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8-21)

정보처리산업기사
(2011-08-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해싱 함수의 값을 구한 결과 키 K1, K2 가 같은 값을 가질 때, 이들 키 K1, K2 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Mapping
  2. Folding
  3. Synonym
  4. Chaining
(정답률: 79%)
  • 해싱 함수의 값을 구한 결과 키 K1, K2 가 같은 값을 가질 때, 이들 키 K1, K2 의 집합을 Synonym 이라고 한다. 이는 서로 다른 키들이 동일한 해시 값으로 매핑되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다른 보기들은 해싱 기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지만, Synonym은 충돌이 발생했을 때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니라, 충돌이 발생한 상황 자체를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A, B, C, D의 순서로 정해진 입력자료를 스택에 입력하였다가 출력한 결과가 될 수 없는 것은?(단, 왼쪽부터 먼저 출력된 순서이다)

  1. D, C, B, A
  2. C, D, A, B
  3. A, B, C, D
  4. B, C, D, A
(정답률: 72%)
  • "C, D, A, B"는 입력된 순서대로 스택에 쌓았을 때, 마지막으로 입력된 B가 가장 먼저 출력되어야 하는데,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이므로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것이 가장 나중에 출력되기 때문에 출력될 수 없는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

  1. ①, ②, ③, ④
  2. ②, ④
  3. ①, ②, ④
  4. ①, ②,③
(정답률: 75%)
  • ① 데이터베이스는 중복을 최소화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 중복을 최소화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데이터의 효율성을 높인다.

    ②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다.
    -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다.

    ③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한다.
    -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한다.

    ④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저장, 검색, 갱신,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데이터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인다.

    따라서 정답은 "①, ②, ③"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적으로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은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면에서 동등하다.
  2. 관계 대수는 질의에 대한 해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해야 하므로 비절차적 특징을 가진다.
  3. 관계해석은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4. 관계해석은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Predicate Calculus)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답률: 66%)
  • "관계 대수는 질의에 대한 해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해야 하므로 비절차적 특징을 가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관계 대수는 연산의 순서를 명시해야 하지만, 이는 절차적인 특징을 가진다. 즉, 연산의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순서를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외래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래 키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외래 키로 지정되면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 키에 없는 값은 입력할 수 없다.
  3. 외래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 릴레이션이 되고, 대응 되는 기본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하는 릴레이션이 된다.
  4.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정답률: 53%)
  • 외래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 릴레이션이 되고, 대응 되는 기본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하는 릴레이션이 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외래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은 참조 릴레이션과 관계를 맺는데, 이 때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 키를 참조하는 외래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은 참조 릴레이션의 외래 키를 참조하는 것입니다. 즉, 외래 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은 참조 릴레이션과 관계를 맺는데 사용되는 중간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자체에 관련 있는 다양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2. 데이터 사전이라고도 한다.
  3. 무결성 확보를 위하여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해 볼 수 없다.
  4. 기본 테이블, 뷰, 인덱스, 패키지, 접근 권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정답률: 85%)
  •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무결성 확보를 위하여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해 볼 수 없다." 이다. 일반 사용자는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된 정보 중 일부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된 모든 정보를 검색하고 수정할 수는 없다. 이는 보안 및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hat is an ordered list in which all insertion and deletions are made at one end, called the top?

  1. Queue
  2. Array
  3. Stack
  4. Linked list
(정답률: 72%)
  • "Stack"은 모든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top) 이루어지는 순서가 있는 목록입니다. 따라서 "Stack"이 정답입니다. "Queue"는 삽입은 한쪽 끝에서, 삭제는 다른 쪽 끝에서 이루어지는 순서가 있는 목록입니다. "Array"와 "Linked list"는 순서가 있지만, 삽입과 삭제가 양쪽 끝에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자료를 삽입 정렬을 사용하여 오름차순 정렬하고자 할 경우, PASS 2의 결과는?

  1. 28, 33, 64, 55, 17, 43, 99
  2. 28, 33, 64, 99, 55, 17, 43
  3. 43, 28, 33, 64, 99, 55, 17
  4. 28, 33, 55, 64, 99, 17, 43
(정답률: 76%)
  • 삽입 정렬은 현재 위치에서 그 이하의 배열들을 비교하여 자신이 들어갈 위치를 찾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PASS 1에서는 첫 번째 원소인 28이 이미 정렬된 상태이므로 PASS 2에서는 두 번째 원소인 33을 삽입해야 한다. 33은 28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세 번째 원소인 64는 33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네 번째 원소인 55는 64보다 작으므로 64와 자리를 바꾼다. 이제 33, 64, 55은 정렬된 상태이다.

    다섯 번째 원소인 17은 64, 55, 33, 28보다 작으므로 각각 한 칸씩 뒤로 밀고 17을 첫 번째 자리에 삽입한다.

    여섯 번째 원소인 43은 64보다 작으므로 64와 자리를 바꾼다. 이제 33, 55, 43, 28, 17은 정렬된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 원소인 99는 64, 55, 43, 33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따라서 PASS 2의 결과는 "28, 33, 64, 99, 55, 17, 4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논리적 데이터 모델 중 오너-멤버(Owner-Member) 관계를 가지며, CODASYL DBTG 모델이라고도 하는 것은?

  1. E-R 모델
  2. 관계 데이터 모델
  3. 계층 데이터 모델
  4.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정답률: 79%)
  • 오너-멤버 관계를 가지며, CODASYL DBTG 모델은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이다. 이는 데이터를 레코드와 레코드 간의 관계로 표현하는 모델로, 레코드 간의 관계를 트리 구조가 아닌 그래프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표현할 수 있으며, 오너-멤버 관계를 통해 다양한 연결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큐의 응용 분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2. 수식 계산 및 수식 표기법
  3. 인터럽트 처리
  4. 서브루틴 호출
(정답률: 78%)
  • 큐는 작업을 순서대로 처리하기 위한 자료구조로, 이러한 특성 때문에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에 적합합니다. 작업 스케줄링은 CPU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실행할 작업들을 순서대로 정렬하고 할당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큐를 사용하여 작업들을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기 위해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거나, 작업의 도착 시간과 실행 시간을 고려하여 최적의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큐는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에 필수적인 자료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개체-관계 모델(E-R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체 타입과 관계 타입을 이용해서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2. E-R 다이어그램은 E-R 모델을 그래프 방식으로 표현한 것 이다.
  3. E-R 다이어그램의 다이아몬드 형태는 관계 타입을 표현하며, 연관된 개체 타입들을 링크로 연결한다.
  4. 현실 세계의 자료가 데이터베이스로 표현될 수 있는 물리적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정답률: 55%)
  • "현실 세계의 자료가 데이터베이스로 표현될 수 있는 물리적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E-R 모델은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모델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물리적 구조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뷰(View)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①, ②, ③, ④
  2. ①, ②, ④
  3. ①, ②, ③
  4. ①, ③, ④
(정답률: 64%)
  • 뷰(View)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①, ②, ③"입니다.

