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1-26)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2014-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디자인 일반

1. 다음 중 실내디자인의 대상 공간이 아닌 것은?

  1. 도서관
  2. 사무실
  3. 도시조경
  4. 상점
(정답률: 96%)
  • 도시조경은 실내가 아닌 실외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실내디자인의 대상 공간으로 분류되는 도서관, 사무실, 상점과는 달리, 도시조경은 실외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이므로 정답은 "도시조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P.O.P 광고의 기능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판매점에 온 소비자에게 브랜드나 브랜드 네임을 알릴 수 있다.
  2. 신제품을 알리는데 좋으며 신제품의 기능, 가격을 강조 한다.
  3. 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충동구매를 방지한다.
  4. 점원의 설명보다 우수한 대변인이 될 수 있다.
(정답률: 83%)
  • "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충동구매를 방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P.O.P 광고에서도 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제공되며, 이는 소비자가 제품을 더 잘 이해하고 구매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동구매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디자인에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표현기법의 첫 단계는?

  1. 모델링(Modeling)
  2. 포토 리터칭(Photo Retouching)
  3. 렌더링(Rendering)
  4. 아이디어 스케치(Idea Sketch)
(정답률: 93%)
  • 아이디어 스케치는 디자인 과정에서 처음으로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빠르게 스케치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는 머리 속에 있는 이미지를 빠르게 구체화하고, 클라이언트나 팀원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표현기법의 첫 단계는 아이디어 스케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잡지광고의 종류 중 뒤표지에 실리는 광고는?

  1. 표지 1면 광고
  2. 표지 2면 광고
  3. 표지 3면 광고
  4. 표지 4면 광고
(정답률: 67%)
  • 잡지의 표지는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표지 4면 광고는 이 네 면 중 마지막인 우측면에 실리는 광고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디자인 조건과 특성이 옳게 나열된 것은?

  1. 합목적성, 심미성 : 지적 활동, 합리적 요소 형성
  2. 경제성, 독창성 : 지적 활동, 합리적 요소 형성
  3. 심미성, 독창성 : 감성적 활동, 비합리적 요소 형성
  4. 합목적성, 경제성 : 감성적 활동, 비합리적 요소 형성
(정답률: 65%)
  • 정답은 "심미성, 독창성 : 감성적 활동, 비합리적 요소 형성"입니다. 이유는 디자인에서 심미성과 독창성은 감성적인 활동을 요구하며, 디자인의 특성 중 하나인 비합리적 요소 형성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디자인은 단순히 기능적인 측면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비합리적인 요소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미성, 독창성 : 감성적 활동, 비합리적 요소 형성"이 옳은 조건과 특성의 나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잘 그려진 포스터인데도 불구하고 보기 어렵고 내용 전달이 모호하다면 그 포스터는 무엇이 문제인가?

  1. 경제성
  2. 기능성
  3. 독창성
  4. 심미성
(정답률: 83%)
  • 기능성이 부족한 포스터는 내용 전달이 모호하고 보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스터는 먼저 기능성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바코드(Bar Code)는 각 포장 표면에 굵기가 다른 수직선과 그 밑에 숫자로 인쇄된 기호이다. 바코드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계산서의 보관이 용이하다.
  2. 상품의 가격을 수동으로 찍는 방법보다 정확하다.
  3. 상점 경영에 합리성이 있다.
  4. 계산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시간이 늦다.
(정답률: 94%)
  • 바코드는 상품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어 상점 경영에 합리성이 있고, 계산서의 보관이 용이하며, 수동으로 가격을 찍는 방법보다 정확하다. 하지만 바코드를 읽는 과정에서 스캐너와 바코드의 위치나 방향 등이 일치하지 않으면 인식이 되지 않아 계산하는 데 번거로움이 있어 시간이 늦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유사, 대비, 균일, 강화 등이 포함되어 나타내는 디자인의 원리는?

