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6)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06-08-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다음 중 동화상 압축 및 복원 알고리즘에 이용되는 것은?

  1. JPEG
  2. MPEG
  3. MIDI
  4. WAVE
(정답률: 87%)
  • 정답은 "MPEG"입니다. MPEG은 동영상 파일을 압축하고 복원하는 알고리즘으로 사용됩니다. JPEG은 이미지 파일을 압축하고 복원하는 알고리즘이며, MIDI는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포맷이고, WAVE는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생산성 평가기준 중 시스템에 유입되는 투입량과 산출량의 양적 비율을 나타내는 것은?

  1. 유효성
  2. 창조성
  3. 인간성
  4. 효율성
(정답률: 83%)
  • 정답은 "효율성"입니다.

    효율성은 시스템에 들어가는 자원과 시스템에서 나오는 결과물의 양적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하고 결과물을 생산하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시스템의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가 바로 효율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사무자동화 단계별 추진절차가 옳은 것은?

  1. 분석→계획→운용
  2. 계획→운용→분석
  3. 운용→분석→계획
  4. 분석→추진→계획
(정답률: 69%)
  • 사무자동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재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자동화가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분석" 단계가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동화를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계획대로 자동화 시스템을 운용하면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계획→운용→분석"이나 "운용→분석→계획"은 추진절차가 옳지 않습니다. "분석→추진→계획"은 추진과정에서 분석이 이미 이루어졌다는 가정하에 추진절차를 설명한 것으로, 일반적인 추진절차로는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분석→계획→운용"이 옳은 사무자동화 단계별 추진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의 무결성
  2. 데이터의 중복성
  3. 데이터의 보안성
  4. 데이터의 독립성
(정답률: 72%)
  • 데이터의 중복성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여러 곳에 중복되어 저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저해하며,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데이터의 중복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의사전달의 수단으로 도구나 기계를 사용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Output 기술
  2. Software 기술
  3. Human 공학
  4. Man/machine 인터페이스
(정답률: 86%)
  • Man/machine 인터페이스는 사람과 기계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도구나 기계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전달의 수단으로 도구나 기계를 사용하는 것은 Man/machine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의사전달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여러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컴퓨터가 사용자들의 프로그램을 번갈아가며 처리해 줌으로서 각 사용자가 각자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 기능과 관련 있는 것은?

  1. off-line system
  2. time sharing system
  3. dual system
  4. batch file system
(정답률: 83%)
  •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가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기능은 "time sharing system"입니다. 이는 컴퓨터의 처리 능력을 분할하여 각 사용자에게 일정한 시간을 할당하고, 번갈아가며 처리해주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를 통해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독립된 환경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OA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 단계의 설명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한다.
  2. 누구든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3. 단위 서브시스템별 담당자를 명확히 한다.
  4. 기기의 고장에 즉시 대처할 수 있는 유지보수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정답률: 68%)
  • "누구든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OA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 단계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이는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누구든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시스템의 사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사용자가 쉽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사용자 매뉴얼 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단위 서브시스템별 담당자를 명확히 하는 것과 기기의 고장에 즉시 대처할 수 있는 유지보수체제를 구축하는 것도 OA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 단계에서 중요한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통합사무자동화시스템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OA기기간의 통합은 기기의 공유와 데이터의 공유 등 OA자원의 공유를 포함한다.
  2. OA의 통합화는 복합화 된 OA에서 단순 OA로 분리시키는 방향을 의미한다.
  3. OA의 통합화는 조직 내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OA를 일관성 있게 통합함을 의미한다.
  4. OA의 통합화는 OA기기의 통합화와 시스템의 통합화를 기반으로 한다.
(정답률: 84%)
  • "OA의 통합화는 복합화 된 OA에서 단순 OA로 분리시키는 방향을 의미한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이다. OA의 통합화는 기존에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OA 시스템을 일관성 있게 통합하여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OA 시스템을 단순화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기능을 통합하여 더욱 복잡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광디스크에 레이저광선을 투사하여 이미지 정보를 수록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색인을 작성하여 필요시 신속한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시스템은?