    ① Layout을 그린다: 뷰(View)는 화면에 보여지는 모든 요소들을 그리기 위해 Layout을 가지고 있습니다.

    ② Event 처리: 뷰(View)는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기 위해 이벤트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③ Focus를 가질 수 있다: 뷰(View)는 포커스를 가질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④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뷰(View)는 데이터를 가질 수 있지만, 이는 뷰(View)의 특성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SQL의 데이터 정의어(DDL)로만 짝지어진 것은?

  1. SELECT, UPDATE, DROP
  2. INSERT, DELETE, CREATE
  3. SELECT, UPDATE, ALTER
  4. CREATE, DROP, ALTER
(정답률: 81%)
  • 정답은 "CREATE, DROP, ALTER"입니다. 이유는 이 세 가지 명령어는 모두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변경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 CREATE: 새로운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 DROP: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 ALTER: 이미 존재하는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의 구조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반면에 "SELECT, UPDATE, INSERT, DELETE"는 데이터 조작어(DML)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수정, 삽입,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SELECT, UPDATE, ALTER"는 ALTER 대신에 CREATE와 짝지어질 수도 있지만, CREATE, DROP, ALTER가 모두 스키마를 변경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이들이 DDL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 )안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NULL
  2. TUPLE
  3. DOMAIN
  4. FOREIGN KEY
(정답률: 87%)
  • NULL은 값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특별한 값으로, 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에서는 값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속성에 대해 NULL 값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옳다. 따라서 NULL은 올바른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트리를 중위 순서로 운행한 결과는?

  1. A B C D E F G H
  2. D B A G E H C F
  3. A B D C E G H F
  4. B D G H E F A C
(정답률: 76%)
  • 중위 순회는 왼쪽 자식 노드, 현재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순서로 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를 중위 순회하면 된다.

    D의 왼쪽 자식인 B를 중위 순회하면 B, 그 다음은 B의 오른쪽 자식인 A가 오므로 B A가 된다. D의 오른쪽 자식인 G를 중위 순회하면 G, 그 다음은 G의 오른쪽 자식인 E가 오므로 G E가 된다. 이제 D B A G E를 합치면 "D B A G E"가 된다.

    다음으로 H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를 중위 순회하면 H, 그 다음은 H의 오른쪽 자식인 C가 오므로 H C가 된다. 마지막으로 F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를 중위 순회하면 F가 된다.

    따라서 전체 중위 순회 결과는 "D B A G E H C F"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데이터베이스에서 아직 알려지지 않거나 모르는 값으로서 “해당 없음” 등의 이유로 정보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원자값(atomic value)
  2. 참조값(reference value)
  3. 무결값(integrity value)
  4. 널값(null value)
(정답률: 88%)
  • 정답: 널값(null value)

    널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으로,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알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널값은 원자값이나 참조값과는 다르게 데이터의 유형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선형 자료구조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스택, 트리
  2. 트리, 그래프
  3. 스택, 큐
  4. 큐, 그래프
(정답률: 80%)
  • 스택과 큐는 모두 선형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하여 저장하고 접근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트리와 그래프는 비선형 자료구조로, 데이터 간의 관계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서로 다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택, 큐"는 선형 자료구조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데이터베이스의 3층 스키마에 대한 옳은 설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①, ②
  2. ①, ②, ③
  3. ①, ②, ③, ④
(정답률: 49%)
  • ①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 스키마, 개념적 구조를 구체화한 외부 스키마,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구조를 나타내는 내부 스키마로 이루어진 3층 스키마 모델을 옳게 설명한 것이다. ②는 개념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만을 포함하고 있어 외부 스키마가 빠져있으므로 틀린 설명이다. ③은 개념 스키마, 외부 스키마, 내부 스키마, 뷰 스키마까지 포함하고 있어 뷰 스키마가 포함되지 않은 ①과 다른 설명이다. ④는 어떤 스키마도 포함하지 않으므로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논리적 설계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진 정보 구조로부터 특정 목표 DBMS 처리할 수 있는 스키마를 생성한다.
  2.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응용에 대해서 처리 성능을 얻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저장 구조 및 액세스 경로를 결정한다.
  3.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4. 물리적 설계에서 옵션 선택시 응답시간, 저장 공간의 효율화, 트랜잭션 처리율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물리적 설계에서 옵션 선택시 응답시간, 저장 공간의 효율화, 트랜잭션 처리율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가 아니라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진 정보 구조로부터 특정 목표 DBMS 처리할 수 있는 스키마를 생성한다."입니다.

    논리적 설계 단계는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진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특정 DBM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을 관계형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테이블, 속성, 관계 등을 정의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데이터의 무결성, 일관성, 보안 등을 고려하여 스키마를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What's the explain next sentence? Choose the collect answer.

  1. Stack
  2. Graph
  3. Tree
  4. Linked list
(정답률: 59%)
  • 이 그림은 각각의 데이터가 이전 데이터와 다음 데이터의 주소를 가리키는 형태로 구성된 Linked list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Linked lis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바이트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용어로 바이트 열에서 가장 큰 값이 먼저 저장되는 것은?

  1. right-endian
  2. left-endian
  3. big-endian
  4. little-endian
(정답률: 78%)
  • "big-endian"은 가장 큰 값이 먼저 저장되는 방식으로, 이는 바이트열의 첫 번째 바이트가 가장 높은 자리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0x12345678이라는 4바이트 숫자를 저장할 때, "big-endian" 방식으로 저장하면 메모리에는 12 34 56 78의 순서로 저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명령어 ADD(100)이 수행되면 다음 중 어느 것이 연산장치로 보내지는가? (단, ( )는 indirect addressing을 뜻하고, 기억장소 100 번지에는 2004가 저장되어 있다)

  1. 2004
  2. 2004번지의 내용
  3. 100
  4. 100번지의 내용
(정답률: 65%)
  • "2004번지의 내용"이 연산장치로 보내진다. ADD(100)은 100번지의 내용을 더하는 것이 아니라, 100번지에 저장된 값이 다른 기억장소의 주소를 나타내는 indirect addressing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ADD(100)은 100번지에 저장된 주소인 2004번지의 내용을 가져와서 연산을 수행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떤 micro-computer의 기억 용량이 64 Kbyte 이다. 이 micro-computer의 memory 수와 필요한 address line의 수는?(단, memory 1개의 용량은 1 byte 이다)

