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1-25)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2015-01-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디자인 일반

1. 연극, 영화, 음악회, 전람회 등 고지적 기능의 포스터는?

  1. 상품 광고 포스터
  2. 계몽 포스터
  3. 문화 행사 포스터
  4. 공공 캠패인 포스터
(정답률: 96%)
  • 문화 행사 포스터는 연극, 영화, 음악회, 전람회 등과 같은 문화 행사를 홍보하기 위해 제작되는 포스터입니다. 이 포스터는 해당 행사의 일정, 장소, 출연진 등을 간략하게 소개하며, 관객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고지적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실내 디자인에 있어 미적 효용성을 더해주는 액센트적 역할을 하는 실내 소품 선택시 고려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실내 소품은 개인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2. 소품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면 혼란을 주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3. 소품은 주변 물건과의 디자인 성격을 잘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해야 한다.
  4. 소품을 거는 벽은 되도록 진한 원색이나 무늬가 많은 것을 사용하여 주의를 끌어야 한다.
(정답률: 94%)
  • 소품을 거는 벽은 주목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진한 원색이나 무늬가 많은 것을 사용하여 주의를 끌어야 한다. 이를 통해 액센트적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포장디자인의 조건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유통시 취급 및 보관의 유의점을 고려한다.
  2. 제품의 보호기능을 고려한다.
  3. 제품의 성격을 충분히 고려한다.
  4. 시장 경기의 흐름을 충분히 고려한다.
(정답률: 92%)
  • 포장디자인은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마케팅 도구이므로, 시장 경기의 흐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소비자의 니즈와 트렌드에 맞지 않는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포장디자인을 계획할 때는 시장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고, 소비자의 니즈와 트렌드를 고려하여 제품을 디자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기의 (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용어는?

  1. 연속
  2. 대비
  3. 조화
  4. 강조
(정답률: 81%)
  • 주어진 그래프에서는 두 가지 변수의 변화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두 변수 간의 차이나 변화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를 "대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디자인 전개 과정의 분석내용 중 디자인 문제의 범위 내에서 제품을 이루는 부품을 하나하나 분류하여 각각에 대해 평가, 분석하여 과도한 부분이 있으면 줄이거나 제거하는 분석은?

  1. 사용 과정 분석
  2. 관계 분석
  3. 원인 분석
  4. 가치 분석
(정답률: 60%)
  • 가치 분석은 제품을 이루는 각 부품에 대해 평가하고 분석하여, 과도한 부분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분석입니다. 이는 디자인 문제의 범위 내에서 제품을 개선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부분을 강화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가치 분석이 디자인 전개 과정에서 제품을 개선하는 중요한 분석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제품디자인에서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브레인스토밍
  2. 상관표 작성
  3. 시네틱스
  4. 형태학적 차트 작성
(정답률: 52%)
  • 상관표 작성은 이미 존재하는 아이디어나 제품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제품디자인에서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아이디어 스케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자유로운 이미지의 표현
  2. 신속한 아이디어 전개
  3.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한 방법
  4. 정확도와 정밀성이 높은 그림
(정답률: 91%)
  • 정확도와 정밀성이 높은 그림은 아이디어 스케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아이디어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정확도와 정밀성이 높은 그림"이 아니라 다른 항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업이 일관된 이미지를 부여함으로써 어디서나 시각적으로 이미지가 구별될 수 있도록 한 체계적인 이미지 전략은?

  1. CF
  2. BI
  3. CI
  4. DM
(정답률: 82%)
  • CI는 Corporate Identity의 약자로, 기업의 일관된 이미지를 부여하여 어디서나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이미지 전략입니다. 따라서, CI가 정답입니다. CF는 Corporate Finance의 약자로, 기업의 재무 전략을 의미합니다. BI는 Business Intelligence의 약자로, 기업의 데이터 분석 및 정보 수집 전략을 의미합니다. DM은 Direct Marketing의 약자로, 직접적인 마케팅 전략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기본시스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로고타입
  2. 서체
  3. 시그니처
  4. 광고
(정답률: 77%)
  •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기본시스템은 로고타입, 서체, 시그니처로 구성됩니다. 이들은 브랜드의 이미지를 대표하고,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광고는 브랜드의 홍보와 마케팅에 관련된 것으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기본시스템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형태를 분류할 때 기하학의 도형과 같은 조형요소로 이루어진 형태는?