  1. 광파일 링 시스템
  2. 마이크로필름 시스템
  3. 메시지처리 시스템
  4. 전자우편 시스템
(정답률: 76%)
  • 광디스크에 이미지 정보를 수록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색인을 작성하여 신속한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시스템은 광파일 링 시스템입니다. 이는 광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레이저 광선으로 읽어들여 검색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검색 속도가 빠르고,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무자동화가 발전할 수 있는 배경 기술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작업자의 창의력 발전
  2.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달
  3. 통신기술의 발전
  4.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정답률: 85%)
  • 작업자의 창의력 발전은 사무자동화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다. 사무자동화는 주로 소프트웨어, 통신기술,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발전해왔으며, 이들 기술의 발전이 사무자동화의 발전을 이끌어냈다. 따라서 작업자의 창의력 발전은 사무자동화의 발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HTTP
  2. SMTP
  3. FTP
  4. SNA
(정답률: 82%)
  • 전자우편은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을 사용하여 보내고 받습니다. SMTP는 인터넷에서 전자우편을 보내는 데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전자우편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관리하며, 전자우편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SMTP가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자료 객체, 이들의 성질, 이들 간의 관계, 자료의 조작 및 이들 자료 값들이 갖는 제약조건에 관한 정의를 총칭해서 스키마라 한다. 다음 중 3단계 스키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외부스키마
  2. 관계스키마
  3. 내부스키마
  4. 개념스키마
(정답률: 67%)
  • 관계스키마는 2단계 스키마에 해당한다. 1단계는 개념스키마, 2단계는 외부스키마와 내부스키마, 3단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관계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테이블의 구조와 제약조건 등을 정의하는 스키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POS 시스템과 관계있는 것은?

  1. OA(office automation)
  2. MA(management automation)
  3. AA(accounting automation)
  4. SA(sales automation)
(정답률: 72%)
  • POS 시스템은 판매 자동화(SA)에 해당합니다. POS 시스템은 매출, 재고, 고객 정보 등을 자동으로 관리하며, 판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효율적인 매출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POS 시스템은 SA에 해당하며, OA, MA, AA와는 관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계층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로 관계있는 레코드들이 그물처럼 얽혀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2. 각 레코드가 트리구조 형식으로 구성된 모형이다.
  3. 수학적 이론에 기초하여 테이블 형태로 표현된 모형이다.
  4. 행과 열로 구성된 2차원 조직이다.
(정답률: 75%)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는 각 레코드가 트리구조 형식으로 구성된 모형입니다. 이는 각 레코드가 다른 레코드와 관계를 맺고 있으며, 상위 레코드와 하위 레코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조작할 때에는 트리구조를 따라 이동하며 필요한 정보를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누산기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다.
  2. 연산명령의 순서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3. 연산부호를 해독하는 장치이다.
  4. 연산명령이 주어지면 연산할 준비를 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78%)
  • 누산기는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다음 연산을 위해 이전 연산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분산시스템의 장점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자원과 데이터 공유
  2. 작업부하 조절 기능
  3. 처리능력 향상
  4. 보안 강화
(정답률: 83%)
  • 분산시스템은 자원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작업부하를 조절하여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보안 강화는 분산시스템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분산된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와 자원이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 위협이 더욱 커집니다. 또한, 분산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추가적인 보안 장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안 강화는 분산시스템의 장점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무자동화 추진 방법론 중 OA화 대상의 모든 시스템과 전체적인 업무기능 및 계층에 걸쳐 추진되는 방식은?

  1. 전사적 접근방식
  2. 부분전개 접근방식
  3. 계층별 접근방식
  4. 업무별 접근방식
(정답률: 79%)
  • 전사적 접근방식은 모든 시스템과 업무기능, 계층에 걸쳐 사무자동화를 추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조직 전체적인 시각에서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OA화 대상을 선정하여 전사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효율적인 업무처리와 정보공유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전사적인 시각에서 업무를 바라보고, 조직 전체적인 협조와 지원이 필요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은행창구 업무 및 항공권 예약업무와 같이 데이터 발생 즉시 처리하는 시스템은?

  1. 분산자료시스템
  2. 일괄처리시스템
  3. 실시간 처리시스템
  4. 오프라인 시스템
(정답률: 88%)
  • 은행창구 업무나 항공권 예약업무와 같은 경우 데이터가 발생하자마자 즉각적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실시간 처리시스템이 적합하다. 이는 데이터가 발생하자마자 실시간으로 처리되어 결과를 즉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간 처리시스템"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최근 컴퓨터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사무자동화기술의 변화를 가져왔다. 사무자동화 기술 발전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형화
  2. 대형화
  3. 분산화
  4. 개인화
(정답률: 72%)
  • 정답: 대형화

    설명: 최근 사무자동화 기술의 발전은 소형화, 분산화, 개인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대형화는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기존의 대형 시스템에서 벗어나 개인이나 소규모 조직에서도 사용 가능한 작은 규모의 시스템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화상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화 회선과 TV수상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대화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은?

  1. Videotex
  2. Teletex
  3. CATV
  4. Facsimile
(정답률: 64%)
  • Videotex는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화상정보를 전화 회선과 TV수상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화방식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다. Teletex는 전자우편과 비슷한 서비스이고, CATV는 케이블 TV 서비스이며, Facsimile는 팩스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다음 중 전자문서교환(EDI)과 관계없는 것은?