  1. 216개, 16 line
  2. 264개, 64 line
  3. 264개, 16 line
  4. 216개, 64 line
(정답률: 46%)
  • 64 Kbyte는 64 x 1024 byte이므로, 이 micro-computer는 64 x 1024 = 65,536 byte의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메모리가 1 byte이므로, 이 micro-computer는 65,536 개의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메모리의 개수를 나타내는 address line의 수는 2의 거듭제곱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2의 n승 = 65,536 이 성립하는 n을 찾으면 된다. n = 16 이므로, 이 micro-computer는 2의 16승 = 65,536 개의 메모리를 가지고 있고, address line의 수는 16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216개, 16 line"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OP-코드의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제어 기능
  2. 함수연산 기능
  3. 입출력 기능
  4. 주소 지정 기능
(정답률: 48%)
  • OP-코드의 기능 중 주소 지정 기능은 없습니다. OP-코드는 명령어의 기능을 정의하는 코드이며, 주소 지정은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메모리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OP-코드는 제어 기능, 함수연산 기능, 입출력 기능 등을 포함하지만, 주소 지정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O-주소 인스트럭션 형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산을 위한 스택을 갖고 있으며, 연산 수행 후에 결과를 스택(stack)에 보존한다.
  2. 자료를 얻기 위하여 스택에 접근할 때는 top이 지정하는 곳에 접근한다.
  3. unary 연산 경우에는 2개의 자료가 필요하고, top이 지정하는 곳의 자료를 처리하고, 결과는 top 다음 위치에 기억한 다.
  4. binary 연산인 경우 2개 자료가 필요하고, 스택 상단부 2자리에 저장한다.
(정답률: 55%)
  • 정답은 "binary 연산인 경우 2개 자료가 필요하고, 스택 상단부 2자리에 저장한다." 이다.

    unary 연산은 하나의 자료만 필요하므로 스택에서 top이 지정하는 곳의 자료를 처리하고, 결과는 top 다음 위치에 기억한다. 이에 반해 binary 연산은 두 개의 자료가 필요하므로 스택 상단부 2자리에 저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마이크로 사이클 시간을 할당하는 방법은?

  1. 비동기식
  2. 동기고정식
  3. 동기가변식
  4. 중앙집중식
(정답률: 54%)
  • 비동기식은 각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마이크로 사이클 시간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이는 각 오퍼레이션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다른 오퍼레이션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비동기식은 다른 방식과 달리 처리 속도가 빠르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RS 플립플롭의 입력과 출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 S가 1일 때 Q, Q‘는 모두 0 이 된다.
  2. 입력 RS가 모두 0일 때, Q, Q‘는 앞의 상태를 유지한다.
  3. 입력 RS는 모두 1 이 되어서는 안 된다.
  4. 출력 Q‘는 항상 Q의 반대로 된다.
(정답률: 49%)
  • "입력 S가 1일 때 Q, Q‘는 모두 0 이 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RS 플립플롭은 S와 R 입력에 따라 Q와 Q'의 상태가 결정되는데, S가 1이 되면 Q는 1이 되고 Q'는 0이 된다. 따라서 입력 S가 1일 때 Q, Q'가 모두 0이 되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과 같은 마이크로 사이클의 명령어는?

  1. ADD
  2. SUB
  3. MUL
  4. STORE
(정답률: 63%)
  • 이 마이크로 사이클은 레지스터 A와 B의 값을 더하는 명령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명령어는 "ADD"이다. ADD는 A와 B의 값을 더하고 그 결과를 A에 저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데이지체인(daisy-chain) 우선순위 인터럽트 방법에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장치들의 연결 방법은?

  1. 모든 장치를 직렬로 연결한다.
  2. 모든 장치를 병렬로 연결한다.
  3. 직렬과 병렬로 연결한다.
  4. 우선순위에 따라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한다.
(정답률: 58%)
  • 데이지체인 방법에서는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데이터 버스를 공유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한 장치부터 순서대로 처리할 수 있으며,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인터럽트 요청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어 처리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모든 장치를 직렬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중앙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을 내린 순간부터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끝나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ccess time
  2. loading time
  3. seek time
  4. search time
(정답률: 69%)
  • "access time"은 중앙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을 내린 순간부터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끝나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단어가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인 "loading time", "seek time", "search time"은 데이터를 요구하는 순간부터 주고받는 것이 끝나는 순간까지의 전체 시간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고정 소수점 수에 대한 표현에서 음수로의 변환이 가장 쉬운 것은?

  1. 부호와 절대치 방법
  2. 1의 보수
  3. 2의 보수
  4. r의 보수
(정답률: 46%)
  • 부호와 절대치 방법은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숫자의 가장 왼쪽 비트를 부호 비트로 사용하여 양수와 음수를 구분하고, 나머지 비트는 해당 숫자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음수로의 변환은 부호 비트를 바꾸면 됩니다. 1의 보수, 2의 보수, r의 보수는 모두 보수 연산을 사용하여 음수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계산이 복잡하고 오버헤드가 크기 때문에 부호와 절대치 방법이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디스크에서 CAV 방식에 의한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

  1. 저장 공간의 낭비
  2. 처리 속도의 저하
  3. 다수의 단말 장치 필요
  4. 제한적 오류 검출
(정답률: 49%)
  • CAV 방식은 디스크의 외부부터 내부로 읽기/쓰기 속도가 점차 느려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디스크의 중심부분에서는 데이터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없습니다. 이로 인해 중심부분에 저장된 데이터는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가산기(full adder)의 sum(s)과 carry(C0) 비트를 논리식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47%)
  • 전가산기의 sum(s) 비트는 입력된 A, B, C0의 합을 나타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 = A ⊕ B ⊕ C0

    전가산기의 carry(C1) 비트는 입력된 A, B, C0의 합이 2 이상일 때 1이 되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1 = (A ∧ B) ∨ (C0 ∧ (A ⊕ B))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논리 연산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MOVE, AND, COMPLEMENT
  2. ROTATE, ADD, SHIFT
  3. MOVE, EX-OR, SUBTRACT
  4. MULTIPLY, AND, DIVIDE
(정답률: 53%)
  • "MOVE, AND, COMPLEMENT"은 모두 논리 연산에 해당하는데, MOVE는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연산이지만 논리 연산으로 볼 수 있다. AND는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 1을 반환하는 논리 연산이고, COMPLEMENT는 비트를 반전시키는 논리 연산이다. 따라서 "MOVE, AND, COMPLEMENT"는 모두 논리 연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삭제하고 다시 쓸 수도 있는 기억장치는?

