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정지화상 자료를 컴퓨터 내의 자료표현 방식으로 바꾸어 주는 입력장치는?

  1. 마우스
  2. 키보드
  3. 스캐너
  4. 모니터
(정답률: 83%)
  • 스캐너는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입력장치이기 때문에 정지화상 자료를 컴퓨터 내의 자료표현 방식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캐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시스템의 성능평가 척도로서 주로 온라인리얼타임 처리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1. 응답시간
  2. 저장능력
  3. 인쇄능력
  4. 에러시간
(정답률: 92%)
  • 온라인리얼타임 처리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응답시간이 매우 중요합니다. 응답시간이 빠를수록 사용자는 더 높은 만족도를 느끼며, 시스템의 성능도 더 우수하다고 평가됩니다. 따라서 응답시간은 시스템의 성능평가 척도로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저장능력, 인쇄능력, 에러시간은 모두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온라인리얼타임 처리에서는 응답시간이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디스크 팩이 7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 면당 200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이 디스크 팩에서 사용 가능한 실린더의 수는?

  1. 200
  2. 400
  3. 1200
  4. 1400
(정답률: 75%)
  • 한 면당 200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 실린더는 2개의 면에 걸쳐 200 x 2 = 400개의 트랙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7장의 디스크 팩에서 사용 가능한 실린더의 수는 400 x 7 = 2800개가 됩니다. 하지만 한 면에서는 한 실린더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가능한 실린더의 수는 2800 / 2 = 1400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00"이 아닌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기와 기기간의 접속이나 인간이 기계를 조작할 경우 공유영역으로서 상호의사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은?

  1. 프로토콜
  2. 네트워크
  3. 정보공간
  4. 인터페이스
(정답률: 81%)
  • 인터페이스는 기기와 기기, 인간과 기계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공유영역입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의사 전달이 이루어집니다. 프로토콜은 통신규약, 네트워크는 컴퓨터들이 연결된 구조, 정보공간은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일괄처리(Batch processing)에 적합한 것은?

  1. 항공기 예약 업무
  2. 수도요금 계산 업무
  3. 증권매매 업무
  4. 공장자동제어 업무
(정답률: 83%)
  • 일괄처리는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수도요금 계산 업무는 매월 대량의 고객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일괄처리에 적합합니다. 항공기 예약 업무나 증권매매 업무는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괄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공장자동제어 업무는 제어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괄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데이터베이스(database) 처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중복자료의 배제
  2. 저렴한 비용과 적은 기억장치
  3. 자료의 통합 처리가능
  4. 프로그램과 자료의 독립성
(정답률: 75%)
  • 답은 "저렴한 비용과 적은 기억장치"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처리는 중복자료의 배제, 자료의 통합 처리가능, 프로그램과 자료의 독립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비용과 기억장치의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높은 비용과 많은 기억장치를 필요로 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처리의 복잡성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따른 필요성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화상미디어의 압축관련 기술이 아닌 것은?

  1. MPEG
  2. WAV
  3. H.261
  4. JPEG
(정답률: 54%)
  • WAV는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화상미디어의 압축 기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MPEG, H.261, JPEG은 모두 화상 또는 동영상의 압축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억장치의 자료 접근속도가 빠른 순으로 좌측부터 배열된 것은?

  1. 주기억장치-캐시-보조기억장치
  2. 보조기억장치-주기억장치-캐시
  3. 캐시-보조기억장치-주기억장치
  4. 캐시-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
(정답률: 70%)
  • 캐시는 CPU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자료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르고, 주기억장치는 캐시보다는 느리지만 CPU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보조기억장치보다는 빠릅니다. 마지막으로 보조기억장치는 CPU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자료 접근 속도가 가장 느립니다. 따라서 캐시-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 순으로 배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무업무의 생산성 향상 척도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효율성
  2. 기기의 독립성
  3. 유효성
  4. 창조성
(정답률: 72%)
  • 기기의 독립성은 사무업무의 생산성 향상 척도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기기의 독립성이 생산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효율성, 유효성, 창조성과 같은 요소들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해주는 시스템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인터프리터
  2. 컴파일러
  3. 통신관리 시스템
  4. 운영체제(OS)
(정답률: 87%)
  •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해주는 시스템프로그램을 운영체제(OS)라고 한다.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램,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통신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하는 시스템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멀리 떨어져 있는 회의실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상호연결 하여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은?

  1. 원격회의 시스템
  2. 분산처리 시스템
  3. 원격조정 시스템
  4. 텔레텍스트
(정답률: 97%)
  • 원격회의 시스템은 멀리 떨어져 있는 회의실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상호연결하여 비대면으로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상황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이다. 분산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업을 분산 처리하는 시스템이고, 원격조정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다른 장치나 시스템을 조정하는 시스템이다. 텔레텍스트는 전자적인 텍스트 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큰 프로그램을 보다 작은 프로그램으로 분할해서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어서 주기억장치에 읽어 들일 수 있도록 한 것은?