  1. machine-readable 의 데이터 형태
  2. 구조화된 표준양식
  3. person-to-person 의 데이터 처리
  4. 응용프로그램 간 데이터 자동처리
(정답률: 64%)
  • 전자문서교환(EDI)은 기계가 응용프로그램 간에 구조화된 표준양식의 machine-readable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것이지만, person-to-person의 데이터 처리는 사람이 직접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므로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표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정 시간 내에 일정생산량을 정하는 작업 또는 수단
  2. 최고의 기준을 만드는 것
  3. 표준을 만들어 내는 작업수단
  4. 절차에 대하여 획일성 및 통일성을 가하는 것
(정답률: 85%)
  • "일정 시간 내에 일정생산량을 정하는 작업 또는 수단"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표준화는 일정 시간 내에 일정 생산량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안전성, 효율성 등을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통일하는 것입니다. "최고의 기준을 만드는 것"은 표준화의 목적 중 하나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적의 기준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표준을 만들어 내는 작업수단"은 표준화의 방법 중 하나로, 표준을 만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도구나 방법을 말합니다. "절차에 대하여 획일성 및 통일성을 가하는 것"은 표준화의 효과 중 하나로, 표준화된 절차를 따르면서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계획을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인간, 기계, 자료, 방법 등을 조정하는 제 활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조직
  2. 관리
  3. 행동
  4. 통제
(정답률: 71%)
  • 위 문제에서 설명하고 있는 활동은 계획을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인간, 기계, 자료, 방법 등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은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관리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관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사무 관리자가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수행해야 할 일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적절한 사무관리조직을 만든다.
  2. 사무작업 계획을 세운다.
  3. 사무작업을 통제한다.
  4. 사무직원의 인사문제를 취급한다.
(정답률: 86%)
  • 사무직원의 인사문제를 취급하는 것은 인사관리자의 역할이므로, 사무 관리자가 직접 수행해야 할 일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사무 관리자는 주로 사무 작업의 계획과 통제, 그리고 적절한 조직을 만들어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관리자의 관리 역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1. 조직화, 구조화
  2. 책임화, 조정화
  3. 교육화, 훈련화
  4. 계획화, 통제화
(정답률: 75%)
  • 계획화와 통제화는 관리자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활동을 계획하고, 그 계획을 실행하며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역할이며, 조직 내부의 자원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관리자의 관리 역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계획화와 통제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칙이란 행동의 지침으로 사용되는 일반성을 지닌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중 사무조직을 설계하는 사무 관리자의 조직 원칙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목적의 원칙
  2. 기능화의 원칙
  3. 집중화의 원칙
  4. 책임, 권한의 원칙
(정답률: 59%)
  • 집중화의 원칙은 한 가지 목적에 집중하여 효율적인 결과를 얻는 것을 지향하는 원칙이다. 하지만 사무조직을 설계하는 사무 관리자의 조직 원칙은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최적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집중화의 원칙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사무조직은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단순히 한 가지 목적에만 집중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조직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좋은 목표의 조건이 될 수 없는 것은?

