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정보처리산업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데이터 삽입, 삭제가 top 이라고 부르는 한쪽 끝에서만 이루어지는 후입선출(LIFO) 형태의 자료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택(stack)
  2. 큐(queue)
  3. 데크(deque)
  4. 원형 큐(circular queue)
(정답률: 91%)
  • 스택은 데이터를 삽입, 삭제할 때 가장 최근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후입선출(LIFO) 형태의 자료 구조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데이터를 쌓아 올리는 것과 같은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함수 호출 시 호출된 함수의 정보를 저장하고 복귀할 때 이전 함수의 정보를 불러오는 등의 작업에서 스택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hich of the following is a language that allow users to create new database and specific their schema?

  1. Data definition language
  2. Data manipulation language
  3. Data reference language
  4. Data control language
(정답률: 72%)
  • "Data definition language" is the correct answer because it is a language used to create and modify the structure of a database, including defining tables, colum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It allows users to specify the schema of the database, which determines how data is organized and stored.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필수 기능이 아닌 것은?

  1. 정의 기능
  2. 관리 기능
  3. 조작 기능
  4. 제어 기능
(정답률: 78%)
  • DBMS의 필수 기능은 데이터를 정의하고 조작하며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 기능"은 필수 기능이 아니다. "관리 기능"은 데이터베이스의 백업, 복원, 보안 등과 같은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이는 DBMS의 기능 중 하나이지만 필수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의 특성으로 잘못된 것은?

  1. 한 릴레이션에는 똑같은 튜플이 중복 포함될 수 있다.
  2.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3.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애트리뷰트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4. 모든 속성 값은 원자값이다.
(정답률: 78%)
  • "한 릴레이션에는 똑같은 튜플이 중복 포함될 수 있다."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올바른 것입니다. 이는 릴레이션의 중복을 허용하는 특성으로, 중복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 정보를 저장하는 릴레이션에서 같은 학생이 여러 개의 과목을 수강하는 경우, 해당 학생의 정보는 중복되어 저장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래 이진트리를 후위순서(postorder)로 운행한 결과는?

  1. ABCDEFGH
  2. DBGHEFCA
  3. ABDCEGHF
  4. BDGHEFAC
(정답률: 81%)
  • 이진트리를 후위순서로 운행하면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그리고 부모 노드 순서로 운행한다. 따라서 이진트리를 후위순서로 운행한 결과는 "DGHEBFCA"가 된다.

    정답이 "DBGHEFCA"인 이유는 이진트리를 전위순서로 운행한 결과를 역순으로 뒤집은 것이기 때문이다. 즉, 전위순서로 운행한 결과는 "ABDEGCFH"이고, 이를 역순으로 뒤집으면 "HFCGEDBA"가 된다. 이것이 후위순서로 운행한 결과인 "DBGHEFCA"와 일치한다.

    다른 보기들은 이진트리를 전위순서나 중위순서로 운행한 결과를 잘못 나열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큐를 필요로 하는 작업은?

  1. 작업 스케줄링
  2. 중위표기식의 후위표기 변환
  3. 함수 호출과 리턴
  4. 이진트리의 중위 순회
(정답률: 85%)
  • 작업 스케줄링은 여러 작업들 중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어떤 작업을 먼저 처리할지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큐를 사용하여 작업들을 저장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큐에서 작업을 꺼내어 처리하는 방식으로 작업 스케줄링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스케줄링은 큐를 필요로 하는 작업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선형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1. 그래프
  2. 데크
  3. 스택
(정답률: 92%)
  • 그래프는 비선형구조에 해당하는 자료구조이다. 그 이유는 그래프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드와 간선의 관계가 선형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즉, 노드와 간선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비선형구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를 의미하는 기호는?

  1. 사각형
  2. 마름모(다이아몬드)
  3. 삼각형
  4. 타원
(정답률: 87%)
  • 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를 나타내는 기호는 사각형이다. 이는 개체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사각형은 테이블의 구조와 유사하며, 테이블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Attribute)은 사각형 내부에 기술된다. 따라서 사각형은 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를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떤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도메인이 원자값(atomic value)만을 가지며, 기본키가 아닌 애트리뷰트 모두가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 속이나 이행적 함수 종속이 나타나면 어떤 정규형에 해당하는가?

  1. 제 1정규형
  2. 제 2정규형
  3. 제 3정규형
  4. 제 4정규형
(정답률: 54%)
  • 해당 릴레이션은 제 2정규형에 해당한다. 이는 애트리뷰트 모두가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이기 때문이다. 즉, 어떤 애트리뷰트의 값이 기본키의 일부가 아닌 다른 애트리뷰트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중복 데이터를 방지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SQL 문에서 테이블 생성에 사용되는 문장은?

  1. DROP
  2. ALTER
  3. SELECT
  4. CREATE
(정답률: 86%)
  • "CREATE" 문장은 SQL에서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할 때 사용되는 문장이다. 다른 보기들은 테이블을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문장이지만, "CREATE"는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마스터 파일에 기록된 정보 내용을 변경하거나 참조할 경우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파일을 의미하는 것은?

  1. Transaction file
  2. Report file
  3. Program file
  4. Backup file
(정답률: 83%)
  • 마스터 파일은 일반적으로 영구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일시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은 트랜잭션 파일입니다. 트랜잭션 파일은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전 상태로 롤백하거나 새로운 상태로 커밋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Transaction fil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릴레이션
  2. 도메인
  3. 튜플
  4. 차수
(정답률: 65%)
  • 도메인은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값들의 범위를 정의하는 것으로,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도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이진 검색(Binary search)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선행 조건은?

  1. 자료가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2. 같은 크기의 자료가 존재해서는 안된다.
  3. 자료의 개수가 짝수이어야 한다.
  4. 자료의 개수가 홀수이어야 한다.
(정답률: 76%)
  • 이진 검색은 자료를 반으로 나누어 탐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자료가 정렬되어 있어야만 원하는 값을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정렬되어 있지 않은 자료에서는 원하는 값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이진 검색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데이터베이스 3단계 구조 중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것은?