  1. 서부루틴(subroutine)
  2. 세그먼트(segment)
  3. 링키지(linkage)
  4. 스래싱(thrasding)
(정답률: 78%)
  • 큰 프로그램을 보다 작은 프로그램으로 분할해서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어서 주기억장치에 읽어 들일 수 있도록 한 것은 세그먼트(segment)입니다. 세그먼트는 프로그램을 논리적인 단위로 분할하여 메모리에 로드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세그먼트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메모리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정보처리시스템에서 분산처리와 집중처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스템의 확장성은 분산처리 시스템이 우수하다.
  2.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은 분산처리시스템이 우수하다.
  3. 집중처리시스템은 중앙컴퓨터에 부하가 집중된다.
  4. 시스템의 유연성, 신뢰성은 집중처리시스템이 우수하다.
(정답률: 71%)
  • "시스템의 유연성, 신뢰성은 집중처리시스템이 우수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분산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업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시스템의 확장성과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구현에 우수합니다. 또한, 분산처리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에 부하가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집중처리 시스템은 중앙 컴퓨터에 모든 작업이 집중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하가 집중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유연성과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사무자동화를 추진하는 방법 중 전사적 접근방식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계획의 성공에 따라 매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작은 규모 및 신설조직에 적합하다.
  3. 시스템 도입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4. 시행착오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정답률: 52%)
  • "시행착오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전사적 접근방식의 특성이 아닙니다. 이유는 전사적 접근방식은 조직 전체적인 시각에서 사무자동화를 추진하므로, 시행착오를 경험하면서 조금씩 개선해나가는 방식보다는 미리 철저한 계획과 검토를 거쳐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를 전사적으로 통합하여 효율적인 업무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전사적 접근방식은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보다는 미리 계획을 세우고 철저한 검토를 거쳐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구입할 대 비용 지불 방법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분류하는데 시험 삼아 사용한 후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느껴 대가를 지불하는 것을 전제로 무료로 배포하는 것은?

  1. 펌웨어(firmware)
  2. 포스트카드웨어(postcardware)
  3. 셰어웨어(shareware)
  4. 프리웨어(freeware)
(정답률: 66%)
  • 셰어웨어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먼저 사용해보고 필요하다고 느낄 경우에 대가를 지불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따라서 셰어웨어는 무료로 배포되지만, 대가를 지불하지 않으면 제한된 기능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플로피디스크 기억용량을 계산할 때 고려되지 않는 것은?

  1. 섹트 수
  2. 기록밀도
  3. 액세스 암의 개수
  4. 트랙 수
(정답률: 70%)
  • 플로피디스크의 기억용량을 계산할 때에는 섹트 수, 기록밀도, 트랙 수 등이 고려되지만, 액세스 암의 개수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액세스 암은 디스크의 읽기/쓰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디스크의 기억용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액세스 암의 개수는 플로피디스크의 기억용량을 계산할 때 고려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사무자동화의 주요 역할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사무의 합리화
  2. 정보의 효율적 이용
  3. 사무의 도식화
  4. 정보의 시스템화
(정답률: 77%)
  • 사무의 도식화는 사무자동화의 주요 역할과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사무의 도식화는 문서나 정보를 그림, 도표, 차트 등으로 시각화하여 보다 쉽게 이해하고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사무자동화는 사무 업무를 자동화하여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사무의 도식화는 사무자동화의 부수적인 역할 중 하나일 뿐, 주요 역할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중처리시스템의 결합방법 중 약 결합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여러 대의 시스템이 통신으로 연결되고 각 시스템은 독자적으로 작업을 병행수행
  2. 다수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
  3. 시스템 전체에 하나의 운영체제 존재
  4. 프로세서 간 통신은 공유메모리를 통해 수행
(정답률: 66%)
  • 약 결합은 여러 대의 독립된 시스템이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작업을 병행수행하는 방식입니다. 각 시스템은 독자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며, 다른 시스템의 작업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 방식은 시스템 간 결합도가 낮아 유연성이 높고, 시스템의 확장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무자동화의 3대 기술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 기술
  2. 소프트웨어 기술
  3. 문서처리 기술
  4. 네트워크 기술
(정답률: 59%)
  • 문서처리 기술은 사무자동화의 3대 기술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사무자동화의 3대 기술이 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문서처리 기술은 문서 작성, 편집, 저장, 공유 등과 관련된 기술로, 사무자동화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3대 기술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비충격식(non-impact) 프린터가 아닌 것은?