  1. 포괄적인 것
  2. 측정 가능한 것
  3. 실천 가능한 것
  4. 구체적인 것
(정답률: 86%)
  • 정답: 포괄적인 것

    이유: 포괄적인 목표는 너무 일반적이고 추상적이어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어렵고, 성취 여부를 측정하기도 어렵습니다.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실천 가능한 것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사무작업의 표준시간에 관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장 빨리 일할 수 있는 작업시간.
  2. 정규 작업시간에 여유시간을 더한 것.
  3. 최대시간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시간.
  4. 종업원의 작업 능력에 따른 평균시간.
(정답률: 67%)
  • 정답은 "정규 작업시간에 여유시간을 더한 것"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무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일정한 여유시간을 더한 것으로,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문제가 발생해도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일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모두 고려한 적절한 시간 설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문서처리의 기본적인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법령적합의 원칙
  2. 책임처리의 원칙
  3. 즉일처리의 원칙
  4. 보수주의 원칙
(정답률: 89%)
  • 문서처리의 기본적인 원칙은 법령적합의 원칙, 책임처리의 원칙, 즉일처리의 원칙이다. 이들 원칙은 문서처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법적 규정을 준수하며 책임을 다하며, 가능한 빠르게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면에 보수주의 원칙은 문서의 오류나 누락을 발견하면 이를 수정하고 보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기본적인 원칙은 아니지만 문서의 완성도와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보완적인 원칙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보수주의 원칙은 문서처리의 기본적인 원칙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라인조직의 단점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상위자에게 너무 많은 책임이 주어짐
  2. 조직구성원의 의욕과 창의력 저하
  3. 독단적인 처사에 의한 폐단을 면하기 어려움
  4. 책임과 권한의 구분이 명확함
(정답률: 75%)
  • 책임과 권한의 구분이 명확함은 라인조직의 장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각 직원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인지하고, 이에 따라 권한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 내 의사결정과 업무 수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라인조직의 단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사무 간소화의 의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사무시간의 양적 축소를 의미한다.
  2. 사무의 내용, 방법, 절차 등을 감소시키는 것을 뜻한다.
  3. 사무자동화기기의 축소를 뜻한다.
  4. 사무를 수행하는 인원의 감축을 의미한다.
(정답률: 81%)
  • 사무 간소화는 사무의 내용, 방법, 절차 등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업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간소화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무계획을 수립절차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대안구상→전체의 설정→정보수집→최종안결정
  2. 대안구상→정보수집→목표달성→최종안결정
  3. 정보의 수집→정보 분석→목표설정→최종안결정
  4. 목표설정→정보수집분석→대안구상→최종안결정
(정답률: 66%)
  • 사무계획을 수립하는 절차는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 후, 대안을 구상하고 최종안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목표설정→정보수집분석→대안구상→최종안결정"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보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정보관리의 목적은 정보를 신속, 정확, 편리하게 제공함에 있다.
  2. 정보관리의 활동범위는 사무관리보다 광범위하다고 볼 수 있다.
  3. 정보관리의 범위는 정보통제기능에 한한다.
  4. 정보관리의 대상은 정보의 계획, 처리 및 보관, 제공 등의 기능으로 한다.
(정답률: 75%)
  • "정보관리의 범위는 정보통제기능에 한한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부분적으로 맞을 수 있지만, 정보관리의 범위는 정보의 수집, 분석, 저장, 공유, 보호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며, 정보통제기능은 그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보관리의 범위는 정보통제기능뿐만 아니라 더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로그램 저작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그램저작권은 프로그램이 창작된 때로부터 발생한다.
  2. 프로그램저작자는 그 프로그램을 공표하거나 공표하지 아니할 것을 결정할 권리를 가진다.
  3. 프로그램 저작자는 프로그램을 공표함에 있어서 그의 실명 또는 다른 이름을 표시할 권리를 가진다.
  4. 프로그램 저작권은 그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30년간 존속한다.
(정답률: 87%)
  • "프로그램 저작권은 그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30년간 존속한다." 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프로그램 저작권은 창작된 때로부터 발생하며, 존속 기간은 저작자의 사망 후 70년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실시의 시기와 순서의 관점에서 그 조직의 활동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업무 수행에 필요한 이해나 견해를 마찰이 없도록 결합하고 조화시키는 관리 기능은?

  1. 계획화
  2. 조정화
  3. 통제화
  4. 조직화
(정답률: 63%)
  • 조정화는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시기와 순서를 결합하고 조화시키는 관리 기능입니다. 이는 계획화에서 수립한 계획을 실제 업무에 적용할 때 필요한 조정과 조화 작업을 의미합니다. 또한, 업무 수행 중 발생하는 문제나 변화에 대해 조정하고 대처하는 것도 조정화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조정화는 업무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관리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시간 연구의 방법 중 워크샘플링 방법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직접 관찰하므로 특별한 관측기구가 필요 없다.
  2. 피관측자에게 여유를 준다.
  3.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든다.
  4. 관측 대상 사무가 정해지면 누구라도 할 수 있다.
(정답률: 55%)
  • 워크샘플링 방법은 직접 관찰하므로 특별한 관측기구가 필요하지 않고,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들며, 관측 대상 사무가 정해지면 누구라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피관측자에게 여유를 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피관측자는 일을 하면서 동시에 관찰을 받기 때문에 불편하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정보통신망을 구축하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경제적 효과
  2. 신뢰성 향상
  3. 처리능력 향상
  4. 프로토콜의 다양화
(정답률: 78%)
  • 프로토콜의 다양화는 정보통신망을 구축하는 효과가 아닙니다. 이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기기들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효과적인 통신을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경제적인 이점, 신뢰성 향상, 처리능력 향상 등 정보통신망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효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통제란 어떠한 일의 성취도를 계획에 비추어 측정하고 계획상의 목표달성을 보장 할 수 있도록 계획으로 부터의 차질을 시정하는 조치” 라고 정의한 학자는?

