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정보처리산업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수를 의미하는 것은?

  1. DEGREE
  2. SYNONYM
  3. COLLISION
  4. CARDINALITY
(정답률: 78%)
  • CARDINALITY는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릴레이션의 다른 속성들을 나타내는 용어들이지만, CARDINALITY는 릴레이션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ARDINALIT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트리를 Post-order로 운행할 때 노드 C는 몇 번째로 검사되는가?

  1. 2번째
  2. 3번째
  3. 4번째
  4. 5번째
(정답률: 82%)
  • Post-order 운행은 왼쪽 서브트리, 오른쪽 서브트리, 루트 노드 순으로 운행하므로, 노드 C는 왼쪽 서브트리인 노드 A와 노드 B를 먼저 검사한 후, 오른쪽 서브트리인 노드 E와 노드 D를 검사한 후, 마지막으로 루트 노드인 노드 F를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노드 C는 "3번째"로 검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중위 표기(Infix)로 표현된 다음 산술문을 후위표기(Postfix)로 옳게 변환한 것은?

  1. ABC**/DE+*AC-*
  2. ABC**/DE*+AC*-
  3. **/ABC*-DE*-AC
  4. **/ABC+*DE-*AC
(정답률: 69%)
  • 정답은 "ABC**/DE*+AC*-"이다.

    1. A*B/C : A와 B를 곱하고 C로 나눈다. -> AB*C/
    2. D*E+C : D와 E를 곱하고 C와 더한다. -> DE*C+
    3. A*C-D*E : A와 C를 곱하고 D와 E를 곱한 결과를 뺀다. -> AC*DE*-

    따라서, ABC**/DE*+AC*-이 정답이다.

    보기에서 다른 후위표기식들은 연산자 우선순위를 잘못 적용하거나, 연산자의 순서가 잘못되어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표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Access Method file)의 인덱스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master 인덱스
  2. prime 인덱스
  3. cylinder 인덱스
  4. track 인덱스
(정답률: 74%)
  •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Access Method file)의 인덱스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prime 인덱스"입니다.

    "Master 인덱스"는 모든 인덱스의 최상위 노드로, 모든 인덱스의 시작점이 됩니다.

    "Cylinder 인덱스"는 디스크의 실린더 단위로 인덱싱하는 방법입니다.

    "Track 인덱스"는 디스크의 트랙 단위로 인덱싱하는 방법입니다.

    반면, "Prime 인덱스"는 색인 순차 파일에서 데이터 레코드를 찾기 위한 핵심 인덱스입니다. 이 인덱스는 데이터 레코드의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 레코드를 찾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Prime 인덱스"는 색인 순차 파일에서 가장 중요한 인덱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테이블, 뷰,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접근권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2.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되는 내용을 메타데이터라고도 한다.
  3.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 가지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4. 시스템 테이블이므로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
(정답률: 85%)
  • "시스템 테이블이므로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시스템 카탈로그는 데이터베이스 내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특별한 테이블이지만, 일반 사용자도 적절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면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사 테이블의 주소 필드에 대한 데이터 타입을 VARCHAR(10)으로 정의하였으나, 필드 길이가 부족하여 20바이트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에 적합한 SQL 명령은?

  1. MODIFY FIELD
  2. MODIFY TABLE
  3. ALTER TABLE
  4. ADD TABLE
(정답률: 68%)
  • 정답은 "ALTER TABLE"이다.

    "ALTER TABLE"은 이미 존재하는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SQL 명령어이다. 따라서 인사 테이블의 주소 필드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ALTER TABLE"을 사용해야 한다. "MODIFY FIELD"는 필드 자체를 수정하는 명령어이고, "MODIFY TABLE"은 테이블 자체를 수정하는 명령어이다. "ADD TABLE"은 새로운 테이블을 추가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셋 이상의 기본 테이블에서 유도된 실제 테이블이다.
  2. 시스템 내부의 물리적 표현으로 구현된다.
  3. 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 수 없다.
  4.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한다.
(정답률: 63%)
  • 뷰는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이 아니라, 셋 이상의 기본 테이블에서 유도된 가상의 테이블입니다. 이러한 뷰는 시스템 내부의 물리적 표현으로 구현되며, 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뷰는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합니다. 즉, 뷰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알 필요 없이 필요한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어도 뷰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형 자료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리스트(list)
  2. 큐(queue)
  3. 데큐(deque)
  4. 그래프(graph)
(정답률: 83%)
  • 그래프는 비선형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선형 자료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그래프는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로, 각 정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래프는 선형적인 구조가 아니며,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널(NULL) 값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부재(missing) 정보를 의미한다.
  2. 알려지지 않은 값을 의미한다.
  3. 영(zero)의 값을 의미한다.
  4. 널(NULL) 값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정답률: 85%)
  • 영(zero)의 값을 의미한다는 것은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널(NULL) 값은 아무 값도 가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부재(missing) 정보나 알려지지 않은 값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널(NULL) 값은 데이터베이스나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적절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 값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논리적 설계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변환
  2.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3. 개념 스키마의 평가 및 정재
  4. 접근 경로 설계
(정답률: 56%)
  •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데이터 모델링을 통해 개념 스키마를 평가하고 정제하며,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고 트랜잭션 인터페이스를 설계합니다. 하지만 접근 경로 설계는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으로, 논리적 설계 단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접근 경로 설계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 파일의 물리적 배치 방법을 결정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이진탐색(Binary Search)을 하고자 할 때 구비조건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자료가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2. 자료의 개수가 항상 짝수이어야 한다.
  3. 자료의 개수가 항상 홀수이어야 한다.
  4. 자료가 모두 정수로만 구성되어야 한다.
(정답률: 76%)
  • 이진탐색은 자료를 반으로 나누어 탐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자료가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어야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자료가 정렬되어 있지 않다면, 원하는 값을 찾을 수 없거나 잘못된 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진탐색을 하기 전에는 반드시 자료를 정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개념 스키마 모델링 및 트랜잭션 모델링과 관계되는 것은?

  1. 개념적 설계
  2. 논리적 설계
  3. 물리적 설계
  4. 요구조건 분석
(정답률: 64%)
  • 개념 스키마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첫 번째 단계로,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구조와 개념적 모델을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업무 프로세스와 개체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개념적 모델을 작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트랜잭션 모델링도 함께 이루어지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을 분석하여 트랜잭션의 정의와 특성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개념 스키마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개념적 설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영문의 ( ) 안에 적합한 단어는?