  1. Ink-jet Printer
  2. Laser Printer
  3. 열전사 프린터
  4. Dot Printer
(정답률: 82%)
  • 정답: Dot Printer

    설명: 비충격식(non-impact) 프린터는 인쇄물을 만들기 위해 인쇄물과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는 프린터를 말합니다. Ink-jet Printer, Laser Printer, 열전사 프린터는 모두 비충격식 프린터입니다. 그러나 Dot Printer는 인쇄물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방식으로 인쇄하기 때문에 충격식(impact) 프린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다음 중 사무 관리에 있어서 표준화의 목적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사무관리 활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2. 사무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를 할 수 있다.
  3. 사무업무의 용어나 개념상의 통일을 기할 수 있다.
  4. 사무종사자의 권한을 강화시킨다.
(정답률: 91%)
  • 사무종사자의 권한을 강화시키는 것은 표준화의 목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표준화의 목적은 사무관리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일관성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통제를 강화하여 오류나 문제를 예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사무종사자의 권한을 강화시킨다."는 올바르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사무 간소화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무작업을 용이하게 처리
  2. 사무업무를 정확히 처리
  3. 사무업무를 신속히 처리
  4. 사무업무 인력을 증원 처리
(정답률: 94%)
  • 사무업무 인력을 증원 처리는 사무 간소화의 목적이 아니라 인력 증강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사무 간소화는 작업을 용이하게, 정확하게, 신속하게 처리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의 관리과정 가운데 가장 우선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

  1. 조직화
  2. 계획화
  3. 통제화
  4. 조정화
(정답률: 83%)
  • 가장 우선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는 관리과정은 계획화이다. 이는 다른 과정들을 수행하기 전에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계획화를 통해 목표를 명확히 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문제를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준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계획화는 다른 과정들의 기반이 되며, 성공적인 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사무계획의 정의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사무목표와 실행결과의 편차를 수정하는 것이다.
  2. 사무인원의 충운과 적재적소 배치를 하는 활동이다.
  3. 사무문서의 표준화와 간소화를 수립하는 활동이다.
  4. 목표달성을 위해 미래의 사무행동노선을 사전에 준비하는 과정이다.
(정답률: 73%)
  • 사무계획은 목표달성을 위해 미래의 사무행동노선을 사전에 준비하는 과정이다. 이는 사무목표와 실행결과의 편차를 수정하고, 사무인원의 적재적소 배치를 하며, 사무문서의 표준화와 간소화를 수립하는 활동의 일부분이지만, 그것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진다. 사무계획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인 계획으로, 조직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무실의 위치를 선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회사인 경우 거래처 등과 연락의 편의를 고려해야 한다.
  2. 여러 가지 서비스기관의 이용 편의를 고려해야 한다.
  3. 사무실 주변의 보건 위생적 환경이 양호해야 한다.
  4. 행정기관의 경우 각종 세제를 검토하여 유리한 곳을 정해야 한다.
(정답률: 84%)
  • "행정기관의 경우 각종 세제를 검토하여 유리한 곳을 정해야 한다."는 사무실 위치를 선정하는 고려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세제 검토는 기업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모든 기업이 해당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본질적인 사무의 기능에 해당되는 것은?

  1. 대화기능, 독해기능
  2. 독해기능, 정보처리기능
  3. 정보기능, 결합기능
  4. 사서기능, 분류정리기능
(정답률: 69%)
  • 정보기능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며, 결합기능은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본질적인 사무의 기능에 해당되는 것은 정보기능과 결합기능입니다. 대화기능과 독해기능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적인 기능이며, 사서기능과 분류정리기능은 도서관이나 문서관리 시스템에서 필요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관료주의적 또는 목표 지향적 사무 관리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1. 의사소통
  2. 종업원 사기양양
  3. 직무만족
  4. 능률
(정답률: 88%)
  • 관료주의적 또는 목표 지향적 사무 관리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능률"입니다. 이는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입니다. 능률적인 사무 관리는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능률적인 업무 처리를 위한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종업원들에게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여 능률적인 업무 처리를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페이욜(H.Fayol)의 관리기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회계활동
  2. 기술활동
  3. 재무활동
  4. 예산활동
(정답률: 49%)
  • 페이욜의 관리기능은 계획, 조직, 지휘, 조정, 감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산활동은 이러한 관리기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산활동은 기업의 재무상황을 파악하고 예산을 수립하며, 예산에 따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활동으로, 재무활동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예산활동은 페이욜의 관리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MBO(Management by Objectives)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목표에 의한 관리
  2. 자료에 의한 관리
  3. 경영에 의한 관리
  4. 계획에 의한 관리
(정답률: 84%)
  • MBO(Management by Objectives)는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통해 조직원들의 역량을 개발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관리 방법론이다. 따라서 "목표에 의한 관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료의 열람제한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공개할 경우 사회 및 경제 질서 유지에 혼란이 초래 될 우려가 있는 자료는 열람을 제한한다.
  2. 열람제한 자료는 일반자료와 함께 관리하며 자료관리대장의 비고란에 “열람제한”이라고 표시한다.
  3. 열람제한 자료는 별도의 자료실에 관리하거나 서류보관함에 넣어 특별히 관리한다.
  4. 개인의 기밀에 속하는 사항으로 당사자에게 불이익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열람을 제한한다.
(정답률: 79%)
  • 정답은 "열람제한 자료는 별도의 자료실에 관리하거나 서류보관함에 넣어 특별히 관리한다."입니다. 이는 열람제한 자료의 관리 방법에 대한 내용이며, 다른 보기들은 열람제한의 이유나 표시 방법 등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프로그램 저작권은 그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년도부터 몇 년간 존속되는가?