  1. 쿤츠(H. koontz)와 오도넬(C. o'Donnell)
  2. 카스트(F. E. kast)
  3. 힉스(C. B. Hicks)
  4. 리빙스턴(R. T. Livingston)
(정답률: 73%)
  • 쿤츠와 오도넬은 "관리의 기본 원리(Principles of Management)"라는 책에서 통제(Control)를 위한 기본 원리 중 하나로 소개하면서 위와 같은 정의를 제시했다. 따라서 이 정의를 제시한 학자는 쿤츠와 오도넬이다. 다른 보기들은 통제(Control)와 관련된 이론이나 개념을 제시한 학자들이지만, 이 정의를 제시한 것은 쿤츠와 오도넬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CALS
  2. EDI
  3. EC
  4. LAN
(정답률: 81%)
  • LAN은 전자상거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비교했을 때 개념적인 관련이 가장 적습니다. CALS는 군사 산업에서 사용되는 정보 교환 표준, EDI는 기업 간 전자 데이터 교환, EC는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EDI의 직접적인 구성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표준화
  2. 통신네트워크
  3. 통합 데이터베이스
  4. 변환 소프트웨어
(정답률: 41%)
  • EDI의 직접적인 구성요소는 "표준화", "통신네트워크", "변환 소프트웨어"이다. 이들은 EDI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고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반면에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EDI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이지만, 직접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통합 데이터베이스"가 가장 거리가 먼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C 언어의 출력 문에서 데이터 형식을 규정하는 서술자로서 의미가 옳지 않은 것은?

  1. %d : 8진 정수
  2. %c : 문자
  3. %s : 문자열
  4. %x : 16진 정수
(정답률: 66%)
  • "%d : 8진 정수"가 옳지 않은 것은 "%d"는 10진 정수를 출력하는 서술자이기 때문입니다. 8진 정수를 출력하려면 "%o"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로 사용하기에 가정 적당한 것은?

  1. COBOL
  2. C
  3. BASIC
  4. FORTRAN
(정답률: 93%)
  • C 언어는 저수준의 메모리 조작이 가능하고, 시스템 콜을 직접 호출할 수 있어서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적합합니다. 또한, 운영체제나 임베디드 시스템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C 언어가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구조화 프로그래밍(Structured Programming)의 기본 제어 구조가 아닌 것은?

  1. 반복구조(iteration)
  2. 선택구조(selection)
  3. 그물구조(network)
  4. 순차구조(sequence)
(정답률: 79%)
  • 그물구조(network)는 구조화 프로그래밍의 기본 제어 구조 중 하나가 아닙니다. 구조화 프로그래밍에서의 기본 제어 구조는 순차구조(sequence), 선택구조(selection), 반복구조(iteration)입니다. 그물구조는 여러 개의 노드(node)와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그래프 알고리즘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프로그래머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럽트로서, 보통 입/출력 수행, 기억장치 할당, 오퍼레이터와의 대화를 위해 발생하는 것은?

  1. Program check interrupt
  2. External interrupt
  3. I/O interrupt
  4. Supervisor call interrupt
(정답률: 59%)
  • "Supervisor call interrupt"는 프로그래머가 시스템 호출을 통해 발생시키는 인터럽트이기 때문에 입/출력 수행, 기억장치 할당, 오퍼레이터와의 대화 등 시스템 레벨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Supervisor call interrup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언어에서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자료 형은?

  1. char
  2. int
  3. float
  4. double
(정답률: 77%)
  • 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는 "int"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이는 정수형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가장 적합한 자료형이기 때문입니다. "char"는 문자형 변수를 저장할 때 사용하며, "float"와 "double"은 실수형 변수를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OBOL 언어의 PERFORM 문, C 언어의 FOR문에 해당되는 것은?

  1. 반복문
  2. 종료문
  3. 입출력문
  4. 선언문
(정답률: 75%)
  • 반복문은 특정한 조건이나 횟수에 따라 코드 블록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문이다. PERFORM 문은 COBOL 언어에서 반복문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며, FOR문은 C 언어에서 반복문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반복문이라는 답이 맞다. 종료문은 코드 블록을 종료하는 제어문, 입출력문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제어문, 선언문은 변수나 함수 등을 선언하는 제어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스트림 자료 활용의 예가 빈번한 언어는?

  1. COBOL
  2. SNOBOL4
  3. C
  4. FORTRAN
(정답률: 65%)
  • SNOBOL4는 문자열 처리에 특화된 언어로, 스트림 자료를 다루는 데 많이 활용됩니다. 이는 SNOBOL4가 문자열을 일종의 스트림으로 다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NOBOL4는 스트림 자료 활용의 예가 빈번한 언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이항(Binary)연산자 표현에 적합하며, 두 피연산자 사이에 연산 기호가 놓여지는 표기법은?