  1.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2.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3.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4. 관계 스키마(Relational Schema)
(정답률: 64%)
  •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 필요한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이다. 즉,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에게 제공하여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중에서 개념적 설계 다음에 수행하는 단계는?

  1. 요구조건 분석
  2. 논리적 설계
  3. 물리적 설계
  4. 구현
(정답률: 85%)
  • 개념적 설계는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구조와 개념을 정의하는 단계이며, 이후에는 이를 구체화하여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 설계가 수행됩니다. 논리적 설계는 개념적 설계에서 정의한 개념들을 구체적인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개념적 설계 다음에 수행하는 단계는 논리적 설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아래 설명과 가장 밀접한 사람은?

  1. Database administrator
  2. Network manager
  3. End user
  4. Application Programmer
(정답률: 86%)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atabase administrator)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Database administrat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의 공유성
  2. 데이터의 중복성
  3. 데이터의 일관성
  4. 데이터의 무결성
(정답률: 88%)
  • 데이터의 중복성은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이 아닌 단점입니다. 중복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해치며 데이터의 수정이나 삭제 시에도 여러 곳에서 수정이나 삭제를 해야 하므로 작업의 복잡성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에는 중복된 데이터를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SQL의 데이터 정의문(DDL)이 아닌 것은?

  1. CREATE
  2. DROP
  3. ALTER
  4. INSERT
(정답률: 83%)
  • INSERT는 데이터를 삽입하는 데이터 조작어(DML)이며, 나머지는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데이터 정의어(DDL)이기 때문에 정답은 INSE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만들어 지는 가상 테이블은?

  1. 시스템 카탈로그
  2. 스키마
  3. 데이터 디렉토리
(정답률: 90%)
  • 뷰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만들어지는 가상 테이블입니다. 즉, 뷰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이 아니라, 기존의 테이블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여 보여주는 가상의 테이블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뷰는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의 보안성을 높이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데이터베이스에서 아직 알려지지 않거나 모르는 값으로서 “해당없음” 등의 이유로 정보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원자값(atomic value)
  2. 참조값(reference value)
  3. 무결값(integrity value)
  4. 널값(null value)
(정답률: 96%)
  • 정답: 널값(null value)

    널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이다. 이는 해당 열에 아직 값이 입력되지 않았거나, 해당 정보가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널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널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서브루틴과 연관되어 사용되는 명령어는?

  1. Shift
  2. Call과 Return
  3. Skip과 Jump
  4. Increment와 Decrement
(정답률: 68%)
  • 서브루틴은 메인 프로그램에서 호출되어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이다. 이때 서브루틴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Call 명령어를 사용하고, 서브루틴이 실행을 마치면 다시 메인 프로그램으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Return 명령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Call과 Return 명령어는 서브루틴과 연관되어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컴퓨터의 연산자 기능이 아닌 것은?

  1. 기억 기능
  2. 제어 기능
  3. 전달 기능
  4. 함수 연산 기능
(정답률: 47%)
  • 기억 기능은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중에 다시 불러올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연산자 기능이 아니라 데이터를 다루는 기능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기억 기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4개의 어드레스 비트는 몇 개의 메모리 장소의 내용을 리드(Read)할 수 있는가?

  1. 14
  2. 140
  3. 16384
  4. 32768
(정답률: 68%)
  • 14개의 어드레스 비트는 2의 14승, 즉 16384개의 메모리 장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는 각 비트가 0 또는 1의 두 가지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14개의 어드레스 비트를 가진 시스템은 16384개의 메모리 장소를 리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원공급이 중단되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삭제하고 다시 쓸 수도 있는 기억장치는?

  1. SRAM
  2. P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66%)
  • EEPROM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원공급이 중단되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삭제하고 다시 쓸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SRAM은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내용이 지워지고, PROM은 일회성으로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EPROM은 전기적으로 삭제는 가능하지만 다시 쓰기 위해서는 UV 광선으로 초기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EEPROM이 유일하게 전기적으로 삭제하고 다시 쓸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데이터를 4 비트 단위로 나타내는 정보 단위는?

  1. nibble
  2. character
  3. full-word
  4. double-word
(정답률: 64%)
  • 4 비트는 2의 4승인 16가지의 가능한 값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16가지 값을 나타내는 정보 단위를 "nibble"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회로의 출력 f가 0(zero)이 되기 위한 조건은?

  1. A=0, B=0
  2. A=0, B=1
  3. A=1, B=0
  4. A=1, B=1
(정답률: 69%)
  • AND 게이트의 출력은 입력이 모두 1일 때 1이 되므로, 출력 f가 0이 되기 위해서는 입력 A와 B가 모두 1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1, B=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소프트웨어적인 인터럽트 요구 장치 판별법인 것은?

  1. 벡터 인터럽트
  2. 폴링
  3. 스택
  4. 핸드쉐이킹
(정답률: 74%)
  • 소프트웨어적인 인터럽트 요구 장치를 판별하는 방법 중 하나인 폴링은 CPU가 주기적으로 장치를 확인하여 인터럽트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폴링은 하드웨어적인 인터럽트 요구 장치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진리표에서 출력 논리식 F를 유도하면?

  1. A+B
  2. A‘B+AB
  3. A‘B+AB’
  4. AB+A‘ B‘
(정답률: 68%)
  • 진리표에서 F가 1인 경우는 A와 B 중 하나만 1일 때이다. 따라서 F는 A와 B의 XOR 연산과 같다. XOR 연산은 A'B+AB'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정답은 "A'B+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패리티 비트(parity bit)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수(odd) 체크에 사용될 경우도 있다.
  2. 우수(even) 체크에 사용될 경우도 있다.
  3. 정보 표현의 단위에 여유를 두기 위한 방법이다.
  4. 정보가 맞고, 틀림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답률: 75%)
  • 정보 표현의 단위에 여유를 두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정보가 맞고, 틀림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니다. 패리티 비트는 정보 전송 과정에서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며, 기수 체크와 우수 체크에 모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보 표현의 단위에 여유를 두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JK 플립플롭의 트리거 입력과 상태 전환 조건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J=0, K=0 일 때 기억 기능이 된다
  2. J=0, K=1 일 때 0으로 된다.
  3. J=1, K=0 일 때 1로 된다.
  4. J=1, K=1 일 때 반전치 않는다.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버스 경합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슈퍼스칼라 사용
  2. 버스의 고속화
  3. 캐시의 사용
  4. 다중 버스 사용
(정답률: 62%)
  • 슈퍼스칼라 사용은 프로세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버스 경합을 줄이는 방법이 아니다. 슈퍼스칼라는 프로세서 내부에서 명령어를 동시에 실행하는 기술로, 버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슈퍼스칼라 사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이 세 개의 마이크로 동작이 발생할 경우에 동작 완료 후 레지스터 A의 상태는?