  1. 현실적 형태
  2. 이념적 형태
  3. 자연 형태
  4. 유기적 형태
(정답률: 69%)
  • 기하학적 도형은 현실적인 형태나 자연적인 형태와는 달리 인간의 이념이나 개념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이념적 형태로 분류됩니다. 예를 들어, 원은 인간의 이념에 따라 만들어진 도형으로, 실제 세상에서 완벽한 원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하학적 도형은 인간의 이념과 개념에 따라 만들어진 형태이므로 이념적 형태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게슈탈츠(gestalt) 요인이 아닌 것은?

  1. 시각성의 요인
  2. 유사성의 요인
  3. 폐쇄성의 요인
  4. 근접성의 요인
(정답률: 76%)
  • 게슈탈츠 이론에서는 시각성의 요인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게슈탈츠 이론에서는 인식의 기본 단위로서 전체적인 형태나 구조를 중요시하는데, 이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유사성의 요인, 폐쇄성의 요인, 근접성의 요인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각성의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공간의 구분, 공기의 차단, 소리의 차단, 보온 등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인간의 시선이 가장 많이 머무르는 공간 요소이다.
  2. 대지와 차단 시켜주고, 걸어 다닐 수 있고 가구를 놓을 수 있도록 고른 면을 제공한다.
  3. 시선이 별로 가지 않으므로 기각적 요소가 약하다.
  4. 건축에서 마감한 공간을 내부에서 재마감하여 전기 조명 설치, 방음, 단열, 흡음, 통신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정답률: 83%)
  • 벽은 공간의 구분, 공기의 차단, 소리의 차단, 보온 등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인간의 시선이 가장 많이 머무르는 공간 요소이다. 이는 벽이 공간을 나누고,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여 공기와 소리를 차단하며, 보온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벽은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요소 중 하나로, 시선이 많이 머무르는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역할도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간과 도구의 상호작용(interaction)이 중요한 연구 대상인 분야는?

  1. 스페이스 디자인(Space Design)
  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Communication Design)
  3. 프로덕트 디자인(Product Design)
  4. 인테리어 디자인(Interior Design)
(정답률: 55%)
  • 프로덕트 디자인은 제품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디자인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인간과 도구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연구 대상입니다. 제품의 기능, 사용성,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르누보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회화, 건축, 공예, 인테리어, 그래픽 등의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2. 기본적인 형태의 반복, 동심원 등의 기하학적 문양을 선호하였다.
  3. 대량생산을 위한 합리적인 기능성 장식을 사용하였다.
  4. 시대를 앞선 기발하고 점진적인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정답률: 63%)
  • 아르누보는 "기본적인 형태의 반복, 동심원 등의 기하학적 문양을 선호하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대량생산을 위한 합리적인 기능성 장식을 사용하였다"는 특징으로 인해 회화, 건축, 공예, 인테리어, 그래픽 등의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새로운 디자인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제품의 발전 기본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침체된 시장에서 활로 개척
  2. 구성 요소(부품)의 대형화
  3. 변형된 형태의 개념(새로운 스타일 개발)
  4. 제품 이용자의 욕구 변화
(정답률: 79%)
  • 구성 요소(부품)의 대형화는 새로운 디자인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제품의 발전 기본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제품의 디자인이 바뀌면서 기존의 작은 부품들이 대형화되거나 새로운 큰 부품들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이는 제품의 생산과 관리에 새로운 도전을 제시하며, 기존의 생산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수직ㆍ수평의 화면 분할, 3원색과 무채색의 구성 특성을 보이는 근대 디자인 운동은?

  1. 아르누보(Art nouveau)
  2. 드 스틸(De stijl)
  3. 유겐트 스틸(Jugendstil)
  4. 시세션(Secession)
(정답률: 51%)
  • 드 스틸은 수직ㆍ수평의 화면 분할과 3원색과 무채색의 구성 특성을 중요하게 다루는 근대 디자인 운동입니다. 이는 디자인에서 기하학적인 요소와 색채의 조합을 강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드 스틸은 기하학적인 형태와 단순한 색채를 이용하여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디자인 운동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마케팅 시스템의 목표와 거리가 먼 것은?

