 합만 처리할 수 있고 자리올림은 처리할 수 없는 논리회로이다. 따라서 전가산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반가산기 뿐만 아니라 자리올림을 처리할 수 있는 추가적인 논리회로가 필요하다. 하지만 반가산기는 합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전가산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반가산기 수는 2개이다. 첫 번째 반가산기는 입력값 두 개를 더한 합을 출력하고, 두 번째 반가산기는 입력값 두 개와 자리올림 값을 더한 합을 출력한다. 이 두 개의 반가산기를 조합하면 전가산기를 구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덱스 레지스터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서브루틴 연결
  2. 어드레스 수정
  3. 반복 계산 수행
  4. 입·출력
(정답률: 64%)
  • 인덱스 레지스터는 메모리 주소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서브루틴 연결, 어드레스 수정, 반복 계산 수행 등과 같은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러나 입·출력은 인덱스 레지스터의 사용 목적이 아닙니다. 입·출력은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인덱스 레지스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 중 Rumbaugh의 OMT 모델링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능 모델링
  2. 처리 모델링
  3. 객체 모델링
  4. 동적 모델링
(정답률: 51%)
  • Rumbaugh의 OMT 모델링 방법론에는 "기능 모델링", "객체 모델링", "동적 모델링"이 포함되어 있지만, "처리 모델링"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OMT 모델링 방법론에서는 객체들의 상호작용과 관계에 중점을 두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처리 모델링은 다른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처리 모델링은 시스템의 처리 과정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데이터 흐름 다이어그램, 상태 전이 다이어그램 등을 사용하여 처리 과정을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체크 시스템에서 계산 처리 단계에서의 오류 검사 방법이 아닌 것은?

  1. 중복 레코드(Double Record) 검사
  2. 숫자(Numeric) 검사
  3. 오버플로우(Overflow) 검사
  4. 불능, 부정 검사
(정답률: 47%)
  • 숫자(Numeric) 검사는 입력된 데이터가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 방법이며, 계산 처리 단계에서의 오류 검사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중복 레코드 검사는 중복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오버플로우 검사는 데이터가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며, 불능, 부정 검사는 입력된 데이터가 유효한 값인지 확인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색인 순차 편성에서의 각 구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트랙 인덱스 구역 - 기본 데이터 구역의 한 트랙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레코드 중에서 최대 키 값과 그 주소가 기록되어 있다.
  2. 실린더 인덱스 구역 - 처리해야 할 레코드가 어느 실린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자료를 갖고 있다.
  3. 마스터 인덱스 구역 - 실린더 오버플로우 구역에 다시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만들어 놓은 공간이다.
  4. 기본 데이터 구역 - 실제 데이터 레코드가 기록된 구역이다.
(정답률: 62%)
  • 마스터 인덱스 구역은 실린더 오버플로우 구역에 다시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만들어 놓은 공간이 아니라, 각 실린더 인덱스 구역의 위치와 크기를 기록하는 구역이다.

    간단히 말해, 마스터 인덱스 구역은 모든 실린더 인덱스 구역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마스터 인덱스 구역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료 흐름도(DFD : Data Flow Diagram)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시작점/종착점
  2. 피드백
  3. 자료 흐름
  4. 데이터 저장소
(정답률: 59%)
  • DFD에서 피드백은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DFD는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시작점/종착점은 데이터 흐름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나타내며, 자료 흐름은 데이터가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나타내며, 데이터 저장소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장소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피드백은 데이터 흐름이 다시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DFD에서 표현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파일의 종류 중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1. Transaction File
  2. Backup File
  3. Source Data File
  4. Master File
(정답률: 77%)
  •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Transaction File"이다. 이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후에는 보통 삭제되거나 다른 파일로 이관되는 파일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는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데, 이는 일시적인 정보이며, 정기적으로 백업 파일로 이관되거나 삭제된다. 따라서 "Transaction File"이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종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력 정보 내용에 관한 설계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입력 항목명
  2. 입력 항목의 순서 및 배열
  3. 입력 정보에 대한 오류 검사
  4. 입력 정보의 수집 시기 및 주기
(정답률: 48%)
  • 입력 정보의 수집 시기 및 주기는 설계시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입력 항목명, 입력 항목의 순서 및 배열, 입력 정보에 대한 오류 검사는 시스템 설계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코드의 오류 발생 형태 중 입력시 좌우 자리가 바뀌어 발생하는 에러는?