  1. 10년
  2. 20년
  3. 50년
  4. 영구적
(정답률: 79%)
  • 프로그램 저작권은 공표된 다음 50년간 존속됩니다. 이는 저작권법에서 정한 기간으로, 이 기간이 지나면 해당 프로그램은 저작권 보호를 받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이 해당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이용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료 관리를 자동화하였을 경우에 얻을 수 있는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보처리 양의 증가로 인한 복잡한 행정사무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2. 통일된 서식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3. 자료처리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업무개발에 깊이 몰두할 수 있다.
  4. 보존문서 등을 마이크로필름이나 광디스크에 보관함으로써 많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정답률: 86%)
  • 정보처리 양의 증가로 인한 복잡한 행정사무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통일된 서식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보존문서 등을 마이크로필름이나 광디스크에 보관함으로써 많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 세 가지는 자료 관리를 자동화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는 효과에 해당되지만, "자료처리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업무개발에 깊이 몰두할 수 있다."는 오히려 자료 관리를 자동화하면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아니라, 자료 관리를 수동으로 처리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문서를 통제하는 경우 가장 적합한 것은?

  1. 문서를 작성기관 외부로 발신시
  2. 문서의 수신 방법 구분시
  3. 문서를 생산한 경우에는 모두 실시
  4. 문서를 내부에 보존시
(정답률: 64%)
  • "문서를 작성기관 외부로 발신시"가 가장 적합한 것은 외부로 발신되는 문서는 기관의 이미지와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부로 발신되는 문서는 특히나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문서의 내용과 형식, 문체 등을 통제하여 기관의 목적과 정책에 부합하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정보관리의 중핵적 기능으로서 이 기능의 성패여부에 따라 정보관리의 가치가 좌우되며 사무계획과 사무통제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1. 정보계획 기능
  2. 정보통제 기능
  3. 정보처리 기능
  4. 정보보관과 제공 기능
(정답률: 48%)
  • 정보통제 기능은 정보의 무단 유출, 변조, 손상 등을 방지하고, 정보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보의 무단 유출 등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과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정보관리의 가치를 크게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정보통제 기능은 정보관리의 중요한 핵심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 기능은 사무계획과 사무통제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정보의 접근 권한, 보안 등을 철저히 관리하여 정보의 안전성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문서의 정확성이란 문서를 착오 없이 올바르게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문서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불필요한 DLL를 줄이고 가능하면 복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2. 문서의 유통경로와 처리과정 및 이동거리를 단축하여야 한다.
  3. 문서의 작성과 편집에 사무기기를 활용토록 한다.
  4. 해석상 표현이 애매하거나 과장된 문구를 피하여 명료하게 하여야 한다.
(정답률: 45%)
  • 문서의 정확성과는 관계없는 것은 "문서의 유통경로와 처리과정 및 이동거리를 단축하여야 한다." 이다. 이는 문서의 효율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문서의 정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자상거래(EC)의 사용목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업무자동화를 통한 비용절감
  2. 시간 및 공간적 제약 극복
  3. 정보의 활용을 통한 국제경쟁력 향상
  4. 개인 정보의 축적 및 유통
(정답률: 86%)
  • 전자상거래(EC)의 사용목적은 업무자동화를 통한 비용절감, 시간 및 공간적 제약 극복, 정보의 활용을 통한 국제경쟁력 향상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 정보의 축적 및 유통은 EC의 사용목적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EC는 개인 정보보호와 관련된 법적 규제가 있으며, 이를 준수하여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거래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무의 표준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동일한 사무에 관해서는 동일한 표준이어야 한다.
  2. 사무처리 방법이 가장 합리화된 상태에 있어서의 표준이어야 한다.
  3. 해당사무에 최고 숙달된 사람이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이어야 한다.
  4. 실제의 사무처리 시간과 비교할 수 있을 만큼 적정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86%)
  • 해당사무에 최고 숙달된 사람이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이어야 한다는 것은 표준시간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표준시간을 결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문서정리의 기본적인 절차는?

