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8-16)

정보처리산업기사
(2015-08-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를 의미하는 기호는?

  1. 사각형
  2. 오각형
  3. 삼각형
  4. 타원
(정답률: 85%)
  • 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를 나타내는 기호는 사각형이다. 이는 개체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사각형은 테이블의 구조와 필드를 나타내는 속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테이블의 이름이 사각형 안에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데이터 모델의 종류 중 오너-멤버(owner-member) 관계를 갖는 것은?

  1. 뷰 데이터 모델
  2. 계층 데이터 모델
  3. 관계 데이터 모델
  4.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정답률: 72%)
  • 오너-멤버 관계를 갖는 데이터 모델은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데이터를 노드(node)와 링크(link)로 구성된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며, 각 노드는 오너(owner)와 멤버(member)로 구분됩니다. 오너는 다른 노드를 가리키는 링크를 가질 수 있으며, 멤버는 여러 오너에 속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복잡한 데이터 관계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며,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면 데이터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가 → 나 → 다 → 라
  2. 가 → 다 → 나 → 라
  3. 다 → 나 → 라 → 가
  4. 다 → 라 → 나 → 가
(정답률: 85%)
  • 정답은 "가 → 나 → 다 → 라"이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는 크게 요구사항 분석,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구현, 운영으로 나눌 수 있다.

    "가 → 나 → 다 → 라" 순서는 이러한 과정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순서이다.

    - "가"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와의 인터뷰, 문서 분석 등을 통해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나"는 개념적 설계 단계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개체-관계 모델(ER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계한다.

    - "다"는 논리적 설계 단계로,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논리적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릴레이션 스키마를 정의하고 정규화를 수행하여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일관성을 유지한다.

    - "라"는 물리적 설계 단계로, 논리적 모델을 바탕으로 물리적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장치, 인덱스, 보안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따라서 "가 → 나 → 다 → 라" 순서는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DBA의 역할로 거리가 먼 것은?

  1. 예비, 회복 절차를 수립해야 한다.
  2. 저장구조와 접근방법을 선정해야 한다.
  3. 데이터의 종속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4. 사용자의 요구와 불편을 해결해야 한다.
(정답률: 58%)
  • DBA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리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데이터의 종속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데이터의 종속성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데이터베이스 내의 다른 데이터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DBA는 데이터의 종속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료구조를 선형구조와 비선형구조로 구분할 경우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스택
  2. 트리
  3. 배열
(정답률: 84%)
  • 트리는 선형구조가 아닌 비선형구조이기 때문에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릅니다. 스택, 큐, 배열은 모두 선형구조로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리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와 여러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는 선형구조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이진탐색(Binary Search)시 전제조건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자료의 개수가 항상 짝수이어야 한다.
  2. 자료의 개수가 항상 홀수이어야 한다.
  3. 자료가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4. 자료가 모두 정수로만 구성되어야 한다.
(정답률: 79%)
  • 이진탐색은 자료를 반으로 나누어 탐색하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자료가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어야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자료가 정렬되어 있지 않다면, 원하는 값을 찾을 수 없거나 잘못된 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진탐색을 수행하기 전에는 자료를 정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트리를 Post-order로 운행할 때 노드 "E"는 몇 번째로 검사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1%)
  • Post-order 운행은 왼쪽 서브트리, 오른쪽 서브트리, 루트 노드 순으로 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노드를 검사하게 된다.

    1. D
    2. E
    3. B
    4. F
    5. G
    6. C
    7. A

    따라서, 노드 "E"는 두 번째로 검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DBMS
  2. Schema
  3. Key
  4. DataWare House
(정답률: 72%)
  • 이것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을 정의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개체, 속성 및 관계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Schem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Catalog
  2. View
  3. SQL
  4. Schema
(정답률: 73%)
  • 위의 그림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조회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면을 "View" 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Vie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이다.
  2. 조직의 존재 목적이나 유용성 면에서 존재가치가 확실한 필수적 데이터이다.
  3.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이다.
  4. 자료의 중복을 근거로 한 데이터의 집합이다.
(정답률: 79%)
  • 정답은 "조직의 존재 목적이나 유용성 면에서 존재가치가 확실한 필수적 데이터이다." 이다. 데이터베이스는 조직의 존재 목적이나 유용성 면에서 존재가치가 확실한 필수적 데이터일 필요는 없다. 데이터베이스는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이며,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이며, 자료의 중복을 근거로 한 데이터의 집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What is the properties of relations incorrectly?

  1. There are duplicate tuples.
  2. Tuples are unordered.
  3. Attributes are unordered.
  4. All attribute values are atomic.
(정답률: 50%)
  • "Duplicate tuples"는 관계에서 중복된 튜플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두 개 이상의 튜플이 모든 속성 값이 동일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관계의 기본 속성 중 하나인 유일성을 위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관계의 속성을 잘못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수를 의미하는 것은?

  1. DEGREE
  2. SYNONYM
  3. COLLISION
  4. CARDINALITY
(정답률: 78%)
  • CARDINALITY는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릴레이션의 다른 속성들을 나타내는 용어들이지만, CARDINALITY는 릴레이션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ARDINALIT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과 같은 그래프에서 간선의 개수는?

  1. 2개
  2. 4개
  3. 6개
  4. 8개
(정답률: 81%)
  • 그래프의 간선은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이다. 위 그래프에서 노드는 총 5개이므로, 각 노드마다 최대 4개의 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선의 최대 개수는 5 * 4 / 2 = 10개이다. 하지만 위 그래프에서는 이미 4개의 간선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추가로 연결될 수 있는 간선은 6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과 같은 응용 분야에 가장 적합한 자료 구조는?

  1. 스택
  2. 데크
  3. 트리
(정답률: 66%)
  • 이 그림은 후위 표기법을 계산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후위 표기법은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놓는 표기법으로, 계산하기 쉽고 컴퓨터가 계산하기 용이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저장하고 꺼내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는 후입선출(LIFO) 구조인 스택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응용 분야에서 가장 적합한 자료 구조는 "스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규화 하는 프로젝션 과정 중 부분함수 종속제거는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가?