  1. Transcription Error
  2. Omission Error
  3. Addition Error
  4. Transposition Error
(정답률: 78%)
  • Transposition Error는 입력시 좌우 자리가 바뀌어 발생하는 에러이다. 예를 들어, "abc"를 "acb"로 입력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에러는 입력 오류 중에서 가장 흔하며, 사람의 실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프로세스 처리 패턴 중 두 개의 파일을 서로 대조하여 그 기록 순서와 기록 내용을 검사하는 처리로서, 일반적으로 대조 결과에 이상한 정보가 있을 경우 체크 리스트(Check List)에 출력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ort
  2. Matching
  3. Merge
  4. Update
(정답률: 78%)
  • 정답은 "Matching"이다.

    Matching은 두 개의 파일을 대조하여 일치하는 기록을 찾는 프로세스 처리 패턴 중 하나이다. 이 때, 대조 결과에 이상한 정보가 있을 경우 체크 리스트에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Matching은 이 문제에서 설명한 처리 패턴과 가장 일치하는 용어이다.

    Sort는 파일 내의 기록을 정렬하는 처리 패턴이고, Merge는 두 개 이상의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처리 패턴이다. Update는 파일 내의 기록을 업데이트하는 처리 패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HIPO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화의 도구 및 설계 도구 방법을 제공하는 기법이다.
  2. 상향식 설계 기법이다.
  3. 기능 중심의 설계 방법이다.
  4. 입력, 처리, 출력 관계를 시각적으로 기술한다.
(정답률: 76%)
  • HIPO는 하향식 설계 기법이며, 이에 따라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분해하여 해결하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상향식 설계 기법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Boehm에 의해 제안된 계층적 비용 산정 모델로 시스템 규모를 예측하고 정해진 식에 대입하여 소요인원과 개발인원을 예측하여 소프트웨어 개발비를 산정하는 방법은?

  1. RCA
  2. TRW
  3. COCOMO
  4. SDC
(정답률: 60%)
  • Boehm이 제안한 계층적 비용 산정 모델은 COCOMO라고 불리며, 이 모델은 시스템 규모를 예측하고 개발인원과 소요인원을 예측하여 소프트웨어 개발비를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COCOMO가 정답입니다. RCA, TRW, SDC는 소프트웨어 개발과는 관련이 있는 기업이나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파일 편성 방법 중 순차파일 편성 방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파일내 레코드 추가, 삭제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
  2. 집계용 파일이나 단순한 마스터 파일 등이 대표적인 응용파일이다.
  3. 기본키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4. 기억공간의 활용율이 높다.
(정답률: 71%)
  • 정답: "파일내 레코드 추가, 삭제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

    순차파일 편성 방법은 기본키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집계용 파일이나 단순한 마스터 파일 등이 대표적인 응용파일이다. 또한 기억공간의 활용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파일내 레코드 추가, 삭제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는 특징은 순차파일 편성 방법이 아닌 색인파일 편성 방법의 특징이다. 순차파일에서는 레코드를 추가, 삭제할 때 파일 전체를 복사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 평가에서 처리 시간을 견적하는 경우 견적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
  2. 프로그램 크기에 의한 계산 방법
  3. 컴퓨터에 의한 계산 방법
  4. 추정에 의한 계산 방법
(정답률: 50%)
  • 프로그램 크기에 의한 계산 방법은 시스템 평가에서 처리 시간을 견적하는데 거리가 먼 방법이다. 이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처리 시간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크기는 코드의 양과 관련이 있으며, 코드의 양이 많다고 해서 처리 시간이 늘어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프로그램 크기에 의한 계산 방법은 정확한 견적을 얻기 어렵고, 추정에 의한 계산 방법과 비슷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과 컴퓨터에 의한 계산 방법은 처리 시간을 견적하는데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시스템의 5가지 기본 요소 중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은?