  1. 소비자 만족 증진
  2. 소비의 확대
  3. 생산의 극대화
  4. 생활의 질 증진
(정답률: 66%)
  • 마케팅 시스템의 목표는 소비자 만족 증진과 소비의 확대를 통해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생산의 극대화는 제품 생산량을 늘리는 것에 초점을 둔 목표로, 소비자의 니즈나 요구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므로 마케팅 시스템의 목표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생산의 극대화는 제품의 품질과 가격 등을 고려하지 않고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므로 소비자 만족 증진과 소비의 확대를 위한 마케팅 시스템과는 상반된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품디자인 개발과정 중 디자인 해결안 모색단계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작업은?

  1. 시장조사
  2. 렌더링
  3. 아이디어 스케치
  4. 디자인 목업
(정답률: 48%)
  • 디자인 해결안 모색단계에서는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구체화하기 위해 주로 아이디어 스케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빠르게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공유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빠르게 시도해보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디자인 해결안 모색단계에서는 아이디어 스케치 작업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실내 디자인은 여러 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디자인 의도를 확인하고 공간의 재료나 가구, 색채 등에 대한 계획을 시각적으로 제시(Presentation)하는 과정은?

  1. 기획 단계
  2. 설계 단계
  3. 시공 단계
  4. 사용 후 평가 단계
(정답률: 63%)
  • 디자인 의도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공간의 재료, 가구, 색채 등을 결정하는 것은 디자인의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설계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율동을 구성하는 형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반복
  2. 방사
  3. 점이
  4. 대칭
(정답률: 71%)
  • 정답은 "방사"입니다.

    율동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운동을 말합니다. 이러한 반복 운동은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복"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형식을 의미하며, "점이"는 한 점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반복되는 형식을 의미합니다. "대칭"은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대칭"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아니지만, 다른 형식들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방사"는 중심점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형식으로, 주기적인 반복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율동을 구성하는 형식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도법

21. 다음 중 축측 투상도에 해당하는 것은?

  1. 투시 투상도
  2. 등각 투상도
  3. 사투상도
  4. 복면 투상도
(정답률: 61%)
  • 등각 투상도는 모든 방향에서 거리 비율이 일정한 투상도로, 축측 투상도와 마찬가지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진다. 따라서 지도상에서는 직선이 일정한 각도로 교차하게 되어 등각 투상도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중간혼합으로 병치혼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다른 색광이 망막을 동시에 자극하여 혼합하는 현상이다.
  2. 주로 인쇄의 망점, 직물, 컬러TV 등에서 볼 수 있다.
  3. 색점이 주로 인접해 있으므로 명도와 채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4. 색을 혼합하기 때문에 명도와 채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63%)
  • "색을 혼합하기 때문에 명도와 채도가 낮아진다."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이유 설명이 더 필요합니다.

    색을 혼합하면 빛의 파장이 섞이기 때문에 명도와 채도가 낮아집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을 혼합하면 보라색이 되는데, 이때 빨간색과 파란색의 파장이 섞여서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명도가 낮아지고, 빨간색과 파란색의 채도가 감소하여 보라색의 채도도 낮아집니다. 따라서, 중간혼합으로 병치혼합을 만들 때에도 색을 혼합하기 때문에 명도와 채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배색의 조건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사물의 성질, 기능, 용도에 부합되도록 해야 한다.
  2. 전달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단색의 이미지만을 고려한다.
  4. 재질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87%)
  • 단색의 이미지만을 고려하는 이유는 다양한 색상을 조합하면 시각적으로 혼란스러워지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흐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색은 깔끔하고 명확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어서, 배색의 조건과 거리가 가장 먼 것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색채의 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흰색 바탕위의 회색은 검정 바탕위의 회색보다 더 어둡게 보인다.
  2. 빨간색 바탕위의 보라색은 파란색 바탕위의 보라색 보다 붉게 느껴진다.
  3. 회색 바탕위의 빨간색은 분홍색 바탕위의 빨간색 보다 탁하게 보인다.
  4. 빨간색은 청록색과 인접하여 있을 때, 명도 차이가 두드러지게 강조된다.
(정답률: 48%)
  • 흰색 바탕 위의 회색이 검정 바탕 위의 회색보다 더 어둡게 보이는 이유는 대비의 차이 때문입니다. 흰색은 밝은 색이고 검정색은 어두운 색입니다. 따라서 같은 회색이라도 흰색 바탕 위에서는 더 어둡게 느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색감각을 일으키는 빛의 특성을 나타내는 색체계는?