  1. 전위(prefix) 표기법
  2. 중위(infix) 표기법
  3. 후위(postfix) 표기법
  4. 자동(auto) 표기법
(정답률: 88%)
  • 중위 표기법은 두 피연산자 사이에 연산 기호가 놓여지는 표기법으로, 이항 연산자 표현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2 + 3과 같은 식은 중위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위 표기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위치하고 후위 표기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위치하는 표기법이다. 자동 표기법은 컴퓨터가 자동으로 선택하는 표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로그램의 오류 수정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linker
  2. array
  3. loader
  4. debugger
(정답률: 90%)
  • 정답은 "debugger"이다.

    "debugger"는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고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다른 보기인 "linker"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array"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고, "loader"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로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중에서 프로그램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debugg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운영체제를 수행 기능에 따라 분류할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시 프로그램
  2.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3. 작업 제어 프로그램
  4. 문제 프로그램
(정답률: 70%)
  • 운영체제의 수행 기능에는 감시, 데이터 관리, 작업 제어 등이 있지만, "문제 프로그램"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문제 프로그램"이란 용어 자체가 운영체제의 수행 기능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문제 프로그램"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에서 디버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며, 운영체제의 수행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문제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이항(Binary) 연산자 연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ND
  2. MOVE
  3. OR
  4. XOR
(정답률: 91%)
  • "MOVE"는 이항 연산자가 아니라 단항 연산자이기 때문에 이항 연산자 연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이며, "AND", "OR", "XOR"는 모두 이항 연산자입니다. 반면에 "MOVE"는 하나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그 값을 다른 변수나 메모리 위치로 복사하는 단항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문 분석하여 각각의 문장을 문법 구조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한 것은?

  1. 피라미드(Pyramid) 트리
  2. 메뉴(Menu) 트리
  3. 덤프(Dump) 트리
  4. 파스(Parse) 트리
(정답률: 92%)
  • 파스(Parse) 트리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문 분석하여 각각의 문장을 문법 구조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이는 프로그램의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하며,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파스(Parse) 트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능력
  2. 비용
  3. 사용가능도
  4. 신뢰도
(정답률: 90%)
  •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는 처리능력, 사용가능도, 신뢰도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비용은 성능 평가 항목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비용은 운영체제를 도입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비용은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특정한 업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작성된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은?

  1. Operation System
  2. System Program
  3. DBMS
  4. Application Program
(정답률: 76%)
  • "Application Program"은 특정한 업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작성된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Operation System", "System Program", "DBMS"는 응용프로그램과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터프리터(interpreter)기법을 사용하는 언어는?

  1. C
  2. BASIC
  3. COBOL
  4. FORTRAN 언어
(정답률: 77%)
  • 인터프리터 기법을 사용하는 언어는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바로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BASIC 언어는 이러한 인터프리터 기법을 사용하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고급언어(high level languag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OBOL
  2. C
  3. Assembly
  4. FORTRAN
(정답률: 85%)
  • Assembly는 기계어와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저급언어(low level language)이기 때문에 고급언어(high level language)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COBOL, C, FORTRAN은 고급언어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급언어로 작성된 원시프로그램을 해석하고 분석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은?

  1. Operating system
  2. DBMS
  3. Spread sheet
  4. Compiler
(정답률: 88%)
  • Compiler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원시프로그램을 해석하고 분석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스프레드시트와 관련된 용어이며, Compiler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언어에서 이스케이프 시퀀스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n : null character
  2. \r : carriage return
  3. \f : form feed
  4. \b : backspace
(정답률: 80%)
  • 정답은 "\n : null character" 이다. 이스케이프 시퀀스 중 "\n"은 줄바꿈을 의미하며, null character는 "\0"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n : null character"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자동변수
  2. 레지스터 변수
  3. 메시지 변수
  4. 정적 변수
(정답률: 66%)
  • C언어에서 "메시지 변수"는 사용되지 않는 기억 클래스입니다. 이유는 C언어에서 메시지 변수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기억 클래스인 자동변수, 레지스터 변수, 정적 변수는 모두 C언어에서 사용되는 기억 클래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BNF에 사용되는 기호 중 선택의 의미를 갖는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1%)
  • "|" 기호는 BNF에서 선택의 의미를 갖는 기호입니다. 이는 하나의 규칙에서 여러 가지 선택 가능한 항목이 있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 ::= B | C"는 A가 B 또는 C 중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다음 중 초고속정보통신망의 AT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8 Byte의 페이로드(Payload)를 갖고 있다.
  2. 5 Byte의 헤더를 갖고 있다.
  3.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하다.
  4. 동기식 전달모드로 고속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정답률: 59%)
  • 정답: "48 Byte의 페이로드(Payload)를 갖고 있다."