  1. 입력(Input)
  2. 제어(Control)
  3. 피드백(Feedback)
  4. 처리(Process)
(정답률: 85%)
  • 위 그림은 시스템의 피드백(Feedback)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피드백은 시스템의 출력 결과를 다시 입력으로 되돌려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은 자신의 출력 결과를 검증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코드화 대상 자료 전체를 계산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분류 단위로 블록을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적은 자릿수로 많은 항목의 표시가 가능하고 예비코드를 사용할 수 있어 추가가 용이한 코드로서, 구분 순차코드라고도 하는 것은?

  1. 순차(Sequence) 코드
  2. 표의숫자(Significant Digit)
  3. 블록(Block) 코드
  4. 연상(Mnemonic) 코드
(정답률: 66%)
  • 코드화 대상 자료를 블록 단위로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적은 자릿수로 많은 항목의 표시가 가능하며, 예비코드를 사용할 수 있어 추가가 용이한 코드가 바로 블록(Block)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컴퓨터에 의한 계산 처리에 앞서 오류 데이터를 찾기 위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항목의 논리적 모순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은?

  1. Numeric Check
  2. Limit Check
  3. Logical Check
  4. Matching Check
(정답률: 63%)
  • 논리적 모순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Logical Check"이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숫자나 범위, 일치 여부 등을 체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입력 방식의 종류 중 현장 정보를 기록한 원시 전표를 전산 부서에서 일정한 주기로 수집하여, 일괄적으로 입력 매체를 작성하는 방식은?

  1. 분산 입력 방식
  2. 직접 입력 방식
  3. 집중 입력 방식
  4. 턴어라운드(반환) 입력 방식
(정답률: 67%)
  • 현장 정보를 일괄적으로 수집하여 입력 매체를 작성하는 방식은 분산 입력 방식이 아닌 집중 입력 방식이다. 이는 정보를 한 곳에 집중하여 처리하므로 일관성과 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시스템 조사 방법 중 실제 작업 현장을 방문하여 실제 사무의 흐름을 사실 그대로 파악하고 조사하는 방법은?

  1. 면접 조사
  2. 자료 조사
  3. 관찰 조사(현장 조사)
  4. 질문서 조사(앙케이트 조사)
(정답률: 85%)
  • 관찰 조사(현장 조사)는 실제 작업 현장을 방문하여 직접 사무의 흐름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직접적인 경험과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실제 상황을 직접 보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조사 방법보다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시스템 조사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구조적 분석도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료 흐름도(Data Flow Diagram)
  2. 소단위 명세서(Mini Specification)
  3. 구조 도표(Structure Chart)
  4. 자료 사전(Data Dictionary)
(정답률: 35%)
  • 구조 도표(Structure Chart)는 구조적 분석과 설계에서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이지만, 다른 도구들과는 달리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한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구조 도표는 구조적 분석과 설계에서 사용되는 도구 중에서는 구조적 분석도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출력 정보 매체화 설계시 고려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출력 형식
  2. 출력 장치
  3. 출력 항목 명칭(출력 정보명)
  4. 출력 방식
(정답률: 68%)
  • 출력 형식, 출력 장치, 출력 방식은 모두 출력 정보를 매체화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지만, 출력 항목 명칭(출력 정보명)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사용자가 출력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 정보를 매체화하는 과정에서는 출력 항목 명칭(출력 정보명)을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나씨-슈나이더만 차트의 제어논리 구조가 아닌 것은?

  1. 순차구조(SEQUENCE)
  2. 선택구조(IF THEN ELSE)
  3. 반복구조(DO WHILE)
  4. 전이구조(GO TO)
(정답률: 62%)
  • 전이구조(GO TO)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무조건적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제어논리를 복잡하게 만들어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나씨-슈나이더만 차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분산 운영체제의 구조 중 모든 사이트는 하나의 중앙 노드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 노드에 과부하가 걸리면 성능이 현저히 감소되고, 중앙 노드의 고장시 모든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는?

