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정보처리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병행 제어를 하지 않을 때의 문제점 중 하나인 트랜잭션 수행이 실패한 후 회복되기 전에 다른 트랜잭션이 실패한 갱신 결과를 참조하는 현상은?

  1. Lost Update
  2. Inconsistency
  3. Uncommitted Dependency
  4. Cascading Rollback
(정답률: 61%)
  • Uncommitted Dependency는 트랜잭션 수행이 실패한 후 롤백되기 전에 다른 트랜잭션이 실패한 갱신 결과를 참조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병행 제어를 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로, 트랜잭션 간의 격리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Uncommitted Dependenc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인 수강(학번, 과목명, 중간성적, 기말성적)에서 과목명이 "DB"인 모든 튜플 들을 성적에 의해 정렬된 형태로 검색하고자 한다. 이때 정렬 기준은 기말성적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기말성적이 같은 경우는 중간성적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자 한다. 다음 SQL 질의문에서 ORDER BY 절의 밑줄 친 부분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중간성적 DESC, 기말성적 ASC
  2. 기말성적 DESC, 중간성적 ASC
  3. 중간성적 DOWN, 기말성적 UP
  4. 중간성적(DESC), 기말성적(ASC)
(정답률: 81%)
  • 정답은 "기말성적 DESC, 중간성적 ASC"이다.

    기말성적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이유는 기말시험 성적이 학기 성적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말시험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먼저 나오게 된다.

    그리고 기말성적이 같은 경우 중간성적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이유는 중간시험 성적이 기말시험 성적보다는 덜 중요하지만, 그래도 학기 성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말성적이 같은 학생들 중에서는 중간시험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먼저 나오게 된다.

    따라서 "기말성적 DESC, 중간성적 ASC"이 옳은 ORDER BY 절의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덱스 순차 파일(Index Sequential File)의 인덱스 영역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Primary data Index Area
  2. Track Index Area
  3. Cylinder Index Area
  4. Master Index Area
(정답률: 74%)
  • "Primary data Index Area"는 인덱스 순차 파일에서 데이터 레코드의 주요 키 필드를 기반으로 생성된 인덱스를 저장하는 영역이 아니라, 실제 데이터 레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덱스 영역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트리를 전위 순서(Pre-order)로 운행한 결과는?

  1. ABCDEFGH
  2. DBGHEFCA
  3. ABDCEGHF
  4. BDGHEFAC
(정답률: 78%)
  • 전위 순서(Pre-order)는 루트 노드를 먼저 방문하고, 왼쪽 서브트리를 방문한 후에 오른쪽 서브트리를 방문하는 순서이다. 따라서, 이 트리의 전위 순서는 루트 노드인 A를 먼저 방문하고, 왼쪽 서브트리인 B와 D를 방문한 후에 오른쪽 서브트리인 C, E, G, H, F를 방문하는 순서이다. 따라서, 정답은 "ABDCEGH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정규화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주어진 릴레이션을 더 작은 릴레이션 스키마들로 분할하는 과정이다.
  2. 삽입, 수정, 삭제이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3.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가 삽입될 때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증가시킨다.
  4. 어떠한 릴레이션이라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표현 가능하도록 한다.
(정답률: 66%)
  • 정규화의 목적 중 거리가 먼 것은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가 삽입될 때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증가시킨다." 이다. 이는 릴레이션을 더 작은 릴레이션 스키마들로 분할하여 삽입, 수정, 삭제 이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데, 이 과정에서 릴레이션 스키마가 더 작아지면서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가 삽입될 때마다 릴레이션을 재구성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뷰(View)를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특정 집합의 우선처리 등 튜닝된 뷰 생성으로 수행도의 향상 도모
  2. 데이터 보정작업, 처리과정 시험 등 임시적인 작업을 위한 활용
  3. 조인문의 사용 최소화로 사용상의 편의성 최대화
  4. 비정형적인 규칙의 정형화를 위하여 중간집합 생성으로 복잡화 유도
(정답률: 82%)
  • 뷰(View)를 사용하는 목적 중 비정형적인 규칙의 정형화를 위하여 중간집합 생성으로 복잡화 유도는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뷰는 주로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정형적인 규칙의 정형화를 위하여 중간집합 생성으로 복잡화 유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스택의 응용 분야로 거리가 먼 것은?

  1. 서브루틴 호출
  2. 인터럽트 처리
  3. 수식 계산 및 수식 표기법
  4.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정답률: 71%)
  • 스택은 서브루틴 호출, 인터럽트 처리, 수식 계산 및 수식 표기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그러나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은 스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은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CPU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은 스택의 응용 분야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정규형은?

  1. 제 1 정규형
  2. 제 2 정규형
  3. 제 3 정규형
  4. 비정규 릴레이션
(정답률: 70%)
  • 1. 모든 속성은 원자값을 가진다.
    2. 기본키가 아닌 속성이 다른 속성에 종속되어 있지 않다.
    3. 이행적 종속이 없다.

    위의 조건을 보면, 모든 속성이 원자값을 가지고 있으며, 기본키가 아닌 속성이 다른 속성에 종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1정규형과 제 2정규형을 만족한다. 또한, 이행적 종속이 없기 때문에 제 3정규형을 만족한다. 따라서, 정답은 "제 3 정규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Continuous Evolution
  2. Concurrent Sharing
  3. Content Reference
  4. Real-Time Accessibility
(정답률: 75%)
  • "Real-Time Accessibility"는 데이터베이스가 실시간으로 접근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언제든지 빠르게 조회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릴레이션에 대한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2.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애트리뷰트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3. 모든 애트리뷰트 값은 원자값이다.
  4.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들은 모두 동일하다.
(정답률: 80%)
  •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들은 모두 동일하다는 특성은 틀린 것입니다. 릴레이션은 튜플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튜플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들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자료에 대하여 삽입(insertion)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자 할 경우 3회전 후의 결과는?

  1. 5, 27, 43, 52, 20, 14, 17
  2. 5, 27, 52, 43, 20, 14, 17
  3. 5, 14, 27, 52, 43, 20, 17
  4. 17, 27, 5, 52, 43, 20, 14
(정답률: 70%)
  • 1회전: 5, 27, 43, 52, 20, 14, 17
    - 27은 5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 43은 27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 52는 43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 20은 52보다 작으므로 52와 자리를 바꾼다.
    - 14는 52보다 작으므로 52와 자리를 바꾼다.
    - 17은 52보다 작으므로 52와 자리를 바꾼다.