  1. 보관→분류→보존→폐기
  2. 분류→보존→보관→폐기
  3. 보관→보존→분류→폐기
  4. 분류→보관→보존→폐기
(정답률: 82%)
  • 문서를 먼저 분류하여 어떤 종류의 문서인지 구분하고, 그 후에 보관하여 필요할 때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보존은 문서를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보존 기간이 지나면 폐기합니다. 따라서, 문서정리의 기본적인 절차는 "분류→보관→보존→폐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무업무는 사무원의 능력에 따라 많은 작업량의 차이를 보이며 사무조직원들은 업무량의 증감에 상관없이 조직구성원을 늘리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 사람은?

  1. 파킨슨(Parkinson)
  2. 리빙스톤(Livingston)
  3. 페이욜(Fayol
  4. 레핑웰(Lefingwell)
(정답률: 46%)
  • 파킨슨은 1957년에 발표한 '파킨슨의 법칙'에서 조직 구성원의 수가 증가하면 업무량은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더 많은 업무량을 처리하기 위한 비생산적인 업무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을 늘리는 것보다는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문서정리 보존의 일반원칙과 관계없는 것은?

  1. 보존할 문서는 가능한 줄인다.
  2. 규정에 의거 보존문서의 정리 및 폐기를 자주한다.
  3. 문서보존규정을 제정하고 이를 준수한다.
  4. 훼손되어 활용이 불가능한 문서도 영구보존해야 한다.
(정답률: 90%)
  • "훼손되어 활용이 불가능한 문서도 영구보존해야 한다."는 일반원칙과 관계없는 것이다. 이유는 보존의 목적은 정보의 영구적인 보존과 활용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훼손된 문서는 보존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폐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이항 연산자가 아닌 것은?

  1. AND
  2. XOR
  3. Shift
  4. OR
(정답률: 89%)
  • "AND", "XOR", "OR"은 모두 이항 연산자이며,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한다. 하지만 "Shift"는 피연산자를 하나만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단항 연산자이다. 따라서 "Shift"는 이항 연산자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터프리터 기법을 사용하는 언어는?

  1. BASIC
  2. COBOL
  3. C
  4. FORTRAN
(정답률: 75%)
  • 인터프리터 기법을 사용하는 언어는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바로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컴파일러 기법과 달리 코드를 미리 번역하지 않고 바로 실행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코드를 수정하고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BASIC과 같은 초보자를 위한 언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로딩
  2. 코딩
  3. 디버깅
  4. 에디팅
(정답률: 90%)
  • 디버깅은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디버깅이 정답입니다. 로딩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리는 작업, 코딩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 에디팅은 편집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응답시간(turnaround time) 증가
  2. 신뢰성(reliability) 향상
  3. 처리능력(throughput) 향상
  4. 사용의 용이성(availability) 향상
(정답률: 79%)
  • 운영체제의 목적 중에서 "응답시간(turnaround time) 증가"는 다른 목적들과 달리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목적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응답시간이 증가하면 사용자는 시스템의 반응이 느리다고 느끼게 되어 사용성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고 처리능력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2개의 포인터를 사용하여 한쪽 끝에서 자료를 삽입하고 반대쪽 끝에서 자료를 삭제하는 선입선출(FIFO) 방식의 자료구조는?

  1. 스택
  2. 트리
  3. 그래프
(정답률: 71%)
  • 큐는 선입선출(FIFO) 방식의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한쪽 끝에서 자료를 삽입하고 반대쪽 끝에서 자료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포인터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답은 "큐"입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방식의 자료구조이며, 트리와 그래프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구조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운영체제를 기능상 분류했을 대 처리(processing)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language translation program
  2. service program
  3. problem program
  4. supervisor program
(정답률: 64%)
  • 운영체제의 기능상 분류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
    2.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3. 자원 보호(Resource Protection)
    4.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5.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 중에서 "supervisor program"은 자원 관리, 자원 할당, 자원 보호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 중 하나인 "커널(kernel)"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supervisor program"은 처리(processing) 프로그램이 아닌 운영체제의 일부분입니다.

    반면에 "language translation program", "service program", "problem program"은 모두 처리(processing)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 "language translation program"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이고, "service program"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problem program"은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언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유형이 아닌 것은?