  1. 혼색계
  2. 색지각
  3. 현색계
  4. 등색상
(정답률: 48%)
  • 혼색계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우리가 보는 모든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색체계입니다. 이에 반해 등색상은 단일한 파장을 가진 빛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고, 색지각은 인간의 눈이 색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현색계는 인간의 눈이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색상을 포함하는 색체계로, 혼색계와 유사하지만 더욱 정교한 색상 표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먼셀의 기본 5 색상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R, Y, O, B, Y
  2. R, G, B, W, Y
  3. R, Y, G, B, P
  4. Y, G, B, Bk, P
(정답률: 82%)
  • 먼셀의 기본 5 색상은 빨강(Red), 노랑(Yellow), 초록(Green), 파랑(Blue), 보라(Purple)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R, Y, G, B, 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투시도법으로 얻은 상이 작아서 그대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 그것을 임의의 크기대로 확대하여 사용하는 도법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71%)
  • 확대도법에 해당하는 것은 "" 입니다. 이는 투시도법으로 얻은 상을 원하는 크기로 확대하여 사용하는 도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투시도법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도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입체 각 방향의 면에 화면을 두어 투영된 면을 전개하는 투상 방법은?

  1. 정투상
  2. 2점 투시투상
  3. 사투상
  4. 표고 투상
(정답률: 51%)
  • 정투상은 입체 각 방향의 면에 화면을 두어 투영된 면을 전개하는 투상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각 면에서의 투영 방향이 일정하므로 전개된 면이 왜곡되지 않고 정확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투상은 다른 투상 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높고 사용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 제도에서 ø30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반지름 30mm
  2. 모따기 30mm
  3. 두께 30mm
  4. 지름 30mm
(정답률: 76%)
  • 일반 제도에서 ø30은 지름 30mm을 나타냅니다. ø 기호는 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숫자는 해당 지름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ø30은 지름이 30mm인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제도용 문자의 크기는 문자의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1. 너비
  2. 굵기
  3. 높이
  4. 간격
(정답률: 62%)
  • 제도용 문자의 크기는 높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문자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나 굵기, 간격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제도용 문자는 주로 인쇄물이나 화면에서 글씨가 작아져도 읽기 쉽도록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시인성이 가장 낮은 배색은?

  1. 검정 - 노랑
  2. 파랑 - 주황
  3. 빨강 - 흰색
  4. 연두 - 파랑
(정답률: 80%)
  • 연두와 파랑은 색상적으로 조화를 이루지만, 시인성 측면에서는 다소 지루하고 예측 가능한 조합이기 때문에 시인성이 가장 낮은 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색의 동화현상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바탕에 비해 도형이 작고 촘촘하면 잘 일어난다.
  2. 선분이 가늘고 간격이 좁을수록 잘 일어난다.
  3. 배경색과 도형색의 명도차가 적을수록 잘 일어난다.
  4. 배경색과 도형색의 색상차가 클수록 잘 일어난다.
(정답률: 69%)
  • 배경색과 도형색의 색상차가 클수록 잘 일어난다는 이유는, 색의 동화현상은 인간의 시각적인 능력에 의해 발생하는데, 색상차가 크면 눈에 더 잘 띄기 때문입니다. 즉, 배경색과 도형색이 구분이 잘 되는 경우에는 색의 동화현상이 덜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색의 3속성이 아닌 것은?

  1. 명도
  2. 채도
  3. 대비
  4. 색상
(정답률: 83%)
  • "대비"는 색의 속성이 아니라 색상과 명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다른 세 가지 속성인 "명도", "채도", "색상"은 색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반해, "대비"는 색의 비교를 위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대비"는 색의 속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점 쇄선의 용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가공 전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
  2. 도형의 중심을 표시하는 선
  3. 대상물의 일부를 파단한 경계를 표시하는 선
  4.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
(정답률: 56%)
  • 1점 쇄선은 도형의 중심을 표시하는 선입니다. 이는 도형의 대칭성을 확인하거나, 가공 시 중심을 기준으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감광요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황-청, 적-녹 등의 차이를 볼 수 있는 것은 추상체의 역할이다.
  2. 추상체와 간상체가 동시에 함께 활동하는 것을 박명시라고 한다.
  3. 닭은 추상체만 있어 야간에는 활동할 수가 없다.
  4. 색순응은 물체색을 오랫동안 보면 색의 지각이 강해지는 현상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색순응은 물체색을 오랫동안 보면 색의 지각이 강해지는 현상이다."가 아닌 것입니다.