  1. stack
  2. queue
  3. graph
  4. tree
(정답률: 61%)
  • 이 그림은 선입선출(FIFO) 구조를 나타내는 큐(queue)를 보여줍니다. 큐는 데이터를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구조이며, 이 그림에서는 1, 2, 3, 4, 5 순서대로 데이터가 들어오고 처리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queu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 B, C, D의 순서로 정해진 입력 자료를 스택에 입력하였다가 출력한 결과가 될 수 없는 것은? (단, 왼쪽부터 먼저 출력된 순서대로 나열하였다.)

  1. A, D, C, B
  2. A, B, C, D
  3. D, C, B, A
  4. B, D, A, C
(정답률: 71%)
  • 정답은 "B, D, A, C"이다. 이유는 스택의 특성상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것이 가장 먼저 출력되어야 하는데, "B"가 "D"보다 먼저 입력되었기 때문에 "B" 다음에 "D"가 출력될 수 없다. 따라서 "B, D, A, C"는 스택으로 출력될 수 없는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에 300인 학생의 학년을 3으로 수정하기 위한 SQL 질의어는?

  1. UPDATE 학년=3 FROM 학생 WHERE 학번=300;
  2. UPDATE 학생 SET 학년=3 WHERE 학번=300;
  3. UPDATE FROM 학생 SET 학년=3 WHERE 학번=300;
  4. UPDATE 학년=3 SET 학생 WHEN 학번=300;
(정답률: 72%)
  • 정답: "UPDATE 학생 SET 학년=3 WHERE 학번=300;"

    해설: UPDATE 문의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UPDATE 테이블명 SET 열1=값1, 열2=값2, ... WHERE 조건;

    따라서,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이 300인 학생의 학년을 3으로 수정하려면 "SET 학년=3"을 사용하고 "WHERE 학번=300"을 사용하여 조건을 지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UPDATE 학생 SET 학년=3 WHERE 학번=300;"입니다. 다른 보기는 문법적으로 잘못된 구문이거나 조건이 잘못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과 같은 그래프에서 간선의 개수는?

  1. 2개
  2. 4개
  3. 6개
  4. 8개
(정답률: 81%)
  • 그래프의 간선은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이다. 위 그래프에서 노드는 총 5개이므로, 각 노드마다 최대 4개의 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선의 최대 개수는 5*4=20개이다. 그러나 위 그래프에서는 이미 7개의 간선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남은 간선의 개수는 20-7=13개이다. 이 중에 이미 연결된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이 7개 있으므로, 남은 간선의 개수는 13-7=6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버블 정렬을 이용한 오름차순 정렬시 다음 자료에 대한 1회전 수행 결과는?

  1. 6, 3, 5, 7, 9
  2. 6, 7, 3, 5, 9
  3. 3, 5, 6, 7, 9
  4. 6, 9, 7, 3, 5
(정답률: 79%)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정렬 방법입니다.

    1회전에서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냅니다. 이런 식으로 마지막 원소까지 비교하면 가장 큰 값이 맨 뒤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1회전 후의 결과는 "6, 7, 3, 5, 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SQL의 데이터 조작문(DML)에 해당하는 것은?

  1. CREATE
  2. INSERT
  3. ALTER
  4. DROP
(정답률: 72%)
  • SQL의 데이터 조작문(DML)은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CREATE"는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DDL(데이터 정의 언어)에 해당하며, "ALTER"와 "DROP"은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DDL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INSERT"가 SQL의 데이터 조작문(DML)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확장 ER모델에서 요소 객체들을 가지고 상위 레벨의 복합 개체를 구축하는 추상화 개념은?

  1. 개념화
  2. 집단화
  3. 영역화
  4. 캡슐화
(정답률: 41%)
  • 집단화는 여러 개체를 하나의 복합 개체로 묶는 추상화 개념입니다. 확장 ER모델에서 요소 객체들을 가지고 상위 레벨의 복합 개체를 구축할 때, 이러한 집단화 개념을 사용하여 여러 개체를 하나의 개체로 묶어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집단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렬에서 최악의 상황인 경우에 수행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1. 퀵 정렬
  2. 버블 정렬
  3. 선택 정렬
  4. 힙 정렬
(정답률: 63%)
  • 힙 정렬은 최악의 경우에도 O(nlogn)의 시간 복잡도를 보장하기 때문에, 다른 정렬 알고리즘들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이는 힙 정렬이 힙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정렬을 수행하기 때문인데, 힙 자료구조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정렬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에도 빠른 수행 속도를 보장하는 힙 정렬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어떤 컴퓨터의 메모리 용량이 4K 워드이고, 워드 길이가 16비트일 때 AR(주소 레지스터)와 DR(데이터 레지스터)는 몇 비트로 구성하여야 하는가?

  1. AR: 4, DR: 16
  2. AR: 12, DR: 32
  3. AR: 16, DR: 65536
  4. AR: 12, DR: 16
(정답률: 58%)
  • 메모리 용량이 4K 워드이므로, 총 주소 개수는 4K개이며, 이를 2진수로 표현하면 12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AR은 12비트로 구성되어야 한다. 워드 길이가 16비트이므로 DR은 16비트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AR: 12, DR: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비수치 데이터에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연산은?

  1. OR
  2. AND
  3. NOR
  4. EX OR
(정답률: 64%)
  • AND 연산은 두 개의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연산이다. 따라서 비수치 데이터에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연산으로는 AND 연산이 적합하다. 마스크와 비교 대상 데이터를 AND 연산하면 마스크에서 1로 표시된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0으로 만들어 제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I/O채널(channe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MA의 확장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2. multiplexer 채널은 고속 입출력 장치용이고, selector 채널은 저속 입출력 장치용이다.
  3. I/O 장치는 제어장치를 통해 채널과 연결된다.
  4. I/O 채널은 CPU의 I/O 명령을 수행하지 않고 I/O 채널 내의 특수목적 처리명령을 수행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multiplexer 채널은 고속 입출력 장치용이고, selector 채널은 저속 입출력 장치용이다."가 아니다.

    I/O 채널은 CPU의 I/O 명령을 수행하지 않고 I/O 채널 내의 특수목적 처리명령을 수행한다. 이는 맞는 설명이다.

    I/O 장치는 제어장치를 통해 채널과 연결되며, DMA의 확장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도 맞는다.