  1. Start Connection
  2. Ring Connection
  3. Fully Connection
  4. Hierarchy Connection
(정답률: 77%)
  • "Start Connection"은 모든 사이트가 하나의 중앙 노드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중앙 노드에 과부하가 걸리면 성능이 현저히 감소되고, 중앙 노드의 고장시 모든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구조는 분산 운영체제에서 권장되지 않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자원 경영과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세스(Process) 경영
  2. 알고리즘(Algorithm) 경영
  3. 입출력 시스템(I/O System) 경영
  4. 파일(File) 경영
(정답률: 47%)
  • 운영체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프로세스, 입출력 시스템, 파일 등의 자원을 관리하는 것은 운영체제의 주요 역할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알고리즘은 자원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알고리즘은 운영체제의 자원 경영과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파일 보호 기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UNIX 시스템에서는 파일보호를 위해 Read, Write, Execute 등 세 가지 접근 유형을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어떤 방법을 응용한 것인가?

  1. 파일의 명명(Naming) - 파일 이름을 다른 사용자가 알 수 없도록 만든다.
  2. 접근제어(Access Control) -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권한을 허용한다.
  3. 비밀번호(Paasword) - 각 파일에 판독/기록 패스워드를 부여한다.
  4. 암호화(Cryptography) - 파일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암호화한다.
(정답률: 66%)
  • UNIX 시스템에서는 접근제어(Access Control) 방법을 응용하여 파일 보호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파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파일의 무단 접근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파일의 명명, 비밀번호, 암호화 등은 파일 보호를 위한 다른 방법들이지만, UNIX 시스템에서는 접근제어 방법을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Flynn의 다중처리기 분류에서 Array Processor와 가장 밀접한 것은?

  1. SIMD
  2. SISD
  3. MISD
  4. MIMD
(정답률: 35%)
  • Array Processor는 여러 개의 동일한 연산을 동시에 처리하는데, 이는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SIMD는 하나의 명령어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Flynn의 다중처리기 분류에서 Array Processor와 가장 밀접한 것은 SIM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안 매커니즘의 설계 원칙에는 개방된 설계, 최소 특권, 특권의 분할, 매커니즘의 경제성 등이 있다. 이 중 개방된 설계의 의미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알고리즘은 알려졌으나, 그 키는 비밀인 암호 시스템의 사용을 의미한다.
  2. 트로이 목마로부터의 피해를 제한하기 위해 모든 주체는 업무 완수에 필요한 최소한의 특권만을 사용해야 한다.
  3. 가능하다면 객체에 대한 접근은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게 해야 한다.
  4. 가능한 한 기능 검증과 쉽게 정확한 구현을 할 수 있도록 간단히 설계한다.
(정답률: 61%)
  • 개방된 설계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여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설계 원칙을 말한다.

    "알고리즘은 알려졌으나, 그 키는 비밀인 암호 시스템의 사용을 의미한다."는 개방된 설계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이는 암호화 기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암호화 알고리즘은 공개되어 있지만, 실제로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는 비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가능한 한 기능 검증과 쉽게 정확한 구현을 할 수 있도록 간단히 설계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HRN(Highest Response-ration Next) 스케줄링 방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이다.
  2. 긴 작업과 짧은 작업간의 지나친 불평등을 보완하는 기법이다.
  3. 우선순위 결정식은 (대기시간+서비스시간)/대기시간이다.
  4. 우선순위 결정식에서 대기시간이 분자에 있으므로 긴작업도 대기시간이 큰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높이진다.
(정답률: 66%)
  •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HRN은 선점 스케줄링 기법 중 하나이다.

    우선순위 결정식에서 대기시간이 분자에 있으므로 긴작업도 대기시간이 큰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높아진다. 이는 대기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대기시간이 긴 작업일수록 먼저 처리되도록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프로세스의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은?

  1. 디스크 상에 저장된 파일 형태의 내용
  2. 실행중인 프로그램
  3. 프로시저가 활동 중인 것
  4.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
(정답률: 72%)
  • 프로세스는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이며,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프로시저가 활동 중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스크 상에 저장된 파일 형태의 내용"은 프로세스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전에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을 뿐,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닉스 시스템의 구조순서가 바르게 구성된 것은?