    2회전: 5, 27, 52, 43, 20, 14, 17
    - 43은 52보다 작으므로 52와 자리를 바꾼다.
    - 20은 52보다 작으므로 52와 자리를 바꾼다.
    - 14은 52보다 작으므로 52와 자리를 바꾼다.
    - 17은 52보다 작으므로 52와 자리를 바꾼다.

    3회전: 5, 14, 27, 52, 43, 20, 17
    - 43은 52보다 작으므로 52와 자리를 바꾼다.
    - 20은 43보다 작으므로 43과 자리를 바꾼다.
    - 17은 43보다 작으므로 43과 자리를 바꾼다.

    따라서 3회전 후의 결과는 "5, 14, 27, 52, 43, 20, 1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데이터베이스 물리적 설계의 옵션 선택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응답 시간
  2. 트랜잭션 모델링
  3. 저장 공간의 효율화
  4. 트랜잭션 처리도
(정답률: 66%)
  • 거리가 먼 것은 "트랜잭션 모델링"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물리적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옵션 중에서는 가장 논리적인 측면에 해당하는데, 트랜잭션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되는 트랜잭션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한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응답 시간", "저장 공간의 효율화", "트랜잭션 처리도"는 물리적인 측면에서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고려할 때 고려해야 할 옵션으로, 각각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응답 시간 최적화, 저장 공간의 최적화, 트랜잭션 처리의 효율화를 위한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에 대응되는 그래프(Graph)를 그렸을 때, 옳은 것은?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하나의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후보 키들 중에서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키들을 의미하는 것은?

  1. Foreign Key
  2. Super Key
  3. Alternative Key
  4. Spare Key
(정답률: 61%)
  • 기본키는 릴레이션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으로, 후보 키 중에서 선택된 것입니다. 따라서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 키들은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없지만, 여전히 유용한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후보 키를 Alternative Key라고 합니다. Foreign Key는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속성을 의미하며, Super Key는 릴레이션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속성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Spare Key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사용되지 않는 속성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 ) 에 알맞은 관련 용어는?

  1. Transaction
  2. Backup
  3. RDBMS
  4. DBA
(정답률: 76%)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 백업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Backup"입니다. 데이터베이스 백업은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DBMS의 필수 기능 중 다음 내용과 관계있는 것은?

  1. Manipulation Facility
  2. Definition Facility
  3. Connection Facility
  4. Control Facility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DBMS의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들이다. 이 중에서 "Control Facility"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 모니터링, 백업 및 복구, 보안 관리 등과 관련된 기능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Control Facilit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관계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레디키트 해석(predicate calculus)으로 질의어를 표현한다.
  2.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3.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이 있다.
  4. 기본적으로 관계해석과 관계대수는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면에서 동등하다.
(정답률: 65%)
  • 기본적으로 관계해석과 관계대수는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면에서 동등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관계해석은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입니다. 이는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프레디키트 해석은 이러한 관계해석에서 질의어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관계해석에는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이 있습니다. 이들은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순차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떠한 입출력 매체에서도 처리가 가능하다.
  2. 필요한 레코드를 삽입, 삭제, 수정하는 경우 파일을 재구성해야 하므로 파일 전체를 복사해야 한다.
  3. 파일 검색시 효율이 좋다.
  4. 배치(batch) 처리 중심의 업무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68%)
  • "파일 검색시 효율이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순차파일은 레코드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 시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레코드를 차례대로 읽어야 하므로 검색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검색이 빈번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DBMS
  2. Schema
  3. Key
  4. DataWare House
(정답률: 75%)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식, 구조, 관계 등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스키마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Schema"입니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의미하며, "Ke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레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 "DataWare House"는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가진다.
  2. 사용자도 SQL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3.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통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4.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이다.
(정답률: 60%)
  • 시스템 카탈로그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테이블의 집합이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하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카탈로그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개별 데이터베이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다음에서 주소 지정 방식이 아닌 것은?

  1. direct addressing
  2. temporary addressing
  3. immediate addressing
  4. relative addressing
(정답률: 58%)
  • temporary addressing은 존재하지 않는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 direct addressing: 직접 주소 지정 방식
    - immediate addressing: 즉시 값 지정 방식
    - relative addressing: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주소 지정 방식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메모리의 내용을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기능은?

  1. load
  2. fetch
  3. transfer
  4. store
(정답률: 56%)
  • "load"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메모리의 내용을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기능은 "loa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0가지의 명령어 종류를 가지며, 주소모드(addressing mode)는 직접주소모드만 가능한 1-주소(1-address) 명령어 형식을 갖는 컴퓨터를 가정하자. 한 명령어의 길이가 1워드(16 bit)라면, 이 컴퓨터 주기억장치의 최대 용량은?

  1. 216 = 64K 워드
  2. 215 = 32K 워드
  3. 212 = 4K 워드
  4. 211 = 2K 워드
(정답률: 44%)
  • 1-주소 명령어 형식을 갖는 컴퓨터에서 한 명령어의 길이가 1워드(16 bit)이므로, 주소 부분은 8 bit(=1바이트)이다. 따라서, 주소 부분으로 표현할 수 있는 주소의 개수는 2^8 = 256개이다. 이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의 최대 용량은 이 주소의 개수에 해당하는 워드의 개수와 같다. 즉, 최대 용량은 256 워드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12 = 4K 워드" 인 이유는 2^8 = 256개의 주소를 가지는 1-주소 명령어 형식을 갖는 컴퓨터에서 한 워드의 길이가 16 bit이므로, 최대 용량은 256 x 2^4 = 4K 워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메모리 용량이 총 4096워드이고, 1워드가 8비트라 할 때 PC(program counter)의 MBR(memory buffer register)의 비트 수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PC=8비트, MBR=12비트
  2. PC=12비트, MBR=8비트
  3. PC=8비트, MBR=8비트
  4. PC=12비트, MBR=12비트
(정답률: 59%)
  • PC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메모리 용량이 4096워드이면 12비트가 필요하다. MBR은 메모리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1워드가 8비트이면 MBR도 8비트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PC=12비트, MBR=8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와의 차이점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억장치의 동작 속도가 빠르다.
  2. 입출력 장치는 자율적으로 동작한다.
  3. 기억장치의 정보 단위는 word 이다.
  4. 입출력 장치가 오류(error) 발생률이 적다.
(정답률: 47%)
  • 입출력 장치가 오류 발생률이 적은 이유는 입출력 장치가 기억장치와 달리 외부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입출력 장치는 외부와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 많은 검증 과정을 거치고 오류를 방지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일련의 제어워드가 특수한 기억장치 속에 저장된 것은?