  1. 비정규 릴레이션 → 1NF
  2. 1NF → 2NF
  3. 2NF → 3NF
  4. 3NF → BCNF
(정답률: 74%)
  • 부분함수 종속제거는 "2NF → 3NF" 단계에 해당한다.

    "1NF → 2NF"이 정답인 이유는, 부분함수 종속제거는 2NF 이상의 정규형에서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릴레이션이 1NF가 되도록 분해한 후, 이를 기반으로 2NF로 정규화하는 과정에서 부분함수 종속을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버블 정렬을 이용한 오름차순 정렬시 다음 자료에 대한 3회전 후의 결과는?

  1. 3, 5, 6, 7, 9
  2. 6, 3, 5, 7, 9
  3. 6, 7, 3, 5, 9
  4. 9, 7, 6, 5, 3
(정답률: 75%)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수를 비교하여 큰 수를 뒤로 보내는 정렬 방법입니다.

    1회전: 첫 번째와 두 번째 수를 비교하여 6이 더 크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그 다음 두 번째와 세 번째 수를 비교하여 3이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그 다음 세 번째와 네 번째 수를 비교하여 5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그 다음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수를 비교하여 7이 더 크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결과는 "6, 3, 5, 7, 9" 입니다.

    2회전: 첫 번째와 두 번째 수를 비교하여 6이 더 크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그 다음 두 번째와 세 번째 수를 비교하여 7이 더 크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그 다음 세 번째와 네 번째 수를 비교하여 3이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그 다음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수를 비교하여 5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결과는 "6, 7, 3, 5, 9" 입니다.

    3회전: 첫 번째와 두 번째 수를 비교하여 9가 더 크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그 다음 두 번째와 세 번째 수를 비교하여 7이 더 크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그 다음 세 번째와 네 번째 수를 비교하여 6이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그 다음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수를 비교하여 5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결과는 "9, 7, 6, 5, 3" 입니다.

    따라서 3회전 후의 결과는 "3, 5, 6, 7, 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SQL 명령 중 DML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CREATE, ALTER, DROP
  2. CREATE, ALTER, SELECT
  3. CREATE, UPDATE, DROP
  4. DELETE, UPDATE, SELECT
(정답률: 65%)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은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로,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 조회하는 명령어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DELETE, UPDATE, SELECT"는 모두 DML에 해당하며, "CREATE, ALTER, DROP"은 DDL(Data Definition Language)에 해당합니다. DDL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명령어로, 테이블 생성, 수정, 삭제 등을 다룹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뷰(View)의 삭제시 사용되는 SQL 명령은?

  1. DELETE
  2. DROP
  3. OUT
  4. CLEAR
(정답률: 82%)
  • 정답은 "DROP"입니다.

    "DELETE"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SQL 명령이고, "OUT"은 출력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는 명령입니다. "CLEAR"는 콘솔 창을 지우는 명령입니다.

    반면에 "DROP"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뷰(View)를 삭제할 때에도 "DROP" 명령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트랜잭션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DURABILITY
  2. CONSISTENCY
  3. ATOMICITY
  4. INTEGRITY
(정답률: 52%)
  • 트랜잭션의 특성 중 "INTEGRITY"는 없습니다. "DURABILITY"는 트랜잭션이 완료되면 그 결과가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의미하며, "CONSISTENCY"는 트랜잭션이 실행되기 전과 실행된 후의 데이터 상태가 일관성 있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ATOMICITY"는 트랜잭션의 모든 작업이 전부 성공하거나 전부 실패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에 관한 다음 설명의 괄호 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기본 키
  2. 복합 키
  3. 후보 키
  4. 외래 키
(정답률: 63%)
  • 이미지에서 보이는 테이블 간의 관계에서 "고객번호"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를 참조하는 외래 키이다. 즉,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를 참조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제약 조건이다. 따라서 정답은 "외래 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그림과 같은 전가산기(Full Adder)의 압력이 A=1, B=0, C=1일 때 출력 So(합)와 Co(캐리)는?

  1. Co = 0, So = 0
  2. Co = 0, So = 1
  3. Co = 1, So = 0
  4. Co = 1, So = 1
(정답률: 53%)
  • 전가산기는 2개의 입력(A, B)과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캐리(C)를 받아 합(So)과 캐리(Co)를 출력합니다. 입력 A=1, B=0, C=1일 때, A와 B의 합은 1이고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캐리 C가 1이므로 입력 신호의 합과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캐리를 더한 값은 2가 됩니다. 하지만 전가산기는 2를 처리할 수 없으므로 캐리 출력은 1이 되고, 합 출력은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o = 1, So = 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동기 가변식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어기의 구현은 고정식에 비해 복잡하다.
  2. 수행시간이 현저한 차이를 낼 때 사용한다.
  3. 동기를 맞추기 위해 각 그룹 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고정 값이 되게 한다.
  4. 고정식에 비해 CPU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정답률: 58%)
  • 정답은 "동기를 맞추기 위해 각 그룹 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고정 값이 되게 한다." 이다. 이유는 동기 가변식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은 그룹 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각 그룹의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 값이 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각 그룹마다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마이크로오퍼레이션에서 명령(instruction)이 실행되기 위해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동작은?

  1. 유효 주소 계산
  2. 명령어 패치(instruction fetch)
  3. 오퍼랜드 패치(operand fetch)
  4. 주소 페치(Address fetch)
(정답률: 43%)
  • 명령어 패치는 CPU가 메모리에서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오는 과정으로,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에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동작입니다. CPU는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서 해당 명령어를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명령어 패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명령어 패치가 가장 먼저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명령 코드의 비트는 필드라고 불리는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 모드 필드(mode fiel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퍼랜드나 유효 번지가 결정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2. 메모리나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3. 수행하여야 할 동작을 나타낸다.
  4.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정답률: 40%)
  • 모드 필드는 오퍼랜드나 유효 번지가 결정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즉, 해당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오퍼랜드나 유효 번지가 메모리나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드 필드가 00이면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것이고, 01이면 메모리를 지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드 필드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오퍼랜드나 유효 번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주소 지정 방식 중 속도가 가장 빠른 방식은?