    하지만 multiplexer 채널과 selector 채널은 입출력 장치의 속도와는 관계없이, 입출력 장치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채널의 종류이다. 따라서 "multiplexer 채널은 고속 입출력 장치용이고, selector 채널은 저속 입출력 장치용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캐시 메모리에서 사용되지 않는 매핑 방법은?

  1. direct mapping
  2. database mapping
  3. associative mapping
  4. set associative mapping
(정답률: 65%)
  • 캐시 메모리에서 사용되지 않는 매핑 방법은 "database mapping"입니다. 이는 캐시 메모리의 주소 공간을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와 유사하게 구성하는 방법으로, 캐시 메모리의 크기가 커질수록 인덱스의 크기도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매핑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가산기(full adder)의 합(sum)의 출력을 얻는 논리회로는?

  1. AND
  2. OR
  3. XOR
  4. NOR
(정답률: 53%)
  • 전가산기의 합(sum)은 입력된 두 비트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carry)을 더한 값이므로,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입력된 두 비트를 더한 후 자리올림값과 함께 다시 더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논리회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덧셈기의 각 자리별로 입력된 비트와 자리올림값을 처리하는 논리회로가 필요합니다.

    전가산기의 합(sum)을 출력하는 논리회로는 입력된 두 비트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carry)을 XOR 연산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효율적입니다. XOR 연산은 입력된 두 비트가 서로 다를 때 1을 출력하므로,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과 함께 XOR 연산을 수행하면 입력된 두 비트와 자리올림값을 더한 값이 출력됩니다. 따라서 전가산기의 합(sum)을 출력하는 논리회로는 XOR 연산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입∙출력 장치와 CPU 사이에 존재하는 속도의 차이로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는?

  1. Console
  2. Channel
  3. Terminal
  4. Register
(정답률: 66%)
  • 입∙출력 장치와 CPU 사이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Channel이 사용된다. Channel은 CPU와 입∙출력 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입∙출력 장치와의 통신을 관리하여 CPU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한다. 따라서 Channel은 입∙출력 장치와 CPU 사이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로그램의 진행에 대한 제어 명령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Jump
  2. Load
  3. Branch
  4. Interrupt
(정답률: 49%)
  • "Load"는 프로그램의 진행을 제어하는 명령이 아니라,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명령이기 때문에 제어 명령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형 프로세서의 특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다양한 Addressing Model를 지원한다.
  2. 많은 수의 명령어를 갖는다.
  3.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
  4. 자주 사용되지 않는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가 존재한다.
(정답률: 54%)
  • RISC형 프로세서는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면 프로세서의 설계도 간단해지고 실행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CPU와 입출력 장치를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2. 컴퓨터에는 1개의 인터페이스가 있다.
  3. 주기억 장치 내에 포함된다.
  4. 입출력 조작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서브시스템이다.
(정답률: 59%)
  •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입출력 조작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서브시스템입니다. 이는 CPU와 입출력 장치를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컴퓨터에는 여러 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주기억 장치 내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터럽트(interrupt)의 발생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입출력 장치의 데이터 전송 요구
  2. 오버플로우(overflow)의 발생
  3. 분기명령의 실행
  4. supervisor call 명령의 실행
(정답률: 50%)
  • 분기명령의 실행은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인터럽트는 프로세서가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발생하는 것이며, 입출력 장치의 데이터 전송 요구, 오버플로우의 발생, supervisor call 명령의 실행 등이 그 예시입니다. 하지만 분기명령의 실행은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다음 명령어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자계산기의 연산장치 부호와 크기의 가산 과정에서 초과상태(overflow)가 발생할 조건으로 알맞은 것은?

  1. 음수에 비하여 양수가 큰 경우
  2. 양수에 비하여 음수가 큰 경우
  3. 두 수가 모두 음수이거나 양수인 경우
  4. 가산에서는 모든 경우에 초과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58%)
  • 전자계산기의 연산장치는 부호 비트와 크기 비트를 분리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두 수가 모두 음수이거나 양수인 경우에는 부호가 같아서 덧셈 결과가 음수가 되는 경우와 부호가 같아서 덧셈 결과가 양수가 되는 경우 두 가지가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덧셈 결과가 표현 가능한 범위를 초과하면 초과상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두 수가 모두 음수이거나 양수인 경우에는 덧셈 결과가 표현 가능한 범위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 초과상태가 발생할 조건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가장 큰 수는?

  1. 2진수 1011101
  2. 8진수 157
  3. 10진수 165
  4. 16진수 B7
(정답률: 62%)
  • 가장 큰 수는 16진수 B7이다. 이유는 16진수가 2진수, 8진수, 10진수보다 큰 범위의 수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16진수는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A부터 F까지의 알파벳을 사용하여 총 16개의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16진수 B7은 10진수로 183이 되며, 다른 보기들보다 큰 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RAM(Random Access Memory)의 특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데이터 입∙출력의 고속 처리
  2. 데이터 입∙출력의 순서적 처리
  3. 데이터 입∙출력의 내용 기반 처리
  4. 데이터 기억공간의 확장 처리
(정답률: 64%)
  • RAM은 데이터 입∙출력의 고속 처리가 가능한데, 이는 RAM이 CPU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데이터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RAM은 데이터 입∙출력의 순서적 처리나 내용 기반 처리보다는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속 처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입∙출력의 고속 처리"가 RAM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소 선의 수가 11개이고 데이터 선의 수가 8개인 ROM의 내부조직을 나타내는 것은?

  1. 2K × 8
  2. 3K × 8
  3. 4K × 8
  4. 12K × 8
(정답률: 53%)
  • 주소 선의 수가 11개이므로 이 ROM은 2의 11승, 즉 2048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 선의 수가 8개이므로 각 주소마다 8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ROM은 "2K × 8"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소 선의 수가 맞지 않거나 데이터 선의 수가 맞지 않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0진수 –6의 2의 보수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11111110
  2. 11111010
  3. 11111011
  4. 11111100
(정답률: 58%)
  • -6의 2의 보수 표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1. -6을 2진수로 변환합니다. (-6의 절댓값을 2진수로 변환한 후, 맨 앞에 부호 비트 1을 붙입니다.)
    -6의 절댓값: 6 (2진수: 110)
    부호 비트를 붙인 결과: 1110
    2. 1에서 구한 2진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합니다. (0은 1로, 1은 0으로 바꿉니다.)
    반전한 결과: 0001
    3. 2에서 구한 결과에 1을 더합니다.
    1을 더한 결과: 0010
    (이진수에서 1을 더하면 가장 오른쪽 비트부터 차례대로 검사하면서 0을 1로, 1을 0으로 바꾸다가 처음으로 만나는 0을 1로 바꾸고 나머지 비트는 모두 0으로 바꿉니다.)
    따라서 -6의 2의 보수 표현은 "111110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 명령의 실행 사이클 중에 인터럽트 요청에 의해 인터럽트를 처리한 후 CPU가 다음에 수행하는 사이클은?