  1. 통일
  2. 조화
  3. 균형
  4. 리듬
(정답률: 68%)
  • 디자인에서 조화는 유사한 요소들을 조합하여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사, 대비, 균일, 강화 등의 디자인 요소들을 조화롭게 조합하여 디자인을 완성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일은 조화를 이루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단순히 모든 것을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은 조화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화는 디자인의 요소들을 조화롭게 조합하여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일정한 모듈(module)을 이용하여 만든 가구로, 소비자의 취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기구를 만들 수 있어 주거 이동이 잦은 현대인의 생활에 적합한 구조별 가구의 종류는?

  1. 이동식 가구
  2. 붙박이식 가구
  3. 조립식 가구
  4. 고정식 가구
(정답률: 87%)
  • 조립식 가구는 일정한 모듈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가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주거 이동이 잦은 현대인의 생활에 적합하며, 이동이 필요할 때 쉽게 분해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립식 가구가 구조별 가구 중 이동식 가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제품디자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과학, 기술, 인간, 환경 등이 공존하는 분야이다.
  2. 생산 가능한 형태, 구조, 재료 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3. 인간과 자연의 매개 역할로서의 도구이다.
  4. 인간의 감성에 맞춘 순수 예술이어야 한다.
(정답률: 90%)
  • 인간의 감성에 맞춘 순수 예술이어야 한다는 것은 제품디자인의 목적과 본질과는 거리가 멀다. 제품디자인은 기능성과 생산성을 고려하여 인간과 자연의 매개 역할로서의 도구로서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간의 감성에 맞춘 순수 예술이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선의 조형적 표현 방법 중 단조로움을 없애주고 흥미를 유발시켜 활동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지만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불안정한 느낌을 주는 것은?

  1. 수직선
  2. 수평선
  3. 사선
  4. 포물선
(정답률: 83%)
  • 사선은 기울어진 선으로서 활동적인 느낌을 주지만,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불안정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사선이 기울어져 있어서 안정적인 느낌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선은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스케치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아이디어를 구상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한다.
  2. 형태나 색채, 재질감을 실물과 같이 충실하게 표현한다.
  3. 이미지(Image)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이다.
  4. 의도된 형태를 발전, 전개시킨다.
(정답률: 71%)
  • 형태나 색채, 재질감을 실물과 같이 충실하게 표현하는 것은 스케치의 역할 중 하나가 맞습니다. 스케치는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이미지를 구체화하며, 의도된 형태를 발전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형태나 색채, 재질감을 실물과 같이 충실하게 표현한다."가 스케치의 역할이 아니라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계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독일공작연맹을 결성한 중심인물은?

  1. 윌리엄 모리스(W. Morris)
  2. 무테지우스(H. Muthesius)
  3. 이텐(J. Itten)
  4. 몬드리안(P. Mondrian,)
(정답률: 62%)
  • 무테지우스는 독일공작연맹을 결성하여 기계제품의 디자인과 생산 과정을 개선하고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 인물입니다. 그는 기계제품의 디자인에 예술적인 요소를 도입하고, 기능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독일공작연맹은 혁신적인 디자인과 뛰어난 기능성을 갖춘 제품을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내디자인을 구성하는 실내의 기본 요소로만 연결된 것은?

  1. 가구, 조명, 문
  2. 바닥, 벽, 천장
  3. 바닥, 벽, 차양
  4. 가구, 바닥, 창
(정답률: 94%)
  • 실내디자인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바닥, 벽, 천장으로, 이들은 실내 공간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가구, 조명, 문, 창 등은 이들 기본 요소와 함께 조합하여 실내 공간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느낌으로 꾸밀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중에서도 바닥, 벽, 천장은 실내 공간의 기본적인 구조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요소들이 조화롭게 조합되어야만 완성도 높은 실내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에 해당되는 착시는?