  1. Direct Addressing
  2. Immediate Addressing
  3. Indirect Addressing
  4. Calculate Addressing
(정답률: 43%)
  • 속도가 가장 빠른 주소 지정 방식은 "Immediate Addressing"입니다. 이는 명령어 자체에 값을 직접 포함시켜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메모리에서 값을 가져오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빠른 속도를 보장합니다. 다른 방식들은 메모리에서 값을 가져오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를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로세서와 주기억장치간의 작동속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기억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캐시 기억장치(cache memory)
  2. 인터리브된 기억장치(interleaved memory)
  3. 자기 버블 기억장치(magnetic bubble memory)
  4. 내용 지정 기억장치(content addressable memory)
(정답률: 43%)
  • 자기 버블 기억장치는 프로세서와 주기억장치간의 작동속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기억장치에 속하지만, 이는 기억장치에 속하지 않는다. 자기 버블 기억장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로, 캐시 기억장치와 인터리브된 기억장치는 모두 기억장치에 속하며, 내용 지정 기억장치는 특정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기억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A=01010101, B=10101010 일 때 A와 B의 불 곱(boolean product)은?

  1. 00000000
  2. 01010101
  3. 10101010
  4. 11111111
(정답률: 59%)
  • A와 B의 불 곱(boolean product)은 각 자리수를 곱한 결과이다. 0과 1을 곱하면 항상 0이 나오므로, A와 B의 각 자리수를 곱한 결과는 모두 0이 된다. 따라서 A와 B의 불 곱은 모든 자리수가 0인 "00000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입·출력 제어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PU에 의한 방식
  2. DMA 방식
  3. Buffer에 의한 방식
  4. 채널 제어기에 의한 방식
(정답률: 42%)
  • Buffer에 의한 방식은 입·출력 제어방식이 아니라 메모리 관리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Buffer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입·출력 작업에서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거나 버퍼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처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Buffer에 의한 방식은 입·출력 제어방식이 아니라 데이터 처리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동작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는?

  1. 누산기
  2. 인덱스 레지스터
  3. 플래그 레지스터
  4. RAM
(정답률: 74%)
  • 누산기는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누산기가 정답입니다. 인덱스 레지스터는 주소 계산에 사용되며, 플래그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합니다. RAM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시스템 버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제어 버스
  2. 데이터 버스
  3. 입출력 버스
  4. 주소 버스
(정답률: 39%)
  • 입출력 버스는 시스템 내부의 다른 부분과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버스이기 때문에 시스템 버스에 속하지 않는다. 다른 버스들은 시스템 내부의 다른 부분과 통신하는 버스이므로 시스템 버스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터럽트 처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터럽트의 원인에 따라 해당 인터럽트 처리루틴이 실행된다.
  2.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레지스터의 상태를 보관해야 한다.
  3. 인터럽트 요청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시작된다.
  4. 인터럽트 처리 중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 처리도 가능하다.
(정답률: 57%)
  • "인터럽트 요청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시작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터럽트 요청은 외부 장치나 프로그램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은 인터럽트 컨트롤러(IC)를 통해 중앙처리장치(CPU)에 전달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요청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럽트 컨트롤러로부터 시작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오류(error)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트는?

  1. sign bit
  2. parity bit
  3. check bit
  4. code bit
(정답률: 74%)
  •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하는 비트는 "패리티 비트"이다. 이는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 비트들의 합이 짝수 또는 홀수가 되도록 하는 비트로,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받아들일 때 해당 비트들의 합을 다시 계산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형 프로세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
  2. 많은 수의 명령어를 갖는다.
  3. 다양한 주소 모드를 지원한다.
  4. 레지스터와 메모리의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한다.
(정답률: 67%)
  • 정답: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

    CISC형 프로세서는 많은 수의 명령어를 갖고, 다양한 주소 모드를 지원하며, 레지스터와 메모리의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명령어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CISC형 프로세서는 명령어의 길이가 가변적이며, 명령어 하나가 여러 개의 사이클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이는 CISC형 프로세서가 복잡한 명령어를 지원하기 위해 명령어의 길이와 실행 시간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어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명령어 인출기
  2. 명령어 해독기
  3. 제어 메모리
  4. 순서 제어 논리장치
(정답률: 36%)
  • 명령어 인출기는 제어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컴퓨터 구조에서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인출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제어장치의 일부분이 아니라 메모리 계층 구조에 속합니다. 따라서 명령어 인출기는 CPU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CPU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비동기 데이터전송방식의 하나로서 데이터 전송 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송신과 수신의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서로의 동작을 확인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1. IOP
  2. DMA
  3. 스트로브(storbe) 제어
  4. Handshaking
(정답률: 57%)
  • Handshaking은 데이터 전송 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서로의 동작을 확인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송신측이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수신측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받아들이고, 수신측이 준비되었다는 신호를 보내면 송신측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op-code가 8비트일 때 생성될 수 있는 명령어의 수는?

  1. 27-1
  2. 27
  3. 28
  4. 28-1
(정답률: 55%)
  • 8비트는 2진수로 표현하면 8자리이고, 각 자리마다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8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수의 개수는 2의 8승, 즉 256개입니다. 이 중 하나는 사용하지 않는 값으로 예약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 가능한 op-code의 개수는 255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메모리의 내용을 어드레스 할 수 있는 메모리는?

