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정보처리산업기사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A is a relation with cardinality 3 and degree 5 and B is relation with cardinality 4 and degree 2. When we combine relation A and B by the cartesian product, what relation does come out?

  1. cardinality 4 and degree 2
  2. cardinality 3 and degree 5
  3. cardinality 7 and degree 10
  4. cardinality 12 and degree 7
(정답률: 63%)
  • When we take the cartesian product of A and B, we create a new relation that contain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uples from A and B. Since A has cardinality 3 and B has cardinality 4, the resulting relation will have a cardinality of 3 x 4 = 12.

    The degree of the resulting relation will be the sum of the degrees of A and B, which is 5 + 2 = 7. Therefore, the correct answer is "cardinality 12 and degree 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hich of the following does not belong to the DML statements of SQL?

  1. ALTER
  2. INSERT
  3. DELETE
  4. UPDATE
(정답률: 78%)
  • "ALTER" is not a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statement in SQL because it is used to modify the structure of a database, such as adding or removing columns from a table, renaming a table, or changing the data type of a column. The other options, "INSERT", "DELETE", and "UPDATE", are all DML statements used to manipulate data within a tabl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논리적 데이터 모델 중 오너-멤버(Owner-Member) 관계를 가지며, CODASYL DBTG 모델이라고도 하는 것은?

  1. E-R 모델
  2. 관계 데이터 모델
  3. 계층 데이터 모델
  4.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정답률: 72%)
  • 오너-멤버 관계를 가지며, CODASYL DBTG 모델은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이다. 이는 데이터를 레코드와 레코드 간의 관계로 표현하는 모델로, 레코드 간의 관계를 트리 구조가 아닌 그래프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표현할 수 있으며, 오너-멤버 관계를 통해 다양한 연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사 테이블의 주소 필드에 대한 데이터 타입을 VARCHAR(10)으로 정의하였으나, 필드 길이가 부족하여 20바이트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에 적합한 SQL 명령은?

  1. MODIFY FIELD
  2. MODIFY TABLE
  3. ALTER TABLE
  4. ADD TABLE
(정답률: 68%)
  • 정답은 "ALTER TABLE"이다.

    "ALTER TABLE"은 이미 존재하는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SQL 명령어이다. 따라서 인사 테이블의 주소 필드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ALTER TABLE"을 사용해야 한다. "MODIFY FIELD"는 필드 자체를 수정하는 명령어이고, "MODIFY TABLE"은 테이블 자체를 수정하는 명령어이다. "ADD TABLE"은 새로운 테이블을 추가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서브루틴 레벨에서 복귀 번지를 기억시키는 경우 가장 적합한 자료 구조는?

  1. 데크
  2. 연결 리스트
  3. 스택
(정답률: 75%)
  • 서브루틴에서 복귀 번지를 기억시키는 경우, 스택이 가장 적합한 자료 구조입니다. 이는 스택이 후입선출(LIFO)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서브루틴에서 호출한 순서대로 복귀 번지를 저장하고, 복귀할 때는 가장 마지막에 저장한 복귀 번지를 먼저 꺼내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스택의 특성은 서브루틴 호출과 복귀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자체에 관련 있는 다양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 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이다.
  2. 데이터 사전이라고도 한다.
  3. 무결성 확보를 위하여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해 볼 수 없다,.
  4. 기본 테이블, 뷰, 인덱스, 패키지, 접근 권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정답률: 84%)
  • 시스템 카탈로그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 사전이라고도 불린다. 기본 테이블, 뷰, 인덱스, 패키지, 접근 권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하지만 무결성 확보를 위해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일반 사용자도 시스템 카탈로그를 검색할 수 있지만,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 카탈로그를 수정할 수 없도록 보안 설정이 되어 있을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SQL문을 관계 대수적으로 표현할 때 필요한 관계연산 자로 가장 적절할 것은?

  1. JOIN과 SELECT
  2. SELECT 와 PROJECT
  3. DIVISION과 SELECT
  4. JOIN과 PROJECT
(정답률: 58%)
  • 정답은 "SELECT 와 PROJECT"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주어진 SQL문에서 SELECT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역할을 합니다. WHERE 절에서는 고객번호가 'C001'인 데이터를 검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PROJECT는 특정 속성(열)만을 선택하여 새로운 릴레이션(테이블)을 생성하는 연산입니다. SELECT와 함께 사용되어 검색된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속성만을 선택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SQL문에서는 고객번호, 고객명, 생년월일, 성별, 주소 속성만을 선택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SQL문을 관계 대수적으로 표현할 때는 SELECT와 PROJECT 연산이 필요합니다. JOIN과 DIVISION은 이 SQL문에서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외래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래 키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외래 키로 지정되면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 키에 없는 값은 입력할 수 없다.
  3. 외래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 릴레이션이 되고, 대응되는 기본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하는 릴레이션이 된다.
  4.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정답률: 53%)
  • 외래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 릴레이션이 되고, 대응되는 기본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하는 릴레이션이 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외래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은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하는데 사용되는 속성일 뿐, 참조 릴레이션 자체가 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ime Accessibility
  2. Continuous Evolution
  3. Concurrent Sharing
  4. Address Reference
(정답률: 62%)
  • "Address Reference"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이 아닙니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ime Accessibility: 데이터베이스는 필요한 시간에 언제든지 접근 가능합니다.
    2. Continuous Evolution: 데이터베이스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3. Concurrent Sharing: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ddress Reference"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이 아니며,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Address Referen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는?

  1. 2
  2. 3
  3. 4
  4. 8
(정답률: 69%)
  • 트리의 차수란 한 노드에서 가지치기가 일어나는 최대 개수를 의미합니다. 위 그림에서 가장 많은 가지를 가진 노드는 "A" 노드이며, 이 노드에서 가지치기가 일어나는 최대 개수는 2개입니다. 따라서 이 트리의 차수는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릴레이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2.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없다.
  3.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지며, 속성의 순서는 큰 의미가 없다.
  4. 한 릴레이션에 나타난 속성 값은 논리적으로 분해 가능한 값이어야 한다.
(정답률: 69%)
  • 한 릴레이션에 나타난 속성 값은 논리적으로 분해 가능한 값이어야 한다는 것은 옳은 특징이 아니다. 이는 함수적 종속성과 관련이 있으며, 릴레이션의 속성 값이 분해 가능해야만 정규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물리적 설계 단계와 거리가 먼 것은?

  1.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2.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
  3.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4. 접근 경로 설계
(정답률: 64%)
  •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는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으로, 물리적 설계 단계와는 거리가 먼 작업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에서 생성된 스키마를 검토하고, 중복 데이터나 불필요한 속성 등을 제거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높이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는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스키마를 구현하기 전에 수행되는 작업으로,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이러한 논리적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게 됩니다. 따라서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는 물리적 설계 단계와는 거리가 먼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정렬 기법은?