  1. long
  2. integer
  3. float
  4. double
(정답률: 83%)
  • "integer"은 C언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유형이 아니라는 것은 잘못된 질문입니다. "integer"은 C언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유형 중 하나로, 정수형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유형입니다. 따라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계어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래의 실행속도가 빠르다.
  2.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3. 호환성이 없고 기계마다 언어가 다르다.
  4.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
(정답률: 69%)
  • 기계어는 기계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호환성이 없고 기계마다 언어가 다르며,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유는 기계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소스코드가 아닌 기계어 코드로 작성되기 때문에, 수정이나 추가 작업이 필요할 때에도 소스코드를 찾아 수정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운영체제의 주기억장치 관리기법 중 배치(Placement) 전략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최초적합(First-Fit)
  2. 최후적합(Last-Fit)
  3. 최적적합(Best-Fit)
  4. 최악적합(Worst-Fit)
(정답률: 77%)
  • 최후적합(Last-Fit)은 가용한 메모리 공간 중에서 가장 큰 공간을 찾아서 할당하는 방식으로,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메모리 단편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서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BNF 표기법 기후 중 “정의된다”를 의미하는 것은?

  1. ::=
  2. |
  3. < >
  4. { }
(정답률: 93%)
  • "::="은 BNF 표기법에서 "정의된다"를 의미하는 기호입니다. 이는 왼쪽에 있는 기호나 용어가 오른쪽에 있는 기호나 용어로 정의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A ::= B"는 "A는 B로 정의된다"라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표기법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정의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구조화 프로그래밍(structured programing)의 기본구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순차구조(sequence structure)
  2. 선택구조(selection structure)
  3. 그물구조(network structure)
  4. 반복구조(iteration structure)
(정답률: 80%)
  • 그물구조(network structure)는 구조화 프로그래밍의 기본구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흐름이 여러 개의 노드(node)로 이루어진 그래프 형태로 표현되는 구조로, 순차구조, 선택구조, 반복구조와는 다른 형태의 제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물구조는 복잡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며, 구조화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인 "단일 진입점(single entry point)" 원칙을 위반하므로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C언어의 기억클래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
  2. 자동 변수(automatic variable)
  3. 레지스터 변수(register variable)
  4. 정적 변수(static variable)
(정답률: 60%)
  • 내부 변수는 C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기억 클래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저급언어(Low-Lever language)에 해당 하는 것은?

  1. C
  2. Assembly
  3. COBOL
  4. FORTRAN
(정답률: 85%)
  • 저급언어는 기계어와 가까운 언어로,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거의 일치하는 언어로, 명령어와 레지스터 등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직접 다루기 때문에 가장 저급언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Assembly"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C
  2. COBOL
  3. FORTRAN
  4. BASIC
(정답률: 91%)
  •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는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메모리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다룰 수 있는 언어를 말합니다. 이에 따라 C 언어가 가장 적합합니다. C 언어는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메모리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다룰 수 있습니다. 또한, 운영체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시스템 콜을 지원하므로, 운영체제 개발 등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프로그램 중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Assembler
  2. Compiler
  3. Interpreter
  4. Linker
(정답률: 70%)
  • Linker는 다른 프로그램들이 생성한 object 파일들을 하나로 합쳐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즉, 다른 프로그램들이 생성한 파일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격이 다른 프로그램들과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객체지향의 요소는?

  1. 추상화
  2. 객체
  3. 메시지
  4. 클래스
(정답률: 84%)
  • 클래스는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객체지향의 요소입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클래스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문 분석하여 문장의 구조를 트리로 표현한 것으로 루트, 중간, 단말노드로 구성되는 트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스 트리
  2. 피라미드 트리
  3. 블록 트리
  4. 스키마 트리
(정답률: 88%)
  • 정답: 파스 트리

    파스 트리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문 분석하여 문장의 구조를 트리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 트리는 루트, 중간, 단말노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노드는 문장의 구성 요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파스 트리는 프로그램의 구문 분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피라미드 트리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트리 구조이며, 블록 트리는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트리 구조입니다. 스키마 트리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트리 구조 중 하나로,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표현합니다. 이들은 파스 트리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트리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함수에서 전역 변수를 사용하여 함수의 결과를 반환하는 경우 함수에 전달되는 경우 함수에 전달되는 입력 파라미터의 값이 같아도 전역 변수의 상태에 따라 함수에서 변환되는 값이 달라질 수 있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reference
  2. side effect
  3. monitor
  4. recursive
(정답률: 68%)
  • 이를 "side effect"라고 한다. 전역 변수의 상태에 따라 함수의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함수의 부작용(side effect)이 발생한다. 이는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전역 변수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함수 내부에서 지역 변수를 사용하고 입력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함수의 결과를 반환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터럽트의 종류 중 기억장치 할당, 입출력 수행, 오퍼레이터와의 대화 등을 위하여 발생하는 것은?