  1. A ← A+B'+1
  2. A ← B+B'+1
  3. A ← A'+B+1
  4. A ← A'+B+B'+1
(정답률: 61%)
  • 1. 첫 번째 마이크로 동작에서는 B'와 1의 보수를 더한 값을 A에 저장한다.
    2. 두 번째 마이크로 동작에서는 B와 1의 보수를 더한 값을 A에 저장한다.
    3. 세 번째 마이크로 동작에서는 A'와 B, 그리고 1을 더한 값을 A에 저장한다.

    따라서, A ← A+B'+1이 정답인 이유는 첫 번째 마이크로 동작에서 B'와 1의 보수를 더한 값이 A에 저장되고, 세 번째 마이크로 동작에서 A'와 B, 그리고 1을 더한 값이 A에 저장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ASCll 문자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제어 문자
  2. 영문자
  3. 로마 숫자
  4. 아라비아 숫자
(정답률: 62%)
  • ASCll 문자는 0부터 127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 체계이며, 이 중에는 로마 숫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로마 숫자는 1부터 10까지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와 같이 표현되는데, 이는 숫자와는 다른 문자 체계입니다. 따라서 로마 숫자는 ASCll 문자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웃하는 코드가 한 비트만 다르기 때문에 코드 변환이 용이해서 A/D 변환에 주로 사용되는 코드는?

  1. Gray code
  2. Hamming code
  3. Excess-3 code
  4. Alphanumeric code
(정답률: 60%)
  • Gray code는 이웃하는 코드가 한 비트만 다르기 때문에 코드 변환이 용이하고, A/D 변환에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사용된다. 이 코드는 이진수를 변환할 때 한 비트만 변경되기 때문에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순서를 나타내는 코드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조기억장치로 부적합한 것은?

  1. 자기 디스크
  2. DVD
  3. 자기 테이프
  4. SDRAM
(정답률: 68%)
  • SDRAM은 주기억장치인 RAM의 일종으로,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보조기억장치로는 부적합합니다. 반면 자기 디스크, DVD, 자기 테이프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보조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396)10을 8421 Code로 변환하면?

  1. 0011 1001 0110
  2. 0101 1001 1000
  3. 0011 1001 0011
  4. 0101 0010 1000
(정답률: 77%)
  • 8421 Code는 4비트씩 끊어서 8진수를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396)10을 8421 Code로 변환하면 0110 0100 1100이 됩니다. 이를 2진수로 변환하면 0000 0001 0001 0110 0001 1000이 됩니다. 이를 4비트씩 끊어서 8진수로 나타내면 001 110 010이 되고, 이를 다시 2진수로 변환하면 0011 1001 011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11 1001 0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어방식 중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펄스에 따라 계산기의 각 부분의 동작을 규칙적으로 진행시키는 방식은?

  1. 비동기식 제어 방식
  2. 동기식 제어 방식
  3. 비주기식 제어 방식
  4. 직류 방식
(정답률: 77%)
  •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펄스에 따라 계산기의 각 부분의 동작을 규칙적으로 진행시키는 방식은 "동기식 제어 방식"이다. 이는 시스템의 모든 부분이 동일한 클럭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각 부분이 정해진 순서대로 동작하여 일관된 결과를 보장할 수 있다. 반면에 "비동기식 제어 방식"은 각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순서가 달라질 수 있어 일관된 결과를 보장하기 어렵다. "비주기식 제어 방식"은 제어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지 않아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동작 순서가 달라질 수 있으며, "직류 방식"은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알아낸 후 그 위치에서 나머지 정보에 접근하는 기억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Cache memory
  2. Associative memory
  3. Virtual memory
  4. Main memory
(정답률: 62%)
  • Associative memory는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알아내는 기억장치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Cache memory는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기억장치이고, Virtual memory는 물리적인 메모리보다 큰 용량을 제공하기 위한 기억장치이다. Main memory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메모리이다. 따라서,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알아내는 기억장치는 Associative memor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RRI(Register to Register Instruction)의 전체 가능한 수를 A, MRI(Memory Reference Instruction)의 전체 가능한 수를 B라고 할 때, 상호 관계로 올바른 것은?

  1. B, A = 0
  2. B > A
  3. B = A
  4. B < A
(정답률: 53%)
  • B > A이다. MRI는 메모리를 참조하는 명령어이므로 주소를 지정해야 하기 때문에 비트 수가 많아지고, RRI는 레지스터를 참조하는 명령어이므로 비트 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MRI의 경우 가능한 명령어 수가 더 많아지게 되어 B > 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andom access가 불가능한 보조기억 장치는?