  1. SRAM
  2. P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68%)
  • EEPROM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삭제가 가능하고 다시 쓸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따라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S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고, PROM과 EPROM은 전기적으로 삭제가 불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정 소수점 수와 부동 소수점 수의 표현에서 숫자 표현 크기를 제한하는 요소는?

  1. 제한이 없다.
  2. 기억용량
  3. Word의 bit수
  4. 기억 장치의 품질
(정답률: 74%)
  • 고정 소수점 수와 부동 소수점 수의 표현에서 숫자 표현 크기를 제한하는 요소는 Word의 bit수입니다. 이는 숫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비트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요소들도 숫자 표현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Word의 bit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RAM은 동적RAM과 정적RAM으로 나누는데 이들의 차이점은?

  1. 읽고 쓸 수 있다.
  2. 쓸 수는 없으나 읽을 수는 있다.
  3. 동적 RAM은 refresh가 필요하다.
  4. 정적 RAM은 refresh가 필요하다.
(정답률: 66%)
  • 동적 RAM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전하를 축적하는 커패시터를 사용하는 반면, 정적 RAM은 플립플롭을 사용한다. 이로 인해 동적 RAM은 일정 시간마다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를 유지하기 위해 refresh가 필요하다. 반면, 정적 RAM은 전력이 공급되는 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어 refresh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일 IC 패키지에 OR 게이트와 디코더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것은?

  1. 카운터
  2. ROM
  3. TTL
  4. MOS
(정답률: 43%)
  • OR 게이트와 디코더는 논리 회로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IC 패키지 중에서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ROM이 있습니다. 따라서, 단일 IC 패키지에 OR 게이트와 디코더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것은 ROM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컴퓨터의 제어장치가 특정한 메이저 상태와 타이밍 상태에 있을 때, 다음 중 제어 데이터(control data)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각 major 상태의 변천을 제어
  2.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점을 제어
  3. 명령어의 수행 순서 결정 제어
  4. 주소 매핑 결정 제어
(정답률: 49%)
  • 주소 매핑 결정 제어는 제어장치가 특정한 메이저 상태와 타이밍 상태에 있을 때 제어 데이터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메모리 주소를 물리적인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하드웨어인 MMU(Memory Management Unit)에서 수행되는 역할입니다. 따라서 주소 매핑 결정 제어는 MMU에서 수행되는 것이며, 제어 데이터의 종류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나 종류를 소프트웨어로 판단하는 방법은?

  1. Polling
  2. Daisy chain
  3. Decoder
  4. Multiplexer
(정답률: 66%)
  • Polling은 소프트웨어가 주기적으로 하드웨어 상태를 확인하여 인터럽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나 종류를 소프트웨어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Polling을 선택할 수 있다. Daisy chain, Decoder, Multiplexer는 하드웨어적인 방식으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방법이므로 소프트웨어로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프로세스 설계상 유의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분류 처리를 가능한 최대화한다.
  2. 프로세스 전개의 사상을 통일한다.
  3. 하드웨어의 기기 구성, 처리 성능을 고려한다.
  4. 오류에 대비한 검사시스템을 고려한다.
(정답률: 74%)
  • "분류 처리를 가능한 최대화한다."는 프로세스 설계상 유의 사항 중에서 다른 것들과는 달리 실제적인 처리 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는 데이터나 자원 등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최대화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프로세스 설계상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모형 중 나선형(Spiral Model)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구축시 발생하는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2. 시제품을 만들어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여줄 수 있다.
  3. 복잡, 대규모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합하다.
  4. 초기에 위험 요소를 발견하지 못할 경우 위험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정답률: 57%)
  • "시제품을 만들어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여줄 수 있다." 이유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모형 중 나선형 모델에서는 개발 초기에 시제품을 만들어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보여주고 피드백을 받아 개선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최종적으로 완성된 제품을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관리자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파악하고 반영할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출력 시스템과 입력 시스템이 일치된 것으로 일단 출력된 정보가 이용자의 손을 거쳐 다시 입력되는 시스템의 형태는?

  1. COM(Computer Output Microfilm) 시스템
  2. Turn Around 시스템
  3. File 출력 시스템
  4. Display 출력 시스템
(정답률: 76%)
  • Turn Around 시스템은 출력된 정보가 이용자에게 전달되어 다시 입력되는 시스템으로, 출력 시스템과 입력 시스템이 일치되어 정보가 순환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출력과 입력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에 적합하며,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파일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①→③→②→④
  2. ①→②→③→④
  3. ④→①→③→②
  4. ④→③→②→①
(정답률: 66%)
  • 정답은 "①→②→③→④"이 아니라 "①→②→③→④"입니다.

    ① 단계에서는 파일의 목적과 구조를 결정하고, 필요한 데이터와 필드를 정의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파일의 이름과 위치도 결정됩니다.

    ② 단계에서는 파일에 저장될 데이터를 입력하고, 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와 오류 처리도 수행됩니다.

    ③ 단계에서는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정렬과 인덱싱도 수행됩니다.

    ④ 단계에서는 파일을 유지보수하고, 필요한 경우 파일을 삭제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파일의 백업과 복원도 수행됩니다.

    따라서, 파일 설계 순서는 "①→②→③→④"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표의 숫자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드에 물리적 수치를 부여하여 기억이 용이하다.
  2. 코드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다.
  3. 같은 코드를 반복 사용하므로 오류가 적다.
  4. 항목의 자리수가 짧아 기계 처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55%)
  • "항목의 자리수가 짧아 기계 처리가 용이하다."는 표의 숫자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이유는 항목의 자리수가 짧다고 해서 기계 처리가 용이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자리수가 길어질수록 기계 처리가 더욱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 항목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의 요구나 환경 변화에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2. 사용에 의해 마모되거나 소멸된다.
  3. 하드웨어처럼 제작되지 않고 논리적인 절차에 맞게 개발된다.
  4. 일부 수정으로 소프트웨어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정답률: 75%)
  • 소프트웨어는 사용에 의해 마모되거나 소멸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프트웨어가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되면서 버그나 오류가 발생하거나, 새로운 기능이나 요구사항이 추가되어 수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존의 소프트웨어가 새로운 기술이나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사용되지 않게 되어 소멸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나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객체 지향의 개념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하나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인스턴스
  2. 메소드
  3. 메시지
  4. 클래스
(정답률: 71%)
  • 클래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는 개념입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클래스가 정답입니다. 인스턴스는 클래스를 기반으로 생성된 객체를 의미하며, 메소드는 객체가 가지고 있는 행위를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메시지는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전달되는 요청이나 명령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스템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제어성
  2. 자동성
  3. 목적성
  4. 종합성
(정답률: 77%)
  • 위 그림은 시스템의 피드백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구조에서 입력 신호가 처리되어 출력 신호가 나오는 과정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동작이 제어됩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제어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스템 처리 시간의 견적 방법 중 처리 시간의 계산을 작업 처리도(Process Chart)를 기초로 한 간단한 계산식에 중앙처리장치의 능력과 주변장치의 속도에 관한 자료를 대입하여 계산하는 방법은?