  1. fetch cycle
  2. indirect cycle
  3. execute cycle
  4. direct cycle
(정답률: 66%)
  •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하면 CPU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으로 분기합니다. ISR을 실행하기 전에 CPU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의 주소를 저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CPU는 다음 명령을 가져오는 fetch cycle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처리 후 CPU가 다음에 수행하는 사이클은 "fetch cyc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1. Floppy disk
  2. Harddisk
  3. Register
  4. Magnetic Tape
(정답률: 81%)
  • Register가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른 이유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전기 신호가 직접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egister는 다른 저장 장치들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주소 형식 인스트럭션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1. 누산기
  2. 스택
  3. 승산기
  4. 인덱스 레지스터
(정답률: 61%)
  • 주소 형식 인스트럭션에서는 메모리 주소를 계산하기 위해 레지스터 값과 상수 값을 더해야 합니다. 이때 덧셈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누산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누산기"입니다. 스택, 승산기, 인덱스 레지스터는 주소 계산에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기억장치에서 정보를 읽을 때, 읽은 정보를 기억시켜 놓는 레지스터는?

  1. 메모리 어드레스 레지스터
  2.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3. 인덱스 레지스터
  4. 누산기
(정답률: 58%)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는 주기억장치에서 읽은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이는 CPU가 정보를 처리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해놓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주기억장치에서 정보를 읽을 때, 읽은 정보를 기억시켜 놓는 레지스터로는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MOD-5 카운터를 설계하려고 할 때 필요한 최소의 플립플롭의 개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46%)
  • MOD-5 카운터는 0부터 4까지 5개의 상태를 가지므로, 최소한 3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이는 2개의 플립플롭으로는 4개의 상태까지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개의 플립플롭으로는 0부터 3까지 4개의 상태만 표현할 수 있고, 4 이상의 수를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MOD-5 카운터를 설계할 때는 최소한 3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파일 설계 단계 중 항목의 이름, 항목의 배열 순서, 항목의 자릿수, 문자의 구분, 레코드 길이의 가변성 여부, 전송 블록 길이 등을 검토하는 단계는?

  1. 파일 매체의 검토
  2. 파일 편성범위 검토
  3. 파일 특성 조사
  4. 파일 항목의 검토
(정답률: 55%)
  • 파일 설계 단계에서는 파일 구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파일 항목의 검토는 파일 내부의 데이터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파일 내부에 어떤 항목들이 존재하고, 이들 항목의 이름, 배열 순서, 자릿수, 문자의 구분 등을 검토합니다. 이를 통해 파일 내부의 데이터 구조를 명확하게 결정하고, 이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 항목의 검토는 파일 설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객체 지향 방법론 중에서 Rumbaugh의 OMT 방법론과 Booch의 Booch 방법론, Jacobson의 OOSE 방법론을 통합하여 만든 모델링 개념의 공통 집합으로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방법론의 표준 지정을 목표로 제안된 모델링 언어는?

  1. OOD(Object Oriented Design)
  2. OMG(Object Management Group)
  3. OMT(Object Modeling Technique)
  4.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정답률: 54%)
  • UML은 Rumbaugh의 OMT, Booch의 Booch 방법론, Jacobson의 OOSE 방법론을 통합하여 만든 모델링 개념의 공통 집합으로,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방법론의 표준 지정을 목표로 제안된 모델링 언어입니다. OMG(Object Management Group)에서 표준화되어 있으며,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델링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체크 시스템의 컴퓨터 처리 단계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에러를 체크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Check Digit Check
  2. Double Record Check
  3. Sign Check
  4. Impossible Check
(정답률: 41%)
  • "Check Digit Check"은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목으로, 데이터의 마지막 자리에 추가된 숫자를 계산하여 이를 통해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판단합니다. 따라서 이는 체크 시스템의 컴퓨터 처리 단계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에러를 체크하는 항목입니다. "Double Record Check", "Sign Check", "Impossible Check"는 모두 데이터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항목으로,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므로 "Check Digit Check"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표준 처리 패턴 중 특정 조건이 주어진 파일 중에서 그 조건에 만족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리 처리하는 것은?

  1. 갱신
  2. 정렬
  3. 대조
  4. 분배
(정답률: 61%)
  • 주어진 파일을 특정 조건에 따라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파일을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처리를 적용하는 것과 같은 분배적인 처리 방식이기 때문에 "분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HIPO 다이어그램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도형 목차
  2. 총괄 도표
  3. 자료 사진
  4. 상세 도표
(정답률: 70%)
  • HIPO 다이어그램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 설계도로, 도형 목차, 총괄 도표, 상세 도표 등의 요소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자료 사진은 HIPO 다이어그램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자료 사진은 시각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HIPO 다이어그램과는 별개의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스템 개발에서 가장 먼저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1. 조사분석
  2. 시스템 제작
  3. 시스템 운영
  4. 문제의 제기
(정답률: 57%)
  • 시스템 개발에서 가장 먼저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문제의 제기"입니다. 이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된 이유와 목적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와의 소통이 중요하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시스템 개발의 방향성을 결정합니다. 이후에는 조사분석, 시스템 제작, 시스템 운영 등의 단계가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체크 시스템의 종류 중 입력된 수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수치인지를 검사하는 방법은?

  1. format check
  2. numeric check
  3. logical check
  4. limit check
(정답률: 73%)
  • 입력된 수치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수치인지를 검사하는 방법은 "limit check"이다. 이는 입력된 값이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범위를 벗어난 값은 오류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출력정보의 설계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61%)
  • 정답은 "㉢ → ㉡ → ㉣ → ㉠" 입니다.

    ㉠은 출력할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이므로 가장 먼저 설계되어야 합니다.