  1. Insertion Sort
  2. Bubble Sort
  3. Selection Sort
  4. Quick Sort
(정답률: 57%)
  • 위 그림은 Insertion Sort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것입니다. Insertion Sort는 배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시작하여, 각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면서 정렬하는 방식입니다. 삽입할 위치를 찾기 위해 이전 요소들과 비교하며, 삽입할 위치를 찾으면 해당 위치에 삽입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배열을 정렬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도 배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시작하여, 각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면서 정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B이고 B→C 일 때 A→C를 만족하는 종속관계를 제거하는 정규화 단계는?

  1. 1NF→2NF
  2. 2NF→3NF
  3. 3NF→BCNF
  4. 비정규 릴레이션→1NF
(정답률: 65%)
  • 정답은 "2NF→3NF"입니다.

    A→B이고 B→C일 때 A→C를 만족하는 종속관계는 이행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이행적 종속이 존재하면 데이터 중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해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행적 종속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2NF와 3NF 정규화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2NF에서는 부분 함수 종속을 제거하고, 3NF에서는 이행적 종속을 제거합니다.

    따라서 A→B, B→C의 종속관계를 가진 릴레이션을 2NF로 정규화하고, 이어서 3NF로 정규화하여 A→C의 이행적 종속을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한다.
  2. 뷰의 정의 변경시 ALTER VIEW문을 사용한다.
  3. 독자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없다.
  4. 데이터 접근 제어로 보안을 제공한다.
(정답률: 58%)
  • "독자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뷰는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고, 기존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주는 가상의 테이블이다. 따라서 뷰에 대한 인덱스는 기존의 테이블에 대한 인덱스를 사용하게 된다. 뷰를 생성할 때 인덱스를 생성할 수는 없지만, 기존의 테이블에 대한 인덱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뷰를 이용한 검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뷰의 정의를 변경할 때는 ALTER VIEW문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뷰의 SELECT문을 수정하거나, 뷰를 생성할 때 사용한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뷰는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하며, 데이터 접근 제어로 보안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트리를 Post-order로 운영할 때 노드 B는 몇 번째로 검사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77%)
  • Post-order는 왼쪽 서브트리, 오른쪽 서브트리, 루트 노드 순으로 노드를 방문하는 순서이다. 따라서, B 노드는 왼쪽 서브트리인 D와 E를 먼저 방문한 후, 오른쪽 서브트리인 F와 G를 방문한 후, 마지막으로 루트 노드인 A를 방문하게 된다. 따라서, B 노드는 4번째로 검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해싱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Bucket
  2. Collision
  3. Synonym
  4. Overflow
(정답률: 70%)
  • 해싱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을 "Bucket" 이라고 한다. "Collision"은 충돌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Overflow"는 버킷이 가득 차서 추가 레코드를 저장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Synonym"은 해싱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며, 이유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Bucke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개체, 이들 개체 사이의 속성, 이들간에 존재하는 관계,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에 관한 정의를 총칭해서 무엇이라고 하는가?

  1. VIEW
  2. DOMAIN
  3. SCHEMA
  4. DBA
(정답률: 76%)
  • SCHEMA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의 정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데이터 개체, 속성, 관계, 제약 조건 등 모든 구성 요소들의 정의를 담고 있는 개념이다. VIEW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가상의 테이블이고, DOMAIN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는 개념이다. DBA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SCHEMA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의 정의를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형 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스택, 큐, 데크
  2. 스택, 큐, 트리
  3. 큐, 데크, 그래프
  4. 트리, 그래프, 스택
(정답률: 82%)
  • 스택, 큐, 데크는 모두 선형 구조에 해당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 큐는 선입선출(FIFO) 구조, 데크는 양방향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한 구조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선형 구조에 해당하며, 다른 보기들은 그래프나 트리와 같은 비선형 구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2. 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물리적 설계
  3. 개념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논리적 설계
  4. 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정답률: 81%)
  •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의 순서는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입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인 추상화의 개념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개념적 설계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이를 추상화하여 개념적 모델을 만드는 단계입니다. 논리적 설계는 개념적 모델을 논리적 모델로 변환하는 단계이며, 물리적 설계는 논리적 모델을 실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구현하는 단계입니다. 이러한 순서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효율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를 기능별로 분류할 때 동일한 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JMP(jump 명령)
  2. ADD(addition 명령)
  3. ROL(rotate left 명령)
  4. CLC(clear carry 명령)
(정답률: 50%)
  • JMP(jump 명령)은 제어(control) 명령어이며,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ADD(addition 명령), ROL(rotate left 명령), CLC(clear carry 명령)은 산술(arithmetic) 및 논리(logical) 명령어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JMP는 다른 명령어와 분류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이크로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어 메모리는 주로 어떤 메모리를 사용하는가?

  1. ROM
  2. CAM
  3. RAM
  4. virtual memory
(정답률: 62%)
  • 마이크로프로그램은 고정된 명령어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가 가장 적합합니다. ROM은 데이터를 읽을 수만 있고 쓸 수는 없는 메모리이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그램이 변경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습니다. CAM은 주소와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로, 제어 메모리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RAM은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한 메모리이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그램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어 적합하지 않습니다. Virtual memory는 물리적인 메모리보다 큰 용량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제어 메모리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6진수 (7A.C5)16을 8진수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82.512)
  2. (82.612)
  3. (172.512)
  4. (172.612)
(정답률: 52%)
  • 16진수 7A는 10진수로 122이고, C5는 10진수로 197입니다. 따라서 16진수 (7A.C5)16은 10진수로 122 + 0.75 = 122.75입니다.

    이를 8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소수점 이하 부분을 8진수로 변환해야 합니다.

    0.75를 8진수로 변환하면 0.6이 됩니다.

    따라서 10진수 122와 0.6을 합쳐서 8진수로 변환하면 (172.6)8이 됩니다.

    하지만 8진수에서는 0.6과 같이 소수점 이하 부분이 0.5보다 크면 다음 자리수에서 1을 올려야 합니다.

    따라서 0.6을 8진수로 변환할 때는 0.5를 더해준 후에 변환해야 합니다.

    0.6 + 0.5 = 1.1이므로, 0.1을 다음 자리수에서 더해주면 최종적으로 (172.612)8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72.6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6비트를 갖는 명령어 중 OP code가 5비트, operand가 8비트를 차지한다면 명령어의 최대 종류는?