  1. 컴퓨터에 의한 계산방법
  2. 추정에 의한 방법
  3.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
  4. 흐름에 의한 계산 방법
(정답률: 44%)
  • 작업 처리도를 기초로 한 간단한 계산식에 중앙처리장치의 능력과 주변장치의 속도에 관한 자료를 대입하여 계산하는 방법은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이다. 이는 시스템 처리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계산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들은 추정이나 흐름에 따라 계산하는 방법이므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흐름도의 종류 중 컴퓨터의 입력, 처리, 출력되는 하나의 처리 과정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은?

  1. 프로세스 흐름도
  2. 프로그램 흐름도
  3. 시스템 흐름도
  4. 블록 차트
(정답률: 64%)
  • 프로세스 흐름도는 하나의 처리 과정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나타낸다. 따라서 입력부터 출력까지의 과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프로그램 개발 및 유지보수에 유용하다. "프로그램 흐름도"는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고, "시스템 흐름도"는 여러 개의 모듈이나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블록 차트"는 복잡한 시스템을 간단한 블록으로 표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스템 분석가로서 훌륭한 분석을 하기 위한 기본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분석가는 창조성이 있어야 한다.
  2. 분석가는 시간배정과 계획 등을 빠른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3. 분석가는 컴퓨터 장치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4. 분석가는 기계 중심적이어야 한다.
(정답률: 72%)
  • 분석가는 기계 중심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시스템 분석 작업에서 컴퓨터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분석가가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분석가는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식을 꼭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의 문서화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개발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2. 시스템 개발 단계의 요식행위이다.
  3. 시스템 개발팀에서 운용팀으로 인계 인수를 쉽게 할 수 있다.
  4.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77%)
  • "시스템 개발 단계의 요식행위이다."가 정답인 이유는 시스템 개발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시스템 개발팀에서 운용팀으로 인계 인수를 쉽게 할 수 있다,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은 모두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 문서화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문서화는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 요구사항, 설계, 구현, 테스트 등 모든 과정을 문서로 남기는 것이기 때문에 시스템 개발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인계 인수가 쉽고,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료 사전에서 자료의 연결(and)시 사용하는 기호는?

  1. =
  2. { }
  3. ( )
  4. +
(정답률: 72%)
  • 정답은 "+"입니다.

    자료 사전에서 자료의 연결은 두 개 이상의 자료를 하나로 합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 기호가 사용됩니다. "+" 기호는 덧셈을 나타내는 기호이기도 하지만, 자료 사전에서는 더하기 연산자로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pple"과 "banana"라는 두 개의 단어를 연결하면 "apple+banana"라는 하나의 단어가 됩니다. 이렇게 연결된 단어는 "apple"과 "banana" 각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하나의 단어로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코드(code) 설계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2. 컴퓨터 처리에 적합하여야 한다.
  3. 체계성이 있어야 한다.
  4.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73%)
  • 코드 설계시 다양성이 있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한 상황에서 코드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모든 입력값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코드를 작성하기 쉽지만, 입력값이 다양하고 예측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양성이 있는 코드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높아지며, 더 나은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코드의 오류 발생 형태 중 좌우 자리가 바뀌어 발생하는 에러는?

  1. transposition error
  2. addition error
  3. omission error
  4. transcription error
(정답률: 80%)
  • "transposition error"는 코드의 오류 발생 형태 중 좌우 자리가 바뀌어 발생하는 에러이다. 이는 예를 들어 "123" 대신 "132"와 같이 숫자나 문자의 위치가 바뀌어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러한 오류는 주로 입력 실수나 복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에서는 변수나 함수 이름 등을 잘못 입력할 때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입력 설계 단계 중 가장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입력 정보의 매체화
  2. 입력 정보의 투입
  3. 입력 정보의 수집
  4. 입력 정보의 내용
(정답률: 49%)
  • 입력 정보의 내용은 입력 설계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이는 입력 정보를 수집하고, 투입하고, 매체화한 후에 해당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입력 정보의 내용은 입력 설계의 마지막 단계로, 입력 정보를 최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주로 편의점, 백화점 등 유통업체의 계산대에서 사용하는 장치로서 고객이 물품을 구입하게 되면 단말기에서 직접 입력하여 중앙 컴퓨터에 전달되어 현장 상황이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장치는?

  1. 디지타이저
  2.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3. POS(Point of Sale)
  4. 데이터 수집 장치
(정답률: 70%)
  • POS(Point of Sale)는 고객이 물품을 구입하면 단말기에서 직접 입력하여 중앙 컴퓨터에 전달되어 현장 상황이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디지타이저는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 MICR은 자기 인쇄 문자 판독기로서 은행 등에서 사용되는 장치, 데이터 수집 장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모듈 작성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합도와 응집도를 높여서 모듈의 독립성을 향상시킨다.
  2.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한다.
  3. 모듈의 내용이 다른 곳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표준화 한다.
  4. 적절한 크기로 설계한다.
(정답률: 76%)
  • "결합도와 응집도를 높여서 모듈의 독립성을 향상시킨다."가 옳은 것이다.

    결합도는 모듈 간의 상호 의존성을 나타내며, 응집도는 모듈 내부의 기능적 관련성을 나타낸다. 높은 결합도와 응집도를 가진 모듈은 다른 모듈과의 의존성이 적고, 모듈 내부의 기능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어 독립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모듈 작성시 결합도와 응집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하고, 모듈의 내용을 표준화하고, 적절한 크기로 설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은 모듈의 독립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색인순차편성(ISAM) 파일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순차처리와 임의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2. 레코드의 추가 삭제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
  3. 어느 특정 레코드 접근시 인덱스에 의한 처리로 직접 편성 파일에 비해서 접근 시간이 빠르다.
  4. 오버플로우 되는 레코드가 많아지면 사용 중에 파일을 재편성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정답률: 37%)
  • "어느 특정 레코드 접근시 인덱스에 의한 처리로 직접 편성 파일에 비해서 접근 시간이 빠르다."가 아닌 것은 "오버플로우 되는 레코드가 많아지면 사용 중에 파일을 재편성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입니다.