    ㉡은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이므로, ㉠ 이후에 설계되어야 합니다.

    ㉢은 가공된 데이터를 출력 형식에 맞게 정리하는 과정이므로, ㉡ 이후에 설계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은 정리된 데이터를 실제로 출력하는 과정이므로, 모든 과정이 끝난 후에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 → ㉡ → ㉣ → ㉠" 순서가 올바른 설계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반복(repetition)구조
  2. 순차(sequence)구조
  3. 일괄(batch)구조
  4. 조건(condition)구조
(정답률: 48%)
  • 일괄(batch)구조는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프로그램이 한 번에 모든 입력을 받아 처리하는 구조로, 입력이 모두 완료된 후에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는 순차(sequence)구조, 선택(selection)구조, 반복(repetition)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입력 설계 단계 중 입력 항목의 명칭, 배열, 자릿수, 자료 유형, 오류체크 방법 등을 결정하는 단계는?

  1. 입력 정보 내용 설계
  2. 입력 정보 투입 설계
  3. 입력 정보 매체화 설계
  4. 입력 정보 수집 설계
(정답률: 55%)
  • 입력 정보 내용 설계는 입력 항목의 명칭, 배열, 자릿수, 자료 유형, 오류체크 방법 등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어떤 정보를 입력받아야 하는지, 그 정보가 어떤 형태로 입력되어야 하는지 등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정보 내용 설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출력장치나 특수작업으로 만들어진 매체가 이용자의 손을 경유하여 재입력되는 시스템은?

  1. Display Output System
  2. Turn Around System
  3. Computer Output Microfile System
  4. File Output System
(정답률: 77%)
  • Turn Around System은 출력장치나 특수작업으로 만들어진 매체를 이용자가 손으로 재입력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출력된 문서나 데이터를 다시 입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출력과 입력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지는 것으로 "Turn Around"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출력 시스템에 대한 용어이지만, Turn Around System은 출력과 입력을 모두 다루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모델 중 폭포수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발 과정 중에 발생하는 새로운 요구나 경험을 반영하기 용이하다.
  2. 단계별 정의가 분명하고, 각 단계별 산출물이 명확하다.
  3. 두 개 이상의 과정이 병행하여 수행되지 않는다.
  4.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의 앞 단계가 끝나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 갈 수 있다.
(정답률: 61%)
  • "개발 과정 중에 발생하는 새로운 요구나 경험을 반영하기 용이하다."가 폭포수형의 특징이 맞다. 이유는 폭포수형 모델에서는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문제나 새로운 요구사항이 다음 단계에서 반영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수정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발 과정 중에 발생하는 새로운 요구나 경험을 반영하기 용이하다."는 폭포수형의 특징으로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로드화 대상 항목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내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여 분류하는 코드의 종류는?

  1. 구분 코드(Block code)
  2. 10진 분류 코드(Decimal code)
  3. 합성 코드(Combined code)
  4. 그룹 분류 코드(Group classification code)
(정답률: 69%)
  • 그룹 분류 코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내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여 분류하는 코드이다. 따라서 로드화 대상 항목을 구분하여 분류하기에 적합하며, 그룹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코드들은 단순히 항목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반면, 그룹 분류 코드는 항목의 구분뿐만 아니라 그룹간의 관계를 나타내는데에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파일매체를 선정하기 위한 기능 검토 시 검토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처리방식의 검토
  2. 정보량의 검토
  3. 항목의 명칭 및 문자구분, 배열 검토
  4. 파일의 개수 및 사용 빈도의 검토
(정답률: 44%)
  • 항목의 명칭 및 문자구분, 배열 검토는 파일매체를 선정하는 기능 검토 시 검토하는 사항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다른 항목들도 모두 파일매체를 선정하는 기능 검토 시 검토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코드 설계 단계 중 가장 먼저 행하는 것은?

  1. 코드 대상 항목 선정
  2. 사용 범위와 기간의 결정
  3. 코드 부여 방식 결정
  4. 코드 목적의 명확화
(정답률: 63%)
  • 코드 설계 단계 중 가장 먼저 행하는 것은 "코드 대상 항목 선정"이다. 이는 코드를 부여할 대상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코드 설계의 기초가 된다. 코드 대상 항목을 선정함으로써 코드 부여 방식, 사용 범위와 기간, 코드 목적 등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코드 설계의 첫 단계는 코드 대상 항목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스템의 개발과 운용에 관한 문서화(Documentation)의 목적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개발 후에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2. 문서화 자체로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3.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4. 시스템 개발 방법과 순서를 표준화하여 효율적인 작업과 관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76%)
  • 문서화 자체로 시스템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문서화는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유지보수나 변경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됩니다.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안 정책, 절차, 기술 등을 적용하고, 이를 문서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시스템의 기본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력과 출력
  2. 처리
  3. 제어
  4. 상호 의존
(정답률: 76%)
  • 상호 의존은 시스템의 기본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다른 요소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하는 반면, 상호 의존은 다른 요소들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다른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시스템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운영 관리의 타당성 파악
  2. 시스템의 성능과 유용도 판단
  3. 처리 비용과 효율 면에서 개선점 파악
  4. 시스템 운영 요원의 재훈련
(정답률: 78%)
  • 시스템을 평가하는 목적은 시스템의 운영과 관리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시스템 운영 요원의 재훈련은 시스템 운영과 관리를 개선하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파일 편성 방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Sequential 편성
  2. Indexed sequential 편성
  3. List 편성
  4. Random 편성
(정답률: 40%)
  • 위 그림에서 파일의 레코드들이 무작위로 흩어져 있으므로, 이 파일은 Random 편성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Random 편성 방법은 레코드들을 무작위로 저장하는 방법으로, 레코드들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이 방법은 레코드들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저장되므로, 파일 접근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프로세스 설계 시 고려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 과정을 명확히 표현하여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한다.
  2. 가급적 분류 처리를 최대화한다.
  3. 시스템의 상태 및 기능, 구성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표현한다.
  4. 신 시스템 및 기존 시스템 프로세스의 설계 문제점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76%)
  • 가급적 분류 처리를 최대화하는 것은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분류 처리를 최대화하면 처리 과정이 단순화되어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어 신뢰성과 정확성이 확보됩니다. 또한 분류 처리를 최대화하면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개선이 용이해지며, 시스템의 확장성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프로세스 설계 시 분류 처리를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작업에 대해 공평성을 유지해야 한다.
  2. 응답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3. 프로세스의 처리량을 최소화해야 한다.
  4. 경과시간의 예측이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률: 63%)
  • 프로세스의 처리량을 최소화하는 것은 스케줄링의 목적이 아니라 오히려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스케줄링의 목적은 모든 작업에 대해 공평성을 유지하면서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고, 경과시간의 예측이 가능한 최적의 스케줄링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프로세스의 처리량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파일 디스크립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 제어 블록(FCB)이라고도 한다.
  2. 시스템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3. 파일 관리를 위해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4. 파일 시스템이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참조할 수 있다.
(정답률: 73%)
  •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을 식별하고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구조체이다. 파일 시스템이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참조할 수 없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시스템 콜을 통해 파일을 열거나 생성할 때 반환되며, 이를 통해 파일을 조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중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의 실린더에 대한 차별대우를 없앤 기법은?