  1. 5
  2. 8
  3. 32
  4. 256
(정답률: 59%)
  • OP code가 5비트이므로 2^5 = 32가지 종류의 OP code를 가질 수 있습니다. Operand가 8비트이므로 2^8 = 256가지 종류의 operand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OP code와 operand를 조합한 명령어의 최대 종류는 32 x 256 = 8192가지입니다. 하지만 OP code와 operand의 조합에 따라 유효한 명령어가 아닌 경우도 있으므로, 이보다 적은 종류의 명령어가 실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indirect cycle 동안에 컴퓨터가 수행하는 작업은?

  1. 명령을 읽는다.
  2. 오퍼랜드의 번지를 읽는다.
  3. 오퍼랜드를 읽는다.
  4. 인터럽트를 처리한다.
(정답률: 58%)
  • indirect cycle 동안에는 메모리에서 가져온 주소가 포함된 오퍼랜드를 다시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해당 주소에 저장된 값을 가져오기 위해 오퍼랜드의 번지를 읽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 작업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필요한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n bit의 레지스터 A(An-1An-2…A1A0)와 B(Bn-1Bn-2…B1B0)에 대해 다음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micro-operation)을 n번 수행하였다. 이 때, shr은 오른쪽 시프트(right shift), cir은 오른쪽 회전 시프트(rotate right)이다. 어떤 기능을 수행한 것인가?

  1. A의 내용을 B로 직렬 전송(serial transfer)
  2. B의 내용을 A로 직렬 전송(serial transfer)
  3. A와 B의 내용을 교환
  4. B의 내용을 2로 나눈 나머지를 A에 저장
(정답률: 61%)
  • 주어진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은 B의 내용을 오른쪽으로 시프트하거나 회전시키고, 그 결과를 A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는 B의 비트들을 하나씩 A로 전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므로, B의 내용을 A로 직렬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B의 내용을 A로 직렬 전송(serial transf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I/O 버스에 연결될 수 있는 선 중 양방향성인 것은?

  1. interrupt sense line
  2. data line
  3. founction line
  4. device address line
(정답률: 55%)
  • "Data line"은 양방향성을 가지며,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단방향성을 가지거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스크 드라이브의 한 형태로 용량이 큰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은?

  1. DVD
  2. CCD
  3. 하이브리드 드라이브
  4. 캐시메모리
(정답률: 43%)
  •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는 디스크 드라이브와 플래시 메모리를 조합한 형태로, 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용량 저장 용량과 플래시 메모리의 빠른 데이터 접근 속도를 모두 갖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용량이 큰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조기억장치로 부적합한 것은?

  1. 자기 디스크
  2. DVD
  3. 자기 테이프
  4. SDRAM
(정답률: 59%)
  • SDRAM은 주기억장치인 RAM의 일종으로,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보조기억장치로는 부적합합니다. 반면 자기 디스크, DVD, 자기 테이프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보조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진수 (1010)2을 그레이(Gray) 코드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1111
  2. 1001
  3. 1011
  4. 1101
(정답률: 63%)
  • 2진수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은 각 자리수를 그 이전 자리수와 XOR 연산을 하면 됩니다.

    따라서 (1010)2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첫 번째 자리는 그대로 유지합니다.

    2. 두 번째 자리는 첫 번째 자리와 XOR 연산합니다.

    - 1 ⊕ 0 = 1

    3. 세 번째 자리는 두 번째 자리와 XOR 연산합니다.

    - 0 ⊕ 1 = 1

    4. 네 번째 자리는 세 번째 자리와 XOR 연산합니다.

    - 1 ⊕ 0 = 1

    따라서 (1010)2의 그레이 코드는 "11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PU의 하드웨어(hardware) 요소들을 기능별로 분류할 때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산 기능
  2. 제어 기능
  3. 입출력 기능
  4. 전달 기능
(정답률: 42%)
  • CPU의 하드웨어 요소들을 기능별로 분류할 때, 입출력 기능은 CPU 내부에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하는 기능이므로 포함되지 않는다. CPU는 연산 기능, 제어 기능,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데, 연산 기능은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 제어 기능은 명령어 해석과 실행을 제어하는 기능, 전달 기능은 데이터와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와 캐시 메모리 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은 명령어는 어떤 유형의 번지 명령 방식인가?

  1. 0-주소
  2. 1-주소
  3. 2-주소
  4. 3-주소
(정답률: 49%)
  • 해당 명령어는 "1-주소" 번지 명령 방식이다. 이는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주소가 명령어 자체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명령어의 첫 번째 바이트는 해당 명령어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지를 나타내고, 두 번째 바이트는 해당 작업을 수행할 메모리 주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방식은 명령어 하나당 사용되는 바이트 수가 적어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터럽트 처리 방식 중 인터럽트 신호선을 공유하면서 연결순서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것은?

  1. multiple interrupt line 방식
  2. daisy chain 방식
  3. software polling 방식
  4. bus arbitration 방식
(정답률: 55%)
  • daisy chain 방식은 인터럽트 신호선을 공유하면서 여러 개의 인터럽트 장치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인터럽트 발생 시 연결된 장치들을 순차적으로 검사하면서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연결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기억 장치의 영역구분을 크게 둘로 나눌 때 옳은 것은?

  1.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
  2.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 운영체제 영역
  3. 관리자 프로그램 영역, 운영체제 영역
  4. 관리자 프로그램 영역,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
(정답률: 56%)
  • 주기억 장치의 영역구분을 크게 둘로 나눌 때,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과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체제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담당합니다.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영역 구분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반도체 기억소자로서 이미 기억된 내용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지우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는?

  1. SRAM
  2. DRAM
  3. EPROM
  4. PROM
(정답률: 74%)
  • EPROM은 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입니다. 이 소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도체 기억소자로서 이미 기억된 내용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지우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로 EPROM이 선택됩니다. SRAM과 D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으며, PROM은 일회성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모든 마이크로오퍼레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마이크로사이클 시간을 할당하는 방법은?

  1. 비동기식
  2. 동기고정식
  3. 동기가변식
  4. 중앙집중식
(정답률: 51%)
  • 비동기식은 각 마이크로오퍼레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마이크로사이클 시간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이는 각 오퍼레이션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다른 오퍼레이션의 실행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동기식은 다른 방식과 달리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의 실행 속도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과 같은 함수를 카르노맵(karnaugh-map)을 이용하여 간략화한 식은?

(정답률: 52%)
  • 카르노맵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 | 00 | 01 | 11 | 10 |
    |---|---|---|---|---|
    | 0 | 1 | 1 | 0 | 1 |
    | 1 | 0 | 1 | 1 | 0 |

    카르노맵에서 인접한 1들을 그룹화하면 다음과 같다.

    | | 00 | 01 | 11 | 10 |
    |---|---|---|---|---|
    | 0 | 1 | 1 | | 1 |
    | 1 | | 1 | 1 | |

    따라서, 간략화된 식은 "" 이다. 이유는 카르노맵에서 인접한 1들을 그룹화하여 최소항을 구하면서, "" 항이 포함된 그룹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명령어 실행 과정에서 명령어가 지정한 번지를 수정하기 위한 레지스터는?