  1. associative memory
  2. ROM
  3. RAM
  4. virtual memory
(정답률: 47%)
  • "associative memory"는 메모리의 내용을 어드레스 할 수 있는 유일한 메모리이다. 이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때, 데이터의 내용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메모리들은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가상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조기억장치와 같이 기억 용량이 큰 기억장치를 마치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개념이다.
  2. 프로그래머에 의해 쓰여진 주소를 가상 주소(virtual address)라 한다.
  3.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라 한다.
  4. 물리적 주소를 주소 공간(address space)이라 한다.
(정답률: 45%)
  • "물리적 주소를 주소 공간(address space)이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주소 공간(address space)은 가상 주소(virtual address)의 범위를 의미하며,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는 실제 메모리 상의 주소를 의미한다. 즉, 가상 주소는 프로그래머가 사용하는 추상적인 주소이고, 물리적 주소는 실제 메모리 상의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이항연산자가 아닌 것은?

  1. OR
  2. AND
  3. XOR
  4. Complement
(정답률: 75%)
  • Complement는 이항연산자가 아니라 단항연산자이다. 이항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를 말하며, Complement는 하나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이다. Complement는 비트를 반전시키는 연산을 수행하며, 비트 연산자 중에서는 NOT 연산자로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광디스크(Optical disc)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olid State Disc
  2. Blu-ray Disc
  3. DVD
  4. Compact Disc
(정답률: 51%)
  • 광디스크의 종류는 모두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Solid State Disc"는 레이저를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광디스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자료 흐름도의 구성 요소 중 시스템에서의 처리요소를 자료변환의 관점에서 표시하여 처리요소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내용으로 하며, 원으로 표시하는 것은?

  1. process
  2. data flow
  3. terminator
  4. data store
(정답률: 59%)
  • 자료 흐름도에서 처리요소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요소입니다. 이러한 처리과정에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이 이루어지므로, 처리요소는 데이터 변환의 관점에서 표시됩니다. 이를 원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처리과정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내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proces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객체 지향 설계에서 “information hiding”을 가능하게 해주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1. encapsulation
  2. abstraction
  3. inheritance
  4. polymorphism
(정답률: 55%)
  • "Encapsulation"은 객체의 내부 구현 세부사항을 외부로부터 숨기고, 오직 필요한 정보만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객체의 내부 구현이 변경되더라도 외부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information hiding"을 가능하게 해주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encapsula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시스템의 특성 중 항상 관련된 다른 시스템과 상호 의존 관계로 통합되는 특성을 의미하는 것은?

  1. 종합성
  2. 제어성
  3. 자동성
  4. 목적성
(정답률: 72%)
  • "종합성"은 시스템의 특성 중 다른 시스템과 상호 의존 관계로 통합되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 함께 동작하거나 다른 시스템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종합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체크 시스템의 종류 중 데이터를 처리하기 전에 입력 자료의 내용을 체크하는 방법으로 사전에 주어진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서 정량적인 데이터가 미리 정해 놓은 규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가를 체크하는 것은?

  1. Limit check
  2. Format check
  3. Matching check
  4. Balance check
(정답률: 63%)
  • "Limit check"는 입력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체크 방법이다. 따라서 입력된 데이터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오류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코드 설계시 주의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코드 추가가 가능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2. 컴퓨터 처리에 적합하도록 설계한다.
  3. 사용자가 취급하기 쉽도록 설계한다.
  4. 체계성이 있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75%)
  • 코드 추가가 가능하다면, 나중에 새로운 요구사항이나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기존 코드를 수정하거나 변경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드 설계시에는 코드 추가가 가능하지 않도록 설계하여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력 설계 단계 중 수집 담당자, 수집 방법과 경로, 수집 주기와 시기, 수집시의 오류 검사 방법과 관계되는 것은?

  1. 입력 정보 매체화 설계
  2. 입력 정보 투입 설계
  3. 입력 정보 내용 설계
  4. 입력 정보 수집 설계
(정답률: 69%)
  • 입력 정보 수집 설계는 입력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과 주기, 그리고 오류 검사 방법 등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수집 담당자와 수집 방법, 경로를 결정하고, 수집 주기와 시기를 정하며, 수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사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따라서 입력 정보 수집 설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입력 설계 단계 중 입력정보 매체화 설계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매체화 담당자 및 장소
  2. 레코드 길이 및 형식
  3. 입력 항목의 배열 순서 및 항목명
  4. 매체화시의 오류체크방법
(정답률: 38%)
  • 입력정보 매체화 설계시에는 매체화 담당자 및 장소, 레코드 길이 및 형식, 매체화시의 오류체크방법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입력 항목의 배열 순서 및 항목명은 입력정보 매체화 설계시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입력항목의 정의와 관련된 내용으로, 입력설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표준 처리 패턴 중 특정의 조건을 제시하여 그 조건에 부합되는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처리는?

  1. Distribution
  2. Extract
  3. Collate
  4. Generate
(정답률: 57%)
  • "Extract"는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처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패턴은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며, "Distribution"은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 "Collate"는 데이터를 모으는 것, "Generate"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정답은 "Extrac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규정, 수단, 순서, 방법, 루틴, 장치 등이 하나의 목적 하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작용이 정해진 방법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다.
  2. 상호 관련성이 없는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각각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조직한 임시적 결합체이다.
  3. 어떤 목적 또는 목표를 위하여 여러 기능 요소가 상호 관련하여 결합된 절차나 방법의 유기적 집합체이다.
  4. 컴퓨터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각종 입출력장치, 통신 회선 등의 유기적인 결합체이다.
(정답률: 69%)
  • "상호 관련성이 없는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각각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조직한 임시적 결합체이다."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상호 관련성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이 시스템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이들이 결합되어 임시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파일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ㄱ) → (ㄷ) → (ㄴ) → (ㄹ)
  3. (ㄹ) → (ㄱ) → (ㄷ) → (ㄴ)
  4. (ㄹ) → (ㄷ) → (ㄴ) → (ㄱ)
(정답률: 62%)
  • 정답은 "(ㄱ) → (ㄴ) → (ㄷ) → (ㄹ)"이다.

    (ㄱ)에서는 파일의 목적과 범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데이터와 기능을 파악하여 요구사항을 정리한다.

    (ㄴ)에서는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파일의 구조와 내용을 설계한다.