  1. FCFS
  2. SSTF
  3. N-단계 SCAN
  4. C-SCAN
(정답률: 55%)
  • C-SCAN은 디스크의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 실린더에 대한 차별을 없애기 위해, 디스크 헤드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가장 바깥쪽 실린더에 도달하면 다시 가장 안쪽 실린더로 이동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의 모든 실린더를 동일한 방식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파일 보호 기법 중 각 파일에 판독 암호와 기록 암호를 부여하여 제한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기법은?

  1. 파일의 명명(Naming)
  2. 비밀번호(Password)
  3. 접근제어(Access control)
  4. 암호화(Cryptography)
(정답률: 56%)
  • 파일의 명명, 접근제어, 암호화는 모두 파일 보호 기법 중 하나이지만, 각 파일에 판독 암호와 기록 암호를 부여하여 제한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는 기법은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접근을 제한하는 것으로,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는 사용자는 파일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UNIX에서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1. ps
  2. cp
  3. chmod
  4. cat
(정답률: 59%)
  • "ps" 명령어는 UNIX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프로세스의 ID, 실행 시간, CPU 사용량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ps"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상기억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이 아닌 것은?

  1. FIFO(First-In-First-Out)
  2. LRU(Least Recently Used)
  3. LFU(Least Frequently Used)
  4. SJF(Shortest Job First)
(정답률: 55%)
  • SJF는 프로세스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며, 가상기억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이며, 각각 FIFO는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대체하는 알고리즘, LRU는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대체하는 알고리즘, LFU는 가장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대체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아닌 것은?

  1. 컴파일러
  2. 링커
  3. 워드프로세서
  4. 로더
(정답률: 74%)
  • 컴파일러, 링커, 로더는 모두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워드프로세서는 문서 작성 및 편집을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로,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15K의 작업을 16K의 작업공간에 할당했을 경우, 사용된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은?

  1. First-Fit
  2. Best-Fit
  3. Worst-Fit
  4. Last-Fit
(정답률: 74%)
  • Best-Fit 기법은 작업을 할당할 수 있는 공간 중에서 가장 작은 공간에 작업을 할당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15K의 작업을 16K의 작업공간에 할당할 때, Best-Fit 기법을 사용하면 15K의 작업을 가장 작은 15K의 공간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남은 1K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해, First-Fit 기법은 처음으로 할당 가능한 공간에 작업을 할당하므로, 15K의 작업을 16K의 작업공간에 할당할 때, 16K의 공간 중 첫 번째 15K의 공간에 할당하게 되어, 남은 1K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Best-Fit 기법이 가장 효율적인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분산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운영체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산 운영체제는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설계가 가능하다.
  2. 네트워크 운영체제는 기존의 운영체제 위에 통신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3. 분산된 시스템 내에 하나의 운영체제가 존재할 때 이것을 네트워크 운영체제라 한다.
  4. 분산 운영체제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노드들의 독자적인 운영체제가 배제된다.
(정답률: 37%)
  • "분산된 시스템 내에 하나의 운영체제가 존재할 때 이것을 네트워크 운영체제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분산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운영체제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분산 운영체제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노드들의 독자적인 운영체제가 배제되지 않습니다.

    분산 운영체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운영체제입니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설계가 가능해집니다.

    반면, 네트워크 운영체제는 기존의 운영체제 위에 통신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영체제는 분산 운영체제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세마포어(semaphor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P조작은 프로세스를 대기시키는 wait 동작이다.
  2. V조작은 대기 중인 프로세스를 깨우는 신호를 보내는 signal 동작이다.
  3. 세마포어는 항상 양수 값을 가진다.
  4. 프로세스 블록 큐는 임계영역에 진입할 수 없는 프로세스를 블록화하여 대기시키는 순서를 유지하는 데 사용하는 큐이다.
(정답률: 71%)
  • 세마포어는 항상 양수 값을 가진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다. 세마포어는 양수, 음수, 0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값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값이 0인 세마포어는 wait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블록화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PC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각의 프로세스는 모두 PCB를 갖고 있다.
  2. PCB를 위한 공간은 시스템이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수를 기본으로 하여 동적으로 공간을 할당하게 된다.
  3. 프로세스의 중요한 상태 정보를 갖고 있다.
  4. 프로세스가 소멸되어도 해당 PCB는 제거되지 않는다.
(정답률: 72%)
  • PCB는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구조이며,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 생성되고,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 제거된다. 따라서, 프로세스가 소멸되면 해당 PCB도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프로세스가 소멸되어도 해당 PCB는 제거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HRN 스케줄링 기법을 적용할 경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4%)
  • 정답은 "C"입니다. HRN 스케줄링 기법은 Highest Response Ratio Next의 약자로,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긴 프로세스일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지게 됩니다. 보기에서 프로세스 C의 대기 시간이 가장 길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가장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분산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 P가 사이드 A에 있는 파일에 접근할 때, 프로세스가 원격 프로시져 호출(Remote Procedure Call)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이주 기능은?

  1. 데이터 이주
  2. 연산 이주
  3. 프로세스 이주
  4. 사이트 이주
(정답률: 37%)
  • 분산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가 사이드 A에 있는 파일에 접근할 때, 파일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사이드 A에서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이때 프로세스가 원격 프로시져 호출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연산 이주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연산 이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원 보호 기법 중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조작 리스트이며, 영역과 결합되어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액세스되는 기법은?