  1. 길이의 착시
  2. 크기의 착시
  3. 방향의 착시
  4. 명도의 착시
(정답률: 94%)
  • 이 그림은 크기의 착시에 해당됩니다. 그림의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직사각형들은 실제로는 같은 크기이지만, 오른쪽에 있는 직사각형이 왼쪽에 있는 직사각형보다 작게 그려져 있어서 크기가 다르게 보입니다. 이러한 착시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사물들에서도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중요한 시각적 현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시장의 확보 및 확대를 위한 전략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시장의 세분화
  2. 제품의 차별화
  3. 제품의 다양화
  4. 제품의 단순화
(정답률: 81%)
  • 제품의 단순화는 제품의 다양성을 줄이는 것으로, 시장의 확보 및 확대와 관련이 없습니다. 오히려 제품의 다양화와 차별화를 통해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패키지의 기능 및 역할 중 '개폐의 용이, 쉬운 조작, 적절한 무게, 누구나 사용“ 등과 관련한 것은?

  1. 편의성
  2. 보호성
  3. 명시성
  4. 안전성
(정답률: 90%)
  • 위의 기능과 역할은 모두 제품의 사용자 편의성과 관련된 것입니다. 패키지가 개폐가 용이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적절한 무게로 구성되어 있으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들은 제품의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사한 배열이 방향성을 지니고 하나의 묶음처럼 지각되어 공동운명의 법칙이라고도 부르는 게슈탈트 원리는?

  1. 근접성의 원리
  2. 친숙성의 원리
  3. 폐쇄성의 원리
  4. 연속성의 원리
(정답률: 57%)
  • 게슈탈트 원리 중 연속성의 원리는 유사한 패턴이나 형태가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이를 하나의 묶음으로 인식하고 그룹화하는 원리입니다. 즉, 비슷한 것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우리는 이를 하나의 패턴으로 인식하고 이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점선으로 이어진 동그라미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우리는 이를 하나의 패턴으로 인식하고 이어진 선을 따라 눈으로 따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속성의 원리는 유사한 것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이를 하나의 묶음으로 인식하는 인지적 경향성을 나타내는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의 조형 효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선의 조밀한 변화로 깊이를 느낀다.
  2. 많은 선의 연속된 근접으로 면을 느낀다.
  3. 선을 끊음으로서 입체를 느낀다.
  4. 선을 일정하게 반복하면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83%)
  • 선을 끊음으로서 입체를 느낀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선을 끊으면 오히려 입체감이 줄어들고 평면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선의 조밀한 변화로 깊이를 느낀다."입니다. 선의 조밀한 변화로 인해 깊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흑백의 강렬한 조화와 이국적 양식, 쾌락적, 생체적, 여성적, 유기적 곡선, 비대칭 구성이 특징이며 윌리엄 브레들리, 오브리 비어즐리, 가우디 등이 대표작가인 디자인 사조는?

  1. 옵아트
  2. 구성주의
  3. 아르누보
  4. 아르데코
(정답률: 68%)
  • 디자인 사조의 특징으로 언급된 "흑백의 강렬한 조화와 이국적 양식, 쾌락적, 생체적, 여성적, 유기적 곡선, 비대칭 구성"은 모두 아르누보의 특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르누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도법

21. 동시대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두 색 이상을 동시에 볼 때 생기는 대비이다.
  2. 색의 3속성 차이에 의해서 나타나는 대비 현상이다.
  3. 동일한 공간 영역에서 먼저 본 색의 영향으로 생기는 대비이다.
  4.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대비 현상은 약해진다.
(정답률: 65%)
  • "동일한 공간 영역에서 먼저 본 색의 영향으로 생기는 대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동시에 본 색들이 서로 다른 공간 영역에서 미치는 영향으로 생기는 대비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즉, 두 색 이상을 동시에 볼 때, 각 색이 위치한 공간 영역에서의 밝기, 채도, 색상 등의 속성 차이에 의해 대비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대비 현상은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대칭형인 물체의 외형과 내부의 구조 및 형태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면도는?