    (ㄷ)에서는 구체적인 구현 방법을 결정하고,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데이터 구조를 선택한다.

    (ㄹ)에서는 구현된 파일을 검증하고, 필요한 수정과 보완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순서로 파일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모듈 설계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적절한 크기로 설계한다.
  2.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3. 모듈은 다른 곳에서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표준화한다.
  4. 자료 추상화와 정보은닉의 성격은 배제한다.
(정답률: 70%)
  • 자료 추상화와 정보은닉은 모듈 설계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며, 이를 배제하면 모듈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모듈 설계시 자료 추상화와 정보은닉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 평가(System test)의 종류 중 다음 항목과 관계 되는 것은?

  1. 기능 평가
  2. 가격 평가
  3. 신뢰성 평가
  4. 성능 평가
(정답률: 61%)
  • 위 그림은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벤치마크 테스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시스템 평가 종류는 "성능 평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문서화(Documentation)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 방지
  2. 시스템 개발 절차에 대한 요식 행위
  3. 개발 후 시스템 유지보수의 용이
  4. 시스템의 개발 요령과 순서를 표준화하여 효율적인 작업 도모
(정답률: 73%)
  • 시스템 개발 절차에 대한 요식 행위는 문서화의 목적이 아닙니다. 문서화의 목적은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 방지, 개발 후 시스템 유지보수의 용이, 시스템의 개발 요령과 순서를 표준화하여 효율적인 작업 도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색인순차편성(ISAM) 파일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순차처리와 임의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2. 레코드의 추가 삭제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
  3. 어느 특정 레코드 접근시 인덱스에 의한 처리로 직접 편성 파일에 비해서 접근 시간이 빠르다.
  4. 오버플로우 되는 레코드가 많아지면 사용 중에 파일을 재편성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정답률: 31%)
  • 정답은 "오버플로우 되는 레코드가 많아지면 사용 중에 파일을 재편성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입니다.

    ISAM 파일은 인덱스를 사용하여 레코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순차처리와 임의처리가 모두 가능합니다. 또한 레코드의 추가 삭제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어서 파일의 크기가 커져도 관리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오버플로우 되는 레코드가 많아지면 인덱스의 효율이 떨어져서 파일을 재편성해야 합니다. 이는 파일의 크기가 커지면서 처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과 같은 코드 부여 방법의 종류는?

  1. Group Classification Code
  2. Block Code
  3. Letter Type Code
  4. Mnemonic Code
(정답률: 57%)
  • 이 코드 부여 방법은 "Mnemonic Code"이다. 이유는 코드가 단어나 구문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억하기 쉽고, 인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코드 부여 방법들은 숫자나 문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억하기 어렵거나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어떤 종류의 코드 오류(error)인가?

  1. Transcription error
  2. Transposition error
  3. Double Transposition error
  4. Random error
(정답률: 47%)
  • 이 오류는 "Double Transposition error"이다. 이유는 암호화 과정에서 평문의 문자들이 두 번의 전치(transposition) 과정을 거쳐 암호문으로 변환되었기 때문이다. 전치 과정에서 문자들의 위치가 바뀌어서 암호문이 생성되기 때문에 이를 복호화할 때는 전치 과정을 역순으로 두 번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급여관리 등과 같이 변동 상황이 크지 않고 기간별로 일괄처리(Batch Processing)를 주로 하는 경우에 적합한 파일의 종류는?

  1. Indexed Sequential File
  2. Random File
  3. Inverted File
  4. Sequential File
(정답률: 47%)
  • 적합한 파일의 종류는 "Sequential File"이다. 이는 데이터가 일정한 순서로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의 추가, 수정, 삭제가 적은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일괄처리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반면에 인덱스나 랜덤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파일 종류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세스 전개의 사상을 통일한다.
  2. 분류 처리는 가능한 최대화한다.
  3. 하드웨어의 기기 구성, 처리 성능을 고려한다.
  4.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의 효율성을 고려한다.
(정답률: 65%)
  • 정답: "분류 처리는 가능한 최대화한다."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 사항으로는 다양한 요소들이 있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분류 처리는 가능한 최대화한다." 입니다. 이유는 프로세스 설계에서 분류 처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최대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분류 처리를 최대화하면 다른 요소들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류 처리는 가능한 최대화하지만, 다른 요소들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두 모듈이 동일한 자료구조를 조회하는 경우의 결합도이며, 자료구조의 어떠한 변화 즉 포맷이나 구조의 변화는 그것을 조회하는 모든 모듈 및 변화되는 필드를 실제로 조회하지 않는 모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은?

  1. 자료 결합도
  2. 스템프 결합도
  3. 제어 결합도
  4. 외부 결합도
(정답률: 46%)
  • 스템프 결합도는 두 모듈이 동일한 자료구조를 조회하는 경우의 결합도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자료구조의 변화가 발생하면 그것을 조회하는 모든 모듈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모듈 간의 결합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스템프 결합도는 낮은 결합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해야 할 종류의 결합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출력 설계 단계 중 출력 정보 이용 설계시 검토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용자 및 이용 경로
  2. 기밀 보호 여부
  3. 보존 기간
  4. 분배 책임자
(정답률: 57%)
  • 출력 정보 이용 설계시 검토사항으로 "분배 책임자"는 옳지 않은 것이다. 출력 정보 이용 설계시 검토사항은 출력물의 이용자 및 이용 경로, 기밀 보호 여부, 보존 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출력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분배 책임자"는 출력물을 분배하는 책임자를 지정하는 것으로, 출력 정보 이용 설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분배 책임자"는 출력 정보 이용 설계시 검토사항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디스크에 헤드가 53 트랙을 처리하고 50 트랙으로 이동해 왔다. SCAN 방식을 사용할 경우, 다음 디스크 큐에서 가장 먼저 처리되는 트랙은?(단, 가장 안쪽 트랙 0, 가장 바깥쪽 트랙 200)

  1. 0
  2. 37
  3. 60
  4. 200
(정답률: 45%)
  • SCAN 방식은 디스크 헤드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방향에 있는 모든 트랙을 처리한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해당 방향에 있는 모든 트랙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현재 헤드가 50 트랙에 위치해 있으므로 SCAN 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헤드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60, 100, 120, 140, 199, 200 트랙을 처리한 후,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37 트랙을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 디스크 큐에서 가장 먼저 처리되는 트랙은 "3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스케줄링 기법에서 가변적 우선 순위는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ㄱ)에 알맞은 내용은?