  1. 사용자-커널-쉘-하드웨어
  2. 사용자-쉘-하드웨어-커널
  3. 사용자-커널-하드웨어-쉘
  4. 사용자-쉘-커널-하드웨어
(정답률: 62%)
  •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쉘을 통해 커널과 상호작용하며, 커널은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구조순서는 "사용자-쉘-커널-하드웨어"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운영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쉽게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2. 운영체제는 CPU, 기억장치, 파일,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3.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4. 운영체제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여 기계어로 만들어준다.
(정답률: 75%)
  • 운영체제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여 기계어로 만들어주지 않는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구역성(Locality)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역성 이론은 시간(Temporal) 구역성과 공간(Spatial) 구역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공간 구역성 이론은 기억장소가 참조되면 그 근처의 기억장소가 다음에 참조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이론이다.
  3. 구역성이란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에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의미한다.
  4. 일반적으로 공간 구역성의 예는 배열순례(Array Traversal), 순차적 코드의 실행 등을 들 수 있다.
(정답률: 62%)
  • 구역성이란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에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의미한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버퍼링과 스풀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버퍼링과 스풀링은 CPU 연산과 I/O 연산을 중첩시켜 CPU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2. 버퍼링은 단일사용자 시스템에 사용되고, 스풀링은 다중사용자 시스템에 사용된다.
  3. 버퍼링은 디스크를 큰 버퍼처럼 사용하고 스풀링은 주기억장치를 사용한다.
  4. 버퍼링과 스풀링은 큐 방식의 입출력을 수행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버퍼링은 단일사용자 시스템에 사용되고, 스풀링은 다중사용자 시스템에 사용된다."이다.

    버퍼링과 스풀링은 모두 CPU 연산과 I/O 연산을 중첩시켜 CPU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버퍼링은 디스크를 큰 버퍼처럼 사용하고 스풀링은 주기억장치를 사용한다. 또한, 버퍼링과 스풀링은 모두 큐 방식의 입출력을 수행한다.

    하지만, 버퍼링과 스풀링은 단일사용자 시스템과 다중사용자 시스템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버퍼링은 단일사용자 시스템에 사용되고, 스풀링은 다중사용자 시스템에 사용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스레드(Thread)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STACK, REGISTER)를 갖는다.
  2.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병행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법이다.
  3. 운영체제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하드웨어적 접근 방법이다.
  4. 독립된 제어흐름을 갖는다.
(정답률: 57%)
  • 운영체제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하드웨어적 접근 방법이 스레드의 특징이 아닙니다. 스레드는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병행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법으로,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를 갖고 독립된 제어흐름을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중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방법에 의해 다음 작업들을 실행시킬 때, 평균 반환 시간은 얼마인가?

  1. 19
  2. 14
  3. 7
  4. 12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억장치 관리정책 중 CPU에 의해 실행되거나 참조되기 위해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다음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언제 가져 올 것인가를 결정하는 정책은?

  1. 교체정책(Replacement Strategic)
  2. 할당정책(Assignment Strategic)
  3. 반입정책(Fetch Strategic)
  4. 배치정책(Placement Strategic)
(정답률: 52%)
  • 반입정책은 CPU가 실행하거나 참조할 다음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주기억장치로 가져올 때 언제 가져올지를 결정하는 정책입니다. 따라서 이 정책은 주기억장치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UNIX 시스템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UNIX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해 대화형 시스템이다.
  2. UNIX 시스템은 다중 작업 시스템(Multi-tasking System)이다.
  3. UNIX 시스템의 파일 구조는 단층구조 형태이다.
  4. UNIX 시스템은 다 사용자(Multi-user) 시스템이다.
(정답률: 78%)
  • UNIX 시스템의 파일 구조는 단층구조 형태가 아니라 계층 구조 형태이기 때문이다. UNIX 시스템에서 파일은 디렉토리 안에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파일들을 조직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과 같은 트랙이 요청되어 큐에 도착하였다. 모든 트랙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SSTF 스케줄링 기법이 사용되었을 때 트랙 35는 요청된 트랙 중 몇 번째 찾게 되는가? (단, 현재 헤드의 위치는 트랙 50이고, 헤드는 트랙 0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1. 3번
  2. 4번
  3. 5번
  4. 6번
(정답률: 46%)
  • SSTF 스케줄링 기법은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을 먼저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현재 헤드 위치인 트랙 50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은 트랙 40이다. 그 다음으로 가장 가까운 트랙은 트랙 30이고, 그 다음으로는 트랙 20이다. 따라서 트랙 35는 세 번째로 서비스되므로 정답은 3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세 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로 현재 페이지는 모두 비어 있는 상태이다. 어떤 프로그램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 번호를 요구하였을 때, 페이지 교체 기법으로 FIFO 기법을 사용하였다면, 페이지 부재는 몇 번 일어나겠는가?