  1. 자기테이프 장치
  2. 자기드럼 장치
  3. 자기디스크 장치
  4. 버블기억 장치
(정답률: 68%)
  • 자기테이프 장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쓰기 때문에 random access가 불가능합니다. 즉, 특정 위치로 바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기테이프 장치는 random access가 불가능한 보조기억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시스템 평가 항목의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성 평가
  2. 가격 평가
  3. 성능 평가
  4. 기능 평가
(정답률: 88%)
  • 가격 평가는 시스템의 기능, 성능, 신뢰성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다른 항목들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즉, 시스템의 가격은 시스템의 기능, 성능, 신뢰성 등과는 별개의 요소로서, 시스템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규정, 수단, 순서, 방법, 루틴, 장치 등이 하나의 목적 하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작용이 정해진 방법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다.
  2. 상호 관련성이 없는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각각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조직한 임시적 결합체이다.
  3. 어떤 목적 또는 목표를 위하여 여러 기능 요소가 상호 관련하여 결합된 절차나 방법의 유기적 집합체이다.
  4. 컴퓨터 시스템은 중앙처리 장치, 기억장치, 각종 입출력 장치, 통신 회선 등의 유기적인 결합체이다.
(정답률: 74%)
  • "상호 관련성이 없는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각각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조직한 임시적 결합체이다."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구성 요소들이 상호 관련성이 없다는 점과 임시적 결합체라는 점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며 유기적으로 결합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IPT(Improved Programming Technique)의 기술적인 측면과 거리가 먼 것은?

  1. 복합설계
  2. 구조적 코딩
  3. 하향식 프로그래밍
  4. 상향식 프로그래밍
(정답률: 62%)
  • 상향식 프로그래밍은 IPT와는 거리가 먼 기술이다. IPT는 프로그램을 작은 모듈로 분해하고, 각 모듈을 독립적으로 테스트하며,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를 명확하게 정의하여 전체 시스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반면에 상향식 프로그래밍은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분해하여 해결하는 하향식 프로그래밍과는 반대로, 작은 문제부터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상향식 프로그래밍은 IPT와는 거리가 먼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코드의 오류 형태 중 입력시 좌우 자리를 바꾸어 발생하는 에러는?

  1. transposition error
  2. transcription error
  3. random error
  4. omission error
(정답률: 83%)
  • 입력시 좌우 자리를 바꾸어 발생하는 에러는 "transposition error"이다. 이는 입력된 데이터의 문자나 숫자의 위치가 바뀌어 발생하는 오류이다. 예를 들어, "123"을 입력해야 하는데 "132"로 입력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오류는 데이터의 의미를 완전히 바꿀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스템의 기본요소를 나타낸 그림이다. (1), (2)의 내용으로 알맞은 요소는?

  1. (1) 순환 (2) 제어
  2. (1) 피드백 (2) 제어
  3. (1) 반복 (2) 분기
  4. (1) 제어 (2) 피드백
(정답률: 76%)
  • (1) 제어는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요소를 말하며, (2) 피드백은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시스템의 동작을 조절하는 요소를 말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력을 처리하고 출력을 생성하며, 출력을 다시 입력으로 받아 동작을 조절하는 요소가 (1) 제어와 (2) 피드백이므로 정답은 "(1) 제어 (2) 피드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HIPO(Hierarchy plus Input Process Outpu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의 기능을 계층 구조로 도식화함으로써 개발 순서를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수단이다.
  2. 상향식 중심이며, HIPO의 3단계 종류는 overview diagram, detailed diagram, data dictionary 이다.
  3. 각각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4. 표준화된 문서 작성 기법을 사용하므로 의사 전달 착오 가능성이 매우 적다.
(정답률: 69%)
  • 정답은 "상향식 중심이며, HIPO의 3단계 종류는 overview diagram, detailed diagram, data dictionary 이다."가 아닙니다. HIPO의 3단계 종류는 hierarchy chart, input-process-output chart, module guide 이며, overview diagram과 detailed diagram은 input-process-output chart의 일부분으로 각각 전체적인 개요와 상세한 내용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스템 개발 단계로 옳은 것은?

  1. 시스템 조사 → 설계 → 분석 → 구현 → 유지보수
  2. 시스템 조사 → 분석 → 설계 → 유지보수 → 구현
  3. 시스템 조사 → 분석 → 설계 → 구현 → 유지보수
  4. 시스템 조사 → 설계 → 분석 → 유지보수 → 구현
(정답률: 77%)
  • 시스템 개발 단계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시스템 조사, 분석, 설계, 구현, 유지보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스템 조사 단계에서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합니다.

    분석 단계에서는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정의하고, 설계 단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상세하게 설계합니다.

    구현 단계에서는 설계된 시스템을 실제로 개발하고, 유지보수 단계에서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며 필요한 수정과 보완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시스템 조사 → 분석 → 설계 → 구현 → 유지보수가 옳은 시스템 개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코드(code) 설계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컴퓨터 처리에 적합하여야 한다.
  2. 공통성이 있어야 한다.
  3.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4.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72%)
  • 코드 설계시 다양성이 있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한 상황에서 코드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다양성이 없는 코드는 특정한 상황에서만 동작하며, 다른 상황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드 설계시 다양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고 안정적인 코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객체에 정의된 연산을 의미하며, 객체의 상태를 참조 및 변경하는 수단은?

  1. 클래스
  2. 상속
  3. 메소드
  4. 엔티티
(정답률: 69%)
  • 메소드는 객체에 정의된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이며, 객체의 상태를 참조하거나 변경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객체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해야 합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상속은 부모 클래스의 특성을 자식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엔티티는 개체를 나타내는 용어로, 객체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지만 보다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객체의 상태를 참조 및 변경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은 메소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객체 지향 분석을 사용하는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공동된 속성을 명백히 표현할 수 있다.
  2. 사람이 사고하고 인지하는 틀 내에서 시스템의 요구 사항을 정의하며, 사용자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3. 한 객체와 다른 객체와의 종속성을 증대 시킨다.
  4. 사용자가 속해 있는 실 세계의 문제 영역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정답률: 53%)
  • 정답은 "한 객체와 다른 객체와의 종속성을 증대 시킨다."이다. 객체 지향 분석은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분석하므로, 객체 간의 종속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는 객체 간의 결합도를 높이고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객체 지향 분석을 사용할 때는 객체 간의 종속성을 최소화하고, 객체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문서화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화
  2. 소프트웨어 이관의 용이함
  3. 시스템 유지보수의 효율화
  4. 시스템 개발과정의 요식행위화
(정답률: 80%)
  • 시스템 개발과정의 요식행위화는 문서화의 목적이 아닙니다. 올바른 목적은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화, 소프트웨어 이관의 용이함, 시스템 유지보수의 효율화입니다. 문서화는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개발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자료 흐름도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자료흐름(Data Flow)
  2. 자료사전(Data Dictionary)
  3. 자료저장소(Data Store)
  4. 처리(Process)
(정답률: 62%)
  • 자료 흐름도의 구성 요소 중에서는 자료사전(Data Dictionary)이 아닌 것입니다. 자료사전은 자료 흐름도에서 사용되는 용어, 데이터 구조, 데이터 유형 등을 정의하고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자료 흐름, 자료 저장소, 처리는 모두 자료 흐름도에서 표현되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표처리에서 원장 또는 대장에 해당되는 파일로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며 기본이 되는 데이터의 축적파일은?