    색순응은 물체색을 오랫동안 보면 색의 지각이 강해지는 현상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의 기본도법은 무엇을 구하는 것인가?

  1. 각의 2등분
  2. 사선 긋기
  3. 중심구하기
  4. 삼각형 그리기
(정답률: 88%)
  • 그림의 기본도법은 각의 2등분을 구하는 것입니다. 이는 그림에서 각을 정확하게 나누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각의 2등분을 구하면 그림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각형을 그릴 때 각의 2등분을 구하면 삼각형의 중심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각형을 그릴 때도 각의 2등분을 구하면 대각선을 그리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그림의 기본도법에서 각의 2등분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채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은 무채색에 이를수록 채도가 낮아진다.
  2. 색의 맑기와 선명도이다.
  3. 채도가 높은 색을 청(淸)색, 낮은 색을 탁(濁)색 이라 한다.
  4. 먼셀 색체계에서는 밸류(value)로 표시된다.
(정답률: 70%)
  • 먼셀 색체계에서는 채도가 아닌 밝기를 밸류(value)로 표시하기 때문에, "먼셀 색체계에서는 채도가 밸류로 표시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의 2색 배색 중 동적인 이미지를 주는 배색이 아닌 것은?

  1. 빨강 - 청록
  2. 연두 - 자주
  3. 노랑 - 어두운 빨강
  4. 하늘색 - 연한 보라
(정답률: 71%)
  • 정답은 "하늘색 - 연한 보라"입니다. 이유는 두 색상이 모두 살짝 탁한 색조이기 때문에 동적인 이미지를 주기보다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주게 됩니다. 반면, 다른 3가지 색상은 각각 대비가 강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동적인 이미지를 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장축과 단축이 주어질 때 타원을 그릴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직접법
  2. 4중심법
  3. 대ㆍ소부원법
  4. 평행사변형법
(정답률: 45%)
  • 직접법은 주어진 두 점을 지나는 타원의 중심을 구하고, 그 중심에서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이용하여 타원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렵고,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직접법"이 타원을 그릴 수 있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표기된 색 중 가장 무겁게 느껴지는 색은?

  1. 10R 4/7
  2. 6P 7/6
  3. 10RP 2/2.5
  4. 5B 5/2
(정답률: 48%)
  • 가장 무겁게 느껴지는 색은 "10RP 2/2.5"입니다. 이유는 "RP"가 포함된 색으로, 이는 빨강과 보라가 혼합된 색이기 때문입니다. 빨강과 보라는 모두 어두운 색상으로, 이러한 색상이 혼합되어 더욱 어두운 느낌을 줍니다. 또한, "2/2.5"는 색의 명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더 어두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10RP 2/2.5"는 빨강과 보라가 혼합된 어두운 색상이며, 명도 값이 작아서 더욱 무겁게 느껴지는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디자인 재료

41. 재료 사이클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물질
  2. 에너지
  3. 환경
  4. 기술
(정답률: 61%)
  • 기술은 재료 사이클의 3요소가 아닙니다. 재료 사이클은 물질, 에너지, 환경으로 구성되며, 기술은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그 자체로는 재료 사이클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필름의 감도를 나타내는 기호가 아닌 것은?

  1. DIN
  2. ASA
  3. ISO
  4. KS
(정답률: 73%)
  • 정답은 "KS"입니다.

    "DIN", "ASA", "ISO"는 모두 필름의 감도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DIN"은 독일의 규격으로, 필름의 감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ASA"는 미국의 규격으로, 필름의 감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규격으로, 필름의 감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KS"는 대한민국의 규격으로, 필름의 감도를 나타내는 기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식물을 원료로 발효하는 종이제법을 최초로 발명한 사람은?

  1. 루이 로베로
  2. 채륜
  3. 디킨스
  4. 케일러
(정답률: 53%)
  • 채륜은 1679년에 '식물을 원료로 발효하는 종이제법'을 최초로 발명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종이에 내수성을 가지게 하고, 잉크 번짐을 막기 위해 종이의 표면 또는 섬유에 아교물질을 피복시키는 공정은?