  1. 3번
  2. 4번
  3. 5번
  4. 6번
(정답률: 64%)
  • FIFO 기법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페이지 요구 순서에 따라 페이지가 차례대로 채워질 것이다. 처음에는 모든 페이지가 비어 있으므로, 3번 페이지를 요구하면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다. 이후에는 4번, 5번, 6번 페이지를 차례대로 요구하면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페이지 부재는 총 4번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세마포어(Semaphore)의 동작(Operation)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C 연산
  2. P 연산
  3. V 연산
  4. Semaphore Initialize(초기치 연산)
(정답률: 50%)
  • "C 연산"은 세마포어의 동작(Operation)과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이유는 세마포어는 P 연산과 V 연산을 통해 상호배제와 동기화를 제공하는데, "C 연산"은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C 연산"은 세마포어의 값을 읽어오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는 세마포어의 동작(Operation)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의 관리와 연관하여 하는 활동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 프로세스와 시스템 프로세스의 생성과 제거
  2. 프로세스의 일시중지와 재수행
  3. 프로세스 비동기화를 위한 기법 제공
  4. 교착상태 처리를 위한 기법 제공
(정답률: 51%)
  •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의 관리와 연관하여 하는 활동 중 옳지 않은 것은 "프로세스 비동기화를 위한 기법 제공"입니다. 이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의 동기화와 관련된 기법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프로세스 간의 상호작용을 조절하고 동기화 문제를 해결합니다. 프로세스 비동기화는 프로그래밍 언어나 라이브러리 수준에서 구현되는 기능이며, 운영체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가변 분할 기억장치에서 입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어느 곳에 적재할지를 결정하는 기억장치 배치전략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Last-Fit 기법
  2. First-Fit 기법
  3. Best-Fit 기법
  4. Worst-Fit 기법
(정답률: 72%)
  • Last-Fit 기법은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가장 큰 공간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적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적재할 공간을 찾는 시간이 짧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공간을 남겨두고 나중에 작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적재하면 공간이 낭비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HDLC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이 아닌 것은?

  1.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모두 사용 가능하다.
  2. Byte 방식 프로토콜이다.
  3. Go-Back-N ARQ 에러제어 방식이다.
  4. 데이터링크 형식은 Point-to-Point, Multi-Point 모두 가능하다.
(정답률: 63%)
  • HDLC 프로토콜은 비트 방식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Byte 방식 프로토콜이다."가 HDLC의 기본 기능이 아닙니다. HDLC는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모두 사용 가능하며, Go-Back-N ARQ 에러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데이터링크 형식은 Point-to-Point, Multi-Point 모두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 중 IP는 OSI 7 계층 중 어느 계층에 해당되는가?

  1. 응용계층
  2. 전송계층
  3. 네트워크계층
  4. 데이터링크계층
(정답률: 69%)
  • IP는 OSI 7 계층 중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이는 IP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라우팅, 패킷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결정하고,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P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신호와 전송방식 그리고 이를 위해 사용되는 신호 변환 장비에 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전송 - 코덱(Codec)
  2. 디지털 신호 - 아날로그 전송 - 모뎀(Modem)
  3. 디지털 신호 - 디지털 전송 - CSU
  4. 아날로그 신호 - 아날로그 전송 - DSU
(정답률: 55%)
  •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인 값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디지털 전송을 위해서는 샘플링과 양자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수행하는 장비가 코덱이며, DSU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장비이기 때문에 "아날로그 신호 - 아날로그 전송 - DSU"가 옳지 않은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네트워크의 형상(Topology)에 따른 LAN의 분류방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링(Ring) 형
  2. 버스(Bus) 형
  3. 성(Star) 형
  4. 베이스밴드(Baseband) 형
(정답률: 79%)
  • 베이스밴드(Baseband) 형은 LAN의 분류방식과는 관련이 없는 전송 방식이다. 베이스밴드(Baseband)는 디지털 신호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으로, LAN의 분류방식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형상(Topology)에 따른 LAN의 분류방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베이스밴드(Baseband) 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HDLC 프레임을 구성하는 필드가 아닌 것은?