  1. 마스터 파일(Master file)
  2. 트랜잭션 파일(Transaction file)
  3. 히스토리 파일(History file)
  4. 섬머리 파일(Summary file)
(정답률: 66%)
  • 마스터 파일은 전표처리에서 기본이 되는 데이터의 축적파일로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합니다. 다른 파일들은 마스터 파일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보조적인 파일입니다. 따라서 마스터 파일은 전표처리의 핵심이 되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색인 순차 파일은 기본 데이터 영역(prime data area), 색인 영역(index area), 오버플로우 영역(overflow area)으로 구성된다. 이 중 색인 영역(index area)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data index area
  2. track index area
  3. cylinder index area
  4. master index area
(정답률: 70%)
  • 색인 순차 파일에서 "data index area"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기본 데이터 영역(prime data area)은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며, 색인 영역(index area)은 기본 데이터 영역의 주소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오버플로우 영역(overflow area)은 색인 영역에 저장할 수 없는 추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track index area"와 "cylinder index area"는 파일의 블록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인덱스 영역이며, "master index area"는 파일 전체의 인덱스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체크 시스템은 컴퓨터 입력 단계의 체크와 계산 처리 단계의 체크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컴퓨터 입력 단계의 체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불일치 레코드 체크(Unmatch record check)
  2. 일괄 합계 체크(Batch total check)
  3. 순차 체크(Sequence check)
  4. 균형 체크(Balance check)
(정답률: 56%)
  • 불일치 레코드 체크는 입력된 데이터와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레코드를 찾아내는 체크이다. 이는 입력 단계에서는 아직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계산 처리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체크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코드화 대상 항목에 관련된 무게, 면적, 용량 등의 물리적 수치를 직접 코드에 적용하는 방법의 코드 체계는?

  1. 표의 숫자 코드(significant digit code)
  2. 순차 코드(sequence code)
  3. 십진 분류 코드(decimal classification code)
  4. 블록 코드(block code)
(정답률: 77%)
  • "표의 숫자 코드"는 물리적 수치를 직접 코드에 적용하는 방법 중에서도, 유효숫자를 기준으로 한 코드 체계이다. 즉, 물리적 수치를 일정한 자릿수로 나누어 표현하고, 그 자릿수에서 유효한 숫자만을 코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숫자의 정확도를 유지하면서도 코드의 길이를 짧게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과 검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객체 지향 개념에서 이미 정의되어 있는 상위 클래스(수퍼클래스 혹은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비롯한 모든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 받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bstraction
  2. method
  3. inheritance
  4. message
(정답률: 57%)
  • 상속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를 물려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며, 객체 지향 개념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inheritan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세스의 표준 처리 패턴 중 마스터 파일 내의 데이터를 트랜잭션 파일로 추가, 변경, 삭제하여 항상 최근의 정보를 갖는 마스터 파일을 유지하는 것은?

  1. 매체 변환(Conversion)
  2. 정렬(Sort)
  3. 갱신(Update)
  4. 병합(Merge)
(정답률: 83%)
  • 마스터 파일은 항상 최신의 정보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트랜잭션 파일에서 추가, 변경, 삭제된 데이터를 마스터 파일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를 갱신(Update)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갱신(Upd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개체 지향의 요소는?

  1. 객체(object)
  2. 클래스(class)
  3. 실체(instance)
  4. 메시지(message)
(정답률: 85%)
  • 클래스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개체 지향의 요소입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 역할을 하며, 객체를 생성할 때 이 설계도를 참고하여 객체를 생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시스템의 출력 설계에서 종이에 출력하는 대신 출력정보를 마이크로필름에 수록하는 방식은?

  1. CRT 출력 시스템
  2. X-Y 플로터 시스템
  3. 음성 출력 시스템
  4. COM 시스템
(정답률: 66%)
  • COM 시스템은 마이크로필름에 출력정보를 수록하는 방식으로 출력을 하기 때문에 종이에 출력하는 것보다 더 작은 공간에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며, 인쇄 비용이 절약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가상 기억 장치 시스템에서 가상 페이지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접근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프로그램에서 접근하려고 하는 페이지가 주기억 장치에 있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현상은?

  1. page fault
  2. context switching
  3. mutual exclusion
  4. overlay
(정답률: 72%)
  • "page fault"는 프로그램에서 접근하려고 하는 페이지가 주기억 장치에 없는 경우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가상 기억 장치 시스템에서 페이지 부재(page fault)가 발생하여 해당 페이지를 디스크에서 가져와야 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UNIX 운영체제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하드웨어를 보호하고 응용프로그램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것은?

  1. kernel
  2. shell
  3. IPC
  4. process
(정답률: 76%)
  • "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를 보호하고 응용프로그램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컴퓨터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hell"은 사용자와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IPC"는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process"는 운영체제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3페이지가 들어 갈 수 있는 기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 번호가 참조될 때 FIFO 기법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기억공간에 남는 페이지 번호는? (단, 현재 기억 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3, 4, 1
  2. 4, 1, 2
  3. 2, 3, 4
  4. 1, 2, 3
(정답률: 63%)
  • FIFO 기법은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내보내는 기법이다. 따라서 페이지가 참조된 순서대로 기억장치에 채워지다가, 기억장치가 꽉 차게 되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내보내고 새로운 페이지를 채운다.