  1. 반 단면도
  2. 계단 단면도
  3. 온 단면도
  4. 부분 단면도
(정답률: 62%)
  • 대칭형인 물체는 양쪽이 대칭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형태와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단면을 그리는 것보다는 반만 그려도 충분합니다. 따라서 대칭형 물체의 외형과 내부 구조 및 형태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면도는 "반 단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푸르킨예 현상의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새벽녘의 물체들이 푸르스름하게 보인다.
  2. 조명이 어두워지면 적색보다 청색이 먼저 사라진다.
  3. 푸르킨예 현상을 이용해 비상구 표시를 초록으로 한다.
  4. 낮에는 파란 공이 밤이 되면 밝은 회색으로 보인다.
(정답률: 81%)
  • 낮에는 파란 공이 밤이 되면 밝은 회색으로 보인다는 것은 푸르킨예 현상과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푸르킨예 현상은 조명이 어두워질수록 적색보다 청색이 먼저 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이용해 비상구 표시를 초록으로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낮에는 파란 공이 밤이 되면 밝은 회색으로 보인다."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치수기입 시 치수 숫자와 기호의 표현이 잘못된 것은?

  1. 354.62
  2. 3t
  3. 185°
  4. □10
(정답률: 48%)
  • "3t"는 치수를 나타내는 올바른 형식이 아닙니다. 치수는 숫자와 단위 기호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t"는 단위 기호가 아니므로 올바른 치수 표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빛을 감지하는 감광 세포인 간상체가 지각할 수 있는 색은?

  1. 빨강
  2. 노랑
  3. 보라
  4. 회색
(정답률: 64%)
  • 간상체는 로드프시아닌이라는 시약에 반응하여 빛을 감지합니다. 이 시약은 빨강, 노랑, 보라색 빛에만 반응하며, 회색은 이들 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간상체가 지각할 수 있는 색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일반색명은?

  1. 베이지
  2. 복숭아색
  3. 어두운 회색
  4. 밤색
(정답률: 72%)
  • 일반색명은 "어두운 회색"입니다.

    - 베이지: 베이지는 연한 갈색과 크림색이 섞인 색상으로, 회색과는 다른 색상입니다.
    - 복숭아색: 복숭아색은 연한 분홍색으로, 회색과는 다른 색상입니다.
    - 어두운 회색: 어두운 회색은 검은색과 회색이 섞인 색상으로, 회색의 한 종류입니다.
    - 밤색: 밤색은 검은색과 갈색이 섞인 색상으로, 회색과는 다른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색의 감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채도가 높은 색은 탁하고 우울하다.
  2. 채도가 낮을수록 화려하다.
  3. 명도가 낮은 배색은 어두우나 활기가 있다.
  4. 명도가 높은 색은 주로 밝고 경쾌하다.
(정답률: 86%)
  • 명도란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도가 높을수록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빨강의 색상 기호를 먼셀 색체계에서 “5R 4/14”이라고 표시 할 때, “5R”이 나타내는 것은?

  1. 명도
  2. 색상
  3. 채도
  4. 색명
(정답률: 80%)
  • "5R"은 색상을 나타냅니다. 먼셀 색체계에서는 색상, 명도, 채도를 각각 숫자와 알파벳으로 표시하며, 이 중에서 숫자와 알파벳이 조합된 첫 번째 값이 색상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T자와 삼각자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T자는 왼손으로 머리부분을 잡고 제도판에 대어 이동한다.
  2. 기준을 잡은 T자 위쪽으로 삼각자를 놓고 사용한다.
  3. 수직선은 T자 위에 삼각자를 놓고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
  4. 빗금을 그을 때는 T자와 2개의 삼각자를 이용하여 사선방향으로 긋는다.
(정답률: 55%)
  • "수직선은 T자 위에 삼각자를 놓고 위에서 아래로 긋는다."가 틀린 것입니다. 수직선은 T자 위에 삼각자를 놓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긋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는 삼각자의 기울기가 90도가 아니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긋으면 수직선이 기울어져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명도와 채도가 유사한 동일 색상 배색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는?