    ISAM 파일은 인덱스를 사용하여 레코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순차처리와 임의처리가 모두 가능하며, 레코드의 추가 삭제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오버플로우 되는 레코드가 많아지면 인덱스의 효율이 떨어져 파일을 재편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인덱스를 사용하여 레코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이유는 인덱스 파일과 데이터 파일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인덱스 파일은 레코드의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데이터 파일에서 레코드를 찾아갑니다. 이 과정에서 인덱스 파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직접 편성 파일에 비해서 접근 시간이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물리적 연속 공간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주로 자기 테이프에 사용되며, 일괄 처리 중심의 업무처리에 많이 이용되는 파일 편성 방법은?

  1. 색인순차편성
  2. 순차편성
  3. 리스트편성
  4. 랜덤편성
(정답률: 69%)
  • 순차편성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물리적 연속 공간에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자기 테이프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일괄 처리 중심의 업무처리에 많이 이용되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검색 속도가 빠르고 간단합니다. 따라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자원 보호 기법 중 접근 제어 행렬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영역
  2. 객체
  3. 권한
  4. 시간
(정답률: 63%)
  • 시간은 접근 제어 행렬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접근 제어 행렬은 보호 대상인 객체와 보호 주체인 주체 간의 권한 관계를 나타내는 표입니다. 이를 구성하는 요소는 보호 대상인 객체, 보호 주체인 주체, 그리고 권한입니다. 시간은 이와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3 페이지가 들어갈 수 있는 기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가 참조될 때 FIFO 기법을 사용하면 페이지 부재(page fault)는 몇 번 일어나는가? (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4
  2. 5
  3. 6
  4. 8
(정답률: 67%)
  • FIFO 기법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내보내는 기법이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 순서대로 페이지를 기억장치에 넣게 되면, 3 페이지가 들어갈 수 있는 기억장치에는 4, 5, 6 페이지가 차례대로 들어가고, 이후 8 페이지를 넣으려고 하면 가장 먼저 들어온 4 페이지를 내보내야 한다. 따라서 4 페이지의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게 된다. 이후 8 페이지를 넣으면 5, 6, 8 페이지가 기억장치에 남게 되므로 페이지 부재는 총 1번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문장의 ( )안에 가장 적합한 기법은?

  1. SJF
  2. HRN
  3. SRT
  4. RR
(정답률: 59%)
  • (선입선처리) 기법 중 하나인 (RR) 기법은 Round Robin의 약자로, 각 프로세스에 일정한 시간 할당 후 다음 프로세스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때문에 각 프로세스는 동일한 시간만큼 CPU를 사용할 수 있으며, 대기 시간이 긴 프로세스가 먼저 처리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R 기법이 가장 적합한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UNIX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1. 1단계 구조
  2. 2단계 구조
  3. 비순환 그래프 구조
  4. 트리 구조
(정답률: 67%)
  • UNIX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트리 구조이다. 이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하여 하위 디렉토리들이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각 디렉토리는 그 자체로 하나의 서브트리를 형성하며, 파일과 다른 디렉토리들은 해당 디렉토리의 하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관리와 탐색을 용이하게 하며, 파일과 디렉토리의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워킹 셋(WORKING SET)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 되는 경향을 의미한다.
  2. 최근에 참조된 기억장소가 가까운 장래에도 계속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3. 하나의 기억장소가 참조되면 그 근처의 기억장소가 계속 참조 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4. 프로세스가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프로세스에 의해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말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프로세스가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프로세스에 의해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말한다."입니다. 워킹 셋은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이를 메모리에 유지함으로써 프로세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최근에 참조된 기억장소가 가까운 장래에도 계속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과 관련된 내용이며, 하나의 기억장소가 참조되면 그 근처의 기억장소가 계속 참조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지역성(locality) 원리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HRN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할 경우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70%)
  • 정답은 "A"입니다. HRN 스케줄링 기법은 Highest Response Ratio Next의 약자로,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짧고 서비스 시간이 긴 작업일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이 모두 짧은 작업인 "A"가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교착상태의 해결 방안 중 시스템에 교착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하여 교착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Prevention
  2. Detection
  3. Avoidance
  4. Recovery
(정답률: 57%)
  •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발생한 교착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Detection"이 정답입니다. 이 방법은 시스템에서 교착상태가 발생했는지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교착상태가 발견되면 해당 프로세스와 자원을 식별하여 해결책을 찾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파일 디스크립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파일의 구조
  2. 접근 제어 정보
  3. 보조기억장치상의 파일이 위치
  4. 파일의 백업 방법
(정답률: 69%)
  •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의 구조, 접근 제어 정보, 보조기억장치상의 파일이 위치와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파일의 백업 방법은 파일 디스크립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아니다. 파일의 백업 방법은 파일 시스템이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분산 운영체제의 구조 중 모든 사이트는 하나의 중앙 노드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 노드에 과부하가 걸리면 성능이 현저히 감소되고, 중앙 노드의 고장시 모든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는?

  1. Star connection
  2. Ring connection
  3. Fully connection
  4. Hierarchy connection
(정답률: 78%)
  • Star connection은 모든 사이트가 하나의 중앙 노드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중앙 노드에 과부하가 걸리면 성능이 현저히 감소되고, 중앙 노드의 고장시 모든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분산 운영체제에서는 Star connection 구조보다는 다른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분산처리 운영체제 시스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점진적 확장이 용이하다.
  2. 가용성과 신뢰성이 증대된다.
  3. 자원의 공유와 부하 균형이 가능하다.
  4.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보안 정책이 간소해진다.
(정답률: 67%)
  •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보안 정책이 간소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분산처리 운영체제 시스템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업을 처리하므로 보안 위협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 정책은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며, 중앙 집중형 시스템보다 더욱 복잡하고 강화된 보안 정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스레드(thread)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STACK, REGISTER)을 갖는다.
  2.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병행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법이다.
  3. 운영체제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하드웨어적 접근 방법이다.
  4. 독립된 제어흐름을 갖는다.
(정답률: 54%)
  • 운영체제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하드웨어적 접근 방법이 아닌 것은 스레드(thread)의 특징 중 하나인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STACK, REGISTER)을 갖는다.",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병행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법이다.", "독립된 제어흐름을 갖는다."입니다.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은 단위의 실행 흐름으로,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병행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법입니다. 또한 각 스레드는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를 갖고, 독립된 제어흐름을 갖습니다. 하지만 스레드는 운영체제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하드웨어적 접근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에서 작업 도착 시간과 CPU 사용시간은 다음 표와 같다. 모든 작업들의 평균 대기시간은 얼마인가?