  1. 대기 시간
  2. (대기 시간 - 서비스 시간)
  3. 서비스 시간
  4. (서비스 시간 - 대기 시간)
(정답률: 71%)
  • HRN 스케줄링 기법에서 가변적 우선 순위는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의 비율로 계산된다. 즉, (대기 시간 / 서비스 시간)이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따라서 서비스 시간이 길수록 우선순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서비스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UNIX 시스템의 쉘(shel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입력시킨 명령어 라인을 읽어 필요한 시스템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렁어 해석기이다.
  2.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3. 공용 쉘이나 사용자 자신이 만든 쉘을 사용할 수 있다.
  4. 쉘은 커널의 일부분으로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대화를 가능케 해준다.
(정답률: 44%)
  • 쉘은 커널의 일부분으로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대화를 가능케 해준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쉘은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시스템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하지만 쉘은 커널과는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동작하며,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쉘도 함께 실행되어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계 구역에서 프로세스 수행은 가능한 빨리 끝내야 한다.
  2.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임계 구역이라고 한다.
  3. 임계 구역에서는 프로세스가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임계 구역에서는 프로세스들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정답률: 64%)
  •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임계 구역이라고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임계 구역은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해야 하는 코드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페이지와 같은 메모리 관련 개념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분산처리 운영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는 각 컴퓨터의 위치를 몰라도 자원 사용이 가능하다.
  2. 시스템의 점진적 확장이 용이하다.
  3.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시스템 설계가 간단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이 쉽다.
  4. 연산속도, 신뢰성, 사용 가능도가 향상된다.
(정답률: 62%)
  • 분산처리 운영 시스템은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시스템 설계가 복잡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이 어렵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분산처리 운영 시스템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며 작동하기 때문에 시스템 설계와 소프트웨어 개발이 중앙 집중형 시스템보다 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병행 프로세스의 상호배제 구현 기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커 알고리즘
  2. 피터슨 알고리즘
  3. Test_And_Set 명령어 기법
  4. 은행원 알고리즘
(정답률: 60%)
  • 은행원 알고리즘은 다른 기법들과 달리 프로세스들이 필요한 자원을 미리 예약하고, 예약된 자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상호배제를 구현한다. 이를 통해 교착상태를 방지하고, 자원의 효율적인 할당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기법들과 비교하여 구현이 복잡하고 오버헤드가 크지만, 안정적인 상호배제를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RR(Round Robin)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
  2. 시간 할당량이 클 경우 FCFS 기법과 같아지고, 시간 할당량이 작을 경우 문맥 교환 및 오버헤드가 자주 발생될 수 있다.
  3.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응답시간을 제공해주는 대화식 시스템에 유용하다.
  4. 프로세스에게 이미 할당된 프로세서를 강제로 빼앗을 수 없고, 그 프로세스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 스케줄링 해야 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정답률: 52%)
  • RR 방식은 프로세스에게 이미 할당된 프로세서를 강제로 빼앗을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른 프로세스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프로세스에게 이미 할당된 프로세서를 강제로 빼앗을 수 없고, 그 프로세스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 스케줄링 해야 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사용자의 신원을 운영체제가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불법 침입자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보안 유지 방식은?

  1. 외부 보안
  2. 운용 보안
  3.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4. 내부 보안
(정답률: 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불법 침입자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생체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시스템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불법 침입을 방지하고, 시스템 보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자원보호 기법 중 접근 제어 행렬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영역
  2. 객체
  3. 권한
  4. 시간
(정답률: 58%)
  • 시간은 접근 제어 행렬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접근 제어 행렬은 보호 대상인 객체와 보호 주체인 주체 간의 접근 권한을 표시하는 행렬입니다. 이를 위해 객체, 주체, 권한 등의 정보가 필요하지만 시간은 접근 권한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접근 제어 행렬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에서 작업 도착 시간과 CPU 사용시간은 다음 표와 같다. 모든 작업들의 평균 대기 시간은 얼마인가?

  1. 15
  2. 17
  3. 24
  4. 25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운영체제의 역할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구현
  2.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자원 스케줄링
  3. 목적 프로그램과 로드 모듈의 연결
  4. 입, 출력을 위한 편의 제공
(정답률: 52%)
  • 운영체제의 주요 역할은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자원 스케줄링과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구현, 입, 출력을 위한 편의 제공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목적 프로그램과 로드 모듈의 연결"은 운영체제가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이는 컴파일러가 생성한 목적 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 등을 로드 모듈로 변환하고, 이들을 연결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운영체제는 링커(Linker)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목적 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을 연결하고,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목적 프로그램과 로드 모듈의 연결"은 운영체제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뢰성 향상
  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3. 처리량의 향상
  4. 응답시간 증가
(정답률: 75%)
  • 운영체제의 목적은 응답시간 증가가 아닙니다. 오히려 운영체제는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응답시간은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운영체제의 목적은 단순히 응답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디렉토리 구조는?

  1. 2단계 디렉토리
  2.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3. 트리 구조 디렉토리
  4. 일반 그래프 디렉토리
(정답률: 49%)
  • 정답은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입니다. 이유는 디렉토리 간에 순환하는 경로가 없기 때문입니다. 즉, 모든 디렉토리는 한 개 이상의 부모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지만, 어떤 디렉토리도 그 부모 디렉토리가 자신의 하위 디렉토리가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구조를 비순환 그래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프로세스의 정의로 거리가 먼 것은?