  1. 동적인 이미지
  2. 화려한 이미지
  3. 정적인 이미지
  4. 명쾌한 이미지
(정답률: 67%)
  • 명도와 채도가 유사한 동일 색상 배색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는 정적인 이미지입니다. 이는 색상의 변화나 움직임이 없어서 정지된 이미지로서, 화려한 이미지나 명쾌한 이미지와는 달리 조용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동일한 주황색이라도 빨간색 배경 위의 주황색은 노란색 기미가, 노란색 배경 위의 주황색은 붉은 색 기미를 많이 보이는 것과 관련한 대비현상은?

  1. 보색대비
  2. 색상대비
  3. 채도대비
  4. 명도대비
(정답률: 69%)
  • 주어진 상황에서는 색상대비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색상대비는 서로 다른 색상이나 색조의 대비를 의미하며, 이 경우 빨간색 배경과 노란색 배경은 서로 다른 색상이므로 주황색의 색조가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빨간색 배경 위의 주황색과 노란색 배경 위의 주황색은 서로 다른 색조의 대비를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생동감, 열정, 활력으로 정열적인 이미지의 배색은?

  1. 검정, 회색
  2. 녹색, 파랑
  3. 빨강, 주황
  4. 노랑, 하양
(정답률: 92%)
  • 빨강과 주황은 불꽃, 태양, 열정 등을 상징하는 따뜻하고 활기찬 색상으로, 생동감과 활력을 나타내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두 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지며, 서로 상대방의 색을 강하게 드러내 보이게 되는 대비는?

  1. 동시대비
  2. 계시대비
  3. 연변대비
  4. 보색대비
(정답률: 65%)
  • 보색대비는 서로 반대되는 색상인 보색을 사용하여 대비를 만드는 것입니다. 보색은 서로의 영향으로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지며, 상대방의 색을 강하게 드러내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보색대비가 서로 다른 두 색을 대비적으로 사용할 때 가장 강력한 대비 효과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시광선 중 파장범위가 가장 긴 색은?

  1. 빨강
  2. 노랑
  3. 파랑
  4. 보라
(정답률: 74%)
  • 가시광선 중 파장이 가장 긴 색은 빨강입니다. 이는 빨강색의 파장이 700nm 이상으로 가장 긴 파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색상들은 빨강보다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투시도법의 기본 요소는?

  1. 대상, 형상, 거리
  2. 색채, 명암, 음영
  3. 형태, 그늘, 그림자
  4. 시점, 대상물, 거리
(정답률: 80%)
  • 투시도법은 3차원의 대상물을 2차원의 평면에 그리기 위한 기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시점, 대상물, 거리의 세 가지 요소가 필요합니다. 시점은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위치한 곳을 말하며, 대상물은 그림을 그리는 대상이 되는 물체를 말합니다. 거리는 시점과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이는 그림에서의 크기와 깊이감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시점, 대상물, 거리는 투시도법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현재 한국산업표준으로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색체계는?

  1. 오스트발트 색체계
  2. 먼셀 색체계
  3. CIE 표준 색체계
  4. 문스펜서 색체계
(정답률: 75%)
  • 한국산업표준으로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색체계는 먼셀 색체계입니다. 이는 색의 밝기와 채도를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색의 차이를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색의 표현이 일관성 있고 정확하며 광원에 따른 변화에도 강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이 물체를 표현하는 투시법은?

  1. 사각투시
  2. 유각투시
  3. 평행투시
  4. 삼각투시
(정답률: 46%)
  • 이 그림은 물체의 깊이감을 표현하기 위해 선들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유각투시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각투시법은 물체의 깊이감을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어 사실적인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이 원기둥에 감긴 실의 한 끝을 늦추지 않고 풀어 나갈 때, 이 실의 끝이 그리는 곡선은?