  1. 15
  2. 16
  3. 24
  4. 25
(정답률: 56%)
  • SJF 스케줄링은 CPU 사용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먼저 CPU 사용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인 작업 1을 처리하고, 작업 2, 3, 4 순서로 처리한다. 작업 1은 도착 시간과 CPU 사용시간이 모두 0이므로 대기시간이 0이다. 작업 2는 작업 1이 끝난 후에 도착하므로 대기시간은 3이다. 작업 3은 작업 2가 끝난 후에 도착하므로 대기시간은 6이다. 작업 4는 작업 3이 끝난 후에 도착하므로 대기시간은 10이다. 따라서, 평균 대기시간은 (0+3+6+10)/4 = 4.75이다. 따라서, 정답은 5가 아닌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준화한다.
  2. 처리 과정을 간결하고 명확히 표현한다.
  3. 가급적 분류 처리를 많게 한다.
  4. 시스템 상태, 구성 요소,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80%)
  • 가급적 분류 처리를 많게 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처리 과정을 복잡하게 만들고 오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필요한 분류 처리만을 적절히 사용하여 간결하고 명확한 프로세스 설계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과 같이 트랙이 요청되어 큐에 순서적으로 도착하였다. 모든트랙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중 FCFS 스케줄링 기법이 사용되었을 경우, 트랙 35는 요청된 트랙 중 몇 번째에 서비스를 받게 되는가? (단, 현재 헤드의 위치는 트랙 50이다)

  1. 1번째
  2. 2번째
  3. 3번째
  4. 4번째
(정답률: 58%)
  • FCFS 스케줄링 기법은 먼저 도착한 작업부터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트랙 35는 요청된 순서대로 3번째에 도착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헤드의 위치가 트랙 50이므로, 트랙 50부터 시작하여 트랙 35까지 이동해야 하므로 트랙 50, 45, 60, 35 순으로 서비스를 받게 된다. 따라서 트랙 35는 요청된 트랙 중 4번째에 서비스를 받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13K의 작업을 다음 그림의 14K 공백의 작업공간에 할당했을 경우 사용된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은?

  1. Last fit
  2. First fit
  3. worst fit
  4. Best fit
(정답률: 80%)
  • 사용된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은 "Best fit"입니다. 이유는 13K의 작업을 할당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공간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Best fit"은 사용 가능한 공간 중에서 작업 크기와 가장 근접한 공간을 찾아 할당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13K의 작업을 할당하기 위해 14K 공간 중에서 가장 적합한 13K 공간을 찾아 할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파일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UNIX 명령은?

  1. cp
  2. mv
  3. rm
  4. cat
(정답률: 74%)
  • 정답은 "cat"이다. "cat"은 concatenate(연결하다)의 약자로,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cp"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 "mv"는 파일을 이동하는 명령어, "rm"은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FCFS(First Come First Served) 스케줄링의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대기 큐를 재배열하지 않고 일단 요청이 도착하면 실행 예정 순서가 도착순으로 고정된다.
  2.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요청이 도착하더라도 요청의 순서가 바뀌지 않는다.
  3. 먼저 도착한 요청이 우선적으로 서비스 받게 되므로 근본적인 공평성이 보장되고 프로그래밍하기도 쉽다.
  4. 실린더의 제일 안쪽과 바깥쪽에서 디스크 요청의 기아(starv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63%)
  • FCFS 스케줄링은 대기 큐를 재배열하지 않고 일단 요청이 도착하면 실행 예정 순서가 도착순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먼저 도착한 요청이 우선적으로 서비스 받게 된다. 이는 근본적인 공평성을 보장하고 프로그래밍하기도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린더의 제일 안쪽과 바깥쪽에서 디스크 요청의 기아(starv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거리가 먼 요청이 먼저 도착하면, 그 요청이 처리되기까지 다른 요청들이 계속 대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상호 배제의 문제는 병행하여 처리되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동시에 접근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공유되는 자원에 대한 처리 내용 중에서 상호 배제를 시켜야 하는 일정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가 처리하는 동안에 다른 프로세스의 접근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 때, 상호 배제를 시켜야 하는 일정 부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Locality
  2. Page
  3. Semaphore
  4. Critical Section
(정답률: 56%)
  • 상호 배제를 시켜야 하는 일정 부분을 "Critical Section" 이라고 한다. 이는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호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상호 배제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이므로 정답은 "Critical Sectio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UNIX에서 쉘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1. 입출력 관리
  2. 파일 관리
  3. 명령어 해석
  4. 프로세스 관리
(정답률: 66%)
  •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쉘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명령어 해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쉘이 수행하는 작업 중 일부이지만, 명령어 해석은 쉘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4.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한다.
(정답률: 77%)
  •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하는 것은 컴파일러의 역할이며,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하고,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데이터통신에서 Hamming code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방식은?

  1. 군계수 체크방식
  2. 자기정정 부호방식
  3. 패리티 체크방식
  4. 정마크 부호방식
(정답률: 50%)
  • Hamming code는 자기정정 부호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에 일정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추가된 비트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자기정정 부호방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정보통신 관련 설명 중 틀린 것은?

  1. IBM의 SNA는 컴퓨터 간 접속을 용이하게 체계화된 네트워크 방식이다.
  2. 본격적인 데이터통신의 시초는 미국의 반자동 방공 시스템(SAGE)이다.
  3.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정보통신을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4. 데이터전송은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정보의 전송이라 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정보통신을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인해 정보통신이 보급되었지만, 이로 인해 다양한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표준화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따라서 현재에도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표준화가 중요한 이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통신회선의 다중화를 함으로서 얻어지는 가장 큰 장점은?

  1. 에러정정이 쉽다.
  2. 송수신 시스템이 간단하다.
  3. 선로의 공동이용이 가능하다.
  4. 전송속도가 현저히 빨라진다.
(정답률: 56%)
  • 통신회선의 다중화를 함으로서 선로의 공동이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여러 개의 통신 장비가 동시에 하나의 회선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DSU(Digital Service Unit)의 기능은?

  1.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2.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3.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4.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정답률: 66%)
  • DSU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디지털 신호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열로 표현되며, 이를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 계층 서비스를 제공한다.
  2. 전이중 서비스를 제공한다.
  3. 비 연결형 프로토콜이다.
  4. 에러 제어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53%)
  • TCP 프로토콜은 비 연결형 프로토콜이 아니라 연결형 프로토콜이다. TCP는 전송 계층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이중 서비스를 제공하며 에러 제어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TCP는 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 후에는 연결을 해제한다. 이러한 연결 설정과 해제 과정에서는 3-way handshake와 4-way handshake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ITU-T 의 X 시리즈 권고안 중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와 DCE 사이의 접속 규격은?