  1. 고해
  2. 사이징
  3. 충전
  4. 착색
(정답률: 78%)
  • 종이에 내수성을 부여하고 잉크 번짐을 막기 위해 종이의 표면 또는 섬유에 아교물질을 피복시키는 공정은 사이징입니다. 사이징은 종이를 만들기 전에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에 아교물질을 덧대어 내수성을 부여하는 공정입니다. 이로 인해 종이의 표면이 부드럽고 매끄러워지며, 잉크가 번지지 않고 선명하게 인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특징은?

  1. 150℃를 전후로 변형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2. 사출 성형 등 능률적인 연속적 가공방법을 쓸 수 있다.
  3. 성형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4. 거의 전부가 반투명 또는 불투명 제품이다.
(정답률: 55%)
  •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고온에서 변형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등 능률적인 연속적 가공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 또한, 성형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거의 전부가 반투명 또는 불투명 제품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도료의 필요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색깔의 변색과 퇴색이 없어야 한다.
  2. 될 수 있는 한 고가의 제품이어야 한다.
  3. 지정된 색상과 광택을 유지해야 한다.
  4. 모재에 부착성이 양호하여야 한다.
(정답률: 87%)
  • 고가의 제품일수록 보다 높은 품질의 원료와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색깔의 변색과 퇴색이 없고 지정된 색상과 광택을 유지할 수 있으며, 모재에 부착성이 양호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고가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조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중금속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구리
  2. 아연
  3. 알루미늄
  4. 텅스텐
(정답률: 62%)
  • 알루미늄은 경량금속에 속하며, 중금속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필의 심도에 따라 무른 심 → 단단한 심의 순서대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2B → HB → 2H
  2. 2H → HB → 2B
  3. HB → 2B → 2H
  4. 2B → 2H → HB
(정답률: 64%)
  • 연필의 심도는 숫자와 알파벳으로 표시되며, 숫자가 작을수록 무른 심이고, 숫자가 클수록 단단한 심입니다. 알파벳은 심의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B는 더 어두운 심을, H는 더 밝은 심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B → HB → 2H"가 옳은 순서입니다. 2B는 가장 무른 심으로 어두운 심이며, HB는 중간 정도의 어두운 심으로 중간 정도의 단단함을 가지며, 2H는 가장 단단한 심으로 가장 밝은 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컴퓨터 그래픽스

49. 모니터의 색상과 출력물 간의 색상차이를 최소화하는 작업은?

  1. 로토스코핑(Rotoscoping)
  2. 트림(Trim)
  3.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4. 새츄레이션(Saturation)
(정답률: 65%)
  • 캘리브레이션은 모니터의 색상을 정확하게 조정하여 출력물과의 색상 차이를 최소화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모니터에서 보이는 색상과 출력물의 색상이 일치하게 되어 정확한 색상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캘리브레이션이 색상과 출력물 간의 색상차이를 최소화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X-Y 플로터가 개발되면서 종이 위에 정확한 그림 표현(설계도면, 곡선, 복잡한 도형 등)이 가능하였으며, 또한 플로터의 시기라고 칭하기도 한 컴퓨터 그래픽스 세대는?

  1. 제1세대
  2. 제2세대
  3. 제3세대
  4. 제4세대
(정답률: 44%)
  • X-Y 플로터는 컴퓨터 그래픽스의 초기 형태로, 제1세대에 해당합니다. 이는 컴퓨터가 아주 간단한 그래픽만을 표현할 수 있었던 시기로, X-Y 플로터를 통해 정확한 그림 표현이 가능해졌지만, 그래픽 처리 능력은 매우 제한적이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도면작성에서 CAD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정밀한 도면 및 데이터 작성이 가능하다.
  2. 풍부한 아이디어가 제공된다.
  3. 규격화와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다.
  4. 입력 및 수정이 편리하다.
(정답률: 86%)
  • CAD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갖는 장점 중 "풍부한 아이디어가 제공된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CAD 프로그램은 주로 정밀한 도면 및 데이터 작성, 규격화와 데이터 관리, 입력 및 수정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풍부한 아이디어가 제공된다."는 CAD 프로그램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스캐너(scanne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캐너의 해상도는 X, Y의 좌표값으로 나타낸다.
  2. 컴퓨터그래픽스 작업 시 이미지를 입력한다.
  3. 화소(pixel)의 방출이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다.
  4. 드럼 스캐너는 원색분해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47%)
  • "스캐너의 해상도는 X, Y의 좌표값으로 나타낸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스캐너의 해상도는 DPI (dots per inch) 또는 PPI (pixels per inch)로 나타내며, 이미지를 입력하고 화소의 방출이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집니다. 드럼 스캐너는 원색분해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3차원 형상 모델링 중, 속이 꽉 차 있어 수치 데이터 처리가 정확하여 제품생산을 위한 도면제작과 연계된 모델은?