  1. 제어 메모리
  2. 제어 데이터
  3. 마이크로프로그램
  4. 고정배선제어
(정답률: 53%)
  • 마이크로프로그램은 컴퓨터의 제어장치에서 어떤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일련의 제어워드가 특수한 기억장치 속에 저장된 것입니다. 이는 CPU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그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명령수행을 위한 메이저 상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실행상태는 간접주소 방식의 경우에만 수행된다.
  2. 기억장치내의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을 인출(fetch) 상태라 한다.
  3. CPU의 현재 상태를 보관하기 위한 기억장치 접근을 indirect 상태라 한다.
  4. 명령어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indirect 상태라 한다.
(정답률: 65%)
  • 기억장치 내의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을 인출(fetch) 상태라 하는 이유는 CPU가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기억장치에서 해당 명령어를 인출(fetch)하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이후에는 해당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거쳐 명령어 수행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명령어의 주소부분(operand)을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 장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메모리 참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2. 레지스터 개수를 줄일 수 있다.
  3. 부동 소수점 레지스터를 사용하므로 속도가 빠르다.
  4. 동작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정답률: 54%)
  • 명령어의 주소부분을 데이터로 사용하면, 해당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저장하여 메모리 참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메모리 접근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린 것에 비해 레지스터 접근 시간이 빠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메모리 참조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실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가산기의 carry 비트를 논리식으로 나타낸 것은?

  1. C = x y +x z
  2. C = x y z
(정답률: 57%)
  • 전가산기의 carry 비트는 입력된 세 비트 중에서 두 개 이상이 1일 때 1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x, y, z 세 비트를 이용하여 carry 비트를 나타내는 논리식이지만, 전가산기에서는 입력된 세 비트를 이용하여 carry 비트를 나타내야 하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채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전송로이다.
  2. 입출력은 DMA 방법으로도 수행한다.
  3. 입출력 수행 중 어떤 에러조건에서 중앙처리장치에 인터럽트를 걸 수 있다.
  4. 자체적으로 자료의 수정 또는 코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정답률: 53%)
  • 채널은 입출력을 담당하는 전송로이며, 입출력은 DMA 방법으로도 수행할 수 있고, 입출력 수행 중 어떤 에러조건에서 중앙처리장치에 인터럽트를 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채널은 자체적으로 자료의 수정 또는 코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이는 채널이 단순히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일반적인 컴퓨터의 CPU 구조 가운데 수식을 계산할 때 수식을 미리 처리되는 순서인 역 polish(또는 postfix) 형식으로 바꾸어야 하는 CPU 구조는?

  1. 단일 누산기 구조 CPU
  2. 범용 레지스터 구조 CPU
  3. 스택 구조 CPU
  4. 모든 CPU 구조
(정답률: 54%)
  • 스택 구조 CPU는 수식을 역 polish 형식으로 바꾸어 계산하는 데 특화된 구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스택 구조 CPU는 스택이라는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여 수식을 처리합니다. 수식의 피연산자를 스택에 넣고, 연산자를 만나면 스택에서 피연산자를 꺼내어 연산을 수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수식을 미리 처리되는 순서인 역 polish 형식으로 바꾸어 계산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수식 계산 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기록할 수 있는 비휘발성 컴퓨터 기억장치로 여러 구역으로 구성된 블록 안에서 지우고 쓸 수 있는 것은?

  1. EEPROM
  2. 플래시 메모리
  3. PROM
  4. DRAM
(정답률: 34%)
  •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기록할 수 있는 비휘발성 컴퓨터 기억장치로, 여러 구역으로 구성된 블록 안에서 지우고 쓸 수 있습니다. 이는 EEPROM과 유사하지만, EEPROM은 한 번에 하나의 비트만 지울 수 있고, 플래시 메모리는 블록 단위로 지울 수 있기 때문에 더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PROM은 일회성으로만 기록이 가능하고, DRAM은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8비트 부호와 2의 보수로 나타낸 수 -77을 오른쪽 2비트 산술시프트 수행한 결과는?

  1. overflow
  2. -20
  3. -20.5
  4. +20
(정답률: 51%)
  • -77을 8비트 부호와 2의 보수로 나타내면 10110011입니다. 오른쪽 2비트 산술시프트를 수행하면 11101100이 됩니다. 이를 다시 10진수로 변환하면 -20이 됩니다.

    이유는 2의 보수 표현에서 오른쪽 산술시프트는 부호를 유지하면서 나누기 2를 수행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77을 2로 나눈 몫인 -38에 해당하는 8비트 2의 보수 표현인 11011010에서 2비트를 오른쪽으로 시프트한 결과인 11101100이 나오게 됩니다. 이를 다시 10진수로 변환하면 -2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어 기억 장치는 어느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되는가?

  1. ROM
  2. RAM
  3. DISK
  4. CAM
(정답률: 55%)
  • 제어 기억 장치는 ROM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이는 제어 기억 장치가 컴퓨터의 부팅 과정에서 필요한 BIOS 코드와 같은 고정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RAM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DISK는 보조 기억 장치로 사용되며, CAM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제어 기억 장치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데이지 체인(daisy-chain) 우선순위 인터럽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드웨어 우선순위 인터럽트 장치로써 직렬로 연결한다.
  2.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장치를 선두에 연결한다.
  3. 인터럽트 요구 선은 모든 장치에 공통이며, 와이어드 논리(wired-logic)로 연결되어 있다.
  4. 마스크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정답률: 43%)
  • 마스크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각 장치의 인터럽트 요구를 마스크 레지스터에 설정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높은 장치의 인터럽트 요구가 처리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진리표에서 출력 논리식 F를 유도하면?

  1. A + B
  2. A B' +A B'
  3. A'B + AB'
  4. A' B + A' B
(정답률: 66%)
  • 진리표에서 F가 1인 경우는 A와 B가 서로 다른 경우이다. 따라서 F = A'B + AB'가 된다.

    설명:
    - A'B는 A가 0이고 B가 1일 때, AB'는 A가 1이고 B가 0일 때 1을 출력한다.
    - A'B와 AB'를 OR 연산하면 A와 B가 서로 다른 경우에 1을 출력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매핑 방법이 아닌 것은?

  1. associative mapping
  2. direct mapping
  3. set-associative mapping
  4. relative mapping
(정답률: 42%)
  • "Relative mapping"은 존재하지 않는 매핑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매핑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인터럽트 처리 과정 중 인터럽트를 요청한 장치를 차례대로 검사하는 방식은?