  1. X.20
  2. X.21
  3. X.22
  4. X.25
(정답률: 32%)
  • X.21은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와 DCE 사이의 접속 규격으로, X.20은 모뎀과 전화망 간의 접속 규격, X.22는 비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와 DCE 사이의 접속 규격, X.25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규격이다. 따라서,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와 DCE 사이의 접속 규격은 X.2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TCP/IP 관련 프로토콜 중 인터넷 계층에 해당하는 것은?

  1. HTTP
  2. ICMP
  3. SMTP
  4. UDP
(정답률: 49%)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인터넷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ICMP는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며,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계층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CODEC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데이터통신망 관리를 위한 디지털 장치이다.
  2. 데이터통신망에 의해 정보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3. 데이터를 모아 일괄로 처리하는 장치이다.
  4.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전송로에 맞게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해 주는 장치이다.
(정답률: 76%)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전송로에 맞게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해 주는 장치이다. : CODE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디지털 통신에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주파수분할 다중화(FDM)방식에서 보호대역(guard band)이 필요한 이유는?

  1.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기 위함이다.
  2. 신호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함이다.
  3. 채널간의 간섭을 막기 위함이다.
  4. 많은 채널을 좁은 주파수 대역에 싣기 위함이다.
(정답률: 79%)
  •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에서는 여러 개의 채널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실어서 전송하는데, 이 때 각 채널 간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보호대역(guard band)을 두어야 합니다. 이는 채널간의 간섭을 막기 위함입니다. 만약 보호대역을 두지 않으면 인접한 채널의 신호가 서로 간섭하여 전송되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거나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대역은 채널 간의 간섭을 막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정보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 이중화된 장치나 선로를 적용하는 것은 다음 중 어떤 기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

  1. 효율성
  2. 신뢰성
  3. 용이성
  4. 교환성
(정답률: 38%)
  • 정보통신시스템에서 이중화된 장치나 선로를 적용하는 것은 주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이중화된 장치나 선로를 사용하면, 하나의 장치나 선로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장치나 선로가 대신 작동하여 시스템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중화된 장치나 선로를 적용하는 것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광섬유 케이블의 기본 동작 원리는 무엇에 의해서 이루어 지는가?

  1. 산란
  2. 흡수
  3. 전반사
  4. 분산
(정답률: 69%)
  • 광섬유 케이블의 기본 동작 원리는 전반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광섬유 케이블 안에 있는 광섬유가 빛을 내보내면, 광섬유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전반사 현상으로 인해 빛이 광섬유 안에서 계속해서 전달되어 목적지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는 광섬유 케이블의 특성 중 하나로, 케이블 안에서 빛이 분산되거나 흡수되지 않고 전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RS-232C 표준 인터페이스는 몇 개의 핀(PIN)으로 구성되는가?

  1. 10
  2. 22
  3. 25
  4. 32
(정답률: 58%)
  • RS-232C 표준 인터페이스는 25개의 핀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3개의 핀(Tx, Rx, GND)과 제어 신호를 위한 22개의 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데이터 단말장치와 데이터 회선종단장치의 전기적,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1. ADSL
  2. DSU
  3. SERVER
  4. RS-232C
(정답률: 61%)
  • 데이터 단말장치와 데이터 회선종단장치 간의 전기적,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RS-232C이다. RS-232C는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 단말장치와 데이터 회선종단장치 간의 통신에 적합하며, 전송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RS-232C는 널 모뎀과 같은 특수한 장비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어, 다양한 장비와 호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OSI 7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pplication Layer
  2. Presentation Layer
  3. Data Link Layer
  4. Network Access Layer
(정답률: 61%)
  • "Network Access Layer"는 OSI 7계층 중에서는 가장 하위 계층으로,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OSI 7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Network Access Lay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프로토콜의 계층화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체적인 오버헤드(over head)가 증가한다.
  2. 모듈화에 의한 전체 설계가 용이하다.
  3. 이기종간 호환성 유지가 비교적 쉽다
  4. 한 계층을 수정할 때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68%)
  • 전체적인 오버헤드가 증가하는 이유는 각 계층마다 추가적인 프로토콜 헤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증가하고, 처리해야 할 작업이 늘어나므로 전체적인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트지향형의 프로토콜이다.
  2. 제어부의 확장이 가능하다.
  3. 데이터링크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4. 통신방식으로 전이중방식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66%)
  • HDLC는 통신방식으로 전이중방식이 가능하다. HDLC는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할 수 있는 전이중 방식을 지원한다. 따라서 "통신방식으로 전이중방식이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패킷교환에서 가상회선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속도 및 코드변환이 가능하다.
  2. 대역폭 설정이 고정적이다.
  3. 패킷의 도착순서가 고정적이다.
  4. 모든 패킷은 설정된 경로에 따라 전송된다.
(정답률: 32%)
  • 가상회선방식에서 대역폭 설정이 고정적이지 않다. 가상회선은 물리적인 회선을 가상으로 분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대역폭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대역폭 설정이 고정적이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통신망의 데이터 교환방식의 유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신호교환
  2. 패킷교환
  3. 메시지교환
  4. 회선교환
(정답률: 46%)
  • 신호교환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데이터 교환 방식의 유형에 속하지 않습니다. 대신, 신호교환은 전화 통화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통화를 하기 전에 상대방의 전화기와 연결되는 회선을 먼저 확보하고, 통화가 끝나면 해당 회선을 해제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전송제어 문자 중에서 수신된 내용에 아무런 에러가 없다는 의미를 가진 것은?

  1. ENQ
  2. ACK
  3. NAK
  4. DLE
(정답률: 51%)
  • ACK는 "Acknowledgement"의 약자로, 수신된 내용에 에러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송신측이 전송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제어 문자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수신된 내용에 아무런 에러가 없다는 의미를 가진 것은 A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IEEE의 LAN 관련 프로토콜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IEEE 802.2 - 매체접근 제어(MAC)
  2. IEEE 802.3 - 논리링크 제어(LLC)
  3. IEEE 802.4 - 토큰 버스(Token Bus)
  4. IEEE 802.5 - 광섬유 LAN
(정답률: 62%)
  • IEEE 802.4은 토큰 버스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할 때 토큰이라는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충돌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MAC 주소나 논리적인 링크 제어 등 다른 기능을 담당하므로, 이들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