  1.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2. 실행 중인 프로그램
  3. 프로시저가 활동 중인 것
  4. 프로세스 제어 블록의 존재로서 명시되는 것
(정답률: 59%)
  •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다른 프로세스나 시스템 자원과 상호작용하며 일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주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세스가 단순히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프로시저가 활동 중인 것이 아니라, 다른 프로세스나 시스템 자원과 상호작용하며 일을 처리하는 주체임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또한, 프로세스 제어 블록의 존재로서 명시되는 것은 프로세스가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되는 것임을 나타내며, 이는 프로세스가 운영체제와 상호작용하며 자원을 할당받고 해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과 같이 주기억장치의 공백이 있다고 할 때, Best Fit 배치 방법은 13K 크기의 프로그램을 어느 영역에 할당하는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74%)
  • Best Fit 배치 방법은 주어진 공간 중에서 프로그램 크기와 가장 근접한 공간을 찾아 할당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3K 크기의 프로그램은 12K와 16K 사이의 공간에 할당되어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공간인 12K와 가장 근접한 크기인 13K를 가진 프로그램을 할당할 수 있는 "C" 영역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페이지 교체 기법 중 시간 오버헤드를 줄이는 기법으로서 참조 비트(referenced bit)와 변형 비트(modified bit)를 필요로 하는 방법은?

  1. FIFO
  2. LRU
  3. LFU
  4. NUR
(정답률: 58%)
  •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필요로 하는 페이지 교체 기법은 NUR(Not Used Recently)이다. 이 기법은 페이지의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이용하여 페이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시간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FIFO는 가장 오래된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LRU는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LFU는 가장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UNIX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 작업(multi-tasking)을 지원하지 않는다.
  2. 대화식 시분할 운영체제이다.
  3. 두 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4. 대부분 C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61%)
  • UNIX는 다중 작업(multi-tasking)을 지원한다. 다중 작업은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하고, 각각의 프로세스가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말한다. UNIX는 이러한 다중 작업 기능을 지원하여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16개의 CPU로 구성된 하이퍼큐브에서 각 CPU는 몇 개의 연결점을 갖는가?

  1. 2
  2. 4
  3. 128
  4. 256
(정답률: 59%)
  • 하이퍼큐브는 16개의 CPU가 4차원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CPU는 4개의 연결점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동시에 여러 개의 작업이 수행되는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또는 가상기억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로세스가 작업 수행 과정에서 수행하는 기억장치 접근에서 지나치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pooling
  2. Interleaving
  3. Swapping
  4. Thrashing
(정답률: 64%)
  • 정답: Thrashing

    설명: Thrashing은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의 선택이 잘못되거나,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 프레임 수가 부족하여 페이지 폴트가 지나치게 발생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CPU는 페이지 교체와 페이지 폴트 처리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3페이지가 들어 갈 수 있는 기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가 참조될 때 LRU 기법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기억공간에 남는 페이지는?(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있다고 가정한다.)

  1. 2, 1, 3
  2. 1, 2, 4
  3. 2, 3, 4
  4. 1, 3, 4
(정답률: 48%)
  • LRU 기법은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 순서에 따라 기억장치에 있는 페이지들의 참조 시간을 업데이트하고, 가장 참조 시간이 오래된 페이지를 교체한다.

    초기에는 모든 페이지가 기억장치에 없으므로, 참조되는 페이지를 차례로 기억장치에 넣는다. 따라서 참조 순서대로 2, 1, 3 페이지가 기억장치에 차례로 들어간다.

    다음으로 4 페이지가 참조되는데, 기억장치에는 이미 2, 1, 3 페이지가 차있으므로 LRU 기법에 따라 가장 오래된 페이지인 2 페이지를 교체한다. 따라서 기억장치에는 1, 3, 4 페이지가 남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1, 3, 4"이다.

    "1, 2, 4"는 2 페이지가 4 페이지보다 먼저 참조되었지만, 2 페이지가 1 페이지보다 오래된 페이지이므로 2 페이지가 교체된다.

    "2, 3, 4"는 1 페이지가 2 페이지보다 먼저 참조되었지만, 1 페이지가 2 페이지보다 오래된 페이지이므로 1 페이지가 교체된다.

    "1, 3, 4"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다음 중 광통신 시스템에서 광 검출기로 적합한 것은?

  1. LD(Laser Diode)
  2. LED(Light Emitting Diode)
  3. ZE(Zender Diode)
  4. APD(Avalanche Photo Diode)
(정답률: 31%)
  • APD(Avalanche Photo Diode)는 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 검출기로, 다른 보기들과 달리 높은 감도와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APD가 광 전자를 증폭시키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인데, 이 과정은 광 신호를 더욱 강하게 만들어주어 높은 감도와 빠른 응답 속도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광통신 시스템에서는 APD가 가장 적합한 광 검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프로토콜 전송방식 중 특정한 플래그를 메시지의 처음과 끝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은?

  1. 비트 방식
  2. 문자 방식
  3. 바이트 방식
  4. 워드 방식
(정답률: 45%)
  • 비트 방식은 메시지의 처음과 끝에 특정한 비트 패턴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패턴을 검사하여 오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메시지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 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HDLC 프레임 구조 중 주소영역에서 모든 스테이션에게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값으로 맞는 것은?

  1. 00000000
  2. 00001111
  3. 11110000
  4. 11111111
(정답률: 61%)
  • HDLC 프로토콜에서 주소영역은 8비트로 구성되며, 첫 번째 비트는 항상 1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 비트는 전체 주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모든 스테이션에게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이 비트를 1로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이 조건을 만족하는 값은 "1111111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정보통신 시스템 상에서 정보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DTE
  2. DSU
  3. CPU
  4. CCU
(정답률: 58%)
  •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 처리 장치를 의미합니다. CPU는 정보 처리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며, 정보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는 아닙니다. 따라서 CPU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정보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는 DTE(Data Terminal Equipment), DSU(Digital Service Unit), CCU(Channel Control Unit)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HDLC는 링크 구성 방식에 따라 세 가지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BM
  2. NRM
  3. ARM
  4. ABM
(정답률: 46%)
  • HDLC는 세 가지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Normal Response Mode (NRM), Asynchronous Response Mode (ARM), Asynchronous Balanced Mode (ABM)이다. SBM은 HDLC에서 사용되는 동작 모드가 아니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전송 에러제어 방식에서 에러검출과 거리가 먼 것은?