  1. 폴링
  2. 핸드세이킹
  3. 벡터 인터럽트
  4. 데이지 체인
(정답률: 52%)
  • 인터럽트 처리 과정 중 인터럽트를 요청한 장치를 차례대로 검사하는 방식은 폴링이다. 이는 CPU가 인터럽트 요청을 받으면, 각 장치를 순서대로 검사하여 해당 장치가 인터럽트를 요청한 경우에만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구현이 쉽지만, 검사하는 장치가 많아질수록 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비교(compare) 동작과 같은 동작을 하는 논리 연산은?

  1. 마스크 동작
  2. OR 동작
  3. XOR 동작
  4. AND 동작
(정답률: 56%)
  • XOR 동작은 두 비트가 서로 다를 때 1을 반환하고 같을 때 0을 반환하는 논리 연산이다. 이는 비교(compare) 동작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데, 두 값이 같으면 0을 반환하고 다르면 1을 반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XOR 동작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세그먼트-페이징(segment-paging) 기법을 이용하는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 시스템에서 논리 주소 형식(logical address format)이 다음과 같다면 총 주소 공간의 크기는?

  1. 28 워드
  2. 212 워드
  3. 216 워드
  4. 220 워드
(정답률: 35%)
  • 세그먼트-페이징 기법에서 논리 주소는 세그먼트 번호와 오프셋(offset)으로 구성된다. 세그먼트 번호는 4비트로 표현되므로 총 2^4=16개의 세그먼트가 존재한다. 각 세그먼트의 크기는 페이지 크기인 2^8=256워드이므로, 총 주소 공간의 크기는 16*256=<<16*256=4096>>4096워드가 된다. 하지만, 논리 주소의 오프셋은 8비트로 표현되므로, 각 세그먼트 내에서의 주소 공간은 2^8=256워드가 된다. 따라서, 총 주소 공간의 크기는 16*256-36=<<16*256-36=4084>>4084워드가 된다. 이 중에서 유효한 주소 공간은 220워드이므로, 정답은 "220 워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코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표준화 기능
  2. 분류 기능
  3. 간소화 기능
  4. 호환 기능
(정답률: 58%)
  • 다른 기능들은 코드의 기능을 강화하거나 개선하는 역할을 하지만, 호환 기능은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즉, 호환 기능은 코드의 기능을 강화하거나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을 원활하게 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준 처리 패턴 중 파일 내의 데이터와 대조 파일에 있는 데이터 중 동일한 것들만 골라서 파일을 만드는 것은?

  1. Collate
  2. Extract
  3. Distribution
  4. Generate
(정답률: 53%)
  • Collate는 파일 내의 데이터와 대조 파일에 있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들만 골라서 파일을 만드는 표준 처리 패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Collat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료 흐름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처리 공정은 원, 자료저장소는 이중 직선, 종착지는 사각형, 자료 흐름은 점선으로 표시한다.
  2. 시스템의 활동적인 구성 요소 및 그들 간의 연관관계를 모형화 한다.
  3. 자료 흐름도는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4. 기능별로 분할하고 다차원적이다.
(정답률: 64%)
  • "기능별로 분할하고 다차원적이다."가 틀린 것이다. 자료 흐름도는 기능별로 분할하여 표현하는 것이 맞지만, 다차원적이지는 않다. 오히려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며, 시스템의 흐름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최종결과물의 일부 혹은 모형을 만들어 의사 소통의 도구로 활용하여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은?

  1. 폭포수 모델
  2. 프로토타이핑 모델
  3. 나선형 모델
  4. RAD 모델
(정답률: 70%)
  • 프로토타이핑 모델은 초기에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최종결과물의 일부 혹은 모형을 만들어 의사 소통의 도구로 활용하여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입니다. 이 모델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빠르게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개발 초기에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모델이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파일 편성 설계의 종류 중 순차 편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억공간의 효율성이 높다.
  2. 파일 재구성시 파일 전체를 복사해야 한다.
  3. 데이터 검색시 효율성이 높다.
  4. 어떤 파일 매체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정답률: 61%)
  • "파일 재구성시 파일 전체를 복사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순차 편성은 파일 내 레코드가 일정한 순서로 정렬되어 있으며, 레코드의 추가, 삭제, 수정 등의 작업이 발생하면 파일 전체를 재구성해야 합니다. 이는 파일의 크기가 커질수록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검색시에는 효율성이 높습니다. 순차적으로 레코드를 탐색하기 때문에 검색 대상이 되는 레코드가 파일의 앞부분에 위치해 있을 경우,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덱스를 이용한 검색보다도 빠른 속도를 보입니다.

    순차 편성은 어떤 파일 매체에서도 실현 가능하며, 기억공간의 효율성도 높습니다. 레코드의 크기가 일정하다면, 레코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값만 저장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스템의 기본 요소에 대한 기능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Input : 처리를 위한 데이터나 조건 등을 시스템에 투입하는 행위
  2. Feedback :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 가공하는 행위
  3. Output : 처리된 결과를 시스템에서 추출하는 행위
  4. Control : 시스템의 기본 요소들이 각 과정을 올바르게 행하는지 감독, 관리하는 행위
(정답률: 78%)
  • Feedback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가공하는 행위가 아니라, 처리된 결과를 다시 시스템에 피드백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조절하고 개선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Feedback는 시스템의 제어와 관련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파일설계 단계 중 다음 사항과 연관되는 것은?

  1. 파일 특성 조사
  2. 파일 매체 검토
  3. 파일 편성법 검토
  4. 파일 항목 검토
(정답률: 5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파일의 구성요소인 레코드(record)와 필드(field)이다. 이러한 파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파일 특성 조사를 실시한다. 파일 특성 조사는 파일의 크기, 형식, 구성요소, 사용목적 등을 파악하여 파일 설계에 반영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파일 특성 조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객체가 메시지를 받아 실행해야 할 객체의 구체적인 연산을 정의한 것은?

  1. Instance
  2. Message
  3. Class
  4. Method
(정답률: 68%)
  • 객체가 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객체가 실행해야 할 구체적인 연산을 정의한 것이 바로 메소드이기 때문입니다. 메소드는 객체가 수행할 수 있는 특정한 작업을 정의하고, 이를 호출함으로써 객체가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객체가 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소드를 찾아 실행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출력 설계 단계 중 출력 정보 이용 설계시 검토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이용자 및 이용 경로
  2. 기밀 보호 여부
  3. 보존 기간
  4. 분배 책임자
(정답률: 64%)
  • 출력 정보 이용 설계시 검토사항으로 "분배 책임자"는 올바른 항목입니다. 이는 출력물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책임자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용자 및 이용 경로, 기밀 보호 여부, 보존 기간 등은 모두 출력 정보 이용 설계시 고려해야 할 검토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원시코드 라인수(LOC)기법에 의하여 예측된 총 라인수가 30000라인, 개발에 참여할 프로그래머가 5명, 프로그래머들의 평균생산성이 월간 300라인 일 때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은?