  1. 등간격 곡선
  2. 인벌류트 곡선
  3. 사이클로이드 곡선
  4. 아르키메데스 곡선
(정답률: 44%)
  • 이 곡선은 인벌류트 곡선입니다. 인벌류트 곡선은 원기둥의 표면에서 한 점을 고정하고 그 점에서 나아가는 실의 끝이 원기둥을 한 바퀴 돌 때마다 원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그리는 곡선입니다. 이 경우에는 실의 끝이 원기둥을 한 바퀴 돌 때마다 원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므로 인벌류트 곡선을 그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 중 회전 단면도는?

(정답률: 52%)
  • 회전 단면도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그림 중 ""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자른 단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자른 단면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평면도법 중 '같은 면적 그리기'가 아닌 것은?

(정답률: 5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른 세 개의 평면도법에서는 모두 같은 면적을 그리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지만, 네 번째 평면도법에서는 면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선을 그리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같은 면적 그리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디자인 재료

41. 다음 중 불규칙한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것은?

  1. 템플릿
  2. 운형자
  3. 비례 디바이더
  4. 비임 컴퍼스
(정답률: 59%)
  • 운형자는 불규칙한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이는 글자를 쓸 때 사용하는데, 글자의 끝부분이나 곡선 부분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불규칙한 곡선을 그릴 때 운형자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쇄물의 표면에 박막을 씌워 오염을 방지하고, 내수성과 광택을 향상시키는 후가공은?

  1. 엠보싱(Embossing)
  2. 라미네이팅(Laminating)
  3. 핫 스탬핑(Hot Stamping)
  4. 오버 코팅(Over Coating)
(정답률: 47%)
  • 인쇄물의 표면에 박막을 씌워 오염을 방지하고 내수성과 광택을 향상시키는 후가공은 라미네이팅입니다. 라미네이팅은 인쇄물의 표면에 투명한 박막을 씌워 보호하는 과정으로, 인쇄물의 내구성을 높이고 더욱 선명한 색감과 광택을 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입자가 거칠고 점력이 부족하나 불순물 함량이 적어 백색이 많은 1차 점토는?

  1. 내화점토
  2. 석기점토
  3. 벤토나이트
  4. 고령토
(정답률: 46%)
  • 고령토는 입자가 거칠고 점력이 부족하지만 불순물 함량이 적어 백색이 많은 1차 점토입니다. 이는 고령지방에서 많이 발견되어 그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옥외 등의 내수합판이나 목제품의 접합에 널리 사용되는 접착제로, 사용가능 시간이 길며 고온에서 즉시 접합되는 접착제는?

  1. 페놀계 접합제
  2. 에폭시계 접합제
  3. 아크릴계 접합제
  4. 멜라민계 접합제
(정답률: 36%)
  • 멜라민계 접합제는 사용 가능 시간이 길며 고온에서 즉시 접합되는 특징이 있어 옥외 등의 내수합판이나 목제품의 접합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멜라민 수지의 특성으로 인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펄프의 제조 방법에 의한 분류 중 원료를 약품처리와 기계적 처리를 범용하여 만든 펄프는?

  1. 세미케미컬 펄프
  2. 쇄목 펄프
  3. 화학 펄프
  4. 기계 펄프
(정답률: 40%)
  • 약품처리와 기계적 처리를 모두 사용하여 만든 펄프는 셈이 케미컬 펄프입니다. 이는 약품처리를 통해 목재를 분해하고 기계적 처리를 통해 분쇄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유기재료에 속하는 것은?

  1. 목재
  2. 강철
  3. 유리
  4. 도자기
(정답률: 65%)
  • 목재는 자연에서 생산되는 유기재료이기 때문에 유기재료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필름을 인화하였을 때 검은 흠집선이 생기는 원인은?