  1. 명령 레지스터
  2. 프로그램 카운터
  3. 베이스 레지스터
  4. 인덱스 레지스터
(정답률: 52%)
  • 인덱스 레지스터는 명령어 실행 과정에서 명령어가 지정한 번지를 수정하기 위한 레지스터입니다. 다른 레지스터들은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부프로그램 호출
  2. supervisor call
  3. 정전
  4. 불법적인 인스트럭션 수행
(정답률: 61%)
  • 부프로그램 호출은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부프로그램 호출은 프로그램 내에서 다른 부분을 실행하기 위해 호출하는 것으로, 호출된 부분이 실행 중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프로그램 호출"은 올바른 발생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해밍 코드(hamming code)를 만들기 위해서는 BCD코드와 일반적으로 몇 개의 점검 비트(check bit)가 필요한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45%)
  • 해밍 코드는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위한 코드이며, 이를 위해 점검 비트를 사용한다. BCD 코드는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한 코드이므로, 4비트로 표현된다. 따라서 해밍 코드에서는 4비트의 BCD 코드에 대해 점검 비트를 추가해야 한다. 이때, 점검 비트의 개수는 2의 거듭제곱으로 정해지며, BCD 코드의 비트 수에 더해진다. 따라서 4비트의 BCD 코드에 3개의 점검 비트를 추가하여 해밍 코드를 만들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모델 중 폭포수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젝트 관리 및 자동화가 어렵다.
  2. 단계별 정의가 분명하고, 각 단계별 산출물이 명확하다.
  3. 계획 수립→위험 분석→공학화→고객 평가의 순서로 진행된다.
  4. 전통적인 라이프 사이클 모델이다.
(정답률: 49%)
  • "프로젝트 관리 및 자동화가 어렵다."는 폭포수형 모델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폭포수형 모델의 특징은 "단계별 정의가 분명하고, 각 단계별 산출물이 명확하다.", "계획 수립→위험 분석→공학화→고객 평가의 순서로 진행된다.", "전통적인 라이프 사이클 모델이다." 등이 있다. 이 모델은 각 단계별로 산출물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전 단계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음 단계를 진행하기 때문에 단계별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쉽다. 또한, 전통적인 라이프 사이클 모델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고, 적용하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흐름도의 종류 중 컴퓨터의 입력, 처리, 출력되는 하나의 처리 과정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은?

  1. 프로세스 흐름도
  2. 프로그램 흐름도
  3. 시스템 흐름도
  4. 블록 차트
(정답률: 62%)
  • 프로세스 흐름도는 하나의 처리 과정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나타낸다. 따라서 입력부터 출력까지의 과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프로그램 개발 및 유지보수에 유용하다. "프로그램 흐름도"는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고, "시스템 흐름도"는 여러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블록 차트"는 복잡한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블록으로 표시하여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마모에 의하여 소멸되지 않는다.
  2. 요구나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변형시킬 수 없다.
  3. 간단히 복사할 수 있다.
  4. 생산물의 구조가 코드 안에 숨어 있다.
(정답률: 63%)
  •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요구나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변형시킬 수 없다." 이다. 이는 소프트웨어가 한 번 개발되면 요구나 환경이 변화해도 쉽게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복잡성과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야기하며, 소프트웨어 개발 시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유연한 설계를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료 사전에서 사용되는 기호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 } : 자료의 정의
  2. [ ] : 자료의 생략
  3. ( ) : 자료의 반복
  4. * * : 자료의 설명(주석)
(정답률: 71%)
  • "* * : 자료의 설명(주석)"은 옳은 것이다. 이 기호는 자료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나 주석을 나타내며, 자료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apple*은 사과를 뜻합니다."와 같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프트웨어 비용 산정 방법 중 전문가가 독자적으로 감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편차를 줄이기 위해 단계별로 전문가들의 견해를 조정자가 조정하여 최종 견적을 결정하는 것은?

  1. 전문가 감정에 의한 방법
  2. 델파이 방법
  3. LOC 방법
  4. COCOMO 방법
(정답률: 50%)
  • 델파이 방법은 전문가들의 독립적인 견해를 조정하여 최종 견적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편차를 줄이고, 보다 정확한 소프트웨어 비용 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력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입력 정보 발생 설계→입력 정보 매체 설계→입력 정보 수집 설계→입력 정보 투입 설계→입력 정보 내용 설계
  2. 입력 정보 발생 설계→입력 정보 수집 설계→입력 정보 매체 설계→입력 정보 투입 설계→입력 정보 내용 설계
  3. 입력 정보 발생 설계→입력 정보 투입 설계→입력 정보 수집 설계→입력 정보 매체 설계→입력 정보 내용 설계
  4. 입력 정보 발생 설계→입력 정보 수집 설계→입력 정보 투입 설계→입력 정보 매체 설계→입력 정보 내용 설계
(정답률: 63%)
  • 정답은 "입력 정보 발생 설계→입력 정보 수집 설계→입력 정보 매체 설계→입력 정보 투입 설계→입력 정보 내용 설계"입니다.

    입력 설계는 입력 정보를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 입력 정보 발생 설계: 입력 정보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입력 정보 수집과 처리 방법을 결정합니다.
    2. 입력 정보 수집 설계: 입력 정보를 어떻게 수집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입력 정보의 형식, 양식, 수집 방법 등을 고려합니다.
    3. 입력 정보 매체 설계: 입력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결정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입력 정보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시스템, 전송 방법 등을 고려합니다.
    4. 입력 정보 투입 설계: 입력 정보를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방법을 결정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입력 정보의 처리 우선순위, 처리 방법 등을 고려합니다.
    5. 입력 정보 내용 설계: 입력 정보의 내용을 결정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입력 정보의 필드, 값, 유효성 검사 등을 고려합니다.