    초기에는 모두 비어있으므로 페이지 3이 먼저 들어가고, 그 다음에는 페이지 4, 1, 2가 차례대로 들어간다. 이때 기억장치 크기는 3이므로, 3개의 페이지가 모두 차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인 3을 내보내고, 그 자리에 페이지 4를 채운다. 그리고 다음에는 페이지 1이 들어오고, 다시 기억장치가 꽉 차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인 4를 내보내고, 그 자리에 페이지 2를 채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기억장치에 남는 페이지 번호는 4, 1,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선점형(preemptive) 스케줄링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

  1. FIFO 스케줄링
  2. SJF 스케줄링
  3. HRN 스케줄링
  4. Round-Robin 스케줄링
(정답률: 61%)
  • 선점형 스케줄링 기법은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고 있어도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로 빼앗을 수 있는 기법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Round-Robin 스케줄링은 시간 할당량을 정해놓고, 해당 시간이 지나면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기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Round-Robin 스케줄링은 선점형 스케줄링 기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구역성(Ioca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되는 경향을 말한다.
  2. 시간구역성은 최근에 참조된 기억장소가 가까운 장래에도 계속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3. 공간구역성은 하나의 기억장소가 참조되면 그 근처의 기억장소가 계속 참조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4. 프로세스가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프로세스에 의해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말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되는 경향을 말한다."이다. 구역성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말하며, 이는 시간구역성과 공간구역성으로 나뉜다. 시간구역성은 최근에 참조된 기억장소가 가까운 장래에도 계속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고, 공간구역성은 하나의 기억장소가 참조되면 그 근처의 기억장소가 계속 참조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세스가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프로세스에 의해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운영체제의 설계 목표가 아닌 것은?

  1. 빠른 응답시간
  2. 경과 시간 단축
  3. 처리량 감소
  4. 폭넓은 이식성
(정답률: 73%)
  • 운영체제의 설계 목표는 빠른 응답시간, 경과 시간 단축, 폭넓은 이식성 등이 있지만, 처리량 감소는 그 목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영체제 설계에서는 처리량을 최대화하면서도 다른 목표들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설계가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분산 처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위상(Topology)에 따른 분류 중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구조는?

  1. hierachy connection
  2. star connection
  3. ring connection
  4. multiaccess connection
(정답률: 80%)
  • 위 그림은 "star connection" 구조이다. 이는 중앙에 하나의 중심 장비가 있고, 모든 장비들이 중심 장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는 중심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장비들은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이다. 또한, 새로운 장비를 추가하기도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최적 적합(best fit) 기법을 이용한다면 12K 크기의 프로그램은 아래 그림 중 주기억장치의 어느 부분에 할당하여야 하는가?(단, A, B, C, D는 사용가능한 공간의 크기를 표시하고 있음)

  1. A
  2. B
  3. C
  4. D
(정답률: 73%)
  • 최적 적합 기법은 사용 가능한 공간 중에서 프로그램의 크기와 가장 근접한 크기의 공간을 찾아 할당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12K 크기의 프로그램은 B 영역에 할당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A 영역은 프로그램보다 크고, C와 D 영역은 프로그램보다 작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스케줄링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 시간당 처리량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2. 오버헤드를 최대화 시키기 위하여
  3. 응답시간과 자원의 활용간에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4. 대화식 사용자에게 가능한 빠른 응답을 주기 위하여
(정답률: 80%)
  • 스케줄링의 목적은 단위 시간당 처리량을 최대화하거나 응답시간과 자원의 활용간에 균형을 유지하거나 대화식 사용자에게 가능한 빠른 응답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오버헤드를 최대화 시키기 위하여"는 스케줄링의 목적으로 옳지 않습니다. 오버헤드란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부가적인 작업을 말하며, 스케줄링은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로더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할당(Allocation)
  2. 실행(Execution)
  3. 연결(Linking)
  4. 재배치(Relocation)
(정답률: 56%)
  • 로더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할당, 연결, 재배치를 수행합니다. 하지만 실행은 로더의 역할이 아니라, 적재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실행은 로더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UNIX 시스템에서 이용자와 시스템을 연결해 주는 매체로서 명령문 해석기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커널(kernel)
  2. 쉘(shell)
  3. 인터프리터(inter)
  4. 소켓(socket)
(정답률: 75%)
  •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고, 이를 커널에 전달하여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용자와 시스템을 연결하는 매체로서 명령문 해석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인터럽트의 종류 중 프로그램 명령 사용법이나 지정법에 잘못이 있을 경우, 허용되지 않는 명령문 실행의 경우, divide by zero의 경우 등에 발생하는 것은?

  1. 입출력 인터럽트
  2. 외부 인터럽트
  3.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4. 기계 검사 인터럽트
(정답률: 65%)
  • 프로그램 명령 사용법이나 지정법에 잘못이 있을 경우, 허용되지 않는 명령문 실행의 경우, divide by zero의 경우 등은 프로그램 자체에 오류가 있기 때문에 이를 검사하고 처리하기 위한 인터럽트인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과 같은 트랙이 요청되어 큐에 도착하였다. 모든 트랙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SCAN 스케줄링 기법이 사용되었을 때 트랙 35는 요청된 트랙 중 몇 번째 찾게 되는가? (단, 현재 헤드의 위치는 50 트랙이고, 헤드는 트랙0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문제 오류로 그림파일이 없습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원본을 가지고 계신분께서는 관리자에게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1
  2. 2
  3. 3
  4. 4
(정답률: 51%)
  • SCAN 스케줄링 기법은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요청된 트랙을 처리한다. 따라서, 트랙 35는 헤드 위치에서 오른쪽에 있으므로, 헤드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트랙 35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트랙 35는 트랙 50과 트랙 40 사이에 위치하므로, 트랙 40을 처리한 후에 처리된다. 따라서, 트랙 35는 요청된 트랙 중에서 두 번째로 처리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빈번한 페이지의 부재 발생으로 프로세스의 수행 소요시간보다 페이지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큰 경우를 의미하는 것은?