  1. 네거티브 캐리어 위의 먼지
  2. 필름의 유제층이나 필름 뒷면의 흠집
  3. 오랜 시간 현상액에 둔 경우
  4. 외부에서 암실로 들어온 빛
(정답률: 61%)
  • 필름을 인화할 때, 빛이 필름의 유제층을 통과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만약 유제층이나 필름 뒷면에 흠집이 있다면 빛이 이곳에서 반사되어 검은 흠집선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름의 유제층이나 필름 뒷면의 흠집이 검은 흠집선이 생기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스트리퍼블(strippable) 페인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장재의 더러움 방지를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한다.
  2. 필요할 때 간단히 벗겨낼 수 있다.
  3. 비닐계 수지이다.
  4. 얇게 도장해야 한다.
(정답률: 55%)
  • 얇게 도장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스트리퍼블 페인트는 일시적으로 사용되며, 필요할 때 간단히 벗겨낼 수 있는 비닐계 수지입니다. 하지만 얇게 도장해야 한다는 제한은 없습니다. 오히려 두껍게 도장하면 벗겨내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컴퓨터 그래픽스

49. 파일 포맷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PostScript – 어떤 출력장치에도 왜곡됨 없이 그래픽 이미지를 자유롭게 표현해 줄 수 있는 저장 방식
  2. PICT -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비트맵 이미지의 저장 방식
  3. PNG - 256 컬러 외에 1600만 컬러 모드로 저장이 가능하고 GIF보다 10~30% 뛰어난 압축률을 제공
  4. TIFF - 무손실 압축방식을 사용하며, OS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 가능
(정답률: 49%)
  • PICT -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비트맵 이미지의 저장 방식은 틀린 설명입니다. PICT는 Macintosh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이미지 파일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애니메이션과 동영상 파일 포맷이 아닌 것은?

  1. CPT
  2. FLC
  3. GIF
  4. SWF
(정답률: 45%)
  • "CPT"는 애니메이션과 동영상 파일 포맷이 아닌 이미지 파일 포맷입니다. CPT는 Corel PHOTO-PAINT에서 사용되는 파일 형식으로, 이미지를 저장하고 편집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명도 요소와 빨강~녹색, 노랑~파랑에 이르는 2가지의 색상 축을 기준으로 색상을 표시하는 컬러 방식은?

  1. Lab 모드
  2. RGB 모드
  3. HSB 모드
  4. CMYK 모드
(정답률: 56%)
  • Lab 모드는 명도 요소와 빨강~녹색, 노랑~파랑에 이르는 2가지의 색상 축을 기준으로 색상을 표시하는 컬러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색상을 표현하며, 다양한 장치와 환경에서 일관된 색상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ab 모드는 색상 정확도와 일관성을 중요시하는 그래픽 디자인, 인쇄, 웹 디자인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컴퓨터 작동 시 정보를 기억할 수 있고 전원이 꺼지면 지워지는 메모리는?

  1. Random Access Memory
  2. Read Only Memory
  3. Hard Disk Memory
  4. Floppy Memory
(정답률: 62%)
  • Random Access Memory은 컴퓨터가 작동하는 동안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로, 정보를 랜덤하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름이 Random Access Memory로 지어졌습니다. 반면에 Read Only Memory, Hard Disk Memory, Floppy Memory는 컴퓨터에 저장된 영구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며, 정보를 랜덤하게 접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작동 시 정보를 기억할 수 있고 전원이 꺼지면 지워지는 메모리는 Random Access Memo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GUI를 바탕으로 하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휴지통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스템에서 완전히 삭제하기 전에 잠시 보관하는 장소이다.
  2. 휴지통에 들어있는 파일은 디스크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디스크 관리에 용이하다.
  3. 휴지통에 들어있는 파일은 휴지통을 비우기 전까지는 언제든지 복원할 수 있다.
  4. 일부 시스템 파일은 휴지통에 버릴 수 없도록 안전장치를 해놓고 있다.
(정답률: 83%)
  • "휴지통에 들어있는 파일은 디스크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디스크 관리에 용이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휴지통에 들어간 파일은 여전히 디스크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디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휴지통을 비워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컴퓨터 디지털 신호의 기본적인 0과 1의 전기적 신호체계를 의미하는 용어는?