  1. FCS 필드
  2. Flag 필드
  3. Control 필드
  4. Link 필드
(정답률: 47%)
  • HDLC 프레임에는 FCS 필드, Flag 필드, Control 필드가 포함되지만, Link 필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HDLC 프로토콜은 Point-to-Point 프로토콜로, Link 필드는 다중 접속 링크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일부입니다. 따라서 HDLC 프레임에는 Link 필드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주프로세서(Host Processor)를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며 통신망제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통신망 형태는?

  1. 분산형
  2. 루우프(Loop) 형
  3. 계층형
  4. 중앙 집중형
(정답률: 70%)
  • 중앙 집중형 통신망은 모든 데이터 교환과 통신망 제어가 중앙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단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호스트 프로세서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중앙 집중형 통신망은 다른 형태의 통신망에 비해 더욱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기간통신사업자의 회선을 임차하여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성이나 데이터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서비스망은?

  1. LAN
  2. VAN
  3. ISDN
  4. PSDN
(정답률: 65%)
  • VAN은 기간통신사업자의 회선을 임차하여 부가가치를 부여한 서비스망으로, LAN은 지역 내 네트워크, ISDN은 디지털 통신망, PSDN은 공중 데이터망을 의미한다. 따라서, VAN은 기간통신사업자의 회선을 활용하여 지역을 넘어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CATV 분배망 등에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률이 500Mbps 정도까지 가능한 전송 매체는?

  1. 2선식 개방 선로
  2. 꼬임선
  3. 동축케이블
  4. 광섬유
(정답률: 65%)
  • CATV 분배망 등에 사용되는 전송 매체는 주로 동축케이블입니다. 이는 광섬유보다는 전송 거리가 짧고, 비용이 저렴하며, 데이터 전송률이 500Mbps 정도까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축케이블은 외부 잡음에 강하고, 신호 감쇠가 적어 신호의 왜곡이 적어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데이터 전송 경로가 올바른 것은?

  1. 터미널-통신채널-모뎀-통신제어장치-모뎀-컴퓨터
  2. 터미널-모뎀-통신채널-모뎀-통신제어장치-컴퓨터
  3. 터미널-모뎀-통신제어장치-모뎀-통신채널-컴퓨터
  4. 터미널-통신제어장치-모뎀-통신제어장치-모뎀-컴퓨터
(정답률: 54%)
  • 정답은 "터미널-모뎀-통신채널-모뎀-통신제어장치-컴퓨터" 입니다.

    데이터 전송 경로는 데이터가 출발지인 터미널에서 시작하여, 모뎀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됩니다. 이후, 수신지인 통신제어장치에서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모뎀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됩니다. 따라서, "터미널-모뎀-통신채널-모뎀-통신제어장치-컴퓨터"가 올바른 데이터 전송 경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라우터(Route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한다.
  2. 전송되는 패킷들의 경로를 결정한다.
  3.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지원한다.
  4. 브릿지(Bridge) 기능만을 지원한다.
(정답률: 76%)
  •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하며, 전송되는 패킷들의 경로를 결정하고 게이트웨이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브릿지 기능만을 지원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라우터는 브릿지와 같은 스위칭 기능도 지원할 수 있지만, 그 기능만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중화 방식 중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타임 슬롯을 할당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이는 특징을 가진 것은?

  1. 동기식 TDM
  2. FDM
  3. 비동기식 TDM
  4. MODEM
(정답률: 49%)
  • 비동기식 TDM은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다른 방식들은 일정한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전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송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비동기식 TDM은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오류정정이 가능한 부호가 아닌 것은?(문제오류로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으로 합니다.)

  1. Convolution 부호
  2. 2차원 Parity 부호(수직-수평 패리티 부호)
  3. 해밍(Hamming) 부호
  4.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
(정답률: 74%)
  • 1.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

    Convolution 부호는 입력 데이터를 여러 개의 비트로 나누어 각각을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비트만 재전송하면 되기 때문에 오류정정이 가능합니다.