    ATM은 53바이트의 고정 길이 패킷을 사용하며, 이 중 5바이트는 헤더이고 48바이트는 페이로드이다. 따라서, "48 Byte의 페이로드(Payload)를 갖고 있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동기식 전달모드는 ATM의 특징 중 하나로, 고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이는 ATM이 시간에 민감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기도 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패킷(Packet)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회선교환방식에 주로 사용되며, 주 스테이션 사이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경로가 제공되는 경우를 말한다.
  2. 접속 혹은 다중화의 목적으로 메시지를 정해진 크기의 비트 수로 나눈 다음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만들어진 데이터의 블록이다.
  3. 버스형망, 회선 교환망, 성형망 등의 어떤 망구조에서도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방식에 가장 적합한 전송회선이다.
  4. 경로 변경방식에 따라 교환기, 통신회선 등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대체 경로를 선택할 수 없어 네트워크의 신뢰성이 낮다.
(정답률: 62%)
  • 접속 혹은 다중화의 목적으로 메시지를 정해진 크기의 비트 수로 나눈 다음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만들어진 데이터의 블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보통신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에서 이용자와 정보통신 시스템과의 접점에서 데이터의 입. 출력을 담당하는 것은?

  1. 단말장치
  2. 정보처리시스템
  3. 데이터전송회선
  4. 변복조장치
(정답률: 63%)
  • 단말장치는 정보통신 시스템과 이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데이터의 입출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용자가 정보통신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의 전송과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들이므로, 이용자와의 접점에서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단말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IBM의 SNA는 컴퓨터 간 접속을 용이하게 한 체계화된 네트워크 방식이다.
  2. 본격적인 데이터 통신의 시초는 미국의 반자동 반공시스템(SAGE)이다.
  3.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정보통신을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4. 데이터전송은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정보의 전송이라 할 수 있다.
(정답률: 77%)
  •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정보통신을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는 틀린 설명이다.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인해 정보통신이 보편화되었지만, 이로 인해 다양한 기업과 기술이 등장하면서 오히려 표준화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디지털 교환망에 데이터 회선을 구성하여 디지털 신호전송 시에 사용되는 DCE는?

  1. MODEM
  2. DSU
  3. DTE
  4. Remote Processor
(정답률: 64%)
  • DCE는 데이터 통신 장비로, 디지털 교환망에 데이터 회선을 구성하여 디지털 신호전송 시에 사용됩니다. DSU는 데이터 서비스 단말 장비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여 디지털 교환망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DSU는 DCE의 한 종류입니다. MODE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비이며, DTE는 데이터 터미널 장비, Remote Processor는 원격 처리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목적지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단말장치
  2. 변복조장치
  3. 교환장치
  4. 다중화/역다중화 장치
(정답률: 48%)
  • 교환장치는 목적지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다른 구성요소인 단말장치, 변복조장치, 다중화/역다중화 장치에서는 수행할 수 없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OSI 7계층에서 다음 설명에 맞는 계층은?

  1. 물리계층
  2. 데이터링크계층
  3. 응용계층
  4. 표현계층
(정답률: 7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네트워크 카드와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비들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장비들은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이러한 물리적인 연결을 다루는 계층이 "데이터링크계층"이다. 따라서 정답은 "데이터링크계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온라인시스템과 관계없는 것은?

  1. 실시간(real-time)처리에 이용된다.
  2. 데이터의 전송과 처리과정에 사람이 개입되지 않는다.
  3. 정보전송장치와 정보처리장치 사이에 자기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를 경유한다.
  4. 데이터 발생지의 단말기가 원격지에 설치된 컴퓨터와 통신회선을 통해 연결된다.
(정답률: 60%)
  • 정보전송장치와 정보처리장치 사이에 자기테이프 등의 기록매체를 경유한다. - 이것은 온라인시스템과 관계없는 것이다. 이유는 온라인시스템은 실시간 처리를 위해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기록매체를 경유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공중 데이터망에서 사용되는 DTE/DCE 간의 상호접속에 대한 정의를 규정한 권고안은?

  1. x.4
  2. x.24
  3. x.75
  4. x.400
(정답률: 57%)
  • 정답은 "x.24"입니다.

    x.24는 ITU-T에서 규정한 공중 데이터망에서 사용되는 DTE/DCE 간의 상호접속에 대한 권고안입니다. 이 권고안은 DTE와 DCE 간의 물리적, 전기적, 기능적 특성을 규정하고, 이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x.24는 공중 데이터망에서 DTE와 DCE 간의 상호접속을 위한 표준 규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패킷 교환망의 주요기능과 관계없는 것은?