  1. Binary
  2. Bit Map
  3. Frame
  4. Vector
(정답률: 51%)
  • Binary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 체계를 의미합니다. 컴퓨터에서 모든 데이터는 이진수로 표현되며, 이진수는 0과 1의 조합으로 모든 숫자와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디지털 신호의 기본적인 0과 1의 전기적 신호체계를 의미하는 용어로 Binary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스캐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캐너는 반사된 빛을 측정하기 위해 CCD라는 실리콘칩을 사용한다.
  2. 해상도의 단위는 LPI이다.
  3. 입력된 파일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원하는 영역만 스캔할 수도 있다.
  4. 색상과 콘트라스트를 더욱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 감마보정이라는 방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61%)
  • 해상도의 단위는 LPI가 아니라 DPI이다. LPI는 인쇄물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입력장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컴퓨터 작업의 첫 단계이다.
  2. 컴퓨터 내부로 외부의 데이터를 전달한다.
  3. 정보를 기억하고, 기억한 정보를 처리한다.
  4.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등이 입력장치이다.
(정답률: 68%)
  • 정보를 기억하고, 기억한 정보를 처리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입력장치는 외부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 작업의 첫 단계이며,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등이 입력장치에 해당합니다. 입력된 데이터는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되고, 그 결과가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3D 오브제의 표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상 만들어진 무늬와 2D 이미지를 적용하여 사실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은?

  1. 포토리얼(Photoreal)
  2. 안티앨리어싱(Anti-Aliasing)
  3. 매핑(Mapping)
  4. 패치(Patch)
(정답률: 73%)
  • 3D 오브제의 표면에 2D 이미지나 프로그램 상 만들어진 무늬를 적용하여 사실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3D 모델의 각 면에 해당 이미지를 매핑해야 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매핑(Mapping)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해상도(Resolution)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화면에 이미지를 얼마나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2.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화소 단위를 말한다.
  3. 해상도가 높을수록 이미지의 질은 떨어진다.
  4. 해상도는 포스트스크립트 방식에서만 적용된다.
(정답률: 73%)
  • 해상도는 화면에 이미지를 얼마나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값으로,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선명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화소 단위인 픽셀(pixel)의 개수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화면에 이미지를 얼마나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만들어지는 선분은 양 끝의 제어점(Control Point)을 통해 만들어진다.
  2. 제어점의 위치만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제어성이 양호하다.
  3. 1개 조정점(Control Point)의 변경은 곡선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4. 수학적 데이터로 이미지 처리 및 리터칭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44%)
  • 베지어 곡선은 제어점의 위치에 따라 곡선이 결정되기 때문에 제어성이 양호하며, 1개 조정점의 변경이 곡선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베지어 곡선은 주로 그래픽 디자인에서 사용되며, 수학적 데이터로 이미지 처리 및 리터칭에도 활용됩니다. 이는 베지어 곡선이 곡선의 부드러움과 정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학적 데이터로 이미지 처리 및 리터칭에 주로 사용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I.P(Corporate Identity Program)를 제작할 때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벡터 이미지용 소프트웨어는?

  1. 포토샵(photoshop)
  2. 스트라타 스튜디오(Strata Studio)
  3.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
  4. 페인터(Painter)
(정답률: 83%)
  • C.I.P(Corporate Identity Program)를 제작할 때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벡터 이미지용 소프트웨어는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입니다. 이는 벡터 이미지를 다루는데 특화되어 있어, 로고나 아이콘 등의 디자인 작업에 적합합니다. 또한, 벡터 이미지는 확대나 축소를 해도 깨지지 않는 특성이 있어, 다양한 크기의 출력물을 만들어야 하는 C.I.P 제작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