  1. 접근 제어 행렬(access control matrix)
  2. 권한 리스트(capability list)
  3. 접근 제어 리스트(access control list)
  4. 자물쇠와 열쇠(lock/key) 매커니즘
(정답률: 45%)
  • 권한 리스트(capability list)는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조작 리스트가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간접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가 객체에 직접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를 가리키는 권한을 가진 리스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액세스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객체와 권한 리스트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근 제어 행렬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UNIX 명령어 중 파일에 대한 액세스(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는?

  1. chmod
  2. pwd
  3. mkdir
  4. Is
(정답률: 65%)
  • 정답은 "chmod"입니다. "chmod"는 파일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설정하는 명령어로, 파일의 소유자, 그룹 및 기타 사용자에 대한 읽기, 쓰기 및 실행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wd"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출력하는 명령어이고, "mkdir"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Is"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교착상태(Deadlock)의 4가지 필요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이들이 갖고 있는 프로세스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2. 프로세스가 다른 자원을 기다리면서 이들에게 이미 할당된 자원을 갖고 있다.
  3. 프로세스들이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에 대해 배타적인 통제권을 요구한다.
  4. 프로세스의 환형 사슬이 존재해서 이를 구성하는 각 프로세스는 사슬 내의 다음에 있는 프로세스가 요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을 갖고 있다.
(정답률: 52%)
  •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이들이 갖고 있는 프로세스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가 교착상태의 4가지 필요조건 중 어떤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자원 할당 및 해제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조건들은 교착상태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교착상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들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지 않도록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현재 완전히 비어 있으며, 어떤 프로세스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번호를 요청했을 때 페이지 대체 정책으로 FIFO를 사용한다면 페이지 부재(Page0fault)의 발생 횟수는?

  1. 3회
  2. 4회
  3. 5회
  4. 6회
(정답률: 55%)
  • 주어진 페이지 요청 순서에 따라 페이지가 차례대로 적재될 것이다. 하지만 주기억장치는 4개의 페이지만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5번째 페이지 요청부터는 페이지 대체가 발생하게 된다. FIFO 페이지 대체 정책에서는 가장 먼저 적재된 페이지를 대체하므로, 1번 페이지부터 차례대로 적재된 페이지들이 대체될 것이다. 따라서 5번째, 6번째, 7번째, 8번째 페이지 요청에 대해서는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페이지 대체가 4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4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개인용 컴퓨터(PC)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

  1. Adobe Photoshop
  2. Unix
  3. Windows 10
  4. Linux
(정답률: 76%)
  • 정답은 "Adobe Photoshop"입니다. Adobe Photoshop은 그래픽 디자인 및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로, 운영체제가 아닌 독립적인 프로그램입니다. 반면, Unix, Windows 10, Linux는 모두 컴퓨터 운영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여러 개의 큐를 두어 낮은 단계로 내려갈수록 프로세스의 시간 할당량을 크게 하는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식은?

  1. MFQ(Multi-level Feedback Queue)
  2. SJF(Shortest Job First)
  3. SRT(Shortest Remaining Time)
  4. Round Robin
(정답률: 52%)
  • MFQ는 여러 개의 큐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는 방식으로, 낮은 단계로 내려갈수록 시간 할당량을 크게 하여 우선순위를 높이는 방식을 취합니다. 이를 통해 짧은 작업에 대해서는 빠른 응답 시간을 보장하고, 긴 작업에 대해서는 시간 할당량을 크게 하여 공정한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FQ가 정답입니다. SJF는 작업의 길이가 짧은 것부터 처리하는 방식, SRT는 남은 처리 시간이 가장 적은 것부터 처리하는 방식, Round Robin은 시간 할당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정된 결과를 얻기 위한 일련의 계통적 동작을 말한다.
  2. 목적 또는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사건들의 과정을 말한다.
  3.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자체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4. CPU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말한다.
(정답률: 69%)
  •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자체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자원(메모리, 파일, 입출력 등)의 집합입니다. 따라서 프로세스는 프로그램과 시스템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필수변조에서 아날로그 정보신호의 크기에 따라 펄스 반송파의 폭을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은?

  1. PWM
  2. AM
  3. PPM
  4. PCM
(정답률: 44%)
  • PWM은 Pulse Width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정보신호의 크기에 따라 펄스 반송파의 폭을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입니다. 따라서 PWM은 필수변조에서 아날로그 정보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AM, PPM, PCM은 모두 다른 방식의 필수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UD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연결형 전송
  2. 적은 오버헤드
  3. 빠른 전송
  4.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보장
(정답률: 50%)
  • UDP 프로토콜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보장"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는 UDP가 비연결형 전송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데이터 전송 중 손실이나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이나 오류 제어를 하지 않고 그대로 무시하게 된다. 따라서 UDP는 신뢰성보다는 빠른 전송과 적은 오버헤드를 중시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송신측에서 1개의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오류의 발생을 점검하여 ACK 또는 NAK 신호를 보내올 때까지 대기하는 방식은?

  1. 선택적 ARQ
  2. 적응적 ARQ
  3. 연속적 ARQ
  4. 정지&대기 ARQ
(정답률: 74%)
  • 이 방식은 송신측에서 전송한 프레임이 수신측에서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ACK 또는 NAK 신호를 기다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송신측은 전송을 멈추고 대기해야 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정지&대기 ARQ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LAN의 토폴로지 형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star 형
  2. bus 형
  3. ring 형
  4. square 형
(정답률: 74%)
  • LAN의 토폴로지 형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square 형"입니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토폴로지 형태이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에도 적합하지 않습니다. "Star 형"은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가 용이하며, "Bus 형"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Ring 형"은 데이터 전송이 순환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Square 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라우팅 프로토콜 중 Distance vector 방식이 아닌 것은?

  1. RIP
  2. BGP
  3. EIGRP
  4. OSPF
(정답률: 52%)
  • OSPF는 Link stat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이므로 Distance vector 방식이 아닙니다. Distance vector 방식은 라우터가 자신의 인접 라우터에게 경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이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를 찾아내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Link state 방식은 라우터가 자신의 인접 라우터들의 네트워크 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를 찾아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OSPF는 Distance vector 방식이 아닌 Link stat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한 문자가 전송될 때마다 스타트(start) 비트와 스톱(stop) 비트를 전송하는 방식은?