  1. 10개월
  2. 15개월
  3. 20개월
  4. 30개월
(정답률: 73%)
  • 원시코드 라인수(LOC)기법에 의한 예측 총 라인수는 30000라인이며, 개발에 참여할 프로그래머가 5명이므로, 각 프로그래머당 예상 작업량은 30000/5 = 6000라인입니다.

    프로그래머들의 평균 생산성이 월간 300라인이므로, 6000라인을 개발하는데 걸리는 예상 기간은 6000/300 = 20개월입니다.

    따라서,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은 "20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두 모듈이 동일한 자료구조를 조회하는 경우의 결합도이며, 자료구조의 어떠한 변화 즉 포맷이나 구조의 변화는 그것을 조회하는 모든 모듈 및 변화되는 필드를 실제로 조회하지 않는 모듈에까지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은?

  1. 자료 결합도
  2. 스템프 결합도
  3. 제어 결합도
  4. 외부 결합도
(정답률: 51%)
  • 스템프 결합도는 두 모듈이 동일한 자료구조를 조회하는 경우의 결합도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자료구조의 변화가 발생하면 그것을 조회하는 모든 모듈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모듈 간의 결합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스템프 결합도는 낮은 결합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료구조를 공유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의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목적성
  2. 자동성
  3. 제어성
  4. 평가성
(정답률: 78%)
  • 평가성은 시스템의 결과물이나 성능을 평가하거나 검증하기 위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시스템의 기능 외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특성입니다. 따라서 평가성이 거리와 무관하다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표의 숫자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드에 물리적 수치를 부여하여 기억이 용이하다.
  2. 코드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다.
  3. 같은 코드를 반복 사용하므로 오류가 적다.
  4. 항목의 자리수가 짧아 기계 처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50%)
  • "항목의 자리수가 짧아 기계 처리가 용이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항목의 자리수가 짧다는 것은 기계 처리가 용이하다는 것이 맞지만, 이것이 코드의 숫자 부여 방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은 아닙니다. 코드의 숫자 부여 방식은 기억과 추가/삭제, 오류 등을 관리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파일의 종류 중 통계 처리나 파일의 자료에 잘못이 발생하였을 때 파일을 원상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로써 현재까지 변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1. Transaction File
  2. History File
  3. Master File
  4. Summary File
(정답률: 73%)
  • 정답은 "History File"입니다. History File은 파일의 변화를 기록하여 파일을 원상 복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통계 처리나 파일의 자료에 잘못이 발생하였을 때 파일을 원상 복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Transaction File은 일련의 트랜잭션을 기록하는 파일이며, Master File은 주요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Summary File은 데이터의 요약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컴퓨터의 입력, 처리, 출력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컴퓨터의 전체적인 논리구조 파악, 사용시간 계산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프로세스 흐름도
  2. 블록 차트
  3. 시스템 흐름도
  4. 프로그램 흐름도
(정답률: 58%)
  • 프로세스 흐름도는 컴퓨터의 입력, 처리, 출력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각 과정이 어떤 순서로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컴퓨터의 전체적인 논리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사용시간 계산 등에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프로세스 흐름도"가 정답입니다. 블록 차트는 프로세스 흐름도와 유사하지만, 보다 복잡한 과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시스템 흐름도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과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며, 프로그램 흐름도는 특정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입력 설계 단계 중 입력 항목의 명칭, 배열, 자릿수, 자료 유형, 오류 체크 방법 등을 결정하는 단계는?

  1. 입력 정보 내용 설계
  2. 입력 정보 투입 설계
  3. 입력 정보 매체화 설계
  4. 입력 정보 수집 설계
(정답률: 56%)
  • 입력 정보 내용 설계는 입력 항목의 명칭, 배열, 자릿수, 자료 유형, 오류 체크 방법 등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어떤 정보를 입력받아야 하는지, 그 정보가 어떤 형태로 입력되어야 하는지 등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정보 내용 설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시스템 문서화의 효과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시스템 개발 후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2. 시스템 개발팀에서 운용팀으로 인계인수가 쉽다.
  3.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한다.
  4. 시스템 에러 발생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한다.
(정답률: 76%)
  • 시스템 에러 발생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책임 소재가 분명해지면 개발자들은 더욱 신중하게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어 추가적인 에러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코드 오류 체크의 종류 중 대차대조표에서 대변과 차변의 합계를 비교, 체크하는 것과 같이 입력 정보의 여러 데이터가 특정 항목 합계 값과 같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때 컴퓨터를 이용해서 계산한 값과 분명히 같은지를 체크하는 방법은?

  1. Range Check
  2. Matching Check
  3. Block Check
  4. Balance Check
(정답률: 61%)
  • 정확한 계산을 위해 입력된 데이터의 합계를 체크하는 것이 대차대조표에서 대변과 차변의 합계를 비교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므로 "Balance Check"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입력된 데이터의 범위, 일치 여부, 블록 단위 체크 등 다른 종류의 오류 체크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분류 처리는 가급적 최대화한다.
  2. 오류에 대비한 검사 시스템을 고려한다.
  3. 정보의 흐름이나 처리 과정을 표준화한다.
  4. 신뢰성과 정확성을 고려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분류 처리는 가급적 최대화한다." 이다.

    분류 처리는 데이터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프로세스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분류 처리를 최대화하면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설계시 분류 처리를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류에 대비한 검사 시스템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프로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미리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의 흐름이나 처리 과정을 표준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프로세스를 일관성 있게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신뢰성과 정확성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는 프로세스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아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의 출처와 처리과정을 철저히 검토하고 관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출력 형식 중 수도, 전기, 가스, 전화요금과 같은 각종 공과금 청구서나 은행에서 수표를 발행할 때 널리 이용되며, 출력 매체로는 OMR, OCR, MICR 카드 등이 주로 이용되는 것은?

  1. 턴어라운드 시스템
  2. 음성 출력 시스템
  3. COM 시스템
  4. 파일 출력 시스템
(정답률: 43%)
  • 턴어라운드 시스템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시스템으로, 공과금 청구서나 수표 발행과 같은 출력 형식에서 널리 이용됩니다. 이 시스템은 OMR, OCR, MICR 카드 등의 출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출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턴어라운드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교착상태의 해결 방안 중 교착상태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이를 적절하게 피해 나가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은?