    따라서, "입력 정보 발생 설계→입력 정보 수집 설계→입력 정보 매체 설계→입력 정보 투입 설계→입력 정보 내용 설계"가 옳은 입력 설계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프로세스 설계 원칙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성과 정확성을 고려하여 처리 과정을 명확하게 표현한다.
  2.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오류에 대한 체크 시스템도 고려한다.
  3. 시스템의 상태, 구성 요소 및 기능 등을 개별적으로 표시한다.
  4. 정보의 흐름, 처리 과정에 대한 이해의 수단이 되도록 표준화한다.
(정답률: 56%)
  • 프로세스 설계 원칙 중에서 "시스템의 상태, 구성 요소 및 기능 등을 개별적으로 표시한다."가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원칙들은 모두 프로세스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고려하여 처리 과정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오류에 대한 체크 시스템도 고려하며, 정보의 흐름과 처리 과정에 대한 이해의 수단을 표준화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지만, 이 원칙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기능 등을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기능 등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스템 문서화의 필요성에 대한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2. 업무 인수 인계시 업무 내용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
  3. 시스템 개발 후의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4. 오류 발생시 책임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정답률: 75%)
  • 시스템 문서화를 통해 오류 발생 시 책임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문서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누가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문서화는 오류 발생 시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대화형 입.출력 방식 중 프롬프트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값싼 키보드로 충분하다.
  2. 명령어 처리 방법의 구현이 쉽다.
  3. 명령어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면 복잡한 명령도 가능하다.
  4. 복잡한 명령들을 배울 필요가 없다.
(정답률: 63%)
  • 프롬프트 방식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할 때마다 프롬프트(명령어 입력을 기다리는 화면)가 나타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복잡한 명령들을 배울 필요가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용자는 명령어를 알고 있어야 하며, 복잡한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해당 명령어를 배워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과 같은 오류 발생 형태의 종류는?

  1. Transcription Error
  2. Transposition Error
  3. Addition Error
  4. Omission Error
(정답률: 61%)
  • 이미 존재하는 숫자 5를 빼먹어서 발생한 오류이므로 "Omission Err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파일 설계 단계 중 파일매체 검토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파일 활동률
  2. 작동 용이성
  3. 정보량
  4. 처리 시간
(정답률: 51%)
  • 파일 활동률은 파일매체 검토시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파일 활동률은 파일의 사용 빈도와 관련된 개념으로, 파일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파일매체 검토시에는 파일의 크기, 속도, 안정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럼바우의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서 자료 흐름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Object Modeling
  2. Dynamic Modeling
  3. Function Modeling
  4. Total Modeling
(정답률: 42%)
  • 럼바우의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서 자료 흐름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Function Modeling"이다. 이는 자료 흐름도를 통해 시스템 내에서 어떤 기능이 수행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기능을 분해하고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자료 흐름도를 통해 파악한 시스템의 기능을 Function Modeling을 통해 모델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Object Modeling과 Dynamic Modeling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모델을 완성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출력 정보 분배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분배 책임자
  2. 분배의 방법 및 형태
  3. 분배의 주기 및 시기
  4. 분배 항목 명칭
(정답률: 45%)
  • 거리가 먼 것은 "분배 항목 명칭"이다. 이는 분배되는 정보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항목들은 분배를 담당하는 책임자, 방법, 주기, 시기 등에 대한 내용이므로 정보의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로세스의 표준 처리 패턴 중 어떤 파일에서 특정한 조건에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해 내는 처리는?

  1. Matching
  2. Merge
  3. Extract
  4. Distribution
(정답률: 48%)
  • 정답은 "Extract"입니다. 이유는 프로세스의 표준 처리 패턴 중에서 파일에서 특정한 조건에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해 내는 처리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xtract"가 정답입니다. "Matching"은 데이터를 매칭하는 것, "Merge"는 데이터를 병합하는 것, "Distribution"은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모듈 작성시 주의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적절한 크기로 작성한다.
  2. 모듈 간의 결합도를 최대화한다.
  3.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한다.
  4. 자료 추상화와 정보은닉의 성격을 가지도록 한다.
(정답률: 62%)
  • 모듈 간의 결합도를 최대화하는 것은 모듈 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모듈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모듈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모듈 작성시 가장 중요한 주의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룹 분류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 처리에 적합한 코드 체계이다.
  2. 적은 자리수로 많은 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3. 융통성이 있으므로 데이터 항목의 추가 보충이 용이하다.
  4. 코드를 세분해서 사용하므로 분류상의 의미가 명확하여 알기 쉽다.
(정답률: 33%)
  • "적은 자리수로 많은 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는 그룹 분류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적은 자리수로 많은 그룹을 구분하면 그룹 간 구분이 모호해지고, 중복되는 코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룹 분류 코드는 가능한 한 자세하게 구분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코드 오류 검출 방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Numeric Check
  2. Balance Check
  3. Limit Check
  4. Validity Check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입력된 값이 허용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므로 "Limit Check"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파일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작성 목적 확인→매체의 검토→특성 조사→항목 검토→편성법 검토
  2. 작성 목적 확인→항목 검토→특성 조사→매체의 검토→편성법 검토
  3. 작성 목적 확인→항목 검토→편성법 검토→특성 조사→매체의 검토
  4. 작성 목적 확인→특성 조사→항목 검토→매체의 검토→편성법 검토
(정답률: 61%)
  • 파일 설계를 진행할 때는 먼저 작성 목적을 확인하고, 이에 맞는 매체를 검토하며, 파일의 특성을 조사한 후에 항목을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편성법을 검토하는 것이 옳은 순서이다. 따라서 정답은 "작성 목적 확인→항목 검토→특성 조사→매체의 검토→편성법 검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스템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자동성
  2. 종합성
  3. 목적성
  4. 제어성
(정답률: 71%)
  • 이 시스템은 여러 가지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종합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색인 순차 파일의 인덱스 영역이 아닌 것은?

  1. 오버플로우 인덱스 영역
  2. 트랙 인덱스 구역
  3. 실린더 인덱스 영역
  4. 마스터 인덱스 영역
(정답률: 65%)
  • 색인 순차 파일에서 데이터 레코드가 인덱스 레코드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데이터 레코드는 오버플로우 인덱스 영역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 인덱스 영역은 인덱스 영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버퍼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PU의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지향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2. 주기억장치와 CPU간 또는 주기억장치와 입/출력 장치간의 데이터 이동에 있어서의 시간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한다.
  3. 용량이 큰 자기디스크를 아주 큰 버퍼처럼 물리적인 중간 저장 장치로 사용한다.
  4. 입/출력 장치의 느린 속도를 보완해 주는 방법으로 버퍼링이라는 개념이 출현하였다.
(정답률: 60%)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버퍼링(Buffering)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메모리 영역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처리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하는데 사용됩니다. 주로 데이터 전송이나 처리의 지연을 감소시키고, 데이터 흐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SJF 기법을 적용하여 작업 스케줄링 할 경우, 다음 작업들의 평균 반환 시간은?