  1. 비트제어방식
  2. 동기방식
  3. 비동기방식
  4. 다중화방식
(정답률: 55%)
  • 이 방식은 문자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기 위해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사용하는데, 이 비트들은 문자의 실제 데이터와는 별도로 전송되므로 비트 제어 방식이 아니며, 또한 전송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동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8진 PSK 변조를 사용하는 모뎀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4800bps일 때 변조속도(baud)는?

  1. 600
  2. 1600
  3. 2400
  4. 4800
(정답률: 64%)
  • 8진 PSK 변조에서는 3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므로, 4800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1600baud의 변조속도에 해당합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속도와 변조속도가 일치하지 않는 다른 변조 방식과는 달리, 8진 PSK 변조에서는 데이터 전송속도와 변조속도가 일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광섬유 케이블에서 클래딩(Cladding)의 주 역할은?

  1. 광신호를 전반사
  2. 광신호를 회절
  3. 광신호를 흡수
  4. 광신호를 전송
(정답률: 70%)
  • 광섬유 케이블에서 클래딩은 광섬유 코어를 감싸고 있는 외부 층으로, 광섬유 코어에서 전송되는 광신호가 클래딩과의 경계면에서 전반사(reflection)되어 광선이 코어 안에서 유지되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신호를 전반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ATM 셀의 헤더 크기는 몇 [byte] 인가?

  1. 2
  2. 5
  3. 48
  4. 53
(정답률: 65%)
  • ATM 셀의 헤더 크기는 5 byte이다. 이는 ATM 셀의 전체 크기인 53 byte 중에서 헤더가 차지하는 크기이며, 헤더에는 셀의 길이, 가상 회선 식별자, 가상 경로 식별자, 품질 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데이터그램(datagram)방식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수신지의 마지막노드에서는 송신지에서 송신한 순서대로 패킷이 도착한다.
  2. 모든 패킷은 설정된 경로에 따라 전송된다.
  3. 미리 설정된 경로상의 각 노드는 패킷에 대한 경로를 알고 있으므로 경로설정과 관련된 결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4. 네트워크 운용에 있어서 보다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정답률: 39%)
  •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경로나 순서에 대한 제약이 없어 보다 높은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용에 있어서 보다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무선 네트워크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에 대한 표준규격은?

  1. IEEE 801.9
  2. IEEE 802.15.1
  3. IEEE 802.10
  4. IEEE 809.5.1
(정답률: 54%)
  • 블루투스는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로, 주로 짧은 거리에서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블루투스는 IEEE(전기전자기술자 협회)에서 제정한 802.15.1 표준규격을 따릅니다. 이 규격은 블루투스의 주파수 대역, 전송 속도, 보안 등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기기들은 이 규격을 준수하여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HDLC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보 프레임
  2. 감독 프레임
  3. 무번호 프레임
  4. 제어 프레임
(정답률: 31%)
  • HDLC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종류는 "정보 프레임", "감독 프레임", "무번호 프레임"이다. "제어 프레임"은 HDLC에서 사용되지 않는 프레임 종류이다. 이유는 HDLC에서는 제어 프레임 대신 감독 프레임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감독 프레임은 제어 프레임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반송파로 사용되는 정현파의 진폭에 정보를 싣는 변조 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WDPCM
(정답률: 48%)
  • ASK는 Amplitude Shift Keying의 약자로, 진폭을 변조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반송파로 사용되는 정현파의 진폭을 변조하여 정보를 싣는 것이 ASK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패킷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메시지 교환 방식과 같이 축적 교환 방식의 일종이다.
  2. 트래픽 용량이 적은 경우에 유리하다.
  3.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다.
  4.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방식이 있다.
(정답률: 41%)
  • 패킷 교환 방식은 메시지 교환 방식과는 다르게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때,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경로 상의 노드들이 패킷을 받아서 다음 노드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트래픽 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패킷 교환 방식이 유리하다. 이는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혼잡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HDLC 프레임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플래그(Flag) 필드
  2. 제어(Control) 필드
  3. 주소(Address) 필드
  4. 시작(Start) 필드
(정답률: 69%)
  • HDLC 프레임 구조에서는 시작(Start) 필드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HDLC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패턴인 플래그(Flag) 필드로 대신합니다. 플래그 필드는 011111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PCM 방식의 진행 순서로 옳은 것은?

  1.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여과 → 복호화
  2.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 → 여과
  3.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복호화 → 여과
  4. 표본화 → 양자화 → 여과 → 부호화 → 복호화
(정답률: 72%)
  • 정답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 → 여과" 입니다.

    1. 표본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2. 양자화: 샘플링된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을 대표하는 값(양자화 레벨)을 할당합니다.
    3. 부호화: 양자화된 값에 대해 이진수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표현합니다.
    4. 복호화: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합니다.
    5. 여과: 복호화된 아날로그 신호를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완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8진 PSK에서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1. π
  2. π/2
  3. π/4
  4. π/8
(정답률: 48%)
  • 8진 PSK에서는 8개의 위상 상태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합니다. 이때, 각 위상 상태는 45도씩 차이가 나므로,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45도 × 2 = 90도가 됩니다. 하지만 8진 PSK에서는 위상 차이를 π/4로 정의하므로, 90도를 라디안으로 환산하면 π/2가 됩니다. 따라서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π/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변조속도가 1600(Baud)이고 트리비트(Tribit)를 사용하는 경우 전송속도(bps)는?

  1. 800
  2. 1600
  3. 4800
  4. 12800
(정답률: 75%)
  • 트리비트(Tribit)는 3개의 비트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1600 Baud의 경우 4800 bps의 전송속도를 가집니다. 이는 1600을 3으로 나눈 후 8을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8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점대점 링크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IEFT의 표준 프로토콜은?

  1. HDLC
  2. LLC
  3. SLIP
  4. PPP
(정답률: 55%)
  • PPP는 Point-to-Point Protocol의 약자로, 점대점 링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PPP는 다른 프로토콜과 달리 인증, 암호화, 압축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보안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PPP가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IEFT의 표준 프로토콜로 선택되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PPP와 비교하여 기능이 제한적이거나 보안성이 낮은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전송하려는 부호어들의 최소 해밍 거리가 7일 때, 수신시 정정할 수있는 최대 오류의 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54%)
  • 해밍 거리가 7이라는 것은 어떤 두 부호어 간에 최소 7개의 비트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신된 부호어와 가장 유사한 부호어와의 비교에서 최대 3개의 비트 오류를 정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해밍 거리가 7일 때 가능한 최대 오류 정정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