  1. 오류제어
  2. 전용선
  3. 트래픽제어
  4. 논리채널
(정답률: 46%)
  • 전용선은 패킷 교환망의 주요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기술입니다. 전용선은 고정된 대역폭을 가진 물리적인 회선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패킷 교환망에서는 패킷을 분할하여 전송하고 도착지에서 재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전용선은 패킷 교환망과는 별개의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ISDN의 통신 서비스 중 베어러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은?

  1. 계층1에서 계층3까지
  2. 계층4에서 계층7까지
  3. 계층1에서 계층7까지
  4. 계층2에서 계층5까지
(정답률: 58%)
  • ISDN의 통신 서비스 중 베어러서비스는 "계층1에서 계층3까지"에 해당됩니다. 이는 베어러서비스가 물리적인 회선 제어와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1에서부터 논리적인 회선 제어와 패킷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3까지의 범위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베어러서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한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다른 상위 서비스들이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데이터 통신에서 송/수신이 쌍방으로 동시에 통신이 가능한 전송방식은?

  1. Simplex
  2. Half-Duplex
  3. Full-Duplex
  4. Multiplex
(정답률: 61%)
  • Full-Duplex 전송방식은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한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이다. 반면 Simplex는 단방향 통신, Half-Duplex는 송/수신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지는 반 이중 방식, Multiplex는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Full-Duplex가 유일한 쌍방 통신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전송제어문자 중 본문의 시작을 알리는 것은?

  1. STX
  2. ETX
  3. DLE
  4. NAK
(정답률: 78%)
  • STX는 Start of Text의 약자로, 본문의 시작을 알리는 제어문자이다. 따라서 STX가 본문의 시작을 알리는 제어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디지털 변복조에 사용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동기편이 방식
  2. 진폭편이방식
  3. 주파수편이 방식
  4. 위상편이방식
(정답률: 72%)
  • 디지털 변복조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모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그 중 "동기편이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동기편이 방식"은 디지털 변복조에 사용되는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IP주소 형식 중에서 호스트를 가장 많이 할당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 클래스는?

  1. 클래스A
  2. 클래스B
  3. 클래스C
  4. 클래스D
(정답률: 59%)
  • 클래스A는 첫 번째 옥텟이 네트워크 식별자로 사용되고 나머지 세 개의 옥텟이 호스트 식별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장 많은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0 ~ 10.255.255.255 범위 내에서는 16,777,214개의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임 구조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제어 필드
  2. 플래그 필드
  3. 주소 필드
  4. 시작 필드
(정답률: 66%)
  • HDLC 프레임 구조에는 "시작 필드"가 없습니다. HDLC 프레임은 "플래그 필드", "주소 필드", "제어 필드", "정보 필드", "FCS 필드"로 구성됩니다. 시작 필드는 다른 프로토콜인 PPP(Point-to-Point Protocol)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전송오류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1. Stop-and-Wait ARQ
  2. Go-back-N ARQ
  3. Selective-Repeat ARQ
  4. Store-and-Forward ARQ
(정답률: 65%)
  • Store-and-Forward ARQ는 전송오류 제어방식이 아니라 데이터 전송 방식이다. Store-and-Forward ARQ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일정량의 데이터를 모아서 버퍼에 저장한 후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일부분이 손실되더라도 다시 전송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 방식은 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하기 때문에 이메일, 파일 전송 등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LAN으로 널리 이용되는 이더넷(Ethernet)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1. CSMA/CD
  2. 토큰링
  3. 토큰버스
  4. DQDB
(정답률: 76%)
  • 이더넷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SMA/CD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린 후 다시 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SMA/CD"가 정답입니다. 토큰링, 토큰버스, DQDB는 다른 네트워크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표본화(sampling)하면 어떤 형태로 되는가?

  1. PAM
  2. PWM
  3. PCM
  4. PPM
(정답률: 42%)
  •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표본화하면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형태로 된다. PAM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신호의 진폭을 디지털화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디지털화된 신호는 이후에 PCM(Pulse Code Modulation) 등의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전송 및 저장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송신측 펄스부호변조(PCM)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부호화→양자화→표본화
  2. 양자화→표본화→부호화
  3. 표본화→양자화→부호화
  4. 표본화→부호화→양자화
(정답률: 80%)
  • 정답은 "표본화→양자화→부호화"입니다.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양자화는 디지털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근사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신호의 정확도가 손실됩니다.

    부호화는 양자화된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진수로 변환된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송신됩니다.

    따라서,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