  1. 패리티검사
  2. 해밍 코드
  3. CRC
  4. 아스키 코드
(정답률: 64%)
  • 아스키 코드는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전송 에러 제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반면에 패리티 검사, 해밍 코드, CRC는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전송 에러 제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스키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해 나가다가 NAK를 수신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오류제어 방식은?

  1. Go-back-N ARQ
  2. Selective-Repeat ARQ
  3. Stop-and-Wait ARQ
  4. Forward Error Connection
(정답률: 68%)
  • Go-back-N ARQ는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다가 NAK를 수신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오류제어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송된 모든 프레임을 버퍼에 저장하고, 수신측에서 NAK를 보내면 해당 프레임부터 다시 전송을 시작한다. 이 방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구현이 쉬우며, 전송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Go-back-N ARQ가 정답이다. Selective-Repeat ARQ는 NAK를 수신한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방식이며, Stop-and-Wait ARQ는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ACK를 받은 후에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Forward Error Connection은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기술로, ARQ 방식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 기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TOKEN-BUS
  2. FDMA
  3. CSMA/CD
  4. TOKEN-RING
(정답률: 59%)
  •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 기법 중에서 FDMA는 사용되지 않는 기법입니다. FDMA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술로, 무선 통신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LAN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전송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시간 슬롯(time slot)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파장 분할 다중화
  3.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4.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정답률: 63%)
  •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전송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시간 슬롯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입니다. 이는 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채널에 주기적으로 할당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파수, 파장, 통계적인 방식으로 다중화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나, 한 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1. 단방향방식
  2. 반이중방식
  3. 양방향방식
  4. 전이중방식
(정답률: 72%)
  • 반이중방식은 양쪽 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한 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이는 전이중방식과는 달리 동시에 양쪽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무전기에서 상대방이 말할 때는 듣기만 하고, 자신이 말할 때는 상대방이 듣기만 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통신 회선을 절약할 수 있어서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전송 신호에 발생되는 잡음(noise) 중 번개나 통신시스템 장애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큰 에너지를 갖는 잡음(noise)은?

  1. 열 잡음
  2. 충격성 잡음
  3. 상호변조 잡음
  4. 누화 잡음
(정답률: 67%)
  • 충격성 잡음은 번개나 폭발 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큰 에너지를 갖는 잡음을 말합니다. 이러한 잡음은 전송 신호에 큰 영향을 미치며, 통신 시스템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격성 잡음은 통신 시스템에서 가장 위험한 잡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중 오류제어, 동기 및 흐름제어 등의 각종 제어 절차에 관한 정의는?

  1. 구문(Syntax)
  2. 의미(Semantics)
  3. 타이밍(Timing)
  4. 코딩(Cording)
(정답률: 29%)
  • 오류제어, 동기 및 흐름제어 등의 제어 절차는 프로토콜의 의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의미(Semantics)"가 정답이다. 구문(Syntax)은 프로토콜의 문법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고, 타이밍(Timing)은 프로토콜의 시간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코딩(Cording)은 프로토콜의 실제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고정된 대역폭 전송방식이다.
  2. 축적 후 전송방식에 해당한다.
  3. 패킷을 이용한 전송방식이다.
  4. 호출된 자국이 교신 중일 때 busy 신호가 없다.
(정답률: 46%)
  • 정답은 "고정된 대역폭 전송방식이다." 이다. 회선교환 방식은 통신을 위해 미리 고정된 대역폭을 할당하고, 이를 유지하면서 통신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전송 중에 대역폭이 바뀌지 않으며, 전송 중에 다른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LAN의 네트워크 형상(Topology)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트리형
  2. 버스형
  3. 링형
  4. 교환형
(정답률: 67%)
  • 교환형은 LAN의 네트워크 형상(Topology)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교환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장치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교환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환형은 네트워크 형상(Topology)이 아닌 네트워크 구성 방식(architecture)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뉴미디어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방향성
  2. 네트워크화
  3. 분산적
  4. 특정 다수자
(정답률: 67%)
  • 뉴미디어는 네트워크화되어 있고 분산적인 특징을 가지며, 특정 다수자들이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뉴미디어는 정보의 전달이 단방향적인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이 직접적인 참여와 상호작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단방향성"이 뉴미디어의 가장 거리가 먼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또 이러한 디지털 형태를 원래의 아날로그 데이터로 복구시키는 것은?

  1. CCU
  2. DSU
  3. CODEC
  4. DTE
(정답률: 55%)
  •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코덱의 인코딩 과정"이라고 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복원하는 것을 "코덱의 디코딩 과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술을 총칭하여 "코덱"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COD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정보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전송회선
  2. 단말장치
  3. 주변장치
  4. 통신제어장치
(정답률: 56%)
  • 주변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주변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들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스캐너 등이 주변장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OSI-7 계층 중 통신망을 통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 담당을 하는 계층은?

  1. 데이터 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물리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55%)
  • 네트워크 계층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계층에서는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며,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 기능도 수행합니다. 따라서 통신망을 통해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통화 중에 이동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다른 셀의 통화 채널로 전환해 줌으로써 통화가 지속되게 하는 기능은?

  1. 핸드오프
  2. 핸드쉐이크
  3. 셀의 분할
  4. 페이딩
(정답률: 58%)
  • 핸드오프는 이동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다른 셀의 통화 채널로 전환해 주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통화가 지속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데이터 교환방식 중 데이터를 패킷단위로 전송하는 것은?

  1. 회선교환
  2. 메시지교환
  3. 패킷교환
  4. 축적교환
(정답률: 73%)
  • 패킷교환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부분이 손실되어도 전체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지 않고 손실된 부분만 재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 회선교환보다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패킷교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