  1. 5.25
  2. 6.25
  3. 6.75
  4. 7.75
(정답률: 40%)
  • SJF 기법은 작업의 실행 시간이 짧은 것부터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먼저 실행 시간이 1인 A 작업이 처리되고, 그 다음으로 실행 시간이 2인 C 작업이 처리됩니다. 이어서 실행 시간이 3인 B 작업이 처리되고, 마지막으로 실행 시간이 4인 D 작업이 처리됩니다. 각 작업의 반환 시간은 작업이 완료된 시간에서 작업이 요청된 시간을 뺀 값입니다. 따라서 A 작업의 반환 시간은 1-0=1, C 작업의 반환 시간은 3-0=3, B 작업의 반환 시간은 6-1=5, D 작업의 반환 시간은 10-2=8 입니다. 이들의 평균값을 구하면 (1+3+5+8)/4=17/4=4.25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7.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3 개의 페이지 프레임을 갖는 시스템에서 페이지 참조순서가1, 2, 0, 4, 1, 3 일 경우 FIFO 알고리즘에 의한 최종 페이지 대치 결과는?

  1. 1, 4, 2
  2. 1, 2, 0
  3. 4, 1, 3
  4. 4, 1, 0
(정답률: 71%)
  • FIFO 알고리즘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순서대로 페이지를 채워나가다가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한다.

    1. 페이지 1을 삽입한다. (1)
    2. 페이지 2를 삽입한다. (1, 2)
    3. 페이지 0을 삽입한다. (1, 2, 0)
    4. 페이지 4를 삽입한다. (1, 2, 0) -> 1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이므로 1을 교체한다. (4, 2, 0)
    5. 페이지 1을 삽입한다. (4, 2, 0) -> 2가 먼저 들어온 페이지이므로 2를 교체한다. (4, 1, 0)
    6. 페이지 3을 삽입한다. (4, 1, 0) -> 0이 먼저 들어온 페이지이므로 0을 교체한다. (4, 1, 3)

    따라서 최종 페이지 대치 결과는 "4, 1,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임계구역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2. 순서를 지키면서 신속하게 사용한다.
  3. 하나의 프로세스가 독점하게 해서는 안 된다.
  4. 임계구역이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74%)
  • 임계구역의 원칙은 "하나의 프로세스가 독점하게 해서는 안 된다." 입니다. 이는 다중 프로세스 환경에서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조율하기 위한 원칙으로,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옳은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프로세스보다 더 작은 단위이며, 다중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시스템 하에서 CPU에게 보내져 실행되는 또 다른 단위를 의미하는 것은?

  1. BLOCK
  2. THREAD
  3. SUSPEND
  4. RESUME
(정답률: 67%)
  • THREAD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은 단위로, 다중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CPU에게 보내져 실행되는 또 다른 단위를 의미합니다. 즉,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개의 THREAD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CPU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THREA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세그먼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 작업이 갖고 있는 세그먼테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세그먼트 맵 테이블이 필요하다.
  2. 각 세그먼트는 고유한 이름과 크기를 갖는다.
  3. 기억 장치의 사용자 관점을 보존하는 기억 장치관리 기법이다.
  4. 하나의 작업을 똑같은 크기의 세그먼트라는 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 주기억 공간의 페이지 프레임에 들어가도록 한다.
(정답률: 51%)
  • 세그먼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하나의 작업을 똑같은 크기의 세그먼트라는 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 주기억 공간의 페이지 프레임에 들어가도록 한다." 입니다. 세그먼테이션 기법은 논리적인 단위인 세그먼트로 나누어 주고, 각 세그먼트는 크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후 세그먼트를 물리적인 페이지 프레임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기법과 함께 사용하여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여 할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현 상태가 그림과 같이 주어졌을 때 최적적합에 의한 20KB크기 J3의 할당 결과는?

(정답률: 56%)
  • J3는 20KB 크기이며, 현재 할당된 공간은 10KB이다. 따라서 최적적합 알고리즘에 따라서 J3는 10KB와 30KB 사이에서 가장 작은 공간인 20KB에 할당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UNIX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화식 운영체제이다.
  2.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을 지원한다.
  3. 리스트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갖는다.
  4. 대부분 C 언어로 작성되어 이식성이 높다.
(정답률: 63%)
  • UNIX는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갖는다. 리스트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구조 중 하나이지만 UNIX는 이를 채택하지 않았다. 대신 파일 시스템은 디렉토리와 파일로 구성된 트리 구조를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UNIX 파일 시스템 구조에서 데이터 블록의 주소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것은?

  1. 부트 블록
  2. 슈퍼 블록
  3. I-node 블록
  4. 데이터 블록
(정답률: 61%)
  • I-node 블록은 UNIX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 중 하나이며, 데이터 블록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블록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해당 파일의 I-node 블록을 참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행은 사용자 영역, 열은 객체를 나타내며, 각 항은 접근 권한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자원 보호 기법은?

  1. Access Control Matrix
  2. Access Control List
  3. Capability List
  4. Lock/Key
(정답률: 40%)
  • Access Control Matrix는 행은 사용자, 열은 객체를 나타내며, 각 항은 해당 사용자가 해당 객체에 대해 가지는 접근 권한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원 보호 기법으로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접근 권한을 리스트 형태로 관리하거나, 객체가 가지는 권한을 기반으로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Access Control Matrix와는 차이가 있다. Lock/Key는 물리적인 보안 기법으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자원 할당 그래프와 관계되는 교착상태 해결 기법은?

  1. Prevention
  2. Avoidance
  3. Recovery
  4. Detection
(정답률: 32%)
  • 자원 할당 그래프와 관련된 교착 상태 해결 기법 중 Detection은 교착 상태가 발생한 후에 교착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교착 상태를 예방하거나 회복시키는 것보다는 비교적 쉽고 간단하며,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원 할당 그래프와 관련된 교착 상태 해결 기법 중에서 Detectio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워킹 셋(Working Se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주기억장치에는 최대한의 워킹 셋을 올려놓아야 한다.
  2. 주기억 장치내의 워킹 셋을 감소시키면 반대로 스래싱이 증가할 수 있다.
  3. 윈도우의 크기(설정 시간 간격)가 증가하면 주기억장치에 유지되는 워킹 셋은 작아진다.
  4. 워킹 셋 기억장치 관리 기법을 구현한다는 것은 구성이 빠르게 바뀌게 되므로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워킹 셋 기억장치 관리 기법을 구현한다는 것은 구성이 빠르게 바뀌게 되므로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워킹 셋이 자주 변경되기 때문에 메모리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사용자 Passwor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추측 가능한 사용자의 전화번호, 생년월일 등으로는 구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암호가 짧을수록 추측에 의한 암호 발각 가능성이 희박하다.
  3. 암호는 자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불법 액세스를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79%)
  • 암호가 짧을수록 추측에 의한 암호 발각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사실 암호가 짧을수록 추측에 의한 암호 발각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암호는 가능한 길고 복잡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초기 헤드의 위치가 100번 트랙이고 디스크 대기 큐에 다음과 같은 순서의 액세스 요청이 대기 중이다. SSTF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하여 액세스 요청을 모두 처리하기 위한 헤드의 총 이동거리는? (단, 가장 안쪽 트랙 : 0, 가장 바깥쪽 트랙 : 150)