  1. 스레싱(thrashing)
  2. 세마포어(semaphore)
  3. 페이징(paging)
  4. 오버레이(overlay)
(정답률: 63%)
  • 스레싱(thrashing)은 프로세스가 빈번하게 페이지 부재(page fault)를 일으키면서 페이지 교환 작업이 지나치게 빈번하게 발생하여, 프로세스의 수행 소요시간보다 페이지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큰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자원이 페이지 교환에만 소모되어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따라서 스레싱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페이지 교환 알고리즘과 메모리 관리 기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세마포어(semaphore), 페이징(paging), 오버레이(overlay)는 스레싱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UNIX 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대화형의 시분할 시스템
  2. 계층적 파일 시스템
  3. Stand alone
  4. 네트워킹 시스템
(정답률: 64%)
  • "Stand alone"은 UNIX 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이는 UNIX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Stand alone"은 UNIX 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특정 레코드를 검색하기 위하여 키(Key)와 보조기억 장치 사이의 물리적인 주소로 변환할 수 있는 사상 함수(mapping function)가 필요한 파일은?

  1. 순차 파일
  2. 인덱스된 순차파일
  3. 직접 파일
  4. 분할 파일
(정답률: 46%)
  • 직접 파일은 키(Key)와 보조기억 장치 사이의 물리적인 주소로 변환할 수 있는 사상 함수(mapping function)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특정 레코드를 직접 검색할 수 있는 파일이다. 따라서 직접 파일은 다른 파일과 달리 검색 속도가 빠르며, 키(Key)를 이용한 직접 검색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둘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차지하고 있는 자원을 요구하며 무한정 기다리게 되어 해당 프로세스들의 진행이 중단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emaphore1
  2. waiting
  3. synchronization
  4. deadlock
(정답률: 71%)
  • 정답은 "deadlock"이다.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자원을 요구하며 무한정 기다리게 되면, 해당 프로세스들은 서로 진행을 막고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을 데드락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deadlock"이 정답이다.

    "semaphore1"은 프로세스 간의 동기화를 위한 도구이고, "waiting"은 대기 상태를 의미한다. "synchronization"은 동기화를 의미하는데, 이는 데드락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데드락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용어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라운드로빈(Round Robin) 스케줄링에서 시간 할당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 할당량이 커지면 FCFS 스케줄링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2. 시간 할당량이 작아지면 프로세스 문맥 교환 횟수가 증가한다.
  3. 시간 할당량이란 단위 시간별로 작업 스케줄링을 하는 방식에서 그 단위 시간을 의미한다.
  4. 짧은 대화식 사용자에게는 시간 할당량을 크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정답률: 66%)
  • "짧은 대화식 사용자에게는 시간 할당량을 크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로, 짧은 대화식 사용자에게는 시간 할당량을 작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유는 짧은 대화식 작업은 빠르게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끝나기 전에 시간 할당량이 끝나면 다시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짧은 대화식 작업에 대해서는 시간 할당량을 작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중 프로그래밍 운영체제에서 한 순간에 여러 개의프로세스에 의하여 공유되는 데이터 및 자원에 대하여, 한 순간에는 반드시 하나의 프로세스에 의해서만 자원 또는 데이터가 사용되도록 하고, 이러한 자원이 프로세스에 의하여 반납된 후, 비로소 다른 프로세스에서 자원을 이용하거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지정된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1. monitor
  2. semaphore
  3. critical section
  4. working set
(정답률: 48%)
  •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공유하는 자원이나 데이터를 동시에 접근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자원이나 데이터를 사용하는 코드 영역을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으로 지정하여 한 순간에는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 간의 경쟁이나 충돌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2. 자원 스케쥴링
  3. 데이터의 공유
  4.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
(정답률: 78%)
  • 운영체제의 기능 중에서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은 컴파일러와 관련된 기능으로, 소스 코드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기능들과는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MHS의 기능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2. 동보 기능이 다양하다.
  3. 다른 텔레메틱 서비스와 상호접속이 가능하다.
  4. 신호변환 및 정보처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47%)
  • MHS는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중에서는 "신호변환 및 정보처리가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MHS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며, 데이터의 변환 및 처리는 다른 시스템에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DTE/DCE 접속규격이 아닌 것은?

  1. RS-232C
  2. V.24
  3. X.75
  4. X.21
(정답률: 44%)
  • X.75은 DTE/DCE 접속규격이 아니라 전송 프로토콜 규격이다. X.75은 패킷 교환망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규격이다. 따라서, DTE/DCE 접속규격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정보통신시스템 중 데이터 전송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단말장치
  2. 중앙처리장치
  3. 통신제어장치
  4. 데이터전송회선
(정답률: 70%)
  •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단말장치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기능을, 통신제어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데이터전송회선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회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데이터 발생 현장에 설치된 단말기가 원격지에 설치된 컴퓨터와 통신회선을 통해 직접 연결된 형태는?

  1. 일괄처리 라인
  2. 오프라인
  3. 온라인
  4. 데이터베이스 라인
(정답률: 62%)
  • 온라인은 데이터 발생 현장에 설치된 단말기와 원격지에 설치된 컴퓨터가 통신회선을 통해 직접 연결된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온라인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디지털 전송로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는?

  1. MODEM
  2. DSU
  3. 부호기
  4. 복호기
(정답률: 66%)
  • DSU는 디지털 서비스 장치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 장치입니다. DSU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클럭 신호, 동기화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전송매체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전송로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는 DS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식 접속자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하다.
  2. 레이저를 이용한 융착접속은 불가능하다.
  3. 장거리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4. 고품질 전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정답은 "레이저를 이용한 융착접속은 불가능하다." 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로, 광섬유 안에 있는 광섬유 코어에서 광신호가 전송된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할 때는 광섬유 코어 간의 정확한 정렬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계식 접속자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레이저를 이용한 융착접속은 광섬유 코어 간의 정확한 정렬이 어렵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OSI 7계층 중 데이터의 형식 처리와 암호화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1. 프리젠테이션 계층
  2. 세션 계층
  3. 응용 계층
  4. 트랜스포트 계층
(정답률: 57%)
  •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의 형식 처리와 암호화 등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응용 계층에서 받아들여 이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수신측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재구성합니다. 또한, 데이터의 암호화와 복호화도 이 계층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형식 처리와 암호화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프리젠테이션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뉴미디어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방향성
  2. 네트워크화
  3. 분산적
  4. 특정 다수자
(정답률: 78%)
  • 단방향성은 뉴미디어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뉴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와 달리 정보의 전달이 양방향적이며,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네트워크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분산적으로 정보가 생산되고 공유되며, 특정 다수자가 아닌 개인이나 소수의 그룹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단방향성은 뉴미디어의 특징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SDLC에서 한 프레임(Frame)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플래그(Flag)
  2. 번지 지정부(Address Field)
  3. 제어부(Control field)
  4. 논리 연산부(Arithmetic Logic Unit)
(정답률: 62%)
  • SDLC에서 프레임(Frame)을 구성하는 요소는 플래그, 번지 지정부, 제어부이다. 논리 연산부는 SDLC에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며, 이는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중앙 처리 장치(CPU)의 일부분으로,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펄스코드 변조방식(PCM)의 송신측 변조 과정은?