  1. 와이어프레임 모델
  2. 서페이스 모델
  3. 솔리드 모델
  4. 곡면 모델
(정답률: 71%)
  • 솔리드 모델은 3차원 형상을 완전히 채워진 고체로 표현하는 모델링 방법입니다. 따라서 속이 꽉 차 있어 수치 데이터 처리가 정확하며, 제품생산을 위한 도면제작과 연계하기에 적합합니다. 반면, 와이어프레임 모델은 선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실제 형상을 파악하기 어렵고, 서페이스 모델과 곡면 모델은 표면만 표현하기 때문에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솔리드 모델이 가장 적합한 모델링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여러 개의 단면 형상을 배치하고 여기에 막을 입혀 3차원 입체를 만드는 방법은?

  1. 스키닝(skinning)
  2. 스위핑(sweeping)
  3. 블렌딩(blending)
  4. 라운딩(rounding)
(정답률: 46%)
  • 스키닝은 여러 개의 단면 형상을 배치하고 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막을 입혀 3차원 입체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는 3D 모델링에서 캐릭터나 동물 등의 모델링에 많이 사용되며, 각 단면 형상의 변화에 따라 막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스키닝은 3D 모델링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동작의 목록을 아이콘이나 메뉴로 보여주고 사용자가 마우스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뜻하는 것은?

  1. CLI
  2. LCD
  3. GPS
  4. GUI
(정답률: 73%)
  • GUI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그래픽으로 표현된 아이콘, 버튼, 메뉴 등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따라서, 동작의 목록을 아이콘이나 메뉴로 보여주고 사용자가 마우스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은 GU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포토샵 작업 중 처음에 설정한 페이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한다.
  2. 캔버스의 크기를 변경한다.
  3. crop 툴을 사용하여 변경한다.
  4. Magic wand 툴로 선택하여 변경한다.
(정답률: 73%)
  • Magic wand 툴은 이미지나 캔버스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이 아니라, 선택 영역을 만들어내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이미지나 캔버스의 크기를 변경하려면 crop 툴이나 이미지 크기 조절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입력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플로터
  2. 마우스
  3. 스캐너
  4. 디지타이징 태블릿
(정답률: 69%)
  • 플로터는 출력장치이기 때문에 입력장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마우스, 스캐너, 디지타이징 태블릿은 모두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입력장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고품질 인쇄출력에 가장 적합한 파일 포맷은?

  1. EPS
  2. BMP
  3. PNG
  4. JPEG
(정답률: 46%)
  • EPS 파일은 벡터 그래픽을 지원하며, 고해상도 인쇄물에 적합한 파일 포맷입니다. 벡터 그래픽은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해도 품질이 유지되므로, 인쇄물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EPS 파일은 투명 배경을 지원하므로, 인쇄물의 배경이 투명하게 출력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품질 인쇄물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EPS 파일이 가장 적합한 파일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니터 화면에서 그림이나 글자가 입력되거나 출력될 위치에 깜박거리는 표시는?

  1. 아이콘(Icon)
  2. 커서Cursor)
  3. 픽셀(Pixel)
  4. 패턴(Pattern)
(정답률: 84%)
  • 커서는 사용자가 입력할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따라서 모니터 화면에서 그림이나 글자가 입력되거나 출력될 위치에 깜박거리는 표시는 커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3차원 컴퓨터그래픽스의 기하학적 원형(Geometric primitive)이 아닌 것은?

  1. Torus
  2. Cone
  3. Boolean
  4. Cylinder
(정답률: 53%)
  • Boolean은 기하학적 원형이 아니라 논리 연산자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oolea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