  1. Prevention
  2. Detection
  3. Avoidance
  4. Recovery
(정답률: 63%)
  • 교착상태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이를 피해 나가는 방법은 "Avoidance" 이다. 이 방법은 교착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그 상황을 피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것은 아니지만, 교착상태가 발생하더라도 그 상황을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표와 같이 작업이 제출되었을 때, SJF 정책을 사용하여 스케줄링하면 평균 대기시간은? (단, 단위는 시간이며,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구하시오.)

  1. 2.33
  2. 5.25
  3. 7.33
  4. 8.24
(정답률: 49%)
  • SJF(Shortest Job First) 정책은 작업의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부터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먼저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인 A를 처리하고, 그 다음으로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인 C를 처리하고, 그 다음으로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인 B를 처리합니다. 이렇게 처리하면 각 작업의 대기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A: 0
    - B: 2
    - C: 5

    따라서, 평균 대기 시간은 (0 + 2 + 5) / 3 = 2.33 시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UNIX의 쉘(Shel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한다.
  2. 스케줄링,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시스템호출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3. 여러 가지의 내장 명령어를 가지고 있다.
  4. 사용자 명령의 입력을 받아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스케줄링,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시스템호출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이다. 쉘은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하며, 여러 가지의 내장 명령어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 명령의 입력을 받아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하지만 스케줄링,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시스템호출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은 운영체제의 커널이 제공하는 기능이며, 쉘은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페이지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한 개의 페이지를 주기억장치로 이동하는 시간이 줄어든다.
  2.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맵 테이블의 크기가 작아 진다.
  3.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전체적인 입출력의 효율성이 감소된다.
  4.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전체 맵핑 속도가 늦어 진다.
(정답률: 42%)
  •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전체 맵핑 속도가 늦어 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에는 한 번에 더 많은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기 때문에 입출력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페이지 크기가 너무 클 경우에는 메모리 공간을 낭비하게 되고, 페이지 교체 시에도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페이지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맵 테이블은 페이지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로, 페이지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맵 테이블의 크기가 작아 진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한 개의 페이지를 주기억장치로 이동하는 시간은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짧아지기 때문에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한 개의 페이지를 주기억장치로 이동하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전체 맵핑 속도가 늦어 진다."입니다.

    페이지 맵핑 속도는 페이지 테이블을 검색하고 페이지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페이지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페이지를 더 자주 찾아야 하기 때문에 페이지 맵핑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각 페이지마다 계수기나 스택을 두어 현 시점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1. LFU
  2. LRU
  3. FIFO
  4. SCR
(정답률: 66%)
  • 정답은 "LRU"입니다. LRU 알고리즘은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으로, 각 페이지마다 사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가장 오래 전에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합니다. 이를 위해 각 페이지마다 계수기나 스택을 두어 사용된 시간을 추적합니다. 따라서 LRU 알고리즘은 가장 최근에 사용된 페이지를 유지하고,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여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HRN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할 경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6%)
  • 정답은 "C"입니다. HRN 스케줄링 기법은 Highest Response Ratio Next의 약자로,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은 대기 시간이 길고 서비스 시간이 짧은 작업입니다. 보기에서 작업 C가 대기 시간이 가장 길고 서비스 시간이 가장 짧으므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접근제어리스트에서 “파일2” 가 처리될 수 없는 것은? (단, 여기서 R=읽기, W=쓰기, P=인쇄, L=공유)

  1. 읽기
  2. 쓰기
  3. 인쇄
  4. 공유
(정답률: 77%)
  • "파일2"는 접근제어리스트에 "읽기"와 "공유" 권한만 있고, "인쇄" 권한이 없기 때문에 처리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모니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순간에 여러 프로세스가 모니터에 동시에 진입하여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2. 공유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시저로 구성된다.
  3. 모니터 외부의 프로세스는 모니터 내부의 데이터를 직접 액세스 할 수 없다.
  4. 모니터에서는 Wait 와 Signal 연산이 사용된다.
(정답률: 54%)
  • "한순간에 여러 프로세스가 모니터에 동시에 진입하여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모니터는 상호배제를 위한 동기화 도구로, 한 순간에는 오직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모니터에 진입하여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이는 모니터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와 프로시저에 대한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상호배제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운영체제의 운영 기법 중 실시간 처리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은 업무는?

  1. 연말 결산 업무
  2. 은행의 온라인 업무
  3. 비행기, 기차 등의 좌석 예약 업무
  4. 인공위성, 군함 등의 제어 업무
(정답률: 76%)
  • 연말 결산 업무는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며, 처리 시간이 길고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시간 처리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배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반면에 은행의 온라인 업무, 비행기, 기차 등의 좌석 예약 업무, 인공위성, 군함 등의 제어 업무는 실시간 처리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 같고 각 작업의 CPU 할당 시간이 4시간일 때, 모든 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CPU의 사용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ABCABCBCC
  2. AAABBBCCC
  3. ABCABCACA
  4. ACCCCCBBA
(정답률: 65%)
  • 라운드로빈 방식은 각 작업에 일정 시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시간이 지나면 다음 작업으로 넘어가는 방식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CPU 할당 시간이 4시간으로 주어졌으므로, 각 작업은 최대 4시간까지 CPU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작업 A부터 시작하여 4시간 동안 CPU를 사용한 후, 작업 B로 넘어갑니다. 작업 B도 4시간 동안 CPU를 사용한 후, 작업 C로 넘어갑니다. 작업 C는 3시간 동안 CPU를 사용한 후, 다시 작업 A로 넘어갑니다. 이후 작업 A, B, C를 차례로 수행하면서 모든 작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CPU 사용 순서는 "ABCABCBC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기억장소의 압축(COMPACTION)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러 위치에 분산된 단편화된 공간을 주기억장치의 한쪽 끝으로 옮겨서 큰 가용 공간을 만든다.
  2. 기억장소 압축은 일종의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작업이다.
  3. 프로그램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사용된다.
  4. 통합(Coalescing) 기법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45%)
  • 틀린 것은 "통합(Coalescing) 기법이라고도 한다."이다. 기억장소의 압축 기법 중 하나인 통합 기법은 단편화된 공간들을 인접한 공간으로 합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통합 기법은 압축 기법 중 하나이지만, 압축 기법 전체를 통칭하는 용어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UNIX에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1. mv
  2. open
  3. mkdir
  4. mkfs
(정답률: 60%)
  • 정답은 "mkfs"입니다. "mkfs"는 "make file system"의 약어로,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 파티션을 포맷하고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mv"는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 "open"은 파일을 열 때 사용하는 명령어, "mkdir"은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병렬처리의 주종(Master/Slave)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수행한다.
  2. 종프로세서는 입출력 발생시 주프로세서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3. 주프로세서가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4. 대칭 구조를 갖는다.
(정답률: 59%)
  • "주프로세서가 운영체제를 수행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주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제어와 관리를 담당하고, 종프로세서는 주프로세서가 할당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주프로세서가 아닌 다른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

    대칭 구조를 갖는 이유는 모든 프로세서가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고, 작업을 분산시켜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억장소의 초기 상태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12K를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에 대하여 최적 적합 방식을 적용할 경우 할당되는 장소는?