  1. 입력신호-부호화-양자화-표본화
  2. 입력신호-양자화-표본화-부호화
  3. 입력신호-표본화-양자화-부호화
  4. 입력신호-부호화-표본화-양자화
(정답률: 73%)
  • PCM 방식에서는 입력신호를 먼저 표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후에는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이를 부호화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신호-표본화-양자화-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LAN에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광대역 전송매체의 사용으로 고속통신이 가능하다.
  2. 매우 낮은 오류율을 가지며, 방송 형태의 이용이 가능하다.
  3. LAN의 구성은 주로 공중망으로 이루어진다.
  4. 근거리 상호통신을 지원하고 워크스테이션 간을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58%)
  • LAN의 구성은 주로 공중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역 내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는 이더넷 케이블, 무선 랜 등의 유선 또는 무선 매체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LAN의 구성은 주로 공중망으로 이루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대역폭이 4[KHz]인 음성신호를 PCM 형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경우 신호의 전송속도는?(단, 양자화 레벨은 8비트)

  1. 4[kbps]
  2. 8[kbps]
  3. 32[kbps]
  4. 64[kbps]
(정답률: 28%)
  • PCM 형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할 경우, 샘플링 주파수는 나이퀴스트 주파수 이론에 따라 8[KHz]로 설정된다. 이때, 양자화 레벨이 8비트이므로, 하나의 샘플링 값은 8비트로 표현된다. 따라서, 전송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송속도 = 샘플링 주파수 x 양자화 레벨 = 8[KHz] x 8[비트] = 64[kbps]

    따라서, 정답은 "64[k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ASK
  2. PCM
  3. FSK
  4. PSK
(정답률: 76%)
  • PCM은 디지털 신호를 유지한 채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PCM입니다. ASK, FSK, PSK는 모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채널 중 64[kbps]의 속도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채널은?

  1. A 채널
  2. B 채널
  3. C채널
  4. H 채널
(정답률: 59%)
  • B 채널은 ISDN에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되는 채널 중 하나로, 64[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A 채널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되고, C 채널은 16[kbps]의 속도로 보이스나 fax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H 채널은 384[kbps]의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B 채널은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채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LAN에서 사용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방식 중 CSMA/C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EEE802.3 프로토콜 표준에 근거한다.
  2. 다른 전송 데이터가 감지되면 계속 선로 상태를 살펴서 선로가 휴지상태가 될 때 즉시 전송한다.
  3. 전송 도중 충돌이 감지되면 즉시 전송을 멈추고 다른 스테이션에 충돌을 알리는 재밍 신호를 전송한다.
  4. 재밍 신호를 전송한 후에 즉시 데이터 재전송을 시작한다.
(정답률: 39%)
  • "재밍 신호를 전송한 후에 즉시 데이터 재전송을 시작한다."는 CSMA/C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입니다. CSMA/CD에서는 충돌이 발생하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재전송을 시도합니다. 이는 충돌이 발생한 이유가 네트워크 상황 때문인지 장비 오작동 때문인지 구분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데이터 링크(data-link) 계층의 프로토골이 아닌 것은?

  1.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2. ADCCP(Advanced Data Communication Control Procedure)
  3.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4. FTP(File Transfer Protocol)
(정답률: 55%)
  • FTP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의 프로토콜이며,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의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FTP는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함께 사용되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패킷 교환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적 전송기능에 의해 패킷 다중전송이 가능하다.
  2. 부호가 다른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3. 처리속도가 다른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4. 대량의 데이터 전송시 전송지연이 아주 적다.
(정답률: 68%)
  • 대량의 데이터 전송시 전송지연이 아주 적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패킷 교환망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패킷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의 데이터 전송시에도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RS-232C 인터페이스는 몇 개의 핀(PIN)으로 구성되는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67%)
  • RS-232C 인터페이스는 25개의 핀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데이터 전송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핀들과 그 외의 기능을 위한 핀들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핀으로는 TxD(송신 데이터), RxD(수신 데이터)가 있고,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핀으로는 RTS(Ready To Send), CTS(Clear To Send), DTR(Data Terminal Ready), DSR(Data Set Ready), CD(Carrier Detect) 등이 있다. 그 외에도 GND(접지), VCC(전원 공급) 등의 핀이 있다. 따라서 RS-232C 인터페이스는 총 25개의 핀으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OSI 7레벨 참조 모델에서 인접한 장치 간에 원활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 지도록 규정하고 있는 계층은?

  1. 표현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3. 응용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73%)
  • 데이터 링크 계층은 인접한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연결을 제공하고, 오류 검출 및 수정,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인접한 장치 간에 원활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규정하고 있는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HDLC 방식에서 Flag의 형태에 해당되는 것은?

  1. 01111110
  2. 01010101
  3. 01100110
  4. 11011011
(정답률: 40%)
  • HDLC 방식에서 Flag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패턴입니다. Flag의 형태는 항상 "01111110"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수신 측에서는 이 Flag 패턴을 감지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식별합니다. 따라서, "01111110"이 HDLC 방식에서 Flag의 형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