    2차원 Parity 부호와 해밍 부호도 오류정정이 가능한 부호입니다.

    CRC 부호는 입력 데이터에 대한 다항식 연산을 통해 검사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 데이터에 추가하여 오류 검출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오류 검출은 가능하지만, 정정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고속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다.
  2. 가볍고 부식되지 않으므로 분기나 접속이 용이하다.
  3.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4.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다.
(정답률: 65%)
  • 광섬유 케이블의 장점 중 가볍고 부식되지 않으므로 분기나 접속이 용이하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광섬유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부식되지 않는 것은 맞지만, 가볍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구리 케이블에 비해 더 무겁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광섬유 케이블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ISDN 채널에서 D 채널의 용도는?

  1. 음성 채널
  2.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채널
  3. 서비스 제어를 위한 채널과 저속의 패킷 전송 채널
  4. 예비 채널
(정답률: 53%)
  • ISDN 채널에서 D 채널은 서비스 제어를 위한 채널과 저속의 패킷 전송 채널입니다. 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와 작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D 채널은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채널이 아니며, 음성 채널과 예비 채널과도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의 실현 방안으로 적합한 통신방식은?

  1. WAN
  2. ATM
  3. ADSL
  4. N-ISDN
(정답률: 38%)
  • ATM은 광대역 통신망에서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패킷 교환 방식으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며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에서는 ATM이 적합한 통신방식이다. WAN, ADSL, N-ISDN은 광대역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다른 통신방식이지만, ATM에 비해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제한이 있거나 전송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쌍방향 통신의 뉴미디어에 해당하는 것은?

  1. Radio
  2. Videotex
  3. Teletext
  4. CCTV
(정답률: 66%)
  • 정답: Videotex

    Videotex는 사용자가 컴퓨터나 텔레비전을 통해 정보를 검색하고 전송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 기술입니다. 이는 뉴미디어의 한 종류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입력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반면, Radio와 CCTV는 단방향 통신이며, Teletext는 텔레비전을 통해 제공되는 단순한 정보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8위상편이변조(PSK)는 한 번에 몇 개의 신호 비트[bit]가 전송되는가?

  1. 2
  2. 3
  3. 4
  4. 8
(정답률: 58%)
  • 8위상편이변조(PSK)는 한 번에 1개의 신호 비트[bit]가 전송되며, 각 위상은 2진수로 표현될 수 있는 2개의 비트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8개의 위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2개의 비트를 전송하므로, 한 번에 2개의 신호 비트[bit]가 전송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가 됩니다. "3", "4", "8"은 모두 잘못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표현계층에 대한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암호화
  2. 경로선택
  3. 코드변환
  4. 문맥관리
(정답률: 61%)
  • 표현계층의 기능 중 "경로선택"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표현계층은 데이터를 표현하고 전송하기 위한 방식을 정의하는 계층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코드를 변환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경로선택"은 전송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회선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선교환기에서 오류제어가 용이하다.
  2. 일대일 정보통신이 가능하다.
  3. 길이가 긴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4. 회선교환기내에서 처리지연시간이 비교적 적다.
(정답률: 34%)
  • "길이가 긴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회선교환방식은 통신을 할 때 전용선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일대일 정보통신이 가능하고 회선교환기내에서 처리지연시간이 비교적 적습니다. 또한, 오류제어가 용이한 이유는 전용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전용선만 다시 연결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길이가 긴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에는 패킷교환방식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인터넷의 통신망들을 관리하고 기술을 지원하는 표준화 기구 중 변화하는 망 환경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고 인터넷 표준안을 제정하기 위한 기술 위원회는?

  1. IESG(Internet Engineering Steering Group)
  2. IAB(Internet Activities Board)
  3.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4.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정답률: 38%)
  • IETF는 인터넷의 통신망을 관리하고 기술을 지원하는 표준화 기구 중에서도 변화하는 망 환경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고 인터넷 표준안을 제정하기 위한 기술 위원회입니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인터넷의 발전을 위한 기술적인 표준을 제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