  1. 102
  2. 112
  3. 128
  4. 178
(정답률: 53%)
  • SSTF 스케줄링 기법은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부터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초기 헤드 위치인 100번 트랙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인 102번 트랙으로 이동한다. 그 후에는 112번, 128번, 178번 순으로 처리하면 된다. 이동 거리는 2+10+16+50 = 78이므로 정답은 "1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분산처리 운영체제 시스템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설계 단순화
  2. 연산 속도 향상
  3. 자원 공유
  4. 신뢰성 증진
(정답률: 65%)
  • 분산처리 운영체제 시스템의 특징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시스템 설계 단순화"입니다. 이는 분산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해 복잡한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른 세 가지 특징인 "연산 속도 향상", "자원 공유", "신뢰성 증진"은 분산처리 운영체제 시스템의 장점으로서, 각각 연산 처리를 분산하여 속도를 향상시키고, 자원을 공유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분산된 자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우선순위(Priority)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선순위의 등급은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에 따라 부여할 수 있다.
  2. 각 작업마다 우선순위가 주어지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작업에게 먼저 프로세서가 할당된다.
  3. 기아 상태(Starvation)가 발생할 수 있다.
  4. 우선순위 계산식은 (대기시간+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이다.
(정답률: 41%)
  • "우선순위 계산식은 (대기시간+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이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이 계산식은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대기시간과 서비스시간이 긴 작업일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대기시간이 길거나 서비스시간이 짧은 작업일수록 우선순위가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 중 컴퓨터 시스템 내의 한정된 각종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요구할 때, 신속하고 충분히 지원해 줄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

  1. Throughput
  2. Reliability
  3. Turn Around Time
  4. Availability
(정답률: 44%)
  • 정답은 "Availability"입니다. 이는 시스템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중단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정된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요구할 때, 시스템이 신속하고 충분히 지원해 줄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Availabilit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무엇에 대한 정의인가?

  1. Page
  2. Semaphore
  3. Monitor
  4. Process
(정답률: 79%)
  • 위 그림은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따라서 정답은 "Proces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천재지변이나 사고로 인해 정보의 손실이나 파괴를 막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파일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잘 정리한다.
  2. 백업(Back-up)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3. 컴퓨터에 안전장치를 하고, 필요할 때만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4. 사고는 컴퓨터가 가동될 때만 발생함으로 사용 후에는 컴퓨터 전원을 반드시 꺼 놓는다.
(정답률: 76%)
  • 정보의 손실이나 파괴를 막기 위해서는 백업(Back-up)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안전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복사하여 다른 저장 장치에 보관함으로써, 원래의 데이터가 손실되었을 때 백업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일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거나 컴퓨터에 안전장치를 하고 필요할 때만 조심해서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조치만으로는 정보의 손실이나 파괴를 완전히 막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파일 디스크립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조기억장치상의 파일의 위치 및 최초 수정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2. 파일시스템이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참조할 수 없다.
  3.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파일이 개방(Open) 될 때 주기억장치로 옮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4. 파일마다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정답률: 33%)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파일이 개방(Open) 될 때 주기억장치로 옮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을 식별하고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추상화된 개념입니다. 이 정보에는 파일의 위치, 크기, 권한 등이 포함됩니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며, 사용자는 파일 디스크립터를 통해 파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으며, 파일이 개방될 때마다 해당 파일의 정보가 주기억장치로 옮겨집니다. 파일마다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다음 중 인터넷 응용서비스에서 가상터미널(VT) 기능을 갖는 것은?

  1. Ftp
  2. Gopher
  3. Telnet
  4. Archie
(정답률: 64%)
  • Telnet은 인터넷 응용서비스 중에서 가상터미널(VT) 기능을 갖는 것입니다. 이는 원격지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마치 로컬에서 작업하는 것처럼 터미널 화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Telnet을 이용하면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데이터 교환방식 중 데이터를 패킷단위로 전송하는 것은?

  1. 회선교환
  2. 메시지교환
  3. 패킷교환
  4. 축적교환
(정답률: 76%)
  • 패킷교환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부분이 손실되어도 전체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지 않고 손실된 부분만 재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 회선교환보다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패킷교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HDLC 프레임 구조 내 제어부에서 회선의 설정, 유지 및 종결을 담당하는 것은?

  1. 감독 프레임(Supervisory Frame)
  2. 무번호 프레임(Unnumbered Frame)
  3. 정보 프레임(Information Frame)
  4. 동기 프레임(Synchronize Frame)
(정답률: 39%)
  • 무번호 프레임은 제어부에서 회선의 설정, 유지 및 종결을 담당하는데, 이는 데이터 전송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번호를 부여하지 않고 사용한다. 따라서 "무번호 프레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베이스밴드(base band) 방식의 변조에 해당되는 것은?

  1. 주파수편이 변조(FSK)
  2. 위상편이 변조(PSK)
  3. 펄스코드 변조(PCM)
  4. 진폭편이 변조(ASK)
(정답률: 48%)
  • 베이스밴드(base band) 방식은 신호를 직접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주파수편이 변조(FSK), 위상편이 변조(PSK), 진폭편이 변조(ASK)는 모두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베이스밴드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다. 반면, 펄스코드 변조(PCM)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베이스밴드 방식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순환중복 검사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문자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2. 생성다항식은 CRC-16, CRC-32 등이 있다.
  3. 수신단에서 CRC 부호로 에러를 검출한다.
  4. 여러 비트에서 발생하는 집단성 에러도 검출이 가능하여 신뢰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42%)
  • "문자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이다."가 틀린 것이다. 순환중복 검사 방식은 비트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비트열로 나타내고, 이 비트열에 생성다항식을 이용하여 나머지 연산을 수행하여 CRC 코드를 생성한다. 이후 수신단에서도 같은 생성다항식을 이용하여 나머지 연산을 수행하여 생성된 CRC 코드와 수신된 데이터의 CRC 코드를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한다. 이 방식은 여러 비트에서 발생하는 집단성 에러도 검출이 가능하여 신뢰성이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OSI-7 참조 모델 중 데이터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링크 연결의 설정과 해제
  2. 프레임의 순서제어
  3. 오류제어
  4. 경로선택 및 다중화
(정답률: 54%)
  • 데이터링크 계층은 주로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연결의 설정과 해제, 프레임의 순서제어, 오류제어와 같은 기능은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경로선택 및 다중화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수행되는 기능으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로선택 및 다중화"가 OSI-7 참조 모델 중 데이터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광대역 통신망 ATM 셀(Cell)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헤더 5옥테드(octet), 페이로드(Payload) 53옥테드
  2. 헤더 4옥테드(octet), 페이로드(Payload) 53옥테드
  3. 헤더 5옥테드(octet), 페이로드(Payload) 48옥테드
  4. 헤더 4옥테드(octet), 페이로드(Payload) 48옥테드
(정답률: 59%)
  • ATM 셀은 53옥테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헤더는 5옥테드, 페이로드는 48옥테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헤더가 셀의 제어 정보를 담고 있고, 페이로드는 실제 데이터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헤더 5옥테드(octet), 페이로드(Payload) 48옥테드"가 옳은 구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ITU-T 권고안에서 X 시리즈의 내용은?