  1. 외부 인터럽트
  2.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3. SVC(SuperVisor Call) 인터럽트
  4. 기계 검사 인터럽트
(정답률: 70%)
  • SVC(SuperVisor Call) 인터럽트는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해 발생하는 인터럽트이다. 이 인터럽트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특정 기능을 요청할 때 발생하며, 이를 통해 운영체제가 사용자 프로그램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억장치 할당, 입출력 수행, 오퍼레이터와의 대화 등을 위한 인터럽트로 SVC(SuperVisor Call) 인터럽트가 선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로더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할당(allocation)
  2. 링킹(linking)
  3. 번역(compile)
  4. 로딩(loading)
(정답률: 70%)
  • 로더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할당, 링킹, 로딩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번역은 로더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번역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로더와는 별개의 단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번역(compi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MHS의 기능으로서 올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2. 동보기능이 가능하다.
  3. 다른 텔레매틱 서비스와 상호접속이 가능하다.
  4. 신호변환 및 정보처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50%)
  • MHS는 모바일 통신망에서 차량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신호변환 및 정보처리 기능은 MHS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MHS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며, 차량 간 동보기능이 가능하며, 다른 텔레매틱 서비스와 상호접속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SDLC에서 한 프레임(frame)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플래그(Flag)
  2. 번지 지정부(Address Field)
  3. 제어부(Control Field)
  4. 논리 연산부(Arithmetic Logic Unit)
(정답률: 66%)
  • SDLC에서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는 "플래그(Flag)", "번지 지정부(Address Field)", "제어부(Control Field)"이다. 이들은 프레임의 헤더(header) 부분을 구성하며, 데이터(data) 부분과 함께 전송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반면에 "논리 연산부(Arithmetic Logic Unit)"는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중앙 처리 장치(CPU)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SDLC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논리 연산부(Arithmetic Logic Un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LAN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광대역 전송매체의 사용으로 고속통신이 가능하다.
  2. 매우 낮은 오류율을 가지며 방송형태의 이용이 가능하다.
  3. LAN의 구성은 주로 공중망으로 이루어진다.
  4. 근거리 상호통신을 지원하고 워크스테이션 간을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55%)
  • LAN의 구성은 주로 공중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역 내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는 이더넷 케이블, 무선 랜 등의 유선 또는 무선 매체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LAN의 구성은 주로 공중망으로 이루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패킷 교환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적/전송 기능에 의해 패킷 다중전송이 가능하다.
  2. 부호가 다른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3. 처리속도가 다른 단말장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4. 대량의 데이터 전송시 전송지연이 아주 적다.
(정답률: 72%)
  • 대량의 데이터 전송시 전송지연이 아주 적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패킷 교환망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패킷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량의 데이터 전송시에도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OSI 7레벨 참조모델에서 인접한 장치 간에 원활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 지도록 규정하고 있는 계층은?

  1. 표현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3. 응용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74%)
  • 데이터링크 계층은 인접한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연결을 제공하고, 오류 검출 및 수정,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은 인접한 장치 간에 원활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규정하고 있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역폭이 4Khz인 음성신호를 PCM 형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경우 신호의 전송속도는?

  1. 4Kbps
  2. 8Kbps
  3. 32Kbps
  4. 64Kbps
(정답률: 51%)
  •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CM으로 4KHz의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경우, 샘플링 주파수는 8KHz가 됩니다. 이는 나이퀴스트 샘플링 이론에 따라 샘플링 주파수는 원본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 샘플당 필요한 비트 수는 8비트이므로, 1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초당 샘플링 횟수 = 8KHz
    1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 = 8KHz x 8비트 = 64Kbps

    따라서, 대역폭이 4KHz인 음성신호를 PCM 형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경우, 신호의 전송속도는 64Kbp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 아니 것은?

  1. ASK
  2. PCM
  3. FSK
  4. PSK
(정답률: 75%)
  • PCM은 디지털 데이터를 직접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 아니라는 것이다. ASK, FSK, PSK는 모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데이터 발생 현장에 설치된 단말기가 원격지에 설치된 컴퓨터와 통신회선을 통해 직접 연결된 형태는?

  1. 일괄처리 라인
  2. 오프 라인
  3. 온 라인
  4. 데이터베이스 라인
(정답률: 71%)
  • 온 라인은 데이터 발생 현장에 설치된 단말기와 원격지에 설치된 컴퓨터가 통신회선을 통해 직접 연결된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과 처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데이터의 신속한 처리와 관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펄스코드 변조방식(PCM)의 송신측 변조과정은?

  1. 입력신호-부호화-양자화-표본화
  2. 입력신호-양자화-표본화-부호화
  3. 입력신호-표본화-양자화-부호화
  4. 입력신호-부호화-표본화-양자화
(정답률: 82%)
  • PCM 방식에서는 입력신호를 먼저 표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후에는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이를 부호화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신호-표본화-양자화-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채널 중 64Kbps의 속도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채널은?