  1. 14K 공백에 할당
  2. 16K 공백에 할당
  3. 26K 공백에 할당
  4. 30K 공백에 할당
(정답률: 76%)
  • 최적 적합 방식은 프로세스 크기와 가장 근접한 크기의 공백을 찾아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12K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14K 공백에 할당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16K 공백은 크기가 너무 크고, 26K와 30K 공백은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매크로 정의인식, 정의저장, 호출인식 등을 처리한다.
  2. 시스템의 오류 처리를 담당한다.
  3. 데이터 및 자원의 공유 기능을 제공한다.
  4.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시스템의 오류 처리를 담당한다."입니다.

    운영체제는 매크로 정의인식, 정의저장, 호출인식 등을 처리하여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며, 데이터 및 자원의 공유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시스템의 오류 처리는 운영체제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지만, 그 외의 기능들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시스템의 오류 처리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분산처리 시스템의 위상(Topology)에 따른 분류에서 성형(Star)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터미널의 증가에 따라 통신 회선수도 증가한다.
  2. 중앙 노드 이외의 장애는 다른 노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 각 노드들은 point-to-point 형태로 모든 노드들과 직접 연결된다.
  4. 제어가 집중되고 모든 동작이 중앙 컴퓨터에 의해 감시된다.
(정답률: 61%)
  • "터미널의 증가에 따라 통신 회선수도 증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성형 구조에서는 모든 노드가 중앙 노드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새로운 노드가 추가될 때마다 중앙 노드와의 연결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노드의 증가에 따라 통신 회선 수도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UNIX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1. 1단계 디렉토리 구조
  2. 2단계 디렉토리 구조
  3. 트리 디렉토리 구조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정답률: 64%)
  • UNIX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트리 디렉토리 구조"이다. 이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하여 하위 디렉토리들이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디렉토리 간의 관계가 명확하고, 파일 시스템의 구성과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일의 경로를 표현할 때도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3페이지가 들어 갈 수 있는 기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가 참조될 때 FIFO 기법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기억공간에 남는 페이지들은? (단, 현재 기억공간은 모두 비어있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 2, 3
  2. 1, 2, 4
  3. 2, 3, 4
  4. 3, 1, 4
(정답률: 64%)
  • FIFO 기법은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내보내는 기법이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 순서대로 기억장치에 페이지를 채워나가다가 기억장치가 가득 차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내보내고 새로운 페이지를 기억장치에 넣는다.

    초기에는 기억장치가 비어있으므로 페이지 참조 순서대로 기억장치에 페이지를 채워나간다. 1, 2, 3 페이지가 참조되면서 기억장치가 가득 차게 된다. 이때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는 1페이지이므로 1페이지를 내보내고 4페이지를 기억장치에 넣는다. 그리고 2, 3, 4 페이지가 참조되면서 기억장치에 페이지를 채워나간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기억장치에는 3, 1, 4 페이지가 남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무엇에 대한 정의인가?

  1. processor
  2. locality
  3. process
  4. page
(정답률: 77%)
  • 위 그림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실행 과정을 "process"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proces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하고 수정하며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2. 사용자는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특정장치의 물리적인 제어 방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
  3. 파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파일이 보호되어야 한다.
  4.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정답률: 66%)
  • "사용자는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특정장치의 물리적인 제어 방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파일 시스템은 사용자가 물리적인 제어 방식을 알 필요 없이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물리적인 제어 방식을 알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다음 중 단말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휴대폰
  2. PDA
  3. 전화기
  4. TDX-10
(정답률: 69%)
  • TDX-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말기가 아니며, 알려진 휴대폰, PDA, 전화기와는 다른 종류의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IEEE의 LAN 관련 프로토콜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IEEE 802.2 - 매체접근 제어(MAC)
  2. IEEE 802.3 - 논리링크 제어(LLC)
  3. IEEE 802.4 - 토큰 버스(Token Bus)
  4. IEEE 802.5 - 광섬유 LAN
(정답률: 60%)
  • IEEE 802.4은 토큰 버스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할 때 토큰이라는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충돌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MAC 주소나 논리적인 링크 제어 등 다른 기능을 담당하므로, 이들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HDLC의 데이터 전달모드가 아닌 것은?

  1. 표준 균형모드
  2. 정규 응답모드
  3. 비동기식 균형모드
  4. 비동기식 응답모드
(정답률: 39%)
  • HDLC의 데이터 전달모드 중 "표준 균형모드"가 아닌 것은 "비동기식 균형모드"와 "비동기식 응답모드"입니다.

    "표준 균형모드"는 HDLC의 기본 모드로, 동기식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 모드에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일한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을 요청합니다.

    "정규 응답모드"는 표준 균형모드와 유사하지만, 수신측이 송신측에게 응답을 보내는 방식이 추가됩니다. 이 모드에서는 수신측이 데이터를 받았다는 응답을 송신측에게 보내며, 송신측은 이 응답을 받아야만 다음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비동기식 균형모드"와 "비동기식 응답모드"는 비동기식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 모드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시작 비트와 종료 비트를 추가하여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며, 오류 검출 및 재전송 기능이 없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은?

  1. PWM
  2. FSK
  3. PSK
  4. QAM
(정답률: 64%)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직교하는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각각 변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듭니다. 따라서 QAM은 다른 방식들과 달리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광대역성이다.
  2. 저손실성이다.
  3. 전자기적 유도를 받지 않는다.
  4. 전력선과 같이 포설할 수 없다.
(정답률: 67%)
  • 전력선과 같이 포설할 수 없다는 것은 광섬유 케이블은 전기적 신호가 아닌 광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노이즈나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전력선과 같이 포설하면 전기적인 노이즈나 간섭을 받아 광 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ITU-T 권고 시리즈의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I시리즈 : ISDN의 표준화
  2. X시리즈 : 사설 데이터망을 통한 데이터전송
  3. V시리즈 : 공중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
  4. T시리즈 : 텔레마틱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정답률: 53%)
  • X시리즈는 사설 데이터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권고 시리즈이며, 다른 시리즈들은 각각 다른 통신 기술에 대한 권고 시리즈이다. I시리즈는 ISDN의 표준화, V시리즈는 공중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 T시리즈는 텔레마틱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에 대한 권고 시리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통신의 표준화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통신하려고 하는 각기 다른 회사나 집단을 만족시킨다.
  2.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형태는 정형화 되어 호환성이 떨어진다.
  3. 통신시스템 간에 인터페이스를 만족시킨다.
  4. 사용자가 제품을 구입하는데 융통성을 제공한다.
(정답률: 75%)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형태는 정형화 되어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통신의 표준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표준화는 각 회사나 집단이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도록 하여 호환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준화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형태가 정형화되어 호환성이 높아지는 것이 오히려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9600[bps]의 비트열(bit stream)을 16진 PSK로 변조하여 전송하면 변조속도는?