  1. PSTN을 이용한 데이터전송에 관한 사항
  2. 축적프로그램 제어식 교환의 프로그램에 관한 사항
  3. 공중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전송에 관한 사항
  4. 전신 데이터의 전송 및 교환에 관한 사항
(정답률: 60%)
  • X 시리즈는 ITU-T에서 공중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전송에 관한 권고안을 다루고 있다. 다른 보기들은 PSTN, 축적프로그램 제어식 교환, 전신 데이터의 전송 및 교환 등 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데이터 전송에서 1차원 Parity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를 무시한다.
  2.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검출을 행한다.
  3.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정정을 행한다.
  4.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검출과 정정을 행한다.
(정답률: 67%)
  • 1차원 Parity는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 검출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데이터의 각 비트에 대해 1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검사하여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검출을 행한다는 것은 수신된 데이터의 패리티 비트를 검사하여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검출을 행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텔레마틱(Telematics)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디오텍스는 화상 정보를 DB에 축적한 후, 상호 대화형식으로 가입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2. 텔레텍스트는 이동전화를 이용하여 상호 대화형식으로 문자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3. 텔레텍스는 이용자가 직접 문서의 내용을 편집, 수정, 검색, 저장을 할 수 있다.
  4. 전자우편은 메시지나 문서를 컴퓨터 등에 의해 수신측에 배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정답률: 33%)
  • 정답: "텔레텍스트는 이동전화를 이용하여 상호 대화형식으로 문자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이 틀린 것이다.

    설명: 텔레마틱(Telematics) 서비스는 차량과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비디오텍스는 화상 정보를 DB에 축적한 후, 상호 대화형식으로 가입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텔레텍스는 이용자가 직접 문서의 내용을 편집, 수정, 검색, 저장을 할 수 있다. 전자우편은 메시지나 문서를 컴퓨터 등에 의해 수신측에 배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ISDN에서 제공하는 베어러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은?

  1. G4 FAX
  2. TV 화상회의
  3. 비디오텍스
  4. 회선교환
(정답률: 47%)
  • ISDN에서 제공하는 베어러서비스는 회선교환입니다. 이는 전화나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통신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ISDN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이지만, 베어러서비스는 통신 회선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PCM 방식에서 음성신호의 표본화 주파수가 8[kHz]인 경우 표본화 주기[us]는?

  1. 125
  2. 250
  3. 500
  4. 1000
(정답률: 46%)
  • PCM 방식에서 표본화 주기는 표본화 주파수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8[kHz]인 경우 표본화 주기는 1/8[kHz] = 0.125[ms] = 125[u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에서 클래드(Clad)의 주 역할은?

  1. 광 신호를 반사시키는 역할
  2. 광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
  3. 광 신호를 저장시키는 역할
  4. 광 신호를 입력시키는 역할
(정답률: 60%)
  • 광섬유 케이블에서 클래드는 광섬유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 층으로, 광섬유 코어에서 전달되는 광 신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클래드는 광섬유 코어에서 반사되는 광 신호를 적절히 반사시켜 광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섬유 코어에서 나오는 광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광 신호의 왜곡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클래드의 주 역할은 "광 신호를 반사시키는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에서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말장치(DTE)
  2. 데이터 전송회선
  3. 통신제어장치
  4. 데이터 처리장치
(정답률: 46%)
  • 데이터 처리장치는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에서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처리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장치는 데이터 전송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통신제어 장치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문자의 조립 및 분해
  2. 전송 제어
  3. 오류 검출
  4. 통신 신호의 변환
(정답률: 29%)
  • 통신제어 장치의 기능 중 "통신 신호의 변환"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주로 변조 방식이나 코딩 방식 등의 변환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처리 장치에서 수행된다. 통신제어 장치는 문자의 조립 및 분해, 전송 제어, 오류 검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IP 주소의 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어떤 기관에서 배정 받은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은?

  1. subnetting
  2. IP address
  3. SLIP
  4. MAC
(정답률: 60%)
  • IP 주소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관에서 받은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를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subnetting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은 네트워크에서는 라우터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SLIP은 시리얼 라인 인터넷 프로토콜로, MAC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과 LAN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Adapter
  2. Repeater
  3. Gateway
  4. Bridge
(정답률: 61%)
  • Gateway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망과 LAN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장치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LAN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Gateway가 정답입니다. Adapter는 장치와 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고,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데 사용됩니다. Bridge는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뉴미디어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정보교환의 고속화와 대용량화
  2. 다채널성
  3. 단방향성
  4. 정보형태의 다양화
(정답률: 76%)
  • 단방향성은 뉴미디어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뉴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와 달리 정보를 소비자와 생산자가 상호작용하며 공유하는 양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방향성은 정보의 일방적인 전달만을 의미하며, 이는 뉴미디어의 특징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OSI-7 계층 중에서 암호화, 데이터 압축, 코드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트랜스포트계층(Transport Layer)
  2.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3. 세션계층(Session Layer)
  4. 프리젠테이션계층(Presentation Layer)
(정답률: 45%)
  •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압축, 암호화, 코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암호화, 데이터 압축, 코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프리젠테이션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통화 중에 이동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 때, 자동으로 다른 셀의 통화 채널로 전화해 줌으로써 통화가 지속되게 하는 기능은?

  1. 핸드오프
  2. 핸드쉐이크
  3. 셀의 분할
  4. 페이딩
(정답률: 64%)
  • 핸드오프는 이동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기존의 통화 채널을 끊지 않고 자동으로 다른 셀의 통화 채널로 전환해주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통화가 끊어지지 않고 지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핸드오프가 정답이다. 핸드쉐이크는 통신 장비 간의 연결 확인 과정을 의미하며, 셀의 분할은 한 셀을 여러 개의 작은 셀로 분할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페이딩은 전파가 강도가 약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