  1. A채널
  2. B채널
  3. C채널
  4. H채널
(정답률: 63%)
  • ISDN에서 B채널은 64Kbps의 속도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입니다. A채널은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 C채널은 16Kbps의 속도로 보이스나 팩스 데이터를 전달하는 채널, H채널은 384Kbps의 속도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입니다. 따라서, 64Kbps의 속도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채널은 B채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데이터링크(data-link) 계층의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HDLC(High-:evel Data Link Control)
  2. ADCCP(Advanced Data Communication Control Procedure)
  3.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4. FTP(File Transger Protocol)
(정답률: 57%)
  • FTP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의 프로토콜이며,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의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상에서 물리적인 연결을 다루는 계층으로, HDLC, ADCCP, LAP-B 등의 프로토콜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뉴미디어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방향성
  2. 네트워크화
  3. 분산적
  4. 특정 다수자
(정답률: 79%)
  • 단방향성은 뉴미디어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뉴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와 달리 정보의 전달이 양방향적이며,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등 네트워크화되어 있으며, 분산적으로 운영됩니다. 하지만 단방향성은 정보의 전달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미디어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정보통신시스템 중 데이터 전송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단말장치
  2. 중앙처리장치
  3. 통신제어장치
  4. 데이터전송회선
(정답률: 74%)
  •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가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중심적인 장치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RS-232C 인터페이스는 몇 개의 핀(pin)으로 구성되는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72%)
  • RS-232C 인터페이스는 25개의 핀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3개의 핀(Tx, Rx, GND)과 제어 신호를 위한 7개의 핀(CTS, RTS, DSR, DTR, CD, RI, SG)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총 3개의 데이터 전송 핀과 7개의 제어 신호 핀을 합치면 10개의 핀이 필요하며, 이를 양쪽으로 반복해서 총 20개의 핀이 필요하다. 또한, GND 핀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총 25개의 핀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계식 접속자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하다.
  2. 레이저를 이용한 융착접속은 불가능하다.
  3. 장거리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4. 고품질 전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정답은 "레이저를 이용한 융착접속은 불가능하다." 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로, 광섬유 안에 있는 광섬유 코어에서 광신호가 전송된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할 때는 광섬유 코어 간의 정확한 정렬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계식 접속자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레이저를 이용한 융착접속은 광섬유 코어 간의 정확한 정렬이 어렵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OSI 7계층 중 데이터의 형식 처리와 암호화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1. 프레젠테이션 계층
  2. 세션 계층
  3. 응용 계층
  4. 트랜스포트 계층
(정답률: 57%)
  •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의 형식 처리와 암호화 등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응용 계층에서 받아들이고, 이를 표현 형식에 맞게 변환하거나,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압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형식 처리와 암호화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프레젠테이션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LAN에서 사용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방식 중 CSMA/C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EEE802.3 프로토콜 표준에 근거한다.
  2. 다른 전송 데이터가 감지되면 계속 선로상태를 살펴서 선로가 휴지상태가 될 때 즉시 전송한다.
  3. 전송 도중 충돌이 감지되면 즉시 전송을 멈추고 다른 스테이션에 충돌을 알리는 재밍 신호를 전송한다.
  4. 재밍 신호를 전송한 후에 즉시 데이터 재전송을 시작한다.
(정답률: 53%)
  • "재밍 신호를 전송한 후에 즉시 데이터 재전송을 시작한다."는 CSMA/CD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CSMA/CD에서는 충돌이 발생하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재전송을 시도한다. 이는 충돌이 발생한 이유가 물리적인 충돌이 아닌 네트워크 상황에 따른 충돌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돌이 발생하면 재밍 신호를 전송하고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재전송을 시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HDLC 방식에서 Flag의 형태에 해당되는 것은?

  1. 01111110
  2. 01010101
  3. 01100110
  4. 11011011
(정답률: 51%)
  • HDLC 방식에서 Flag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패턴입니다. Flag의 형태는 항상 "01111110"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수신 측에서는 이 Flag 패턴을 감지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식별합니다. 따라서, "01111110"이 HDLC 방식에서 Flag의 형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DTE/DCE 접속규격이 아닌 것은?

  1. RS-232C
  2. V.24
  3. X.75
  4. X.21
(정답률: 45%)
  • X.75은 DTE/DCE 접속규격이 아니라 전송 프로토콜 규격이다. X.75은 패킷 교환망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규격이다. 따라서, DTE/DCE 접속규격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디지털 전송로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는?

  1. MODEM
  2. DSU
  3. 부호기
  4. 복호기
(정답률: 70%)
  • DSU는 디지털 서비스 장치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 장치입니다. DSU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클럭 신호, 동기화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전송매체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전송로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는 DS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