  1. 2400[baud]
  2. 3200[baud]
  3. 9600[baud]
  4. 76800[baud]
(정답률: 60%)
  • 16진 PSK는 4개의 비트를 1개의 심볼(symbol)로 변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9600[bps]의 비트열을 4개씩 묶어 2400[symbol/s]의 심볼열로 변조하게 된다. 변조속도는 심볼의 전송속도인 baud rate로 표현되므로, 정답은 "240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과 거리가 먼 것은?

  1. ATM 방식
  2. 회선교환방식
  3. 광전송 기술
  4. 쌍방향 서비스
(정답률: 54%)
  • B-ISDN은 패킷교환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회선교환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전용 회선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그 회선을 계속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회선교환방식은 B-ISDN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패킷교환망에 흐르는 패킷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기하고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은?

  1. look up
  2. polling
  3. flow control
  4. closed connection
(정답률: 55%)
  • 패킷교환망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들이 동시에 패킷을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패킷의 수가 많아지면 네트워크 혼잡이 발생하여 전송 속도가 느려지거나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패킷의 흐름을 조절하는 기능이 필요한데, 이를 flow control이라고 합니다. flow control은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통신 속도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혼잡을 방지하고 전송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기하고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은 flow contr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송신측 펄스부호변조(PCM)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2.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3.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4.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정답률: 69%)
  • 정답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입니다.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양자화는 디지털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특정 값을 할당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부호화는 디지털 신호를 특정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PCM에서는 부호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펄스 부호로 변환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송 및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OSI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레임 단위의 전송을 규정
  2. OSI-7 계층의 제 2계층에 해당
  3. 통신망의 접속, 다중화 등에 관한 기능
  4. 전송 데이터의 흐름제어 및 오류제어
(정답률: 49%)
  • 틀린 것은 없습니다. 다만, "통신망의 접속, 다중화 등에 관한 기능"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면,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통신망에 접속하고, 다중화 기능을 수행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회선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의 흐름제어와 오류제어를 수행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정보통신망에서 트렁크라인(T1, E1)을 직접 수용할 수 있는 것은?

  1. DSU
  2. CCU
  3. MODEM
  4. CSU
(정답률: 35%)
  • 정답은 "CSU"입니다. 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통신 회선에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DSU는 Data Service Unit의 약자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CCU는 Channel Control Unit의 약자로, 통신 회선에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MODEM은 모뎀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CSU는 T1, E1과 같은 디지털 신호를 직접 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정보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검색장치
  2. 전송회선
  3. 단말장치
  4. 통신제어장치
(정답률: 57%)
  • 검색장치는 데이터 전송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송회선, 단말장치, 통신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검색장치는 데이터 전송계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정보통신시스템의 회선구성 또는 처리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온-라인(On-line) 방식
  2. 트래픽(Traffic) 방식
  3. 일괄(Batch) 처리방식
  4. 실시간(Real time) 처리방식
(정답률: 57%)
  • 정답: "트래픽(Traffic) 방식"

    설명: 온-라인 방식은 사용자와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처리하는 방식이고, 일괄 처리방식은 일정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이며, 실시간 처리방식은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트래픽 방식은 정보통신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정한 규칙에 따라 회선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정보통신시스템의 회선구성 또는 처리방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OSI-7계층에서 종점간(End to End)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의 역할을 주로 하는 계층은?

  1. 물리계층
  2. 트랜스포트계층
  3. 세션계층
  4. 응용계층
(정답률: 61%)
  • 정답: 트랜스포트계층

    트랜스포트계층은 종점간(End to End)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분할, 전송 제어, 오류 검출 및 복구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TCP와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트랜스포트계층은 OSI-7계층 중에서 종점간(End to End)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정보통신시스템의 AT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8 Byte의 페이로드(Payload)를 갖는다.
  2. 5 Byte의 헤더를 갖는다.
  3.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하다.
  4. 동기식 전달모드로 고속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정답률: 51%)
  • 정답은 "48 Byte의 페이로드(Payload)를 갖는다." 이다.

    ATM은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약자로, 비동기식 전달모드를 사용한다. 따라서 "동기식 전달모드로 고속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48 Byte의 페이로드를 갖는다는 설명은 맞지 않다. ATM은 53 Byte의 고정 길이 패킷을 사용하며, 이 중 5 Byte는 헤더, 48 Byte는 페이로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통신제어장치의 기능 중에서 송신과 수신을 동일한 타이밍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은?

  1. 오류제어
  2. 흐름제어
  3. 동기제어
  4. 응답제어
(정답률: 45%)
  • 동기제어는 송신과 수신을 동일한 타이밍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으로, 송신 측과 수신 측의 클럭을 동기화하여 데이터 전송을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손실이나 오류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데이터그램(datagram) 패킷 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신은 송신된 순서대로 패킷이 도착한다.
  2. 속도 및 코드 변환이 가능하다.
  3. 각 패킷은 오버헤드 비트가 필요하다.
  4. 대역폭 설정에 융통성이 있다.
(정답률: 36%)
  • "각 패킷은 오버헤드 비트가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방식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송신된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신은 송신된 순서대로 패킷이 도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속도 및 코드 변환이 가능하며 대역폭 설정에 융통성이 있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각 패킷은 헤더에 필요한 정보를 담기 때문에 오버헤드 비트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DTE-DCE 인터페이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적 특성
  2. 기계적 특성
  3. 기능적 특성
  4. 통신적 특성
(정답률: 39%)
  • 정답: "기계적 특성"

    해설: DTE-DCE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통신 장비(DTE)와 데이터 통신 회선(DCE)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이 인터페이스는 전기적 특성(전압, 전류, 임피던스 등), 기능적 특성(프로토콜, 데이터 전송 속도 등), 그리고 통신적 특성(동기화,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통신적 특성"은 DTE-DCE 인터페이스에 속하지 않는 것입니다. "기계적 특성"은 인터페이스의 물리적인 구성과 관련이 있으며, DTE-DCE 인터페이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